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86225A - 전하 전송 장치 - Google Patents

전하 전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86225A
KR20030086225A KR10-2003-0014272A KR20030014272A KR20030086225A KR 20030086225 A KR20030086225 A KR 20030086225A KR 20030014272 A KR20030014272 A KR 20030014272A KR 20030086225 A KR20030086225 A KR 200300862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voltage
horizontal
signal
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42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43482B1 (ko
Inventor
다니모또다까시
Original Assignee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862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62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34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34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5/0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5/0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 H04N25/70SSIS architectures; Circuits associated therewith
    • H04N25/71Charge-coupled device [CCD] sensors; Charge-transfer registers specially adapted for CCD sens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 H01L27/144Devices controlled by radiation
    • H01L27/146Imager structures
    • H01L27/148Charge coupled imag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0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resistors or capacitors, e.g. potential divider
    • H02M3/0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resistors or capacitors, e.g. potential divider using capacitors charged and discharged alternately by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e.g. charge 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ransforming Light Signals Into Electric Signals (AREA)
  • Solid State Image Pick-Up Elements (AREA)

Abstract

촬상 장치의 저소비 전력화를 도모한다. 부유 확산(16)은 수평 전송부(1h)의 출력단에 형성되고, 수평 전송부(1h)를 통하여 전송되는 정보 전하를 1 패킷 단위로 축적한다. 제1 출력 증폭기(20)는 그 입력 단자가 부유 확산(16)에 접속되고, 부유 확산(16)의 전위 변동을 임피던스 변환하여 출력 신호 Y(t)를 생성한다. 제1 스위치 트랜지스터(21)는 전원 전압 VD및 제1 출력 증폭기(20) 사이에 접속된다. 제1 스위칭 트랜지스터(21)는 게이트로 제1 제어 신호 SC1을 받아 동작하고, 수직 동기 신호 VT 및 수평 동기 신호 HT 블랭킹 기간에 오프 상태로 된다.

Description

전하 전송 장치{CHARGE TRANSFER DEVICE}
본원 발명은 정보 전하를 패킷 단위로 전송 출력하고, 이 정보 전하를 전압값으로 변환하여 화상 신호로서 출력하는 전하 전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4는 종래의 촬상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여기에 나타내는 촬상 장치는 CCD 이미지 센서(1), 승압 회로(2), 레귤레이트 회로(3), 수직 드라이버 회로(4), 수평 드라이버 회로(5) 및 타이밍 제어 회로(6)로 구성된다.
CCD 이미지 센서(1)는, 예를 들면 프레임 전송형으로, 촬상부(1i), 축적부(1s), 수평 전송부(1h) 및 출력부(1d)로 구성된다. 촬상부(1i)는 복수의 수직 시프트 레지스터로 구성되고, 이들 수직 시프트 레지스터의 각 비트가 수광 화소를 형성하고 있다. 축적부(1s)는 촬상부(1i)를 구성하는 복수의 수직 시프트 레지스터의 각각에 연속하는 복수의 수직 시프트 레지스터로 구성된다. 수평 전송부(1h)는 축적부(1s)의 출력측에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는 단일의 시프트 레지스터로 이루어지고, 축적부(1s)를 구성하는 복수의 수직 시프트 레지스터의 각 출력을 각 비트로 받도록 구성된다. 출력부(1d)는 수평 전송부(1h)의 출력측에 형성되고, 수평 전송부(1h)로부터의 출력을 받는 캐패시터로서의 부유 확산 및 부유 확산에 축적된 전하를 받아들여 배출하는 리세트 드레인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승압 회로(2)는, 예를 들면 차지 펌프 방식을 채용하는 승압 회로로,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 전압 VD를 받아 승압하고, 승압 전압을 CCD 이미지 센서(1) 및 수직 드라이버 회로(5)에 공급한다. 이 승압 회로(2)는 정전압 차지 펌프(3) 및 부전압 차지 펌프(4)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정전압 차지 펌프(3)에서 플러스측의 승압 전압 VOH를 생성하고, 부전압 차지 펌프(4)에서 마이너스측의 승압 전압 VOL을 생성한다.
레귤레이트 회로(3)는 전원 전압 VD를 받아 소정의 조정 전압을 생성하고, 출력 VK로서 수평 드라이버 회로(5)로 출력한다. 이 레귤레이트 회로(2)에서는 공급되는 전원 전압 VD를 저항 분할한 분압 전압과 소정의 기준 전압 VR을 비교기로 비교하고, 비교기의 출력에 기초하여 조정 전압을 생성하도록 하고 있다. 레귤레이트 회로(2)에서는 다음 단의 수평 드라이버 회로(5)의 동작 전압에 맞게 조정 전압의 전압값이 설정되어 있으며, 전원 전압 VD를 수평 드라이버 회로(5)의 동작 전압으로까지 강압하는 형태로 출력 VK의 조정이 이루어진다.
수직 드라이버 회로(4)는 승압 회로(2)로부터 출력되는 승압 전압 VOL을 받아 동작하고, 프레임 전송 클럭 φf 및 수직 전송 클럭 φv를 생성하여 촬상부(1i) 및 축적부(1s)로 출력한다. 이 수직 드라이버 회로(4)에서 생성되는 프레임 전송 클럭 φf 및 수직 전송 클럭 φv는, 타이밍 제어 회로(6)에서 생성되는 수직 동기 신호 VT 및 수평 동기 신호 HT에 동기하여 생성된다.
수평 드라이버 회로(5)는 레귤레이트 회로(3)로부터 출력되는 조정 전압 VK를 받아 동작하고, 수평 전송 클럭 φh, 출력 클럭 φo 및 리세트 클럭 φr을 생성하여 수평 전송부(1h) 및 출력부(1d)로 출력한다. 이 수평 드라이버 회로(5)에서 생성되는 수평 전송 클럭 φh, 출력 클럭 φo 및 리세트 클럭 φr은 수평 동기 신호 HT에 동기하여 생성된다.
타이밍 제어 회로(7)는 일정 주기의 기준 클럭 CK를 카운트하는 복수의 카운터로 구성되고, 기준 클럭 CK를 소정의 비율로 분주하여 수직 동기 신호 VT 및 수평 동기 신호 HT를 생성한다. 또한, 타이밍 제어 회로(7)는 CCD 이미지 센서(1)로부터의 출력 신호에 대하여 소정의 신호 처리를 실시하는 신호 처리 회로(도시 생략)나 상술한 승압 회로(2) 및 레귤레이트 회로(3)에도 타이밍 신호를 공급하고 있으며, 각 회로의 동작을 CCD 이미지 센서(1)의 동작 타이밍에 동기시키도록 하고 있다.
도 5는 도 4의 동작을 설명하는 타이밍도이다. 프레임 전송 클럭 φf는 수직 동기 신호 VT의 블랭킹 기간에 클럭킹하도록 생성된다. 이에 의해, 소정의 축적 시간에 촬상부(1i)에 축적된 정보 전하가 축적부(1s)로 고속으로 일괄적으로 전송 출력된다. 수직 전송 클럭 φv는 프레임 전송 클럭 φf에 동기하여 생성됨과 함께, 수평 동기 신호 HT에 동기하여 생성된다. 이에 의해, 프레임 전송 클럭 φf에서 촬상부(1i)로부터 전송 출력되는 1화면분의 정보 전하가 축적부(1s)에 추적됨과 함께, 축적된 정보 전하가 1라인 단위로 순차적으로 수평 전송부(1h)로 전송 출력된다. 수평 전송 클럭 φh는 수평 동기 신호 HT에 동기하여, 축적부(1s)로부터 1라인분의 정보 전하가 전송 출력되는 기간에 클럭킹하도록 생성된다. 이에 의해, 축적부(1s)로부터 전송 출력된 정보 전하가 1패킷 단위로 순차적으로 출력부(1d)로 출력된다.
도 6은 출력부(1d)의 동작을 설명하는 타이밍도이다. 출력 클럭 φo는 수평 전송 클럭 φh에 동기하여 상승된다. 이에 의해, 수평 전송부(1h)로부터 전송 출력되는 1패킷분의 정보 전하가 출력부(1d)에 형성되는 부유 확산에 축적된다. 그리고, 부유 확산의 전위가 축적 전하량에 따라 변화하고, 이 변화분이 출력 증폭기로 추출되어, 화상 신호 Y(t)로서 출력된다. 이와 같이 부유 확산에 전하가 축적되는 기간에 대응하여 출력되는 화상 신호 Y(t)는 수광 영역에 결상된 피사체 화상의 휘도 레벨에 대응하는 신호 레벨로 된다. 리세트 클럭 φr은 정보 전하가 부유 확산에 추적되는 타이밍으로부터 소정 기간만큼 지연된 타이밍에서 상승된다. 이에 의해, 부유 확산에 축적된 정보 전하가 리세트 드레인에 저장되어 배출된다. 이 리세트 동작에 대응하는 기간에 출력되는 화상 신호 Y(t)는 리세트 레벨로 된다. 그리고, 신호 레벨과 리세트 레벨을 반복하는 화상 신호 Y(t)는 다음 단(次段)의 아날로그 신호 처리 회로에서 신호 레벨만이 추출되고, 또한 다음 단의 A/D 변환 회로, 디지털 신호 처리 회로로 출력된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은 촬상 장치는 휴대 전화기나 노트북 컴퓨터에 디지털 카메라로서 내장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전자 기기에 내장되는 타입의 촬상 장치에서는 전자 기기 전체로서의 전력 소비를 억제하기 위해서, 카메라 기능이 사용되지 않는 기간에 한해 촬상 장치로의 전력 공급을 정지하는 스탠바이 모드가 설정된다. 이 스탠바이 모드 시에는 전원 전압 VD자체는 승압 회로(2)나 레귤레이트 회로(3)로 공급되지만, 승압 회로(2)나 레귤레이트 회로(3)의 동작을 정지시킴으로써, 다음 단의 수직 드라이버 회로(4), 수평 드라이버 회로(5), 타이밍 제어 회로(6) 등에 동작 전압이 공급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전자 기기에 내장되는 촬상 장치에서는, 스탠바이 모드가 설정됨으로써, 카메라 기능을 사용하지 않을 때의 전력 소비가 저감화되어, 전자 기기 전체적으로 저소비 전력화가 도모되고 있다. 따라서, 저소비 전력화를 더욱 실현하기 위해서, 스탠바이 모드 시뿐만 아니라, 카메라 기능을 사용하고 있을 때의 촬상 장치 자체의 전력 소비의 저감화가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실정은 전자 기기에 내장되는 촬상 장치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배터리 구동형 디지털 카메라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고, 촬상 장치의 저소비 전력화는 중요한 과제로 되어있다.
도 1은 본원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단면도 및 회로도.
도 2는 도 1의 동작을 설명하는 타이밍도.
도 3은 제2 스위칭 트랜지스터(22)의 동작을 설명하는 타이밍도.
도 4는 종래의 촬상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5는 도 4의 동작을 설명하는 타이밍도.
도 6은 출력부의 동작을 설명하는 타이밍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CCD 이미지 센서
2 : 승압 회로
3 : 레귤레이트 회로
4 : 수직 드라이버 회로
5 : 수평 드라이버 회로
6 : 타이밍 제어 회로
10 : 실리콘 기판
11, 12 : 전송 전극
13 : 출력 게이트
14 : 리세트 트랜지스터
15 : 절연막
16 : 부유 확산
17 : 리세트 드레인
20 : 제1 출력 증폭기
21 : 제1 스위칭 트랜지스터
22 : 제2 스위칭 트랜지스터
23 : 제2 출력 증폭기
본원 발명은 상술한 과제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특징으로 하는 점은, 정보 전하를 패킷 단위로 전송 출력하고, 이 정보 전하를 전압값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전하 전송 장치에 있어서, 전송 출력되는 정보 전하를 축적하는 캐패시터와, 상기 정보 전하의 전송 동작에 동기하여 상기 캐패시터에 축적되는 정보 전하를 배출하는 리세트 드레인과, 제1 전압을 받아 동작하고, 상기 캐패시터의 전위를 추출하여 화상 신호로서 출력하는 출력 증폭기를 갖고, 수직 주사 및 수평 주사의 블랭킹 기간 내의 적어도 일부의 기간에 상기 출력 증폭기로의 상기 제1 전압의 공급을 정지하는데 있다.
이에 따르면, 수직 주사 및 수평 주사의 블랭킹 기간 내의 적어도 일부 기간에, 출력 증폭기에서 소비되는 전류 소비를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전하 전송 장치로서의 전력 소비량을 삭감시킬 수 있다.
〈실시예〉
도 1은 본원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으로, 단면도와 회로도와의 조합에 의해 나타낸다. 또, 도 1에서는 본원 발명의 전하 전송 장치의 전체 구성 중, 출력부의 구성만을 도시한 것으로, 여기에 도시되어 있지 않는 촬상부, 축적부에 대해서는 도 4에 도시하는 것과 동일하다.
실리콘 기판(10) 상에 복수의 전송 전극(11, 12)이 절연막(15)을 개재하여 다층 배치되어, 수평 전송부(1h)가 구성된다. 이 수평 전송부(1h)에 관해서는 도4에 도시하는 것과 동일 구성을 갖고 있으며, 각 전송 전극(11, 12)에 인가되는 수평 전송 클럭 φh1, φh2에 따라 전송 전극 아래에 형성되는 채널 영역 내를 통하여 정보 전하가 전송된다. 그리고, 수평 전송부(1h)의 출력단에는 전송 전극(11, 12)에 연속되도록, 출력 게이트 전극(13)이 형성된다. 수평 전송부(1h)의 출력측의 실리콘 기판(10)의 표면 영역에는 출력 게이트 전극(13)에 인접하도록, 부유 확산(16)이 형성되고, 수평 전송부(1h)로부터 전송 출력되는 정보 전하를 일시적으로 축적한다. 이 부유 확산(16)은 제1 출력 증폭기(20)의 입력 단자에 접속되고, 이에 의해 축적 전하량의 변화에 따른 부유 확산(16)의 전위 변동이 제1 출력 증폭기(16)로 전달된다. 또한, 부유 확산(16)으로부터 일정 거리를 둔 실리콘 기판(10)의 표면 영역에는, 소정의 전압 VRD(예를 들면, 전원 전압 VD)가 인가되는 리세트 드레인(17)이 형성된다. 이들 부유 확산(16) 및 리세트 드레인(17)은 모두 N형의 불순물 이온을 실리콘 기판(10)의 표면 영역에 고농도로 주입하여 형성된다. 부유 확산(16) 및 리세트 드레인(17) 사이의 영역에는 리세트 클럭 φr을 받는 리세트 전극(14)이 형성되고, 이에 의해 리세트 트랜지스터가 구성된다. 이 리세트 트랜지스터는, 리세트 클럭 φr에 응답하여 부유 확산(16)과 리세트 드레인(17) 사이를 도통하고, 부유 확산(16)에 축적되는 정보 전하를 리세트 드레인(17)으로 배출한다.
제1 출력 증폭기(20)는, 예를 들면 2단의 소스 폴로워 회로(20a, 20b)로 이루어지고, 1단째의 소스 폴로워 회로(20a)의 입력측으로 부유 확산(16)의 전위 변동을 받는다. 이 제1 출력 증폭기(20)는 전원 전압 VD를 받아 동작하고, 입력측으로 받는 부유 확산(16)의 전위 변동을 임피던스 변환하여 출력 신호를 얻는다. 각 소스 폴로워 회로(20a, 20b)는 전원 전압 VD의 입력 단자 및 접지점 사이에 2개의 MOS 트랜지스터가 직렬로 접속되고, 각각 전원측의 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를 입력으로 함과 함께, 양 MOS 트랜지스터의 접속점을 출력으로 하고, 접지측의 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공급되는 제어 전압 VC에 따라 이득이 설정된다. 이 제1 출력 증폭기(20)로부터는 부유 확산(16)의 전위 변동분에 따라 진폭하는 출력 신호 Y(t)가 구동 능력을 증폭시켜 출력된다.
제1 스위칭 트랜지스터(21)는 P 채널형의 MOS 트랜지스터로, 전원 전압 VD및 제1 출력 증폭기(20) 사이에 접속된다. 그리고, 기판 단자가 전원 전압 VD에 접속됨과 함께, 게이트로 제1 제어 신호 SC1을 받는다. 제2 스위칭 트랜지스터(22)는 P 채널형 MOS 트랜지스터이고, 전원 전압 VD및 리세트 드레인(17) 사이에 접속된다. 그리고, 기판 단자가 전원 전압 VD에 접속됨과 함께, 게이트로 제2 제어 신호 SC2를 받는다. 이들 제1 및 제2 스위칭 트랜지스터(21, 22)는 CCD 이미지 센서 주변의 수직 드라이버 회로 등에 내장된다.
제2 출력 증폭기(23)는 전원 전압 VD와 접지점 사이에 직렬로 접속되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및 저항 소자로 형성되는 에미터 폴로워 회로로 구성된다. 이제2 출력 증폭기(23)는 전원 전압 VD를 받아 동작하고, 입력측으로 받는 제1 출력 증폭기(20)의 출력 신호 Y(t)의 진폭에 따른 출력을 얻는다. 이 제2 출력 증폭기(23)로부터는 제1 출력 증폭기(20)의 출력에 대하여 구동 능력이 더욱 증폭된 출력 신호 Y(t)'가 출력된다.
계속해서, 도 1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동작을 설명하는 타이밍도로, 도 2에서, (H), (L)은, 각각 H 레벨, L 레벨을 나타낸다.
수직 동기 신호 VT 및 수평 동기 신호 HT는 일정 주파수의 기준 클럭 CK를 소정의 비율로 분주하여 생성된다. 예를 들면, NTSC 방식에 따르는 경우, 수평 동기 신호 HT는 신호 처리 과정에서 이용되는 색 부반송파의 주파수 3.58㎒의 4배의 주파수의 기준 클럭 CK를 1/910으로 분주함으로써 생성된다. 또한, 이 수평 동기 신호 HT를 2/525로 분주하여 수직 동기 신호 VT가 생성된다. 이들 수직 동기 신호 VT 및 수평 동기 신호 HT는, CCD 이미지 센서(1)의 수직 주사 및 수평 주사를 결정하는 것으로, 수직 동기 신호 VT이면, 그 1주기(1V)로 1화면분의 화상 신호 Y(t)의 출력 기간을 규정하고, 수평 동기 신호 HT이면, 그 1주기분(1H)으로 1라인분의 화상 신호 Y(t)의 출력 기간을 규정한다.
수평 전송 클럭 φh는 수평 동기 신호 HT에 동기하도록 생성되고, 수평 동기 신호 HT가 H 레벨을 나타내는 기간에 클럭킹된다. 이 수평 전송 클럭 φh는 그 클럭킹되는 기간에 1라인분의 정보 전하를 부유 확산(16)으로 순차적으로 1패킷 단위로 전송 출력한다. 그리고, 출력 클럭 φo 및 리세트 클럭 φr로 부유 확산(16)으로의 전하 축적과 리세트 드레인(17)으로의 전하 배출이 교대로 반복되어, 결과적으로 1H의 기간에 1라인분의 화상 신호 Y(t)를 출력한다.
제1 제어 신호 SC1은 제1 스위칭 트랜지스터(21)의 동작을 제어하는 신호이고, 예를 들면 타이밍 제어 회로(6)에서 생성된다. 이 제1 제어 신호 SC1은 수직 동기 신호 VT 및 수평 동기 신호 HT에 대응하여 생성되는 것이고, 수평 동기 신호 HT 및 수직 동기 신호 VT가 H 레벨을 나타내는 기간에 따라 L 레벨로 강하되고, 수평 동기 신호 HT 및 수직 동기 신호 VT가 L 레벨을 나타내는 블랭킹 기간에 따라 H 레벨로 상승된다. 이에 의해, 제1 스위칭 트랜지스터(21)가 수평 동기 신호 HT 및 수직 동기 신호 VT의 블랭킹 기간에 맞춰 오프 상태로 된다. 또한, 제1 제어 신호 SC1은 그 하강 타이밍에서, 블랭킹 기간의 종료 타이밍에 대하여 소정 기간의 마진 S가 설정된다. 이 때문에, 제1 스위칭 트랜지스터(21)는 화상 신호 Y(t)의 출력 개시 타이밍에 앞서 온 상태로 된다.
제2 제어 신호 SC2는 제2 스위칭 트랜지스터(22)의 동작을 제어하는 신호이고, 제1 제어 신호 SC2와 마찬가지로, 예를 들면 타이밍 제어 회로(6)에서 생성된다. 이 제2 제어 신호 SC2는 촬상 장치의 동작 및 정보 전하의 출력 패킷 수에 대응하여 생성되는 것으로, 촬상 장치가 스탠바이 모드이고, 또한 1화면분의 화상 신호 Y(t)의 출력이 완료되었을 때에 한해 H 레벨로 상승된다. 따라서, 도 2에 도시하는 기간에는 항상 L 레벨로 강하되고 있으며, 제2 스위칭 트랜지스터(22)는 촬상 장치가 동작 상태에 있는 기간에 항상 온 형태로 된다.
이와 같이 수직 동기 신호 VT 및 수평 동기 신호 HT에 맞춰 제1 스위칭 트랜지스터(21)를 동작시킴으로써, 제1 및 제2 출력 증폭기(20, 23)에의 전원 공급을 간헐적으로 행할 수 있다. 즉, 화상 신호 Y(t)의 출력 기간에 한해 제1 스위칭 트랜지스터(21)를 온 상태로 함으로써, 제1 및 제2 출력 증폭기(20, 23)에의 효율적인 전원 공급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의해, 제1 및 제2 출력 증폭기(20, 23)에서 불필요한 전류 소비가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촬상 장치로서의 전력 소비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화상 신호 Y(t)의 출력 개시의 타이밍에 앞서, 제1 스위칭 트랜지스터(21)를 온 상태로 함으로써, 제1 및 제2 출력 증폭기(20, 23)에 대하여 전압이 충분히 상승한 동작 전압을 공급할 수 있다.
도 3은 제2 스위칭 트랜지스터(22)의 동작을 설명하는 타이밍도이다. 도 3에서, (H), (L)은 도 2와 마찬가지로, 각각 H 레벨, L 레벨을 나타내는 것이다.
촬상 장치가 동작 상태인 타이밍 t0∼타이밍 t1에서, 화상 신호 Y(t)는 1라인 단위로 순차적으로 출력된다. 제2 제어 신호 SC2는 항상 L 레벨로 강하되어 있으며, 이 때문에 이 기간에는 제2 스위칭 트랜지스터(22)가 온 상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리세트 드레인(17)에는 소정의 전위로 상승된 리세트 전압 VRD가 인가된다.
촬상 장치가 스탠바이 모드로 설정되는 타이밍 t1∼타이밍 t2에서는, CCD 이미지 센서(1)에 대하여 공급되는 각 클럭 펄스의 생성이 정지되고, 이에 따라 화상 신호 Y(t)의 출력도 정지된다. 이 때, 화상 신호 Y(t)의 출력이 1화면분 완료되어 있으면, 제2 제어 신호 SC2는 H 레벨로 상승되고, 이에 따라 제2 스위칭 트랜지스터(22)가 오프 상태로 된다. 이에 의해, 리세트 드레인(17)에의 리세트 전압 VRD의 공급이 정지되고, 리세트 드레인(17)의 전압이 서서히 강압한다. 또, 1화면분의 화상 신호 Y(t)의 출력이 완료되어 있는 경우에 한해 제2 스위칭 트랜지스터(21)를 오프 상태로 하는 것은, 리세트 전압 VRD의 공급이 정지했을 때에 리세트 드레인(17)에 잔류하는 배출 전하가 수평 전송부측이나 축적부측에 유입되어 정보 전하에 혼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스탠바이 모드로 이행했을 때에, 촬상부나 축적부에 정보 전하를 축적하고 있는 상태이면, 제2 스위칭 트랜지스터(22)는 오프 상태로 되지 않는다.
그리고, 촬상 장치가 다시 동작 상태로 되는 타이밍 t2 이후에는 화상 신호 Y(t)의 출력이 개시됨과 함께, 제2 제어 신호 SC2가 L 레벨로 강하된다. 이에 의해, 다시 제2 스위칭 트랜지스터(22)가 온 상태로 되어, 리세트 드레인(17)으로의 리세트 전압 VRD의 공급이 개시된다.
이와 같이 제2 스위칭 트랜지스터(22)를 일시적으로 오프 상태로 하여, 리세트 전압 VRD의 공급을 간헐적으로 함으로써, 리세트 드레인(17)으로의 효율적인 전압 공급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의해, 촬상 장치에서서의 불필요한 전력 소비를 더 억제할 수 있어, 특히 촬상 장치의 탑재를 원하는 전자 기기의 저소비 전력화에 대하여 유효하게 된다.
이상,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원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다. 본원 발명에 따르면, 수직 주사 및 수평 주사의 블랭킹 기간 내의 적어도 일부 기간에제1 및 제2 출력 증폭기(20, 23)에 대한 전원 공급을 정지함으로써, 화상 신호 Y(t)의 출력 기간과 무관한 기간에 전력 소비가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촬상 장치에서의 저소비 전력화를 도모할 수 있음과 함께, 이것을 탑재하는 전자 기기 전체에서의 저소비 전력화도 가능하게 된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프레임 전송형의 CCD 이미지 센서를 예시하였지만, 본원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즉, 수평 전송부로부터 전송 출력되는 정보 전하를 출력부에서 전압값으로 변환하는 구성이면, 충분히 적용 가능하고, 전송 방식이 다른 인터 라인형, 또는 프레임 인터 라인형이어도 유효하다.
또한, 제1 및 제2 스위칭 트랜지스터(21, 22)에 대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CCD 이미지 센서 주변의 드라이버 회로 등에 내장되는 구성으로 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즉, 제1 및 제2 스위칭 트랜지스터(21, 22)가 CCD 이미지 센서와 마찬가지의 MOS 구성이면, CCD 이미지 센서에 내장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본원 발명에 따르면, 수직 주사 및 수평 주사의 블랭킹 기간 내의 적어도 일부 기간에 출력 증폭기로의 전원 공급을 정지함으로써, 화상 신호의 출력 기간과 무관한 기간에 전력 소비가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촬상 장치의 저소비 전력화를 도모할 수 있다.

Claims (4)

  1. 정보 전하를 패킷 단위로 전송 출력하고, 이 정보 전하를 전압값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전하 전송 장치에 있어서,
    전송 출력되는 정보 전하를 축적하는 캐패시터와,
    상기 정보 전하의 전송 동작에 동기하여 상기 캐패시터에 축적되는 정보 전하를 배출하는 리세트 드레인과,
    제1 전압을 받아 동작하고, 상기 캐패시터의 전위를 추출하여 화상 신호로서 출력하는 출력 증폭기
    를 포함하며,
    수직 주사 및 수평 주사의 블랭킹 기간 내의 적어도 일부 기간에 상기 출력 증폭기로의 상기 제1 전압의 공급을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하 전송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증폭기는 수직 주사 및 수평 주사 중 적어도 1개의 블랭킹 기간의 종료 전에 상기 제1 전압의 공급이 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하 전송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압 및 상기 출력 증폭기 사이에 접속되고, 상기 수직 주사 및 수평 주사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여 동작하는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을특징으로 하는 전하 전송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트 드레인은 상기 제1 전압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제2 전압이 인가되고, 상기 정보 전하의 소정의 패킷의 전송 출력이 완료된 후에 상기 제2 전압의 공급이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하 전송 장치.
KR1020030014272A 2002-03-08 2003-03-07 전하 전송 장치 KR1005434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063610 2002-03-08
JP2002063610A JP2003264745A (ja) 2002-03-08 2002-03-08 電荷転送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6225A true KR20030086225A (ko) 2003-11-07
KR100543482B1 KR100543482B1 (ko) 2006-01-20

Family

ID=27784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4272A KR100543482B1 (ko) 2002-03-08 2003-03-07 전하 전송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317483B2 (ko)
JP (1) JP2003264745A (ko)
KR (1) KR100543482B1 (ko)
CN (1) CN1242487C (ko)
TW (1) TWI22486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55148B2 (ja) * 2003-02-28 2009-10-2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の駆動方法
US7709777B2 (en) * 2003-06-16 2010-05-04 Micron Technology, Inc. Pumps for CMOS imagers
JP2005340475A (ja) * 2004-05-26 2005-12-08 Sony Corp 固体撮像装置
JP4641166B2 (ja) * 2004-09-15 2011-03-02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の電荷転送デバイスおよび固体撮像装置の電荷転送デバイスの駆動方法
KR100664554B1 (ko) * 2005-11-02 2007-01-03 엠텍비젼 주식회사 인코딩된 데이터 전달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촬상장치
TWI474597B (zh) * 2006-05-31 2015-02-21 Intersil Americas LLC 用於轉移電荷的裝置
CN102725637B (zh) 2010-01-25 2015-02-25 松下健康医疗控股株式会社 在自组装单层上固定a蛋白的方法
WO2012029202A1 (en) 2010-08-30 2012-03-08 Panasonic Corporation A method for immobilizing streptavidin on a self-assembled monolayer
CN103124786A (zh) 2010-10-19 2013-05-29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将葡萄糖氧化酶固定在自组装膜上的方法
TW201404152A (zh) 2012-05-11 2014-01-16 Sony Corp 攝像裝置及攝像方法、電子機器及程式
CN117423310B (zh) * 2023-12-19 2024-04-26 维信诺科技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及其驱动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63584B2 (ja) 1995-11-30 2002-03-04 三洋電機株式会社 撮像装置
US6686957B1 (en) * 1999-03-31 2004-02-03 Cirrus Logic, Inc. Preview mode low resolution output system and method
JP2002223393A (ja) * 2000-11-27 2002-08-09 Sanyo Electric Co Ltd 電荷転送素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444286A (zh) 2003-09-24
US20030169358A1 (en) 2003-09-11
TW200304225A (en) 2003-09-16
KR100543482B1 (ko) 2006-01-20
JP2003264745A (ja) 2003-09-19
CN1242487C (zh) 2006-02-15
US7317483B2 (en) 2008-01-08
TWI224864B (en) 2004-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1269B1 (ko) 고체 촬상 장치, 광센서 및 고체 촬상 장치의 동작 방법
JP4442590B2 (ja) 固体撮像素子およびその駆動装置、撮像装置、並びに、固体撮像素子の駆動方法
JPH10248035A (ja) ブルーミング防止構造を備えた固体撮像素子のダイナミックレンジ拡大方法
KR100543482B1 (ko) 전하 전송 장치
KR100411212B1 (ko) 전하 전송 소자
US20070081087A1 (en) Solid-state imaging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JP2006042120A (ja) 増幅型固体撮像装置
JPH05103272A (ja) Ccd型固体撮像素子
KR100306305B1 (ko) 고체촬상소자및방법
JP3579993B2 (ja) 固体撮像装置
US9083902B2 (en) Camera system and method of driving a solid-state imaging apparatus
KR20020035761A (ko) 승압 시스템 및 이것을 구비한 촬상 장치
JP2000134546A (ja) 固体撮像素子の駆動方法
KR100249890B1 (ko) 고체촬상장치
US20030133031A1 (en) Method for reducing shutter latency while maintaining low dark current in an imager and minimizing energy consumption
JP2002290836A (ja) 固体撮像素子及びその駆動方法
JP3939064B2 (ja) Ccd駆動装置
JP3321887B2 (ja) 電荷転送装置
JP5067414B2 (ja) 固体撮像素子の駆動装置、画像入力装置および固体撮像素子の駆動方法
KR100331850B1 (ko) 고체 촬상 소자
JP2004140660A (ja) 電荷転送素子及び撮像装置
JP2006157142A (ja) 固体撮像装置
JPH11205686A (ja) 半導体回路
JP2001218119A (ja) Ccd駆動装置
JP2002374458A (ja) Ccd型固体撮像素子を用いたカメ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