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8224B1 - 스크랩 절단장치 및 절단방법 - Google Patents

스크랩 절단장치 및 절단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8224B1
KR101408224B1 KR1020120147382A KR20120147382A KR101408224B1 KR 101408224 B1 KR101408224 B1 KR 101408224B1 KR 1020120147382 A KR1020120147382 A KR 1020120147382A KR 20120147382 A KR20120147382 A KR 20120147382A KR 101408224 B1 KR101408224 B1 KR 1014082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ap
strip
touch bar
upshifting
knif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73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양일
전병호
정병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201473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82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82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82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5/00Arrangements for performing additional metal-working operation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15/0007Cutting or shearing the produ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8/00Methods or devices for measuring, detecting or monitoring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e.g. position detection, inspection of the produ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02Feeding or supporting work; Braking or tensioning arrangements, e.g. thread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14Guiding, positioning or align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5/00Arrangements for performing additional metal-working operation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15/0007Cutting or shearing the product
    • B21B2015/0014Cutting or shearing the product transversely to the rolling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Cut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크랩 절단장치 및 절단방법에 관한 것으로, 스트립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설치되며, 상호작용에 의해 상기 스트립의 스크랩을 절단하는 상부나이프 및 하부나이프를 구비하는 업컷쉬어와; 상기 스크랩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스크랩의 절단시 하강하여 상기 스크랩의 상부면을 가압하는 터치바와; 상기 터치바에 연결되며 상기 터치바를 승강시키는 터치바 구동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크랩 절단장치 및 절단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trimming head or tail of scrap}
본 발명은 스크랩 절단장치 및 절단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트립의 스크랩을 절단할 때 스트립의 뒤틀림을 방지함으로써, 스트립의 통판 장애를 최소화하고 나이프의 비정상적인 마모를 방지할 수 있는 스크랩 절단장치 및 절단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업컷쉬어(Up cut shear)는 정정 설비(Recoiling line) 및 스킨패스 설비(Skin pass)를 통판 중인 스트립(Strip)을 분할 절단하는 장치이다. 즉, 스트립의 헤드(head) 또는 테일(tail)에 해당되는 부분인 스크랩(scrap)을 절단한다.
이런 업컷쉬어에서 스크랩을 절단 중에 스크랩이 조금만 틀어져도 절단면이 정상적으로 절단되지 않고, 찢어지거나 절단불량이 발생하여 스트립의 통판 장애를 유발하며 이는 정상적인 설비의 가동 중단으로 이어지게 된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특2003-0035574호(2003.05.09.)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스트립의 스크랩을 절단할 때 스트립의 뒤틀림을 방지함으로써, 스트립의 통판 장애를 최소화하고 나이프의 비정상적인 마모를 방지할 수 있는 스크랩 절단장치 및 절단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스트립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설치되며, 상호작용에 의해 상기 스트립의 스크랩을 절단하는 상부나이프 및 하부나이프를 구비하는 업컷쉬어와; 상기 스크랩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스크랩의 절단시 하강하여 상기 스크랩의 상부면을 가압하는 터치바와; 상기 터치바에 연결되며 상기 터치바를 승강시키는 터치바 구동부;를 포함하는 스크랩 절단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스크랩 절단장치는 상기 스트립이 배출되는 상기 업컷쉬어의 출측에 설치되며, 상기 스크랩을 감지한 감지신호를 생성 및 송신하는 감지센서와; 상기 업컷쉬어와 상기 감지센서와 상기 터치바 구동부에 연결되며, 상기 감지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업컷쉬어 및 상기 터치바를 구동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크랩 절단장치는 상기 업컷쉬어의 출측에 설치되어, 회전에 의해 상기 스크랩을 가압하며 상기 업컷쉬어의 출측에서 배출되는 상기 스트립의 하부면을 지지하는 회전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스크랩 절단장치는 상기 스트립이 진입하는 상기 업컷쉬어의 입측에 배치되며, 상기 스트립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스트립을 지지하는 후방롤러와; 상기 업컷쉬어의 출측에 배치되며, 상기 스트립의 폭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전방롤러;를 포함하되, 상기 회전프레임은 상기 전방롤러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방롤러 및 상기 후방롤러는 동일 높이에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바가 상승한 후에 상기 회전 프레임이 상기 회전을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바 구동부는 상기 스크랩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터치바가 삽입되며 상기 터치바의 승강을 안내하는 중공형의 가이드 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크랩 절단장치는 상기 터치바에 형성되는 제1고정홀과; 상기 가이드 프레임에 형성되는 제2고정홀과; 상기 제1고정홀 및 상기 제2고정홀에 삽입되어 상기 터치바의 승강을 제한하는 고정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바 구동부는 상기 터치바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터치바와 함께 승강하는 실린더 로드와; 상기 실린더 로드에 연결되어 상기 실린더 로드를 구동하는 실린더 본체와; 상기 실린더 본체에 연결되며 외부로부터 유체를 상기 실린더 본체로 공급하는 제1파이프와 제2파이프와;
상기 제1파이프에 설치되어 상기 파이프를 개폐하는 차단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의하면, 본 발명은 스트립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설치되며, 상호작용에 의해 상기 스트립의 스크랩을 절단하는 상부나이프 및 하부나이프를 구비하는 업컷쉬어와; 상기 스크랩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스크랩의 절단시 하강하여 상기 스크랩의 상부면을 가압하는 터치바와; 상기 스트립이 진입하는 상기 업컷쉬어의 입측에 배치되며, 상기 스트립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스트립을 지지하는 후방롤러와; 상기 스트립이 배출되는 상기 업컷쉬어의 출측에 배치되며, 상기 스크랩의 폭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전방롤러와; 상기 스크랩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터치바가 삽입되며 상기 터치바의 승강을 안내하는 중공형의 가이드 프레임과; 상기 터치바에 연결되며 상기 터치바를 승강시키는 터치바 구동부와; 상기 전방롤러 사이에 설치되어, 회전에 의해 상기 스크랩을 가압하며 상기 업컷쉬어의 출측에서 배출되는 상기 스트립의 하부면을 지지하는 회전프레임과; 상기 업컷쉬어의 출측에 설치되며, 상기 스크랩을 감지한 감지신호를 생성 및 송신하는 감지센서와; 상기 업컷쉬어와 상기 감지센서와 상기 구동부에 연결되며, 상기 감지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업컷쉬어 및 상기 터치바를 구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스크랩 절단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의하면, 본 발명은 스트립을 상부나이프 및 하부나이프 사이로 통과시키는 통과단계와; 감지센서가 상기 스트립의 스크랩을 감지한 감지신호를 생성 및 송신하는 감지단계와; 제어부가 상기 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하부나이프를 상승시키고, 터치바를 하강시키는 절단단계;를 포함하는 스크랩 절단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스크랩 절단방법은 상기 감지단계 이후에, 상기 제어부가 상기 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스트립의 이동을 정지시키는 정지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크랩 절단방법은 상기 절단단계 이후에, 회전프레임이 스크랩이 절단된 스트립을 지지하도록 상기 제어부가 회전프레임을 회전시키는 회전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크랩 절단방법은 상기 회전단계 이전에, 상기 제어부가 상기 하부나이프는 하강시키고 상기 터치바는 상승시키는 복원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크랩 절단장치 및 절단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스트립의 절단시 스트립의 뒤틀림을 방지함으로써, 스트립의 통판 장애를 최소화하고 나이프의 비정상적인 마모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둘째, 스트립의 전단 불량으로 작업자가 스크랩을 핸들링하면서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스크랩 절단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크랩 절단장치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크랩을 절단 중인 스크랩 절단장치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크랩(C)이 절단된 후의 스크랩 절단장치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크랩 절단장치의 블럭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다른 스크랩 절단방법의 순서도.
도 1은 종래의 스크랩 절단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기존의 스크랩 절단장치는 이동롤러(30)에 의해 이동되는 스트립(S)의 스크랩(C)을 절단하기 위해서 상부나이프(12) 및 하부나이프(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기존의 스크랩 절단장치는 스트립의 스크랩을 절단할 때 발생하는 스트립의 뒤틀림으로 인해서 스트립의 통판 장애 및 나이프의 비정상적인 마모가 생긴다는 문제가 있다.
이하,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크랩 절단장치 및 절단방법의 실시 예를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업컷쉬어(100)는 스트립(S)의 헤드(Head)나 테일(Tail)을 절단하는데, 이렇게 절단되는 부분을 스크랩(C)이라 칭하기로 한다.
또한, 스트립(S)이 업컷쉬어(100)을 통과할 때, 스트립(S)이 진입하는 업컷쉬어(100)의 일측을 업컷쉬어(100)의 입측이라 하고, 스트립(S)이 업컷쉬어(100)를 통과하여 배출되는 업컷쉬어(100)의 타측을 업컷쉬어(100)의 출측으로 한다.
도 2 내지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크랩 절단장치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스크랩 절단장치는 스트립(S)의 스크랩(C)을 절단하기 위한 것으로 업컷쉬어(100), 터치바(200) 및 터치바 구동부(300)를 포함한다.
업컷쉬어(100)는 스트립(S)의 상부 및 하부에 설치되는 상부하우징(110) 및 하부하우징(120)과, 상부하우징(110)에 설치되는 상부나이프(112)와, 하부하우징(120)에 설치되는 하부나이프(122)를 포함하며, 상부나이프(112)와 하부나이프(122)의 상호작용에 의해 스트립(S)의 스크랩(C)을 절단한다. 구체적으로, 하부나이프(122)는 정지된 상태에서 상부나이프(112)만 하강하거나 또는 상부나이프(112)는 정지된 상태에서 하부나이프(122)만 상승하거나 또는 상부나이프(112)가 하강함과 동시에 하부나이프(122)는 상승함으로써 스트립(S)의 스크랩(C)을 절단할 수 있다.
업컷쉬어(100)의 상부하우징(110)에는 후술할 터치바 구동부(300)를 지지함과 동시에 상부하우징(110)과 터치바 구동부(300)를 연결하는 베이스(114)가 설치된다. 또한, 상부하우징(110)에는 터치바(200)가 삽입되어 터치바(200)의 승강을 안내하는 중공형의 가이드프레임(400)이 설치된다.
터치바(200)는 스크랩(C)의 상부에 수직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업컷쉬어(100)의 하부나이프(122)의 상승 동작 시 하강하여 터치바(200)의 헤드(210)가 스크랩(C)의 상부면을 가압함으로써 스트립(S)의 전단면이 변형되지 않고 깨끗한 상태로 절단되도록 한다.
터치바(200)는 가이드프레임(400)에 삽입되어 가이드프레임(400)의 내부공간을 이동 가능하며, 가이드프레임(400)의 상부에는 제1고정홀(410)이 형성된다. 이때, 고정핀(420)이 제1고정홀(410) 및 터치바(200)의 헤드(210)에 형성된 제2고정홀(220)에 삽입됨으로써 터치바(200)의 이동은 제한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터치바(200)가 하강할 필요가 없을 때 터치바(200)가 하강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여기서, 고정핀(420)은 사용상의 편의를 위해서 연결부재(430)를 통해서 상부하우징(110)에 연결될 수 있다.
터치바 구동부(300)는 터치바(200)에 연결되어 터치바(200)를 구동시키며 실린더본체(310), 실린더로드(320), 제1파이프(330), 제2파이프(340) 및 차단밸브(350)를 포함할 수 있다.
실린더로드(320)는 일단이 터치바(200)에 연결되어 터치바(200)와 함께 승강하며, 그 타단은 실린더본체(310)에 연결되어 실린더본체(310)에 의해 구동된다.
제1파이프(330) 및 제2파이프(340)는 각각 실린더본체(310)의 상부 및 하부에 연결되며, 외부로부터 유체를 실린더본체(310)의 상부 및 하부에 공급한다. 즉, 제1파이프(330)가 실린더본체(310)의 상부에 유체를 공급하면 실린더로드(320)의 하강으로 실린더로드(320)에 연결된 터치바(200)가 하강하고, 제2파이프(340)가 실린더본체(310)의 하부에 유체를 공급하면 실린더로드(320)의 상승으로 터치바(200)가 하강하게 되는 것이다.
차단밸브(350)는 제1파이프(330)에 설치되어 제1파이프(330)를 개폐한다. 구체적으로, 제1파이프(300) 내부의 유체의 이동을 차단하여 실린더로드(320)의 이동을 제한함으로써 터치바(200)의 이동을 제한하는 것이다. 이는 상술한 고정핀(420)과 같은 기능을 하는 안전장치로 볼 수 있다.
도 3 내지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스크랩 절단장치는 감지센서(600) 및 제어부(700)를 포함할 수 있다.
감지센서(600)는 스트립(S)의 스크랩(C)을 감지한 감지신호를 생성 및 송신하며, 스트립(S)의 진행방향으로 업컷쉬어(100)의 외측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감지센서(600)는 스트립(S)이 배출되는 업컷쉬어(100)의 출측에 설치되며, 제2연결프레임(610)을 통해서 업컷쉬어(100)의 상부하우징(110)에 연결 및 고정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700)는 업컷쉬어(100), 감지센서(600) 및 터치바 구동부(300)에 연결되어 업컷쉬어(100) 및 터치바 구동부(300)를 구동시킨다. 구체적으로, 제어부(700)는 감지센서(600)의 감지신호를 수신한 경우, 업컷쉬어(100)의 하부나이프(122)를 상승시키면서 터치바 구동부(300)의 실린더로드(320)를 하강시킨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스크랩 절단장치는 회전프레임(500)과, 복수의 전방롤러(510)와, 후방롤러(520)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프레임(500)은 스트립(S)의 진행 방향으로 업컷쉬어(100)의 전방에 설치되어, 회전에 의해 스크랩(C)을 가압하며 상기 진행 방향으로 진행하는 스트립(S)의 하부면을 지지한다. 구체적으로, 회전프레임(500)은 업컷쉬어(100)의 출측에 설치되어, 업컷쉬어(100)의 출측에서 배출되는 잘린 스크랩(C)이 떨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업컷쉬어(100)에 의해서 잘린 스크랩(C)의 상부면을 가압하여 스크랩(C)을 하부로 이동시키고, 스크랩(C)이 잘린 스트립(S)이 진행하던 방향으로 계속 진행할 수 있도록 스트립(S)의 하부면을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전방롤러(510)는 업컷쉬어(100)의 전방, 즉, 업컷쉬어(100)의 출측에 설치된 전방지지체(5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 되어 스트립(S)의 폭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스트립(S)의 하부에 위치하여 스트립(S)을 지지시킴과 동시에 회전에 의해 스트립(S)이 진행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이때, 전방롤러(510)와 회전프레임(500)의 회전중심은 동일하며 전방롤러(510)의 사이에는 회전프레임(500)이 설치된다.
후방롤러(530)는 업컷쉬어(100)의 후방, 즉, 스트립(S)이 진입하는 업컷쉬어(100)의 입측에 설치되는 후방지지체(54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 되며, 스트립(S)의 하부에 위치하여 스트립(S)을 지지함과 동시에 회전에 의해 스트립(S)을 진행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스트립(S)이 수평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전방롤러(510) 및 후방롤러(530)는 그 높이를 동일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어부(700)는 회전프레임(500)에 연결되며, 회전프레임(500)과 터치바(200)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서, 터치바(200)가 상승한 후에 회전프레임(500)이 회전을 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크랩 절단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스트립(S)을 상부나이프(112) 및 하부나이프(122) 사이로 통과시키는 통과단계가 수행된다(S10).
다음으로, 감지센서(600)가 스트립(S)의 스크랩(C)을 감지한 감지신호를 생성 및 송신하는 감지단계가 수행된다(S20).
다음으로, 제어부(700)가 상기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스트립(S)의 이동을 정지시키는 정지단계가 수행된다(S30).
다음으로, 제어부(700)가 하부나이프(122)를 상승시키고 터치바(200)를 하강시킴으로써 스크랩(C)을 절단하는 절단단계가 수행된다(S40).
다음으로, 제어부(700)가 하부나이프(122)는 하강시키고 터치바(200)는 상승시킴으로써 하부나이프(122) 및 터치바(200)를 초기위치로 복원시키는 복원단계가 수행된다(S50). 여기서, 초기위치란, 스트립(S)을 절단하기 전의 하부나이프(122) 및 터치바(200)의 위치를 뜻한다.
다음으로, 제어부(700)가 회전프레임(500)이 스크랩(C)을 아래 방향으로 가압하면서 스트립(S)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회전프레임(500)을 회전시키는 회전단계가 수행된다(S60).
이렇게 함으로써, 스크랩(C)의 절단시 스트립(S)의 뒤틀림을 방지함으로써, 스트립(S)의 통판 장애를 최소화하고 상부나이프(112) 및 하부나이프(122)의 비정상적인 마모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S: 스트립 C: 스크랩
100: 업컷쉬어 110: 상부하우징
112: 상부나이프 114: 베이스
116: 제1연결프레임 120: 하부하우징
122: 하부나이프 200: 터치바
210: 터치바 헤드 220: 제2고정홀
300: 터치바 구동부 310: 실린더본체
320: 실린더로드 330: 제1파이프
340: 제2파이프 350: 차단밸브
400: 가이드프레임 410: 제1고정홀
420: 고정핀 430: 연결부재
500: 회전프레임 510: 전방롤러
520: 전방지지체 530: 후방롤러
540: 후방지지체 600: 센서
610: 제2연결프레임

Claims (9)

  1. 스트립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설치되며, 상호작용에 의해 상기 스트립의 스크랩을 절단하는 상부나이프 및 하부나이프를 구비하는 업컷쉬어;
    상기 스크랩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스크랩의 절단시 하강하여 상기 스크랩의 상부면을 가압하는 터치바;
    상기 터치바에 연결되며 상기 터치바를 승강시키는 터치바 구동부;
    상기 스트립이 배출되는 상기 업컷쉬어의 출측에 설치되며, 상기 스크랩을 감지한 감지신호를 생성 및 송신하는 감지센서;및
    상기 업컷쉬어와 상기 감지센서와 상기 터치바 구동부에 연결되며, 상기 감지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하부나이프를 상승시키고, 상기 터치바를 하강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스크랩 절단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크랩 절단장치는
    상기 업컷쉬어의 출측에 설치되어, 회전에 의해 상기 스크랩을 가압하며 상기 업컷쉬어의 출측에서 배출되는 상기 스트립의 하부면을 지지하는 회전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랩 절단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스크랩 절단장치는
    상기 스트립이 진입하는 상기 업컷쉬어의 입측에 배치되며, 상기 스트립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스트립을 지지하는 후방롤러;및
    상기 업컷쉬어의 출측에 배치되며, 상기 스트립의 폭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전방롤러;를 포함하되,
    상기 회전프레임은 상기 전방롤러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랩 절단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터치바 구동부는
    상기 터치바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터치바와 함께 승강하는 실린더 로드;
    상기 실린더 로드에 연결되어 상기 실린더 로드를 구동하는 실린더 본체;
    상기 실린더 본체에 연결되며 외부로부터 유체를 상기 실린더 본체로 공급하는 제1파이프와 제2파이프;및
    상기 제1파이프에 설치되어 상기 파이프를 개폐하는 차단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랩 절단장치.
  6. 스트립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설치되며, 상호작용에 의해 상기 스트립의 스크랩을 절단하는 상부나이프 및 하부나이프를 구비하는 업컷쉬어;
    상기 스크랩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스크랩의 절단시 하강하여 상기 스크랩의 상부면을 가압하는 터치바;
    상기 스트립이 진입하는 상기 업컷쉬어의 입측에 배치되며, 상기 스트립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스트립을 지지하는 후방롤러;
    상기 스트립이 배출되는 상기 업컷쉬어의 출측에 배치되어, 상기 스크랩의 폭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전방롤러;
    상기 스크랩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터치바가 삽입되며 상기 터치바의 승강을 안내하는 중공형의 가이드 프레임;
    상기 터치바에 연결되며 상기 터치바를 승강시키는 터치바 구동부;
    상기 전방롤러 사이에 설치되어, 회전에 의해 상기 스크랩을 가압하며 상기 업컷쉬어의 출측에서 배출되는 상기 스트립의 하부면을 지지하는 회전프레임;
    상기 업컷쉬어의 출측에 설치되며, 상기 스크랩을 감지한 감지신호를 생성 및 송신하는 감지센서;및
    상기 업컷쉬어와 상기 감지센서와 상기 터치바 구동부에 연결되며, 상기 감지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하부나이프를 상승시키고, 상기 터치바를 하강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스크랩 절단장치.
  7. 스트립을 상부나이프 및 하부나이프 사이로 통과시키는 통과단계;
    감지센서가 상기 스트립의 스크랩을 감지한 감지신호를 생성 및 송신하는 감지단계;및
    제어부가 상기 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하부나이프를 상승시키고, 상기 스크랩의 상부에 위치한 터치바를 하강시켜 상기 스크랩의 상부면을 가압하는 절단단계;를 포함하는 스크랩 절단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스크랩 절단방법은
    상기 감지단계 이후에, 상기 제어부가 상기 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스트립의 이동을 정지시키는 정지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랩 절단방법.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스크랩 절단방법은
    상기 절단단계 이후에, 회전프레임이 스크랩이 절단된 스트립을 지지하도록 상기 제어부가 회전프레임을 회전시키는 회전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랩 절단방법.
KR1020120147382A 2012-12-17 2012-12-17 스크랩 절단장치 및 절단방법 KR1014082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7382A KR101408224B1 (ko) 2012-12-17 2012-12-17 스크랩 절단장치 및 절단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7382A KR101408224B1 (ko) 2012-12-17 2012-12-17 스크랩 절단장치 및 절단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8224B1 true KR101408224B1 (ko) 2014-07-02

Family

ID=51740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7382A KR101408224B1 (ko) 2012-12-17 2012-12-17 스크랩 절단장치 및 절단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822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22623A (zh) * 2019-01-18 2019-04-16 永兴特种不锈钢股份有限公司 一种飞剪转辙器的前端导入结构
KR20240063386A (ko) 2022-11-03 2024-05-10 주식회사 포스코 스크랩 절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크랩 절단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3138Y1 (ko) * 1999-12-08 2000-05-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스트립 톱부 교정장치
KR20030035543A (ko) * 2001-10-31 2003-05-09 주식회사 포스코 조질 압연라인의 열연코일 스크랩처리장치
KR101010633B1 (ko) 2009-03-24 2011-01-24 주식회사 포스코 시어기내 잔류 스크랩 자동 제거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3138Y1 (ko) * 1999-12-08 2000-05-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스트립 톱부 교정장치
KR20030035543A (ko) * 2001-10-31 2003-05-09 주식회사 포스코 조질 압연라인의 열연코일 스크랩처리장치
KR101010633B1 (ko) 2009-03-24 2011-01-24 주식회사 포스코 시어기내 잔류 스크랩 자동 제거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22623A (zh) * 2019-01-18 2019-04-16 永兴特种不锈钢股份有限公司 一种飞剪转辙器的前端导入结构
CN109622623B (zh) * 2019-01-18 2024-04-12 湖州永兴特种不锈钢有限公司 一种飞剪转辙器的前端导入结构
KR20240063386A (ko) 2022-11-03 2024-05-10 주식회사 포스코 스크랩 절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크랩 절단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5532563U (zh) 挖掘机安装用岩芯钻机
CN104096904B (zh) 一种自动定尺冷剪剪切方法及其装置
KR102049149B1 (ko) 무 절단 장치
KR100807072B1 (ko) 환봉 절단장치
KR101408224B1 (ko) 스크랩 절단장치 및 절단방법
KR100785285B1 (ko) 코일 선단부 위치 조정장치
CN107818847B (zh) 同轴电缆的制造方法
KR102111386B1 (ko) 가스절단장치
KR101269066B1 (ko) 목재 절단기
KR102094257B1 (ko) 철판절곡기의 철판자동공급장치
KR101581590B1 (ko) 데크 플레이트 상면 가공장치
KR20120094997A (ko) 앵글용 절단기
KR200204812Y1 (ko) 사이드트리머의 전단칩 배출각도 제어장치
KR101862300B1 (ko) 샤링기
KR101398131B1 (ko) 주편 절단 보조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주편 절단 장치
CN206614557U (zh) 一种应用于污水处理罐的侧壁深处机器人打孔机
KR102065339B1 (ko) 레이저를 이용한 판재 절단장치
CN105666142B (zh) 一种门框冲切机
KR101704900B1 (ko) 목재 절단 장치
CN208695998U (zh) 一种侧边打孔机自动检测孔位装置
CN205526875U (zh) 毛巾自动开剪机的送料装置
KR102111387B1 (ko) 마킹 기능을 가지는 가스절단장치
KR101478762B1 (ko) 논슬립계단석 가공장치
CN117358794B (zh) 一种智能数控折弯机及其板料折弯方法
CN108789600B (zh) 一种海绵立切机的防护装置及海绵立切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