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2070A - 봉형상의 심재를 가지는 필기구 및 그의 심재 형성 방법 - Google Patents

봉형상의 심재를 가지는 필기구 및 그의 심재 형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2070A
KR20040022070A KR1020020053902A KR20020053902A KR20040022070A KR 20040022070 A KR20040022070 A KR 20040022070A KR 1020020053902 A KR1020020053902 A KR 1020020053902A KR 20020053902 A KR20020053902 A KR 20020053902A KR 20040022070 A KR20040022070 A KR 200400220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support shaft
core
core material
rear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39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55412B1 (ko
Inventor
이은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모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모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모스
Priority to KR10-2002-00539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5412B1/ko
Priority to US10/329,492 priority patent/US6629797B1/en
Priority to CNA031006183A priority patent/CN1480349A/zh
Priority to JP2003009610A priority patent/JP2004097773A/ja
Priority to AT03004453T priority patent/ATE317770T1/de
Priority to EP03004453A priority patent/EP1396353B1/en
Priority to DE60303524T priority patent/DE60303524T2/de
Priority to PL03360240A priority patent/PL360240A1/xx
Publication of KR200400220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20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54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54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1/00Propelling pencils
    • B43K21/02Writing-core feed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1/00Propelling pencils
    • B43K21/02Writing-core feeding mechanisms
    • B43K21/08Writing-core feeding mechanisms with the writing-cores fed by screw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02Casings wherein movement of the lipstick or like solid is a sliding movement
    • A45D40/04Casings wherein movement of the lipstick or like solid is a sliding movement effected by a screw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16Refill sticks; Moulding devices for producing sticks

Landscapes

  • Pens And Brushes (AREA)
  • Mechanical Pencils And Projecting And Retracting Systems Therefor, And Multi-System Writing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봉형상의 심재를 컨테이너로부터 진출 및 후퇴시킬 수 있도록 된 필기구 및 그의 심재 형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필기구는 지지축(30)의 축심에 컨테이너(10)의 내부와 통하는 중심공(42)을 관통형성하고, 조절부재(70)는 후방을 개방시켜 상기 지지축(30)의 중심공(42)이 드러나도록 하며, 캡(90)의 내측단부면에는 주조될 심재(50)의 팁부(52) 형상에 대응한 요홈(92)을 형성하고, 상기 컨테이너(10), 지지축(30), 조절부재(70), 및 캡(90)을 모두 조립한 상태에서, 상기 캡(90)이 아래를 향함과 아울러 조절부재(70) 및 지지축(30)의 후방이 위를 향하도록 세운 다음, 상기 조절부재(70)의 후방을 통하여 상기 지지축(30)의 중심공(42)으로 주입 노즐(150)을 진입시키며, 주입노즐(150)의 단부를 상기 캡(90)의 내측단부면에 형성된 요홈(92)에 근접시킨 상태에서 상기 지지축(30)의 지지부(34)에 이르기까지 서서히 상승시키면서 용융상태의 원료를 주입한 후 응고시켜 심재를 주조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필기구에 의하면, 컨테이너의 주요 구성품을 모두 조립시킨 상태에서 용융상태의 원료를 주입할 수 있음으로써 제조 공정을 간소화하고 공정 자동화를 쉽게 구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봉형상의 심재를 가지는 필기구 및 그의 심재 형성 방법{Writing impelement having a bar type lead element and molding method of the lead element therein}
본 발명은 봉형상의 심재를 컨테이너로부터 진출 및 후퇴시킬 수 있도록 된 필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제조 공정을 단순화 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추어 생산 자동화의 구현이 가능하고, 심재의 팁부를 매끄럽고 완전한 형체로 성형가능하며, 심재의 진출 및 후퇴시 심재 찌꺼기가 발생치 않도록 한 봉형상의 심재를 가지는 필기구 및 그의 심재 형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봉형상의 심재를 갖는 필기구는, 사용할 때에는 봉형상의 심재를 컨테이너 밖으로 진출시키고, 사용 후 보관할 때에는 컨테이너 안으로 후퇴시키도록 되어 있다.
봉형상의 심재를 진퇴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종래의 필기구들의 다양한 예들이, 일본 특개평08-322638호 공보(공개일: 1996.12.10.), 대한민국 특허 제79702호 공보(출원번호: 제1992-0003043호, 출원일 : 1992.02.27),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01-0104445호 공보(공개일: 2001.11.26., 출원번호: 제2000-0022746호, 출원일 2000.04.28.) 및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55932호 공보(출원번호 제2001-0025396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한 공보들에 개시된 필기구는 모두 심재의 진출 및 후퇴를 위해, 컨테이너 내부에 심재 지지수단을 구비하고, 컨테이너의 일측에 상기 심재 지지수단과 나사결합되는 조절수단을 구비하며, 심재 지지수단의 직선운동을 안내하는 직선운동안내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조절수단에 나사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조절수단을 회전시키면 지지수단이 추력을 받는다. 이때 직선운동 안내수단은 지지수단의 회전을 방지하고 축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한다. 이 때문에 추력을 받은 지지수단은 직선운동 안내수단에 의하여 컨테이너 내부에서 축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지지수단에 결합되어 있는 봉형상의 심재가 컨테이너로부터 진출되거나 컨테이너 안으로 후퇴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공보들 중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01-0104445호 및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55932호에 개시된 봉형상 심재는 고온 용융상태의 원료를 상온에서 응고시켜 형성한다. 상기 심재는 콘테이너 내부로 노즐을 진입시켜서 용융상태의 원료를 주입한 후 방치하면 콘테이너 내부 형상대로 응고된다.
이러한 심재 형성 방법에 관하여 상기 공보들에서 제시한 바에 의하면, 조절수단에 지지수단을 조립하여 컨테이너에 결합시키고, 컨테이너를 입구쪽이 위를 향하도록 세운 다음, 컨테이너의 위쪽 즉, 컨테이너의 전방으로부터 내부로 노즐을 진입시켜 용융상태의 원료를 주입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방법에 의하면, 용융상태의 원료가 응고되면 심재의 상단면이 평탄하게 형성되게 된다. 심재의 팁부가 평탄하게 되면 원하는 대로 작도하기거 어려워진다. 그렇기 때문에 응고가 끝난 후 심재의 팁부를 둥글게 깍아야 하는 공정이 추가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제조 공정이 한 단계 더 추가되어야 하고, 제조 공정을 자동화하기도 매우 어렵게 된다.
한편, 상기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01-0104445호 및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55932호 공보에는 컨테이너의 전단에 캡을 결합시키고, 컨테이너를 캡이 아래로 향하도록 세운 다음, 컨테이너의 후단측으로부터 내부에 용융상태의 원료를 주입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캡의 내면 형상에 따라 심재의 팁부 모양이 결정되므로 캡의 내면 형상을 미리 둥글게 형성함으로써 응고후 심재의 팁부를 깍는 공정을 배제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공보들에 개시된 방법들은 원료를 주입한 후에라야 비로소 지지수단과 조절수단을 컨테이너에 조립시킬 수밖에 없다는 구조적 결점을 가지고 있다. 지지수단과 조절수단을 먼저 조립하면 노즐을 진입시킬 수가 없기 때문이다.
직선운동 안내수단은 지지수단의 외경면에 형성된 축방향 요홈과, 이에 대응하여 컨테이너의 내경면에 형성된 축방향 돌기로 이루어진다. 지지수단과 조절수단을 컨테이너에 결합시킬 때에는 지지수단의 축방향 요홈을 컨테이너의 축방향 돌기에 신중을 기하여 맞추어야 한다. 이러한 작업은 자동화시키기 어렵기 때문에 수작업에 의존할 수 밖에 없게 된다.
그렇지만, 지지수단을 컨테이너에 조립하는 작업은 용융상태의 원료를 주입한 즉시 이루어져야 한다. 지지수단의 조립이 늦어지면 원료의 응고는 이미 시작되었기 때문에 원료와 지지수단과의 결합이 불완전하게 이루어짐으로써 심재를 지지하는 힘이 저하될 수 밖에 없다. 필기구 사용중, 심재가 이동할 때에는 심재 외경과 컨테이너 내경 사이에 마찰이 발생한다. 따라서 심재의 지지력이 약하면 심재를 후퇴시킬때 상기한 마찰력에 의해 심재가 지지수단으로부터 쉽게 이탈되는 문제가발생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지지수단을 컨테이너에 조립하는 작업이 수작업으로 이루어지게 되면 심재의 이탈 문제를 해결하기 어렵게 된다. 본래, 조립작업이란 작업조건이나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서 차이가 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축방향 요홈과 축방향 돌기가 잘못 제조된 것을 사용할 때에는 조립시간이 너무 지연되어 적정 조립 타이밍을 놓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일본 특개평08-322638호 공보,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1-0104445호 공보, 및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55932호 공보(출원번호: 2001-0025396)에서는, 심재의 이동을 안내하는 직선운동 안내수단이 축방향 돌기와 축방향 요홈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심재의 이동시 심재 찌꺼기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상기 공보들에 개시된 필기구에서는, 컨테이너의 내경에는 축방향 돌기가 형성되고, 지지수단의 지지부 외경 및 심재의 외경에는 상기 축방향 돌기와 끼워맞추어지는 축방향 요홈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수단은 조절수단에 나사결합되어 있으므로, 조절수단을 회전시키면 지지수단은 나선각에 의하여 추력과 함께 회전력을 받게 된다. 지지수단에 작용하는 회전력은 심재를 진출시킬 때와 후퇴시킬 때 반대방향으로 작용한다.
여기서, 지지수단의 지지부에 형성된 축방향 요홈과 컨테이너에 형성된 축방향 돌기는 일정한 간극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심재가 진출 및 후퇴할 때에는 상기한 간극에 상당하는 만큼 심재의 축방향 요홈이 컨테이너의 축방향 돌기에 의하여 일측 그리고 반대측으로 과도한 압력을 받게 된다. 이러한 현상에 따라 심재의 요홈이 눌려 뭉그러지거나 또는 깍이게 됨으로써 찌꺼기가 발생하는 것이다. 나아가, 상기 발명들에서는 심재의 외경부에 축방향 요홈(또는 돌기)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심재를 진출시키면 요홈이 그대로 노출되어 미관을 해치게 되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컨테이너의 주요 구성품을 모두 조립시킨 상태에서 용융상태의 원료를 주입함과 아울러 주입되는 용융상태의 원료가 캡의 내측단부로부터 충진되도록 함으로써, 제조 공정을 간소화하고 공정 자동화를 쉽게 구현할 수 있는 봉형상의 심재를 가지는 필기구 및 심재 형성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필기구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필기구의 분리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필기구의 전체 조립 단면도
도 4는 도 3의 A-A선단면도
도 5는 도 3에서 캡을 제거한 상태에서 심재를 일정량 진출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a는 컨테이너에 용융상태의 원료를 주입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b는 컨테이너에 용융상태의 원료가 일정량 주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c는 컨테이너에 용융상태의 원료를 주입한 후 플러그를 조립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d는 도 6c에서 캡을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컨테이너 12 : 제1내경부
14 : 제2내경부16 : 제3내경부
18 : 평탄면20 : 환형돌기
30 : 지지축32 : 축부
34 : 지지부36 : 나선홈
38 : 수용홈40 : 구멍
42 : 중심공50 : 심재
52 : 팁부54 : 평탄면
70 : 조절부재72 : 제1원통부
73 : 확경부74 : 제2원통부
76 : 제3원통부78 : 제4원통부
80 : 환형돌기82 : 절개홈
84 : 탄성편86 : 나선돌기
88 : 환형돌기90 : 캡
92 : 요홈94 : 환형요홈
96 : 환형엣지98 : 환형돌기
110 : 플러그112 : 외경
114 : 돌출부150 : 주입 노즐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봉형상의 심재를 가지는 필기구는, 용융상태의 원료가 응고되어 형성되는 봉 형상의 심재와, 양단이 개방된 중공형의 컨테이너와, 상기 컨테이너의 내부에 축방향으로 직선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그 내부에는 중심공이 관통 형성된 중공형의 지지축과, 상기 컨테이너의 후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그 회전에 따라 상기 지지축을 상기 컨테이너의 내부에서 직선 이동시키며, 상기 중심공과 연통되도록 양단이 개방된 중공형으로 형성된 조절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심재는 용융상태로 상기 조절부재의 후단으로부터 상기 중심공을 통하여 상기 컨테이너의 내부에 주입된 후 응고되어 형성되며, 그 후단부가 상기 지지축의 전단부에 지지됨으로써 상기 지지축의 이동에 연동하여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축은 상기 조절부재와 나사 결합되어, 상기 조절부재의 회전에 따라 상기 컨테이너의 내부에서 축방향으로 직선 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지지축은 외주면에 나선홈이 형성된 축부와, 상기 축부의 전단에 결합되며 그 외주면은 상기 컨테이너의 내주면과 접촉한 상태에서 회전되지 않고 직선이동만이 가능한 형상을 갖는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조절부재의 전단에는 상기 나선홈에 삽입되는 나선돌기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조절부재가 회전하면 상기 나선돌기가 상기 나선홈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상기 지지축은 상기 컨테이너의 내부에서 회전되지 않고 축방향으로 직선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부의 외주면과, 상기 컨테이너의 내주면은 모두 다각형의 단면 형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지지부는 상기 컨테이너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축방향의 이동만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심재의 후단부가 수납되는 수용홈과, 상기 수용홈과 연통되어 그 내부에 심재의 원료가 채워지는 구멍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필기구는, 후단은 개방되고 전단은 막혀 있는 중공형으로 형성되며 그 내부에는 상기 컨테이너가 수용되는 캡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캡의 전단부 내측에는, 상기 심재의 팁부가 소정의 형상을 갖도록 그에대응하는 형상의 요홈이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필기구는, 상기 조절부재의 후단을 밀폐하는 플러그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플러그의 중앙부에는 상기 지지축의 중심공에 삽입되는 돌출부가 돌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심재의 형성방법은, 양단이 개방된 중공형의 컨테이너의 후단부에, 양단이 개방된 중공형의 조절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조립하는 단계와, 내부에 중심공이 관통 형성된 중공형의 지지축을 상기 컨테이너의 전방으로부터 상기 컨테이너의 내부에 직선이동 가능하게 삽입하는 단계와, 상기 조절부재의 회전에 따라 상기 지지축이 상기 컨테이너의 내부에서 직선이동 할 수 있도록, 상기 조절부재와 상기 지지축을 나사 결합하는 단계와, 상기 컨테이너의 전단부를 캡을 씌워 밀봉하는 단계와, 심재 원료의 공급을 위한 노즐을 상기 조절부재의 후방으로부터 상기 지지축의 중심공을 통하여 상기 컨테이너에 삽입시키는 단계와, 상기 노즐을 통하여 용융상태의 상기 심재 원료를 상기 컨테이너의 내부에 주입하는 단계와, 상기 컨테이너의 내부에 주입된 심재 원료를 응고시킴으로써, 봉 형상의 심재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심재는, 측면 형상이 상기 컨테이너의 내부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전단부의 형상은 상기 캡의 내측 단부면에 형성된 요홈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후단부는 상기 지지축의 전단부에 고정되게 된다.
한편, 상기 심재 원료를 상기 컨테이너의 내부에 주입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상기 컨테이너의 전단부에 근접하게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축의전단부까지 후퇴하면서 용융상태의 상기 심재 원료를 상기 컨테이너의 내부에 주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심재 원료의 주입이 종료된 후에는, 상기 조절부재의 후단을 플러그로 밀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필기구와 그의 심재 형성방법에 의하면, 컨테이너에 지지축, 조절부재 및 캡을 모두 조립시킨 상태에서, 용융상태의 원료를 주입할 수 있음으로써 제조 공정을 간소화하고 공정 자동화를 쉽게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캡의 내측단부면에 심재의 팁부 형상에 따른 요홈을 형성하고, 용융상태의 원료를 상기 요홈으로부터 주입시킴으로써, 전술한 제조 공정의 간소화와 공정 자동화의 구현이 더욱 쉽게 달성되며, 특히 심재의 팁부가 캡의 요홈 형상에 따라 매끄럽고 완전한 형체로 주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필기구에서는, 지지축과 심재가 컨테이너의 내면 형상과 대응하는 다각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며 컨테이너의 내부에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심재의 진출 및 후퇴시 심재의 변형과 찌꺼기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1 및 도 2는 각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필기구의 구조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및 분리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서 심재(50)의 팁부(52)가 가리키는 방향을 전방, 그 반대방향을 후방으로 설정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기구는 크게 컨테이너(10), 지지축(30), 심재(50), 조절부재(70), 캡(90), 및 플러그(110)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컨테이너(10), 지지축(30), 조절부재(70), 캡(90), 및 플러그(110)는 모두 플라스틱재로 구성한다.
상기 컨테이너(10)는 양단이 개방된 원통형으로 이루어진다. 컨테이너(10)의 내부는 그의 전단으로부터 후단까지 차례로 형성된 제1내경부(12), 제2내경부(14) 및 제3내경부(16)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내경부(12)는 표면에 요철이 없는 평활한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 내경부(14)는 다각형의 단면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내경부(12)로부터 시작하여 일정길이 만큼 형성된다. 다각형의 단면을 가지는 제2내경부(14)는 심재(50)의 회전을 저지함과 동시에 심재(50)의 축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내경부(12)는 6각 내지 8각형의 단면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6각 내지 8각형은 원통에 가깝고 미관도 좋을 뿐만 아니라 심재(50)의 축방향 이동도 적절히 안내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8각형으로 설정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제2내경부(14)의 다각형 단면은 제1내경부(12)의 직경을 외접원으로 하여 형성된다. 따라서, 제2내경부(14)의 다각형 단면에서 각 꼭지점이 이루는 원의 직경은 제1내경부(12)의 직경과 일치하고, 각 평탄면(18)이 이루는 내접원은 제1내경부(12)의 직경보다 작게 된다.
상기 제3내경부(16)는 상기 제2내경부(14)로부터 컨테이너(10)의 후단부에 이르기까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내경부(14)와 제3내경부(16)가 만나는 부분에는 환형돌기(20)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축(30)은, 축부(32) 및 축부(32)로부터 전방측으로 연장형성되는 지지부(34)로 이루어진다. 상기 축부(32)의 외주에는 나선홈(36)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34)는 상기 축부(32)보다 큰 직경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지지부(34)의 전단부 외주면은 상기 컨테이너(10)에서 다각형 단면을 이루는 제2내경부(14)의 표면형상에 대응하여 다각형의 단면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지지축(30)의 지지부(34)는 컨테이너(10)의 제2내경부(14)에 다각형 결합으로 끼워맞춰져서 회전은 못하고 축방향으로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지지부(34)의 전단으로부터는 수용홈(38)이 형성된다. 이 수용홈(38)에는 심재(50)가 결합된다. 또한, 지지부의 외주면에는 수용홈(38)과 연통되는 구멍(40)이 방사상으로 관통 형성된다. 상기 구멍(40)의 갯수는 심재(50)의 지지력에 따라 2~4개가 적당하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2개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심재(50)는, 바람직하기로는, 용융상태의 원료를 수용홈(38)에 주입하고 응고시켜 형성한다. 이 경우, 심재(50)는 상기 구멍(40) 내부에도 채워진 상태로 응고된다. 따라서 심재(50)는 상기 구멍(40)에 의하여 지지되므로 심재(50)가 축방향으로 이동할때 수용홈(38)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에서 특히, 상기 지지축(30)의 축중심에는 중심공(42)이 축부(32)와 지지부(34)를 완전히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중심공(42)은 심재(50)를 주입성형하기 위한 후술할 노즐의 진입로로서 제공된다. 상기 노즐은 중심공(42)의 후단으로부터 진입되어 수용홈(38)을 지나쳐 컨테이너(10) 내측으로 들어가게 된다.
상기 심재(50)는 그 선단에 절두원추형의 팁부(52)가 형성된다.
한편, 심재(50)는 컨테이너(10)의 내부에 용융상태의 원료를 주입하여 형성되므로 그 형태는 자연적으로 컨테이너(10)의 내부 형상에 의하여 정하여진다. 따라서, 심재(50)의 몸통은 상기 컨테이너(10)의 제2내경부(14)가 이루는 다각형의 단면에 대응하는 다각형 단면을 가지게 되며, 심재(50)의 몸통 외주에는 컨테이너(10) 제2내경부(14)의 평탄면(18)에 일치하는 평탄면(54)이 형성된다.
상기 조절부재(70)는 양단이 개방된 중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컨테이너(10)의 후단에 조립된다. 조절부재(70)는, 그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회전을 위한 손잡이로서 제공되는 제1원통부(72), 이 제1원통부(72)로부터 소직경으로 연장되는 제2원통부(74), 이 제2원통부(74)으로부터 소직경으로 연장되며 상기 컨테이너(10)의 후단 내측에 회전가능한 상태로 삽입되는 제3원통부(76) 및 이 제3원통부(76)로부터 소직경으로 연장되는 제4원통부(78)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4원통부(78)의 선단 외주에는 환형돌기(80)가 형성된다. 상기 환형돌기(80)는 조절부재(70)를 컨테이너(10) 후단에 조립할때 컨테이너(10)의 환형돌기(20)에 걸리게 되어 조절부재(70)가 컨테이너(10)로부터 이탈되지 않게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4원통부(78)에는 복수의 축방향 절개홈(82)이 형성된다. 제4원통부(78)는 상기 절개홈(82)에 의하여 복수의 탄성편(84)으로 나뉘어진다. 이 복수의 탄성편(84)은 반경방향 내외측으로의 탄성을 보유하게 됨으로써 탄성편(84)의 환형돌기(80)가 컨테이너(10)의 환형돌기(20)를 탄성적으로 쉽게 통과할 수 있고, 통과한 후에는 환형돌기(20)에 탄성적으로 잘 걸릴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조절부재(70)의 제4원통부(78)의 내주면에는 상기 지지축(30)의 나선홈(36)에 나사결합되는 나선돌기(86)가 형성된다. 상기 나선돌기(86)는 원주의 1/4 ~ 1 바퀴만 형성한다. 나선돌기(86)를 길게 형성하는 것은 제조가 어렵고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제2원통부(74)의 외주면에는 환형돌기(88)가 형성된다. 이 환형돌기(88)에는 후술하는 캡(90)의 환형돌기(98)이 결합된다.
또한, 상기 조절부재(70)의 제1원통부(72)의 후단 내주면에는 확경부(73)가 일정깊이로 형성된다. 이 확경부(73)에는 후술하는 플러그(110)가 끼워진다.
상기 캡(90)은 상기 컨테이너(10)의 전방으로부터 씌워져서 심재(50)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캡(90)의 전단부 내측에는 심재(50)의 팁부(52) 형상에 대응하는 요홈(92)이 형성된다. 이 요홈(92)은 심재(50)의 팁부(52)를 주조하기 위한 몰드 캐비티(mold cavity)로서 제공된다. 또한, 상기 요홈(92)의 둘레에는 상기 컨테이너(10)의 선단이 끼워맞춤되기 위한 환형요홈(94)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환형요홈(94)과 접하는 요홈(92)의 둘레에는 환형엣지(96)가 형성된다. 이 환형엣지(96)는 상기 컨테이너(10)의 제1내경부(12)에 밀착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캡(90)의 요홈(92)은 절두 원추형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요홈(92)의 형상은 심재(50)의 팁부(52) 형상을 결정짓는다. 상기 요홈(92)은 도시된 바와는 다르게 반구형 또는 반타원형 등 여러가지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캡(90)의 후단부 내주면에는 환형돌기(98)가 형성된다. 이 환형돌기(98)는 상기 조절부재(70)의 제2원통부(74)에 형성된 환형돌기(88)에 결합된다. 따라서, 캡(90)이 씌워질때에는 그 환형돌기(98)가 조절부재(70)의 환형돌기(88)에 걸려결합된다.
상기 플러그(110)는 상기 조절부재(70)의 후단에 압입되어 조절부재(70)를 막음한다. 상기 플러그(110)의 외경(112)은 상기 조절부재(70)의 확경부(73)에 억지적으로 끼워맞춰진다. 상기 플러그(110)의 중심에는 상기 지지축(30)의 중심공(42)에 삽입되기 위한 돌출부(114)가 형성된다. 이러한 플러그(110)는 컨테이너(10) 내부에 용융상태의 심재원료를 주입한 직후 조립된다. 이때 플러그(110)의 돌출부(114)는 지지축(30)의 중심공(42)을 밀봉시키고, 외경(112)은 조절부재(70)의 후단을 막음한다. 그러면, 컨테이너(10) 내부에 주입된 용융상태의 원료에 외기가 접촉하는 것이 방지되므로 원료가 응고할 때 심재(50)의 표면과 내부간의 온도차가 줄어들어 냉각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다.
첨부도면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필기구의 조립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필기구의 조립 순서를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컨테이너(10)의 후단에 조절부재(70)를 결합한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부재(70)의 제3원통부(76)는 컨테이너(10)의 후단부에 약간의 유격을 두고 삽입되며, 조절부재(70)의 선단측 환형돌기(80)는 컨테이너(10)의 환형돌기(20)에 걸려 결합됨으로써, 상기 조절부재(70)는 컨테이너(10)의 후단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결합된다. 한편,이때 조절부재(70)의 제2원통부(74)는, 캡(90)과의 결합을 위하여, 컨테이너(10)의 내부에 삽입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컨테이너(10)와 조절부재(70)가 결합된 상태에서, 지지축(30)의 축부(32)를 상기 컨테이너(10)의 전방 내측으로 삽입시킨다. 상기 컨테이너(10)의 제2내경부(12)는 다각형의 단면으로 되어 있고 지지축(30)의 지지부(34)도 상기 제2내경부(12)에 대응하여 다격형의 단면으로 되어 있으므로, 제2내경부(12)와 지지부(34)의 단면을 일치시키면, 지지축(30)은 컨테이너(10)의 내부로 자연스럽게 삽입된다.
한편, 지지축(30)의 축부(32)가 컨테이너(10)의 후단부에 도달하면, 조절부재(70)를 회전시키면서, 지지축(30)의 축부(32)에 형성된 나선홈(36)과 조절부재(70)의 제4원통부(78)에 형성된 나선돌기(86)를 결합시킨다. 이에 의하여, 지지축(30)의 축부(32)와 조절부재(70)가 나사 결합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축(30)은, 그의 축부(32)는 상기 조절부재(70)에 나사 결합되는 데 반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34)는 상기 컨테이너(10)와 다각형 단면으로 결합되므로, 컨테이너(10)의 내부에서 회전하지는 못하고 축방향으로 직선으로만 이동할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조절부재(70)를 회전시키면 조절부재(70)의 나선돌기(86)는 지지축(30)의 나선홈(36)을 따라 이동하게 되므로, 반사적으로 지지축(30)은 컨테이너(10)의 내부에서 축방향으로 직선 이동하게 된다.
한편, 컨테이너(10)의 내부에서 심재(50)의 형성이 완료되면, 심재(50)는 그후단이 상기 지지축(30)의 전단부에 의해 지지되며, 그 외주면은 컨테이너(10)의 내면과 다각형 단면으로 결합되게 된다. 따라서, 조절부재(70)의 회전에 의하여, 심재(50)도 지지축(30)과 함께 컨테이너(10)의 내부에서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컨테이너(10)의 전방으로부터는 캡(90)이 씌워진다. 캡(90)은 그의 후단 내측에 형성된 환형돌기(98)가 상기 조절부재(70)의 제2원통부(74)에 형성된 환형돌기(88)에 걸림으로써, 조절부재(70)와 결합되게 된다.
상기 캡(90)이 씌워지는 과정에서, 상기 컨테이너(10)의 전단은 캡(90)의 내측단부면에 형성된 환형요홈(94)에 삽입된다. 그러면, 캡(90)의 요홈(92)과 상기 환형요홈(94)사이에 형성된 환형엣지(96)가 상기 컨테이너(10)의 제1내경부(12) 표면이 일치하게 된다. 따라서 컨테이너(10)의 내경과 캡(90)의 요홈(92)이 매끄럽게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축(30)에는 중심공(42)이 관통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10)의 내부와 완전히 연통하고 있는 한편, 조절부재(70)의 후방측도 당연히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따라서, 컨테이너(10)의 내부는 지지축(30)의 중심공(42)을 통하여 외부와 연통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필기구의 후단측으로부터 상기 지지축(30)의 중심공(42)을 통하여 컨테이너(10) 내부로 후술할 주입 노즐을 진입시켜 용융상태의 심재 원료를 주입하고 응고시키는 방식으로 심재(50)를 주조할 수 있다. 상기 심재(50)의 팁부(52)는 상기 캡(90)의 내측단부면에 형성된 요홈(92)의 형상에 따라 주조되기 때문에 매끄럽고 완벽한 형체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심재(50)의 형성이 완료된 다음에는, 조절부재(70)의 후단에 플러그(110)를 결합시킨다. 상기 플러그(110)는 그 외경(112)이 상기 조절부재(70)의 확경부(73)에 압입된다. 이때 플러그(110)의 중앙 돌출부(114)는 상기 지지축(30)의 중심공(42)에 삽입되어 용용상태의 심재 원료에 외기가 작용하는 것을 방지한다.
첨부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필기구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예는 심재(50)가 컨테이너(10) 전방으로 진출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5에서는 캡(90)의 도시를 생략하였다.
먼저, 심재(50)를 진출시키기 위하여 컨테이너(10)를 잡고 조절부재(7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조절부재(70)의 나선돌기(86)가 지지축(30)의 나선홈(36)을 따라 회전한다.
이때, 상기 지지축(30)은 그의 지지부(34)가 상기 컨테이너(10)에 다각형 단면으로 결합되어 있으므로 회전은 할 수 없고 축방향으로만 이동할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따라서, 나선돌기(86)가 나선홈(36)을 따라 이동하는 힘은 지지축(30)을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려는 추력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조절부재(70)를 회전시킴에 따라 지지축(30)이 축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상기 심재(50)는 컨테이너(10)의 내부 형상에 따라 주조된 것이기 때문에 컨테이너(10)와 다각형 단면으로 결합하고 있다. 따라서 심재(50)는 상기 지지축(30)의 이동에 의하여 축방향으로 이동하여, 컨테이너(10)의 외부로 진출하게 된다.
한편, 필기구의 사용을 마치고 심재(50)를 컨테이너(10) 내부로 후퇴시키고자 할때는, 조절부재(70)를 상술한 진출조작시의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에 따른 후퇴동작은 전술한 진출동작과 기구적 작용은 동일하고, 진행 방향만 반대이다.
다만, 상기 심재(50)를 후퇴시키는 경우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작용을 주목할 수 있다. 지지축(30)의 지지부(34)에는 수용홈(38)이 형성되어 있고, 수용홈(38)에는 구멍(40)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수용홈(38)과 구멍(40)에는 모두 심재(50)가 채워져서 심재(50)가 지지부(34)에 견고하게 고정되게 된다. 상기 심재(50)가 축방향으로 이동할 때에는 심재(50)의 표면과 컨테이너(10)의 내면 사이에는 마찰이 발생하고, 이 마찰력은 심재(50)의 이동에 저항하는 힘으로 작용한다. 이러한 저항력은 심재(50)가 후퇴할때 심재(50)를 지지축(30)의 지지부(34)로부터 이탈시키려는 힘으로 작용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심재(50)가 지지부(34)의 구멍(40)에 채워진 구조는 매우 견고하기 때문에 심재(50)의 지지력이 강화되어 심재(50)의 이탈을 충분히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종래에는 컨테이너와 심재가 축방향 돌기와 축방향 요홈으로 결합되어 있는 불합리한 구조가 원인이 되어 심재의 진퇴시 심재가 심하게 뭉그러지거나 찌꺼기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심재(50)와 컨테이너(10)가 다각형의 단면으로 결합하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심재(50)를 컨테이너(10)로부터 진출시키거나 후퇴시키는 동작과정에서 심재(50)의 찌꺼기가 발생하지 않는다.
첨부도면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에 따른 필기구에 용융상태의 심재 원료를 주입하여 심재를 주조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도 6a 내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심재(50)를 주조함에 있어서는 필기구의 후방측이 위를 향하도록 세우고, 필기구의 후방측으로부터 주입 노즐(150)을 진입시키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심재(50)는 컨테이너(10)에 지지축(30), 조절부재(70) 및 캡(90)이 조립된 상태에서 주조된다. 즉, 플러그(110)만이 아직 조립되지 않은 상태에서 주조된다. 상기 컨테이너(10)에 지지축(30), 조절부재(70) 및 캡(90)이 조립된 상태에서는, 컨테이너(10)의 제1,2내경부(12,14), 지지축(30)의 지지부(34) 및 캡(90)의 요홈(92)이 이루는 내면 윤곽이 심재(50) 주조용 몰딩 캐비티(molding cavity)를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심재(50)는 상기 몰딩 캐비티의 내면 윤곽 형상대로 주조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지지축(30)에는 중심공(42)이 관통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10)의 내부와 완전히 연통하고 있다. 또한, 조절부재(70)도 양측 개방된 원통형으로 되어 있어 그의 후방측이 당연히 개방된 상태이다. 따라서, 심재(50) 주조를 위한 몰딩 캐비티는 지지축(30)을 통하여 외부와 연통된 상태가 되므로, 필기구의 후방측으로부터 주입 노즐(150)을 진입시켜 몰딩 캐비티에 심재 원료를 주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기구의 후단측으로부터 상기 지지축(30)의 중심공(42)을 통하여 상기 캐비티 내부로 주입 노즐(150)을 진입시킨다.
이후, 상기 주입 노즐(150)이 캡(90)의 요홈(92)까지 완전히 진입된 상태에서, 도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입 노즐(150)을 컨테이너(10)의 후방으로 서서히 빼내면서 용융상태의 심재 원료를 주입 노즐(150)을 통하여 몰딩 캐비티 내부에 주입한다.
그러면, 용융상태의 원료는 캡(90)의 요홈(92)부터 채워지기 시작한다. 용융상태의 원료는 캡(90)의 요홈(92)부터 서서히 채워지기 때문에 요홈(92)부분에 빈 공간 없이 완전히 채워질 수 있다. 따라서 원료의 중간에 기포발생이 적고, 특히 요홈(92) 부분에서의 냉각 변형이 적어 심재(50)의 팁부(52)를 매끈하고 완벽한 형체로 성형할 수 있는 것이다.
첨부도면 도 6c는 원료의 주입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용융상태의 원료를 컨테이너(10)를 지나 지지축(30)의 지지부(34)까지 채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축(30)의 지지부(34)에는 수용홈(38)이 형성되어 있고, 이 수용홈(38)의 양측에는 구멍(40)이 관통 형성되어 있으므로, 용융상태의 원료는 상기 수용홈(38) 및 구멍(40)에 모두 채워지게 된다.
원료의 주입이 끝나면, 조절부재(70)의 후단에 플러그(110)를 조립한다. 플러그(110)는 그 외경(112)이 상기 조절부재(70)의 확경부(73)에 압입된다. 이때 플러그(110)의 중앙 돌출부(114)는 상기 지지축(30)의 중심공(36)에 삽입되어 용용상태의 원료에 외기 온도가 작용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컨테이너(10)의 선단이캡(90)의 환형요홈(94)에 끼워 맞추어짐으로써, 필기구의 전방측에서도 몰딩 캐비티는 밀봉되게 된다. 따라서, 몰딩 캐비티 내에 주입된 원료가 균일하게 냉각되어 응고되므로 변형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과정을 통하여 주입된 원료의 응고가 끝난 후, 캡(90)을 분리하면, 첨부도면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심재(50)의 팁부(52)가 노출된다. 상기 심재(50)의 팁부(52)는 상기 캡(90)의 내측단부면에 형성된 요홈(92)의 형상대로 주조된 상태이기 때문에 표면이 매끄럽고 완벽한 형체를 이루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플러그(110)를 제외한 모든 부품 즉, 지지축(30), 조절부재(90) 및 캡(90)을 모두 조립한 다음에 원료의 주입이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축(30) 및 조절부재(90) 등은 용융상태의 원료를 주입한 후에는 조립하기 어려운 것이다. 종래에는 원료를 주입한 다음 캡을 조립하거나, 또는 원료를 주입한 다음 지지수단과 회전수단을 조립하였다. 원료 주입후의 조립은 구조상 수작업으로 하여야 한다. 그렇기 때문에 종래에는 조립공정이 복잡하고 자동화 하기가 곤란하였다. 이에 비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기 지지축(30)에 캐비티 내로 연통하는 중심공(42)을 형성함과 아울러, 조절부재(70)의 양단을 개방시킨 구조를 가짐으로써, 상기한 부재들을 모두 조립시킨 상태에서 주입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제조공정이 줄어들고 공정의 자동화를 쉽게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종래에는 캡의 전방으로부터 주입이 이루어지므로 심재의 팁부를 소망하는 형상으로 성형하기 어려웠다. 따라서 종래에는 원료 응고후 팁부를 재가공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비하여, 본 발명에서 캡(90)의 내측단부면에요홈(92)을 형성하고, 용융상태의 원료를 요홈(92)부터 채우는 구조를 갖는다. 즉, 캡(90)의 요홈(92)에 의하여 심재(50)의 팁부(52) 형상이 성형되므로 팁부(52)가 매끄럽고 완벽한 형체로 성형되는 장점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봉형상의 심재를 가지는 필기구 및 그의 심재 형성 방법에 의하면, 컨테이너의 주요 구성품을 모두 조립시킨 상태에서 용융상태의 원료를 주입할 수 있음으로써 제조 공정을 간소화하고 공정 자동화를 쉽게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캡의 내측단부면에 심재의 팁부 형상에 따른 요홈을 형성하고, 용융상태의 원료를 상기 요홈으로부터 주입시킴으로써, 상기한 제조 공정의 간소화와 공정 자동화의 구현에 더욱 도움을 주며, 특히 심재의 팁부가 캡의 요홈 형상에 따라 매끄럽고 완전한 형체로 주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지축과 심재의 축방향 직선운동 안내수단이 다각형의 단면이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하는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심재의 진출 및 후퇴시 심재의 변형과 찌꺼기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심재가 다각형의 단면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부수적인 효과도 있다.

Claims (12)

  1. 용융상태의 원료가 응고되어 형성되는 봉 형상의 심재(50)를 구비하는 필기구에 있어서,
    양단이 개방된 중공형의 컨테이너(10);
    상기 컨테이너(10)의 내부에 축방향으로 직선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그 내부에는 중심공(42)이 관통 형성된 중공형의 지지축(30); 및
    상기 컨테이너(10)의 후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그 회전에 따라 상기 지지축(30)을 상기 컨테이너(10)의 내부에서 직선 이동시키며, 상기 중심공(42)과 연통되도록 양단이 개방된 중공형으로 형성된 조절부재(70)를 포함하며,
    상기 심재(50)는 용융상태로 상기 조절부재(70)의 후단으로부터 상기 중심공(42)을 통하여 상기 컨테이너(10)의 내부에 주입된 후 응고되어 형성되며, 그 후단부가 상기 지지축(30)의 전단부에 지지됨으로써 상기 지지축(30)의 이동에 연동하여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축(30)은 상기 조절부재(70)와 나사 결합되어, 상기 조절부재(7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컨테이너(10)의 내부에서 축방향으로 직선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축(30)은 외주면에 나선홈(32)이 형성된 축부(32)와, 상기 축부(32)의 전단에 결합되며 그 외주면은 상기 컨테이너(10)의 내주면과 접촉한 상태에서 회전되지 않고 직선이동만이 가능한 형상을 갖는 지지부(34)를 포함하며,
    상기 조절부재(70)의 전단에는 상기 나선홈(32)에 삽입되는 나선돌기(86)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조절부재(70)가 회전하면 상기 나선돌기(86)가 상기 나선홈(32)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상기 지지축(30)은 상기 컨테이너(10)의 내부에서 회전되지 않고 축방향으로 직선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34)의 외주면과, 상기 컨테이너(10)의 내주면은 모두 다각형의 단면 형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지지부(34)는 상기 컨테이너(10)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축방향의 이동만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34)는 상기 심재(50)의 후단부가 수납되는 수용홈(38)과, 상기 수용홈(38)과 연통되어 그 내부에 심재(50)의 원료가 채워지는 구멍(40)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6. 제 1 항에 있어서,
    후단은 개방되고 전단은 막혀 있는 중공형으로 형성되며, 그 내부에는 상기 컨테이너(10)가 수용되는 캡(9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캡(90)의 전단부 내측에는, 상기 심재(50)의 팁부(52)가 소정의 형상을 갖도록 그에 대응하는 형상의 요홈(92)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재(70)의 후단을 밀폐하는 플러그(110)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플러그(110)의 중앙부에는 상기 지지축(30)의 중심공(42)에 삽입되는 돌출부(114)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9. 양단이 개방된 중공형의 컨테이너의 후단부에, 양단이 개방된 중공형의 조절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조립하는 단계;
    내부에 중심공이 관통 형성된 중공형의 지지축을, 상기 컨테이너의 전방으로부터 상기 컨테이너의 내부에 직선이동 가능하게 삽입하는 단계;
    상기 조절부재의 회전에 따라 상기 지지축이 상기 컨테이너의 내부에서 직선이동 할 수 있도록, 상기 조절부재와 상기 지지축을 나사 결합하는 단계;
    상기 컨테이너의 전단부를 캡을 씌워 밀봉하는 단계;
    심재 원료의 공급을 위한 노즐을 상기 조절부재의 후방으로부터 상기 지지축의 중심공을 통하여 상기 컨테이너에 삽입시키는 단계;
    상기 노즐을 통하여 용융상태의 상기 심재 원료를 상기 컨테이너의 내부에 주입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테이너의 내부에 주입된 심재 원료를 응고시킴으로써, 봉 형상의 심재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의 심재 형성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심재는, 측면 형상이 상기 컨테이너의 내부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전단부의 형상은 상기 캡의 내측 단부면에 형성된 요홈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후단부는 상기 지지축의 전단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의 심재 형성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상기 컨테이너의 전단부에 근접하게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축의 전단부까지 후퇴하면서 용융상태의 상기 심재 원료를 상기 컨테이너의 내부에 주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의 심재 형성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심재 원료의 주입이 종료된 후, 상기 조절부재의 후단을 플러그로 밀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의 심재 형성방법.
KR10-2002-0053902A 2002-09-06 2002-09-06 봉형상의 심재를 가지는 필기구 및 그의 심재 형성 방법 KR1004554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3902A KR100455412B1 (ko) 2002-09-06 2002-09-06 봉형상의 심재를 가지는 필기구 및 그의 심재 형성 방법
US10/329,492 US6629797B1 (en) 2002-09-06 2002-12-27 Writing implement having a bar type lead element and molding method of the lead element therein
CNA031006183A CN1480349A (zh) 2002-09-06 2003-01-17 具有杆状的芯体的书写用具和该芯体的成形方法
JP2003009610A JP2004097773A (ja) 2002-09-06 2003-01-17 棒状の芯材を有する筆記具及びその芯材の形成方法
AT03004453T ATE317770T1 (de) 2002-09-06 2003-02-27 Schreibgerät mit einer stabförmigen mine und formverfahren der mine in diesem
EP03004453A EP1396353B1 (en) 2002-09-06 2003-02-27 Writing implement having a bar type lead element and molding method of the lead element therein
DE60303524T DE60303524T2 (de) 2002-09-06 2003-02-27 Schreibgerät mit einem stabartigen minenelement und formverfahren des minenelements in diesem
PL03360240A PL360240A1 (en) 2002-09-06 2003-05-20 Writing instrument with balck lead rod and method of forming black lead r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3902A KR100455412B1 (ko) 2002-09-06 2002-09-06 봉형상의 심재를 가지는 필기구 및 그의 심재 형성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2070A true KR20040022070A (ko) 2004-03-11
KR100455412B1 KR100455412B1 (ko) 2004-11-06

Family

ID=36120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3902A KR100455412B1 (ko) 2002-09-06 2002-09-06 봉형상의 심재를 가지는 필기구 및 그의 심재 형성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629797B1 (ko)
EP (1) EP1396353B1 (ko)
JP (1) JP2004097773A (ko)
KR (1) KR100455412B1 (ko)
CN (1) CN1480349A (ko)
AT (1) ATE317770T1 (ko)
DE (1) DE60303524T2 (ko)
PL (1) PL36024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93676A1 (en) * 2005-02-25 2006-08-31 Tootsie Roll Industries, Inc. Candy dispenser
DE102006016178A1 (de) * 2006-04-06 2007-10-18 Henkel Kgaa Vorrichtung umfassend eine Mutter-Spindelanordnung mit Überlastschutz
JP5228194B2 (ja) * 2007-04-12 2013-07-03 株式会社ブンチョウ 繰出し装置
JP4355753B1 (ja) * 2008-10-29 2009-11-04 株式会社トキワ 塗布材押出容器
KR200471569Y1 (ko) * 2010-01-28 2014-03-06 동아교재 주식회사 인출식 고형 마커
KR101201070B1 (ko) * 2010-08-13 2012-11-14 주식회사 아모스 고체상도포구 제조방법
US8500352B1 (en) * 2012-05-31 2013-08-06 The Spatz Corporation Airtight device for packaging and applying a solid product
CN103754019B (zh) * 2013-12-25 2015-12-30 宁波江北瑞臣工艺品设计有限公司 防止儿童开启的安全笔
KR101699243B1 (ko) * 2015-06-01 2017-01-24 주식회사 리치코스 아이라이너
KR101820287B1 (ko) * 2016-05-03 2018-01-19 김대흥 스틱형 문구용품 및 그 조립방법
DE102016114256A1 (de) * 2016-08-02 2018-02-08 Eisen Gmbh Stift, insbesondere Kosmetik-, Mal-, Kreide-, Schreib oder Zeichenstift
US11529357B2 (en) 2019-02-01 2022-12-20 H. Lundbeck A/S Injectable carbamazepine composition essentially free of 10-bromo-carbamazepine
JP2021053063A (ja) * 2019-09-30 2021-04-08 花王株式会社 繰出容器
JP7370677B2 (ja) 2020-04-30 2023-10-30 株式会社吉野工業所 繰出し容器
KR20230047598A (ko) * 2021-10-01 2023-04-10 펌텍코리아 (주) 밀폐 구조를 갖는 잔량 방지 스틱용기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42944B1 (fr) * 1989-02-14 1991-06-07 Roger Carine Etui distributeur pour produits solidifies
JP2989920B2 (ja) * 1991-04-10 1999-12-13 株式会社壽 棒状物繰り出し容器及び筆記具
EP0735832B1 (fr) * 1994-10-21 2000-07-19 Societe De Conseils Et D'etudes Des Emballages ( S.C.E.E.) Etui applicateur pour produit solidifie
US5829901A (en) * 1997-05-06 1998-11-03 Revlon Consumer Products Corp. Container for cosmetic stick
US6186686B1 (en) * 1997-07-02 2001-02-13 Henlopen Manufacturing Co., Inc. Applicator for liquid material
US5902061A (en) * 1998-02-23 1999-05-11 Risdon Corporation Lipstick container and method of making same
JP2001087033A (ja) * 1999-09-24 2001-04-03 Shiseido Co Ltd 棒状化粧料容器
KR100369814B1 (ko) * 2000-04-28 2003-01-29 동아연필 주식회사 필기판용 필기구
KR200255932Y1 (ko) * 2001-08-22 2001-12-24 동아교재 주식회사 고형상 도포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396353B1 (en) 2006-02-15
PL360240A1 (en) 2004-03-08
CN1480349A (zh) 2004-03-10
EP1396353A1 (en) 2004-03-10
JP2004097773A (ja) 2004-04-02
DE60303524T2 (de) 2006-09-21
ATE317770T1 (de) 2006-03-15
US6629797B1 (en) 2003-10-07
KR100455412B1 (ko) 2004-11-06
DE60303524D1 (de) 2006-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55412B1 (ko) 봉형상의 심재를 가지는 필기구 및 그의 심재 형성 방법
US20040115301A1 (en) Apparatus for molding plastic caps
JP2000248829A (ja) ウインドガラスの昇降用スライダー
KR920002389B1 (ko) 수지 성형용 금형
JP4191336B2 (ja) ギアケースの製造方法
JP2005305779A (ja) 合成樹脂製ギヤの製造方法
JP2670089B2 (ja) 樹脂成形用金型
KR20050111765A (ko) 화장용 펜슬 및 그의 제조방법
JP4987305B2 (ja) 射出成形金型
JP3355164B2 (ja) 棒状具の作成方法
JPH05200788A (ja) 射出成形ホットランナーノズル
JP2007181955A (ja) 射出成形用金型装置
JP7083536B1 (ja) 射出成形金型及び射出成形装置
CN220883200U (zh) 一种用于制作螺纹盖的注塑模具
JPH06102349B2 (ja) 回転式射出成形型およびゲートカット方法
KR200197498Y1 (ko) 고형 미용조성물 케이스
CN211941866U (zh) 一种能提升千秋盖密封效果的注塑模具
JP2003080569A (ja) 射出成形用金型
JPH10146868A (ja) 射出成形筒体、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棒状化粧材繰出容器
JP3663001B2 (ja) 樹脂成型品用金型装置
JPH0723230Y2 (ja) 射出成形用金型装置
KR200200743Y1 (ko) 화장용 펜슬 카트리지의 심 홀더
FR3130187A3 (fr) Outil de moulage par injection compact pour un capuchon équipé de préférence d’une tige d’applicateur
CN115042386A (zh) 一种模具
JPH07329207A (ja) 合成樹脂製の一端開口型筒状容器及びその製造用型装置並びに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9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