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0796Y1 - 분리형 구이판 - Google Patents

분리형 구이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0796Y1
KR200370796Y1 KR20-2004-0027276U KR20040027276U KR200370796Y1 KR 200370796 Y1 KR200370796 Y1 KR 200370796Y1 KR 20040027276 U KR20040027276 U KR 20040027276U KR 200370796 Y1 KR200370796 Y1 KR 2003707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grilled
broth
roasting
fir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72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교선
Original Assignee
김교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교선 filed Critical 김교선
Priority to KR20-2004-00272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079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07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079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94Broiling r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분리형 구이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외측은 불고기나 해물구이, 등심구이등 구이요리 조리시 발생하는 육수를 저장하여 야채 등을 익힐 수 있도록 하고 중앙에는 불고기 해물구이 및 등심구이등을 익힐 수 있는 구이판의 중앙부분을 분리 할 수 있어 중앙부가 열로 인하여 탈 경우 중앙부분만 교체하여 조리를 계속할 수 있는 분리형 구이판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본 고안은 중앙으로는 화기공을 형성하고 상기 화기공 테두리에는 육수저장홈을 형성한 테두리부와, 상기 테두리부의 화기공 상측을 덮을 수 있도록 테두리 하측으로 손잡이를 형성한 수용테두리를 형성하고 상측으로는 다수의 홀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분리형 구이판{MEAT ROASTED WITH SEASONINGS PETAL CRISIS STRUCTURE}
본 고안은 분리형 구이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외측은 불고기나 해물구이 및 등심구이의 구이요리 조리시 발생하는 육수를 저장하여 야채등을 익힐 수 있도록 하고 중앙에는 불고기나 해물구이 및 등심구이등을 익힐 수 있는 구이판을 분리 할 수 있어 중앙부가 열로 인하여 탈 경우 중앙부분만 교체하여 조리를 계속할 수 있는 분리형 구이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불고기는 각종의 고기나 야채등과 버무려 있는 것으로 육수와 같이 불고기를 조리하기 때문에 일반적인 석쇠나 고기구이판에서는 조리를 하지 못하고 후라이판에서 조리를 하거나 별도의 불고기판에서 조리를 하였다.
상기와 같은 종래 전형적인 구이판의 일예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에서 부재번호 1은 통공, 2는 구이부, 3은 육수저장부를 각각 가리킨다.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구이판은 중앙으로 일정 높이 돌출되어있으며 다수의 통공(1)이 형성된 구이부(2)를 형성하고 상기 구이부(2)의 외측으로는 구이부(2)보다 낮은 위치에 육수저장부(3)를 형성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이판은 구이부(2)에 구이를 얹어 놓은 후에 불을 가열하여 조리를 하는 것으로 구이에 열이 가해지면 불고기에서 육수가 흘러 나와 육수저장부(3)에 저장이 되었다.
이와같이 육수저장부(3)에 육수가 저장되고 불고기가 익은 후에는 불고기에 육수가 빠져 나가 구이부(2)가 타는 경우가 발생하였으나 상기 구이부(2)와 육수저장부(3)가 일체로 되어있어 육수가 저장된 상태에서는 구이부(2)가 탄 상태로 구이판을 계속 사용할 수 밖에 없었다.
따라서 구이판의 구이부가 탄 상태로 불고기를 조리하기 때문에 다시 조리하는 불고기의 맛이 저하되었으며 구이부에 탄 내용물이 육수저장부(3)로 흘러 들어가 불고기 육수의 맛도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고기의 단백질이 탄 물질을 섭취할 수 밖에 없어 음식물 섭취자의 건강상 나쁜 영향을 끼치기도 하였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외측은 불고기나 해물구이 및 등심구이 조리시 발생하는 육수를 저장하고 중앙에는 불고기나 해물구이 및 등심구이를 익힐 수 있는 구이판의 중앙부분을 분리 할 수 있는 구이판부로 형성하여 상기 구이판부가 열로 인하여 탈 경우 구이판부만 교체하여 조리를 계속할 수 있는 분리형 구이판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중앙으로는 화기공을 형성하고 상기 화기공 테두리에는 육수저장홈을 형성한 테두리부와, 상기 테두리부의 화기공 상측을 덮을 수 있도록 테두리 하측으로 손잡이를 형성한 수용테두리를 형성하고 상측으로는 다수의 홀을 형성한 구이판부로 구성된 분리형 구이판을 제공한다.
도 1은 종래 구이판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분리형 구이판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분리형 구이판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분리형 구이판을 나타낸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테두리부 11 : 화기공
12 : 육수저장공 20 : 구이판부
21 : 수용테두리 22 : 홀
23 : 손잡이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분리형 구이판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분리형 구이판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분리형 구이판을 나타낸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의 분리형 구이판은 조리시 흘러내리는 육수를 고이게 하기 위하여 테두리부(10)를 형성하되 상기 테두리부(10)의 중앙으로는 화기공(11)을 형성하고 상기 화기공(11) 테두리에는 육수저장홈(12)을 형성한다.
이와같이 형성된 상기 테두리부(10)의 화기공(11)을 수용하면서 상기 화기공(11)의 상측테두리를 덮을 수 있도록 구이판부(20)를 형성하되 상기 구이판부는 테두리 하측으로 수용테두리(21)를 형성하고 상측으로는 다수의 홀(22)을 형성한다.
이러한 구이판부(20)는 구이판부(20)의 교체가 용이하도록 상기 구이판부(20)의 수용테두리(21)에 손잡이(23)를 형성하여도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분리형 구이판을 화기에 올려 놓은 후 조리할 불고기나 해물구이 및 등심구이를 구이판부(20)에 올려 놓는다.
상기와 같이 불고기나 해물구이 및 등심구이를 구이판부(20)에 올려 놓으면 음식물이 열을 받아 익으면서 흘러내리는 육수는 테두리부(10)의 육수저장홈(12)으로 흘러내려 끊게 되어 취식자들이 떠먹을 수 있으며 고기는 구이판부(20)에서 열에 의해 익는다.
또한 육수를 테두리부(10)에 넣은 후 샤브샤브와 같은 음식을 만들어 취식하여도 효과적이며 등심을 먹거나 해물구이를 먹으면서 사브사브를 조리하면 구이판부(20)에서 육수가 흘러내려 육수의 맛을 한층 더 높일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은 조리음식에 다라 구이판부(20)를 다양한 형상 및 재질로 만들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구이판부(20)의 표면이 눌거나 타게되면 육수가 저장되는 상기 테두리부(10)는 화기에 올려놓은 상태로 상기 구이판만 교체할 수 있으므로 상기 항상 깨끗한 구이판을 사용하면서 육수 또한 즐길 수 있어 화기에 의해 탄 고기를 먹지 않아 건강을 보호함은 물론 고유의 음식맛도 즐길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테두리부는 불고기나 해물구이 등심구이의 조리시 발생하는 육수를 저장하며 샤브샤브의 음식을 조리할 때에도 테두리부에 육수가 흘러 들어가 육수의 맛을 한층높이며 중앙에는 음식물을 익힐 수 있는 구이판의 중앙부분을 분리 할 수 있는 구이판부로 형성하여 상기 구이판부가 열로 인하여 탈 경우 구이판부만 교체하면서 조리를 계속할 수 있어 음식맛을 유지하며 탄음식을 먹지 않아도 되어 건강을 유지할 수 있어 제품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2)

  1. 중앙으로는화기공(11)을 형성하고 상기화기공(11)테두리에는 육수저장홈(12)을 형성한 테두리부(10)와,
    상기 테두리부(10)의 화기공(11) 상측을 덮을 수 있도록 테두리 하측으로 수용테두리(21)를 형성하고 상측으로는 다수의 홀(22)을 형성한 구이판부(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구이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이판부(20)의 수용테두리(21)에는 손잡이(23)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불고기판.
KR20-2004-0027276U 2004-09-22 2004-09-22 분리형 구이판 KR2003707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7276U KR200370796Y1 (ko) 2004-09-22 2004-09-22 분리형 구이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7276U KR200370796Y1 (ko) 2004-09-22 2004-09-22 분리형 구이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0796Y1 true KR200370796Y1 (ko) 2004-12-18

Family

ID=49443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7276U KR200370796Y1 (ko) 2004-09-22 2004-09-22 분리형 구이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079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99822Y1 (ko) 구이용 불판
KR100813904B1 (ko) 장어로스구이 조리장치
KR20070099729A (ko) 구이와 부(附)요리의 복합 요리가 가능한 구이판
KR200370796Y1 (ko) 분리형 구이판
KR100313190B1 (ko) 구이기의 바닥부구조
KR20190078796A (ko) 직화구이용 불판
KR20040099212A (ko) 구이판을 포함하는 조리테이블
KR100520912B1 (ko) 솥뚜껑 구이 장치
KR200365191Y1 (ko) 3가지 이상의 복합메뉴를 제공하는 로스터
KR200297015Y1 (ko) 닭갈비 구이판
KR200355889Y1 (ko) 고기 구이용 불판
KR200496406Y1 (ko) 스테이크용 플레이트
KR200411800Y1 (ko) 테이블용 요리판 세트
KR200393080Y1 (ko) 고기 구이판
KR200245632Y1 (ko) 불판 겸용 냄비
CN210784024U (zh) 一种烧煮为一体的无烟烧烤盘
CN201205200Y (zh) 一种多功能火锅
JP3205046U (ja) 焼き魚の調理容器
KR200339452Y1 (ko) 대나무 불판
KR100679537B1 (ko) 구이기
KR200324770Y1 (ko) 숯불철판구이용 조리판
KR200274685Y1 (ko) 닭다리 구이기
KR200294394Y1 (ko) 솥뚜껑 구이 장치
KR200339348Y1 (ko) 다목적 조리기구
KR200408124Y1 (ko) 다목적 구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