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6068B1 - 치약 압출장치 - Google Patents

치약 압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6068B1
KR100306068B1 KR1019990007356A KR19990007356A KR100306068B1 KR 100306068 B1 KR100306068 B1 KR 100306068B1 KR 1019990007356 A KR1019990007356 A KR 1019990007356A KR 19990007356 A KR19990007356 A KR 19990007356A KR 100306068 B1 KR100306068 B1 KR 1003060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paste
toothbrush
tube
main body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73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59615A (ko
Inventor
박선호
Original Assignee
박선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선호 filed Critical 박선호
Priority to KR10199900073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6068B1/ko
Publication of KR200000596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96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60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606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5/00Holders or dispensers for soap, toothpaste, or the like
    • A47K5/06Dispensers for soap
    • A47K5/12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 A47K5/122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using squeeze bottl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5/00Holders or dispensers for soap, toothpaste, or the like
    • A47K5/06Dispensers for soap
    • A47K5/12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 A47K5/1202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dispensing dosed volum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솔을 압출장치의 내부로 투입시키는 동작만으로 일정량의 치약을 치모부에 동일한 두께로 묻힐 수 있게 하는 치약 압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치약을 남김없이 알뜰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하는 다양한 종류의 치약 압출장치가 제공된 바 있으나 그 대부분이 반자동으로 구성되거나 자동화되었더라도 작용 부전의 문제점으로 실용화되지 못하였던 바, 본 발명은 칫솔(9)이 삽입되는 투입구(10)와 투입구(10)의 내부에 칫솔(9)의 투입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11)와 상면에 치약튜브(8)가 설치되는 안착구멍(12)을 구비하는 본체(1)와; 상기 본체(1)의 내부에 설치되는 구동부(2)와; 본체의 상면에 설치되는 지지부(3)와; 상기 지지부에 설치되어 치약튜브(8)를 압착하는 압착부(4)로 구성함으로써, 칫솔을 투입구의 내부로 삽입시키는 동작만으로 칫솔의 치모 부위에 일정한 두께로 치약을 묻힐 수 있음은 물론 튜브 내의 치약을 알뜰하게 인출시켜 사용할 수 있어 치약을 낭비를 방지하고 호텔등과 같은 숙박업소에서는 일회용 치약의 사용을 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는 것임.

Description

치약 압출장치 { Toothpaste squeezer }
본 발명은 치약을 자동으로 압출시키는 치약 압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치솔을 압출장치의 내부로 투입시키는 동작만으로 일정량의 치약을 치모부에 동일한 두께로 묻힐 수 있게 하는 치약 압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약은 연질의 튜브 내에 포장되어 판매되며, 튜브에 내장된 치약을 인출시키기 위하여는 토출구에 설치된 마개를 제거하고 튜브를 압착하여 인출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튜브에 내장된 치약을 남김없이 알뜰하게 사용하기 위하여는 튜브의 끝단에서부터 압력을 가하여 치약을 인출시키고 인출이 완료된 다음에도 치약이 튜브의 끝단부로 이동되지 못하도록 압력을 제거시키지 않아야만 한다.
종래에도 상술한 바와 같이 치약을 남김없이 알뜰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하는 다양한 종류의 치약 압출장치가 제공된 바 있으나 그 대부분이 반자동으로 구성되거나 자동화되었더라도 작용 부전의 문제점으로 실용화되지 못하였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튜브 내에 내장된 치약을 남김없이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함은 물론 칫솔을 투입하는 동작만으로 칫솔의 치모부에 일정한 두께로 치약을 묻힐 수 있게 하는 치약 압출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은 칫솔이 삽입되는 투입구 및 치약 튜브가 설치되는 안착구멍을 구비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구동부와; 본체의 상면에 설치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설치되어 치약 튜브를 압착하는 압착부로 구성되시키되, 상기 구동부는 센서의 신호를 인가 받아 회전 구동되는 모터와; 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원판캠과; 상기 원판캠에 편심되게 결합되는 링크와; 상기 링크의 양측에 결합되며 선단하부에 경사면을 구비하는 포크로 구성되고, 상기 지지부는 일측면이 개방되고, 하단부가 본체 내부와 연통되는 기둥과; 상기 기둥의 내부에 삽입되고 하단부에 포크가 삽입되는 홈을 구비하며, 일측면에 기어부가 형성된 승강막대로 구성되며, 상기 압착부는 기둥에 삽입되는 통공을 가지는 압착틀과 상기 압착틀에 축설되는 한 쌍의 압착 롤러와 상기 통공의 내측에 승강막대의 기어부와 치합되는 발톱을 설치시켜 구성되는 것에 특징을 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압출장치를 분리 도시한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구동부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압착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승강막대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발췌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승강막대와 발톱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발췌 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작동 상태를 발췌 도시한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본체 2. 구동부
3. 지지부 4. 압착부
5. 밀대 6. 마개
8. 튜브 9. 칫솔
11. 센서 20. 모터
24. 포크 35. 승강막대
44. 발톱 41,42. 압착롤러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칫솔(9)의 삽입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11)가 결합 설치된 투입구(10)와 상면에 치약 튜브(8)가 설치되는 안착구멍(12)을 구비하는 장치 본체(1)와; 상기 본체(1)의 내부에 설치되는구동부(2)와; 치약 튜브(8)를 지지하는 지지부(3)와; 상기 지지부(3)에 설치되어 치약튜브(8)를 압착하는 압착부(4)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구동부(2)는 센서(11)의 신호를 인가 받아 회전 구동되는 모터(20)와; 모터(20)의 회전축(21)에 결합되는 원판캠(22)과; 상기 원판캠(22)에 편심되게 결합되는 링크(23)와; 상기 링크(23)의 양측에 결합되며 선단하부에 경사면(25)을 구비하는 포크(24)로 구성되고, 상기 지지부(3)는 일측면이 개방되고, 하단부가 본체(1)내부와 연통되는 기둥(30)과; 상기 기둥(30)의 내부에 삽입되고 하단부에 상기 포크(24)의 선단부가 삽입되는 홈(37)을 구비하며, 일측면에 기어부(36)가 형성된 승강막대(35)와, 상기 승강막대(35)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복귀 스프링(38)으로 구성되며, 상기 압착부(4)는 기둥(30)에 끼워지되는 통공(43)을 가지는 압착틀(40)과 상기 압착틀(40)에 축설되는 한 쌍의 압착롤러(41)(42)와 상기 통공(43)의 내측에 승강막대(35)의 기어부(36)와 치합되는 발톱(44)이 설치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기둥(30)의 전면에 기어부(31)를 형성시키고, 각각 압착롤러(41)(42)의 회전축에 서로 치합되는 기어(45)(46)를 각각 설치시키되, 선단롤러(41)의 회전축에 설치되는 또다른 기어(47)는 통공(43)의 내부로 노출되게 하여 기둥(30)의 기어부(31)와 치합되게 구성시켜 압착틀(40)의 하강동작시 롤러(41)(42)가 회전하면서 튜브(8)를 압착시킬 수 있게 하였다.
또한 상기 상기 투입구(10)의 내부에 링크(23)와 결합되어 전 후진되는 밀대(5)를 설치시키고, 밀대(5)의 상면에 튜브(8)의 토출구(80)를 개폐방시키는 마개(6)를 설치시켜 투입구(10)에 삽입된 칫솔(9)을 후퇴시키면서 치약을 묻힐 수 있게 하고, 튜브(8)로부터 치약이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상기 밀대(5)의 선단 하부에는 칫솔(9)의 하단을 밀어올려주는 받침판(51)과 경사면(52)이 각각 형성되며, 밀대(5)가 전 후진되는 본체(1)의 바닥면(13)에도 상기 경사면(52)과 접촉되는 경사턱(14)을 형성시켰다.
그리고 상기 마개(6)는 밀대(5)의 상면에 고정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밀대(5)의 행정 거리에 따라 이동과 정지 동작을 이룰 수 있도록 밀대(5)의 돌기(53)가 삽입되는 홈(60)을 길게 형성시켰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치약을 일정한 량 만큼씩 자동으로 압출시킬 수는 있으나 압출되는 치약의 량을 조절할 수 없는 것이다.
즉, 치약이 포장되는 튜브(8)의 용적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압착틀(4)을 하강동작시키는 승강막대(35)의 행정거리가 동일한 경우 적은 용적의 튜브를 설치시켰을때와 큰 용적의 튜브를 설치시켰을때의 치약압출량이 다르게 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지지부(3)에 치약의 압출량을 조절할 수 있게 하는 치약 토출량 조절장치(7)를 설치시켰다.
상기 치약 토출량 조절장치(7)는 양측 기둥(30)에 연결되는 받침대(70)와, 각각의 승강막대(35)상단과 접촉되어 승강막대(35)의 상승높이를 제어하는 저지막대(71)와, 상기 저지막대(71)를 관통하여 받침대(70)에 나사결합되는 조절볼트(72)와, 받침대(70)의 상면과 저지막대(71)의 저면 사이에 개재설치되는 스프링(73)으로 구성된다.
상기 치약 토출량 조절장치(7)는 양측 승강막대(35)의 상단부에저지막대(71)를 고정 결합시키고, 저지막대(71)에 조절볼트(72)가 통과하는 통공(74)을 형성시켜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경우 승강막대(35)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스프링(38)의 기능을 받침대(70)상에 설치되는 스프링(73)이 대신함으로써, 스프링(38)은 필요치 않게 된다.(도 1 b 참조)
미설명 부호 48은 압착틀을 상승동작시킬때 사용되는 핸들이고, 49는 발톱에 탄력을 부여하는 스프링이며 50은 스프링의 탄발압력을 조절하는 조절노브이고, 26은 링크의 하단에 형성된 돌기이며, 54는 링크의 돌기가 삽입되는 홈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본체(1)의 전면에 형성된 투입구(10)의 내부로 칫솔(9)선단부를 삽입시키게 되면 칫솔(9)의 투입됨을 감지한 센서(11)가 구동모터(20)에 전원을 인가시켜 모터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모터(20)의 회전축(21)에 결합된 원판캠(22)이 회전되고, 원판캠(22)에 편심되게 결합된 링크(23)가 후퇴 동작되며, 링크(23)의 선단 양측의 포크(24) 또한 후퇴 동작됨에 따라 포크(24)선단의 경사면(25)이 승강막대(35)의 하부에 형성된 홈(37)의 저면을 따라 서서히 후퇴 동작을 하게 된다.
포크의 경사면(25)이 홈(37)내부로부터 후퇴되는 과정에서 승강막대(35)는 하부에 설치된 복귀 스프링(38)의 탄발력에 의해 상승 동작된다.
이때 승강막대(35)의 일측면에 형성된 기어부(36)가 압착틀(40)에 스프링(49)으로 탄설된 발톱(44)을 타고 넘으면서 상승하게 되어, 승강막대(35)가 상승 동작되더라도 압착틀(40)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링크(23) 선단하부의 돌기(26)와 결합된 밀대(5) 또한 링크(23)의 후퇴 동작에 의해 칫솔(9)의 삽입되는 동작을 따라 후퇴 동작을 하게 되고, 밀대(5) 상면의 돌기(53)가 마개(6) 저면에 형성된 홈(60)의 후단부와 접하면서 마개(6)를 후퇴시켜 튜브(8)의 토출구(80)를 개방시키게 된다.
이어 계속되는 원판캠(22)의 회전 동작에 의해 후퇴되던 링크(23)가 전진 동작을 하게 되면, 양측 포크(24)의 선단 경사면(25)이 승강막대(35)에 형성된 홈(37)의 저부를 가압하며 전진 동작되면서 승강막대(35)를 하강시킨다.
승강막대(35)의 하강 동작에 의해 기어부(36)가 발톱(44)을 가압하여 동반 하강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압착틀(40)을 하강 동작된다.
압착틀(40)의 하강 동작에 의해 압착틀(40)에 설치된 한 쌍의 롤러(41)(42)가 하강되면서 튜브(8)의 양측면을 압박하여 치약을 짜게 되는데, 이때 상기 한 쌍의 롤러(41)(42)중 전방에 위치된 롤러(41)의 회전축에 설치된 기어(47)가 기둥(30)의 일측면에 형성된 기어부(31)와 접하여 있음에 따라 하강 동작에 의해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회전하는 전방의 롤러(41)는 기어(45)를 통하여 후방기어(46)를 회전시키게 되고 각각의 롤러(41)(42)는 튜브(8)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 하강하면서 튜브를 압착시키게 되는 것이다.
한편 링크(23)의 전진 동작에 따라 전진하는 밀대(5)는 칫솔(9)의 선단부를 밀어내게 되고, 토출구(10)를 통하여 배출되는 치약은 칫솔(9)의 치모부(90) 후단에서부터 선단에 걸쳐 동일한 두께로 묻혀지게 되는 것이다.
전진되던 밀대(5)하부 선단의 경사면(52)이 본체(1)내의 경사턱(14)에 접하여지면서 밀대(5)선단부가 들려 올라가면서 상승 전진 동작을 하게 된다. 이에 따라 받침판(51)상에 얹혀진 칫솔(9)이 상승되고 칫솔(9)의 치모부(90)가 토출구(80)와 접한 상태로 인출되어 (이 시점에서는 포크의 경사면이 완전하게 홈의 내부로 삽입되어 더 이상 승강막대가 하강되지 않음) 토출구(80)의 주변에 남을 수 있는 치약을 깨끗하게 닦게 된다.
이와 동시에 밀대(5)의 상면에 형성된 돌기(53)가 마개(6)의 홈(60)선단부와 접하면서 마개(6)를 전진시켜 튜브의 토출구(80)를 막기 시작하고, 밀대(5)는 계속 전진하여 칫솔(9)을 투입구(10)의 외부로 완전하게 밀어내게 된다.
이에 센서(11)가 칫솔(9)이 인출되었음을 감지하고 구동모터(20)에 인가되던 전원을 차단시키게 되면 치약의 인출 작업이 완료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압출동작에 의해 튜브(8)내의 치약을 모든 소모한 경우에는 선단압착롤러(41)의 일측에 설치된 핸들(48)을 역회전시키게 되면 회전하는 기어(47)가 기둥(30)의 기어부(31)를 따라 상승됨에 따라 소모된 튜브(8)를 제거하고 새로운 치약 튜브를 설치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치약의 토출되는 량을 조절시키기 위하여는 저지막대(71)에 설치된 조절볼트(72)를 회전시켜 저지막대(71)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서, 치약의 토출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즉, 치약의 토출되는 량을 적게 하기 위하여는 조절볼트(72)을 회전시켜 저지막대(71)를 하강시키게 되면, 승강막대(35)의 하단에 형성된 홈(37)이 포크(24)선단의 경사면(25)으로부터 하강이격되어 포크(24)의 전진동작시 경사면(25)이 승강막대(35)의 홈(37)과 접촉되는 시간이 짧아지게 되고, 이는 승강막대(35)의 하강 길이를 짧게 하여 결국 치약의 토출량이 줄어들게 되는 것이다.
반대로 치약의 토출량을 증대시키기 위하여는 저지막대(71)를 상승시켜 승강막대(35)가 최대한 높게 상승되게 함으로서 치약의 토출량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칫솔을 투입구의 내부로 삽입시키는 동작만으로 칫솔의 치모 부위에 일정한 두께로 치약을 묻힐 수 있음은 물론 튜브 내의 치약을 알뜰하게 인출시켜 사용할 수 있어 치약을 낭비를 방지하고 호텔등과 같은 숙박업소에서는 일회용 치약의 사용을 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4)

  1. 칫솔(9)이 삽입되는 투입구(10)와 투입구(10)의 내부에 칫솔(9)의 투입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11)와 상면에 치약 튜브(8)가 설치되는 안착구멍(12)을 구비하는 본체(1)와; 상기 본체(1)의 내부에 설치되는 구동부(2)와; 본체의 상면에 설치되는 지지부(3)와; 상기 지지부에 설치되어 치약 튜브(8)를 압착하는 압착부(4)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구동부(2)는 센서(11)의 신호를 인가 받아 회전 구동되는 모터(20)와; 모터(20)의 회전축(21)에 결합되는 원판캠(22)과; 상기 원판캠(22)에 편심되게 결합되는 링크(23)와; 상기 링크(23)의 양측에 결합되며 선단하부에 경사면(25)을 구비하는 포크(24)로 구성되고, 상기 지지부(3)는 일측면이 개방되고, 하단부가 본체(1)내부와 연통되는 기둥(30)과; 상기 기둥(30)의 내부에 삽입되고 하단부에 포크(24)가 삽입되는 홈(37)을 구비하며, 일측면에 기어부(36)가 형성된 승강막대(35)와, 상기 승강막대(35)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복귀 스프링(38)으로 구성되며, 상기 압착부(4)는 기둥(30)에 삽입되는 통공(43)을 가지는 압착틀(40)과 상기 압착틀(40)에 축설되는 한 쌍의 압착롤러(41)(42)와 상기 통공(43)의 내측에 승강막대(35)의 기어부(36)와 치합되는 발톱(44)이 설치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 압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지지부(3)에 치약의 압출량을 조절할 수 있게 하는 치약토출량 조절장치(7)를 설치시키되, 상기 치약 토출량 조절장치(7)가 양측 기둥(30)에 연결되는 받침대(70)와, 각각의 승강막대(35)상단과 접촉되어 승강막대(35)의 상승높이를 제어하는 저지막대(71)와, 상기 저지막대(71)를 관통하여 받침대(70)에 나사결합되는 조절볼트(72)와, 받침대(70)의 상면과 저지막대(71)의 저면 사이에 개재설치되는 스프링(73)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 압출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30)의 전면에 기어부(31)를 형성시키고, 상기 압착롤러(41)(42)의 회전축에 서로 치합되는 각각의 기어(45)(46)를 설치시키되, 선단롤러(41)의 회전축에 설치되는 또다른 기어(47)는 통공(43)의 내부로 노출되게 하여 기둥(30)의 기어부(31)와 치합되게 구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 압출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항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구(10)의 내부에 링크(23)와 결합되어 전 후진되는 밀대(5)를 설치시키고, 밀대(5)의 상면에 튜브(8)의 토출구(80)를 개폐방시키는 마개(6)를 설치시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 압출장치
KR1019990007356A 1999-03-05 1999-03-05 치약 압출장치 KR1003060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7356A KR100306068B1 (ko) 1999-03-05 1999-03-05 치약 압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7356A KR100306068B1 (ko) 1999-03-05 1999-03-05 치약 압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9615A KR20000059615A (ko) 2000-10-05
KR100306068B1 true KR100306068B1 (ko) 2001-09-26

Family

ID=19575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7356A KR100306068B1 (ko) 1999-03-05 1999-03-05 치약 압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606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2368B1 (ko) 2008-07-30 2010-11-04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치약압출기
CN103922002A (zh) * 2014-04-30 2014-07-16 浙江大学台州研究院 自动挤牙膏机
KR101861010B1 (ko) * 2016-09-28 2018-05-24 김효영 석탄 이송용 설비의 퇴적분진 방지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5489B1 (ko) * 2006-09-29 2007-09-04 유훈상 치약 자동 공급디스펜스
CN108836159A (zh) * 2018-07-25 2018-11-20 晋江市八猪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化牙齿清洁设备及其使用方法
KR102566688B1 (ko) * 2021-12-13 2023-08-11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모터를 이용하여 치약 압출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2368B1 (ko) 2008-07-30 2010-11-04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치약압출기
CN103922002A (zh) * 2014-04-30 2014-07-16 浙江大学台州研究院 自动挤牙膏机
KR101861010B1 (ko) * 2016-09-28 2018-05-24 김효영 석탄 이송용 설비의 퇴적분진 방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9615A (ko) 2000-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36056A (en) Automatic soap dispensing device
KR100306068B1 (ko) 치약 압출장치
CN106982798A (zh) 一种蚕茧脱簇机
CN111332814B (zh) 一种艾条制作用的艾绒自动下料机
CN107127991A (zh) 一种方便取出油饼的榨油机
CN115893793B (zh) 一种基于水体污泥回收处理的压滤脱水装置
CN107329599A (zh) 一种鼠标垫装置
CN111747114A (zh) 一种外科用自动棉签蘸取消毒剂设备
KR200273886Y1 (ko) 치약 가압장치
CN114455212A (zh) 一种冷敷凝胶用挤出装置
KR200262422Y1 (ko) 겔상 화장품 배출장치
CN112060359A (zh) 一种陶瓷制品缺口修复装置
CN216683458U (zh) 一种带有自动进料功能的艾草液提取装置
KR100666333B1 (ko) 치약 토출기
CN207876560U (zh) 一种垃圾压缩车的推压装置
KR960006800Y1 (ko) 치약 압출장치
CN219044154U (zh) 一种自动下料的压块机
CN112265734A (zh) 一种挤牙膏装置及使用方法
CN116946440A (zh) 一种牙膏及其制备工艺
CN218047981U (zh) 一种用于移液泵脱吸头的装置
CN220789671U (zh) 一种水利拦污栅
CN220032728U (zh) 一种洗洁精包装瓶
CN113894001B (zh) 一种泡沫铝多层复合板的复合装置及生产工艺
KR20000000339A (ko) 제면기용 안전장치
CN218812741U (zh) 一种干衣机门控制开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