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0287B1 - 스틱형 문구용품 및 그 조립방법 - Google Patents

스틱형 문구용품 및 그 조립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0287B1
KR101820287B1 KR1020160054613A KR20160054613A KR101820287B1 KR 101820287 B1 KR101820287 B1 KR 101820287B1 KR 1020160054613 A KR1020160054613 A KR 1020160054613A KR 20160054613 A KR20160054613 A KR 20160054613A KR 101820287 B1 KR101820287 B1 KR 1018202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body
housing
engaging
shaft
coating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46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4782A (ko
Inventor
김대흥
Original Assignee
김대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대흥 filed Critical 김대흥
Priority to KR10201600546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0287B1/ko
Publication of KR201701247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47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02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02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1/00Propelling pencils
    • B43K21/24Assembling, finishing, or repairing propelling penc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1/00Propelling pencils
    • B43K21/003Propelling pencils with lead sections or lead cartri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3/00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 B43K23/08Protecting means, e.g. c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4/00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Landscapes

  • Pens And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공형의 하우징 몸체; 상기 하우징 몸체의 일단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외삽되는 투명 색상의 하우징 캡; 상기 하우징 캡 또는 상기 하우징 몸체 내부의 일정 높이까지 형성되는 심체; 일단부가 상기 하우징 몸체의 타단부로 결속되어, 상기 하우징 몸체 상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회전부재; 및 일단부가 상기 회전부재에 나사방식으로 왕복이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되, 상기 회전부재를 통해 조작되고, 타단부가 상기 하우징 몸체의 내부에서 상기 심체와 결합되는 이동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심체는 상기 하우징 몸체와 상기 하우징 캡이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 캡 또는 상기 하우징 몸체의 내부에 도포액이 충진되어 굳어짐으로써 형성되며, 상기 이동부재는 타단부가 상기 충진된 도포액에 침지되어 상기 도포액이 굳어짐으로써 상기 심체와 결합되는 스틱형 문구용품을 제공한다.
따라서, 고체혁 스틱 심체를 구비하는 문구용품 제작 시, 심체의 제작을 별도의 장비와 툴을 이용한 공정으로 수행하지 않고, 심체가 장착되는 하우징을 이용함으로써, 추가적인 제장 장비와 툴을 생략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틱형 문구용품 및 그 조립방법 {Stick type stationary and assembling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스틱형 문구용품 및 그 조립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체형 스틱 심체를 구비한 문구용품을 효율적으로 제작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제작비용을 절감시키고 제작기간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한 스틱형 문구용품 및 그 조립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마킹펜은 심촉으로 마킹펜 내부에 별도로 저장된 잉크를 공급받아 토출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심촉이 손상됨으로 인하여 내부에 잉크가 충진되어 있음에도 잉크가 토출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형광펜의 경우 심촉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다하더라도 내부에 잉크가 쉽게 증발하거나, 내부에 저장된 잉크 양에 비하여 심촉으로 공급하는 잉크의 양이 적어 효율적인 사용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상술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문구용품 중에서는 고체형 스틱 심체를 가지는 제품들이 제작되고 있다. 유색 안료가 첨가된 고체형 스틱 심체를 가지는 문구용품은 통상적으로 그 제작을 위하여, 그 심체를 외부에 별도로 제작한 이후, 하우징 내부에서 구동이 가능하도록 장착 하게 된다. 이러한, 심체의 제작은 별도의 제작 장비 내지 툴을 이용해야 하고, 아울러 그 제작 장비와 툴이 마련되는 공간도 확보되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유색 안료가 첨가된 고체형 심체를 가지는 스틱형 문구용품은 심체의 제작한 이후에, 필기를 위한 단부의 외형을 별도로 가공해야만 하기에 가공비용의 상승이 뒤따르며, 결국 제작공정이 길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반적인 스틱형 문구용품(예: 형광펜, 크레용, 딱풀 등)의 캡은 하우징 캡의 외부에 유색 안료를 첨가하는데 일정한 제조 비용이 소모되어, 펜의 고유한 기능과 무관하게 제조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반적인 스틱형 문구용품(예: 형광펜, 크레용, 딱풀 등)의 캡은 하우징 캡의 외부에 유색 안료를 첨가하는데 일정한 제조 비용이 소모되어, 펜의 고유한 기능과 무관하게 제조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스틱형 문구용품의 캡은 필기되는 색상 또는 임의적 색상을 구현하기 위해 안료를 사용하는데, 이때 사용되는 안료에는 유해 성분(예: 납(Pb), 카드뮴(Cd), 안티모니(Sb), 비소(As), 바륨(Ba), 크로퓸(Cr), 수은(Hg), 셀레늄(Se),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등) 또는 아직 유해성이 검증되지 않은 성분들이 함유될 수 있다. 비록 현행 검사 기준을 만족한다 하더라도 이러한 필기구 캡을 면역력이 약한 아이들이 피부나, 입 등으로 지속적으로 접촉하면 인체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가능성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스틱형 문구용품을 주로 사용하는 아이들의 경우 문구용품으로서의 용도 이외에도 심미적인 흥미를 추구하고 있다. 때문에 이러한 문구용품의 심미성은 문구용품 구매 시에 선택의 중요한 요소가 되고 있다. 그러나 문구용품으로서 이를 적절하게 만족시키기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20-2004-0013397호
본 발명은, 고체형 스틱 심체를 구비한 문구용품을 효율적으로 제작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제작비용을 절감시키고 제작기간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한 스틱형 문구용품 및 그 조립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중공형의 하우징 몸체; 상기 하우징 몸체의 일단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외삽되는 투명 색상의 하우징 캡; 상기 하우징 캡 또는 상기 하우징 몸체 내부의 일정 높이까지 형성되는 심체; 일단부가 상기 하우징 몸체의 타단부로 결속되어, 상기 하우징 몸체 상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회전부재; 및 일단부가 상기 회전부재에 나사방식으로 왕복이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되, 상기 회전부재를 통해 조작되고, 타단부가 상기 하우징 몸체의 내부에서 상기 심체와 결합되는 이동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심체는 상기 하우징 몸체와 상기 하우징 캡이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 캡 또는 상기 하우징 몸체의 내부에 도포액이 충진되어 굳어짐으로써 형성되며, 상기 이동부재는 타단부가 상기 충진된 도포액에 침지되어 상기 도포액이 굳어짐으로써 상기 심체와 결합되는 스틱형 문구용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중공형의 하우징 몸체와, 상기 하우징 몸체의 일단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외삽되는 투명 색상의 하우징 캡을 각각 준비하는 제1단계; 상기 하우징 몸체의 상기 일단부로 상기 하우징 캡을 결합시키는 제2단계; 상기 하우징 몸체의 상기 일단부와 상기 하우징 캡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 캡 또는 하우징 몸체의 내부에 심체 제작을 위한 도포액을 충진시키는 제3단계; 상기 하우징 몸체 상에서 왕복 운동 가능한 이동부재와, 상기 하우징 몸체의 타단부에 결속된 채 상기 이동부재와 연동되어, 상기 이동부재를 조작 하기 위한 회전부재를 상기 하우징 몸체 상에 구비시키는 제4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부재는 타단부가 상기 충진된 도포액에 침지되어 상기 도포액이 굳어짐으로써 상기 심체와 결합되는 스틱형 문구용품 조립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틱형 문구용품 및 그 조립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고체혁 스틱 심체를 구비하는 문구용품 제작 시, 심체의 제작을 별도의 장비와 툴을 이용한 공정으로 수행하지 않고, 심체가 장착되는 하우징을 이용하기 때문에, 추가적인 제장 장비와 툴을 생략할 수 있다.
둘째, 심체 제작을 별도로 할 경우 그 제작 장비와 툴을 마련하는데 필요한 공간들을 생략할 수 있어 문구용품 제작을 위한 현장에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셋째, 하우징 캡의 외부를 투명하게 형성하고 내부에 유색의 내장 캡을 구비함으로써, 하우징 캡의 들어가는 유색 안료를 줄이고 제조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넷째, 캡에 유해성분 또는 검증되지 않은 성분이 함유될 수 있는 안료를 사용하지 않아, 안료가 인체에 미칠 수 있는 부정적인 영향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심체의 형상을 매끄러운 형태로 손쉽게 형성할 수 있다.
여섯째, 스틱형 문구용품에 흥미적인 요소를 부여하여 아이들의 문구용품 대한 만족감을 증대시키고, 문구용품의 구매 시에 선호도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틱형 문구용품을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스틱형 문구용품의 구성들이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조립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스틱형 문구용품의 구성들 중 하우징 몸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따른 스틱형 문구용품의 구성들 중 하우징 몸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따른 스틱형 문구용품의 구성들 중 하우징 캡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에 따른 스틱형 문구용품의 구성들 중 회전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에 따른 스틱형 문구용품의 구성들 중 회전부재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1에 따른 스틱형 문구용품의 구성들 중 이동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1에 따른 스틱형 문구용품의 구성들 중 하우징 몸체와 이동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1에 따른 스틱형 문구용품의 구성들 중 하우징 몸체와, 하우징 캡과, 내장 캡과, 심체가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틱형 문구용품 조립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2는 도 1에 따른 스틱형 문구용품의 구성들 중 이동부재의 변형예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에 따른 스틱형 문구용품의 구성들 중 하우징 몸체와 이동부재가 결합된 상태의 변형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동일한 부호는 시종 동일한 요소를 의미한다. 나아가, 도면에서의 다양한 요소와 영역은 개략적으로 그려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첨부한 도면에 그려진 상대적인 크기나 간격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틱형 문구용품(100)을 도시한 분리사시도이이고, 도 2는 1에 따른 구성들이 결합된 결합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틱형 문구용품(100)은 하우징 몸체(110)와, 하우징 캡(120)과, 심체(130)와, 회전부재(140)와, 이동부재(150)를 포함한다. 이동부재(150)는 나선축(152)과, 결합축(151), 구획축(153)을 포함하고, 하우징 캡(120)은 내장 캡(121)과, 보형물(122)을 포함한다.
이하 각 구성부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하우징 몸체(11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틱형 문구용품(100)을 도시한 분리사시도이이고, 도 2는 1에 따른 구성들이 결합된 결합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따른 스틱형 문구용품(100)의 구성들 중 하우징 몸체(110)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 따른 스틱형 문구용품의 구성들 중 하우징 몸체(11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하우징 몸체(110)는 소정길이를 가진 중공형상으로 형성되며, 횡단면의 형상은 다각, 원, 타원 등을 가지도록 다양하게 형성된다. 이러한 하우징 몸체(110)는 길이 방향 상에서 특정 부분이 단차 지도록 형성하여 후술하는 하우징 캡(120) 또는 회전부재(140) 등과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
하우징 몸체(110)의 외주면에는 다양한 색상, 로고, 이미지 등을 인쇄하여 문구용품으로서의 색상 및 외관상의 흥미도 높일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 몸체(110)의 내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 1 돌기(111)가 적어도 한 쌍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돌기는 후술하는 이동부재(150)를 일정한 구도로 가이드 하여 위치시키는 역할을 한다. 후술하는 하우징 몸체(110)의 내주면 가운데, 회전부재 (140) 일단부가 내삽되는 내주면에는 내측을 향해 돌출되는 적어도 한 쌍의 걸림턱(112, 113)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한 쌍의 걸림턱(112, 113)의 사이에는 단차가 지는 걸림홈(114)이 형성되어진다.
도 1 및 도 2, 도 5를 참조하여 하우징 캡(12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틱형 문구용품(100)을 도시한 분리사시도이이고, 도 2는 1에 따른 구성들이 결합된 결합사시도이며, 도 5는 도 1에 따른 스틱형 문구용품(100)의 구성들 중 하우징 캡(120)을 도시한 상면도이다.
하우징 캡(120)은 내부가 비취도록 투명색상을 띠며 하우징 몸체(110)의 일단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외삽 결합될 수 있다. 하우징 캡(120)의 외주면으로는 책이나 옷 등에 꽃기 위한 걸림편(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하우징 캡(120)의 내부는 하우징 몸체(110)와 끼움 결합을 위한 적절한 둘레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하우징 캡(120)의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에는 내장 캡(121)이 위치되는데, 내장 캡(121)은 하우징 캡(120)의 일단부에 내삽되는 심체(130)와 대향하는 일방에 심체(130)를 수용하도록 함몰된 함몰부가 형성된다. 이러한 함몰부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가지도록 함몰될 수 있다. 여기서, 내장 캡(121)은 심체의 색상과 대응하는 색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내장 캡(121)과 하우징 캡(120)의 타단부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며, 내장 캡(121)의 타방에 소정의 보형물(122)이 구비된다. 이러한 보형물(122)은 소정의 공간상에서 유동이 가능하다. 내장 캡(121)의 타방에는, 내장 캡(121)과 하우징 캡(120)의 타단부 사이의 공간에 다양한 형성의 보형물(122)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스틱형 문구용품을 흔들면 보형물(122)은 내장 캡(121)과 하우징 캡(120)의 타단부 사이의 공간에서 유동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시각적인 흥미감을 얻게 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회전부재(14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틱형 문구용품(100)을 도시한 분리사시도이이고, 도 2는 1에 따른 구성들이 결합된 결합사시도이며, 도 6은 도 1에 따른 스틱형 문구용품(100)의 구성들 중 회전부재(140)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1에 따른 스틱형 문구용품(100)의 구성들 중 회전부재(140)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 및 도 2,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회전부재(140)는 일단부가 하우징 몸체(110)의 타단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내삽 결합된다. 하우징 몸체(110)에 내삽되는 회전부재(140)의 일단부 외주면에는 전술한 하우징 몸체(110) 내측의 한 쌍의 걸림턱(112, 113)들 사이 걸림홈(114)에 끼워지는 걸림돌기(145)가 형성된다. 즉, 회전부재(140)에서 하우징 몸체(110)의 타단부로 내삽되는 회전부재(140) 일단부의 외주면 부분에서 형성된 걸림돌기(145)은 외부를 향하여 원주방향으로 돌출되며 단차를 형성하여 임의의 제 1 저단부(143)와 제 2 저단부(144)로 구획하는 것이다.
회전부재(140)의 내주면은 적어도 하나의 나사산(141)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이동부재(150)와 나사 방식으로 회전이 가능하다. 또한 이러한 회전부재(140)는 외주면과 내주면을 절개하는 절개부(142)가 형성되어 이동부재(150)와의 회전 결합에 앞서, 초기에 끼움 결합이 용이하도록 회전부재(140) 일단부에 대한 탄성을 부여한다.
도 1 및 도 2,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이동부재(15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틱형 문구용품 (100)을 도시한 분리사시도이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구성들이 결합된 결합사시도이며, 도 8은 도 1에 따른 스틱형 문구용품(100)의 구성들 중 이동부재(150)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1에 따른 스틱형 문구용품(100)의 구성들 중 하우징 몸체(110)와 이동부재(150)가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 도 8 및 도9를 참조하면, 이동부재(150)는 일단부가 회전부재(140)의 일단부에 나사방식으로 왕복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부가 하우징 몸체(110)의 내부의 심체(130)와 결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동부재(150)의 나선축(152)은, 회전부재(140)와 회전결합을 위해 외주면에 나사산(152a)이 형성된다. 이러한 나사산(152a)은 회전부재(140)의 형성된 나사산(141)과 대응하여 나사 방식으로 회전이 가능하다. 이동부재(150)의 결합축(151)은 심체(130)와의 결합을 위해 나선축(152)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교호적 또는 비교호적으로 결합돌기(151a, 151b, 151c)가 형성된다. 예컨데, 결합돌기(151a, 151b, 151c)는 결합축(151)의 원주 방향을 따라 호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결합돌기(151a, 151b, 151c)는 특정한 형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심체(130)와의 접촉면적을 넓힐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 가능하다.
이동부재(150)의 구획축(153)은 나선축(152)과 결합축(151) 사이에서 결합축(151)과 나선축(152)의 구획을 나누는 역할을 하는데, 그 외주면에는 가이드 돌기(153a)가 소정 형상으로 형성되어 하우징 몸체(110) 내부의 제 1 돌기(111)에 가이드 되어 하우징 몸체(110) 내부에서 특정 구도로 위치된다.
따라서, 이동부재(150)는 하우징 몸체(110) 내부로 내삽 시에, 일정하지 않은 위치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획축(153)은 나선축(152)및 결합축(151)에 대비하여 소정의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이동부재(150)의 일단부 외경은 회전부재(140)의 일단부 내경보다 더 크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이동부재(150)의 일단부가 회전부재의(140) 일단부를 통해 내부로 과도하게 후퇴하여 이동부재(150)의 구획축(153)은 물론 결합축(151)까지 회전부재(140)의 내부로 내삽될 경우 이동부재(150)와 회전부재(140) 상호간의 나사 방식 결합으로부터, 이탈하게 되어 진퇴운동이 불가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전술한 이동부재(150)는 축 방향을 따라 관통공(T)이 형성된 중공형 구조물로서, 도포액에 침지될 경우, 도포액 일부가 관통공(T)으로 유입되도록 한다. 따라서, 도포액에 이동부재가 침지되는 경우, 도포액이 한정된 공간 내에서 유동되지 못하고, 하우징 캡()과 하우징 몸체(110)외부로 강제 유출되는 현상 등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 및 도 2, 도 10을 참조하여 심체(13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틱형 문구용품(100)을 도시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구성들이 결합된 결합사시도이며, 도 8은 도 1에 따른 스틱형 문구용품(100)의 구성들 중 하우징 몸체(110)와, 하우징 캡(120)과, 내장 캡(121)과, 심체(130)가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 도 10을 참조하면, 심체(130)는 하우징 몸체(110)의 일단부와 하우징 캡(120)이 결합된 상태에서, 하우징 몸체(110)의 내부를 경유하여 하우징 캡(120)의 내부로 도포액이 주입되고, 하우징 몸체(110) 내부의 일정 높이까지 충진된 도포액이 굳어져 고체형으로 형성된다.
결합축(151)의 외주면 결합 돌기(151a, 151b, 151c)는, 전술한 도포액에 이동부재(150)의 결합축(151)이 침지된 상태로 도포액이 굳어져 고체형태의 심체(130)로 형성됨에 있어, 이동부재(150)와 심체(130)의 접촉면적을 넓혀 이동부재(150)와 심체(130) 상호간의 보다 견고한 결합을 가능하게 한다. 특히, 도포액은 전술한 내장 캡(121)의 소정형상으로 함몰된 일방으로 충진되므로, 최종적인 심체(130)의 필기 부위는 자연스럽고 매끄럽게 내장 캡(121)의 함몰된 형상과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여기서 하우징 몸체(110)의 내부를 경유하여 하우징 캡(120)의 내부로 충진된 도포액이 굳어져 결합축(151)에 고체형으로 결합될 시, 이러한 심체(130)가 하우징 몸체(110) 내주면에 일정한 부착력으로 들러붙을 수 있다.
이럴 경우, 하우징 몸체(110) 내부에서 회전부재(140)와 이동부재(150) 상호 간의 결합에 의한 진퇴 운동에도 불구하고, 심체(130)가 하우징 몸체(110)외부로 돌출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소지가 있다. 더 나아가 이동부재(150)를 돌출시키는 힘에 대한 반발력으로 오히려 회전부재가(140) 하우징 몸체(110)의 외부로 이탈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전술한 하우징 몸체(110)와 회전부재(140)의 걸림턱(112. 113), 걸림홈(114), 걸림돌기(145) 등의 구조를 통하여 회전부재(140)가 하우징 몸체(110)에서 이탈됨이 없이 견고히 결합되고, 하우징 몸체(110) 내부에서 외부를 향하여 심체(130)를 온전하게 돌출시키도록 작용하는 것이다.
한편, 심체(130)를 형광펜 또는 크레용 등의 마킹용으로 사용하는 경우, 도포액은 투명 고형상 마카로서 벤질리덴 솔비톨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겔형성물질 3 내지 70중량%; 투명화제 3 내지 70중량%; 투명화 보조제 3 내지 60중량%; 및 염료 0.1~10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틱형 문구용품 조립방법(S100)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적 특징이 있는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스틱형 문구용품 조립방법(S100)에서 우선, 제1단계(S110)는 중공형의 하우징 몸체(110)와, 하우징 몸체(110)의 일단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외삽되는 투명 색상의 하우징 캡(120)을 각각 준비한다.
여기서, 이동부재(150)는 축 방향을 따라 관통공(T)이 형성되는 구조물에 해당된다. 제2단계(S120)는 하우징 몸체(110)의 일단부로 하우징 캡(120)을 결합시킨다.
제3단계(S130)는 하우징 몸체(110)의 일단부와 하우징 캡(120)이 결합된 상태에서, 하우징 캡(120) 또는 하우징 몸체(110)의 내부에 심체(130) 제작을 위한 도포액을 충진시킨다.
이러한, 제3단계(S130)에 있어서, 심체(130)는. 하우징 몸체(110)와 하우징 캡(120)이 결합된 상태에서, 도포액이 하우징 몸체(110)의 내부를 경유하여 하우징 캡(120)의 내부로 도포액이 주입되어,
도포액이 하우징 캡(120) 또는 하우징 몸체(110) 내부의 일정 높이까지 충진된 이후, 도포액이 굳어져 형성된다. 이때, 하우징 캡(120)에는, 하우징 캡(120)의 일방과 타방 사이에 위치되며, 일방으로 도포액을 수용하되, 도포액을 통해 형성된 심체(130)를 수용하도록 함몰부가 형성되는 내장 캡이 구비된다.
제4단계(S140)는 하우징 몸체(110) 상에서 왕복 운동 가능한 이동부재(150)와, 하우징 몸체(110)의 타단부에 결속된 채 이동부재(150)와 연동되어, 이동부재(150)를 조작 하기 위한 회전부재(140)를 하우징 몸체(110) 상에 구비시킨다. 즉, 이동부재(150)는 타단부가 충진된 도포액에 침지되어 도포액이 굳어짐으로써 심체(130)와 결합된다.
제4단계(S140)는, 이동부재(150)를 하우징 몸체(110) 내부에 삽입시킨 이후, 회전부재(140)를 이동부재(150)와 연동되도록 하우징 몸체(110) 내부에 삽입시키거나, 이동부재(150)를 회전부재(140)와 결속 시킨 상태로 하우징 몸체(110) 내부에 삽입시키도록 한다.
여기서, 이동부재(150)는 축 방향을 형성된 관통공(T)을 통해 도포액에 침지되면, 도포액의 일부는 관통공(T)으로 유입되게 된다. 따라서, 하우징 캡(120)이나 하우징 몸체(110)상의 충진되는 도포액이 넘쳐 외부로 유출되는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이동부재(150)는, 회전부재(140)와 회전결합을 위해 외주면에 나사산(152a)이 형성된 나선축(152)과, 나선축(152)의 길이방향에 형성되어 심체(130)와 결합되는 결합축(151)과, 나선축(152)과 결합축(151) 사이에서 결합축(151)과 나선축(152)의 구획을 나누는 구획축(153)을 포함한다.
하우징 몸체(110) 내측의 일방에는 길이방향을 향하는 하나 이상의 돌기(111)가 형성되고, 이동부재(150)의 구획축(153) 외주면에는 돌기(111)와 접하여 이동부재(150)가 하우징 몸체(110)의 내부에서 특정 구도로 위치되도록 가이드 하는 가이드돌기(135a)가 형성된다. 그리고, 결합축(151)의 외주면에는 결합축(151)과 심체(130) 상호간의 접촉 면적을 넓히기 위한 결합 돌기(151a, 151b, 151c)가 형성된다.
한편, 도 12는 도 1에 따른 스틱형 문구용품의 구성들 중 이동부재의 변형예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에 따른 스틱형 문구용품의 구성들 중 하우징 몸체와 이동부재가 결합된 상태의 변형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2 내지 도 13은 기 참조된 도 8 내지 도 9와 동일한 도면으로서, 다만 도면 부호상의 표기가 세분화 된것에 불과하다.
이하에서는 도 12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전술한 사항과 동일한 기술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보다 세분화시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2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중공형의 하우징 몸체(110); 상기 하우징 몸체(110)의 일단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외삽되는 투명 색상의 하우징 캡(120); 상기 하우징 캡(120) 또는 상기 하우징 몸체(110) 내부의 일정 높이까지 형성되는 심체(130); 일단부가 상기 하우징 몸체(110)의 타단부로 결속되어, 상기 하우징 몸체(110) 상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회전부재(140); 및 일단부가 상기 회전부재(140)에 나사방식으로 왕복이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되, 상기 회전부재(140)를 통해 조작되고, 타단부가 상기 하우징 몸체(110)의 내부에서 상기 심체(130)와 결합되는 이동부재(15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심체(130)는 상기 하우징 몸체(110)와 상기 하우징 캡(120)이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 캡(120) 또는 상기 하우징 몸체(110)의 내부에 도포액이 충진되어 굳어짐으로써 형성된다. 상기 이동부재(150)는 타단부가 상기 충진된 도포액에 침지되어 상기 도포액이 굳어짐으로써 상기 심체(130)와 결합된다.
상기 이동부재(150)는 상기 회전부재(140)와 회전결합을 위해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나선축(152)과, 상기 나선축(152)의 길이방향에 형성되어 상기 심체(130)와 결합되는 결합축(151)과, 상기 나선축(152)과 상기 결합축(151) 사이에서 상기 결합축(151)과 상기 나선축(152)의 구획을 나누는 구획축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 몸체(110) 내주면 일측부 상에는 길이방향을 향하는 돌기(111)가 상호 대향하도록 두 개로 형성되고, 상기 이동부재(150)의 구획축 외주면에는 상기 돌기(111)와 접하여 상기 이동부재(150)가 상기 하우징 몸체(110)의 내부에서 특정 구도로 위치되도록 가이드 하는 가이드돌기(153a)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축(151)의 외주면에는 상기 결합축(151)과 상기 심체(130) 상호간의 접촉 면적을 넓히기 위한 결합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 돌기(151a, 151b, 151c)는 상기 결합축(151) 외주면 둘레부 상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어 구비된다.
상기 결합 돌기 중 제1 결합 돌기(151a)는 상기 결합축(151)의 외주면 둘레부를 따라 호형상으로 복수 형성되며, 상기 결합 돌기 중 제2 결합 돌기(151b)는 상기 결합축(151)의 외주면 둘레부를 따라 호형상으로 복수 형성되되, 상기 제1 결합 돌기(151a)로부터 원주방향으로 회전된 상태의 영역에 위치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결합 돌기 중 제3 결합 돌기(151c)는 상기 결합축(151)의 외주면 둘레부를 따라 호형상으로 복수 형성되되, 상기 제2 결합돌기(151b)로부터 원주방향으로 회전된 상태의 영역에 위치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 결합 돌기(151a) 내지 상기 제3 결합 돌기(151c)는 평면 상에서 바라보았을 때 상호 간에 일치하지 않도록 배치된다.
상기 가이드돌기(153a)는 상기 각 돌기(111)를 각각 가이드 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1 가이드돌기(153a11)을 포함한다. 상기 제1 가이드돌기(153a11)는, 상기 구획축 상에서 직선으로 형성되는 제1-1 직선부(L1-1)와, 상기 구획축 상에서 상기 제1-1 직선부(L1-1)의 단부로부터 상기 결합축(151)을 향하여 외측으로 절곡 형성되는 제1-1 절곡부(R1-1)가 구비되는 제1-1 가이드돌기(153a11)와, 상기 구획축 상에서 직선으로 형성되는 제1-2 직선부(L1-2)와, 상기 구획축 상에서 상기 제1-2 직선부(L1-2)의 단부로부터 상기 결합축(151)을 향하여 외측으로 절곡 형성되는 제1-2 절곡부(R1-2)가 구비되는 제1-2 가이드돌기(153a12)를 포함한다.
상기 제1-1 절곡부(R1-1)와 상기 제1-2 절곡부(R1-2)는 가상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호 대칭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1 절곡부(R1-1)와 상기 제1-2 절곡부(R1-2) 사이에는, 상기 제1-1 절곡부(R1-1)와 상기 제1-2 절곡부(R1-2)의 형상에 기반하여 양변이 내측으로 라운드지며 상기 결합축(151) 방향을 향하여 점진적으로 확장되는 삼각형 형상의 제1 수용영역(S1)이 형성된다.
상기 이동부재(150)는, 상기 하우징 몸체(110)에 내삽되면 상기 제1 가이드돌기(153a1)을 통해 상기 돌기(111) 중 어느 하나의 돌기(111)를 상기 제1 수용영역(S1) 내로 가이드한다. 한편, 상기 구획축(153) 상에는 상기 제1 가이드돌기(153a1)의 반대면에 상기 제1 가이드돌기(153a1)와 대응되는 제2 가이드돌기(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 가이드돌기는 상기 제1 가이드돌기(153a1)과 동일한 구성적 특징을 가지도록 구비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 : 하우징 몸체
120 : 하우징 캡
130 : 심체
140 : 회전부재
150 : 이동부재

Claims (14)

  1. 중공형의 하우징 몸체(110); 상기 하우징 몸체(110)의 일단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외삽되는 투명 색상의 하우징 캡(120); 상기 하우징 캡(120) 또는 상기 하우징 몸체(110) 내부의 일정 높이까지 형성되는 심체(130); 일단부가 상기 하우징 몸체(110)의 타단부로 결속되어, 상기 하우징 몸체(110) 상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회전부재(140); 및 일단부가 상기 회전부재(140)에 나사방식으로 왕복이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되, 상기 회전부재(140)를 통해 조작되고, 타단부가 상기 하우징 몸체(110)의 내부에서 상기 심체(130)와 결합되는 이동부재(150)를 포함하며,
    상기 심체(130)는 상기 하우징 몸체(110)와 상기 하우징 캡(120)이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 캡(120) 또는 상기 하우징 몸체(110)의 내부에 도포액이 충진되어 굳어짐으로써 형성되며,
    상기 이동부재(150)는 타단부가 상기 충진된 도포액에 침지되어 상기 도포액이 굳어짐으로써 상기 심체(130)와 결합되며,
    상기 이동부재(150)는,
    상기 회전부재(140)와 회전결합을 위해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나선축(152)과, 상기 나선축(152)의 길이방향에 형성되어 상기 심체(130)와 결합되는 결합축(151)과, 상기 나선축(152)과 상기 결합축(151) 사이에서 상기 결합축(151)과 상기 나선축(152)의 구획을 나누는 구획축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 몸체(110) 내주면 일측부 상에는 길이방향을 향하는 돌기(111)가 상호 대향하도록 두 개로 형성되고,
    상기 이동부재(150)의 구획축 외주면에는 상기 돌기(111)와 접하여 상기 이동부재(150)가 상기 하우징 몸체(110)의 내부에서 특정 구도로 위치되도록 가이드 하는 가이드돌기(153a)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축(151)의 외주면에는 상기 결합축(151)과 상기 심체(130) 상호간의 접촉 면적을 넓히기 위한 결합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 돌기(151a, 151b, 151c)는 상기 결합축(151) 외주면 둘레부 상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어 구비되며,
    상기 결합 돌기 중 제1 결합 돌기(151a)는 상기 결합축(151)의 외주면 둘레부를 따라 호형상으로 복수 형성되며,
    상기 결합 돌기 중 제2 결합 돌기(151b)는 상기 결합축(151)의 외주면 둘레부를 따라 호형상으로 복수 형성되되, 상기 제1 결합 돌기(151a)로부터 원주방향으로 회전된 상태의 영역에 위치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결합 돌기 중 제3 결합 돌기(151c)는 상기 결합축(151)의 외주면 둘레부를 따라 호형상으로 복수 형성되되, 상기 제2 결합돌기(151b)로부터 원주방향으로 회전된 상태의 영역에 위치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 결합 돌기(151a) 내지 상기 제3 결합 돌기(151c)는 평면 상에서 바라보았을 때 상호 간에 일치하지 않도록 배치되며,
    상기 가이드돌기(153a)는,
    상기 각 돌기(111)를 각각 가이드 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1 가이드돌기(153a11)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가이드돌기(153a11)는,
    상기 구획축 상에서 직선으로 형성되는 제1-1 직선부(L1-1)와, 상기 구획축 상에서 상기 제1-1 직선부(L1-1)의 단부로부터 상기 결합축(151)을 향하여 외측으로 절곡 형성되는 제1-1 절곡부(R1-1)가 구비되는 제1-1 가이드돌기(153a11)와,
    상기 구획축 상에서 직선으로 형성되는 제1-2 직선부(L1-2)와, 상기 구획축 상에서 상기 제1-2 직선부(L1-2)의 단부로부터 상기 결합축(151)을 향하여 외측으로 절곡 형성되는 제1-2 절곡부(R1-2)가 구비되는 제1-2 가이드돌기(153a12)를 포함하며,
    상기 제1-1 절곡부(R1-1)와 상기 제1-2 절곡부(R1-2)는 가상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호 대칭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1 절곡부(R1-1)와 상기 제1-2 절곡부(R1-2) 사이에는, 상기 제1-1 절곡부(R1-1)와 상기 제1-2 절곡부(R1-2)의 형상에 기반하여 양변이 내측으로 라운드지며 상기 결합축(151) 방향을 향하여 점진적으로 확장되는 삼각형 형상의 제1 수용영역(S1)이 형성되며,
    상기 이동부재(150)는,
    상기 하우징 몸체(110)에 내삽되면 상기 제1 가이드돌기(153a1)을 통해 상기 돌기(111) 중 어느 하나의 돌기(111)를 상기 제1 수용영역(S1) 내로 가이드하는 스틱형 문구용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이동부재가 상기 하우징 몸체 내부에 삽입된 이후, 상기 이동부재와 연동되도록 상기 하우징 몸체 내부에 삽입되거나,
    상기 이동부재와 선 결속된 상태로 상기 하우징 몸체 내부에 일단부가 삽입되는 스틱형 문구용품.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심체는,
    상기 하우징 몸체와 상기 하우징 캡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도포액이 상기 하우징 몸체의 타단부를 통해 상기 하우징 몸체 내부를 경유하여, 상기 하우징 캡의 내부로 주입됨으로써 상기 도포액이 상기 하우징 캡 또는 상기 하우징 몸체 내부의 일정 높이까지 충진된 이후, 상기 도포액이 굳어져 형성되는 스틱형 문구용품.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는 축 방향을 따라 관통공이 형성된 중공형 구조물로서, 상기 도포액에 침지되면, 상기 도포액 일부가 상기 관통공으로 유입되는 스틱형 문구용품.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캡은,
    상기 하우징 캡의 일방과 타방 사이에 위치되며, 일방으로 상기 도포액을 수용하며, 상기 도포액을 통해 형성된 상기 심체를 수용하도록 함몰부가 형성되는 내장 캡을 포함하는 스틱형 문구용품.
  6. 삭제
  7. 삭제
  8. 중공형의 하우징 몸체(110)와, 상기 하우징 몸체(110)의 일단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외삽되는 투명 색상의 하우징 캡(120)을 각각 준비하는 제1단계;
    상기 하우징 몸체(110)의 상기 일단부로 상기 하우징 캡(120)을 결합시키는 제2단계;
    상기 하우징 몸체(110)의 상기 일단부와 상기 하우징 캡(120)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 캡(120) 또는 하우징 몸체(110)의 내부에 심체(130) 제작을 위한 도포액을 충진시키는 제3단계;
    상기 하우징 몸체(110) 상에서 왕복 운동 가능한 이동부재(150)와, 상기 하우징 몸체(110)의 타단부에 결속된 채 상기 이동부재(150)와 연동되어, 상기 이동부재(150)를 조작 하기 위한 회전부재(140)를 상기 하우징 몸체(110) 상에 구비시키는 제4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부재(150)는 타단부가 상기 충진된 도포액에 침지되어 상기 도포액이 굳어짐으로써 상기 심체(130)와 결합되며,
    상기 이동부재(150)는,
    상기 회전부재(140)와 회전결합을 위해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나선축(152)과, 상기 나선축(152)의 길이방향에 형성되어 상기 심체(130)와 결합되는 결합축(151)과, 상기 나선축(152)과 상기 결합축(151) 사이에서 상기 결합축(151)과 상기 나선축(152)의 구획을 나누는 구획축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 몸체(110) 내주면 일측부 상에는 길이방향을 향하는 돌기(111)가 상호 대향하도록 두 개로 형성되고,
    상기 이동부재(150)의 구획축 외주면에는 상기 돌기(111)와 접하여 상기 이동부재(150)가 상기 하우징 몸체(110)의 내부에서 특정 구도로 위치되도록 가이드 하는 가이드돌기(153a)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축(151)의 외주면에는 상기 결합축(151)과 상기 심체(130) 상호간의 접촉 면적을 넓히기 위한 결합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 돌기(151a, 151b, 151c)는 상기 결합축(151) 외주면 둘레부 상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어 구비되며,
    상기 결합 돌기 중 제1 결합 돌기(151a)는 상기 결합축(151)의 외주면 둘레부를 따라 호형상으로 복수 형성되며,
    상기 결합 돌기 중 제2 결합 돌기(151b)는 상기 결합축(151)의 외주면 둘레부를 따라 호형상으로 복수 형성되되, 상기 제1 결합 돌기(151a)로부터 원주방향으로 회전된 상태의 영역에 위치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결합 돌기 중 제3 결합 돌기(151c)는 상기 결합축(151)의 외주면 둘레부를 따라 호형상으로 복수 형성되되, 상기 제2 결합돌기(151b)로부터 원주방향으로 회전된 상태의 영역에 위치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 결합 돌기(151a) 내지 상기 제3 결합 돌기(151c)는 평면 상에서 바라보았을 때 상호 간에 일치하지 않도록 배치되며,
    상기 가이드돌기(153a)는,
    상기 각 돌기(111)를 각각 가이드 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1 가이드돌기(153a11)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가이드돌기(153a11)는,
    상기 구획축 상에서 직선으로 형성되는 제1-1 직선부(L1-1)와, 상기 구획축 상에서 상기 제1-1 직선부(L1-1)의 단부로부터 상기 결합축(151)을 향하여 외측으로 절곡 형성되는 제1-1 절곡부(R1-1)가 구비되는 제1-1 가이드돌기(153a11)와,
    상기 구획축 상에서 직선으로 형성되는 제1-2 직선부(L1-2)와, 상기 구획축 상에서 상기 제1-2 직선부(L1-2)의 단부로부터 상기 결합축(151)을 향하여 외측으로 절곡 형성되는 제1-2 절곡부(R1-2)가 구비되는 제1-2 가이드돌기(153a12)를 포함하며,
    상기 제1-1 절곡부(R1-1)와 상기 제1-2 절곡부(R1-2)는 가상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호 대칭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1 절곡부(R1-1)와 상기 제1-2 절곡부(R1-2) 사이에는, 상기 제1-1 절곡부(R1-1)와 상기 제1-2 절곡부(R1-2)의 형상에 기반하여 양변이 내측으로 라운드지며 상기 결합축(151) 방향을 향하여 점진적으로 확장되는 삼각형 형상의 제1 수용영역(S1)이 형성되며,
    상기 이동부재(150)는,
    상기 하우징 몸체(110)에 내삽되면 상기 제1 가이드돌기(153a1)을 통해 상기 돌기(111) 중 어느 하나의 돌기(111)를 상기 제1 수용영역(S1) 내로 가이드하는 스틱형 문구용품 조립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는,
    상기 이동부재를 상기 하우징 몸체 내부에 삽입시킨 이후, 상기 회전부재를 상기 이동부재와 연동되도록 상기 하우징 몸체 내부에 삽입시키거나,
    상기 이동부재를 상기 회전부재와 결속 시킨 상태로 상기 하우징 몸체 내부에 삽입시키는 단계인 스틱형 문구용품 조립방법.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에 있어서,
    상기 심체는.
    상기 하우징 몸체와 상기 하우징 캡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도포액이 상기 하우징 몸체의 내부를 경유하여 상기 하우징 캡의 내부로 도포액이 주입되어, 상기 도포액이 상기 하우징 캡 또는 상기 하우징 몸체 내부의 일정 높이까지 충진된 이후, 상기 도포액이 굳어져 형성되는 스틱형 문구용품 조립방법.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는 축 방향을 따라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도포액에 침지되면, 상기 도포액 일부가 상기 관통공으로 유입되는 스틱형 문구용품 조립방법.
  12.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캡은,
    상기 하우징 캡의 일방과 타방 사이에 위치되며, 일방으로 상기 도포액을 수용하되, 상기 도포액을 통해 형성된 상기 심체를 수용하도록 함몰부가 형성되는 내장 캡을 포함하는 스틱형 문구용품 조립방법.
  13. 삭제
  14. 삭제
KR1020160054613A 2016-05-03 2016-05-03 스틱형 문구용품 및 그 조립방법 KR1018202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4613A KR101820287B1 (ko) 2016-05-03 2016-05-03 스틱형 문구용품 및 그 조립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4613A KR101820287B1 (ko) 2016-05-03 2016-05-03 스틱형 문구용품 및 그 조립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4782A KR20170124782A (ko) 2017-11-13
KR101820287B1 true KR101820287B1 (ko) 2018-01-19

Family

ID=603859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4613A KR101820287B1 (ko) 2016-05-03 2016-05-03 스틱형 문구용품 및 그 조립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028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97773A (ja) * 2002-09-06 2004-04-02 Amos Corp 棒状の芯材を有する筆記具及びその芯材の形成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97773A (ja) * 2002-09-06 2004-04-02 Amos Corp 棒状の芯材を有する筆記具及びその芯材の形成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4782A (ko) 2017-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60679B1 (en) Dispenser with replaceable cosmetic holder
JP2022020845A (ja) ノック式筆記具
CN105109236B (zh) 书写用具
US7237970B2 (en) Marker pens
US6382860B1 (en) Safety knock-type writing utensil
KR101820287B1 (ko) 스틱형 문구용품 및 그 조립방법
US7730578B1 (en) Removable eraser for a pencil
US8500353B2 (en) Draw-out type solid marker
US20150098746A1 (en) Retractable cosmetic pencil
WO2019203032A1 (ja) 筆記具及び筆記具セット
JP6143429B2 (ja) 筆記具
JP3854483B2 (ja) 塗布具
JP2000236944A (ja) 棒状化粧材繰出容器
US6224281B1 (en) Cosmetic pencil cartridge having a replaceable auxiliary holder
JP2019048049A (ja) 棒状化粧料繰出容器
KR102576117B1 (ko) 관절부가 구비된 3d 프린터 조형물 제조방법
JP2007261056A (ja) 合成樹脂製ペン先
JP3183953U (ja) ノック式多色ペン
JPH08175084A (ja) 可変キャラクター表示装置
CN209955593U (zh) 一种趣味变色彩笔
JPH0745357Y2 (ja) ノック式筆記具
US2212573A (en) Lipstick holder
KR200348249Y1 (ko) 다각형 단면 형상의 심을 가지는 회전 인출식 색연필
KR200320949Y1 (ko) 다각형 단면 형상의 심을 가지는 회전 인출식 색연필
JPS6325181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