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9850B1 - 이탈 타이밍을 용이하게 조절하기 위한 조절버튼기구,이를 포함하는 사일런트 시스템 및 이를 장착하는 건반악기 - Google Patents

이탈 타이밍을 용이하게 조절하기 위한 조절버튼기구,이를 포함하는 사일런트 시스템 및 이를 장착하는 건반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9850B1
KR100399850B1 KR10-2001-0027495A KR20010027495A KR100399850B1 KR 100399850 B1 KR100399850 B1 KR 100399850B1 KR 20010027495 A KR20010027495 A KR 20010027495A KR 100399850 B1 KR100399850 B1 KR 1003998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justment
members
jack
adjuster
key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74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105301A (ko
Inventor
이노우에사토시
Original Assignee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1053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53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98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98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CPIANOS, HARPSICHORDS, SPINETS OR SIMILA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TH ONE OR MORE KEYBOARDS
    • G10C3/00Details or accessories
    • G10C3/12Keyboards; Key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CPIANOS, HARPSICHORDS, SPINETS OR SIMILA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TH ONE OR MORE KEYBOARDS
    • G10C3/00Details or accessories
    • G10C3/26Pedals or pedal mechanisms; Manually operated sound modification mea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CPIANOS, HARPSICHORDS, SPINETS OR SIMILA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TH ONE OR MORE KEYBOARDS
    • G10C3/00Details or accessories
    • G10C3/16Actions
    • G10C3/22Actions specially adapted for grand piano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CPIANOS, HARPSICHORDS, SPINETS OR SIMILA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TH ONE OR MORE KEYBOARDS
    • G10C3/00Details or accessories
    • G10C3/16Actions
    • G10C3/20Actions involving the use of hydraulic, pneumatic or electromagnetic mea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CPIANOS, HARPSICHORDS, SPINETS OR SIMILA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TH ONE OR MORE KEYBOARDS
    • G10C5/00Combinations with other musical instruments, e.g. with bells or xylophones
    • G10C5/10Switching musical instruments to a keyboard, e.g. switching a piano mechanism or an electrophonic instrument to a keyboard; Switching musical instruments to a silent mode

Abstract

사일런트 피아노는 해머생크(25b)의 궤적에서 이탈하는 자유위치와 현(30)이 해머(25)로부터 타격되지 않도록 차단하기 위해 궤적의 차단위치 사이를 가변하는 해머스톱퍼(71)와 잭(20g)의 이탈 속도를 가변하기 위해 차단위치에서 변화되는 해머스톱퍼(71)와 함게 사용되는 조절바아(27c)와 통상 조정버튼(27b)을 갖는 직렬식 조절버튼기구(27)를 포함하고, 조정기구(27e)는 조절바아(27c)를 적절한 각도 위치에 조정하기 위해 조절바아(27c)와 샤프트(28a) 사이에 제공되며, 조정기구(27e)가 샤프트(28a)에 고정된 고정브라켓(29a)에서 작동기구(20) 배열 전방에 형성된 자유공간으로 돌출하는 조정나사(27f)를 가지므로 튜너는 키이 베드 상에서 작동기구(20)를 이동하지 않고 조절바아(27c)를 적절한 각도 위치에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탈 타이밍을 용이하게 조절하기 위한 조절버튼기구, 이를 포함하는 사일런트 시스템 및 이를 장착하는 건반악기{REGULATING BUTTON MECHANISM FOR EASILY REGULATING ESCAPE TIMING, SILENT SYSTEM COOPERATIVE THEREWITH AND KEYBOARD MUSICAL INSTRUMENT EQUIPPED THEREWITH}
본 발명은 건반악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절버튼기구, 이를 포함하는 사일런트 시스템 및 이를 장착하는 건반악기에 관한 것이다.
사일런트 피아노는 어쿠스틱 피아노를 기초로 제작되며, 건반악기의 범주에 속한다. 사일런트 피아노는 어쿠스틱 피아노, 사일런트 시스템 및 전자음 발생장치의 조합이다. 통상 직립형 피아노 또는 통상 그랜드 피아노는 사일런트 피아노를 이용가능하다. 따라서, 건반, 작동기구, 해머조립체, 댐퍼 및 현(弦)이 어쿠스틱 피아노에 내장된다.
전자음 발생장치는 키이/해머 센서, 데이터처리장치, 톤 발생기 및 사운드장치를 포함한다. 키이/해머 센서는 키이 및/또는 해머를 모니터하며, 현재 키이/해머 위치를 나타내는 키이/해머 위치 신호를 데이터처리장치에 공급한다. 이 데이터처리장치는 키이와 해머중 어느 하나가 이전 위치에서 현재 위치로 변하는가를 확인하기 위해 키이/해머 위치 신호를 주기적으로 체크한다. 키이/해머의 현재 위치가 변화하면, 데이터처리장치는 키이/해머를 특정하며, 속도를 결정한다. 키이/해머에 할당된 키이 코드와 속도는 명령과 함께 음악 데이터 코드에 저장되며, 음악 데이터 코드는 적절한 타이밍으로 톤 발생기에 공급된다. 톤 발생기는 음악 데이터 코드로부터 오디오신호를 발생하며, 헤드폰은 이 오디오 신호를 전자톤으로 변환한다. 이처럼, 전자음 발생장치는 건반 상의 손 놀림에 따라 전자톤을 발생한다.
사일런트 시스템는 해머조립체와 현 사이에 제공된 해머스톱퍼를 포함하며, 이 해머스톱퍼는 자유위치와 차단위치 사이를 변화한다. 해머스톱퍼가 자유위치에 유지될 때, 해머스톱퍼는 해머조립체의 궤적에서 이탈되며, 건반상의 손 놀림에 따라 해머조립체가 타현한다. 피아노 톤을 발생하기 위해 현이 진동한다. 그러나, 해머스톱퍼가 차단위치로 변할때, 해퍼스톱퍼는 해머조립체의 궤적으로 이동된다. 비록 잭의 이탈이 해머조립체의 자유회전을 야기하지만, 해머조립체는 타현 이전에 해머스톱퍼에 되튕기게 되고, 현의 진동을 통한 아무런 피아노 톤을 발생하지 않는다. 이처럼, 피아니스트는 이웃을 방해하지 않고 피아노를 연습할 수 있으며, 이러한 사일런트 피아노는 도심지에 거주하는 피아니스트에게 인기가 있다.
해머스톱퍼가 자유위치와 차단위치, 즉 해머조립체의 궤적 이탈과 해머조립체의 궤적을 간단히 이동하지만, 작업자가 해머조립체와 현 사이의 좁은 공간의 가장 적절한 위치에 해머조립체를 조정하는 것이 쉽지 않다. 이는 잭이 해머조립체와 현 사이의 단거리로 연관된 해머조립체로부터 이탈하기 때문이다. 튜너가 천천히 연관된 키이를 감압하는 상태하에서 해머조립체와 현 사이의 거리를 소정치로조절함으로써 이탈점이 조정된다. 이 소정치는 통상 그랜드 피아노에서 2 밀리미터의 차수이다. 이는 작업자가 매우 협소한 공간에 해머스톱퍼를 정확하게 설치하는 것을 의미한다. 해머스톱퍼가 정지위치에서 해머조립체에 너무 가까우면, 이탈 이전에 차단위치에서 잭과 해머스톱퍼 사이에 해머조립체가 붙잡히게 된다.
통상 보다 빨리 해머로부터 이탈되도록 시간을 조정하는 것이 이런 핀치(pinch)에 대해 효과적이다. 이탈은 잭의 토우(toe)가 조절버튼과 접촉할 때 일어난다. 해머에서의 이탈 시간은 토우와 조절버튼 사이의 거리를 단축함으로써 빨라진다. 그러나, 이탈은 어쿠스틱 피아노에 특이한 키이 접촉감과 깊은 연관이 있다. 작업자가 통상 타이밍으로부터의 이탈을 가속하면, 특이한 피아노 키이 접촉감을 손상한다. 이 때문에, 이탈 시간의 조정은 덜 바람직하다.
해머스톱퍼의 위치에 따른 이탈점을 가변하기 위한 직렬식 조절버튼기구가 제안되었다. 도 1은 종래 직렬식 조절버튼기구를 도시한다. 도 1에서, "전방" 은 우측이며, "후방" 은 좌측이다. 키이, 작동기구, 해머조립체, 현 및 직렬식 조절버튼기구는 참조번호(1, 2, 3, 4, 5)로 각각 지시되어 있다. 작동기구(2)는 캡스턴 스크루(2a)에 의해 키이(1)와 접촉하며, 해머조립체(3)는 작동기구(2)에 회전자유롭게 작동된다. 작동기구(2), 해머조립체(3) 및 직렬식 조절버튼기구(5)가 작동브라켓(6a)에 지지되므로, 따라서, 작동브라켓과 함께 조립된 작동기구(2), 해머조립체(3) 및 직렬식 조절버튼기구(5)는 이하에서 "작동브라켓조립체" 라 한다.
작동기구(2)는 휩펜플랜지(whippen flange, 2b), 휩펜조립체(2c), 잭(2d), 반복레버(2e) 및 반복스프링(2f)을 포함하고 있다. 휩펜플랜지(2b)는휩펜레일(2g)에 고정되고, 작동브라켓(6a)에 지지되어 있다. 휩펜조립체(2c)는 그 후단부에서 휩펜플랜지(2b)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휩펜플랜지(2b)에서 전방으로 돌출한다. 잭(2d)은 레그부(2h)및 풋부(2j)를 갖는 L자 형상이다. 잭(2d)은 절곡부에서 휩펜조립체(2c)의 전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레그부(2h)는 반복레버(2e)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되어 있다. 토우(2k) 및 범프(2m)는 풋부(2j)에 형성되며, 범프(2m)가 토우(2k) 보다 절곡부에 가깝게 위치하고 있다.
종래 직렬식 조절버튼기구(5)는 조절레일(5a), 복수 개의 제1 조절버튼(5b), 복수 개의 제2 조절버튼(5c) 및 샤프트(5d)를 포함하고 있다. 생크플랜지 레일(6b)은 작동브라켓(6a)에 의해 지지되며, 조절레일(5a)은 생크플랜지 레일(6b)에 나사 고정되어 있다. 제1 조절버튼(5b)은 조절레일(5a)에 매달려 있고 연관된 잭(2d)의 토우(2k)를 향하고 있다. 토우(2k)와 그 하단면 사이의 갭을 가변하기 위해 각각의 제1 조절버튼(5b)은 나사(5e)의 중심축 둘레에 회전가능하다. 한편, 제2 조절버튼(5c)은 나사(5f)에 의해 샤프트(5d)에 연결되며, 이 샤프트(5d)는 작동브라켓(6a)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있다. 샤프트(5d)은 구동기구(도시생략)에 연결되고 제2 조절버튼(5c)은 샤프트(5d)의 중심축 둘레에 요동가능하다. 제2 조절버튼(5c)은 제1 각도 위치와 제2 각도 위치 사이를 가변한다. 해머스톱퍼(7)가 자유위치로 가변될 때, 제2 조절버튼(5c)은 제1 각도 위치로 가변되어, 범프(2m)의 궤적에서 이탈하게 된다. 한편, 해머스톱퍼(7)가 차단위치로 가변되면, 제2 조절버튼(5c)은 제2 각도 위치로 가변되며, 제2 조절버튼(5c)은범프(2m)의 궤적으로 이동하게 된다. 종래 직렬식 조절버튼기구는 두 작동모드 사이에 상이한 속도로 잭(2d)이 해머조립체(3)에서 이탈한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토우(2k) 및 범프(2m)는 제1 조절버튼(5b) 및 제2 조절버튼(5c)과 동시에 접촉하며, 동일 타이밍으로 잭이 이탈하기 시작한다. 그러나, 범프(2m) 및 제2 조절버튼(5c)은 잭(2d)의 고속 회전을 야기한다. 왜냐하면, 범프(2m)에서의 반력은 잭(2d)이 큰 각도로 선회되도록 한다. 이는 이탈의 조기 완료를 유발한다. 이 때문에, 해머조립체(3)는 잭(2d)과 해머스톱퍼(7) 사이에 덜 붙잡히게 된다.
이처럼, 종래 직렬식 조절버튼기구는 독특한 피아노 키이 접촉감을 손상시키이지 않고 잭(2d)과 해머스톱퍼(7) 사이에 붙잡혀진 해머조립체(3)에 대해 효과적이다. 그러나, 튜너는 종래 직렬식 조절버튼기구를 최적 이탈 타이밍으로 조정하는 것이 복잡한 느낌이 든다. 이는 튜너가 키이 베드로부터 키이 베드 상에 작동브라켓조립체를 반복적으로 이동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이탈은 토우(2k) 또는 범프(2m)가 연관된 조절버튼(5b/5c)과 접촉할 때 발생하므로, 따라서 토우(2k)/범프(2m)와 제1 조절버튼(5b)/제2 조절버튼(5c) 사이의 갭은 잭의 이탈과 깊은 연관이 있다. 튜너가 나사(5e) 둘레에 제1 조절버튼(5b)을 회전하므로 제1 조절버튼(5b)은 나사에서 돌출하거나 나사(5e)로 후퇴한다. 따라서, 토우(2k)와 제1 조절버튼(5b) 사이의 갭은 제1 조절버튼(5b)의 이동과 함께 가변된다. 작동브라켓조립체를 이동하지 않고 튜닝을 수행한다. 튜너는 그 중앙선 둘레에 나사(5f)를 회전하므로 제2 조절버튼(5c)을 샤프트(5d) 부근에 제2 조절버튼(5c)을 당겨 샤프트에서 이격된다. 따라서, 범프(2m)와 제2 조절버튼(5c)사이의 갭은 제2 조절버튼(5c)의 이동과 함께 가변된다. 나사(5f)가 작동기구(2)의 요소 사이의 좁은 공간에 위치되며, 제2 조절버튼(5c)은 샤프트(5d) 아래에 제공된다. 튜너가 키이 베드에서 이탈하는 작동브라켓조립체와의 갭을 조절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이 때문에, 튜너는 작동브라켓조립체를 키이 베드에서 작업대까지 이동하여, 갭을 조절한다. 그러나, 튜닝작업이 불완전하다. 해머조립체(3)가 적절한 지점에 잭(2d)과 해제하는지 여부를 알기 위해 연관된 키이(1)를 천천히 감압함으로써 해머조립체(3)와 현(4) 사이의 갭을 튜너가 체크한다. 해머조립체(3)와 현(4) 사이의 갭을 측정하기 위해, 튜닝은 작업대에서 키이 베드 상에 작동브라켓조립체를 이동한다. 제2 조절버튼(5c)이 적절하게 조율될 때까지 튜너는 작업을 반복한다. 이처럼, 튜닝작업은 복잡하고 시간이 걸리는 작업이다. 이는 종래 직렬식 조절버튼기구에 내재하는 문제점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최적 이탈 타이밍을 용이하고 정확하게 조절된 조절버튼기구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조절버튼기구를 포함하는 사일런트 시스템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조절버튼기구를 장착하는 건반악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다음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건반악기의 일부를 형성하는 작동기구에 내장되고 잭에 연관되어 있는 조절기구로서, 이 조절기구는 상기 잭이 조절부재와 접촉할 때 상기 잭이 상기 건반악기의 타격부재로부터 이탈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잭에 제공된 조절부재, 및 상기 조절부재와 상기 잭 사이의 갭을 가변하기 위한 갭 레귤레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갭 레귤레이터는, 상기 건반의 고정부재에 연결된 지지부재, 상기 조절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지지부재에 이동가능하게 지지된 리테이너, 및 상기 리테이너와 상기 지지부재 사이의 상대운동을 통해 상기 조절부재와 상기 잭사이의 갭을 가변하기 위해 튜너에 의해 조작되고 상기 건반악기에 형성된 자유공간으로 돌출하는 조정기를 갖고,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리테이너 사이의 상대위치를 가변하기 위해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리테이너 사이에 연결된 조정기구를 포함하는 조절기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다수의 키이, 상기 다수의 키이에 각각 연결되고 측방으로 배열된 다수의 작동기구 및 잭의 제1 부분이 주요 조절부재와 접촉할 때 다수의 진동부재를 타격하기 위해 상기 다수의 작동기구의 부분을 형성하는 잭의 제1 이탈을 통해 상기 다수의 작동기구에 의해 각각 구동되는 다수의 타격부재를 갖는 건반악기에 내장된 사일런트 시스템으로서, 이 사일런트 시스템는 상기 다수의 타격부재가 상기 다수의 진동부재를 타격하도록 하는 상기 다수의 타격부재의 궤적에서 이탈 제공된 자유위치와 상기 다수의 진동부재를 타격하기 이전에 상기 다수의 타격부재가 그위에 되튕기도록 하는 상기 궤적에 제공된 차단위치 사이를 변화하고, 상기 다수의 타격부재에 제공된 스톱퍼, 상기 제2 부분이 접촉할 때 상기 제1 이탈 보다 신속하게 제2 이탈을 발생하며, 상기 잭의 제2 부분의 궤적에제공되고 상기 차단위치에 연관된 활성위치와 상기 제2 부분의 상기 궤적에서 이탈 제공되고 상기 자유위치에 연관된 불활성위치 사이를 변화하는 제2 조절부재, 및 상기 제2 조절부재와 상기 제2 부분 사이의 갭을 가변하기 위한 갭 레귤레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갭 레귤레이터는, 상기 건반악기의 고정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조절부재에 인접 제공되는 지지부재, 상기 제2 조절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지지부재에 의해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는 리테이닝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리테이닝부재 사이의 상대 위치를 가변하기 위해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리테이닝부재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건반악기에 형성된 자유공간으로 돌출하는 조절기를 갖고 상기 상대위치 변화를 통해 상기 제2 부분과 상기 제2 조절부재 사이의 거리를 가변하기 위해 튜너에 의해 조작되는 조정기구를 포함하는 사일런트 시스템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전후방향과 상기 전후방향에 수직한 측방을 갖는 건반악기로서, 건반 전방에 위치한 연주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이동되는 다수의 키이를 갖는 건반, 잭과 상기 잭의 제1 부분이 상기 주요 조절부재와 접촉할 때 상기 잭의 제1 이탈을 유발하기 위한 주요 조절부재를 갖고, 상기 연주자에 의해 이동된 키이에 의해 선택적으로 구동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다수의 키이에 연결되고, 상기 건반 전방부 위에 자유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건반 후방부 위에 제공된 자유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건반 후방부 위에 제공된 다수의 작동기구, 상기 제1 이탈 또는 제2 이탈이 발생될 때 상기 다수의 작동기구에 의해 각각 회전 구동되는 다수의 타격부재, 상기 회전의 말기에서 상기 다수의 타격부재로 각각 타격되는 다수의 진동부재, 상기 제2 부분이 접촉될 때 상기 제2 이탈을 유발하고, 상기 잭의 제2 부분에 대향되는 제2 조절부재, 및 상기 제2 조절부재와 상기 제2 부분 사이의 갭을 가변하기 위한 갭 레귤레이터를 구비하며, 상기 갭 레귤레이터는, 고정부재에 연결된 지지부재, 상기 제2 조절부재에 연결되고, 이와의 상대위치를 가변하기 위해 상기 지지부재에 의해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는 리테이닝부재, 및 상기 자유공간으로 돌출하는 조정기를 갖고 상기 상대위치를 가변하기 위해 상기 제2 조절부재와 상기 지지부재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상대위치를 가변함으로써 상기 제2 부분과 상기 제2 조절부재 사이의 거리를 가변하기 위해 조작되는 조정기구를 포함하는 건반악기가 제공된다.
조절버튼기구와 건반악기의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을 참고로 다음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 명료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종래 그랜드 피아노에 내장된 직렬식 조절버튼기구를 도시하는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일런트 피아노에 내장된 주요 부품의 장치를 도시하는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한 것과 다른 동작 상태에서 사일런트 피아노의 주요 부품의 장치를 도시하는 측면도이고,
도 4는 사일런트 피아노의 직렬식 조절버튼기구에 내장된 변환기구 및 조정기구를 도시하는 부분 사시도이고,
도 5는 변환기구를 도시하는 측단면도이고,
도 6은 조정기구를 도시하는 부분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조정기구를 도시하는 부분 분해 사시도이고,
도 8a 및 도 8b는 제1 각도 위치와 제2 각도 위치 사이에 변화된 변환기구를 도시하는 측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무음 피아노의 구조를 개략 도시하는 측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통상 그랜드 피아노의 구조를 개략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작동기구 20a : 휩펜레일
20c : 휩펜플랜지 20d : 휩펜조립체
20e : 반복레버 플랜지 20f : 반복레버
20g : 잭 20j : 레그부
20k : 풋부 20m : 구멍
20n : 토우 20p : 범프
20h : 반복스프링 21 : 휩펜레일
22 : 작동브라켓 25 : 해머조립체
25b : 해머생크 25c : 해머헤드
26 : 생크플랜지 레일 27 : 직렬식 조절버튼기구
27a : 조절레일 27a : 조절버튼
27c : 조절바아 27d : 변환기구
27f : 조정나사 27e : 조정기구
28a : 샤프트 28d : 리테이너
29a : 고정브라켓 29b : 앵글부재
29m : 볼트구멍 29n : 나사산 스템부
29p : 헤드부 29q : 엣지부
30 : 현 60 : 전자음 발생장치
70 : 사일런트 시스템 71 : 해머스톱퍼
제1 실시예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을 구현하는 사일런트 피아노는 대체로 어쿠스틱 피아노(10), 전자음 발생장치(60) 및 사일런트 시스템(70)로 구성되어 있다. 이후 설명에서, "전면" 이라 함은 "후면" 위치 보다 어쿠스틱 피아노(10) 전면에 연주하는 피아니스트에 가까운 위치를 말한다. "전면" 은 도 2에서 우측이며, "후면" 은 도 2에서 좌측이다. "측면" 은 도 2에 도시한 도면에 수직방향을 지시하며, "전후" 방향은 이 측면방향에 수직한 방향, 즉 후면위치에서 전면위치의 방향을 말한다.
어쿠스틱 피아노(10)는 통상 그랜드 피아노이며, 복수 개의 작동기구(20), 복수 개의 해머조립체(25), 직렬식 조절버튼기구(27), 복수 개의 현(30) 세트 및 복수 개의 댐퍼(도시생략)를 포함하고 있다. 작동기구(20)는 해머조립체(25)에 각각 연관되어 있고, 차례로 현(30) 세트에 연관되어 있다. 건반(15)은 피아노 하우징(도시생략) 일부를 형성하는 키이 베드에 장착되어, 피아니스트에 노출된다. 작동기구(20), 해머조립체(25), 현(30) 세트 및 댐퍼(도시생략)는 피아노 하우징에 수용되어 있다. 피아니스트가 건반(15) 위에 손 놀림하는 동안, 현이 진동하도록 댐퍼는 이격되고 현(30) 세트와 접촉되며, 작동기구가 선택적으로 작동된다. 연관된 해머조립체(25)는 구동된 작동기구(20)에 회전자유롭게 구동되며, 자유회전 단부에 연관된 현(30) 세트를 타격한다. 현(30) 세트는 피아노 톤을 발생하기 위해 진동한다. 댐퍼가 현 세트와 접촉할 때, 진동은 감쇄되며, 피아노 톤은 소멸된다. 이처럼, 어쿠스틱 피아노(10)는 통상 그랜드 피아노와 같이 동작한다.
건반(15)은 흑색 키이와 백색 키이로 구성되어 있다. 흑/백 키이는 참조번호(15a)로 지시되며, 측방으로 배열되어 있다. 각각의 흑/백 키이(15a)는 밸런스 핀(15c)에 의해 밸런스 레일(15b)에 대해 회전가능하다. 흑/백 키이(15a)는 각각 작동기구(20)와 댐퍼에 연관되어 있다. 캡스턴 버튼(15d)은 흑/백 키이(15a)의 후단부에서 돌출하고, 연관된 작동기구(20)와 접촉한다. 백 체크(15e)는 흑/백 키이(15a)의 후단부에 고정되며, 그위에 직립한다. 백 체크(15e)는 연관된 해머조립체(25)를 수용하여, 연관된 현(30) 세트에 되튕긴다. 피아니스트가 흑/백키이(15a)의 전방부에 힘을 가할 때, 전단부가 가라 앉고, 따라서 후단부가 상승한다. 그리고, 감압된 키이(15a)는 캡스턴 버튼(15d)을 통해 연관된 작동기구(20)를 구동하며, 현(30) 세트에서 연관된 댐퍼를 이격한다. 이처럼, 감압된 키이(15a)를 통해 연관된 댐퍼 뿐만 아니라 연관된 작동기구(20)로 힘이 전달된다.
작동기구(20)는 휩펜레일(21)에 지지되고, 차례로 작동브라켓(22)에 지지되고 있다. 작동브라켓(22)에는 키이 프레임(도시생략)이 구비되고, 측면으로 서로에 대해 이격되어 있다. 작동기구(20)는 휩펜플랜지(20c), 휩펜조립체(20d), 반복레버 플랜지(20e), 반복레버(20f), 잭(20g) 및 반복스프링(20h)을 포함하고 있다. 휩펜플랜지(20c)는 휩펜레일(21)에 고정되며, 그 위에 직립한다. 휩펜조립체(20d)는 그 후단부에서 휩펜플랜지(20c)에 요동가능하게 연결되며, 캡스턴 버튼(15d)은 휩펜조립체(20d)의 하면과 접촉하고 있다. 반복레버 플랜지(20e)는 휩펜조립체(20d)의 중간부에 고정되며, 휩펜조립체(20d)에 직립한다. 반복레버(20f)는 반복레버 플랜지(20e)의 상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잭(20g)은 핀에 의해 절곡부에서 휩펜조립체(20d)의 전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비교적 길다란 레그부(20j)와 비교적 짧은 풋부(20k)를 갖고 있다. 구멍(20m)은 반복레버(20f)의 전방부에 형성되며, 비교적 길다란 레그부(20j)가 이 구멍(20m)에 삽입되어 있다. 반복스프링(20h)은 반복레버(20f)와 잭(20g) 사이에 제공되며, 항상 반시계방향으로 잭(20g)을 구속한다. 토우(20n)와 범프(20p)는 비교적 짧은 풋부(20k)에 형성되어 있다. 범프(20p)는 토우(20n) 보다 절곡부에 가깝게 위치한다.
생크플랜지레일(26)은 작동브라켓(22)에 지지되며, 측방으로 연장한다. 해머조립체(25)는 생크플랜지레일(26)에 의해 요동가능하게 지지되며, 이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한다. 해머조립체(25)는 해머생크플랜지(25a), 해머생크(25b), 해머헤드(25c) 및 해머 롤러(25d)를 포함하고 있다. 해머생크플랜지(25a)는 볼트에 의해 생크플랜지 레일(26)에 고정되며, 해머생크(25b)는 해머생크플랜지(25a)에 요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해머헤드(25c)는 해머생크(25b)의 선단부에 고정되어 있으며, 연관된 현(30) 세트를 향하고 있다. 해머 롤러(25d)는 해머생크(25b)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해머생크(25b)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돌출한다. 잭(20g)의 이탈까지 레그부(20j)의 선단부가 해머 롤러(25d)에 접촉하지만, 해머조립체(25)는 이탈시 자유회전하기 시작하며, 따라서, 해머 롤러(25d)는 레그부(20j)에서 이격된다. 현(30) 세트 타격시, 해머헤드(25c)는 현(30) 세트에 재튕기며, 해머헤드(25c)는 백 체크(15e)에 의해 수용된다. 감압된 키이(15a)가 해제된 후, 레그부(20j)는 다시 해머 롤러(25d)와 접촉하게 된다.
조절레일(27a)은 볼트에 의해 생크플랜지 레일(26)에 고정되며, 측방으로 연장한다. 직렬식 조절버튼기구(27)는 복수 개의 조절버튼(27b), 복수 개의 조절바아(27c), 변환기구(27d), 및 조정기구(27e)를 포함하고 있다. 조절버튼(27b)은 작동기구(20)에 각각 연관되어 있으므로, 따라서, 흑/백 키이(15a)에 연관되어 있다. 한편, 두 개의 조절바아(27c)는 고, 중, 저 피치부 중 하나가 잭(20g)과 공유하므로, 따라서, 여섯 개의 조절바아(27c)가 직렬식 조절버튼기구(27)에 내장되어 있다. 한 쌍의 조정나사(27f)가 각각의 조절바아(27c)에 제공되어, 각조절바아(27c)와 연관된 잭(20g)의 범프(20p) 사이의 갭을 조절하는 데에 사용된다. 조정나사(27f)는 변환기구(27d)에서 전방으로 돌출하며, 튜너는 작동기구(20) 전방 공간을 통해 용이하게 접근된다.
조절버튼(27b)은 조절레일(27a)에서 나사에 의해 각각 매달려 있고, 연관된 잭(20g)의 토우(20n)에 대향하고 있다. 각각의 조절버튼(27b)과 연관된 토우(20n) 사이의 갭은 조절버튼(27b)을 나사 둘레에 선회함으로써 가변가능하다. 피아니스트는 흑/백 키이(15a)를 감압하도록 되어 있다. 캡스턴버튼(15d)은 휩펜조립체 (20d)를 상방으로 가압하여, 휩펜플랜지(20c) 둘레에 반시계방향으로 휩펜조립체 (20d)의 회전을 야기한다. 잭(20g)은 휩펜조립체(20d)에 대한 어떠한 상대 회전 없이 휩펜조립체(20d)와 함께 회전된다. 레그부(20j)는 해머 롤러(25d)를 가압하고, 해머생크플랜지(25a) 둘레에 해머생크(25b)와 해머헤드(25c)의 회전을 야기한다. 토우(20n)가 조절버튼(27b)과 접촉할 때, 조절버튼(27b)에서의 반력은 휩펜조립체(20d)에 대해 잭(20g)의 회전을 야기한다. 그리고, 잭(20g)의 레그부(20j)는 해머롤러(25d)에서 이탈된다. 이탈은 해머조립체(25)의 자유회전을 야기하며, 현(30) 세트는 자유회전 말기에 해머헤드(25c)에 의해 타격된다.
직렬식 조절버튼기구(27)는 조절버튼(27b)을 제외하곤 사일런트 시스템(70)의 일부를 형성한다. 이 때문에, 조절바아(27c), 변환기구(27d) 및 조정기구(27e)는 사일런트 시스템(70)와 연관하여 이후 상세히 기술한다.
전자음 발생장치(60)는 복수 개의 키이 센서(60a), 복수 개의 해머 센서(60b), 데이터처리장치(60c), 톤 발생기(60d) 및 헤드폰(60e)을 포함하는 사운드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키이 센서(60a)는 각각 흑/백 키이(15a)에 연관되어, 연관된 흑/백 키이(15a)의 현재 키이 위치를 나타내는 키이 위치 신호를 발생한다. 한편, 해머 센서(60b)는 해머조립체(25)에 각각 연관되어, 연관된 해머조립체(25)의 현재 해머 위치를 나타내는 해머 위치 신호를 발생한다. 키이 센서(60a) 및 해머 센서(60b)는 데이터처리장치(60c)의 인터페이스에 병렬로 연결되어 있고, 데이터처리장치는 키이 동작과 해머 동작에 기초한 전자톤의 발생과 전자톤의 감쇠를 나타내는 음악 데이터 코드를 발생한다. 데이터처리장치(60c)는 톤 발생기(60d)에 연결되며, 음악 데이터 코드는 톤 발생기(60d)에 공급된다. 톤 발생기(60d)는 음악 데이터 코드에 기초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발생하며, 이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헤드폰(60e)에 공급한다. 헤드폰은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전자톤으로 변환한다.
사일런트 시스템(70)는 해머스톱퍼(71), 변환기구(27d) 및 조정기구(27e)를 포함하고 있다. 해머스톱퍼(71)는 해머조립체(25)와 현(30) 세트 사이의 공간에 제공되며, 측방으로 연장한다. 해머스톱퍼(71)는 자유위치와 차단위치 사이를 가변한다. 변환기구(27d)는 조절레일(27a) 아래 공간에 제공되며, 제2 조절버튼(27c)에 연결되어 있다. 변환기구(27d)는 제1 각도 위치와 제2 각도 위치 사이에 조절바아(27c)를 동시에 가변하기 위해 사용된다. 조정기구(27e)는 변환기구(27d)에 부착되며, 제2 조절버튼(27c)과 연관된 범프(20p) 사이의 갭의 값을 독립적으로 가변한다.
해머스톱퍼(71)는 샤프트(71a), 브라켓(71b) 및 완충시이트(71c)를 포함하고있다. 샤프트(71a)는 측방으로 연장하며, 적절한 베어링 유니트(도시생략)에 의해 피아노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브라켓(71b)은 샤프트(71a)에 일정 간격으로 고정되며, 완충시이트(71c)는 각각 브라켓(71b)에 부착되어 있다. 샤프트(71a)는 적절한 링크장치(도시생략)에 의해 회전 구동되며, 따라서, 완충시이트(71c)는 샤프트(71a)와 함께 회전된다. 해머스톱퍼(71)가 자유위치에 유지하는 동안, 완충시이트(71c)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해머생크의 궤적에서 이탈하며, 현(30) 세트는 해머스톱퍼(71)의 아무런 간섭없이 해머헤드(25c)에 의해 타격된다. 해머스톱퍼(71)가 차단위치로 가변될 때, 완충시이트(71c)는 해머생크(25b)의 궤적으로 이동하므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30) 세트를 타격하지 않고 해머생크(25b)는 해머스톱퍼(71)에 되튕겨진다.
변환기구(27d)와 조정기구(27e)에 관해서는 도 4, 도 5, 도 6 및 도 7을 참조로 이후 상세히 설명한다. 변환기구(27d)는 생크플랜지 레일(26)의 전면에 부착되며, 샤프트(28a), 베어링 유니트(28b/28c), 리테이너(28d/28e) 및 링크장치(28f)를 포함하고 있다. 링크장치(28f)와 해머스톱퍼(71)의 링크장치는 자유위치/제1 각도 위치와 차단위치/제2 각도 위치 사이에 해머스톱퍼(71)와 변환기구(27d)를 동시에 가변하기 위해서 그립, 풋 페달 또는 전동모터의 출력 샤프트에 연결될 수 있다.
샤프트(28a)는 측방으로 연장하며, 베어링 유니트(28b/28c)에 의해 생크플랜지 레일(26)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각각의 베어링 유니트(28b/28c)는 짧은 플레이트 부재(28g), 길다란 플레이트 부재(28h) 및 커버판(28j)을 구비하고 있다. 짧은 플레이트 부재(28g)의 길이는 생크플랜지 레일(26)의 전면의 폭과 대략 동일하며, 관통구멍이 짧은 플레이트 부재(28g)에 형성되어 있다. 길다란 플레이트 부재(28h)는 커버판(28j) 길이에 대략 동일하며, 커버판(28j)은 대략 Ω자 형상을 갖는다. 두 개의 관통구멍이 길다란 플레이트 부재(28h)에 형성되어 있고, 두 개의 관통구멍이 또한 커버판(28j)의 양 측부에 형성되어 있다. 길다란 플레이트 부재(28h)의 관통구멍은 커버판(28j)에 형성된 관통구멍과 동일하게 이격되어 있으므로, 따라서, 이에 정렬되어 있다. 한 쌍의 암볼트구멍(28k)은 생크플랜지 레일(26)에 형성되어 있으며, 그 전면에 양 영역으로 개방되어 있다. 짧은 플레이트 부재(28g), 길다란 플레이트 부재(28h) 및 커버판(28j)은 생크플랜지 레일(26)의 전면에 적층되어 있으며, 샤프트(28a)는 길다란 플레이트 부재(28h)와 커버판(28j) 사이에 끼워져 있다. 짧은 플레이트 부재(28g)의 관통구멍, 길다란 플레이트 부재(28h)의 상부 관통구멍 및 덮개판(28j)의 상부 관통구멍은 암볼트구멍(28k)과 정렬되며, 길다란 볼트(28m)는 암볼트구멍(28k)에 나사 고정되어 있다. 짧은 볼트(28n)는 길다란 플레이트 부재(28h)의 관통구멍과 덮개판(28j)의 관통구멍에 더 나사 고정되어 있다. 베어링 유니트(28b/28c)가 조립되며, 샤프트(28a)는 베어링 유니트(28b, 28c)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링크장치(28f)는 조절레버(28p)와 링크부재(28q)를 포함하고 있다(도 4 참조). 조절레버(28p)는 그 상단부에서 샤프트(28a)에 고정되며, 링크부재(28q)는 조절레버(28p)의 하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링크부재(28q)는 차례로 다른 링크부재를 통해 그립 또는 풋 페달에 연결되어 있다. 그렇지 않으면, 링크부재(28q)는 적절한 회전운동/왕복운동 변환기(도시생략)를 통해 전동모터의 출력 샤프트에 연결되어 있다.
각각의 조절바아(27c)는 브라켓(28r)과 조절 클로스(cloth, 28s)로 분류된다. 리테이너(28d/28e)는 샤프트(28a)에 의해 지지되며, 샤프트(28a)에서 후방으로 돌출한다. 리테이너(28d/28e)의 후단부는 브라켓(28r)의 양 단부에 고정되며, 조절 클로스(28s)는 브라켓(28r)의 하면에 부착되어 있다. 범프(20p)가 조절바아(27c)에 접촉하지만, 조절 클로스(28s)는 접촉시 소음을 소멸시킨다.
각각의 리테이너(28d/28e)는 아암 플레이트(28t), 링부재(28u), 볼트(28v) 및 부싱 클로스(28w)를 갖고 있다. 원형구멍이 아암 플레이트(28t)에 형성되며, 원형구멍을 링부재(28u)의 관통구멍에 정렬하도록 링부재(28u)가 아암 플레이트(28t)에 고정되어 있다. 부싱 클로스(28w)는 링부재(28u)의 내면에 결합되어 있다. 샤프트(28a)는 원형구멍과 관통구멍에 삽입되며, 부싱 클로스(28w)는 리테이너(28d/28e)가 샤프트(28a) 둘레에 매끄럽게 회전하도록 한다. 아암 플레이트(28t)는 샤프트(28a)에서 하방으로 돌출하며, 볼트(28v)에 의해 브라켓(28r)에 고정되어 있다. 이처럼, 조절바아(27c)는 리테이너(28d, 28e)를 이용하여 샤프트(28a)에 지지된다.
조정기구(27e)는 도 5, 도 6 및 도 7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조정기구(27e)는 고정 브라켓(29a), 회전가능한 앵글부재(29b), 조정나사(27f), 브라켓 세트 스크루(29c), 펀칭 클로스부재(29d) 및 캡(29e)을 포함하고 있다. 한 쌍의 조정 유니트는 각각의 조절바아(27c)에 연관되어 있다. 고정 브라켓(29a),회전가능한 앵글부재(29b), 조정나사(27f), 브라켓 세트 스크루(29c), 펀칭 클로스부재(29d) 및 캡(29e)은 조절바아(27c)의 일단부에 제공된 조정 유니트 어느 하나에 조립되어 있고, 다른 고정 브라켓(29a), 다른 회전가능한 앵글부재(29b), 다른 조정나사(27f), 다른 브라켓 세트 스크루(29c), 다른 펀칭 클로스부재(29d) 및 다른 캡(29e)은 조절바아(27c)의 일단부에 제공된 다른 조정 유니트 어느 하나에 조립되어 있다. 조정 유니트 쌍은 각각의 조절바아(27c)의 양 단부에 제공되어 있다. 조정 유니트의 구조는 서로 동일하며, 우측에 제공된 조정 유니트만 이후 상세히 설명한다.
조정 유니트의 쌍은 범프(20p)와 연관된 조절바아(27c) 사이의 갭을 가변하기 위해 리테이너(28d/28e)와 샤프트(28a) 사이의 상대 회전을 야기한다. 기술한 바와 같이, 리테이너(28e)는 아암 플레이트(28t), 링부재(28u) 및 볼트(28v)로 분류된다. 고정 브라켓(29a)은 숫자 "9" 와 유사한 형상을 갖고, 링(29f)과 플레이트(29g)로 분류된다. 관통구멍(29h)은 링(29f)에 한정되며, 내경은 링(28u)의 외경 보다 다소 크다. 이 때문에, 고정 브라켓(29a)이 리테이너(28e)에 조립될 때, 링(28u)은 링(29f)의 관통구멍(29h)에 회전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다. 링(29f)은 링부재(28u) 보다 폭이 넓으며, 링부재(28u)의 좌측면은 관통구멍(29h)으로 후퇴된다. 관통구멍(29h)은 링부재(28u)의 관통구멍과 일치하며, 샤프트(28a)는 링부재(28u)의 관통구멍을 통과한다. 볼트구멍(29k)은 링(29f)에 형성되어 있고, 브라켓 세트 스크루(29c)는 볼트구멍(29k)에 나사 고정되어 있다. 브라켓 세트 스크루(29c)는 샤프트(28a)에 대해 가압되며, 고정 브라켓(29a)은 샤프트(28a)에 고정되어 있다. 이처럼, 고정 브라켓(29a)과 샤프트(28a)는 서로 조립후 이들 사이의 상태 위치가 변하지 않는다.
볼트구멍(29m)은 플레이트(29g)에 형성되며, 조정나사(27f)는 플레이트(29g)에서 전방 돌출한다. 조정나사(27f)는 나사산 스템부(threaded stem portion, 29n), 헤드부(29p) 및 얇은 엣지부(29q)를 갖고 있다. 나사산 스템부(29n)는 볼트구멍(29m)에 나사 고정되어 있다. 나사산 스템부(29n)는 펀칭 클로스 부재(29d)에 형성된 구멍을 통과하며, 얇은 엣지부(29q)는 플레이트부(29g)에서 돌출한다.
앵글부재(29b)는 핀(29r)에 의해 아암 플레이트(28t)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핀(29r)은 링부재(28u)에 형성된 관통구멍의 중앙선에 오프세트(offset)하는 중앙선을 갖고 있다. 슬롯(29s)은 회전가능한 앵글부재(29b)에 형성되며, 회전가능한 앵글부재(29b)의 좌측면으로 개방되어 있다. 슬롯(29s)은 나사산 스템부(29n)의 직경 보다 폭이 다소 넓지만 헤드부(29p)의 직경 보다는 작다. 고정 브라켓(29a)이 샤프트(28a)에 적절하게 고정될 때, 회전가능한 앵글부재(29b)는 플레이트부(29g)에 대향하며, 슬롯(29s)은 볼트구멍(29m)에 정렬된다. 이 때문에, 조정나사(27f)는 슬롯(29s)을 통과하여, 볼트구멍(29m)에 나사 고정된다. 이처럼, 조정나사(27f)는 그 전단부에서 고정 브라켓(29a)에 의해 지지되고 보스부에서 회전가능한 앵글부재(29b)에 의해 지지되고 있다.
얇은 엣지부(29q)는 작동기구(20)의 배열 전방에 비교적 넓은 공간으로 돌출하며, 튜너는 얇은 엣지부(29q)에 맞물리는 적절한 공구로 조정나사(27f)를 간단히 선회할 수 있다.
내측 공간은 캡(29e)에 한정되며, 슬롯(29s)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내측 공간은 헤드부(29p), 부싱 클로스(29d) 및 회전가능한 앵글부재(29b)의 총 두께에 대략 동일하다. 캡(29e)이 이미 회전가능한 앵글부재(29b)와 플레이트부(29g)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헤드부(29p)를 향해 가압될 때, 캡(29e)은 스템부에 활주하여, 헤드부(29p), 부싱 클로스(29d) 및 회전가능한 앵글부재(29b)는 캡(29e)의 내측 공간에 수용된다. 이처럼, 헤드부(29p)와 회전가능한 앵글부재(29b)는 캡(29e)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있다.
고정 브라켓(29a)의 회전가능한 앵글부재(29b)와 플레이트부(29g) 사이의 갭을 확장하기 위해 튜너가 조정나사(27f)를 선회한다고 가정하면, 헤드부(29p)는 후방으로 이동되며, 캡(29e)을 통해 회전가능한 앵글부재(29b)를 가압하는데, 이는 브라켓 세트 스크루(29c)가 고정 브라켓(29a)을 샤프트(28a)의 중앙선 둘레에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이다. 힘은 핀(29r) 둘레에 회전가능한 앵글부재(29b)의 회전 뿐만 아니라 샤프트(28a) 둘레에 아암 부재(28t)의 회전을 야기한다. 리테이너(28d/28e)는 조절바아(27c)와 함께 도 5의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는 조절바아(27c)와 연관된 잭(20g)의 범프(20p) 사이의 갭 증가를 유발한다.
한편, 튜너가 범프(20p)와 조절바아(27c) 사이의 갭을 감소할 때, 튜너는 대향방향으로 조절나사(27c)를 선회하며, 회전가능한 앵글부재(29b)와 플레이트부(29g) 사이의 갭을 감소한다. 고정 브라켓 부재(29a)는 샤프트(28a)에 대한 위치가 변하지 않고, 조정나사(27f)는 볼트구멍(29m)에 추가로 나사 고정된다. 헤드부(29p)는 캡(29e)에 의해 플레이트부(29g)를 향해 회전가능한앵글부재(29b)를 가압하며, 아암부재(28t)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 구동된다. 이처럼, 튜너는 조정 유니트에 의해 조절바아(27c)와 범프(20p) 사이의 갭을 감소시킨다.
피아니스트가 피아노 톤을 통해 조율하고자 할 때, 그립 또는 풋 페달(도시생략)을 조작하거나 해머스톱퍼(71)와 조절바아(27c)를 자유위치와 제1 각도 위치에 각각 가변하기 위해 출력 샤프트를 회전하는 전동모터(도시생략)에 명령한다. 샤프트(71a)는 회전구동되며, 완충시이트(71c)는 해머생크(25b)의 궤적에서 이탈된다. 한편, 링크장치(28q)가 후방으로 당겨지며, 조절레버(28p)는 도 2 및 도 3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회전은 샤프트(28a)와 리테이너(28d/28e)를 통해 조절바아(27c)에 전달되며, 조절바아(27c)는 범프(20p)의 궤적에서 이탈된다. 이처럼, 사일런트 피아노는 어쿠스틱 모드로 변화되며, 피아니스트가 연주를 수행한다.
피아니스트는 연주를 위해 흑/백 키이(15a)를 선택적으로 감압한다. 피아니스트가 건반(15)에서 연주하는 동안, 피아니스트는 도 2에 도시한 흑/백 키이(15a) 하나를 감압한다. 흑/백 키이(15a)의 전방부가 가라앉고, 따라서 후단부가 상승된다. 캡스턴버튼(15d)은 휩펜조립체(20d)를 가압하여, 휩펜플랜지(20c) 둘레에 반시계방향으로 휩펜 조립체(20d)의 회전을 야기한다. 잭(20g)은 휩펜조립체(20d) 둘레에 아무런 회전 없이 휩펜플랜지(20c) 둘레에 회전되며, 해머롤러(25d)를 가압한다. 토우(20n)는 조절버튼(27b)에 더욱 더 근접한다. 토우가 조절버튼(27b)에 접촉될 때, 반력은 시계방향으로 휩펜조립체(20d)의 전단부 둘레에 잭(20g)의 회전을 야기한다. 잭(20g)은 비교적 저속으로 해머롤러(25d)에서 이탈되고, 이탈은 시계방향으로 해머조립체(25)의 자유회전을 야기한다. 해머스톱퍼(71)의 아무런 간섭 없이 해머헤드(25c)가 연관된 현(30) 세트에 도달하여, 현(30) 세트를 타격한다. 현(30)은 피아노 톤을 발생하기 위해 진동된다.
해머헤드(25c)는 현(30) 세트를 되튕기며, 백 체크(15e)는 해머조립체(25)를 수용한다. 피아니스트가 감압된 키이(15a)를 해제할 때, 휩펜조립체(20d)는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며, 토우(20n)는 조절버튼(27b)에서 이격되어 있다. 해머조립체(25)는 백 체크(15e)에서 해제되며, 레그부(20j)는 해머 롤러(25d)로 활주한다.
피아니스트가 건반(15)에서 손놀림 연습을 소망할 때, 그립이나 풋 페달을 조작하거나 대향방향으로 출력 샤프트를 회전하는 전동모터에 명령한다. 샤프트(71a)는 시계방향으로 회전 구동되며, 완충 시이트(71c)는 해머생크(25b)의 궤적을 시작한다. 한편, 링크부재(28q)는 전방으로 가압되며, 조절레버(28p)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 구동된다. 조절바아(27c)는 범프(20p)의 궤적을 시작하며, 이에 대향된다. 이처럼, 사일런트 피아노는 사일런트 동작 모드로 변화된다.
피아니스트가 건반(15)에 손놀림 하는 동안, 도 3에 도시한 흑/백 키이(15a)를 감압한다. 감압된 키이(15a)는 캡스턴 버튼(15d)이 휩펜조립체(20d)를 상방으로 가압하도록 한다. 휩펜조립체(20d)는 휩펜플랜지(20c) 둘레에 회전된다. 토우(20n)와 범프(20p)는 조절버튼(27b)과 조절바아(27c) 각각에 더 근접된다. 토우(20n)와 범프(20p)는 조절버튼과 조절바아(27c)에 동시에 접촉되며, 조절바아(27c)로부터의 반력은 휩펜조립체(20d)의 전단부 둘레에 잭(20g)의 회전을야기한다. 잭(20g)은 비교적 고속으로 해머조립체(25)에서 이탈하는데, 이는 범프(20p)에서의 각속도가 토우(20n)에서의 각속도 보다 크기 때문이다. 해머조립체(25)가 자유회전하기 시작한다. 그러나, 해머조립체(25)는 현(30) 세트를 타격하기 이전에 해머스톱퍼(71)에 되튕긴다. 이처럼, 잭(20g)이 어쿠스틱 모드와 같은 타이밍으로 사일런트 모드에서 해머조립체(25)에서 이탈하고, 잭(20g)은 어쿠스틱 사운드 모드 보다 빠른 사일런트 모드에서의 이탈을 완료한다. 잭(20g)이 해머 롤러(25d)에서 이탈하는 동안, 휩펜조립체(20d)는 더 회전되며, 따라서, 레그부(20j)는 상방으로 이동된다. 레그부(20j)는 사일런트 모드에서 다소 이동된다. 사일런트 모드에서의 레그부(20j)의 이동은 어쿠스틱 모드에서의 레그부(20j)의 이동 보다 작은데, 이는 잭(20g)이 어쿠스틱 모드 보다 빨리 이탈을 완료하기 때문이다. 이는 피아노 키이 터치감의 변화 없이 잭(25)이 해머스톱퍼(71)와 잭(20g) 사이에 덜 붙잡히도록 한다.
피아니스트가 흑/백 키이(15a)를 감압할 때, 키이 센서(60a)와 해머센서(60b)는 모니터링을 시작하며, 키이 위치 신호와 해머 위치 신호를 데이터처리장치(60c)에 공급한다. 데이터처리장치(60c)는 키이/해머 위치신호에 기초한 감압된 키이(15a)를 규정하며, 해머조립체(25)가 해머스톱퍼(71)에 되튕기기 바로 이전에 해머 속도를 계산한다. 해머조립체(25)가 되튕기기 바로 이전에 소정의 포인트를 통과할 때, 데이터처리장치(60c)는 감압된 키이(15a)에 할당된 키이 코드를 나타내는 음악 데이터 코드, 음표(note-on event) 및 해머 속도를 톤 발생기(60d)에 공급한다. 톤 발생기(60d)는 오디오 신호를 발생하고, 이를 헤드폰(60e)으로공급한다. 헤드폰(60e)은 오디오 신호를 전자톤으로 변환하며, 피아니스트는 전자톤을 통해 손놀림을 확인한다.
피아니스트가 감압된 키이(15a)를 해제할 때, 흑/백 키이(15a)는 정지위치를 향하기 시작한다. 해제된 키이(15a)는 정지위치를 향해 도중에 소정위치를 통과한다. 그 다음, 데이터처리장치(60c)는 키이 코드를 나타내는 음악 데이터 코드와 음표를 톤 발생기(60d)에 공급한다. 그리고, 전자톤이 감쇠된다.
사일런트 피아노는 장시간 사용되는 것이라 가정한다. 조절바아(27c)는 적절한 위치에서 도 8a에서 점선 및 실선에 의해 지시된 위치까지 부지불식간에 이동되며, 사일런트 모드에서의 이탈은 어쿠스틱 사운드 모드에서의 이탈 보다 빨라진다. 튜닝이 요구된다. 이 상황에서, 조절바아(27c)는 현재 위치에서 상방으로 이동된다. 키이 베드에서 이동하지 않고 튜너가 작동기구(20) 배열 전방 공간으로 접근하며, 헤드부(29p)가 후방으로 돌출하도록 얇은 엣지부(29q)를 선회한다. 이는 헤드부(29p)와 플레이트부(29g) 사이의 거리를 증가시킨다. 고정 브라켓(29a)이 샤프트(28a)에 고정되지만, 앵글부재(29b)는 아암부재(28t)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리테이너(28d/28e)는 샤프트(28a) 둘레에 회전가능하다. 헤드부(29p)는 캡(29e)을 통해 연관된 앵글부재(29b)에 힘을 작용시킨다. 핀(29r)은 앵글부재(29b)가 조정나사(27f)에 평행한 각도위치를 유지하도록 하며, 접선력 성분은 시계방향으로 아암부재(28t)의 회전을 야기한다. 따라서, 조절바아(27c)는 리테이너(28d/28e)와 함께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며, 도 8a에서 실선으로 지시된 적절한 위치에 도달한다.
한편, 조절바아(27c)가 도 8b에서 점선과 실선으로 지시된 적절한 위치로부터 이격되면, 사일런트 모드에서의 이탈의 완료는 이후에 발생한다. 최악의 경우, 해머생크(25b)가 잭(20g)과 해머스톱퍼(71) 사이에 붙잡혀진다. 조절바아(27c)는 하방으로 이동된다.
튜너는 작동기구(20)의 배열 전방 공간에서 얇은 엣지부(29q)에 접근하며, 얇은 엣지부(29q)가 플레이트부(29g)에서 더 돌출하도록 조정나사(27f)를 선회한다. 브라켓 세트 스크루(29c)는 샤프트(28a)에 대해 브라켓(29a)을 고정시킨다. 헤드부(29p)와 플레이트부(29g)와의 거리가 감소되며, 캡(29e)을 통해 앵글부재(29b)에 힘이 작용한다. 핀(29r)은 앵글부재(29b)가 조정나사(27f)에 평행한 자세를 유지하도록 하며, 접선력 성분은 반시계방향으로 리테이너(28d/28e)의 회전을 야기한다. 따라서, 조절바아(27c)는 리테이너(28d/28e)와 함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며, 적절한 위치에 도달한다.
범프(20p)와 조절바아(27c) 사이의 거리는 조정나사(27f)의 회전 각도에 따라 다양하다. 조절바아(27c)를 적절한 위치에 조정하기 이전에 튜너는 도 8a 및 도 8b에 도시한 튜닝작업을 반복하여도 좋다. 그러나, 튜너는 키이 베드 상에 작동기구(20)의 배열을 이동시킬 필요가 없다. 그 결과, 튜닝작업은 종래 직렬식 조절버튼기구에서의 튜닝 작업 보다 손쉽게 된다.
전술의 설명으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키이 베드 상에 작동기구(20)의 배열을 이동시키지 않고 본 발명에 따른 조정기구(27e)는 튜너가 잭(20g)이 조절버튼(27b)과 조절바아(27c)가 동시에 접촉하는 위치까지조절바아(27c)를 조정하도록 한다. 이는 선회작업에 소요된 시간의 감소를 발생한다.
게다가, 튜너는 조절버튼(27b)과 조절바아(27c)가 조정 바로 후에 적절한 위치에 조정되는지 여부를 검사하기 위해 해머헤드(25c)와 현(30) 세트 사이의 거리를 체크할 수 있다. 튜너가 추가의 튜닝작업이 필요하면, 현재 상태를 변화하지 않고 바로 재시작할 수 있으며, 조절바아(27c)를 적절한 위치에 정확하게 조정한다.
조정나사(27f)가 똑바로 이동되지만, 회전가능한 앵글부재(29b)는 그위에 작용하는 힘에서 핀(29r) 둘레 회전을 통해 리테이너(28d/28e)에 작용되는 접선력 성분을 인출한다. 선형운동/회전운동 변환기구, 즉 앵글부재(29b)의 조합이다. 핀(29r)과 캡(29e)은 아주 간단하며, 덜 번거롭다. 선형운동/회전운동 변환기구는 조정나사(27f)의 바람직하지 않은 굽힘모멘트를 방지하며, 헤드부(29p)와 앵글부재(29b) 사이의 면 대 면 접촉(face-to-face contact)을 유지한다. 이는 힘이 조정나사(27f)에서 앵글부재(29b)에 확실히 전달되어 조정나사(27f)가 견딜 수 있도록 유발한다.
제2 실시예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을 실현하는 무음 피아노(mute piano)는 대체로 그랜드 피아노(80)와 직렬식 조절버튼기구(82)로 구성되어 있다. 그랜드 피아노(80)는 구조면에서 그랜드 피아노(10)와 동일하며, 이 때문에, 그랜드 피아노(80)의 부품은 간략화를 위해 상세한 설명 없이 그랜드 피아노(10)의 대응 부품을 지시하는 참조번호로 표시된다.
조절바아(27c)는 변환기구(27d)에 의해 제1 각도 위치와 제2 각도 위치 사이를 변화하며, 제1 실시예와 동일한 조정기구(27e)를 통해 적절한 각도 위치에 조절가능하다. 튜닝작업은 이전 기술한 것과 동일하므로, 반복하지 않는다.
무음 피아노는 어쿠스틱 사운드 모드와 무음 모드 사이를 변화한다. 피이니스트가 어쿠스틱 사운드 모드에서 곡조를 연주하기를 소망할 때, 조절바아(27c)는 제1 각도 위치로 변화된다. 피아니스트가 건반(15) 위에 연주하며, 조절버튼(27b)은 잭(20g)이 비교적 저속에서 해머 롤러(25d)에서 이탈되도록 한다. 비교적 긴 시간이 이탈에 소모되며, 큰 힘이 이탈을 통해 해머 롤러(25d)에 전달된다. 이 때문에, 해머조립체(25)는 고속으로 회전 구동되며, 통상적으로 현(30) 세트를 타격한다.
한편, 피아니스트가 작은 소리 세기로 손놀림 연습을 소망할 때, 피아니스트는 조절바아(27c)를 제2 각도 위치로 변화하며, 무음피아노는 무음 모드로 설정된다. 토우(20n)와 범프(20p)는 조절버튼(27b)과 조절바아(27c)가 무음 모드에서 동시에 접촉된다. 피아니스트가 건반(15)에서 손놀림 연습하는 동안, 흑/백 키이(15a)는 감압되며, 감압된 키이(15a)는 휩펜조립체(20d)의 회전을 야기한다. 토우(20n)와 범프(20p)가 조절버튼(27b)과 조절바아(27c)에 동시에 접촉될 때, 조절바아(27c)에서의 반력은 휩펜(20d)의 전단부 둘레에 큰 각속도로 잭(20g)의 회전을 야기하며, 잭(20g)은 단시간 내에 이탈을 완료한다. 이는 작은 양의 힘이 해머롤러(25d)에 전달되며, 해머조립체(25)가 천천히 회전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현(30) 세트에 약한 충격을 유발하고, 피아노 톤의 음 세기를 감소시킨다.
이처럼, 직렬식 조절버튼기구(82)는 이웃을 방해하지 않고 피아니스트가 손놀림을 연습하도록 한다.
직렬식 조절버튼기구(82)는 모든 장점을 완수한다. 게다가, 해머스톱퍼(71)와 전자음 발생장치는 무음 피아노에 요구되지 않는다. 이것은 작업자가 사일런트 피아노 보다 저렴한 무음 피아노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제3 실시예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조정기구(85)는 통상 그랜드 피아노에 내장된 조절버튼에 직접 적용된다. 통상 그랜드 피아노의 구조는 조절버튼장치(86)를 제외하곤 그랜드 피아노(10)와 동일하다. 이 때문에, 조절버튼장치(86)를 집중 설명한다. 통상 그랜드 피아노의 다른 부품은 간략화를 위해 상세한 설명 없이 제1 실시예의 대응 부품을 지시하는 참조번호로 표시한다.
조절버튼장치(86)는 조절버튼(87), 리테이너(88), 샤프트(89) 및 조정기구(85)를 포함하고 있다. 조절버튼(87)은 잭(20g)의 토우(20n)에 각각 대향하며, 리테이너(88)에 의해 지지된다. 리테이너(88)는 샤프트(89)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조정기구(85)는 리테이너(88)와 샤프트(89) 사이에 제공된다. 샤프트(89)는 생크플랜지 레일(26)에 고정되어 있다. 리테이너(88)의 구조는 리테이너(28d/28e)와 동일하며, 조정기구(85)의 구조는 조정기구(27e)와 동일하다. 따라서, 조절나사(27f)는 브라켓(29a)의 플레이트부(29g)에서 전방으로 돌출한다. 도 10에 도시하지 않지만, 회전가능한 앵글부재(29b)와 캡(29e)은 조정기구(85)에 내장되어 있다.
브라켓(29a)으로 후퇴되도록 튜너가 조정나사(27f)를 선회할 때, 플레이트부(29g)와 앵글부재(29b) 사이의 거리가 증가하며, 리테이너(88), 즉 조절버튼(87)은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는 조절버튼(87)이 토우(20n)에서 이격되도록 한다. 한편, 플레이트부(29g)에서 돌출하도록 튜너가 조정나사(27f)를 선회할 때, 앵글부재(29b)와 플레이트부(29g) 사이의 거리는 감소된다. 그 결과, 리테이너(88)와 조절버튼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이것은 토우(20n)와 조절버튼(87) 사이의 거리를 감소하게 한다.
이해한 바와 같이, 조정나사(27f)는 브라켓(29a)에서 작동기구(20)의 배열 전방 공간으로 돌출하며, 튜너는 튜닝작업을 신속하게 완료한다.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각각의 해머조립체(25), 조절바아(27c) 및 조절버튼(87) 및 조정나사(27f)는 각각 타격부재, 조절부재 및 조정기로서 기능한다. 생크플랜지 레일(26)은 고정부재에 대응하며, 샤프트(28a)는 지지부재로서 기능한다. 토우(20n)와 범프(20p)는 각각 잭의 제1 부분과 잭의 제2 부분으로 기능한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가 도시되고 기술되지만, 당분야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각종 변화와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종류의 건반악기에도 속할 수 있다. 어쿠스틱 피아노(10)는통상 직립형 피아노이어도 좋고, 또 자동연주장치가 사일런트 피아노에 추가로 내장되어도 좋다.
조절바아(27c)는 모든 작동기구(20)의 잭(20g) 사이에 공유된 단일 조절바아로 대체되어도 좋다. 본 발명은 제2 조절바아(27c)의 총 갯수를 한정하지 않는다.
샤프트(28a)는 두 개 이상의 베어링 유니트에 의해 생크플랜지 레일(26)에 부착되어도 좋다.
본 발명에 따른 직렬식 조절버튼기구는 직립형 피아노에 기초로 제작되는 건반악기에 내장되어도 좋다.
다른 선형운동/회전운동 변환기구는 직렬식 조절버튼기구(27/82)에 사용될 수도 있다. 예컨대, 가요성 커플링, 예컨대 코일스프링이 헤드부(29p)와 아암부재(28t) 사이에 직접 삽입되어도 좋다.
선형운동/회전운동 변환기구는 다른 종류의 변환기구로 대체되어도 좋다. 예컨대, 아암부재(28t)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로드가 전방으로 돌출하도록 리테이너(28d/28e)에 직접 연결되어도 좋다. 튜너는 조절바아(27c)를 적절한 위치에 조정하기 위해 로드를 가압 및 당긴다.
조절버튼(87)에 각각 연관된 조정기구(85)에 의해 튜너가 적절한 위치에 별개의 조절버튼(87)을 조정하도록 하기 위해 리테이너(88)에 의해 조절버튼(87)은 각각 지지되어도 좋다.
자동연주장치는 통상 그랜드 피아노와 사일런트 피아노에 추가로 내장되어도 좋다. 자동연주장치는 흑/백 키이에 각각 연관된 다수의 액튜에이터를 포함하며,이 액튜에이터는 건반 상에 연주자의 손놀림 없이 연관된 흑/백 키이를 이동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활성시킨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정기구가 샤프트에 고정된 고정브라켓에서 작동기구 배열 전방에 형성된 자유공간으로 돌출하는 조정나사를 가지므로 튜너는 키이 베드 상에서 작동기구를 이동하지 않고 최적 이탈 타이밍으로 조절바아를 적절한 각도 위치에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Claims (23)

  1. 건반악기의 일부를 형성하는 작동기구(20)에 내장되고 잭(20g)에 연관되어 있는 조절기구(27; 82; 86)로서,
    상기 잭(20g)이 조절부재(27c)와 접촉할 때 상기 잭(20g)이 상기 건반악기의 타격부재(25)로부터 이탈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잭(20g)에 제공된 조절부재(27c; 87), 및
    상기 조절부재(27c; 87)와 상기 잭(20g) 사이의 갭을 가변하기 위한 갭 레귤레이터를 구비하는 조절기구에 있어서,
    상기 갭 레귤레이터는,
    상기 건반의 고정부재(26)에 연결된 지지부재(28a; 89),
    상기 조절부재(27c; 87)에 연결되고, 상기 지지부재(28a; 89)에 이동가능하게 지지된 리테이너(28d/28e; 88), 및
    상기 리테이너(28d/28e; 88)와 상기 지지부재(28a; 89) 사이의 상대운동을 통해 상기 조절부재(27c; 87)와 상기 잭(20g)사이의 갭을 가변하기 위해 튜너에 의해 조작되고 상기 건반악기에 형성된 자유공간으로 돌출하는 조정기(27f)를 갖고, 상기 지지부재(28a; 89)와 상기 리테이너(28d/28e; 88) 사이의 상대위치를 가변하기 위해 상기 지지부재(28a; 89)와 상기 리테이너(28d/28e; 88) 사이에 연결된 조정기구(27e, 8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키이(15a)가 이동될 때 구동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작동기구(20)는 키이(15a)의 일단부 위에 구비되며, 상기 자유공간은 상기 키이(15a)의 타단부 위에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기구(27e)는 상기 지지부재(28a)에 고정된 다른 고정부재(29a)를 포함하며, 상기 튜너가 상기 조정기(27f)를 조작할 때 그 사이의 갭을 가변하기 위해 상기 조정기(27f)는 상기 다른 고정부재(29a)와 상기 리테이너(28d/28e) 사이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기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28d/28e)는 상기 지지부재(28a)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조정기구는 상기 리테이너(28d/28e)의 회전축에서 오프세트(offset)되는 회전축을 갖도록 상기 리테이너(28d/28e)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회전가능한 부재(29b)를 더 포함하며, 상기 조정기(27f)는 그 일단부가 상기 다른 고정부재(29a)에 타단부가 상기 회전가능한 부재(29b)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기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기는 조정나사(27f)이며, 상기 조정나사(27f)는 상기 다른 고정부재(29a)에 형성된 나사산 구멍(29m)에 연결되는 나사산 스템부(29n)와 상기 회전가능한 부재(29b)에 고정된 헤드부(29p)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기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산 스템부(29n)는 상기 다른 고정부재(29a)를 통해 키이(15a)의 전방부 위에 발생하는 상기 자유공간으로 돌출하며, 상기 키이(15a)는 후방부 위에 제공된 상기 작동기구(20)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기구.
  7. 다수의 키이(15a), 상기 다수의 키이(15a)에 각각 연결되고 측방으로 배열된 다수의 작동기구(20) 및 잭(20g)의 제1 부분(20n)이 주요 조절부재(27b)와 접촉할 때 다수의 진동부재(30)를 타격하기 위해 상기 다수의 작동기구(20)의 부분을 형성하는 잭(20g)의 제1 이탈을 통해 상기 다수의 작동기구(20)에 의해 각각 구동되는 다수의 타격부재(25)를 갖는 건반악기에 내장된 사일런트 시스템으로서,
    상기 다수의 타격부재(25)가 상기 다수의 진동부재(30)를 타격하도록 하는 상기 다수의 타격부재(25)의 궤적에서 이탈 제공된 자유위치와 상기 다수의 진동부재(30)를 타격하기 이전에 상기 다수의 타격부재(25)가 그위에 되튕기도록 하는 상기 궤적에 제공된 차단위치 사이를 변화하고, 상기 다수의 타격부재(25)에 제공된 스톱퍼(71),
    상기 제2 부분(20p)이 접촉할 때 상기 제1 이탈 보다 신속하게 제2 이탈을 발생하며, 상기 잭(20g)의 제2 부분(20p)의 궤적에 제공되고 상기 차단위치에 연관된 활성위치와 상기 제2 부분(20p)의 상기 궤적에서 이탈 제공되고 상기 자유위치에 연관된 불활성위치 사이를 변화하는 제2 조절부재(27c), 및
    상기 제2 조절부재(27c)와 상기 제2 부분(20p) 사이의 갭을 가변하기 위한 갭 레귤레이터를 구비하는 사일런트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갭 레귤레이터는,
    상기 건반악기의 고정부재(26)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조절부재(27c)에 인접 제공되는 지지부재(28a),
    상기 제2 조절부재(27c)에 연결되고, 상기 지지부재(28a)에 의해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는 리테이닝부재(28d/28e), 및
    상기 지지부재(28a)와 상기 리테이닝부재(28d/28e) 사이의 상대 위치를 가변하기 위해 상기 지지부재(28a)와 상기 리테이닝부재(28d/28e)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건반악기에 형성된 자유공간으로 돌출하는 조절기(27f)를 갖고 상기 상대위치 변화를 통해 상기 제2 부분(20p)과 상기 제2 조절부재(27c) 사이의 거리를 가변하기 위해 튜너에 의해 조작되는 조정기구(27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일런트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기(27f)는 상기 다수의 키이(15a)의 전방부 상에 생성된 상기 자유공간으로 유입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측방에 수직한 전후방향으로 돌출하며, 상기 다수의 작동기구(20)는 상기 다수의 키이(15a)의 후방부 상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일런트 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기구(27e)는 상기 지지부재(28a)에 고정된 다른 고정부재(29a)를 포함하며, 상기 튜너가 상기 조정기(27f)를 조작할 때 이들 사이의 갭을 가변하기 위해 상기 조정기(27f)는 상기 다른 고정부재(29a)와 상기 리테이닝부재(28d/28e) 사이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일런트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닝부재(28d/28e)는 상기 지지부재(29a)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조정기구(27e)는 상기 리테이닝부재(28d/28e)의 회전축에 오프세트되는 회전축을 갖도록 상기 리테이닝부재(28d/28e)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회전가능한 부재(29b)를 더 포함하며, 상기 조정기(27f)는 그 일단부가 상기 다른 고정부재(29a)에 타단부가 상기 회전가능한 부재(29b)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일런트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기는 조정나사(27f)이며, 상기 조정나사(27f)는 상기 다른 고정부재(29a)에 형성된 나사산 구멍(29m)에 연결되는 나사산 스템부(29n)와 상기 회전가능한 부재(29b)에 고정된 헤드부(29p)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일런트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산 스템부(29n)는 상기 다른 고정부재(29a)를 통해 상기 다수의 키이(15a)의 전방부 위에 형성된 상기 자유공간으로 돌출하며, 상기 다수의 키이(15a)는 그 후방부 위에 제공된 상기 다수의 작동기구(20)에 각각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일런트 시스템.
  13. 전후방향과 상기 전후방향에 수직한 측방을 갖는 건반악기로서,
    건반(15) 전방에 위치한 연주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이동되는 다수의 키이(15a)를 갖는 건반(15);
    잭(20g)과 상기 잭(20g)의 제1 부분(20n)이 상기 주요 조절부재(27b)와 접촉할 때 상기 잭(20g)의 제1 이탈을 유발하기 위한 주요 조절부재(27b)를 갖고, 상기 연주자에 의해 이동된 키이에 의해 선택적으로 구동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다수의 키이(15a)에 연결되고, 상기 건반(15) 전방부 위에 자유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건반(15) 후방부 위에 제공된 다수의 작동기구(20),
    상기 제1 이탈 또는 제2 이탈이 발생될 때 상기 다수의 작동기구(20)에 의해 각각 회전 구동되는 다수의 타격부재(25),
    상기 회전의 말기에서 상기 다수의 타격부재(25)로 각각 타격되는 다수의 진동부재(30),
    상기 제2 부분(20p)이 접촉될 때 상기 제2 이탈을 유발하고, 상기 잭(20g)의 제2 부분(20p)에 대향되는 제2 조절부재(27c), 및
    상기 제2 조절부재(27c)와 상기 제2 부분(20p) 사이의 갭을 가변하기 위한 갭 레귤레이터를 구비하는 건반악기에 있어서,
    상기 갭 레귤레이터는,
    고정부재(26)에 연결된 지지부재(28a),
    상기 제2 조절부재(27c)에 연결되고, 이와의 상대위치를 가변하기 위해 상기 지지부재(28a)에 의해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는 리테이닝부재(28d/28e), 및
    상기 자유공간으로 돌출하는 조정기(27f)를 갖고 상기 상대위치를 가변하기 위해 상기 제2 조절부재(27c)와 상기 지지부재(28a)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상대위치를 가변함으로써 상기 제2 부분(20p)과 상기 제2 조절부재(27c) 사이의 거리를 가변하기 위해 조작되는 조정기구(27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악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기구(27e)는 상기 지지부재(28a)에 고정된 다른 고정부재(29a)를 포함하며, 상기 튜너가 상기 조정기(27f)를 조작할 때 이들 사이의 갭을 가변하기 위해 상기 조정기(27f)는 상기 다른 고정부재(29a)와 상기 리테이닝부재(28d/28e) 사이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악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닝부재(28d/28e)는 상기 지지부재(28a)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조정기구(27e)는 상기 리테이닝부재(28d/28e)의 회전축에 오프세트되는 회전축을 갖도록 상기 리테이닝부재(28d/28e)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회전가능한 부재(29b)를 더 포함하며, 상기 조정기(27f)는 일단부가 상기 다른 고정부재(29a)에 타단부가 상기 회전가능한 부재(29b)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악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기는 조정나사(27f)이며, 상기 조정나사(27f)는 상기 다른 고정부재(29a)에 형성된 나사산 구멍(29m)에 연결되는 나사산 스템부(29n)와 상기 회전가능한 부재(29b)에 고정된 헤드부(29p)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악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산 스템부(29n)는 상기 다른 고정부재(29a)를 통해 상기 자유공간으로 돌출하도록 상기 다른 고정부재(29a)에서 돌출하는 상기 나사산 스템부(29n)의 부분(29q)에서 튜너가 상기 조정나사(27f)를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악기.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건반(15), 상기 다수의 작동기구(20), 상기 다수의 타격부재(25) 및 상기 다수의 진동부재(30)는 건반, 다수의 작동기구, 다수의 해머 및 그랜드 피아노에 내장된 다수의 현 세트와 동일하게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악기.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타격부재(25)가 상기 다수의 진동부재(30)를 타격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다수의 타격부재(25)의 궤적에서 이탈 제공된 자유위치와 상기 다수의 진동부재(30)를 타격하기 이전에 상기 다수의 타격부재(25)가 그위에 되튕기도록 하기 위해 상기 궤적에 제공된 차단위치 사이를 변화하는 스톱퍼(71)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조절부재(27c)는 상기 자유위치와 연관하여 상기 제2 부분(20p)의 궤적에서 이탈 제공되는 불활성위치와 상기 차단위치와 연관하여 상기 제2 부분(20p)의 상기 궤적에 제공되는 활성위치 사이를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악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기구(27e)는 상기 지지부재(28a)에 고정된 다른 고정부재(29a)를 포함하며, 상기 튜너가 상기 조정기(27f)를 조정할 때 이들 사이의 갭을 가변하기 위해 상기 조정기(27f)는 상기 다른 고정부재(29a)와 상기 리테이닝부재(28d/28e) 사이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악기.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레테이닝부재(28d/28e)는 상기 지지부재(28a)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조정기구(27e)는 상기 리테이닝부재(28d/28e)의 회전축에 오프세트되는회전축을 갖도록 상기 리테이닝부재(28d/28e)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회전가능한 부재(29b)를 더 포함하며, 상기 조정기(27f)는 일단부가 상기 다른 고정부재(29a)에 타단부가 상기 회전가능한 부재(29b)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악기.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기는 조절나사(27f)이며, 상기 조절나사(27f)는 상기 다른 고정부재(29a)에 형성된 나사산 구멍(29m)에 연결되는 나사산 스템부(29n)와 상기 회전가능한 부재(29b)에 고정된 헤드부(29p)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악기.
  23.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건반(15), 상기 다수의 작동기구(20), 상기 다수의 타격부재(25) 및 상기 다수의 진동부재(30)는 건반, 다수의 작동기구, 다수의 해머 및 그랜드 피아노에 내장된 다수의 현 세트와 동일하게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악기.
KR10-2001-0027495A 2000-05-19 2001-05-19 이탈 타이밍을 용이하게 조절하기 위한 조절버튼기구,이를 포함하는 사일런트 시스템 및 이를 장착하는 건반악기 KR1003998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148717 2000-05-19
JP2000148717A JP3671814B2 (ja) 2000-05-19 2000-05-19 鍵盤楽器のジャック脱進調整装置、鍵盤楽器の消音装置および鍵盤楽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5301A KR20010105301A (ko) 2001-11-28
KR100399850B1 true KR100399850B1 (ko) 2003-09-29

Family

ID=186546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7495A KR100399850B1 (ko) 2000-05-19 2001-05-19 이탈 타이밍을 용이하게 조절하기 위한 조절버튼기구,이를 포함하는 사일런트 시스템 및 이를 장착하는 건반악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423889B2 (ko)
EP (1) EP1156472A3 (ko)
JP (1) JP3671814B2 (ko)
KR (1) KR100399850B1 (ko)
CN (1) CN1214359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23328B2 (ja) * 2001-03-01 2012-04-25 ヤマハ株式会社 鍵盤楽器の脱進調整装置および鍵盤楽器の音量制御装置
CN100463047C (zh) * 2003-05-12 2009-02-18 上海工程技术大学 蜗杆蜗轮式钢琴调音器
JP5070844B2 (ja) * 2007-01-11 2012-11-14 ヤマハ株式会社 鍵盤式打楽器
JP5034663B2 (ja) * 2007-05-08 2012-09-26 ヤマハ株式会社 電子楽器
WO2009108437A1 (en) 2008-02-27 2009-09-03 Steinway Musical Instruments, Inc. Pianos playable in acoustic and silent modes
US8541673B2 (en) 2009-04-24 2013-09-24 Steinway Musical Instruments, Inc. Hammer stoppers for pianos having acoustic and silent modes
US8148620B2 (en) * 2009-04-24 2012-04-03 Steinway Musical Instruments, Inc. Hammer stoppers and use thereof in pianos playable in acoustic and silent modes
US20110214944A1 (en) * 2010-03-08 2011-09-08 Levi Avraham Y Ladder Clamping Structure for Ladder Racks
EP2618327B1 (en) * 2012-01-18 2016-03-30 Yamaha Corporation Damper drive device for musical instrument, and musical instrument
JP6786925B2 (ja) * 2015-07-23 2020-11-18 ヤマハ株式会社 サポートアセンブリ及び鍵盤装置
US9659549B2 (en) * 2015-07-23 2017-05-23 Yamaha Corporation Support assembly and keyboard apparatus
WO2018129729A1 (en) * 2017-01-16 2018-07-19 Sunland Information Technology Co., Ltd. Piano system and method thereof
WO2018090798A1 (en) 2016-11-17 2018-05-24 Sunland Information Technology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recording user performance of keyboard instrument
JP6822240B2 (ja) 2017-03-16 2021-01-27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鍵盤装置および鍵盤楽器
JP6857327B2 (ja) * 2017-03-17 2021-04-14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鍵盤装置および鍵盤楽器
WO2023010216A1 (en) * 2021-08-05 2023-02-09 Le Jardin Des Pianos, Location De Pianos Inc. Hammer return spring rail for an upright piano, modular hammer return spring rail for an upright piano, repetition spring assembly for an upright piano, and pedal assembly for an upright piano
DE102022112615A1 (de) * 2022-05-19 2023-11-23 Wilhelm Schimmel, Pianofortefabrik,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Stummschaltung eines Tasteninstrumentes mit mechanischen Mitteln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10150A (ja) * 1993-11-30 1995-08-11 Yamaha Corp 鍵盤楽器
US5874687A (en) * 1993-11-30 1999-02-23 Yamaha Corporation Keyboard instrument having hammer stopper outwardly extending from hammer shank and method of remodeling piano into the keyboard instrument
JP3463365B2 (ja) * 1993-11-30 2003-11-05 ヤマハ株式会社 鍵盤楽器
JP3341438B2 (ja) * 1994-01-27 2002-11-05 ヤマハ株式会社 鍵盤楽器
JP3430638B2 (ja) * 1994-03-31 2003-07-28 ヤマハ株式会社 鍵盤楽器
US5511454A (en) * 1994-11-17 1996-04-30 Steinway Musical Properties, Inc. Piano escapement action
US5911167A (en) * 1994-11-17 1999-06-08 Steinway, Inc. Piano escapement action
US5844154A (en) * 1996-09-17 1998-12-01 Baldwin Piano & Organ Company Combination acoustic and electronic piano in which the acoustic action is disabled when played in the electronic mod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14359C (zh) 2005-08-10
JP2001331172A (ja) 2001-11-30
US6423889B2 (en) 2002-07-23
EP1156472A3 (en) 2014-07-30
US20010042432A1 (en) 2001-11-22
CN1331466A (zh) 2002-01-16
EP1156472A2 (en) 2001-11-21
JP3671814B2 (ja) 2005-07-13
KR20010105301A (ko) 2001-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99850B1 (ko) 이탈 타이밍을 용이하게 조절하기 위한 조절버튼기구,이를 포함하는 사일런트 시스템 및 이를 장착하는 건반악기
US6683242B2 (en) Composite keyboard musical instrument, silent system for performance without acoustic tones and regulating button mechanism for changing escape timing depending upon mode of operation
JP3430638B2 (ja) 鍵盤楽器
JP3341438B2 (ja) 鍵盤楽器
JP3463365B2 (ja) 鍵盤楽器
JPH07152366A (ja) 平形鍵盤楽器
KR0185258B1 (ko) 어코스틱 사운드 모드와 사일런트 모드 사이에서 이탈속도가 가변적인 잭을 가지는 건반악기
KR100611605B1 (ko) 업라이트형 건반악기
KR100412026B1 (ko) 해머 스톱퍼를 변환하기 위해 부분적으로 수리가능한전환기구가 장착된 건반악기
US20010037718A1 (en) Pedal mechanisms assembled into unit and keyboard musical instrument equipped with the same
JP2570704Y2 (ja) 鍵盤楽器
JP3743363B2 (ja) 鍵盤楽器の消音装置
JP3861906B2 (ja) 鍵盤楽器の消音装置
JP3823999B2 (ja) 鍵盤楽器の消音装置および鍵盤楽器
JP3693047B2 (ja) 鍵盤楽器の消音装置
JP4576707B2 (ja) 鍵盤楽器の消音装置および鍵盤楽器の弱音装置
JP2988134B2 (ja) 鍵盤楽器
JPH0612057A (ja) 鍵盤楽器
JP3598571B2 (ja) 鍵盤楽器
JPH06118943A (ja) 鍵盤楽器
JP2001100734A (ja) 鍵盤楽器及び鍵盤楽器の調整方法
JP3456733B2 (ja) ピアノ
JP3856007B2 (ja) 鍵盤楽器のジャック脱進調整装置、鍵盤楽器の消音装置および鍵盤楽器
JP3867438B2 (ja) 鍵盤楽器、鍵盤楽器の脱進タイミング調整装置および鍵盤楽器の消音装置
JP3641625B2 (ja) ピアノ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9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