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2026B1 - 해머 스톱퍼를 변환하기 위해 부분적으로 수리가능한전환기구가 장착된 건반악기 - Google Patents

해머 스톱퍼를 변환하기 위해 부분적으로 수리가능한전환기구가 장착된 건반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2026B1
KR100412026B1 KR10-2000-0024187A KR20000024187A KR100412026B1 KR 100412026 B1 KR100412026 B1 KR 100412026B1 KR 20000024187 A KR20000024187 A KR 20000024187A KR 100412026 B1 KR100412026 B1 KR 1004120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members
pusher
keyboard
ped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41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77171A (ko
Inventor
이토우가츠오
다마키다카시
Original Assignee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000771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71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20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20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CPIANOS, HARPSICHORDS, SPINETS OR SIMILA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TH ONE OR MORE KEYBOARDS
    • G10C9/00Methods, tools or 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maintenance of musical instruments covered by this subclas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2Constructional details
    • G10H1/34Switch arrangements, e.g. keyboards or mechanical switch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44Structural association with individual key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어쿠스틱 피아노(1)에는 해머조립체(40)의 궤도로 이동 및 이탈하는 생크 스톱퍼(200)와, 이 생크 스톱퍼(200)를 이동하기 위한 전환기구(350)가 장착되고, 전환기구(35)는 페달(42)과, 페달에 접속된 변환부재(350b/300)와, 그리고 페달에 작용하는 힘을 생크 스톱퍼(200)로 전달하는 변환부재와 접촉 유지되는 다른 변환부재(350a)를 구비하며, 변환부재를 독립적으로 분해 및 조정가능하도록 힘을 페달로부터 생크 스톱퍼로 전달하는 방향으로만 변환부재(350a/350b)는 한정된다.

Description

해머 스톱퍼를 변환하기 위해 부분적으로 수리가능한 전환기구가 장착된 건반악기{KEYBOARD MUSICAL INSTRUMENT EQUIPPED WITH PARTIALLY REPAIREABLE CHANGE-OVER MECHANISM FOR CHANGING HAMMER STOPPER}
본 발명은 건반악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소음장치를 내장한 건반악기에 관한 것이다.
건반악기는 어쿠스틱 피아노(acoustic piano)를 기초로 조립되며, 소음장치와 전자사운드발생장치가 장착되어 있다. 소음장치는 자유위치와 차단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해머 스톱퍼를 구비하고 있다. 피아니스트가 건반에 곡조를 연주하는 동안, 타현(打弦) 이전에 해머는 차단위치에서 해머 스톱퍼에 되튕기게 되고, 현이 진동하지 않는다. 전자사운드발생장치는 키이 동작을 검지하여, 어쿠스틱 곡조 대신 전자사운드를 발생한다. 소음장치가 자유위치로 변동할 때, 해머스톱퍼는 해머의 궤적에서 이탈되고, 해머는 어쿠스틱 곡조를 발생하기 위해 연관된 음악 현을 선택적으로 타격하도록 되어 있다.
생크 스톱퍼(shank stopper)는 해머 스톱퍼의 일종으로서, 실제품에 널리 보급되어 있다. 생크 스톱퍼는 현과 해머 스톱퍼 사이를 측방향으로 연장하고, 따라서 해머 사이를 공유한다. 연관된 현을 향해 해머가 회전하는 동안, 해머 생크는 생크 스톱퍼와 접촉하고, 되튕기게 된다. 생크 스톱퍼는, 일례로서, 와이어를 통해 그립 또는 페달에 연결되어 있다. 자유위치와 차단위치 사이에 와이어의 왕복운동을 생크 스톱퍼의 회전으로 변환하기 위해 적절한 전환부재가 와이어와 생크 스톱퍼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종래 소음장치에 있어서 작업자가 어쿠스틱 피아노 내부 설치작업과 수선작업시 번거롭움을 느끼는 문제가 있었다. 이는 종래 해머 스톱퍼에 복수 개의 독립 부품을 조립하기 때문이다. 작업자가 생크 스톱퍼, 전환부재, 와이어 및 페달/그립과 같은 복수 개의 독립 부품을 어쿠스틱 피아노 내부의 종래 해머 스톱퍼에 조립하는 경우, 작업자는 독립 부품을 소정의 순서로 서로 연결하고, 부품 사이의 간격과 갭에 관한 조정이 필요하다. 작업자가 부품중의 하나를 새로운 부품으로 교환하는 경우에도, 작업자는 종래 해머 스톱퍼를 분해하고, 새로운 부품을 교환한 다음 종래 해머 스톱퍼를 조립하고, 다시 부품 사이의 간격과 갭에 관한 조정이 필요하다. 이처럼, 설치 및 조정작업이 번거롭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 목적은 건반악기에, 설치가 용이하고 유지작업이 간단한 소음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힘을 전달하는 방향으로 제1 구동부재와 제2 구동부재 사이의 접촉을 저지할 것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피치 이름이 각각 할당되고 연주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눌려지는 복수 개의 키이와, 상기 복수 개의 키이에 각각 연관된 복수 개의 현과, 상기 연관된 현을 타격하기 위해 상기 복수 개의 키이를 눌러 구동되는 복수 개의 타현부재를 포함하는 어쿠스틱 건반과, 자유위치와 차단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스톱퍼로서, 상기 자유위치에서는 상기 스톱퍼와 아무런 간섭 없이 상기 복수 개의 타현부재가 상기 복수 개의 현을 타격하고 상기 차단위치에서는 상기 타현부재가 상기 복수 개의 현을 타격하기 전에 상기 스톱퍼상에서 재반동되도록 하는 스톱퍼와 상기 자유위치와 상기 차단위치 사이에서 상기 스톱퍼를 변환시키기 위해 상기 스톱퍼에 접속되는 전환기구를 포함하는 소음장치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환기구는, 상기 자유위치와 상기 차단위치 사이에서 상기 스톱퍼를 변환시키기 위해 상기 스톱퍼에 접속된 제1 변환부재와, 상기 제1 변환부재에 접촉 유지되는 제2 변환부재를 구비하는 건반악기에 있어서, 상기 제1 변환부재 및 상기 제2 변환부재는, 상기 스톱퍼를 상기 자유위치로부터 상기 차단위치로 변환되도록 힘이 제2부재로부터 제1부재로 전달되는 제2방향과는 다른 제1방향으로 아무런 제약이 없는 상태에서, 서로에 대해 접촉 유지되는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를 각각 구비하며, 상기 전환기구는 상기 제1 및 제2 부재중 어느 하나가 소정 범위에 유지되는 동안 상기 제1 및 제2 부재가 서로에 대해 접촉 유지되도록 상기 제1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상기 제1 및 제2부재 중 다른 하나를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더 구비하며, 상기 탄성부재와 상기 제1 및 제2부재 중의 하나는, 상기 탄성부재가 상기 제1 및 제2 부재중 하나를 통해 상기 자유위치를 향해 상기 스톱퍼를 가압하도록 배열되며, 상기 제1 및 제2부재중 하나와 상기 스톱퍼는, 타현부재가 상기 차단위치에서 상기 스톱퍼에 충격을 줄때에 상기 스톱퍼가 상기 자유위치를 향하는 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1 및 제2 부재중 하나를 가압하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악기가 제공된다.
건반악기의 특징 및 장점은 첨부 도면과 함께 하기 설명으로부터 더 명백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반악기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2는 건반악기의 소음장치에 내장된 생크 스톱퍼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a 및 도3b는 소음장치에 내장된 구동기구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자유위치와 차단위치에 있어서 생크 스톱퍼를 각각 도시하는 평면도,
도 5는 자유위치에 있어서 구동기구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6은 구동기구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7은 차단위치에 있어서 구동기구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8은 소음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9는 소음모드에 있어서 건반악기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건반악기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건반 2 : 소음장치
10 : 키이 40 : 해머조립체
200 : 스톱퍼 202: 제1 부재
300 : 제2 부재 350a : 제1 변환부재
350b : 제2 변환부재 S : 현
제1 실시예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을 구현하는 건반악기는 대체로 어쿠스틱 피아노(1), 소음장치(2) 및 전자사운드발생장치(3)로 구성되어 있다. 직립형 피아노는 본 실례에서 어쿠스틱 피아노(1)를 사용하였지만, 건반악기로 그랜드 피아노를 사용할 수 있다. 이후 설명에서, "전면" 이라 함은 "후면" 위치 보다 어쿠스틱 피아노로 악조(passage)를 연주하는 피아니스트에 가까운 위치를 말한다. 전면위치와 대응하는 후면위치 사이의 방향은 "전후방향" 으로 언급되고, 측방향은 전후방향에 수직한 방향이다.
어쿠스틱 피아노(1)는 건반(4)과, 이 건반(4)에 연관된 작동기구(5)를 포함하고 있다. 검은 키이(10) 및 흰 키이(10)로 건반(4)을 구성하고, 이는 공지 형태로 놓여져 있다. 건반(4)은 키이 베드(11) 상에 장착되어, 피아노 케이스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다. 캡스턴 스크루(capstan screw, 12)는 흑/백 키이(10)의 후단부에서 돌출되어 있다. 작동기구(5)는 각각 흑/백 키이(10)에 연결되고, 연관된 흑/백 키이(10)로 구동되고 있다.
센터레일(center rail, 16)은 흑/백 키이(10)의 후단부를 측방향으로 연장하고, 키이 벤드(11) 상에 작동 브라켓(도시생략)에 의해 지지되고 있다. 작동기구(5)는 센터 레일(16)에 일정 간격으로 연결되어 있다. 작동기구(5)의 구조는 서로 유사하고, 작동기구(5)의 구조는 이하에서 상술한다.
작동기구(5)는 휩펜 플렌지(whippen flange, 22), 휩펜(23) 및 휩펜 힐(whippen heel, 24)을 포함하고 있다. 휩펜 플렌지(22)는 센터레일(16)에 볼트 체결되고, 휩펜(23)은 센터 핀(22a)에 의해 휩펜 플렌지의 하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센터 핀(22a)은 그 전단면 보다 휩펜의 후단면에 근접하고 있고, 휩펜 힐(24)은 휩펜(23)의 하부면에 부착되어 있고, 센터 핀(22a) 보다 휩펜의 후단면에서 더 멀리 위치하고 있다. 캡스턴 스크루(12)는 도시한 바와 같이 휩펜 힐(24)과 접촉 유지하고 있다. 피아니스트가 연관된 흑/백 키이(10)의 전단부를 가압할 때, 캡스턴 나사(12)는 휩펜 힐(24)을 상방으로 밀고, 휩펜 플렌지(22) 둘레에 반시계방향으로 휩펜(23)을 회전시킨다.
작동기구(5)는 잭 플렌지(25), 잭(26) 및 잭 스트링(27)을 더 포함하고 있다. 잭 플렌지(25)는 휩펜(23)에서 직립이고, 센터 핀(22a) 보다 후단면에서 더 멀리 위치하고 있다. 잭은 잭 플렌지(25)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잭 스프링(27)은 항상 반시계방향으로 잭(26)을 가압하고 있다. 잭(26)은 L자 형상으로, 장부(long portion, 26a) 및 단부(short portion, 26b)는 각각 "레그(leg)" 및 "토우(tow)" 로 언급한다.
작동기구(5)는 포크 스크루(31), 레귤레이팅 레일(32), 레귤레이팅 스크루(33) 및 레귤레이팅 버튼(34)을 더 포함하고 있다. 포크 스크루(31)는 센터 레일(16)에서 돌출하고, 레귤레이팅 레일(32)이 포크 스크루(31)의 전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이처럼, 레귤레이팅 레일(32)은 잭(26)의 토우(26b)를 측방향 연장하고 있다. 레귤레이팅 버튼(34)은 레귤레이팅 스크루(33)를 통해 레귤레이팅 버튼(34)에 연결되고, 토우(26b)는 레귤레이팅 버튼(34)의 하부면에 대향 위치하고 있다. 토우(26b) 및 레귤레이팅 버튼(34) 사이의 갭은 레귤레이팅 스크루(33)를 죔으로서 조절가능하다.
연주자가 흑/백 키이(10)를 가압하는 동안, 휩펜(23)은 반시계방향으로 휩펜 플렌지(22) 둘레를 회전하고, 잭 플렌지(25) 둘레를 상대 회전 없이 잭(26)도 휩펜 플렌지(22) 둘레를 회전한다. 토우(26b)는 레귤레이팅 버튼(34)에 가깝게 접근하여, 레귤레이팅 버튼(34)과 접촉한다. 그리고, 잭(26)은 잭 스트링(27)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시계방향으로 잭 플렌지(25) 둘레를 회전하고, 빠져 나간다.
해머 레일(36)은 레귤레이팅 레일(32) 상을 측방향으로 연장하고, 해머 레일크로스(hammer rail cloth, 37)는 레귤레이팅 레일(32)의 후면에 부착되어 있다. 작동기구(5)는 백 체크(back check, 38), 브라이들 와이어(bridle wire, 39a) 및 브라이들 테이프(bridle tape, 39b)를 더 포함하고 있다. 백 체크(38)는 휩펜(23)의 전단부 상에 유지되고, 브라이들 와이어(39a)는 휩펜(23)의 전단부로부터 상방 연장하고 있다. 백 체크(38) 및 브라이들 테이프(39b)는 이하 설명한다.
어쿠스틱 피아노(1)는 해머조립체(40) 및 댐퍼기구(50)와 현(S) 세트를 더 포함하고 있다. 해머조립체(40)는 작동기구(5)에 각각 연결되어 있고, 이탈시 연관된 작동기구(5)의 잭(26)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 댐퍼기구(50)는 또한 작동기구(5)에 연결되어 있고, 연관된 현(S) 세트의 진동을 흡수한다. 연관된 흑/백 키이(10)가 정지위치를 유지할 때, 댐퍼기구(50)는 연관된 현(S) 세트가 진동하지 못하게 하고, 적절치 못한 어쿠스틱 톤이 현(S)의 세트로부터 발생하지 못하게 한다. 댐퍼기구(50)는 특정 키이 위치에서 연관된 현(S) 세트가 단부 위치를 향하도록 한다. 연관된 흑/백 키이(10)가 특정 키이 위치를 통과할 때, 잭 플렌지(25) 둘레에 상대 회전 없이 잭(26)은 휩펜 플렌지(22) 둘레를 회전하고, 해머조립체(40)로부터 이탈하지 않는다. 즉, 댐퍼기구(50)는 현(S)의 세트가 진동하도록 한 다음 잭(26)이 연관된 해머조립체(40)로부터 이탈한다. 이 때문에, 해머조립체(40)가 현(S) 세트를 타격할 때, 어쿠스틱 톤을 발생하기 위해 현(S)은 진동한다. 피아니스트가 눌러진 흑/백 키이(10)를 해제하면, 휩 펜(23)은 시계방향으로 휩펜 플렌지(22) 둘레를 회전하고, 댐퍼기구(50)는 연관된 현(S) 세트가 진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해머조립체(40)의 구조는 서로 유사하고, 이 구조는 이하 상세히 기술한다. 해머조립체(40)는 해머 버트(hammer butt, 41), 버트 플렌지(42), 해머 생크(43) 및 해머 헤드(44)를 포함하고 잇다. 버트 플렌지(42)는 센터 레일(16)의 전면에 고정되고, 해머 버트(41)는 센터 핀(42a)에 의해 버트 플렌지(42)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해머 생크(43)는 해머 버트(41)로부터 상방으로 연장하고, 해머 헤드(44)는 해머 생크(43)의 전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해머 헤드(44)는 연관된 현(S) 세트를 향하고 있다.
해머조립체(40)는 캐처 생크(catcher shank, 45), 캐처(46) 및 버트 스프링(47)을 더 포함하고 있다. 캐처 생크(45)는 해머 버트(41)로부터 해머 생크(43)에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하지만, 캐처(46)는 캐처 생크(46)의 선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버트 스프링(47)은 버트 플렌지(42)와 해머 버트(41) 사이에 삽입되고, 해머조립체(4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 때문에, 연관된 흑/백 키이(10)가 정지위치에 있는 동안, 해머 생크(43)는 버트 스프링(47)의 탄성력에 의해 해머 레일 크로스(37)와 접촉 유지하고 있다. 캐처(45)는 브라이들 테이프(39b)를 통해 브라이들 와이어(39a)에 연결되어 있고, 해머조립체(40)는 브라이들 테이프(39b) 및 브라이들 와이어(39a)에 의해 휩펜과 연결되어 있다. 해머조립체(40)가 현(S) 세트에서 재반동될 때, 해머조립체(40)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기 시작한다. 캐처(46)는 백 체크(38)에 접촉된다. 그러나, 해머조립체(40)는 현(S) 세트를 다시 타격하지 않는데, 이는 브라이들 테이프(39b)가 재반동의 한계를 설정하기 때문이다.
버트 언더 펠트(butt under felt, 41a)는 해머 버트(41)의 하부면에 부착되고, 버트 스킨(41b)은 버트 언더 펠트(41a) 상에 적층되어 있다. 레그(26a)의 선단부는 해머 버트(41)로부터 이탈할 때까지 버트 스킨(41b)에 접촉 유지되고 있다. 피아니스트가 연관된 흑/백 키이(10)를 누르면, 잭(26)은 반시계방향으로 휩펜 플렌지(22) 둘레를 회전하고, 버트 스킨(41b)를 밀게 된다. 그 결과, 잭(26)은 이탈할 때까지 버트 플렌지(42) 둘레를 반시계방향으로 해머조립체(40)의 회전을 유발한다. 잭(26)이 해머 버트(41)에서 이탈할 때, 해머조립체(40)는 연관된 현(S) 세트를 향해 자유 회전한다.
댐퍼기구(50)의 구조는 서로 유사하다. 각각의 댐퍼기구(50)는 댐퍼 플렌지(51), 댐퍼 레버(52), 댐퍼 와이어(53), 댐퍼 헤드(54), 댐퍼 스프링(55) 및 댐퍼 스푼(56)을 포함하고 있다. 댐퍼 플렌지(51)는 센터 레일(16)에 고정되어 있고, 댐퍼 레버(52)는 그 중간위치에서 댐퍼 플렌지(51)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댐퍼 스크루(54a)는 댐퍼 우드(54b)를 댐퍼 와이어(53)에 고정시키고, 댐퍼 펠트(54c)는 댐퍼 우드(54b)의 후면에 부착되어 있다. 댐퍼 스프링(55)은 댐퍼 레버(52)를 항상 반시계방향으로 유지시킨다. 댐퍼 스푼(56)은 휩펜(23)의 후단부로부터 상방 연장하고, 댐퍼레버(52)에 접촉 유지하고 있다. 연관된 흑/백 키이(10)가 정지위치를 유지하는 동안, 휩펜(23)은 실질적으로 수평방향이고, 댐퍼 스푼(56)은 댐퍼 스프링(55)이 연관된 현(S) 세트와 접촉하는 댐퍼 펠트(54c)를 유지되도록 한다. 피아니스트가 흑/백 키이(10)를 누르면, 휩펜(23)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댐퍼 스푼(56)은 후방으로 경사진다. 댐퍼 스푼(56)은 댐퍼레버(52)를 밀고, 댐퍼 플렌지(51) 둘레에 시계방향으로 회전을 유발한다. 그 결과, 댐퍼 펠트(54c)는 연관된 현(S) 세트로부터 이격된다. 피아니스트가 누르고 있는 흑/백 키이(10)를 해제할 때, 휩펜(23)은 수평방향 위치로 복귀하고, 댐퍼 스프링(55)은 댐퍼 펠트(54c)가 연관된 현(S)에 접촉하게 한다. 댐퍼 펠트(54c)가 연관된 현(S) 세트로부터 이격되는 동안, 해머 조립체(40)는 현(S) 세트를 타격하고, 현(S) 세트는 진동을 통해 어쿠스틱 톤을 발생시킨다. 그러나, 댐퍼 펠트(54c)가 현(S) 세트와 접촉할 때, 댐퍼 펠트(54c)는 진동을 흡수하고, 어쿠스틱 톤은 감쇄한다.
소음장치(2)는 생크 스톱퍼(200)과 전환수단(350)을 구비하고 있다. 생크 스톱퍼(200)는 해머 생크(43)와 현(S) 세트 사이에 제공되며, 피아니스트는 전환기구(350)에 의해 자유위치와 차단위치 사이의 소음장치(200)를 이동시킨다. 피아니스트가 소음장치(2)를 차단위치로 변동할 때, 생크 스톱퍼(200)는 전방으로 이동되고, 해머 생크(43) 궤도에 위치한다. 피아니스트가 소음장치(2)를 자유위치로 이동할 때, 생크 스톱퍼(200)는 후방으로 이동되고, 해머 생크(43)의 궤도를 벗어나게 된다. 이와 같이, 생크 스톱퍼(200)는 전후방향으로 양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생크 스톱퍼(200)는 도 2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생크 스톱퍼(200)는 레일 베이스(66), 스톱퍼 레일 세그먼트(67a/67b/67c) 및 완충부(68)로 구성되어 있다. 해머조립체(40)의 배열인 동안, 레일 베이스(66)는 단부(66b) 및 장부(66c) 사이에 슬루프(sloop, 66a)를 가지고 있다. 장부(66c)는 부분적으로 상승되고, 슬루프(66a)를 통해 단부(66b)에 연결되어 있다. 스톱퍼 레일 세그먼트(67a/67b/67c)는 하부 피치부, 중간피치부 및 상부피치부로 각각 할당되어 있고, 완충부(68)는 스톱퍼 레일 세그먼트(67a/67b/67c)의 전면에 부착되어 있다.
스톱퍼 레일 세그먼트(67a)는 볼트(69)에 의해 단부(66b)에 고정되고, 다른 스톱퍼 레일 세그먼트(67b/67c)는 볼트(69)에 의해 장부(66c)에 볼트 체결되어 있다. 도 3a 및 도 3b에 잘 도시한 바와 같이, 스톱퍼 레일 세그먼트(67a/67b/67c)는 L자 형상으로서, 슬롯(70)은 스톱퍼 레일 세그먼트(67a/67b/67c)에 형성되어 있다. 슬롯(70)은 스톱퍼 레일 세그먼트(67a/67b/67c)의 후면에서 개방되고, 전후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볼트(68)는 슬롯(70)을 통과하고, 레일 베이스(66)에 형성된 나사구멍에 나사 결합되어 있다. 이것은 레일 베이스(66)에 대해 스톱퍼 레일 세그먼트(67a/67b/67c)가 독립적으로 조절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세히, 조작자가 볼트(69)를 느슨하게 하면, 스톱퍼 레일 세그먼트(67a/67b/67c)는 레일 베이스(66)을 이동하게 한다. 스톱퍼 레일 세그먼트(67a/67b/67c)가 각각 적절한 위치에 조정될 때, 조작자는 스톱퍼 레일 세그먼트(67a/67b/67c)에서 볼트(69)를 조정하고, 레일 베이스(66)에 대항하여 스톱퍼 레일 세그먼트(67a/67b/67c)를 볼트(69)가 가압한다. 이처럼, 각각의 스톱퍼 레일 세그먼트, 즉 완충부(68)는 다른 스톱퍼 레일 세그먼트와 독립적으로 피치부중 하나에 할당된 해머조립체(40)에 그리고 여기에 고정된 완충부(68)에 적절한 위치에서 조정된다. 각각의 완충부(68)는 이탈시 해머 생크(43)의 위치와 현(S) 세트에 대항하여 타격시 해머 생크(43)의 다른 위치 사이에 적절히 위치한다. 이 두 위치 사이의 거리는 짧고,이들 위치는 세개의 피치부로 각각 할당된 해머조립체(40)의 군 사이에 일정하지 않다. 완충부(68)를 적절한 두께로 조절되면, 불규칙성이 감소될 수 있다. 그러나, 생크 스톱퍼(200)는 두께가 상이한 세 종류의 완충부(68)가 필요하며, 이들 세 종류의 완충부(68)는 부품 수가 증가할 수록 증가한다. 스톱퍼 레일 세그먼트(67a/67b/67c)는 한 종류의 완충부(68)만이 필요하여, 소음장치의 부품수를 감소시킨다.
완충부(68)는 적층구조로서, 탄성층에는 보호층이 도포되어 있다. 탄성층은 발포우레탄 또는 펠트로 형성될 수 있고, 보호층은 인조가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장부(67b)의 좌측부는 상방으로 굴곡되고, 슬루프(66a)를 통해 단부(67a)에 연결되어 있다. 스톱퍼 레일 세그먼트(67b)는 나머지 부분에서 굴곡된 좌측부(67d)를 가지며, 따라서 완충부(68)는 슬루프(66a)를 향해 부분적으로 굴곡되어 있다.
현(S) 세트는 프레임(도시생략)상에 연신(stretch)되며, 두 개의 군으로 분할되어 있다. 제1 군에는 하부피치부가 할당되고, 제2 군에는 중간/상부피치부가 할당된다. 제1 군은 우측의 하단부를 향해 좌측의 상단부로부터 경사지게 연장하며, 제2 군은 좌측의 하단부를 향해 우측의 상단부로부터 연장하고 있다. 따라서, 하부피치부에 대한 현(S) 세트는 중간피치부에 대해 수 개의 현(S) 세트를 연장한다. 상측 피치부에 대한 현(S) 세트를 회피(dodge)하기 위해서, 해머 헤드(44) 및 수 개의 현(S)에 대한 댐퍼 헤드(54b)는 동일 부분에서 현(S)의 다른 세트에 대한 것 보다 높게 위치된다. 이것은 레일 베이스(66), 스톱퍼 레일 세그먼트(67b) 및완충부(68)가 상방으로 굴곡되기 때문이다. 수 개의 현(S) 세트에 대한 해머 생크(43)는 완충부(68)와 댐퍼기구(50) 사이의 바람직하지 못한 간섭 없이 스톱퍼 레일 세그먼트(67b)에 부착된 완충부(68)의 경사부에 튕겨진다.
전환기구(350)는 두 개의 변환부재(350a/350b), 접촉키퍼(201a), 리미터(350c) 및 머플러 페달(402)로 분해된다. 변환부재(350a)는 생크 스톱퍼(200)에 연결되고, 다른 변환부재(350b)는 머플러 페달(402)에 연결되어 있다. 변환부재(350a)는 접촉키퍼(201a)에 의해 다른 변환부재(350b)에 접촉 유지된다. 이 실례에 있어서, 접촉키퍼는 토션스프링(201a)에 의해 수행되고 있다. 피아니스트가 머플러 페달(402)을 밟을 때, 힘이 변환부재(350a/350b)를 통해 생크 스톱퍼(200)에 전달되며, 생크 스톱퍼(200)는 자유위치와 차단위치 사이를 이동한다. 리미터(350c)는 변환부재(350a)의 궤도상에 한계를 설정하므로, 차단위치와 자유위치 사이에 생크 스톱퍼(200)를 정확하게 위치하기 위해서 생크 스톱퍼(200)의 한계를 설정한다.
변환부재(350a), 접촉키퍼(201a) 및 리미터(350c)는 도 3a 및 도 3b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브라켓(62)은 작동브라켓(도시생략)에 고정되어 있다. 브라켓(62)은 키이 베드(11)에 수평한 베이스부(62a), 이 베이스부(62a)의 전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하는 전면벽부(62b), 베이스부(62a)의 측면에서 연장하는 측벽부(62c), 측벽부의 상단부로부터 측방향으로 돌출하는 가이드부(62d) 및 이 가이드부(62d)의 후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하는 스톱퍼부(62e)를 포함하고 있다. 레일 베이스(66)의 양 측부는 가이드부(62d)를 연장하고, 레일 베이스(66)는가이드부(82) 상에 또는 그 위를 이동한다. 스톱퍼부(62e)는 생크 스톱퍼(200)사이를 지나서 후방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한다. 이처럼, 스톱퍼부(62e)는 리미터(350c)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다.
변환부재(350a)는 베이스부(62a)에 직립한 핀(203/213), 핀(203)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아암부재(202), 또한 다른 핀(213)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아이들러(212) 및 이들 아암부재(202)/아이들러(212)에 각각 고정된 핀(201/211)를 포함하고 있다. 이 핀(201/211)은 레일 베이스(66)의 양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아암부재(202)는 일반적으로 L자 형상이고, 핀(203)은 아암부재(202)의 단부에 형성된 구멍에 수용되어 있다. 토션스프링(201a)은 핀(203) 둘레에 권취되어 있고, 아암부재(202)의 장부에 맞물려 있다. 토션스프링(201a)은 항상 시계방향으로 아암부재(202)를 고정하고, 그 장부의 선단부(202a)에서 아암부재(202)가 변환부재(300)에 접촉하도록 한다. 이처럼, 아암부재(202)는 변환부재에 구속되지 않고, 토션스프링(201a)의 탄성력에 의한 변환부재(350a)에만 접촉 유지된다.
핀(201)은 핀(203)과 이격되고, 소정의 거리로 핀(203)에서 이격되어 있다. 핀(203)과 접촉면(202c) 사이의 거리는 최대화된다. 접촉면(202c)은 측벽부(62c)에 접촉하게 되고, 반시계방향으로 생크 스톱퍼(200)의 회전 한계를 설정한다. 아이들러(212)는 타원 기둥으로 형성되어 있고, 핀(211)은 소정 거리로 핀(213)에서 이격되어 있다. 핀(201)과 핀(203) 사이의 상대 위치는 핀(211)과 핀(213) 사이의 상대 위치와 동일하다. 핀(211)과 핀(213) 사이의 상대 거리가 최대화된다. 접촉면(212c)은 측벽부(62c)와 접촉하게 되고, 접촉면(202c)과 함께 반시계방향으로 생크 스톱퍼(200)의 회전 한계를 설정한다. 이처럼, 접촉면(202c/212c) 및 측벽부(62c)는 생크 스톱퍼(200)의 회전 한계를 설정하며, 리미터(350c)의 일부를 형성한다. 핀(201/211)과 핀(203/213) 사이의 가상선, 핀(201)과 핀(211) 사이의 가상선 및 핀(203)과 핀(213) 사이의 가상선은 평행한 링크기구를 형성하고, 이는 핀(203/213) 둘레를 회전가능하다.
변환부재(350)가 아암부재(202)상에 어떠한 힘을 인가하지 않는 동안, 토션스프링(201a)은 시계방향으로 아암부재(202)를 유지하며, 아암부재(202) 및 아이들러(212)는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톱퍼부(62e)에 대해 레일 베이스(66)를 가압한다. 완충부(68)가 해머 생크(43)의 궤도로부터 이탈하며, 생크 스톱퍼(200)는 자유위치에 놓이게 된다.
변환부재(350)가 전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아암부재(202)에 힘이 작용할 때, 아암부재(202) 및 아이들러(212)는 토션스프링(201a)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된다. 아암부재(202)/아이들러(212) 및, 따라서 생크 스톱퍼(200)는 도 4b에서 실선으로 지시된 핀(203/213) 둘레를 회전한다. 완충부(68)는 해머 생크(43)의 궤도로 이동하며, 생크 스톱퍼(200)는 차단위치로 이동된다. 이처럼, 아암부재(202) 및 아이들러(212)는 레일 베이스(66)의 상부면/하부면에 평행한 가상면에서 회전된다. 힘이 생크 스톱퍼(200)의 좌측부 상에 아암부재(202)에 전달되지만, 어떠한 비틀림 모멘트는 생크 스톱퍼(200)에 작용하지 않으며, 완충부(68)는 아무런 비틀림 없이 최상의 차단위치로 확실하게 이동된다.
핀(201)은 자유위치에서 핀(203)의 좌측부 및 차단위치에서 핀(203)의 우측부 상에 위치하고 있다(도 4a 및 도 4b 참조). 유사하게, 핀(211)은 핀(213)의 좌측부 및 차단위치에서 핀(213)의 우측부 상에 위치하고 있다. 핀(201/211)과 핀(203/213) 사이의 상대 위치가 필요한데, 이는 완충부(68)상의 재반동은 차단위치에서 자유위치까지의 무의식적 변동을 유발하지 않기 때문이다. 상세하게는, 피아니스트가 차단위치에서 자유위치로 생크 스톱퍼(200)의 이동을 원할 때, 핀(203) 둘레에 시계방향으로 아암부재(202)의 회전을 야기하기 위해서 피아니스트는 아암부재(20) 상에 모우멘트를 작용시킨다. 그러나, 해머 생크(43)가 완충부(68)에 재반동할 때, 충격은 대향 방향에서 모우멘트를 발생시키며, 아암부재(202)는 핀(203) 둘레에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된다. 충격에 의한 모우멘트는 자유위치로 이동시키는데 필요한 모우멘트 방향에 대향한다. 게다가, 접촉면(202c/212c)은 측벽부(62c)와 접촉 유지되며, 반시계방향으로 생크 스톱퍼(200)의 회전에 대한 한계를 설정한다. 이처럼, 생크 스톱퍼(200)는 결코 의도하지 않게 자유위치로 변환되지 않는다. 충격력은 생크 스톱퍼(200)로부터 접촉면(202c/212c)과 측벽부(62c) 사이의 접촉을 통해 브라켓(62)에 전달되며, 생크 스톱퍼(200)는 절대로 진동하지 않는다.
다른 변환부재(350b)는 도 5, 도 6, 도 7 및 도 8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다른 변환부재(350b)는 볼트(301)에 의해 측면 보드(304)에 지지되며, 머플러 페달(402)은 변환부재(350b)(도 8 참조)를 통해 변환부재(350a)까지 연결되어 있다. 이 실례에 있어서, 머플러 페달(402)은 소프트 페달(401)과 댐퍼 페달(403)사이에 위치된다. 소프트 페달(401) 및 댐퍼 페달(403)은 각각 소프트 페달기구(404) 및 댐퍼 페달기구(406)에 연결되어 있다. 소프트 페달기구(404) 및 댐퍼 페달기구(406)는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원에서 생략한다. 측면 보드(304)는 피아노 케이스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다.
변환부재(350b)는 슬라이딩 박스(303), 축(305) 및 베이스 플레이트(306)를 포함하고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306)는 볼트(301)에 의해 측면 보드(304)에 고정되며, 한 쌍의 베어링부(306a)를 갖고 있다. 이 베어링부(306a)는 전후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이격되어 있으며, 축(305)은 베어링부(306a)에 의해 그 양단부에 지지되어 있다. 슬라이딩 박스(303)는 관통구멍을 가지며, 이 관통구멍을 축(305)이 통과하고 있다. 슬라이딩 박스(303)은 전후방향에서 축(305)을 따라 미끄럼 이동가능하다.
변환부재(350b)는 지지블록(301) 및 푸셔(pusher, 300)를 더 포함하고 있다. 플레이트(302a/302b)는 지지블록(301)과 함께 형성된다. 플레이트(302a)는 플레이트(302a)의 하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하는 돌출부(302c)를 가지며, 볼트(301)에 의해 슬라이딩 박스(303)에 고정되어 있다. 플레이트(302a)는 L자 형상이며, 플레이트(302b)에 고정되어 있다. 플레이트(302b)는 슬라이딩 박스(303)에서 돌출하며, 내향으로 굴곡되어 있다. 푸셔(300)에는 구멍(300a)이 형성되며, 구멍(300a)은 측방향으로 연장하고 있다. 푸셔(300)는 구멍(300a)을 통해 플레이트(302a)에 볼트(301)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길다란 구멍(300a)이 바람직한데, 이는 조립작업자가 아암부재(202)에 대해 적절한 위치로 푸셔(300)를 조절하기 때문이다. 이처럼, 푸셔(300)가 지지블록(301)을 통해 슬라이딩 박스(303)까지 연결되며, 따라서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슬라이딩 박스(303)가 축(305)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될 때, 푸셔(300)는 토션스프링(201a)의 탄성력에 대한 아암부재(202)의 회전을 야기하며, 해머 생크(200)는 차단위치로 이동한다.
변환부재(350b)는 핀(309)에 의해 베이스 플레이트(306)로 스윙가능하게 지지된 아암부재(308), 돌출부(302c)와 아암부재(308)의 하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커넥팅로드(307) 및 커넥팅로드(307)와 앵커(311) 사이에 연신된 스프링를 더 포함하고 있다. 커넥팅로드(307)는 측면 보드(302a)를 향해 굴곡된 단부(307a/307b)를 가지며, 단부(307a/307b)는 돌출부(302a) 및 아암부재(308)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앵커(311)는 측면 보드(304)에 고정되며, 스프링(310)은 지지블록(302), 즉 슬라이딩 박스(303)를 항상 후방에서 고정하고 있다. 탄성력은 아암부재(308)의 하부를 통해 전달되며, 모우멘트는 항상 반시계방향으로 아암부재(308)를 고정한다. 그 결과, 어떠한 힘도 아암부재(308)에 작용하지 않으므로, 푸셔(300)는 스프링(310)의 탄성력에 의해 베어링부(306a)에서 이격되어 있고, 토션스프링(201a)은 아암부재(202)가 푸셔(300)에 접촉 유지된다.
변환부재(350b)는 머플러 링크(400/410/412) 및 링크 레버(411/413)을 더 포함하고 있다. 노치(308a)는 아암부재(308)에 형성되며, 핀(309)으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되어 있다. 머플러 링크(400)는 노치(308a)에서 아암부재(308)와 결합한다. 머플러 링크(400)가 하방으로 밀릴때, 역모우멘트는 아암부재(308)에 작용하며, 탄성력에 의한 모우멘트에 대항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을 유발한다(도 7 참조). 머플러 링크(400)가 하방으로 밀리지 않을 때, 머플러 링크(400)는 아암부재(308)를 제한하고, 아암부재(308), 즉 푸셔(300)의 위치를 결정한다(도 5 참조).
링크 레버(411/413)는 그 중간부에서 피아노 케이스에 의해 스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링크 레버(413)는 베이스 플레이트(306) 아래에 위치하며, 다른 링크 레버(411)는 링크 레버(413)로부터 측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다. 링크 레버(413)는 머플러 링크(400)의 하단부에서 일단부에, 그리고 머플러 링크(412)의 일단부에서 타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머플러 링크(410)는 링크 레버(411)의 타단부에서 머플러 페달(402)까지 수직방향으로 연장하고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래치 휠은 머플러 페달(402)에 연결되어 있고, 폴은 래치 휠에 연결되도록 제공되어 있다. 폴이 래치 휠에 맞물리며, 폴 및 래치 휠은 머플러 페달(402)을 감압시킨다. 폴이 래치 휠에서 해제될 때, 리턴 스프링(도시생략)은 머플러 페달(402)이 정지위치로 복귀하도록 한다.
피아니스트는 자유위치와 차단위치 사이의 생크 스톱퍼(200)를 아래와 같이 이동시킨다. 피아니스트가 머플러 페달(402)을 정지위치에 유지하는 동안, 머플러링크(400)는 아암부재(308) 상에 어떠한 힘도 작용하지 않으며, 스프링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암부재(308)을 경사지도록 한다. 스프링(310)은 슬라이딩 박스(303), 즉 푸셔(300)를 후단 위치에 유지하며, 토션스프링(201a)은 푸셔(300)과 접촉 유지하는 아암부재(202)를 유지한다. 그 결과, 아암부재(202)는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일 베이스(66)를 후퇴시키며, 완충부(68)는 해머 생크(43)의 궤도로부터 이탈한다.
피아니스트가 머플러 페달(402) 위를 밟으면, 머플러 링크(410)는 화살표 AR400(도 8 참조)로 지시된 바와 같이 하방으로 움직이고, 화살표 AR401로 지시된 바와 같이 반시계방향으로 링크 레버(411)를 회전시킨다. 링크 레버(411)는 화살표 AR402로 지시된 바와 같이 머플러 링크(412)를 오른쪽으로 당겨서, 화살표 AR403로 지시된 바와 같이 반시계방향으로 링크 레버(413)를 회전시킨다. 링크 레버(413)는 화살표 AR404로 지시된 바와 같이 머플러 링크(400)를 당겨서, 아암부재(308)를 회전시킨다.
아암부재(308)는 화살표 AR405(도 7 참조)로 지시된 바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회동되며, 스프링(310)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커넥팅로드(307)를 전방으로 당긴다. 그 결과, 슬라이딩 박스(303), 즉 푸셔(300)는 축(305)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도 5와 도 7을 비교). 푸셔(300)는 토션스프링(201a)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핀(203) 둘레에 아암부재(202)의 회전을 유발하며, 레일 베이스(66)도 또한 반시계방향으로 핀(203/213) 둘레를 회전하게 된다(도 4b 참조). 이것은 완충부(68)가 해머 생크(43)의 궤도로 이동하는 것을 유발한다. 이처럼, 생크 스톱퍼(200)는 차단위치로 들어가게 된다. 피아니스트가 머플러 페달(402)로부터 그의 발을 떼더라도, 래치 휠 및 포올은 머플러 페달(402)을 감압시키며, 전환기구(350)는 생크 스톱퍼(200)를 차단위치에 유지한다.
피아니스트가 래치 휠에서 포올을 해제할 때, 복귀스프링(도시생략)은 머플러 페달(402)이 정지위치로 복귀하도록 하며, 머플러 링크(401/412/400) 및 링크 레버(411/413)는 화살표 AR400/AR402/AR404 및 AR401/AR403 로 지시된 방향까지 대향 방향으로 이동된다. 역모우멘트가 아암부재(308)에서 제거되며, 스프링(310)은 커넥팅로드(307)가 아암부재(308)의 하부를 당겨서 지지블록(302), 즉 슬라이딩 박스(303)을 후방으로 밀도록 한다. 슬라이딩 박스(303)는 축(305)을 따라 후방으로 미끄럼 이동하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셔는 후단부 위치까지 밀려진다. 푸셔(300)가 후단부 위치를 향해 이동되는 동안, 토션스프링(201a)은 아암부재(202)가 푸셔(300)와 접촉 유지되도록 한다. 아암부재(202)는 시계방향으로 핀(203) 둘레를 회동하고, 도 4a에 도시된 위치까지 복귀한다. 레일 베이스(66)는 핀(203/213) 둘레를 또한 회전하고, 해머 생크(43)의 궤도로부터 완충부(68)를 후퇴시킨다. 이처럼, 전환기구(350)는 축 스톱퍼(200)를 자유위치까지 전환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전자사운드발생장치(3)는 키이 센서(3a), 컨트롤러(3b) 및 발음장치, 예컨대 헤드폰(3c)을 포함하고 있다. 키이 센서(3a)는 키이 베드(11)에 제공되며, 흑/백 키이(10)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키이 센서(3a)는 셔터 플레이트(3d) 및 포토 커플러(3e)에 의해 수행된다. 셔터 플레이트(3d)는 연관된 흑/백 키이(10)의 하부면에 부착되며, 연관된 포터 커플러(3e)는 셔터 플레이트(3d)의 궤도를 따라 배열되어 있다.
피아니스트가 흑/백 키이(10)를 누른다고 가정하자. 흑/백 키이(10)는 정지위치로부터 단부위치를 향해 이동되며, 셔터 플레이트(3d)를 함몰시킨다. 셔터 플레이트(3d)는 연관된 포토 커플러(photo-coupler, 3e)의 광학 빔을 순차적으로 교차하며, 포토 커플러는 키이 위치 신호의 비트 패턴을 변화시킨다. 피아니스트가 눌러진 흑/백 키이(10)를 해제할 때, 흑/백 키이(10)는 정지위치를 향해 복귀하며,셔터 플레이트(3d)는 포토 커플러(3e)의 광학 경로로부터 순차적으로 철수하게 된다. 키이 위치 신호는 비트 패턴을 다시 변화시킨다. 이처럼, 키이 위치 신호는 연관된 흑/백 키이(10)의 현재 키이 위치 표본이며, 키이 센서(3a)는 키이 위치 신호를 컨트롤러(3b)에 공급한다.
컨트롤러(3b)는 데이터 처리장치 및 톤 발생기를 포함하고 있다. 데이터 처리장치는 피아니스트가 발생하는 키이 동작을 감시하기 위해서 비트 패턴의 편차를 나타내는 위치 데이터중 일부를 분석한다. 피아니스트가 하방 키이 동작을 야기하면, 데이터 처리장치는 오디오 신호를 헤드폰(3)에 적절하게 공급하기 위한 톤 발생기에 지시하며, 연관된 해머조립체(40)에 의해 발생되도록 어쿠스틱 사운드에 대응하는 전자사운드가 헤드폰(3c)에서 발생한다. 한편, 피아니스트가 상방 키이 동작을 야기하면, 댐퍼 펠트(54c)가 현(S) 세트와 접촉시 데이터 처리장치는 적절하게 오디오 신호를 감쇠하기 위해 톤 발생기를 지시한다. 따라서, 전자사운드가 감쇠된다. 이처럼, 전자사운드발생장치(3)는 곡조에 따라 어쿠스틱 톤에 대응하는 전자사운드를 발생시킨다.
건반악기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피아니스트가 어쿠스틱 사운드 모드에서 톤을 연주한다고 가정하자. 피아니스트가 머플러 페달(402)을 정지위치에 유지하며, 전환기구(350)는 생크 스톱퍼(200)를 자유위치에 유지한다. 피아니스트가 건반(4)에서 연주하는 동안, 눌려진 흑/백 키이(10)는 순차적으로 연관된 구동기구(5)를 순차적으로 구동하며, 잭(26)은 해머 버트(41)로부터 이탈한다. 잭(26)은 연관된 해머조립체(40)의 자유 회전을 야기하며, 해머 헤드(44)는 연관된 현(S) 세트를 순차적으로 타격한다. 이처럼, 어쿠스틱 피아노(1)는 곡조에 따라 어쿠스틱 톤을 순차적으로 발생한다. 생크 스톱퍼(200)는 자유위치에서 해머 동작을 간섭하지 않는다.
피아니스트가 소음모드에서 곡을 연주한다고 가정하자. 피아니스트가 머플러 페달(402)을 밟고, 포올 및 래치 휠은 머플러 페달(402)을 감압시킨다. 축 스톱퍼(200)를 차단위치까지 변환하기 위해서 머플러 페달(402)은 전환기구(350)를 구동한다. 완충부(68)는 해머 생크(43)의 궤도로 이동된다. 피아니스트가 건반(4)에서 곡을 연주하는 동안, 눌려진 흑/백 키이(10)는 구동기구(5)를 순차적으로 구동하며, 잭(26)은 해머 버트(41)를 이탈한다. 잭(26)이 해머조립체(40)의 자유회전을 야기하지만, 해머 헤드(44)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S)에 도달하기 이전에 해머 생크(43)는 완충부(68)상에 다시 튕겨진다. 어떠한 어쿠스틱 톤도 현(S)에서 발생하지 않는다.
키이 센서(3a) 각각은 건반(4) 상의 손가락 조작동안 각각 연관된 흑/백 키이(10)를 검지하며, 흑/백 키이(10)의 현재 키이 위치를 주기적으로 보고한다. 데이터 처리장치는 위치 데이터의 일부를 분석한다. 데이터 처리장치는 손가락 조작에 대응하여 발생되는 전자사운드를 결정하며, 전자사운드에 대한 오디오 신호를 발생하기 위해 톤 발생기를 지시한다. 데이터 처리장치는 손가락 조작에 대응하여 감쇠되는 전자사운드를 또한 결정하며, 전자신호를 감쇠하기 위해 톤 발생기를 지시한다. 이처럼, 전자사운드발생장치(3)는 건반에서 손가락 조작에 대응하며, 곡에 따라 전자사운드를 순차적으로 발생하게 된다.
사용자가 직립형 피아노에 소음장치(2) 및 전자사운드발생장치(3)를 추가할 것을 제조자에게 요구할 때, 제조업자는 작업자를 사용자의 집으로 보낸다. 작업자는 브라켓(62)을 구동브라켓에 부착하며, 변환부재(350a) 및 생크 스톱퍼(200)를 브라켓(62)에 조립한다. 작업자는 최적 후단 위치에 푸셔(300)를 조절하기 위해서 노치(308)에 대해 머플러 링크(400)의 위치를 조절한다. 최적 후단위치에서 푸셔(300)는 자유위치에서 아암부재(202)와 접촉 유지하고 있다. 이처럼, 변환부재(350b) 및 생크 스톱퍼(200)는 최적 위치를 독립적으로 조절한다. 작업자는 직립형 피아노 내부에 전자사운드발생장치(3)를 설치하고, 장비 갱신을 완료하게 된다.
제조업자가 변환부재(350a/350b)의 일부 또는 생크 스톱퍼의 일부를 새로운 부품으로 교환한다고 하자. 제조업자는 작업자를 사용자의 집에 보내고, 작업자는 생크 스톱퍼(200)가 조립된 변환부재(350a) 또는 변환부재(350b)를 분해한다. 변환부재(350a)는 변환부재(350b)에만 접촉된다. 이 때문에, 변환부재(350a)/생크 스톱퍼(200) 또는 다른 변환부재(350b)는 어쿠스틱 피아노(1) 내부에 유지된다. 변환부재(350a) 또는 다른 변환부재(350b)/해머 스톱퍼(200)를 교환한 후에, 변환부재(350b) 또는 변환부재(350a)를 조립한다. 변환부재(350a)(350b)를 아암부재(202)와 푸셔(300) 사이의 접촉을 통해 연결되기 때문에 조립작업은 쉽다. 게다가, 머플러 페달(402), 머플러 링크(400/412/410) 및 링크 레버(41/413)를 변환부재(350b)에서 이용가능하며, 새로운 단일 부품의 장비 갱신이 필요하게 된다.
이 실례에 있어서, 직립형 피아노(1)는 어쿠스틱 건반을 사용한다. 힘이 푸셔(300)에서 아암부재(202)로 전달되며, 힘을 아암부재(202)에 전달하기 위한 방향은 제2 방향에 대응한다. 푸셔(300)는 힘 전달방향에 대향 방향으로 아암부재(202)에 연결되지 않으므로, 대향 방향은 제1 방향에 대응한다. 레일 베이스(66)가 스톱퍼부(62e)와 접촉할 때, 토션스프링(201a)은 푸셔(300)와 접촉하기 위해 아암부재(202)를 고정하지 않는다. 레일 베이스가 스톱퍼부(62e)와 접촉하는 위치는 소정 범위의 경계를 한정한다.
제2 실시예
도 10은 본 발명을 구현하는 다른 건반악기를 도시한다. 제2 실시예를 수행하는 건반악기는 대체로 어쿠스틱 피아노, 소음장치, 전자사운드발생장치 및 자동연주장치(500)로 구성되어 있다. 어쿠스틱 피아노, 소음장치 및 전자사운드발생장치는 제1 실시예와 유사하며, 제1 실시예에 대응하는 동일 부품에 관해서는 동일 참조번호를 부여한다. 하기 설명은 자동연주장치(500)에 촛점을 맞춘 것이다.
자동연주장치(500)는 솔레노이드 동작 키이 액츄에이터(501) 및 컨트롤러(3b)를 포함하고 있다. 컨트롤러(3b)는 자동연주장치(500)와 전자사운드발생장치(3) 사이를 공유하고 있다. 그러나, 자동연주장치(500)를 제어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그램 메모리(도시생략)에 추가로 저장되어 있다. 솔레노이드 동작 키이 액츄에이터(501)는 키이 베드(11) 상에 놓여지며, 흑/백 키이(10)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솔레노이드 동작 키이 액츄에이터(501)의 구조는 서로 유사하며, 각각의 솔레노이드 동작 키이 액츄에이터(501)는 솔레노이드(502),플런저(503) 및 쿠션(504)을 가지고 있다. 솔레노이드(502)는 키이 베드(11) 상에 장착되며, 컨트롤러(3b)의 구동회로(도시생략)에 연결되어 있다. 플런저(503)는 솔레노이드(502)에서 상방으로 돌출하고, 솔레노이드를 하방으로 수축시키며, 쿠션(504)은 플런저(503)의 선단부에 부착되어 있다.
음악 데이터 코드 세트는 컨트롤러(3b)의 작업메모리(도시생략)에 저장되며, 데이터 처리장치는 작업메모리로부터의 음악 데이터 코드를 순차적으로 읽어 들인다. 데이터 처리 장치는 솔레노이드 동작 키이 액츄에이터(501)가 활성인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음악 데이터 코드를 검사한다. 음악 데이터 코드가 키이 온(KEY ON)을 나타내면, 데이터 처리장치는 구동회로를 지시하여 구동신호를 솔레노이드에 공급한다. 그리고, 플런저(503)는 솔레노이드(502)에서 돌출하여, 연관된 흑/백 키이(10)를 가압한다. 한편, 음악 데이터 코드는 키 오프(KEY OFF)를 나타내면, 데이터 처리장치는 구동회로를 지시하여 구동신호를 감쇠하며, 플런저(503)는 솔레노이드(502)로 수축된다. 이처럼, 솔레노이드 동작 키 액츄에이터의 배열은 어떠한 손 동작 없이 흑/백 키이(10)를 선택적으로 이동시키며, 건반(4)에서 곡을 연주한다.
본 제2 실시예를 구현하는 건반악기는 어쿠스틱 사운드모드 및 소음모드의 제1 실시예와 유사하게 동작하며, 이에 대한 추가 설명은 생략한다.
전술한 내용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전환기구는 아무런 구속 없이 서로를 접촉 유지하는 변환부재(350a/350b)를 가지고 있다. 변환부재(350a/350b)는 독립적으로 분해 및 조절된다. 이것은 수선작업이 용이하고, 또한 정비작업이 용이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를 도시하고 기술하였지만, 당분야 당업자라면 각종 변형 및 변화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 가능하다는 것을 알 것이다.
페달(402)은 어쿠스틱 피아노(1)에 새롭게 추가될 수 있다. 본 실례에서, 어쿠스틱 피아노는 페달(402), 소프트 페달(401), 댐퍼 페달(403) 및 머플러 프레임에 연관된 머플러 페달을 구비할 수 있다.
푸셔(300)는 적절한 전환기구를 통해 피아니스트가 조작하는 그립에 연결될 수 있다.
푸셔(300)는 예컨대, 솔레노이드 구동 액츄에이터와 같은 적절한 액츄에이터에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슬라이딩 박스(303)는 예컨대, 전기모터에 접속된 볼 트레드 유니트와 같은 적절한 액츄에이터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푸셔(300)는 아암부재(202)를 양 방향으로 밀 수 있다. 본 실례에서, 토션스프링(201a)은 변환부재(350a)에서 생략된다.
어쿠스틱 피아노(1) 대신 그랜드 피아노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른 종류의 어쿠스틱 건반악기, 예컨대 첼레스타에 적용가능하다. 첼레스타, 그랜드 피아노 및 직립형 피아노는 어쿠스틱 건반으로 연주가능하다.

Claims (13)

  1. 피치 이름이 각각 할당되고 연주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눌려지는 복수 개의 키이(10)와, 상기 복수 개의 키이(10)에 각각 연관된 복수 개의 현(S)과, 상기 연관된 현을 타격하기 위해 상기 복수 개의 키이를 눌러 구동되는 복수 개의 타현부재(40)를 포함하는 어쿠스틱 건반(1)과,
    자유위치와 차단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스톱퍼로서, 상기 자유위치에서는 상기 스톱퍼와 아무런 간섭 없이 상기 복수 개의 타현부재(40)가 상기 복수 개의 현(S)을 타격하고 상기 차단위치에서는 상기 타현부재가 상기 복수 개의 현(S)를 타격하기 전에 상기 스톱퍼상에서 재반동되도록 하는 스톱퍼(200)와 상기 자유위치와 상기 차단위치 사이에서 상기 스톱퍼를 변환시키기 위해 상기 스톱퍼에 접속되는 전환기구를 포함하는 소음장치(2)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환기구는, 상기 자유위치와 상기 차단위치 사이에서 상기 스톱퍼를 변환시키기 위해 상기 스톱퍼(200)에 접속된 제1 변환부재(350a)와, 상기 제1 변환부재에 접촉 유지되는 제2 변환부재(350b)를 구비하는 건반악기에 있어서,
    상기 제1 변환부재(350a) 및 상기 제2 변환부재(350b)는, 상기 스톱퍼를 상기 자유위치로부터 상기 차단위치로 변환되도록 힘이 제2부재(300)로부터 제1부재(202)로 전달되는 제2방향과는 다른 제1방향으로 아무런 제약이 없는 상태에서, 서로에 대해 접촉 유지되는 상기 제1 부재(202) 및 상기 제2 부재(300)를 각각 구비하며
    상기 전환기구(350)는 상기 제1 및 제2 부재중(202/300) 어느 하나(300)가 소정 범위에 유지되는 동안 상기 제1 및 제2 부재가 서로에 대해 접촉 유지되도록 상기 제1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상기 제1 및 제2부재 중 다른 하나(202)를 가압하는 탄성부재(201a)를 더 구비하며,
    상기 탄성부재(201a)와 상기 제1 및 제2부재 중의 하나(202)는, 상기 탄성부재가 상기 제1 및 제2 부재중 하나(202)를 통해 상기 자유위치를 향해 상기 스톱퍼(200)를 가압하도록 배열되며,
    상기 제1 및 제2부재중 하나(202)와 상기 스톱퍼(200)는, 타현부재(40)가 상기 차단위치에서 상기 스톱퍼(200)에 충격을 줄때에 상기 스톱퍼(200)가 상기 자유위치를 향하는 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1 및 제2 부재중 하나(202)를 가압하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악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부재는, 상기 제1 부재가 그 둘레를 회전하도록 정지부재(62)와 상기 제1 부재(202) 사이에 접속된 제1 핀(203)과,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스톱퍼가 서로에 대해 회전되도록 상기 제1 부재(202)와 상기 스톱퍼의 일단부(66b) 사이에 제공된 제2 핀(201)과,
    상기 스톱퍼의 타단부(66c) 둘레에 위치한 제3 부재(212)와,
    상기 제3 부재가 그 둘레를 회전하도록 다른 정지부재(62) 및 상기 제3 부재(212) 사이에 접속된 제3 핀(212)과,
    상기 제3 부재 및 상기 스톱퍼가 서로에 대해 회전되도록 상기 제3 부재(212)와 상기 스톱퍼의 상기 타단부(66c) 사이에 제공된 제4 핀(211)과, 그리고
    상기 자유위치를 향해 상기 방향에서 상기 스톱퍼(200)가 상기 제1 및 제3 핀 둘레를 회전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제1 부재에 접속된 탄성부재(201a)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1 핀(203), 상기 제2 핀(201), 상기 제3 핀(213) 및 상기 제4 핀(211)은 이들 사이의 네개의 가상선이 평행한 네개의 링크기구를 형성하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악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쿠스틱 건반은 피아노(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악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어쿠스틱 건반은, 상기 복수 개의 키이(10)에 각각 접속되고 상기 연관된 현(S)을 향한 회전을 위해 상기 타현부재로 각각 작용하는 해머(40)를 구동시키기 위해 연관된 키이에 의해 선택적으로 구동되는 복수 개의 작동기구(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악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변환부재(350b)는 상기 제1 변환부재(350a)와 접촉 유지되는 푸셔(300)와, 상기 푸셔(300)와 상기 연주자에 의해 눌려진 페달 사이에 접속된 변환기구(410/411/412/413/404/308/307/302/303/30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악기.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피아노는 소프트 페달(401)과 댐퍼 페달(403) 사이에 제공된 머플러 페달(402)를 구비하며, 상기 제2 변환부재(350b)는 상기 머플러 페달(402)에 직렬로 접속된 머플러 링크(410/411/412/413/404)와, 상기 제1 변환부재(350a)에 접촉 유지되는 푸셔(300)와, 상기 머플러 링크중 하나(400)와 상기 푸셔(300) 사이에 접속된 변환기구(308/307/302/303/30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악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푸셔(300)와 상기 변환기구(308/307/302/303/305) 사이의 상대 위치가 조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악기.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푸셔(300)는, 상기 부재가 소정 범위에 유지되는 동안 탄성부재(201a)에 의해 상기 제1 변환부재(350a)의 부재(202)와 접촉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악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자유위치에서 상기 차단위치까지 상기 스톱퍼(200)를 변환시키기 위해 상기 푸셔(300)가 상기 부재(202)를 가압하는 방향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악기.
  13.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키이(10)에 각각 연관되고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키이 위치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상기 복수 개의 키이의 현재 위치를 검출하는 복수 개의 키이 센서(3a)와,
    상기 복수 개의 키이 센서(3a)에 접속되고 눌려진 키이에 할당된 것과 동일한 피치 이름을 갖는 전자사운드를 나타내는 오디오 신호를 발생시키는 컨트롤러(3b)와,
    상기 컨트롤러에 접속되고 상기 오디오 신호로부터 상기 전자사운드를 발생시키는 사운드장치(3c)를 포함하는 전자사운드발생장치(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악기.
KR10-2000-0024187A 1999-05-06 2000-05-06 해머 스톱퍼를 변환하기 위해 부분적으로 수리가능한전환기구가 장착된 건반악기 KR1004120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9-126332 1999-05-06
JP12633299A JP3873522B2 (ja) 1999-05-06 1999-05-06 鍵盤楽器の消音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7171A KR20000077171A (ko) 2000-12-26
KR100412026B1 true KR100412026B1 (ko) 2003-12-24

Family

ID=14932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4187A KR100412026B1 (ko) 1999-05-06 2000-05-06 해머 스톱퍼를 변환하기 위해 부분적으로 수리가능한전환기구가 장착된 건반악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194649B1 (ko)
EP (1) EP1052618B1 (ko)
JP (1) JP3873522B2 (ko)
KR (1) KR100412026B1 (ko)
CN (1) CN1135522C (ko)
DE (1) DE60022121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87978B2 (ja) * 1998-12-25 2007-02-28 ヤマハ株式会社 演奏支援装置、演奏支援方法、および演奏支援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5070844B2 (ja) * 2007-01-11 2012-11-14 ヤマハ株式会社 鍵盤式打楽器
WO2009108437A1 (en) 2008-02-27 2009-09-03 Steinway Musical Instruments, Inc. Pianos playable in acoustic and silent modes
US20090282962A1 (en) * 2008-05-13 2009-11-19 Steinway Musical Instruments, Inc. Piano With Key Movement Detection System
JP5503886B2 (ja) * 2009-03-19 2014-05-28 株式会社河合楽器製作所 グランド型ピアノの消音機構
US8541673B2 (en) 2009-04-24 2013-09-24 Steinway Musical Instruments, Inc. Hammer stoppers for pianos having acoustic and silent modes
US8148620B2 (en) 2009-04-24 2012-04-03 Steinway Musical Instruments, Inc. Hammer stoppers and use thereof in pianos playable in acoustic and silent modes
CN102693715A (zh) * 2011-03-22 2012-09-26 上海钢琴有限公司 一种智能声学钢琴
CN103383842B (zh) * 2012-04-02 2018-05-29 施坦威音乐器材有限公司 用于具有声学和静音模式的钢琴的琴槌止动器
CN108028039B (zh) * 2015-06-12 2022-01-21 施坦威股份有限公司 钢琴扩展柔音踏板
WO2018090798A1 (en) 2016-11-17 2018-05-24 Sunland Information Technology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recording user performance of keyboard instrument
CN110036438B (zh) * 2017-01-16 2021-03-02 森兰信息科技(上海)有限公司 钢琴系统及其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49154A (ja) * 1996-09-18 1998-06-02 Yamaha Corp 鍵盤楽器の消音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34349A (en) * 1993-03-22 1995-07-18 Yamaha Corporation Keyboard instrument selectively entering into an acoustic mode and a silent mode through a sliding motion of a stopper
US6011214A (en) * 1993-11-30 2000-01-04 Yamaha Corporation Keyboard instruments having hammer stopper outwardly extending from hammer shank and method of remodeling piano into the keyboard instrument
JP3456243B2 (ja) * 1993-11-30 2003-10-14 ヤマハ株式会社 平形鍵盤楽器
JP3463365B2 (ja) 1993-11-30 2003-11-05 ヤマハ株式会社 鍵盤楽器
US5874687A (en) * 1993-11-30 1999-02-23 Yamaha Corporation Keyboard instrument having hammer stopper outwardly extending from hammer shank and method of remodeling piano into the keyboard instrument
JP2901864B2 (ja) 1994-02-18 1999-06-07 株式会社河合楽器製作所 グランドピアノの止音装置
JPH07334150A (ja) * 1994-06-13 1995-12-22 Yamaha Corp 鍵盤楽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49154A (ja) * 1996-09-18 1998-06-02 Yamaha Corp 鍵盤楽器の消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194649B1 (en) 2001-02-27
JP3873522B2 (ja) 2007-01-24
CN1135522C (zh) 2004-01-21
DE60022121T2 (de) 2006-04-13
EP1052618A3 (en) 2003-08-20
DE60022121D1 (de) 2005-09-29
CN1278092A (zh) 2000-12-27
KR20000077171A (ko) 2000-12-26
EP1052618B1 (en) 2005-08-24
EP1052618A2 (en) 2000-11-15
JP2000322052A (ja) 2000-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83242B2 (en) Composite keyboard musical instrument, silent system for performance without acoustic tones and regulating button mechanism for changing escape timing depending upon mode of operation
KR100412026B1 (ko) 해머 스톱퍼를 변환하기 위해 부분적으로 수리가능한전환기구가 장착된 건반악기
KR100273868B1 (ko) 평행 4변형 링크기구에 의해 구현된 해머 스토퍼를 구비한 건반 악기
US6423889B2 (en) Regulating button mechanism for easily regulating escape timing, silent system cooperative therewith and keyboard musical instrument equipped therewith
JP3463365B2 (ja) 鍵盤楽器
JP3360390B2 (ja) 鍵盤楽器におけるハンマーの接近調整方法
JPH08123403A (ja) 鍵盤楽器
US6452079B2 (en) Keyboard musical instrument equipped with hammer stopper promptly driven for rotation by means of rigid link work
US6448481B2 (en) Pedal mechanisms assembled into unit and keyboard musical instrument equipped with the same
US6011214A (en) Keyboard instruments having hammer stopper outwardly extending from hammer shank and method of remodeling piano into the keyboard instrument
JP3292164B2 (ja) 鍵盤楽器の消音装置
JP2570704Y2 (ja) 鍵盤楽器
JP3861906B2 (ja) 鍵盤楽器の消音装置
US5874687A (en) Keyboard instrument having hammer stopper outwardly extending from hammer shank and method of remodeling piano into the keyboard instrument
US5524519A (en) Piano provided with a mechanism for controlling string striking movement
JP3823999B2 (ja) 鍵盤楽器の消音装置および鍵盤楽器
JP3438741B2 (ja) 鍵盤楽器
KR100430379B1 (ko) 건반악기의 소음장치 및 복합 건반악기
JP3413931B2 (ja) 竪型鍵盤楽器
JPH0612057A (ja) 鍵盤楽器
JP3654268B2 (ja) 鍵盤楽器
JP3856007B2 (ja) 鍵盤楽器のジャック脱進調整装置、鍵盤楽器の消音装置および鍵盤楽器
JPH0675560A (ja) 鍵盤楽器
JPH07104736A (ja) アップライトピアノ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