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9525Y1 - 풋스위치 - Google Patents

풋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9525Y1
KR200169525Y1 KR2019970015723U KR19970015723U KR200169525Y1 KR 200169525 Y1 KR200169525 Y1 KR 200169525Y1 KR 2019970015723 U KR2019970015723 U KR 2019970015723U KR 19970015723 U KR19970015723 U KR 19970015723U KR 200169525 Y1 KR200169525 Y1 KR 2001695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ing plate
switch
limit switch
switching
fo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57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52747U (ko
Inventor
권오현
Original Assignee
권오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오현 filed Critical 권오현
Priority to KR20199700157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9525Y1/ko
Publication of KR97005274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274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95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9525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01H13/16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adapted for operation by a part of the human body other than the hand, e.g. by foo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01H13/18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adapted for actuation at a limit or other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path of a body, the relative movement of switch and body being primarily for a purpose other than the actuation of the switch, e.g. door switch, limit switch, floor-levelling switch of a lif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02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 H01H3/14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adapted for operation by a part of the human body other than the hand, e.g. by foot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각종의 산업기계에 적용될 수 있는 풋스위치(FOOT SWITCH)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스위칭 작동상의 신뢰성 및 작업상의 안전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그 구조를 개선한 것이다.
즉 각종의 산업기계에서 스위칭수단으로 사용하고 있는 풋스위치(1)의 리미트스위치(5)와 또 하나의 리미트스위치(10) 또는 근접센서(13) 등을 직렬로 회로연결하여 작업자가 발로써 이들 스위칭수단을 동시에 작동시켜야만 전기적으로 ON상태로 스위칭전환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자의 부주의로 인한 의사에 반하는 오작동을 미연에 방지하여 산업현장에서 발생하는 신체상의 재해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하여 작동상의 신뢰성제공 및 작업자의 피로도 역시 극소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풋스위치
본 고안은 각종의 산업기계에서 스위칭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는 풋스위치(FOOT SWITCH)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작동사의 신뢰성 및 작업상의 안전성 등을 극대화 할 수 있도록 풋스위치의 구조를 개선한 것이다.
종래 각종 산업기계(예 : 프레스기, 스폿트용접기 등)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풋스위치는 작업자가 발로써 스위칭판을 압압하는 여부에 따라 스위칭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는 이점 때문에 주로 양손을 모두 사용하는 각종 산업기계에는 널리 적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러한 풋스위치(1)는 발을 스위칭판(2)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하방으로 스위칭판(2)을 압압시켜야 만이 스위칭작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프레임(3)상에 스위칭판(2)을 축핀(4)으로 각운동가능케 설치하여 스위칭판(2)의 타단부에 리미트스위치(5)의 스위치단자(5a)가 연접하면서 스위칭판(2)의 압압작동시 리미트스위치(5)의 스위치단자(5a)가 전기적으로 접점이 ON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바, 이러한 풋스위치(1)에 있어서 전기적으로 ON상태는 작업자가 스위칭판(2)을 압압한 상태여야 하므로, 스위칭판(2)을 압압작동시키는 작업자의 발은 항상 근육이 긴장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그로 인하여 스위칭작동을 제어하는 한쪽 발이 쉽게 피로를 느끼게 되어 작업의 피로도를 가중시킴은 물론 작업자가 조금만 주의를 게을리 하여 스위칭판(2)을 조금이라도 압압할 경우 리미트스위치(5)가 ON되어 작업자가 원치 않는 작동이 발생하게 되는 경우가 빈번하다. 그리고 이러한 작업자의 의사에 반하는 풋스위치(1)의 오작동으로 인하여 귀중한 신체에 상해를 당하는 경우가 많았던 것이며,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다양한 수단이 강구되고 있으나, 그 구성이 복잡하고 제조단가 등도 고가여서 이를 기존 산업기계에 간단히 수용하지는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기존의 각종 산업기계 등에 사용되는 풋스위치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작업자가 원하는 경우에만 확실한 스위칭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작업시 발의 피로도 역시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하며, 궁극적으로 산업재해를 줄이고자 하는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인 일부 절개 상태의 풋스위치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작용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도3은 본 고안의 일부 다른 실시예를 보인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 : 풋스위치 2 : 스위칭판
3 : 프레임 3a : 개구
4 : 축핀 5 : 리미트스위치
5a : 스위칭단자 6 : 보조스위칭판
7 : 축핀 8 : 고정브라켓
9 : 커버플레이트 10 : 리미트스위치
10a : 스위칭단자 11 : 고정브라켓
12 : 논슬립부재 13 : 근접센서
14 : 스프링
도1은 본 고안에서 개시하는 풋스위치(1)의 전체 사시도이며, 도2는 본 고안의 작용상태를 보인 측면도로써, 본 고안의 구성부재중 종래와 동일한 구성부재는 동일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키로 한다.
프레임(3)의 선측, 즉 스위칭판(2)의 압압부 선측 상부에는 스위칭판(2)과 거의 수직방향으로 보조스위칭판(6)을 축핀(7)을 가진 고정브라켓(8)으로 커버플레이트(9)상에 소폭 각운동할 수 있도록 설치한다. 즉 상기한 보조스위칭판(6)의 하측부는 작업자의 발 선측(=토우)이 선택 연접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가 발의 토우부분을 사용하여 보조스위칭판(6)을 선측으로 선택 각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보조스위칭판(6)의 후측으로는 하나의 리미트스위치(10)를 프레임(3)의 내측에 고정브라켓(11)을 사용하여 고정하되, 상기 리미트스위치(10)의 스위치단자(10a)는 보조스위칭판(6)의 후측면과 연접될 수 있도록 하여 보조스위칭판(6)의 전후 소폭 각운동에 따라 리미트스위치(10)가 접점 ON작동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프레임(3)에는 리미트스위치(10)의 스위칭단자(10a)가 출입할 수 있는 개구(3a)가 형성된다.
한편 프레임(3)의 하측에는 풋스위치(1)를 각종 산업기계 등에 미부착 사용할때를 고려하여 풋스위치(1) 압압 작동시 풋스위치(1)가 전체가 슬립됨으로 인한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논슬립부재(12)를 피스, 볼트 등을 사용하여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3은 본 고안의 일부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서, 이는 도1, 2의 리미트스위치(10) 대용으로 보조스위칭판(6)이 작업자의 토우 부분에 의해 각운동시에 거리에 감응하여 스위칭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는 근접센서(13)를 보조스위칭판(6) 후측의 프레임(3)에 부착하고, 보조스위칭판(6)과 근접센서(13)의 거리설정을 위한 스프링(14)을 프레임(3)과 보조스위칭판(6) 상간에 탄력 고정시킨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에 사용되는 리미트스위치(10) 또는 근접센서(13)는 기존의 풋스위치(1)에 기히 사용되고 있는 리미트스위치(5)와 전기적으로는 직렬회로로 구성함으로써 리미트스위치(10) 및 리미트스위치(5), 또는 근접센서(13) 및 리미트스위치(5) 양자가 모드 접점 ON되었을 때만 전원이 도통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도면 중에 미설명부호 15는 스토퍼, 16은 스프링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될 수 있는 본 고안은 각종의 산업기계에 스위칭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본 고안에서 개시하는 풋스위치(1)의 작용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키로 한다.
본 고안의 풋스위치(1)는 작업자가 발을 스위칭판(2) 상면부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스위칭판(2)과 스위칭판(2)의 선측에 각운동 가능하게 설치된 보조스위칭판(6)을 동시에 압압과 푸시작동을 행할 경우 전기적으로 회로가 ON상태로 전환 작동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스위칭판(2)에 의해 접점제어되는 리미트스위치(5)와 보조스위칭판(6)에 의해 접점제어되는 리미트스위치(10), 또는 근접센서(13)는 상호 직렬로 회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양자중 하나가 접점 ON이 되더라도 전체회로는 OFF상태이고, 양자 모두 접점이 ON되어야 만이 전체회로가 ON상태로 전환되는 것이다. 이러한 원리에 의해 본 고안의 풋스위치(1)를 사용하여 스위칭작동을 ON상태로 전환시키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스위칭판(2)을 압압하면서 동시에 발의 토우부분으로 보조스위칭판(6)을 푸싱하면 되는 것이며, 이러한 경우 스위칭판(2)에 의해 리미트스위치(5)의 접점단자(5a)가 ON상태로 전환되고, 보조스위칭판(6)에 의해 리미트스위치(10) 또는 근접센서(13)가 ON상태로 전환되어 전체적인 스위칭회로는 도통상태로 전환되는 것이다.
그리고 스위칭회로를 OFF시키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압압하고 있는 스위칭판(2)을 압압작동에서 해제함과 동시에 발의 토우부분으로 푸시하고 있던 보조스위칭판(6)을 푸시 해제시키거나 양자중 하나만 해제 작동하여도 스위칭회로는 바로 OFF상태로 전환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각종의 산업기계에서 스위칭 수단으로 사용하고 있는 풋스위치(1)의 리미트스위치(5)와 또 하나의 리미트스위치(10) 또는 근접센서(13) 등을 직렬회로로 연결하여 작업자가 발로써 이들 스위칭수단을 동시에 작동하여야 만이 전기적으로 ON상태로 스위칭전환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자의 부주의로 인한 의사에 반하는 오작동을 미연에 방지하여 산업현장에서 발생하는 신체상의 재해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하여 작동상의 신뢰성제공 및 작업자의 피로도 역시 극소화할 수 있는 등 그 기대되는 효과가 다대한 고안이다.

Claims (2)

  1. 작업자가 발로써 스위칭판(2)을 압압작동함에 따라 전기적으로 접점이 단속되는 리미트스위치(5)를 가진 통상의 풋스위치(1)에 있어서 ; 상기 스위칭판(2)의 선측에는 축핀(7)을 기점으로 각 운동할 수 있는 보조스위칭판(6)을 설치하고, 상기 보조스위칭판(6)의 후측에는 이와 연접되는 접점단자(10a)를 가지고 보조스위칭판(6)의 각운동에 따라 접점 단속되는 리미트스위치(10)를 설치하며, 상기 리미트스위치(5)와 리미트스위치(10)는 직렬로 회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풋스위치.
  2. 제1항에 있어서 ; 상기 보조스위칭판(6)은 풋스위치(1)의 프레임(3)과 스프링(14)으로 탄력 설치되고, 보조스위칭판(6)의 각 운동시 거리를 감지하여 접점 단속될 수 있는 근접센서(13)를 설치하며, 상기 근접센서(13)는 리미트스위치(5)와 직렬로 회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풋스위치.
KR2019970015723U 1997-06-20 1997-06-20 풋스위치 KR2001695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5723U KR200169525Y1 (ko) 1997-06-20 1997-06-20 풋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5723U KR200169525Y1 (ko) 1997-06-20 1997-06-20 풋스위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2747U KR970052747U (ko) 1997-09-08
KR200169525Y1 true KR200169525Y1 (ko) 2000-02-01

Family

ID=195040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5723U KR200169525Y1 (ko) 1997-06-20 1997-06-20 풋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952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5497B1 (ko) 2007-02-01 2008-04-25 이원재 풋스위치
KR100861941B1 (ko) 2007-02-01 2008-10-09 이원재 풋스위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5497B1 (ko) 2007-02-01 2008-04-25 이원재 풋스위치
KR100861941B1 (ko) 2007-02-01 2008-10-09 이원재 풋스위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2747U (ko) 1997-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55773B1 (en) Electric switch
EP0734817B1 (en) Hand-held operating unit
US6469268B1 (en) Electrical switch
CA2397024C (en) Switch mechanism for reversible grinder
KR200169525Y1 (ko) 풋스위치
US6930267B2 (en) Emergency switch provided with means to signify state of activation or inactivation thereof
WO2003057395A1 (en) Electrical working machine
US6013884A (en) Manually actuated electrical switch
EP1003992B1 (en) Two hand control of working apparatuses
US5075524A (en) Electric pushbutton switch
EP0777244B1 (en) A lock-on, lock-off switch
BR9901278B1 (pt) unidade auxiliar de indicaÇço ou ativaÇço, equipada com meios de prevenÇço de erros.
US20020026717A1 (en) Electrical power tool with a rotatable working tool
JPH07261897A (ja) 自照式キースイッチ
KR20050054202A (ko) 콘트롤러부 구조
JPH0615375Y2 (ja) 車両用パワ−ウインドスイッチ装置
CN217822478U (zh) 重物快速升降系统操纵台
KR0133882Y1 (ko) 스위치 장치
KR890008791Y1 (ko) 프레스용 전원 스윗치
KR0126123Y1 (ko) 자동복귀 버턴스위치장치
JPH11114847A (ja) ねじ締め装置
KR100309828B1 (ko) 안전스위치
KR920008661Y1 (ko) 택트 스위치용 놉
KR960008258Y1 (ko) 수동구동펌프의 핸들 구동장치
JP2560467Y2 (ja) 押込形スイッ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11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