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7944B1 - 생분해성 폴리머 조성물 및 이를 기반으로 한 친환경 물품 - Google Patents

생분해성 폴리머 조성물 및 이를 기반으로 한 친환경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7944B1
KR101797944B1 KR1020160108969A KR20160108969A KR101797944B1 KR 101797944 B1 KR101797944 B1 KR 101797944B1 KR 1020160108969 A KR1020160108969 A KR 1020160108969A KR 20160108969 A KR20160108969 A KR 20160108969A KR 101797944 B1 KR101797944 B1 KR 1017979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mer composition
biodegradable polymer
oxidative biodegradation
acid salt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89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권
배진영
안정호
최하영
Original Assignee
(주)휴이노베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휴이노베이션 filed Critical (주)휴이노베이션
Priority to KR10201601089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79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79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79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33Additives activating the degradation of the macromolecular compou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7Aldehydes; Keto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9Carboxylic acids; Metal salts thereof; Anhydrid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9Carboxylic acids; Metal salts thereof; Anhydrides thereof
    • C08K5/098Metal salts of 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16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the macromolecular compounds being biodegradabl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6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having four or more carbon atoms
    • C08L23/2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having four or more carbon atoms having four to nine carbon atoms
    • C08L23/22Copolymers of isobutene; Butyl rubber ; Homo- or copolymers of other iso-olef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6Poly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6Biodegradabl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666/00Composition of polymers characterized by a further compound in the blend, be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inorganic substances or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C08L2666/66Substance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C08L2666/78Stabilisers against oxidation, heat, light or ozon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Biological Depolymerization Polymers (AREA)

Abstract

한 종류 이상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광에 의해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산화를 유도하여 분해를 유발하는 산화생분해제, 및 상기 산화생분해제의 반응을 촉진하는 산화생분해촉진제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산화생분해촉진제는 α, β-불포화 카르본산염, 방향족 치환기를 가진 불포화 카르본산염, 시클로알킬 카르본산염, 시클로알케닐 카르본산염 및 이들의 이성질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폴리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생분해성 폴리머 조성물 및 이를 기반으로 한 친환경 물품 {Biodegradable Polymer Composition and Eco-friendly Article Made of the Same}
본 발명은 생분해성 폴리머 조성물로서, 상세하게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광에 의해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산화를 유도하여 분해를 유발하는 산화생분해제, 및 산화생분해제의 반응을 촉진하는 산화생분해촉진제를 포함하는 생분해성 폴리머 조성물과 그로부터 제조된 물품에 관한 것이다.
일상생활에서 흔하게 사용되고 있는 소재인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등의 폴리머로 제조된 물품은 다양하고 넓은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또한, 일회용 포장재, 공업자재 등 다회 사용이 불가하고, 단기적으로 사용되는 물품은 매일 소비가 증가하는 추세로서, 이의 사용 후 폐기 처리가 심각한 환경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현재 폴리올레핀계 수지로 제조된 물품은 사용 후에 재활용이 가능하나, 이를 재활용하는 분야가 한정되어 있는 실정이며, 결국 최종적으로는 폴리머가 폐기되어야 하기 때문에 보다 근본적인 해결책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폐기처리하기 위해 이를 소각하면 유독 가스가 발생되고, 매립할 경우에는 생분해되지 않아 환경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현재, 상기 문제점의 해결을 위한 대안으로서 대표적인 생분해성 폴리머는 폴리락산(PLA), 전분,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등과 같은 생분해 가능한 물질을 폴리에틸렌 수지와 혼합 용융하여 제조한 폴리올레핀계 수지가 상용화되고 있으나, 유연성, 내열성 등이 부족한 폴리락산의 물성 한계 또는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가 고가여서 경제성이 떨어지는 등의 이유로 사용 분야가 제한되어 있다. 이로 인해, 생분해성 폴리머에 대한 연구가 지속되고 있다.
예를 들어, 한국 등록특허 제10-0962387호에는 왁스 및/또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에 폴리락산을 첨가한 생분해성 수지 발포체 및 생분해성 수지 성형용기에 관해 제시되어 있으나, 생분해성 수지의 주체성분이 폴리락산이므로 상기의 물성 한계를 그대로 가지고 있다.
또한, 미국 등록특허 제6482872호에서는 플라스틱의 분해를 위해, 플라스틱에 디그래던트로 불리우는 첨가제를 넣어 제조된 플라스틱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의 첨가제 등은 일반적으로 고가여서, 생분해성 플라스틱의 다양한 분야에서의 활용이 여전히 제한되고 있다.
따라서,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물성이 떨어지지 않으면서 제조비용이 저렴하여 보다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는 생분해성 폴리머 조성물에 관한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과 과거로부터 요청되어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필요한 물성을 유지하면서도 일정기간 사용 후에는 광에 의해 자연 분해되는 폴리머 조성물로서, 첨가제를 소량 사용하여도 충분한 분해도를 가지기 때문에 제조비용이 낮고, 폴리머의 분해도를 용이하게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이 가능한 생분해성 폴리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친환경 물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생분해성 폴리머 조성물은, 한 종류 이상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광에 의해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산화를 유도하여 분해를 유발하는 산화생분해제, 및 상기 산화생분해제의 반응을 촉진하는 산화생분해촉진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생분해성 폴리머 조성물에서,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반드시 한 종류의 폴리머를 포함해야 하는 것은 아니고, 두 종류 이상의 폴리머들이 혼합된 것이어도 무방하다. 또한, 반드시 호모 폴리머이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2이상의 단량체가 공중합된 공중합체일 수 있다. 이러한 공중합체는, 예를 들어, 에틸렌 또는 탄소수 4 내지 8의 α-올레핀, 예를 들어, 1-부텐, 1-펜텐, 4-메틸-1-펜텐, 1-헥센, 1-옥텐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되는 단량체를 포함할 수 있다.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바람직한 예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틸렌, 폴리스티렌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일 수 있으며, 그 중에서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스티렌이 바람직하며, 특히 성형이 용이하고 가격이 저렴한 폴리에틸렌이 더욱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함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80 중량% 내지 99.5 중량%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90 중량% 내지 99 중량%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95 중량% 내지 99 중량%일 수 있다. 80 중량% 이하로 포함된 경우에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물성이 떨어지게 되어 상품으로 활용하기 곤란한 문제점이 있고, 99.5 중량 이상으로 포함되는 경우에는 충분히 분해될 수 없어, 본 발명이 목적하는 환경친화적인 소재 특성을 달성할 수 없다.
본 발명에 따른 생분해성 폴리머 조성물에서, 광에 의해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산화를 유도하여 분해를 유발하는 상기 산화생분해제는 광에 의해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산화를 유도하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에서 산화생분해제의 분해를 유도하는 광의 파장도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광에 의해 산화가 유도되는 반응의 특성상 자외선 또는 근자외선에 속하는 파장의 광이 반응을 유도할 가능성이 크고, 자외선 영역의 광에 의해 산화반응을 일으키는 산화생분해제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자외선에 가까운 짧은 파장의 가시광선 영역의 광에 의해 산화반응을 일으키는 산화생분해제도 가능하다. 하나의 예로서, 산화생분해제는 지방산염일 수 있다. 이러한 지방산염은 포화, 불포화 지방산염을 불문하고 사용가능하다. 예를 들어, 스테아르산염, 올레산염, 말레산염, 에루크산염, 리놀렌산염 및 숙신산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산화생분해제의 함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05 중량% 내지 5.0 중량%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1 중량% 내지 4.0 중량%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중량% 내지 3.0 중량%일 수 있다. 산화생분해제가 0.05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이 목적하는 정도로 폴리올레핀계 수지가 충분하게 산화되지 않아, 본 발명이 목적하는 환경친화적인 소재특성을 달성할 수 없다. 반면에, 5.0 중량% 이상으로 포함되는 경우에는, 생분해성 폴리머 조성물의 제조비용이 증가하고, 산업분야 및 실생활에서 활용되기에 부적합할 정도의 불안정성을 갖게 되며, 나아가 이로서 제조된 물품의 마모가 촉진되거나, 내구성이 약화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생분해성 폴리머 조성물에서, 산화생분해제의 반응을 촉진하는 상기 산화생분해촉진제는 산화생분해제가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산화를 유도시키는 것을 돕는 작용을 하며, 이로 인해, 적은 양의 산화생분해제만을 첨가하여도 목적하는 생분해성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첨가제는 폴리머의 물성을 개선하거나, 보완하기 위해 첨가되는 것이 일반적이고, 본 발명의 상기 산화생분해제나 산화생분해촉진제는 첨가제의 일종으로서, 폴리올레핀계 수지가 광에 의해 분해되는 것을 돕는 역할을 한다. 다만, 첨가제는 폴리머의 본래 물성을 약화시키는 면도 존재하므로, 첨가제의 기능을 다 하면서도 폴리머의 물성이 취약하게 되지 않을 정도로 적은 함량으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경우, 산화생분해제의 함량을 감소시키는 대신 소량의 산화생분해촉진제를 첨가함으로써, 생분해성을 달성하면서도,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물성을 양호하게 유지하도록 한다.
상기 산화생분해촉진제는, 예를 들어, α, β-불포화 카르본산염, 방향족 치환기를 가진 불포화 카르본산염, 시클로알킬 카르본산염, 시클로알케닐 카르본산염 및 이들의 이성질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더 바람직한 산화생분해촉진제는 하기의 화학식 1을 만족하는 α, β-불포화 카르본산염일 수 있다.
Figure 112016083143224-pat00001
(1)
상기 R은 다음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며,
Figure 112016083143224-pat00002
상기 R1 내지 R3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C1 내지 C10 알킬 또는 C2 내지 C10 알케닐이고;
상기 n은 1 내지 7의 정수이며;
상기 금속염(M+)의 M은 전이금속, 알칼리금속 및 알칼리 토금속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다.
이웃한 불포화결합을 갖는 카르본산염은 광에 의한 산화생분해제가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산화를 유도하는 것을 촉진하는 역할을 한다. 일반적으로 광에 의한 산화반응은 라디칼 반응을 포함하게 된다. 파이결합은 시그마결합에 비해 라디칼 반응이 쉽게 일어나며, 이러한 경향은 불포화 결합이 분자 내에서 컨쥬케이트될 수 있는 경우에 더욱 두드러진다.
더 나아가, 불포화 카르본산염 중에서도, 상기 화학식 1을 만족하는 화합물을 경우에는 산화생분해제의 반응을 더욱 촉진함으로써, 산화생분해제의 양을 더욱 적게 첨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더욱 바람직한 산화생분해촉진제로는 화학식 1을 만족하는 α, β-불포화 카르본산염 중에서,
상기 R이
Figure 112016083143224-pat00003
이고,
상기 R1 내지 R3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C1 내지 C10 알킬 또는 C2 내지 C10 알케닐인 것일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불포화 결합이 존재하는 분자의 경우 라디칼 반응을 촉진할 수 있으며, 나아가 벤젠과 이중결합 및 카복실레이트가 컨쥬게이트될 수 있는 상기 구조의 불포화 카르본산의 경우에는 더욱 바람직할 수 있다.
바람직한 산화생분해촉진제로는 하기의 화학식 2를 만족하는 방향족 치환기를 가진 불포화 카르본산염일 수 있다.
Figure 112016083143224-pat00004
(2)
상기 식에서,
x는 1 내지 5의 정수이며;
Y는 수소,C1 내지 C6의 알킬 또는 알케닐이고;
상기 금속염(M+)의 M은 전이금속, 알칼리금속 및 알칼리 토금속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다.
x는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의 정수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불포화 결합이 존재하는 분자의 경우 라디칼 반응을 촉진할 수 있으며, 나아가 벤젠과 컨쥬게이트될 수 있는 불포화 카르본산의 경우로서 컨쥬케이트된 이중결합이 다수 존재하는 상기의 화합물의 경우는 더욱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의 불포화 카르본산염 중에서 가장 바람직한 예로는, 3-페닐-2-프로페노에이트(3-phenyl-2-propenoate)와 3-시클로헥실-2-프로페노에이트(3-cyclohexyl-2-propeno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일 수 있다.
상기의 용어 이성질체는 동일한 화학식 또는 분자식을 가지지만 구조적 또는 입체적으로 다른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그것의 염을 의미한다. 이러한 이성질체로는 비대칭 탄소 중심을 가지는 R 또는 S 이성체, 기하이성질체(트랜스, 시스) 등의 입체 이성질체가 보다 바람직할 수 있다. 이들 모든 이성질체 및 그것의 혼합물들 역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상기 카르본산염의 짝이온은 금속염일 수 있으며, 전이금속염, 알칼리금속염 및 알칼리토금속염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금속염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전이금속염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Mn, Fe, Cr 및 Ni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의 염일 수 있다.
또한, 산화생분해촉진제로서 벤조페논(benzophenone) 등과 같은 물질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도 무방하다.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산화생분해촉진제는 방향족 케톤계 광증감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케톤계 광증감제의 구체적인 예로는 부테인-2,3-디온(butane-2,3-dione), 1-페닐-1,2-프로페인디온(1-phenyl-1,2-propanedione) 및 캄포퀴논(camphorquinone)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산화생분해촉진제에 추가로 첨가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산화생분해촉진제의 함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05 중량% 내지 2.0 중량%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1 중량% 내지 1.5 중량%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중량% 내지 1.0 중량%일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본 발명의 폴리머 조성물에 자외선 안정제가 추가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안정제의 첨가에 의해, 생분해성 폴리머 조성물 분해도를 조절할 수 있고, 궁극적으로 각 산업분야에서의 목적을 고려하여 적절한 분해도를 갖도록 조절할 수 있는 생분해성 폴리머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자외선 안정제의 예로는, 2-수산화벤조페논(2-hydroxy benzophenone), 힌더드 아민(hindered amine) 및 벤조트리아졸(benzotriazole)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생분해성 폴리머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친환경 플라스틱 물품을 제공한다. 생분해성 폴리머 조성물이 포함된 물품들과 그것의 제조 방법 등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으므로,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생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러한 생분해성 폴리머 조성물은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물성도 유지하면서도, 일정기간 사용 후에는 광에 의해 산화가 유도되어 분해됨으로써 환경친화적이고, 산화생분해제를 소량 사용하여 제조비용도 낮아 다양한 분야에서 적극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자외선 안정제를 추가로 포함하여, 각 산업분야에서의 목적에 적합하게 그 분해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을 상술하지만,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산화방지제를 포함하지 않은 저밀도폴리에틸렌(LDPE)(M.F.I.=1g/10min) 98.0 중량%, 망간/철-올레이트(Mn/Fe-oleate) 1.0 중량%, 및 3-페닐-2-프로페노에이트(3-phenyl-2-propenoate) 1.0 중량%를 컴파운딩 하였다. 컴파운딩은 40 mm, L/D=40 DLS Twin screw Extruder를 사용하였으며, 이 때 Cylinder를 180℃ 내지 190℃로 가열하면서, 압력을 30 kgf/㎠ 내지 32 kgf/㎠로 유지하였다. 이러한 조건에서 제조된 펠렛은 색이 약간 노랗고 크기는 작았다.
제조된 펠렛을 50mm Blown Extruder를 이용하여, Cylinder를 180℃ 내지 190℃로 가열하면서, Adapter/Die 190℃, screw 30 rpm의 조건으로 두께 40-50 ㎛의 필름을 성형하였다.
<실시예 2>
3-페닐-2-프로페노에이트 대신에 3-시클로헥실-2-프로페노에이트(3-cyclohexyl-2-propenoate)을 넣은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필름을 성형하였다.
<실시예 3>
3-페닐-2-프로페노에이트를 0.5 중량%로 설정하고 벤조페논(benzophenone) 0.5 중량%을 추가로 넣은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필름을 성형하였다.
<실시예 4>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96.0 중량%, 망간/철-올레이트 3.0 중량%, 및 3-페닐-2-프로페노에이트 1.0 중량%로 설정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필름을 성형하였다.
<실시예 5>
3-페닐-2-프로페노에이트 대신에 3-시클로헥실-2-프로페노에이트(3-cyclohexyl-2-propenoate)을 넣은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4와 동일하게 필름을 성형하였다.
<실시예 6>
3-페닐-2-프로페노에이트를 0.5 중량%로 설정하고 벤조페논(benzophenone) 0.5 중량%을 추가로 넣은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4와 동일하게 필름을 성형하였다.
<비교예 1>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98.0 중량%와 망간/철-올레이트 2.0 중량%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필름을 성형하였다.
<비교예 2>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96.0 중량%와 망간/철-올레이트 4.0 중량%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필름을 성형하였다.
<실험예 1>
실시예 1 내지 6에서 각각 제조된 필름과 비교예 1 및 2에서 각각 제조된 필름을 자외선에 노출시킨 뒤, 만능재료시험기(Universal Testing Machine, UTM)로 시간 경과에 따른 신장율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자외선
노출 시간
(시간)
신장율(%)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비교예1 비교예2
0 26.45 26.22 26.05 22.55 21.68 21.65 26.06 21.57
50 21.54 21.23 20.57 17.28 17.34 17.18 21.91 18.09
100 - - - - - - 15.86 3.96
150 10.33 10.44 9.23 2.88 2.55 1.95 11.94 3.06
200 - - - - - - 8.78 0.73
250 2.85 2.77 1.84 0.46 0.50 0.21 3.09 0.51
300 - - - - - - 3.92 0.28
350 1.85 1.86 1.02 - - - 2.68 -
상기 표 1에는 자외선 노출 시간에 따른 각 필름의 신장율을 측정한 값을 나타내었다.
일반적으로 제조된 필름의 신장율이 낮을수록 산화에 의한 분해가 더 많이 일어난 것으로 볼 수 있다.
실시예 1 내지 3의 결과와 실시예 4 내지 6의 결과를 상호 비교할 때, 산화생분해제인 망간/철-올레이트의 함량이 증가에 의해 제조된 필름의 신장율이 낮아지며, 이를 통해 산화에 의한 분해가 더 활발하게 일어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비교예 1의 결과와 비교예 2의 결과를 상호 비교할 때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동일한 양의 LDPE를 넣은 실시예 1 내지 3과 비교예 1을 비교하면, 실시예 1 내지 3에서 산화생분해촉진제를 넣고 제조한 필름들의 경우, 자외선 노출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신장율이 비교예 1에 비해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산화생분해촉진제를 넣는 경우, 산화에 의한 폴리머의 분해가 더 활발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 4 내지 6과 비교예 2의 결과에서도 보는 바와 같이, 더 많은 양의 산화생분해제를 넣은 경우에도 동일한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4 내지 6과 비교예 2에서 제조된 필름들의 신장율을 비교해 보면, 자외선 노출시간이 50시간 경과한 후부터 본 발명에 따른 생분해성 폴리머인 실시예 4 내지 6에서 제조된 필름들의 신장율이 비교예 2에서 제조된 필름의 신장율에 비해 빠르게 감소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산화생분해촉진제를 넣는 경우, 산화에 의한 폴리머의 분해가 더 활발함을 알 수 있다.
또한, 광증감제로서 벤조페논을 산화생분해촉진제와 함께 넣어 제조한 실시예 3 및 실시예 6의 경우, 산화생분해제만을 넣은 경우보다 현저히 빠르게 신장율이 감소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실험 결과를 통해, 산화생분해촉진제를 소량 첨가하는 경우에도 충분한 산화에 의한 분해반응이 가능한 바, 생분해성 폴리머 조성물 및 이를 기반으로 한 친환경 물품의 제조에 사용함으로써, 친환경 소재의 다양한 분야에서의 활용이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13)

  1. 한 종류 이상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광에 의해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산화를 유도하여 분해를 유발하는 산화생분해제, 및 상기 산화생분해제의 반응을 촉진하는 산화생분해촉진제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산화생분해촉진제는 α, β-불포화 카르본산염, 방향족 치환기를 가진 불포화 카르본산염, 시클로알킬 카르본산염, 시클로알케닐 카르본산염 및 이들의 이성질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며,

    상기 α, β-불포화 카르본산염은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이고,
    Figure 112017071189266-pat00009
    (1)
    상기 R은 다음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며,
    Figure 112017071189266-pat00010

    상기 R1 내지 R3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C1 내지 C10 알킬 또는 C2 내지 C10 알케닐이고;
    상기 n은 1 내지 7의 정수이며;
    상기 금속염(M+)의 M은 전이금속, 알칼리금속 및 알칼리 토금속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고,

    상기 방향족 치환기를 가진 불포화 카르본산염은 하기 화학식 2의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폴리머 조성물:
    Figure 112017071189266-pat00011
    (2)
    상기 식에서,
    x는 2 내지 5의 정수이며;
    Y는 수소,C1 내지 C6의 알킬 또는 알케닐이고;
    상기 금속염(M+)의 M은 전이금속, 알칼리금속 및 알칼리 토금속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다.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틸렌 및 폴리스티렌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폴리머 조성물.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폴리머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생분해촉진제는 방향족 케톤계 광증감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폴리머 조성물.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 케톤계 광증감제는 부테인-2,3-디온(butane-2,3-dione), 1-페닐-1,2-프로페인디온(1-phenyl-1,2-propanedione) 및 캄포퀴논(camphorquino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폴리머 조성물.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α, β-불포화 카르본산염은
    상기 R이
    Figure 112017071189266-pat00012
    이고,
    상기 R1 내지 R3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C1 내지 C10 알킬 또는 C2 내지 C10 알케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폴리머 조성물.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생분해촉진제는 3-페닐-2-프로페노에이트(3-phenyl-2-propenoate) 및 3-시클로헥실-2-프로페노에이트(3-cyclohexyl-2-propeno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폴리머 조성물.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생분해제는 지방산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폴리머 조성물.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산염은 스테아르산염, 올레산염, 말레산염, 에루크산염, 리놀렌산염 및 숙신산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폴리머 조성물.
  12. 제 1 항 및 제 4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폴리머 조성물에 있어서, 자외선 안정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폴리머 조성물.
  13. 제 12 항에 따른 폴리머 조성물을 포함하여 제조된 플라스틱 물품.
KR1020160108969A 2016-08-26 2016-08-26 생분해성 폴리머 조성물 및 이를 기반으로 한 친환경 물품 KR1017979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8969A KR101797944B1 (ko) 2016-08-26 2016-08-26 생분해성 폴리머 조성물 및 이를 기반으로 한 친환경 물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8969A KR101797944B1 (ko) 2016-08-26 2016-08-26 생분해성 폴리머 조성물 및 이를 기반으로 한 친환경 물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7944B1 true KR101797944B1 (ko) 2017-12-12

Family

ID=60943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8969A KR101797944B1 (ko) 2016-08-26 2016-08-26 생분해성 폴리머 조성물 및 이를 기반으로 한 친환경 물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79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7883B1 (ko) 2019-05-02 2020-10-21 주식회사 알커미스 산화 생분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필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7507B1 (ko) * 2000-12-06 2007-12-21 한 창타이 광분해성 및 생분해성 플라스틱 제품용 조성물 및 그의 용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7507B1 (ko) * 2000-12-06 2007-12-21 한 창타이 광분해성 및 생분해성 플라스틱 제품용 조성물 및 그의 용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7883B1 (ko) 2019-05-02 2020-10-21 주식회사 알커미스 산화 생분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필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4435C (zh) 多元降解树脂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1365615B1 (ko) 초기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산화생분해성 필름용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과 이로부터 제조되는 산화생분해성 필름
JP2002542313A (ja) 生分解性高分子組成物の製造方法
KR101461777B1 (ko) 셀룰로오스 및 폴리락틱산을 포함하는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생분해성 필름
JP2695043B2 (ja) 活性な植物性充填剤であるリグニンを含む分解性プラスチックフィルム。
KR101214983B1 (ko) 바이오 플라스틱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032896A (ko)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생분해성 물품
US20090149606A1 (en) Degradable plastic composition and methods
KR101987086B1 (ko) 저온 가공성이 향상된 생분해성 복합수지조성물, 복합수지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시트제조방법
JP3184886B2 (ja) 光劣化可能なプラスチック組成物
EP3545032B1 (en) Degradable polymer and method of production
KR101223219B1 (ko) 폴리락틱엑시드를 이용한 신발 중창용 생분해성 발포체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067320A (ko) 친환경 분해성 고분자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필름
WO2016090805A1 (zh) 可降解evoh高阻隔复合薄膜
KR20210038745A (ko)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식품 용기용 펠릿
KR101797944B1 (ko) 생분해성 폴리머 조성물 및 이를 기반으로 한 친환경 물품
KR102466532B1 (ko) 수계 생분해성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제품 및 수계 생분해성 제품의 제조방법
JP2004358721A (ja) 乳酸系ポリマー多層フィルム
JP7251250B2 (ja) フィルム成形用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樹脂組成物からなるフィルム
JP5233335B2 (ja) 樹脂組成物並びに該樹脂組成物からなる成形品及びフィルム
JP4311916B2 (ja) 耐加水分解性に優れた生分解性樹脂製フィルムまたはシート
KR20120049562A (ko) 내스크래치성, 내충격성 및 투명성이 우수한 생분해성 다층시트와 그 제조방법
WO2016090799A1 (zh) 可降解po发泡共挤出复合薄膜
KR20130133575A (ko) 생분해성 발포체용 조성물
KR101750624B1 (ko) 가소화 바이오매스를 이용한 친환경 실리콘 원료 조성물, 및 이의 압출성형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