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08867A - 제빵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제빵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08867A
KR20040008867A KR1020020042592A KR20020042592A KR20040008867A KR 20040008867 A KR20040008867 A KR 20040008867A KR 1020020042592 A KR1020020042592 A KR 1020020042592A KR 20020042592 A KR20020042592 A KR 20020042592A KR 20040008867 A KR20040008867 A KR 200400088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dough
unit
rotating disk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25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65992B1 (ko
Inventor
이장우
권용현
임동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425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5992B1/ko
Priority to JP2002335487A priority patent/JP3634834B2/ja
Priority to DE60302725T priority patent/DE60302725T2/de
Priority to EP03251236A priority patent/EP1382258B1/en
Priority to US10/382,651 priority patent/US6935224B2/en
Priority to CNB031072453A priority patent/CN1221176C/zh
Publication of KR200400088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88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59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59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BBAKERS' OVENS; MACHINES OR EQUIPMENT FOR BAKING
    • A21B1/00Bakers' ove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BBAKERS' OVENS; MACHINES OR EQUIPMENT FOR BAKING
    • A21B7/00Baking plants
    • A21B7/005Baking plants in combination with mixing or kneading dev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 Manufacturing And Processing Devices For Doug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븐실 및 부품실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와, 상기 오븐실내에 상호 소정의 이격을 두고 평행하게 설치되어 정역회전하며 제빵재료가 수용된 믹스백의 양단부가 권취되는 파지부가 형성된 한 쌍의 반죽드럼과, 상기 부품실내에 설치되어 상기 반죽드럼을 정역회전 시키는 드럼구동부를 갖는 제빵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제빵기는, 상기 반죽드럼의 회전위치를 수동으로 조절하기 위한 드럼위치조절부와, 상기 드럼위치조절부에 의해 조절된 회전위치로 상기 반죽드럼이 회전되도록 상기 드럼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이상상태 발생시 반죽드럼을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회전시켜 믹스백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Description

제빵기 및 그 제어방법{BAKING MACHINE AND METHOD FOR CONTROL THEREOF}
통상적으로 빵을 만드는 제빵과정은, 밀가루와 설탕 및 베이킹파우더 등의 재료를 준비하여, 이들을 반죽한 후, 반죽된 재료를 발효하고 굽는 등의 복잡한 과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정상인들이 가정에서 직접 빵을 만드는 것은 매우 번거로운 일이며, 만족스러운 빵을 만들어내는 것 또한 매우 어려운 일이다.
이에, 정상인들이 손쉽게 빵을 만들 수 있도록 재료의 반죽과 발효 및 굽는 과정을 자동으로 실행하여 사용자에게 완성된 빵을 제공하는 제빵기가 현재까지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어 있다.
이러한 제빵기 중, 한국 특허공보 제1991-10203호에 개시되어 있는 제빵기는, 오븐실 상,하부에 상호 평행하게 설치되어 정역 회전하는 한 쌍의 반죽드럼과, 양 반죽드럼 사이에 개재되는 베이킹통과, 오븐실 내부를 가열하는 가열기 및 바코드스캐너 등을 구비하고 있다.
이 제빵기는, 밀가루 및 물 등의 빵 재료가 수용되어 있는 믹스백의 양단부를 반죽드럼에 권취시킨 다음, 운전을 시작하여 소정 시간동안 믹스백을 상하 이동시킴으로써, 믹스백내의 재료를 반죽한다.
그리고, 반죽과정이 끝나면 믹스백이 하부반죽드럼에 모두 감김으로써 상부반죽드럼에서 자동 이탈되어 베이킹통내에 반죽된 재료만 남게 한다. 그런 다음, 가열기가 오븐실 내부를 가열하여 반죽된 재료를 소정 시간 동안 발효 및 구움으로써 베이킹통 내에서 빵을 만들게 된다.
이때, 이러한 일련의 제빵과정은, 믹스백에 부착되어 있는 바코드(재료에 따른 반죽시간, 발효시간, 베이킹 시간 등의 제빵프로그램이 포함되어 있음)를 바코드스캐너가 판독하여 제어부에 전달하고, 제어부에서는 판독된 바코드의 정보에 따라 반죽드럼 및 가열기 등의 기기운전을 제어함으로써 이루어진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제빵기에 있어서는, 믹스백의 반죽 과정 중에 믹스백이 찢어지거나 믹스백이 상부 및 하부 반죽드럼에서 이탈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상상태 발생시 반죽드럼의 구동을 정지시켜 믹스백을 제거해야 하는데 고정된 반죽드럼에 권취된 믹스백을 풀어서 제거하기가 불편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상태 발생시 반죽드럼을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회전시켜 믹스백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제빵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빵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부품실영역을 절취 확대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요부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1의 제빵기의 제어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빵기의 제어방법의 순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제빵기 6 : 드럼위치조절부
6a : 믹스백제거모드 선택버튼 6b : 드럼위치조절버튼
6c : 정상모드선택부 10 : 오븐
11 : 상부반죽드럼 13 : 하부반죽드럼
15 : 제빵트레이 20 : 부품실
25 : 드럼구동부 26 : 구동모터
27 : 연동벨트 28 : 회전축
41 : 회전디스크 61 : 회전디스크감지센서
70 : 제어부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오븐실 및 부품실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와, 상기 오븐실내에 상호 소정의 이격을 두고 평행하게 설치되어 정역회전하며 제빵재료가 수용된 믹스백의 양단부가 권취되는 파지부가 형성된 한 쌍의 반죽드럼과, 상기 부품실내에 설치되어 상기 반죽드럼을 정역회전 시키는 드럼구동부를 갖는 제빵기에 있어서, 상기 반죽드럼의 회전위치를 수동으로 조절하기 위한 드럼위치조절부와, 상기 드럼위치조절부에 의해 조절된 회전위치로 상기 반죽드럼이 회전되도록 상기 드럼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믹스백이 파지된 반죽드럼의 회전을 정지시키기 위한 믹스백 제거모드 선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드럼위치조절부는 상기 반죽드럼을 초기상태로 위치시키기 위한 정상모드선택부를 포함하며, 상기 정상모드선택부의 선택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반죽드럼의 파지부가 초기상태로 위치되도록 상기 드럼구동부를 제어하는 다음 제빵조리시 용이하게 믹스백을 장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반죽드럼의 회전축에 마련되어 회전하며 원판면의 외주면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감지돌기를 갖는 회전디스크와, 상기 감지돌기를 감지하여 위치신호를 출력하는 회전위치감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전위치감지부에서 출력되는 위치신호에 기초하여 상기반죽드럼의 회전위치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회전위치감지부는 상기 회전디스크에 광신호를 조사하는 발광부와, 상기 회전디스크의 외주면을 사이에 두고 상기 발광부와 대향되도록 설치되는 수광부를 갖는 펄스발생기인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회전디스크는, 단일의 감지돌기를 갖는 제1회전디스크와, 상호 등간격으로 이격형성된 복수의 감지돌기를 갖는 제2회전디스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드럼위치조절부의 선택시마다 상기 회전디스크의 감지돌기가 상기 펄스발생기를 통과하도록 상기 회전디스크를 회전시키며, 상기 드럼위치조절부의 선택 후 소정 허용시간 내에 상기 펄스발생기에서 펄스신호가 출력되지 아니할 때 상기 반죽드럼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에러메시지를 표시하는 것이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분야에 따르면, 상기 목적은, 오븐실 및 부품실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와, 상기 오븐실내에 상호 소정의 이격을 두고 평행하게 설치되어 정역회전하며 제빵재료가 수용된 믹스백의 양단부가 권취되는 파지부가 형성된 한 쌍의 반죽드럼과, 상기 부품실내에 설치되어 상기 반죽드럼을 정역회전 시키는 드럼구동부를 갖는 제빵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믹스백이 파지된 상기 반죽드럼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단계와; 사용자에 의해 상기 반죽드럼의 회전위치를 조절하게 하는 단계와; 상기 조절된 회전위치로 상기 반죽드럼을 회전시키는 단계와; 상기 반죽드럼으로부터 믹스백을 제거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빵기의 제어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믹스백의 제거완료 후 상기 반죽드럼의 회전위치를 초기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다음 제빵조리시 믹스백의 장착이 용이해진다.
그리고, 상기 반죽드럼의 회전과 연동하며 외주면에 등간격으로 이격형성된 복수의 감지돌기를 갖는 회전디스크와, 상기 회전디스크의 회전시 상기 감지돌기를 감지하여 펄스신호를 출력하는 회전위치감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위치를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펄스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반죽드럼의 회전위치를 조절함으로써 반죽드럼의 회전위치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회전위치감지부는 상기 회전디스크에 광신호를 조사하는 발광부와, 상기 회전디스크의 외주면을 사이에 두고 상기 발광부와 대향되도록 설치되는 수광부를 갖는 펄스발생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반죽드럼의 회전위치를 미리 설정된 회전각만큼 이동시키기 위한 드럼위치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반죽드럼의 회전위치를 조절하게 하는 단계는, 상기 드럼위치조절부의 선택시마다 상기 회전디스크의 감지돌기가 상기 펄스발생기를 통과하도록 상기 반죽드럼을 회전시켜 사용자가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게 한다.
상기 드럼위치조절부의 선택 후 허용시간 내에 상기 펄스발생기에서 펄스신호가 출력되지 아니할 때 상기 반죽드럼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에러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상기 반죽드럼의 회전시 발생하는 이상상태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게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빵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부품실영역을 절취 확대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요부 분해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빵기는, 오븐실(10) 및 부품실(20)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1)와, 본체(1)의 전방에 설치되어 오븐실(10)의 전면개구를 개폐하는 도어(3)와, 본체(1)의 전방 일측에 마련되어 제빵기의 작동을 선택하기 위한 회전노브와 기기의 운전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4)와, 후술할 반죽드럼의 위치를 수동으로 조절하기 위한 드럼위치조절부(6)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라 드럼위치조절부(5)에는 제빵기의 반죽과정 중에 이상상태 발생시 반죽드럼의 구동을 정지시켜 믹스백을 제거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믹스백제거모드 선택버튼(6a)과, 정지된 반죽드럼을 사용자의 원하는 회전방향 또는 회전위치로 회전시키기 위한 복수의 드럼위치조절버튼(6b)과, 믹스백 제거 후 반죽드럼의 위치를 초기화시켜 정상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정상모드선택버튼(6c)이 마련된다.
오븐실(10)의 내측 상부와 하부에는 제빵 재료가 담긴 도 7의 믹스백(7) 양단부가 소정 길이 권취되는 상부반죽드럼(11)과 하부반죽드럼(13)이 상호 평행을 이루며 정역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부반죽드럼(11)과 하부반죽드럼(13) 사이의 오븐실(10) 하부에는 반죽된 재료가 수용되는 제빵트레이(15)가 마련되어 있다.
이 제빵트레이(15)는 상호 대칭되는 L자형상의 제1트레이(15a)와 제2트레이(15b)의 상호 결합에 의해 상향 개구된 통형상을 이루고 있다. 또한, 제빵트레이(15)와 상부반죽드럼(11) 사이의 오븐실(10) 상부에는 믹스백(7)내에서 반죽되는 재료가 제빵트레이(15) 상부영역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하는 한 쌍의 반죽걸림부재(17)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오븐실(10)의 후벽면 상부 및 하부와, 오븐실(10)을 향하는 도어(3)의 배면 상부 및 하부에는 오븐실(10) 내부를 가열하는 제빵히터(19)가 설치되어 있다.
부품실(20)은 오븐실(10)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1부품실(21)과 오븐실(10)의 후방영역에 형성되는 제2부품실(23)로 형성되어 있다. 제1부품실(21)내에는 상부 및 하부반죽드럼(11,13)을 동시에 정역회전시키는 드럼구동부(25)가 설치되어 있으며, 제2부품실(23)에는 상부 및 하부반죽드럼(11,13)에 권취되는 믹스백(7)의 표면에 부착된 바코드(9)를 판독하는 바코드스캐너(29)가 설치되어 있다.
드럼구동부(25)는 하부반죽드럼(13)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26)와, 하부반죽드럼(13)과 상부반죽드럼(11)의 회전축(28)을 연결하여 하부 및 상부반죽드럼(11)을 연동시키는 연동벨트(27)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바코드스캐너(29)는 상부반죽드럼(11)의 외주면에 접촉 및 이격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한편, 본 제빵기는 한 쌍의 반죽드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회전위치를 감지하는 회전위치감지부(40)와, 회전위치감지부(40)에서 감지된 반죽드럼의 회전위치신호에 기초하여 상부 및 하부 반죽드럼의 회전위치를 제어하는 후술할 제어부(70)를 포함한다.
회전위치감지부(40)는 상부반죽드럼(11)의 회전축(28)에 결합되는 회전디스크와, 부품실(20)내에서 회전디스크(31)와 인접하게 설치되어 회전디스크의 회전상태를 감지하여 펄스신호를 출력하는 회전위치감지센서(41)를 가지고 있다.
이 회전디스크(31)에는 상부반죽드럼(11)의 1회전 신호를 회전위치감지센서로 전달하는 제1회전디스크(36)와, 상부반죽드럼(11)의 1회전 이하의 회전신호를 회전위치감지센서(61)로 전달하는 제2회전디스크(37)로 구성된다.
제1회전디스크(36)는 원판부재(43)로 형성되어 있고, 중앙에 상부반죽드럼(11)의 회전축(28)에 결합될 수 있도록 축결합부(46)와 원판면의 외주면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형성된 단일의 감지돌기를 가지고 있으며, 상부 반죽드럼(11)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부반죽드럼(11)의 1회전 신호를 회전위치감지센서(61)로 전달한다.
제2회전디스크(37)는 원판부재(47)로 형성되어 있고, 중앙에 상부반죽드럼(11)의 회전축(28)에 결합될 수 있도록 축결합부(46)를 가지고 있으며, 원판부재(47)의 둘레연부에 둘레방향을 따라 상호 등간격을 이루는 형성된 복수의 요홈(49) 및 요철(48)에 의해 24개의 감지돌기를 형성하고 있으며, 제1회전디스크(36)의 감지돌기는 제2회전디스크(37)의 복수의 요홈(49) 중 어느 하나의 요홈(49)을 차단하도록 마련된다.
회전위치감지센서(61)는 반죽드럼(11)의 1회전하는 동안 제1회전디스크(36)의 감지돌기를 감지하여 1개의 펄스를 출력하는 제1회전디스크감지센서(63)와, 제2회전디스크(37)의 24개의 감지돌기를 감지하여 24개의 펄스를 출력하는 제2회전디스크감지센서(65)를 갖는다. 이에 따라, 제1회전디스크감지센서(63)에서 2개의 펄스를 출력하는 동안 제2회전디스크감지센서(65)에서는 24개의 펄스를 출력한다.
제1 및 제2 회전디스크감지센서(63, 65)는 각각 제1회전디스크(36)와 제2회전디스크(37)를 향해 적외선 등의 센싱신호를 주사하는 주사부(63a, 65a)와, 제1 및 제2 회전디스크(36, 37)의 둘레연부를 사이에 두고 주사부(63a, 65a)와 대향하게 설치되어 주사부(63a, 65a)로부터 주사되는 센싱신호를 전달받는 수광부(63b, 65b)를 갖는 펄스발생기이다.
제1회전디스크감지센서(63)는 제1회전디스크(36) 1회전 하는 동안 주사부(63a)에서 주사되는 센싱신호가 수광부(63b)측으로 전달 및 차단되는 신호를 감지하여 상부반죽드럼(11)이 1회전되는 시간을 주기로 펄스신호를 출력한다.
제2회전디스크감지센서(65)는 주사부(65a)에서 주사되는 센싱신호가 제2회전디스크(37)의 요홈(49)구간과 요철(48)구간에서 각각 일정한 주기로 수광부(65b)를 향해 전달 및 차단되는 신호를 감지하여 상부반죽드럼(11)이 일회전하는 시간동안 24개의 펄스신호를 출력한다.
그리고, 회전위치감지센서(61)의 제1회전디스크감지센서(63)와 제2회전디스크감지센서(65)에서 출력되는 펄스신호는 제어부(70)에 전달되며, 제어부(70)는 이를 기초로 하여 상부반죽드럼(11)의 회전위치를 인식하며, 반죽과정에서 상부 및 하부반죽드럼(11,13)을 회전시키는 드럼구동부(25)의 구동모터(26)의 운전을 제어하여 믹스백(7)의 상하 왕복 이동거리를 정확하게 제어한다.
도 4는 도 1의 제빵기의 제어블록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제빵기는, 상술한 믹스백제거모드 선택버튼(6a)과 드럼위치조절버튼(6b)과 정상모드선택버튼(6c)을 갖는 드럼위치조절부(6)와, 드럼위치조절부(6)의 선택신호를 수령하여 선택에 따라 반죽드럼(11, 13)의 회전위치가 변경되도록 드럼구동부(25)를 제어하는 제어부(70)로 구성된다. 여기서, 드럼위치조절버튼(6b)은 반죽드럼(11)의 회전방향을 제어하기 위해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반죽드럼(11, 13)을 회전시키는 버튼으로 마련되며, 드럼위치조절버튼(6b)을 가압시마다 상부 및 하부 반죽드럼(11, 13)은 동일 방향으로 연동하여 회전하게 된다.
제어부(70)는 제1회전디스크감지센서(63)와 제2회전디스크감지센서(65)에서 출력되는 펄스신호에 기초하여 반죽드럼(11)의 현재위치를 판단하여 반죽드럼(11)의 회전위치를 조절한다. 그리고, 제어부(70)는 드럼위치조절부(6)에서 드럼위치조절버튼(6b)을 1회 가압시마다 상부 반죽드럼(11)을 30도씩 회전시키도록 설정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드럼위치조절버튼(6b)을 연속해서 선택하면 믹스백이 권취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점차 되풀어지게 되어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70)는 사용자가 드럼위치조절버튼(6b)을 가압함에 따라 상부 반죽드럼(11)을 회전시킬 때 제2회전디스크감지센서(65)로부터 출력되는 펄스신호에 기초하여 반죽드럼(11)이 정확히 회전되는지 판단한다. 여기서, 드럼위치조절버튼(6b)의 가압 후에 내부에 미리 설정된 입력시간내에 펄스신호가 감지되지 아니하면, 반죽드럼(11)에 믹스백 내지는 이물질이 걸린 것으로 판단하고, 에러메시지를 본체 전면의 표시부(5)에 표시한다.
여기서, 제어부(70)는 드럼위치조절버튼(6b)의 선택에 따라 반죽드럼(11)을 회전시에 정상구동시에 비해 느린 속도로 반죽드럼을 회전시켜 안전사고를 대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어부(70)는 사용자가 믹스백(7)을 제거한 후 정상모드선택버튼(6c)을 가압시에는 반죽드럼(11)의 파지부가 초기위치가 되도록 반죽드럼(11)을 회전시킨다.
도 4의 제어블록으로 본 발명의 제어방법을 서술하면 다음과 같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믹스백(7)이 파지된 반죽드럼(11)의 구동 중 이상상태 발생시 사용자는 믹스백제거선택버튼(6c)을 선택하여 반죽드럼(11)의 회전을 정지시킨다. 반죽드럼에 권취된 믹스백이 권취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풀어지도록 드럼위치조절버튼을 가압하여 드럼위치조절한다(S1). 반죽드럼(11)이 회전하도록 일정 방향(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선택하여 드럼위치조절버튼으로 회전량을조절하면(S3), 제어부(70)는 드럼위치조절버튼(6b)의 가압신호에 따라 드럼구동부(25)를 구동시켜 반죽드럼(11)이 일정 방향으로 회전시킨다(S5). 이때, 제어부(70)는 제2회전감지센서(65)에서 출력되는 펄스신호가 내부에 미리 설정된 입력시간내에 감지되는지 타이머(71)로 측정하여 판단한다(S9). 입력시간내에 펄스신호가 감지되면, 정상회전된 것으로 인식하고(S11), 드럼위치조절버튼(6b)의 입력상태로 피드백한다. 여기서, 입력시간내에 펄스신호가 감지되지 아니하면, 반죽드럼에 믹스백 내지는 이물질이 걸린 이상상태로 판단하고 표시부(5)에 에러메시지를 표시한다(S10).
한편, 드럼조절버튼(6b)을 가압함에 따라 반죽드럼에 권취된 믹스백이 완전히 풀어지면 사용자는 반죽드럼(11)에서 믹스백(7)을 제거한다. 믹스백(7)을 제거한 후 반죽드럼의 위치를 초기화하기위해 정상모드선택버튼(6c)을 가압하면(S13), 제어부(70)는 드럼구동부(25)를 제어하여 반죽드럼(11)의 파지부가 전면을 향하는 초기위치로 반죽드럼(11)을 회전시킨다(S15).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반죽과정 중 이상상태 발생시 반죽드럼의 구동을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정지시킬 수 있고,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반죽드럼을 회전시킴으로써, 반죽드럼에 권취된 믹스백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으며, 믹스백 제거후에 반죽드럼의 위치를 초기화하여 차후에 재조리시 믹스백의 파지가 간편해질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이상상태 발생시 반죽드럼을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회전시켜 믹스백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제빵기 및 그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Claims (13)

  1. 오븐실 및 부품실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와, 상기 오븐실내에 상호 소정의 이격을 두고 평행하게 설치되어 정역회전하며 제빵재료가 수용된 믹스백의 양단부가 권취되는 파지부가 형성된 한 쌍의 반죽드럼과, 상기 부품실내에 설치되어 상기 반죽드럼을 정역회전 시키는 드럼구동부를 갖는 제빵기에 있어서,
    상기 반죽드럼의 회전위치를 수동으로 조절하기 위한 드럼위치조절부와,
    상기 드럼위치조절부에 의해 조절된 회전위치로 상기 반죽드럼이 회전되도록 상기 드럼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빵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믹스백이 파지된 반죽드럼의 회전을 정지시키기 위한 믹스백 제거모드 선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빵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위치조절부는 상기 반죽드럼을 초기상태로 위치시키기 위한 정상모드선택부를 포함하며,
    상기 정상모드선택부의 선택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반죽드럼의 파지부가 초기상태로 위치되도록 상기 드럼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빵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반죽드럼의 회전축에 마련되어 회전하며 원판면의 외주면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감지돌기를 갖는 회전디스크와, 상기 감지돌기를 감지하여 위치신호를 출력하는 회전위치감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전위치감지부에서 출력되는 위치신호에 기초하여 상기반죽드럼의 회전위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빵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위치감지부는 상기 회전디스크에 광신호를 조사하는 발광부와, 상기 회전디스크의 외주면을 사이에 두고 상기 발광부와 대향되도록 설치되는 수광부를 갖는 펄스발생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빵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디스크는,
    단일의 감지돌기를 갖는 제1회전디스크와,
    상호 등간격으로 이격형성된 복수의 감지돌기를 갖는 제2회전디스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빵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드럼위치조절부의 선택시마다 상기 회전디스크의 감지돌기가 상기 펄스발생기를 통과하도록 상기 회전디스크를 회전시키며, 상기 드럼위치조절부의 선택 후 허용시간 내에 상기 펄스발생기에서 펄스신호가 출력되지 아니할 때 상기 반죽드럼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에러메시지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빵기.
  8. 오븐실 및 부품실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와, 상기 오븐실내에 상호 소정의 이격을 두고 평행하게 설치되어 정역회전하며 제빵재료가 수용된 믹스백의 양단부가 권취되는 파지부가 형성된 한 쌍의 반죽드럼과, 상기 부품실내에 설치되어 상기 반죽드럼을 정역회전 시키는 드럼구동부를 갖는 제빵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믹스백이 파지된 상기 반죽드럼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단계와;
    사용자에 의해 상기 반죽드럼의 회전위치를 조절하게 하는 단계와;
    상기 조절된 회전위치로 상기 반죽드럼을 회전시키는 단계와;
    상기 반죽드럼으로부터 믹스백을 제거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빵기의 제어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믹스백의 제거완료 후 상기 반죽드럼의 회전위치를 초기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빵기의 제어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반죽드럼의 회전과 연동하며 외주면에 등간격으로 이격형성된 복수의 감지돌기를 갖는 회전디스크와, 상기 회전디스크의 회전시 상기 감지돌기를 감지하여 펄스신호를 출력하는 회전위치감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위치를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펄스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반죽드럼의 회전위치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빵기의 제어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위치감지부는 상기 회전디스크에 광신호를 조사하는 발광부와, 상기 회전디스크의 외주면을 사이에 두고 상기 발광부와 대향되도록 설치되는 수광부를 갖는 펄스발생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빵기의 제어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반죽드럼의 회전위치를 미리 설정된 회전각만큼 이동시키기 위한 드럼위치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반죽드럼의 회전위치를 조절하게 하는 단계는,
    상기 드럼위치조절부의 선택시마다 상기 회전디스크의 감지돌기가 상기 펄스발생기를 통과하도록 상기 반죽드럼을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빵기의 제어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위치조절부의 선택 후 허용시간 내에 상기 펄스발생기에서 펄스신호가 출력되지 아니할 때 상기 반죽드럼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에러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빵기의 제어방법.
KR10-2002-0042592A 2002-07-19 2002-07-19 제빵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4659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2592A KR100465992B1 (ko) 2002-07-19 2002-07-19 제빵기 및 그 제어방법
JP2002335487A JP3634834B2 (ja) 2002-07-19 2002-11-19 製パン機及びその制御方法
DE60302725T DE60302725T2 (de) 2002-07-19 2003-02-28 Brotbackmaschine und Steuerverfahren dafür
EP03251236A EP1382258B1 (en) 2002-07-19 2003-02-28 Bread mak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382,651 US6935224B2 (en) 2002-07-19 2003-03-07 Bread mak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B031072453A CN1221176C (zh) 2002-07-19 2003-03-19 面包制作器及其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2592A KR100465992B1 (ko) 2002-07-19 2002-07-19 제빵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8867A true KR20040008867A (ko) 2004-01-31
KR100465992B1 KR100465992B1 (ko) 2005-01-13

Family

ID=36776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2592A KR100465992B1 (ko) 2002-07-19 2002-07-19 제빵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935224B2 (ko)
EP (1) EP1382258B1 (ko)
JP (1) JP3634834B2 (ko)
KR (1) KR100465992B1 (ko)
CN (1) CN1221176C (ko)
DE (1) DE60302725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8869A (ko) 2002-07-19 2004-01-31 삼성전자주식회사 제빵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40096219A (ko) * 2003-05-07 2004-11-16 삼성전자주식회사 제빵기
KR20040096137A (ko) * 2003-05-07 2004-11-16 삼성전자주식회사 제빵기 및 그 제어방법
ITMI20061188A1 (it) 2006-06-20 2007-12-21 Eurosets Srl Complesso di apparecchi per dispositivo integrato in circuito ematico extracorporeo
EP2505065A1 (en) * 2011-04-01 2012-10-03 Barilla G. e R. Fratelli S.p.A.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processing and cooking a food preparation
US10905149B2 (en) * 2016-01-11 2021-02-02 Lyco Manufacturing, Inc. Rotary drum blancher with skinsheet clamp
JP7305165B2 (ja) * 2019-06-28 2023-07-10 株式会社オーディオテクニカ 米飯成形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39628A (en) * 1972-08-09 1974-10-01 R Ramachandran Method and apparatus analyzing and monitoring the performance and operation of machines and processes driven by electrical motors
US3841147A (en) * 1973-02-05 1974-10-15 Eastman Kodak Co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the inherent viscosity of a liquid
SE7901204L (sv) * 1978-02-15 1979-10-08 Baker Perkins Holdings Ltd Sett och apparat for behandling av deg
JPS62104538A (ja) 1985-10-29 1987-05-15 レオン自動機株式会社 パン生地類の混練中の品質管理方法及びそのための混練装置
GB2191928B (en) 1985-12-23 1990-07-18 Heden Team Ag Automatically making food products such as bread, cakes and the like
JPH0415158Y2 (ko) * 1987-03-11 1992-04-06
KR910004305B1 (ko) * 1988-06-09 1991-06-25 삼성전자 주식회사 자동 제빵기의 온도 검출 회로 및 제어방법
JPH0255020A (ja) 1988-08-18 1990-02-23 Sanyo Electric Co Ltd パン製造機の制御装置
JP2644587B2 (ja) 1989-06-01 1997-08-2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製パン装置
US4953984A (en) 1989-07-24 1990-09-04 Kabushiki Kaisha Kobe Seiko Sho Overload preventing system for kneading machine
KR910004792A (ko) 1989-08-08 1991-03-29 황영규 쑥성분이 함유된 미용비누의 제조방법
KR0146285B1 (ko) 1989-08-09 1998-08-17 마에다 가쓰노스께 폴리옥시메틸렌 다원공중합체 및 그의 성형품
US4984512A (en) * 1989-10-11 1991-01-15 Zojirushi Corporation Automatic bread-making device
KR910004687B1 (ko) * 1989-10-17 1991-07-10 삼성전자 주식회사 제빵기기의 반죽날개 유무감지장치
US5062877A (en) 1989-11-06 1991-11-05 Corning Incorporated Method for making an optical device
US5146840A (en) * 1989-11-22 1992-09-15 Heden-Team Ag Automatic baking apparatus and mixbag therefore
KR930005643B1 (ko) 1990-06-11 1993-06-23 금성일렉트론 주식회사 일정펄스폭을 갖는 1쇼트회로
KR920000823A (ko) 1990-06-16 1992-01-29 공정곤 폴리 아미드 탄성체의 제조방법
KR930006997B1 (ko) 1990-08-03 1993-07-26 하재의 익스팬션 러버 조인트
US5380086A (en) 1992-08-27 1995-01-10 K-Tec, Inc. Multipurpose food mixing appliance specially adapted for kneading dough
CN100350866C (zh) * 1994-11-14 2007-11-28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自动面包机
US5510127A (en) * 1995-01-13 1996-04-23 Raymond Industrial Ltd. Process for making bread in an automatic bread maker
US5921367A (en) * 1996-03-01 1999-07-13 Mitsubishi Cable Industries, Ltd. Safety device for a kneading machine using rolls
KR19980025411A (ko) 1996-10-01 1998-07-15 구자홍 제빵기 히터고장 감지장치 및 그 방법
KR19980029186U (ko) * 1996-11-27 1998-08-17 구자홍 제빵기의 투시창 이슬제거장치
US5934177A (en) * 1997-04-24 1999-08-10 Mk Seiko Co., Ltd. Automatic bread maker
KR19990016567A (ko) 1997-08-18 1999-03-15 윤종용 반도체 칩 패키지의 리드 프레임 표면 처리 방법 및 그 리드프레임
TW391867B (en) * 1997-11-17 2000-06-01 Heden Team Ag Automatic baking apparatus and mixbag thereof
GB2355910B (en) * 1999-06-29 2002-09-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Automatic bread maker
KR100336514B1 (ko) 1999-10-13 2002-05-11 이길영 제면기용 안전장치
KR200220095Y1 (ko) 2000-11-13 2001-04-16 하복진 반죽기 일체형 국수기의 안전장치
KR100632731B1 (ko) * 2000-12-30 2006-10-11 삼성전자주식회사 제빵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4049869A (ja) 2004-02-19
JP3634834B2 (ja) 2005-03-30
DE60302725D1 (de) 2006-01-19
CN1221176C (zh) 2005-10-05
US6935224B2 (en) 2005-08-30
KR100465992B1 (ko) 2005-01-13
EP1382258B1 (en) 2005-12-14
EP1382258A1 (en) 2004-01-21
US20040011212A1 (en) 2004-01-22
CN1468534A (zh) 2004-01-21
DE60302725T2 (de) 2006-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65992B1 (ko) 제빵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632731B1 (ko) 제빵기
JP2004049871A (ja) 製パン機及びその制御方法
KR20040096201A (ko) 제빵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40008869A (ko) 제빵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465799B1 (ko) 제빵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465800B1 (ko) 제빵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465991B1 (ko) 제빵기 및 그 제어방법
JP3792234B2 (ja) 製パン機及びその制御方法
KR100494400B1 (ko) 제빵기 및 그 제어방법
JP3850419B2 (ja) 製パン機及びその制御方法
KR20040096199A (ko) 제빵기 및 그 제어방법
EP1474986B1 (en) Bread mak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040096219A (ko) 제빵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3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