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2491Y1 - 배지 및 종이받이장치 - Google Patents

배지 및 종이받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2491Y1
KR200362491Y1 KR20-2004-0018549U KR20040018549U KR200362491Y1 KR 200362491 Y1 KR200362491 Y1 KR 200362491Y1 KR 20040018549 U KR20040018549 U KR 20040018549U KR 200362491 Y1 KR200362491 Y1 KR 2003624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discharge
speed
printing
receiv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85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시모토마사야
사토타이치
Original Assignee
듀프로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듀프로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듀프로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24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249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10Sheet holders, retainers, movable guides, or stationary guides
    • B41J13/106Sheet holders, retainers, movable guides, or stationary guides for the sheet output 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Pile Receivers (AREA)
  • Delivering By Means Of Belts And Rollers (AREA)

Abstract

중력을 이용하여 용지를 가지런히 정돈할 수 있고, 인쇄속도에 따라 배출속도를 최적의 속도로 조정함으로써 용지단을 가지런히 정돈하는 작용을 안정시킬 수 있는 배지 및 종이받이장치를 제공한다. 종이받이장치(51)는, 작용면이 배지대 상에 배출되는 용지에 접촉하는 전방정지위치와 작용면이 용지로부터 분리되는 비스듬한 상방의 후방작동위치에 걸쳐 이동가능하게 가동체가 설치되어 있고, 배지기구부(6)는 용지에 배출속도를 전달하는 배지벨트(73)를 가지고, 기계장치본체 내의 처리공정에서의 용지처리 및 운반속도에 상관없이 종이받이장치(51)에 있어서 가동체를 적정동작시키기 위해 필요한 일정속도의 설정배출속도로 용지를 종이받이장치(51)로 배출한다.

Description

배지 및 종이받이장치{PAPER DELIVERING AND RECEVING DEVICE}
본 고안은 배지 및 종이받이장치에 관한 것이고, 프린터, 인쇄기 등의 용지에 소정의 처리를 실시하는 기계장치로부터 배출되는 용지를 받아내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인쇄장치로서는, 예를 들면, 도 11에 도시된 것이 있다. 이는 장치 본체(1)의 내부에, 판동(版胴)(2)의 주위에 제판(製版) 및 급판(給版)기구부(3), 배판기구부(4), 급지기구부(5), 및 배지기구부(6)를 배치하고 있다.
제판 및 급판기구부(3)는 제판하지 않은 원지(8)를 마스터 롤(master roll)(7)로부터 계속 투입하고, 장치 본체(1)의 상부에 배치된 스캐너 기구부(9)에서 판독한 원고(原稿)의 화상데이터에 기초하여 서멀 헤드(thermal head)(10)로 원지(8)에 천공(穿孔)하여 제판하고, 제판한 원지(8)를 판동(2)에 급판한다. 배판기구부(4)는 상하 한 쌍의 드로잉롤러(11, 12)의 사이에 원지(8)를 드로잉 권심(券芯)(13)으로 원지(8)를 권취한다.
급지기구부(5)는 급지 트레이(tray)(14)에 배치된 용지(15)를 급지롤러(16)로 뽑아내고, 타이밍롤러(17) 및 가이드롤러(18)로 원지(8)와 프레스롤러(19)에 끼워지는 위치까지 용지를 송출하고, 판동(2) 및 원지(8)의 회전에 의해 지면에 인쇄한다. 배지기구부(6)는 인쇄된 용지(15)를 종이벗김갈고리(20)에 의해 원지(8)로부터 벗겨서 프린트 트레이(21)의 위에 배출한다.
이 프린트 트레이(21)에 관한 기술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특허공개 평8-259082호 공보에 기재된 것이 있다. 이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것이고, 배지대(30)의 기판(31)에 주벽판(32)이 세워져 있다. 이 주벽판(32)에는 인쇄용지(33)의 진로상에 가로놓여 있는 충돌체(34)를 설치해 두고, 충돌체(34)는 상단부가 주벽판(32)에 고정되고, 하단부가 기판(31)의 개구 내에 헐겁게 끼워져 있다.
충돌체(34)는 인쇄용지(33)의 충돌력에 대응하여 진동함으로써 인쇄용지(33)가 되튀거나 걸리는 것을 수반하지 않고 하방으로 낙하시켜 가지런히 정돈하는 것으로서, 비교적 얇은 인쇄용지(33)가 진동감쇠부재에 충돌한 경우에도 진동하면서 개구 내에서 약간 진동하도록 하는 강성으로 설정되어 있고, 충돌위치에 탄성흡수력을 가지는 진동감쇠부재(35)를 설치하여 충돌음을 저감시키고 있다.
인쇄가 완료된 인쇄용지(33)는 프린터로부터 배출되어 기판(31) 상으로 날려져 선단부가 충돌체(34)의 진동감쇠부재(35)에 충돌한 뒤, 그 진행이 방해되어 기판(31)상에 낙하한다. 이 때, 충돌체(34)가 완전히 진동이 없는 상태이면, 인쇄용지(W)의 선단부가 진동감쇠부재(35) 및 충돌체(34)의 작용면과의 마찰저항에 의해 걸려 원활하게 미끄러져 떨어지지 않고, 허리부분이 약한 인쇄용지(33)는 만곡된 상태로 적재된다.
실제로는 진동감쇠부재(35)가 충동한 인쇄용지(W)의 운동에너지의 대부분을 흡수하고, 진동감쇠부재(35)에 의해 흡수가 중단되지 않았던 인쇄용지(33)의 운동에너지가 충돌체(34)를 진동시켜서, 인쇄용지(33)의 선단과 진동감쇠부재(35) 및 충돌체(34)의 작용면 사이에 근소한 간극을 발생시킨다.
이로 인해, W1∼W6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인쇄용지(33)는 그 선단부가 진동감쇠부재(35) 및 충돌체(34)의 작용면에 어느 정도 접촉하면서 파선과 같이 하강하고, 작용면을 따르도록 낙하하여 인쇄용지(33)의 선단부가 충돌체(34)에 접한 상태에서 가지런히 정돈된다.
또한, 일본특허공개 소63-171764호 공보에 기재된 것이 있다. 이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에 의해 1장씩 운반하는 시트(41)를 시트운반방향의 전방에 설치된 전방스토퍼(42)와 후방에 설치된 후방스토퍼(43)에 의해 형성하는 집적프레임 내에 투입하는 것이다. 전방스토퍼(42)는 스토퍼 플레이트(44)를 구비하고 있고, 이 스토퍼 플레이트(44)는 시트(41)의 운반방향으로 전후이동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코일스프링(45)에 의해 시트운반방향의 후방으로 밀려 완충작용에 의해 시트(41)를 가지런히 정돈하여 집적한다.
또한, 종래의 공판(孔版)인쇄기에 있어서는, 인쇄속도(인쇄드럼의 회전속도)에 연동하여 배지벨트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경우에, 인쇄속도가 빠를 때 종이받이장치에 송출하는 용지의 속도가 지나치게 빨라져 공기저항에 의해 용지가 정상적으로 운반되지 않고, 인쇄속도가 느릴 때 인쇄용지가 종이받이장치의 스토퍼부재까지 도달하기 어려워져 용지단이 가지런히 정돈되지 않기 때문에, 인쇄장치 본체측으로부터 종이받이장치측으로 배출되는 용지의 배출속도를 인쇄속도에 따라 최적의 속도로 가변제어하고 있다.
이 배출속도의 최적의 속도라 함은, 인쇄속도를 제어하지 않고, 인쇄 후의 배출용지를 신속하게 배출하여 다음의 인쇄용지와의 사이에 적당한 용지 사이의 간격을 확보할 수 있는 속도이고, 또한 배출용지가 스토퍼부재에 대해 지나치게 강하게 되돌아오거나, 지나치게 약하게 스토퍼부재에 도달하지 않는 적절한 속도이다.
이러한 제어를 행하는 기술로는, 일본특허공개 평8-67387호 공보에 개시된것이 있다. 이는 인쇄속도가 느릴 때 인쇄드럼의 외주면의 선속도와 배지벨트의 표면의 선속도의 선속도비를 크게 설정하고, 인쇄속도가 빠를 때는 인쇄속도가 느릴 때에 비해 선속도비를 작게 설정하여, 인쇄속도에 따라 배지장치의 벨트 운반속도를 최적의 속도로 조정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일본특허공개 평8-259082호 공보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충돌체(34)가 진동함으로써 인쇄용지(33)의 낙하시 충돌체(34)가 방해물이 되는 것을 피할 수 있지만, 인쇄용지(33)는 자유낙하하기 때문에, 진동하는 충돌체(34)에 접촉한 인쇄용지(33)가 그 바로 아래에 낙하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후방위치 또는 전방위치에 낙하할 우려가 있고, 낙하 도중에 후방으로 이동한 인쇄용지(33)와 충돌체(34)의 접촉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충돌체(34)를 하방측 정도 인쇄용지(33) 측으로 돌출하도록 비스듬한 상방을 향해 배치할 필요가 있고, 적층한 인쇄용지(33)의 앞쪽에 적층면이 비스듬하게 경사지게 되고, 용지의 종류, 특히 되튀기 쉬운 두꺼운 용지 등은 그 되튐을 충분히 흡수하여 멈추지 않고 가지런히 정돈되지 않는 경우도 있었다.
일본특허공개 소63-171764호 공보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코일스프링(45)에 의한 완충작용에 의해 시트(41)가 가지런히 정돈되어 집적되지만, 스토퍼 플레이트(44)의 후퇴시에 코일스프링(45)이 압축되고, 그 탄성복원력에 의해 스토퍼(44)가 복동(復動)하기 때문에, 복동을 위해 코일스프링(45) 등의 기계부품을 필요로 하고, 코일스프링(45)이 압축과 신장을 반복하기 때문에 코일스프링(45)의 기계적인 피로가 문제가 된다.
본 고안은 적층된 용지의 적층면이 지면에 대해 직각이 되도록 용지단을 가지런히 정돈함과 아울러, 코일스프링 등의 기계적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중력을 이용하여 용지를 가지런히 정돈할 수 있고, 인쇄속도에 상관없이 배출속도를 최적의 일정 속도로 조정함으로써 용지단을 가지런히 정돈하는 작용을 안정시킬 수 있는 배지 및 종이받이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구항1에 관한 본 고안의 배지 및 종이받이장치는, 용지에 소정의 처리를 실시하는 기계장치 본체로부터 용지를 배출하는 배지수단과, 배지수단으로부터 배출되는 용지를 적층유지하는 종이받이수단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종이받이수단은, 수평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용지적층용 배지대, 상기 배지대상에 배출되는 용지를 받아내는 스토퍼수단, 및 용지의 후연을 설정위치에 규제하는 규제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스토퍼수단과 상기 규제부재 중 적어도 한 쪽을 용지의 배출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하고, 작용면이 상기 배지대 상에 배출되는 용지에 접촉하는 전방정지위치와 작용면이 용지로부터 분리되는 비스듬한 상방의 후방작동위치에 걸쳐 이동가능하게 가동체를 상기 스토퍼수단에 설치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배지수단은, 용지에 배출속도를 전달하는 롤러 또는 벨트를 가지고, 기계장치 본체 내의 처리공정에서의 용지처리 및 운반속도에 상관없이, 상기 종이받이수단에 있어서 가동체를 적정하게 동작시키는데 필요한 일정속도의 설정배출속도로 용지를 상기 종이받이수단으로 배출하는 것이다.
상기 구성에 의해 규제부재와 스토퍼수단의 거리를 배지대 상에 적층되는 용지의 크기에 따라 조정한다.
기계장치 본체내의 처리공장에서의 용지처리 및 운반속도를 가지는 용지에 대해, 배지수단이 롤러 또는 벨트의 구동에 의해 설정배출속도를 전달받음으로써, 배지대 상에 배출되는 용지는 설정배출속도로 날려져 스토퍼수단의 가동체의 작용면에 충돌하고, 그 운동에너지를 가동체에 전달하여 충돌위치로부터 낙하한다.
용지의 운동에너지를 전달받은 가동체는 중력에 대항하여 비스듬한 상방의 후방작동위치로 후퇴되고, 그 후 중력에 의해 전방정지위치로 복동하고, 배지대 상에 낙하된 용지를 규재부재를 향해 작용면으로 압압하여, 이에따라 규제부재를 기준으로 가지런히 정돈하여 적층한다. 가동체는 용지가 설정배출속도로 날려져 충돌함으로써, 후방작동위치로 후퇴되기 때문에 과부족이 없는 운동에너지를 전달받아 안정적인 동작을 행한다.
청구항2에 관한 본 고안의 배지 및 종이받이장치는 배출수단이 설정배출속도를 용지의 종류에 따라 변경하는 것이다.
상기 구성에 의해, 가동체가 후방작동위치로 후퇴되기 위해 필요한 운동에너지는 일정하다. 그러나, 용지가 설정배출속도로 날려져 충돌함으로써 가동체에 전달되는 운동에너지는 용지의 종류, 즉 용지의 두께(두꺼운 종이, 얇은 종이), 크기, 무게(재질)에 의해 변화한다. 이로 인해, 용지의 종류에 따라 배출수단의 설정배출속도를 변경함으로써 가동체가 후방작동위치로 후퇴되기 위해 필요한 에너지를확실히 전달받을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한 종이받이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동 종이받이장치의 스토퍼 수단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3의 (a), (b), 및 (c)는 종이받이장치의 조거판(jogger, 종이추림판)을 나타내는 정면도, 측면도, 및 배면도;
도 4의 (a), (b), 및 (c)는 종이받이장치의 멈춤가이드를 나타내는 정면도, 측면도, 및 배면도;
도 5의 (a), (b), 및 (c)는 각각 종이받이장치의 스토퍼 수단의 작용을 나타내는 동작설명도;
도 6은 종이받이장치의 스토퍼 수단의 주요부 확대도;
도 7은 배지기구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8은 동 배지기구의 사시도;
도 9는 배지벨트의 모식도;
도 10은 배지기구의 모식도;
도 11은 종래의 인쇄장치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12는 종래의 종이받이장치를 나타내는 모식도; 및
도 13은 종래의 다른 종이받이장치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1: 종이받이장치 52: 배지대
53: 스토퍼수단 54: 가이드 블레이드(guide blade)
55: 잠금장치 56: 조거판
57: 멈춤가이드 58: 작용면
59: 축 60: 지지부재
61: 가이드 홈 62: 돌기부
63: 걸림부 64: 탄성체
65: 용지 71: 롤러
72: 배지벨트 73: 배지벨트모터
74: 체임버 74a: 흡인구멍
75: 흡인구멍 76: 천판(天板)
77: 구동풀리 78: 종동풀리
79: 구동벨트 80: 인코더 센서(encoder sensor)
81: 팬 유닛 82: 점프대
83: 톱 블로우 팬 A: 전방정지위치
B: 후방작동위치
이하, 본 고안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도 5에 있어서, 종이받이장치(51)는 먼저 도 11에서 설명한 인쇄장치 등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프린트 트레이(21)에 상당하는 것이다.
종이받이장치(51)는, 수평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인쇄장치 등으로부터 배출되는 용지(65)(도 5참조)가 적층되는 배지대(52), 배지대(52)에 세워진 스토퍼수단(53), 용지(65)의 폭방향으로 규제하는 가이드 블레이드(54), 및 용지(65)의 후연을 설정위치에 규제하는 규제부재(도시 생략)를 구비하고 있다. 배지대(52)의 자세는 수평방향이 바람직하지만, 용지(65)의 무게 등이 작용하는 경우에서도 대략 수평방향으로 유지된다.
스토퍼수단(53)은 인쇄장치 등으로부터 배지대(52)의 위에 배출되는 용지(65)를 받아내는 것으로서, 용지(65)의 배출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잠금장치(55)에 의해 설정위치에 고정된다. 잠금장치(55)는 관용적인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스토퍼수단(53) 및 가이드 블레이드(54)는 배지대(52)의 내부에 수납되는 수납위치와 설치위치에 걸쳐서 선회가능하게 되어 있다.
규제부재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지만, 용지(65)를 가지런히 정돈하기 위한 수직의 규제면을 가지고 있고, 통상은 소정위치에 고정배치되지만, 용지(65)의 배출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될 수도 있다.
스토퍼수단(53)은 가동체를 이루는 조거판(56)과 조거판(56)을 유지하는 멈춤가이드(57)를 가지고 있다. 조거판(56)은 용지(65)에 접촉하는 작용면(58)을 수직방향으로 하여 배치되어 있고, 양측의 상하의 위치에 축(59)이 설치되어 있다.
멈춤가이드(57)는 양측의 지지부재(60)의 사이에 조거판(56)을 수납하는 영역을 형성하고 있고, 지지부재(60)의 소정위치에 조거판(56)의 축(59)이 걸리는 가이드 홈(61)이 형성되어 있다. 축(59)에는 돌기부(62)가 형성됨과 아울러, 지지부재(60)에는 돌기부(62)에 걸리는 걸림부(63)가 형성되어 있어서, 돌기부(62)와 걸림부(63)의 걸림에 의해 축(59)이 가이드 홈(61)으로부터 빠져나오는 것이 방지된다.
이러한 구조에 있어서, 멈춤가이드(57)는 가이드 홈(61)에 있어서 축(59)을 지지함으로써, 조거판(56)을 작용면(58)이 배지대(52) 상에 배출되는 용지(65)에 접촉하는 전방정지위치(A)와 작용면(58)이 용지로부터 분리되는 비스듬한 상방의 후방작동위치(B)에 걸쳐 이동가능하게 유지된다.
멈춤가이드(57)에는 전방정지위치에 있는 조거판(56)으로부터 분리되고 후방작동위치에 있는 조거판(56)에 압접되는 판스프링 등의 탄성체(64)가 설치되어 있다. 이 탄성체(64)는 조거판(56)의 작동에 필수적인 것은 아니고, 그 작동을 보조하는 수단이다.
가이드 홈(61)은 축(59)을 안내하는 홈 가장자리의 경사각도를 용지(65)의 종류 등에 따라 조정가능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축(59)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재를 가이드 홈(61)의 홈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하고, 가이드부재를 경사각도의 조정이 가능하도록 선회가능하게 설치하거나, 멈춤가이드(57)와는 별도의 가이드부재에 가이드 홈(61)을 형성하고, 이 가이드부재를 경사각도의 조정이 가능하도록 선회가능하게 설치하는 것으로 실현할 수 있다. 이 경우에, 각 축(59)을 안내하는 각 가이드부재는 링크기구 등에 의해 선회하여 작동된다. 또한, 조거판(56)의 용지(65)와 충돌하는 부위에 소음제거를 위한 스펀지 등의 흡음부재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 흡음부재는 얇게 형성되고, 조거판(56)이 용지(65)의 운동에너지를 흡수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도 7∼도 10에 있어서, 배지기구부(6)는 복수의 롤러(71)에 걸친 한 쌍의 배지벨트(72)를 가지고, 배지벨트(72)로 둘러싸이는 위치에 배지벨트(72)를 구동하는 배지벨트모터(73) 및 체임버(74)가 배치되어 있다.
배지벨트(72)는 복수의 흡인구멍(75)을 가지고, 체임버(74)의 흡인구멍(74a)이 형성된 천판(76) 위를 미끄럼 이동한다. 배지벨트모터(73)는 제어장치(도시 생략)의 지시에 의해 그 회전속도가 변경될 수 있고, 배지벨트모터(73)의 구동풀리(77)와 1개의 롤러(71)에 설치된 종동풀리(78) 사이에는 구동벨트(79)를 걸치고, 구동풀리(77)의 근방에 인코더 센서(80)를 배치해 두고, 배지벨트모터(73)의 회전구동에 의해 배지벨트(72)가 제어장치로부터 지시된 설정배지속도로 회전한다. 이 설정배지속도는 용지(65)의 종류에 따라 변경된다.
체임버(74)에는 팬 유닛(81)이 설치되어 있고, 팬 유닛(81)의 구동에 의해 체임버(74)의 흡인구멍(74a)과 배지벨트(72)의 흡인구멍(75)을 통해 용지(65)에 흡인력을 작용시킨다. 체임버(74)의 천판(76)에는 배지벨트(72)의 양측 위치에 점프대(8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배지기구부(6)의 상방에는 톱 블로우 팬(83)이 배치되어 있다.
이하, 상기 구성에 대한 작용을 설명한다. 사용자는 인쇄시에 조작 패널(도시 생략)의 키 입력에 의해 인쇄속도를 선택한다. 인쇄속도는 인쇄화상에 따라 선택하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45장/분∼120장/분 사이에서 5단계로 설정가능하다.
스토퍼수단(53)은 규제부재(도시 생략)와의 거리를 배지대(52)에 적층되는 용지(65)의 크기에 따라 위치조정하여 설정위치에 배치된다.
종이벗김갈고리(20) 및 톱 블로우 팬(83)으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에 의해 판동(2)의 원지(8)로부터 벗겨진 용지(65)를 배지기구부(6)가 종이받이장치(51)에 배출한다. 이 때, 배지기구부(6)는 팬 유닛(81)에서 전달되는 흡인력으로 용지(65)를 배지벨트(72)에 흡착하면서 배지벨트(72)의 회전구동에 의해 일정속도로 운반함으로써 인쇄속도(인쇄공정에서의 용지처리 및 운반속도)를 가지는 용지를 설정배출속도로 제어한다.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지기구부(6)로부터 배출되는 용지(65)는 배지대(52)의 위를 설정배출속도로 날려져 스토퍼수단(53)의 조거판(56)의 작용면(58)에 충돌한다. 이 충돌에 의해 용지(65)는 그 운동에너지를 조거판(56)에 전달하고 충돌위치로부터 낙하한다.
이 때, 배지기구부(6)는 1장의 용지(65)를 배출하는 배출속도를 설정배출속도보다 더 느리게 배출한다. 종이받이장치(51)는 배지대(52)에 설치된 스토퍼수단(53) 및 가이드 블레이드(54), 규제부재에 의해 사방이 둘러싸여 있고,1장의 배출용지를 받을 때는, 기류의 흐름이 없도록 용지가 착지하는 방향으로 저항이 된다. 그로 인해, 용지배출속도에 의해서 스토퍼수단을 날아 넘어가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1장의 용지(65)를 저속으로 함으로써 느리게 강하시켜, 확실하게 배지대(52)의 소정위치에 착지시킬 수 있다. 1장의 용지(65)의 강하에 의해 스토퍼수단(53), 가이드 블레이드(54), 및 규제부재의 상호간을 빠져나오는 기류가 발생하고 있기 때문에, 2장 이후의 용지(65)는 설정배출속도로 배출되어도 스토퍼수단(53)을 날아 넘어가버리는 문제는 없다.
여기서, "1장"이라 함은 제판 후의 인쇄 1장이고, 또는 인쇄동작 사이에 어떠한 이유로 일단 인쇄동작을 정지하여 소정의 방치시간이 있었던 경우의 방치 후의 인쇄 1장이다. 방치시간은 타이머 등에 의해 계측된다.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지(65)가 날려서 충돌함으로써 운동에너지를 받은 조거판(56)은 축(59)을 가이드 홈(61)에 안내되어 중력에 저항하여 전방정지위치(A)로부터 비스듬한 상방의 후방작동위치(B)로 후퇴된다. 이 때, 조거판(56)은 용지(65)가 설정배출속도로 날려져서 충돌함으로써 후방동작위치(B)로 후퇴되기에 과부족이 없는 운동에너지를 전달받아 안정적인 동작을 행한다. 또한, 이 과정에 있어서, 조거판(56)은 탄성체(64)에 닿아서 탄성체(64)를 탄성변형시키고, 후방작동위치(B)에 있어서 탄성체에 압접된다.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지(65)로부터 받은 운동에너지를 후방작동위치(B)로의 이동에 소비한 조거판(56)은 중력에 의해 가이드 홈(61)을 따라 전방정지위치(A)로 복동한다. 이 때, 조거판(56)은 중력에 의해 전방정지위치(A)로 복동할 때 그 초동시에 탄성체(64)의 탄성복원력을 받아서 원활하게 시동되고 복동과정에서 탄성체(64)로부터 분리되어, 배지대(52)에 낙하된 용지(65)를 규제부재를 향해 작용면(58)으로 압압하고, 이에따라 규제부재를 기준으로 하여 용지를 가지런히 정돈하여 적층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정지위치(A)로 복동된 조거판(56)은 돌기부(62)와 걸림부(63)의 걸림에 의해 전방정지위치(A)에서 정지한다.
그런데, 상술한 조거판(56)은 그 후방동작위치로 후퇴되기 위해 필요한 운동에너지가 일정하다. 한편, 종이받이장치(51)에 설정되는 설정배출속도는 기본적으로 최고속인 120장/분의 일정속도로 설정해 두고, 이 상태에서 용지(65)가 설정배출속도로 날려져서 충돌함으로써 조거판(56)에 전달되는 운동에너지는 용지(65)의 종류, 즉, 용지(65)의 두께(두꺼운 종이, 얇은 종이), 크기, 무게(재질)에 의해 변화한다.
이로 인해, 용지(65)의 종류, 즉, 용지(65)의 두께(두꺼운 종이, 얇은 종이), 크기, 무게(재질) 등에 따라 조작패널의 키입력을 행함으로써 설정배출속도를 변경한다. 이 때, 인쇄속도는 변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용지(65)의 종류에 따라 설정배출속도를 변경함으로써 조거판(56)이 후방동작위치(B)로 후퇴되기 위해 필요한 운동에너지를 확실하게 전달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배지대 위에 배출되는 용지가 가지는 운동에너지를 이용하여 가동체를 구동하고, 중력을 이용하여 가동체를 복동시켜 용지를 가지런히 정돈하기 때문에, 가동체의 복동을 위한 기계부품이 불필요하고 종래와 같은 복동으로 인한 기계부품의 피로 등의 문제가 없고, 간략한 구성으로 용지를 가지런히 정돈할 수 있다.
또한, 용지가 설정배출속도로 날아 가동체에 충돌함으로써, 가동체는 후방작동위치로 후퇴되기에 과부족이 없는 운동에너지를 전달받아 안정적인 동작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용지의 종류에 따라 배출수단의 설정배출속도를 변경함으로써, 가동체가 후방작동위치로 후퇴되기 위해 필요한 과부족이 없는 운동에너지를 가동체로 확실하게 전달할 수 있다.

Claims (2)

  1. 용지에 소정의 처리를 실시하는 기계장치 본체로부터 용지를 배출하는 배지수단과, 배지수단으로부터 배출되는 용지를 적층유지하는 종이받이수단으로 이루어진 배지 및 종이받이장치로서,
    상기 종이받이수단은, 수평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용지적층용의 배지대;
    상기 배지대 상에 배출되는 용지를 받아내는 스토퍼수단; 및
    용지의 후연을 설정위치에 규제하는 규제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스토퍼수단과 상기 규제부재 중 적어도 한 쪽을 용지의 배출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하고, 작용면이 상기 배지대 상에 배출되는 용지에 접촉하는 전방정지위치와 작용면이 용지로부터 분리되는 비스듬한 상방의 후방작동위치에 걸쳐 이동가능하게 가동체를 상기 스토퍼수단에 설치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배지수단은, 용지에 배출속도를 전달하는 롤러 또는 벨트를 가지고, 기계장치 본체 내의 처리공정에서의 용지처리 및 운반속도에 상관없이, 상기 종이받이수단에 있어서 가동체를 적정하게 동작시키는데 필요한 일정속도의 설정배출속도로 용지를 상기 종이받이수단으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지 및 종이받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배출수단이 설정배출속도를 용지의 종류에 따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지 및 종이받이장치.
KR20-2004-0018549U 2004-06-01 2004-06-30 배지 및 종이받이장치 KR200362491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162661A JP4610232B2 (ja) 2004-06-01 2004-06-01 排紙・紙受け装置
JPJP-P-2004-00162661 2004-06-01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0399A Division KR100506379B1 (en) 2004-06-01 2004-06-30 Paper delivering and receving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2491Y1 true KR200362491Y1 (ko) 2004-09-18

Family

ID=3549632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0399A KR100506379B1 (en) 2004-06-01 2004-06-30 Paper delivering and receving device
KR20-2004-0018549U KR200362491Y1 (ko) 2004-06-01 2004-06-30 배지 및 종이받이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0399A KR100506379B1 (en) 2004-06-01 2004-06-30 Paper delivering and receving devic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4610232B2 (ko)
KR (2) KR10050637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6653B1 (ko) 2009-07-24 2011-02-25 주식회사신도리코 보조 배지부를 구비한 사무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84727B2 (ja) * 2008-08-29 2013-09-11 三菱重工印刷紙工機械株式会社 フォルダグルアのホッパ装置
JP5339155B2 (ja) * 2010-02-17 2013-11-13 Nkワークス株式会社 プリンタおよび搬送装置
JP2011213436A (ja) * 2010-03-31 2011-10-27 Kyocera Mita Corp 画像形成装置
JP5699784B2 (ja) * 2011-04-28 2015-04-1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印刷装置
JP5793392B2 (ja) * 2011-10-07 2015-10-14 デュプロ精工株式会社 印刷機
JP5986866B2 (ja) * 2012-09-28 2016-09-06 北海製罐株式会社 スタッカー用緩衝装置
KR102239924B1 (ko) * 2021-01-12 2021-04-13 김한성 박엽지 적층장치를 포함하는 인쇄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899853A (ko) * 1972-04-03 1973-12-17
JPS60190764U (ja) * 1984-05-25 1985-12-17 ミノルタ株式会社 排紙トレイ
JPS63171764A (ja) * 1987-01-09 1988-07-15 Fuji Photo Film Co Ltd シ−ト集積装置
JP2503812Y2 (ja) * 1990-09-04 1996-07-03 沖電気工業株式会社 紙葉類集積装置
JP3373656B2 (ja) * 1994-07-06 2003-02-04 東北リコー株式会社 排紙収納装置
JP3309022B2 (ja) * 1994-08-29 2002-07-29 理想科学工業株式会社 孔版印刷装置の排紙装置
JPH08259082A (ja) * 1995-03-20 1996-10-08 Riso Kagaku Corp 印刷装置の排紙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6653B1 (ko) 2009-07-24 2011-02-25 주식회사신도리코 보조 배지부를 구비한 사무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06379B1 (en) 2005-09-02
JP4610232B2 (ja) 2011-01-12
JP2005343592A (ja) 2005-12-15
KR20040072505A (en) 2004-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86038B2 (ja) 画像記録装置
US8210527B2 (en) Paper ejecting device with swinging protruding members
KR200362491Y1 (ko) 배지 및 종이받이장치
US20060267264A1 (en) Sheet feed apparatus
JP2003526586A (ja) ペーパーウェブを切断する装置
EP1555136B1 (en) Sheet media input
JP2008273663A (ja) 紙受け装置
JP3545812B2 (ja) 排紙装置
KR100506401B1 (ko) 종이받이장치
JP4391309B2 (ja) 封筒給紙装置
JP2016132119A (ja) シート積重装置,カウンタエゼクタ及び製函機
JP4436549B2 (ja) 給紙装置
JP4448431B2 (ja) 排紙装置
JP2010180038A (ja) 給紙ユニット
JP2011162320A (ja) プリント装置の給紙ユニット
JP4513571B2 (ja)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JP4419830B2 (ja) プリンタ
JP2009280406A (ja) 給紙装置
JP4055450B2 (ja) 記録媒体の排出装置、排出方法、搬送装置及びインクジェット式記録装置
JP2014148414A (ja) 排紙積載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3809810B2 (ja) 給送装置、給送方法、及び印刷装置
JPH1059608A (ja) 排紙装置
JP4591067B2 (ja) プリンタ
JP2020196569A (ja) 排出装置
JP2020196560A (ja) 排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