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9073Y1 - 무진동 보차도용 콘크리트 고압블록 - Google Patents

무진동 보차도용 콘크리트 고압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9073Y1
KR200389073Y1 KR20050010073U KR20050010073U KR200389073Y1 KR 200389073 Y1 KR200389073 Y1 KR 200389073Y1 KR 20050010073 U KR20050010073 U KR 20050010073U KR 20050010073 U KR20050010073 U KR 20050010073U KR 200389073 Y1 KR200389073 Y1 KR 2003890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s
vibration
width
joint
adjac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500100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용택
Original Assignee
한용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용택 filed Critical 한용택
Priority to KR200500100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907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90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9073Y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8/00Porous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 ware; Preparation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휠체어, 유모차 또는 자전거 등과 같은 이동수단을 이용하여 인도 주행 시 탑승자가 진동을 느끼지 못하도록 하여 쾌적하고 안정감 있는 주행이 가능한 무진동 보차도용 콘크리트 고압블록에 관한 것이다.
상기 본 고안은 직육면형상의 몸체와, 몸체의 상면에 동일한 폭으로 요부 및 철부가 연속적으로 형성된 줄눈부와, 몸체의 전/후면에는 각각 전/후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블록과 서로 수평레벨을 일치하도록 설정함과 동시에 배수를 위한 전후로 인접한 블록 사이를 각각 상기 줄눈부의 요부 및 철부 폭과 동일하게 설정하기 위해 전후면을 따라 가로방향으로 형성된 제1 연결돌출부 및 제1 연결요홈부와, 몸체의 좌우측면에는 좌우측면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블록 간의 줄눈부가 일치하도록 설정하기 위한 제2 연결돌출부 및 제2 연결요홈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서는 블록의 줄눈부의 폭을 모두 동일한 폭으로 형성하고 서로 인접하는 블록 간 요철의 폭을 모두 동일하게 하여, 시공된 블록 위로 자전거, 휠체어 또는 유모차 주행 시 진동을 억제하여 탑승자로 하여금 진동을 느끼지 못하도록 함에 따라 쾌적한 승차감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진동 보차도용 콘크리트 고압블록{Vibrationless Concrete Block for Pavement}
본 고안은 무진동 보차도용 콘크리트 고압블록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휠체어, 유모차 또는 자전거 등과 같은 이동수단을 이용하여 인도 주행 시 탑승자가 진동을 느끼지 못하도록 하여 쾌적하고 안정감 있는 주행이 가능한 무진동 보차도용 콘크리트 고압블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도 주변에 시공되는 인도는 보행자가 안전하게 보행할 수 있도록 차도와 구분하여 차도에 비하여 단차를 높게 형성하고 평편도를 유지하는 다수의 보도블록을 설치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종래의 보도블록, 특히 콘크리트로 제작된 고압블록(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排水)를 위해 블록 간 설치간격(L1)을 1.5mm로 시공하고, 이와 같은 블록은 탈형을 위해 상면의 네변에 각각 높이(H) 4mm, 폭(W1) 7mm의 테이퍼가 형성며, 블록(1)의 전체 폭(W2)은 대략 150mm이상으로 제작된다.
그런데, 상기 테이퍼 폭을 포함하는 시공된 상태의 다수 블록 간의 폭의 합(W1+L1+W1)이 15.5mm가 되어 블록(1)의 폭이 150mm이상이 되므로 블록을 연속적으로 배치할 경우, 150mm이상의 돌출부와 15.5mm의 요부가 반복적으로 연속 배치된다.
이에 따라, 휠체어, 유모차 또는 자전거 등과 같은 이동수단을 이용하여 자전거 도로 또는 장애인용 도로에 시공된 보도블록 위를 주행할 경우, 시공된 다수 블록의 전체적인 요철 형상이 동일한 폭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서로 다른 폭 즉, 넓고 균일하지 못한 요철부의 간격으로 인하여 상기 이동수단이 블록 위를 주행할 때, 블록의 표면을 통과할 때 나타나는 미세한 진동과 블록 간 연결부에 형성된 요철부에서 발생하는 큰 진동의 낙차가 커지게 되어, 이동수단의 탑승자는 진동을 쉽게 느낄 수 있고 이로 인해 불쾌감을 느끼는 것은 물론, 휠체어 또는 유모차를 밀어주는 사람도 큰 힘을 들여 밀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휠체어, 유모차 또는 자전거 등과 같은 이동수단을 이용하여 인도 주행 시 이동수단에 진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쾌적하고 안정감 있는 주행이 가능한 무진동 보차도용 콘크리트 고압블록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직육면형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면에 동일한 폭으로 요부 및 철부가 연속적으로 형성된 줄눈부와, 상기 몸체의 전/후면에는 각각 전/후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블록과 서로 수평레벨을 일치하도록 설정함과 동시에 배수를 위한 전후로 인접한 블록 사이를 각각 상기 줄눈부의 요부 및 철부 폭과 동일하게 설정하기 위해 전후면을 따라 가로방향으로 형성된 제1 연결돌출부 및 제1 연결요홈부와, 상기 몸체의 좌우측면에는 좌우측면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블록 간의 줄눈부가 일치하도록 설정하기 위한 제2 연결돌출부 및 제2 연결요홈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진동 보차도용 콘크리트 고압블록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줄눈부의 요부 및 철부의 폭은 이동수단 중 휠의 지름이 제일 작은 유모차의 휠 지름을 기준으로 하여 주행 시 탑승자가 진동을 느끼지 못하도록 대략 4mm 내외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블록의 줄눈부의 폭을 모두 동일한 폭으로 형성하고 서로 인접하는 블록 간 요철의 폭을 모두 동일하게 하여, 시공된 블록 위로 자전거, 휠체어 또는 유모차 주행 시 진동을 억제하여 탑승자로 하여금 진동을 느끼지 못하도록 함에 따라 쾌적한 승차감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에 상기한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 2 내지 도 4는 각각 본 고안에 따른 무진동 보차도용 콘크리트 고압블록을 나타내는 사시도, 측면도 및 저면도이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무진동 보차도용 콘크리트 고압블록은 도 2와 같이, 전체적으로 직육면형상의 몸체(10)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몸체(10)의 상면에는 동일한 폭으로 요(凹)부(21) 및 철(凸)부(23)가 연속적으로 형성된 줄눈부(2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3과 같이 상기 줄눈부(20)의 요부(21) 및 철부(23)의 폭(W3, W4)은 이동수단 중 휠의 지름이 제일 작은 유모차의 휠 지름을 기준으로 하여 주행 시 탑승자가 진동을 느끼지 못하도록 대략 4mm 내외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몸체(10)의 전/후면에는 각각 전/후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블록과 서로 수평레벨을 일치시키고 배수(排水)를 위해 전/후면을 따라 가로방향으로 제1 연결돌출부(31) 및 제1 연결요홈부(33)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연결돌출부(31)의 돌출 정도는 인접한 블록의 제1 요홈부(33)에 삽입시켰을 경우, 블록 간의 사이(L2)가 상기 줄눈부(20)의 요부(21) 및 철부(23) 폭과 동일한 폭(4mm)으로 설정하도록 형성한다.
한편, 상기 몸체(10)의 좌우측면에는 도 4와 같이 좌우측면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블록 간의 줄눈부(20)가 일치하도록 설정하기 위한 제2 연결돌출부(41) 및 제2 연결요홈부(4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 즉, 상기 줄눈부(20)의 요철부(21, 23) 폭과 블록 간의 간격(L2)을 모두 동일하게 설정함에 따라 종래의 보도블록에 대비하여 진공가속도 실효치를 1/4로 줄일 수 있고, 컬러 콘크리트포장(특수콘) 또는 아스팔트에 대비하여 1/3로 줄일 수 있으므로 주행 시, 탑승자가 진동을 느끼지 못하도록 쾌적한 주행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줄눈부의 폭을 모두 동일한 폭으로 형성하고 서로 인접하는 블록 간 요철의 폭을 모두 동일하게 하여, 시공되 블록 위로 자전거, 휠체어 또는 유모차 주행 시 발생하는 진동을 억제함에 따라 쾌적한 승차감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보차도용 블록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무진동 보차도용 콘크리트 고압블록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무진동 보차도용 콘크리트 고압블록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무진동 보차도용 콘크리트 고압블록을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0: 몸체 20: 줄눈부
21: 요부 23: 철부
31: 제1 연결돌출부 33: 제1 연결요홈부
41: 제2 연결돌출부 43: 제2 연결요홈부

Claims (2)

  1. 직육면형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면에 동일한 폭으로 요부 및 철부가 연속적으로 형성된 줄눈부와,
    상기 몸체의 전/후면에는 각각 전/후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블록과 서로 수평레벨을 일치하도록 설정함과 동시에 배수를 위한 전후로 인접한 블록 사이를 각각 상기 줄눈부의 요부 및 철부 폭과 동일하게 설정하기 위해 전후면을 따라 가로방향으로 형성된 제1 연결돌출부 및 제1 연결요홈부와,
    상기 몸체의 좌우측면에는 좌우측면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블록 간의 줄눈부가 일치하도록 설정하기 위한 제2 연결돌출부 및 제2 연결요홈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진동 보차도용 콘크리트 고압블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줄눈부의 요부 및 철부의 폭은 4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진동 보차도용 콘크리트 고압블록.
KR20050010073U 2005-04-12 2005-04-12 무진동 보차도용 콘크리트 고압블록 KR2003890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010073U KR200389073Y1 (ko) 2005-04-12 2005-04-12 무진동 보차도용 콘크리트 고압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010073U KR200389073Y1 (ko) 2005-04-12 2005-04-12 무진동 보차도용 콘크리트 고압블록
KR1020050030452A KR20060108309A (ko) 2005-04-12 2005-04-12 무진동 보차도용 콘크리트 고압블록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0452A Division KR20060108309A (ko) 2005-04-12 2005-04-12 무진동 보차도용 콘크리트 고압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9073Y1 true KR200389073Y1 (ko) 2005-07-07

Family

ID=3762812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50010073U KR200389073Y1 (ko) 2005-04-12 2005-04-12 무진동 보차도용 콘크리트 고압블록
KR1020050030452A KR20060108309A (ko) 2005-04-12 2005-04-12 무진동 보차도용 콘크리트 고압블록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0452A KR20060108309A (ko) 2005-04-12 2005-04-12 무진동 보차도용 콘크리트 고압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389073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8045B1 (ko) 2007-05-08 2007-11-20 유흥식 배수 및 통풍기능이 구비된 블록과 그 제조방법 및 그것을이용한 블록다층 포장시공방법
KR100889252B1 (ko) * 2007-04-12 2009-03-19 유흥식 하중분산기능이 구비된 블록
KR100947449B1 (ko) 2008-01-22 2010-03-11 유흥식 다기능 구조블록과 그것을 이용한 도로포장방법
KR20230028603A (ko) * 2021-08-19 2023-03-02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Sol-Gel 코팅 세라믹 타일 모듈 및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6286B1 (ko) * 2014-12-19 2015-06-10 주식회사 더지엘 투수성 및 보수성을 가지는 비소성 보차도용 바닥포장 구조물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9252B1 (ko) * 2007-04-12 2009-03-19 유흥식 하중분산기능이 구비된 블록
KR100778045B1 (ko) 2007-05-08 2007-11-20 유흥식 배수 및 통풍기능이 구비된 블록과 그 제조방법 및 그것을이용한 블록다층 포장시공방법
WO2008136550A1 (en) * 2007-05-08 2008-11-13 Heung Sik Yu Block equipped with drainage and ventilation function, its producing method, and block mult-layer formed from materialization of the blocks
KR100947449B1 (ko) 2008-01-22 2010-03-11 유흥식 다기능 구조블록과 그것을 이용한 도로포장방법
KR20230028603A (ko) * 2021-08-19 2023-03-02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Sol-Gel 코팅 세라믹 타일 모듈 및 제조 방법
KR102512249B1 (ko) * 2021-08-19 2023-03-21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Sol-Gel 코팅 세라믹 타일 모듈 및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8309A (ko) 2006-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89073Y1 (ko) 무진동 보차도용 콘크리트 고압블록
EP1088940B1 (en) Paving block and its laying method
JP4578681B2 (ja) 成形ブロック及び成形ブロック結合
CN102935789A (zh) 越野轮胎胎面花纹结构
JP2005290850A (ja) 舗装用ブロック
JP2003054220A (ja) 空気入りタイヤ
SE0002965L (sv) Anordning för hjulupphängning samt fordon med sådan hjulupphängning
CN201863745U (zh) 汽车用组合脚垫
KR100359348B1 (ko) 자전거
CN106183647A (zh) 冰雪路面轿车轮胎
JP4926224B2 (ja) グレーチングの製造法
KR101130852B1 (ko) 볼록형 버스전용차로
ID21601A (id) Ban lengkungan melintang yang tinggi untuk kendaraan kendaraan beroda dua dan metode untuk pembuatannya
JP3007426U (ja) 舗装ブロック
WO2018096788A1 (ja) 車道境界ブロック及び道路構造
CN110965428A (zh) 一种路缘分界结构及其铺设装置
JP2002004218A (ja) エキスパンションジョイントと橋梁ユニットとを接続する接続体
JP2003336204A (ja) 舗設用ブロック及びその施工方法
JP2019100007A (ja) 逆走防止構造
CN114960319B (zh) 一种用于城市道路交叉口的盲道
JP3053671U (ja) 車止め
JP3158292U (ja) 自転車歩行者道又は自転車歩行者専用道路用境界ブロック
JPH10264611A (ja) 自動二輪車用空気入りタイヤ
JP3108921U (ja) ベビーカー、ベルト式車輪装置。
JP2554552B2 (ja) ゴムクローラ用芯金及びゴムクロー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