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12657A - 디스크형 정보기억매체용 카트리지 - Google Patents

디스크형 정보기억매체용 카트리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12657A
KR20040012657A KR1020030100409A KR20030100409A KR20040012657A KR 20040012657 A KR20040012657 A KR 20040012657A KR 1020030100409 A KR1020030100409 A KR 1020030100409A KR 20030100409 A KR20030100409 A KR 20030100409A KR 20040012657 A KR20040012657 A KR 200400126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losing door
cartridge
lock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1004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74782B1 (ko
Inventor
하시모토가쿠지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126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26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47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47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11B23/03Containers for flat record carriers
    • G11B23/0301Details
    • G11B23/0313Container cases
    • G11B23/0316Constructional details, e.g. shap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11B23/03Containers for flat record carriers
    • G11B23/0301Details
    • G11B23/0308Shutters

Landscapes

  • Feeding And Guiding Record Carriers (AREA)
  • Optical Record Carriers And Manufacture Thereof (AREA)

Abstract

카트리지 케이스체와 개폐문과의 사이에 생기는 극간을 가급적 작게하여 먼지대책을 강구한다.
광디스크의 정보기록면에 대응하는 카트리지 케이스체(12)의 한편의 평면부에 개구창(16)을 설치하는 동시에, 이 평면부의 평면에 따라서 개폐문(17)을 회동시킨다.

Description

디스크형 정보기억매체용 카트리지{Cartridge for disk type information storage medium}
본 발명은, 광디스크나 광자기디스크 등의 정보기억매체가 카트리지 케이스체내에 회전자재로 수용된 기억매체 카트리지에 관하여, 특히 보존상태에 있어서 미세한 먼지가 카트리지 케이스체내에 침입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기억매체 카트리지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일반적으로 음성, 영상 혹은 컴퓨터의 데이터 등의 정보의 기록 및/또는 재생이 가능한 정보기억매체가 카트리지 케이스체내에 회전자재로 수용된 정보기억매체용 카트리지로서는, 예를 들면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구성의 것이 알려져 있다. 이 정보기억매체용 카트리지는, 컴퓨터의 데이터 등의 정보를 사용자가 후에 기록기입할 수 있는 추기형 광자기디스크(D)를 내장하고 있는 디스크 카트리지(1)이며, 도 15와 같은 외관형태를 가지고 있다.
즉, 이 디스크 카트리지(1)는, 한쌍의 상하 셸(2a, 2b)에 의해 구성되는 카트리지 케이스체(2)와, 이 카트리지 케이스체(2)의 디스크 수용실(3)내에 회전자재로 수용된 광자기디스크(4) 등을 갖추고 있다. 카트리지 케이스체(2)의 상하 양면에는, 중앙부에서 한변으로 향해서 연장되는 상하의 개구창(5)이 설치되어 있고, 이 개구창(5)은 그 한변에 따라서 슬라이드 가능하게된 개폐문(6)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광자기디스크(4)의 중앙부에는, 정보기억장치의 본체측에 설치된 턴테이블에 척킹되는 센터구멍(7a)을 갖는 허브부(7)가 설치되어 있고, 이 허브부(7)가 개구창(5)의 중앙부에 대응되어 있다.
그렇지만,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의 디스크 카트리지에 있어서는, 개폐문(6)을 ⊃자형으로 형성하여 카트리지 케이스체(2)의 일변에 끼워맞추고, 그 일변에 따라서 개폐문(6)을 슬라이드시켜서 개구창(5)을 개폐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었기 때문에, 카트리지 케이스체(2)와 개폐문(6)과의 사이에 큰 극간이 생겨서, 미세한 먼지의 침입을 방지할 수 없다는 과제가 있었다.
이 경우, 카트리지 케이스체(2)내에 침입한 미세한 먼지가 광디스크(4)의 정보기억면에 부착하면, 이 먼지에 의해 독해 혹은 기입빔이 차폐된다 던지, 정보기록면이 상처가 나서 정상적인 정보의 독해 및 기입을 할 수 없게 된다. 특히, 대용량의 정보기억장치에서는 미세한 먼지라도 그 영향은 무시할 수 없으며, 미세한 먼지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는 디스크 카트리지가 소망되고 있다.
또한, 상술한 종래의 디스크 카트리지(1)에 있어서는, 사용자의 손에 닿기 쉬운데에 개폐문(6)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잘못하여 개폐문(6)을 슬라이드시켜서 개구창(5)을 열게될 우려가 있었다. 더구나, 개폐문(6)이 카트리지 케이스체(2)의 일변에 따라서 직선적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카트리지 케이스체(2)의 표면적을 작게할 수 없다는 과제도 있었다.
또, 종래의 기록매체 카트리지의 다른 예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 특개평7-6493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디스크 카트리지도 있다. 이 디스크 카트리지는 반이 원형이고 남은 반이 사각형의 상 케이스와, 이 상 케이스와 동형태의 하 케이스와, 상 케이스의 원형부분에 디스크중심에서 보아 90도 열은 위치에 설치된 2개의 절결부와, 하 케이스의 2개의 절결부의 중앙에 설치된 기억창과, 절결부와 기억창을 덮고 상하 케이스의 원형부분에 끼워넣어진 회동셔터와, 상하 케이스내의 디스크중심에 대하여 절결부와 대칭한 위치에 설치된 종동롤러를 갖추고 있다.
이 디스크 카트리지에 있어서는, 회동셔터가 상하 케이스의 원형부분을 곡선적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그 회동셔터는 상술한 개폐문(6)과 같은 모양의 ⊃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회동셔터를 상하 케이스의 원형부분에 끼워맞추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같으게 상하 케이스와 회동셔터와의 사이에 큰 극간이 생겨서, 미세한 먼지의 침입을 방지할 수 없다는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디스크 카트리지의 과제를 감안하여 이룩된 것이며, 카트리지 케이스체의 적어도 한편의 평면부에 개구창을 설치하는 동시에, 이 평면부의 평면에 따라서 개폐문을 회동시키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카트리지 케이스체와 개폐문과의 사이에 생기는 극간을 가급적 작게하여 먼지대책을 강구함으로써,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고,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한쌍의 셸을 중합시키므로써 내부에 기억매체 수용실이 형성되는 카트리지 케이스체와, 기억매체 수용실내에 회동자재로 수용되는 정보기억매체와, 카트리지 케이스체에 회동자재로 부착되고 또한 그 회동에 의해 카트리지 케이스체에 설치된 개구창을 개구시켜서 정보기억매체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개폐문을 갖춘 디스크 카트리지에 있어서, 정보기억매체의 정보기억면에 대응하는 카트리지 케이스체의 적어도 한편의 평면부에 개구창을 설치하는 동시에, 이 평면부의 평면에 따라서 개폐문을 회동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과 같이 구성함으로써, 카트리지 케이스체의 개구창이 설치된 평면부의 평면에 따라서 개폐문이 회동되기 때문에, 카트리지 케이스체와 개폐문과의 사이에 생기는 극간을 가급적 작게할 수 있고, 보존상태에 있어서 미세한 먼지가 카트리지 케이스체내에 들어가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정보기억매체용 카트리지의 제 1실시예를 나타내는 디스크 카트리지를 하면측에서 본 개구창을 열은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디스크 카트리지를 하면측에서 본 상태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하는 디스크 카트리지의 하셸판을 제거하고 개구창을 닫은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하는 디스크 카트리지의 다시 상셸판을 제거하고 개구창을 닫은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하는 디스크 카트리지의 하셸판을 제거하고 개구창을 열은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하는 디스크 카트리지의 다시 상셸판을 제거하고 개구창을 열은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하는 디스크 카트리지의 도 3의 A-A선 확대단면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하는 디스크 카트리지의 도 3의 B-B선 확대단면도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하는 디스크 카트리지의 도 5의 C-C선 확대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1에 도시하는 디스크 카트리지의 제 2록기구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정보기억매체용 카트리지의 제 2실시예를 나타내는 디스크 카트리지의 하셸판을 단면하고 개구창을 닫은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하는 디스크 카트리지의 D-D선 확대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1에 도시하는 디스크 카트리지의 하셸판을 단면하고 개구창을 열은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14는 도 11에 도시하는 디스크 카트리지의 도 13의 E-E선 확대단면도이다.
도 15는 종래의 디스크 카트리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50 디스크 카트리지 11,51 광디스크(정보기억매체)
12,52 카트리지 케이스체 13,53 상셸
14,54 하셸 14a 상셸판
14b 하셸판 15,55 디스크 수용실
16,16a,16b,56 개구창 17,57 개폐문
17a,57a 셔터편 17c 록고리
20,21,60,61 가이드홈 31 록핀
40 록암 41,46,64 비트는 스프링(탄성체)
*43 판스프링체(탄성부재) 44 록편
45 입력편 48,72 조작핀
57c 계지편 58 나사축부
59 원주홈 62 계지암(계지부재)
66 록밴드 72 멈춤고리
73 너트부재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도 10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1은 하면측에서 본 디스크 카트리지의 사시도, 도 2는 디스크 카트리지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하셸판을 제거한 개폐문의 닫은 상태의 디스크 카트리지의 평면도, 도 4는 다시 상셸판을 제거한 개폐문의 닫은 상태의 디스크 카트리지의 평면도, 도 5는 하셸판을 제거한 개폐문의 열은 상태의 디스크 카트리지의 평면도, 도 6은 또한 상셸판을 제거한 개폐문의 열은상태의 디스크 카트리지의 평면도, 도 7은 도 3의 A-A선 확대단면도, 도 8은 도 3의 B-B선 확대단면도, 도 9는 도 5의 C-C선 확대단면도, 도 10은 제 2록기구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 도 11∼도 14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11은 한편의 셸을 제거한 개폐문의 닫은 상태의 디스크 카트리지의 평면측면도, 도 12는 도 11의 D-D선 확대단면도, 도 13은 한편의 셸을 제거한 개폐문의 열은 상태의 디스크 카트리지의 평면측면도, 도 14는 도 13의 E-E선 확대단면도이다.
정보기록 카트리지의 일 구체예를 나타내는 제 1실시예에 관계되는 디스크 카트리지(10)는, 정보기록매체의 일 구체예로서 기록재생 양용의 광디스크(11)를 사용한 것이다.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하면측을 위로 하고 나타내는 것같이, 이 디스크 카트리지(10)는 한쌍의 상셸(13) 및 하셸(14)을 중합함으로써 형성되는 카트리지 케이스체(12)와, 이 카트리지 케이스체(12)내에 형성된 디스크수용실(15)내에 회전자재로 수용되는 광디스크(11)와, 하셸(14)에 형성된 개구창(16)을 개폐할 수 있는 개폐문(17) 등을 갖추고 있다.
상셸(13)은 전반이 대략 반원형을 이루고, 또한 후반이 대략 사각형을 이루고 있어서 적당한 두께를 갖는 판형체로 이루고, 그 내면에는 원형의 오목함부로 이루는 디스크수용실(15)이 설치되어 있다. 이 상셸(13)의 전반은 도 3∼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후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인 폭방향의 대략 중앙부에서 한쪽에 설치한 중앙중심 원호부(13a)와, 같으게 폭방향의 대략 중앙부에서 다른쪽에 설치한 후부중심 원호부(13b)로 되어 있다. 이 상셸(13)의 전반의 중앙중심 원호부(13a)의 원호중심은 디스크수용실(15)의 대략 중앙부에 설치되어 있는 한편, 후부중심 원호부(13b)의 원호중심은 후반의 후부각부의 근방에 설정되어 있어서, 이 후부중심 원호부(13b)에 의해 후술하는 개폐문(17)의 록핀을 가이드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상셸(13)의 전반의 중앙부에는, 중앙중심 원호부(13a)에서 후부중심 원호부(13b)에 이르는 오목결부(18)를 설치하고, 이 오목결부(18)의 후부중심 원호부(13b)측의 선단부에는 단부(18a)가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오목결부(18)의 중앙중심 원호부(13a)측에는 스프링지지핀(19)을 설치하는 동시에, 이 스프링지지핀(19)의 외측에는 핀지지공(18b)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셸(13)의 폭방향의 양 측면부에는, 디스크기록 재생장치에 장착할 때의 위치결정이나 오삽입방지 등의 역할을 다하는 가이드홈(20, 21)이 각각 전후방향으로 연재시켜서 설치되어 있다.
이들의 가이드홈(20, 21)은, 일단이 중앙중심 원호부(13a) 및 후부중심 원호부(13b)에 각각 개구되어 있는 동시에, 타단은 후반의 후부근방까지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한편의 가이드홈(20)의 후부근방에는 연통오목부(22)가 설치되어 있다. 이 연통오목부(22)는, 상셸(13)의 후반 후부의 한편의 각부에 설치된 오목함부(23)에 연통되어 있다. 이 오목함부(23)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구분형의 가닥체(24)에 의해 외부오목부(23a)와 내부오목부(23b)로 구분되어 있고, 내부오목부(23b)에는 볼록돌기축(25)이 입설되어 있다. 그리고, 디스크수용실(15)의 주위에는, 이것에 중합되는 하셸(14)과의 사이에서 나사멈춤하기 위한 복수의 나사구멍(13c)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셸(13)의 후반 후부의 양각부에는, 이 디스크 카트리지(10)를 디스크기록 재생장치의 소정위치에 위치결정하기 위한 한쌍의 위치결정구멍(26)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셸(13)의 디스크수용실(15)내에 수용되는 광디스크(11)는, 중앙부에 센터구멍(11a)이 설치된 두께가 얇은 원판형의 부재로 되고, 그 평면부의 일면에는, 디스크기억 재생장치에 내장되는 광학픽업장치의 광학헤드가 대향되는 정보기억이 가능한 정보기억면(11b)이 설치되어 있다. 이 광디스크(11)의 센터구멍(11a)에는, 디스크기억 재생장치에 내장되는 디스크회전 구동장치의 턴테이블이 끼워맞춰지고, 이 턴테이블에 척킹되어서 광디스크(11)가 일체적으로 회전구동된다.
이 광디스크(11)의 재질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카보네이트(PC)나 폴리올레핀 등의 합성수지가 가장 적절하나, 다른 합성수지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합성수지 이외라도 정보기억매체로서 사용되는 유리재나 알루미늄합금 등의 각종의 재질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 하셸(14)은, 상셸판(14a)과 하셸판(14b)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하의 셸판(14a, 14b)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셸(13)과 대략 동일한 형태를 가지고 있고, 각각 전반이 대략 반원형을 이루고 또한 후반이 대략 사각형을 이루는 평면부로서의 판체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셸판(14a, 14b)의 전반의 대략 중앙부에서 일측에는 중앙중심 원호부(27a, 27b)를 설치하고, 같으게 타측에는 후부중심 원호부(28a, 28b)를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하셸판(14b)의 전반의대략 중앙부에는, 중앙중심 원호부(27b)의 단부에서 후부중심 원호부(28b)측에 소정량만큼 돌출하는 스토퍼부(29)가 설치되어 있다. 이 스토퍼부(29)는 개폐문(17)의 록핀을 계지하여 그 회동량을 제한한다.
또한, 상하의 셸판(14a, 14b)에는, 서로 중합시켰을 때에 상하로 일치되는 개구창(16a, 16b)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들의 개구창(16a, 16b)은, 일단이 대략 중앙부에 설정되고 또한 타단이 전반의 대략 중앙부 근방에 설정된 전후방향으로 직선적으로 연장되는 소정폭의 장공형태의 개구부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개구창(16a)에 관련시켜서 상셸판(14a)의 일면에는, 개폐문(17)이 회동자재로 수납되는 비수납 오목부(30)가 설치되어 있다. 이 비수납 오목부(30)는 개구창(16a, 16b)을 개폐하기 위해 개폐문(17)이 소정각도 회동변위하였을 때의 형태에 대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비(扉)수납 오목부(30)의 형태를 설명하기 전에, 먼저 개폐문(17)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개폐문(17)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구창(16a, 16b)을 완전히 닫을 수 있는 단책형의 셔터편(17a)과, 이 셔터편(17a)의 긴쪽방향의 한쪽에 연속된 암편(17b)과, 이 암편(17b)의 선단부에 연속하여 설치된 록고리(17c)를 갖추고 있다. 이 개폐문(17)의 셔터편(17a)의 외측단부에는, 그 일면측으로 돌출하는 록핀(31)이 설치되어 있고, 이 록핀(31)이 상기 후부중심 원호부(13b, 28a, 28b)에 미끄러져 움직임이 가능하게 접촉된다. 이 셔터편(17a)의 내측변에는, 개구창(16a, 16b)을 연 상태에 있어서 당해 개구창(16a, 16b)과의 중합을 방지하기 위한 원호형의 도피부(17d)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개폐문(17)의 암편(17b)은, 셔터편(17a)의 록핀(31)이 고정되어 있는 각부와 대각선을 이루는 방향으로 연재되어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암편(17b)의 선단부에는, 그 일부를 하편으로 접어내므로써 스프링 받이편(17e)을 형성하는 동시에, 이 암편(17b)의 스프링 받이편(17e)에서 셔터편(17a)측으로 약간 되돌아온 위치에는, 이 개폐문(17)의 회동동작의 중심이 되는 회동구멍(17f)이 설치되어 있다. 이 회동구멍(17f)에는 상셸(13)의 볼록돌기축(25)이 회동자재로 끼워맞춰져 있다. 또 개폐문(17)의 록고리(17c)는, 전후방향으로 고리편을 갖는 ⊃자형의 부재로 이루고, 암편(17b)의 선단부와의 사이에 단부(17g)를 설치함으로써 록고리(17c)의 높이위치를 조정하고 있다.
이와 같은 형태를 갖는 개폐문(17)이 수납되는 비수납 오목부(30)는, 셔터편(17a)의 이동형태에 대응한 대략 부채형을 이루는 셔터이동부(30a)와, 암편(17b)의 이동을 허용하는 암이동부(30b)를 갖추고 있다. 이 비수납 오목부(30)의 셔터이동부(30a)의 한편에 이동하는 오목부측연(32a)은, 개구창(16a))의 한편의 측연에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전후방향으로 똑바로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폐문(17)의 한편의 측연이 오목부측연(32a)에 당접하고 있을 때에는, 셔터편(17a)에 의해 개구창(16a, 16b)이 완전히 닫혀지도록 되어 있다.
또, 비수납 오목부(30)의 셔터이동부(30a)의 다른편에 위치하는 오목부측연(32b)은, 개구창(16a))의 다른편의 측연에서 소정각도 회동한 위치에 있어서 비스듬한 전편으로 연장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도 5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폐문(17)의 다른편의 측연이 오목부측연(32b)에 당접하고 있을 때에는, 도피부(17d)를 갖는 셔터편(17a)이 개구창(16a, 16b)을 완전히 열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비수납 오목부(30)의 암이동부(30b)의 후부중심 원호부(28a)와 대각선방향으로 대향하는 각부에는, 오목함부(23)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제 1개구공(33)과, 이 제 1개구공(33)의 폭방향 외측에 설정된 제 2개구공(34)과가 설치되어 있다. 제 2개구공(34)은 후술하는 탄성부재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것으로, 상셸(13)의 연통오목부(22)에 대응시켜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셸판(14a)의 제 2개구공(34)의 앞측에는, 상셸(13)측으로 돌출하는 블록부(35)가 설치되어 있다. 이 블록부(34)는 상셸(13)의 외부 오목부(23a)의 일부에 끼워맞춰지고, 이것에 의해 상셸(13)에 대한 상셸판(14a)의 대략의 위치결정을 행할 수 있다.
이 상셸판(14a)의 비수납 오목부(30)의 외측에는, 복수의 위치결정용의 끼워맞춤구멍(36)이 설치되어 있어서, 각 끼워맞춤구멍(36)은 상셸(13)의 나사구멍(13c)과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의 끼워맞춤구멍(36)에 끼워맞춰지는 복수의 끼워맞춤 볼록부(37)가 하셸판(14b)의 내면에 동일한 수만큼 설치되어 있다. 이들의 끼워맞춤 볼록부(37)를 끼워맞춤구멍(36)에 끼워맞춰서 상하의 셸판(14a, 14b)을 중합시킴으로써, 그것만으로 양 셸판(14a, 14b)의 위치맞춤을 행할 수 있다. 그리고, 이들에 멈춤나사의 축부를 삽통시킨 후, 그 선단부를 나사구멍(13c)에 나합시킴으로써, 상하의 셸(13, 14)을 일체적으로 맞붙여서 카트리지 케이스체(12)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 셸판(14a)의 후반의 양각부 근방에는, 이 디스크 카트리지(10)를 디스크기록 재생장치의 소정위치에 위치결정하기 위한 한쌍의 위치결정구멍(38)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한편의 위치결정구멍(38)의 근방에는, 제 1개폐공(33)을 관통하여온 볼록돌기축(25)의 중앙부에 끼워맞춰지는 볼록돌기(39)가 설치되어 있다.
또, 상셸(13)의 오목결부(18)내에는, 록암(40)이 회동자재로 부착되어 있다. 이 록암(40)은 봉형태의 암본체(40a)와, 이 암본체(40a)의 긴쪽방향의 일단에 설치된 록고리(40b)와, 암본체(40a)의 록고리(40b)와 반대측에 설치되고, 또한 양단이 측편으로 돌출하는 회동핀(40c)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회동핀(40c)의 일단을 상셸(13)의 핀지지공(18b)에 회동자재로 축지지되어 있다.
이 록암(40)의 내면에는, 탄성체의 일 구체예를 나타내는 비트는 스프링(41)의 일단이 가세되어 있다. 이 비트는 스프링(41)의 코일부는 스프링 지지핀(19)에 느슨하게 끼워맞춰져 있고, 기타의 단은 오목결부(18)의 저면에 가세되어 있다. 이 비트는 스프링(41)의 스프링력에 의해, 록암(40)의 록고리(40b)는 상시 오목결부(18)측에 가세되어 있다. 이 록암(40)과 비트는 스프링(41)에 의해, 개폐문(17)을 록하는 제 1록기구가 구성되어 있다.
또, 상셸(13)의 외부 오목부(23a)내에는, 탄성부재의 일 구체예를 나타내는 판스프링체(43)가 수용되어 있다. 이 판스프링체(43)는 도 10에 확대하여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길고 가는 판스프링재로 이루는 스프링본체(43a)와, 이 스프링본체(43a)의 긴쪽의 일단부를 면방향으로 약간 절곡함으로써 형성된 탄성편(43b)과,스프링본체(43a)의 탄성편(43b)과 반대측의 양 측연을 폭방향으로 절곡함으로써, 동일 방향으로 상승하도록 형성된 록편(40b) 및 입력편(45)과를 갖추고 있다.
이 판스프링체(43)의 록편(44)에는 스프링본체(43a)의 저부까지 달하는 절결부(44a)가 설치되어 있고, 이 절결부(44a)에 의해 록편(44)의 외측에 계지편(44b)이 설정되어 있다. 이 록편(44)의 탄성편(43b)측은 경사면으로 되어 있어서, 이 경사면에 따라서 개폐문(17)의 록고리(17c)가 광디스크(11)의 면방형으로 이동하고, 도 3 및 도 10 등에 도시하는 록상태와, 도 5 등에 도시하는 록해제상태를 취할 수 있다.
또, 판스프링체(43)의 입력편(45)은 단면 L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그 상면에는 탄성편(43b)측으로 앞이 내려가도록 경사평면(45a)이 설치되어 있다. 이 입력편(45)은 판스프링체(43)를 탄성변형시켜서, 록편(44)에 의한 록고리(17c)의 착탈동작을 행하기 위한 입력부로 되는 것으로, 디스크기록 재생장치에 설치되는 조작핀(48)이 경사평면(45a) 상을 미끄러져 움직인다. 이것에 의해 스프링본체(43a)의 계지편(44b)측이 밀어내려지고, 그 결과 록편(44)이 하편으로 빠저나가므로써 록고리(17c)의 록이 해제된다. 이 판스프링체(43)에 의해 개폐문(17)을 록하는 제 2록기구가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 1 및 제 2록기구에 의해 이중으로 록되는 개폐문(17)은, 그 회동구멍(17f)에 삽통되는 볼록돌기축(25)에 느슨하게 끼워맞춰진 탄성체의 일 구체예를 나타내는 비트는 스프링(46)에 의해 개구창(16a, 16b)을 닫는 방향으로 상시 가세되어 있다. 이 비트는 스프링(46)의 일단은 내부오목부(23b)의 내면에 착좌되어 있는 한편, 기타단은 개폐문(17)의 스프링 받이편(17e)에 계지되어 있다. 따라서 개폐문(17)에 작용하고 있는 외부력이 비트는 스프링(46)의 스프링력만인 경우에는, 그 스프링력으로 록고리(17c)가 록편(44)을 넘어서 절결부(44a)내에 들어가고, 그 한편의 고리부가 계지편(44b)의 내연에 당접된 상태가 된다.
또한, 상셸(3) 및 상하의 하셸판(14a, 14b)의 재질로서는, 예를 들면 ABS수지(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수지)가 호적인바, HIPS(고충격성 폴리스티렌), PP(폴리프로필렌) 등의 기타의 합성수지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개폐문(17) 및 판스프링체(43)의 재질로서는, 예를 들면 스테인레스강판 등이 호적인바, 기타의 금속제판재를 적용하는 것은 물론이고, HIPS 등의 합성수지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디스크 카트리지(10)가 디스크기록 재생장치에 장착되기 전에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상태로 되어 있다. 즉, 개폐문(17)이 비트는 스프링(46)의 스프링력에 의해 개구창(16a, 16b)을 완전히 닫은 상태에 있는 동시에, 그 개폐문(17)은 제 1 및 제 2록기구에 의해 록되어서 움직이지 않는 상태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태의 디스크 카트리지(10)를 디스크기록 재생장치에 삽입함으로써, 이 디스크기록 재생장치에 설치되는 제 1 및 제 2록 해제기구에 의해 제 1 및 제 2록기구의 록상태가 해제되고, 그후 비여는 기구에서 개폐문(17)을 회동시킴으로써, 개구창(16a, 16b)이 열리게 된다.
먼저, 디스크 카트리지(10)를 디스크기록 재생장치에 삽입하면, 제 1록 해제기구가 제 1록기구에 의한 록을 해제한다. 이 제 1록 해제기구는, 예를 들면 록암(40)을 외측으로 회동시키는 암부재를 갖는 구성으로 되고, 도 3, 도 4에 도시하는 상태에서, 그 암부재로 비트는 스프링(46)의 스프링력에 저항하여 록암(40)을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킴으로써, 록암(40)의 록고리(40b)가 개폐문(17)의 록핀(31)에서 떨어지고, 이것에 의해 제 1록기구에 의한 록이 해제된다.
이와 동시에 혹은 전후하여, 제 2록 해제기구가 제 2록기구에 의한 록을 해제한다. 이 제 2록 해제기구는, 예를 들면 상술한 조작핀(48)을 갖는 구성으로 되고, 이 조작핀(48)이 디스크 카트리지(10)의 한편의 측면에 설치한 가이드홈(20)내에 들어감으로써 실행된다. 이 조작핀(48)이 가이드홈(20)내에 들어가고, 입력편(45)의 경사평면(45a) 상에 올라앉히면, 그 때까지 판스프링체(43)는 탄성편(43b)의 작용에 의해 삼점 지지되어서 양단부가 들어올려진 상태에 있기 때문에, 조작핀(48)의 삽입력에 의해 판스프링체(43)의 록편(44)이 도 10에 있어서 하편으로 탄성변형된다. 그 결과 록편(44)이 개폐문(17)의 록고리(17c)의 사이에서 하편으로 빠지므로써, 제 1록기구에 의한 록이 해제된다.
이것에 의해, 개폐문(17)의 2개소의 록은 해제되는바, 그 개폐문(17)은 비트는 스프링(46)에 의해 개구창(16a, 16b)을 닫는 방향으로 가세되어 있기 때문에, 이대로 로는 개폐문(17)을 움직일 수 없다. 그래서 다음에, 비여는 기구에 의해 개폐문(17)을 회동시킨다. 이 비(扉)여는기구는 예를 들면, 비트는 스프링(46)의 스프링력에 저항하여 록핀(31)을 가압하여 개폐문(17)을 움직일 수 있는 가압부재를 갖추어서 구성된다. 그리고, 이 비여는기구의 가압부재로 록핀(31)을 가압하고,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상태에서 도 5 및 도 6에 도시하는 상태로 개폐문(17)을 회동시킴으로써, 개구창(16a, 16b)이 완전히 열리게 된다.
이것과는 역으로, 디스크 카트리지(10)를 디스크기록 재생장치에서 꺼내고자하면, 상술한 제 1 및 제 2록 해제기구 및 비여는 기구가 함께 역방향으로 작동하여 개폐문(17)이 자동적으로 역방향으로 회동되고, 이 개폐문(17)에 의해 개구창(16a, 16b)이 닫혀지게 된다. 즉, 예를 들면 비여는 기구의 가압부재에 의한 록핀(31)의 가압력을 해제하여 프리상태로 하면, 암편(17b)에 작용하는 비트는 스프링(46)의 스프링력에 의해 개폐문(17)이 도 5 및 도 6에 도시하는 상태에서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상태로 회동변위하고, 원래의 개구창(16a, 16b)을 닫은 상태로 복귀한다.
이것과 연동하도록, 제 2록 해제기구의 조작핀(48)이 후퇴하면, 판스프링체(43)의 탄성변형이 해소되어서 원래의 상태로 복귀하기 때문에, 그 록편(44)이 개폐문(17)의 록고리(17c)내에 들어간다. 이것에 의해 제 2록기구에 의한 개폐문(17)의 1단째의 록상태가 확보된다. 이것과 동일하게, 제 1록 해제기구의 암부재에 의한 록암(40)의 규제가 해제되기 때문에, 비트는 스프링(46)의 스프링력에 의해 록암(40)이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간다. 그 결과, 록암(40)의 록고리(40b)가 록핀(31)에 결합되고, 이것에 의해 제 1록기구에 의한 개폐문(17)의 2단째의 록상태가 확보된다.
이와 같이, 이 제 1실시예에 관계되는 디스크 카트리지(10)에 의하면, 카트리지 케이스체(12)의 개구창(16a, 16b)이 설치된 하셸(14)의 상하의 셸판(14a,14b)사이에 개폐문(17)을 개재시키고, 그 평면부의 평면에 따라서 개폐문(17)을 회동시키는 구조로 하였기 때문에, 카트리지 케이스체(12)와 개폐문(17)과의 사이에 생기는 극간을 가급적 작게할 수 있었다. 따라서 미세한 먼지가 카트리지 케이스체(12)와 개폐문(17)과의 사이의 극간에서 카트리지 케이스체내에 들어가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었다. 더구나 개폐문(17)이 하셸(14)내에 격납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잘못하여 개폐문(17)을 열게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개폐문(17)에는 이중의 록기구를 설치하고 있는데서, 사용자가 잘못하여 개폐문(17)을 열게되는 사고를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관계되는 디스크 카트리지(50)는, 도 11∼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폐문(57)을 카트리지 케이스체(52)의 외측으로 노출시키도록 한 것이다. 이 디스크 카트리지(50)는, 한쌍의 상셸(53) 및 하셸(54)을 중합시킴으로써 구성되는 카트리지 케이스체(52)와, 이 카트리지 케이스체(52)내에 형성된 디스크수용실(52)내에 회전자재로 수용되는 광디스크(51)와, 하셸(54)에 형성된 개구창(56)을 개폐할 수 있는 개폐문(57) 등을 갖추고 있다.
상셸(53)은 전반이 반원형을 이루고, 또한 후반이 사각형을 이루는 비교적 두께가 얇은 판형체로 이루고, 그 내면의 대략 중앙부에는 하향으로 돌출된 나사축부(58)가 설치되어 있다. 또 하셸(54)은 같으게 전반이 반원형을 이루고, 또한 후반이 사각형을 이루고 있어서 적당한 두께를 갖는 평면부로서의 판형체로 이루고, 그 내면에는 원형의 오목함부로 이루는 디스크수용실(55)이 설치되어 있다.그리고 하셸(54)의 폭방향의 양 측면부에는, 디스크기록 재생장치에 장착할 때의 위치결정이나 오삽입방지 등의 역할을 다하는 가이드홈(60, 61)이 각각 전후방향으로 연재시켜서 설치되어 있다.
또한, 하셸(54)의 디스크수용실(55)의 외측에는, 이 디스크수용실(55)과 동심을 이루는 원주홈(59)이 설치되어 있다. 이 원주홈(59)은, 한편의 가이드홈(60)의 근방에서 시작하여 디스크수용실(55)의 주위를 대략 3/4정도 덮는 것같이 설정되어 있고, 그 시단부에는 계지부재의 일 구체예를 나타내는 계지암(62)이 회동자재로 수용되는 암수용 오목부(63)가 연통되어 있다. 이 암수용 오목부(63)에는 지지핀(63a)이 입설되어 있어서, 이 지지핀(63a)에 계지암(62)의 기단이 회동자재로 지지되어 있다.
계지암(62)은 그 선단에 설치된 계지고리(62a)와, 이 계지고리(62a)와 지지핀(63a)용의 구멍과의 사이에 설정된 입력볼록돌기(62b)와를 갖추고 있다. 이 계지암(62)의 계지고리(62a)와, 입력볼록돌기(62b)와는 동일방향으로 돌출되어 있고, 탄성체의 일 구체예를 나타내는 비트는 스프링(64)에 의해 상시 가이드홈(60)측으로 가세되어 있다. 즉, 비트는 스프링(64)의 코일부는 지지핀(63a)에 느슨하게 끼워맞춰져 있어서, 일단이 암수용 오목부(63)내의 스프링 받이편(63b)에 계지되고, 기타단이 계지암(62)에 착좌되어 있다. 이 계지암(62)은 계지고리(62a)와 입력볼록돌기(62b)가 가이드홈(60)과 암수용 오목부(63)와의 사이를 연통하는 연통구(65)에 면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비트는 스프링(64)의 스프링력에 의해 입력볼록돌기(62b)가 가이드홈(60)내에 돌출하고 있는 한편,계지고리(62a)는 암수용 오목부(63)내에 격납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 계지암(62)은 계지고리(62a)에 일단이 면하도록 원주홈(59)내에는 리본형의 록밴드(66)가 미끄러져 움직임이 자재로 수납되어 있다. 이 록밴드(66)의 긴쪽방향의 일단에는, 계지고리(62a)가 착탈가능하게 계지되는 계지구멍이 개구되어 있어서, 그 긴쪽방향의 중도부인 하셸(54)의 전반의 대략 중앙부에는 개폐문(57)이 일체적으로 고정되어 있다. 이 록밴드(66)와 비트는 스프링(64)과 계지암(62)에 의해, 개폐문(57)을 개구창(56)의 닫은 상태에서 록하는 제 3록기구가 구성되어 있다.
또, 록밴드(66)와 개폐문(57)과의 고정부에 대응하는 하셸(54)의 전반에는, 개폐문(57)을 회동조작하기 위한 조작용 오목부(67)가 설치되어 있다. 이 조작용 오목부(67)는, 하셸(54)의 전반의 대략 중앙부에서 다른편의 가이드홈(61)에 달하는 부분까지 세로방향으로 길게 연재되어 있어서, 이것에 대응하는 디스크수용실(55)과 원주홈(59)과의 사이에 설정된 돌기에는 개폐문(57)이 미끄러져 움직임이 자재로 통과하는 절결부(67a)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하셸(54)에는, 그 대략 중심인 디스크수용실(55)의 중앙부에 허브구멍(68)이 개구되어 있는 동시에, 이 허브구멍(68)에 연속하여 전편으로 연장하여 전반의 중앙부근방까지 달하는 개구창(56)이 설치되어 있다. 이 개구창(56) 및 허브구멍(68)은, 하셸(54)에 장착되는 개폐문(57)에 의해 개폐자재로 되어 있다.
이 개폐문(57)은 단면형태가 ⊃자형을 이루고 있고, 개구창(56) 및허브구멍(68)을 개폐하는 셔터편(57a)과, 이 셔터편(57a)의 외주연에 연속하는 외주편(57b)과, 이 외주편(57b)에 연속하고 또한 셔터편(57a)과 대향하도록 설치된 베이스편(57c)을 갖추고 있다. 이 개폐문(57)의 셔터편(57a)의 기단에는 삽통공(57d)이 설치되고, 또 외주편(57b)은 일부를 팽출시켜서 손 등이 걸리기 쉽게하고 있다. 개폐문(57)의 베이스편(57c)은 상셸(53)의 내면에 따르도록 배치되고 있고, 그 내부단에는 셔터편(57a)측으로 돌출하는 조작핀(70)이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또, 카트리지 케이스체(52)의 디스크수용실(55)내에 수용되는 광디스크(51)는, 중앙부에 너트구멍(71)을 갖는 디스크부(51a)와, 이 디스크부(51a)의 일면의 중앙부에 설치된 통축부(51b)를 갖추고 있다. 이 광디스크(51)의 통축부(51b)는, 하셸(54)의 허브구멍(68) 및 개폐문(57)의 삽통공(57d)을 관통하여 하면측으로 돌출하고 있다. 그리고, 통축부(51b)의 선단부에 고정된 링형의 멈춤고리(72)에 의해 셔터편(57a)의 빠져나가는 것이 방지되어 있다. 또한 너트구멍(71)에는 너트부재(73)가 느슨하게 끼워맞춰져 있고, 그 내주면에 설치한 나사부에는 상셸(53)의 나사축부(58)가 나합되어 있다.
이 너트부재(73)는, 너트구멍(71)으로부터의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두부(73a)와, 나사구멍의 중심과 평행으로 연장되도록 외주면에 설치된 슬릿(73b)과를 갖추고 있다. 이 너트부재(73)의 슬릿(73b)에는, 개폐문(57)의 조작핀(70)이 미끄러져 움직임이 가능하게 삽입된다. 그리고, 너트부재(73)의 두부(73a)측을 덮는 것같이 통축부(51b)의 내측에는, 턴테이블에 장착하기 위한 철판 등으로이루는 척킹플레이트(74)가 끼워맞춰져 있다.
이 광디스크(51)의 재질로서는, 상술한 제 1실시예와 동일하게 폴리카보네이트(PC) 등이 호적인바, 기타의 합성수지를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합성수지 이외의 유리재나 알루미늄합금 등의 각종의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또 상하셸(53, 54)의 재질로서는, 같으게 ABS수지나 HIPS 등의 합성수지가 호적인바, 기타의 합성수지는 물론이고 알루미늄합금 등의 다른 재료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개폐문(57)의 재질로서는 예를 들면 내식성이 높은 스테인레스강이 호적인바, 알루미늄합금 등의 금속은 물론이고, 합성수지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디스크 카트리지(50)에 의하면,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구창(56)이 개폐문(57)에 의해 닫혀져 있을 때에는, 너트부재(73)가 상편으로 끌어올려져서 광디스크(51)가 들어올려진 상태에 있다. 그 때문에, 광디스크(51)의 통축부(51b)에 개폐문(57)의 셔터편(57a)이 들어올려지고, 그 셔터편(57a)이 하셸(54)의 하면에 압접된 상태가 된다. 이것에 의해 셔터편(57a)과 하셸(54)과의 사이의 극간을 가급적 작게하여, 미세한 먼지의 칩입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더구나, 개폐문(57)은 제 3록기구에 의해 록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개폐문(57)을 잘못하여 열게되는 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개폐문(57)의 닫은 상태에서 디스크 카트리지(50)를 디스크기록 재생장치에 장착함으로써, 조작핀이 한편의 가이드홈(60)내에 들어가서 계지암(62)의 입력볼록돌기(62b)를 가압하면, 비트는 스프링(64)의 스프링력에 저항하여 계지암(62)이 내측으로 밀어 되돌려진다. 이것에 의해 계지암(62)의 계지고리(62a)가 내측으로 후퇴하여 록밴드(66)의 계지구멍에서 빠져나와, 제 3록기구에 의해 록이 해제된다.
그래서, 비여는기구를 작동시켜서 개폐문(57)을 도 11에 도시하는 닫은 상태에서 도 13에 도시하는 열은 상태로 회동시킴으로써, 개구창(56)이 완전히 열린다. 이때 개폐문(57)의 회동에 따라서 베이스편(57c)에 설치한 조작핀(70)이 일체로 회동하여, 너트부재(73)를 같은 각도만 회동시킨다. 이에 대하여 너트부재(73)가 나합되어 있는 나사축부(58)는 상셸(53)에 일체로 되어 있기 때문에, 너트부재(73)의 회동에 의해 이 너트부재(73) 자체가 조작핀(70)에 가이드되어서 상대적으로 하편으로 이동한다. 그 결과, 너트부재(73)의 하강동작에 의해 그 두부(73a)에 지지되어 있는 광디스크(51)가 자중에 의해 너트부재(73)의 하강량만큼 하강하고, 도 14에 도시하는 상태로 변화한다.
이 상태에서 디스크기록 재생장치측의 턴테이블을 상승시키는 등하여 광디스크(51)를 척킹한다. 이것에 의해, 광디스크(51)가 턴테이블과 회전방향으로 일체화되어서, 이 광디스크(51)에 대한 정보신호의 기입(기록) 혹은 독출(재생)이 가능하게 된다.
이것과는 역으로, 디스크 카트리지(50)를 디스크기록 재생장치에서 꺼낼 때에는, 상술한 동작과 역의 동작이 행해진다. 그리고, 개폐문(57)이 역방향으로 회동되어서, 디스크 카트리지(50)가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하는 상태에서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하는 상태로 변화한다.
이와 같은 제 2실시예에 관계되는 디스크 카트리지(50)에 의해서도, 상술한 제 1실시예에 관계되는 디스크 카트리지(10)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정보기록매체로서 광디스크를 사용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광자기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등의 자기디스크, 기타 각종의 정보기록매체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정보기억장치로서 기록재생겸용의 디스크기록 재생장치에 적용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기록 또는 재생의 한편만이 가능한 디스크기억장치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또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카트리지 케이스체(12, 52)의 한편의 평면부에 개구창(16, 56)을 설치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양면의 평면부에 개구창을 함께 설치하고, 카트리지 케이스체의 상하에서 동시에 액세스할 수 있는 구조로 할 수도 있다. 또한 탄성체로서 비트는 스프링을 적용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판스프링 기타의 스프링재료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고무 혹은 이것에 유사한 합성수지 등의 고무형 탄성체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그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로 변경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카트리지 케이스체의 평면부의 평면에 따라서 개폐문을 회동시키는 구성으로 하였기 때문에, 카트리지 케이스체와 개폐문과의 사이의 극간을 가급적 작게할 수 있고, 따라서 미세한 먼지가 카트리지 케이스체와 개폐문과의 사이의 극간에서 카트리지 케이스체내에 들어가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더구나 개구창의 폐쇄시, 개폐문은 록기구에 의해 록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개폐문을 잘못하여 열게되는 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Claims (3)

  1. 정보가 기록되는 기록매체와,
    전반부분이 대략 반원형이고, 후반부분이 대략 사각형인 동시에, 상기 기록매체를 수납하는 카트리지케이스체와,
    상기 기록매체의 기록면에 대응하는 상기 카트리지케이스체의 적어도 일편의 평면부에 형성된 개구창과,
    상기 카트리지케이스체의 후반부분의 일부에 설치되는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 평면부에 따라서 상기 개구창을 개폐시키는 개폐문을 갖춘 기록매체카트리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창은 상기 카트리지케이스체에 수납되는 기록매체의 중심부근에서 전방으로 향해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의 카트리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케이스체의 전반부분에 상기 개폐문을 록하는 록기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의 카트리지.
KR1020030100409A 1998-02-02 2003-12-30 디스크형 정보기억매체용 카트리지 KR1005747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2097498A JP4006809B2 (ja) 1998-02-02 1998-02-02 情報記憶媒体カートリッジ
JPJP-P-1998-00020974 1998-02-02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2914A Division KR100542636B1 (ko) 1998-02-02 1999-01-29 디스크형 정보기억매체용 카트리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2657A true KR20040012657A (ko) 2004-02-11
KR100574782B1 KR100574782B1 (ko) 2006-04-27

Family

ID=1204214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2914A KR100542636B1 (ko) 1998-02-02 1999-01-29 디스크형 정보기억매체용 카트리지
KR1020030100409A KR100574782B1 (ko) 1998-02-02 2003-12-30 디스크형 정보기억매체용 카트리지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2914A KR100542636B1 (ko) 1998-02-02 1999-01-29 디스크형 정보기억매체용 카트리지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6205116B1 (ko)
EP (2) EP1688949B1 (ko)
JP (1) JP4006809B2 (ko)
KR (2) KR100542636B1 (ko)
DE (2) DE69933073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56527B1 (en) * 1998-07-13 2002-03-12 Sony Corporation Shutter assembly for a disc cartridge
JP2000067547A (ja) 1998-08-24 2000-03-03 Sony Corp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DE60033725T2 (de) * 1999-04-28 2007-12-06 Sharp K.K. Plattenkassette
JP2001067832A (ja) * 1999-09-01 2001-03-16 Sony Corp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2001067833A (ja) 1999-09-01 2001-03-16 Sony Corp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2001076457A (ja) * 1999-09-06 2001-03-23 Sony Corp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EP1152418A4 (en) * 1999-11-12 2002-08-14 Sony Corp DISC CARTRIDGE DEVICE AND DISC CARTRIDGE
JP2001250360A (ja) * 2000-03-01 2001-09-14 Sony Corp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TW522385B (en) * 2000-05-17 2003-03-01 Sony Corp Disk cartridge
JP2002279751A (ja) * 2001-03-16 2002-09-27 Fuji Photo Film Co Ltd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2003051171A (ja) * 2001-05-21 2003-02-21 Fuji Photo Film Co Ltd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DE60226439D1 (de) * 2001-06-29 2008-06-19 Sony Corp Plattenkassette, bildungsglied für die plattenkassette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inneren schale
US6910219B2 (en) * 2001-07-06 2005-06-2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isc cartridge
ES2319622T3 (es) * 2001-09-03 2009-05-11 Sony Corporation Cartucho de disco, dispositivo de medio de grabacion de disco y dispositivo de grabacion y/o reproduccion de disco.
JP3991642B2 (ja) * 2001-09-27 2007-10-17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ディスク記録媒体装置及び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
JP3809786B2 (ja) * 2001-10-01 2006-08-16 ソニー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
JP3919084B2 (ja) * 2001-11-21 2007-05-2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磁気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2004272972A (ja) * 2003-03-06 2004-09-30 Fuji Photo Film Co Ltd 磁気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2004273035A (ja) * 2003-03-10 2004-09-30 Fuji Photo Film Co Ltd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2004362731A (ja) * 2003-05-12 2004-12-24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および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を装着する装置
WO2005010885A1 (ja) * 2003-07-28 2005-02-03 Sony Corporation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CN100583280C (zh) * 2003-07-28 2010-01-20 索尼株式会社 盘盒的活门装置、盘盒和盘记录和/或再现装置
KR100987445B1 (ko) 2003-09-16 2010-10-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크의 착탈이 가능한 디스크 카트리지
US7123445B2 (en) * 2003-12-01 2006-10-17 Imation Corp. Data storage cartridge with hard drive and door
JP4363246B2 (ja) * 2004-05-07 2009-11-11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4075851B2 (ja) 2004-05-10 2008-04-16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スク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EP2073209B1 (en) 2006-10-12 2012-12-12 Panasonic Corporation Disk cartridge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16150A (en) * 1965-08-02 1968-12-10 Data Disc Inc Magnetic recording disc cartridge
DE1774349B2 (de) * 1967-05-31 1973-09-27 Nippon Electric Co., Ltd., Tokio Behälter für magnetische Speicherscheiben und Datenspeichereinrichtung
GB1525849A (en) * 1977-06-29 1978-09-20 Ibm Record disc cartridge
NL8004378A (nl) 1980-07-31 1982-03-01 Philips Nv Schijfeenheid met een roteerbare ronde informatieschijf.
JPS5870463A (ja) 1981-10-21 1983-04-26 Hitachi Ltd デイスクカセツト
JPS5939477U (ja) * 1982-09-06 1984-03-13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磁気デイスクカ−トリツジ
US4497009A (en) * 1983-01-11 1985-01-29 Fuji Photo Film Co., Ltd. Magnetic disk cartridge
JPS60231964A (ja) * 1984-04-28 1985-11-18 Canon Inc 記録又は再生装置
US4724962A (en) 1984-09-20 1988-02-16 Olympus Optical Company Limited Disk jacket
US4652961A (en) 1984-09-27 1987-03-24 Dysan Corporation Micro-floppy diskette with inner containment system
US4695911A (en) * 1985-05-03 1987-09-22 Ron Loosen Floppy diskette protection device
DE3681917D1 (de) 1985-11-19 1991-11-14 Eastman Kodak Co Aufnahmeplattenanordnung.
JPS6361484A (ja) * 1986-09-01 1988-03-17 Toshiba Corp 情報記憶媒体用カ−トリツジ
US4943880A (en) * 1988-11-14 1990-07-24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Disk locking mechanism for disk cartridge
GB2228818A (en) 1989-02-28 1990-09-05 Lam Philip Y T A Disc cassette assembly
JP2961982B2 (ja) * 1990-08-24 1999-10-12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US5278717A (en) 1990-10-02 1994-01-11 Tdk Corporation Disk cartridge
AU662745B2 (en) * 1991-07-31 1995-09-14 Sony Corporation Disc cartridge
US5481420A (en) 1992-11-09 1996-01-02 Cardona; Joseph C. Data storage device with removable cartridge having shutter unlocking and disk unrestraining arrangements
US5440436A (en) * 1992-11-13 1995-08-08 Syquest Technology, Inc. Removable cartridge disk drive with a 1.8 inch form factor
US5537389A (en) * 1992-11-30 1996-07-16 Hitachi Maxwell, Ltd. Disk cartridge having a single closing energizer for closing two independently opened shutters
JPH076493A (ja) 1993-06-21 1995-01-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光ディスク装置および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US5923641A (en) * 1995-07-07 1999-07-13 Hitachi Maxell, Ltd. Disk cartrid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933073D1 (de) 2006-10-19
EP1688949A3 (en) 2007-01-03
US6205116B1 (en) 2001-03-20
DE69933073T2 (de) 2007-04-26
US6298034B1 (en) 2001-10-02
KR100574782B1 (ko) 2006-04-27
JP4006809B2 (ja) 2007-11-14
KR100542636B1 (ko) 2006-01-12
EP0933772A2 (en) 1999-08-04
KR19990072329A (ko) 1999-09-27
JPH11219575A (ja) 1999-08-10
EP1688949A2 (en) 2006-08-09
DE69938682D1 (de) 2008-06-19
EP0933772B1 (en) 2006-09-06
EP0933772A3 (en) 1999-09-15
EP1688949B1 (en) 2008-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74782B1 (ko) 디스크형 정보기억매체용 카트리지
US6590858B2 (en) Disc cartridge
CA1319981C (en) Disk drive
US6038202A (en) Electronic equipment
EP0421775B1 (en) Disc cartridge
JP2584170B2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EP0982729B1 (en) Disc cartridge
JPH07153222A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装置
JP2002279751A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US4935834A (en) Shutter spring for disk cartridge
JPH0345344Y2 (ko)
JPH10188428A (ja) ディスク装置
KR20060039402A (ko) 디스크 카트리지용 셔터 부재, 디스크 카트리지 및 디스크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
TWI321782B (ko)
JPH05151739A (ja) デイスクカートリツジ
JPH0528632Y2 (ko)
JPH10144039A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CA2486876C (en) Disc cartridge
JP3377643B2 (ja) 記録再生装置
JPH11328802A (ja) 記録媒体駆動装置の振動ノイズ低減装置
JPH10302431A (ja) 磁気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および磁気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JPH0766649B2 (ja) テープカセット
JPH10283749A (ja) 磁気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H10188425A (ja) ディスク装置
JPH11328806A (ja) 記録媒体駆動装置のシャッタ閉鎖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4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