KR20040023049A - 4륜 구동 차량의 안전모드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4륜 구동 차량의 안전모드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3049A
KR20040023049A KR1020020054665A KR20020054665A KR20040023049A KR 20040023049 A KR20040023049 A KR 20040023049A KR 1020020054665 A KR1020020054665 A KR 1020020054665A KR 20020054665 A KR20020054665 A KR 20020054665A KR 20040023049 A KR20040023049 A KR 200400230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p
safe mode
time
wheel
allow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46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14832B1 (ko
Inventor
도규철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546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4832B1/ko
Priority to JP2002378765A priority patent/JP2004099010A/ja
Priority to US10/465,904 priority patent/US6853901B2/en
Publication of KR200400230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30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48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48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34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for driving both front and rear wheels, e.g. four wheel drive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vehicle transmissions, or par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K23/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vehicle transmissions, or par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hanging number of driven wheels, for switching from driving one axle to driving two or more axles
    • B60K23/08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vehicle transmissions, or par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hanging number of driven wheels, for switching from driving one axle to driving two or more axles for varying torque distribution between driven axles, e.g. by transfer clutc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1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510/02Clutches
    • B60W2510/0241Clutch slip, i.e. difference between input and output spee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 And Driving Of Transmission Devices (AREA)
  • Arrangement And Mounting Of Devices That Control Transmission Of Motive Force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4륜 구동 차량의 안전모드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센서 및 액츄에이터 진단후 문제가 없을 경우 4륜구동 제어를 수행하는 4륜 구동 차량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a) 상기 4륜 구동중 휠 슬립(wheel slip)과 허용 슬립(slip)을 비교하는 단계와, (b) 상기 (a)단계에서의 비교결과 상기 휠 슬립(wheel slip)이 허용 슬립(slip)보다 클 경우 최대 듀티로 제어하는 단계와, (c) 상기 (b)단계에서의 최대 듀티로 제어후 휠 슬립(wheel slip)과 허용 슬립(slip)을 비교하는 단계와, (d) 상기 (c)단계에서의 비교결과 휠 슬립(wheel slip)이 허용 슬립(slip)보다 클 경우 상기 휠 슬립(wheel slip)이 허용 슬립(slip)보다 큰 시간과 최대 허용 시간을 비교하는 단계와, (e) 상기 (d)단계에서의 비교결과 휠 슬립(wheel slip)이 허용 슬립(slip)보다 큰 시간이 최대 허용 시간보다 클 경우 경고등을 온시키고 안전 모드 듀티로 제어하는 단계와, (f) 상기 (e)단계에서 안전 모드 듀티로 제어시 안전 모드 해제 시간과 안전 모드 시간을 비교하는 단계와, (g) 상기 (f)단계에서의 비교결과 안전 모드 해제 시간이 안전 모드 시간보다 클 경우 경고등을 오프시키고 안전 모드 해제 듀티로 제어한 후 정상 모드로 복귀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차량의 과부하로 인한 마크네틱 클러치의 슬립(slip) 발생시 마그네틱 클러치의 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4륜 구동 차량의 안전모드 제어방법{method for controlling safe mode in 4 wheel drive vehicle}
본 발명은 4륜 구동 차량에 관한 것으로, 특히 4륜 구동 차량의 안전모드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종래 기술에 따른 4륜 구동 차량의 제어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4균 구동 차량의 개략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2는 종래 기술에 따른4균 구동 차량의 제어방법의 플로우 차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4륜 구동 차량의 제어방법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차량 진행시 프런트 속도 검출부(미도시)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로틀 포지션을 리드하여 프런트(구동축:①)의 속도를 감지하게 되고, 리어 속도 검출부(미도시)는 리어(피구동측:②)의 속도를 감지하게 된다(S1, S2).
그러면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프런트 속도 검출부에서 감지된 프런트(구동축:①)의 속도가 리어 속도 검출부(미도시)에서 리어(피구동측:②)의 속도보다 큰지를 비교하게 된다(S3).
상기 비교결과 프런트(구동축:①)의 속도가 리어(피구동측:②)의 속도보다 크지 않을 경우 제어부는 상기 리어 속도 검출부(미도시)에서 리어(피구동측:②)의 속도가 프런트 속도 검출부에서 감지된 프런트(구동축:①)의 속도보다 큰지를 비교하게 된다(S4).
상기 S3단계에서의 비교결과 프런트(구동축:①)의 속도가 리어(피구동측:②)의 속도보다 클 경우와 상기 S4단계에서의 비교결과 리어(피구동측:②)의 속도가 프런트 속도 검출부에서 감지된 프런트(구동축:①)의 속도보다 클 경우 제어부는 마그네틱 클러치에 듀티(duty)를 가하여 프런트(구동측①):와 리어(피구동측:②)의 속도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구동장치(미도시)를 제어하게 된다(S5).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4륜 구동 차량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차량의 과부하에 의하여 4륜 구동 제어를 위한 듀티(duty)가 한계치 이상인 상태에서 프런트와 리어의 속도차가 발생하게 되면 4륜 구동 차량의 마그네틱 클러치가 슬립(slip)에 의하여 오일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고 이어 임계 온도 이상이 되면 오일이 마찰력을 상실하여 마그네틱 클럭치가 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차량의 과부하로 인한 마크네틱 클러치의 슬립(slip) 발생시 마그네틱 클러치의 소손을 방지하기 위한 4륜 구동 차량의 안전모드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1은 4균 구동 차량의 개략도를 나타낸 도면
도2는 종래 기술에 따른 4균 구동 차량의 제어방법의 플로우 차트를 나타낸 도면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4륜구동 차량의 안전모드 제어방법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① : 프런트(구동측) ② : 리어(피구동측)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4륜 구동 차량의 안전모드 제어방법의 특징은, 센서 및 액츄에이터 진단후 문제가 없을 경우 4륜구동 제어를 수행하는 4륜 구동 차량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a) 상기 4륜 구동중 휠 슬립(wheel slip)과 허용 슬립(slip)을 비교하는 단계와, (b) 상기 (a)단계에서의 비교결과 상기 휠 슬립(wheel slip)이 허용 슬립(slip)보다 클 경우 최대 듀티로 제어하는 단계와, (c) 상기 (b)단계에서의 최대 듀티로 제어후 휠 슬립(wheel slip)과 허용 슬립(slip)을 비교하는 단계와, (d) 상기 (c)단계에서의 비교결과 휠 슬립(wheel slip)이 허용 슬립(slip)보다 클 경우 상기 휠 슬립(wheel slip)이 허용 슬립(slip)보다 큰 시간과 최대 허용 시간을 비교하는 단계와, (e) 상기 (d)단계에서의 비교결과 휠 슬립(wheel slip)이 허용 슬립(slip)보다 큰 시간이 최대 허용 시간보다 클 경우 경고등을 온시키고 안전 모드 듀티로 제어하는 단계와, (f)상기 (e)단계에서 안전 모드 듀티로 제어시 안전 모드 해제 시간과 안전 모드 시간을 비교하는 단계와, (g) 상기 (f)단계에서의 비교결과 안전 모드 해제 시간이 안전 모드 시간보다 클 경우 경고등을 오프시키고 안전 모드 해제 듀티로 제어한 후 정상 모드로 복귀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있다.
상기 (b)단계는 상기 (a)단계에서의 비교결과 휠 슬립(wheel slip)이 허용 슬립(slip)보다 작을 경우 정상 모드로 복귀하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하는데 있다.
상기 (d)단계는 상기 (c)단계에서의 비교결과 휠 슬립(wheel slip)이 허용 슬립(slip)보다 작을 경우 현재 듀티로 제어한 후 상기 (a) 내지 (c)단계를 반복 수행하는 것을 또다른 특징으로 하는데 있다.
상기 (e)단계는 상기 (d)단계에서의 비교결과 휠 슬립(wheel slip)이 허용 슬립(slip)보다 큰 시간이 최대 허용 시간보다 작을 경우 상기 (b) 및 (e)단계를 반복 수행하는 것을 또다른 특징으로 하는데 있다.
상기 (g)단계는 상기 (f)단계에서의 비교결과 안전 모드 해제 시간이 안전 모드 시간보다 작을 경우 상기 (e) 및 (f)단계를 반복 수행하는 것을 또다른 특징으로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잇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4륜 구동 차량의 안전모드 제어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4륜구동 차량의 안전모드 제어방법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4륜 구동 차량의 안전모드 제어방법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차량 진행시 제어부(미도시)는 센서 및 액츄에이터 진단후 문제가 없을 경우 4륜구동 제어를 수행하게 된다(ST1~ST3).
이후, 프런트 속도 검출부(미도시)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로틀 포지션을 리드하여 프런트(구동축:①)의 속도를 감지하게 되고, 리어 속도 검출부(미도시)는 리어(피구동측:②)의 속도를 감지하게 된다.
그러면 제어부는 상기 프런트 속도 검출부에서 감지된 프런트(구동축:①)의 속도와 리어 속도 검출부에서 리어(피구동측:②)의 속도를 비교하게 된다.
상기 비교결과 프런트(구동축:①)의 속도가 리어(피구동측:②)의 속도보다 클 경우와 상기 S4단계에서의 비교결과 리어(피구동측:②)의 속도가 프런트 속도 검출부에서 감지된 프런트(구동축:①)의 속도보다 클 경우 즉, 과부하로 인하여 마그네틱 클러치에 휠 슬립(wheel slip)일 발생된 경우 제어부는 발생된 휠 슬립(wheel slip)과 허용 슬립(slip)을 비교하게 된다(ST4).
상기 ST단계에서의 비교결과 휠 슬립(wheel slip)이 허용 슬립(slip)보다 작을 경우 제어부는 정상 모드로 복귀하여 4륜 구동을 제어하고(ST12), 상기 ST단계에서의 비교결과 상기 휠 슬립(wheel slip)이 허용 슬립(slip)보다 클 경우 최대 듀티로 제어하게 된다.
이어 제어부는 최대 듀티로 제어후 휠 슬립(wheel slip)과 허용 슬립(slip)을 비교하게 된다(ST6).
상기 ST6단계에서의 비교결과 휠 슬립(wheel slip)이 허용 슬립(slip)보다 작을 경우 제어부는 4륜 구동을 현재 듀티로 제어(ST7)한 후 상기 ST4 내지 ST6단계를 반복 수행하고, 상기 ST6단계에서의 휠 슬립(wheel slip)이 허용 슬립(slip)보다 클 경우 제어부는 상기 휠 슬립(wheel slip)이 허용 슬립(slip)보다 큰 시간과 최대 허용 시간을 비교하게 된다(ST8).
상기 ST8단계에서의 비교결과 휠 슬립(wheel slip)이 허용 슬립(slip)보다 큰 시간이 최대 허용 시간보다 작을 경우 제어부는 상기 ST5단계 및 ST6단계를 반복 수행하고, 상기 ST8단계에서의 비교결과 휠 슬립(wheel slip)이 허용 슬립(slip)보다 큰 시간이 최대 허용 시간보다 클 경우 경고등을 온시키고 안전 모드 듀티로 제어하게 된다(ST9).
즉, 제어부는 상기 프런트(구동축:①)와 리어(피구동측:②)를 오일의 온도가 상승하지 않는 안전 모드 듀티로 제어하여 오일의 온도 상승을 방지하게 된다.
이후, 제어부는 상기 ST9단계에서 안전 모드 듀티로 제어시 안전 모드 해제 시간과 안전 모드 시간을 비교하게 된다(ST10).
상기 ST10단계에서의 비교결과 안전 모드 해제 시간이 안전 모드 시간보다 작을 경우 제어부는 상기 ST9단계 및 ST10단계를 반복 수행하고, 상기 ST단계에서의 비교결과 안전 모드 해제 시간이 안전 모드 시간보다 클 경우 제어부는 경고등을 오프시키고 안전 모드 해제 듀티로 제어한 후 정상 모드로 복귀하게 된다(ST11, ST12).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4륜 구동 차량의 안전모드 제어방법은 차량의 과부하로 인한 마크네틱 클러치의 슬립(slip) 발생시 마그네틱 클러치의 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 및 그와 균등한 것들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Claims (5)

  1. 센서 및 액츄에이터 진단후 문제가 없을 경우 4륜구동 제어를 수행하는 4륜 구동 차량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a) 상기 4륜 구동중 휠 슬립(wheel slip)과 허용 슬립(slip)을 비교하는 단계와;
    (b) 상기 (a)단계에서의 비교결과 상기 휠 슬립(wheel slip)이 허용 슬립(slip)보다 클 경우 최대 듀티로 제어하는 단계와;
    (c) 상기 (b)단계에서의 최대 듀티로 제어후 휠 슬립(wheel slip)과 허용 슬립(slip)을 비교하는 단계와;
    (d) 상기 (c)단계에서의 비교결과 휠 슬립(wheel slip)이 허용 슬립(slip)보다 클 경우 상기 휠 슬립(wheel slip)이 허용 슬립(slip)보다 큰 시간과 최대 허용 시간을 비교하는 단계와;
    (e) 상기 (d)단계에서의 비교결과 휠 슬립(wheel slip)이 허용 슬립(slip)보다 큰 시간이 최대 허용 시간보다 클 경우 경고등을 온시키고 안전 모드 듀티로 제어하는 단계와;
    (f) 상기 (e)단계에서 안전 모드 듀티로 제어시 안전 모드 해제 시간과 안전 모드 시간을 비교하는 단계와;
    (g) 상기 (f)단계에서의 비교결과 안전 모드 해제 시간이 안전 모드 시간보다 클 경우 경고등을 오프시키고 안전 모드 해제 듀티로 제어한 후 정상 모드로 복귀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4륜 구동 차량의 안전모드 제어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상기 (a)단계에서의 비교결과 휠 슬립(wheel slip)이 허용 슬립(slip)보다 작을 경우 정상 모드로 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륜 구동 차량의 안전모드 제어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는 상기 (c)단계에서의 비교결과 휠 슬립(wheel slip)이 허용 슬립(slip)보다 작을 경우 현재 듀티로 제어한 후 상기 (a) 내지 (c)단계를 반복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륜 구동 차량의 안전모드 제어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e)단계는 상기 (d)단계에서의 비교결과 휠 슬립(wheel slip)이 허용 슬립(slip)보다 큰 시간이 최대 허용 시간보다 작을 경우 상기 (b) 및 (d)단계를 반복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륜 구동 차량의 안전모드 제어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g)단계는 상기 (f)단계에서의 비교결과 안전 모드 해제 시간이 안전모드 시간보다 작을 경우 상기 (e) 및 (f)단계를 반복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륜 구동 차량의 안전모드 제어방법.
KR10-2002-0054665A 2002-09-10 2002-09-10 4륜 구동 차량의 안전모드 제어방법 KR1005148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4665A KR100514832B1 (ko) 2002-09-10 2002-09-10 4륜 구동 차량의 안전모드 제어방법
JP2002378765A JP2004099010A (ja) 2002-09-10 2002-12-26 4輪駆動車の安全モード制御方法
US10/465,904 US6853901B2 (en) 2002-09-10 2003-06-18 Safety mode control method for a four wheel drive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4665A KR100514832B1 (ko) 2002-09-10 2002-09-10 4륜 구동 차량의 안전모드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3049A true KR20040023049A (ko) 2004-03-18
KR100514832B1 KR100514832B1 (ko) 2005-09-14

Family

ID=31987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4665A KR100514832B1 (ko) 2002-09-10 2002-09-10 4륜 구동 차량의 안전모드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853901B2 (ko)
JP (1) JP2004099010A (ko)
KR (1) KR1005148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7606B1 (ko) * 2004-11-24 2011-07-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자제어식 4륜 구동 차량에서 수동 변속기의 전자기클러치 구동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4832B1 (ko) * 2002-09-10 2005-09-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4륜 구동 차량의 안전모드 제어방법
US7634342B2 (en) * 2005-03-18 2009-12-15 Honda Motor Co., Ltd. Method for deploying a torque reduction and torque limitation command through per wheel torque control of a controllable 4-wheel-drive system
US10137775B2 (en) * 2016-10-21 2018-11-2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all-wheel drive control system
US10300918B2 (en) 2016-11-23 2019-05-2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traction and all-wheel drive control system
KR20240037675A (ko) * 2022-09-15 2024-03-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디스커넥터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52427A (ja) * 1984-08-17 1986-03-15 Mitsubishi Motors Corp スリップ式クラッチ装置の制御方法
JP2517911B2 (ja) * 1986-06-10 1996-07-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四輪駆動装置の制御方法
US4867287A (en) * 1986-06-20 1989-09-19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Control method for magnetic powder clutch
JPH0433466Y2 (ko) * 1986-07-04 1992-08-11
JPS6331826A (ja) * 1986-07-24 1988-02-10 Toyota Motor Corp 四輪駆動装置の制御方法
JPH0437786Y2 (ko) * 1986-12-26 1992-09-04
JPH0437785Y2 (ko) * 1986-12-26 1992-09-04
US4937750A (en) * 1987-12-23 1990-06-26 Dana Corporation Electronic control for vehicle four wheel drive system
US5247443A (en) * 1987-12-23 1993-09-21 Dana Corporation Electronic control for vehicle four wheel drive system
JP2541607B2 (ja) * 1988-01-29 1996-10-09 日産自動車株式会社 四輪駆動車の駆動力配分制御装置
US4989686A (en) * 1988-07-07 1991-02-05 Borg-Warner Automotive, Inc. System for controlling torque transmission in a four wheel drive vehicle
US5016724A (en) * 1989-08-08 1991-05-21 Twin Disc, Incorporated Inter-axle differential having a friction-type biasing clutch and wheel slip sensing control means therefor
JPH03118230A (ja) * 1989-09-29 1991-05-20 Fuji Heavy Ind Ltd 4輪駆動車の不等トルク配分制御装置
JP3079857B2 (ja) * 1993-10-18 2000-08-2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輪スリップ制御装置
US5487596A (en) * 1994-09-09 1996-01-30 Kelsey-Hayes Company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rear wheel anti-lock brake control on four-wheel drive vehicles braking on high mu surfaces
JP3617680B2 (ja) * 1995-01-31 2005-02-09 富士重工業株式会社 4輪駆動車のトラクション制御装置
JP3653163B2 (ja) * 1997-06-02 2005-05-25 三菱電機株式会社 アンチスキッドブレーキ制御装置
US5979584A (en) * 1997-07-25 1999-11-09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Four-wheel drive transfer case controller
JPH1159215A (ja) * 1997-08-25 1999-03-02 Iseki & Co Ltd 移動車両の走行クラッチ制御装置
JP2001105919A (ja) * 1999-10-08 2001-04-17 Toyota Motor Corp 前後輪駆動車両の制御装置
US6568256B1 (en) * 2000-08-10 2003-05-2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automatic four-wheel drive transfer case which prevents excessive slippage
JP4227723B2 (ja) * 2000-08-25 2009-02-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4輪駆動電気自動車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3575429B2 (ja) * 2000-09-19 2004-10-13 日産自動車株式会社 4輪駆動車の前後輪トルク配分制御装置
KR100514832B1 (ko) * 2002-09-10 2005-09-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4륜 구동 차량의 안전모드 제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7606B1 (ko) * 2004-11-24 2011-07-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자제어식 4륜 구동 차량에서 수동 변속기의 전자기클러치 구동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40049332A1 (en) 2004-03-11
KR100514832B1 (ko) 2005-09-14
JP2004099010A (ja) 2004-04-02
US6853901B2 (en) 2005-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95891B2 (en) Engine torque truncation method for a four-wheel drive vehicle
JP3956700B2 (ja) 車両の駆動系の制御装置
US20060160659A1 (en) Hill hold for a vehicle
JP3609713B2 (ja) 車両用発進クラッチの制御装置
KR20060046508A (ko) 차량용 구동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514832B1 (ko) 4륜 구동 차량의 안전모드 제어방법
KR20120115266A (ko) 자동 마찰 클러치의 개회로 제어 방법
US20150369361A1 (en) Vehicle control device
JP2003166634A (ja) 産業車両の走行制御装置
JP5293106B2 (ja) 電動モータ式四輪駆動車両の四輪駆動切り替え制御装置
US10082205B2 (en) Abnormality determining apparatus for vehicle hydraulic circuit
CN110758396A (zh) 基于双离合变速器的车辆低速控制方法、系统、存储介质及车辆
JP7070716B2 (ja) 車両用駆動装置及びハイブリッド車両
CN107923289B (zh) 用于减少来自内燃机的排放的方法和系统
JP5727960B2 (ja) エンジンの出力制御装置
JP4852613B2 (ja) クラッチ制御方法および制御装置
JP2003327000A (ja) 4輪駆動車の前後輪トルク配分制御装置
KR101816322B1 (ko) 하이브리드 차량의 후방 밀림 방지를 위한 제어 방법
JP6369984B2 (ja) クラッチ制御方法及び自動クラッチ制御装置
KR100802734B1 (ko) 하이브리드 차량의 파워트레인 보호방법
JP2008199851A (ja) Dcモータ接地異常判定装置
KR100837902B1 (ko) 자동변속기 오일의 온도 조절을 위한 하이브리드 차량의엔진클러치 제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어방법
KR20140078442A (ko) 자동변속기의 댐퍼클러치 제어장치 및 방법
CN113059999B (zh) 一种电动汽车电机堵转保护方法
JPH10166965A (ja) 車両用電子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3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