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8762B1 - 논슬립계단석 가공장치 - Google Patents

논슬립계단석 가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8762B1
KR101478762B1 KR20120064192A KR20120064192A KR101478762B1 KR 101478762 B1 KR101478762 B1 KR 101478762B1 KR 20120064192 A KR20120064192 A KR 20120064192A KR 20120064192 A KR20120064192 A KR 20120064192A KR 101478762 B1 KR101478762 B1 KR 1014787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irs
rotary
unit
conveying
elev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200641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41084A (ko
Inventor
손승헌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오리엔트 21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오리엔트 21 filed Critical 유한회사 오리엔트 21
Priority to KR201200641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8762B1/ko
Publication of KR201301410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410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87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87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1/0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 B28D1/003Multipurpose machines; Equipment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1/0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 B28D1/02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sawing
    • B28D1/04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sawing with circular or cylindrical saw-blades or saw-discs
    • B28D1/048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sawing with circular or cylindrical saw-blades or saw-discs with a plurality of saw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1/0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 B28D1/26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impact tools, e.g. by chisels or other tools having a cutting edge
    • B28D1/28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impact tools, e.g. by chisels or other tools having a cutting edge without cutting edge, e.g. chiseling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논슬립계단석 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회전타격부와 회전날부로 인해 계단석의 상부면에 각각 슬립방지용홈과 엠보싱이 각각 한번에 순차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슬립방지용홈과 상기 엠보싱을 통해 상기 계단석을 오르내리는 이용자와 상기 계단석 사이에 발생되는 슬립현상을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어 상기 계단석을 오르내리는 이용자가 상기 계단석에서 미끄러져 낙상하는 등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논슬립계단석 가공장치{NON-SLIP CUTTING DEVICE STAIRS STONE}
본 발명은 회전타격부와 회전날부로 인해 계단석의 상부면에 각각 슬립방지용홈과 엠보싱이 각각 한번에 순차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슬립방지용홈과 상기 엠보싱을 통해 상기 계단석을 오르내리는 이용자와 상기 계단석 사이에 발생되는 슬립현상을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어 상기 계단석을 오르내리는 이용자가 상기 계단석에서 미끄러져 낙상하는 등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논슬립계단석 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 공원, 야외 관람석, 관중석 등의 경사면에는 통행의 편의를 위해 계단석을 사용하여 계단을 만든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계단석은 상기 계단석을 오르내리는 이용자와 상기 계단석 사이에 발생되는 슬립현상으로 인해 상기 계단석을 오르내리는 이용자가 미끄러져 낙상하는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될 우려가 높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회전타격부와 회전날부로 인해 계단석의 상부면에 각각 슬립방지용홈과 엠보싱이 각각 한번에 순차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슬립방지용홈과 상기 엠보싱을 통해 상기 계단석을 오르내리는 이용자와 상기 계단석 사이에 발생되는 슬립현상을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어 상기 계단석을 오르내리는 이용자가 상기 계단석에서 미끄러져 낙상하는 등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논슬립계단석 가공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부면에 안착된 계단석을 후측에서 전측방향으로 이송하는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의 전측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계단석의 상부면을 타격하는 회전타격부와; 상기 회전타격부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이송부의 전측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계단석의 상부면을 일정깊이로 절개하는 회전날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논슬립계단석 가공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이송부는 벨트컨베이어 또는 롤러컨베이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이송부의 상부면에 안착된 상기 계단석을 상기 계단석의 하부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부가 상기 이송부의 상부방향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가압부는 상기 이송부의 상부방향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되는 승강부재와; 상기 승강부재의 하부에 정역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되는 가압롤러와; 상기 승강부재의 상부가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승강부재의 승강을 안내하는 안내부재와; 상기 안내부재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승강부재의 상부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회전타격부는 상기 이송부의 전측 상부에 구비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일정간격으로 돌출형성되는 돌출부재와; 상기 돌출부재에 일정간격으로 돌출형성되는 타격날과;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회전타격부와 상기 회전날부를 승강시키는 승강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승강부는 상기 이송부의 상부방향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되고, 하부면 전측과 하부면 후측에 각각 상기 회전날부와 상기 회전타격부가 구비되는 승강판과; 상기 승강판이 하측에 연결되고, 상기 승강판을 승강시키는 승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회전타격부와 회전날부로 인해 계단석의 상부면에 각각 슬립방지용홈과 엠보싱이 각각 한번에 순차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슬립방지용홈과 상기 엠보싱을 통해 상기 계단석을 오르내리는 이용자와 상기 계단석 사이에 발생되는 슬립현상을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어 상기 계단석을 오르내리는 이용자가 상기 계단석에서 미끄러져 낙상하는 등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논슬립계단석 가공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고,
도 3은 가압부가 계단석을 가압하고 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4는 슬립방지용홈과 엠보싱이 상부면에 형성된 계단석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논슬립계단석 가공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논슬립계단석 가공장치는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이송부(10), 회전타격부(20) 및 회전날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이송부(10)는 공지된 벨트컨베이어 또는 롤러컨베이어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이송부(10)의 상부방향에는 판상의 프레임(11)이 일정높이로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송부(10)는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상기 이송부(10)의 후측에서 상기 이송부(10)의 전측방향으로 상기 계단석(5)을 간헐적으로 이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회전타격부(20)는 상기 이송부(10)의 전측 상부에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정역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계단석(5)의 상부면 일측을 제외한 나머지 상기 계단석(5)의 상부면을 타격하여 상기 계단석(5)의 상부면 일측을 제외한 나머지 상기 계단석(5)의 상부면에 요철형태의 엠보싱(도 4의 52)를 형성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회전날부(30)는 상기 회전타격부(20)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이송부(10)의 전측 상부에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정역회전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회전날부(30)는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정역회전하여 상기 계단석(5)의 상부면 일측을 일정깊이로 절개함으로서, 상기 계단석(5)의 상부면 일측에 슬립방지용홈(도 4의 51)을 형성하게 된다.
도 3은 가압부(40)가 계단석(5)을 가압하고 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회전날부(30)가 상기 계단석(5)의 상부면 일측을 일정깊이로 절개하는 과정 중에 상기 계단석(5)의 상기 이송부(10)의 전후방향으로 밀려 이동되는 방지하기 위해,
상기 이송부(10)의 상부면에 안착된 상기 계단석(5)을 상기 계단석(5)의 하부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부(40)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이송부(10)의 상부방향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압부(40)는 도 1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봉형태의 승강부재(410), 가압롤러(420), 관상의 안내부재(430) 및 스프링 등을 포함한 탄성부재(4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봉형태의 상기 승강부재(410)가 상기 이송부(10)의 상부방향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도록 봉형태의 상기 승강부재(410)는 판상의 상기 프레임(11)의 하부면 각 모서리 하부방향에 각각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압롤러(420)가 상기 이송부(10)의 전측 상부와 상기 이송부(10)의 후측 상부에 각각 구비될 수 있도록 상기 가압롤러(420)의 일측과 상기 가압롤러(420)의 타측은 봉형태의 상기 승강부재(410)의 하측에 각각 정역회전가능하게 베어링결합된 상태로 축결합될 수 있다.
관상의 상기 안내부재(430)의 상부는 판상의 상기 프레임(11)의 하부면 각 모서리에 일체연결될 수 있다.
봉형태의 상기 승강부재(40)의 승강을 안내하기 위한 관상의 상기 안내부재(430)의 내부에는 봉형태의 상기 승강부재(410)의 상부가 승강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다.
봉형태의 상기 승강부재(410)가 관상의 상기 안내부재(430)의 하부 외부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봉형태의 상기 승강부재(410)의 상측에는 관상의 상기 안내부재(430)의 하측 내주면과 접하는 환형의 이탈방지턱(411)이 일체형성될 수 있다.
스프링 등을 포함한 상기 탄성부재(440)는 상기 안내부재(430)의 내부에 수직구비될 수 있다.
스프링 등을 포함한 상기 탄성부재(440)의 상측은 판상의 상기 프레임(11)의 하부면 각 모서리와 접할 수 있다.
스프링 등을 포함한 상기 탄성부재(440)의 하측은 봉형태의 상기 승강부재(410)의 상부면과 접하여 봉형태의 상기 승강부재(410)의 상부를 탄성지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회전타격부(20)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회전축(210), 돌출부재(220), 타격날(230) 및 구동부재(미도시)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회전축(210)의 일측과 상기 회전축(210)의 타측은 후술할 승강판(610)의 후측 하부면 일측과 상기 승강판(610)의 후측 하부면 타측에 각각 수직형성되는 후측지지대(612)의 하부에 각각 베어링결합된 상태로 축결합될 수 있다.
환형의 상기 돌출부재(220)는 상기 회전축(210)의 외주면에 상기 회전축(210)과 직교를 이룬 상태로 일정간격으로 수직돌출형성되어 상기 회전축(210)을 따라 정역회전될 수 있다.
상기 타격날(230)은 환형의 상기 돌출부재(230)의 외주면에 기어치 형상으로 일정간격으로 돌출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타격날(230)은 다이아몬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타격날(230)은 상기 회전축(210) 및 환형의 상기 돌출부재(220)를 따라 정역회전하여 상기 계단석(5)의 상부면 일측을 제외한 나머지 상기 계단석(5)의 상부면을 타격할 수 있다.
유압모터 등을 포함한 모터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구동부재(미도시)는 상기 회전축(210)의 일측과 축결합된 상태로 상기 승강판(610)의 후측 하부면 일측에 수직형성된 상기 후측지지대(612)의 하부에 수평으로 볼트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상기 회전축(210)을 정역회전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계단석(5)의 상하두께에 따라 상기 회전타격부(20)와 상기 회전날부(30)를 승강시키는 승강부(6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승강부(60)는 도 1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승강판(610)과 승강부재(6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승강판(610)은 판상의 상기 프레임(11)의 중간부 하부면 하부방향에 승강가능하게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승강판(610)의 전측 하부면 일측에는 상기 승강판(610)의 하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직연장되는 전측지지대(61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측지지대(611)의 하측에 상기 회전날부(30)가 정역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회전날부(30)는 회전축(310)과 회전날(32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310)의 일측은 상기 전측지지대(611)의 하부에 정역회전가능하게 베어링결합된 상태로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310)이 상기 회전날(320)의 중심부를 수평관통한 상태로 상기 회전축(310)의 외주면에 복수의 상기 회전날(320)이 일정간격으로 수직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회전날(320)은 상기 회전축(310)을 따라 정역회전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전측지지대(611)의 하부 일측에는 상기 회전축(310)의 일측과 축결합된 상태로 상기 지지바(611)의 하부 일측에 수평으로 볼트고정되어 상기 회전축(310)을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정역회전시키는 유압모터 등을 포함한 모터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승강판(610)의 하부면 후측에는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타격부(20)가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승강부재(620)는 판상의 상기 프레임(11)의 상부면 중간부에 수직으로 볼트고정되는 유압실린더 등을 포함한 실린더(621)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승강부재(620)를 이루는 상기 실린더(621)의 로드(622)는 판상의 상기 프레임(11)의 상부면 중간부를 수직관통할 수 있다.
상기 승강부재(620)를 이루는 상기 실린더(621)의 로드(622)의 하측은 상기 승강판(610)의 상부면 중간부와 일체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상기 실린더(621)의 로드(622)의 길이가 신장됨에 따라 상기 회전타격부(20) 및 상기 회전날부(30)와 함께 상기 승강판(610)이 상기 승강판(610)의 상하방향으로 승강될 수 있다.
도 4는 슬립방지용홈(51)과 엠보싱(52)이 상부면에 형성된 계단석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상기 회전타격부(20)와 회전날부(30)로 인해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계단석(5)의 상부면에 각각 슬립방지용홈(51)과 엠보싱(52)이 각각 한번에 순차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슬립방지용홈(51)과 상기 엠보싱(52)을 통해 상기 계단석(5)을 오르내리는 이용자와 상기 계단석(5) 사이에 발생되는 슬립현상을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어 상기 계단석(5)을 오르내리는 이용자가 상기 계단석(5)에서 미끄러져 낙상하는 등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10; 이송부, 20; 회전타격부,
30; 회전날부.

Claims (7)

  1. 상부면에 안착된 계단석(5)을 후측에서 전측방향으로 이송하는 벨트컨베이어 또는 롤러컨베이어로 이루어지는 이송부(10)와;
    상기 이송부(10)의 전측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계단석(5)의 상부면을 타격하는 회전타격부(20)와;
    상기 회전타격부(20)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이송부(10)의 전측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계단석(5)의 상부면 일측을 일정깊이로 절개하여 상기 계단석(5)의 상부면 일측에 슬립방지용 홈(51)을 형성하는 회전날부(30)와;
    상기 이송부(10)의 상부방향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이송부(10)의 상부면에 안착된 상기 계단석(5)을 상기 계단석(5)의 하부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부(40)와;
    상기 회전타격부(20)와 상기 회전날부(30)를 승강시키는 승강부(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회전타격부(20)는 상기 이송부(10)의 전측 상부에 구비되는 회전축(210)과;
    상기 회전축(210)에 일정간격으로 돌출형성되는 돌출부재(220)와;
    상기 돌출부재(220)에 일정간격으로 돌출형성되는 타격날(230)과;
    상기 회전축(210)을 회전시키는 구동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가압부(40)는 상기 이송부(10)의 상부방향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되는 승강부재(410)와;
    상기 승강부재(410)의 하부에 정역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되는 가압롤러(420)와;
    상기 승강부재(410)의 상부가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승강부재(410)의 승강을 안내하는 안내부재(430)와;
    상기 안내부재(430)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승강부재(410)의 상부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4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승강부(60)는 상기 이송부(10)의 상부방향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되고, 하부면 전측과 하부면 후측에 각각 상기 회전날부(30)와 상기 회전타격부(20)가 구비되는 승강판(610)과;
    상기 승강판(610)이 하측에 연결되고, 상기 승강판(610)을 승강시키는 승강부재(6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논슬립계단석 가공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20120064192A 2012-06-15 2012-06-15 논슬립계단석 가공장치 KR1014787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64192A KR101478762B1 (ko) 2012-06-15 2012-06-15 논슬립계단석 가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64192A KR101478762B1 (ko) 2012-06-15 2012-06-15 논슬립계단석 가공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1084A KR20130141084A (ko) 2013-12-26
KR101478762B1 true KR101478762B1 (ko) 2015-01-05

Family

ID=49985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0064192A KR101478762B1 (ko) 2012-06-15 2012-06-15 논슬립계단석 가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87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62858A (zh) * 2018-09-20 2019-01-25 罗丽娅 一种阳极碳块开槽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20811B (zh) * 2020-12-18 2022-06-10 安徽鸿腾住工科技有限公司 一种预制板楼梯生产配套用的防滑槽同步开槽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40848B2 (ja) * 1988-12-26 1997-08-13 旭化成工業株式会社 切断端材処理装置及び版材切断装置
JP2001105425A (ja) * 1999-10-08 2001-04-17 Sekitaku Kin 石板加工装置及びその加工方法
KR20120047375A (ko) * 2010-11-03 2012-05-14 세진산업 (주) 석재가공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40848B2 (ja) * 1988-12-26 1997-08-13 旭化成工業株式会社 切断端材処理装置及び版材切断装置
JP2001105425A (ja) * 1999-10-08 2001-04-17 Sekitaku Kin 石板加工装置及びその加工方法
KR20120047375A (ko) * 2010-11-03 2012-05-14 세진산업 (주) 석재가공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62858A (zh) * 2018-09-20 2019-01-25 罗丽娅 一种阳极碳块开槽设备
CN109262858B (zh) * 2018-09-20 2021-12-07 罗丽娅 一种阳极碳块开槽设备及其使用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1084A (ko) 2013-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8820B1 (ko) 절입량 및 세절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야채 절단기
KR101848024B1 (ko) 금속판 절단장치
JP6258527B2 (ja) 大型パイプ高速切断機
EP2217419B1 (en) Splitting device
KR101478762B1 (ko) 논슬립계단석 가공장치
KR101381446B1 (ko) 양파의 뿌리 및 줄기 절단장치
KR100693356B1 (ko) 논슬립홈 형성이 가능한 도로경계석 절삭장치
EP1908710B1 (en) Apparatus for handling sheet-like products
CN110497470B (zh) 一种塑胶制品修边模具
CN211035692U (zh) 一种自动划线掰片的玻璃上片装置
KR102172065B1 (ko) 석판 절단장치
KR20130141078A (ko) 논슬립계단석 가공장치
KR20090010769U (ko) 형강 가공장치
KR200449937Y1 (ko) 시각장애인용 유도블록의 유도홈 절삭장치
CN213134580U (zh) 一种机械零部件加工用折弯装置
CN210819660U (zh) 圆盘切机
CN107139341A (zh) 桌台连接机构
CN105690574A (zh) 石板裁边机
CN203918429U (zh) 一种机器手高度可调的窗帘穿片机
JP6845466B2 (ja) 傾斜溝形成用タイル切削装置および傾斜溝形成用タイルの切削方法
CN211815125U (zh) 一种断布机
CN203901031U (zh) 踏步水磨机
CN116252153B (zh) 一种颚板加工结构及其加工工艺
CN216067664U (zh) 一种汽车隔音垫加工用定位裁剪装置
KR20140111463A (ko) 석재 절단장치 및 그를 이용한 석재 절단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3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