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03546A - 제충, 제초, 및 분해 기능을 갖는 폴리에틸렌 멀칭필름 - Google Patents

제충, 제초, 및 분해 기능을 갖는 폴리에틸렌 멀칭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03546A
KR20050103546A KR1020040028740A KR20040028740A KR20050103546A KR 20050103546 A KR20050103546 A KR 20050103546A KR 1020040028740 A KR1020040028740 A KR 1020040028740A KR 20040028740 A KR20040028740 A KR 20040028740A KR 20050103546 A KR20050103546 A KR 200501035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weight
polyethylene
parts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87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병철
박종신
조재환
정용찬
Original Assignee
수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수원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수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400287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103546A/ko
Publication of KR200501035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3546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00Pistons; Trunk pistons; Plungers
    • F16J1/10Connection to driving members
    • F16J1/12Connection to driving members with piston-rods, e.g. rigid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F16B39/0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0/00Engine or like cylinders; Features of hollow, e.g. cylindrical, bodies in general
    • F16J10/02Cylinders designed to receive moving pistons or plung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Protec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에틸렌 기초수지 100 중량부에, 평균 휘스커(whisker) 길이 20㎛ 이하, 직경 1㎛ 이하인 Ti계 무기물 1∼10 중량부, 광분해제 1∼5 중량부, 및 생분해제 10∼40 중량부를 포함하여 성형된 제1층 수지 필름, 및 카본블랙 마스터 배치를 함유하는 폴리에틸렌 기초수지 100 중량부에, 광분해제 1∼5 중량부, 및 생분해제 10∼40 중량부를 포함하여 성형된 제2층 흑색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제충, 제초 및 분해 기능을 갖는 2층 구조의 폴리에틸렌 멀칭필름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폴리에틸렌 멀칭필름 조성물에 사용되는 기초수지로는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과 같은 폴리에틸렌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제충, 제초, 및 분해 기능을 갖는 폴리에틸렌 멀칭필름 {Polyethylene Mulching Film Having Insecticidal and Weeding Effect, and Degradation}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제충, 제초 및 분해 기능을 갖는 Ti계 무기물 및 카본블랙을 함유한 폴리에틸렌 멀칭필름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휘스커(whisker) 형태의 Ti계 무기물과 분해제를 폴리에틸렌 수지와 혼합하여 마스터 배치를 제조한 후 제조된 마스터 배치를 폴리에틸렌 수지와 다시 혼합하여 제조된 필름 및 카본 블랙 마스터 배치에 의하여 제조된 필름의 두 층으로 이루어져, 농작물 재배시 해충의 발생과 잡초 생성을 억제할 수 있는 환경친화적인 폴리에틸렌 멀칭필름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배경
현재 우리 나라 농촌에서는 고추, 배추, 오이 등의 농작물을 경작할 때 지면의 온도를 유지시키고, 수분의 발산을 막아 작물을 조기에 발아시키기 위하여 지면에 멀칭필름을 덮어 사용하고 있다. 이 때, 일반적으로 제초 및 살충을 위하여 제초제 및 살충제를 살포한 후 멀칭 작업을 하게 된다. 살포되는 제초제 및 살충제는 필요한 양보다 많아서 비경제적이며, 작물 성장에 역효과가 생길 수 있으며, 작업하는 사람에게 유해할 수 있다. 또한, 제초제 등의 살포 및 멀칭 작업이 분리되어 있어 이중작업으로 인한 번거로움이 있다.
따라서, 멀칭필름 제조단계에서부터 제초제를 첨가하는 방법이 시도되고 있다. 그러나, 제초제는 멀칭필름의 주성분인 열가소성 수지와는 다른 일종의 유기첨가제이므로 수지와의 상용성이 거의 없고, 기타의 무기첨가제 등과 같이 수지의 물성을 저하시키기도 한다. 제초제는 성상이 주로 액상이거나 융점이 낮은 고체이기 때문에 제초제를 첨가시킬 때 분해 또는 휘발되거나, 고르게 분산되지 못할 수도 있다.
일본 특허 공보 제46-42218호에는 농약제를 일차적으로 다공성 무기물에 함침시킨 후 열가소성 수지 중에 분산시키는 농약제 함유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열가소성 수지의 최종형태를 쉬트상태로 하면 큰 문제가 없으나 박막필름(10μ∼250μ)으로 제조하는 경우에는 필름 물성에 큰 저하를 초래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방법은 일차적으로 다공질 무기물에 농약제를 처방해야 하기 때문에 필름의 두께가 두꺼워져 원가가 상승되고, 농민들이 쉽게 다룰 수 없는 불편함도 초래하게 된다.
본 발명자는 제초제 등의 살포작업 대신 간단한 방법으로 폴리에틸렌 수지에 미리 Ti계 무기물이 첨가된 제1층 필름과 카본블랙을 함유한 제2층 필름의 두 층으로 구성된 멀칭필름을 제조함으로써, 제초제 등의 소비는 최소화시키고 멀칭 효과(지면의 보온 및 보습)와 수지의 물성은 유지하면서도, 우수한 제초 기능을 갖도록 함과 동시에 유해한 해충의 유입을 억제하는 제충 기능을 갖는 멀칭필름을 개발하여 특허 제360122호로 등록받은 바 있다.
본 발명자는 상기 특허발명을 개량하여 제초 및 제충 기능을 갖는 동시에 분해 기능을 추가하여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토양속에서 분해되어 본 발명의 친환경적인 멀칭필름을 개발하기에 이른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제충제를 살포하는 대신 Ti 계통의 무기물 첨가제를 사용하여 만든 수지 필름을 이용하여 농작물에 유해한 해충의 유입을 억제하는 제충 기능을 갖는 2층 구조의 폴리에틸렌계 멀칭필름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Ti계 무기물이 첨가된 수지 필름의 제충 효과를 극대화시키고, 제초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차광효과에 의한 제초 효과를 나타낼 수 있도록 카본블랙을 함유한 필름을 이용하여 제충 및 제초 기능을 갖는 2층 구조의 멀칭필름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Ti 계통의 무기물 첨가제 및 카본블랙을 함유한 2층 구조의 멀칭필름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Ti 계통의 무기물 첨가제 및 카본블랙 마스터 배치를 첨가하더라도 물성이 현저하게 저하되지 않는 2층 구조의 멀칭필름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Ti 계통의 무기물 첨가제 및 카본블랙 마스터 배치를 사용하여 제조한 폴리에틸렌 멀칭필름으로 인체에 해로운 농약 사용을 줄일 수 있는 2층 구조의 제충·제초 멀칭필름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Ti 계통의 무기물 첨가제 및 카본블랙 마스터 배치를 사용하여 제조한 폴리에틸렌 멀칭필름을 사용함으로써 농약 살포 및 멀칭 작업을 한 단계로 압축한 경제적인 2층 구조의 멀칭필름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Ti 계통의 무기물 첨가제 및 카본블랙 마스터 배치를 사용하여 제조한 폴리에틸렌 멀칭필름으로 수확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2층 구조의 멀칭필름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충·제초 기능은 물론 분해 기능을 추가하여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토양속에서 분해되어 본 발명의 친환경적인 2층 구조의 멀칭필름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의 목적과 기타의 목적들은 하기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폴리에틸렌 기초수지 100 중량부에, 평균 휘스커(whisker) 길이 20㎛ 이하, 직경 1㎛ 이하인 Ti계 무기물 1∼10 중량부, 광분해제 1∼5 중량부, 및 생분해제 10∼40 중량부를 포함하여 성형된 제1층 수지 필름, 및 카본블랙 마스터 배치를 함유하는 폴리에틸렌 기초수지 100 중량부에, 광분해제 1∼5 중량부, 및 생분해제 10∼40 중량부를 포함하여 성형된 제2층 흑색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제충, 제초 및 분해 기능을 갖는 2층 구조의 폴리에틸렌 멀칭필름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배추, 오이, 강낭콩 등의 농작물을 재배할 때, 상기 폴리에틸렌 멀칭필름의 제1층 수지 필름은 해충의 유입을 줄이는 작용을, 제2층 흑색 필름은 제1층 수지 필름의 빛 반사율을 증가시켜 제충 효과를 상승시킴과 동시에 차광 효과에 의하여 잡초의 생성을 억제하는 작용을 한다. 따라서, 요구되는 작업효과에 따라 단층의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멀칭필름 조성물을 제조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 수지 필름에 광분해제와 생분해제를 부가시켜 일정시간이 경과한 후 자연적으로 필름이 분해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폴리에틸렌 멀칭필름 조성물에 사용되는 기초수지로는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등이 사용된다. 상기 Ti계 무기물은 평균 휘스커 길이가 20㎛ 이하이고 직경은 1㎛ 이하인 것이면 특별한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으며, 포타슘 옥타티타네이트 휘스커(K2O·8TiO2) 등이 포함된다. Ti계 무기물은 전체 폴리에틸렌 멀칭필름 조성물에 대하여 10 중량%까지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폴리에틸렌 멀칭필름 조성물은 펠렛(pellet) 상태로 제조되어 필름이나 성형품을 제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하기에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광분해제는 당업자에 의하여 시중에서 용이하게 구입될 수 있으며, 남경케미스트리(주)의 광분해성 그레이드인 110L 이 대표적인 예이며,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생분해제는 당업자에 의하여 시중에서 용이하게 구입될 수 있으며, (주)대상의 생분해성 그레이드인 Bionyl 이 대표적인 예라 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수지 필름에 부가되는 광분해제와 생분해제는 각각 폴리에틸렌 기초수지 100 중량부에, 광분해제 1∼5 중량부, 및 생분해제 10∼4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상기 양보다 적게 사용되는 경우에는 분해능이 저하되며, 상기 양보다 많게 사용되는 경우에는 적절한 두께의 필름을 제조할 수 없는 것과 같은 불량한 작업성을 초래한다.
본 발명의 제충, 제초 및 분해 기능을 갖는 2층 구조의 폴리에틸렌 멀칭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1차로 Ti계 무기물 첨가제, 광분해제 및 생분해제 20 중량%를 기초수지 80 중량%와 혼합하여 마스터 배치를 제조한다. 1차로 제조된 마스터 배치에 2차로 기초수지를 혼합하여 폴리에틸렌 기초수지 100 중량부에, Ti계 무기물 1∼10 중량부, 광분해제 1∼5 중량부, 및 생분해제 10∼40 중량부를 함유하도록 제1층 멀칭필름 조성물을 제조한다. 2차로 혼합하는 기초수지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전체 폴리에틸렌 멀칭필름 조성물 내에서의 Ti계 무기물 첨가제의 함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 때 Ti계 무기물 첨가제 및 분해제가 기초수지에 골고루 분산되도록 하기 위하여 스테아릭 산(stearic acid) 계통의 첨가제를 첨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스테아릭 산 계통의 첨가제를 사용하여 제조된 기초수지를 SEM(Scanning Electron Microscope: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Ti계 무기물 첨가제 및 분해제가 기초수지에 균일하게 분산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기초수지로는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등이 사용되는데, 1차로 혼합되는 기초수지와 2차로 혼합되는 기초수지는 동일하거나 서로 다를 수 있다. 상기 Ti계 무기물은 평균 휘스커 길이가 20㎛ 이하이고 직경은 1㎛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카본블랙, 광분해제 및 생분해제를 함유한 마스터 배치에 폴리에틸렌 기초수지를 적정량 혼합하여 제2층 멀칭필름 조성물을 제조한다. 상기 제1층 및 제2층 필름은 2층 취입필름 압출기(2-layer blown film extruder)를 이용하여 2층 구조를 갖는 멀칭필름으로 제조된다.
결과적으로 생성된 2층 구조의 멀칭필름은 제1층이 Ti계 무기 첨가제를 함유하는 은색 필름층이 되고, 제2층이 카본블랙을 함유하는 흑색 필름층이 된다. 최종적으로 제조된 2층 구조의 멀칭필름의 두께는 40㎛ 정도이며, 이보다 얇거나 두꺼워도 멀칭필름의 물성이나 제충, 제초 효과가 크게 변화되지 않는다. 여기서 제1층인 은색 필름층은 진딧물 등의 해충 유입을 줄이는 기능을, 제2층인 흑색 필름층은 제1층 수지 필름의 빛 반사율을 증가시켜 제충 효과를 상승시킴과 동시에 차광 효과에 의하여 잡초 생성을 억제하는 기능을 수행하므로 필요에 따라 단층의 멀칭필름으로 제조될 수도 있다. 또한, 제충 효과를 갖기 위해서는 제1층인 은색 필름의 UV 빛 반사율 RA/RB의 값이 1.4 이상이어야 한다. 여기서 RA는 파장 400 nm 이하에서의 빛 반사율이고 RB는 파장 500 nm에서의 빛 반사율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폴리에틸렌 멀칭필름 조성물은 펠렛 상태로 제조되어 필름을 제조하거나 또는 성형품을 사출할 때 원료로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합성수지 조성물에 무기물 첨가제가 함유되는 경우에는 강도, 스트레인, 탄성율, 강인성, 아이조드 충격강도, 인열강도와 같은 물리적 특성이 저하된다. 무기물 첨가제의 함량이 크면 클수록 상기 물리적 특성은 그 만큼 더 저하된다. 따라서, 물리적 특성의 저하는 최소화시키고 효과는 최대화시키는 무기물 첨가제 함량이 중요하다.
본 발명의 폴리에틸렌 멀칭필름 조성물로 필름을 제조하기 위한 필름 시료의 물성은 Ti계 무기물의 함량이 기초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10 중량부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이에 미달하거나 이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물성이 저하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Ti계 무기물의 함량은 기초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3∼5 중량부 범위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더 구체화될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한정하거나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기초수지, Ti계 무기물, 광분해제 및 생분해제의 사양은 다음과 같다.
(A) 기초수지 : 한양화학(주)에서 제조된 저밀도 폴리에틸렌(제품명: 한양화학 5321)을 사용하였다.
(B) Ti계 무기물 : 일본 오츠카 케미칼(주)(Otsuka Chemical Co.)에서 제조된 포타슘 옥타티타네이트 휘스커(K2O·8TiO2, 제품명: Tismo-D)를 사용하였다.
(C) 광분해제 : 남경케미스트리(주)의 광분해성 그레이드인 110L을 사용하였다.
(D) 생분해제 : (주)대상의 생분해성 그레이드인 Bionyl을 사용하였다.
5중량부의 Ti계 무기물을 함유하는 제1층 필름 조성물과 카본블랙을 함유하는 제2층 필름 조성물 각각 다음과 같이 광분해제와 생분해제를 부가시키고, 다음과 같은 두께를 갖는 2층 구조의 멀칭필름을 제조하였다.
광분해제 생분해제 2층필름의 두께
실시예 1 3중량부 30중량부 40㎛
실시예 2 3중량부 30중량부 30㎛
비교실시예 1 3중량부 ­ 30㎛
비교실시예 2 3중량부 60중량부 80㎛
비교실시예 3 ­ ­ 종래의 LDPE 필름
상기 실시예와 비교실시예에 대한 MD 및 TD 방향, 지상 및 지하에서의 물성을 측정하여 제1도 내지 제8도에 나타내었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1-2 및 비교실시예1-2의 2층 구조 멀칭필름과 비교실시예3의 LDPE 필름의 MD 방향 지상에서의 90 일간의 인장강도 그래프이다. 제1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농업기술원에서 사용한 2차년도 멀칭 필름 시제품의 경우 햇빛에 노출된 필름은 시제품 실시예1-2 및 비교실시예1-2 모두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하는 현상을 보여주고 있다. 이에 비해서 비교실시예3의 순수 LDPE 필름의 경우 초기의 30 MPa 정도의 인장강도를 80일이 지난 후에도 25 MPa 정도로 대부분 그대로 유지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실시예1-2 및 비교실시예1-2 필름들은 상대적으로 초기 30일 경과 후 초기 강도의 절반 이하로 인장강도가 줄었고, 그 이후에는 완만하기는 하나 지속적으로 강도저하가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비교실시예2의 인장강도가 가장 낮았지만, 그 감소 정도는 상대적으로 타 실시예 필름에 비해서 미약하였다.
제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1-2 및 비교실시예1-2의 2층 구조 멀칭필름과 비교실시예3의 LDPE 필름의 MD 방향 지상에서의 90 일간의 파단신율 그래프이다. 파단 신율은 필름의 분해정도를 나타내어 주는 중요한 척도로서 보이는 바와 같이 비교실시예5의 순수 LDPE 필름의 경우 초기의 파단 신율을 시간 경과에 관계없이 그대로 유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실시예1-2 및 비교실시예1-2 필름들의 경우는 초기 30일 경과후에 큰 폭의 신율 감소를 보여주었고, 그 이후에는 완만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특히 예상대로 생분해제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파단 신율은 더 낮게, 그리고 더 빠르게 감소하였으며, 120일 후에는 손만 대어도 쉽게 찢어지는 거의 완전한 분해가 발생하였다.
제3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1-2 및 비교실시예1-2의 2층 구조 멀칭필름과 비교실시예3의 LDPE 필름의 MD 방향 지하에서의 90 일간의 인장강도 그래프이다. 제3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하에 있던 필름의 경우 시간이 경과되어도 인장강도의 큰 폭의 감소는 일어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제4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1-2 및 비교실시예1-2의 2층 구조 멀칭필름과 비교실시예3의 LDPE 필름의 MD 방향 지하에서의 90 일간의 파단신율 그래프이다. 인장강도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시간이 경과함에도 불구하고 대부분 초기의 파단 신율을 그대로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5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1-2 및 비교실시예1-2의 2층 구조 멀칭필름과 비교실시예3의 LDPE 필름의 TD 방향 지상에서의 90 일간의 인장강도 그래프이다. MD 방향에서의 결과와 마찬가지로 실시예 및 비교실시예 필름들의 경우 초기 30일까지는 비교적 급격한 감소를 이후에는 완만한 감소를 보이면서 분해가 진행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비교실시예3의 순수 LDPE 필름의 경우는 MD 방향에서와 마찬가지로 초기의 강도를 거의 대부분 그대로 유지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제6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1-2 및 비교실시예1-2의 2층 구조 멀칭필름과 비교실시예3의 LDPE 필름의 TD 방향 지상에서의 90 일간의 파단신율 그래프이다. TD 방향의 파단 신율은 MD 방향에 비교해 볼 때 더욱더 급격한 파단신율의 감소를 초기 3일 동안에 관찰할 수 있었다. 특히 30일 이후에는 거의 파단 신율이 0에 가깝게 되어서 TD 방향으로의 신율감소가 MD 방향에 비해서 더욱 큰 폭으로 일어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반면에 LDPE는 예상대로 초기의 파단신율을 그대로 유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TD 방향으로는 30일 이후에는 신율이 거의 제로에 가깝기 때문에 분해가 더 쉽게 일어나는 것을 예측할 수 있다.
제7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1-2 및 비교실시예1-2의 2층 구조 멀칭필름과 비교실시예3의 LDPE 필름의 TD 방향 지하에서의 90 일간의 인장강도 그래프이다. 제7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MD 방향에서의 결과와 마찬가지로 지하에 있던 필름의 경우 시간이 경과되어도 인장강도의 큰 폭의 감소는 일어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제8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1-2 및 비교실시예1-2의 2층 구조 멀칭필름과 비교실시예3의 LDPE 필름의 TD 방향 지하에서의 90 일간의 파단신율 그래프이다. 인장강도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시간이 경과함에도 불구하고 대부분 초기의 파단 신율을 그대로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은 휘스커 형의 Ti계 무기물 첨가제를 사용한 제1층 기초수지 필름과 카본블랙 마스터 배치를 이용하여 제조된 제2층 흑색 필름으로 이루어져 있어, 작물재배시 해충의 피해를 줄이고 이로 인한 농약 사용 절감의 효과 및 최종 수확량을 증진시킬 수 있는 환경친화적인 제충, 제초 및 분해 기능을 갖는 폴리에틸렌 멀칭필름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이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1-2 및 비교실시예1-2의 2층 구조 멀칭필름과 비교실시예3의 LDPE 필름의 MD 방향 지상에서의 90 일간의 인장강도 그래프이다.
제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1-2 및 비교실시예1-2의 2층 구조 멀칭필름과 비교실시예3의 LDPE 필름의 MD 방향 지상에서의 90 일간의 파단신율 그래프이다.
제3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1-2 및 비교실시예1-2의 2층 구조 멀칭필름과 비교실시예3의 LDPE 필름의 MD 방향 지하에서의 90 일간의 인장강도 그래프이다.
제4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1-2 및 비교실시예1-2의 2층 구조 멀칭필름과 비교실시예3의 LDPE 필름의 MD 방향 지하에서의 90 일간의 파단신율 그래프이다.
제5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1-2 및 비교실시예1-2의 2층 구조 멀칭필름과 비교실시예3의 LDPE 필름의 TD 방향 지상에서의 90 일간의 인장강도 그래프이다.
제6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1-2 및 비교실시예1-2의 2층 구조 멀칭필름과 비교실시예3의 LDPE 필름의 TD 방향 지상에서의 90 일간의 파단신율 그래프이다.
제7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1-2 및 비교실시예1-2의 2층 구조 멀칭필름과 비교실시예3의 LDPE 필름의 TD 방향 지하에서의 90 일간의 인장강도 그래프이다.
제8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1-2 및 비교실시예1-2의 2층 구조 멀칭필름과 비교실시예3의 LDPE 필름의 TD 방향 지하에서의 90 일간의 파단신율 그래프이다.

Claims (4)

  1. 폴리에틸렌 기초수지 100 중량부에, 평균 휘스커(whisker) 길이 20㎛ 이하, 직경 1㎛ 이하인 Ti계 무기물 1∼10 중량부, 광분해제 1∼5 중량부, 및 생분해제 10∼40 중량부를 포함하여 성형된 제1층 수지 필름; 및
    카본블랙 마스터 배치를 함유하는 폴리에틸렌 기초수지 100 중량부에, 광분해제 1∼5 중량부, 및 생분해제 10∼40 중량부를 포함하여 성형된 제2층 흑색 필름;
    으로 이루어지는 제충, 제초 및 분해 기능을 갖는 2층 구조의 폴리에틸렌 멀칭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수지는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및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각각 선택되며, 각각의 기초수지는 서로 같거나 다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충 및 제초 기능을 갖는 2층의 폴리에틸렌 멀칭필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층의 Ti계 무기물 함유 필름층은 파장 400 nm 이하에서의 UV 빛 반사율(RA) 대 파장 500 nm에서의 UV 빛 반사율(RB)의 비인 RA/R B가 1.4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충 및 제초 기능을 갖는 2층의 폴리에틸렌 멀칭필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Ti계 무기물이 3∼5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충 및 제초 기능을 갖는 2층의 폴리에틸렌 멀칭필름.
KR1020040028740A 2004-04-26 2004-04-26 제충, 제초, 및 분해 기능을 갖는 폴리에틸렌 멀칭필름 KR200501035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8740A KR20050103546A (ko) 2004-04-26 2004-04-26 제충, 제초, 및 분해 기능을 갖는 폴리에틸렌 멀칭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8740A KR20050103546A (ko) 2004-04-26 2004-04-26 제충, 제초, 및 분해 기능을 갖는 폴리에틸렌 멀칭필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3546A true KR20050103546A (ko) 2005-11-01

Family

ID=37281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8740A KR20050103546A (ko) 2004-04-26 2004-04-26 제충, 제초, 및 분해 기능을 갖는 폴리에틸렌 멀칭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103546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2972B1 (ko) 2020-02-27 2020-08-10 주식회사 진바이오컴 무기미량원소비료를 함유하는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무기미량원소비료 방출조절 생분해성 멀칭필름
CN112335472A (zh) * 2020-11-05 2021-02-09 河南龙都天仁生物材料有限公司 一种用于农作物的可降解地膜的制作方法
KR20210020659A (ko) 2019-08-16 2021-02-24 (주)씨오케미칼 생분해성 방출 조절 비료, 이를 포함하는 생분해성 멀칭필름 및 그 제조방법
CN113214519A (zh) * 2021-05-26 2021-08-06 李明会 一种农用防虫薄膜及其生产工艺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19771A (ko) * 1993-02-26 1994-09-15 황선두 분해성 통기성 필름 및 그 제조방법
US5384183A (en) * 1992-07-23 1995-01-24 Novacor Chemicals, Ltd. Degradable films
JPH11253061A (ja) * 1998-03-13 1999-09-21 Sanwa Corporation:Kk マルチシート
KR20020021255A (ko) * 2000-09-14 2002-03-20 조재환 제충 및 제초 기능을 갖는 폴리에틸렌 멀칭필름
KR20030078061A (ko) * 2000-12-06 2003-10-04 한 창타이 광분해성 및 생분해성 플라스틱 제품용 조성물 및 그의 용도
KR20040021196A (ko) * 2002-09-03 2004-03-10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분해성 멀칭매트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84183A (en) * 1992-07-23 1995-01-24 Novacor Chemicals, Ltd. Degradable films
KR940019771A (ko) * 1993-02-26 1994-09-15 황선두 분해성 통기성 필름 및 그 제조방법
JPH11253061A (ja) * 1998-03-13 1999-09-21 Sanwa Corporation:Kk マルチシート
KR20020021255A (ko) * 2000-09-14 2002-03-20 조재환 제충 및 제초 기능을 갖는 폴리에틸렌 멀칭필름
KR20030078061A (ko) * 2000-12-06 2003-10-04 한 창타이 광분해성 및 생분해성 플라스틱 제품용 조성물 및 그의 용도
KR20040021196A (ko) * 2002-09-03 2004-03-10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분해성 멀칭매트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0659A (ko) 2019-08-16 2021-02-24 (주)씨오케미칼 생분해성 방출 조절 비료, 이를 포함하는 생분해성 멀칭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2142972B1 (ko) 2020-02-27 2020-08-10 주식회사 진바이오컴 무기미량원소비료를 함유하는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무기미량원소비료 방출조절 생분해성 멀칭필름
CN112335472A (zh) * 2020-11-05 2021-02-09 河南龙都天仁生物材料有限公司 一种用于农作物的可降解地膜的制作方法
CN113214519A (zh) * 2021-05-26 2021-08-06 李明会 一种农用防虫薄膜及其生产工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9737981T2 (de) Biodegradierbares Kontrollmittel zur Bekämpfung von Schädlingen
Rosskopf et al. Alternatives to methyl bromide: A Florida perspective
Stapleton et al. Soil solarization: a non-chemical approach for management of plant pathogens and pests
US5729929A (en) Agricultural mulch films and methods for their use
DE3337592A1 (de) Traeger aus organischem material mit integrierten wirkstoffen
Wood et al. Bagworm (Lepidoptera: Psychidae) infestation in the centennial of the Malaysian oil palm industry—A review of causes and control
CN102970858A (zh) 使用包括pvdc蒸气屏障的多层膜的农业熏蒸法
KR20050103546A (ko) 제충, 제초, 및 분해 기능을 갖는 폴리에틸렌 멀칭필름
US5175959A (en) Non toxic protective perimeter for snail and slug control
Wylie Control of Hypsipyla spp. shoot borers with chemical pesticides: a review
KR100360122B1 (ko) 제충 및 제초 기능을 갖는 폴리에틸렌 멀칭필름
JP3336714B2 (ja) 防虫樹脂組成物
JP3610146B2 (ja) マルチフィルム
JP4077686B2 (ja) 生分解マルチフィルムを用いた栽培方法
Pettis et al. Evaluation of insecticides for suppression of Japanese beetle, Popillia japonica Newman, and crapemyrtle aphid, Tinocallis kahawaluokalani Kirkaldy
JP3610107B2 (ja) 多機能性マルチングフィルム
CN211861292U (zh) 地膜结构
US20230225316A1 (en) Gastropod repellent film and plant cultivation method
JPH09308426A (ja) 害虫忌避フィルム
JPH11240805A (ja) 植物用抗菌藻部材、植生構造、菌藻類の増殖抑制方法及び植物用抗菌藻剤
JP3190530B2 (ja) 農業用マルチングフィルムの製造方法
Beres et al. Influence of seed treatments and foliar insecticides used against Oscinella frit L. in maize on the population of thrips
JPH11253061A (ja) マルチシート
KR102161462B1 (ko) 방충 유효성분을 함유한 마스터배치 제조방법
JP3698450B2 (ja) 多機能性マルチ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