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6071B1 - 승하강이 가능한 차량용 다관절 루프캐리어 - Google Patents

승하강이 가능한 차량용 다관절 루프캐리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6071B1
KR102176071B1 KR1020190098445A KR20190098445A KR102176071B1 KR 102176071 B1 KR102176071 B1 KR 102176071B1 KR 1020190098445 A KR1020190098445 A KR 1020190098445A KR 20190098445 A KR20190098445 A KR 20190098445A KR 102176071 B1 KR102176071 B1 KR 1021760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ember
rotation
shaft
power transmission
transmission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84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남호
Original Assignee
윤남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남호 filed Critical 윤남호
Priority to KR10201900984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6071B1/ko
Priority to US17/619,988 priority patent/US11827183B2/en
Priority to CN202080043578.9A priority patent/CN113993745A/zh
Priority to EP20832684.3A priority patent/EP3992034A4/en
Priority to PCT/KR2020/008209 priority patent/WO2020262953A1/ko
Priority to JP2021576288A priority patent/JP7271857B2/ja
Priority to CA3164211A priority patent/CA3164211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60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60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00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 B60R9/04Carriers associated with vehicle roof
    • B60R9/042Carriers characterised by means to facilitate loading or unloading of the load, e.g. rollers, track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00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 B60R9/04Carriers associated with vehicle roof
    • B60R9/045Carriers being adjustable or transformable, e.g. expansible, collap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0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 F16H1/1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 F16H1/1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comprising conical gears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6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원발명은 차량용 다관절 루프캐리어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적어도 회동부재, 경사부재, 수직부재, 수평부재로 이루어져 차량의 후면을 따라서 루프위치에서 적재위치로 위치이동이 가능한 것이다.
차량루프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차량의 루프를 보호하는 하부프레임(110); 상기 하부프레임(110)에 고정결합되는 고정축(310); 상기 고정축에 후단이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회동지지부재(210); 상기 회동지지부재(210)가 상기 고정축을 중심으로 회동되도록 구동력을 부여하는 액추에이터(400); 상기 회동지지부재(210)의 선단에 제1회전축(320)에 의해서 후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경사지지부재(220); 상기 경사지지부재(220)의 선단에 제2회전축(330)에 의해서 후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하향지지부재(230); 상기 하향지지부재(230)의 선단에 구비된 제3회전축(340)에 고정결합되어 일체로 회동되는 수평지지부재(240);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승하강이 가능한 차량용 다관절 루프캐리어{A LIFTING ROOF CARRIER FOR VEHICLE}
본원발명은 차량용 다관절 루프캐리어에 관한 것으로서, 적어도 회동지지부재, 경사지지부재, 하향지지부재, 수평지지부재로 이루어져 차량의 후면을 따라서 미려하게 적재위치로 펼쳐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루프에 적재물을 적재하기 위해서는 사용되는 차량용 루프캐리어는 루프랙이라 불리는 지붕에 고정되는 형태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루프랙에 적재물을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통해서 차량 루프에 단단히 고정하게 된다.
그러나, 차량의 루프는 차량의 높이로 적재물을 올리는 것도 번거롭고 이를 고정하는 것도 번거롭다. 차량희 하부에서 적재하고 자동으로 차량의 루프로 이동시킬 수 있는 적재장치가 요구된다. 이러한 번거로운 작업을 용이하게 대체할 수 있는 다관절 루프캐리어가 선행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선행문헌 1의 2관절 루프캐리어(랙)은 차량의 측면으로 이송되면서 적재되는데, 차량의 루프에 고정되는 베이스레일, 상기 베이스레일에 대해서 피벗회전하는 레버바, 상기 레버바에 대해서 피벗회전하는 암바로 이루어진 루프랙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선행문헌 1의 종래기술에 의하면 암바가 자동으로 차량 측면으로 이동하게 되면, 사용자가 적재물을 적재하고 다시 자동으로 루프에 탑재 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루프랙은 상기 베이스레일에 연장된 레버바와 암바가 기어와 연결수단에 의해서 승하강위치를 변경하는 것으로서, 베이스레일의 단부에 레버바의 일단이 피봇회전하게 되므로, 레버바가 차량 측면의 곡면부에 접촉될 우려가 있게 된다. 특히, 레버바가 수직하부로 향하게 될 때는 더욱 그러한 문제가 발생하게 되어서, 레버바를 차량의 측면에 접촉되지 않는 정도의 위치에서 암바에 적재물을 적재해야 한다.
이러한 경우, 암바의 위치가 상당히 높은 위치에 있게 되고 무거운 적재물을 적재하는데 어려움이 있게 된다. 레버바가 차량의 측면과 접촉됨이 없이 수직하향되는 상태로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베이스레일의 단부가 차량의 측부으로 충분히 돌출되어야 하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다관절의 레버바를 구비하면서 동시에 암바를 동일하게 수평을 유지하도록 하는 기구학적, 구조적, 역학적 구성을 개발하여야 한다.
선행문헌 : 한국특허공개공보 10-2014-0095494 (2014. 8. 1. 공개)
본원 발명은 차량의 루프에 탑재될 수 있는 차량용 다관절 루프캐리어에 관한 것으로서, 루프위치와 지상위치 사이에서 루프캐리어의 승하강이 가능하여 적재물을 용이하게 지상위치에서 루프위치로, 루프위치에서 지상위치로 이송시킬 수 있는 루프캐리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원 발명은 차량의 루프에 장착하였을 때, 차량 후면의 만곡면과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루프캐리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원 발명은 차량의 루프에 장착된 상태에서 외관뿐만 아니라 적재위치에서 관절의 외관이 미려하게 구성될 수 있는 차량용 루프캐리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원 발명은,
차량루프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차량의 루프를 보호하는 하부프레임(110); 상기 하부프레임(110)에 고정결합되는 고정축(310); 상기 고정축에 후단이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회동지지부재(210); 상기 회동지지부재(210)가 상기 고정축을 중심으로 회동되도록 구동력을 부여하는 액추에이터(400); 상기 회동지지부재(210)의 선단에 제1회전축(320)에 의해서 후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경사지지부재(220); 상기 경사지지부재(220)의 선단에 제2회전축(330)에 의해서 후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하향지지부재(230); 상기 하향지지부재(230)의 선단에 구비된 제3회전축(340)에 고정결합되어 일체로 회동되는 수평지지부재(240);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회전축(320)의 외주에서 회전하며 상기 경사지지부재와 일체로 결합되는 제1아우터회전부재(321); 상기 제1회전축(320)의 중심을 관통하여 회전하되 상기 제1아우터회전부재와 일체로 회전하도록 고정되는 이너회전부재(322); 상기 고정축(310)과 상기 제1아우터회전부재(321) 사이를 연결하도록 회동지지부재(210) 내부에 구비된 제1동력전달수단(350); 상기 고정축(310)과 상기 제1회전축(320) 사이를 연결하도록 회동지지부재(210) 내부에 제1동력전달수단(350)에 평행하게 구비되는 제2동력전달수단(360); 상기 이너회전부재(322)의 회동을 제2회전축을 감싸는 제2아우터회전부재에 전달하되 상기 경사지지부재(220) 내부에 구비되는 제3동력전달수단(370); 상기 제1회전축과 상기 제2회전축 사이를 연결하는 제4동력전달수단(380); 상기 하향지지부재(230) 내부에서 상기 제2회전축과 제3회전축 사이를 연결하는 제5동력전달수단(390);를 포함한다.
본원 발명은 차량의 루프위치에서 차량후방의 적재위치로 펼쳐지거나 접혀지면서 승하강이 가능한 루프캐리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의 후방면의 곡선을 따라서 지지부재들이 펼쳐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 발명은 경사지지부재를 구비하여 루프의 후방에 수평으로 펼쳐지는 회동지지부재와 하향지지부재 사이에 모따기와 같은 형태로 경사각을 가지도록 구비되는 경사지지부재가 마련되어서 적재위치에서 지지부재들이 더욱 미려하게 펼쳐지게 된다.
도 1은 본원 발명에 따른 루프캐리어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개념도
도 2는 본원 발명에 따른 루프캐리어의 평면 배치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회동지지부재 액추에이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각 지지부재의 동력전달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각 지지부재 및 동력전달수단의 배치관계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각 지지부재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상부프레임의 회전구동을 위한 구동수단을 도시한 도면
도 1은 본원 발명에 따른 루프캐리어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즉, 본원 발명은 크게, 프레임, 관체형상의 회동지지부재(210), 경사지지부재(220), 하향지지부재(230), 수평지지부재(240) 그리고 회동지지부재(210)를 고정축에 대해서 회동시키는 액추에이터(400)를 포함한다.
아래 설명에서 '루프위치'란 본원발명이 루프의 프레임 내부에 위치한 상태를 의미하며, '적재위치'란 본원발명이 루프의 프레임 내부에서 펼쳐져서 차량의 후방으로 회전되어 적재물을 적재할 수 있는 상태의 위치를 말한다.
본원 발명은 차량의 루프에 화물을 적재하기 위한 다관절 루프캐리어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루프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차량의 루프를 보호하는 하부프레임(110); 상기 하부프레임(110)에 고정결합되는 고정축(310); 상기 고정축에 후단이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회동지지부재(210); 상기 회동지지부재(210)가 상기 고정축을 중심으로 회동되도록 구동력을 부여하는 액추에이터(400); 상기 회동지지부재(210)의 선단에 제1회전축(320)에 의해서 후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경사지지부재(220); 상기 경사지지부재(220)의 선단에 제2회전축(330)에 의해서 후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하향지지부재(230); 상기 하향지지부재(230)의 선단에 구비된 제3회전축(340)에 고정결합되어 일체로 회동되는 수평지지부재(240);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회전축(320)의 외주에서 회전하며 상기 경사지지부재와 일체로 결합되는 제1아우터회전부재(321); 상기 제1회전축(320)의 중심을 관통하여 회전하되 상기 제1아우터회전부재와 일체로 회전하도록 고정되는 이너회전부재(322); 상기 고정축(310)과 상기 제1아우터회전부재(321) 사이를 연결하도록 회동지지부재(210) 내부에 구비된 제1동력전달수단(350); 상기 고정축(310)과 상기 제1회전축(320) 사이를 연결하도록 회동지지부재(210) 내부에 제1동력전달수단(350)에 평행하게 구비되는 제2동력전달수단(360); 상기 이너회전부재(322)의 회동을 제2회전축을 감싸는 제2아우터회전부재에 전달하되 상기 경사지지부재(220) 내부에 구비되는 제3동력전달수단(370); 상기 제1회전축과 상기 제2회전축 사이를 연결하는 제4동력전달수단(380); 상기 하향지지부재(230) 내부에서 상기 제2회전축과 제3회전축 사이를 연결하는 제5동력전달수단(3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 2에 의하여 기초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원 발명은 차량의 루프에 적재물을 적재하기 위한 프레임(100) 구조를 포함한다. 즉, 프레임은 하부프레임(110)과 상부프레임(120)으로 이루어진다.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은 하우징구조를 가지도록 함으로써, 상부프레임이 하부프레임의 상부에 안착되도록 하고 양 프레임 사이에 복수의 지지부재들이 안착된다. 그럼으로써, 전체적으로 일체의 형상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상부프레임의 상부에는 적재물을 흔들리지 않도록 지지하는 고정바(130)를 포함하게 된다.
차량의 루프에 결합되는 하부프레임(110), 상기 하부프레임에는 회동지지부재와 경사지지부재, 하향지지부재, 수평지지부재가 순차적으로 안착되되, 회동지지부재는 그 일단이 하부프레임의 일단에 고정되는 축, 즉 고정축에 대해서 회동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고정축(310)을 중심으로 회동된다.
상부프레임은 상기 하부프레임 위에 안착되는 구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은 서로 한쌍을 형성하여 상부프레임이 하부프레임에 안착된 상태에서는 내부의 지지부재들이 겉으로 보이지 않게 되어 깔끔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2, 3에 기초하여 각 지지부재의 배치구조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고정축(310)은 하부프레임의 일단에 고정되는 축으로서, 상기 고정축은 상기 하부프레임에 대해서 회동하지 않고 고정된다. 상기 고정축에 대해서 회동되도록 회동지지부재의 후단이 결합된다. 상기 고정축의 견고한 고정을 위해서 상기 고정축은 차량의 루프에 대해서 고정되도록 루프랙 또는 브라켓 등에 고정된 상태로 결합된다. 이에 따라 상기 고정축은 회동하지 않고 상기 고정축을 중심으로 회동지지부재가 회동한다. 상기 고정축에는 기어 또는 스프로킷에 결합되어 동력을 전달할 수 있게 한다.
상기 하부프레임의 후단에는 고정축이 견고하게 고정결합되고, 회동지지부재(210)후단이 상기 고정축(310)을 중심으로 회동되도록 결합된다. 상기 회동지지부재는 엑츄에이터(400)에 의해서 회동된다. 경사지지부재(220)는 제1회전축(320)에 의해서 회동지지부재에 회전되도록 연결되며, 하향지지부재(230)는 제2회전축(330)에 의해서 상기 경사지지부재에 회전되도록 연결된다. 수평지지부재(240)는 제3회전축(340)에 의해서 상기 하향지지부재(230)에 회전되도록 연결된다.
도 3에서와 같이, 루프캐리어의 기구적 동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구적 설계가 요구된다. 즉, 회동지지부재(210)는 후단을 관통하는 고정축에 대해서 회동가능해야 하고, 그 회동을 위한 구동수단은 다양한 방식으로 선택될 수 있다. 즉, 전기모터와 감속기, 유압피스톤과 크랭크, 래크와 피니언, 베벨기어 등 통상적으로 채용되는 구동수단에 의해서 회동지지부재(210)는 고정축을 중심으로 회동된다. 도면에서는 상기 회동지부재(210)를 고정축에 대해서 회동시키는 액추에이터(400)는 유압피스톤(420)과 크랭크(430)로 구동되고, 그밖에 주지관용적으로 사용되는 다양한 수단으로 치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4의 도면에 의해서 각 구성들의 배치관계를 살펴본다.
각 지지부재는 한쌍의 양쪽에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즉 회동지지부재는 고정축에 회동하도록 배치되되, 한쌍이 양쪽에 배치되고, 경사지지부재, 하향지지부재 역시 한쌍이 배칭이 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양 하향지지부재 사이에 반대방향으로 배치되는 수평지지부재가 가운데 배치된다. 양 회동지지부재는 사이에 구비되는 크로스바에 의해서 함께 되면서 힘을 지지하도록 한다. 이 모든 지지부재들은 하부프레임 상에 배치되고, 상기 지지부재들을 덮도록 상기 하부프레임위에 상부프레임이 마련된다. 상기 상부프레임은 상기 수평지지부재 위에 고정된다. 제1회전축 주위를 감싸는 제1아우터회전부재는 적어도 45도 이상의 일측이 개방되어 체인을 연결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아우터회전부재(321)는 이너회전부재(322)와 결합되되, 상기 제1아우터회전부재의 개방되지 않은 부분을 통해서 고정결합된다.
상기 고정축과 상기 제1아우터회전부재는 제1링크로드에 의해서 연결되되, 구체적으로 사이에 구비된 중간기어(352)와 상기 제1아우터회전부재가 제1링크로드에 의해서 연결된다. 상기 중간기어는 회전방향을 바꾸어주는 역할을 한다.
도 5 및 도 6에 의해서 본원 발명의 각 지지부재의 세부 구성 및 작동을 설명한다.
각 지지부재의 회동각을 결정하는 것은 각 지지부재 내부에 마련되는 각 동력전달수단에 의한 것이다. 회동지지부재(210)는 고정축(310)에 대해서 일단이 회동하도록 장착되고, 타단은 경사지지부재의 일단과 함께 제1회전축에 의해서 축지지된다. 회동지지부재와 경사지지부재 사이에는 제1회전축, 그리고 상기 제1회전축을 감싸는 아우터회전축, 상기 제1회전축을 내부를 관통하는 동심의 이너회전축이 구비된다. 즉, 아우터회전부재는 고정축과의 사이에 구비된 중간기어와, 링크로드로 연결되어 있어서 상대회전이 가능하며, 고정축의 고정기어(351)와 중간기어(352) 사이의 기어비에 의해서 제1아우터회전부재(321)의 회전량이 결정된다. 궁극적으로 제1아우터회전부재(321)는 상기 회동지지부재(210)에 대해서 45도만큼 더 회전되도록 기어비를 맞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상기 제1아우터회전부재에 대해서 고정결합되는 경사지지부재는 동일하게 45도만큼 상대 회전하게 된다.
다시 설명하면, 회동지지부재가 고정축에 대해서 180도 회전할때, 제1아우터회전부재와 상기 제1아우터회전부재에 직결되어 있는 경사지지부재는 회동지지부재에 대해서 45도 더 회동되는데 이는 절대좌표상으로, 제1아우터회전부재와 경사지지부재는 225도 회전하여 지면을 향하여 하향하게 된다.
상기 아우터회전부재 및 경사지지부재는 제1동력전달부의 기어비에 의해서 회전량이 결정된다. 바람직하게. 제1동력전달부의 기어비는 1:4 이다. 즉 회동지지부재가 1/2 바퀴 즉 180도 회전될때, 경사지지부재는 1/8바퀴, 즉 45도 더 회동하게 되는 것이 좋다. 물론 경사지지부재는 45도 내외가 될 수 있다. 제1아우터회전부재의 일측에 경사지지부재의 후단이 일체로 결합되도록 하여, 회동지지부재의 선단이 180도 회전하여 차량의 후방을 향하여 수평방향을 향하게 되고, 제1아우터회전부재에 일체로 결합된 경사지지부재의 선단부는 하방과 수평방향 사이에 경사각을 이루도록 한다.
하향지지부재(230)는 상기 경사지지부재(220)의 선단에 회동되도록 결합되되, 상기 하향지지부재(230)는 적재위치에서 상기 경사지지부재(220)에 대해서 소정각도 상대회전하여 지면을 향하게 된다. 경사지지부재 내부에는 상기 이너회전부재(322)와 제2회전축(330)의 외주에 구비되는 제2아우터회전부재(331) 사이를 연결하는 제2링크로드(371)가 구비된다. 상기 하향지지부재(230)는 상기 이너회전부재(322)와 제2회전축(330)의 외주에 배치되는 제2아우터회전부재(331) 사이를 연결하는 제2링크로드(371)에 의해서 구동된다. 제2아우터회전부재(331)는 상기 하향지지부재(230)와 직결된다. 그러므로 제2아우터회전부재의 회전각도만큼 하향지지부재 역시 회전된다. 이때 상기 이너회전부재와 제2아우터회전부재의 회전비는 서로 동일하다. 따라서 이너회전부재가 45도 회전할 때 제2아우터회전부재도 45도만큼 상대 회전한다. 결과적으로 제2아우터회전부재에 고정결합되는 하향지지부재는 45도만큼 회전하게 되어서 지면을 향하게 된다. 하향지지부재(230)의 회전각도는 이너회전부재와 제2아우터회전부재 사이의 직경비에 의해서 다소 조절될 수 있다.
하향지지부재(230)의 선단에는 제3회전축(340)이 구비되되, 수평지지부재(240)가 제3회전축에 일체로 결합되며 항시적으로 수평상태를 유지하므로, 수평지지부재(240)가 적재물을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3회전축(340)과 함께 수평지지부재(240)는 루프위치와 적재위치에서 항상 수평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회동지지부재(210)가 펼쳐진 위치가 어떤 위치라고 하더라도 수평지지부재는 항시적으로 수평상태를 유지한다. 수평지지부재를 제3회동축과 일체로 함에 있어서, 상기 제3회동축에 관통공을 형성하고 상기 수평지지부재가 관통하여 결합하도록 일체화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서 고정축(310)에 고정된 스프로킷(361)과 상기 제1회전축의 스프로킷(361)은 제2동력전달수단에 의해서 연결된다. 즉, 양 스프로킷을 연결하는 체인(362)에 의해서 회동지지부재가 펼쳐지게 되면서 제1회전축을 회동시키게 되고, 제1회전축은 제4동력전달수단에 의해서 제2회전축을 구동하게 된다. 즉, 제1회전축과 제2회전축도 체인(382)과 스프로킷(381)에 의해서 연결된다. 이때 고정축과 제1회전축, 그리고 제2회전축은 모두 동일한 직경비율의 스프로킷을 구비하고 체인에 의해서 연결된다.
그리고 제2회전축의 회전력은 제5동력전달수단 즉, 베벨기어와 전달축에 의해서 제3회전축으로 동력이 전달된다. 베벨기어(391, 393)는 동일한 기어비로 회동된다. 따라서 제2회전축과 제3회전축은 동일한 각도로 회전력을 전달한다.
이와 같이 제2동력전달수단, 제4동력전달수단, 제5동력전달수단은 수평지지부재를 일정한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회전량을 전달하게 된다.
그러면서 제1동력전달수단과 제3동력전달수단은 경사지지부재와 하향지지부재의 회전량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도 7은 상부프레임의 회전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수평지지부재(240)의 상부에는 상부프레임(120)이 안착되되, 상기 수평지지부재(240) 위에서 상부프레임(120)이 일정각도 수평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수평지지부재(240)와 상기 상부프레임(120)은 돌기와 홈에 의해서 안착된다. 상부프레임(120)은 상기 수평지지부재(240)에 대해서 회동하도록 하는 구동수단을 구비하는데, 모터와 감속기에 의해서 동력이 전달될 수 있고, 그 밖에 주지관용의 다른 구동수단에 의해서 회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수평방향으로 회전가능한 상부프레임은 기다란 적재물의 적재를 용이하게 한다. 즉, 적재위치에는 90도 회전하여 적재물을 적재한 다음 루프위치로 이송된 상태에서 원래대로 90도 회전하게 되면,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적재가 가능하게 된다.
도 8은 좀 더 편리한 적재가 가능하도록 수평지지부재를 지면에 더욱 가까워지도록 하기 위해서 하향지지부재를 신축하능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하향지지부재는 신축이 가능하도록 하여 무거운 적재물을 좀 더 용이하게 적재상태에서 적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음에는 도8에 기초하여 신축가능한 하향지지부재(230)의 구성에 대해서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때 하향지지부재(230)는 제2회전축과 제3회전축 사이를 두쌍의 베벨기어(391)와 전달축(392)에 의해서 동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전달축(392)은 중공의 내외 스플라인(392a)에 의해서 구성되고 그 내부로 유압피스톤(392b)이 구비된다.
하향지지부재(230)는 제2회전축과 제3회전축 사이에 전달축(392)이 구비되는데 상기 전달축(392)은 중공 외스플라인(392d)과 중공 내스플라인(392e)이 이중으로 결합된 텔레스코픽 구조를 가지고 신축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중공의 내외 스플라인 내부에는 유압에 의해 작동하는 피스톤실린더가 구비되고 공급되는 유압에 의해서 내스플라인(392e)과 외스플라인(392d) 사이의 길이방향 신축이 가능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압유(壓油)는 피스톤로드(392c)의 내부 유로를 통해서 공급된다. 동시에 상기 중공의 내외스플라인 각각의 양단에는 한쌍의 베벨기어가 결합된다. 즉, 제2회전축과 적어도 하나의 스플라인 일단이 베벨기어에 의해서 결합되고, 타단의 스플라인과 제3회전축도 베벨기어에 의해서 결합되어 회전력이 전달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서 베벨기어에 의해서 회전이 가능하면서도 동시에 길이방향의 신축이 가능하게 된다.
길이신축과 함께 회전력을 동시에 전달하기 위해서 피스톤실린더의 후단은 상부의 제1케이스(394)와 중공 외스플라인(392d)에 힌지결합되고, 피스톤로드(392c)의 단부는 하부의 제2케이스(395) 및 중공 내스플라인(392e)과 힌지 결합된다. 유압이 피스톤로드(392c)를 통하여 공급되어 길이방향으로 신축이 가능하고, 상기 제2회전축과 중공 외스플라인(392d)의 후단이 상호 베벨기어에 의해서 동력전달되며, 상기 중공 내스플라인(392e)의 선단과 제3회전축(340)은 상호 베벨기어에 의해서 동력전달이 이루어진다.
100 : 프레임
110 : 하부프레임
120 : 상부프레임
130 : 고정바
200 : 지지부재
210 : 회동지지부재
220 : 경사지지부재
230 : 하향지지부재
240 : 수평지지부재
300 : 동력전달부재
310 : 고정축
320 : 제1회전축
321 : 제1아우터회전부재
322 : 이너회전부재
330 : 제2회전축
331 : 제2아우터회전부재
340 : 제3회전축
350 : 제1동력전달수단
351 : 고정기어
352 : 중간기어
353 : 제1링크로드
360 : 제2동력전달수단
361 : 스프로킷
362 : 체인
370 : 제3동력전달수단
371 : 제2링크로드
380 : 제4동력전달수단
381 : 스프로킷
382 : 체인
390 : 제5동력전달수단
391, 393 : 베벨기어
392 : 전달축
392a : 스플라인, 392b : 유압실린더, 392c : 피스톤로드
392d : 외스플라인, 392e : 내스플라인
394: 제1케이스
395: 제2케이스
400 : 엑추에이터
410 : 유압실린더
420 : 피스톤로드
430 : 크랭크

Claims (6)

  1. 차량루프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차량의 루프를 보호하는 하부프레임(110);
    상기 하부프레임(110)에 고정결합되는 고정축(310);
    상기 고정축에 후단이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회동지지부재(210);
    상기 회동지지부재(210)가 상기 고정축을 중심으로 회동되도록 구동력을 부여하는 액추에이터(400);
    상기 회동지지부재(210)의 선단에 제1회전축(320)에 의해서 후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경사지지부재(220);
    상기 경사지지부재(220)의 선단에 제2회전축(330)에 의해서 후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하향지지부재(230);
    상기 하향지지부재(230)의 선단에 구비된 제3회전축(340)에 고정결합되어 일체로 회동되는 수평지지부재(240);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회전축(320)의 외주에서 회전하며 상기 경사지지부재와 일체로 결합되는 제1아우터회전부재(321);
    상기 제1회전축(320)의 중심을 관통하여 회전하되 상기 제1아우터회전부재와 일체로 회전하도록 고정되는 이너회전부재(322);
    상기 고정축(310)과 상기 제1아우터회전부재(321) 사이를 연결하도록 회동지지부재(210) 내부에 구비된 제1동력전달수단(350);
    상기 고정축(310)과 상기 제1회전축(320) 사이를 연결하도록 회동지지부재(210) 내부에 제1동력전달수단(350)에 평행하게 구비되는 제2동력전달수단(360);
    상기 이너회전부재(322)의 회동을 제2회전축을 감싸는 제2아우터회전부재에 전달하되 상기 경사지지부재(220) 내부에 구비되는 제3동력전달수단(370);
    상기 제1회전축과 상기 제2회전축 사이를 연결하는 제4동력전달수단(380);
    상기 하향지지부재(230) 내부에서 상기 제2회전축과 제3회전축 사이를 연결하는 제5동력전달수단(3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하강이 가능한 차량용 다관절 루프캐리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동력전달수단(350)은 상기 고정축과 상기 제1아우터회전부재를 연결하는 제1링크로드이고, 상기 제2동력전달수단(360)은 상기 고정축과 상기 제1회전축 사이를 연결하는 스프로킷과 체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하강이 가능한 차량용 다관절 루프캐리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동력전달수단(370)은 상기 이너회전부재와 상기 제2아우터회전부재 사이를 연결하는 제2링크로드이고, 상기 제4동력전달수단(380)은 상기 제1회전축과 제2회전축 사이를 연결하는 스프로킷과 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하강이 가능한 차량용 다관절 루프캐리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5동력전달수단(390)은 상기 제2회전축과 제3회전축사이를 연결하는 베벨기어와 전달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하강이 가능한 차량용 다관절 루프캐리어.
  5. 제1항에 있어서,
    상부프레임(120)이 상기 수평지지부재(240)에 대해서 수평방향으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수평지지부재(240)에 지지되되, 상기 상부프레임(120)은 구동수단에 의해서 구동되어 상기 수평지지부재(240)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회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하강이 가능한 차량용 다관절 루프캐리어.
  6. 제1항에 있어서,
    하향지지부재(230)는 텔리스코픽타입을 적용하여 지상위치에서 지면을 대하여 그 길이가 신축되도록 하되,
    상기 하향지지부재(230)는 제1케이스(394)와 제2케이스(395)가 텔리스코픽 이중관으로 되어 있어서 길이가 신축되도록 하되, 상기 제2회전축과 상기 제3회전축 사이를 연결하는 전달축은 중공 외스플라인(392d)과 중공 내스플라인(392e)축이 상호 텔리스코픽방식으로 연결되며, 중공 외스플라인(392d)과 중공 내스프라인(392e)을 관통하도록 피스톤실린더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하강이 가능한 차량용 다관절 루프캐리어.
KR1020190098445A 2019-06-25 2019-08-12 승하강이 가능한 차량용 다관절 루프캐리어 KR1021760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8445A KR102176071B1 (ko) 2019-08-12 2019-08-12 승하강이 가능한 차량용 다관절 루프캐리어
US17/619,988 US11827183B2 (en) 2019-06-25 2020-06-24 Lifting multi-joint roof carrier for vehicle
CN202080043578.9A CN113993745A (zh) 2019-06-25 2020-06-24 车辆用多关节升降车顶行李架
EP20832684.3A EP3992034A4 (en) 2019-06-25 2020-06-24 RAISING/LOWERING MULTI-ARTICULATION ROOF RACK FOR VEHICLES
PCT/KR2020/008209 WO2020262953A1 (ko) 2019-06-25 2020-06-24 차량용 다관절 승하강 루프캐리어
JP2021576288A JP7271857B2 (ja) 2019-06-25 2020-06-24 車両用多関節昇下降ルーフキャリア
CA3164211A CA3164211A1 (en) 2019-06-25 2020-06-24 Lifting multi-joint roof carrier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8445A KR102176071B1 (ko) 2019-08-12 2019-08-12 승하강이 가능한 차량용 다관절 루프캐리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6071B1 true KR102176071B1 (ko) 2020-11-09

Family

ID=73429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8445A KR102176071B1 (ko) 2019-06-25 2019-08-12 승하강이 가능한 차량용 다관절 루프캐리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607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80243U (ko) * 1986-11-14 1988-05-27
JP2005053403A (ja) * 2003-08-06 2005-03-03 Sds Kk 自動車のルーフキャリア装置
KR101186959B1 (ko) * 2010-10-20 2012-09-28 모터웰 주식회사 차량용 캐리어
KR20140095494A (ko) 2011-11-02 2014-08-01 폴 케빈 불러 적재 및 리프트 루프랙
KR20180130023A (ko) * 2017-05-12 2018-12-06 주경산업(주) 차량용 자전거 캐리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80243U (ko) * 1986-11-14 1988-05-27
JP2005053403A (ja) * 2003-08-06 2005-03-03 Sds Kk 自動車のルーフキャリア装置
KR101186959B1 (ko) * 2010-10-20 2012-09-28 모터웰 주식회사 차량용 캐리어
KR20140095494A (ko) 2011-11-02 2014-08-01 폴 케빈 불러 적재 및 리프트 루프랙
KR20180130023A (ko) * 2017-05-12 2018-12-06 주경산업(주) 차량용 자전거 캐리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50165B2 (ja) 昇降装置付車両及び昇降装置
EP2716267B1 (en) Wheelchair lift
KR20130096559A (ko) 농업용 고소작업대
KR102176071B1 (ko) 승하강이 가능한 차량용 다관절 루프캐리어
KR101193761B1 (ko) 다관절 로봇
KR102136663B1 (ko) 승하강이 가능한 다관절 루프캐리어
KR100485818B1 (ko) 무인 교량점검차량
RU2065397C1 (ru) Подъемный кран башенного типа
CN101863438B (zh) 空间双自由度摆动折叠臂架
KR100836587B1 (ko) 써레 접철용 링크장치
KR102347308B1 (ko) 승하강이 가능한 차량용 다관절 루프캐리어
JP2010058874A (ja) 高所作業車
JP4148731B2 (ja) リフタ装置
KR102367015B1 (ko) 차량 루프용 다관절 승하강 캐리어
KR102367018B1 (ko) 차량루프설치용 다관절승하강 캐리어
KR20090010979U (ko) 이동식 테이블
JPH10139383A (ja) パンタグラフ式ジャッキ
KR20040007385A (ko) 넉클 텔레스코픽 크레인
JP2008205605A (ja) 昇降支持脚
JPH04251097A (ja) クレーンのジブ張出し、格納装置
RU2231494C1 (ru) Стрела грузоподъемного средства
JP2562916Y2 (ja) 高所作業車
JP2892954B2 (ja) 応急橋の橋節折り畳み装置
JP4913283B2 (ja) 高所作業車
US1154492A (en) Power-spud for dredg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