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7449B1 - 다기능 구조블록과 그것을 이용한 도로포장방법 - Google Patents

다기능 구조블록과 그것을 이용한 도로포장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7449B1
KR100947449B1 KR1020080006506A KR20080006506A KR100947449B1 KR 100947449 B1 KR100947449 B1 KR 100947449B1 KR 1020080006506 A KR1020080006506 A KR 1020080006506A KR 20080006506 A KR20080006506 A KR 20080006506A KR 100947449 B1 KR100947449 B1 KR 1009474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uneven portion
block
road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65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0636A (ko
Inventor
유흥식
진성균
Original Assignee
유흥식
진성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흥식, 진성균 filed Critical 유흥식
Priority to KR10200800065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7449B1/ko
Publication of KR200900806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06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74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74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06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 E01C23/07Apparatus combining measurement of the surface configuration of paving with application of material in proportion to the measured irregulariti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4Puzzle-like conn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20Drainage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몸체 양측의 각기 대응되는 위치에 특정형상의 결합부를 형성하고 그 몸체의 각 끝단부에 일정형상의 홈을 형성하여 다른 블록과 결합시 V자 홈을 형성하게 하며, 그 하단부 일측이 타원형태가 되도록 블록을 제조시공하므로써, 몸체 양측의 각기 대응되는 위치에 특정형상의 결합부를 형성하고 그 몸체의 각 끝단부에 일정형상의 홈을 형성하여 다른 블록과 결합시 V자 홈을 형성하게 하며, 그 하단부 일측이 타원형태가 되도록 블록을 제조시공하므로써, 포장된 도로의 부등침하시 결합된 블록의 V자홈이나 끝단부의 타원호의 작용으로 그 결합이 더욱더 견고해지고 블록 상단면 중앙 홈부를 블록에 관통된 배기공까지 연결하고 측면상 몸체 길이방향U형 형태 홈부와도 합쳐지게하고 합쳐진 넓은 통합홈부가 블록 하단부까지 연속되게 하므로써 배기공이 막힘없이 반영구적으로 사용될 수 있어 도로지반에서의 배수, 통풍 문제도 크게 개선되는 장점이 있다.
부등침하, V자홈, 타원호부, 도로포장, 이격거리

Description

다기능 구조블록과 그것을 이용한 도로포장방법{Multi-functional structure blocks and roa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blocks}
본 발명은 다기능 구조블록과 그것을 이용한 도로포장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몸체 양측의 각기 대응되는 위치에 특정형상의 결합부를 형성하고 그 몸체의 각 끝단부에 일정형상의 홈을 형성하여 다른 블록과 결합시 V자 홈을 형성하게 하며, 그 하단부 일측이 타원형태가 되도록 블록을 제조시공하므로써, 포장된 도로의 부등침하시 결합된 블록의 V자홈이나 끝단부의 타원호의 작용으로 그 결합이 더욱더 견고해지고 블록 상단면 중앙 홈부와 블록 몸체의 배기공 그리고 몸체길이방향 U형 홈부를 합치고 합쳐진 통합 홈부를 블록 하단부까지 연속되게 하여 배수, 통풍 문제도 반영구적으로 개선되는 다기능 구조블록과 그것을 이용한 도로포장방법에 관한것이다.
일반적으로 생활수준의 향상과 환경에 대한 인식의 변화로 인해 과거와는 달리 건설 구조물에 대한 환경적인 측면과 미적인 측면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뿐만아니라, 최근들어 전세계 국가들에서는 고속도로, 버스전용차로, 자전거 전용도로, 어린이 보호구역 등 보행자 및 운전자의 안전성 확보와 미관을 고려하는 포 장의 시공비율이 높아지고 있다. 그리고, 그러한 포장시공방법들중에는 콘크리트 슬래브 포장, 아스팔트 포장, 블록포장 등이 포함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포장시공방법의 재료가운데는 일례로 시멘트 콘크리트를 사용하고 있는데, 이러한 시멘트 콘크리트는 오늘날 아스팔트콘크리트와 함께 도로 및 기타용도의 포장 재료 뿐만아니라 건축물, 토목구조물등 주재료로써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면, 상기와 같은 종래 도로포장시공방법중 일례를 도 1을 참고로 살펴보면, 먼저, 도로포장이 결정될 경우 지반을 다지고 보조기층을 시공하는 보조기층시공과정(S100)과; 상기 보초기층시공과정(S100)에 의해 시공된 보조기층의 위로 석재, 혹은 콘크리트 블록을 포설하는 포설과정(S200)과; 상기 포설과정(S200)에 의해 포설된 석재사이, 블록 사이를 시멘트나 몰탈로 채워 고정 시켜 보도를 지반을 정지하는 지반정지과정(S300)과; 상기 지반정지과정(S300)에 의해 지반이 정지된 보도위에 모래를 깔고 블록을 포설 한 다음 블록 사이에는 모래를 메우는 블록포설과정(S400)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와 같은 종래 도로포장시공방법을 좀 더 알기쉽게 설명하면, 도로포장이 결정될경우 지반을 다지고 보조기층을 시공한다. 그리고, 상기 시공된 보조기층의 위로 석재, 혹은 콘크리트 블록을 포설한 다음 그 포설된 석재사이, 블록 사이를 시멘트나 몰탈로 채워 고정 시켜 보도를 지반을 정지시킨다. 또한, 상기와 같이 지반이 정지된 보도위에 다시 모래를 깔고 블록을 포설 한 다음 블록 사이에 모래를 메워 차로포장을 완료시킨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 도로포장공사의 다른 실시예로는 도로 공사 구간이 결정될 경우 도로의 지반상태를 조사하고 지반의 등급을 분류하며 지반의 강도에 따라 시공의 방법 포장두께 등을 결정하게 된다. 이때 토층, 토질의 상태, 지하수위, 함수율 등에 따라 연약지반으로 판정된 구간이나 지역에 대해서는 지반을 보강해야 하는데 불량한 토사를 양질의 토사로 대체하는 치환공법, 연약한 지반 위에 성토한 토사의 무게로 침하 시키는 상재하중공법, 연약한 지반을 구축하고 있는 토사내의 흡착수와 간극수, 지하수위를 배수 처리하는 드레인공법, 그리고 말뚝을 박아 마찰력, 지지력을 이용하여 지반을 보강하는 파일공법 중 지반상황에 따라 적용공법의 타당성, 공사비, 공사기간 등을 종합하여 선택 시공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도로포장시공방법은 시멘트 몰탈 시공비가 높고 시공기간이 장기간 소요 되는데다 석재간, 블록간의 줄눈으로 인한 진동과 소음이 크고 승차감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기 때문에 차도포장으로는 소규모로 사용되고 있고 또한, 도 2 및 도 3과 같이 도로가 부등침하될 경우 연약한 지반을 보강하는데 많은 비용과 기간이 소요되기때문에 보강 후 포장공사를 할지라도 침하가 10~20년 후 까지도 장기간에 걸쳐 진행되는 경우가 많아 특히, 부등침하(침하량이 다를 경우)가 발생 시 도로포장이 균열, 변형, 파괴되는 경우가 빈번하였으며, 심한 경우 대형사고가 발생되는 위험이 뒤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상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포장된 도로의 부등침하시 결합된 블록의 V자홈이나 끝단부의 타원호의 작용으로 신축성 있는 포장시설로서 그 결합을 더욱더 견고히 하므로 그에 따라 연약지반, 저지대, 성토지역의 도로포장 모두에 적용할 수 있고, 지반상태가 연약하여 발생되는 부등침하로 인한 포장면의 균열, 변형, 파괴를 방지할 수 있는 다기능 구조블록과 그것을 이용한 도로포장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도로포장의 시공시 미리 장기 부등침하에 따른 예상 이격값을 계산하여 시공하기 때문에 포장후 상당한 시간이 경과하여 도로의 부등침하가 발생되더라도 블록시공시 예측된 블록의 결합에 의해 상쇄되므로 그에 따라 도로포장방법의 효율성도 극대화되며 배기 홈부 면적을 넓게 함으로서 반영구적 배수, 통풍이 가능한 다기능 구조블록과 그것을 이용한 도로포장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위한 본 발명은 블록 일측 몸체의 상부측이 반원형태로 제1 돌기가 돌출되고 그 하부측은 반원형태로 홈이 파인 제1 홈이 형성되는 제1 요철부와;
상기 제1 요철부의 반대편 대응되는 위치로 그 상부측이 반원형태로 홈이 파인 제2 홈을 형성하고 그 하부측은 반원형태로 돌출된 제2 돌기를 형성하는 제2 요 철부와;
상기 제1 요철부와 제2 요철부가 형성되지 않은 다른 다수개 측면 몸체 상부측에 길이방향으로 가로질러 홈이 다수개 형성된 일정 너비를 갖는 길이홈과;
상기 길이홈이 형성된 몸체의 중심부에 길이방향으로 천공되는 깊이홈이 형성되고 이 깊이홈과 일체로 연결되어 물을 배수시키도록 몸체를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는 배기공과;
상기 제1 요철부, 제2 요철부, 길이홈 및 깊이홈이 형성되지 않은 다른 측면 몸체의 하부측이 일정너비와 높이를 갖는 돌출부에 의해 각기 구획되는 상기 길이홈 및 깊이홈을 수용하면서 그 하부가 일정너비로 파혀진 개방영역부와;
상기 제1 요철부와 제2 요철부가 형성된 몸체의 양측면 각 끝단부에 다른 블록과 연결시 일정형상의 홈이 형성되도록 일정 체적으로 비스듬이 홈이 파진 끝단 이음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다기능 구조블록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블록 일측 몸체의 상부측이 반원형태로 제1 돌기가 돌출되고 그 하부측은 반원형태로 홈이 파인 제1 홈이 형성되는 제1 요철부와, 이 제1 요철부의 반대편 대응되는 위치로 그 상부측이 반원형태로 홈이 파인 제2 홈을 형성하고 그 하부측은 반원형태로 돌출된 제2 돌기를 형성하는 제2 요철부와;
상기 제1 요철부와 제2 요철부가 형성되지 않은 몸체의 다른 다수개 측면상에 열십자(+)형상으로 다수개 형성된 일정 너비를 갖는 길이홈과;
상기 제1 요철부와 제2 요철부가 형성되지 않은 다른 양측면상에 몸체를 관 통하도록 형성되는 배기공과;
상기 제1 요철부와 제2 요철부가 형성된 몸체의 양측면 각 끝단부에 다른 블록과 연결시 일정형상의 홈이 형성되도록 일정 체적으로 비스듬이 홈이 파진 끝단 이음부와;
상기 제1 요철부와 제2 요철부가 형성되지 않은 몸체의 다른 일측면 끝단부를 타원호형태로 형성시키는 타원구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다기능 구조블록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은 정지된 지반위에 모래를 설정된 두께로 도포시키는 모래도포과정과;
상기 모래도포과정후에 도포된 모래위에 특정재질의 매트를 덮어쒸우는 매트시공과정과;
상기 매트시공과정후에 시공블럭에 따라 도로 폭에 따른 부등침하량과 V형 이음부 이격을 설정된 계산표에 따라 계산하여 산출하는 도로장기부등침하값 계산과정과;
상기 도로장기부등침하값 계산과정후에 산출된 부등침하량과 V형 이음부 이격값을 적용한 블록을 시공하여 도로를 포장하는 블록시공과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다기능 구조블록을 이용한 도로포장방법을 제공한다.
이상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연약지반, 저지대, 성토지역에 적용할 수 있고 특히, 성토에 필요한 양질의 토사를 구하기가 힘든 지역에서도 도로를 건설하고 포장할 수 있으며, 시공이 용이하고 몰탈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날씨에 큰 영향을 받지 않고, 또한 토공사, 연약지반 보강공사에 소요되는 공사비를 대폭 줄이거나 생략할 수 있으며, 공사기간도 단축 되는 등 경제적 효과는 물론 막힘없는 배수, 통풍 구조로서 도로지반의 문제점이 크게 개선되고 시공된 포장이 파손되는 일이 없기 때문에 산업폐기물을 일체 발생시키지 않아 친환경성도 상당히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블록(1)은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블록(1)의 측면 일측이 예컨대, "S"자 형상을 형성하도록, 반원형태로 제1 돌기(2)가 돌출되고 그 하부측은 대략 반원형태로 홈이 파인 제1 홈(3)이 형성되는 제1 요철부(4)와;
· 상기 제1 요철부(4)의 반대편 대응되는 위치로 예컨대, 역"S"자 형상을 형성하도록, 그 상부측이 반원형태로 홈이 파인 제2 홈(5)을 형성하고 그 하부측은 반원형태로 돌출된 제2 돌기(6)를 형성하는 제2 요철부(7)와;
상기 제1 요철부(4)와 제2 요철부(7)가 형성되지 않은 다른 다수개 측면 몸체 상부측에 길이방향으로 가로질러 예컨대,“U"자 형태의 홈이 다수개 형성된 일정 너비를 갖는 길이홈(8A)과;
상기 길이홈(8A)이 형성된 몸체의 중심부에 길이방향으로 천공되는 깊이홈(12)이 형성되고 이 깊이홈(12)과 일체로 연결되어 물을 배수시키도록 몸체를 길 이방향으로 관통하는 배기공(9)과;
상기 제1 요철부(4), 제2 요철부(7), 길이홈(8A)및 깊이홈(12)이 형성되지 않은 다른 측면 몸체의 하부측이 일정너비와 높이를 갖는 예컨대, 직사각형 돌출부(13)에 의해 각기 구획되는 상기 길이홈(8A) 및 깊이홈(12)을 수용하면서 그 하부가 일정너비로 파혀진 개방영역부(14)와;
상기 제1 요철부(4)와 제2 요철부(7)가 형성된 몸체의 양측면 각 끝단부에 다른 블록과 연결시 일정형상의 홈 예컨대, V자형 홈이 형성되도록 일정체적으로 비스듬이 홈이 파진 끝단 이음부(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블록(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블록(1)의 일측 의 상부측이 예컨대, "S"자 형상을 형성하도록, 반원형태로 제1 돌기(2)가 돌출되고 그 하부측은 반원형태로 홈이 파인 제1 홈(3)이 형성되는 제1 요철부(4)와; 이 제1 요철부(4)의 반대편 대응되는 위치로 예컨대, 역"S"자 형상을 형성하도록, 그 상부측이 반원형태로 홈이 파인 제2 홈(5)을 형성하고 그 하부측은 반원형태로 돌출된 제2 돌기(6)를 형성하는 제2 요철부(7)와;
상기 제1 요철부(4)와 제2 요철부(7)가 형성되지 않은 몸체의 다른 다수개 측면상에 몸체를 가로질러 예컨대,“U"자 형태의 길이 홈이 마치 몸체에 금을 열십자(+)로 그듯이 다수개 형성된 일정 너비를 갖는 길이홈(8B)과;
상기 제1 요철부(6)와 제2 요철부(2)가 형성되지 않은 다른 양측면상에 몸체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배기공(9)과;
상기 제1 요철부(4)와 제2 요철부(7)가 형성된 몸체의 양측면 각 끝단부에 다른 블록과 연결시 일정형상의 홈 예컨대, V자형 홈이 형성되도록 일정체적으로 비스듬이 홈이 파진 끝단 이음부(10)와;
상기 제1 요철부(4)와 제2 요철부(7)가 형성되지 않은 몸체의 다른 일측면 끝단부를 타원호형태로 형성시키는 타원구조부(1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와 같은 본 발명 제1, 2 실시예의 블록(1)의 조립을 간략하게 살펴보면, 하나의 블록(1)의 제1 요철부(4)의 제1 돌기(2)와 제1 홈(3)에 다른 블록(1)의 제2 요철부(7)의 제2 홈(5)과 제2 돌기(6)를 서로 맞결합시키는 방식으로 결합하면서 도로를 포장하면 된다.
이때, 상기와 같이 블록들이 결합될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각 블록의 끝단 이음부(10)들도 서로 맞결합되어 예컨대, 전면에서 볼 때 각 블록의 끝단 이음부(10)들의 결합된 형태가 V자형 홈으로 나타내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제1, 2 실시예의 블록(1)은 철제 형틀을 이용하여 제조되는데, 예컨대, 그 크기는 가로 40~160Cm, 세로 40~160Cm, 높이 8~50Cm의 철제를 구비하고 블록 모형을 제도, 설계하여 금형을 제작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제1, 2 실시예의 블록(1)은 일반 블록재료 예컨대, 콘크리트, 흙, 토질암반층, 인조석, 목재, 폴리에스테르, 폴리머, 세라믹, 고무, 철재, 금속류, 우레폼, 석유화학중합체, 플라스틱와 같은 재료와 동일하며, 그 소요강도에 따라 시멘트 13~19 중량 %, 모래 37~45 중량%, 자갈 또는 석 분 50~64 중량%로 혼합하여 제조된다.
다음에는 상기와 같은 실시예로 구성된 본 발명의 도로포장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도 6에 도시된 바와같이 지반정지과정(S1)으로 진행하여 도로포장을 위해 지반을 정지시킨다. 그리고, 상기 지반정지과정(S1)후에 모래도포과정(S2)으로 진행하여 정지된 지반위에 모래를 설정된 두께로 도포시킨다. 또한, 상기 모래도포과정(S2)후에 매트시공과정(S3)으로 진행하여 도포된 모래위에 특정재질의 매트를 덮어쒸운다. 그리고, 상기 매트시공과정(S3)후에 도로장기부등침하값 계산과정(S4)으로 진행하여 시공블럭에 따라 도로 폭에 따른 부등침하량과 V형 이음부 이격을 설정된 계산표에 따라 계산하여 산출한다. 한편, 상기 도로장기부등침하값 계산과정(S4)후에 산출결과이용 블록시공과정(S5)으로 진행하여 산출된 부등침하량과 V형 이음부 이격값을 적용하여 블록을 시공하여 도로를 포장시킨다.
환언하면, 본 발명 실시예의 블록(1)을 이용하여 도로를 포장할 경우 먼저, 도로포장을 위해 그레이더, 롤러 등의 장비를 이용하여 지반을 정지시킨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지반이 정지되면, 그 정지된 지반위에 모래를 설정된 두께로 도포시킨다. 또한, 상기와 같이 도포된 모래위에 특정재질의 매트 예컨대, PAT MAT를 덮어쒸운다. 그리고, 상기 매트를 시공한 후에 시공블럭에 따라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블록인지 혹은 제2 실시예의 블록인지를 설정하고 그 시공블록에 따라 도로 폭에 따른 부등침하량과 V형 이음부 이격을 설정된 계산표에 따라 계산하여 산출한다.
예를들어, 하기의 표1를 참고로 현재 시공될 도로의 도로종류에 따른 연약지반값을 산출하는 한편, 표 2를 참고로 제1 실시예의 블록과 제2 실시예의 블록의 V형 이음부값과 타원호부의 값을 도로 폭에 따른 부등침하량과 V형 이음부 이격표에 대입하여 계산한 다음 그 산출된 부등침하량과 V형 이음부 이격값을 이용하여 각 블록을 시공하여 도로포장을 완료한다.
Figure 112008005166459-pat00001
Figure 112008005166459-pat00002
7를 참고로 한 도로 폭에 따른 부등침하량과 V형 이음부 이격계산예
Figure 112008005166459-pat00003
Figure 112008005166459-pat00004
Figure 112008005166459-pat00005
도로 폭 20m의 중앙부에서 20cm의 부등침하가 발생할 경우 R가 250m 되는 원호의 일부구간에 해당된다.
R = 250m, Θ = 90 일 때의 외곽 (블록 상단면) 호의 길이는 39,250cm
20cm 블록이 소요되는 개수는 39,250 ÷ 20 = 1,962.5개
r = 20cm 일 때 외곽원호와 내각 (블록하단)
원호와의 길이의 차 D = 31.40Cm
따라서, 이음부 이격값은 31.4cm ÷ 1,962.5개 = 0.016cm (0.16mm)
일례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블록을 사용하여 도로를 포장할 경우 도 8에 도시된 바와같이 이격값을 통해 계산하여 장기 부등침하 예상선을 산출하여 시공하므로 해당 도로가 부등침하되더라도 도 9에 도시된 바와같이 시공된 블록이 미리 예상하여 시공된 장기부등침하 예상선까지 보정해주게 되기 때문에 평탄하고 안정적으로 고정되게된다. 뿐만아니라, 상기 본 발명 제1 실시예의 블록들로 도로를 포장할 경우 블록과 블록이 결합하면, 깊이홈(12)이 형성된 배기공(9)과 그 하부가 일정너비로 파혀진 개방영역부(14)에 의해 폭우가 쏟아져도 이를 신속히 배수시키므로 부등침하가 발생하는 요인을 신속히 제거하게된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블록을 사용하여 도로를 포장할 사용할 경우 도 10에 도시된 바와같이 이격값을 통해 장기 부등침하 예상선을 산출하여 시공하므로 해당 도로가 부등침하되더라도 도 11에 도시된 바와같이 시공된 블록의 끝단이음부(10)와 블록의 하단에 형성된 타원구조부(11)의 작용에 의해 평탄하고 안정적으로 고정되게된다.
다시말해서, 현재 거의 모든 국가에서 연약지반, 성토지역에서의 포장면 부등하침하량의 최대 두께차이를 20Cm로 규정하고 있고 또한 성토한 도로 중심부에서 최대 부등침하량이 발생하기 때문에 상기 표2 참조와 같이 도로 폭에 따라 V형 이음부 이격 거리를 감안하여 도로를 포장할 경우 연약지반에서도 문제가 없음은 물론 부등침하가 발생 되더라도 종래의 도로공법 도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은 균열, 변형, 파괴 현상이 없고 침하 파괴 시 발생되는 단차의 위험도 방지할 수 있음 을 상기 계산예와 같이 공학적 계산으로 증명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연약지반, 저지대, 성토지역의 도로포장 모두에 적용할 수 있으며 지반상태가 연약하여 발생되는 부등침하로 인한 포장면의 균열, 변형, 파괴를 블록구조 자체의 공학적 기능으로 해소할 수 있는 기능성블록 조성물과 그것을 이용하여 지반이 연약한 지역의 도로포장에 적용할 경우 저비용으로 안전한 도로를 건설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도로포장방법의 일례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2는 종래 도로포장방법중의 일례인 아스팔트 포장시 부등침하를 나타내는 단면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3은 종래 도로포장방법중의 일례인 콘크리이트 포장시 부등침하를 나타내는 단면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 다기능성 구조블록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 다기능성 구조블록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의 플로우차트.
도 7은 본 발명의 도로폭에 따른 부등침하량과 V형 이음부의 이격계산의 일례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블록의 시공례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블록시공시 부등침하후에 단면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 블록의 시공례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11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 블록시공시 부등침하후에 단면을 설명하는 설명도.
*** 도면의 중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블록 2 : 제1 돌기
3 : 제1 홈 4 : 제1 요철부
5 : 제2 홈 6 : 제2 돌기
7 : 제2 요철부 8A-B: 길이홈
9 : 배기공 10: 끝단이음부
11: 타원구조부 12: 깊이홈
13: 돌출부 14: 개방영역부

Claims (3)

  1. 블록(1)의 측면 일측에 "S"자 형상을 형성하도록 반원형태인 제1 돌기(2)가 돌출되고, 그 하부측은 대략 반원형태인 홈이 파인 제1 홈(3)이 형성되는 제1 요철부(4)와;
    상기 제1 요철부(4)의 반대편 대응되는 위치에 역"S"자 형상을 형성하도록 그 상부측이 반원형태인 홈이 파인 제2 홈(5)을 형성하고, 그 하부측은 반원형태로 돌출된 제2 돌기(6)를 형성하는 제2 요철부(7)와;
    상기 제1 요철부(4)와 제2 요철부(7)가 형성되지 않은 다른 다수개 측면 몸체 상부측에 길이방향으로 가로질러 "U"자 형태의 홈이 다수개 형성된 일정 너비를 갖는 길이홈(8A)과;
    상기 길이홈(8A)이 형성된 몸체의 중심부에 길이방향으로 천공되는 깊이홈(12)이 형성되고 이 깊이홈(12)과 일체로 연결되어 물을 배수시키도록 몸체를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는 배기공(9)과;
    상기 제1 요철부(4), 제2 요철부(7), 길이홈(8A) 및 깊이홈(12)이 형성되지 않은 다른 측면 몸체의 하부측이 일정너비와 높이를 갖는 직사각형 돌출부(13)에 의해 각기 구획되는 상기 길이홈(8A) 및 깊이홈(12)을 수용하면서 그 하부가 일정너비로 파혀진 개방영역부(14)와;
    상기 제1 요철부(4)와 제2 요철부(7)가 형성된 몸체의 양측면 각 끝단부에 다른 블록과 연결시 일정형상의 홈 예컨대, V자형 홈이 형성되도록 일정체적으로 비스듬이 홈이 파진 끝단 이음부(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구조블록.
  2. 블록 일측 몸체의 상부측이 반원형태로 제1 돌기가 돌출되고 그 하부측은 반 원형태로 홈이 파인 제1 홈이 형성되는 제1 요철부와, 이 제1 요철부의 반대편 대응되는 위치로 그 상부측이 반원형태로 홈이 파인 제2 홈을 형성하고 그 하부측은 반원형태로 돌출된 제2 돌기를 형성하는 제2 요철부와;
    상기 제1 요철부와 제2 요철부가 형성되지 않은 몸체의 다른 다수개 측면상에 열십자(+)형상으로 다수개 형성된 일정 너비를 갖는 길이홈과;
    상기 제1 요철부와 제2 요철부가 형성되지 않은 다른 양측면상에 몸체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배기공과;
    상기 제1 요철부와 제2 요철부가 형성된 몸체의 양측면 각 끝단부에 다른 블록과 연결시 일정형상의 홈이 형성되도록 일정 체적으로 비스듬이 홈이 파진 끝단 이음부와;
    상기 제1 요철부와 제2 요철부가 형성되지 않은 몸체의 다른 일측면 끝단부를 타원호형태로 형성시키는 타원구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구조블록.
  3. 정지된 지반위에 모래를 설정된 두께로 도포시키는 모래도포과정과;
    상기 모래도포과정후에 도포된 모래위에 특정재질의 매트를 덮어쒸우는 매트시공과정과;
    상기 매트시공과정후에 시공블럭에 따라 도로 폭에 따른 부등침하량과 V형 이음부 이격을 설정된 계산표에 따라 계산하여 산출하는 도로장기부등침하값 계산과정과;
    상기 도로장기부등침하값 계산과정후에 산출된 부등침하량과 V형 이음부 이격값을 적용하여 블록을 시공하여 도로를 포장시키는 산출결과이용 블록시공과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구조블록을 이용한 도로포장방법.
KR1020080006506A 2008-01-22 2008-01-22 다기능 구조블록과 그것을 이용한 도로포장방법 KR1009474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6506A KR100947449B1 (ko) 2008-01-22 2008-01-22 다기능 구조블록과 그것을 이용한 도로포장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6506A KR100947449B1 (ko) 2008-01-22 2008-01-22 다기능 구조블록과 그것을 이용한 도로포장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0636A KR20090080636A (ko) 2009-07-27
KR100947449B1 true KR100947449B1 (ko) 2010-03-11

Family

ID=41291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6506A KR100947449B1 (ko) 2008-01-22 2008-01-22 다기능 구조블록과 그것을 이용한 도로포장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744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5049B1 (ko) * 2009-04-16 2009-11-03 유흥식 다층 블록 포장을 이용한 수자원 보존 시스템 및 그 시공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46685A (ja) * 2003-11-17 2005-06-09 Wonder Giken Kk 路床材ブロック
KR200389073Y1 (ko) 2005-04-12 2005-07-07 한용택 무진동 보차도용 콘크리트 고압블록
KR100778045B1 (ko) 2007-05-08 2007-11-20 유흥식 배수 및 통풍기능이 구비된 블록과 그 제조방법 및 그것을이용한 블록다층 포장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46685A (ja) * 2003-11-17 2005-06-09 Wonder Giken Kk 路床材ブロック
KR200389073Y1 (ko) 2005-04-12 2005-07-07 한용택 무진동 보차도용 콘크리트 고압블록
KR100778045B1 (ko) 2007-05-08 2007-11-20 유흥식 배수 및 통풍기능이 구비된 블록과 그 제조방법 및 그것을이용한 블록다층 포장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0636A (ko) 2009-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284011B (zh) 路基施工方法
CN103334357B (zh) 一种高架桥下桩基承台伸入路基的路堤结构及施工方法
CN106192646A (zh) 公路隧道行车减振降噪结构及其施工方法
CN104674627A (zh) 一种预防旧水泥路面加铺沥青反射裂缝的接缝构造方法
CN107938456B (zh) 填河道路施工方法
CN109914173A (zh) 高速公路改扩建工程中泡沫轻质土浇筑台背结构及其施工方法
CN105421571A (zh) 下水井及雨水井施工工艺
CN112080972A (zh) 一种采用灌浆加固路基修复路面的方法
KR100889252B1 (ko) 하중분산기능이 구비된 블록
CN203334154U (zh) 一种高架桥下桩基承台伸入路基的路堤结构
CN212316575U (zh) 一种用于高速公路扩建地基处理结构
CN102644224A (zh) 新型路基边坡护砌方法及所用的预制混凝土块
KR100947449B1 (ko) 다기능 구조블록과 그것을 이용한 도로포장방법
CN1421575A (zh) 一种轻质填土体结构及其施工方法
CN110747733A (zh) 生态型预制装配式防撞墙的施工方法
CN207552833U (zh) 一种高架桥梁基础周边地面道路结构
CN112900181B (zh) 沥青路面薄层加宽的施工方法
CN114687263A (zh) 一种预制装配式路基拼宽结构及施工方法
CN211815250U (zh) 一种道路加宽路基拼接结构
CN111501459B (zh) 山区公路的路基结构及其施工方法
CN214656089U (zh) 一种应用于井工煤矿沉陷区的装配式路面结构
CN211142682U (zh) 防止城市道路路基不均匀沉降结构
JP4680676B2 (ja) 流動化処理土の埋め戻し材及び施工材を使用した立体交差施工方法
CN108118574B (zh) 一种混凝土路面施工工艺
JP2018115475A (ja) 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およびそれを使用した敷設構造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