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7843B1 - 터치감이 개선된 전자건반악기용 건반구조 - Google Patents

터치감이 개선된 전자건반악기용 건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7843B1
KR101407843B1 KR1020130052162A KR20130052162A KR101407843B1 KR 101407843 B1 KR101407843 B1 KR 101407843B1 KR 1020130052162 A KR1020130052162 A KR 1020130052162A KR 20130052162 A KR20130052162 A KR 20130052162A KR 101407843 B1 KR101407843 B1 KR 1014078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board
hammer
hinge
groove
tou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21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문
Original Assignee
김진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문 filed Critical 김진문
Priority to KR10201300521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78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78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78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2Constructional details
    • G10H1/34Switch arrangements, e.g. keyboards or mechanical switch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44Structural association with individual keys
    • G10H1/346Keys with an arrangement for simulating the feeling of a piano key, e.g. using counterweights, springs, cam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2Constructional details
    • G10H1/34Switch arrangements, e.g. keyboards or mechanical switch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CPIANOS, HARPSICHORDS, SPINETS OR SIMILA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TH ONE OR MORE KEYBOARDS
    • G10C3/00Details or accessories
    • G10C3/12Keyboards; Key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155User input interfaces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2220/221Keyboards, i.e. configuration of several keys or key-like input devices relative to one anoth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쿠스틱 건반악기에서 느끼게 되는 터치감과 유사한 터치감을 느낄 수 있는, 터치감이 개선된 전자건반악기의 건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건반구조는, 프레임(2)에 힌지(3a)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건반(3) 및 프레임(2)에 힌지(4a)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해머(4)를 포함하고, 건반(3)을 눌러 회동시켜 건반(3)의 해머가압부(30)가 해머(4)의 작용부(40)를 가압하면, 건반(3)에 연동하여 회동하는 해머(4)의 중량부(4b)가 건반(3)에 저항을 가하여 터치감을 느끼게 하는 전자건반악기용 건반구조에 있어서; 건반(3)의 해머가압부(30)는, 좌고우저의 경사접면(31)과 경사접면(31)을 가로질러 형성된 홈(32)을 포함하고; 해머(4)의 작용부(40)는, 제1 봉(41)과 제2 봉(42)을 포함하고; 제1 봉(41)은, 해머(4)의 힌지(4a)로부터 상대적으로 멀리 위치하고, 건반(3)의 초기누름 상태에서 경사접면(31) 중에 건반(3)의 힌지(3a)에서 상대적으로 가깝고 홈(32)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1 경사접면(31a)을 가압하고; 제2 봉(42)은, 해머(4)의 힌지(4a)로부터 상대적으로 가까게 위치하고, 건반(3)의 중기누름 상태에서 경사접면(31) 중에서 건반(3)의 힌지(3a)에서 상대적으로 멀고 홈(32)의 타측에 위치하는 제2 경사접면(31b)을 가압하며, 건반(3)의 후기누름 상태에서 홈(32) 안으로 미끄러져 들어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터치감이 개선된 전자건반악기용 건반구조{Keyboard for Electronic Keyed Instrument Having Improved Touch Feel}
본 발명은 전자건반악기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어쿠스틱 건반악기에서 느끼게 되는 터치감과 유사한 터치감을 느낄 수 있는, 터치감이 개선된 전자건반악기의 건반에 관한 것이다.
전통적인 어쿠스틱(acoustic) 악기들의 음향을 전자장치를 사용하여 생성시키는 전자악기들이 널리 개발되었으며, 대표적인 건반악기인 피아노에 대해서도 직접적인 현의 소리가 아닌 전자 음향으로 연주를 하는 전자피아노(또는 디지털피아노, 전자피아노, 전자오르간 등)가 있다.
전통적인 어쿠스틱 피아노는 건반을 누르는 힘에 의해 해머가 현을 타격할 때 발생하는 소리로 연주하지만, 전자피아노는 각 건반에 대응하는 디지털 전자음을 전자회로에 저장하여 두고 건반을 누르면 해당 전기접점이 연결되어 대응하는 음향이 발생하는 원리로 연주를 한다.
전자피아노는 전자회로를 어떻게 설계하느냐에 따라 피아노 사운드뿐만 아니라 다른 악기들(바이올린, 오르간, 트럼펫 등)의 사운드도 연주할 수 있고, 일반적으로 어쿠스틱 피아노에 비하여 가격도 저렴하기 때문에 연주용은 물론 학습용 등으로 널리 활용되고 있다.
어쿠스틱 피아노는 건반을 누르면 연주자의 손에 전달되는 독특한 느낌(일반적으로 '터치감'이라 한다)이 있고, 이런 어쿠스틱 피아노의 터치감은 오랜 기간 동안 피아노의 변천과 더불어 고착되어 현재에 이르렀고, 어쿠스틱 피아노에서 터치감은 피아노 연주에 있어서 매우 익숙해져 있는 중요한 요소 중에 하나이다.
도8은 어쿠스틱 피아노의 일종인 업라이트 피아노에 적용된 예시적인 건반구조의 개략도이다. 피아노의 건반은 그 구조와 작동 등이 관련 기술분야에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관련된 터치감에 관련된 구성요소와 그 작동에 대해서만 간단히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피아노의 건반구조(100)는, 대략적으로 건반(110), 액션기구(120), 해머(130), 댐퍼(140) 및 현(15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건반(110)의 후단에는 캡스턴 버튼(111)이 돌출 형성되어 있고, 캡스턴 버튼(111)의 상측에는 위펜(121), 잭(122), 백체크(123), 스푼(124) 및 잭스프링(125) 등을 포함한 액션기구(120)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어쿠스틱 피아노의 건반구조(100)에 따라, 건반(110)을 누르면 캡스턴 버튼(111)을 통해 위펜(121)이 상방(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고, 위펜(121)의 회동에 수반하여 잭스프링(125)의 가압을 받는 잭(122), 백체크(123) 및 스푼(124)이 함께 이동하며, 이로써 해마(130)가 현(150)의 방향(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한다.
건반(110)의 누른 후, 위펜(121)이 소정의 각도까지 회동하면 위펜(121)의 후단부에 설치된 스푼(124)이 댐퍼(140)를 가압하고, 건반(110)의 누름이 더욱 진행되면 스푼(124)이 댐퍼스프링(141)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댐퍼(140)를 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키고, 이로써 현(150)의 진동을 막고 있던 댐퍼(140)가 현(150)으로부터 이격되어 현(150)이 진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후 건반(110)을 계속 누르게 되면, 해머(130)가 현(150)을 타격하여 소리를 발생시키게 되며, 소리를 발생시킨 이후 해머(130)의 후방에 위치하는 백체크(123)가 해머(130)의 후방으로 돌출된 캐처(131)를 잡아줌으로써 해머(130)의 되튐을 방지한다.
이런 구성의 어쿠스틱 피아노의 건반구조(100)에 있어서 연주자가 건반(110)을 누를 때 느끼게 되는 터치감은, 건반(110)에 가해지는 여러 가지 저항(하중)의 조합으로 이루어지지만, 대표적인 터치감은, 최초 건반(110)을 누르기 시작한 후에 캡스턴 버튼(111)이 위펜(121)에 본격적으로 힘을 가하여 해머(130)의 저항이 시작될 때까지의 초기누름에서 느껴지는 가벼운 초기 터치감; 해머(130)와 댐퍼(140)의 저항이 건반에 동시에 가해지는 중기누름에서 느껴지는 무거운 중기 터치감; 및 현을 타격하면서 해머(130)가 이탈하고 댐퍼(140)의 저항만이 건반에 가해져서 순간적으로 가벼워지는 후기누름에서 느껴지는 후기 터치감; 으로 크게 구성된다고 할 수 있다.
초기 터치감은 건반을 대략 1mm 정도까지 눌렀을 때의 터치감이고, 중기 터치감은 해머가 이탈되기 직전인 대략 7mm 정도까지 눌렸을 때의 터치감이며, 후기 터치감은 간반을 완전히 눌렀을 때까지의 터치감이다.
전자피아노는 전기접점의 연결로 음향이 발생하기 때문에 소리 발생의 측면에서만 보면 해머와 댐퍼를 적용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본질적으로는 전자피아노의 터치감은 어쿠스틱 피아노와는 이질적일 수밖에 없는 바, 이런 전자피아노의 이질적인 터치감을 어쿠스틱 피아노의 터치감에 근접시키고자 하는 많은 기술 개발이 이루어졌다.
전자피아노에서 어쿠스틱 피아노와 유사한 터치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가장 대표적인 기술의 하나는, 소리를 내기 위해서는 필요하지 않은 해머를 어쿠스틱 피아노와 같이 건반에 연계 설치함으로써 건반을 누를 때 해머의 중량감이 건반에 전달되도록 하는 것이다.
도9는 해머가 적용된 종래의 예시적인 전자피아노 건반구조를 보여주는 개략도로서, 도9의 A는 건반을 누르지 않은 상태이고, 도9의 B는 건반을 누른 상태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전자피아노의 건반구조(200)는, 프레임(210), 건반(220), 해머(230) 및 전기접점(240) 등을 포함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건반(220)은, 그 일단(좌단)이 프레임(210)의 힌지(211)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좌로 치우친 위치의 건반(220)의 하측에는 해머가압부(221)가 형성되어 있다.
해머(230)는, 무게 중심에서 좌로 이탈된 위치에서 힌지핀(231)에 의해 프레임(21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좌하측에는 전기접점(240)을 가압하는 접점가압부(232)가 형성되어 있고, 우측에는 하중을 제공하는 중량부(233)가 형성되어 있으며, 해머가압부(221) 쪽의 상측에는 건반(210)의 해머가압부(221)에 의해 가압되는 봉 형상의 작용부(234)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따라, 건반(220)의 우단을 누르면 해머가압부(221)가 작용부(234)를 가압하여 접점가압부(232)가 아래쪽으로 회동하여 전기접점(240)을 눌러 소리가 발생하도록 함과 아울러, 중량부(233)가 위로 회동하면서 건반(220)의 누름에 저항(하중)을 가하게 되고, 이로써 건반(220)을 누를 때 어쿠스틱 피아노의 해머로부터 받은 터치감과 유사한 터치감을 느끼게 된다.
그러나 도9의 종래의 건반구조(200)는, 건반을 누르는 초기부터 건반이 완전히 눌려진 후기까지 건반에 중량부(233)의 저항이 균일하게 가해지기 때문에, 어쿠스틱 피아노에서 해머에서 기인하는 터치감과 유사한 터치감만을 지속적으로 느낄 수 있을 뿐, 전술한 바와 같은 초기, 중기 및 후기의 변화하는 터치감을 느낄 수 없다.
본 발명자는 전자피아노의 터치감을 개선하기 위해 대한민국 특허 제10-0806560호(2008년 02월 18일 등록)와 대한민국 특허 제10-0965620호(2010년 06월 15일 등록)의 전자건반악기의 건반구조를 제안한 바 있으며, 이들 건반구조의 제공으로 전자건반악기의 터치감이 어쿠스틱 피아노의 터치감에 상당한 정도로 근접되었으나, 그 구조와 제조 공정이 매우 복잡하여 제조원가를 증가시킨다는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바와 같은 전자건반악기의 건반 터치감에 관련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어쿠스틱 건반악기에 느껴지는 초기, 중기 및 후기의 터치감을 모방한 터치감을 느낄 수 있는, 터치감이 개선된 전자건반악기용 건반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터치감이 개선된 전자건반악기용 건반구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건반악기용 건반구조는, 프레임에 힌지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건반 및 상기 프레임에 힌지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해머를 포함하고, 상기 건반을 눌러 회동시켜 상기 건반의 해머가압부가 상기 해머의 작용부를 가압하면, 상기 건반에 연동하여 회동하는 상기 해머의 중량부가 상기 건반에 저항을 가하여 터치감을 느끼게 하는 전자건반악기용 건반구조이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상기 건반의 상기 해머가압부는, 좌고우저의 경사접면 및 상기 경사접면을 가로질러 형성된 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상기 해머의 상기 작용부는, 제1 봉 및 제2 봉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봉은, 상기 해머의 힌지로부터 상대적으로 멀리 위치하고, 상기 건반의 초기누름 상태에서 상기 경사접면 중에 상기 건반의 힌지에서 상대적으로 가깝고, 상기 홈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1 경사접면을 가압한다.
상기 제2 봉은, 상기 해머의 힌지로부터 상대적으로 가까게 위치하고, 상기 건반의 중기누름 상태에서 상기 경사접면 중에서 상기 건반의 힌지에서 상대적으로 멀고 상기 홈의 타측에 위치하는 제2 경사접면을 가압하며, 상기 건반의 후기누름 상태에서 상기 홈 안으로 미끄러져 들어간다.
바람직하게, 상기 해머가압부는 상기 건반과는 별도로 형성하여 상기 건반에 결합되고, 상기 제2 경사접면의 표면에는 상기 제2 봉이 상기 홈으로 미끄러지는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홈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건반악기용 건반구조에 의하면, 상기 경사접면 및 상기 홈을 포함하는 상기 건반의 상기 해머가압부와 상기 제1 봉 및 상기 제2 봉을 포함하는 상기 해머의 상기 작용부가 건반의 누름 정도에 따라 유기적으로 작동함으로써, 어쿠스틱 건반악기의 초기누름의 터치감, 중기누름의 터치감 및 후기누름의 터치감을 모방한 터치감을 느낄 수 있고, 아울러 상기 해머가압부와 상기 작용부의 구조가 매우 단순하고 그 제조가 용이하게 때문에 관련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1 내지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건반구조의 작용을 보여주는 개략도,
도5는 본 발명의 건반구조에 적용된 예시적인 해머가압부의 사시도,
도6은 본 발명의 건반구조에 적용된 예시적인 해머가압부의 단면도,
도7은 본 발명의 건반구조에 적용된 예시적인 작용부의 확대도,
도8은 어쿠스틱 피아노에 적용된 예시적인 건반구조의 개략도,
도9는 종래의 예시적인 전자피아노 건반구조를 보여주는 개략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자건반악기용 건반구조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구체예는 본 발명에 따른 건반구조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감이 개선된 전자건반악기용 건반구조(1)는, 도1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건반구조와 마찬가지로, 프레임(2)에 힌지(3a)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건반(3)과 프레임(2)에 힌지(4a)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해머(4)를 포함하고, 손으로 건반(3)을 눌러 회동시켜 건반(3)의 해머가압부(30)가 해머(4)의 작용부(40)를 가압하면, 해머(4)가 건반(3)에 연동하여 회동하고, 이때 해머(4)의 중량부(4b)가 건반(3)에 저항을 가하여 터치감을 느끼게 된다.
도시된 구체예에서, 건반(3)의 일단(도면에서 좌단)은 힌지(3a)에 의해 프레임(2)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따라서 건반(3)의 타단(도면에서 우단)을 누르면 건반(3)은 힌지(3a)를 중심으로 상하 회동한다. 건반(3)의 하측에는 힌지(3a) 쪽으로 치우친 위치에 해머가압부(30)가 형성되어 있다.
건반(3)의 아래에 설치된 해머(4)는 일측(도면에서 좌측)에 치우쳐 형성된 힌지(4a)에 의해 프레임(2)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해머(4)의 상측에는 해머가압부(30)에 대응하는 위치인 힌지(4a)의 일측(좌측)에는 작용부(40)가 형성되어 있으며, 힌지(4a)의 타측(우측)에는 건반(3)의 누름에 저항(하중)을 가하여 터치감을 느끼게 하는 중량부(4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해머(4)의 하측에는 힌지(4a)의 일측(좌측)에 접점가압부(4c)가 형성되어 있어서 건반(3)의 누름에 의해 해머(4)가 회동하면 그 아래의 프레임(2)에 설치된 전기접점(5)을 누르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건반구조(1)는 본 발명의 특징을 이루는 해머가압부(30)와 작용부(40)의 구성을 제외하고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1 등에서는 전기접점(5)을 가압하는 접점가압부(4c)가 해머(4)에 형성된 예를 도시하고 있지만, 접점가압부를 건반에 설치하는 등 공지의 구조들을 포함한 다른 구조들도 본 발명에 맞게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건반(3)에 형성된 해머가압부(30)는, 도5 내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고우저의 경사접면(31)과 상기 경사접면(31)을 가로질려 형성된 홈(32)을 포함한다.
경사접면(31)의 좌고우저의 경사 방향은, 작용부(40)와의 관계에서 볼 때, 일측(좌측, 건반의 힌지 쪽)으로 갈수록 작용부(40)와의 간격이 멀어지고 타측(우측, 건반의 힌지로부터 멀어지는 쪽)으로 갈수록 작용부(40)와의 간격이 좁아지는 경사 방향을 의미한다.
상기 홈(32)은 경사접면(31)을 가로질려 일정한 폭과 깊이로 전후 방향(건반의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경사접면(32)은 홈(32)을 중심으로 양측(좌우)으로 양분되어 홈(32)의 일측(좌측: 건반의 힌지에 가까운 쪽)에 위치하는 제1 경사접면(32a)과 홈(32)의 타측(우측: 건반의 힌지에서 먼 쪽)에 위치하는 제2 경사접면(32b)으로 구분할 수 있다.
해머가압부(30)는 건반(3)에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지만, 도시된 바와 같이 내구성과 탄성을 가진 실리콘고무와 같은 소재로 별도로 형성하여, 건반(3)의 해당 위치에 결합(조립)할 수도 있다. 도시된 구체예에서 해머가압부((30)는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 조립돌기(33)들을 이용하여 건반(3)에 접착하여 결합하는 예이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해머(4)에 형성된 작용부(40)는, 해머(4)의 힌지(4a)로부터 상대적으로 멀리 있는 일측(좌측)의 제1 봉(41)과 해머(4)의 힌지(4a)로부터 상대적으로 가까운 타측(우측)의 제2 봉(42)의 이중 봉우리 구조로 되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좌우와 전후 등의 방향은 단지 첨부 도면에 부합하는 방향으로서 절대적인 방향이 아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건반(3)을 전혀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 건반을 대략 1mm 정도 누를 때까지의 상태를 건반의 초기누름, 상기 초기누름 이후 건반을 대략 7mm 정도 누를 때까지의 상태를 건반의 중기누름, 상기 중기누름 이후 건만을 완전히 누를 때까지의 상태를 건반의 후기누름이라고 정의한다. 여기에서 1mm와 7mm의 수치는 절대적인 값이 아니라 본 발명이 적용되는 건반과 해머 사이즈 및 배치 등에 따라 편차가 있을 수 있는 길이인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상기 제1 봉(41)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반(3)의 초기누름에서 제1 경사접면(31a)을 가압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때 제1 봉(41)은 해머(4)의 힌지(4a)로부터 상대적으로 멀리 위치하고 제1 경사접면(31a)은 건반(3)의 힌지(3a)에서 상대적으로 가깝기 때문에 지렛대의 원리에 의해 제1 봉(41)을 통해 건반(3)에 가해지는 저항(하중)은 상대적으로 가볍고, 또한 제1 봉(41)은 경사접면(31)의 좌고우저의 경사에 의해 수직이 아니라 비스듬하게 미끄러지는 상태로 건반(3)에 저항을 가하게 됨으로, 결과적으로 건반(3)의 초기누름에서 건반(3)에 느껴지는 터치감(저항)은 후기누름에서의 보다 상대적으로 가볍게 느껴진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건반구조(1)에 있어서의 초기누름에서 느껴지는 터치감은, 전술한 어쿠스틱 피아노의 건반구조(100)의 초기 터치감에 해당한다.
제2 봉(42)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반(3)의 중기누름에서 경사접면(31) 중에서 홈(32)의 타측(우측)에 위치하는 제2 경사접면(31b)을 가압하도록 형성한다. 이때에는, 건반(3)의 초기누름과는 달리, 제2 봉(42)이 해머(4)의 힌지(4a)로부터 상대적으로 가깝게 위치하고 제2 경사접면(31b)은 건반(3)의 힌지(3a)에서 상대적으로 멀기 때문에 지렛대의 원리에 의해 제2 봉(42)을 통해 건반(3)에 가해지는 저항(하중)이 초기누름 때보다 상대적으로 무겁고, 또한 건반(3)과 해머(4)의 회동에 의한 각도변화로 제2 봉(42)은 초기누름 때보다 경사접면(31)에 보다 수직에 가까운 상태로 접하면서 건반(3)에 저항을 더 크게 가하게 됨으로, 결과적으로 건반(3)의 중기누름에서 건반(3)에 느껴지는 터치감은 건반(3)의 초기누름에서 보다 상대적으로 무겁게 느껴진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건반구조(1)에 있어서의 중기누름의 터치감은, 전술한 어쿠스틱 피아노의 건반구조(100)의 중기 터치감에 해당한다.
제2 봉(42)은, 도3과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반(3)의 후기누름 상태에서 홈(32) 안으로 순간적으로 미끄러져 들어가게 되며, 이런 상태에서는 건반(3)에 가해졌던 해머(4)의 저항이 일시적으로 감소하게 됨으로 중기누름에서 받았던 무거운 저항이 순간적으로 가벼워지는 것으로 느껴진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건반구조(1)에 있어서의 후기누름의 터치감은, 전술한 어쿠스틱 피아노의 건반구조(100)에서 해머(130)가 이탈하고 댐퍼(140)의 저항만이 가해지는 후기 터치감에 해당한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경사접면(31b)의 표면에는 제2 봉(42)이 홈(32)으로 미끄러지는 이동을 자연스럽게 안내하는 안내홈(34)을 형성할 수 있다.
해머가압부(30)에서의 경사접면(31)의 경사각도와 홈(32)의 폭, 작용부(40)에서의 제1 봉(41)과 제2 봉(42)의 봉 높이와 폭 및 그 간격 등은, 본 발명의 건반구조(1)에 적용된 건반(3)과 해머(4)의 배치와 사이즈, 그리고 해머가압부(30)와 작용부(40)의 배치 위치 등에 따라, 본 발명에 맞게 적절히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6에 도시된 해머가압부(30)는, 제1 경사접면(31a)의 경사를 제2 경사접면(31b)의 경사 보다 크게 하고, 해머가압부(30)의 예시적인 수치를, L1은 85mm, L2는 80mm, L3은 18mm, L4는 42mm, 및 L5는 22mm 으로 한 것이고, 이에 대응하는 도7에 도시된 작용부(40)는 예시적인 수치를 L6은 16.16mm, L7은 12.00, L8은 11.68mm, L9는 11.04mm, L10은 9.76mm, L11은 9.45mm, L12는 9.04mm로 한 예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건반악기용 건반구조(1)는 건반(3)에 형성된 해머가압부(30)의 경사접면(31)과 홈(32), 및 해머(4)에 형성된 작용부(40)의 제1 봉(41)과 제2 봉(42)의 유기적 작용에 의해, 어쿠스틱 건반악기에서 초기, 중기 및 후기에 느껴지는 터치감을 완벽하지는 않지만 상당한 정도 모방할 수 있고, 또한 전자건반악기에 어쿠스틱 건반악기와 유사한 터치감을 구현하기 위해 적용한 해머가압부(30)와 작용부(40)의 구조가 매우 간단하고 제조 공정이 용이하기 때문에 저렴한 비용으로 적용할 수 있다.
1: 본 발명의 건반구조 2: 프레임
3: 건반 3a: 힌지
4: 해머 4a: 힌지
4b: 중량부 4c: 접점가압부
5: 전기접점 30: 해머가압부
31: 경사접면 31a: 제1 경사접면
31b: 제2 경사접면 32: 홈
40: 작용부 33: 조립돌기
34: 안내홈 41: 제1 봉
42: 제2 봉

Claims (2)

  1. 프레임(2)에 힌지(3a)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건반(3) 및 상기 프레임(2)에 힌지(4a)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해머(4)를 포함하고, 상기 건반(3)을 눌러 회동시켜 상기 건반(3)의 해머가압부(30)가 상기 해머(4)의 작용부(40)를 가압하면, 상기 건반(3)에 연동하여 회동하는 상기 해머(4)의 중량부(4b)가 상기 건반(3)에 저항을 가하여 터치감을 느끼게 하는 전자건반악기용 건반구조에 있어서;
    상기 건반(3)의 상기 해머가압부(30)는, 좌고우저의 경사접면(31)과 상기 경사접면(31)을 가로질러 형성된 홈(32)을 포함하고;
    상기 해머(4)의 상기 작용부(40)는, 제1 봉(41)과 제2 봉(42)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봉(41)은, 상기 해머(4)의 힌지(4a)로부터 상대적으로 멀리 위치하고, 상기 건반(3)의 초기누름 상태에서 상기 경사접면(31) 중에 상기 건반(3)의 힌지(3a)에서 상대적으로 가깝고 상기 홈(32)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1 경사접면(31a)을 가압하고;
    상기 제2 봉(42)은, 상기 해머(4)의 힌지(4a)로부터 상대적으로 가까게 위치하고, 상기 건반(3)의 중기누름 상태에서 상기 경사접면(31) 중에서 상기 건반(3)의 힌지(3a)에서 상대적으로 멀고 상기 홈(32)의 타측에 위치하는 제2 경사접면(31b)을 가압하며, 상기 건반(3)의 후기누름 상태에서 상기 홈(32) 안으로 미끄러져 들어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감이 개선된 전자건반악기용 건반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머가압부(30)는 상기 건반(3)과는 별도로 형성하여 상기 건반(3)에 결합되고, 상기 제2 경사접면(31b)의 표면에는 상기 제2 봉(42)이 상기 홈(32)으로 미끄러지는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홈(34)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감이 개선된 전자건반악기용 건반구조.
KR1020130052162A 2013-05-08 2013-05-08 터치감이 개선된 전자건반악기용 건반구조 KR1014078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2162A KR101407843B1 (ko) 2013-05-08 2013-05-08 터치감이 개선된 전자건반악기용 건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2162A KR101407843B1 (ko) 2013-05-08 2013-05-08 터치감이 개선된 전자건반악기용 건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7843B1 true KR101407843B1 (ko) 2014-06-16

Family

ID=51132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2162A KR101407843B1 (ko) 2013-05-08 2013-05-08 터치감이 개선된 전자건반악기용 건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784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4887B1 (ko) * 2015-02-27 2016-02-17 김진문 복귀특성이 강화된 건반악기용 건반구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4880U (ko) * 2007-04-20 2008-10-23 김진문 전자건반악기의 건반구조
KR20090059183A (ko) * 2007-12-06 2009-06-11 김진문 전자건반악기의 건반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4880U (ko) * 2007-04-20 2008-10-23 김진문 전자건반악기의 건반구조
KR20090059183A (ko) * 2007-12-06 2009-06-11 김진문 전자건반악기의 건반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4887B1 (ko) * 2015-02-27 2016-02-17 김진문 복귀특성이 강화된 건반악기용 건반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82603B2 (ja) 電子楽器の鍵盤装置
US6930234B2 (en) Adjustable keyboard apparatus and method
JP2830101B2 (ja) 電子鍵盤楽器の鍵盤装置
JP5223490B2 (ja) 電子鍵盤楽器のペダルの力覚制御装置
JP6070735B2 (ja) 鍵盤楽器
JP6485082B2 (ja) 鍵盤楽器
KR100232591B1 (ko) 전자 피아노
US4667563A (en) Key apparatus for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JP3900706B2 (ja) 鍵盤装置
KR100611605B1 (ko) 업라이트형 건반악기
KR101407843B1 (ko) 터치감이 개선된 전자건반악기용 건반구조
CN106373543B (zh) 支撑组件和键盘设备
KR101594887B1 (ko) 복귀특성이 강화된 건반악기용 건반구조
KR102159444B1 (ko) 전자건반 악기의 건반 구조
JP2013137434A (ja) 電子鍵盤楽器
JPH067316B2 (ja) ピアノのアクション機構
JPH10133649A (ja) 電子楽器の鍵盤装置
JP2004252252A (ja) グランド型ピアノのアクション
WO2013108382A1 (ja) アップライトピアノのダンパー装置
KR100965620B1 (ko) 전자건반악기의 건반구조
JP2009198557A (ja) 力覚制御装置
JP2018066829A (ja) 鍵盤楽器のストローク調整装置
JP3690276B2 (ja) 電子弦楽器
JP3217956B2 (ja) 擬似アクションハンマ
JP2002099280A (ja) 鍵盤楽器及び鍵盤楽器の調整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