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7308B1 - 승하강이 가능한 차량용 다관절 루프캐리어 - Google Patents

승하강이 가능한 차량용 다관절 루프캐리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7308B1
KR102347308B1 KR1020200074689A KR20200074689A KR102347308B1 KR 102347308 B1 KR102347308 B1 KR 102347308B1 KR 1020200074689 A KR1020200074689 A KR 1020200074689A KR 20200074689 A KR20200074689 A KR 20200074689A KR 102347308 B1 KR102347308 B1 KR 1023473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ember
rotation shaft
shaft
vehicle
roo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46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56978A (ko
Inventor
윤남호
Original Assignee
윤남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남호 filed Critical 윤남호
Priority to KR10202000746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7308B1/ko
Publication of KR202101569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69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73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73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00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 B60R9/04Carriers associated with vehicle roof
    • B60R9/042Carriers characterised by means to facilitate loading or unloading of the load, e.g. rollers, track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00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 B60R9/04Carriers associated with vehicle roof
    • B60R9/045Carriers being adjustable or transformable, e.g. expansible, collaps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00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 B60R9/08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sports gear
    • B60R9/10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sports gear for cy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0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 F16H1/1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 F16H1/1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comprising conical gears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2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more than two intermeshing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원발명은 차량용 다관절 루프캐리어에 관한 것으로서, 적어도 하부프레임, 제1-1지지부재, 제1-2지지부재, 제2지지부재, 제3지지부재, 상부프레임으로 이루어지고 화물이 적재되는 상부프레임이 차량의 루프위치와 하역위치 사이에서 차량의 후면을 따라서 미려하게 펼쳐지고 접혀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승하강이 가능한 차량용 다관절 루프캐리어{A LIFTING ROOF CARRIER FOR VEHICLE}
본원발명은 차량용 다관절 루프캐리어에 관한 것으로서, 적어도 하부프레임, 제1-1지지부재, 제1-2지지부재, 제2지지부재, 제3지지부재, 상부프레임으로 이루어지고 화물이 적재되는 상부프레임이 차량의 루프위치와 하역위치 사이에서 차량의 후면을 따라서 미려하게 펼쳐지고 접혀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루프에 적재물을 적재하기 위해서는 사용되는 차량용 루프캐리어는 루프랙이라 불리는 차량지붕의 구조에 고정되는 형태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루프캐리어를 루프랙에 단단히 고정하고, 적재물을 고정수단에 의해서 루프캐리어에 고정시킨다.
그러나, 차량의 루프랙에 루프캐리어를 고정시키는 것도 곤란할 뿐만 아니라, 루프캐리어의 높이로 적재물을 올리는 것도 번거롭고 이를 고정하는 것도 번거롭다. 이에 차량의 하부, 즉 지상에서 가까운 위치에서 화물을 적재하고 자동으로 차량의 루프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는 적재장치가 요구된다. 이러한 번거로운 작업을 용이하게 대체할 수 있는 다관절 루프캐리어가 선행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선행문헌 1의 2관절 루프캐리어는 차량 측면의 하역위치로부터 루프위치로 이송되는 것으로서, 차량의 루프에 고정되는 베이스레일, 상기 베이스레일에 대해서 피벗회전하는 레버바, 상기 레버바에 대해서 피벗회전하는 암바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러한 선행문헌 1의 종래기술에 의하면 암바가 자동으로 차량 측면으로 이동하게 되면, 사용자가 적재물을 적재하고 다시 자동으로 루프에 탑재 되도록 하는 것인데, 이와 같은 상기 종래 루프랙은 상기 베이스레일에 연장된 레버바와 암바가 기어와 연결수단에 의해서 승하강위치를 변경하는 것으로서, 베이스레일의 단부에 레버바의 일단이 피봇회전하게 되므로, 레버바가 차량 측면의 곡면부에 접촉될 우려가 있게 된다. 특히, 레버바가 수직하게 하부방향으로 향하게 될 때는 더욱 그러한 문제가 발생하게 되어서, 레버바를 차량의 측면에 접촉되지 않는 정도의 위치에서 암바에 적재물을 적재해야 한다.
이러한 경우, 암바의 위치가 상당히 높은 위치에 있게 되고 무거운 적재물을 적재하는데 여전히 어려움이 있게 된다. 레버바가 차량의 측면과 접촉됨이 없이 수직하향되는 상태로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베이스레일의 단부가 차량의 측부로 충분히 돌출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경우, 외관상의 문제와 안전상의 문제가 남아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다관절의 레버바를 구비하면서 동시에 암바를 동일하게 수평을 유지하도록 하는 기구학적, 구조적, 역학적 구성을 개발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이에 부응하는 기구학적 다관절 루프캐리어를 착안하게 되었다.
특히 출원인은 차량의 루프에 고정되는 하부프레임의 고정축에 대해서 회전하는 제1-1지지부재와 차량후면을 향하여 수직방향으로 구비되는 제2지지부재 사이에 경사구배가 형성되도록 제1-2지지부재가 구비되는 다관절 승하강 루프캐리어를 착안하게 되었다.
선행문헌 : 한국특허공개공보 10-2014-0095494 (2014. 8. 1. 공개)
본원 발명은 차량의 루프에 탑재될 수 있는 차량용 다관절 루프캐리어에 관한 것으로서, 루프위치와 지상의 하역위치 사이에서 루프캐리어의 승하강이 가능하여 화물을 용이하게 하역위치에서 루프위치로, 루프위치에서 하역위치로 이송시킬 수 있는 다관절 루프캐리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원 발명은 차량의 루프에 장착하였을 때, 차량 후면 만곡면과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루프캐리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원 발명은 차량의 루프에 장착된 상태에서 외관뿐만 아니라 하역위치에서 관절의 외관이 미려하게 펼쳐질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다관절 루프캐리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원 발명의 차량루프용 다관절 승하강 루프캐리어는,
차량루프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차량의 루프를 보호하는 하부프레임(100);
상기 하부프레임(100)을 덮어주도록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상부프레임(200);
상기 하부프레임(100)과 상기 상부프레임(200) 사이에 다관절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다관절부재의 펼침과 접힘에 의해서 상기 상부프레임(200)이 상기 하부프레임(100)에 대해서 이동하되,
상기 다관절부재는,
상기 하부프레임(100)에 고정결합되는 고정축(110);
상기 고정축(110)에 후단이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1-1지지부재(300);
상기 제1-1지지부재(300)의 선단에 구비된 제1-1회전축(330)을 중심으로 후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2지지부재(300');
상기 제1-2지지부재(300')의 선단에 구비된 제1-2회전축(330')을 중심으로 후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지지부재(400); 및
상기 제2지지부재(400)의 선단에 구비된 제2회전축(430)에 후단이 일체로 고정결합되어 일체로 회동되는 제3지지부재(500);로 연결되어지되,
상기 제1-1회전축(330)의 외주에는 동심으로 회전하며 상기 제1-2지지부재(300')의 후측면과 일체로 결합되는 제1-1아우터회전축(340);
상기 제1-2회전축(330')의 외주에는 동심으로 회전하며 상기 제2지지부재(400)의 후측면과 일체로 결합되는 제1-2아우터회전축(340');
상기 고정축(110)으로부터 상기 제1-1회전축(330)과 상기 제1-1아우터회전축(340)에 각각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1-1전달수단(320);
상기 제1-1회전축(330)으로부터 상기 제1-2회전축(330')과 상기 제1-2아우터회전축(340')에 각각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1-2전달수단(320'); 및
상기 제1-2회전축(330')으로부터 상기 제2회전축(430)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2전달수단(420)을 구비한 것이다.
본원 발명은 차량의 루프위치에서 차량후방의 하역위치로 펼쳐지거나 접혀지면서 승하강이 가능한 루프캐리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 후방면의 곡면을 따라서 지지부재들이 펼쳐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원 발명은 차량후방으로 회전되는 제1-1지지부재와 지상을 향하여 수직하게 하방을 향하게 되는 제2지지부재 사이에 구비되는 제1-2지지부재가 경사각도를 통해서 제1-1지지부재와 제2지지부재 사이에 구비됨으로 인해서 제1-1지지부재와 제2지지부재 사이에 경사각을 가지도록 하여, 다관절 부재들이 더욱 미려하게 펼쳐지게 된다.
도 1은 본원 발명에 따른 루프캐리어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개념도.
도 2는 본원 발명에 따른 루프캐리어의 평면 배치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원 발명에 따른 다관절부재의 동력전달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원 발명에 따른 다관절부재의 작동순서 사시도.
도 5는 본원 발명에 따른 다관절부재의 회전 기어비를 변경한 다른 실시예.
도 1은 본원 발명에 따른 다관절 루프캐리어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즉, 본원 발명은 크게, 하부프레임과 상부프레임, 그리고 이들 사이에 구비되는 4개의 지지부재가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다관절부재를 이룬다. 이들 지지부재들은 관체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 제1-1지지부재(300), 제1-2지지부재(300'), 제2지지부재(400), 제3지지부재(500)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1지지부재(300)는 상기 하부프레임에 고정된 고정축(110)을 중심으로 액추에이터에 의해서 회전된다. 또한, 상기 상부프레임은 상기 제3지지부재(500)에 대해서 수평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다관절부재의 펼침과 접힘에 따라서 상기 상부프레임은 루프위치와 하역위치 사이를 이동하게 된다.
이하 '루프위치'란 본원발명이 차량 루프 상에 위치한 상태를 의미하며, '하역위치'란 본원발명이 차량 루프의 다관절부재가 펼쳐져서 차량의 후방으로 회전되어 화물을 하역(loading and unloading) 할 수 있는 상태의 위치를 말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은 차량의 루프에 화물을 적재하기 위한 다관절 루프캐리어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루프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차량의 루프를 화물로부터 보호하는 하부프레임(100); 상기 하부프레임(100)에 고정결합되는 고정축(110); 상기 고정축(110)에 후단이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되 외부의 구동력에 의해서 회전되는 제1-1지지부재(300); 상기 제1-1지지부재(300)의 선단에 제1-1회전축(330)에 의해서 후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2지지부재(300'); 상기 제1-2지지부재(300')의 선단에 제1-2회전축(330')에 의해서 후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지지부재(400); 상기 제2지지부재(400)의 선단에 구비된 제2회전축(430)에 후단이 고정결합되어 일체로 회동되는 제3지지부재(500);로 이루어진다.
본원 발명은 바람직하게 제1-1지지부재(300)는 제1-1케이스(310)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서 제1-1전달축(321)이 구비되고, 제1-2지지부재(300')는 제1-2케이스(310')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서 제1-2전달축(321')이 구비되며, 제2지지부재(400)는 제2케이스 (410)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서 제2전달축(421)이 구비된다.
도 3을 참조하여 각 구성들의 세부 구조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한 차량용 다관절 루프캐리어는,
차량루프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차량의 루프를 보호하는 하부프레임(100);
상기 하부프레임(100)을 덮어주도록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상부프레임(200);
상기 하부프레임(100)과 상기 상부프레임(200) 사이에 다관절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다관절부재의 펼침과 접힘에 의해서 상기 상부프레임(200)이 상기 하부프레임(100)에 대해서 이동하되,
상기 다관절부재는,
상기 하부프레임(100)에 고정결합되는 고정축(110);
상기 고정축(110)에 후단이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1-1지지부재(300);
상기 제1-1지지부재(300)의 선단에 구비된 제1-1회전축(330)을 중심으로 후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2지지부재(300');
상기 제1-2지지부재(300')의 선단에 구비된 제1-2회전축(330')을 중심으로 후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지지부재(400); 및
상기 제2지지부재(400)의 선단에 구비된 제2회전축(430)에 후단이 일체로 고정결합되어 일체로 회동되는 제3지지부재(500);로 연결되어지되,
상기 제1-1회전축(330)의 외주에는 동심으로 회전하며 상기 제1-2지지부재(300')의 후측면과 일체로 결합되는 제1-1아우터회전축(340);
상기 제1-2회전축(330')의 외주에는 동심으로 회전하며 상기 제2지지부재(400)의 후측면과 일체로 결합되는 제1-2아우터회전축(340');
상기 고정축(110)으로부터 상기 제1-1회전축(330)과 상기 제1-1아우터회전축(340)에 각각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1-1전달수단(320);
상기 제1-1회전축(330)으로부터 상기 제1-2회전축(330')과 상기 제1-2아우터회전축(340')에 각각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1-2전달수단(320'); 및
상기 제1-2회전축(330')으로부터 상기 제2회전축(430)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2전달수단(420)을 구비한다.
본원 발명은 제1-1지지부재가 고정축(110)을 중심으로 회전할때, 제1-1회전축, 제1-2지지부재, 제1-2회전축, 제2지지부재, 제2회전축, 제3지지부재로 회전력이 전달되되,
바람직하게, 상기 제1-1전달수단(320), 제1-2전달수단(320') 및 제2전달수단(420) 중에서 하나 이상은 각각의 전달축(321, 321', 421)과 각각의 베벨기어(aa', bb', cc', ff', gg', hh', dd', ee')에 의해서 회전력이 전달된다.
더욱이, 상기 고정축(110), 제1-1전달축(321), 제1-1회전축(330), 제1-2전달축(321'), 제1-2회전축(330'), 제2전달축(421) 및 제2회전축(430) 사이에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해 각각 구비되는 베벨기어는 1:1 기어비를 가지는 한편,
상기 제1-1전달축(321)과 제1-1아우터회전축(340) 사이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기어비는 1:4이고, 상기 제1-2전달축(321')과 제1-2아우터회전축(340') 사이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기어비는 1:5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관련된 작동원리는 다음과 같다. 즉, 제1-1지지부재(300)가 외부의 액추에이터에 의해서 상기 고정축(110)을 중심으로 회전될 때, 제1-1지지부재(300)의 회전량만큼 제1-1회전축이 회전되게 된다. 이는 상기 고정축(110)과 상기 제1-1회전축(330) 사이에 베벨기어가 1:1의 기어비로 연결되어 있어서, 회전량이 동일하게 된다.
다만, 상기 고정축(110)은 상기 제1-1회전축의 외주에 동심으로 제1-1아우터회전축(340)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축(110)과 상기 제1-1아우터회전축(340) 사이에 약 1:4 기어비로 연결된다. 바람직하게 제1-1지지부재(300)와 제1-2지지부재(300')의 회전방향을 동일하게 하기 위해서 제1-1중간기어(350)가 구비되어 회전방향을 변경하여 주고, 제1-1전달축의 베벨기어와 제1-1중간기어(350)의 베벨기어 사이의 기어비를 1:2로 하고, 상기 제1-1중간기어(350)와 제1-1아우터회전축(340) 사이에 기어비를 1:2하여 기어비가 단계적으로 상승되도록 한다.
아래에서 각 지지부재들이 회전되면서 펼쳐지는 구조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제1-1지지부재(300)가 구동축(301)에 의해서 고정축(110)을 중심으로 180°(반바퀴) 회전하면 베벨기어 a,b,c,도 180° 회전하게 된다. 베벨기어b와 결합된 베벨기어b'는 기어비율이 1:2이므로 베벨기어b' 및 상기 베벨기어 b'와 일체로된 제1-1중간기어(350)도 90° 회전되지만, 제1-1중간기어(350)과 치합된 제1-1아우터회전축(340)의 기어(341)는 기어비가 1:2이므로 제1-1아우터회전축(340)은 45°회전된다. 즉 제1-1아우터회전축(340)과 일체로된 제1-2지지부재(300')는 45°회전된다. 동시에 베벨기어c와 치합된 베벨기어c'는 180° 회전하면서 제1-2지지부재(300')가 45°회전되므로 베벨기어f는 45° 더회전 하게 되어 총 225° 회전되고 베벨기어g와 베벨기어h도 225° 회전된다. 베벨기어gg'의 기어비율이 1:2이므로 베벨기어g'가 일체로된 제1-2중간기어(350')는 112.5° 회전된다. 제1-2중간기어(350')와 제1-2아우터회전축(340')의 평기어(341')은 기어비율이 1:2.5 이므로, 상기 제1-2아우터회전축(340')과 일체로된 제2지지부재는 45°회전된다. 베벨기어h'가 225°회전된 상태에서 제2지지부재가 45°회전되므로 베벨기어d는 45° 더회전하게 되어 총270도 회전되어 베벨기어ee'는 270°회전된다.
이러한 기어비에 의해서 제1-1지지부재(300)가 180° 회전할 때, 제1-2지지부재(300')은 180°+ 45°(= 총 225°)의 절대각도를 회전하게 된다.
또한, 제1-1지지부재(300)이 180°회전될 때, 제1-2지지부재(300')가 225° 회전하게 되며, 제2지지부재는 180°+90°(= 총 270°)의 절대각도를 회전하게 되어 지면을 향하게 되어야 한다. 이때 제1-2지지부재와 제2지지부재는 반드시 차량 후면 방향으로 정확하게 45°와 90°회전될 필요는 없다. 화물을 하역하는데 불편함이 없는 정도면 그 각도가 다소 차이가 있더라도 무방하다.
이때 상기 제1-1회전축(330)과 제1-2전달축(321')은 상호 1:1의 기어비에 의해서 회전되는 것이되, 상기 제1-2전달축(321')과 상기 제1-2아우터회전축(340') 사이는 기어비가 1:5 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제1-2전달축(321')과 상기 제1-2아우터회전축(340') 사이에는 중간에 제1-2중간기어(350')이 구비되어 회전방향을 바꾸어주는 동시에, 상기 제1-2전달축(321')과 상기 제1-2중간기어(350') 사이는 1:2의 기어비를 가지고, 상기 제1-2중간기어(350')과 상기 제1-2아우터회전축(340') 사이에는 1:2.5의 기어비를 가지게 하여 단계적인 기어비를 상승을 유도한다.
도 3, 4를 참조하여 본원 발명의 작동관계를 설명한다. 상기 다관절부재의 제1-1지지부재(300)는 상기 하부프레임(100)의 후단에 고정된 고정축(110)에 대해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고정축(110)의 외주에 동심(同心)으로 구동축(301)이 구비되되 제1-1지지부재(300)에 일체로 고정결합된다.
액추에이터(미도시)에 의해서 작동되는 상기 구동축(301)은 상기 제1-1지지부재(300)를 상기 고정축(110)을 중심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엑추에이터는 유압에 의해서 작동되는 랙과 상기 구동축(301)에 결합된 피니언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다른 형태로는 상기 구동모터 및 상기 구동축에 결합된 감속기일 수 있다. 또는 바람직하게는 도 2, 4에서와 같이, 유압실린더와 상기 구동축에 결합된 크랭크로 구성될 수 있다.
제1-2지지부재(300')의 후단은 제1-1지지부재(300)의 선단에 제1-1회전축(330)에 의해서 힌지결합되되, 상기 제1-1회전축(330)의 외주에는 제1-1아우터회전축(340)을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축(110)을 중심으로 상기 제1-1지지부재(300)가 회전할 때 그 회전력을 상기 제1-1회전축(330)과 아우터회전축(340)에 각각 독립적으로 전달하도록 상기 고정축(110)은 상기 제1-1회전축(330), 제1-1아우터회전축(340)을 각각 연결하는 제1-1전달수단(320)이 구비된다. 이를 위한 제1-1전달수단(320)은 다양한 체인이나 스프로킷, 기어 등으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원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큰 하중에도 견딜 수 있는 베벨기어(a-a', b-b', c-c')를 이용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 액추에이터에 의해서 제1-1지지부재(300)가 상기 고정축(110)을 중심으로 회전됨에 따라서 상기 제1-1전달수단(320)은 제1-1회전축(330)을 회전시키고, 동시에 상기 제1-1아우터회전축(340)을 회전시킨다. 다만 제1-1회전축(330)은 제1-1지지부재(300)와 동일한 각도로 회전하도록 하고, 상기 제1-1아우터회전축(340)은 제1-1지지부재(300) 회전각도의 1/4 정도 상대회전하도록 상기 제1-1전달수단(320)의 기어비가 설계된다. 특히 제1-1아우터회전축(340)은 제1-1지지부재(300)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한다. 제1-1아우터회전축(340)은 제1-2지지부재(300')와 일체로 결합되므로 제1-1아우터회전축(340)의 회전각도는 곧 제1-1지지부재(300)에 대한 제1-2지지부재(300')의 회전각도를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제1-1아우터회전축(340)과 상기 고정축(110) 사이의 제1-1전달수단(320)의 회전비에 따라서, 제1-2지지부재(300')의 회전량이 변화될 수 있다.
상기 제1-2지지부재(300')는 제1-1지지부재(300)에 대해서 상대 회전운동을 하게 되므로, 제1-2지지부재(300')의 회전각도는 제1-1지지부재(300)의 회전각도에 제1-2지지부재의 상대 회전각도를 더한 만큼에 해당된다. 즉, 제1-1지지부재(300)가 90°회전하여 수직상태가 되어 하늘을 향하게 되면, 제1-2지지부재(300')는 상기 제1-1지지부재(300)에 대하여 22.5°만큼 상대회전하게 되어 전체적으로 112.5°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제1-1지지부재(300)가 180°회전하여 반대방향으로 돌아 수평상태가 되면, 제1-2지지부재(300')는 상기 제1-1지지부재(300)에 대하여 45°만큼 더 상대회전하게 되어 전체적으로 225°를 돌아 차량 후방으로 하향경사(地面)를 형성하게 되지만, 기어비를 1:3정도로 하였을 때에는 제1-2지지부재(300')의 회전각도를 더 크게 할 수 있다.
상기 제1-2지지부재(300')의 선단은 제1-2회전축(330')에 의해서 제2지지부재(400)의 후단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제3지지부재(500)는 그 후단에 일체로 결합된 제2회전축(430)에 의해서 상기 제2지지부재(400)의 선단에 회전가능하게 힌지결합되되, 상기 제3지지부재(500)의 선단은 상기 제2지지부재의 후단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제3지지부재는 상기 제2회전축(430)과 일체로 회전된다.
상기 제1-1회전축(330)과 제1-2회전축(330') 사이는 제1-2지지부재에 구비된 제1-2전달수단(320'), 즉 제1-2전달축(321') 및 베벨기어들에 의해서 연결된다. 따라서 제1-1회전축(330)의 회전에 따라서 제1-2회전축(330')도 동일하게 회전한다. 다만, 제1-2회전축(330')은 제1-2전달수단(320')에 의해서 제1-1지지부재(300)의 회전량만큼 회전된다. 결과적으로 제1-2회전축(330')은 제1-2지지부재(300')의 회전과 반대방향으로 동일한 회전각만큼 회전된다.
만약 고정축(110)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1-1지지부재(300)와 상기 제1-1지지부재(300)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1-2지지부재(300')의 기어비가 1:4가 되면, 제1-1지지부재(300)가 반대방향으로 180°회전할 때, 제1-2지지부재(300')는 45°회전하여 선단이 후방 하향경사를 형성하게 되지만, 제1-1아우터회전축(340)의 회전비를 더 작게 하거나 더 크게 함으로써, 제1-2지지부재(300')의 회전량을 이보다 더 작게 하거나 더 크게 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1전달수단(320)은, 상기 고정축(110)의 기어와 제1-1회전축(330)의 기어 사이가 1:1의 회전비로 연결되고, 또한 상기 제1-2전달수단(320')은, 상기 제1-1회전축(330)의 기어와 제1-2회전축(330')의 기어 사이가 1:1의 회전비로 연결된다. 상기 고정축(110)과 제1-1아우터회전축(340) 사이의 기어비는 다소 변경되어 설정될 수 있다. 즉, 제1-1지지부재(300)와 제1-2지지부재(300')의 회전비는 사용목적이나 편리성을 감안하여 다소 변경가능하다.
액추에이터에 의해서 회동되는 구동축(301)으로 인해서 상기 구동축(301)에 일체로 결합된 제1-1지지부재(300)가 고정축(110)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됨에 있어서, 고정축(110)과 제1-1회전축(330), 고정축(110)과 제1-1아우터회전축(340), 그리고 제1-1회전축(330)과 제1-2회전축(330') 사이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전달수단으로서,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장 간단하게는 체인과 스프로킷으로 가능하다. 다만, 아래에서는 도 3을 참고하여 하나의 실시예로서 베벨기어를 이용한 전달수단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바람직하게 제1-1지지부재(300)는 관체형태의 제1-1케이스(310)로 이루어지되, 제1-1케이스(310) 내부에 제1-1전달축(321)을 구비하도록 한다. 상기 제1-1지지부재(300)가 고정축(110)에 대해서 회전됨에 따라, 고정축(110)의 베벨기어 a'와 제1-1전달축(321)의 후단에 결합된 베벨기어 a의 치합에 의해서 제1-1전달축(321)이 회전하고, 제1-1전달축(321)의 타단에 연속적으로 구비된 2개의 베벨기어 b, 베벨기어 c는 동심원으로 배치된 제1-1아우터회전축(340)과 제1-1회전축(330)를 각각 회전시킨다. 즉 하나의 베벨기어 b는 상기 제1-1아우터회전축(340)을 제1-1지지부재(300)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배치된다.
여기에서는 상기 베벨기어 b가 제1-1아우터회전축의 외주기어(341)를 회전시키는 제1-1중간기어(350)의 베벨기어 b'와 치합되며, 상기 베벨기어 c는 상기 제1-1회전축(330)의 베벨기어 c'와 치합된다. 한 쌍의 베벨기어 b, b'에 의해서 회전되는 제1-1아우터회전축(340)은 제1-2지지부재(300')의 제1-2케이스(310')와 결합되어 제1-2지지부재(300')와 일체로 회전된다. 바람직하게, 베벨기어 b의 회전력은 베벨기어 b'와 평기어 b'가 결합된 중간기어 b'에 의해서 외주에 평기어 b"가 구비된 상기 제1-1아우터회전축(340)으로 전달된다.
제1-2지지부재(300')의 후단은 제1-1회전축(330)에 힌지결합되고, 선단은 제1-2회전축(330')에 힌지결합된다. 또한, 제1-2지지부재에는 제1-1회전축(330)의 회전력을 제1-2회전축(330')에 전달하기 위해서 제1-2전달수단(320')이 배치된다. 제1-2전달수단(320')은 제1-2전달축(321')의 양단에 베벨기어가 각각 결합고정된다. 즉, 제1-2전달축(321')의 후단에는 베벨기어 f가 구비되며, 상기 베벨기어 f는 상기 제1-1회전축(330)의 타단에 구비된 베벨기어 f'와 치합된다. 따라서 제1-2회전축(330')은 제1-2전달축(321')에 의해서 제1-1회전축(330)과 연동하여 제1-1회전축(330)의 회전량과 동일한 회전량만큼 회전되고, 더 나아가 제1-2지지부재(300')의 회전량만큼 회전된다.
상기 제1-2전달축(321')과 제1-2아우터회전축(340') 사이에는 베벨기어gg'와 제1-2중간기어(350'), 및 평기어(341')에 의해서 회전력이 전달되되, 전체로 1:5 정도의 기어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베벨기어gg'는 기어비가 1:2로 치합되고, 상기 베벨기어g'와 일체로 된 상기 제1-2중간기어(350')의 평기어는 상기 제1-2아우터회전축(340')의 평기어(341')에 기어비 1:2.5로 치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1-2아우터회전축(340')은 상기 제2지지부재(400)를 회전시키고, 제1-2회전축(330')은 베벨기어dd', 제2전달축(421), 베벨기어ee'을 통해서 제2회전축(430)을 회전시킨다. 상기 제2회전축(430)의 타측은 제3지지부재(500)와 일체로 결합되어 일체로 회전된다. 그리고 상기 제3지지부재(500)의 상면에는 화물이 적재되는 상부프레임(200)이 결합되어 상기 제3지지부재(500)의 이동과 함께 상부프레임(200)이 이동하게 된다.
이로써, 본원 발명은 차량의 루프위치에서 차량후방의 하역위치로 펼쳐지거나 접혀지면서 승하강이 가능한 루프캐리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 후방면의 곡면을 따라서 지지부재들이 펼쳐질 수 있게 된다.
100 : 하부프레임
110 : 고정축
200 : 상부프레임
300 : 제1-1지지부재
301 : 구동축
310 : 제1-1케이스
320 : 제1-1전달수단
321 : 제1-1전달축
330 : 제1-1회전축
340 : 제1-1아우터회전축
350 : 제1-1중간기어
300' : 제1-2지지부재
310' : 제1-2케이스
320' : 제1-2전달수단
321' : 제1-2전달축
330' : 제1-2회전축
340' : 제1-2아우터회전축
350' : 제1-2중간기어
400 : 제2지지부재
410 : 제2케이스
420 : 제2전달수단
421 : 제2전달축
430 : 제2회전축
500 : 제3지지부재
600 : 수평연장부재
700 : 상부프레임 가동수단
aa', bb', cc', dd', ee', ff', gg', hh' : 베벨기어

Claims (4)

  1. 차량루프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차량의 루프를 보호하는 하부프레임(100);
    상기 하부프레임(100)을 덮어주도록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상부프레임(200);
    상기 하부프레임(100)과 상기 상부프레임(200) 사이에 다관절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다관절부재의 펼침과 접힘에 의해서 상기 상부프레임(200)이 상기 하부프레임(100)에 대해서 이동하되,
    상기 다관절부재는,
    상기 하부프레임(100)에 고정결합되는 고정축(110);
    상기 고정축(110)에 후단이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1-1지지부재(300);
    상기 제1-1지지부재(300)의 선단에 구비된 제1-1회전축(330)을 중심으로 후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2지지부재(300');
    상기 제1-2지지부재(300')의 선단에 구비된 제1-2회전축(330')을 중심으로 후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지지부재(400); 및
    상기 제2지지부재(400)의 선단에 구비된 제2회전축(430)에 후단이 일체로 고정결합되어 일체로 회동되는 제3지지부재(500);로 연결되어지되,

    상기 제1-1회전축(330)의 외주에는 동심으로 회전하며 상기 제1-2지지부재(300')의 후측면과 일체로 결합되는 제1-1아우터회전축(340);
    상기 제1-2회전축(330')의 외주에는 동심으로 회전하며 상기 제2지지부재(400)의 후측면과 일체로 결합되는 제1-2아우터회전축(340');
    상기 고정축(110)으로부터 상기 제1-1회전축(330)과 상기 제1-1아우터회전축(340)에 각각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1-1전달수단(320);
    상기 제1-1회전축(330)으로부터 상기 제1-2회전축(330')과 상기 제1-2아우터회전축(340')에 각각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1-2전달수단(320'); 및
    상기 제1-2회전축(330')으로부터 상기 제2회전축(430)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2전달수단(420)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하강이 가능한 차량용 다관절 루프캐리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1전달수단(320), 제1-2전달수단(320') 및 제2전달수단(420) 중에서 하나 이상은 각각의 전달축(321, 321', 421)과 각각의 베벨기어(aa', bb', cc', ff', gg', hh', dd', ee')에 의해서 회전력이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하강이 가능한 차량용 다관절 루프캐리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벨기어는 1:1 기어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하강이 가능한 차량용 다관절 루프캐리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1전달축(321)과 제1-1아우터회전축(340) 사이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기어비는 1:3~1:4이고, 상기 제1-2전달축(321')과 제1-2아우터회전축(340') 사이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기어비는 1:5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하강이 가능한 차량용 다관절 루프캐리어.
KR1020200074689A 2020-06-19 2020-06-19 승하강이 가능한 차량용 다관절 루프캐리어 KR1023473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4689A KR102347308B1 (ko) 2020-06-19 2020-06-19 승하강이 가능한 차량용 다관절 루프캐리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4689A KR102347308B1 (ko) 2020-06-19 2020-06-19 승하강이 가능한 차량용 다관절 루프캐리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6978A KR20210156978A (ko) 2021-12-28
KR102347308B1 true KR102347308B1 (ko) 2022-01-04

Family

ID=79178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4689A KR102347308B1 (ko) 2020-06-19 2020-06-19 승하강이 가능한 차량용 다관절 루프캐리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730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53403A (ja) 2003-08-06 2005-03-03 Sds Kk 自動車のルーフキャリア装置
KR101186959B1 (ko) 2010-10-20 2012-09-28 모터웰 주식회사 차량용 캐리어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80243U (ko) * 1986-11-14 1988-05-27
WO2013063683A1 (en) 2011-11-02 2013-05-10 Paul Kevin Buller Load and lift roof rack
KR20180130023A (ko) * 2017-05-12 2018-12-06 주경산업(주) 차량용 자전거 캐리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53403A (ja) 2003-08-06 2005-03-03 Sds Kk 自動車のルーフキャリア装置
KR101186959B1 (ko) 2010-10-20 2012-09-28 모터웰 주식회사 차량용 캐리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6978A (ko) 2021-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71857B2 (ja) 車両用多関節昇下降ルーフキャリア
US3801068A (en) Automatic folding landing gear
CN110127033A (zh) 用于致动飞行器的机翼的可折叠机翼尖端部分的致动单元
JP2014532582A (ja) 積み上げルーフラック
US20170241523A1 (en) Apparatus for Converting Motion
KR102347308B1 (ko) 승하강이 가능한 차량용 다관절 루프캐리어
KR102136663B1 (ko) 승하강이 가능한 다관절 루프캐리어
KR100747158B1 (ko) 드롭 리프트
CN211281019U (zh) 拨盖装置
CN108944618B (zh) 车辆的升降装置
RU2399537C1 (ru) Распашной борт специальног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KR102176071B1 (ko) 승하강이 가능한 차량용 다관절 루프캐리어
JP2010058874A (ja) 高所作業車
KR102286793B1 (ko) 화물차량 화물적재장치
KR102136664B1 (ko) 차량용 승하강 다관절 루프캐리어
KR102367015B1 (ko) 차량 루프용 다관절 승하강 캐리어
KR20230125682A (ko) 효율성이 개선된 차량용 다관절레버 리프트 장치
KR102367018B1 (ko) 차량루프설치용 다관절승하강 캐리어
RU2307062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дъема и раскладывания мачты и для подъема стрелы подъемного крана
US1628880A (en) Truck elevator
US1699031A (en) Vehicle
CN215705891U (zh) 一种侧翻自卸车的车厢锁紧固定结构
CN211417262U (zh) 拨盖装置
US11078995B2 (en) Apparatus for converting motion
US1284779A (en) Lever mechanis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