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6401B1 - 종이받이장치 - Google Patents

종이받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6401B1
KR100506401B1 KR10-2004-0049887A KR20040049887A KR100506401B1 KR 100506401 B1 KR100506401 B1 KR 100506401B1 KR 20040049887 A KR20040049887 A KR 20040049887A KR 100506401 B1 KR100506401 B1 KR 1005064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stopper means
stopper
discharge
grav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98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66757A (ko
Inventor
이시모토마사야
오타니토시키
Original Assignee
듀프로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듀프로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듀프로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667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67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64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64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10Sheet holders, retainers, movable guides, or stationary guides
    • B41J13/106Sheet holders, retainers, movable guides, or stationary guides for the sheet output section

Landscapes

  • Pile Receivers (AREA)

Abstract

적층된 용지의 적층면이 지면에 대해 직각이 되도록 용지단을 가지런히 정돈함과 아울러, 코일스프링 등의 기계적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중력을 이용하여 용지를 정돈한다. 수평방향으로 배치되어 용지를 적층하는 배지대(52), 배지대(52)에 배출되는 용지를 받아내는 스토퍼수단(53), 및 용지의 후연을 설정위치에 규제하는 규제부재를 구비하고, 스토퍼수단(53)과 규제부재 중 적어도 한 쪽을 용지의 배출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하고, 스토퍼수단(53)에 배지대(52)에 배출되는 용지에 접촉하는 전방정지위치와 용지로부터 분리되는 비스듬한 상방의 후방작동위치에 걸쳐 이동가능하게 조거판(56)을 설치한 것이고, 충돌에 의해 용지의 운동에너지를 전달받은 조거판(56)이 중력에 대항하여 비스듬한 상방의 후방작동위치로 후퇴되고, 그 후 중력에 의해 전방정지위치로 복동하여, 배지대(52)에 낙하된 용지를 규제부재를 향해 압압하고, 이에 따라 규제부재를 기준으로 가지런히 정돈하여 적층한다.

Description

종이받이장치{PAPER RECEVING DEVICE}
본 발명은 종이받이장치에 관한 것이고, 프린터, 인쇄기 등으로부터 배출되는 용지를 받아내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인쇄장치로서는, 예를 들면, 도 7에 도시된 것이 있다. 이는 장치 본체(1)의 내부에, 판동(版胴)(2)의 주위에 제판(製版) 및 급판(給版)기구부(3), 배판기구부(4), 급지기구부(5), 및 배지기구부(6)를 배치하고 있다.
제판 및 급판기구부(3)는 제판하지 않은 원지(8)를 마스터 롤(master roll)(7)로부터 계속 투입하고, 장치 본체(1)의 상부에 배치된 스캐너 기구부(9)에서 판독한 원고(原稿)의 화상데이터에 기초하여 서멀 헤드(thermal head)(10)로 원지(8)에 천공(穿孔)하여 제판하고, 제판한 원지(8)를 판동(2)에 급판한다. 배판기구부(4)는 상하 한 쌍의 드로잉롤러(11, 12)의 사이에 원지(8)를 드로잉 권심(券芯)(13)으로 원지(8)를 권취한다.
급지기구부(5)는 급지 트레이(tray)(14)에 배치된 용지(15)를 급지롤러(16)로 뽑아내고, 타이밍롤러(17) 및 가이드롤러(18)로 원지(8)와 프레스롤러(19)에 끼워지는 위치까지 용지를 송출하고, 판동(2) 및 원지(8)의 회전에 의해 지면에 인쇄한다. 배지기구부(6)는 인쇄된 용지(15)를 종이벗김갈고리(20)에 의해 원지(8)로부터 벗겨서 프린트 트레이(21)의 위에 배출한다.
이 프린트 트레이(21)에 관한 기술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특허공개 평8-259082호 공보에 기재된 것이 있다. 이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것이고, 배지대(30)의 기판(31)에 주벽판(32)이 세워져 있다. 이 주벽판(32)에는 인쇄용지(33)의 진로상에 가로놓여 있는 충돌체(34)를 설치해 두고, 충돌체(34)는 상단부가 주벽판(32)에 고정되고, 하단부가 기판(31)의 개구 내에 헐겁게 끼워져 있다.
충돌체(34)는 인쇄용지(33)의 충돌력에 대응하여 진동함으로써 인쇄용지(33)가 되튀거나 걸리는 것을 수반하지 않고 하방으로 낙하시켜 가지런히 정돈하는 것으로서, 비교적 얇은 인쇄용지(33)가 진동감쇠부재에 충돌한 경우에도 진동하면서 개구 내에서 약간 진동하도록 하는 강성으로 설정되어 있고, 충돌위치에 탄성흡수력을 가지는 진동감쇠부재(35)를 설치하여 충돌음을 저감시키고 있다.
인쇄가 완료된 인쇄용지(33)는 프린터로부터 배출되어 기판(31) 상을 날아서 선단부가 충돌체(34)의 진동감쇠부재(35)에 충돌한 뒤, 그 진행이 방해되어 기판(31)상에 낙하한다. 이 때, 충돌체(34)가 완전히 진동이 없는 상태이면, 인쇄용지(W)의 선단부가 진동감쇠부재(35) 및 충돌체(34)의 작용면과의 마찰저항에 의해 걸려 원활하게 미끄러져 떨어지지 않고, 허리부분이 약한 인쇄용지(33)는 만곡된 상태로 적재된다.
실제로는 진동감쇠부재(35)가 충동한 인쇄용지(W)의 운동에너지의 대부분을 흡수하고, 진동감쇠부재(35)에 의해 흡수가 중단되지 않았던 인쇄용지(33)의 운동에너지가 충돌체(34)를 진동시켜서, 인쇄용지(33)의 선단과 진동감쇠부재(35) 및 충돌체(34)의 작용면 사이에 근소한 간극을 발생시킨다. 이로 인해, W1∼W6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인쇄용지(33)는 그 선단부가 진동감쇠부재(35) 및 충돌체(34)의 작용면에 어느 정도 접촉하면서 파선과 같이 하강하고, 작용면을 따르도록 낙하하여 인쇄용지(33)의 선단부가 충돌체(34)에 접한 상태에서 가지런히 정돈된다.
또한, 일본특허공개 소63-171764호 공보에 기재된 것이 있다. 이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에 의해 1장씩 운반하는 시트(41)를 시트운반방향의 전방에 설치된 전방스토퍼(42)와 후방에 설치된 후방스토퍼(43)에 의해 형성하는 집적프레임 내에 투입하는 것이다. 전방스토퍼(42)는 스토퍼 플레이트(44)를 구비하고 있고, 이 스토퍼 플레이트(44)는 시트(41)의 운반방향으로 전후이동가능하게 배치됨과 아울러, 코일스프링(45)에 의해 시트운반방향의 후방으로 밀려 완충작용에 의해 시트(41)를 가지런히 정돈하여 집적한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일본특허공개 평8-259082호 공보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충돌체(34)가 진동함으로써 인쇄용지(33)의 낙하시 충돌체(34)가 방해물이 되는 것을 피할 수 있지만, 인쇄용지(33)는 자유낙하하기 때문에, 진동하는 충돌체(34)에 접촉한 인쇄용지(33)가 그 바로 아래에 낙하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후방위치 또는 전방위치에 낙하할 우려가 있고, 낙하 도중에 후방으로 이동한 인쇄용지(33)와 충돌체(34)의 접촉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충돌체(34)를 하방측 정도 인쇄용지(33) 측으로 돌출하도록 비스듬한 상방을 향해 배치할 필요가 있고, 적층한 인쇄용지(33)의 앞쪽에 적층면이 비스듬하게 경사지게 되고, 용지의 종류, 특히 되튀기 쉬운 두꺼운 용지 등은 그 되튐을 충분히 흡수하여 멈추지 않고 가지런히 정돈되지 않는 경우도 있었다.
일본특허공개 소63-171764호 공보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코일스프링(45)에 의한 완충작용에 의해 시트(41)가 가지런히 정돈되어 집적되지만, 스토퍼 플레이트(44)의 후퇴시에 코일스프링(45)이 압축되고, 그 탄성복원력에 의해 스토퍼(44)가 복동(復動)하기 때문에, 복동을 위해 코일스프링(45) 등의 기계부품을 필요로 하고, 코일스프링(45)이 압축과 신장을 반복하기 때문에 코일스프링(45)의 기계적인 피로가 문제가 된다.
본 발명은 적층된 용지의 적층면이 지면에 대해 직각이 되도록 용지단을 가지런히 정돈함과 아울러, 코일스프링 등의 기계적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중력을 이용하여 용지를 가지런히 정돈할 수 있는 종이받이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구항1에 관한 본 발명의 종이받이장치는, 수평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용지를 적층하는 배지대, 상기 배지대 상에 배출되는 용지를 받아내는 스토퍼수단, 및 용지의 후연을 설정위치에 규제하는 규제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스토퍼수단과 상기 규제부재 중 적어도 한 쪽을 용지의 배출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하고, 작용면이 상기 배지대 상에 배출되는 용지에 접촉하는 전방정지위치와 작용면이 용지로부터 분리되는 비스듬한 상방의 후방작동위치에 걸쳐 이동가능하게 가동체를 스토퍼수단에 설치한 것이다.
상기 구성에 의해, 규제부재와 스토퍼수단의 거리를 배지대 상에 적층되는 용지의 크기에 따라 조정한다. 배지대 상에 배출되는 용지가 날려져서 스토퍼수단의 가동체의 작용면에 충돌하고, 그 운동에너지를 가동체에 전달하고 충돌위치로부터 낙하한다. 용지의 운동에너지를 받은 가동체는 중력에 저항하여 비스듬한 상방의 후방작동위치로 후퇴하고, 그 후 중력에 의해 전방정지위치로 복동하고, 배지대 상에 낙하된 용지를 규제부재를 향해 작용면에서 압압하고, 규제부재를 기준으로 가지런히 정돈하여 적층한다.
청구항2에 관한 본 발명의 종이받이장치는, 상기 스토퍼수단은 상기 전방정지위치에 있는 상기 가동체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후방작동위치에 있는 상기 가동체에 압접되는 탄성체를 가지는 것이다.
상기 구성에 의해, 가동체는 중력에 저항하여 후방작동위치로 후퇴하는 과정에 있어서 탄성체에 맞닿아 탄성체를 탄성변형시키고, 후방작동위치에 있어서 탄성체에 압접한다. 후방작동위치에 도달한 가동체는 중력에 의해 전방정지위치로 복동할 때 그 초동시에 탄성체의 탄성복원력을 받아 원활하게 시동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도 5에 있어서, 종이받이장치(51)는 먼저 도 7에서 설명한 인쇄장치 등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프린트 트레이(21)에 상당하는 것이다.
종이받이장치(51)는, 수평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용지를 적층하는 배지대(52), 배지대(52)에 세워진 스토퍼수단(53), 용지의 폭방향으로 규제하는 가이드 블레이드(54), 및 용지의 후연을 설정위치에 규제하는 규제부재(도시 생략)를 구비하고 있다. 배지대(52)의 자세는 수평방향이 바람직하지만, 용지의 무게 등이 작용하는 경우에서도 대략 수평방향으로 유지된다.
스토퍼수단(53)은 인쇄장치 등으로부터 배지대(52)의 위에 배출되는 용지를 받아내는 것으로서, 용지의 배출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잠금장치(55)에 의해 설정위치에 고정된다. 잠금장치(55)는 관용적인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스토퍼수단(53) 및 가이드 블레이드(54)는 배지대(52)의 내부에 수납되는 수납위치와 설치위치에 걸쳐서 선회가능하게 되어 있다.
규제부재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지만, 용지를 가지런히 정돈하기 위한 수직의 규제면을 가지고 있고, 통상은 소정위치에 고정배치되지만, 용지의 배출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될 수도 있다.
스토퍼수단(53)은 가동체를 이루는 조거판(56)과 조거판(56)을 유지하는 멈춤가이드(57)를 가지고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동체가 조거판(56)과 대응되는 구성으로 예시되어 있다. 조거판(56)은 용지에 닿는 작용면(58)을 수직방향으로 하여 배치되어 있고, 양측의 상하의 위치에 축(59)이 설치되어 있다.
멈춤가이드(57)는 양측의 지지부재(60)의 사이에 조거판(56)을 수납하는 영역을 형성하고 있고, 지지부재(60)의 소정위치에 조거판(56)의 축(59)이 걸리는 가이드 홈(61)이 형성되어 있다. 축(59)에는 돌기부(62)가 형성됨과 아울러, 지지부재(60)에는 돌기부(62)에 걸리는 걸림부(63)가 형성되어 있어서, 돌기부(62)와 걸림부(63)의 걸림에 의해 축(59)이 가이드 홈(61)으로부터 빠져나오는 것이 방지된다.
이러한 구조에 있어서, 멈춤가이드(57)는 가이드 홈(61)에 있어서 축(59)을 지지함으로써, 조거판(56)을 작용면(58)이 배지대(52) 상에 배출되는 용지에 접촉하는 전방정지위치(A)와 작용면(58)이 용지로부터 분리되는 비스듬한 상방의 후방작동위치(B)에 걸쳐 이동가능하게 유지된다.
멈춤가이드(57)에는 전방정지위치에 있는 조거판(56)으로부터 분리되고 후방작동위치에 있는 조거판(56)에 압접되는 판스프링 등의 탄성체(64)가 설치되어 있다. 이 탄성체(64)는 조거판(56)의 작동에 필수적인 것은 아니고, 그 작동을 보조하는 수단이다.
가이드 홈(61)은 축(59)을 안내하는 홈 가장자리의 경사각도를 용지의 종류 등에 따라 조정가능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축(59)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재를 가이드 홈(61)의 홈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하고, 가이드부재를 경사각도의 조정이 가능하도록 선회가능하게 설치하거나, 멈춤가이드(57)와는 별도의 가이드부재에 가이드 홈(61)을 형성하고, 이 가이드부재를 경사각도의 조정이 가능하도록 선회가능하게 설치하는 것으로 실현할 수 있다. 이 경우에, 각 축(59)을 안내하는 각 가이드부재는 링크기구 등에 의해 선회하여 작동된다. 또한, 조거판(56)의 용지와 충돌하는 부위에 소음제거를 위한 스펀지 등의 흡음부재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 흡음부재는 얇게 형성되고, 조거판(56)이 용지의 운동에너지를 흡수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이하, 상기 구성에 대한 작용을 설명한다. 스토퍼수단(53)은 규제부재(도시 생략)와의 거리를 배지대(52)에 적층하는 용지의 크기에 따라 위치조정하여 설정위치에 배치된다.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장치 등으로부터 배출되는 용지(65)는 배지대(52)의 위를 날아서 스토퍼수단(53)의 조거판(56)의 작용면(58)에 충돌한다. 이 충돌에 의해 용지(65)는 그 운동에너지를 조거판(56)에 전달하고 충돌위치로부터 낙하한다.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지(65)의 운동에너지를 받은 조거판(56)은 축(59)을 가이드 홈(61)에 안내되어 중력에 저항하여 전방정지위치(A)로부터 비스듬한 상방의 후방작동위치(B)로 후퇴한다. 이 과정에 있어서, 조거판(56)은 탄성체(64)에 닿아서 탄성체(64)를 탄성변형시키고, 후방작동위치(B)에 있어서 탄성체에 압접된다.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지(65)로부터 받은 운동에너지를 후방작동위치(B)로의 이동에 소비한 조거판(56)은 중력에 의해 가이드 홈(61)을 따라 전방정지위치(A)로 복동한다. 이 때, 조거판(56)은 중력에 의해 전방정지위치(A)로 복동할 때 그 초동시에 탄성체(64)의 탄성복원력을 받아서 원활하게 시동되고 복동과정에서 탄성체(64)로부터 분리되어, 배지대(52)에 낙하한 용지(65)를 규제부재를 향해 작용면(58)으로 압압하고, 규제부재를 기준으로 하여 용지를 가지런히 정돈하여 적층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정지위치(A)로 복동된 조거판(56)은 돌기부(62)와 걸림부(63)의 걸림에 의해 전방정지위치(A)에서 정지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배지대 위에 배출되는 용지가 가지는 운동에너지를 이용하여 가동체를 구동하고, 중력을 이용하여 가동체를 복동시켜 용지를 가지런히 정돈하기 때문에, 가동체의 복동을 위한 기계부품이 불필요하고 종래와 같은 복동으로 인한 기계부품의 피로 등의 문제가 없고, 간략한 구성으로 용지를 가지런히 정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종이받이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동 종이받이장치의 스토퍼 수단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3의 (a), (b), 및 (c)는 종이받이장치의 조거판(jogger, 종이추림판)을 나타내는 정면도, 측면도, 및 배면도;
도 4의 (a), (b), 및 (c)는 종이받이장치의 멈춤가이드를 나타내는 정면도, 측면도, 및 배면도;
도 5의 (a), (b), 및 (c)는 각각 종이받이장치의 스토퍼 수단의 작용을 나타내는 동작설명도;
도 6은 종이받이장치의 스토퍼 수단의 주요부 확대도;
도 7은 종래의 인쇄장치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8은 종래의 종이받이장치를 나타내는 모식도; 및
도 9는 종래의 다른 종이받이장치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1: 종이받이장치 52: 배지대
53: 스토퍼수단 54: 가이드 블레이드(guide blade)
55: 잠금장치 56: 조거판
57: 멈춤가이드 58: 작용면
59: 축 60: 지지부재
61: 가이드 홈 62: 돌기부
63: 걸림부 64: 탄성체
65: 용지 A: 전방정지위치
B: 후방작동위치

Claims (2)

  1. 수평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용지를 적층하는 배지대와, 상기 배지대 상에 배출되는 용지를 받아내는 스토퍼수단과, 용지의 후연을 설정위치에 규제하는 규제부재를 구비하는 종이받이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수단과 상기 규제부재 중 적어도 한 쪽을 용지의 배출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하고, 작용면이 상기 배지대 상에 배출되는 용지에 접촉하는 전방정지위치와 작용면이 용지로부터 분리되는 비스듬한 상방의 후방작동위치에 걸쳐 이동가능하게 가동체를 스토퍼수단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받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수단은 상기 전방정지위치에 있는 상기 가동체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후방작동위치에 있는 상기 가동체에 압접되는 탄성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받이장치.
KR10-2004-0049887A 2003-10-15 2004-06-30 종이받이장치 KR1005064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354435A JP4219248B2 (ja) 2003-10-15 2003-10-15 紙受け装置
JPJP-P-2003-00354435 2003-10-15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8480U Division KR200362486Y1 (ko) 2003-10-15 2004-06-30 종이받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6757A KR20040066757A (ko) 2004-07-27
KR100506401B1 true KR100506401B1 (ko) 2005-08-10

Family

ID=3461234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8480U KR200362486Y1 (ko) 2003-10-15 2004-06-30 종이받이장치
KR10-2004-0049887A KR100506401B1 (ko) 2003-10-15 2004-06-30 종이받이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8480U KR200362486Y1 (ko) 2003-10-15 2004-06-30 종이받이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4219248B2 (ko)
KR (2) KR200362486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60351B (zh) * 2018-11-07 2019-11-29 长春师范大学 一种可自动整理码放打印纸的智能打印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2486Y1 (ko) 2004-09-18
JP2005119771A (ja) 2005-05-12
KR20040066757A (ko) 2004-07-27
JP4219248B2 (ja) 2009-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90862B2 (en) Image recording device having a compact form factor
JP2000198606A (ja) 排紙収納装置
JP3558281B2 (ja) 給紙装置
EP1555136B1 (en) Sheet media input
JP3373656B2 (ja) 排紙収納装置
KR200362491Y1 (ko) 배지 및 종이받이장치
KR100506401B1 (ko) 종이받이장치
JP2008179479A (ja) シート給送装置
JPH08259082A (ja) 印刷装置の排紙台
JPH07120845A (ja) 原稿押圧装置の開閉機構
US9493318B2 (en) Conveying device
JP2003095518A (ja) 排紙スタッカ及び該排紙スタッカを備えた記録装置
JP3701831B2 (ja) 複写装置又は印刷装置の排紙台
JPH09286557A (ja) 用紙収容装置
JP3835680B2 (ja) 用紙積載装置
JP4436549B2 (ja) 給紙装置
JP4122632B2 (ja) 画像形成装置における給紙カセットの装着構造
JP2001302070A (ja) 排出シート整列装置
JPH1059608A (ja) 排紙装置
JP2019137533A (ja) 紙受け装置
JPH0977336A (ja) 画像形成装置の排紙収納装置
JPS5913258A (ja) 自動原稿送り装置
JP2003054781A (ja) 給紙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並びに記録装置
JPH0517065A (ja) 印字装置
JP2002205864A (ja) 排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5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0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