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0023A - 차량용 자전거 캐리어 - Google Patents

차량용 자전거 캐리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0023A
KR20180130023A KR1020170059082A KR20170059082A KR20180130023A KR 20180130023 A KR20180130023 A KR 20180130023A KR 1020170059082 A KR1020170059082 A KR 1020170059082A KR 20170059082 A KR20170059082 A KR 20170059082A KR 20180130023 A KR20180130023 A KR 201801300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pair
vehicle
frame
bicy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90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재홍
임현택
Original Assignee
주경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경산업(주) filed Critical 주경산업(주)
Priority to KR10201700590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30023A/ko
Publication of KR201801300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00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00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 B60R9/08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sports gear
    • B60R9/10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sports gear for cy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00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 B60R9/04Carriers associated with vehicle ro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3/00Separate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 B62H3/02Separate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involving means for gripping the cycle by the handlebars or by the upper part of the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4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outside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52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screws, bolts, rivet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59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clips, clamps, strap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3Bicycles; Tricy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사용자가 손쉽게 자전거를 차량에 탑재할 수 있고, 자전거를 차량에 탑재한 상태에서도 지하 주차장과 같이 높이가 제한된 곳에도 차량이 자유롭게 출입할 수 있는 차량용 자전거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자전거 캐리어는 차량의 지붕 또는 지붕에 설치된 루프 랙에 설치되는 보디와, 보디의 일측에 설치되는 구동부와, 일단이 구동부에 결합되고, 타단이 보디의 타측에 결합되는 구동축과, 일측 양단이 보디의 양측면 상부에 설치된 레일부에 결합되고, 타측 양단이 보디의 타측에 설치된 지지부의 상부에 슬라이드 이동되게 지지되며, 중심 하부에는 구동축에 결합되는 체결부가 구비된 이동체와, 이동체의 상부 소정 위치에 설치된 프레임 고정부와, 이동체의 타측 단부에 구비된 힌지부에 결합된 휠 거치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자전거 캐리어{Bicycle Carrier For Vehicle}
본 개시는 차량의 루프에 설치되는 차량용 자전거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자전거는 교통수단으로서 사용될 뿐만 아니라 레저 수단으로도 사용되고 있다. 자전거를 레저 수단으로 사용할 경우 자전거 이용자들은 잘 정비된 자전거 전용도로가 마련된 강이나 하천 또는 산악 자전거 코스가 마련된 산 근처까지 차량을 이용하여 자전거를 운반한 뒤 자전거를 이용하곤 한다.
이처럼 차량을 이용하여 자전거를 운반할 수 있도록 개발된 차량용 자전거 캐리어로는 차량의 지붕에 구비된 루프 랙에 설치되는 루프타입 캐리어와, 차량의 후방에 설치되는 후미타입 캐리어가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후미타입 캐리어는 주로 차량의 트렁크 또는 테일 게이트에 고정 설치되며, 최근에는 차량의 견인 고리에 고정 설치되는 방식도 등장하고 있다.
그런데, 위와 같은 종래의 차량용 자전거 캐리어는 차량에 추가적으로 설치되는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먼저, 후미타입 캐리어는 차량의 주행시 과속방지턱, 도로파임, 요철구간 등에서 출렁거림으로 인해 차량으로부터 쉽게 분리되는 단점이 있고, 캐리어를 설치하고자 하는 차량이 RV차량(Recreational Vehicle)일 경우에는 스포일러가 방해되어 설치가 어렵고, 설치를 하더라도 플라스틱 재질의 스포일러가 자전거의 무게와 충격으로 인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후미타입 캐리어는 자전거를 적재할 경우 차량의 번호판이 가려지게 되어 법규에 저촉될 우려가 있어 별도의 외부장치용 번호판을 신규로 발급받아서 부착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캐리어 및 캐리어에 적재된 자전거에 의해 차량의 후미등이 가려지게 되어 후방에서 주행중인 차량으로 후미등 정보가 전달되지 않아 사고가 발생될 수 있고, 자전거를 적재한 상태에서는 차량의 트렁크 또는 테일 게이트를 열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루프타입 캐리어는 자전거를 차량의 지붕에 탑재하는 방식으로 후미타입 캐리어 보다는 주행안정성이 있으나, 자전거를 적재하기 위해서는 차량의 루프까지 자전거를 들어올려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자전거를 적재한 상태로 차량을 운행할 경우 차고가 상승되기 때문에 높이가 제한된 곳(예를 들면, 지하 주차장)에는 차량의 출입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01366호(2005.11.09)
본 개시는 사용자가 손쉽게 자전거를 차량에 탑재할 수 있고, 자전거를 차량에 탑재한 상태에서도 지하 주차장과 같이 높이가 제한된 곳에도 차량이 자유롭게 출입할 수 있는 차량용 자전거 캐리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자전거 캐리어는 차량의 지붕 또는 상기 지붕에 설치된 루프 랙에 설치되는 보디와, 보디의 일측에 설치되는 구동부와, 일단이 구동부에 결합되고, 타단이 보디의 타측에 결합되는 구동축과, 일측 양단이 보디의 양측면 상부에 설치된 레일부에 결합되고, 타측 양단이 보디의 타측에 설치된 지지부의 상부에 슬라이드 이동되게 지지되며, 중심 하부에는 구동축에 결합되는 체결부가 구비된 이동체와, 이동체의 상부 소정 위치에 설치된 프레임 고정부와, 이동체의 타측 단부에 구비된 힌지부에 결합된 휠 거치대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의하면 프레임 고정부는 이동체의 길이방향 소정 위치에 설치된 받침프레임과, 받침프레임에 결합된 연결프레임과, 연결프레임에 힌지결합된 지지프레임과, 지지프레임의 단부에 설치된 클램프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의하면 휠 거치대는 힌지부에 단부가 결합된 몸체와, 몸체의 길이방향 소정 위치에 설치되고, 상부면에는 거치홈이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지지대와, 지지대의 양쪽 단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고정바를 포함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손쉽게 자전거를 차량에 탑재할 수 있고, 자전거를 차량에 탑재한 상태에서도 지하 주차장과 같이 높이가 제한된 곳에도 차량이 자유롭게 출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자전거 캐리어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동체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체결부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체결부의 작동 상태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힌지부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프레임 고정부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1에 도시된 휠 거치대의 사시도.
도 8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자전거 캐리어의 작동 상태도.
본 개시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자전거 캐리어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자전거 캐리어(100)는 보디(110), 구동부(120), 구동축(130), 이동체(140), 프레임 고정부(160), 휠 거치대(180)로 구성된다.
보디(110)는 차량의 지붕 또는 지붕에 설치된 루프 랙(미도시)에 설치되고, 양측면 상부에는 레일부(112)가 설치된다.
구동부(120)는 보디(110)의 일측에 설치되어 후술하는 이동체(140)를 보디(110)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킨다.
구동축(130)은 구동부(120)에 의해 회전되어 후술되는 이동체(140)가 보디(110)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게 하는 것으로서, 일단이 구동부(120)에 결합되고, 타단이 보디(110)의 타측에 결합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동체의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이동체(140)는 구동부(120)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축(130)의 회전방향에 따라 보디(110)의 길이방향으로 왕복 슬라이드 이동되는 것으로서, 이동체(140)는 양단이 보디(110)의 양측면 상부에 형성된 레일부(112)에 결합되는 이동플레이트(142)와, 이동플레이트(142)의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지지봉(142a)에 일측 단부가 각각 회전되게 결합되고, 타측 단부가 각각 보디(110)의 타측에 설치된 지지부(114)의 상부에 슬라이드 이동되게 지지되는 이동바(144)와, 이동플레이트(142)의 중심 하부에 설치되어 구동축(130)에 결합되는 체결부(146)로 구성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체결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체결부(146)는 이동체(140)가 구동축(130)의 회전방향에 따라 보디(110)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게 하는 것으로서, 구동축(130)에 나사결합되는 스핀들너트(147)와, 스핀들너트(147)의 일측에 결합되고, 하부에는 구동축(130)이 수용되는 수용홈(148a)이 형성된 연결블록(148) 및, 일측이 이동체(140) 즉, 이동플레이트(142)의 중심 하부 소정 위치에 결합되고, 타측이 연결블록(148)의 상부에 이격되게 형성된 한 쌍의 돌출부(148b)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S)에 상하 이동되게 삽입되는 결합블록(149)으로 구성된다.
이때, 결합블록(149)은 양단부의 두께가 중심부의 두께보다 뚜껍게 형성되는 I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데, 이는 결합블록(149)의 타측이 공간부(S)에 상하 이동되게 삽입되었을 때 결합블록(149)의 양단부 내측면이 한 쌍의 돌출부(148b)의 외측면에 걸림되어 결합블록(149)이 연결블록(148)의 측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한 쌍의 돌출부(148b)의 높이는 공간부(S)에 삽입된 결합블록(149)이 상측으로 이동되었을 때 결합블록(149)이 공간부(S)로부터 이탈되지 않는 높이로 형성되면 된다.
여기서, 결합블록(149)의 타측이 한 쌍의 돌출부(148b)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S)에 상하 이동되게 삽입되는 것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체(140)가 구동부(12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보디(1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었을 때(후술되는 휠 거치대(180)가 차량의 측면에 위치되도록 이동) 휠 거치대(180)의 자중에 의해 이동체(140)가 구동축(130)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들어 올려짐에 따라 구동축(130)에 과부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이동체(140)가 구동부(120)와 가까운 위치에 있을 경우 이동플레이트(142)의 하부면과 한 쌍의 돌출부(148b)의 단부 사이의 간격을 D1 이라고 하고, 이동체(140)가 구동부(120)로부터 멀어지는 위치에 있을 경우 이동플레이트(142)의 하부면과 한 쌍의 돌출부(148b)의 단부 사이의 간격을 D2 라고 하면, 이동체(140)가 구동부(120)로부터 멀어지게 보디(1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 D2 가 D1 보다 그 간격이 크게 형성되기 때문에 휠 거치대(180)의 자중에 의해 이동체(140)가 구동축(130)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들어 올려지더라도 구동축(130)에 과부하가 발생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힌지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힌지부(150)는 후술하는 휠 거치대(180)가 이동체(140)의 상부와 가까워지는 방향 또는 이동체(140)의 상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되게 하는 것으로서, 이동체(140)의 타측 양단부 즉, 한 쌍의 이동바(144)의 단부에 각각 결합된다.
도 5를 참조하면, 힌지부(150)는 이동체(140)의 타측 양단부에 결합된 한 쌍의 몸체(152)와, 양단이 한 쌍의 몸체(152)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지지축(154)과, 지지축(154)의 양단부 소정 위치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회전부(156)로 이루어진다.
이때, 한 쌍의 회전부(156)는 한 쌍의 몸체(152)의 각각의 상부에 상호 이격되게 형성된 한 쌍의 안내부(153) 사이에 위치된다.
또한, 한 쌍의 안내부(153)에는 만곡지게 형성된 슬롯홀(153a)이 형성되고, 슬롯홀(153a) 상에는 슬롯홀(153a)을 관통하여 한 쌍의 회전부(156)에 결합되는 스토퍼핀(155)이 위치되는데, 이는 지지축(154)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한 쌍의 회전부(156)의 회전각도를 제한한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프레임 고정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프레임 고정부(160)는 본 개시의 차량용 자전거 캐리어(100)에 설치되는 자전거의 프레임을 고정하는 것으로서, 프레임 고정부(160)는 이동체(140) 즉, 한 쌍의 이동바(144)의 길이방향 소정 위치에 설치된 받침프레임(162)과, 받침프레임(162)에 결합된 연결프레임(164)과, 연결프레임(164)에 힌지결합된 지지프레임(166)과, 지지프레임(166)의 단부에 설치된 클램프(168)로 구성된다.
여기서, 지지프레임(166)의 측면 소정 위치에는 연결프레임(164)을 측면 소정 위치를 관통하여 고정볼트(166a)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이는 연결프레임(162)에 힌지결합된 지지프레임(166)이 회전되지 않게 한다.
즉, 프레임 고정부(160)에 자전거 프레임을 고정하고자 할 경우에는 지지프레임(166)이 받침프레임(162)에 대해 수직된 상태가 되게 하고, 프레임 고정부(160)에 자전거 프레임을 고정하지 않을 경우에는 지지프레임(166)이 받침프레임(162)의 대해 누워있는 상태가 되게 한다.
또한, 연결프레임(164)은 받침프레임(162)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게 결합될 수 있는데, 이는 다양한 크기를 갖는 자전거를 본 개시의 차량용 자전거 캐리어(100)에 설치하고자 함이다.
연결프레임(164)이 받침프레임(162)에 슬라이드 이동되게 결합되는 구조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받침프레임(162)에는 길이방향으로 내부 양측면에 한 쌍의 가이드돌기(162b)가 대칭되게 형성된 절개부(162a)가 형성되고, 연결프레임(164)에는 한 쌍의 가이드돌기(162b)와 결합되는 한 쌍의 가이드홈(164a)이 형성됨으로써 연결프레임(164)이 받침프레임(162)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받침프레임에 레일부(미도시)를 설치하고, 연결프레임에 롤러(미도시)를 설치하는 것과 같은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프레임이 받침프레임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되게 결합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받침프레임(162)의 외부 일측면에는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홀(163)이 형성되고, 가이드홀(163) 상에는 가이드홀(163)을 관통하여 연결프레임(164)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고정볼트(165)가 위치되는데, 이는 받침프레임(162)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는 연결프레임(164)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함이다.
클램프(170)는 자전거의 프레임을 고정하는 것으로서, 지지프레임(166)의 단부에 설치된 고정블록(172)과, 고정블록(172)과 마주보도록 이격되게 위치된 이동블록(174)과, 고정블록(172)과 이동블록(174)의 양측면 소정 위치에 관통설치된 한 쌍의 가이드봉(176)과, 고정블록(172)과 이동블록(174)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나사결합되고, 일측 단부에 손잡이(178a)가 구비된 조절핸들(178)로 구성된다.
여기서, 고정블록(172)과 이동블록(174)의 각각의 일측면 즉, 상호 마주보는 면에는 홈부(172a, 174a)가 형성되는데, 이는 고정블록(172)과 이동블록(174) 사이에 자전거 프레임이 위치될 수 있는 공간부를 형성한다.
한 쌍의 가이드봉(176)은 이동블록(174)이 조절핸들(178)의 회전에 따라 조절핸들(178)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게 가이드 한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휠 거치대의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휠 거치대(180)는 이동체(140)의 타측 단부에 구비된 힌지부(150)에 결합되어 본 개시의 차량용 자전거 캐리어(100)에 설치되는 자전거의 휠을 고정하는 것으로, 휠 거치대(180)는 힌지부(150)에 단부가 결합된 몸체(182)와, 몸체(182)의 길이방향 소정 위치에 설치되고, 상부면에는 거치홈(184a)이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지지대(184)와, 지지대(184)의 양쪽 단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고정바(186)로 구성된다.
거치홈(184a)은 자전거의 휠이 안착되는 것으로서, 지지대(184)의 상부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고정바(186)는 지지대(184)에 형성된 거치홈(184a)에 안착된 자전거의 휠을 고정하는 것으로서, 다양한 크기를 갖는 자전거의 휠을 고정할 수 있게 지지대(184)의 양측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홈(184b)에 슬라이드 이동되게 결합된다.
또한, 지지대(184)의 길이방향 소정 위치에는 고정바(186)와 더불어 자전거의 휠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밴드(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하,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자전거 캐리어의 작동을 도 8을 참조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휠 거치대(180)가 차량의 측면에 위치되도록 구동부(120)를 작동시켜 이동체(140)를 보디(110)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킨다.
이후, 휠 거치대(180)가 차량의 측면에 위치되면 휠 거치대(180)의 지지대(184)에 형성된 거치홈(184a)에 자전거의 휠을 안착시키고, 고정바(186)를 이용하여 자전거의 휠을 고정시킨 후, 자전거 프레임을 프레임 고정부(160)에 고정시킨다.
계속해서, 자전거의 휠과 프레임이 각각 휠 거치대(180)와 프레임 고정부(160)에 고정된 다음 이동체(140)가 보디(110)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구동부(120)를 작동시키면 자전거가 차량의 지붕에 안정적으로 위치됨으로써 자전거의 탑재가 완료된다.
이상 본 개시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은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개시를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보디 162; 받침프레임
112; 레일부 163; 가이드홀
114; 지지부 165; 고정볼트
120; 구동부 164; 연결프레임
130; 구동축 166; 지지프레임
140; 이동체 170; 클램프
142; 이동플레이트 172; 고정블록
144; 이동바 174; 이동블록
146; 체결부 176; 한 쌍의 가이드봉
147; 스핀들너트 178; 조절핸들
148; 연결블록 180; 휠 거치대
149; 결합블록 182; 몸체
150; 힌지부 184; 지지대
152; 한 쌍의 몸체 186; 고정바
153; 한 쌍의 안내부
154; 지지축
155; 스토퍼핀
156; 한 쌍의 회전부
160; 프레임 고정부

Claims (8)

  1. 차량의 지붕 또는 상기 지붕에 설치된 루프 랙에 설치되는 보디;
    상기 보디의 일측에 설치되는 구동부;
    일단이 상기 구동부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보디의 타측에 결합되는 구동축;
    일측 양단이 상기 보디의 양측면 상부에 설치된 레일부에 결합되고, 타측 양단이 상기 보디의 타측에 설치된 지지부의 상부에 슬라이드 이동되게 지지되며, 중심 하부에는 상기 구동축에 결합되는 체결부가 구비된 이동체;
    상기 이동체의 상부 소정 위치에 설치된 프레임 고정부; 및,
    상기 이동체의 타측 단부에 구비된 힌지부에 결합된 휠 거치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자전거 캐리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고정부는,
    상기 이동체의 길이방향 소정 위치에 설치된 받침프레임과, 상기 받침프레임에 결합된 연결프레임과, 상기 연결프레임에 힌지결합된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단부에 설치된 클램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자전거 캐리어.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받침프레임에는 길이방향으로 내부 양측면에 한 쌍의 가이드돌기가 대칭되게 형성된 절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프레임에는 상기 한 쌍의 가이드돌기와 결합되는 한 쌍의 가이드홈이 형성되되,
    상기 받침프레임의 외부 일측면에는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홀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홀 상에는 상기 가이드홀을 관통하여 상기 연결프레임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고정볼트가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자전거 캐리어.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단부에 설치된 고정블록;
    상기 고정블록과 마주보도록 이격되게 위치된 이동블럭;
    상기 이동블럭과 상기 고정블록의 양측면 소정 위치에 관통설치된 한 쌍의 가이드봉; 및,
    상기 이동블록과 상기 고정블록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나사결합되고, 일측 단부에 손잡이가 구비된 조절핸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차량용 자전거 캐리어.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상기 이동체의 타측 양단부에 결합된 한 쌍의 몸체와, 양단이 상기 한 쌍의 몸체의 중심부에 설치되는 지지축과, 상기 지지축의 양단부 소정 위치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회전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한 쌍의 회전부는 상기 한 쌍의 몸체의 각각의 상부에 상호 이격되게 형성된 한 쌍의 안내부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한 쌍의 안내부에는 만곡지게 형성된 슬롯홀이 형성되고, 상기 슬롯홀 상에는 상기 슬롯홀을 관통하여 상기 한 쌍의 회전부에 결합되는 스토퍼핀이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자전거 캐리어.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휠 거치대는,
    상기 힌지부에 단부가 결합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 소정 위치에 설치되고, 상부면에는 거치홈이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양쪽 단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고정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자전거 캐리어.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고정바는 상기 지지대의 양측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홈에 슬라이드 이동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자전거 캐리어.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구동축에 나사결합되는 스핀들너트;
    상기 스핀들너트의 일측에 결합되고, 하부에는 상기 구동축이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된 연결블록; 및,
    일측이 상기 이동체의 하부 소정 위치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연결블록의 상부에 이격되게 형성된 한 쌍의 돌출부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에 상하 이동되게 삽입되는 결합블록;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자전거 캐리어.
KR1020170059082A 2017-05-12 2017-05-12 차량용 자전거 캐리어 KR201801300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9082A KR20180130023A (ko) 2017-05-12 2017-05-12 차량용 자전거 캐리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9082A KR20180130023A (ko) 2017-05-12 2017-05-12 차량용 자전거 캐리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0023A true KR20180130023A (ko) 2018-12-06

Family

ID=64671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9082A KR20180130023A (ko) 2017-05-12 2017-05-12 차량용 자전거 캐리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30023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6664B1 (ko) * 2019-07-12 2020-07-22 윤남호 차량용 승하강 다관절 루프캐리어
KR102176071B1 (ko) * 2019-08-12 2020-11-09 윤남호 승하강이 가능한 차량용 다관절 루프캐리어
KR20210156978A (ko) * 2020-06-19 2021-12-28 윤남호 승하강이 가능한 차량용 다관절 루프캐리어
KR20230058895A (ko) * 2021-10-25 2023-05-03 (주)진우알테크 차량용 루프랙 샌딩장치
KR102569378B1 (ko) * 2023-01-19 2023-08-22 이종욱 높이 조절형 자전거 거치대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6664B1 (ko) * 2019-07-12 2020-07-22 윤남호 차량용 승하강 다관절 루프캐리어
KR102176071B1 (ko) * 2019-08-12 2020-11-09 윤남호 승하강이 가능한 차량용 다관절 루프캐리어
KR20210156978A (ko) * 2020-06-19 2021-12-28 윤남호 승하강이 가능한 차량용 다관절 루프캐리어
KR20230058895A (ko) * 2021-10-25 2023-05-03 (주)진우알테크 차량용 루프랙 샌딩장치
KR102569378B1 (ko) * 2023-01-19 2023-08-22 이종욱 높이 조절형 자전거 거치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30023A (ko) 차량용 자전거 캐리어
US5680976A (en) Multi-functional accessory carrier
US20100096424A1 (en) Hitch-mounted carrier
KR20120012105A (ko) 인출식 자전거 캐리어
CN102282043A (zh) 负荷承载架支脚
US11130436B2 (en) Vehicle hauling apparatus
US5879102A (en) Clamp for minimizing interplay between two components
US6145720A (en) Vehicle cargo carrier
KR200412701Y1 (ko) 차량용 자전거 캐리어
JPH06183380A (ja) 2輪車のための荷台
DE202005006094U1 (de) Fahrradträger für Kraftfahrzeuge
US10071692B2 (en) Pickup truck roof rack system
US2834491A (en) Boat loader and carrier
EP1918183B1 (en) Device for facilitating the parking of motorcycles or the like, particularly for parking in tight spaces
CN206900400U (zh) 一种农用手推车
CN103568978B (zh) 车载自行车架
CN204077542U (zh) 用于机动车车顶的单车架
KR101352338B1 (ko) 손잡이 수납이 용이한 대차
EP3319839B1 (en) Improvements in, or related to, bicycle carriers
JP2000190731A (ja) キャノピ装置
CN210680580U (zh) 车载快装摩托车电动车架
CN216758662U (zh) 一种气瓶转运车
CN217649477U (zh) 车载移动装置
CN203410376U (zh) 一种自行车固定架的锁紧结构
EP1004476B1 (en) A transport device for fitting to the roof of a motor vehicu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