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78061A - 광분해성 및 생분해성 플라스틱 제품용 조성물 및 그의 용도 - Google Patents

광분해성 및 생분해성 플라스틱 제품용 조성물 및 그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78061A
KR20030078061A KR10-2003-7007670A KR20037007670A KR20030078061A KR 20030078061 A KR20030078061 A KR 20030078061A KR 20037007670 A KR20037007670 A KR 20037007670A KR 20030078061 A KR20030078061 A KR 200300780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todegradable
biodegradable
iron
plastic
mangane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76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87507B1 (ko
Inventor
하오벤종
Original Assignee
한 창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 창타이 filed Critical 한 창타이
Publication of KR200300780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80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75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75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16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the macromolecular compounds being biodegradabl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00Compositions of polysaccharides or of their derivat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1/00 or C08L3/00
    • C08L5/08Chitin; Chondroitin sulfate; Hyaluronic acid;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9/00Compositions of protein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thereof
    • C08L89/005Casei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3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3Hollow or container type article [e.g., tube, vase, et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Biological Depolymerization Polymers (AREA)
  • Wrappers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분해성 및 생분해성 플라스틱 제품 용도의 다성분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각종 일회용 포장 플라스틱 제품의 생산에 사용하는 방법 또한 이들로부터 제조된 제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성분 조성물은 전분을 함유하지 않으며, 새로운 생활성 물질인 키틴, 카제인류를 생분해성 보조 성분, 광분해성 및 자발적 산화 촉매 성분, 또한 비금속성 무기물질류와 조합하여 구성된 다성분 조성물이다. 자연 조건하에서, 분해된 물질은 미생물에 의해 활용되어 이산화탄소 및 물을 방출하며 환경친화적인 플라스틱 물질로서 작용한다.

Description

광분해성 및 생분해성 플라스틱 제품용 조성물 및 그의 용도 {COMPOSITIONS FOR PHOTODEGRADABLE AND BIODEGRADABLE PLASTIC PRODUCT AND USE THEREOF}
플라스틱 산업의 급속한 발전과 함께, 현재 전 세계적으로 플라스틱은 수억톤을 훨씬 초과하는 양으로 존재하게 되었다. 통계에 따르면 1999년 현재 세계 전체의 합성수지량은 1억5천6백7십만톤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되었다. 합성수지는 일상생활 뿐만 아니라 국가경제의 모든 부문에서도 이용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특히, 플라스틱 포장재료 및 제품은 전체 합성수지량의 약 30퍼센트에 달하는 4천6백만톤을 차지한다. 중국의 경우만 보더라도, 1999년 합성수지 소비량은 1천8백6십6만톤으로 집계되고 있다. 플라스틱 포장제품은 이 중 5백만톤이었다. 즉, 포장용도의 플라스틱 제품 소비량이 막대한 것이다.
플라스틱 소비의 급속한 증가 및 사람에게 미치는 환경적인 영향으로 인하여 분해성 플라스틱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날로 증가하게 되었다. 근래에 들어, 몇몇 특허(예컨대, 중국특허출원 95191396)에서 빛과 미생물에 의한 영향을 받기 쉬운 구조 단위를 갖는 신규의 폴리머 (미생물 폴리에스테르,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폴리(락트산)류 등)가 합성방식으로 제조되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이러한 신규의 폴리머는 사용후 폐기될 때 빛이나 혹은 미생물에 의한 직접적인 영향을 활용하여 분해할 수 있는 것이다. 이 방법으로 제조한 분해성 플라스틱류의 분해력은 매우 우수하나 합성기술 상의 난점 및 고비용으로 인해 대량생산에 적용하기에 곤란한 문제가 있다.
또 다른 특허들 (예컨대 중국특허출원 98106850.2 및 98101407.0)에서는 "광분해성 및 광붕괴성" 물질에 대해 보고하고 있다. 이들은 광감지제, 또는 광감지제와 함께 탄산칼슘, 활석류의 광물성 분말로 구성된 혼합물을 플라스틱 원료에 첨가하는 공정을 채택했다. 이들 재료는 광붕괴작용에만 적용되기 때문에 이들의 분해란 큰 덩어리를 작게 만드는 것에 불과하므로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기는 어렵다.
그 밖에도 다른 특허들 (예컨대, 중국특허출원 95121178 및 99100726.3)에서는 "생분해성 전분 수지"가 생분해 유도물인 전분을 플라스틱 원료에 첨가하여 제조된다고 보고했다. 공지된 바와 같이, 전분은 미생물이 이를 활용할 수 있으나 상기한 일반 플라스틱류의 큰 분자들은 거의 분해할 수 없다. 마지막에는 이들 "분해된 플라스틱 제품"의 표면에 듬성듬성 구멍이 나는 정도이므로 실질적인 분해효과를 얻기는 곤란하다. 또한, 전분입자는 대체로 크고 물리적 성질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고강도를 가지면서 두께가 얇은 제품을 제조하기가 곤란하다. 또한, 전분은 수분을 쉽게 흡수하므로 수분함량이 아주 낮은 경우라도 플라스틱 제품 제조공정에서 거품을 생성하기가 쉽다. 전분은 고온에서 급속하게 타들어 가나, 보통 플라스틱은 가공온도가 높기 마련이다. 예컨대, 어떤 생산업체는 고밀도 폴리에틸렌과 "생분해성 전분수지"를 혼합 사용하여 쇼핑백을 제조하고 있으나 쉽게 타버리는 전분의 성질 때문에 필름의 연속 제조에 어려움을 겪고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선행의 기술은 플라스틱 가공에 많은 불편함을 가져온다. 즉, 지금까지의 선행기술은 시중에서 대량으로 사용되고 있는 일반 플라스틱류의 사실상의 분해를 실현할 수 없으며, 또한 "백색오염"을 감소시키거나 환경친화적인 영향도 실현하지 못한다.
본 발명은 광분해성 및 생분해성 플라스틱 제품용 다성분 조성물 및 각종 일회용 포장 플라스틱 제품 생산에서의 상기 조성물의 용도 또한 이에 의해 제조된 각종 일회용 포장 플라스틱 제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시중에서 대량으로 사용되는 일반 플라스틱류 (주로 PE, PP, PS, PVC, EVA, ABS, PA, PET 등을 포함하는)의 분해를 촉진하고 분해 후에도 환경친화성을 부여할 수 있는 광분해성 및 생분해성 플라스틱 제품의 다성분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기술적인 해결책은 신규의 다성분 조성물을 상술한 일반 플라스틱 재료에 0.1-80중량%의 양으로 첨가하고 그 결과 완전 분해 및 자연에서 (빛, 공기, 습도, 미생물 등에 의해) 자발적으로 소비될 수 있는 각종 플라스틱 제품을 얻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한 측면은 광분해성 및 생분해성 플라스틱 제품용도의 다성분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각종 일회용 포장 플라스틱 제품의 생산에서 상기 다성분 조성물을 사용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상기 다성분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각종 일회용 포장 플라스틱 제품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는 구체예를 다음과 같이 상세히 기술한다. 본 발명의 광분해성 및 생분해성 다성분 조성물은 다음의 성분들을 포함한다.
1. 생분해성 성분: 이 성분은 전분을 함유하지 않으며, 대신 키틴, 카제인, 인산 나트륨 (혹은 아연, 칼슘, 마그네슘, 칼륨)과 인산수소 혹은 인산 2수소의 금속염들, 에루카미드(erucamide) 및 올레아미드(oleamide)의 아미드 유도체류 등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성분들을 함유한다. 이 성분의 함유량은 약 0.1 내지 10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중량% 이다.
2. 광분해성 및 자발적 산화 촉매작용 성분: 이 성분은, 주로 n-옥틸 페로센, n-옥타노일 페로센, 운데실레노일 페로센, γ-페로세닐 부틸산, γ-페로세닐 부틸 부티레이트 등의 페로센 유도체류; 디티오카르바민산 디에틸 철, 디티오카르바민산 디부틸 철 등의 티오아미노카르복실산염; 포름산 코발트(망간, 아연, 철, 세륨), 아세트산 코발트(망간, 세륨, 철, 아연), 올레산 코발트(망간, 세륨, 철, 아연), 라우릴산 코발트(망간, 세륨, 철, 아연), 스테아르산 코발트(망간, 세륨, 철, 아연), 세틸산 코발트(망간, 세륨, 철, 아연) 등의 지방산 코발트 (또는 망간, 아연, 철, 세륨)류; 코발트 (또는 망간, 철) 아세틸아세토네이트 같은 코발트, 망간, 철 등의 이온을 함유하는 아실 화합물; 및 디부틸틴 라우레이트 및 벤조페논과 이들의 유도체 같은 다른 화합물류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물질을 포함한 망간, 아연, 철, 코발트 및 세륨 등의 금속 이온 유기 화합물을 포함한다. 이 성분의 함유량은 약 0.1 내지 8.0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3 내지8중량% 이다.
3. 생분해성 보조 성분: 이 성분은 폴리에틸렌 글리콜 스테아레이트, 소르비톨 팔미테이트, 소르비톨 무수 라우레이트와 산화에틸렌 등의 부가생성물 같은 폴리히드록시-함유 카르복실산염류; 에폭시화된 콩기름, 에폭시 아세틸 캐스터유 등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다. 이 성분의 함유량은 약 0.1 내지 8.0중량%이다.
4. 비-금속성 무기물: 이 성분은 활석, 탄산칼슘, 카올린, 월라스토나이트(wollastonite) 등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다. 이 성분의 함유량은 10 내지 90중량% 이다.
본 발명의 광분해성 및 생분해성 다성분 조성물은 특정량의 상기 제1, 2 및 3 성분들 또는 제1 및 2 성분들과 필요에 따라 제4 성분 중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물질을 통상의 폴리머 수지 원료물질과 조합하고 이어서, 압출 펠릿화 공정 (혹은 기타의 펠릿화 공정)을 실행함으로써 얻어지는 분해성 합성물이다. 이 조성물은 0.1-80중량%의 양으로 일반 플라스틱 원료에 첨가된다. 제조된 분해성 혹은 포장 분해성 플라스틱 제품은 폴리머의 큰 분자가 점차 자연 상태에서 극소분자량을 갖는 산소함유화합물로 변하도록 해준다.
실제의 실험 결과, 이들 극소분자량의 산소함유 화합물은 미생물에 의해 쉽게 이용되어 이산화탄소 및 물을 방출하고 자연상태에서 완전히 소비되는 효과를 달성하는 것으로 증명되었다. 따라서, "백색 오염"을 제거·감소시키고 환경친화성을 갖는 신규의 물질이 될 수 있는 것이다.
실시예 1. 광분해성 및 생분해성 다성분 조성물
광분해성 및 생분해성 다성분 조성물의 조성비율은 다음과 같다: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85.8중량%
키틴 7.0중량%
에루카미드 1.6중량%
에폭시화된 콩기름 0.2중량%
모노글리세라이드 스테아레이트 0.8중량%
에폭시 아세틸 캐스터유 0.4중량%
γ-페로센 아실 부티르산 3.2중량%
올레산 코발트 0.8중량%
디부틸틴 라우레이트 0.2중량%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상기 조성에 따른 중량비율로 50℃에서 고속 교반기에 넣는다. 그 후 에폭시화된 콩기름 및 에폭시 아세틸 캐스터유를 역시 상기 조성중량비율로 상기 교반기에 넣고 2 내지 3분간 교반한다.
이어서, 다른 성분들을 상기 조성비율로 교반기에 넣고 역시 3 내지 5분간 계속 교반한다.
상기 교반된 혼합물을 2중나사 압출기 (길이/직경비 36:1, 압출부의 온도는 약 50 내지 200 ℃, 압출기 회전속도는 25 내지 450rpm으로 한다)를 이용하여 압출펠릿화 한다.
실시예 2. 조절형 광분해성 및 생분해성 멀칭필름(제초용 필름)
실시예 1에서 얻은 다성분 조성물 입자를 저밀도 폴리에틸렌 (혹은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에 0.2-8중량%의 양으로 첨가한다. 폴리에틸렌 수지의 양은 99.8 내지 92중량%로 한다.
균일 혼합후, 혼합물을 필름 압출기세트 (모델: PC-65 혹은 기타)의 호퍼에 넣고 압출 및 취입 성형하여 필름으로 만든다 (필름 두께는 0.005 내지 0.025mm).이 분해성 멀칭필름은 종래의 멀칭필름과 사실상 동일한 기계적 성질을 가지며 기계적으로 커버링 처리될 수 있다. 상기 분해성 멀칭필름은 토양 및 농작물에 무해하며 동시에 우수한 광분해성 및 생분해성을 갖는다. 상기 분해성 멀칭필름의 유도시간은 45±3일, 60±5일, 90±7일, 120±10일로 조절이 가능하다. 상기 분해성 멀칭필름은 사용 후 같은 해 혹은 그 다음 해에 미생물에 의해 완전 이용되어 이산화탄소 및 물로 분해되고 농토에 완전히 소비되는 효과를 달성한다.
상술한 다성분 조성물과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상술한 배합비로 혼합 사용하여 다양한 두께의 분해성 멀칭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특히0.005mm 정도의 두께를 갖는 초박막 분해성 멀칭필름을 제조할 수 있으며 이 필름의 기계적 성질 및 단열성, 또한 수분함량 보존성 등은 농토의 보호 및 농작물의 요구를 완전히 만족시키며, 농토 1에이커 당 요구되는 멀칭필름의 양도 크게 절감시킬 수 있다. 따라서, 농사 비용이 줄어든다.
기계적 성질의 실험 결과
항목 표준치 실험 결과
장력 하중 N, 종방향/횡방향 ≥1.6 1.8/1.6
파단 신장율 %, 종방향/횡방향 ≥160 300/380
90°방향 찢기하중, 종방향/횡방향 ≥0.6 0.7/0.9
실시예 3. 일회용 분해성 플라스틱 쇼핑백
실시예 1에서 얻은 다성분 조성물 입자를 고밀도 폴리에틸렌 (예컨대, 미츠이 케미칼사의 7000F)에 0.2-8중량%의 양으로 첨가한다.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의 양은 99.8 내지 92중량%로 한다.
균일 혼합후, 혼합물을 취입필름 압출기(압출기 나사직경 45mm, 길이/직경비 28:1)의 호퍼에 넣고 압출 및 취입 성형하여 원통형 필름으로 만든다 (필름 두께는 0.01 내지 0.5mm). 이 필름을 인쇄, 펀칭 및 열밀봉 등의 처리를 거쳐 각종 사양의 일회용 쇼핑백 예컨대, 분해성 플라스틱 쇼핑백, 식품용 포장백 등으로 만든다. 이들 백들(bags)의 기계적 성질은 동일 두께를 갖는 종래의 쇼핑백과 실질적으로 유사하며, 일회용 플라스틱 쇼핑백에 대한 기술적 요건을 만족한다. 쇼핑백의 위생적 측면에서도 국가기준 GB9683-88 (식품 포장백 위생기준)의 요건을 만족한다. 상술한 일회용 백은 사용후 옥외에서 폐기시 20일 내지 80일 내에 분말로 분해되며 자연에서 완전 분해되어 사라진다.
실시예 4. 광분해성 및 생분해성 다성분 조성물
광분해성 및 생분해성 다성분 조성물의 조성비율은 다음과 같다:
폴리에틸렌 수지 22.2중량%
카제인 8.0중량%
에루카미드 1.4중량%
코발트 라우레이트 6.4중량%
벤조페논 0.4중량%
디부틸틴 라우레이트 0.2중량%
에폭시화된 콩기름 0.2중량%
에폭시 아세틸 캐스터유 0.4중량%
폴리에틸렌 글리콜 스테아레이트 0.8중량%
활석 60중량%
폴리에틸렌 수지 및 활석을 상기 조성에 따른 중량비율로 50℃에서 고속 교반기에 넣는다. 그 후 에폭시화된 콩기름 및 에폭시 아세틸 캐스터유를 역시 상기 조성중량비율로 상기 교반기에 넣는다. 그 뒤의 방법은 실시예 1과 동일하다. 다성분 조성물 입자가 얻어진다.
실시예 5. 일회용 분해성 플라스틱 식기류
실시예 4에서 얻은 다성분 조성물 입자를 고밀도 폴리에틸렌 (예컨대, 다큉 석유화학사의 5121A) 혹은 폴리프로필렌 (예컨대, 얀샨 석유화학사의 1300) 혹은 폴리스티렌 (예컨대, 얀샨 석유화학사의 666D)에 5-40중량%의 양으로 첨가한다. 수지의 양은 95 내지 60중량%로 한다. 상기 혼합물을 균일 혼합한 후 압출하여 시트형태로 만들고, 열성형하여 일회용 분해성 플라스틱 반합, 국수그릇, 물컵, 접시류 등을 제조한다.
제조된 식기류는 국가기준 GB9683-88 (식품 포장용 폴리프로필렌 제품)의 위생기준을 만족한다. 상기 식기류는 사용후 옥외에서 폐기시 1 내지 4개월 이내에 분말로 분해되며 계속해서, 미생물에 의해 분해 활용되어 이산화탄소 및 물을 방출하고 자연에서 완전히 분해되어 사라지게 된다.
실시예 6. 일회용 분해성 플라스틱 나이프, 포크 및 스푼류를 포함하는 스낵용 식기류
실시예 4에서 얻어진 다성분 조성물 입자를 실시예 5에서의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혹은 폴리스티렌)에 1-10중량%의 양으로 첨가하고, 수지의 양은 99 내지 90중량%로 한다. 혼합물을 균일 혼합한 후 사출기에 넣어 일회용 분해성 플라스틱 나이프, 포크 및 스푼류를 포함한 스낵용 식기류를 제조한다. 제조된 스낵용 식기류는 국가기준 GB9683-88 (식품 포장용 폴리프로필렌 제품)의 위생기준을 만족한다. 상기 식기류는 사용후 옥외에서 1 내지 2개월 이내에 파괴되고, 자연에서 4 내지 6개월 내에 완전 소비되어 사라진다.
실시예 7. 광분해성 및 생분해성 물 및 토양 저장용 플라스틱 쉴드 매쉬(shield mesh)
실시예 4에서 얻은 다성분 조성물 입자를 고밀도 폴리에틸렌 (예컨대, 퀼루 석유화학사의 DGDB2480) 혹은 저밀도 폴리에틸렌 (예컨대, 얀샨 석유화학사의 2K1.5A) 혹은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코폴리머 (예컨대, 베이징 유기화학 플랜트의 EVA5/2)에 30-80중량%의 양으로 첨가하며, 수지의 양은 70 내지 20중량%로 한다. 상기 혼합물을 균일 혼합한 후 압출기의 호퍼에 공급하고, 압출시켜 매쉬형태로 형성하여 다양한 분해기간을 갖는 물 및 토양 저장용 플라스틱 쉴드를 제조한다. 제조된 쉴드 매쉬는 사용전후 관계없이 토양 및 식물에 무해하며 우수한 물리적 기계적 성질을 갖는다. 또한, 물 및 토양 저장용 플라스틱 쉴드 매쉬에 요구되는 조건을 만족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쉴드 매쉬는 완전 분해되며 자연에서 완전히 소비된다.
실시예 8. 일회용 분해성 플라스틱 경량 커버
실시예 1에서 얻은 다성분 조성물 입자를 폴리스티렌 혹은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코폴리머에 1-6중량%의 양으로 첨가하며 수지의 양은 99 내지 94중량%로 한다. 상기 혼합물을 균일 혼합한 후 사출기에 공급하여 분해성 플라스틱 경량 커버로 제조한다. 상기 경량 커버의 물리적 기계적 성질은 종래의 플라스틱 경량 커버의 것과 유사하나, 자연에서 양호하게 분해되는 성질을 가지며 따라서 환경 친화적인 플라스틱 재료가 된다.

Claims (7)

  1. 생분해성 성분, 광분해성 및 자발적 산화 촉매 성분, 비-금속성 무기물질, 매개체 등으로 구성된 광분해성 및 생분해성 플라스틱 제품의 다성분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다성분 조성물은 다음의 성분들 (1), (2), (3) 및 (4) 또는 성분들 (1), (2) 및 (4)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이들 성분
    (1) 전분을 함유하지 않으며, 대신 키틴, 카제인, 인산 나트륨 (혹은 아연, 칼슘, 마그네슘, 칼륨)과 인산수소 혹은 인산 2수소의 금속염들, 에루카미드(erucamide) 및 올레아미드(oleamide)의 아미드 유도체류 등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물질을 함유하는 약 0.1-10중량%의 생분해성 성분:
    (2) 주로 n-옥틸 페로센, n-옥타노일 페로센, 운데실레노일 페로센, γ-페로세닐 부틸산, γ-페로세닐 부틸 부티레이트 등의 페로센 유도체류; 디티오카르바민산 디에틸 철, 디티오카르바민산 디부틸 철 등의 티오아미노카르복실산염; 포름산 코발트(망간, 아연, 철, 세륨), 아세트산 코발트(망간, 세륨, 철, 아연), 올레산 코발트(망간, 세륨, 철, 아연), 라우릴산 코발트(망간, 세륨, 철, 아연), 스테아르산 코발트(망간, 세륨, 철, 아연), 세틸산 코발트(망간, 세륨, 철, 아연) 등의 지방산 코발트 (또는 망간, 아연, 철, 세륨)류; 코발트 (또는 망간, 철) 아세틸아세토네이트 같은 코발트, 망간, 철 등의 이온을 함유하는 아실 화합물; 디부틸틴 라우레이트; 및 벤조페논과 이들의 유도체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물질을 포함하는 약 0.1-8.0중량%의 광분해성 및 자발적 산화 촉매 성분:
    (3) 활석, 탄산칼슘, 카올린, 월라스토나이트(wollastonite) 등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물질로 구성된 10-90중량%의 비금속성 무기물질; 및
    (4) PE, PP, PS, ABS, EVA, PA, PET, PVC 등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일반 수지로서 이들 성분들로 구성된 매개체 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성분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생분해성 성분(1)의 함량이 5-1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성분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광분해성 및 자발적 산화 촉매 성분(2)의 함량이 3-8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성분 조성물.
  4.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성분 조성물은 폴리에틸렌 글리콜 스테아레이트, 소르비톨 팔미테이트, 소르비톨 무수 라우레이트와 에틸렌 옥사이드 등의 부가 생성물 같은 폴리히드록시-함유 카르복실산염; 에폭시화된 콩기름, 및 에폭시 아세틸 캐스터유 등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생분해성 보조 성분을 0.1-8.0중량%로 더 함유하는 것을특징으로 하는 다성분 조성물.
  5.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광분해성 및 생분해성 일회용 포장 플라스틱 제품의 제조에 사용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다성분 조성물이 일반 플라스틱 수지에 0.1-80중량%의 양으로 첨가되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플라스틱 제조방법에 의하여 각종 광분해성 및 생분해성 일회용 포장 플라스틱 제품으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성분 조성물의 용도.
  6.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다성분 조성물로부터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포장 플라스틱 제품.
  7. 청구항 6에 있어서,
    이들은 조절형 광분해성 및 생분해성 농업용 필름, 일회용 분해성 플라스틱 쇼핑백이나 식품용 백, 일회용 광분해성 및 생분해성 플라스틱 반합, 국수그릇, 물컵 및 접시류를 포함하는 식기류, 일회용 분해성 플라스틱 나이프, 포크 및 스푼류를 포함하는 스낵용 식기류, 또는 광분해성 및 생분해성 플라스틱 물 및 토양 저장용 플라스틱 쉴드 매쉬 또는 일회용 분해성 플라스틱 경량 커버류로서 자연 분해되거나 일정한 시간 내에 분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플라스틱 제품.
KR1020037007670A 2000-12-06 2001-12-04 광분해성 및 생분해성 플라스틱 제품용 조성물 및 그의 용도 KR1007875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CN00134169.3 2000-12-06
CNB001341693A CN1233717C (zh) 2000-12-06 2000-12-06 用于光和生物降解塑料制品的多元组合物及用途
PCT/CN2001/001601 WO2002059195A1 (fr) 2000-12-06 2001-12-04 Compositions pour produit plastique photodegradable et biodegradable et utilisation de telles compositio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8061A true KR20030078061A (ko) 2003-10-04
KR100787507B1 KR100787507B1 (ko) 2007-12-21

Family

ID=4596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7670A KR100787507B1 (ko) 2000-12-06 2001-12-04 광분해성 및 생분해성 플라스틱 제품용 조성물 및 그의 용도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291664B2 (ko)
EP (1) EP1359190B1 (ko)
JP (1) JP3934553B2 (ko)
KR (1) KR100787507B1 (ko)
CN (1) CN1233717C (ko)
CA (1) CA2431243C (ko)
DE (1) DE60134272D1 (ko)
TW (1) TWI223591B (ko)
WO (1) WO2002059195A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17015A1 (en) * 2003-08-14 2005-02-24 Yingkou G & C Bio Co., Ltd. Additive composition for promoting degradation of plastics
KR20050103546A (ko) * 2004-04-26 2005-11-01 수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제충, 제초, 및 분해 기능을 갖는 폴리에틸렌 멀칭필름
KR100545271B1 (ko) * 2005-05-02 2006-01-24 신호철 친환경 생분해성 농업용 멀칭필름과 그 제조방법
KR100800428B1 (ko) * 2005-12-30 2008-02-04 (주)지앤씨코리아 친환경 생분해성 1회용 용기와 그 제조방법
KR20180083072A (ko) * 2017-01-12 2018-07-20 주식회사 더네이처코리아 플라스틱 분해 촉매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104403A (ko) * 2017-01-20 2019-09-09 폴리마테리아 리미티드 분해성 시트 재료
KR102158171B1 (ko) * 2020-01-10 2020-09-23 주식회사 알커미스 재활용이 가능한 다층필름 및 이를 이용한 식품용 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47860A1 (en) * 2003-04-03 2004-12-09 Roplast Industries, Incorporated Polyethylene film that sinks in water and degrades in water and/or sunlight
SE530267C3 (sv) * 2004-07-19 2008-05-13 Add X Biotech Ab Nedbrytbar förpackning av en polyolefin
MY176917A (en) 2005-06-23 2020-08-26 Gain Mark Tech Limited A composition of matter for degradable additive and process for making same
CN101443042A (zh) * 2006-04-14 2009-05-27 诺瓦提斯公司 Il-1抗体用于治疗眼疾病的用途
US20070265377A1 (en) * 2006-05-09 2007-11-15 Yung-Chin Tsou Chemical modifier for properties enhancement of olefin polymers or copolymers thereof
CN101686702A (zh) * 2007-06-25 2010-03-31 大卫·波洛克 用于混合器的遮蔽件
US20100068278A1 (en) 2008-09-16 2010-03-18 Searete Llc, A Limited Liablity Corporation Of The State Of Delaware Ex vivo modifiable medicament release-associations
WO2010081135A2 (en) * 2009-01-12 2010-07-15 Maria Grazia Lafauci An ecologically safe storage and transporting system and method of making same
US20100314162A1 (en) * 2009-06-10 2010-12-16 Ppg Industries Ohio, Inc. Microporous material derived from renewable polymers and articles prepared therefrom
EP2340736A1 (fr) * 2010-01-05 2011-07-06 Mme Océane Levy Housse hygiénique de sac à main
KR101013453B1 (ko) * 2010-08-20 2011-02-14 김영구 프라스틱 복합 분해 촉진제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2125101A1 (en) * 2011-03-14 2012-09-20 Esp Solutions Ltd. A package made of a polymer comprising pro-oxidant filler material
ITPD20110129A1 (it) * 2011-04-18 2012-10-19 Agrifoglio S A S Composizioni per uso agricolo
CA2913466A1 (en) 2013-05-30 2014-12-04 Jeferson Drummond Biodegradable plastic and manufacture thereof from recyclable plastic
WO2016168319A1 (en) * 2015-04-13 2016-10-20 University Of South Florida Cutin-like materials with advanced functionalities and methods of manufacture
CN104987683A (zh) * 2015-07-30 2015-10-21 苏州荣昌复合材料有限公司 一种可降解改性塑料及其制备方法
KR101766791B1 (ko) 2015-10-12 2017-08-09 (주)바이오소재 이중결합을 함유하여 신속 저분자화가 가능한 생분해성 연질 바이오 원료 조성물, 및 이의 압출성형품
KR102332473B1 (ko) 2015-10-15 2021-11-26 피티. 인도폴리 스와카르사 인더스트리 티비케이 산화생분해성 이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
KR101797944B1 (ko) * 2016-08-26 2017-12-12 (주)휴이노베이션 생분해성 폴리머 조성물 및 이를 기반으로 한 친환경 물품
NZ753736A (en) 2016-11-22 2021-07-30 Polymateria Ltd Degradable polymer and method of production
EA039636B1 (ru) * 2017-01-20 2022-02-18 Полиматериа Лимитед Разлагающийся листовой материал
CN114656710A (zh) * 2017-03-15 2022-06-24 山西骏博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增强型全生物降解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WO2018199494A1 (ko) * 2017-04-25 2018-11-01 송경재 복합분해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US11180300B2 (en) * 2018-11-16 2021-11-23 Igor Abramov Degradable article
US11178988B2 (en) * 2018-11-16 2021-11-23 Igor Abramov Degradable drinking straw
TWI741921B (zh) * 2020-12-23 2021-10-01 施學甫 烤肉裝置
CN113121917A (zh) * 2021-04-28 2021-07-16 中科易朔(厦门)防火技术服务有限公司 一种阻燃可控降解聚丙烯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KR20230044697A (ko) 2021-09-27 2023-04-04 김일도 유충을 이용한 생분해성 플라스틱용 키틴의 추출방법
CN115584073B (zh) * 2022-10-27 2024-02-20 郑州市彦峰塑料包装有限公司 一种环保吹塑薄膜及其生产工艺
CN117659546A (zh) * 2023-12-08 2024-03-08 潍坊华南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可生态降解地膜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28643A (en) 1976-08-27 1978-03-17 Sumitomo Chem Co Ltd Polyolefin composition
US4519161A (en) * 1977-09-21 1985-05-28 Dan Gilead Agricultural process using controllably degradable polymer composition film
GB2187193B (en) * 1986-02-27 1989-11-08 Gerald Scott Controllably and swiftly degradable polymer compositions and films and other products made therefrom
CH671961A5 (ko) 1987-02-27 1989-10-13 Amrotex Ag
JPH04318042A (ja) * 1991-04-16 1992-11-09 Nittetsu Mining Co Ltd 分解性プラスチック用充填剤
KR940006458B1 (ko) * 1991-06-15 1994-07-20 제일합섬 주식회사 필름용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JPH0543747A (ja) 1991-08-12 1993-02-23 Ricoh Co Ltd 生分解性容器
US5205863A (en) * 1991-11-14 1993-04-27 International Communications & Energy Agricultural biodegradable plastics
US5205860A (en) * 1992-01-23 1993-04-27 Dow Corning Corporation Water repellents containing organosilicon compounds
US5258422A (en) * 1992-05-05 1993-11-02 Tredegar Industries, Inc. Compostable thermoplastic compositions
JPH06116446A (ja) * 1992-10-08 1994-04-26 Sumitomo Seika Chem Co Ltd 生分解性樹脂組成物
US5352716A (en) 1992-12-16 1994-10-04 Ecostar International, L.P. Degradable synthetic polymeric compounds
WO2000031166A1 (en) * 1998-11-19 2000-06-02 Uni Chem Co., Ltd. Biophotodegradable plastic film and plastic filler composition therefor and method of preparing the composition
CN1129638C (zh) 1999-03-19 2003-12-03 北京清大亚太科技研究中心 降解树脂组合物及其制造方法和应用
US6482872B2 (en) 1999-04-01 2002-11-19 Programmable Materials, Inc. Process for manufacturing a biodegradable polymeric composition
CN1129644C (zh) * 1999-06-30 2003-12-03 北京清大亚太科技研究中心 多重降解的组合物母粒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17015A1 (en) * 2003-08-14 2005-02-24 Yingkou G & C Bio Co., Ltd. Additive composition for promoting degradation of plastics
KR20050103546A (ko) * 2004-04-26 2005-11-01 수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제충, 제초, 및 분해 기능을 갖는 폴리에틸렌 멀칭필름
KR100545271B1 (ko) * 2005-05-02 2006-01-24 신호철 친환경 생분해성 농업용 멀칭필름과 그 제조방법
KR100800428B1 (ko) * 2005-12-30 2008-02-04 (주)지앤씨코리아 친환경 생분해성 1회용 용기와 그 제조방법
KR20180083072A (ko) * 2017-01-12 2018-07-20 주식회사 더네이처코리아 플라스틱 분해 촉매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104403A (ko) * 2017-01-20 2019-09-09 폴리마테리아 리미티드 분해성 시트 재료
KR102158171B1 (ko) * 2020-01-10 2020-09-23 주식회사 알커미스 재활용이 가능한 다층필름 및 이를 이용한 식품용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4517203A (ja) 2004-06-10
CN1233717C (zh) 2005-12-28
TWI223591B (en) 2004-11-11
DE60134272D1 (de) 2008-07-10
JP3934553B2 (ja) 2007-06-20
CN1312318A (zh) 2001-09-12
EP1359190A1 (en) 2003-11-05
EP1359190A4 (en) 2004-08-18
US20040062884A1 (en) 2004-04-01
CA2431243A1 (en) 2002-08-01
KR100787507B1 (ko) 2007-12-21
CA2431243C (en) 2010-09-14
EP1359190B1 (en) 2008-05-28
WO2002059195A1 (fr) 2002-08-01
US7291664B2 (en) 2007-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7507B1 (ko) 광분해성 및 생분해성 플라스틱 제품용 조성물 및 그의 용도
KR100739369B1 (ko)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생분해성 플라스틱 제품
KR20120103158A (ko) 생분해성 플라스틱 조성물 및 이 조성물로 제조된 생분해성 플라스틱 제품
CN1125121C (zh) 光和生物双降解塑料及其制造方法
CN108570224A (zh) 一种抗菌高阻隔性可降解塑料及其制备
Ambrose Biodegradable Packaging—An Eco-Friendly Approach
CN100384936C (zh) 复合生物降解母料的制备方法
CN105566690A (zh) 一种淀粉基可降解生物塑料及其制备方法
KR100769060B1 (ko) 분해성 폴리스티렌 페이퍼의 제조방법, 그 페이퍼 및 이를 이용한 분해성 식품포장 용기.
KR100288054B1 (ko) 열화성폴리올레핀수지조성물과그의제조방법
KR101245689B1 (ko) 밀기울을 함유하는 식품용기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사출용기, 일회용품, 시트 및 열성형 트레이
TWI250184B (en) Multi-component compositions for photodegradable and biodegradable plastic products and use thereof
CN111057293A (zh) 一种可降解的环保塑料及其制备方法
Ibrahim et al. Overview of Bioplastic Introduction and Its Applications in Product Packaging. Coatings 2021, 11, 1423
JP2004058409A (ja) 抗菌性木質系複合成形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584905B1 (ko) 생분해성 플라스틱 조성물
KR100769262B1 (ko)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생분해성플라스틱 제품
CN110303729A (zh) 一种氧化生物降解微波杀菌真空膜
KR20230031743A (ko) 멀칭 필름 제조 방법
KR20030012482A (ko) 옥수수전분과 천연고분자화합물을 함유한 생분해성플라스틱용기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생분해성플라스틱용기
CN114539634A (zh) 可降解的环保塑料及其制备方法
CN110614826A (zh) 一种生物基自粘低粘度保护膜
KR100537747B1 (ko) 환경친화성 원료,그의 제조방법 및 용기
CN110228259A (zh) 一种氧化生物降解背心袋
CN110614832A (zh) 一种生物基阻隔重包装抗菌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