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87961A - 책자 취급 장치 - Google Patents

책자 취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87961A
KR20030087961A KR10-2003-0029204A KR20030029204A KR20030087961A KR 20030087961 A KR20030087961 A KR 20030087961A KR 20030029204 A KR20030029204 A KR 20030029204A KR 20030087961 A KR20030087961 A KR 200300879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ge turning
page
booklet
rollers
tur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92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49134B1 (ko
Inventor
다나베신조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300879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79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91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91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2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 E04H12/2292Holders used for protection, repair or reinforcement of the post or po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 Delivering By Means Of Belts And Roll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책자 취급 장치에 있어서, 페이지 넘김 성능의 신뢰성 향상을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로 인해, 책자 취급 장치에 있어서, 페이지 넘김 롤러(162a, 162b)를 테이퍼 형상으로 한다. 페이지 넘김 롤러(162a, 162b)는 내경을 작게, 외경을 크게 하여 회전축(30)에 고정되어 있다. 회전시에 발생하는 넘기는 힘(50a, 50b)은 통장(20)의 개폐 방향에 대해 측방 자유단부 방향으로 비스듬히 기울어져 있고, 페이지를 넘기는 방향과 페이지의 강성 저항을 회피하는 측방 자유단부 방향으로 작용한다.

Description

책자 취급 장치 {BOOKLET HANDLING MACHINE}
본 발명은 자동 거래 장치에서 사용되는 통장 등의 책자를 취급하는 책자 취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책자 취급 장치에 있어서 책자의 페이지를 넘기기 위한 기구에 관한 것이다.
금융 기관 등에서 사용자에 대한 입출금에 현금 자동 거래 장치(이하, ATM이라 함)가 사용되고 있다. ATM은 지폐, 통장 및 불입 용지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거래를 실행한다.
통장을 취급하는 장치에서는 필요에 따라서 장치가 자동적으로 페이지 넘김을 행한다. 페이지 넘김 롤러를 회전시켜 페이지에 마찰력을 가함으로써 페이지 넘김을 행하는 기구가 이용되고 있다. 페이지 넘김시에는 페이지에 구김, 부풀음 및 접힘 등이 생기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복수 페이지가 한번에 넘겨져 버리는 중복 넘김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었다.
이들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평8-267962호 공보에 기재된 기술을 들 수 있다. 이 기술에서는 통장 반송로의 상하에 설치한 롤러를 압접, 해방함으로써, 페이지에 생긴 구김 및 부풀음을 사후적으로 제거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2001-071664호 공보에 기재된 기술을 들 수 있다. 이 기술에서는 페이지 넘김 롤러의 넘기는 힘 방향선이 책자의 대각선 방향을 향하도록 페이지 넘김 롤러를 배치함으로써, 중복 넘김을 회피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장치에서는 페이지 넘김을 행하는 과정에서 넘김 대상 페이지로의「구김」,「페이지의 접힘」의 발생 자체를 충분히 회피할 수는 없었다.
이들의 과제는 스캐너나 팩시밀리, 복사 등에서 페이지 넘김의 필요가 있는 서적 등을 취급할 때에도 공통의 과제였다. 본 발명은 이들 다양한 책자 취급 장치에 있어서, 페이지 넘김을 행하는 과정에서 넘김 대상 페이지로의「구김」,「페이지의 접힘」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1은 실시예로서의 현금 자동 거래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설명도.
도2는 통장 장표 취급 기구(100)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설명도.
도3은 페이지 바꾸기 기구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설명도.
도4는 페이지 넘김 롤러의 구성을 도시한 설명도.
도5는 페이지 넘김 롤러의 마찰 접촉부를 도시한 설명도.
도6은 페이지 바꾸기 처리의 흐름도.
도7의 (a) 내지 도7의 (d)는 페이지 바꿈시에 있어서의 페이지 넘김 롤러의 모습을 도시한 설명도.
도8은 제2 실시예로서의 페이지 넘김 롤러의 구성을 도시한 설명도.
도9의 (a) 및 도9의 (b)는 변형예로서의 페이지 넘김 롤러의 구성을 도시한 설명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110 : 제어 유닛
13 : 조작부
14 : 지폐 입출금구
15 : 카드 취급 기구
20 : 통장
100 : 통장 장표 취급 기구
101, 103 : 반송로
104 : 반송 롤러
105 : 투과형 센서
106 : 반송 모터
111 : 이미지 리더
112 : 리본 권취 기구
113 : 인쇄 헤드
114 : 구동 기구
115 : 구동 모터
116 : 이미지 리더
117 : 자기 헤드
120 : 자세 보정 기구
160 : 페이지 바꾸기 기구
200 : 호스트 컴퓨터
상기 과제 중 적어도 일부를 해결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책자 취급 장치는 책자를 반송하는 반송 기구와, 상기 책자의 페이지를 넘기는 페이지 넘김 기구와, 상기 페이지 넘김 기구를 구동하는 구동부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페이지 넘김 기구는 회전시에 상기 책자의 페이지를 넘기는 방향으로 넘기는 힘을 가하는 복수의 페이지 넘김 롤러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페이지 넘김 롤러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책자의 외측 측방 성분을 갖는 넘기는 힘을 부가하는 형상 및 배치로 되어 있다.
반송 기구는 다양한 구성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송 정밀도가 비교적 높은 기구로서, 한 쌍의 롤러에 의해 책자를 협입하여 반송하는 기구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반송 기구에는 반송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책자가 어긋나는 것을 방지하는 가이드 기구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가이드 기구는 책자 등, 반송로 상에서 반송되는 다양한 매체에 맞추어 폭을 조절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송 기구는 또한 책자가 소정의 위치까지 반송된 것을 검출하는 검출부를 구비하여 소정의 위치에서 반송을 종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페이지 넘김 기구는 페이지 넘김 롤러뿐만 아니라, 책자 고정 장치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페이지 넘김시에 책자에 가해지는 힘이 소정의 값보다도 강한 경우에, 책자가 소정의 위치로부터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페이지 넘김 롤러에 있어서, 페이지 넘김시에 책자와 접촉하는 마찰 접촉부에는 고마찰 재질을 사용하고, 회전축 끼워 넣음 부분을 구비하는 코어부에는 철 등의 소결 합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반송시에는 책자에 닿는 것은 코어부가 되어 장해가 되지 않을 정도의 마찰로 멈출 수 있고, 페이지 넘김시에는 마찰 접촉부가 적절한 마찰력에 의해 페이지 넘김을 행할 수 있다.
페이지 넘김 롤러는 또한 마찰 접촉부에 중공부를 갖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렇게 함으로써, 책자의 두께 변화를 탄성 변형으로 흡수할 수 있어 다양한 두께의 책자의 페이지를 넘기는 것이 가능해진다.
구동부는 예를 들어 모터를 동력원으로 할 수 있다. 구동부는 반송 기구와 동일한 동력원을 이용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본 발명에 따르면, 페이지를 넘기기 위한 넘기는 힘 중 적어도 일부는 외측 방향 성분을 가지므로 평행이 아니고, 또한 교차하지 않는 방향으로 작용한다. 외측 방향 성분이라 함은 넘기는 힘을 페이지를 넘기는 방향의 넘김 방향 성분과, 그에 직교하는 측방 성분으로 나누어 생각하고, 측방 성분 중 넘기는 힘의 역점에 가까운 측의 측변 방향을 향한 성분을 말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 외측 측방 성분은 페이지를 잡아 당기도록 작용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측방 성분의 작용에 의해,페이지 넘김시에 구김이나 접힘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책자는 통장 등 반드시 거래에 사용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스캐너나 팩시밀리, 복사 등, 장치에 의한 페이지 넘김 처리가 필요해지는 서적 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책자 취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페이지 넘김 기구는 예를 들어 상기 페이지 넘김 롤러 중 적어도 하나를 테이퍼 형상으로 함으로써 구성할 수 있다.
책자 개폐 방향에 대해 폭방향 중심보다 우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테이퍼 형상으로 하는 경우에는 그 직경을 우측을 크게, 좌측을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폭방향 중심보다 좌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테이퍼 형상으로 하는 경우에는 그 직경을 좌측을 크게, 우측을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책자 취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페이지 넘김 기구는 상기 페이지 넘김 롤러의 회전축 중 적어도 하나가 책자의 반송 방향에 대해 비스듬히 교차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렇게 함으로써, 페이지 넘김 롤러의 넘기는 힘 성분을 책자 개폐 방향에 대해 측방 자유단부 방향 성분과 넘김 방향 성분으로 분산할 수 있어, 전술한 일련의 문제점을 회피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책자 취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페이지 넘김 기구는 한 쌍의 페이지 넘김 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페이지 넘김 롤러는 테이퍼 형상을 이루어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책자 취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페이지 넘김 기구는 한 쌍의 페이지 넘김 롤러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페이지 넘김 롤러는 회전축이 책자의 반송 방향에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렇게 함으로써, 페이지 넘김 롤러의 넘기는 힘 성분을 반송 방향에 대해 좌우 대칭으로 힘을 가할 수 있어, 구김의 발생 등을 억제하면서 원활하게 페이지를 넘길 수 있다. 여기서, 한 쌍이라 함은 합계 2개의 롤러가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4개 이상의 롤러가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한 쌍의 롤러와는 별도로 대칭축 상에 나머지 롤러가 존재해도 상관없다.
본 발명은 상술한 책자 취급 장치를 제어하여 책자를 자동적으로 넘기는 책자 취급 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구성해도 좋다. 이 제어 방법은, 예를 들어 상술한 책자 취급 장치에 있어서, 반송 기구를 제어하여 책자를 페이지 넘김용의 소정의 위치로 반송하는 스텝, 페이지 넘김 기구를 제어하여 책자의 페이지를 넘기는 스텝 및 반송 기구를 제어하여 책자를 배출하는 스텝을 구비함으로써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에 의해 이 제어를 실현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및 이를 기록한 기억 매체로서 구성해도 좋다. 여기서, 기억 매체로서는 가요성 디스크나 CD-ROM, DVD, 광자기 디스크, IC 카드, ROM 카트리지, 펀치 카드, 바코드 등의 부호가 인쇄된 인쇄물, 컴퓨터의 내부 기억 장치(RAM이나 ROM 등의 메모리) 및 외부 기억 장치 등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다양한 매체를 이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이하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예)
A1. 전체 구성 :
도1은 실시예로서의 현금 자동 거래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현금 자동 거래 장치는 은행 등에 설치되어 카드, 통장 및 불입 용지 등의 장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입출금 처리를 행하기 위한 장치이다.
본 실시예의 현금 자동 거래 장치(이하, ATM이라 함)에는 다음의 유닛이 도시하는 배치로 구비되어 있다. 카드 취급 기구(15)는 이른바 현금 카드 등 자기 스트라이프 카드에 기록된 정보를 판독한다. 카드에 기록된 정보에는 예를 들어 금융 기관 번호, 과목 및 사용자의 계좌 번호 등이 포함된다.
조작부(13)는 입출금 거래를 위한 정보 표시 및 입출금을 위한 조작 입력을 행하기 위한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터치 패널을 이용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디스플레이와 누름 버튼 스티치 등의 조합으로 구성해도 좋다.
사용자와의 지폐의 수수는 지폐 입출금구(14)를 통해 행해진다. 입금시에는, 사용자가 지폐 입출금구(14)에 넣은 지폐는 내장된 지폐 취급 장치(10)에 의해 감별되어 종류마다 분류되어 보관된다. 출금시에는, 지폐 취급 장치(10)는 사용자가 지시한 금액만큼의 지폐를 내보내, 지폐 입출금구(14)로부터 사용자에게 건네 준다. 통장 장표 취급 기구(100)는 통장 및 장표로부터의 정보의 판독 및 이들로의 기입을 행한다.
ATM의 각 유닛의 동작은 제어 유닛(12)에 의해 제어된다. 제어 유닛(12)은 내부에 CPU, 메모리를 구비한 마이크로 컴퓨터로서 구성되어 있다. 제어 유닛(12)은 도면 중에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유닛과 정보의 수수를 행하여 ATM 전체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 유닛(12)은 호스트 컴퓨터(200)와 통신 회선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어 유닛(12)이 거래에 관한 정보를 호스트 컴퓨터(200)에 송신함으로써, 사용자 계좌로의 입출금 등의 처리가 호스트 컴퓨터(200)측에서 행해진다.
A2. 통장 장표 취급 기구 :
도2는 통장 장표 취급 기구(100)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측방으로부터 본 내부 구조를 모식적으로 도시하였다. 거래시에는, 통장은 반송로(101, 103)로 반송, 판독 및 인쇄 등의 처리가 실시된다. 처리 후는 반송로(103, 101)로 역방향으로 반송되어 배출된다. 장표는 반송로(102, 103)로 반송되어 판독, 인쇄 등의 처리가 실시된다. 처리 후는 반송로(103, 102)로 역방향으로 반송되어 배출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통장 및 장표의 삽입 방향에 따라서 「상류측」,「하류측」을 정의한다. 즉, 반송로(101, 102, 103)에 있어서, 삽입구측을 상류측, 페이지 바꾸기 기구(160)가 설치되어 있는 측을 하류측이라 칭한다. 또한,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으로의 반송을「순방향」의 반송, 반대로 하류측으로부터 상류측으로의 반송을「역방향」의 반송이라 정의한다.
반송로(101, 102, 103)에는 통장 및 장표를 반송하기 위한 반송 롤러(104) 및 통장 및 장표의 통과를 검출하기 위한 투과형 센서(105)가 복수 설치되어 있다. 단, 도면의 번잡함을 회피하기 위해, 도면 중에서는 대표적인 하나에 대해서만 부호를 붙였다. 반송 롤러(104)는 반송 모터(106)에 의해 구동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반송시의 위치 제어를 정밀도 좋게 행하기 위해, 반송 모터(106)는 스테핑 모터를 이용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다양한 모터가 적용 가능하다.
통장에는, 통상 자기 스트라이프가 구비되어 있다. 자기 헤드(117)는 통장의 반송시에 자기 스트라이프의 정보를 판독한다. 인쇄 헤드(113)는 통장 및 장표로의 인쇄를 행한다. 인쇄 헤드(113)는 인쇄시에 통장 및 장표에 접촉하도록 상하 구동된다. 이 구동은 스테핑 모터로 구성된 구동 모터(115) 및 구동 기구(114)에 의해 실현된다. 인쇄에 사용되는 잉크 리본은 리본 권취 기구(112)에 의해 적절하게 권취된다.
인쇄 헤드(113)의 하류측에는 인쇄가 완료된 행수의 카운트, 통장 등에 인쇄되어 있는 바코드의 판독을 행하기 위한 이미지 리더(116)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통장의 페이지 바꾸기를 행하기 위한 페이지 바꾸기 기구(160)가 설치되어 있다. 통장 및 장표는 인쇄 전에 이미지 리더(116)에 의해 스캔되어 페이지 바꾸기 기구(160)로 반송된다. 이 스캔에 의해 인쇄가 완료된 행수가 카운트되므로, 다음에 인쇄해야 할 행을 특정할 수 있다. 또한, 페이지 바꾸기의 필요 여부도 판단된다. 통장의 취급시에 페이지 바꾸기가 필요하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페이지 바꾸기 기구(160)에 의해 적절한 페이지가 펴진다. 그 후, 통장 등은 역방향으로 반송되면서 인쇄 헤드(113)에 의해 인쇄된다.
장표의 삽입구 근방에는 장표의 스큐잉 및 시프트를 보정하기 위한 자세 보정 기구(120)가 설치되어 있다. 스큐잉이라 함은 반송 방향에 대한 장표의 기울기를 말한다. 시프트라 함은 반송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장표의 어긋남을 말한다.
자세 보정 기구(120)의 하류측에는 장표를 스캔하기 위한 이미지 리더(111)가 설치되어 있다. 스캔된 화상 데이터는 호스트 컴퓨터(200)로 송신되어 인감 조합이나 이른바 OCR 처리가 행해진다. 이미지 리더(111)는 장표 전체를 스캔하는 것으로 해도 좋고, 장표의 형식에 따라서 문자가 기입되어 있는 특정한 영역만을 스캔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통장 장표 취급 기구(100)의 각 부위는 제어 유닛(110)에 의해 제어된다. 제어 유닛(110)은 내부에 CPU, RAM 및 ROM을 구비하는 마이크로 컴퓨터로서 구성되어 있고, 미리 준비된 프로그램에 따라서 각 부위를 제어한다. 단, 도면의 번잡화를 회피하기 위해, 도면 중에서는 제어 유닛(110)과 각 부위와의 결선의 도시는 생략하였다.
A3. 페이지 바꾸기 기구:
도3은 페이지 바꾸기 기구(160)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측방으로부터 본 내부 구조를 모식적으로 도시하였다. 페이지 바꾸기 기구(160)는 페이지 넘김 롤러(161)와 반송 롤러(165a, 165b)를 구비하고 있다.
페이지 넘김 롤러(161)는 마찰 접촉부(162)와, 코어부(163)와, 회전축 끼워 넣음부(164)로 이루어진다. 페이지 넘김 롤러(161)는 도시하지 않는 모터에 의해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 구동된다. 이 회전시에, 마찰 접촉부(162)는 넘김 대상 페이지와 접촉하여, 마찰력을 가하여 페이지를 넘겨 올린다. 마찰 접촉부(162)는 고무 등의 고마찰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축 끼워 넣음부(164)는 코어부(163)의 일부이고, 회전축을 끼워 넣음으로써 코어부(163)와 회전축을 고정한다. 또한, 코어부(163)와 마찰 접촉부(162)는 소정의 수법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소정의 수법이라 함은 예를 들어 고무 라이닝으로 할 수 있다.
반송 롤러(165)는 통장을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으로, 혹은 하류측으로부터 상류측으로 반송한다. 반송 롤러(165)에는 또한 소정의 위치로 반송된 통장이 넘김시에 어긋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통장 흡입 후에 압박력을 강하게 하여 통장을 고정하고, 통장 배출시에 해방하기 위한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A4. 페이지 넘김 롤러 구성 :
도4는 페이지 넘김 롤러(161)의 배치 및 형상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3에 있어서, 통장이 페이지 바꾸기 기구(160)에 흡입된 경우의 A방향(상방)으로부터 본 구성이다. 설명의 편의상, 여기서는 페이지 넘김 롤러(161)는 마찰 접촉부(162)의 형상만을 도시하였다.
본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페이지 넘김 롤러가 통장(20)의 폭방향 중심에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각 롤러는 동일한 회전축(30)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한다. 마찰 접촉부(162a, 162b)는 반송 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마찰 접촉부(162a)는 내측을 소경, 외측을 대경으로 하는 테이퍼 형상을 이루고 있다. 페이지 넘김시에는 마찰 접촉부(162a)와 넘김 대상 페이지(22) 사이에 넘기는 힘(50a)이 발생한다. 넘기는 힘(50a)은 통장(20)의 반송 방향에 대해 경사 외측을 향하고 있고, 통장(20)의 페이지를 넘기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넘김 방향 성분(50a1)과 그에 직교하는 측방 성분(50a2)을 생기게 한다.
마찰 접촉부(162b)도 테이퍼 형상을 이루고 있고, 페이지 넘기는 힘(50b)을 생기게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마찰 접촉부(162b)의 테이퍼비와 마찰접촉부(162a)의 테이퍼비는 대략 동일하게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페이지 넘김 롤러는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고, 또한 테이퍼 형상이 마찰 접촉부(162a)와 대략 동일하게 하였으므로, 넘기는 힘(50a, 50b)의 크기는 대략 동등하다.
A5. 마찰 접촉부 :
도5는 페이지 넘김 롤러의 마찰 접촉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페이지 넘김 도중의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페이지 넘김 롤러를 화살표 B의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마찰 접촉부(162a, 162b)는 각각 넘기는 힘(50a, 50b)을 발생한다. 넘기는 힘(50a, 50b)은 넘김 대상 페이지(22)를 넘겨 올린다. 이 때, 측방 성분은 책자의 외측을 향해 페이지를 양단부로 인장하도록 작용한다. 이에 의해, 넘김 대상 페이지(22)의 중심 부근에 집중하는 강성 저항은 양측 자유단부 방향으로 해방된다.
A6. 페이지 바꾸기 처리 :
도6은 페이지 바꾸기 처리의 흐름도이다. 이미지 리더(116)에 의해, 페이지 바꾸기가 필요하다고 판단된 경우에 제어 유닛(110)이 실행하는 처리이다.
처리가 개시되면, 제어 유닛(110)은 반송 롤러(104, 165)를 구동하여 페이지 넘김용의 소정의 위치까지 통장을 반송한다(스텝 S10). 제어 유닛(110)은 통장이 소정의 위치로 반송된 것을 센서에 의해 검출하고(스텝 S11), 반송 롤러(165)를 제어하여 압박력을 강하게 하여 통장을 고정한다(스텝 S12).
다음에, 제어 유닛(110)은 페이지 넘김 롤러(161)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를 제어하여 페이지 넘김 롤러를 회전시킨다(스텝 S13). 페이지 넘김 롤러(161)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넘김 대상 페이지(22)는 페이지 넘김 롤러(161) 상으로 넘겨 올려진다(스텝 S14).
다음에, 제어 유닛(110)은 통장을 고정하고 있는 반송 롤러(165)를 제어하여 통장의 고정을 해방하고(스텝 S15), 통장을 역방향으로 반송한다. 이 반송에 의해, 넘김 대상 페이지(22)는 페이지 넘김 롤러(161)에 압박되어 페이지 바꾸기가 행해진다(스텝 S16).
A7. 페이지 넘김 롤러 동작도 :
도7의 (a) 내지 도7의 (d)는 페이지 바꿈시에 있어서의 페이지 넘김 롤러의 모습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측방으로부터 본 동작을 4단계로 나누어 모식적으로 도시하였다. 이 처리는 도6에 있어서의 스텝 S10 내지 S16까지의 처리이다. 페이지 넘김 롤러(161)의 동작 설명을 명료하게 하기 위해, 반송 롤러(165)는 도시하지 않는 것으로 하였다.
도7의 (a)에서는, 통장(20)은 화살표 C의 방향(순방향)으로 반송되어 고정된다. 페이지 넘김을 행하기 전의 페이지 넘김 롤러(161), 통장(20)의 상태를 도시하였다. 이 때, 페이지 넘김 롤러(161)의 코어부(163)가 넘김 대상 페이지(22)에 접촉하고 있다(스텝 S10 내지 S12).
다음에, 도7의 (b)에서는 제어 유닛(110)이 페이지 넘김 롤러(161)를 구동하는 모터를 제어하여 회전시키고, 마찰 접촉부(162)가 넘김 대상 페이지(22)에 접촉한 상태를 도시하였다(스텝 S13).
다음에, 도7의 (c)에서는 페이지 넘김 롤러(161)에 의해 넘김 대상페이지(22)가 넘겨 올려지는 상태를 도시하였다. 도5에 도시한 상태이다.
도7의 (d)에서는 페이지 넘김 롤러(161)가 회전을 계속하여 회전 전의 배치로 복귀하는 과정에서 넘김 대상 페이지(22)가 페이지 넘김 롤러(161) 상에 올려지는 상태를 도시하였다(스텝 S14). 페이지 넘김 처리가 종료되면, 제어 유닛(110)은 반송 롤러를 제어하여 화살표 D의 방향(역방향)으로 통장을 반송한다. 넘김 대상 페이지(22)는 통장(20)이 페이지 바꾸기 기구(160)로부터 배출되는 과정에서 페이지 넘김 롤러(161)에 압박되어 페이지 바꾸기가 종료된다.(스텝 S15 내지 S16)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상술한 페이지 넘김 롤러의 형상 및 배치로 함으로써, 페이지 넘김시의 구김이나 접힘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통장이 소정의 위치로 반송된 것을 센서에 의해 검출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예를 들어 통장의 사이즈와 반송 속도로부터 산출하는 등으로 해도 좋다. 또한, 예를 들어 통장을 고정하기 위해, 소정 위치의 전후 좌우에 스토퍼를 설치하는 것으로 해도 좋고, 통장의 상하로부터 협입하여 고정하는 고정부를 설치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본 실시예에서는 페이지 넘김 롤러의 회전 중심에 회전축 끼워 넣음부를 배치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예를 들어 마찰 접촉부와 코어부의 접합 부분에 배치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는, 회전축의 상하 이동을 가능하게 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실시예)
제1 실시예에서는 테이퍼 형상의 롤러에 의해, 넘기는 힘에 측방 성분을 생기게 하는 예를 나타냈다. 측방 성분은 롤러의 회전축에 각도를 갖게 함으로써 생기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8은 제2 실시예에 있어서의 페이지 넘김 롤러의 구성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3에 있어서, 페이지 바꾸기 기구(160)를 화살표 A의 방향(상부)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상, 마찰 접촉부(300a, 300b) 및 회전축(301a, 301b) 이외의 구성은 생략하였다.
제2 실시예에서는 페이지 넘김 롤러의 회전축(301a, 301b)이 교차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마찰 접촉부(300a, 300b)는 같은 직경을 갖는 원통 형상을 이루고 있다. 회전축(301b) 및 마찰 접촉부(300b)는 회전축(301a) 및 마찰 접촉부(300a)와 통장의 폭방향 중심에 대해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페이지 넘김 롤러가 회전하면, 회전축(301a, 301b)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넘기는 힘(310a, 310b)이 발생한다. 넘기는 힘(310a)은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넘기는 힘 방향 성분(310a1)과 측방 성분(310a2)으로 나누어진다. 넘기는 힘(310b)도 마찬가지이다.
이와 같은 배치 및 형상으로 함으로써, 제1 실시예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어, 페이지 넘김시에 발생하는「구김」,「접힘」등과, 그에 수반하는「넘김 실패」등의 일련의 문제점을 회피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변형예)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에서는 페이지 넘김 롤러를 통장의 폭방향 중심에 대해 대칭의 형상 및 배치로 하였지만, 예를 들어 롤러의 직경, 회전 속도 등에 차이를 갖게 해도 좋다. 이렇게 함으로써, 넘기는 힘의 방향 및 크기를 조절할 수 있어, 종이의 강성이 치우친 책자의 페이지 바꾸기 처리에도 대응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페이지 넘김 롤러에 의해, 페이지 넘김을 행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복수의 페이지 넘김 롤러를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예를 들어, 도9의 (a)와 같이 원통 형상을 한 페이지 넘김 롤러(401)의 양측에 테이퍼 형상을 한 테이퍼 롤러(400a, 400b)를 배치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 넘기는 힘(410a, 410b)은 반송 방향에 대해 외향 경사 방향, 즉 페이지의 강성 저항을 회피하는 방향과 반송 방향으로 발생하고, 넘기는 힘(411)은 반송 방향으로 발생한다.
또한, 롤러는 반드시 대칭이 아니라도 좋다. 한 쌍의 페이지 넘김 롤러의 테이퍼비를 다른 것으로 하거나, 형상을 다른 것으로 해도 좋다. 예를 들어, 도9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쪽의 페이지 넘김 롤러(500)를 원통 형상을 한 페이지 넘김 롤러로 하고, 한 쪽을 테이퍼 형상의 테이퍼 롤러(501)로 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 넘기는 힘(510)은 반송 방향으로 발생하고, 넘기는 힘(511)은 반송 방향에 대해 외향 경사 방향, 즉 페이지의 강성 저항을 회피하는 방향과 반송 방향으로 발생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페이지 넘김 롤러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회전축을 별개로 설치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렇게 함으로써, 롤러마다 회전 속도 및 넘기는 힘의 방향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들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그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구성을 채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이상의 제어 처리는 소프트웨어로 실현하는 것 외에, 하드웨어적으로 실현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실시예에서는 ATM에 조립된 통장 취급 기구로서의 태양을 예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통장 프린터 단을 부재로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예에서는 통장의 페이지 바꾸기 기구를 예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통장에 한정되지 않고 잡지, 서적 그 밖의 책자의 취급 기구에 일반적으로 적용 가능하다. 또한, 반드시 자동 거래 장치에 한정되지 않고, 스캐너나 팩시밀리 등의 자동 페이지 바꾸기를 필요로 하는 장치에 적용해도 좋다.
본 발명에 따르면, 페이지 넘김 롤러의 배치 및 형상을 제어하여 페이지의 강성 저항 등을 억제함으로써, 페이지 넘김시에 발생하는 구김, 부풀음 및 접힘 등의 문제를 회피하는 동시에, 이들의 문제로부터 연쇄적으로 발생하는 중복 및 넘김 실패를 회피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Claims (11)

  1. 책자의 페이지를 넘기는 책자 취급 장치이며,
    책자를 반송하는 반송 기구와,
    상기 책자의 페이지를 넘기는 페이지 넘김 기구와,
    상기 페이지 넘김 기구를 구동하는 구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페이지 넘김 기구는 회전시에 상기 책자의 페이지를 넘기는 방향으로 넘기는 힘을 가하는 복수의 페이지 넘김 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페이지 넘김 롤러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책자의 외측 측방 성분을 갖는 넘기는 힘을 부가하는 형상 및 배치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자 취급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지 넘김 롤러 중 적어도 하나가 테이퍼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자 취급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지 넘김 롤러의 상기 테이퍼 형상은 책자의 중심축을 향해 내측을 소경, 외측을 대경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자 취급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지 넘김 롤러는 상기 책자의 페이지와 접촉하는마찰 접촉부와, 상기 마찰 접촉부와 접합하는 코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자 취급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 접촉부는 고무 등의 고마찰 재질로 형성되어 중공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자 취급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지 넘김 기구는 한 쌍의 페이지 넘김 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페이지 넘김 롤러는 테이퍼 형상을 이루어,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자 취급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페이지 넘김 롤러의 각각의 테이퍼비를 대략 동일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자 취급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지 넘김 기구는 상기 페이지 넘김 롤러의 회전축 중 적어도 하나가 책자의 배송 방향에 대해 비스듬히 교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자 취급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지 넘김 기구는 한 쌍의 페이지 넘김 롤러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페이지 넘김 롤러는 회전축이 책자의 반송 방향에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자 취급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지 넘김 롤러에 포함되고 또한 상기 책자와 접촉하는 마찰 접촉부는 같은 직경을 갖는 원통 형상을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자 취급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페이지 넘김 롤러 각각의 롤러 직경 또는 회전 속도는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자 취급 장치.
KR1020030029204A 2002-05-10 2003-05-09 책자 취급 장치 KR1005491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135446A JP3742360B2 (ja) 2002-05-10 2002-05-10 冊子取扱装置
JPJP-P-2002-00135446 2002-05-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7961A true KR20030087961A (ko) 2003-11-15
KR100549134B1 KR100549134B1 (ko) 2006-02-03

Family

ID=29697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9204A KR100549134B1 (ko) 2002-05-10 2003-05-09 책자 취급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3742360B2 (ko)
KR (1) KR100549134B1 (ko)
CN (1) CN1204005C (ko)
TW (1) TWI239300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8618B1 (ko) * 2003-10-16 2011-0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세탁기의 가스켓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63127B2 (ja) * 2004-01-22 2008-10-08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冊子取扱装置における改頁機構
JP4169016B2 (ja) * 2005-06-20 2008-10-22 沖電気工業株式会社 媒体処理装置
JP2012059159A (ja) * 2010-09-13 2012-03-22 Hitachi Omron Terminal Solutions Corp 通帳類発行モジュール及び通帳類取扱装置
JP6621240B2 (ja) * 2015-01-23 2019-12-18 クローバー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用紙めくり装置および印刷装置
CN111845121A (zh) * 2020-08-27 2020-10-30 常州汉威信科技股份有限公司 证书打印设备及其工作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8618B1 (ko) * 2003-10-16 2011-0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세탁기의 가스켓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239300B (en) 2005-09-11
TW200407232A (en) 2004-05-16
CN1460599A (zh) 2003-12-10
CN1204005C (zh) 2005-06-01
JP3742360B2 (ja) 2006-02-01
KR100549134B1 (ko) 2006-02-03
JP2003326871A (ja) 2003-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252975A1 (en) Media transportation mechanism and a data processing apparatus having a media transportation mechanism
JPS6079998A (ja) 冊子類の頁めくり装置
JPH0891668A (ja) ドキュメント処理装置
KR100549134B1 (ko) 책자 취급 장치
KR920001669B1 (ko) 책자류 취급장치, 책자류의 페이지넘기는 방법 및 책자류 프린터
WO2009158484A2 (en) Document processing system having a turn-around loop with component repositioning
JP4533323B2 (ja) シート排出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EP0503476B1 (en) Booklet printer page turning means
KR101834494B1 (ko) 금융기기의 통장 페이지 자동 넘김 장치 및 방법
JPH10100515A (ja) セルフ・サービス・プリント装置
JP4076419B2 (ja) 媒体処理装置
JP2004054809A (ja) 紙葉類情報取得装置
JP5770076B2 (ja) 冊子状媒体処理装置
JP4602396B2 (ja) 媒体処理装置
JP3381293B2 (ja) 冊子類取扱い装置
JP2002087628A (ja) 自動取引装置および媒体処理装置
JP3756613B2 (ja) 冊子媒体取扱装置
JP2928633B2 (ja) 帳票類処理装置
WO2018154904A1 (ja) 情報読取機構および媒体処理装置
JP4239246B2 (ja) カード搬送機構
JPH025597B2 (ko)
JP2012148499A (ja) ページ捲りユニット、および記帳装置
JP2002234219A (ja) 帳票処理装置およびその印字制御方法
JPH02200497A (ja) 冊子類の頁捲り装置
JP4951277B2 (ja) 通帳処理装置、および取引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1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