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18638A - 무인 교량점검차량 - Google Patents

무인 교량점검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18638A
KR20040018638A KR1020020050370A KR20020050370A KR20040018638A KR 20040018638 A KR20040018638 A KR 20040018638A KR 1020020050370 A KR1020020050370 A KR 1020020050370A KR 20020050370 A KR20020050370 A KR 20020050370A KR 20040018638 A KR20040018638 A KR 200400186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m
stage
longitudinal direction
tip
cylinder mechanis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03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85818B1 (ko
Inventor
엄현식
Original Assignee
씨에스기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에스기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씨에스기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503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5818B1/ko
Publication of KR200400186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86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58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58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E01D19/106Movable inspection or maintenance platforms, e.g. travelling scaffolding or vehicles specially designed to provide access to the undersides of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인 교량점검차량에 관한 것으로, 베이스부(11)와, 상기 베이스부(11)의 일측에 링크부재(12)에 의해 절첩가능하게 연결되는 1쌍의 아웃트리거(15) 및, 상기 베이스부(11)의 상부에 설치된 컬럼(20), 상기 컬럼(20)의 선단에 선회가능하게 힌지결합된 제1단붐(30), 상기 제1단붐(30)의 선단에 선회가능하게 힌지결합된 제2단붐(40), 상기 제2단붐(40)에 신장가능하게 결합된 제2단신축붐(50), 상기 제2단신축붐(50)의 선단에 선회가능하게 힌지결합된 제3단붐(60), 상기 제3단붐(60)에 신장가능하게 결합된 제3단신축붐(70), 상기 제3단신축붐(70)의 선단에 선회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이송부재(80), 상기 이송부재(8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카메라장치(90)를 포함하여, 교량의 점검작업을 간편하게 할 수 있고, 작업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비의 하중을 줄여 차량을 소형화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무인 교량점검차량{ A vehicle inspecting a bridge }
본 발명은 교량을 점검하는 특수차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점검차량은 교량의 상부에 정차하거나 이동하며 교량하부의 이상유무를 점검하는 차량으로, 작업자의 육안으로 이상유무를 관찰하여 왔다.
종래의 교량점검차량은 붐의 선단에 고소작업을 위해 작업자를 탑승시키는 바스켓을 장착하여 안전사고의 위험이 큰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교량점검차량은 작업자의 하중과 바스켓을 지지하기 위해 붐이 대형화되고 그로 인해 차체가 대형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우기, 차량의 대형화로 인해 교량점검시 도로의 점유면적이 넓어 교통장애를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의 제반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카메라장치를 이용하여 점검작업을 함으로써 작업의 안전성을 높이고 장비의 하중을 줄여 차량을 소형화할 수 있는 무인 교량점검차량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에 링크부재에 의해 절첩가능하게 연결되는 1쌍의 아웃트리거 및,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 설치된 컬럼, 상기 컬럼의 선단에 선회가능하게 힌지결합된 제1단붐, 상기 제1단붐의 선단에 선회가능하게 힌지결합된 제2단붐, 상기 제2단붐에 신장가능하게 결합된 제2단신축붐, 상기 제2단신축붐의 선단에 선회가능하게 힌지결합된 제3단붐, 상기 제3단붐에 신장가능하게 결합된 제3단신축붐, 상기 제3단신축붐의 선단에 선회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이송부재, 상기 이송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카메라장치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제2단신축붐에 의해 상기 카메라장치와 교량의 저면과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고, 상기 제3단신축붐에 의해 교량 하부의 중심부쪽으로 이동하는 거리를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이송부재에 의해 이송부재가 회전하는 반경범위 내에서 촬영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인 교량점검차량을 나타낸 일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단붐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일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단붐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일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단신축붐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일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단붐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일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단신축붐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일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이송부재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아웃트리거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일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차체프레임 11 : 베이스부
12 : 링크부재 13 : 제1실린더기구
15 : 아웃트리거 20 : 컬럼
30 : 제1단붐 31 : 제2실린더기구
40 : 제2단붐 41 : 제3실린더기구
50 : 제2단신축붐 51 : 제4실린더기구
60 : 제3단붐 61 : 제5실린더기구
70 : 제3단신축붐 71 : 제6실린더기구
80 : 이송부재 81 : 회전축
82 : 구동모터 83 : 카메라 안내홈
84 : 구동스프라켓 85 : 종동스프라켓
86 : 이송와이어 87 : 이송모터
90 : 카메라장치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인 교량점검차량을 나타낸 일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단붐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일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단붐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일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단신축붐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일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단붐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일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단신축붐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일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이송부재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아웃트리거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일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무인 교량점검차량은, 베이스부(11)와, 상기 베이스부(11)의 일측에 링크부재(12)에 의해 절첩가능하게 연결되는 1쌍의 아웃트리거(15) 및, 상기 베이스부(11)의 상부에 설치된 컬럼(20), 상기 컬럼(20)의 선단에 선회가능하게 힌지결합된 제1단붐(30), 상기 제1단붐(30)의 선단에 선회가능하게 힌지결합된 제2단붐(40), 상기 제2단붐(40)에 신장가능하게 결합된 제2단신축붐(50), 상기 제2단신축붐(50)의 선단에 선회가능하게 힌지결합된 제3단붐(60), 상기 제3단붐(60)에 신장가능하게 결합된 제3단신축붐(70), 상기 제3단신축붐(70)의 선단에 선회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이송부재(80), 상기 이송부재(8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카메라장치(90)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부(11)는 차량의 차체프레임(10) 상부에 고정설치되어 아웃트리거(15)와 다수개의 붐을 지지하게 된다.
상기 아웃트리거(15)는 상기 베이스부(11)의 좌우양측으로 링크부재(12)에 의해 절첩가능하게 결합되어 베이스부(11)를 지면에 대하여 지지하게 된다.
상기 각 링크부재(12)는 상기 베이스부(11)의 좌우양측에 제1실린더기구(13)에 의해 각각 선회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각 선단에 아웃트리거(15)가 링크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제1실린더기구(13)의 신축작용으로 링크부재(12)가 선회함에 따라 아웃트리거(15)가 링크부재(12)에 포개어지거나 펼쳐지게 된다.
상기 컬럼(20)은 상기 베이스부(11)의 상부에 연직방향으로 대략 수직하게 설치되되, 축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붐들을 지지하면서 위치를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제1단붐(30)은 상기 컬럼(20)의 선단에 상하방향으로 선회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제2실린더기구(31)에 의해 선회하게 된다.
상기 제2단붐(40)은 상기 제1단붐(30)의 선단에 선회가능하게 힌지결합되어 제1단붐(30)에 대하여 절첩가능하게 되고, 제3실린더기구(41)에 의해 선회하게 된다.
상기 제2단신축붐(50)은 상기 제2단붐(40)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이동가능하게 끼워지고, 제4실린더기구(51)에 의해 제2단붐(40)의 길이방향으로 신장되거나 신축하게 된다.
상기 제3단붐(60)은 상기 제2단신축붐(50)의 선단에 선회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제5실린더기구(61)에 의해 선회하게 된다.
상기 제3단신축붐(70)은 상기 제3단붐(60)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이동가능하게 끼워지고, 제6실린더기구(71)에 의해 제3단붐(60)의 길이방향으로 신장되거나 신축하게 된다.
상기 이송부재(80)는 상기 제3단신축붐(70)의 선단에 축회전가능하게 결합되되, 교량의 저면에 대하여 대략 수평한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이송부재(80)는 그 회전축(81)이 회전모터(82)에 의해 구동되어 회전하게 되고, 일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카메라 안내홈(83)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카메라 안내홈(83)의 내측에 구동스프라켓(84)과 종동스프라켓(85)이 축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그 구동스프라켓(84)과 종동스프라켓(85)의 외주면에 이송와이어(86)가 무한궤도식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종동스프라켓(85)을 구동시키는 이송모터(87)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카메라장치(90)는 교량의 하부를 촬영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이송부재(80)의 카메라 안내홈(83)에 슬라이드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이송와이어(86)에 고정결합되어 이송와이어(86)의 이동과 함께 이송부재(8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즉, 상기 카메라장치(90)는 상기 이송부재(80)의 선회운동에 의해 위치를 이동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송부재(8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이송부재(80)의 반경범위내에서는 임의의 위치로 이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제2단신축붐(50)에 의해 상기 카메라장치(90)와 교량의 저면과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게 되며, 상기 제3단신축붐(70)에 의해 교량 하부의 중심부쪽으로 이동하는 거리를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이송부재(80)에 의해 이송부재(80)가 회전하는 반경범위 내에서 촬영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인 교량점검차량에 의하면, 카메라장치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점검작업을 할 수 있고, 작업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비의 하중을 줄여 차량을 소형화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점검작업시의 도로점유면적을 줄여 교통장애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차체프레임(10)의 상부에 고정설치되는 베이스부(11)와;
    상기 베이스부(11)의 일측에 선회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1쌍의 링크부재(12)와;
    상기 각 링크부재(12)의 선단에 절첩가능하게 연결되는 1쌍의 아웃트리거(15) 및;
    상기 베이스부(11)의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선회가능하게 설치된 컬럼(20);
    상기 컬럼(20)의 선단에 제1실린더기구(13)에 의해 선회가능하게 힌지결합된 제1단붐(30);
    상기 제1단붐(30)의 선단에 제2실린더기구(31)에 의해 선회가능하게 힌지결합된 제2단붐(40);
    상기 제2단붐(40)에 그 길이방향으로 신장가능하게 결합된 제2단신축붐(50);
    상기 제2단신축붐(50)의 선단에 선회가능하게 힌지결합된 제3단붐(60);
    상기 제3단붐(60)에 그 길이방향으로 신장가능하게 결합된 제3단신축붐(70);
    상기 제3단신축붐(70)의 선단에 선회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이송부재(80);
    상기 이송부재(8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카메라장치(90);를 포함하는 무인 교량점검차량.
KR10-2002-0050370A 2002-08-26 2002-08-26 무인 교량점검차량 KR1004858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0370A KR100485818B1 (ko) 2002-08-26 2002-08-26 무인 교량점검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0370A KR100485818B1 (ko) 2002-08-26 2002-08-26 무인 교량점검차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8638A true KR20040018638A (ko) 2004-03-04
KR100485818B1 KR100485818B1 (ko) 2005-04-28

Family

ID=37323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0370A KR100485818B1 (ko) 2002-08-26 2002-08-26 무인 교량점검차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5818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99914A (zh) * 2010-11-30 2011-09-28 大连华锐股份有限公司 铁路桥梁检测小车
CN103321147A (zh) * 2013-07-11 2013-09-25 济南金力液压机械有限公司 路桥检测作业平台
CN104195943A (zh) * 2014-09-10 2014-12-10 江西中煤建设集团有限公司 可实时传输视频的桥梁检查装置
CN107604814A (zh) * 2017-09-05 2018-01-19 重庆红岩建设机械制造有限责任公司 一种混凝土铁路桥专用检查车及其实现方法
CN114738624A (zh) * 2022-06-13 2022-07-12 辽宁省交通规划设计院有限责任公司 一种桥梁检测装置及检测方法
CN116084278A (zh) * 2023-04-10 2023-05-09 交通运输部公路科学研究所 一体式模块化桥梁检测作业机器人平台及检测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5881B1 (ko) 2012-08-06 2012-12-03 재단법인 한국재난연구원 절첩식 교량의 상판 안전진단 장치
KR101204982B1 (ko) 2012-08-06 2012-11-26 재단법인 한국재난연구원 교량의 상판 안전진단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099935B1 (de) * 1982-07-27 1985-11-06 Friedrich Wilh. Schwing GmbH Einstellbare Personenplattform
US4646875A (en) * 1985-12-30 1987-03-03 Paxton-Mitchell Company Articulated boom structure
JPS6331110U (ko) * 1986-08-18 1988-02-29
IT1222691B (it) * 1987-09-18 1990-09-12 Cella Spa Gru a braccio snodato capace di raggiungere zone disposte dietro un ingombro
JP2503133Y2 (ja) * 1990-03-16 1996-06-26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橋梁添架設備点検装置
JP2602966Y2 (ja) * 1993-12-28 2000-02-07 三井造船株式会社 橋体調査装置
JP3911367B2 (ja) * 1999-07-02 2007-05-09 川田工業株式会社 高架構造物用下面点検装置
KR20040019143A (ko) * 2002-08-26 2004-03-05 씨에스기계 주식회사 교량의 무인점검장치
KR102167727B1 (ko) * 2017-06-21 2020-10-20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드로소필라 멜라노개스터 s2를 이용한 메르스 항원 단백질 생산방법
KR102172263B1 (ko) * 2019-06-17 2020-10-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동식 압축기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99914A (zh) * 2010-11-30 2011-09-28 大连华锐股份有限公司 铁路桥梁检测小车
CN102199914B (zh) * 2010-11-30 2012-07-25 大连华锐重工集团股份有限公司 铁路桥梁检测小车
CN103321147A (zh) * 2013-07-11 2013-09-25 济南金力液压机械有限公司 路桥检测作业平台
CN104195943A (zh) * 2014-09-10 2014-12-10 江西中煤建设集团有限公司 可实时传输视频的桥梁检查装置
CN107604814A (zh) * 2017-09-05 2018-01-19 重庆红岩建设机械制造有限责任公司 一种混凝土铁路桥专用检查车及其实现方法
CN114738624A (zh) * 2022-06-13 2022-07-12 辽宁省交通规划设计院有限责任公司 一种桥梁检测装置及检测方法
CN114738624B (zh) * 2022-06-13 2022-09-23 辽宁省交通规划设计院有限责任公司 一种桥梁检测装置及检测方法
CN116084278A (zh) * 2023-04-10 2023-05-09 交通运输部公路科学研究所 一体式模块化桥梁检测作业机器人平台及检测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85818B1 (ko) 2005-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226438B (zh) 隧道检查作业装置
CN107215827B (zh) 隧道检查作业装置
KR100485818B1 (ko) 무인 교량점검차량
JPH11310396A (ja) 移動式昇降作業台用垂直マストの横ジブ
CN113548579A (zh) 一种可折叠门式起重机
US3631939A (en) Mobile aerial tower
JPH05179616A (ja) 橋梁点検車
JPH07125986A (ja) 水平ブームの張り出し、格納装置
JP4804123B2 (ja) 作業車両の支持装置
KR101741372B1 (ko) 농업용 고소작업차량의 붐대 선회구조
JPH01248919A (ja) 高架線移動装置
KR102176071B1 (ko) 승하강이 가능한 차량용 다관절 루프캐리어
SU1539162A1 (ru) Портальный кран
JP3999697B2 (ja) アウトリガジャッキ
CN219045100U (zh) 一种架桥机后支腿
CN216829320U (zh) 一种焊接台
JP3602666B2 (ja) 高所作業車の作業台昇降装置
KR100498884B1 (ko) 검사용 타이어 림의 교체장치
JP4913283B2 (ja) 高所作業車
JPH0655470A (ja) 箱型構造体内作業ロボットの移動装置
JP2001049999A (ja) 補強用セグメント組立装置
JPS58565Y2 (ja) 輪距可変の作業車両
JPH08143287A (ja) 高所作業車
JP3898950B2 (ja) ブームの送油装置
JP2004115259A (ja) 高所作業車の作業台昇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