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77457A - 업라이트형 건반악기 - Google Patents

업라이트형 건반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77457A
KR20030077457A KR10-2003-0018635A KR20030018635A KR20030077457A KR 20030077457 A KR20030077457 A KR 20030077457A KR 20030018635 A KR20030018635 A KR 20030018635A KR 20030077457 A KR20030077457 A KR 200300774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leaf spring
upper pen
keys
dam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86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11605B1 (ko
Inventor
푸웬준
Original Assignee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774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74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16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16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FAUTOMATIC MUSICAL INSTRUMENTS
    • G10F1/00Automatic musical instruments
    • G10F1/02Pianofortes with keyboard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CPIANOS, HARPSICHORDS, SPINETS OR SIMILA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TH ONE OR MORE KEYBOARDS
    • G10C3/00Details or accessories
    • G10C3/16Actions
    • G10C3/161Actions specially adapted for upright piano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CPIANOS, HARPSICHORDS, SPINETS OR SIMILA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TH ONE OR MORE KEYBOARDS
    • G10C3/00Details or accessories
    • G10C3/16Actions
    • G10C3/166Actions for damping the string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CPIANOS, HARPSICHORDS, SPINETS OR SIMILA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TH ONE OR MORE KEYBOARDS
    • G10C3/00Details or accessories
    • G10C3/16Actions
    • G10C3/18Hammer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CPIANOS, HARPSICHORDS, SPINETS OR SIMILA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TH ONE OR MORE KEYBOARDS
    • G10C3/00Details or accessories
    • G10C3/26Pedals or pedal mechanisms; Manually operated sound modification mea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CPIANOS, HARPSICHORDS, SPINETS OR SIMILA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TH ONE OR MORE KEYBOARDS
    • G10C9/00Methods, tools or 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maintenance of musical instruments covered by this subcla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84/00Music
    • Y10S84/07Electric key switch structu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업라이트형 건반악기는 액션(13)과 연동되는 소정수의 키(11), 헤머 어셈블리(40), 라우드 페달(71)과 연동되는 판 스프링 유닛(80)을 포함한다. 상기 키가 압하되면 액션은 상기 헤머 어셈블리를 구동하도록 작동하여 악기음을 생성한다. 판 스프링(81) 각각은 통상 상기 액션에 포함된 위펜(23)의 단부에 근접하여 배치된다. 키의 압하에 따라서, 위펜의 단부는 판 스프링과 접촉하여 키를 압하하는 연주자의 손가락에 다시 전해지는 항력을 유발한다. 라우드 페달이 압하되면 위펜의 단부로부터 판스프링이 분리되어 키의 압하에 따라 자유롭게 회전함으로써 음의 고성효과를 실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업라이트형 건반악기{UPRIGHT KEYBOARD INSTRUMENT}
본 발명은 키의 압하 및 복귀시 실제의 키 터치감을 실현하는 전자 업라이트형 피아노(upright pianos)등의 업라이트형 건반악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 전자 업라이트형 피아노는 키의 압하에 따라서 현을 타현하도록 회동되는 헤머와, 압하된 키의 운동을 헤머에 전달하는 액션(action)(액션 기구)을 포함하며, 키의 운동은 센서에 의해 검출되어 검출 결과를 형성하며, 그 검출 결과에 의거하여 악기음이 대응하여 생성된다. 따라서, 연주자(유저)는 어쿠스틱 업라이트형 피아노에서의 키 터치감과 비슷한 키 터치감(예컨대, 키 터치감, 키 터치 응답 및 반응, 또는 압하되는 키의 저항)으로 전자 업라이트 피아노를 연주하면서 예컨대, 스피커 또는 헤드폰을 통해 연주음을 들을 수 있다.
어쿠스틱 업라이트형 피아노는 현과 이 현의 진동을 멈추는 댐퍼를 가지며, 댐퍼는 통상, 댐퍼 스프링에 의해 현과 접촉하게된다. 키가 압하되면 댐퍼는 댐퍼 스프링의 힘에 대항하여 현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움직인다. 한편, 전자 업라이트형 피아노는 현 및 댐퍼를 구비하지 않는다. 어쿠스틱 업라이트형 피아노에서도, 소정 범위의 음을 갖는 키 각각, 예컨대 최고음을 갖는 키로부터 카운트된 20개 키 각각에 대해서는 댐퍼가 설치되지 않는다. 따라서, 어쿠스틱 업라이트형 피아노는 댐퍼가 결합된 키와 댐퍼가 결합되지 않은 키를 포함하며, 키 터치감은 댐퍼가 설치되어 있는 지의 유무에 대한 그것들의 작용에 의거해서 상이할 수 있다.
도 12는 댐퍼가 설치되어 있는지의 여부에 따라 결정되는 키 터치감의 변동을 도시한다. 도 12의 그래프에 있어서, 수평축은 각 키가 압하되는 거리(밀리미터의 단위)를 나타내고, 수직축은 각 키를 압하하기 위해 필요한 힘(그램단위의 무게)을 나타낸다. 여기서, 곡선 A는 댐퍼가 결합되지 않은 키 각각을 압하하기 위해필요한 힘의 변화를 나타내고, 점선 B는 댐퍼가 결합되지 않은 키 각각을 압하하기 위해 필요한 소정 레벨의 힘(예컨대, 어쿠스틱 업라이트형 피아노에 있어서 댐퍼가 결합되지 않은 특정 키를 압하하기 위해 필요한 힘, 또는 전자 업라이트형 피아노의 키 각각을 압하하기 위해 필요한 힘)을 나타낸다.
즉, 도 12에서 점선 B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댐퍼가 결합되지 않은 키 각각은 압하의 초기 상태를 제외하고 실질적으로 소정 레벨의 힘에 의해 압하될 수 있다. 한편, 도 12에서 곡선 A로 도시된 바와 같이, 댐퍼가 결합된 키 각각은 특히, 압하에 있어서 스트로크 중앙에서 증가된 후 감소하게 되며, 이는 헤머의 부하가 키에 적용되지 않은 이른바 이스케이프먼트(escapement)를 나타낸다.
연주자(또는 유저)가 어쿠스틱 업라이트형 피아노에 있어서 손가락을 사용하여 댐퍼가 결합된 키를 압하하면 손가락에 소정의 키 터치감이 적용된다. 한편, 전자 업라이트형 피아노는 댐퍼를 포함하고 있지 않으므로 연주자(또는 유저)는 이러한 키 터치감을 즐길 수 없다. 고음키들이 댐퍼와 결합되지 않은 어쿠스틱 업라이트형 피아노에서 조차도 연주자(또는 유저)는 댐퍼와 결합된 키를 압하할때 느끼는 키 터치감을 경험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댐퍼와 결합되지 않은 키에 있어서 댐퍼가 결합된 키의 경우와 유사한 키 터치감을 형성할 수 있는 업락이트형 건반악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업라이트형 건반악기의 전체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업라이트형 건반악기에 포함된 헤머 어셈블리와 액션(기구)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3은 상기 액션에 포함된 위펜과 판 스프링 사이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4는 함께 조립되는 판 스프링 유닛의 부분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5는 상기 판 스프링 유닛이 배치된 업라이트형 건반악기의 배면도,
도 6은 업라이트형 건반악기의 배면측에 배치된 판 스프링 유닛에 포함된 판스프링 고정 레일상에 판 스프링을 고정하는 구조의 일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7은 판 스프링 고정 레일상에 판 스프링을 고정하는 구조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8은 판 스프링 고정 레일 상에 판 스프링을 고정하는 구조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업라이트형 건반 악기의 필수 부품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10은 도 9의 업라이트형 건반악기에 포함된 댐퍼 유닛에 설치된 판 스프링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업라이트형 건반 악기의 필수 부품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12는 댐퍼가 결합된 키와 댐퍼가 결합되지 않은 키 사이의 키 터치감의 차이를 도시하는 그래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키바닥부(keybed)11 : 키
23 : 위펜(whippen)50 : 댐퍼 유닛
51 :판 스프링70 : 라우드 패달 유닛(loud pedal unit)
71 : 라우드 패달74 : 라우드 패달봉
80 :판 스프링 유닛81 : 판 스프링
82 : 판 스프링 고정레일83 : 판 스프링 압착기
84 : 진동판85 : 힌지 고정판
86 : 힌지87 : 판 스프링 장착부재
88 : 금속부재
본 발명은 업라이트형 피아노 및 전자 피아노 등의 업라이트형 건반 악기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각각의 키는 라우드 페달과 연동되는 판 스프링 또는 댐퍼 유닛 뿐아니라 액션(기구) 및 헤머 어셈블리와 연동된다. 키가 압하되면 액션은 헤머 어셈블리를 구동하도록 작동됨으로써 악기음을 형성한다. 여기서, 키와 관련하여 배치된 복수의 판 스프링을 포함하는 판 스프링 유닛 또는 댐퍼 유닛은 액션에 포함됨과 아울러 키의 압하에 따라 회전되는 위펜의 회전 범위를 통상 조절할 수 있다. 라우드 페달이 압하되면 위펜의 회전에 대한 조절이 해제되어 음이 더 커진다.
특히, 연주자(또는 유저)가 키를 압하하여 피벗운동하면, 키의 후단부가 캡스턴(capstan)과 함께 상방으로 움직여 위펜을 밀어올리고, 이 키의 후단부는 판 스프링과 접촉하여 신축성에 기인한 저항력을 형성한다. 상기 판 스프링의 저항력은 위펜 및 키를 통해 키를 압하하는 연주자의 손가락에 전달된다. 연주자가 발로 라우드 페달을 압하하면, 이 라우드 페달의 압하에 따라 하방으로 움직이는 라우드 페달 봉과 상호연결된 판 스프링은 하방으로 물러나 위펜의 후단부로부터 밀림으로써, 판 스프링은 키의 압하에 따라 회전하는 위펜과 접촉하지 않게되어 라우드니스효과(loudness effect)를 유발한다.
따라서, 댐퍼가 결합되지 않은 키의 압하시, 댐퍼가 결합된 어쿠스틱 피아노등의 키에서 실현되는 키 터치감과 매우 근접 또는 유사한 실질적인 키 터치감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 및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1. 제 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업라이트형 건반악기의 전체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즉, 건반(12)은 도 1의 도면에 직교방향으로 함께 인접하여 배치된 소정 수의 키(11)를 가진다. 키(11)는 업라이트형 건반악기의 하부 프레임을 구성하는 키 바닥부(1)상에 배치 및 지지된다. 3개의 연장부재 즉, 후방 레일(2), 벨런스 레일(3) 및 전방 레일(4)은 건반(12)의 전체 폭을 따라 키 바닥부(1)의 상부면상에 상이한 위치로 배치된다. 벨런스 레일(3)은 키(11) 각각에 대해서 지지부로서 작용한다. 벨런스 핀(5)은 함께 인접하여 순차 배치된 키(11)에 따른 벨러스 레일(3) 상의 소정의 위치에 상방으로 배치된다. 즉, 벨러스 핀(5)은 벨런스 레일(3) 상에 상기와 같이 고정장착된 키(11)의 소정 위치를 관통하여 배치된다. 쿠션 재료(6)는 후방 레일(2)의 상부면에 부착되며, 쿠션재료(7)는 전방 레일(4)의 상부면에 부착된다. 또한, 타원형 핀(8)은 키(11)의 좌, 우 스윙 모션을 조절하기 위하여 쿠션 재료(7)를 통해 전방 레일(4)상에 부착된다. 더욱이, 캡스턴(9)은 후단부[즉, 도 11에 있어서 키(11)의 우단부]에 있어서 키(11)의 상부면에 기립하도록 배치된다. 키(11)의 전방단부가 압하되면, 키(11)는 벨런스 레일(3)의 상부면과 키(11)의 후방측 사이의 접촉 영역에 대응하는 지지점을 중심으로 회동된다. 따라서, 키(11)의압하에 따라 캡스턴(9)은 키(11)의 후방단부와 함께 상방으로 움직인다.
건반(12)에 있어서 센서(도시안됨)는 키(11)에 배치되어 이 키의 움직임을 검출한다. 센서로서는 키(11) 각각에 의해 타현되는 압전 소자를 사용할 수 있다. 대안으로, 광 차단기가 키 바닥부(1)의 상부면상에 배치됨과 아울러 광축을 차단하는 셔터가 키(11) 하부에 배치된 광 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이경우, 키 압하 속도는 광축이 셔터에 의해 차단된 후 수광 상태가 회복될 때까지 경과되는 시간에 기초하여 측정된다. 키(11)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센서의 출력 신호는 전자 음원(도시안됨)에 제공된다.
상기 업라이트형 건반악기는 건반(12)의 키(11)와 관련하여 헤머 어셈블리(40)와 액션(13)을 포함한다. 이 헤머 어셈블리(40)와 액션(13) 둘다는 건반(12)의 전체 폭에 걸쳐 뻗는 중심 레일(16)에 의해 지지된다. 액션 브라켓(action bracket)은 중심 레일(16)의 단부와 중간부 둘다에 배치된다. 즉, 헤머 어셈블리(40)와 액션(13)은 액션 브라켓(15) 사이에 배치된다.
도 2는 헤머 어셈블리(40) 및 액션(13)과 관련한 상세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로서, 헤머 어셈블리(40)가 그 베이스부를 구성하는 (헤머)버트(butt)(41)를 가진다. 버트(41)는 중심레일(16)에 부착된 버트 플랜지(42)에 부착되며, 중심 핀(42a)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다. 또한, 버트 언더 펠트(butt under-felt)는 버트(41a)의 하부면에 부착되며, 버트 언더 스킨(butt under-skin)(41b)으로 덮여있다.
헤머(43)는 헤머 샌크(hammer shank)(43a)의 일단이 헤머 버트(41)에 고정되는 방식으로 헤머 버트(41)와 접속된다. 또한, 결합부재(43b)는 헤머 샌크(43a)의 타단에 부착되며, 중량부재(43c)를 구비하는데, 이 중량부재(43c)는 헤머 샌크(43a)에 직교 배치되며, 헤머(43)의 회전 방향(즉, 도 2의 시계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버트 스프링(47)은 버트(41)의 우측에 배치되어 통상, 헤머(43)를 반시계방향으로 가압한다. 상기 중량부재(43c)는 상이한 음을 갖는 키(11)에 따라 배치되어 있는 헤머(43)에 대해 각기 배치되어 있다. 어쿠스틱 업라이트형 피아노의 헤머에 대해 배치된 헤머 펠트의 특징을 시뮬레이션하기 위해, 헤머(43)의 중량 부재(43c)는 저음에서 고음으로 음이 증가하는 순서로 헤머(43)를 중량에 있어서 점차적으로 감소시키는 방법으로 크기, 형상 및 재료에 있어서 순차적으로 수정 또는 변경된다.
캐처 샌크(catcher shank)(45)의 일단은 헤머 샌크(43a)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버트(41)에 고정되며, 타단에는 캐처(46)가 구비되어 있다.
피 타격부(60)는 키(11)가 압하될 때 헤머 어셈블리(40)의 헤머 샌크(43a)에 의해서 타격된다. 피 타격부(60)는 건반(12)의 전폭을 걸쳐 뻗는, 단면이 직각의 U형상인 브라켓(61)을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브라켓(61)은 고 댐핑효과를 갖는 주철등의 소정 재료로 만들어진다. 고무나 우레탄등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댐핑부재(62)는 브라켓(61)의 일면에 부착된다. 또한, 합성수지, 피혁, 클로스(cloth) 및 펠트(felt)로 이루어진 버퍼부재(63)는 댐퍼부재(62)의 표면에 부착된다. 헤머 샌크(43a)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버퍼부재(63)에 의해서 정지된다.
헤머 레일(36)은 건반(12)의 전폭에 걸쳐 뻗는다. 헤머 패드(37)는 헤머 레일(36)의 표면에 부착되어 헤머 샌크(43a)를 수용함으로써 헤머 샌크(43a)의 튐을 방지한다. 압하되지 않은 키(11)의 나머지 위치에서는 헤머 에셈블리(40)가 버트 스프링(47)의 힘으로 인해 반시계방향으로 움직이게되어 헤머 샌크(43a)는 헤머 레일(36)에 부착된 헤머 패드(37)와 접촉하게 된다.
액션(액션기구)(13)는 키(11)의 운동을 헤머 어셈블리(40)에 전달하도록 배치된다. 이하, 액션(13)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소정수의 위펜 플랜지(22)는 중심 레일(16)의 하단부에 있어서 키(11)의 후단부에 근접한 소정의 위치에 부착된다. 위펜 플랜지(22)의 하단부는 핀(22a)을 통해 위펜(23)의 단부에 근접한 소정의 위치에 부착된다. 위펜 힐 클로스(whippen heel cloth)(24)는 위펜(23)의 후방측에 부착됨으로써 비 키 압하모드에서는 위펜(23)이 위펜 힐 클로스(24)를 통해 키(11)의 후단부상에 배치된 캡스턴(9)의 헤드에 의해서 지지되면서 거의 수평 상태로 유지된다.
잭(jack)(26)은 거의 L형상으로 형성되며, 서로 거의 직각으로 결합되어 있는 대 잭부(26a) 및 소 잭부(26b)로 구성된다. 잭 플랜지(jack flange)(25)는 거의 위펜(23)의 중심부에 부착되며, "수평" 위펜(23)에 거의 수직으로 배치된다. 잭 플랜지(25)의 상단은 핀(26c)을 통해 잭(26)의 굴곡부에 근접한 소정 위치에 부착됨으로써 잭(26)은 이 핀(26c)을 축으로하여 회전될 수 있으나, 잭(26)의 회전은 아래에 설명되는 소정의 부재에 의해서 규제된다.
잭 스프링(27)은 소 잭부(26b)와 위펜(23)의 전방부사이에 배치된다. 또한,대 잭부(26a)의 반시계방향회전은 규제 레일(32)에 의해서 규제된다. 즉, 잭 정지 펠트(29)는 대 잭부(26a)의 대향하여 배치된 규제 레일(32)의 표면에 부착되며, 규제 레일(32)은 규제 브라켓(28)을 통해 중심 레일(16)에 결합된다. 잭(26)은 상기 규제하에 헤머 어셈블리(40)의 버트(41) 저면에 부착된 버트 언더 스킨(41b)에 접촉되어 버트(41)가 대 잭부(26a)의 선단에 의해서 아래로 경사지게 가합된다.
키(11)가 압하되어 밸런스 레일(3)을 중심으로 피벗 운동되면, 키(11) 후단부는 위펜 힐 클로스(24)를 통해 위펜(23)의 전방단부를 가압하는 캡스턴(9)과 함께 상방으로 움직여, 위펜(23)은 시계방향으로 핀(22a)을 중심하여 회전된다. 위펜(23)의 회전으로 인해, 대 잭부(26a)는 버트(41)의 하부를 경사지게 밀어올려 헤머(43)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규제 버튼(34)은 규제 레일(32) 아래에 배치 및 부착되어 소 잭부(26b)의 상방 운동을 규제한다. 즉, 위펜(23)의 전방단부가 소정의 위치로 회전되면 소 잭부(26b)의 선단은 규제 버튼(34)의 하부와 접촉하게 되어 상방운동이 정지된다. 즉, 규제 레일(32)과 소 잭부(26b) 사이에 배치된 규제 버튼(34)의 위치는 나사(33)를 작동함으로써 수직으로 조절된다.
백 체크(back check)(38)는 위펜(23)의 전방단부(또는 자유 단부)에 부착되어 나머지 위치로 복귀되는 헤머 어셈블리(40)의 캐처(46)를 탄력적으로 수용한다. 또한, 브라이들 와이어(bridle wire)(39a)는 백 체크(38)와 결합배치되며, 이 블라이들 와이어(39a)의 상단은 브라이들 테이프(39b)를 통해 캐처(46)와 상호결합된다. 브라이들 테이프(39b)는 헤머 어셈블리(40)의 복귀를 조절하여 위펜(23)의 복귀를 허용함으로써 헤머 어셈블리(40)의 튐에 기인하여 헤머 샌크(43a)가 피 타격부(60)를 두번 타격하는 이중 타격 동작을 회피할 수 있다.
어쿠스틱 업라이트형 피아노의 연주자(또는 유저)는 항상 액션 및 헤머 어셈블리를 구동할 필요가 없으나 손가락으로 키를 압하할때 댐퍼를 구동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이유로 연주자는 손가락으로 키를 강하게 눌러야 한다. 즉, 어쿠스틱 업라이트형 피아노에 있어서, 댐퍼 뿐아니라 액션 및 헤머 어셈블리는 함께 상호작용하여 키를 누르는 연주자의 손가락에 항력을 가한다. 본 발명의 업라이트형 건반악기는 댐퍼를 포함하지 않는다. 대신에, 본 실시예는 키를 압하하는 연주자의 손가락에 항력을 가하는 수단 즉,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판 스프링 유닛(80)을 제공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키를 압하하는 연주자의 손가락에 항력을 가할지의 여부를 판 스프링유닛(80)의 작동을 통해 스위칭하는 스위칭 수단 즉, 도 1에 도시된 라우드 페달 유닛(70)을 제공한다.
도 4는 함께 조립된 판 스프링 유닛(80)의 부분을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판 스프링 유닛(80)을 구비한 업라이트형 건반 악기의 배면도이다. 두 금속부재(88)(도 4에 각각 도시됨)는 업라이트형 건반악기의 배면측에 있어서 키 바닥부(1)의 좌,우측 단부 둘다에 고정된다. 판 스프링 장착 부재(87)는 키 바닥부(1)에 고정되는 금속부재(88)의 상부에 나사고정된다.
판 스프링 장착부재(87)는 각각 장착부(87a) 및 진동부(87b)를 갖는다. 여기서, 판 스프링 가압기(83)의 양단은 나사(C)를 통해 판 스프링 장착부재(87)의 장착부(87a)에 고정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나사선을 갖는 나사 구멍(87c)은 각기 업라이트형 건반악기의 배면 측에서 2개의 판 스프링 장착 부재(87)의 소정 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한편, 관통공은 대응해서 힌지 고정판(85)의 양단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나사(B)는 힌지 고정판(85)의 관통공으로 삽입된 후 두 판 스프링 장착 부재(87)의 나사 구멍(87C)과 결합됨으로써, 힌지 고정판(85)의 양단은 두 판 스프링 장착부재(87)에 확실하게 고정된다. 힌지 고정판(85)이 상술한 바와 같이 고정되면 업라이트형 건반악기의 실제 면과 거의 평행하게 유지된다. 진동판(84)은 길이가 거의 건반(12)의 전폭과 일치하는 긴 직각판이다. 이 진동판(84)은 각기 동일 회전축(86a)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는 두개의 블레이드를 갖는 힌지(86)에 의해 힌지 고정판(85)에 고정되며, 하나의 블레이드는 진동판(84)의 하부면에 고정되는 반면 다른 블레이드는 힌지 고정판(85)의 면에 고정된다. 따라서, 진동판(84)은 힌지(86)의 회전축(86a)을 중심으로 피벗 이동할 수 있다. 진동판(84)의 하방 운동은 판 스프링 장착 부재(87)의 진동 스토퍼(87b)에 의해서 정지된다.
진동판(84)의 상부면에는 판 스프링 고정 레일(82)이 고정되어 있다. 또한, 소정수의 판 스프링(81)은 건반(12)에 있어서의 키(11)의 배치에 따라 판 스프링 고정 레일(82)의 상부면에 배치된다. 쿠션(81a)은 판 스프링(81)의 선단 부 상부면에 각각 부착된다. 더욱이, 판 스프링(81)의 후단부에는 컷아웃(cutout)이 형성되며, 내부 나사선을 갖는 나사구멍은 판 스프링 고정레일(82)의 소정 위치에 대응 형성되어 있다. 즉, 판 스프링(81)은 나사(A)가 판 스프링(81)의 컷아웃(cutout)에 삽입되어 판 스프링 고정 레일(82)과 결합되는 방식으로 판 스프링 고정 레일(82)에 각기 고정된다. 상기 판 스프링 가압기(83)는 판 스프링 장착 부재(87)상에 고정되어 판 스프링 고정 레일(82)에 고정된 판 스프링(81)을 하방으로 가압한다. 이 상태에서, 판 스프링(81)의 선단부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 스프링 가압기(83)의 외측에 배치된다.
통상, 판 스프링(81)은 그 선단부에 부착된 쿠션(81a)이 위펜(23)의 후단부의 저면에 대향 배치되는 방식으로 위치(도 3 참조)에 유지된다. 키(11)가 나머지 위치에 놓이면 위펜(23)의 후단부의 저면은 판 스프링(81)의 쿠션(81a) 위로 약간 부상된다.
링크 부재(76)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판(84)의 저면에 배치되어 그로부터 하향으로 뻗어있으며, 축(76a)이 링크 부재(76)의 하단부 면으로부터 돌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진동판(84)은 힌지(86)의 축(86a)을 중심으로하여 피벗 운동될 수 있다. 따라서, 링크 부재(76)의 축(76a)은 힌지(86)의 축(86a)을 중심으로 소정 반경을 갖는 원의 궤도를 따라 움직일 수 있다.
이어서, 도 1을 참조하여 라우드 페달 유닛(70)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라우드 페달(71)의 후단부(도 1의 하부 우측부참조)는 회전축(71a)을 통해 지지대(72)와 결합된다. 또한, 페달스프링(73)은 그 중심부에 근접한 라우드 페달(71)의 하부면에 부착되어 그 라우드 페달(71)은 통상 페달 스프링(73)에 의해서 상방으로 가압된다. 또한, 라우드 페달봉(74)은 라우드 페달(71)의 상부면 상에서 페달 스프링(73)에 비해 중심 부분에 더 근접한 소정의 위치에 부착된다.
라우드 페달(71)의 전방부가 페달 스프링(73)의 힘에 대항하여 하방으로 압하되면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축(71a)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어, 라우드페달봉(74)은 대응해서 위치가 낮아진다. 라우드 페달(71)의 압하가 복귀된 후 라우드 페달(71)은 페달 스프링(73)의 힘에 의해 초기 위치로 복귀된다.
센서(도시안됨)는 라우드 페달(71)의 움직임을 검출하도록 배치되어 그 출력신호는 전자 음원(도시안됨)에 공급된다.
상기 부품에 추가하여, 라우드 페달 유닛(70)은 라우드 페달(71)의 압하운동을 판 스프링 유닛(80)에 전달하는 특정 구조를 포함한다. 즉, 고정 부재(77)(도 3참조)는 업라이트형 건반악기의 배면측에서 키 바닥부(1)의 단부에 부착되며, 중심이 회전축(75a)에 의해서 피벗지지되며 V형상으로 거칠게 굴곡하는 회전아암(75)으로 구성된다. 회전 아암(75)의 하단부는 축(75c)을 통해 라우드 페달봉(74)의 상단부와 결합된다. 또한, 장공(75b)이 회전아암(75)의 상단부에 형성된다. 링크 부재(76)의 하단부로부터 돌출하는 상기 축(76a)은 회전아암(75)의 장공(75b)으로 삽입된다.
이어서, 본 실시예의 전체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키(11)가 압하되어 키(11)의 후단부가 캡스턴(9)과 함께 상방으로 움직이면, 위펜(23)이 위펜 힐 클로스(24)를 통해 캡스턴(9)에 의해서 위로 밀려, 위펜(23)은 시계 방향(도 2 참조)으로 핀(22a)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된다. 따라서, 대 잭부(large jack portion)(26a)는 버트(butt)(41)를 위로 밀어 헤머 어셈블리(40)에 있어서 시계방향으로의 회전을 유발함으로써 헤머 샌크(43a)는 피 타격부(60)를 타격한다. 이 경우, 압하된 키(11)의 운동은 상기 센서에 의해서 검출되어 키 압하 신호를 형성하여 전기 음원으로 보내어진다. 결국, 스피커(들) 또는 헤드폰은키(11)에 대응하는 음과 키(11)를 압하하는 세기에 대응하는 음량을 갖는 악기음을 생성한다.
이후, 키(11)가 복귀되어 센서가 키 복귀 신호를 전자 음원에 출력하여 댐핑 처리(뮤팅 처리)를 형성하고 키(11)에 대응하는 악기 음의 음량을 빠르게 줄인다. 이 처리는 어쿠스틱 업라이트형 피아노에 사용되는 댐퍼의 동작에 대응할 수 있다. 이 댐핑 처리는 전자 음원의 내부에서 수행되거나, 예컨대 전자 음원 다음에 오도록 배치된 이펙터(effector)에 의해서 실시될 수 있다.
키(11)의 압하에 따라서, 본 실시예는 상기 동작에 추가하여 다음의 동작을 수행한다. 즉, 위펜(23)이 키(11)의 압하로 인해 핀(22a)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위펜(23)의 후단부의 하부면(도 3 참조)이 판 스프링(81)의 선단부에 배치된 쿠션(81a)과 접촉하게 되어 위치에 있어서 저하된다. 이때, 판 스프링(81)의 탄성력은 항력을 유발하여 위펜(23)의 후단부를 밀어올린다. 이 항력은 위펜(23) 및 키(11)를 통해 키(11)를 압하하는 연주자의 손가락에 전달된다. 따라서, 연주자는 손가락으로 키(11)를 압하시에 어쿠스틱 업라이트형 피아노에서 댐퍼가 결합된 키와 유사한 키 압하감 또는 항력을 느낄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나머지 위치에 놓인 위펜(23)의 후단부 하부면 아래로 거의 1.4mm의 거리로 판 스프링(81)의 쿠션(81a)을 배치하는 방식으로 설계된다. 상기 치수로 판 스프링(81)의 쿠션(81a)을 주의깊게 배치함으로써, 위펜(23)은 위펜(23)이 핀(22a)을 중심으로 회전하기 시작하는 키 압하 개시 시점으로부터 위펜(23)의 후단부 하부면이 판 스프링(81)의 쿠션(81a)과 접촉하게 되는 소정 시점까지의 소정 시간에 판 스프링(81)의 항력에 의해서 영향을 받지 않아. 위펜(23)은 판 스프링(81)의 항력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다. 즉, 판 스프링(81)에 의해서 유발되는 항력이 키(11)를 압하하는 연주자의 손가락에 전달되지 않는 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손가락으로 키(11)를 연주자가 압하할 때 예컨대, 어쿠스틱 업라이트형 피아노에 있어서 댐퍼가 결합된 키를 압하할 때 실현되는 키 압하 감에 거의 근접한 키 압하감을 실현할 수 있다.
이어서, 라우드 페달(71)이 압하되면 상기 센서는 페달 압하신호를 생성하여 전기 음원에 출력한다. 또한, 라우드 페달봉(74)이 라우드 페달(71)의 압하에 기인해 위치가 저하되어 라우드 페달 봉(74)과 결합된 회전아암(75)의 축(75c)은 도 2의 좌측으로 경사지게 하방으로 당겨진다. 이는 회전축(75a)을 중심으로한 회전 아암(75)의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을 유발한다. 즉, 회전 아암(75)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회전 아암(75)의 상단부에 형성된 장공(75b)이 시계 반대 방향으로 움직인다. 회전아암(75)의 상단부 장공(75b)의 이러한 시계 반대방향의 운동으로 인해, 링크 부재(76)의 하단부 표면으로부터 돌출된 축(76)은 장공(75b)을 따라 안내되면서 하방으로 이동한다. 결과적으로, 진동판(84)과 이 진동판(84)에 고정된 판스프링(81)은 둘다 힌지(86) 축(86a)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판 스프링 유닛(80)은 위치가 저하되어 판 스프링(81)의 선단부는 하방으로 이동하여 위펜(23)의 소정 회전 범위보다 낮아진다.
라우드 페달(71)의 압하로 인해 판 스프링 유닛(80)이 위치가 저하되는 상기 상태하에서 키(11)가 압하하면, 위펜(23)의 후단부는 판 스프링(81)의 선단부와 접촉함이 없이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연주자가 손가락을 사용하여 키(11)를 압하할 때 어쿠스틱 업라이트형 피아노에서 라우드 페달을 누르면서 키를 압하할 때 실현되는 키 터치감에 매우 근접할 수 있는 키 터치감을 실현할 수 있다.
키(11)가 복귀되면, 센서는 키 복귀 신호를 발생하여 전자 음원에 출력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전자 음원은 댐핑(뮤팅) 처리를 수행하지 않아 이때 생성되는 악기 음의 음량을 빠르게 줄일다. 즉, 잠시동안 상당히 큰 음량으로 악기음이 유지된 후 점차 음량이 줄어든다.
연주자가 라우드 페달(71)로부터 발을 제거하면 라우드페달봉(74)이 상방으로 들어올려져 회전축(75a)을 중심으로 한 회전 아암(75)의 반시계 방향 회전을 유발한다. 이러한 회전 아암(75)의 회전으로 인해, 회전 아암(75)의 상단부 장공(75b)은 시계 방향으로 움직여, 링크 부재(76)의 하단부에 배치된 축(76a)이 장공(75b)을 따라 안내되면서 상방으로 밀린다. 따라서, 진동판(84)은 힌지(86)의 축(86a)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판 스프링 유닛(80)은 약간 상방으로 움직이며, 여기서, 판 스프링(81)의 선단부는 초기 위치로 복귀되어 위펜(23)의 후단부 저면에 근접하여 움직인다. 압하되는 키(11)와 연동되는 액션(13)의 작용 및 효과는 라우드 페달(71)이 압하되지 않거나 복귀되는 상기 상태에서 키(11)의 압하와 관련해 이미 설명하였다.
본 실시예는 다양한 방법으로 수정될 수 있으며, 그 예를 아래에 설명하기로 한다.
즉, 도 6 내지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 스프링(81)을 판 스프링 고정 레일(82)에 고정하기 위한 여러가지 타입의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6의 구조에 있어서 판 스프링 고정 레일(82)의 상부면 상에는 판 스프링(81)의 형상과 매칭되는 공동(82a)이 형성되어, 판 스프링(81)의 일단은 공동(82a)과 결합되어 나사를 통해 판 스프링 고정 레일(82)에 고정된다. 도 7의 구조에 있어서, 긴 돌기(82b)가 길이 방향을 따라 판 스프링 고정 레일(82)의 일단에 형성되어, 판 스프링(81)의 후단부는 긴 돌기(82b)의 벽과 접촉하게 됨으로써 판 스프링(81)은 나사를 통해 판 스프링 고정 레일(82)에 고정된다. 도 8의 구조에 있어서, 후크(81c)가 판 스프링(81)의 일단부에 형성되고, 판 스프링 고정 레일(82)의 일측에 끼워져 판 스프링(81)은 나사를 통해 판 스프링 고정 레일(82)에 고정된다. 상기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위펜(23)에 의해 압하되는 위치에 있어서 판 스프링(81)이 원하지 않게 이동되는 것을 쉽게 방지할 수 있다. 판 스프링(81)의 위치 이동 또는 탈선의 발생을 회피함으로써 위펜(23)이 판 스프링(81)에 부여되는 힘의 손실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판 스프링(81)에 의해서 생성되는 항력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2. 제 2 실시예
이어서, 도 9 및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업라이트형 건반 악기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상기 판 스프링 유닛(80)을 사용하지 않으며, 댐퍼 유닛(50)으로 대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2 실시예의 업라이트형 건반 악기의 필수 부품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댐퍼 유닛(50)은 댐퍼 스푼(55), 판 스프링(51), 댐퍼 봉(56) 및 댐퍼 로드 언더 펠트(damper rod under-felt)(52)를 포함한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댐퍼 스푼(55)은 바닥부가 업라이트형 건반 악기의 후측을 향하는 원형 사발과, 위펜(23)의 후단부의 상면 소정위치에 수직으로 위치고정된 헨들로 이루어져 있다. 판 스프링(51)은 업라이트형 건반 악기의 후측으로부터 댐퍼 스푼(55)의 사발을 규정하며, 판 스프링(51)의 일단은 중심 레일(16)에 부착된다. 특히, 판 스프링(51)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설계되며, 중심 레일(16)의 상부면에 배치된 고정부(51a)와, 고정부(51a)에 거의 직교하여 형성된 접촉부(51b)를 포함한다. 고정부(51a)는 판 스프링(51)의 탄력을 유지하는 볼록부(51e)와, 나사의 삽입을 허용하는 구멍(51d)을 갖는다. 즉, 판 스프링(51)의 고정부(51a)는 구멍(51d)으로 나사를 삽입함으로써 중심 레일(16)의 상부면에 고정된다. 펠트(51c)는 접촉부(51b)의 면에 부착되어 댐퍼 스푼(55)의 사발 바닥이 펠트(51c)와 접촉하게 된다.
도 9에 있어서, 댐퍼봉(56)은 중심 레일(16)에 고정된 회전축(56a), 댐퍼봉 축(56b) 및 레버(56c)를 포함한다. 댐퍼봉 축(56b)의 일단은 회전축(56a)과 결합되어 댐퍼봉 축(56b)이 회전축(56a)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다. 댐퍼봉 축(56b)의 타단에는 결합 축(56d)이 구비되어 있다. 레버(56c)의 일단은 라우드 페달봉(59)의 상단과 결합되어 라우드 페달(도시안됨)이 연주자의 발에 의해 압하될때는 상방으로 움직이며, 복귀되면 하방으로 움직인다. 레버(56c)는 중심부로부터 점차 하방으로 구부러지게 형성되며, 라우드 페달봉(59)에 대향하는 레버(56c)의 타단은 댐퍼봉 축(56b)의 결합 축(56d)과 결합되어 있다. 댐퍼 로드 언더 펠트(52)는 일단이 레버(56c)의 타단과 접촉하게되는 방식으로 중심 레일(16)에 고정된다. 이 댐퍼 로드 언더 펠드(52)는 복귀될 때 레버(56c)의 초기 위치를 규정하여 소음의 발생을 방지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어서, 제 2 실시예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9에 있어서, 키(11)가 압하되어 그 후단부가 캡스턴(9)과 함께 상방으로 움직이면, 위펜(23)의 전방단부는 핀(22a)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고, 약간 상방으로 움직임으로써, 하방으로 움직이는 위펜(23)의 후단부의 상부면에 수직으로 위치하는 댐퍼 스푼(55)의 사발 바닥부는 우측으로 움직여 판 스프링(51)을 가합함으로써 탄성적으로 일그러진다. 이때, 위펜(23)의 후단부의 하강을 복귀하는 항력은 판 스프링(51)의 탄성력에 의해 발생된다. 항력은 위펜(23) 및 키(11)를 통해 키(11)를 누르는 연주자의 손가락에 전달된다. 따라서, 연주자가 키(11)를 압하할 때 어쿠스틱 업라이트형 피아노에서 댐퍼와 결합되는 키 상에서 실현되는 키 터치감에 매우 근접할 수 있는 키 터치감을 실현할 수 있다.
연주가가 발로 라우드 페달을 압하하여 라우드 페달봉(59)이 상방으로 움직이면, 레버(56c)의 일단이 상방으로 움직여 레버(56c)의 타단과 결합하는 결합축(56d)은 경사지게 상방으로 당겨진다. 결국, 댐퍼봉 축(56b)은 회전축(56a)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댐퍼봉 축(56b)의 선단부가 판 스프링(51)을 눌러 업라이트형 건반악기의 후측에서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으로 움직인다. 따라서, 판 스프링(51)의 접촉부(51b)는 댐퍼 스푼(55)의 소정 회전 범위에서 움직이거나 범위 밖으로 빠져나간다.
라우드 페달이 압하되는 상기 상태에서 키(11)가 압하되면, 위펜(23)은 핀(22a)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댐퍼 스푼(55)은 우측으로 움직이나; 댐퍼 스푼(55)의 사발은 판 스프링(51)의 접촉부(51b)의 펠트(51c)와 접촉하게되어 도 9에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 또는 빠져 나간다. 따라서, 연주자가 손가락으로 키(11)를 압하할 때 라우드 페달의 압하에 따라서 어쿠스틱 업라이트형 피아노의 키에서 실현될 수 있는 키 터치감에 매우 근접할 수 있는 키 터치감을 실현할 수 있다.
연주자가 라우드 페달로부터 발을 제거하여 레버(56c)의 일단과 결합된 라우드 페달봉(59)이 하방으로 움직이면, 레버(56c)의 타단과 결합된 결합축(56d)은 하방으로 경사지게 당겨져 댐퍼봉축(56b)이 회전축(56a)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그 초기 위치로 복귀된다. 이때, 판 스프링(51)이 탄력에 의해 그 초기 위치로 복귀되어 접촉부(56b)의 펠트(51c)가 다시 댐퍼 스푼(55)의 사발 바닥부와 접촉하게된다. 액션(13)과 댐퍼 유닛(50)의 전체 작동은 라우드 페달이 압하되지 않거나 복귀되는 상기 상태에서 키(11)의 압하와 관련하여 이미 설명되었다.
3. 제 3 실시예
어쿠스틱 업라이트형 피아노에 있어서 최고음으로부터 카운트된 고음의 고음 성역에 속하는 약 20개의 키가 각각 댐퍼와 결합되지 않는다. 이는 키의 압하에 따라서 고음 성역과 다른 성역 사이의 상이한 키 터치감을 유발한다. 제 3 실시예는 예컨대, 어쿠스틱 업라이트형 피아노에서 키가 댐퍼와 결합되지 않은 고음 성역과 키가 댐퍼와 결합되지 않은 다른 성역사이에 유사한 키 터치감을 실현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업라이트형 건반 악기의 필수 부품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즉, 제 3 실시예의 업라이트형 건반 악기는 피 타격부(60) 대신에 현(S)을 배치하며 헤머 어셈블리(40) 대신에 현(S)을 타격하는 헤머 어셈블리(140)를 배치하는 것이 특징이다. 제 3 실시예는 최고음을 갖는 가장 오른쪽 키로부터 카운트된 약 20개의 키가 댐퍼와 결합되지 않은 어쿠스틱 업라이트형 피아노에 적용된다.
즉, 헤머 어셈블리(140)는 헤머 샌크(hammer shank)(143a), 헤머 우드(hammer wood)(143b) 헤머 펠트(143c)로 구성된다. 특히, 헤머 우드(143b)는 헤머 샌크(143a)의 일단에 직각으로 부착되며, 헤머 펠트(143c)는 헤머 우드(143b)의 일단에 부착된다. 키(11)가 압하되면 헤머 펠트(143c)가 현(S)을 타격하여 진동시킨다.
또한, 상기 댐퍼 유닛(50)은 고음 성역에 속하는 키들 각각에 배치되어 있다. 제 2 실시예에 사용된 댐퍼 유닛(50)의 제공으로 인해 고음 성역의 키를 연주자가 압하할 때 어쿠스틱 업라이트형 피아노에 있어서 댐퍼와 결합되지 않은 키에서 실현되는 키 터치감에 매우 근접할 수 있는 키 터치감을 실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3 실시예는 어쿠스틱 업라이트형 피아노에 있어서의, 댐퍼와 결합되지 않은 고음 성역의 키들과 댐퍼와 통상 결합된 다른 성역의 키들 사이의 유사한 키 터치감을 실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아래에 설명될 다양한 효과 및 기술적 특징을가진다.
(1) 본 발명은 댐퍼와 결합되지 않은 키를 압하할 때, 압하시 댐퍼와 결합된 키에서 실현되는 키 터치감과 매우 근접하거나 유사할 수 있는 바람직한 키 터치감을 실현하려고 하였다.
(2) 즉, 본 발명은 연주자가 전자 피아노를 연주할 때 조차도 어쿠스틱 업라이트형 피아노에서 형성될 수 있는, 정지 음 및/또는 유지음과 관련한 실제 키 터치 감을 연주가(또는 유저)가 경험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연주자가 라우드 페달을 발로 압하하지 않은 상태에서 키를 압하한후에 복귀함으로써 음이 정지되어 음은 의도적으로 정지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댐퍼가 키의 움직임으로 인해 현으로부터 분리되는 상태에서 키가 압하되어 헤머가 댐퍼와 접촉함이 없이 현을 타격한다. 이후, 댐퍼가 키의 운동으로 인해 현과 접촉하게 되는 상태에서 키가 복귀하여 음이 빠르게 완화된다(또는 음량에 있어서 감소된다). 따라서, 연주자는 키를 압하하여 복귀할 때 상기 댐퍼의 조절로 인해 키로부터 항력을 느낄 수 있다. 또한, 연주자가 라우드 페달을 압하하면서 키를 압하한 후 복귀할 때 잔향음을 실현함으로써 유지음이 생성된다. 이 경우, 댐퍼가 현으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키가 압하된 후 복귀되어 댐퍼의 제공으로 인한 항력이 키를 압하하는 연주자의 손가락에 전달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댐퍼가 결합된 키와 댐퍼가 결합되지 않은 키들 사이의 차를 시뮬레이션하는 실제의 키 터치감을 연주자로 하여금 느끼게 할 수 있다. 더욱이, 키들이 댐퍼가 결합되었는지의 여부와 관계없이 거의 균일한 키 터치감이 모든 키에서 실현되는 어쿠스틱 피아노 등을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그 사상 또는 필수적인 특징으로 부터 벗어남이 없이 여러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본 실시예는 예시적이며 제한적이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오히려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 규정되므로 청구항의 범위내에 서의 모든 변경은 청구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본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댐퍼가 결합되지 않은 키에 있어서 댐퍼가 결합된 키의 경우와 유사한 키 터치감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댐퍼가 결합된 키와 댐퍼가 결합되지 않은 키들 사이의 차를 시뮬레이션하는 실제의 키 터치감을 연주자로 하여금 느끼게 할 수 있다. 더욱이, 키들이 댐퍼와 결합되었는지의 여부와 관계없이 거의 균일한 키 터치감이 모든 키에서 실현되는 어쿠스틱 피아노 등을 실현할 수 있다.

Claims (10)

  1. 복수의 키(11);
    상기 복수의 키 각각과 연동되는 복수의 액션(13);
    상기 복수의 키와 관련하여 상기 복수의 액션에 의해 각기 구동되는 복수의 헤머 어셈블리(40);
    상기 액션에 포함된 위펜(23)에 근접배치된 하나이상의 판 스프링으로서, 이 위펜은 상기 키의 압하에 따라 회전됨과 아울러 판 스프링에 의해 회전이 통상 조절되며, 상기 키의 압하에 따라서 상기 위펜과 접촉하게 되는 하나이상의 판 스프링(81, 51); 및
    상기 판 스프링과 연동되는 라우드 페달(71)을 포함하는 라우드 페달 유닛으로서, 이 라우드 페달이 압하되면 상기 판 스프링이 상기 위펜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움직여 상기 위펜의 회전을 조절하지 못하게 되는 라우드 페달 유닛(7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라이트형 건반악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머 어셈블리가 상기 키의 압하에 따라 구동되면 악기음 신호를 발생하는 전자 음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라이트형 건반악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 스프링(81)은 상기 라우드 페달이 압하되면 하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위펜으로부터 멀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라이트형 건반악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 스프링(51)은 상기 위펜의 소정 위치에 설치된 댐퍼 스푼(55)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라이트형 건반악기.
  5. 복수의 키(11);
    페달(71);
    상기 키의 압하에 따라 악기음 신호를 발생하는 전자 음원;
    상기 페달의 작동에 따라서 상기 악기음 신호에 전해지는 댐핑 효과를 조절하는 댐퍼 유닛(50, 80);
    상기 복수의 키와 연동하여 복수의 헤머 어셈블리(40)를 구동시킴으로써 상기 전자 음원을 작동시키는 복수의 액션(13);
    상기 키의 압하에 따라 구동되는 액션에 항력을 부여하는 항력 부여기; 및
    상기 페달의 작동에 따라서 상기 액션에 항력을 부여할지의 여부에 대해 스위칭하는 스위칭 기구(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라이트형 건반악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항력 부여기는 상기 키의 압하동안에 소정의 타이밍으로 상기 액션에항력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라이트형 건반악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액션은 상기 키의 압하에 따라서 회전되는 위펜(23)을 포함하며, 상기 항력 부여기는 상기 키의 압하에 따라서 하방으로 움직이는 위펜의 단부를 수용하는 탄성부재(81)를 포함하며, 상기 스위칭 기구는 상기 페달의 압하에 따라서 상기 탄성부재를 상기 위펜의 단부로부터 접근 또는 분리되도록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라이트형 건반악기.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액션은 상기 키의 압하에 따라서 회전되는 위펜(23)을 포함하며; 상기 항력 부여기는 상기 위펜의 단부상에 수직 배치된 접촉부재(55)와, 상기 접촉부재에 대향하여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위펜의 회전시 상기 접촉부재와 접촉하게 되는 판 스프링(51)을 포함하며; 상기 스위칭기구는 상기 페달의 작동에 따라서 상기 판 스프링을 상기 접촉 부재로부터 접근 또는 분리되도록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라이트형 건반악기.
  9. 댐퍼가 결합되지 않은 소정수의 키를 포함하는 복수의 키(11);
    상기 복수의 키와 연동되는 복수의 액션(13);
    상기 복수의 키가 상기 복수의 액션을 통해 압하되면 각기 구동되는 복수의헤머 어셈블리(40);
    상기 댐퍼가 결합되지 않은 소정수의 키와 연동되는 각각의 액션에 항력을 부여하는 항력 부여기(80, 50); 및
    페달(71)의 작동에 따라서 상기 댐퍼가 결합되지 않은 소정수의 키에 포함된 키에 항력을 부여할지의 여부에 대해서 스위칭하는 스위칭 기구(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라이트형 피아노.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항력 부여기는 상기 액션에 포함된 위펜(23)에 통상 근접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키의 압하에 따라서 상기 액션과 함께 회동되면 상기 위펜과 접촉하게 되는 하나이상의 판 스프링(81, 51)을 포함하며, 상기 스위칭 기구는 상기 페달의 압하에 따라서 상기 위펜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상기 판 스프링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라이트형 피아노.
KR1020030018635A 2002-03-25 2003-03-25 업라이트형 건반악기 KR1006116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084171A JP3852355B2 (ja) 2002-03-25 2002-03-25 アップライト型鍵盤楽器
JPJP-P-2002-00084171 2002-03-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7457A true KR20030077457A (ko) 2003-10-01
KR100611605B1 KR100611605B1 (ko) 2006-08-11

Family

ID=28035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8635A KR100611605B1 (ko) 2002-03-25 2003-03-25 업라이트형 건반악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965070B2 (ko)
JP (1) JP3852355B2 (ko)
KR (1) KR100611605B1 (ko)
CN (1) CN100385500C (ko)
DE (1) DE10312655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35096B2 (ja) * 2005-07-21 2011-07-27 ヤマハ株式会社 電子鍵盤楽器の鍵操作検出装置
US7678989B2 (en) * 2006-10-26 2010-03-16 Magnekey Use of constant force spring in keyboard assembly
WO2009108437A1 (en) 2008-02-27 2009-09-03 Steinway Musical Instruments, Inc. Pianos playable in acoustic and silent modes
JP5257086B2 (ja) * 2008-03-24 2013-08-07 ヤマハ株式会社 電子楽器のペダル装置
JP5412859B2 (ja) 2009-02-05 2014-02-12 ヤマハ株式会社 アップライト型アクション及び鍵盤楽器
US7671259B1 (en) 2009-04-07 2010-03-02 Leonard Trinca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a toy piano
US8541673B2 (en) 2009-04-24 2013-09-24 Steinway Musical Instruments, Inc. Hammer stoppers for pianos having acoustic and silent modes
US8148620B2 (en) * 2009-04-24 2012-04-03 Steinway Musical Instruments, Inc. Hammer stoppers and use thereof in pianos playable in acoustic and silent modes
JP5488985B2 (ja) * 2010-03-25 2014-05-14 ヤマハ株式会社 アップライトピアノ型アクション
IT1404973B1 (it) * 2010-06-11 2013-12-09 Pancino Pianoforte verticale, ed in particolare la meccanica di tale pianoforte
US9006549B2 (en) * 2011-12-16 2015-04-14 Kabushiki Kaisha Kawai Gakki Seisakusho Hammer device and keyboard device for electronic keyboard instrument
JP6024996B2 (ja) * 2014-03-20 2016-11-16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鍵盤装置および鍵盤楽器
DE112017008070T5 (de) * 2017-11-07 2020-07-09 Yamaha Corporation Klangausgabevorrichtung
DE102023200631B3 (de) 2023-01-26 2024-07-04 Piano-Schulz e.K. Anordnung mit einem ersten Waagebalkenstift und mindestens einer Taste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08051A (en) * 1938-12-05 1943-01-12 Arthur T Cahill Means for generating music electrically
NL7413568A (nl) * 1973-10-26 1975-04-29 Roland Corp Klavier voor een elektronische piano.
CN2036302U (zh) * 1988-08-12 1989-04-19 焦跃进 一种具有弹奏手感的电子钢琴
DK166471B1 (da) * 1989-11-17 1993-05-24 Erik Ingvor Petersen Anslagsmekanisme
JPH0594175A (ja) 1991-08-06 1993-04-16 Yamaha Corp アツプライトピアノのアクシヨン機構
FR2730084B1 (fr) * 1995-01-31 1997-04-04 Rochefordiere Denis De Procede musical pour instruments de musique tels que pianos et mecanisme de mise en oeuvre de celui-ci
JPH0997074A (ja) * 1995-09-28 1997-04-08 Kawai Musical Instr Mfg Co Ltd 電子ピアノ
US6054641A (en) 1995-10-27 2000-04-25 Yamaha Corporation Keyboard musical instrument for practicing fingering on keyboard without acoustic sounds
JPH09218682A (ja) * 1996-02-08 1997-08-19 Kawai Musical Instr Mfg Co Ltd 電子楽器の鍵盤装置
JP3642114B2 (ja) * 1996-07-03 2005-04-27 ヤマハ株式会社 鍵盤楽器
JP3772491B2 (ja) * 1996-10-18 2006-05-10 ヤマハ株式会社 鍵盤用力覚制御装置、鍵盤用力覚制御方法および記憶媒体
DE19716177C2 (de) 1997-04-18 2002-09-19 Seiler Ed Pianofortefab Gmbh Elektrophones Tasteninstrument
JP3900706B2 (ja) 1998-09-07 2007-04-04 ヤマハ株式会社 鍵盤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385500C (zh) 2008-04-30
JP3852355B2 (ja) 2006-11-29
KR100611605B1 (ko) 2006-08-11
US6965070B2 (en) 2005-11-15
DE10312655A1 (de) 2004-02-12
DE10312655B4 (de) 2005-09-22
CN1450523A (zh) 2003-10-22
US20030177885A1 (en) 2003-09-25
JP2003280657A (ja) 2003-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11605B1 (ko) 업라이트형 건반악기
US7807907B2 (en) Keyboard musical instrument and action unit incorporated therein
JP2002258835A (ja) 鍵盤楽器の脱進調整装置および鍵盤楽器の音量制御装置
KR100524439B1 (ko) 키보드 악기
JP5412859B2 (ja) アップライト型アクション及び鍵盤楽器
KR100399850B1 (ko) 이탈 타이밍을 용이하게 조절하기 위한 조절버튼기구,이를 포함하는 사일런트 시스템 및 이를 장착하는 건반악기
JP2000089761A (ja) 鍵盤装置
EP2461319B1 (en) Action of upright piano
JP2011203477A (ja) アップライトピアノ型アクション
JP2570704Y2 (ja) 鍵盤楽器
JP3533383B2 (ja) アクション機構および当該アクション機構を有する鍵盤楽器
JP3624786B2 (ja) 鍵盤装置
JP3448948B2 (ja) 鍵盤楽器およびその消音装置
JP3438741B2 (ja) 鍵盤楽器
US7633001B2 (en) Keyboard-type tone plate percussion instrument
JP2014235349A (ja) 鍵盤構造及びこれを用いた鍵盤楽器の練習具又は電子鍵盤楽器
JPH10133649A (ja) 電子楽器の鍵盤装置
KR101407843B1 (ko) 터치감이 개선된 전자건반악기용 건반구조
JP3714349B2 (ja) 鍵盤楽器の消音装置及び鍵盤楽器
WO2013108382A1 (ja) アップライトピアノのダンパー装置
JP3654268B2 (ja) 鍵盤楽器
JP3456733B2 (ja) ピアノ
WO2020115854A1 (ja) 鍵盤楽器用のアクション機構
JP2002099280A (ja) 鍵盤楽器及び鍵盤楽器の調整方法
JPS6243353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3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