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81441A - 휴대형 누설 검출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형 누설 검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81441A
KR20030081441A KR10-2003-7010599A KR20037010599A KR20030081441A KR 20030081441 A KR20030081441 A KR 20030081441A KR 20037010599 A KR20037010599 A KR 20037010599A KR 20030081441 A KR20030081441 A KR 200300814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information
data
microphone
portable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105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61759B1 (ko
Inventor
나가세마모루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티엘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티엘브이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티엘브이
Publication of KR200300814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14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17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17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38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ligh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00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 G01M1/14Determining imbalance
    • G01M1/16Determining imbalance by oscillating or rotating the body to be tested
    • G01M1/22Determining imbalance by oscillating or rotating the body to be tested and converting vibrations due to imbalance into electric variables
    • G01M1/225Determining imbalance by oscillating or rotating the body to be tested and converting vibrations due to imbalance into electric variables for vehicle whee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G01M3/2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vibr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G01M3/2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vibrations
    • G01M3/243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vibrations for pip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 Recording Measured Values (AREA)
  • Testing Of Short-Circuits, Discontinuities, Leakage,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AREA)
  • Emergency Protection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관한 휴대형 누설 검출 장치(100)는 누설 개소의 탐지 작업을 용이하게 하여, 그 작업 능률을 높이기 위한 것이며, 유체 누설 개소에서의 발생 초음파를 검출하는 마이크로폰(3), 탐색 구역 내에서의 마이크로폰(3)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탐지한 누설 개소의 위치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 수단(17), 상기 누설 개소를 촬영하는 촬상 수단(21), 입력 수단(17)에 의해 입력한 위치 정보 및 촬상 수단(21)에 의해 촬영하여 얻은 누설 개소의 화상 정보(62)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수단(19), 및 동일한 누설 개소에 대한 마이크로폰(3)의 출력 데이터와 입력 수단(17)에 의한 입력 위치 정보와 촬상 수단(21)에 의한 촬영 화상 정보(62)를 관련지어 보관하는 데이터 처리 수단(17)을 구비한 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형 누설 검출 장치 {PORTABLE LEAK DETECTOR}
종래, 이 종류의 휴대형 누설 검출 장치로는 유체 누설 개소에서의 발생 초음파를 검출하는 하나의 지향성 마이크로폰과, 그 마이크로폰의 출력 신호를 처리하여 얻은 초음파 검출 데이터를 디지털 표시나 막대 그래프 표시 등으로 가시적으로 표시하는 표시 수단을 장비한 것이 있다(예를 들면, 일본 특개평7-253377호 공보 참조).
이 종래 장치에서는 가청 대역 발생음의 검출에 의해 누설 개소를 탐지하는 장치로는 탐지할 수 없는 매우 미소한 누설 개소도 발생 초음파의 검출에 의해 탐지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초음파 검출 데이터를 가시적으로 표시하거나 이어폰 등을 이용하여 초음파 검출 데이터를 가청적으로 출력한다고 하더라도, 비가청인 발생 초음파를 이용하여 누설 개소를 탐지하는 기능이 얻어지는 것에 지나지 않는다. 즉, 탐지한 미소한 누설 개소의 존재 위치나 주위 상황을 일일이 기록하는 등의 부대 작업에 관해서는 작업자에게 상당한 수고와 부담을 부과시키고 있다. 이러한 점에 대해, 배관류나 기기류가 혼입된 광범위한 탐색 구역 내를 이동하면서 미소한 누설 개소를 차례로 탐지하는 사용 형태가 많은 휴대형의 누설 검출 장치는, 전체적인 작업의 용이화 및 작업 능률의 향상을 도모하는 데에 있어서 아직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
이 실정을 감안하여, 본 발명의 주된 과제는 합리적인 장치 구성에 의해, 누설 개소의 탐지 및 그것에 수반하는 부대 작업을 포함한 전체적인 탐지 작업의 용이화 및 그 작업 능률의 향상을 효과적으로 실현하는 점에 있다.
본 발명은 플랜트나 공장 등에서 배관 시스템이나 용기 등에서의 유체 누설 개소를 탐지하는 데 이용하는 휴대형의 누설 검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유체 누설 개소에서의 발생 초음파를 검출하는 마이크로폰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누설 개소를 탐지하는 휴대형 누설 검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탐지 작업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누설 개소의 탐지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휴대형 검출기의 후단 확대도이다.
도 5는 휴대형 검출기의 선단 확대도이다.
도 6은 지향 범위의 상태도이다.
도 7은 데이터 입력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위치 정보 입력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위치 정보 입력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연산 조건 입력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연산 조건 입력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촬영 화상 정보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촬영 화상 정보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구역도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구역도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보고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장치의 블럭도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관한 휴대형 누설 검출 장치의 제1 특징 구성은 유체 누설 개소에서의 발생 초음파를 검출하는 마이크로폰, 탐색 구역 내에서의 상기 마이크로폰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탐지한 누설 개소의 위치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 수단, 그 누설 개소를 촬영하는 촬상 수단, 상기 입력 수단에 의해 입력한 위치 정보 및 상기 촬상 수단에 의해 촬영하여 얻은 누설 개소의 화상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수단, 및 동일한 누설 개소에 대한 상기 마이크로폰의 출력 데이터와 상기 입력 수단에 의한 입력 위치 정보와 상기 촬상 수단에 의한 촬영 화상 정보를 관련지어 보관하는 데이터 처리 수단을 구비하는 점에 있다.
즉, 이 구성에 의하면, 입력 수단에 의해 위치 정보를 입력하는 동시에, 촬상 수단에 의해 누설 개소를 촬영하여, 탐지한 누설 개소의 위치 및 주위 상황을 보수 작업자에의 연락이나 관리자에의 보고 등의 목적으로 용이하고 또한 정확하게기록할 수 있다.
또, 동일한 누설 개소에 대한 마이크로폰의 출력 데이터(즉, 초음파 검출 데이터)라고 입력 수단에 의한 입력 위치 정보와 촬상 수단에 의한 촬영 화상 정보가 데이터 처리 수단에 의해 서로 관련지어져 보관된다. 따라서, 탐색 구역 내에 존재하는 복수의 누설 개소를 차례로 탐지하여 가는 사용 형태에 있어서, 수집 데이터(출력 데이터, 입력 위치 정보, 촬영 화상 정보) 간의 대응 관계가 불명확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수집 데이터의 보관 처리를 용이하게 능률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이후에서의 수집 데이터의 인출이나 데이터 이용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또, 입력 수단에 의해 입력한 위치 정보 및 촬상 수단에 의해 촬영하여 얻은 누설 개소의 화상 정보를 디스플레이 수단에 의해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입력 위치 정보나 촬영 화상 정보를 수집 데이터로서 보관함에 있어서, 이들 입력 위치 정보나 촬영 화상 정보가 누설 개소의 위치나 주위 상황을 파악하는 데에 있어서 적절한 것인지 아닌지, 잘못된 입력이나 잘못된 촬영이 없는지 어떤지를 그 자리에서 디스플레이 수단에 의해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적절한 위치 정보 및 화상 정보를 수집 데이터로서 보관할 수 있어, 이들 입력 위치 정보나 촬영 화상 정보의 보관 이후에서의 누설 개소의 위치의 파악이나 주위 상황의 파악을 보다 확실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상기 구성에 의하면, 누설 개소의 탐지 및 그것에 수반하는 부대 작업을 포함한 전체적인 탐지 작업의 용이화 및 그 작업 능률의 향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다.
또,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은 입력한 위치 정보 및 촬영하여 얻은 누설 개소의 화상 정보의 표시 외에, 입력과정에 있는 위치 정보의 모니터 표시나 촬영하려고 하는 누설 개소의 모니터 표시도 합쳐서 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마이크로폰의 출력 데이터, 입력 수단에 의한 입력 위치 정보, 촬상 수단에 의한 촬영 화상 정보 등의 수집 데이터의 보관 그 자체는 휴대형의 누설 검출 장치 자체 또는 그것과의 데이터 교환이 가능한 고정 장치의 어디에서든지 행하도록 해도 되며, 상기 데이터 처리 수단은 동일 누설 개소에 대한 수집 데이터를 휴대형 누설 검출 장치 자체 또는 고정 장치에 보관함에 있어서, 그 수집 데이터의 링크를 행하는 것이면 된다.
또, 마이크로폰으로는 지향성을 가지는 것을 이용한 쪽이 누설 개소의 특성에 유리하지만, 지향성이 없는 것이라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지향성 마이크로폰을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폰의 지향 방향과 촬상 수단의 촬영 방향을 동일 방향에서 대략 평행 또는 마이크로폰의 지향 방향에서의 소정의 위치(예를 들면, 마이크로폰의 감도나 촬상 수단의 촬영 범위 등을 고려하여 설정됨)에서 교차하도록 구성하는 등으로 하여, 마이크로폰의 지향 방향 상의 소정 범위내의 위치가 촬상 수단으로 촬영한 화상 정보 화면 상에서의 중심 등의 소정의 위치 상에 촬영되도록 구성하고, 또한 그 위치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수단의 위치에 표시 등을 설치함으로써 그 화상 정보 화면 상의 소정의 위치에 촬영된 누설의 상세 위치를 명확하고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휴대형 누설 검출 장치의 제2 특징 구성은, 상기의 제1 특징 구성을 가지는 휴대형 누설 검출 장치의 실시에 바람직한 실시예를 특정하는 것이며, 그 제1 특징 구성에 더하여, 상기 촬상 수단에 의해 촬영하여 얻은 누설 개소의 화상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에 의해 표시한 상태에서 그 표시 화면 중에 누설 상세 위치를 나타내는 마크를 부여하는 상세 위치 마킹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데이터 처리 수단이 이 상세 위치 마킹 수단에 의해 부여된 마크의 표시 화면 중의 지시 위치를 대응의 촬영 화상 정보와 관련지어 보관 상태로 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점을 특징으로 한다.
즉, 이 구성에 의하면, 촬상 수단에 의해 촬영하여 얻은 누설 개소의 화상 정보를 디스플레이 수단에 의해 표시한 상태에서 그 표시 화면 중에 누설 상세 위치를 나타내는 마크를 부여하므로, 그 마크를 디스플레이 수단에 의해 누설 개소의 화상 정보를 확인하면서 적절한 위치에 정확하고 또한 용이하게 부여할 수 있다.
그리고, 이 마크의 표시 화면 중의 지시 위치가 데이터 처리 수단에 의해 대응의 촬영 화상 정보와 관련지어져 보관됨으로써 이후에, 그 촬영 화상 정보(누설 개소를 어느 정도 큰 범위로 촬영한 화상 정보)에 의해 누설 개소의 위치 및 주위 상황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면서, 합쳐서, 화상 정보에 관련지어져 보관된 마크 지시 위치에 의해, 누설의 상세 위치도 그 화상 정보 화면 상에서 명확하고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어, 이들 점에서 한층 기능성 및 편리함이 우수한 휴대형 누설 검출 장치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휴대형 누설 검출 장치의 제3 특징 구성은 상기의 제1또는 제2 특징 구성을 가지는 휴대형 누설 검출 장치의 실시에 바람직한 실시예를 특정하는 것이며, 상기 제1 또는 제2 특징 구성에 더하여, 상기 입력 수단으로서, 탐색 구역의 구역도 화상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에 의해 표시한 상태에서 그 표시 화면 중에 누설 개소의 위치를 나타내는 마크를 부여하는 구역도용 마킹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데이터 처리 수단이 이 구역도용 마킹 수단에 의해 부여한 마크의 표시 화면 중의 지시 위치를 상기 위치 정보로서, 동일 누설 개소에 대한 상기 마이크로폰의 출력 데이터 및 상기 촬상 수단에 의한 촬영 화상 정보와 관련지어 보관 상태로 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점을 특징으로 한다.
즉, 이 구성에 의하면, 탐색 구역의 구역도 화상 정보를 디스플레이 수단에 의해 표시한 상태에서 그 표시 화면 중에 누설 개소의 위치를 나타내는 마크를 부여하기 때문에, 전술한 누설 상세 위치를 나타내는 마크와 마찬가지로, 그 마크를 디스플레이 수단에 의해 탐색 구역의 구역도 화상 정보를 확인하면서 적절한 위치에 정확하고 또한 용이하게 부여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 처리 수단에 의해, 이 마크의 표시 화면 중의 지시 위치가 상기 위치 정보로서, 동일 누설 개소에 대한 마이크로폰의 출력 데이터 및 촬상 수단에 의한 촬영 화상 정보와 관련지어져 보관된다. 따라서 이후에서, 누설 개소의 화상 정보에 의해 누설 개소의 위치 및 주위 상황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것 외에, 탐색 구역 내에서의 누설 개소의 위치(즉, 누설 개소의 화상 정보보다도 축척을 크게 한 장면에서의 누설 개소 위치)도 그 보관된 마크 지시 위치에 의해 구역도 화상 정보 상에서 명확하고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점에서 한층 기능성 및 편리함이 우수한 휴대형 누설 검출 장치가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휴대형 누설 검출 장치의 제4 특징 구성은 상기 제3 특징 구성을 가지는 휴대형 누설 검출 장치의 실시에 바람직한 실시예를 특정하는 것이며, 그 제3 특징 구성에 더하여, 상기 촬상 수단에 의해 촬영하여 얻은 탐색 구역의 화상 정보를 상기 구역도용 마킹 수단에 의한 마크 부여에 이용하는 구역도 화상 정보로서 보관하는 구역도 화상 정보 보관 수단을 구비하는 점을 특징으로 한다.
즉, 이 구성에 의하면, 누설 개소를 촬영하는 상기 촬상 수단을 이용하여 탐색 구역의 화상 정보 입력도 행할 수 있기 때문에, 탐색 구역도의 화상 정보 입력을 별도의 전용 화상 입력 수단을 이용하여 하는 것에 비해 필요 장치의 수를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장치 전체적인 취급을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장치 비용도 저가로 할 수 있다. 또, 일련의 탐지 작업에 들어 갈 때에 휴대하고 있는 누설 개소 촬영용 촬상 수단을 이용하여 탐색 구역도의 화상 정보 입력을 행할 수 있음으로써 탐색 구역도의 화상 정보 입력 작업 그 자체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휴대형 누설 검출 장치의 제5 특징 구성은 상기의 제1 내지 제4의 특징 구성을 가지는 휴대형 누설 검출 장치의 실시에 바람직한 실시예를 특정하는 것이며, 그 제1 내지 제4의 특징 구성에 더하여, 상기 입력 수단으로서, 복수의 위치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에 의해 표시한 상태로 이들 표시 데이터 중에서 대응의 누설 개소에 해당되는 것을 선택시키는 위치 데이터 선택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데이터 처리 수단이 이 위치 데이터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한위치 데이터를 상기 위치 정보로서, 동일 누설 개소에 대한 상기 마이크로폰의 출력 데이터 및 상기 촬상 수단에 의한 촬영 화상 정보와 관련지어 보관 상태로 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점을 특징으로 한다.
즉, 이 구성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수단에 의해 표시된 복수의 위치 데이터 중에서 대응의 누설 개소에 해당되는 것을 선택하는 것만으로, 누설 개소의 위치 정보의 입력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누설 개소의 탐지 및 그에 수반되는 부대 작업을 포함한 전체적인 탐지 작업의 용이화 및 그 작업 능률의 향상을 한층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휴대형 누설 검출 장치의 제6 특징 구성은 상기의 제5 특징 구성을 가지는 휴대형 누설 검출 장치의 실시에 바람직한 실시예를 특정하는 것이며, 그 제5 특징 구성에 더하여, 상기 위치 데이터 선택 수단에 의한 데이터 선택에 이용하는 위치 데이터를 편집 수단에 의한 재기록이 가능한 상태로 보관하는 위치 데이터 보관 수단을 구비하는 점을 특징으로 한다.
즉, 이 구성에 의하면, 위치 데이터 선택 수단에 의한 데이터 선택에 이용하는 위치 데이터를 일련의 탐지 작업에 앞서, 대상으로 삼는 탐색 구역이나 탐지 대상으로 삼는 누설 개소의 종류 등에 대응하여 적절하게 재기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한 바와 같이 위치 데이터의 선택에 의해 위치 정보의 입력을 용이하게 하면서도, 누설 개소의 위치 정보로서 대상 탐색 구역이나 탐지 대상으로 삼는 누설 개소의 종류에 의거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이 점에서 기능성, 편리함, 범용성에 한층 우수한 휴대형 누설 검출 장치가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휴대형 누설 검출 장치의 제7 특징 구성은 유체 누설 개소에서의 발생 초음파를 검출하는 마이크로폰과, 탐색 구역의 구역도 화상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수단과, 탐색 구역 내에서의 상기 마이크로폰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고 탐지한 누설 개소의 위치를 나타내는 마크를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의 표시 화면 중에 부여하는 구역도용 마킹 수단과, 동일한 누설 개소에 대한 상기 마이크로폰의 출력 데이터와 상기 구역도용 마킹 수단에 의해 부여된 마크의 표시 화면 중의 지시 위치를 관련지어 보관하는 데이터 처리 수단을 구비하는 점을 특징으로 한다.
즉, 이 구성에 의하면, 상기 제3 특징 구성을 가지는 휴대형 누설 검출 장치와 마찬가지로, 탐색 구역의 구역도 화상 정보를 디스플레이 수단에 의해 표시한 상태에서 그 표시 화면 중에 탐지한 누설 개소의 위치를 나타내는 마크를 부여하므로, 그 마크를 디스플레이 수단에 의해 탐색 구역의 구역도 화상 정보를 확인하면서 적절한 위치에 정확하고 용이하게 부여할 수 있다.
그리고, 이 마크의 표시 화면 중의 지시 위치가 탐지한 누설 개소의 위치 정보로서 보관됨으로써 이후에서, 보수 작업자나 관리자는 탐색 구역 내에서의 누설 개소의 위치를 그 보관된 마크 지시 위치에 의해 구역도 화상 정보 상에서 명확하고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 동일한 누설 개소에 대한 마이크로폰의 출력 데이터와 상기 마크의 표시 화면 중의 지시 위치가 데이터 처리 수단에 의해 서로 관련지어져 보관되므로, 탐색 구역 내에 존재하는 복수의 누설 개소를 차례로 탐지하여 가는 사용 형태에 있어서, 수집 데이터(출력 데이터 및 마크 지시 위치) 간의 대응 관계가 불명확해지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따라서 수집 데이터의 보관 처리를 용이하고 또한 능률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이후에서의 수집 데이터의 인출이나 데이터 이용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상기 구성에 의하면, 누설 개소의 탐지 및 그에 수반되는 부대 작업을 포함한 전체로서의 탐지 작업의 용이화 및 그 작업 능률의 향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다.
또, 마이크로폰의 출력 데이터, 상기 마크의 지시 위치 등의 수집 데이터의 보관 그 자체는 휴대형의 누설 검출 장치 자체 또는 그것과의 데이터 교환이 가능한 고정 장치 어디에서라도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처리 수단은 동일 누설 개소에 대한 수집 데이터를 휴대형 누설 검출 장치 자체 또는 고정 장치에 보관함에 있어서, 그 수집 데이터의 링크를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휴대형 누설 검출 장치의 제8 특징 구성은 상기 제7 특징 구성을 가지는 휴대형 누설 검출 장치의 실시에 바람직한 실시예를 특정하는 것이며, 그 제7 특징 구성에 더하여, 촬상 수단에 의해 촬영하여 얻은 탐색 구역의 화상 정보, 또는 스캐너에 의해 받아들인 탐색 구역도의 화상 정보, 또는 화상 기억 매체로부터 인출한 탐색 구역도의 화상 정보를 상기 구역도용 마킹 수단에 의한 마크 부여에 이용하는 구역도 화상 정보로서 보관하는 구역도 화상 정보 보관 수단을 구비하는 점을 특징으로 한다.
즉, 이 구성에 의하면, 촬상 수단에 의한 촬영, 또는 스캐너에 의한 취입,또는 화상 기억 매체로부터의 인출에 의해, 탐색 구역도의 화상 정보 입력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구역도용 마킹 수단에 의한 마크 부여에 이용하는 것이 가능한 상태의 구역도 화상 정보를 일련의 탐지 작업에 앞서 화상 작성 수단에 의해 일일이 작성하는 등에 비해 탐색 구역도의 화상 정보 입력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체적인 탐지 작업의 용이화 및 그 작업 능률의 향상을 한층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다.
또, 상기 제8 특징 구성을 가지는 휴대형 누설 검출 장치의 실시에 있어, 촬상 수단에 의한 촬영, 스캐너에 의한 취입, 화상 기억 매체로부터의 인출 중, 2가지 이상의 방식 중 어떠한 것에 의해서도 탐색 구역도의 화상 정보 입력을 행할 수 있도록 하면, 한층 편리함이 우수한 휴대형 누설 검출 장치가 될 수 있다.
또, 촬상 수단에 의해 촬영하여 얻은 탐색 구역의 화상 정보나 스캐너에 의해 받아들인 탐색 구역도의 화상 정보, 또는 화상 기억 매체로부터 인출한 탐색 구역도의 화상 정보를 구역도 화상 정보 보관 수단에 보내는 통신 수단에는 유선 형식 또는 무선 형식 중 어느 하나를 채용할 수도 있으며, 또한 인터넷망 등의 통신회선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휴대형 누설 검출 장치의 제9 특징 구성은 상기 제1 내지 제8 특징 구성을 가지는 휴대형 누설 검출 장치의 실시에 바람직한 실시예를 특정하는 것이며, 상기 제1 내지 제8 특징 구성에 더하여, 연산 조건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에 의해 표시한 상태로 이들 표시 데이터 중에서 대응의 누설개소에 해당되는 것을 선택시키는 연산 조건 데이터 선택 수단과,
동일한 누설 개소에 대한 상기 마이크로폰의 출력 데이터와 상기 연산 조건 데이터 선택 수단에 의한 선택 데이터에 따라서 대응 누설 개소에서의 유체 누설량을 연산하는 연산 수단을 구비하는 점을 특징으로 한다.
즉, 이 구성에 의하면, 연산 수단에 의한 연산에 의해 얻어지는 각 누설 개소에서의 유체 누설량에 의해, 누설의 진행 정도나 보수의 긴급성 또는 또 유체 누설에 의한 경제적 손실도나 관련 설비에의 영향도 등, 초음파 검출에 의한 단순한 누설 개소의 탐지만으로서는 판단할 수 없는 것의 판단도 가능하게 되어, 이 점에서 한층 기능성 및 편리함이 우수한 휴대형 누설 검출 장치가 될 수 있다.
그리고 또, 디스플레이 수단에 의해 표시된 복수 또는 단수의 연산 조건 데이터 중에서 대응의 누설 개소에 해당되는 것을 선택하는 것만으로, 연산 조건의 입력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것에 의해, 상기 한 바와 같이 유체 누설에 대한 판단 면에서 높은 기능성 및 편리함을 얻으면서, 누설 개소의 탐지 및 그것에 수반하는 부대 작업을 포함한 전체로서의 탐지 작업의 용이화 및 그 작업 능률의 향상 또한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휴대형 누설 검출 장치의 제10 특징 구성은 상기의 제9 특징 구성을 가지는 휴대형 누설 검출 장치의 실시에 바람직한 실시예를 특정하는 것이며, 그 제9 특징 구성에 더하여, 상기 연산 조건 데이터 선택 수단에 의한 데이터 선택에 이용하는 연산 조건 데이터를 편집 수단에 의한 재기록이 가능한 상태로 보관하는 연산 조건 데이터 보관 수단을 구비하는 점을 특징으로 한다.
즉, 이 구성에 의하면, 연산 조건 데이터 선택 수단에 의한 데이터 선택에 이용하는 연산 조건 데이터를 일련의 탐지 작업에 앞서, 대상으로 삼는 탐색 구역이나 탐지 대상으로 삼는 누설 개소의 종류 등에 대응하여 적절하게 재기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한 바와 같이 연산 조건 데이터의 선택에 의해 연산 조건의 입력을 용이하게 하면서도, 유체 누설량의 연산 조건으로서 대상 탐색 구역이나 탐지 대상으로 삼는 누설 개소의 종류에 의거한 조건을 입력할 수 있다. 또, 그 것으로 유체 누설량의 연산 정밀도도 높일 수 있어, 이 점에서 기능성, 편리함, 범용성에 한층 우수한 휴대형 누설 검출 장치가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휴대형 누설 검출 장치의 제11 특징 구성은 유체 누설 개소에서의 발생 초음파를 검출하는 복수의 지향성 마이크로폰을 그들의 지향 범위에 공통의 중복 부분이 생기는 상태로 동일 방향으로 다각형의 정점 위치에 분산 배치하는 동시에, 광 빔의 출사 광원을 상기 마이크로폰 지향 범위의 공통 중복 부분에 대하여 광 빔을 출사하는 상태로 마이크로폰 지향 방향으로 볼 때 상기 다각형의 내측부에 배치되어 있는 점을 특징으로 한다.
즉, 이 구성에 의하면, 복수의 지향성 마이크로폰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탐지되는 누설 개소에 광 빔이 조사되는 상태로 된다. 따라서 마이크로폰 및 광 빔 출사 광원을 장비하는 장치의 자세를 변화시켜 복수 마이크로폰의 지향 방향을 변화시키면서 이들 마이크로폰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누설 개소를 탐지함에 있어서, 광 빔이 조사된 포인트를 그 시점의 탐지 대상 개소로서 명확하게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어, 복수 마이크로폰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누설 개소를 탐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순히 마이크로폰의 출력 신호에만 근거하여 누설 개소를 탐지하는 것에 비해 누설 개소의 탐지를 용이하게 능률적으로 할 수 있다.
또, 탐지한 누설 개소 위치의 기록에 관해서도, 광 빔의 조사 포인트의 육안에 의한 누설 개소의 명확한 육안 확인에 따라, 탐지 누설 개소에 표시를 부여하는 방식이나, 탐지한 누설 개소를 거기에 위치하는 광 빔 조사 포인트와 동시에 촬상 수단으로 촬영하는 방식 등에 의해, 광 빔 조사 포인트를 이용하여 탐지 누설 개소의 위치를 정확하고 또한 용이하게 기록할 수 있다.
그리고 또, 복수의 지향성 마이크로폰을 그들의 지향 범위에 공통의 중복 부분이 생기는 상태로 동일 방향으로 다각형의 정점 위치에 분산 배치하는 동시에, 광 빔의 출사 광원을 마이크로폰 지향 범위의 공통 중복 부분(즉, 복수의 마이크로폰에 의한 초음파 검출에 있어서, 그 검출 감도가 가장 높아지는 부분)에 대하여 광 빔을 출사하는 상태로 마이크로폰 지향 방향으로 볼 때 상기 다각형의 내측부에 배치하는 구성에 의해, 복수 마이크로폰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탐지한 누설 개소(즉, 복수 마이크로폰에 의한 초음파 검출값이 피크가 되는 개소)와 광 빔 조사 포인트의 위치 일치 정밀도를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다. 이에 따라, 광 빔을 이용한 상기의 같은 누설 개소 탐지의 용이화 및 위치 기록의 용이화를 한층 효과적으로 촉진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상기 구성에 의하면, 누설 개소의 탐지 및 그에 수반되는 부대 작업을 포함한 전체적인 탐지 작업의 용이화 및 그 작업 능률의 향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다. 또, 이 제11 특징 구성을 상기 제1 내지 제10 중 어느 하나의 특징 구성과 조합하여 실시하면, 전체적인 탐지 작업의 용이화 및 그 작업 능률의 향상을 더욱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다.
또, 동일 방향으로 다각형의 정점 위치에 분산 배치하는 복수의 마이크로폰은 그들의 지향 범위에 공통의 중복 부분이 생기는 배치이기만 하면, 반드시 엄밀한 평행 방향으로 배치할 필요는 없고, 예를 들면, 각 마이크로폰이 내측 방향 또는 외측 방향으로 다소 경사지는 배치가 될 수도 있다.
또, 복수의 마이크로폰을 다각형의 정점 위치에 분산 배치하는 동시에, 그 다각형의 내측부에 광 빔의 출사 광원을 배치하는 데 있어서는 정다각형의 정점 위치에 마이크로폰을 배치하고, 그리고 마이크로폰 지향 방향으로 볼 때 그 정다각형의 중심 위치 근방에 광 빔의 출사 광원을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이 배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도 2에 있어서, 참조 부호 100은 휴대형의 누설 검출 장치이며, 이 검출 장치(100)는 주체 장치로서의 건(gun) 형상의 휴대형 검출기(1) 및 그 휴대형 검출기(1)에 장착한 휴대형 컴퓨터(2)를 구비하고 있다.
도 3,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휴대형 검출기(1)의 선단부에는 유체 누설 개소에서의 발생 초음파를 검출하는 지향성 마이크로폰(3) 및 광 빔 출사 광원(4)을 배치하고, 휴대형 검출기(1)의 후단부에는 초음파 검출값(구체적으로는 검출한 초음파의 음압(音壓))을 막대 그래프 표시와 디지털 표시로써 나타내는 표시부(5) 및 각종 키(6)가 배치되어 있고, 또한 이 휴대형 검출기(1)에는 검출 초음파를 가청화한 탐지음을 출력하는 이어폰(7)이 접속되어 있다.
또, 이 지향성 마이크로폰(3)은 그 자체에 지향성을 가지는 마이크로폰, 또는 감음부의 주위에 통형체가 설치되는 것에 의해 지향성을 구비한 마이크로폰을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형 검출기(1)에는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증폭부(8), 필터부(9), 검파부(10), 정류부(11)를 통하여 마이크로폰(3)의 출력 신호가 입력되고, 이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초음파 검출값을 표시부(5)에 표시하는 동시에 가청화한 탐지음을 이어폰(7)에 출력시키는 연산부(12), 및 각종 데이터류를 보관하는 기억부(13)가 장비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마이크로폰(3)이 그들의 지향 범위(40)에 공통의 중복 부분(41)이 생기는 상태가 되도록, 정다각형(45)(본 예에서는 정육각형)의 정점 위치에 동일 방향으로 분산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대하여, 광 빔 출사 광원(4)이 마이크로폰 지향 범위(40)의 공통 중복 부분(41)에 대하여 광 빔을 출사하는 상태가 되도록, 마이크로폰 지향 방향으로 볼 때 상기 정다각형(45)의 중심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휴대형 검출기(1)의 선단 방향을 변화시켜 마이크로폰(3)의 지향 방향을 변화시키면서, 출력되는 초음파 검출값 및 탐지음에 기초하여 누설 개소를 탐지함에 있어서, 광 빔의 조사 포인트를 확인함으로써, 그 시점의 탐지 대상 개소를 점차 명확하게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누설 개소의 탐지를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초음파 검출 감도(즉, 증폭부(8)에서의 신호 증폭도)는 키(6) 조작에 의해 설정 변경할 수 있고, 또한 그 설정 감도는 초음파 검출값과 동시에 표시부(5)에 표시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누설 개소를 탐지했을 때 키(6)조작을 함으로써 연산부(12)는 그 누설 개소에서의 마이크로폰 출력 데이터로서의 그 누설 개소에서의 초음파 검출값을 그 누설 개소에 대한 부여 관리번호를 이용하여 그 때의 설정 감도와 링크하여, 그 설정 감도와 동시에 기억부(13)에 보관한다.
참조 부호 14는 선단에 작은 개구(15)를 형성한 원추형의 캡이다. 누설 개소라고 생각되는 개소를 탐지했을 때에는 필요에 따라, 이 캡(14)을 휴대형 검출기(1)의 선단부에 장착하고, 복수 마이크로폰(3)의 전체적인 지향성을 강하게 한 상태로 누설 개소에 접근시켜, 그 때의 초음파 검출값 및 탐지음에 의해 누설 개소를 확인한다.
참조 부호 16은 방아쇠와 동일한 조작 형태로 조작하는 전원 스위치이며, 이 전원 스위치(16)를 ON 조작하면 초음파 검출 상태로 들어간다. 또, 광 빔 출사의 ON/OFF는 키(6)조작에 의해 한다.
휴대형 컴퓨터(2)는 도 1,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산부(17) 및 기억부(18)와 동시에 디스플레이 화면(19) 및 각종 키(20)를 구비하고, 또, 소형 디지털 카메라(21)의 장착이 가능한 것이며, 이 휴대형 컴퓨터(2)는 장착구(22)에 의해 휴대형 검출기(1)의 상부에 착탈 및 자세 조정 가능하게 장착되고, 또한 유선 내지 무선의 통신 수단(23)에 의해 휴대형 검출기(1)와의 사이에서 통신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탐지 작업에 있어서는 먼저, 이 휴대형 컴퓨터(2)에 장착의 카메라(21)에 의해 탐색 구역(예를 들면 공장이나 플랜트에서의 일부 구역)의 구역도를 촬영하고, 이 촬영한 구역도 화상 정보(61)(도 14 및 도 15에 나타내는 같은 화상)를 휴대형컴퓨터(2)의 기억부(18)에 보관한다.
그 후, 탐색 구역 내를 이동하면서,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휴대형 검출기(1)를 이용하여 초음파 검출값 및 탐지음에 기초하여 누설 개소의 탐지를 행하고, 누설 개소가 발견되면 그 누설 개소에서의 초음파 검출값을 전술한 바와 같이 키(6) 조작에 의해 휴대형 검출기(1)의 기억부(13)에 보관한다.
이 보관 조작을 하면, 휴대형 검출기(1)의 연산부(12)는 휴대형 컴퓨터(2)의 연산부(17)를 호출한다. 그것에 응답하여, 휴대형 컴퓨터(2)의 연산부(17)는 관리번호에 의해 관련지어져 휴대형 검출기(1)의 기억부(13)에 보관된 초음파 검출값 및 설정 감도를 판독하는 동시에, 도 7에 나타내는 같은 데이터 입력 화면(51)을 디스플레이 화면(19)에 표시하고, 그 데이터 입력 화면(51) 중에 그 누설 개소에 대한 관리번호, 초음파 검출값, 설정 감도, 및 검출 일시를 표시한다.
또, 데이터 입력 화면(51)에서의 키 조작에 의해 누설량의 연산이 지시되면, 연산부(17)는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연산 조건 입력 화면(52)을 디스플레이 화면(19)에 표시하고, 이 연산 조건 입력 화면(52)에 있어서, 거리, 타입, 방향, 유체의 각 항목에 관하여 그 누설 개소에 대한 연산 조건이 입력되면, 연산부(17)는 그 누설 개소의 초음파 검출값이라고 입력된 연산 조건에 근거하여, 그 누설 개소에서의 유체 누설량을 산출하고, 그 산출 누설량을 연산 조건 입력 화면(52)에 표시한다.
또, 상기 항목에 있어서, 거리는 누설점과 검출기(1)의 이격 거리, 타입은 누설이 있었던 배관 부재 등의 종류, 방향은 누설점에 대한 초음파 검출 방향, 유체는 누설 유체의 종류를 의미한다.
연산 조건 입력 화면(52)에서의 조건 입력 시, 타입, 방향, 유체의 각 항목에 관해서는 화면(52)에서의 키 조작에 의해 일람 표시가 지시되면, 연산부(17)는 각 항목에 대해 개별적으로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산 조건 데이터의 일람(풀-다운 메뉴)을 화면(52)에 표시하고, 이 일람 중에서 대응의 누설 개소에 해당하는 연산 조건 데이터가 선택되면, 연산부(17)는 그 선택 데이터를 입력 연산 조건으로서 상기의 연산을 실행한다.
일람 중의 연산 조건 데이터는 일련의 탐지 작업에 앞서 호스트 컴퓨터(24)에서 전용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작성한 것을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선 내지 무선의 통신 수단(25)에 의해 호스트 컴퓨터(24)로부터 휴대형 컴퓨터(2)에 보내어 휴대형 컴퓨터(2)의 기억부(18)에 보관한 것이며, 동일한 조작에 의해 대상으로 삼는 탐색 구역이나 탐지 대상으로 삼는 누설 개소의 종류 등에 대응하여 수시로 재기록할 수 있다.
누설량의 연산 기능은 휴대형 컴퓨터(2)를 휴대형 검출기(1)로부터 분리하여 휴대형 검출기(1)의 단독 사용으로 누설 개소의 탐지를 하는 경우에도 누설량의 연산을 행할 수 있도록 휴대형 검출기(1)에도 구비시켜 놓는다. 그리고, 초음파 검출값을 휴대형 검출기(1)의 기억부(13)에 보관할 때, 표시부(5)에서 입력 데이터를 확인하면서, 키(6) 조작에 의해 각 항목에 대해 연산 조건이 입력되면, 휴대형 검출기(1)의 연산부(12)는 초음파 검출값이라고 입력된 연산 조건에 근거하여 유체 누설량을 산출하고, 그 산출 누설량을 표시부(5)에 표시하는 동시에, 그 산출 누설량과 초음파 검출값과 설정 감도를 대응의 누설 개소에 대한 부여 관리번호에 의해 링크하고 기억부(13)에 보관한다.
또, 휴대형 컴퓨터(2)를 휴대형 검출기(1)에 장비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한 바와 같이 휴대형 검출기(1) 측에서 누설량의 연산을 한 경우, 휴대형 컴퓨터(2)의 연산부(17)는 휴대형 검출기(1)의 기억부(13)에 보관된 초음파 검출값 및 설정 감도를 판독할 때, 산출 누설량도 합쳐서 휴대형 검출기(1)의 기억부(13)로부터 판독한다. 그리고, 휴대형 컴퓨터(2) 측 내지 휴대형 검출기(1) 측에서 연산된 누설량은 그 누설 개소에 대한 관리번호, 초음파 검출값, 설정 감도, 검출 일시와 동시에 상기 데이터 입력 화면(51)에 표시된다.
데이터 입력 화면(51)에 있어서, 그 화면(51)에서의 키 조작에 의해 위치 정보 입력 화면의 표시가 지시되면, 연산부(17)는 도 8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위치 정보 입력 화면(53)을 디스플레이 화면(19)에 표시하고, 이 위치 정보 입력 화면(53)에서는 A, B, C의 각 항목(도면에서는 「Title A」, 「Title B」, 「Title C」라고 기재되어 있음)에 관하여, 그 누설 개소에 대한 위치 정보가 입력된다. 또, 이 위치 정보 입력 화면(53)에서의 정보 입력 시, A, B, C의 각 항목에 대해 화면(53)에서의 키 조작에 의해 일람 표시가 지시되면, 연산부(17)는 각 항목에 대해 개별적으로 도 9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위치 데이터의 일람(풀-다운 메뉴)을 화면(53) 중에 표시하고, 이 일람 중에서 대응의 누설 개소에 해당하는 위치 데이터가 선택되면, 연산부(17)는 그 선택 데이터를 누설 개소에 대한 입력 위치 정보로 한다.
일람 중의 위치 데이터 및 A, B, C 항목의 항목명은 상기 연산 조건 데이터와 마찬가지로, 일련의 탐지 작업에 앞서 호스트 컴퓨터(24)에서 전용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작성한 것을 휴대형 컴퓨터(2)의 기억부(18)에 보관한 것이며, 대상으로 삼는 탐색 구역이나 탐지 대상으로 삼는 누설 개소의 종류 등에 대응하여 수시로 재기록할 수 있다.
또, 일람 중의 위치 데이터로는 누설 개소의 위치 좌표 정보나, 누설 개소가 존재하는 공장명이나 설비명이나 구획명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입력 화면(51)에 있어서, 그 화면(51)에서의 키 조작에 의해 구역도의 표시가 지시되면, 연산부(17)는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구역도 화면(54)을 디스플레이 화면(19)에 표시하고, 기억부(18)에 보관된 구역도 화상 정보(61)를 그 구역도 화면(54)에 표시한다. 그리고, 이 표시된 구역도 화상 정보(61) 상에서 누설 개소의 위치를 지시하는 마킹 조작을 소정의 조작 순서대로 하면, 연산부(17)는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의 구역도 화상 정보(61) 중에 누설 개소의 위치를 나타내는 마크 Ma(본 예에서는 지시 위치를 중심으로 하는 동그라미 표시)가 부여된다.
또한, 마킹 조작으로는 키 조작 등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화면(19) 상에 있어 누설 개소의 위치에 포인터를 이동시키고 지시하는 조작, 또는 터치 패널식으로 구성된 디스플레이 화면(19) 상의 누설 개소의 위치를 펜 끝 등으로 접촉하여 지시하는 조작 등이 있다.
또한 마찬가지로, 휴대형 컴퓨터(2)에 장착된 카메라(21)에 의해 누설 개소가 촬영된 뒤에, 데이터 입력 화면(51)에 있어서, 그 화면(51)에서의 키 조작에 의해 촬영 화상 정보의 표시가 지시되면, 연산부(17)는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촬영 화상 정보 화면(55)을 디스플레이 화면(19)에 표시하고, 누설 개소의 화상 정보(62)를 그 촬영 화상 정보 화면(55)에 표시한다. 그리고, 이 표시된 촬영 화상 정보(62) 상에서 누설의 상세 위치를 지시하는 마킹 조작을 소정의 조작순서대로 하면, 연산부(17)는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되어 있는 촬영 화상 정보(62) 중에 누설 상세 위치를 나타내는 마크 Mb(본 예에서는 지시 위치를 중심으로 하는 동그라미 표시)가 부여된다.
그리고, 연산부(17)는 상기의 각 화면 51∼55에서의 입력이 확정되면, 그 누설 개소에 대한 초음파 검출값, 설정 감도, 누설량, 검출 일시, 입력 위치 정보, 입력 연산 조건, 표시한 구역도 화상 정보(61) 중의 마크 Ma의 지시 위치, 촬영 화상 정보(62), 및 표시한 누설 개소의 화상 정보(62) 중의 마크 Mb의 지시 위치를 그 누설 개소에 부여한 관리번호에 의해 링크하고 기억부(18)에 보관한다.
즉, 탐색 구역 내를 이동하여 누설 개소를 순차 탐지하여 가는 것에 있어서, 누설 개소의 각각에 대하여 상기의 처리 조작을 함으로써 각 누설 개소에 대한 수집 데이터(각 누설 개소의 관리번호에 의해 관련지어진 동일 누설 개소에 대한 초음파 검출값, 설정 감도, 누설량, 검출 일시, 입력 위치 정보, 입력 연산 조건, 마크 Ma의 지시 위치, 촬영 화상 정보(62), 마크 Mb의 지시 위치)가 휴대형 컴퓨터(2)의 기억부(18)에 축적된다.
일련의 탐지 작업을 완료하면, 연산 조건 데이터나 위치 데이터 기록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휴대형 컴퓨터(2)의 기억부(18)에 보관된 수집 데이터 군을 유선 내지 무선의 통신 수단(25)에 의해 호스트 컴퓨터(24) 측으로 끌어내고, 이 호스트 컴퓨터(24)에서 전용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도 16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보고서(30)(초음파 검출값, 누설량, 검출 일시, 누설 위치 정보 등의 문서 데이터와 함께 마크 Ma를 가지는 구역도 화상 정보(61) 및 마크 Mb를 가지는 누설 개소 화상(62)을 소정의 서식으로 게재한 각 누설 개소에 대한 보고서(30))를 작성한다.
또, 휴대형 검출기(1)에 대해서도 그 단독 사용의 경우를 위해 호스트 컴퓨터(24)와의 사이에서 유선 내지 무선 통신이 가능하게 되어 있어, 휴대형 검출기(1)의 기억부(13)에 보관된 수집 데이터를 호스트 컴퓨터(24) 측으로 직접 인출하거나, 휴대형 검출기(1)의 기억부(13)에 대하여 여러 가지 데이터를 호스트 컴퓨터(24)로부터 직접 기록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이상, 본 실시예에 있어서, 휴대형 컴퓨터(2)에 장착된 카메라(21)는 누설 개소를 촬영하는 촬상 수단을 구성하고, 휴대형 컴퓨터(2)의 디스플레이 화면(19)은 입력 수단에 의해 입력한 위치 정보 및 촬상 수단에 의해 촬영하여 얻은 누설 개소의 화상 정보(62)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수단을 구성한다.
그리고, 휴대형 컴퓨터(2)의 연산부(17)는 소정의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촬상 수단에 의해 촬영하여 얻은 누설 개소의 화상 정보(62)를 디스플레이 수단에 의해 표시한 상태에서 그 표시 화면 중에 누설 상세 위치를 나타내는 마크 Mb를 부여하는 상세 위치 마킹 수단, 탐색 구역의 구역도 화상 정보(61)를 디스플레이 수단에 의해 표시한 상태에서 그 표시 화면 중에 누설 개소의 위치를 나타내는 마크 Ma를 부여하는 구역도용 마킹 수단, 복수의 위치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수단에 의해 표시한 상태로 이들 표시 데이터 중에서 대응의 누설 개소에 해당되는 것을 선택시키는 위치 데이터 선택 수단으로서 기능하고, 이 구역도용 마킹 수단 및 위치 데이터 선택 수단 등에 의하여, 마이크로폰(3)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탐지한 누설 개소의 위치 정보를 입력하는 상기 입력 수단이 구성된다.
또, 휴대형 컴퓨터(2)의 연산부(17)는 소정의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복수 또는 단수의 연산 조건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수단에 의해 표시한 상태로 이들 표시 데이터 중에서 대응의 누설 개소에 해당하는 것을 선택시키는 연산 조건 데이터 선택 수단, 및 동일한 누설 개소에 대한 마이크로폰의 출력 데이터와 연산 조건 데이터 선택 수단에 의한 선택 데이터에 따라서 대응 누설 개소에서의 유체 누설량을 연산하는 연산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휴대형 컴퓨터(2)의 연산부(17)는 소정의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동일한 누설 개소에 대한 마이크로폰의 출력 데이터, 촬상 수단에 의한 촬영 화상 정보(62), 위치 데이터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한 위치 데이터(입력 위치 정보), 구역도용 마킹 수단에 의해 부여된 마크 Ma의 표시 화면에서의 지시 위치(입력 위치 정보), 상세 위치 마킹 수단에 의해 부여된 마크 Mb의 표시 화면에서의 지시 위치, 및 연산 수단에 의해 연산된 유체 누설량을 관련지어 보관하는 데이터 처리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또, 휴대형 컴퓨터(2)의 연산부(17)는 소정의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촬상 수단에 의해 촬영하여 얻은 탐색 구역의 화상 정보를 구역도용 마킹 수단에 의한 마크 부여에 이용하는 구역도 화상 정보(61)로서 기억부(18)에 보관하는 구역도 화상 정보 보관 수단, 위치 데이터 선택 수단에 의한 데이터 선택에 이용하는 위치 데이터를 편집 수단에 의한 재기록이 가능한 상태로 기억부(18)에 보관하는 위치 데이터 보관 수단, 및 연산 조건 데이터 선택 수단에 의한 데이터 선택에 이용하는 연산 조건 데이터를 편집 수단에 의한 재기록이 가능한 상태로 기억부(18)에 보관하는 연산 조건 데이터 보관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그리고, 통신 수단(25)에 의해 휴대형 컴퓨터(2)와의 사이에서 통신이 가능한 호스트 컴퓨터(24)는 소정의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위치 데이터 선택 수단에 의한 데이터 선택에 이용하는 위치 데이터 및 연산 조건 데이터 선택 수단에 의한 데이터 선택에 이용하는 연산 조건 데이터를 재기입하는 편집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이 편집 수단을 휴대형 컴퓨터(2)의 연산부(17)에 기능시켜도 상관없다.
(다른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촬상 수단은 일반적인 소형 디지털 카메라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비디오 카메라나 적외선 카메라 등의 암소(暗所) 촬영이 가능한 카메라, 또는 엑스레이 카메라 등의 투시 촬영이 가능한 카메라가 될 수도 있고, 또한 촬상 수단 모두 플래시를 부가적으로 장비하거나, 어두운 누설 개소를 조명하기 위한 조명구를 부가적으로 장비할 수도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 수단 및 촬상 수단을 구비하는 휴대형 컴퓨터(2)를 휴대형 검출기(1)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는 장치 구성을 나타내었지만, 디스플레이 수단 및 촬상 수단 중 어느 한 쪽 또는 양쪽을 휴대형 검출기(1)에 일체로 장비한 장치 구성이나, 디스플레이 수단 및 촬상 수단 중 어느 한 쪽 또는 양쪽을 유선 내지 무선의 통신 수단에 의해 휴대형 검출기(1)와의 사이에서 통신이 가능하게 한 상태로 휴대형 검출기(1)와는 분리시킨 장치 구성을 채용할 수도 있다. 또, 휴대형 컴퓨터(2)가 촬상 수단과 디스플레이 수단과의 양쪽을 내장한 장치 구성을 채용할 수도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휴대형 컴퓨터(2)의 기억부(18)에 축적 보관한 복수 누설 개소에 대한 수집 데이터를 일괄해서 호스트 컴퓨터(24) 측으로 인출하도록 했지만, 휴대전화 기능이나 PHS전화 기능 등을 이용하여 일련의 탐지 작업 중에 누설 개소의 수집 데이터를 수시로 호스트 컴퓨터(24) 측으로 보내는 장치 구성이어도 되고, 또한 반대로 휴대전화 기능이나 PHS전화 기능 등을 이용하여 여러 가지 데이터를 호스트 컴퓨터(24)의 측으로부터 휴대형 누설 검출 장치(100) 측에 수시로 보내는 장치 구성을 채용할 수도 있다. 또, 휴대형 컴퓨터(2)를 PDA(Personal Digital Assistance)나 휴대전화 등의 휴대정보단말기로 구성하더라도 상관없다.
누설 개소의 위치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 수단은 전술한 같은 구역도용 마킹 수단이나 위치 데이터 입력 수단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문자 입력에 의해 누설 개소의 위치 정보를 문서 데이터로 입력하는 방식 등 여러 가지 입력 방식의 것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휴대형 누설 검출 장치(100)의 장치 구성으로서 누설 개소를 촬영하는 촬상 수단을 생략하여, 예를 들면 제7항에 관한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누설 개소의 위치 정보의 입력을 구역도용 마킹 수단으로만 행하는 등의 장치 구성을 채용할 수도 있다.
구역도용 마킹 수단에 의한 마크 부여에 이용하는 구역도 화상 정보는 디지털 카메라 등의 촬상 수단에 의해 촬영한 화상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스캐너에 의해 받아들인 화상, 또는 컴팩트디스크, 디지털비디오디스크, 하드디스크 등의 화상 기억 매체로부터 인출한 화상, 또는 CAD 등의 작도 수단에 의해 작도한 작도 화상이 될 수도 있고, 또, 그 구역도 화상 정보는 유선 내지 무선의 통신 수단에 의해 호스트 컴퓨터 등으로부터 입력하도록 할 수도 있다.
발생 초음파를 검출하는 복수의 지향성 마이크로폰(3)을 다각형(45)의 정점 위치에 배치하는 구성에 있어서, 그 다각형(45)은 육각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삼각형 이상이면 몇 개의 각을 갖는 다각형이 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휴대형 누설 검출 장치는 배관 조인트부에서의 유체 누설이나 용기에서의 유체 누설, 또는 증기트랩이나 안전밸브 등의 밸브류에서의 유체 누설 등, 각종 분야에서의 여러 가지 유체 누설의 탐지에 사용할 수 있고, 또한 누설 유체도 증기나 공기 등의 기체, 또는 물이나 액제 등의 액체 중 어느 것이라도 좋다.

Claims (14)

  1. 유체 누설 개소에서의 발생 초음파를 검출하는 마이크로폰,
    탐색 구역 내에서의 상기 마이크로폰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탐지한 누설 개소의 위치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 수단,
    상기 누설 개소를 촬영하는 촬상 수단,
    상기 입력 수단에 의해 입력한 위치 정보 및 상기 촬상 수단에 의해 촬영하여 얻은 누설 개소의 화상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수단, 및
    동일한 누설 개소에 대한 상기 마이크로폰의 출력 데이터, 상기 입력 수단에 의한 입력 위치 정보, 및 상기 촬상 수단에 의한 촬영 화상 정보를 관련지어 보관하는 데이터 처리 수단
    을 포함하는 휴대형 누설 검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형 누설 검출 장치는 상기 촬상 수단에 의해 촬영하여 얻은 누설 개소의 화상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에 의해 표시한 상태에서 그 표시 화면 중에 누설의 상세 위치를 나타내는 마크를 부여하는 상세 위치 마킹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데이터 처리 수단은 상기 상세 위치 마킹 수단에 의해 부여된 마크의 표시 화면 중의 지시 위치를, 대응되는 촬영 화상 정보와 관련지어 보관하도록 구성되는
    휴대형 누설 검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형 누설 검출 장치는 상기 입력 수단으로서, 탐색 구역의 구역도(區域圖) 화상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에 의해 표시한 상태에서 그 표시 화면 중에 누설 개소의 위치를 나타내는 마크를 부여하는 구역도용 마킹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데이터 처리 수단은 상기 구역도용 마킹 수단에 의해 부여된 마크의 표시 화면 중의 지시 위치를, 상기 위치 정보로서, 동일 누설 개소에 대한 상기 마이크로폰의 출력 데이터 및 상기 촬상 수단에 의한 촬영 화상 정보와 관련지어 보관 상태로 하도록 구성되는
    휴대형 누설 검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수단에 의해 촬영하여 얻은 탐색 구역의 화상 정보를 상기 구역도용 마킹 수단에 의한 마크 부여에 이용하는 구역도 화상 정보로서 보관하는 구역도 화상 정보 보관 수단을 구비하는 휴대형 누설 검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형 누설 검출 장치는 상기 입력 수단으로서, 복수의 위치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에 의해 표시한 상태로 이들 표시 데이터 중에서 대응의 누설 개소에 해당되는 것을 선택하는 위치 데이터 선택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데이터 처리 수단은 상기 위치 데이터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위치 데이터를, 상기 위치 정보로서 동일 누설 개소에 대한 상기 마이크로폰의 출력 데이터 및 상기 촬상 수단에 의한 촬영 화상 정보와 관련지어 보관 상태로 하도록 구성되는
    휴대형 누설 검출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데이터 선택 수단에 의한 데이터 선택에 이용하는 위치 데이터를 편집 수단에 의한 재기록이 가능한 상태로 보관하는 위치 데이터 보관 수단을 구비하는 휴대형 누설 검출 장치.
  7. 유체 누설 개소에서의 발생 초음파를 검출하는 마이크로폰,
    탐색 구역의 구역도 화상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수단,
    상기 탐색 구역 내에서의 상기 마이크로폰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탐지한 누설 개소의 위치를 나타내는 마크를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의 표시 화면 중에 부여하는 구역도용 마킹 수단, 및
    동일한 누설 개소에 대한 상기 마이크로폰의 출력 데이터, 상기 구역도용 마킹 수단에 의해 부여된 마크의 표시 화면 중의 지시 위치를 관련지어 보관하는 데이터 처리 수단
    을 포함하는 휴대형 누설 검출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촬상 수단에 의해 촬영하여 얻은 탐색 구역의 화상 정보, 스캐너에 의해 받아들인 탐색 구역도의 화상 정보, 또는 화상 기억 매체로부터 인출한 탐색 구역도의 화상 정보를, 상기 구역도용 마킹 수단에 의한 마크 부여에 이용하는 구역도 화상 정보로서 보관하는 구역도 화상 정보 보관 수단을 구비하는 휴대형 누설 검출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형 누설 검출 장치는
    상기 탐색 구역 내에서의 상기 마이크로폰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탐지한 누설 개소의 위치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 수단, 및
    상기 누설 개소를 촬영하는 촬상 수단
    을 구비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은 상기 촬상 수단에 의해 촬영하여 얻은 상기 누설 개소의 화상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데이터 처리 수단은 상기 구역도용 마킹 수단에 의해 부여된 마크의 표시 화면 중의 지시 위치를 상기 위치 정보로서, 동일 누설 개소에 대한 상기 마이크로폰의 출력 데이터 및 상기 촬상 수단에 의한 촬영 화상 정보와 관련지어 보관 상태로 하도록 구성되는
    휴대형 누설 검출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수단에 의해 촬영하여 얻은 탐색 구역의 화상 정보를 상기 구역도용 마킹 수단에 의한 마크 부여에 이용하는 구역도 화상 정보로서 보관하는 구역도 화상 정보 보관 수단을 구비하는 휴대형 누설 검출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연산 조건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에 의해 표시한 상태로 이들 표시 데이터 중에서 대응 누설 개소에 해당되는 것을 선택하는 연산 조건 데이터 선택 수단, 및
    동일한 누설 개소에 대한 상기 마이크로폰의 출력 데이터 및 상기 연산 조건 데이터 선택 수단에 의한 선택 데이터에 따라서 대응 누설 개소에서의 유체 누설량을 연산하는 연산 수단
    을 구비하는 휴대형 누설 검출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 조건 데이터 선택 수단에 의한 데이터 선택에 이용하는 연산 조건 데이터를 편집 수단에 의한 재기록이 가능한 상태로 보관하는 연산 조건 데이터 보관 수단을 구비하는 휴대형 누설 검출 장치.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향성을 갖는 복수의 상기 마이크로폰을 구비하되, 상기 마이크로폰이 자신들의 지향 범위에 공통으로 겹쳐진 부분이 생기는 상태로 동일한 방향으로 다각형의 정점 위치에 분산 배치되고,
    광 빔의 출사 광원을 구비하되, 상기 출사 광원이 상기 마이크로폰 지향 범위의 공통 중복 부분에 대하여 상기 광 빔을 출사하는 상태로 상기 마이크로폰 지향 방향으로 볼 때 상기 다각형의 내측부에 배치되는
    휴대형 누설 검출 장치.
  14. 유체 누설 개소에서의 발생 초음파를 검출하는 복수의 지향성 마이크로폰을 구비하되, 상기 복수의 지향성 마이크로폰이 자신들의 지향 범위에 공통의 중복 부분이 생기는 상태로 동일한 방향으로 다각형의 정점 위치에 분산 배치되고,
    광 빔의 출사 광원을 구비하되, 상기 출사 광원이 상기 마이크로폰 지향 범위의 공통 중복 부분에 대하여 상기 광 빔을 출사하는 상태로 상기 마이크로폰 지향 방향으로 볼 때 상기 다각형의 내측부에 배치되는
    휴대형 누설 검출 장치.
KR1020037010599A 2001-02-20 2002-02-08 휴대형 누설 검출 장치 KR1008617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043552 2001-02-20
JP2001043552 2001-02-20
PCT/JP2002/001116 WO2002066950A1 (fr) 2001-02-20 2002-02-08 Detecteur de fuites portati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1441A true KR20030081441A (ko) 2003-10-17
KR100861759B1 KR100861759B1 (ko) 2008-10-06

Family

ID=18905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10599A KR100861759B1 (ko) 2001-02-20 2002-02-08 휴대형 누설 검출 장치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7289918B2 (ko)
EP (1) EP1371962B1 (ko)
JP (3) JP3364718B2 (ko)
KR (1) KR100861759B1 (ko)
CN (1) CN1320341C (ko)
AT (1) ATE516485T1 (ko)
AU (1) AU2002230208B2 (ko)
BR (1) BRPI0207485B1 (ko)
CA (2) CA2437496C (ko)
ES (1) ES2369351T3 (ko)
HK (1) HK1069628A1 (ko)
PT (1) PT1371962E (ko)
TW (1) TW522226B (ko)
WO (1) WO2002066950A1 (ko)
ZA (1) ZA200305908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5281B1 (ko) * 2018-12-28 2020-03-05 주식회사 바이오시스텍 외부 통신 모듈이 구비된 글러브 누설 점검 장치
WO2023068856A1 (ko) * 2021-10-21 2023-04-27 (주)에스엠인스트루먼트 방폭 수단 또는 방수 수단이 구비된 음향 카메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522226B (en) * 2001-02-20 2003-03-01 Tlv Co Ltd Portable leak detector
US7157705B2 (en) * 2001-05-07 2007-01-02 Flir Systems Ab Handheld infrared camera
JP3672303B2 (ja) 2003-10-02 2005-07-20 株式会社テイエルブイ 設備診断方法、設備診断用集計システムの動作方法、並びに、設備診断用集計システム
JP3790527B2 (ja) * 2003-10-03 2006-06-28 株式会社テイエルブイ 設備診断用集計システムの動作方法、並びに、設備診断用集計システム
JP2006266767A (ja) * 2005-03-23 2006-10-05 Meidensha Corp 配管網の流体リーク監視装置
US7698946B2 (en) 2006-02-24 2010-04-20 Caterpillar Inc. System and method for ultrasonic detection and imaging
US7768412B2 (en) * 2007-08-03 2010-08-03 Detec Systems Llc Moisture monitoring system for buildings
KR100903566B1 (ko) * 2007-08-03 2009-06-23 김영기 인자 측정 및 표시 방법, 인자 측정 및 표시 장치, 인자측정 및 표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매체 및 음향 스캐너
DE102008010853A1 (de) 2008-02-25 2009-09-10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Ermittlung eines Lecks in einer Anlagenkomponente und/oder eines Zustands einer Anlagenkomponente
JP4961417B2 (ja) * 2008-12-17 2012-06-27 株式会社テイエルブイ 機器状態情報収集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機器状態情報収集キット
US8334758B2 (en) * 2009-04-13 2012-12-18 Flextronics Automotive, Inc. LIN BUS remote control system
AU2015261639B2 (en) * 2011-01-30 2017-07-20 Aquarius Spectrum Ltd. Method and system for leak detection in a pipe network
WO2012101646A1 (en) * 2011-01-30 2012-08-02 Aquarius Spectrum Ltd. Method and system for leak detection in a pipe network
FR2981151B1 (fr) * 2011-10-11 2013-10-25 Synergys Technologies Dispositif portable pour la detection de fuites
FR2992723B1 (fr) * 2012-06-29 2015-10-02 Synergys Technologies Dispositif portatif pour la detection de fuites de gaz
US9766151B2 (en) 2012-09-18 2017-09-19 Nec Corporation Leakage analysis system and leakage detection method using at least two measurement terminals
US20150355045A1 (en) * 2013-01-28 2015-12-10 Aquarius Spectrum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leaks in a pipeline network
US10373470B2 (en) 2013-04-29 2019-08-06 Intelliview Technologies, Inc. Object detection
JP6110251B2 (ja) * 2013-08-07 2017-04-05 日置電機株式会社 測定結果表示装置、測定システムおよび測定結果表示用プログラム
CN105683923A (zh) * 2013-08-29 2016-06-15 莫达测有限公司 检测系统
EP4220506A1 (de) 2013-10-30 2023-08-02 Screening Eagle Dreamlab Pte. Ltd. Anordnung und verfahren zur inspektion eines objekts, insbesondere eines bauwerks
US9303863B2 (en) 2013-12-12 2016-04-05 Shure Acquisition Holdings, Inc. Integrated light and microphone system
CN103792048A (zh) * 2014-01-23 2014-05-14 河海大学 一种闸门漏水的检测方法
CA2847707C (en) 2014-03-28 2021-03-30 Intelliview Technologies Inc. Leak detection
CN104165738A (zh) * 2014-08-18 2014-11-26 国家电网公司 电力密封设备超声波检漏仪
US10943357B2 (en) 2014-08-19 2021-03-09 Intelliview Technologies Inc. Video based indoor leak detection
JP6403111B2 (ja) * 2014-09-09 2018-10-10 島津エミット株式会社 携帯端末およびプログラム
CN111504565B (zh) * 2014-10-07 2022-08-12 Tlv有限公司 流体泄漏数据的管理装置和管理系统
DE102015000226B4 (de) * 2015-01-08 2019-10-31 Festo Ag & Co. Kg Leckage-Ortungsvorrichtung
US10301929B2 (en) 2015-02-10 2019-05-28 Halliburton Energy Services, Inc. System and method for leak detection
CN106033020A (zh) * 2015-03-13 2016-10-19 中国航空工业集团公司西安飞机设计研究所 一种非增压状态下检测飞机结构气密性的设备及方法
JP6568710B2 (ja) * 2015-04-24 2019-08-28 株式会社クボタ 管検査装置
FR3035714B1 (fr) * 2015-04-30 2017-07-21 Ircamex Procede de localisation d'une fuite d'un gaz et de son point de fuite dans une scene industrielle et systeme de localisation d'une fuite d'un gaz correspondant
US10667023B2 (en) 2015-05-21 2020-05-26 Armstrong International, Inc. Steam/hot water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CN105067198A (zh) * 2015-07-21 2015-11-18 深圳西大仪器有限公司 泄漏检测仪及泄漏检测方法
CN106441710B (zh) * 2015-08-13 2019-05-14 北京卫星环境工程研究所 具备可视化引导功能的便携式超声检漏仪
US9933327B2 (en) 2015-08-20 2018-04-03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for detecting leaks in a fuel circuit of a gas turbine fuel supply system
US9995647B2 (en) * 2015-09-30 2018-06-12 General Monitors, Inc. Ultrasonic gas leak location system and method
CN105333999A (zh) * 2015-11-28 2016-02-17 中国人民解放军63680部队 基于开源硬件的网络水浸检测和合成语音告警系统
JP6652885B2 (ja) * 2016-05-19 2020-02-26 株式会社テイエルブイ 流体漏洩測定装置
US10024823B2 (en) * 2016-07-11 2018-07-17 General Electric Company Evaluating condition of components using acoustic sensor in lighting device
CN106958744A (zh) * 2017-04-27 2017-07-18 西安工程大学 喷气织机压缩空气泄漏的检测和定量分析方法及检测装置
IL253638A0 (en) * 2017-07-24 2017-09-28 Shalom Swissa Shai Leak detection system
CN107702862A (zh) * 2017-11-15 2018-02-16 潘绍兵 一种阀门泄露检测装置
US11156525B2 (en) * 2017-12-28 2021-10-26 Phyn Llc Egress point localization
WO2020028353A1 (en) * 2018-07-30 2020-02-06 Seekops Inc. Ultra-lightweight, handheld gas leak detection device
CN110866130B (zh) * 2018-08-07 2022-03-08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存储器、炼厂密封点管理方法和设备
CN109341974B (zh) * 2018-10-29 2020-12-22 黄莹 基于移动终端的设备故障检测装置及方法
US10922806B2 (en) * 2019-02-05 2021-02-1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ound-based flow check system for washer system
US11035749B2 (en) 2019-02-07 2021-06-15 Georg Fischer, LLC Leak test system and method for thermoplastic piping
US11994464B2 (en) 2019-04-05 2024-05-28 Seekops Inc. Analog signal processing for a lightweight and compact laser-based trace gas sensor
JP7312864B2 (ja) * 2019-06-11 2023-07-21 スクリーニング・イーグル・ドリームラボ・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対象物、特に建造物を検査するための構成および方法
CN110617405A (zh) * 2019-06-20 2019-12-27 安徽理工大学 一种燃气管道泄漏监测与定位系统
EA038731B1 (ru) 2019-07-09 2021-10-12 Станислав Сергеевич Гончаров Пробка-дозатор сосуда для хранения и раздачи газированного напитка
WO2021062547A1 (en) 2019-10-01 2021-04-08 Prosaris Solutions Ultrasonic detector
US11614430B2 (en) 2019-12-19 2023-03-28 Seekops Inc. Concurrent in-situ measurement of wind speed and trace gases on mobile platforms for localization and qualification of emissions
US11988598B2 (en) 2019-12-31 2024-05-21 Seekops Inc. Optical cell cleaner
US11748866B2 (en) 2020-07-17 2023-09-05 Seekops Inc. Systems and methods of automated detection of gas plumes using optical imaging
US11604019B2 (en) 2020-08-13 2023-03-14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leak detection and refrigerant charging
JP7244107B2 (ja) * 2020-12-21 2023-03-22 株式会社ミヤワキ 診断装置
US20230228645A1 (en) * 2022-01-20 2023-07-20 Master Plumbing Corporation Leak detect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90499A (ja) 1983-10-24 1985-05-21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集音装置
JPH0198939A (ja) * 1987-10-13 1989-04-17 Toshiba Corp 漏水情報管理装置
JPH01151300A (ja) * 1987-12-09 1989-06-14 Gadelius Kk プリント基板へのicチップ実装装置
CN2061689U (zh) * 1990-04-03 1990-09-05 李胜男 充气电缆超声波查漏仪
JP2898465B2 (ja) * 1992-03-30 1999-06-02 三菱電機株式会社 プラント異常点検装置
JPH06110117A (ja) 1992-08-21 1994-04-22 Olympus Optical Co Ltd 地名情報の記録可能なカメラ
JP3355382B2 (ja) 1994-03-15 2002-12-09 株式会社テイエルブイ 携帯用音測定表示器
JP3341184B2 (ja) * 1994-03-15 2002-11-05 株式会社テイエルブイ 漏出量測定装置
JP3543426B2 (ja) * 1995-07-06 2004-07-1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管路網管理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H09284703A (ja) 1996-04-12 1997-10-31 Fuji Photo Film Co Ltd 画像出力装置
JPH1151300A (ja) * 1997-07-30 1999-02-26 Toshiba Corp リーク監視装置
JPH11142279A (ja) * 1997-11-07 1999-05-28 Mec:Kk 超音波式漏れ検査装置
JPH11174110A (ja) 1997-12-12 1999-07-02 Kawasaki Steel Corp 可搬式コロナ放電検出装置
GB2337117B (en) * 1998-05-04 2001-04-04 Csi Technology Inc Digital ultrasonic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JPH11331977A (ja) 1998-05-14 1999-11-30 Sony Corp マイクロホンおよびマイクロホンの収音方法
JP2001036840A (ja) 1999-07-19 2001-02-09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電子地図を用いた撮影画像管理方法及び撮影画像再生方法及びそれらの装置
JP3443807B2 (ja) * 2000-02-15 2003-09-08 株式会社テイエルブイ 超音波漏洩検出装置
JP4381619B2 (ja) * 2000-02-15 2009-12-09 株式会社テイエルブイ 超音波漏洩検出装置
JP4342738B2 (ja) * 2001-02-15 2009-10-14 株式会社テイエルブイ 超音波漏洩検出装置
TW522226B (en) * 2001-02-20 2003-03-01 Tlv Co Ltd Portable leak detector
JP4052875B2 (ja) * 2002-05-20 2008-02-27 株式会社テイエルブイ 超音波検出装置
US6957157B2 (en) * 2002-11-12 2005-10-18 Flow Metrix, Inc. Tracking vibrations in a pipeline network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5281B1 (ko) * 2018-12-28 2020-03-05 주식회사 바이오시스텍 외부 통신 모듈이 구비된 글러브 누설 점검 장치
WO2023068856A1 (ko) * 2021-10-21 2023-04-27 (주)에스엠인스트루먼트 방폭 수단 또는 방수 수단이 구비된 음향 카메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1759B1 (ko) 2008-10-06
US7289918B2 (en) 2007-10-30
CA2437496C (en) 2010-08-24
JP2002323401A (ja) 2002-11-08
CA2670571A1 (en) 2002-08-29
JP2003106927A (ja) 2003-04-09
US20040122602A1 (en) 2004-06-24
PT1371962E (pt) 2011-09-21
ES2369351T3 (es) 2011-11-29
CA2437496A1 (en) 2002-08-29
CA2670571C (en) 2012-05-01
EP1371962B1 (en) 2011-07-13
JP3411032B2 (ja) 2003-05-26
ATE516485T1 (de) 2011-07-15
EP1371962A1 (en) 2003-12-17
EP1371962A4 (en) 2007-06-27
CN1320341C (zh) 2007-06-06
JP3364718B2 (ja) 2003-01-08
BRPI0207485B1 (pt) 2017-03-21
AU2002230208B2 (en) 2006-02-23
BR0207485A (pt) 2004-08-10
JP3364717B2 (ja) 2003-01-08
JP2002323400A (ja) 2002-11-08
TW522226B (en) 2003-03-01
HK1069628A1 (en) 2005-05-27
CN1535375A (zh) 2004-10-06
WO2002066950A1 (fr) 2002-08-29
ZA200305908B (en) 2004-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1759B1 (ko) 휴대형 누설 검출 장치
KR101986923B1 (ko) 유체 누설 데이터의 관리 장치 및 관리 시스템
US7009698B2 (en) Inspection system and method
EP0592515B1 (en) Spatial measurement recovery system
KR101431424B1 (ko)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스마트 안전모를 이용한 플랜트 운전/정비 지원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JP2008503736A (ja) パイプ検査システムの制御方法および検査データの評価方法
JP2021532355A (ja) 音響画像にタグを付けて関連付け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CN112424726B (zh)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系统、方法以及程序
JP3697816B2 (ja) 巡回点検支援システム
JP2007293721A (ja) 巡回点検支援システム
CN210039061U (zh) 检测机房漏水的装置
KR101998364B1 (ko) 고정점과 vr을 활용한 지하시설물 정보 실시간 현장 확인 시스템
KR20200126075A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누수탐지장치
KR20210100229A (ko) 안심귀가 서비스 제공 시스템
JP2023152907A (ja) 災害時行動支援システム、災害時行動支援デバイス、災害時情報解析プログラム及び災害時情報収集プログラム
JP2022096495A (ja) 表示装置、プログラム、ガス漏洩検知システム及びガス漏洩検知方法
CN114508646A (zh) 利用管道机器人检修管道的智能检测方法及系统
JP2020086628A (ja) 制御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システム
KR20170086834A (ko) 피쉬아이 카메라를 이용한 감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1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