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02396A - 건설기계의 보안시스템 - Google Patents

건설기계의 보안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02396A
KR20040002396A KR1020027017642A KR20027017642A KR20040002396A KR 20040002396 A KR20040002396 A KR 20040002396A KR 1020027017642 A KR1020027017642 A KR 1020027017642A KR 20027017642 A KR20027017642 A KR 20027017642A KR 20040002396 A KR20040002396 A KR 200400023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struction machine
information
base station
movable
communica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7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마츠히데키
아다치히로유키
시바모리가즈히로
시바타고이치
나가시마유지
곤도이츠오
기무라도시노리
스기야마겐로쿠
히라타도이치
시마무라다다토시
와타나베히로시
Original Assignee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1127125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2322680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1134289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2327466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1221517A external-priority patent/JP443312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1225260A external-priority patent/JP4190169B2/ja
Application filed by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023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2396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025Particular purposes of control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2F9/205Remotely operated machines, e.g. unmanne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4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propulsion system, e.g. engine or drive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2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a signal being sent to a remote location, e.g. a radio signal being transmitted to a police station, a security company or the ow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4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theft warning signal, e.g. visual or audible signals with special characteri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4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30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 B60R25/33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of global position, e.g. by providing GPS coordin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025Particular purposes of control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2F9/2054Fleet manag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4Safety devices, e.g. for preventing overl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25/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vehicle anti-theft devices
    • B60R2325/20Communication devices for vehicle anti-theft devices
    • B60R2325/205Mobile ph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25/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vehicle anti-theft devices
    • B60R2325/30Vehicles applying the vehicle anti-theft devices
    • B60R2325/308Industrial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 Operation Control Of Excavator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건설기계의 보안시스템은 건설기계와, 기지국과, 통신장치를 가진다. 건설기계는 제 1 정보를 송신하는 데이터 송수신부와, 수신정보를 기억하는 기억부와, 건설기계의 가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기지국은 건설기계의 데이터 송수신부로부터 제 1 정보를 수신하고, 건설기계에 제 2 정보를 송신하여 상기건설기계를 관리한다. 통신장치는 통신 네트워크를 거쳐 기지국과 접속되고, 기지국을 거쳐 건설기계에 대하고 제 3 정보를 송신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건설기계의 보안시스템{SECURITY SYSTEM FOR CONSTRUCTION MACHINE}
건설기계가 건설현장에서 도난된다고 하는 사태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원격지의 작업현장에 배치된 건설기계는, 작업 도중에 작업현장에 방치되어 있는 일이 많다. 이와 같은 작업현장은 소유자 또는 관리자에 의하여 감시되는 건설기계 보관소와는 달리, 도난방지 대책이 불충분하게 되어 있어 도난이 발생하기 쉬운 상황으로 되어 있다.
일본국 특개평9-50584호는, 유압건설기계의 도난방지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이 도난방지장치는, 키 입력장치로부터 미리 정해진 암호 인증번호가 입력되면 파이롯 유압원과 파일롯 밸브가 연통되어 유압기기의 동작이 허가된다. 암호 인증번호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파일롯 유압원과 파일롯 밸브가 차단되어 유압기기의 동작이 금지된다. 키 입력 대신에 IC 카드를 삽입함으로써 유압기기의 동작을 허용한다는 취지의 기재도 있다.
일본국 특개평8-301072호는, 유압건설기계의 도난방지장치를 개시하고 있다.이 도난방지장치는, 키 입력장치로부터 미리 정해진 암호 인증번호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에는 엔진 시동조작을 행하여도 시동회로가 작동하지 않아 엔진의 시동이 금지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들 건설기계의 도난방지장치에서는 엔진을 시동시키려고 할 때마다 키 입력이나 IC 카드의 삽입이라는 통상과는 다른 조작을 하지 않으면 안되어, 그 조작이 번거롭다. 또 암호 인증번호의 잊음 또는 IC 카드의 휴대 잊음의 경우에는 건설기계를 동작시킬 수 없어 작업을 행할 수 없다는 불편도 있다.
한편, 일본국 특개2000-73411호는 건설기계를 관리하는 관리센터의 서버에 해당 건설기계의 위치정보를 통지하는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이 시스템에 의하면 예를 들면 건설기계의 가동범위가 미리 설정되어 있어, 건설기계로부터 관리센터에 인공위성을 거쳐 송신되는 위치정보에 의거하여 관리센터에 상주하는 관리자가 가동범위로부터 벗어났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시스템이 가동범위로부터 벗어났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예를 들면 건설기계의 엔진을 정지시키기 위한 신호를 관리센터로부터 건설기계에 송신하여, 엔진 시동모터에의 통전을 차단하여 연료차단을 행함으로써 엔진을 정지시키도록 되어 있다. 시스템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이용하여 항상 건설기계의 위치정보를 취득한다.
관리센터측에서는 이 통지를 받음으로써, 건설기계의 도난발생을 조기에 알 수 있어 예를 들면 경찰에의 통보, 대체기계를 수배하는 등이라는 적절한 조치를 신속하게 취할 수 있다.
그러나 건설기계의 도난이 발생한 경우, 관리센터에 위치정보를 송신하는 것만으로는 불충분하다. 즉 건설기계를 관리하는 관리센터에 상주하고 있는 관리자가 부재 또는 적절한 대응을 취하는 데 충분한 인원수가 얻어지지 않는 경우도 있다. 또한 관리자 자체가 완전한 대응이 취해지지 않는 경우도 있다. 그 때문에 이와 같은 사태에 대한 대응의 지연이 생겨, 도난된 건설기계의 발견 및 그 회수가 불가능하게 되는, 또는 그 작업현장에서 작업을 계속할 수 없게 되는 등의 불편이 생긴다.
또 상기한 도난 이외에도 건설기계가 작업현장에서 고장나 작동 불능에 빠지는 일이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서비스맨 등을 즉시 파견하여 수리를 행하는, 또는 건설기계의 조작자로부터의 상담을 받는 등의 대응이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가령 건설기계측으로부터 사고 등의 정보가 서버에 송신되는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하여도 역시 신속한 대응이 취해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또한 건설기계의 고장 등의 사고가 발생하였을 때에는 건설기계의 현재 및 과거의 가동정보를 아는 것은 그 수복을 행하는 데에 있어서 아주 중요하나, 가령 서버로부터 서비스맨 등에게 고장 등의 발생을 통보하였다 하여도 적절하고 정확한 대응책이 취해지지 않는 경우도 있다.
또 건설기계에 구비된 통신장치가 떼어지거나 파괴되거나 한 경우도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 건설기계는 관리센터의 서버에 위치정보를 송신할 수 없어 관리센터는 건설기계가 작업영역내에 있는지의 여부가 불명하므로, 관리센터는 건설기계의 운전을 정지해야 할것인지의 여부의 판단이 되지 않는다. 가령 관리센터가 건설기계의 운전을 정지하는 운전 정지신호를 송신하였다 하여도 건설기계는 그 운전 정지신호를 수신할 수 없어 도난에 대하여 신속한 대처가 불가능하다.
본 발명은 유압셔블 등의 건설기계의 가동상황을 관리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 통신장치를 사용하여 정보의 수수를 행함으로써 사고·도난에 대처 가능한 건설기계의 보안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건설기계의 관리시스템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건설기계의 제어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건설기계의 가동영역의 설정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4는 도난정보의 관리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5는 통신장치측으로부터 서버를 거쳐 건설기계의 가동상황에 관한 방법을 취득하는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유압셔블의 도난방지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7은 유압셔블의 제어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8은 가동가능 시간대 설정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
도 9는 유압셔블의 주 제어유닛으로 행하여지는 도난방지제어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10은 가동가능 시간대 설정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
도 11은 가동 가능기간 설정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
도 12는 본 발명의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도난방지시스템의 실시형태의 전체 구성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어장치(302)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
도 14는 가동영역설정의 설명도,
도 15는 가동영역설정에 있어서 사용자가 소유하는 퍼스널 컴퓨터에 있어서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16은 가동영역설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서의 서버에서 행하여지는 처리의 플로우차트,
도 17은 가동영역설정에 있어서 제어장치에서 행하여지는 처리의 플로우차트,
도 18은 엔진을 시동시키기 위한 키스위치를 조작하였을 때에 제어장치에 있어서 실행되는 처리의 플로우차트,
도 19는 제어장치와 엔진 시동회로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
도 20은 가동영역설정의 설명도,
도 21은 휴대형 퍼스널 컴퓨터로부터 가동영역을 설정할 때의 주요부 구성도,
도 22는 휴대형 단말기를 사용하여 가동영역을 설정할 때의 주요부 구성도,
도 23은 종래의 가동영역설정의 설명도,
도 24는 본 발명에 관한 도난방지방법이 적용되는 건설기계를 포함하는 주변 시스템의 전체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도 25는 본 발명에 관한 도난방지방법이 적용되는 건설기계의 일례로서 유압셔블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26은 다수의 작업현장의 각각에 배치된 유압셔블과 기지국과의 관계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
도 27은 본 발명에 관한 도난방지방법을 실현하는 유압셔블의 주 제어기와 GPS장치와 통신장치의 내부구성 및 주변 관련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 구성도,
도 28은 GPS장치의 신호수신 불능상태에 의하여 유압셔블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흐름을 나타낸 플로우차트,
도 29는 통신장치의 신호수신 불능상태에 의하여 유압셔블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흐름을 나타낸 플로우차트,
도 30은 GPS장치에 의한 GPS신호의 신호수신 불능상태에 의하여 유압셔블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흐름을 나타낸 플로우차트,
도 31은 유압셔블의 제어장치와 GPS장치와 단선 검출부 및 이들 주변부분의 구성도,
도 32는 단선 검출부의 단선검출에 따라 유압셔블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건설기계의 도난 등 긴급하게 대응이 필요한 사태가 발생한 경우에 신속하게 대응 가능한 건설기계의 보안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제 1 정보를 송신하는 데이터송수신부와, 수신정보를 기억하는 기억부와, 건설기계의 가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건설기계와, 상기 건설기계의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로부터 상기 제 1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건설기계에 제 2 정보를 송신하여 상기 건설기계를 관리하는 기지국과, 통신 네트워크를 거쳐 상기 기지국과 접속되어, 상기 기지국을 거쳐 상기 건설기계에 대하여 제 3 정보를 송신 가능한 통신장치로 이루어지는 건설기계의 보안시스템이 주어지고 있다.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건설기계의 가동정보에 관한 것이면 좋고, 상기 통신장치는 상기 기지국에 대하여 상기 제 1 정보의 취득을 요구한다. 상기 통신장치는 1 또는 복수의 정치식 및 휴대식의 통신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기지국과 상기 통신장치 사이의 통신네크는 인터넷이고, 상기 정치식의 통신장치는 상기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 가능한 퍼스널 컴퓨터를 포함하는 단말로서, 상기 휴대식의 통신장치는 휴대전화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건설기계의 도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전자메일에 의하여 상기 통신장치에 송신되어도 좋다.
상기 기억부는 가동 가능한 가동영역을 기억하여 상기 건설기계가 상기 가동영역밖으로 이동한 것을 검출하였을 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건설기계가 도난되었다고 판단한다. 상기 제 2 정보는 상기 가동영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건설기계가 상기 가동영역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였을 때에 상기 기억부에 새로운 가동영역으로서 기억한다. 상기 통신장치는 기지국에 상기 제 3 정보를 송신함으로써 기지국이 상기 건설기계에 상기 제 2 정보를 송신한다. 상기 건설기계는 상기 가동영역이 설정되었을 때, 가동영역의 설정의 완료를 나타내는 응답신호를 상기 기지국에 송신함으로써 기지국은 가동영역의 설정완료를 알 수 있다.
또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건설기계의 고장/사고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건설기계가 현재 가동중인지 정지하고 있는지의 여부에 관한 정보와, 누적 가동시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통신장치는 상기 건설기계로부터 상기 제 1 정보를 취득하도록 상기 기지국에 요구하고, 상기 기지국은 상기 통신장치로부터 상기 제 3 정보를 수신한 시점에서 상기 건설기계로부터 상기제 1 정보를 취득하도록 상기 제 2 정보를 송신한다.
상기 건설기계로부터 상기 기지국에 상기 건설기계의 가동에 관한 정보를 가동 이력정보로서 정기적으로 송신하고, 상기 건설기계의 상기 가동정보는 인터넷을 거쳐 상기 통신장치에서 취득한다.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제 2 정보는, 상기 건설기계의 가동가능 시간대 또는 가동 가능기간에 관한 것을 포함한다. 상기 건설기계의 기억부는 상기제 2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건설기계의 가동가능 시간대 또는 가동 가능기간을 기억하고, 상기 건설기계의 제어부는 상기 기억된 가동가능 시간대 또는 가동 가능기간밖에서는 상기 건설기계의 가동을 금지한다.
상기 통신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제 3 정보는, 상기 기지국에 상기 가동시간대 또는 가동 가능기간에 관한 것으로, 상기 기지국은 상기 송신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 3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제 2 정보를 상기 건설기계에 송신한다. 여기서 상기 가동은 적어도 주행을 포함한다.
상기 건설기계는 해당 건설기계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부를 구비한다. 상기 제어부가 상기 건설기계에 대하여 소정의 조작이 행하여졌을 때에 상기 기억부에 저장된 상기 가동영역을 판독함과 동시에, 상기 위치 검출부로부터 건설기계의 현재의 위치정보를 입력하여 상기 가동영역과 상기 건설기계의 위치정보를 비교한다. 여기서 상기 소정의 조작은 상기 건설기계에 설치되는 원동기의 시동조작을 포함한다.
상기 건설기계가 상기 가동영역밖에 있다고 판단한 경우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건설기계의 가동을 금지하는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판단결과를 상기 기지국에 송신한다.
상기 통신장치가 휴대형 통신단말이어도 좋고, 또한 상기 휴대형 통신단말이 휴대전화이어도 좋다.
상기 기지국은 지도정보를 구비하고, 상기 기지국 또는 상기 통신장치는 상기지도정보를 판독하고, 이 판독한 지도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가동영역을 설정한다. 상기 지도정보는 복수의 구역별로 분할되고, 상기 기지국 또는 상기 통신장치가 상기 분할된 구역 중으로부터 가동영역을 선택하여 설정한다. 상기 가동 가능한 영역으로서 복수의 영역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건설기계는 상기 건설기계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부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건설기계의 상기 제어부에서 외부로부터의 정보에 관한 신호를 수신할 수 없는 상태가 발생하고 또한 신호수신 불능상태의 계속시간이 기준시간을 초과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건설기계의 엔진시동을 금지 또는 유압계통을 차단한다.
상기 위치 검출부에 의한 위치에 관한 신호를 수신할 수 없는 상태가 발생하고, 또한 신호수신 불능상태의 계속시간이 기준시간을 초과한 경우, 상기 건설기계의 엔진시동을 금지 또는 유압계통을 차단한다.
상기 제어부가 상기 센터서버로부터의 정보에 관한 신호를 수신할 수 없는 상태가 발생하고 또한 신호수신 불능상태의 계속시간이 기준시간을 초과한 경우, 상기 건설기계의 엔진시동을 금지 또는 유압계통을 차단한다.
상기 건설기계는 단선 검출배선을 구비한 단선 검출부와, 상기 위치 검출부의 안테나 배선과 상기 송수신부의 안테나 배선과 상기 단선 검출배선을 묶어 형성된 집선 케이블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집선 케이블의 절단시에 상기 단선 검출배선이 절단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 단선 검출부로부터 송신되는 단선 검출신호에 따라 상기 건설기계의 엔진시동을 금지 또는 유압계통을 차단한다.
상기 엔진시동의 금지는, 상기 건설기계의 통전계통 또는 연료공급계통을 차단함으로써 행하여진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내지 제 4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
건설기계의 관리는 그 소유자가 직접 행하는 경우도 있으나, 예를 들면 건설기계 제조회사가 소유하는 관리센터에 위탁하여 집중적으로 관리하는 방식도 널리채용되도록 되어 있다. 또 최근에 있어서는 공사를 행하는 업자는 렌탈회사나 리스회사로부터 건설기계의 대여를 받는 방식이 보급되고 있다. 또한 건설기계의 보수·점검, 필요한 수리 등이라는 메인티넌스는 경험을 쌓은 서비스맨들을 거느리는 건설기계 제조회사 또는 서비스회사가 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건설기계에 관여하는 것은 건설기계를 가동시켜 실제로 공사를 시공하는 업자, 소유자, 관리자, 메인티넌스 등을 행하는 지원자 등이 있다. 건설기계에 도난 등이라는 이상사태가 발생하였을 때에는 해당 건설기계를 관리하는 관리자는 물론, 소유자는 아주 중대한 관심을 가지는 것이고, 또한 메인티넌스 등을 행하는 지원자가 이와 같은 이상사태를 양지하는 것은 사태에 대한 대응을 행하는 데에 있어서 아주 유효하다.
건설기계의 관리를 행하는 관리센터에는 서버를 설치하여 이 서버와 건설기계와의 사이에서 여러가지 정보의 수수를 행도록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한 각 관계자, 즉 건설기계의 소유자나 메인티넌스 등을 행하는 지원자등이 보유하는 통신장치와, 서버와의 사이에서 통신 네트워크망을 구축하도록 한다. 여기서 통신 네트워크망을 구성하는 통신장치로서는 리스회사, 렌탈회사 등의 사무소에 설치된 퍼스널 컴퓨터 등의 단말, 즉 정치식의 통신장치나, 휴대전화를 포함하는 휴대식의 통신장치를 포함하는 것이다. 서버와, 정치식 및 휴대식의 통신장치와의 사이에서 필요한 정보의 전달이 행하여진다.
먼저 서버로부터 모든 통신장치에 소정의 정보를 전달 가능하게 배치하고, 또는 모든 통신장치로부터 서버에 엑세스 가능하게 배치한다. 이 정보로서는 건설기계의 도난정보가 있다. 이 도난정보는 건설기계로부터의 통신에 의하여 이상이발생한 것의 연락을 서버로 받거나, 또는 서버로 검출하나, 이 정보는 각 관계자에게 긴급하게 알릴 필요가 있으므로, 순간에 모든 통신장치에 정보를 흘리도록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건설기계가 도난된 것은 해당 건설기계의 가동영역을 설정하여 두어, GPS에 의하여 이 건설기계의 소재지를 감시하도록 한다. 그리고 건설기계가 설정된 가동영역의 밖으로 나갔을 때에 이 건설기계가 도난되었다고 간주한다. 따라서 건설기계의 가동영역을 설정하는 경우, 이 영역설정은 기본적으로는 관리센터에 있는 서버가 행하도록 한다. 단, 이 외에도 권한이 있는 사람, 예를 들면 건설기계의 소유자들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리스회사나 렌탈회사 등의 사무소에 설치되어 있는 퍼스널 컴퓨터 등의 단말 중, 어느 특정한 기계(권한이 있는 단말) 또는 관리책임자들이 항상 휴대하고 있는 휴대전화가 서버를 거쳐 영역설정을 행한다. 이 경우에 실제로 영역설정이 실행된 것을 건설기계측으로부터 서버에 응답신호로서 송신시킨다. 그리고 권한이 있는 단말로 영역설정이 행하여진 경우에는 서버로부터 이 단말에 응답신호를 전송한다.
도난 이외에 각 관계자에게 긴급하게 알리는 것이 바람직한 정보로서는 건설기계가 고장나거나, 무엇인가의 이유로 작동 불능한 상태에 빠진 경우이다. 따라서 고장 등의 사태가 발생하면 건설기계측으로부터 서버에 통신에 의하여 통지한다. 서버가 이 통지를 받았을 때에는 역시 모든 정치식, 휴대식의 통신장치에 연락을 행한다. 도난정보 또는 도난정보와 사고정보 등이라는 긴급하게 통지할 필요가 있는 정보의 전달은 전자메일로 행한다.
리스회사나 렌탈회사 등에 있어서는, 건설기계의 실제의 가동시간에 관한 정보는 요금청구 등의 관계로 아주 중대하다. 또 서비스회사의 서비스맨 등, 건설기계의 지원을 행하는 사람에게 있어서 상기한 고장정보를 받았을 때, 또는 메인티넌스를 실행할 때 등에 있어서, 건설기계의 가동상황이나 가동이력 등의 정보를 취득할 수 있으면 기계의 점검이나 수리 등을 행하는 데에 있어서 아주 유익하다. 단, 이 종류의 정보는 요구되었을 때에 요구에 따른 정보를 취득할 수 있으면 좋다. 통신 네트워크망을 구성하는 각 통신장치는 그것이 정치식이 것이든, 휴대식이 것이든, 서버에 이들 정보를 요구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요구되는 정보 중, 건설기계의 가동상황, 즉 현재 가동하고 있는지의 여부 및 누적 가동시간에 대해서는 서버로부터 건설기계를 호출하여 이들 정보를 취득한다. 그리고 서버로부터 요구가 있었던 통신장치에 전송한다. 한편 건설기계의 가동이력에 대해서는 방대한 정보가 되기 때문에 건설기계측으로부터 예를 들면 하루에 한번 서버에 정보를 송신한다. 그리고 이 가동 이력정보에 대해서는 서버측에서 여러가지의 가공을 행함으로써 보기 쉬운 상태로 편집하여 홈 페이지에 게재한다. 따라서 각 통신장치로부터 이 홈 페이지를 열람하면 건설기계의 가동이력에 관한 정보를 정리된 형식으로 취득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보안시스템의 전체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시스템은 건설기계(1)와, 건설기계를 관리하는 관리센터(2)와, 건설기계에 구비되어 송수신수단을 포함하는 제어장치(10)와, 관리센터에 비치되는 서버(20)와, 건설기계의 가동정보, 그외 필요한 정보를 축적하는 데이터 베이스(21)와, 건설기계에 구비되는 제어장치(10)와 통신을 하는 통신 유닛(22)과, 인트라넷 및 인터넷(30)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건설기계(1)와 관리센터(2)는 위성통신 또는 휴대통신망 등을 이용하여 송수신이 행하여진다.
또 40, 41, …은 건설기계(1)가 가동되는 가동영역 등의 설정이 가능한 단말 [이하, 단말(40)이라 총칭함], 50, 51, …은 휴대단말[이하, 휴대단말(50)이라 총칭함]이다. 여기서 단말(40)은 건설기계의 소유자, 예를 들면 렌탈회사, 리스회사 등의 사무소에 설치되어 있는 퍼스널 컴퓨터 등으로 이루어지는 정치식의 통신장치이다. 이 단말(40)은 권한이 있는 단말로서 뒤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서버(20)와 함께 건설기계(1)의 가동영역의 설정을 행하는 것이다. 또 단말(40)은 이 건설기계의 지원을 행하는 서비스회사에 설치되어 있는 정치식의 통신장치를 포함한다. 단 서비스회사에 있어서의 정치식의 통신장치는 가동영역을 설정할 수 없도록 제한할 수도 있다. 또 휴대단말(50)은 건설기계(1)의 관계자로서 등록된 휴대전화 등을 포함하는 휴대식의 통신장치이다. 이들 1 또는 복수의 단말(40)과 휴대단말(50)은 서버(20)와 통신 네트워크망이 형성된다. 여기서 통신 네트워크망을 구성하는 휴대단말(50)은 건설기계(1)에 관여하는 특정한 사람, 예를 들면 그 소유자,서비스맨 등의 지원자 등(이하, 관계자라 함)에 의해 휴대되는 것이다. 이들 휴대단말(50) 중, 예를 들면 렌탈회사 또는 리스회사 등에 있어서의 관리자가 소유하는 휴대전화로부터 가동영역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
서버(20)는 데이터 베이스(21) 및 통신유닛(22)에 접속되고, 건설기계(1)가가동되는 가동영역의 설정, 건설기계(1)의 가동정보의 취득, 도난발생시 등에 송신하는 전자메일주소의 설정 그 밖의 처리를 행하여 도난발생 등, 관계자에게 긴급하게 연락할 필요가 있는 사항을 미리 설정된 전자메일주소에 전자메일을 송신한다. 데이터 베이스(21)는 서버(20)에 접속되어 건설기계(1)의 정보나 전자메일을 송신하는 전자메일주소 등을 기억한다. 통신유닛(22)은 서버(20)에 접속되어 건설기계 (1)에 구비되는 제어장치(10)와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한다. 단말(40)은 인트라넷 및 인터넷(30)에 접속되어 건설기계(1)가 가동되는 영역의 설정이나 전자 메일을 송신하는 전자메일주소 등의 설정이 이루어져 있다. 또 단말(40)은 도난이 발생하였을 때에 그 취지의 통지를 전자메일로 수취한다. 휴대단말(50)은 항상 인터넷(30)에 접속 가능하게 되어 있어 도난이 발생하였을 때 등, 긴급하게 통지하지 않으면 안되는 통지를 전자메일로 수취한다. 또 인터넷(30)을 거쳐 서버(20)에 정보의 취득을 요구함으로써 건설기계(1)의 더욱 상세한 가동정보를 입수할 수 있다.
도 2는 건설기계(1)에 구비되는 제어장치(10)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있어서 100은 CPU(101)와, GPS 수신유닛(102)과, 가동영역 기억메모리(103)와, 가동영역 판정부(104)와, 가동상태 메모리(109)와, 타이머(106)와, 송수신유닛 (107)과, 건설기계(1)의 기계번호기억 메모리(108)와 고장부분 검출부(110)에 접속되는 버스이다.
CPU(101)는 버스(100)에 접속되는 중앙연산처리장치이고, GPS수신 유닛 (102), 가동영역기억 메모리(103), 가동영역 판정부(104), 가동상태 메모리(109),타이머(106), 송수신유닛(107), 기계번호기억 메모리(108), 고장부분 검출부(110)의 제어를 행한다. GPS수신 유닛(102)은 버스(100)와 가동영역 판정부(104)에 접속되고, GPS(60)로부터 건설기계(1)의 위치를 수신하여 가동영역 판정부(104)에 건설기계(1)의 위치의 데이터를 보낸다. 가동영역기억 메모리(103)는 버스(100)와 가동영역 판정부(104)에 접속되어 건설기계(1)가 가동하는 가동영역을 미리 기억한다. 가동영역 판정부(104)는 버스(100)와 GPS수신 유닛(102)과 가동영역기억 메모리(103)에 접속되고, GPS수신 유닛(102)으로부터 얻어지는 건설기계(1)의 현재의 위치가 가동영역기억 메모리(103)에 기억된 가동영역으로부터 벗어나 있는지의 여부를 항상 감시한다. 가동상태 메모리(109)는 버스(100)와 입출력장치(105)에 접속되어 건설기계(1)의 가동상태를 기억한다. 타이머(106)는 버스(100)에 접속되어 일시를 유지하고 있다. 송수신유닛(107)은 버스(100)에 접속되어 제어장치(10)와 관리센터 (2)와의 사이의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한다. 기계번호기억 메모리(108)는 버스 (100)에 접속되어 건설기계(1)의 번호를 기억한다. 입출력장치(105)는 가동상태 메모리(109)와 건설기계(1)의 각 부분에 설치한 센서류(S1, S2, S3, …) 등에 접속되어 엔진의 가동시간 및 엔진회전수, 유압펌프나 각 유압 엑츄에이터 등의 구동시간, 각 유압 엑츄에이터의 작동압력 변동 등의 가동상태에 관한 정보나, 연료탱크 및 작동오일탱크의 잔량 등, 건설기계(1)에 관한 여러가지의 정보를 가동상태 메모리(109)에 기록하도록 되어 있다.
이상의 기본구성에 있어서, 건설기계(1)와 서버(20)와의 사이, 서버(20)와 단말(40)과의 사이, 서버(20)와 통신단말(50)과의 사이에서는 여러가지 정보의 전달을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들 각종 정보전달로서는 건설기계(1)의 가동영역설정과, 건설기계(1)의 도난정보, 도난 이외의 사고정보, 건설기계(1)의 가동상황에 관한 정보, 가동이력에 관한 정보 등이다.
건설기계(1)의 가동영역은 건설기계(1)가 도난되었는지의 여부의 판정을 행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것이다. 가동영역의 설정은 서버(20)와 단말(40) 또는 특정한 휴대단말(50)에 의하여 행하여진다. 건설기계(1)는 소정의 작업현장에서 가동하는 것으로, 그 성질상, 장거리의 주행이 행하여지는 일은 없다. 따라서 비교적 좁은 영역을 가동영역으로서 설정할 수 있도록 하여 두어도 좋다. 설정형태는 건설기계 (1)의 현재위치를 기준으로 하는 방법과, 도도부현이나 시읍면 등, 행정구획을 기준으로 하는 방법이 일반적이다.
어느 하나의 방식에 의하여 가동영역의 설정이 행하여지면 단말(40)로부터의 설정인 경우에는 이 정보가 인터넷(30)으로부터 서버(20)에 전송되고, 또 서버(20)측에서 설정한 경우에는 직접적으로 서버(20)로부터 건설기계(1)의 송수신유닛 (107)에 송신되어 가동영역기억 메모리(103)에 기억된다. 이 가동영역설정에 관한 데이터는 아주 중요한 것이므로, 가동영역기억 메모리(103)에 정보가 도입되면 응답신호로서 서버(20)에 송신된다. 또 단말(40)에서 영역이 설정되었을 때에는 서버 (20)로부터 상기 단말(40)에 응답신호가 전송된다.
여기서 건설기계(1)는 상기한 바와 같이 설정된 영역의 밖으로 건설기계(1)가 나간 것을 검출하였을 때에 도난이 있었다고 판단한다. 도난이라고 판단된 경우, 도난정보는 건설기계(1)의 제어장치(10)를 구성하는 송수신유닛(107)으로부터서버(20)에 즉시 송신된다. 이 도난정보는 아주 중요하고 긴급을 가지는 것으로, 단말(40)의 관리자뿐만 아니라, 관계자가 휴대하는 모든 휴대단말(50)에 신속하게 알릴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 도난정보는 긴급정보로서 모든 단말(40) 및 모든 휴대단말(50)에 순간에 그 취지의 전자메일로 송신을 행한다. 또한 특정한 휴대단말 (50)로부터 가동영역이 설정된 경우도 동일하다.
또 건설기계(1)에 고장이 발생하거나, 작동 불능상태가 되거나 한 경우(이하, 고장정보라 함)에는 엔진이 멈춘 경우, 즉 전원이 정지하여 제어장치(10)가 작동하지 않게 된 경우를 제외하고, 도난정보와 마찬가지로 건설기계(1)로부터 서버 (20)에 송신하고, 이 정보도 즉시 모든 단말(40) 및 휴대단말(50)에 전자메일로 송신한다.
또한 건설기계(1)의 가동상황정보에 대해서는 건설기계(1)의 제어장치(10)에 의하여 각종 센서류(S1, S2, …)로부터 입출력장치(105)를 거쳐 가동상태 메모리 (109)에 기록되어 있다. 따라서 어느 하나의 단말(40) 또는 휴대단말(50)로부터 요구가 있었을 때에 서버(20)는 건설기계(1)를 호출하여 요구된 정보를 취득하도록 하고 있다. 여기서 특히 휴대단말(50)로서의 휴대전화의 표시화면이 작은 것 등, 특별한 이유가 있는 경우에는 소정의 한정된 정보만을 인출하도록 하고 있다. 이 가동상황정보로서는, 적어도 건설기계(1)가 현재 가동하고 있는지의 여부와, 당일의 누적 가동시간 등이고, 또 작업현장에 반입되고 나서 현재까지의 누적 가동시간이나, 기타 필요한 정보에만 한정한다.
그리고 건설기계(1)의 가동이력은, 예를 들면 1일의 건설기계(1)의 가동에관한 각종 데이터로서, 이 데이터는 가동상황 메모리(109)에 축적되어 있다. 그리고 그 데이터는 건설기계(1)로부터는 예를 들면 하루에 한 번 서버(20)에 송신된다. 서버(20)로 받은 정보는 이 서버(20)측에서 각종 처리를 행한 다음에 보기 쉬운 리스트형식 등으로 하여 인터넷(30)의 홈 페이지에 게재한다. 따라서 단말(40) 및 휴대단말(50)은 이 홈 페이지를 열음으로써 건설기계(1)의 가동이력에 관한 정보를 취득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먼저 도난정보의 관리에 대한 처리순서를 도 3 및 도 4의 플로우차트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건설기계(1)를 관리하는 관리자 및 건설기계(1)의 소유자 등의 권한이 있는 사람(이하, 가동영역 설정권한자라 함)은 인트라넷 및 인터넷(30)을 거쳐 서버(20)에 접속되는 단말(40, 50) 또는 서버(20)를 사용하여 초기설정을 행한다. 이때 가동영역 설정권한자 이외에 의한 설정을 불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ID와 패스워드를 사용하여 설정에 대한 제한을 설치한다. 가동영역 설정권한자는 최초로 초기설정을 행하는 건설기계의 특정을 행한다(단계 S11). 이것은 건설기계를 관리하는 관리센터가 복수의 건설기계를 관리하고 있는 경우, 초기설정을 행하는 건설기계를 특정하기 위하여 행하여진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건설기계의 특정을 건설기계의 번호로 행하나,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에 대상이 되는 건설기계가 가동되는 가동영역을 설정한다(단계 S12). 이 가동영역의 설정은 공사 등을 시공하는 데에 있어서, 건설기계가 이동할 가능성이 있는 범위를 설정하는 것으로, 건설기계가 설정된 범위를 초과한 경우, 도난이있었다고 인식하여 관리센터의 서버(20)에 통지를 행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이 가동영역은 건설기계(1)의 현재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4점의 좌표로부터 얻어지는 4각형, 중심과 반경으로부터 얻어지는 원형의 영역을 설정하는(도 23참조) 또는 도군이나 시구읍면 등의 행정구획단위 등으로 하여 설정하는 등(도 14참조),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20)의 관리자는 도난이 발생한 경우에 그 취지를 알릴 수신자의 전자메일주소를 설정한다(단계 S13). 이때 단말(40) 또는 특정한 휴대단말(50)뿐만 아니라, 관계자가 소유하는 휴대단말(50), 구체적으로는 관계자의 휴대전화 등의 모든 전자메일주소도 설정한다. 이들 건설기계의 특정, 가동영역의 설정 및 전자메일주소의 설정은 서버(20)에 저장되는 홈 페이지상에서 행하여지고, 등록된 내용은 서버(20)와 접속되는 데이터 베이스(21)에 저장된다(단계 S14). 또한 전자메일주소의 설정은 최초로 설정된 후에는 변경이 있는 경우에, 변경내용만을 설정한다.
다음에 등록된 내용 중, 건설기계의 번호와 설정된 가동영역이 통신유닛(22)으로부터 무선을 거쳐 건설기계(1)에 구비되는 제어장치(10)의 송수신유닛(107)에 송신된다. 송신된 내용은 버스(100)를 거쳐 기계번호기억 메모리(108) 및 가동영역기억 메모리(103)에 저장된다(단계 S16).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건설기계의 번호를 관리센터(2)로부터 무선으로 설정을 행하였으나,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미리 기계번호기억 메모리(108)에 설정되어 있어도 좋다. 이에 의하여 건설기계 (1)에 가동영역을 설정할 수 있게 된다. 이상으로 초기설정은 종료한다.
다음에 도난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실제의 동작에 대하여 도 4의 플로우차트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3의 순서에서 초기설정이 된 후, 항상 건설기계(1)가 실제로 가동영역내에 존재하는지를 판정한다. 즉 제어장치(10)에 설치된 GPS수신 유닛 (102)이 GPS(60)로부터 소정의 타이밍으로 건설기계(1)의 위치를 취득한다(단계 S21). 취득된 위치는 가동영역 판정부(104)에 보내진다. 가동영역 판정부(104)에서는 GPS수신유닛(102)으로부터 보내지는 건설기계(1)의 현재위치와 가동영역기억 메모리(103)에 저장된 가동영역을 비교하여(단계 S228) 건설기계(1)의 현재위치가 가동영역내라고 판단되면 도난은 일어나지 않았으므로 계속해서 건설기계(1)의 위치를 취득한다(단계 S21).
한편, 건설기계(1)의 현재위치가 가동영역의 밖에 있다고 판단되면 도난이 일어났을 가능성이 있다고 하여 CPU(101)에 대하여 관리센터에 통지하도록 인터럽트를 발생시킨다. CPU(101)는 이 인터럽트를 받아 송수신유닛(107)에 건설기계(1)가 설정된 가동영역으로부터 벗어났다는 취지의 통지를 관리센터(2)에 대하여 행하도록 지시를 한다. 송수신유닛(107)은 CPU(101)의 지시에 의하여 관리센터(2)의 서버 (20)에 접속한 통신유닛(22)에 대하여 건설기계(1)가 가동영역으로부터 벗어났다는 취지를 통지한다(단계 S23). 이때 송수신유닛(107)으로부터는 기계번호기억 메모리 (108)에 기억된 건설기계의 번호와, 타이머(106)가 유지하는 일시와, GPS 수신유닛이 수신하고 있던 현재위치가 송신된다. 서버(20)는 건설기계(1)가 가동영역으로부터 벗어났다는 취지의 통지를 받았을 경우, 건설기계(1)가 도난되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한다. 이 때 동시에 보내져 오는 건설기계의 번호를 기초로 데이터 베이스(21)를 검색한다(단계 S24). 데이터 베이스(21)에는 건설기계의번호에 대응한 복수의 전자메일주소가 저장되어 있다. 즉 데이터 베이스(21)를 검색함으로써 이 도난정보를 알릴 필요가 있는 각 단말(40) 및 각 휴대단말(50)의 전자메일주소를 검출한다.
여기서 서버(20)는 인터넷(30)을 거쳐 검색된 복수의 전자메일주소에 대하여 전자메일을 송신한다(단계 S25). 이 전자메일에는 가동영역으로부터 벗어난 건설기계의 번호외에 가동영역으로부터 벗어난 시간과 가동영역으로부터 벗어나기 직전의 위치의 정보가 첨부되어 있다. 이상에 의하여 건설기계(1)의 도난이 일어났을 경우, 모든 관계자가 그것을 즉시 알 수 있다. 이에 의하여 건설기계의 도난에 대하여 신속하게 대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경찰에의 통보, 대체기계의 수배, 작업현장에 나가서 행하는 그 밖의 사후적인 처리 등을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신속한 대응을 할 수 있음으로써 도난된 기계를 되찾을 수 있을 가능성이 높아지고, 또 작업현장에 있어서의 이후의 작업에 지장이 생기는 것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이상의 순서는 건설기계(1)의 도난정보에 대한 것이나, 이 도난정보에 필적하는 긴급정보인 건설기계(1)의 고장정보에 대해서도 동일한 순서로 이 건설기계(1)의 관계자가 보유하는 단말(40) 및 휴대단말(50)에 즉시 통보한다. 건설기계(1)가 가동영역으로부터 벗어난 것에 의한 도난정보는 가동영역으로부터 벗어난 건설기계 (1)의 기계번호와, 가동영역으로부터 벗어난 시간 및 가동영역으로부터 벗어나기 직전의 위치를 통보하면 된다. 한편 건설기계(1)의 고장정보에 대해서는 그것보다 상세한 정보가 필요하게 된다. 즉 적어도 기계의 어느 부분이 고장났는지의 점을 포함하는 정보를 취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건설기계(1)의 제어장치(10)에 고장부분 검출부(110)를 설치하여, 이 고장부분 검출부(110)로부터의 정보, 즉 어느 부분이 고장난 것인지의 정보를 합쳐서 송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고장정보를 수신한 사람이 그것에 대응하기 위하여, 또 렌탈회사, 리스회사 등에서는 항상 건설기계(1)의 가동시간 등을 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단말(40) 또는 휴대단말(50)로부터 건설기계(1)의 가동상황에 관한 정보의 송신을 수시로 요구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이 종류의 정보취득의 순서를 도 5에 나타낸다.
즉, 도 5에 있어서 관리자나 관계자가 건설기계(1)의 가동상태에 대한 정보를 취득하기 위해서는 단말(40) 또는 휴대단말(50)로부터 건설기계(1)의 가동상태를 알고 싶다는 취지의 통지를 서버(20)에 대하여 보낸다(단계 S31). 서버(20)가 이 통지를 수신한 경우(단계 S32), 통신유닛(22)을 거쳐 건설기계(1)에 구비된 제어장치 (10)의 송수신유닛(107)에 대하여 그 취지의 통지를 보낸다(단계 S33). 송수신유닛 (107)은 이 통지를 수신한 경우, CPU(101)에 대하여 인터럽트를 발생시킨다. CPU (101)는 이 인터럽트를 수신한 경우, 가동상태 메모리(109)에 대하여 가동상태의 취득을 지시한다. 가동상태 메모리(109)는 입출력장치(105)로부터 건설기계(1)의 가동상태의 데이터를 취득하고(단계 S34), 송수신유닛(107)에 대하여 건설기계(1)의 가동상태의 데이터를 보낸다. 송수신유닛(107)은 수신한 가동상태의 데이터를 관리센터(2)의 통신유닛(22)에 송신한다(단계 S35). 서버(20)는 통신유닛(22)으로부터 건설기계(1)의 가동상황의 데이터를 수취하여 데이터 베이스(21)에 저장한다(단계 S36). 또 건설기계(1)의 가동상태의 데이터는 요구자 앞으로 전자메일로 송신된다 (단계 S37). 이때 건설기계(1)의 가동상태의 데이터는 요구자뿐만 아니라, 데이터 베이스(21)에 저장되어 있는 전자메일주소의 모두에 송신되어도 좋다.
여기서 건설기계(1)의 가동상황에 관한 정보로서 어떠한 정보를 송신할지에 대해서는 최저한 건설기계(1)가 현재 가동하고 있는지의 여부와, 당일 내지 현장 반입시로부터의 누적 가동시간을 포함하는 것이나, 또한 작동불량부분 등의 정보도 송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동상태 메모리(109)에는 여러가지 데이터가 수록되어 있으므로, 이 가동상태 메모리(109)에 축적되어 있는 모든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단, 전자메일에서는 너무 많은 정보를 송신하는 것은 바람직하지는 않고, 또 휴대단말(50)로서의 휴대전화에서는 정보의 표시영역이 좁기 때문에 요구에 의거하여 취득할 수 있는 정보로서는 가동상태 메모리(109)에 실제로 축적되어 있는 모든 정보일 필요는 없고, 한정된 정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건설기계(1)의 가동에 관한 여러가지 정보를 관계자에게 알릴 수 있게 할 필요는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하루에 한 번이라는 바와 같이 건설기계(1)로부터 가동상태 메모리(109)에 축적되어 있는 모든 데이터를 서버(20)에 정기적으로 송신하도록 설정한다. 그리고 정기송신에 의하여 건설기계(1)로부터 서버(20)로 취득한 여러가지 정보는 서버(20)측에서 데이터처리를 행함으로써 예를 들면 일보형식 등의 정리된 보기 쉬운 건설기계(1)의 가동이력정보로서 서버(20)의 데이터 베이스(21)에 저장하여 둔다. 그리고 서버(20)에 휴대단말용 홈 페이지를 준비하여 두고, 이 홈 페이지에 이들 정보를 게재하도록 설정한다. 이에 의하여 휴대단말(50)로부터 홈 페이지를 열람함으로써 해당 건설기계(1)의 가동상태에 관한 여러가지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따라서 기계의 고장의 수복 등을 행할 때에 이 홈 페이지를 열람함으로써 적절하고 정확한 처치를 행할 수 있게 된다.
제 2 실시형태
도 6 내지 도 9에 의하여 본 발명을 유압셔블의 도난방지시스템에 적용한 경우의 제 2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6은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도난방지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본 시스템에서는 건설기계 제조회사 등에 설치된 기지국(240)으로부터 통신위성(230)을 거쳐 유압셔블(건설기계)(210)에 정보를 송신 가능하다. 송신정보는 유압셔블(210)의 가동가능 시간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정보를 수신한 유압셔블(210)은 그 정보에 의거하여 자신의 도난방지조치를 취한다. 가동가능 시간대에 관한 정보는 유압셔블 (210)을 소유하는 사용자 등의 통신장치(250)로부터의 정보에 의거하는 것이다. 이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각 유압셔블(210)은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주 제어유닛(211)과, 통신용 제어유닛(212)과, GPS 제어유닛(213)을 가진다. GPS 제어유닛(213)은 복수의 GPS 위성(220)(도 6)으로부터의 전파를 수신하여 각 유압셔블(210)의 위치정보를 연산함 과 동시에, 현재시각을 취득한다. 위치정보 및 시각정보는 주 제어유닛(211)에입력된다. 이 중 위치정보는 건설기계의 현재 위치를 기지국(240)에 알리기 위하여 사용되고, 시각정보는 뒤에서 설명하는 도난방지로 사용된다. 통신용 제어유닛 (212)은 기지국(240)으로부터 송신된 가동가능 시간대 정보 등을 수신하여 주 제어유닛(211)에 입력한다.
또 주 제어유닛(211)은 조건에 따라 시동 릴레이(217)의 온·오프를 전환한다. 시동 릴레이(217)는 엔진(214)의 시동모터(215)와 엔진 키 스위치(216)와의 사이에 장착되어, 릴레이(217)가 온일 때에는 키 스위치(216)의 조작에 따라 시동모터 (215)가 구동되어 엔진(214)을 시동한다. 한편 릴레이(217)가 오프일 때에는 키 스위치(216)를 조작하여도 시동모터(215)에 통전되지 않아 엔진(214)은 시동되지 않는다.
기지국(240)에는 센터서버(241)가 설치된다. 센터서버(241)는 정보 송수신 기능을 가지고, 통신 회선망(260) 및 통신위성(230)을 거쳐 유압셔블(210)에 정보를 송신하고, 또한 유압셔블(210)로부터 송신된 정보를 수신한다. 또 통신 회선망 (260)을 거쳐 통신장치(250)와의 사이에서 정보의 송수신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시스템에 의한 유압셔블(210)의 도난방지의 구체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도난방지방법은 유압셔블(210)의 엔진 키 스위치 (216)가 온하였을 때, 그때의 시각이 미리 설정된 가동가능 시간대내인지의 여부를 판별하여, 가동가능 시간대 밖인 경우에 엔진(214)을 시동시키지 않고 유압셔블 (210)의 주행을 금지한다라는 것이다.
상기한 제어를 실현하기 위하여 각 통신장치(250)는 자사가 보유하는 유압셔블(210)의 가동가능 시간대에 관한 정보를 기지국(240)에 송신한다. 예를 들면 통신장치(250)는 단말기(251)를 사용하여 기지국(240)의 웹 사이트에 엑세스하여 필요에 따라 패스워드를 입력함으로써 가동시간대 설정 페이지를 호출하고, 이 페이지에 있어서 작업 개시시각과 작업 종료시각을 입력한다. 이에 의하여 기지국(240)의 센터서버(241)는 통신장치(250)별로 상기 작업 개시시각과 작업 종료시각을 파악하여 이들 시각정보를 유압셔블(210)을 향하여 송신한다.
기지국(240)으로부터 송신된 시각정보는 통신 회선망(260) 및 통신위성(230)을 거쳐 상기 시각설정을 행한 사용자가 소유하는 유압셔블(210)에 보내진다. 유압셔블(210)의 통신용 제어유닛(212)은 보내진 시각정보를 수신하여 주 제어유닛 (211)에 입력한다. 주 제어유닛(211)은 입력된 정보, 즉 작업 개시시각과 작업 종료시각을 해당 유압셔블(210)의 작업 개시시각(Time_Start), 작업 종료시각(Time_ End)으로서 메모리(211A)에 저장한다. 이 경우 예를 들면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Time_Start로부터 Time_End까지의 시간대가 가동가능 시간대로서 설정되고, 그 이외의 시간대가 가동 불가능 시간대로서 설정되게 된다.
여기서 기지국(240)으로부터의 정보를 수신하여 시간대를 설정하는 처리는 유압셔블(210)의 엔진(214)이 정지하고 있을 때에도 행하여진다. 또 일단 설정한 정보를 변경하는 경우에는 다시 기지국(240)의 웹 사이트에 엑세스함으로써 자유롭게 행하여진다.
또한 유압셔블(210)의 가동가능 시간대는 작업현장에 따라 다른 경우가 있으므로 동일한 사용자가 복수의 시각설정을 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센터서버(241)는 각 현장에 위치하는 유압셔블(210)의 각각에 대하여 정확한 시간대 정보가 송신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것은 예를 들면 사용자가 시각설정에 있어서 통신장치(240)에 입력하는 패스워드에 따라 송신지[유압셔블(210)]를 선택함으로써 실현 가능하다.
도 9는 유압셔블(210)의 주 제어유닛(211)에 의한 도난방지처리를 나타내고 있다.
엔진 키 스위치(216)가 온되면 이 프로그램이 기동되어, 먼저 상기한 작업 개시시각(Time_Start)과 작업 종료시각(Time_End)이 이미 메모리(211A)에 저장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101). 기억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릴레이(217)를 온시켜 엔진(214)의 시동을 허가한다(단계 S106). 이 경우 시동 스위치(216)의 온에 따라 엔진(214)이 시동된다.
한편, 작업 개시시각(Time_Start)과 작업 종료시각(Time_End)이 기억되어 있는 경우에는 GPS 제어유닛(213)으로부터 현재 시각(Time_Now)을 판독한다(단계 S10 2). 또 메모리(211A)로부터 작업 개시시각(Time_Start) 및 작업 종료시각(Time_ End)을 판독한다(단계 S103).
단계 S104, S105는 현재 시각(Time_Now)이 유압셔블(210)의 가동가능 시간대내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이다. Time Now ≥Time_Start 또한 Time_Now ≤ Time_End 이면, 현재는 가동가능 시간대내라고 판단하고 릴레이(217)를 온하여 엔진 (214)의 시동을 허가한다(단계 S106).
한편, Time_Now < Time_Start의 경우, 또는 Time_Now > Time_End의 경우에는 현재는 가동가능 시간대밖(가동 불가능 시간대이다)이라고 판단하고, 릴레이(217)를 오프한다(단계 S107). 이 경우 키 스위치(216)가 온되어도 시동모터(215)가 구동되지 않으므로 엔진(214)은 시동하지 않는다. 이어서 가동가능 시간대밖으로 유압셔블 (210)의 엔진시동 조작이 이루어졌기 때문에 유압셔블(210)의 도난의 우려가 있다라는 취지의 정보를 통신용 제어유닛(212)으로부터 기지국(240)을 향하여 송신한다(단계 S108).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사용자가 자사의 유압셔블(210)의 가동가능 시간대에 관한 정보를 통신장치(250)로부터 기지국(240)에 연락하면 기지국(240)이 그 사용자가 보유하는 유압셔블(210)에 대하여 상기 가동가능 시간대에 관한 정보를 송신한다. 유압셔블(210)에서는 엔진 키 스위치(216)가 온되었을 때에 현재 시각[키 스위치(216)가 온된 시각]이 상기 가동가능 시간대내인지의 여부가 판정되고, 가동가능 시간대밖인 경우에는 도난이 우려가 있다라고 판단하여 엔진(214)의 시동을 금지함과 동시에, 그 취지를 기지국(240)에 통지한다. 이에 의하여 유압셔블(210)이 야간이나 이른 아침이라는 작업불가 시간대에 도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방법에서는 조작자는 엔진(214)을 시동시킬 때마다 암호 인증번호를 입력하거나 IC 카드를 삽입하거나 할 필요는 전혀 없어, 단지 키 스위치(216)를 조작할 뿐으로 좋다.
여기서 상기 작업가능 시간대내인지의 여부의 판정 및 그 판정결과에 의한 처리는 어디까지나 키 스위치(216)가 온되었을 때에 행하여지는 것으로, 엔진가동중(주행이 허가되어 있을 때)에 작업가능 시간대를 일탈한 경우(Time_End를 지난 경우)에 릴레이(217)가 오프하는 일은 없다. 따라서 이 경우는 작업시간대를 지나더라도 계속하여 작업이 행하여진다.
상기 도 8의 예에서는 하루 중에 설정 가능한 시간대는 1 뿐이나, 하루에 2 이상의 시간대 설정을 행할 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도 10은 점심휴식을 끼고 2개의 시간대 설정이 가능한 예를 나타낸다. 즉, 야간이나 이른 아침뿐만 아니라 점심휴식에도 작업현장이 무인이 되는 경우가 있으므로, 점심휴식을 작업 불가능 시간대로 하여 도난방지를 도모한다. 또 예를 들면 작업이 쉬는 날에는 종일 가동 불가능 시간대로 설정함으로써 휴일에 있어서의 유압셔블(210)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이상에서는 하루 중의 가동가능 시간대를 설정하는 예를 나타내었으나, 예를 들면 1월 중의 가동가능기간을 설정하도록 하여도 좋다. 즉 사용자는 통신장치 (250)를 사용하여 상기와 마찬가지로 기지국(240)의 웹 사이트에 엑세스하여 가동기간설정 페이지를 표시시킨다. 이 페이지에서는 예를 들면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달력표시가 이루어져, 조작자가 작업 개시일 및 작업 종료일을 클릭함으로써 양 날짜를 센터서버(241)가 인식하고, 이들 날짜를 유압셔블(210)을 향하여 송신한다. 유압셔블(210)은 그 송신정보에 의거하여 자신의 작업 개시일 및 작업 종료일을 설정한다. 이 경우 작업 개시일로부터 작업 종료일까지가 가동 가능기간이 되고, 그 이외가 가동 불가능 기간이 된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엔진 키 스위치(216)가 온되었을 때에 오늘이 상기 가동가능 기간내인지의 여부를 판정하여가동가능 기간이 아닌 경우에는 엔진(214)의 시동을 금지한다. 이 처리는 도 9의 플로우차트를 적절하게 변경할 뿐으로 간단하게 실현된다.
또 가동 가능기간과 가동 가능시간대의 양쪽을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오늘이 가동 가능기간내이더라도 키 스위치(216)를 온한 시각이 가동가능 시간대밖이었을 경우에는 엔진(214)을 시동시키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GPS 위성(220)을 사용하여 현재 시각, 날짜를 취득하도록 하였으나, 유압셔블 자신이 가지는 시계기구 또는 날짜기구로부터 취득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가동가능 시간대 또는 가동 가능기간을 일탈하고 있는 경우에 시동 릴레이(217)를 오프함을써 엔진(214)의 시동을 금지하는 예를 나타내었으나,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평9-50584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파일롯 유압회로를 차단함으로써 유압셔블(210)이 주행할 수 없도록 하여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각 파일롯 유압펌프의 토출회로에 변환밸브(예를 들면 전자밸브)를 설치하여 가동가능 시간대 또는 가동 가능기간을 일탈하고 있는 경우에는 변환밸브를 차단위치에 설정하고, 그 이외의 경우에는 변환밸브를 연통위치로 전환하도록 하면 좋다. 변환밸브가 차단위치에 있을 때에는 각 조작부재를 조작하여도 주행용 유압모터을 비롯하여 각 어태치먼트나 선회용 엑츄에이터가 구동되지 않으므로, 이것에 의해서도 도난방지가 도모된다.
또한 사용자에 의한 상기 시간대 또는 기간의 설정으로부터 유압셔블(210)에 있어서의 시간대(기간) 설정까지가 자동적으로 행하여지도록 구성하여도 좋고, 사용자가 전화나 메일 등으로 기지국(240)에 시간대(기간)를 연락하면, 제조회사측의조작자가 그에 따라 유압셔블(210)에 송신을 행하고, 그것을 받아 유압셔블(210)이 시간대(기간)의 설정을 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는 기지국(240)으로부터 정보를 송신하는 것은 아니고, 유압셔블(210)의 조작자나 기지국(240)의 서비스원이 외부기기(예를 들면 모바일식의 퍼스널 컴퓨터)를 유압셔블(210)의 주 제어유닛(211)에 접속하여 상기 시간대(기간)를 정하는 시각이나 날짜를 입력하도록 하여도 좋다. 외부기기는 휴대전화이어도 좋고, 휴대전화의 조작키를 사용하여 시각이나 날짜를 입력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들 외부기기에 의한 입력은 외부기기에 전용 소프트웨어를 조립함으로써 대응할 수 있다.
또 유압셔블의 도난방지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유압셔블 이외의 건설기계 (예를 들면 크레인)의 도난방지에도 본 발명을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다.
제 3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건설기계의 도난방지방법 및 시스템을 도 12 내지 도 23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는 건설기계로서 유압셔블을 대상으로 적용한 것으로, 도 12는 도난방지시스템의 전체 구성도, 도 13은 유압셔블(301)에 설치되는 제어장치(302)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 도 14는 유압셔블 (301)의 소유자인 사용자(310)에 의한 가동영역설정의 설명도, 도 15는 가동영역설정에 있어서 사용자(310)가 소유하는 단말장치로서의 퍼스널 컴퓨터(310a)에 있어서의 처리의 플로우차트, 도 16은 가동영역설정에 있어서 기지국(306)에서 행하여지는 처리의 플로우차트, 도 17은 가동영역설정에 있어서 유압셔블(301)의 제어장치 (302)에서 행하여지는 처리의 플로우차트, 도 18은 유압셔블(301)의 엔진을 시동시키기 위한 키 스위치를 조작하였을 때에 제어장치에 있어서 실행되는 처리의 플로우차트, 도 19는 유압셔블(301)에 설치되는 제어장치(302)와 엔진 시동회로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가 적용되는 건설기계로서의 유압셔블(301)은 3대의 GPS 위성(304a, 304b, 304c)으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303)와, 이 안테나(303)에 의하여 수신한 신호에 의거하여 현재의 위치를 산출하는 GPS 제어유닛(314)과, 기지국으로서 예를 들면 유압셔블(301)의 제조회사 등의 기지국(306)이 소유하는 서버(307), 또는 유압셔블(301)의 소유자인 사용자(310)의 퍼스널 컴퓨터(310a)와 통신을 행하기 위한 통신용 제어유닛(316)과, GPS 제어유닛 (314)으로부터 산출된 위치정보를 입력함과 동시에 통신용 제어유닛(316)과 신호의 수수에 의거하여 소정의 처리를 실행하는 차량 탑재 제어기(315)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량 탑재 제어기(315)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는 엔진(319)의 시동 릴레이(317)를 전환한다. 시동 릴레이(317)는 엔진(319)의 시동모터(320)와 엔진(319)의 시동용 키 스위치(318)와의 사이에 장착되어 릴레이 (317)가 온인 경우에 키 스위치(318)의 조작에 따라 시동모터(320)가 구동된다. 또한 321은 키 스위치(318)에 접속되는 배터리이다. 또한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압셔블(301) 이외의 유압셔블(301a, 301b, 301c)에 관해서도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외부와의 통신수단으로서 지상파인 휴대 전화용 통신회선을 사용하고 있다. 또 설명의 편의상, 차량 탑재 제어기(315)와 통신용 제어유닛 (316)을 합하여 제어장치(302)라 부른다. 유압셔블(301)과 원격지에 소재하는 기지국(306) 또는 사용자(310)는 휴대 전화용 통신회선을 관리하기 위한 관리국 (305) 및 공중회선, 예를 들면 인터넷(309)을 거쳐 서로 정보의 송수신이 행하여진다. 또한 인터넷(309)을 거쳐 서버(307)와 사용자(310)의 퍼스널 컴퓨터(310a)와의 교신도 행하여진다. 또한 308은 서버(307)에 접속되어 유압셔블(301)로부터 보내지는 정보나 사용자(310)로부터의 정보를 축적하거나, 사용자(310)에 대하여 제공해야 할 정보를 축적하거나 하기 위한 데이터 베이스이다. 또 316a는 휴대 전화용 지상파 신호를 주고 받기 위한 안테나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실시형태에 의한 건설기계의 도난방지방법 및 시스템에서는 사용자(310)가 퍼스널 컴퓨터(310a)에 의하여 유압셔블(301)의 가동 가능한 영역이 설정되면 이 설정된 가동영역이 서버(307), 인터넷(309), 관리국(305)을 거쳐 유압셔블(301)에 송신되어 안테나(316a)로부터 수신되고, 통신용 제어유닛(316)을 거쳐 차량 탑재 제어기(315)내에 설치된 메모리(315b)에 저장된다. 이 일련의 처리에 대하여 도 14 내지 도 17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제일 먼저 사용자(310)는 퍼스널 컴퓨터(310a)에 의하여 서버(307)에 엑세스한다. 이 경우 도 15의 단계 S20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용자(310)의 ID 번호와 패스워드를 입력함으로써 서버(307)에 대하여 엑세스 가능하게 된다. 다음의 단계 S202에서는 가동 가능한 영역을 설정하는 대상이 되는 유압셔블(301)을 특정하기 위하여 대상기의 ID 번호(N)를 입력한다. 단계 S203에서는 서버(307)에 대하여 대상기의 가동영역의 재기록을 요구한다. 서버(307)가 대상기(ID= N)에 대한 가동영역이 재기록 요구를 받으면 도 16의 단계 S20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사용자(310)의] 퍼스널 컴퓨터(310a)에 대하여 지도정보를 송신한다. 퍼스널 컴퓨터(310a)가 서버 (307)로부터 지도정보를 수신하면, 도 15의 단계 S20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지도정보를 판독하고,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퍼스널 컴퓨터(310a)의 CRT 화면상에 판독한 지도정보를 표시한다. 이 도 14에 나타낸 지도정보는 관동지방의 일부를 확대 표시한 것으로, 예를 들면 도도부현별의 구역으로 분할되어 있다. 그리고 단계 S205에 있어서, 분할된 도도부현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가동영역이 자동적으로 설정된다. 종래예에서는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건설기계의 소재위치를 중심으로 반경(R)의 원을 표시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었으나,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동경도를 선택·설정하면 실제의 동경도의 범위보다도 넓은 사각의 커서(311)로 둘러싸인 영역이 설정된다. 즉,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위도(a0 내지 a1) 및 경도(b0 내지 b1)로 둘러 싸이는 영역이 된다. 그리고 단계 S206에서 가동영역을 결정하면 서버(307)에서는 도 16의 단계 S20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설정된 가동영역을 대상기의 ID 번호와 대응지어 데이터 베이스(308)내에 저장한다. 다음에 단계 S20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버 (307)는 이 결정한 가동영역에 관한 정보(aO, bO), (a1, b1)를 대상기[ID = N : 이 경우 유압셔블(301)]에 송신한다.
대상기가 가동영역 재기록 요구를 수신하면, 도 17의 단계 S2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버(307)로부터 수신한 가동영역에 관한 정보(a0,b0), (a1, b1)를 판독하고, 다음의 단계 S211에 의해 차량 탑재 제어기(315)의 메모리(315b)에 저장한다.
다음에 가동영역(a0, b0), (a1, b1)이 설정된 후의 도난방지를 위한 처리에 대하여 도 18, 도 19에 의하여 설명한다.
유압셔블(301)의 엔진(319)을 시동할 때에 유압셔블(301)에 할당되어 있는 식별번호, 예를 들면 암호 인증번호가 입력된다. 그리고 엔진(319)의 키 스위치 (318)가 조작되었을 때에 도 18의 단계 S2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암호 인증번호가 미리 할당된 암호 인증번호와 일치하는지의 여부가 판단되어 일치한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다음의 단계 S213로 이행한다. 단계 S213에서는 GPS 제어유닛(314)으로부터 유압셔블(301)의 현재의 위치정보를 판독한다. 다음의 단계(S214)에서는 GPS 제어유닛(314)으로부터 판독한 위치정보와 메모리(315b)에 저장되어 있는 가동영역정보를 판독하여, 위치정보(a, b)가 가동영역(aO, bO), (a1, b1)의 범위내에 있는지의 여부를 비교한다. 비교한 결과, 유압셔블(301)이 가동영역내에 존재한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다음의 단계 S215로 이행하여 엔진시동 허가신호가 차량 탑재 제어기(315)로부터 시동 릴레이(317)에 출력된다. 한편 단계 S212에서 암호 인증번호가 일치하지 않는다고 판단된 경우, 또는 단계 S215에 있어서 유압셔블(301)의 현재위치가 가동영역밖이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단계 S216로 이행하여 엔진(319)의 정지신호가 차량 탑재 제어기(315)로부터 시동 릴레이(317)에 출력된다.
차량 탑재 제어기(315)로부터 출력된 엔진시동 허가신호 또는 엔진정지신호는,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동 릴레이(317)를 전환한다. 이에 의하여 엔진(319)의 시동이 제어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분할한 구역, 예를 들면 도도부현에 대하여 각각 약간 넓은 영역이 설정되어 있다. 이것은 예를 들면 동경도와 사이타마현의 현경계 근방에서 작업이 행하여지는 바와 같은 경우, 너무 빠듯이한 설정을 하여 버리면 유압셔블(301)이 주행에 의하여 가동영역으로부터 나와 버리는 것이 상정되기 때문이다. 또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동경도와 후쿠시마현의 2개소를 가동영역으로서 설정할 수도 있다. 이것은 소정의 기간내에 동경도와 후쿠시마현의 2개소에서 작업이 예정되어 있는 경우, 이동할 때마다 가동영역을 다시 설정하는 데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마련한 것이다. 1개소밖에 설정할 수 없는 경우에는 다음의 작업현장에서의 설정을 하는 것을 잊으면 유압셔블(301)을 동작할 수 없는 등의 지장이 생긴다. 이에 대하여 복수개소를 설정함으로써 이와 같은 불편이 해소된다.
또한 상기한 유압셔블(301)의 통신용 제어유닛(316)을 휴대전화 그 자체를 사용하여도 좋다. 이 경우,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량 탑재 제어기(315)와는 입출력용 인터페이스(322)를 거쳐 접속하여도 좋고, 적외선 신호에 의하여 차량 탑재 제어기(315)와 교신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미리 가동영역을 설정한 휴대용 퍼스널 컴퓨터(323) 등을 유압셔블(301)의 가동현장에 가지고 들어 가, 인터페이스(322)를 거쳐 직접 가동영역에 관한 정보를 메모리(315b)에 기록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유압셔블(301)의 현재위치가 가동영역으로부터 벗어나 있는 경우에 차량 탑재 제어기(315)가 자동적으로 엔진(319)의 정지신호를 시동 릴레이(317)에 출력하도록 하였으나, 가동영역밖에 있는 것을 일단 사용자(310)측에 송신하고, 사용자(310)측에서 엔진(319)의 시동을 금지할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그 결과를 차량 탑재 제어기(315)에 송신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이 경우에도 유압셔블(301)이 가동영역내인지의 여부의 판단은 유압셔블(301)측에서 행하는 것에 상위는 없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거하는 제 3 실시형태에 의하면, 사용자 (31O)에 의하여 미리 설정된 가동영역(aO, bO), (a1, b1)과 현재위치(a, b)와의 비교 및 이 비교결과에 의거하는 가동의 가부의 판단 등을 모두 유압셔블(301)에 설치한 차량 탑재 제어유닛(315)으로 행하기 때문에 한 번 메모리(315b)에 가동영역이 설정되면 위치정보에 관하여 엔진(319)의 시동 조작때마다 서버(307) 또는 사용자 (310)에게 송신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유압셔블(301)이 소재하는 현장 주위의 노이즈 등의 환경의 영향을 거의 받는 일이 없고, 또 통신회수가 적어지기 때문에 통신비용을 아주 적게 억제할 수 있다. 또 가동영역의 설정만 행하면 도난방지를 위한 처리를 유압셔블(301)측에서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산악지와 같은 장소에서 작업함에 있어서도 휴대 전화용 지상파를 이용할 수 있다. 이 점도 포함하여 통신위성을 거친 통신보다도 각별하게 통신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또 사용자(310)는 서버(307)에 저장되어 있는 복수의 구역 중으로부터 가동영역을 선택함으로써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이 설정된 가동영역이 서버 (307)를 경유하여 유압셔블(301)에 송신되어 차량 탑재 제어기(315)의 메모리(315b)에 저장되기 때문에, 가동영역을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음과 동시에, 이 설정한 가동영역을 용이하게 유압셔블(301)에 전송할 수 있다.
제 4 실시형태
이하에,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를 도 24 내지 도 32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실시형태에서 설명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본 발명이 이해·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에 지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에 설명되는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내는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한 여러가지 형태로 변경할 수 있다.
도 24는 본 발명에 관한 도난방지방법이 적용되는 건설기계를 포함하는 주변 시스템의 전체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건설기계 및 이 건설기계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본 발명에 관한 도난방지방법이 실현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건설기계로서 유압셔블(401)의 예가 표시되고, 그 시스템을 구성하는 요소로서 유압셔블(401)을 제조·판매하는 제조회사(402), 유압셔블(401)을 사용하는 사용자(403)가 나타나 있다. 이 시스템에서 유압셔블(401)은 통상 작업현장 또는 그 근처에 구비되어 있다. 이 유압셔블(401)에 대하여 제조회사(402)나 사용자(403)는 공간적 또는 지리적으로 떨어진 위치에 존재한다. 또한 건설기계는 유압셔블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의 시스템에 있어서, 유압셔블(401)과 제조회사(402)와 사용자(403) 사이를 접속하기 위하여 IT(정보기술)가 활용되고, 인터넷망(411), 사내 LAN(412), 통신위성(413a)을 사용한 통신회선(413)이 설치되고, 또한 유압셔블(401)의 위치를측정하기 위한 궤도위성(424a, 424b, 424c)을 이용한 GPS 위성시스템(424)이 설치되어 있다. 유압셔블(401)에 있어서는 컴퓨터에 의하여 구성된 제어장치(414)와 GPS용 안테나(423a)를 포함하는 GPS 장치(423)와 통신용 안테나(415)를 포함하는 통신장치 (442)가 구비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구성에서는 도 25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통신장치(442)를 제어장치(414) 중에 포함시키고 있다. 제조회사(402)에 있어서는 기지국(416)이 설치되고, 이 기지국(416)에는 관리서버(또는 센터서버)(417)와 데이터 베이스(418)가 배치되어 있다. 작업현장에 배치된 유압셔블(401)의 제어장치(414)와 제조회사 (402)의 기지국(416) 사이는 서비스 담당자가 사용하는 노트북 퍼스널 컴퓨터(419)를 사용하여 사내 LAN(412)을 경유하여, 또는 통신위성(413a)을 사용하여 통신회선 (413)을 경유하여 정기적 또는 부정기적으로 필요한 정보(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할 수 있도록 접속되어 있다.
유압셔블(401)에서 발생한 가동정보나 위치정보 등의 정보는 모두 기지국 (416)의 관리서버(417)에 송신되고, 여기서 처리, 기억된다. 유압셔블(401)로부터 송신되어 온 정보에 대하여 관리서버(417)는 필요에 따라 지령이나 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송신한다. 유압셔블(401)에 관한 작동상태, 설정상태, 위치정보 등의 데이터는 데이터 베이스(418)에 기억되어 관리된다.
제조회사(402)에 있어서는 사내 LAN(412)을 거쳐 지점(420)과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지점(420)에 있어서의 영업 담당자 또는 서비스 담당자(420a)는 그곳에 배치되는 입력단말(420b)을 사용하여 관리서버(417) 및 데이터 베이스(418)에엑세스할 수 있어, 고장진단이나 품질보증정보에 대하여 업무상 필요한 데이터를 검색하고, 인출하여 활용할 수 있다. 또 제조회사(402)에는 사내 LAN(412)에 접속된 사외용 서버(421)가 설치되어 있다. 이 사외용 서버(421)를 이용하여 인터넷망(411)을 경유하여 사용자(403)에 대하여 필요한 정보를 게시하고, 유압셔블의 활용방법 및 메인티넌스에 관하여 여러가지의 제안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기지국(416)의 관리서버(417)는 별도로 설치된 테스트 데이터(수리점검정보나 부품교환정보)를 저장하는 컴퓨터(422)에 접속되어 있다. 컴퓨터(422)에 저장되는 데이터도 적절하게 관리서버(417)에 다운로드되어 그 데이터 베이스(418)에 기억된다.
또 유압셔블(401)은 GPS 장치(423)를 구비하고 있다. 이 GPS 장치(423)는 위치측정장치로서, GPS 위성 시스템(424) 중 적어도 3개의 궤도위성(424a, 424b, 424c)으로부터 주어지는 신호를 수신하여 그 신호를 이용하여 유압셔블(401)의 현재위치를 측정한다. 이 현재위치의 측정은 필요하게 되는 적절한 시간간격으로 행하여진다.
GPS 장치(423)에 의거하여 설정된 시간간격으로 측정된 유압셔블(401)의 현재위치 데이터는, 제어장치(414)에 전송되어 측정일시 데이터와 함께 제어장치 (414)에 내장된 메모리에 저장된다. 제어장치(414)는 다시 현재위치와 측정일시의 데이터를 제어장치(414)의 데이터처리기능·통신기능 및 통신회선(413)을 이용하여 기지국(4160의 관리서버(417)에 대하여 설정된 송신 타이밍으로 송신한다.
도 25에 상기 유압셔블(401)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유압셔블(401)은 유압모터에 의하여 주행하는 하부 주행체(431)와, 엔진과 유압펌프와 유압배관과 전원 배터리와 운전실(433) 등이 설치되어 있는 상부 선회체(432)와, 부움(434)과 아암(435)과 버킷(436)으로 이루어지는 프론트 기구부(437)를 구비하고 있다. 버킷 (436)은 작업 실시기구부이며, 사용자에게 있어서 작업에 따라 자유롭게 교환·변경되는 부분이다. 이 유압셔블(401)에서는 예를 들면 운전실(433)의 부분에 상기 제어장치(414) 및 통신용 안테나(415)와 GPS 장치(423) 및 GPS용 안테나 (423a)를 구비하고 있다. 제어장치(414)는 주 제어기(441)와 통신장치(442)로 구성되어 있다. GPS장치(423)는 주 제어기(441)에 접속되어 있다.
GPS장치(423)와 통신장치(442)는 동작정지 제어부(425)에 접속되어 있다. 동작정지 제어부(425)는 GPS장치(423) 또는 통신장치(442)로부터 신호를 받으면 통전계통 또는 연료공급계통 또는 유압계통을 차단하여, 유압셔블(401)의 동작을 정지시킨다.
또한 도 24 및 도 25에 나타낸 유압셔블(401)은 관리서버(417)에 의거하는 관리하에서 실제로는 다수의 작업현장의 각각에 구비되어 다수대 존재하고 있다. 다수대의 유압셔블(401)은 기본적으로 상기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
도 26은 다수의 작업현장의 각각에 구비된 유압셔블(401)과 기지국(416)의 관계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각 유압셔블(401)은 주 제어기(441)와 통신장치(442) 및 통신용 안테나(415)로 이루어지는 제어장치(414)와, GPS장치 및 GPS용 안테나와, 동작정지 제어부(425)를 구비하고 있다. 도면 중 1개를 제외하는 다른 파선블록으로 나타낸 각 유압셔블(401)에 있어서 GPS 장치등이 생략되어 그려져 있으나, 각 유압셔블(401)도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것이다.
기지국(416)에는 통신장치(316a)와 관리서버(417)와 데이터 베이스(DB)(418)가 구비된다. 주 제어기(441)에는 필요에 따라 필요한 정보(변경 또는 교환내용)을 주기 위한 텐키(443)가 적절하게 접속된다. 도 26에 있어서 표시된 다수의 유압셔블(401)의 제어장치(414) 각각과 기지국(416)의 관리서버(417)와의 사이에서는 통신위성(413a)에 의하여 형성된 통신회선(413)을 이용하여 통신장치(442)를 거쳐 정보의 송수신이 행하여진다.
또 주 제어기(441)에는 GPS장치(423)가 접속된다. GPS장치(423)는 GPS용 안테나(423a)를 거쳐 적어도 3개의 궤도위성(424a, 424b, 424c)으로부터 주어지는 신호를 수신한다. 또한 GPS장치(423)와 통신장치(442)는 동작정지 제어부(425)에 접속된다.
다음에 도 27을 참조하여 주 제어기(441)와 GPS장치(423)와 통신장치(442)의 내부구성 및 이들의 주변부분의 구성을 설명한다.
주 제어기(441)는 CPU(중앙처리유닛)(4401), 메모리(4402), 입력 인터페이스 (4403), 출력 인터페이스(4404), 입출력 인터페이스(4405)를 구비하고 있다. 메모리(4402)에는 각종 작업동작을 위한 복수의 제어 프로그램(4406)과, 작업동작의 제어에 필요한 데이터(작업영역, 제어 파라미터, 정수 등)(4407)가 기억되어 있다.
입력 인터페이스(4403)에는 운전실(433)에 설치된 운전조작반상의 입력부 (444), 유압셔블(401)의 유압계 또는 전기계 등의 각부에 설치된 복수의 센서(445)로부터 출력되는 신호가 입력된다. 상기 입력부(444)에는 엔진을 온/오프하는 엔진 키의 온/오프입력이 포함된다. 또 입력 인터페이스(4403)는 접속단자(4408)를 가지고, 이 접속단자(4408)에는 텐키(443)가 필요에 따라 자유롭게 접속된다. 또한 입력 인터페이스(4403)에는 GPS장치(423)가 접속된다.
GPS장치(423)는 GPS용 안테나(423a)와 GPS 제어기(4412)와 수신부(4413)와 타이머회로(4414)로 구성된다. 측정된 유압셔블(401)의 현재위치 데이터는 GPS장치 (423)의 수신부(4413), GPS제어기(4412)를 거쳐 입력 인터페이스(4403)에 입력된다. 통상 GPS 위성 시스템(424)의 각 궤도위성(424a, 424b, 424c)으로부터는 세계표준시간에 관한 일시 데이터를 얻을 수 있으므로, 현재위치 데이터와 함께 측정일시 데이터도 입력 인터페이스(4403)를 거쳐 CPU(4401)에 주어진다. CPU(4401)는 GPS 장치(423)로부터 주어진 현재위치 데이터와 측정일시 데이터를 메모리(4402)의 데이터(4407) 부분에 저장한다.
출력 인터페이스(4404)에는 구동·제어계(446)가 접속된다. CPU(4401)는 구동·제어계(446)에 대하여 그 동작을 지시하는 지령값 또는 설정값을 부여한다. 이들 지령값 또는 설정값에 의거하여 구동·제어계(446)의 동작이 제어되고, 프론트 기구부(437)의 끝 부분에 설치된 버킷(436) 등의 상기 작업실시 기구부에 작업을 위하여 필요한 동작을 행하게 한다. 작업실시 기구부로서는 버킷 외에 브레이커, 폭이 넓은 버킷 등이 있다. 작업실시 기구부는 필요하게 되는 작업에 따라 프론트 기구부(437)에 대하여 자유롭게 설치 ·분리되어 어태치먼트부품으로서 사용된다.
또 출력 인터페이스(4404)에는 동작정지 제어부(425)가 접속된다. CPU(4401)가 메모리(4402)의 데이터(4407)부분에 저장된 작업영역과 상기 GPS 장치 (423)에 의하여 측정된 현재위치를 비교하여 유압셔블(401)이 작업영역밖에 있다고 판단한 경우에, 출력 인터페이스(4404)를 거쳐 동작정지 제어부(425)에 동작정지신호를 송신한다.
입출력 인터페이스(4405)에는 통신장치(442)가 접속된다. 통신장치(442)는 통신용 안테나(415)와 통신제어기(4409)와 송수신부(4410)와 타이머회로(4411)로 구성된다. 유압셔블(401)의 기동시, 즉 입력부(444)에 엔진키 온이 입력되었을 때에 통신장치(442)를 거쳐 기지국(416)에 정보의 송신이 행하여진다. 이 송신되는 정보에는 메모리(4402)의 데이터(4407)에 저장된 위치 데이터 및 측정일시 데이터를 포함하는 위치정보나 가동정보 등이 포함된다.
또한 메모리(4402)에 기억되는 제어프로그램(4406)의 예로서는 유압셔블 (401)의 기종에 따라, 예를 들면 간섭방지제어를 위한 프로그램, 영역제한 제어를 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건설기계의 자세제어를 위한 프로그램, 유압펌프의 동작특성(펌프 최대 유량)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 등이 있다. 이들 프로그램은 유압셔블(401)에 구비되는 프론트 기구부(437), 작업실시 기구부에 따라 그 내용이 일부다르다. 또 메모리(4402)에 기억되는 데이터(4407)의 예로서는 프론트 기구부 (437)의 각종 치수, 간섭방지영역, 또는 제어게인, 펌프 최대 경전각, 엔진회전수 등의 파라미터 등이 있다.
GPS 장치(423)와 통신장치(442)는 동작정지 제어부(425)에 접속된다. GPS 장치(423)는 입력부(444)에 엔진키 온이 입력되었을 때에 GPS 제어기(4412)를 기동시켜 GPS 안테나(423a)를 거쳐 수신부(4413)에서 궤도위성(424a, 424b, 424c)으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한다. 동시에 타이머회로(4414)가 계시(計時)를 개시한다. 타이머회로(4414)는 엔진키 온으로부터 수신부(4413)에서의 신호의 수신까지의 수신 불능시간을 계시한다. 이 수신 불능시간이 미리 정해진 기준시간을 초과한 것을 조건으로 GPS제어기(4412)로부터 동작정지 제어부(425)에 수신 불능신호가 출력된다.
통신장치(442)는 입력부(444)에 엔진키 온신호가 입력되었을 때에 통신 제어기(4409)를 기동시켜 위치 데이터 및 측정일시 데이터를 포함하는 위치정보와 가동정보 등을 메모리(401)로부터 호출한다. 이 위치정보와 가동정보는 송수신부 (4410)를 거쳐 기지국(416)에 송신된다. 이 송신시에 타이머회로(4411)가 계시를 개시한다. 기지국(416)의 관리서버(417)는 유압셔블(401)로부터 송신되어 온 정보에 대하여 해당 유압셔블(401)에 지령 등의 정보를 송신한다. 타이머회로 (4411)는 관리서버(417)로부터 보내져 오는 정보를 수취하기까지의 수신 불능시간을 계시한다. 이 계시한 수신 불능시간이 미리 정해진 기준시간을 초과한 것을 조건으로 통신 제어기(4409)로부터 동작정지 제어부(425)에 수신 불능신호가 출력된다.
동작정지 제어부(425)는 GPS장치(423) 또는 통신장치(442)로부터 수신 불능신호를 받으면 통전계통(426) 또는 연료공급계통(427) 또는 유압계통(428)을 차단하여 유압셔블(401)의 동작을 정지시킨다.
다음에 도 28 및 도 29를 참조로 하여, GPS장치(423)와 통신장치(442)에 의한 신호수신 불능상태의 검지와 유압셔블(401)의 동작정지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28은 GPS장치(423)의 신호수신 불능상태에 의하여 유압셔블(401)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입력부(444)에 포함되는 엔진키가 온, 또는 도둑에 의해 배선이 직결되어 전원 온상태가 되면(단계 S311), 타미어회로(4414)에 의하여 계시가 개시된다(단계 S312). GPS장치(423)에 의한 수신 불능상태가 계속되어 계시한 수신 불능시간이 기준시간에 도달하면(단계 S313), 수신 불능신호가 동작정지 제어부(425)에 대하여 출력된다(단계 S314). 동작정지 제어부(425)는 수신 불능신호를 수취하면 통전계통 (426), 연료공급계통(427), 유압계통(428)을 차단하여, 유압셔블(401)을 동작 불가능한 상태로 한다(단계 S315). 또한 수신 불능상태의 계속시간이 기준시간에 도달하기 전에 수신 가능한 상태가 된 경우에는 통상대로 시동한다(단계 S316).
도 29는 통신장치(442)의 신호수신 불능상태에 의하여 유압셔블(401)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입력부(444)에 포함되는 엔진키가 온, 또는 도둑에 의하여 배선이 직결되어 전원 온상태가 되면(단계 S321), 통신장치(442)의 통신 제어기(4409)가 기동하여 위치정보와 가동정보를 송수신부(4410)를 거쳐 기지국(416)에 송신한다(단계 S322). 송신과 동시에 타이머회로(4411)가 계시를 개시한다(단계 S323). 상기한 바와 같이 기지국(416)의 관리서버(417)는 유압셔블(401)로부터의 가동정보 등의 정보를 수신하면, 그 유압셔블(401)에 지령 등의 정보를 회신한다. 타이머회로 (4411)는 관리서버(417)로부터의 정보의 회신을 수신할 때까지 계시한다. 계시한 수신 불능시간이 기준시간에 도달하면(단계 S324), 수신 불능신호가 동작정지 제어부(425)에 대하여 출력된다(단계 S325). 동작정지 제어부(425)는 수신 불능신호를 수취하면 통전계통(426), 연료공급계통(427), 유압계통(428)을 차단하여 유압셔블 (401)을 동작 불가능한 상태로 한다(단계 S326). 또한 수신 불능상태의 계속시간이 기준시간에 도달하기 전에 관리서버(417)로부터의 정보의 회신을 수신한 경우에는 통상대로 시동한다(단계 S327). GPS장치(423)는 유압셔블(401)이 가동하고 있을 때에 한하지 않고, 비가동시이더라도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즉, 작업종료후에 유압셔블 (401)의 엔진키를 오프로 한 후, 정기적 또는 부정기로 GPS장치(423)를 일정기간 동작상태(웨이크업상태)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경우 유압셔블 (401)의 위치를 측위하기 위하여 GPS용 안테나(423a)가 정상인 것을 확인하고, 다시 유압셔블(401)이 소정의 영역내에 있음을 판단할 필요가 있다. 즉 GPS용 안테나(423a)가 정상인 것은, GPS용 안테나가 도둑에 의하여 파괴·절단되어 있지 않음을 의미하고, 유압셔블(401)이 소정의 영역내에 있는 것은 도둑에 의하여 유압 셔블(401)의 전원을 온으로 하지 않고서 트레일러 등에 실어 소정영역밖으로 가지고 달아나고 있지 않음을 의미한다.
도 30은 상기한 상황을 감안하여 행하여지는 제어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GPS장치(423)의 GPS제어기(4412)에 의하여 측위상태인지 미측위상태인지가 판단된다(단계 S331). 미측위상태라고 판단되면 타이머회로(4414)에 의하여 계시가 개시된다(단계 S332). 즉, 타이머회로(4414)에 의하여 미측위상태가 감시된다. 계시된 미측위 감시시간이 미리 설정된 감시시간 최대치를 초과하면(단계 S333), 엔진시동금지·유압계통 차단이 행하여진다(단계 S334).
한편 계시된 미측위 감시시간이 감시시간 최대치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에는 단계 S331로 되돌아가, 측위상태라고 판단되어, 상기 미측위 감시시간이 삭제된다(단계 S335). GPS장치(423)가 측위상태에 있기 때문에, 다시 측위된 현재위치가 소정의 작업영역내에 있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단계 S336). 측위된 유압셔블(401)의 현재위치가 소정의 작업영역밖인 경우에는 엔진기동·유압조작금지 제어가 행하여진다(단계 S334).
상기한 바와 같이 유압셔블(401)의 시동시에 GPS 장치(423) 또는 통신장치 (442)가 수신상태인지의 여부를 수신 불능상태의 계속시간에 의하여 판단하는 것이나, 유압셔블(401)의 가동시 또는 비가동시에 GPS장치(423)에 의하여 수신상태인지의 여부를 미측위상태의 감시시간에 의하여 판단하여, 측위상태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다시 측위된 위치가 작업영역내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유압셔블(401)의 동작을 정지하는 것은 도난방지에 있어서 유용하다.
그러나 신호수신 불능상태가 GPS장치(423)나 통신장치(442)의 안테나 배선의 절단·파괴에 의한 것이라고도 생각할 수 있다. 즉 도둑에 의하여 GPS장치(423)나 통신장치(442)의 안테나 배선이 물리적으로 절단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한 바와 같이 수신 불능상태의 계속시간을 측정하지 않고 안테나 배선의 절단·파괴의 검지후 즉시 건설기계의 동작을 정지시킬 것이 요망된다.
여기서 이하에 본 발명에 관한 도난방지방법의 다른 실시형태로서, GPS 장치 (423) 및 통신장치(442)의 안테나 배선과 단선검출 배선(429)을 묶어 형된 집선 케이블(450)이 절단된 경우의 도난방지방법을 제안한다.
도 31은 유압셔블(401)의 제어장치(414)와 GPS 장치(423)와 단선 검출부 (430) 및 이들 주변부분의 구성도이다. 제어장치(414)는 주 제어기(441)와 통신장치(442)를 구비한다. GPS 장치(423)와 통신장치(442)는 주 제어기(441)에 접속된다. GPS장치(423)의 GPS용 안테나(423a)의 배선과 통신장치(442)의 통신용 안테나 (415)의 배선과 단선검출 배선(429)을 묶어 집선 케이블(450)을 형성한다. 단선검출 배선(429)의 끝부에는 단선 검출부(430)가 설치되어 단선을 검출하면, 동작정지 제어부(425)에 단선 검출신호를 출력한다. 도시된 비단선상태에서는 단선검출 배선(429)에 의하여 단선 검출부(430)에는 접지전위 레벨이 입력되어 있으나, 단선상태가 발생하면 소정의 고전압이 단선 검출부(430)의 입력부에 인가된다. 이에 의하여 단선이 검출된다. 단선 검출신호는 GPS용 안테나(423a) 및 통신용 안테나 (415)의 배선을 절단할 목적으로 집선 케이블이 절단되었을 때, 단선검출 배선이 동시에 절단됨으로써 단선 검출부(430)로부터 출력된다.
도 32는 단선 검출부(430)의 단선검출에 따라 유압셔블(401)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입력부(444)에 포함되는 엔진키가 온, 또는 도둑에 의하여 배선이 직결되어 전원온상태가 되면(단계 S341), 집선 케이블이 단선되어 있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단계 S342). 집선 케이블의 단선이 단선 검출부(430)에 의하여 검출되면 단선 검출신호가 출력된다(단계 S343). 동작정지 제어부(425)는 단선 검출신호를 수취하면 통전계통, 연료공급계통, 유압계통을 차단하여 유압셔블(401)을 동작 불가능한 상태로 한다(단계 S344). 또한 집선 케이블의 단선이 단선 검출부(430)에 의하여검출되지 않을 경우에는 통상대로 시동한다(단계 S345). 상기한 실시형태의 설명에서는 신호수신 불능상태의 검출은 예를 들면 도 2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신장치(442)의 통신 제어기(4409)나 GPS장치(423)의 GPS제어기(4412)로 검출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주 제어기(441)의 CPU(4401)에서 신호수신 불능상태인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동작정지 제어부(425)에 동작정지의 제어지령을 내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상세하게 또 특정한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여러가지 변경이나 수정을 가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있어서 분명하다.
본 출원은 2001년 4월 25일 출원의 일본국 특허출원(특원 2001-127125), 2001년 5월 1일 출원의 일본국 특허출원(특원2001-134289), 2001년 7월 23일 출원의 일본국 특허출원(특원2001-221517) 및 2001년 7월 26일 출원의 일본국 특허출원 (특원2001-225260)에 의거하는 것으로, 그 내용은 여기에 참조로서 도입된다.
이상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건설기계의 도난 등, 긴급하게 대응이 필요한 사태가 발생한 경우에도 신속하게 대응 가능한 건설기계의 관리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32)

  1. 제 1 정보를 송신하는 데이터 송수신부와;
    수신정보를 기억하는 기억부와;
    건설기계의 가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건설기계와;
    상기 건설기계의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에서 상기 제 1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건설기계에 제 2 정보를 송신하여 상기 건설기계를 관리하는 기지국과;
    통신 네트워크를 거쳐 상기 기지국과 접속되고, 상기 기지국을 거쳐 상기 건설기계에 대하여 제 3 정보를 송신 가능한 통신장치로 이루어지는 건설기계의 보안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건설기계의 가동정보에 관한 것이고, 상기 통신장치는 상기 기지국에 대하여 상기 제 1 정보의 취득을 요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보안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장치는 1 또는 복수의 정치식 및 휴대식의 통신장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보안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과 상기 통신장치와의 사이의 통신 네트워크는 인터넷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보안시스템.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정치식 통신장치는 상기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 가능한 퍼스널 컴퓨터를 포함하는 단말이고, 상기 휴대식의 통신장치는 휴대전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보안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건설기계의 도난에 관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보안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보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전자메일에 의하여 상기 통신장치에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보안시스템.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부는 가동 가능한 가동영역을 기억하고, 상기 건설기계가 상기 가동영역밖으로 이동한 것을 검출하였을 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건설기계가 도난되었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보안시스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정보는 상기 가동영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건설기계가 상기 가동영역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였을 때에 상기 기억부에 새로운 가동영역으로서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보안시스템.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장치는 기지국에 상기 제 3 정보를 송신함으로써 기지국이 상기 건설기계에 상기 제 2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보안시스템.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건설기계는 상기 가동영역이 설정되었을 때, 가동영역의 설정의 완료를 나타내는 응답신호를 상기 기지국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보안시스템.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건설기계의 고장/사고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보안시스템.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건설기계가 현재 가동중인지의 여부에 관한 정보와, 누적 가동시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장치는 상기 건설기계로부터 상기 제 1 정보를 취득하도록 상기 기지국에 요구하고, 상기 기지국은 상기 통신장치로부터 상기 제 3 정보를 수신한 시점에서 상기 건설기계로부터 상기 제 1 정보를 취득하 도록 상기 제 2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보안시스템.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건설기계로부터 상기 기지국에 상기 건설기계의 가동에 관한 정보를 가동 이력정보로서 정기적으로 송신하고, 상기 건설기계의 상기 가동정보는 인터넷을 거쳐 상기 통신장치로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보안시스템.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제 2 정보는 상기 건설기계의 가동가능 시간대 또는 가동가능 기간에 관한 것이고, 상기 건설기계의 기억부는 상기 제 2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건설기계의 가동가능 시간대 또는 가동가능 기간을 기억하고, 상기 건설기계의 제어부는 상기 기억된 가동가능 시간대 또는 가동가능 기간밖에서는 상기 건설기계의 가동을 금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보안시스템.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제 3 정보는 상기 기지국에 상기 가동가능 시간대 또는 가동가능 기간에 관한 것이고, 상기 기지국은 상기 송신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 3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제 2 정보를 상기 건설기계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보안시스템.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은 적어도 주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보안시스템.
  18.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건설기계는 해당 건설기계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가 상기 건설기계에 대하여 소정의 조작이 행하여졌을 때에 상기 기억부에 저장된 상기 가동영역을 판독함과 동시에, 상기 위치 검출부로부터 건설기계의 현재의 위치정보를 입력하여 상기 가동영역과 상기 건설기계의 위치정보를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보안시스템.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건설기계가 상기 가동영역밖에 있다고 판단한 경우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건설기계의 가동을 금지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보안시스템.
  20.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건설기계가 상기 가동영역밖에 있다고 판단한 경우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결과를 상기 기지국측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보안시스템.
  21.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장치가 휴대형 통신단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보안시스템.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형 통신단말이 휴대전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보안시스템.
  23.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지도정보를 구비하고, 상기 기지국 또는 상기 통신장치는 상기 지도정보를 판독하여 이 판독한 지도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가동영역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보안시스템.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지도정보는 복수의 구역별로 분할되고, 상기 기지국 또는 상기 통신장치가 상기 분할된 구역 중으로부터 가동영역을 선택하여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보안시스템.
  25.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가능한 영역으로서 복수개 영역을 설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보안시스템.
  26.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조작이 상기 건설기계에 설치되는 원동기의 시동조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보안시스템.
  2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건설기계는 상기 건설기계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건설기계의 상기 제어부에서 외부로부터의 정보에 관한 신호를 수신할 수 없는 상태가 발생하고, 또한 신호수신 불능상태의 계속시간이 기준시간을 초과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건설기계의 엔진시동을 금지 또는 유압계통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보안시스템.
  28.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검출부에 의한 위치에 관한 신호를 수신할 수 없는 상태가 발생하고, 또한 신호수신 불능상태의 계속시간이 기준시간을 초과한 경우, 상기 건설기계의 엔진시동을 금지 또는 유압계통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보안시스템.
  29.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센터서버로부터의 정보에 관한 신호를 수신할 수 없는 상태가 발생하고, 또한 신호수신 불능상태의 계속시간이 기준시간을 초과한 경우, 상기 건설기계의 엔진시동을 금지 또는 유압계통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보안시스템.
  3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건설기계는 단선검출 배선을 구비한 단선 검출부와, 상기 위치 검출부의 안테나 배선과 상기 송수신부의 안테나 배선과 상기 단선검출 배선을 묶어 형성된 집선 케이블을 구비하고,
    상기 집선 케이블의 절단시에 상기 단선검출 배선이 절단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 단선 검출부로부터 송신되는 단선 검출신호에 따라 상기 건설기계의 엔진시동을 금지 또는 유압계통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보안시스템.
  31.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시동의 금지는 상기 건설기계의 통전계통 또는 연료공급계통을 차단함으로써 행하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보안시스템.
  32.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시동의 금지는 상기 건설기계의 통전계통 또는 연료공급계통을 차단함으로써 행하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보안시스템.
KR1020027017642A 2001-04-25 2002-04-17 건설기계의 보안시스템 KR2004000239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127125A JP2002322680A (ja) 2001-04-25 2001-04-25 建設機械の盗難防止方法,システムおよび装置
JPJP-P-2001-00127125 2001-04-25
JP2001134289A JP2002327466A (ja) 2001-05-01 2001-05-01 建設機械の盗難防止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JP-P-2001-00134289 2001-05-01
JPJP-P-2001-00221517 2001-07-23
JP2001221517A JP4433128B2 (ja) 2001-07-23 2001-07-23 建設機械の管理システム
JP2001225260A JP4190169B2 (ja) 2001-07-26 2001-07-26 建設機械の盗難防止方法
JPJP-P-2001-00225260 2001-07-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2396A true KR20040002396A (ko) 2004-01-07

Family

ID=27482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7642A KR20040002396A (ko) 2001-04-25 2002-04-17 건설기계의 보안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002465B2 (ko)
EP (1) EP1384826A1 (ko)
KR (1) KR20040002396A (ko)
CN (2) CN101672050B (ko)
WO (1) WO200208847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1137A (ko) * 2017-02-06 2018-08-16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건설 기계의 제어 방법, 이를 수행하는 원격 제어 시스템, 건설 기계, 및 원격 제어 서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265111T3 (es) * 2002-03-29 2007-02-01 Ecolab, Inc. Procedimiento y aparato para generar informes automaticos desde trampas para animales dañinos y para registrar datos adicionales de parametros de las trampas.
JP2004125580A (ja) * 2002-10-02 2004-04-22 Hitachi Constr Mach Co Ltd 作業機械の位置計測システム
JP2006184986A (ja) * 2004-12-27 2006-07-13 Hitachi Ltd 端末機器及びその管理方法
JP4783643B2 (ja) * 2006-02-06 2011-09-28 株式会社小松製作所 移動体監視装置および移動体監視システム
US7677452B2 (en) * 2006-06-30 2010-03-16 Caterpillar Inc.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signatures for machines
US7690565B2 (en) * 2006-06-30 2010-04-06 Caterpillar Inc. Method and system for inspecting machines
US7819312B2 (en) * 2006-06-30 2010-10-26 Caterpillar Inc Method and system for operating machines
DE102007014114A1 (de) * 2007-03-23 2008-09-25 Liebherr-Werk Ehingen Gmbh Fahrzeugkran
US8065428B2 (en) * 2007-03-30 2011-11-22 Lenovo (Singapore) Pte. Ltd. Computer patch management in “road warrior” contexts
JP4701210B2 (ja) * 2007-06-15 2011-06-15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 記録媒体の欠陥を検出する記憶装置、欠陥検出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7825798B2 (en) * 2008-06-26 2010-11-02 Torres Juan G Security and tracking system to prevent the unauthorized use or access to a device having hydraulic components
KR20100073209A (ko) * 2008-12-23 2010-07-01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건설장비에 장착된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건설장비 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DE112010001585T5 (de) * 2009-04-08 2012-10-11 Komatsu Ltd. Beweglicher Körper und System zum Verwaltenvon Inventarinformationen des beweglichen Körpers
GB201013130D0 (en) * 2009-09-24 2010-09-22 Barloworld Handling Ltd Energy management system
WO2011037554A2 (en) * 2009-09-24 2011-03-31 Gilleland David S Authorisation and monitoring system
JP6306293B2 (ja) * 2013-06-26 2018-04-04 株式会社タダノ 作業車両の盗難防止装置
CN103437396B (zh) * 2013-08-14 2015-08-26 上海华兴数字科技有限公司 一种工程机械锁机系统及包括该系统的工程机械
CN103448672A (zh) * 2013-08-23 2013-12-18 浙江吉利汽车研究院有限公司 防盗追踪系统及方法
WO2015032999A1 (es) * 2013-09-06 2015-03-12 Permanyer Griño Connexions, S.L.U. Equipo electrónico de medición de calidad de la transmisión de señales eléctricas
JP6270518B2 (ja) * 2014-02-05 2018-01-31 日立建機株式会社 作業車両の管制システム
EP2957158B1 (de) * 2014-06-18 2017-10-18 Deere & Company Anordnung zur kontrolle einer geräteschnittstelle eines landwirtschaftlichen arbeitsfahrzeugs
WO2017057275A1 (ja) * 2015-09-29 2017-04-06 株式会社クボタ 作業機の管理システム
CN105332399B (zh) * 2015-10-23 2017-12-01 徐州徐工挖掘机械有限公司 一种基于权限机制的挖掘机控制装置及控制方法
FR3049565A1 (fr) * 2016-04-04 2017-10-06 Jacques Cerdan Pedalier de cycle a plateau flottant auto -positionne
JP7005419B2 (ja) * 2018-04-20 2022-01-2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状態識別装置、状態識別方法、及び機械装置
JP7415480B2 (ja) 2019-11-25 2024-01-17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作業支援サーバおよび作業支援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72088A (ja) * 1983-03-18 1984-09-28 株式会社小松製作所 建設機械管理方法および装置
JPH08301072A (ja) 1995-05-12 1996-11-19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の盗難防止装置
JP3483701B2 (ja) 1995-05-26 2004-01-06 日立建機株式会社 油圧機械の盗難防止装置
JPH10308983A (ja) * 1997-05-02 1998-11-17 Nippon Joho Tsushin Consulting Kk 遠隔制御方法及び方式
JP3600451B2 (ja) * 1998-08-12 2004-12-15 アルパイン株式会社 セキュリティ・緊急通信サービス連携システム
JP2000073411A (ja) 1998-08-31 2000-03-07 Yutani Heavy Ind Ltd 建設機械の盗難防止装置及び盗難防止システム
EP0989525A3 (en) * 1998-08-31 2001-09-19 Kabushiki Kaisha Kobe Seiko Sho Management system for construction machines
DE19914829A1 (de) * 1999-04-01 2001-01-11 Siemens Ag System und Verfahren zur insbesondere graphischen Überwachung und/oder Fernsteuerung von stationären und/oder mobilen Vorrichtungen
JP2000344054A (ja) * 1999-06-08 2000-12-12 Car Mate Mfg Co Ltd 車両用盗難防止装置
JP3655506B2 (ja) * 1999-09-28 2005-06-02 日立建機株式会社 移動作業機械の管理システム
US6204772B1 (en) * 1999-12-16 2001-03-20 Caterpilla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the position of a machine
US6408952B1 (en) * 1999-12-17 2002-06-25 Vermeer Manufacturing Company Remote lock-out system and method for a horizontal direction drilling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1137A (ko) * 2017-02-06 2018-08-16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건설 기계의 제어 방법, 이를 수행하는 원격 제어 시스템, 건설 기계, 및 원격 제어 서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2088478A1 (fr) 2002-11-07
EP1384826A1 (en) 2004-01-28
CN1277026C (zh) 2006-09-27
CN101672050A (zh) 2010-03-17
CN1463317A (zh) 2003-12-24
US7002465B2 (en) 2006-02-21
CN101672050B (zh) 2012-03-21
US20040004540A1 (en) 2004-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002396A (ko) 건설기계의 보안시스템
JP3948286B2 (ja) 建設機械の管理システム及び管理方法
EP1178458B1 (en) Device for presenting information to mobile
US7183666B2 (en) Movable body start-up locking device
US620477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the position of a machine
US7468659B2 (en) Method of configuring a tracking device
JP3788910B2 (ja) 移動体の通信装置
KR20060090769A (ko) 건설기계의 위치확인방법과 위치표시시스템 및 건설기계
JP4712237B2 (ja) 移動体の始動ロック装置
JP4433128B2 (ja) 建設機械の管理システム
JP3791461B2 (ja) 建設機械の管理システム及び管理方法
JP4198177B2 (ja) 建設機械の通信装置
JP4593029B2 (ja) 移動体の通信装置
JP4481533B2 (ja) 移動体の始動ロック装置
CN100588782C (zh) 用于建筑机器的安全系统
JP4190169B2 (ja) 建設機械の盗難防止方法
JP4540265B2 (ja) 建設機械の制御装置および建設機械の管理装置
JP4694059B2 (ja) 移動体の通信装置
AU2003252940B2 (en) Device for presenting information to mobile
CA2398582A1 (en) A system and method for asset tracking
JP2007262883A (ja) 建設機械の通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61120

Effective date: 20080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