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9378B1 - 높이 조절형 자전거 거치대 - Google Patents

높이 조절형 자전거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9378B1
KR102569378B1 KR1020230007900A KR20230007900A KR102569378B1 KR 102569378 B1 KR102569378 B1 KR 102569378B1 KR 1020230007900 A KR1020230007900 A KR 1020230007900A KR 20230007900 A KR20230007900 A KR 20230007900A KR 102569378 B1 KR102569378 B1 KR 1025693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cycle
support
height
support frame
sl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079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욱
Original Assignee
이종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욱 filed Critical 이종욱
Priority to KR10202300079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93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93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93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3/00Separate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 B62H3/04Separate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involving forked supports of brackets for holding a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3/00Separate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 B62H3/10Separate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involving forked supports or brackets embracing the bottom part of the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6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 B66F7/065Scissor linkages, i.e. X-configu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6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 B66F7/08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oper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개시는, 단에 자전거가 안착되고, 지면에 대한 높이가 조절되도록 구성된 높이조절본체; 구동됨에 따라 상기 높이조절본체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구성된 승하강구동부; 상기 높이조절본체의 상면 일측에 마련되고, 자전거의 앞바퀴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제1 자전거지지부; 및 상기 높이조절본체의 상면 타측에 마련되고, 자전거의 뒷바퀴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제2 자전거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자전거지지부는 상기 높이조절본체의 상면에서 전후 위치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인, 높이 조절형 자전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높이 조절형 자전거 거치대{HEIGHT ADJUSTABLE BIKE RACK}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자전거의 유지 보수 시 작업자의 작업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높이 조절형 자전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전거의 수리나 부품 교체 등의 유지보수를 위해서는 작업자가 실외에 마련된 수직형의 자전거 거치대에 자전거를 들어 거치시킨다. 이와 같이 자전거 수리를 위해서는 작업자가 직접 자전거를 들어 올려야 하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했다.
종래의 자전거 수리대는 그 높이가 기 설치된 높이로 제한되기 때문에 자전거의 유지보수 부위에 따라 작업자가 허리를 숙이거나 팔을 뻗어야 하는 등의 불편함이 존재하였다.
뿐만 아니라, 기존 자전거 수리용 거치대의 경우 거치 가능한 자전거의 크기 및 종류가 제한되는 문제가 존재하였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전술한 종래의 자전거 수리대의 문제점들을 개선한 자전거 거치대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작업자가 용이하게 자전거의 배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어 자전거의 보수 작업 편의성을 향상시킨 높이 조절형 자전거 거치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사항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이하 설명할 다양한 실시예들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고려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단에 자전거가 안착되고, 지면에 대한 높이가 조절되도록 구성된 높이조절본체; 구동됨에 따라 상기 높이조절본체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구성된 승하강구동부; 상기 높이조절본체의 상면 일측에 마련되고, 자전거의 앞바퀴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제1 자전거지지부; 및 상기 높이조절본체의 상면 타측에 마련되고, 자전거의 후방 일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제2 자전거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자전거지지부는 상기 높이조절본체의 상면에서 전후 위치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인, 높이 조절형 자전거 거치대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높이조절본체는, 지면에 안착되는 베이스몸체; 기 설정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베이스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지지프레임; 기 설정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베이스몸체에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연결되는 제2 지지프레임; 및 상기 제1 지지프레임의 타단 및 상기 제2 지지프레임의 타단에 연결되고, 자전거가 안착되는 안착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프레임 및 상기 제2 지지프레임은 상호 교차하도록 배치되어, 그 교차 위치에서 힌지 회전축을 통해 상호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승하강구동부는, 상기 제2 지지프레임의 일단을 상기 베이스몸체 상에서 슬라이드 이동시키도록 작동될 수 있다.
상기 안착몸체에는, 상기 안착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제1 슬라이드홈이 마련되고, 상기 제1 지지프레임은, 상기 제1 슬라이드홈 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슬라이드홈을 따라 수평 이동되는 제1 슬라이드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지지프레임은, 상기 제1 슬라이드홈 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슬라이드홈을 따라 수평 이동되는 제2-1 슬라이드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몸체에는, 상기 베이스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제2 슬라이드홈이 마련되고, 상기 제2 지지프레임은, 상기 제2 슬라이드홈 내에 배치되어 상기 제2 슬라이드홈을 따라 수평 이동되는 제2-2 슬라이드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승하강구동부가 상기 제2-2 슬라이드롤러를 수평 이동시키는 경우, 상기 제1 지지프레임 및 상기 제2 지지프레임은 상기 힌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고, 상기 제1 지지프레임 및 상기 제2 지지프레임 상호간의 교차각이 조절되고 상기 안착몸체가 승하강될 수 있다.
상기 높이 조절형 자전거 거치대는, 상기 베이스몸체의 양 측면 및 상기 안착몸체의 양 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높이조절본체를 감싸도록 구성된 커버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하우징의 측면은 복수의 주름산과 복수의 주름골이 연속하여 형성된 주름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높이조절본체의 높이가 조절되는 경우, 상기 커버하우징의 측면 적어도 일부는 폴딩되어 상호 중첩될 수 있다.
상기 제1 자전거지지부는, 자전거 앞바퀴의 전방 상부를 지지하는 제1 지지부재; 자전거 앞바퀴의 후방 하부를 지지하는 제2 지지부재; 및 상기 제1 지지부재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2 지지부재가 위치 조절 가능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위치조절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위치조절프레임에는, 상기 안착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된 복수의 지지홈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2 지지부재는 상기 복수의 지지홈부 중 어느 하나의 지지홈부에 삽입되어 위치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제2 자전거지지부는, 상기 안착몸체의 상면에 마련되고, 상기 안착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를 갖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된 슬라이드 안내봉; 상기 슬라이드 안내봉 상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 전후진 슬라이더; 및 상기 전후진 슬라이더에 힌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자전거의 프레임 일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지지막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작업자의 필요에 따라 수리 대상 자전거의 배치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자전거의 크기 또는 길이가 변경되는 경우에도 자전거의 유지 보수 동안 작업자의 안정적인 작업이 가능하도록 자전거를 견고하게 고정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자전거의 바퀴 크기가 상이하더라도 자전거를 안정적으로 고정 지지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상세한 설명의 일부로 포함된, 첨부 도면은 다양한 실시예들을 제공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다양한 실시예들의 기술적 특징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형 자전거 거치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높이 조절형 자전거 거치대의 높이조절본체의 일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높이 조절형 자전거 거치대의 높이조절본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높이조절본체의 작동예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높이 조절형 자전거 거치대의 제2 자전거지지부에 의한 자전거 지지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높이 조절형 자전거 거치대의 제1 자전거지지부를 나타낸 부분확대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제1 자전거지지부에 자전거 앞바퀴가 거치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도 1에 도시된 높이 조절형 자전거 거치대의 커버하우징의 종단면을 나타낸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개시와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의 실시예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형 자전거 거치대(1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높이 조절형 자전거 거치대(10)의 높이조절본체(100)의 일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높이 조절형 자전거 거치대(10)의 높이조절본체(1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형 자전거 거치대(10)는 높이조절본체(100), 승하강구동부(200), 제1 자전거지지부(300), 제2 자전거지지부 및 커버하우징(500)을 포함할 수 있다.
높이조절본체(100)는 상단에 자전거가 안착되도록 마련될 수 있고, 지면에 대한 높이가 조절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승하강구동부(200)는 구동됨에 따라 높이조절본체(100)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자전거지지부(300)는 높이조절본체(100)의 상면 일측에 마련될 수 있고, 자전거의 앞바퀴를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자전거지지부(400)는 높이조절본체(100)의 상면 타측에 마련될 수 있고, 자전거의 뒷바퀴를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자전거지지부(400)는 높이조절본체(100)의 상면에서 전후 위치 이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높이조절본체(100)는, 지면에 안착되는 베이스몸체(110), 일단이 베이스몸체(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지지프레임(120), 일단이 베이스몸체(110)에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연결되는 제2 지지프레임(130), 및 제1 지지프레임(120)의 타단 및 제2 지지프레임(130)의 타단에 연결된 안착몸체(14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몸체(110)는 직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안착몸체(140)는 직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지지프레임(120) 및 제2 지지프레임(130)은 모두 기 설정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안착몸체(140)는 그 상면에 자전거가 안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지지프레임(120) 및 제2 지지프레임(130)은 상호 교차하도록 배치되어, 그 교차 위치에서 힌지 회전축(150)을 통해 상호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제1 지지프레임(120) 및 제2 지지프레임(130)은 'X'자를 형성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힌지 회전축(150)을 통해 상호 틸팅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승하강구동부(200)는, 제2 지지프레임(130)의 일단을 베이스몸체(110) 상에서 슬라이드 이동시키도록 작동될 수 있다. 승하강구동부(200)는 제2 지지프레임(130)의 일단을 베이스몸체(110) 상에서 수평 이동시킬 수 있고, 제2 지지프레임(130)의 일단이 수평 이동됨에 따라 제1 지지프레임(120)과 제2 지지프레임(130)은 힌지 회전축(150)을 중심으로 상호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제1 지지프레임(120)과 제2 지지프레임(130)의 지면에 대한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베이스몸체(110)는 소정 두께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고, 상면이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안착몸체(140)는 소정 두께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고, 하면이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안착몸체(140)에는, 안착몸체(14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제1 슬라이드홈이 마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1 슬라이드홈은 안착몸체(140)의 폭 방향 양 측벽의 내측면이 함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슬라이드홈은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고, 한 쌍의 제1 슬라이드홈은 안착몸체(140)의 폭 방향 양 측벽에 마련될 수 있다.
제1 지지프레임(120)은, 제1 슬라이드홈 내에 배치되어 제1 슬라이드홈을 따라 수평 이동되는 제1 슬라이드롤러(12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지지프레임(130)은, 제1 슬라이드홈 내에 배치되어 제1 슬라이드홈을 따라 수평 이동되는 제2-1 슬라이드롤러(13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슬라이드롤러(121)는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고, 제2-1 슬라이드롤러(131)는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한 쌍의 제1 슬라이드롤러(121)는 제1 지지프레임(120)의 길이 방향 타단에 마련될 수 있다. 한 쌍의 제2-1 슬라이드롤러(131)는 제2 지지프레임(130)의 길이 방향 타단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몸체(110)에는, 베이스몸체(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제2 슬라이드홈(111)이 마련될 수 있디. 바람직하게, 제2 슬라이드홈(111)은 베이스몸체(110)의 폭 방향 양 측벽의 내측면이 함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슬라이드홈(111)은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고, 한 쌍의 제2 슬라이드홈(111)은 베이스몸체(110)의 폭 방향 양 측벽에 마련될 수 있다.
제2 지지프레임(130)은, 제2 슬라이드홈(111) 내에 배치되어 제2 슬라이드홈(111)을 따라 수평 이동되는 제2-2 슬라이드롤러(1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2 슬라이드롤러(132)는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2-2 슬라이드롤러(132)는 제2 지지프레임(130)의 길이 방향 일단에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제1 지지프레임(120)의 일단은 베이스몸체(110)에 힌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승하강구동부(200)가 제2-2 슬라이드롤러(132)를 수평 이동시키는 경우, 제1 지지프레임(120) 및 제2 지지프레임(130)은 힌지 회전축(150)을 중심으로 회전되고, 제1 지지프레임(120) 및 제2 지지프레임(130) 상호간의 교차각이 조절되고 안착몸체(140)는 승하강될 수 있다.
승하강구동부(200)는, 베이스몸체(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스크류샤프트(210), 및 스크류샤프트(210)를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도록 구성된 구동부재(220)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재(220)는 베이스몸체(110)의 길이 방향 일측에 배치될 수 있고, 스크류샤프트(210)는 베이스몸체(110)의 길이 방향 일측에서 타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지지프레임(130)의 일단에는 스크류샤프트(210)와 나사 체결된 슬라이드몸체(133)가 마련될 수 있다. 스크류샤프트(210)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마련될 수 있고, 스크류샤프트(210)는 슬라이드몸체(133)를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구동부재(220)에 의한 스크류샤프트(210) 회전 시 슬라이드몸체(133)는 스크류샤프트(2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직선 이동될 수 있다. 슬라이드몸체(133)가 베이스몸체(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수평 이동됨에 따라, 제2 지지프레임(130)의 제2-2 슬라이드롤러(132)는 제2 슬라이드홈(111)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커버하우징(500)은 높이조절본체(100)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마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커버하우징(500)은 베이스몸체(110)의 양 측면 및 안착몸체(140)의 양 측면에 결합되어 높이조절본체(100)를 감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승하강구동부(200)는 커버하우징(500)의 내측에서 높이조절본체(100)의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커버하우징(500)에 의해 높이조절본체(100)의 내부 공간이 감싸질 수 있고, 승하강구동부(200)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커버하우징(500)에 의해 승하강구동부(200)는 빗물 또는 먼지 등의 외부 이물질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커버하우징(500)의 측면들은 복수의 주름산(510)과 복수의 주름골(520)이 연속하여 형성된 주름 구조 또는 자바라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높이조절본체(100)의 높이가 조절되는 경우, 커버하우징(500)의 측면 적어도 일부는 폴딩되어 상호 중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높이조절본체(100)의 높이가 높아지는 경우, 복수의 주름산(510)들은 서로 이격되고 주름 구조의 커버하우징(500) 측면은 평탄화 될 수 있다. 반대로, 높이조절본체(100)의 높이가 낮아지는 경우, 복수의 주름산(510)들은 서로 이격 거리가 좁아질 수 있고, 상호 중첩될 수 있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높이조절본체(100)의 작동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의 (a)는 베이스몸체(110) 상에서 제1 지지프레임(120)이 이동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의 (b)는 제1 지지프레임(120)이 제1 제한위치까지 이동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높이조절본체(100)는 베이스몸체(110) 상에 마련된 제동스위치(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동스위치(160)는, 제2 지지프레임(130)의 일단(즉, 슬라이드몸체(133))이 수평 이동될 때 제2 지지프레임(130)이 기 설정된 위치에 위치되는 경우 구동부재(220)의 작동을 정지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라이드몸체(133)는 베이스몸체(110) 상에서 제1 제한위치 및 제2 제한위치 사이에서 베이스몸체(110)를 활주할 수 있다. 제1 제한위치는 슬라이드몸체(133)가 구동부재(220)로부터 가장 먼 거리로 위치된 상태일 수 있고, 제2 제한위치는 슬라이드몸체(133)가 구동부재(220)에 가장 가까이 위치된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한위치는 높이조절본체(100)가 가장 낮은 높이로 위치될 때를 의미할 수 있고, 제2 제한위치는 높이조절본체(100)가 가장 높은 높이로 위치될 때를 의미할 수 있다.
제동스위치(160)는 슬라이드몸체(133) 및 구동부재(2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동스위치(160)는, 제2 지지프레임(130)의 슬라이드몸체(133)와 접촉되는 제1 접촉센서(161), 및 제2 지지프레임(130)의 하부 외면과 접촉되는 제2 접촉센서(16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접촉센서(161)는 제동스위치(160)에서 베이스몸체(110)의 길이 방향 일측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접촉센서(162)는 제동스위치(160)의 상부에 마련될 수 있다.
슬라이드몸체(133)가 제2 제한위치로 위치될 때 슬라이드몸체(133)와 제1 접촉센서(161)가 접촉될 수 있고, 이로 인해 구동부재(220)의 작동이 중단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드몸체(133)가 제1 제한위치로 위치될 때 제2 지지프레임(130)의 하부 외면은 제2 접촉센서(162)와 접촉될 수 있고, 이로 인해 구동부재(220)의 작동이 중단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작업자가 개별 조절하지 않더라도 높이조절몸체가 최저 높이 및 최고 높이에 위치될 때 구동부재(220)는 자동으로 작동 중단될 수 있고, 구동부재(220)의 부하 발생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높이 조절형 자전거 거치대(10)의 제2 자전거지지부(400)에 의한 자전거 지지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2 자전거지지부(400)는 안착몸체(140)의 상면에서 안착몸체(14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수평 이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자전거지지부(400)는 안착몸체(140)의 상면에 마련된 슬라이드 안내봉(410), 슬라이드 안내봉(410) 상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 전후진 슬라이더(420), 및 전후진 슬라이더(420)에 힌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지지막대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드 안내봉(410)은 안착몸체(14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를 갖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드 안내봉(410)은 안착몸체(140)의 상면에서 폭 방향 일측에 편향되어 배치될 수 있다.
지지막대부(430)는 자전거의 후방(바람직하게, 프레임 일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전후진 슬라이더(420)의 수평 이동과 함께 직선 이동될 수 있다. 지지막대부(430)는 기 설정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고, 그 길이를 연장 또는 축소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지지막대부(430)는, 전후진 슬라이더(420)로부터 소정 길이를 갖도록 연장되고 중공 형성된 제1 막대(431), 및 제1 막대(431)의 종단부에 연결되고 제1 막대(43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를 갖도록 연장된 제2 막대(4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막대(432)는 제1 막대(431)의 종단에 내삽될 수 있고, 제2 막대(432)는 제1 막대(431)의 종단으로부터 인출되거나 제1 막대(431)의 종단으로 인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막대(431)의 외면 상단부에는 상방 개방된 고리 형상의 제1 걸림부재(4311)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걸림부재(4311)는 U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걸림부재(4311)에 의해 자전거의 프레임 일부가 안착 지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자전거의 뒷바퀴가 결합된 프레임바디 중 최하측의 프레임이 제1 걸림부재(4311)에 안착되어 지지될 수 있다.
제2 막대(432)의 외면 상단부에는 상방 개방된 고리 형상의 제2-1 걸림부재(4321) 및 제2-2 걸림부재(4322)가 마련될 수 있다. 제2-1 걸림부재(4321) 및 제2-2 걸림부재(4322)는 U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1 걸림부재(4321) 및 제2-2 걸림부재(4322)는, 제2 막대(432)의 외주면에서 제2 막대(432)의 원주 방향을 따라 소정 각도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고, 제2 막대(432)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상이한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2-1 걸림부재(4321) 및 제2-2 걸림부재(4322)는 제2 막대(432)의 길이 방향 축을 기준으로 서로 직각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1 걸림부재(4321) 및 제2-2 걸림부재(4322)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자전거 프레임의 일부가 안착 지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자전거의 프레임바디의 형상 및/또는 크기에 따라 제2-1 걸림부재(4321) 및 제2-2 걸림부재(4322) 중 어느 하나의 걸림부재가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고, 선택된 제2-1 걸림부재(4321) 또는 제2-2 걸림부재(4322)는 제1 걸림부재(4311)와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자전거의 뒷바퀴가 결합된 프레임바디 중 상부측 프레임이 선택된 제2-1 걸림부재(4321) 또는 제2-2 걸림부재(4322)는에 안착되어 지지될 수 있다.
즉, 제1 걸림부재(4311)와 제2-1 걸림부재(4321)에 의해, 또는 제1 걸림부재(4311)와 제2-2 걸림부재(4322)에 의해 자전거의 후방 프레임바디가 상하측에서 지지될 수 있고, 걸림부재의 U자형 고리 형상에 의해 자전거의 좌우 측방 이동 역시 지지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작업자는 높이조절본체(100)를 통해 원하는 높이로 자전거 높이를 조절한 후 자전거의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제1 막대(431)의 종단부에는 제1 막대(431) 및 제2 막대(432)의 상대 이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된 고정부재(433)가 배치될 수 있다. 고정부재(433)는 제1 막대(431)를 반경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고정부재(433)는 제1 막대(431)의 외주면 상에 나사 체결될 수 있고, 회전됨에 따라 제1 막대(431)의 반경 방향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한편, 제2 막대(432)의 기단부에는 고정부재(433)가 소정 깊이 삽입되도록 관통 형성된 복수의 고정삽입홈(미도시 됨)이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고정삽입홈은 제2 막대(432)의 길이 방향을 따라 그리고 반경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고정부재(433)가 제1 막대(431)의 반경 방향 내측으로 삽입되고 고정삽입홈에 삽입되거나 고정삽입홈을 관통하는 경우, 고정부재(433)에 의해 제1 막대(431)와 제2 막대(432)의 상대 이동이 제한될 수 있고, 지지막대부(430)의 총 길이가 특정 길이로 고정될 수 있다.
위와 같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안착몸체(140) 상에서의 제2 자전거지지부(400) 위치가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고, 지지막대의 길이 및 자전거의 프레임바디를 지지하기 위한 걸림부재들의 높이가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자전거의 크기 및 종류 그리고 자전거의 프레임 형상에 상관없이 다양한 크기 및 종류의 자전거들을 모두 안정적으로 거치하고 고정할 수 있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높이 조절형 자전거 거치대(10)의 제1 자전거지지부(300)를 나타낸 부분확대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제1 자전거지지부(300)에 자전거 앞바퀴가 거치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1 자전거지지부(300)는, 자전거 앞바퀴의 전방 상부를 지지하는 제1 지지부재(310), 자전거 앞바퀴의 후방 하부를 지지하는 제2 지지부재(320), 및 제2 지지부재(320)가 위치 조절 가능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위치조절프레임(330)을 포함할 수 있다. 위치조절프레임(330)은 제1 지지부재(310)의 하단에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지지부재(310)는 하방이 개방된 U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1 지지부재(310)의 하단은 안착몸체(140)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지지부재(310)와 안착몸체(140)에 의해 자전거 앞바퀴가 삽입되는 바퀴삽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 자전거의 앞바퀴는 바퀴삽입구에 삽입될 수 있고, 제1 지지부재(310)에 의해 앞바퀴의 상부 그리고 앞바퀴의 좌우 측부가 지지될 수 있다.
한 쌍의 위치조절프레임(330) 각각은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위치조절프레임(330)은 안착몸체(140)의 폭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 배치될 수 있고,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위치조절프레임(330) 각각에는 안착몸체(14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된 복수의 지지홈부(331)가 마련될 수 있다. 제2 지지부재(320)는 복수의 지지홈부(331) 중 어느 하나의 지지홈부(331)에 삽입되어 위치 결정될 수 있다. 즉, 제2 지지부재(320)는 한 쌍의 위치조절프레임(330) 상에서 안착몸체(14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위치 이동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제1 지지부재(310)와 제2 지지부재(320) 사이의 이격 거리가 조절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위치조절프레임(330)에는 안착몸체(14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연결홈(332)이 마련될 수 있고, 복수의 지지홈부(331)는 연결홈(332)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복수의 지지홈부(331)는 연결홈(33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호 기 결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지지홈부(331) 각각은 연결홈(332)에서 하측으로 연장 형성된 제1 지지홈(3311), 및 제1 지지홈(3311)의 말단에서 제2 자전거지지부(400)를 향해 연장된 제2 지지홈(3312)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2 지지홈(3312)은 연결홈(332)에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제2 지지부재(320)는 한 쌍의 위치조절프레임(3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지지부재(320)에는 안착몸체(140)의 폭 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걸림돌기(323)가 마련될 수 있다. 걸림돌기(323)는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고, 한 쌍의 걸림돌기(323)는 한 쌍의 위치조절프레임(330)의 복수의 지지홈부(331) 중 어느 하나의 지지홈부(331)에 삽입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2 지지부재(320)는 자전거의 앞바퀴 후방을 지지할 수 있고, 걸림돌기(323)가 지지홈부(331)의 제2 지지홈(3312)에 배치됨으로써 자전거의 앞바퀴는 제1 지지부재(310) 및 제2 지지부재(320)에 의해 견고하게 위치 고정될 수 있다.
제2 지지부재(320)는 하측이 개방된 U자형의 제2-1 지지바디(321)와 상측이 개방된 U자형의 제2-2 지지바디(322)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2-1 지지바디(321)와 제2-2 지지바디(322)는 각각의 개방된 말단에서 서로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제2 지지부재(320)는 타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2-1 지지바디(321)와 제2-2 지지바디(322)는 상호 소정 각도를 이루도록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걸림돌기(323)는 제2-1 지지바디(321)와 제2-2 지지바디(322)의 연결 위치에서 위치조절프레임(330)을 향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2-1 지지바디(321)와 제2-2 지지바디(322)는 걸림돌기(323)를 기준으로 상방으로 소정 각도 절곡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지지부재(320)는 걸림돌기(323)를 중심으로 위치조절프레임(330)에 대해 틸팅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자전거의 앞바퀴 후방 하측은 제2-1 지지바디(321)에 의해 안착 지지될 수 있고, 자전거의 앞바퀴 후방 상측은 제2-2 지지바디(322)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제2-1 지지바디(321) 및 한 쌍의 위치조절프레임(330)은는 자전거의 앞바퀴 하부를 좌우 흔들림 없도록 고정 지지할 수 있고, 제2-2 지지바디(322)는 자전거의 앞바퀴 후방 상부를 제1 지지부재(310) 측으로 지지함과 동시에 좌우 흔들림 없도록 고정 지지할 수 있다.
위와 같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지지부재(310)와 제2 지지부재(320) 사이의 이격 거리가 용이하게 조절되는바, 자전거 앞바퀴의 크기가 변경되어도 자전거 전방을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높이 조절형 자전거 거치대(10)의 커버하우징(500)의 종단면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커버하우징(500)의 측면들은 복수의 주름산(510)과 복수의 주름골(520)이 연속하여 형성된 주름 구조 또는 자바라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주름산(510)은 커버하우징(50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고, 복수의 주름골(520)은 커버하우징(50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커버하우징(500)의 복수의 주름산(510)은 복수의 제1 산부(511) 및 복수의 제2 산부(512)를 포함할 수 있고, 커버하우징(500)의 복수의 주름골(520)은 복수의 제1 골부(521) 및 복수의 제2 골부(522)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주름산(510) 중 제2 산부(512)는 커버하우징(500)의 높이 방향을 따라 나열된 기 설정된 개수의 제1 산부(511)의 간격마다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산부(511)는 커버하우징(50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연속하여 3개가 마련될 수 있고, 연속된 3개의 제1 산부(511)들과 이어지는 3개의 제1 산부(511)들 사이에 제2 산부(512)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주름골(520) 중 제2 산부(512)의 상하 양측에 가장 인접하게 배치된 주름골(520)은 제2 골부(522)로 형성될 수 있고, 복수의 주름골(520) 중 나머지 주름골(520)은 제1 골부(521)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골부(522)는 제2 산부(512)와 인접한 제1 산부(511)를 연결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고, 제1 골부(521)는 상호 인접한 제1 산부(511)와 제1 산부(511)를 연결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산부(512)의 오목한 절곡 영역에는 소정 깊이 함입되어 형성된 산절개홈(513)이 마련될 수 있고, 제2 골부(522)의 오목한 절곡 영역에는 소정 깊이 함입되어 형성된 골절개홈(523)이 마련될 수 있다. 산절개홈(513)은 제2 산부(512)의 내외측면에 있어서 커버하우징(500)의 수평 방향 내측면에 형성될 수 있고, 골절개홈(523)은 제2 골부(522)의 내외측면에 있어서 커버하우징(500)의 수평 방향 외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커버하우징(500)의 측면을 기준으로 좌측이 커버하우징(500)의 내측일 수 있고, 우측이 커버하우징(500)의 외측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커버하우징(500)은 단계적 중첩 구조를 형성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제1 산부(511) 및 제1 골부(521)로 구성되는 제1 중첩 구조, 그리고 제2 산부(512) 및 제2 골부(522)로 구성되는 제2 중첩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제2 산부(512) 및 제2 골부(522)로 구성되는 제2 중첩 구조에는 산절개홈(513)과 골절개홈(523)이 구비되는바, 높이조절본체(100)의 높이 조절 시 커버하우징(500)의 제2 산부(512) 및 제2 골부(522)가 우선적으로 폴딩되어 중첩될 수 있고, 이후 순차적으로 제1 산부(511) 및 제1 골부(521)가 폴딩되어 상호 중첩될 수 있다.
또한, 제1 산부(511)와 제2 산부(512)는 커버하우징(500)의 수평 방향에 있어서 상이한 수평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1 골부(521) 및 제2 골부(522)는 커버하우징(500)의 수평 방향에 있어서 동일한 수평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즉, 제1 골부(521) 및 제2 골부(522)는 지면에 직교하는 평면에 있어서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산부(511)와 제1 골부(521) 각각이 위치된 지면에 대한 수직면 사이의 이격 거리(d1; 즉, 제1 산부(511)와 제1 골부(521) 사이의 지면에 평행한 방향 폭 차이)는, 제2 산부(512)와 제2 골부(522) 각각이 위치된 지면에 대한 수직면 사이의 이격 거리(d2; 즉, 제2 산부(512)와 제2 골부(522) 사이의 지면에 평행한 방향 폭 차이)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2 산부(512)와 제2 골부(522) 사이의 지면에 평행한 방향 폭 차이(d2)는 제1 산부(511)와 제1 골부(521) 사이의 지면에 평행한 방향 폭 차이(d1)의 1/2 내지 2/3배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만약 제2 산부(512)와 제2 골부(522) 사이의 지면에 평행한 방향 폭 차이(d2)가 제1 산부(511)와 제1 골부(521) 사이의 지면에 평행한 방향 폭 차이(d1)의 1/2배보다 작게 형성되는 경우, 제2 산부(512)와 제2 골부(522)에 의한 커버하우징(500) 중첩 및 높이 조절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반대로, 제2 산부(512)와 제2 골부(522) 사이의 지면에 평행한 방향 폭 차이(d2)가 제1 산부(511)와 제1 골부(521) 사이의 지면에 평행한 방향 폭 차이(d1)의 2/3배보다 크게 형성되는 경우, 제2 산부(512)와 제2 골부(522)에 의한 커버하우징(500) 중첩 및 높이 조절이 제1 산부(511)와 제1 골부(521)에 의한 중첩과 실질적으로 차별화되지 않게 되어 제2 산부(512)와 제2 골부(522)의 형성에 의한 순차적인 단계적 중첩 구조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커버하우징(500)에는 단계적 중첩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높이조절본체(100)의 높이가 조절될 때, 높이 방향에 있어서 커버하우징(500)의 주름 구조가 균일하게 중첩될 수 있다. 또한, 안착몸체(140) 상에 상대적으로 고중량의 자전거가 안착되는 경우에도 커버하우징(500)의 단계적 중첩 구조를 통해 일부 하중을 흡수 가능한바, 자전거 거치대(10)의 구조적 안정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개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개시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개시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높이 조절형 자전거 거치대
100: 높이조절본체
110: 베이스몸체
111: 제2 슬라이드홈
120: 제1 지지프레임
121: 제1 슬라이드롤러
130: 제2 지지프레임
131: 제2-1 슬라이드롤러
132: 제2-2 슬라이드롤러
133: 슬라이드몸체
140: 안착몸체
150: 힌지 회전축
160: 제동스위치
161: 제1 접촉센서
162: 제2 접촉센서
200: 승하강구동부
210: 스크류샤프트
220: 구동부재
300: 제1 자전거지지부
310: 제1 지지부재
320: 제2 지지부재
321: 제2-1 지지바디
322: 제2-2 지지바디
323: 걸림돌기
330: 위치조절프레임
331: 지지홈부
3311: 제1 지지홈
3312: 제2 지지홈
332: 연결홈
400: 제2 자전거지지부
410: 안내봉
420: 전후진 슬라이더
430: 지지막대부
431: 제1 막대
4311: 제1 걸림부재
432: 제2 막대
4321: 제2-1 걸림부재
4322: 제2-2 걸림부재
433: 고정부재
500: 커버하우징
510: 주름산
511: 제1 산부
512: 제2 산부
513: 산절개홈
520: 주름골
521: 제1 골부
522: 제2 골부
523: 골절개홈
d1: 제1 골부로부터 제1 산부까지의 폭
d2: 제2 골부로부터 제2 산부까지의 폭

Claims (6)

  1. 상단에 자전거가 안착되고, 지면에 대한 높이가 조절되도록 구성된 높이조절본체;
    구동됨에 따라 상기 높이조절본체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구성된 승하강구동부;
    상기 높이조절본체의 상면 일측에 마련되고, 자전거의 앞바퀴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제1 자전거지지부; 및
    상기 높이조절본체의 상면 타측에 마련되고, 자전거의 후방 일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제2 자전거지지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자전거지지부는 상기 높이조절본체의 상면에서 전후 위치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높이조절본체는,
    지면에 안착되는 베이스몸체;
    기 설정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베이스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지지프레임;
    기 설정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베이스몸체에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연결되는 제2 지지프레임;
    상기 제1 지지프레임의 타단 및 상기 제2 지지프레임의 타단에 연결되고, 자전거가 안착되는 안착몸체; 및
    상기 베이스몸체 상에 마련되고, 상기 제2 지지프레임의 일단이 슬라이드 이동될 때 상기 제2 지지프레임이 기 설정된 위치에 위치되는 경우 상기 승하강구동부의 작동을 정지시키도록 구성된 제동스위치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프레임 및 상기 제2 지지프레임은 상호 교차하도록 배치되어, 그 교차 위치에서 힌지 회전축을 통해 상호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승하강구동부는, 상기 제2 지지프레임의 일단을 상기 베이스몸체 상에서 슬라이드 이동시키도록 작동되고,
    상기 제2 자전거지지부는,
    상기 안착몸체의 상면에 마련되고, 상기 안착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를 갖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된 슬라이드 안내봉;
    상기 슬라이드 안내봉 상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 전후진 슬라이더; 및
    상기 전후진 슬라이더에 힌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자전거의 후방 프레임 일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지지막대부
    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막대부는,
    상기 전후진 슬라이더로부터 소정 길이를 갖도록 연장되고 중공 형성된 제1 막대; 및
    상기 제1 막대의 종단부에 연결된 제2 막대로서, 상기 제1 막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를 갖도록 연장되고, 상기 제1 막대의 종단으로부터 인출되거나 상기 제1 막대의 종단으로 인입되도록 구성된 제2 막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막대의 외면 상단부에는 상방 개방된 U자 고리 형상의 제1 걸림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제2 막대의 외면 상단부에는 상방 개방된 U자 고리 형상의 제2-1 걸림부재 및 제2-2 걸림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제2-1 걸림부재 및 상기 제2-2 걸림부재는 상기 제2 막대의 길이 방향 상이한 높이에서 상기 제2 막대의 원주 방향을 따라 소정 각도 이격되어 배치되고,
    자전거의 뒷바퀴가 결합된 프레임바디 중 하부측 프레임은 상기 제1 걸림부재에 안착되어 지지되고, 자전거의 뒷바퀴가 결합된 프레임바디 중 상부측 프레임은 상기 제2-1 걸림부재 및 상기 제2-2 걸림부재 중 어느 하나에 안착되어 지지되는 것인, 높이 조절형 자전거 거치대.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착몸체에는, 상기 안착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제1 슬라이드홈이 마련되고,
    상기 제1 지지프레임은, 상기 제1 슬라이드홈 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슬라이드홈을 따라 수평 이동되는 제1 슬라이드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지지프레임은, 상기 제1 슬라이드홈 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슬라이드홈을 따라 수평 이동되는 제2-1 슬라이드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몸체에는, 상기 베이스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제2 슬라이드홈이 마련되고,
    상기 제2 지지프레임은, 상기 제2 슬라이드홈 내에 배치되어 상기 제2 슬라이드홈을 따라 수평 이동되는 제2-2 슬라이드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승하강구동부가 상기 제2-2 슬라이드롤러를 수평 이동시키는 경우, 상기 제1 지지프레임 및 상기 제2 지지프레임은 상기 힌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고, 상기 제1 지지프레임 및 상기 제2 지지프레임 상호간의 교차각이 조절되고 상기 안착몸체가 승하강되는 것인, 높이 조절형 자전거 거치대.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형 자전거 거치대는,
    상기 베이스몸체의 양 측면 및 상기 안착몸체의 양 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높이조절본체를 감싸도록 구성된 커버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하우징의 측면은 복수의 주름산과 복수의 주름골이 연속하여 형성된 주름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높이조절본체의 높이가 조절되는 경우, 상기 커버하우징의 측면 적어도 일부는 폴딩되어 상호 중첩되는 것인, 높이 조절형 자전거 거치대.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자전거지지부는,
    자전거 앞바퀴의 전방 상부를 지지하는 제1 지지부재;
    자전거 앞바퀴의 후방 하부를 지지하는 제2 지지부재; 및
    상기 제1 지지부재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2 지지부재가 위치 조절 가능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위치조절프레임
    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위치조절프레임에는, 상기 안착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된 복수의 지지홈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2 지지부재는 상기 복수의 지지홈부 중 어느 하나의 지지홈부에 삽입되어 위치 결정되는 것인, 높이 조절형 자전거 거치대.
  6. 삭제
KR1020230007900A 2023-01-19 2023-01-19 높이 조절형 자전거 거치대 KR1025693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7900A KR102569378B1 (ko) 2023-01-19 2023-01-19 높이 조절형 자전거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7900A KR102569378B1 (ko) 2023-01-19 2023-01-19 높이 조절형 자전거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9378B1 true KR102569378B1 (ko) 2023-08-22

Family

ID=87799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07900A KR102569378B1 (ko) 2023-01-19 2023-01-19 높이 조절형 자전거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937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2085U (ja) * 1992-09-17 1994-06-03 美津濃株式会社 自転車用組立作業台
KR20000012881U (ko) * 1998-12-22 2000-07-15 추호석 지게차의 운전자 발판 높이 조절장치
KR101466948B1 (ko) * 2013-08-21 2014-12-03 최수영 바이크 스탠드
KR101553179B1 (ko) * 2014-09-11 2015-09-14 조희영 대형타이어 교환 리프트장치
KR20180130023A (ko) * 2017-05-12 2018-12-06 주경산업(주) 차량용 자전거 캐리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2085U (ja) * 1992-09-17 1994-06-03 美津濃株式会社 自転車用組立作業台
KR20000012881U (ko) * 1998-12-22 2000-07-15 추호석 지게차의 운전자 발판 높이 조절장치
KR101466948B1 (ko) * 2013-08-21 2014-12-03 최수영 바이크 스탠드
KR101553179B1 (ko) * 2014-09-11 2015-09-14 조희영 대형타이어 교환 리프트장치
KR20180130023A (ko) * 2017-05-12 2018-12-06 주경산업(주) 차량용 자전거 캐리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7046797U (zh) 一种升降机构
CN1215809C (zh) 一种儿童座椅
KR101714249B1 (ko) 루프 스포일러의 높이조절장치
US7789402B2 (en) Stroller with seat height adjustment
FI121500B (fi) Järjestely alustan kiinnittämiseksi seinään
EP2068670A1 (en) Shade structures such as umbrellas
CN1669505A (zh) 带可调节扶手和靠背的座椅
US8161892B2 (en) Expandable table
CN1893857A (zh) 可调节的活动靠背座椅
US6110077A (en) Folding collapsible jogging exerciser
KR970003865B1 (ko) 차량 주차장치
KR102569378B1 (ko) 높이 조절형 자전거 거치대
CN102837626A (zh) 用于交通工具座椅的可调节的头部保护装置组件
CN105105541B (zh) 一种理发店座椅
CN110575325A (zh) 一种多功能轮椅结构
US7488026B1 (en) Guard member for adjustable seat in a vehicle
EP0976314A1 (en) Adjustment mechanism
CN112912048B (zh) 床装置
CN213174529U (zh) 一种伸缩台阶
JP2000509298A (ja) パンタグラフ支持制御機構
CN115523393A (zh) 一种可调节扫描范围的激光扫描装置
KR102075746B1 (ko) 접이식 글램핑 텐트 트레일러
US6726180B2 (en) Jack
CN211947829U (zh) 新型铺砖机结构
JP4081520B2 (ja) 椅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