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0095Y1 - 반죽기 일체형 국수기의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반죽기 일체형 국수기의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0095Y1
KR200220095Y1 KR2020000031713U KR20000031713U KR200220095Y1 KR 200220095 Y1 KR200220095 Y1 KR 200220095Y1 KR 2020000031713 U KR2020000031713 U KR 2020000031713U KR 20000031713 U KR20000031713 U KR 20000031713U KR 200220095 Y1 KR200220095 Y1 KR 2002200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ugh
noodle machine
machine
safety device
knea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17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복진
Original Assignee
하복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복진 filed Critical 하복진
Priority to KR20200000317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009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00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0095Y1/ko

Links

Landscapes

  • Manufacturing And Processing Devices For Doug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밀가루를 반죽하여 제면을 하기 위하여 국수기로 반죽을 투입할 시에 작업자에게 가해질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코자 하는 반죽기 일체형 국수기의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본 고안은 그 구성이 지극히 간단하여 염가로 제작이 가능하며, 작동상의 신뢰성을 일층 배가할 수 있는 안전장치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즉, 이를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반죽기 일체형 국수기(1)의 반죽기(2)에서 반죽된 밀가루 반죽을 국수기(3)로 투입할 시에 작업자의 손이 투입개구(13)를 통하여 과도하게 진입하게 되면 이를 사전에 감지하여 모터의 구동전원을 단속할 수 있도록 투입개구(13) 상측에 각운동하며 단속스위치(11)의 스위칭접점(11a)을 단속할 수 있는 로울러 타입의 감지수단(6)을 설치하여 만약에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확실히 방지할 수 있는 것이며, 그 구성이 지극히 간단하면서도 작동상의 신뢰성은 배가할 수 있고, 염가로 공급이 가능하여 경제성도 제공할 수 있는 등 다수의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반죽기 일체형 국수기의 안전장치{A safety device for the unitary type of noodle kneader}
본 고안은 반죽기 일체형 국수기의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밀가루를 반죽하여 제면을 하기 위하여 국수기로 반죽을 투입할 시에 작업자에게 가해질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는 반죽기 일체형 국수기의 안전장치를 극히 간단한 구성으로 구현시켜 염가로 공급이 가능하며, 작동상의 신뢰성을 일층 배가할 수 있는 반죽기 일체형 국수기의 안전장치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통상 국수 등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밀가루를 반죽기로 반죽하여 반죽된 밀가루를 작업자가 국수기 상으로 투입을 하게 된다.
밀가루 반죽을 국수기로 투입하는 과정에서 작업자의 부주의 등으로 인하여 작업자의 손이 국수기로 빨려 들어가 상해를 입는 경우가 빈번하였는바, 이러한 안전사고를 해결하기 위하여 국내 공개특허 제2000-0000339호 에는 '제면기용 안전장치'에 대한 선행기술이 개시되어 있는바, 이는 하우징 내부에 반죽을 얇게 밀기 위한 압착로울러가 설치되어 하우징의 측부에 설치된 구동모터 구동용 스위치에 의하여 동작이 제어되는 제면기 일측면에 손잡이가 설치되어 하우징의 압착로울러 상부에 상하로 회동가능하도록 브라켓을 설치하고, 상기 복수개 압착로울러와 수평이 되도록 브라켓에 설치되어 브라켓이 하강되었을 경우 반죽을 압착로울러 사이로 밀어 넣어 주는 가압봉을 구비하고, 상기 브라켓을 사용자가 강제로 하강시킨 후 손을 놓으면 자동으로 승강되도록 일측 종단은 브라켓 하부에 위치되고 타측 종단은 하우징에 고정되는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제면기용 안전장치를 개시하고 있는바, 이는 사용자가 제면작업 중 반죽을 밀어넣기 위하여 압착로울러에 손을 밀어넣지 못하도록 근원적으로 차단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하고 있으나, 이는 그 구성이 복잡하여 제조과정상의 번거로움과 함께 원가앙등이라는 문제점을 안고 있음은 물론, 반죽이 압착로울러로 원활하게 투입되지 않는 등의 난제를 안고 있었던 것이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기존 반죽기 일체형 국수기에서 작업자가 작업 중도에 상해를 입을 우려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안전장치를 제공하되, 본 고안은 그 구성이 지극히 간단하면서도 작동상의 신뢰성, 내구성 등을 두루 갖추어 염가의 반죽기 일체형 국수기의 안전장치를 제공함에 고안의 기술적 과제를 두고 본 고안을 완성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가 적용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요부를 발췌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요부 작용상태를 보인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
1: (반죽기 일체형)국수기 2:반죽기
3:국수기 4:프레임
5:브라켓 6:감지수단
6a:축핀 7:작동레버
8:축핀 9:스프링
10:투입판 11:단속스위치
11a:스위칭접점
도 1은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안전장치가 적용된 반죽기 일체형 국수기(1)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요부 발췌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요부 작용상태를 보인 측면도 등으로서, 이들 도면과 함께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 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기체 일측으로 반죽기(2)가 설치되고, 상기 반죽기(2) 상에서 반죽된 밀가루를 작업자가 인출, 공급하는 국수기(3)로 이루어지는 주지의 반죽기 일체형 국수기(1)에 있어서, 상기 국수기(3)의 선측 프레임(4)에는 브라켓(5)을 좌우로 설치하여 로울러와 같은 감지수단(6)을 일단에 축설치한 작동레버(7)를 축핀(8)으로 축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감지수단(6)의 양측 축핀(6a)에는 스프링(9)을 프레임(4)과 탄력설치하여 감지수단(6)이 투입판(10) 상으로 탄력설치되도록 하고, 일측 축핀(6a)의 하부에 스위칭접점(11a)이 위치하는 단속스위치(11)를 설치하여 모터에 동력을 공급하는 케이블과 전원연결토록 한다.
도면중의 부호 12는 밀가루 반죽, 13은 투입개구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될 수 있는 본 고안은 반죽기(2)에서 반죽된 밀가루 반죽(12)을 작업자가 반죽기(2)에서 인출하여 국수기(3)로 투입을 할 시에 밀가루 반죽(12)을 손으로 투입하게 되면 밀가루 반죽(12)은 감지수단(6)과 투입판(10) 상간의 투입개구(13)를 통하여 투입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며, 이때 반죽(12)은 적정한 점성이 있어 투입개구(13)의 상하폭을 초과한 높이로 투입되더라도 감지수단(6)이 로울러 타입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감지수단(6)이 자유회전하면서 반죽(12)을 가압하여 적정 두께로 국수기(3)상으로 반죽(12)이 원활하게 투입되는 것이며, 이때 감지수단(6)은 스프링(9)으로 탄력설치되어 있어 스프링(9)의 탄성이 지속적으로 감지수단(6)에 작용하고 있는 상태이다.
그리고 상기 감지수단(6)의 일측 축핀(6a)의 하측에는 단속스위치(11)의 스위칭접점(11a)이 위치하고 있고, 상기 스위칭접점(11a)을 축핀(6a)이 스프링(9)의 탄성에 의해 가압하고 있는 상태이므로 반죽기(2) 및 국수기(3)는 정상적으로 모터 (미도시)가 구동하여 반죽 및 제면작업을 연속적으로 행하지만, 만약 작업자가 반죽(12)을 투입하는 과정 중 손이 투입개구(13) 상으로 과도하게 투입되면 투입개구(13)의 상하폭 보다 통상적으로 두꺼운 작업자의 손에 의하여 축핀(8)에 의해 각운동 가능하게 설치된 감지수단(6)이 도 3과 같이 상방으로 들리게 되고, 감지수단 (6)의 상승이 이루어지면 이의 일단에 형성된 축핀(6a)에 가압상태로 있던 단속스위치(11)의 스위칭접점(11a)이 동시에 상승하면서 단속스위치(11)를 OFF로 전환시키게 되어 모터가 즉시 정지되어 국수기(3)로 손이 과도하게 투입되어 입을 수 있는 각종 상해를 미연에 예방하게 되는 것이며, 작업자의 손이 투입개구 (13)로부터 벗어나면 스프링(9)의 탄성에 의하여 감지수단(6)은 다시금 스프링(9)의 탄성에 의하여 하강복원되어 축핀(6a)이 다시 단속스위치(11)의 스위칭접점 (11a)을 가압하여 전원이 ON되어 모터가 재기동하여 정상적인 작동을 연속적으로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반죽기 일체형 국수기(1)는 반죽기(2)에서 반죽된 밀가루 반죽을 국수기(3)로 투입할 시에 작업자의 손이 투입개구(13)를 통하여 과도하게 진입하게 되면 이를 사전에 감지하여 모터의 구동전원을 단속할 수 있도록 투입개구(13) 상측에 각운동하며 단속스위치(11)의 스위칭접점(11a)을 단속할 수 있는 로울러 타입의 감지수단(6)을 설치하여 만약에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확실히 방지할 수 있는 것이며, 그 구성이 지극히 간단하면서도 작동상의 신뢰성은 배가할 수 있으며, 염가로 공급이 가능하여 경제성도 제공할 수 있는 등 그 기대되는 효과가 다대한 고안이다.

Claims (2)

  1. 반죽기(2)와 국수기(3)가 일체로 구성된 주지의 반죽기 일체형 국수기(1)에 있어서;
    상기 국수기(3)의 반죽 투입용 투입개구(13) 상에는 브라켓(5)상에 축핀(8)을 기점으로 각운동할 수 있는 작동레버(7)를 설치하고;
    상기 작동레버(7)에는 프레임(4)과 스프링(9)으로 탄력설치되는 감지수단(6)을 설치하고, 상기 감지수단(6)의 일측은 단속스위치(11)의 스위칭접점(11a)과 연접시켜 단속스위치(11)의 스위칭단속을 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죽기 일체형 국수기의 안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수단(6)은 양단에 축핀(6a)부를 갖는 로울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죽기 일체형 국수기의 안전장치.
KR2020000031713U 2000-11-13 2000-11-13 반죽기 일체형 국수기의 안전장치 KR2002200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1713U KR200220095Y1 (ko) 2000-11-13 2000-11-13 반죽기 일체형 국수기의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1713U KR200220095Y1 (ko) 2000-11-13 2000-11-13 반죽기 일체형 국수기의 안전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4689A Division KR20020037301A (ko) 2002-01-26 2002-01-26 반죽기 일체형 국수기의 안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0095Y1 true KR200220095Y1 (ko) 2001-04-16

Family

ID=73060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1713U KR200220095Y1 (ko) 2000-11-13 2000-11-13 반죽기 일체형 국수기의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0095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35224B2 (en) 2002-07-19 2005-08-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Bread mak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6962290B2 (en) 2002-07-19 2005-11-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Bread mak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7168362B2 (en) 2002-07-19 2007-01-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Bread mak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35224B2 (en) 2002-07-19 2005-08-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Bread mak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6962290B2 (en) 2002-07-19 2005-11-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Bread mak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7168362B2 (en) 2002-07-19 2007-01-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Bread mak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20095Y1 (ko) 반죽기 일체형 국수기의 안전장치
KR200432698Y1 (ko) 제면기용 안전장치
KR20020037301A (ko) 반죽기 일체형 국수기의 안전장치
KR100336514B1 (ko) 제면기용 안전장치
US6131786A (en) Device for setting rivets, buttons or the like on textiles
KR930003642Y1 (ko) 제면기의 구동 스위치 구조
KR20070104839A (ko) 재봉기
KR101408224B1 (ko) 스크랩 절단장치 및 절단방법
KR100306068B1 (ko) 치약 압출장치
CN220149814U (zh) 缝纫机的电子膝靠
KR920010540B1 (ko) 테이프 송출 절단기
CN206568248U (zh) 一种布料打钉机
KR200169525Y1 (ko) 풋스위치
IT201800010050A1 (it) Macchina spaccalegna o spaccatronchi
CN100451206C (zh) 缝纫机抬起装置
CN214678705U (zh) 一种磨豆机
JP4475706B2 (ja) 鉄筋湾曲機の安全装置
JP2597053Y2 (ja) プレス作業用光線式安全装置
KR200290949Y1 (ko) 국수 제조기의 안전장치
CN211153989U (zh) 防误撞的冲压机构及钉扣机
CN214965113U (zh) 清洁系统的基座以及清洁系统
KR20040023358A (ko) 파워 윈도우의 안전장치 및 제어방법
KR200320557Y1 (ko) 재봉틀용 노루발 올림장치
KR20230018760A (ko) 안전장치가 구비된 제면기
KR930003643Y1 (ko) 제면기의 구동 스위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20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