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9183A - 전자건반악기의 건반구조 - Google Patents

전자건반악기의 건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59183A
KR20090059183A KR1020070125887A KR20070125887A KR20090059183A KR 20090059183 A KR20090059183 A KR 20090059183A KR 1020070125887 A KR1020070125887 A KR 1020070125887A KR 20070125887 A KR20070125887 A KR 20070125887A KR 20090059183 A KR20090059183 A KR 200900591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board
upper pen
pressed
hammer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58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65620B1 (ko
Inventor
김진문
Original Assignee
김진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문 filed Critical 김진문
Priority to KR10200701258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5620B1/ko
Publication of KR200900591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91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56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56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2Constructional details
    • G10H1/34Switch arrangements, e.g. keyboards or mechanical switch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CPIANOS, HARPSICHORDS, SPINETS OR SIMILA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TH ONE OR MORE KEYBOARDS
    • G10C3/00Details or accessories
    • G10C3/12Keyboards; Key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2Constructional details
    • G10H1/34Switch arrangements, e.g. keyboards or mechanical switch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44Structural association with individual keys
    • G10H1/346Keys with an arrangement for simulating the feeling of a piano key, e.g. using counterweights, springs, cam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155User input interfaces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2220/221Keyboards, i.e. configuration of several keys or key-like input devices relative to one anoth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쿠스틱 악기에서 느끼게 되는 터치감과 유사한 터치감을 느낄 수 있는 터치감이 개선된 전자건반악기의 건반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건반구조(1)는,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건반(10); 상기 건반(10)을 누르면 상기 건반(10)에 의해 가압되어 회동하고, 상기 건반(10)을 누르는 힘이 제거되면 상기 건반(10)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위치로 탄성적으로 회동하는 위펜부재(20); 상기 건반(10)을 누르면 상기 위펜부재(20)를 통해 가압되어 회동함으로써 그 중량부(32)의 하중이 상기 건반(10)에 가해지도록 하는 해머부재(30); 일정 위치까지 상기 건반(10)이 눌려지면 연결되는 전기접점(50); 및 상기 건반(10)을 누르는 과정에서 어쿠스틱 피아노 건반에서의 댐퍼저항감에 대응하는 탄성저항력을 상기 건반(10)에 가하되, 상기 건반(10)이 일정 각도 이상 눌려진 이후부터 상기 건반(10)에 상기 탄성저항력을 가하는 댐퍼저항탄성부재(80);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건반악기의 건반구조{Structure of Keyboard in Electronic keyboard Instruments}
본 발명은 전자건반악기의 건반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어쿠스틱 악기에서 느끼게 되는 터치감과 유사한 터치감을 느낄 수 있는 터치감이 개선된 전자건반악기의 건반구조에 관한 것이다.
전기전자기술의 발달과 함께 전통적인 어쿠스틱(acoustic) 악기들의 음향을 전자장치를 사용하여 생성시키는 전자악기들이 널리 개발되었으며, 대표적인 건반악기인 피아노에 대해서도 직접적인 현의 소리가 아닌 전자 음향으로 연주를 하는 전자피아노(또는 디지털피아노, 전자오르간 등)가 출현하였다.
전통적인 어쿠스틱 피아노는 건반을 누르는 힘에 의해 해머가 현을 타격하도록 하여 소리를 발생시킴으로써 연주를 하는 것이지만, 전자피아노는 각 건반에 대응하는 디지털 전자음을 미리 전자회로에 저장하여 두고 건반을 누르면 해당 전기접점이 연결되어 대응하는 음향이 발생하도록 하는 원리로 연주를 하게 된다.
이런 전자피아노는 전자회로를 어떻게 설계하느냐에 따라 피아노 사운드뿐만 아니라 다른 악기들(바이올린, 오르간, 트럼펫 등)의 사운드도 연주할 수 있고, 일 반적으로 어쿠스틱 피아노에 비하여 가격도 저렴하기 때문에 연주용은 물론 학습용 등으로 널리 활용되고 있다.
어쿠스틱 피아노는 건반을 누르면 해머가 현을 치는 것이기 때문에 해머로부터 건반을 통해 연주자의 손에 전달되는 독특한 느낌(일반적으로 '터치감'이라 한다)이 있고, 이런 어쿠스틱 피아노의 터치감은 수백 년 동안 피아노의 발전과 더불어 최적의 음향이 생성되도록 함과 아울러 연주자에게 가장 좋은 터치감을 제공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발전하여 현재에 이르렀으며, 어쿠스틱 피아노에 있어서의 이런 터치감은 피아노 연주에 있어서 매우 익숙해져 있는 중요한 요소 중에 하나가 되었다.
도5는 어쿠스틱 피아노의 예시적인 건반구조의 개략도이다. 예시된 어쿠스틱 피아노의 건반구조(100)는 그 작동과 기능 등이 관련 기술분야에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관련된 구성요소와 그 작동에 대해서만 간단히 설명한다.
어쿠스틱 피아노의 건반구조(100)는, 대략적으로 건반(110), 액션기구(120), 해머(130), 댐퍼(140) 및 현(15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건반(110)의 후단에는 캡스턴 버튼(111)이 돌출 형성되어 있고, 캡스턴 버튼(111)의 상측에는 위펜(121), 잭(122), 백체크(123), 댐퍼(140)를 구동하기 위한 스푼(124), 및 건반(110)을 누르면 잭(122)을 가압하는 잭스프링(125) 등을 포함한 액션기구(120)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어쿠스틱 피아노의 건반구조(100)에 따라, 건반(110)을 누르면 캡 스턴 버튼(111)을 통해 위펜(121)이 상방(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고, 위펜(121)의 회동에 수반하여 잭(122), 백체크(123) 및 스푼(124)이 함께 이동하며, 이로써 해마(130)가 현(150)의 방향(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한다. 건반(110)의 누른 후, 위펜(121)이 소정의 각도까지 회동하면 위펜(121)의 후단부에 설치된 스푼(124)이 댐퍼(140)를 가압하고, 건반(110)의 누름이 더욱 진행되면 스푼(124)이 댐퍼스프링(141)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댐퍼(140)를 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키고, 이로써 현(150)의 진동을 막고 있던 댐퍼(140)가 현(150)으로부터 이격되어 현(150)이 진동 가능한 상태가 되게 한다.
이후 건반(110)을 계속 누르게 되면, 해머(130)가 현(150)을 타격하여 소리를 발생시키게 되며, 소리를 발생시킨 이후 해머(130)의 후방에 위치하는 백체크(123)가 해머(130)의 후방으로 돌출된 캐처(131)를 잡아줌으로써 해머(130)의 되튐을 방지한다.
이와 같은 어쿠스틱 피아노의 건반구조(100)에 있어서 연주자가 건반(110)을 누를 때 느끼게 되는 터치감은, 건반(110)에 가해지는 여러 가지 힘의 합으로 이루어지지만, 그 중 가장 큰 요소는 해머(130)의 중량감과 댐퍼(140)의 저항감이라 할 수 있다.
전자피아노는 건반을 눌러 전기접점을 연결하면 음향이 발생하는 원리이기 때문에 해머나 댐퍼와 같은 구성이 불필요 하고, 따라서 그로부터 느껴지는 터치감이 어쿠스틱 피아노와 다를 수밖에 없으나, 전자피아노에서도 전통적인 어쿠스틱 피아노를 통해 익숙해진 터치감과 동일한 터치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많은 연구 가 진행되었다.
전자피아노에 어쿠스틱 피아노에서와 같은 터치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의 가장 대표적인 기술의 하나는, 소리를 내기 위해서는 필요하지 않은 해머를 어쿠스틱 피아노와 같이 건반에 연계 설치함으로써 건반을 누를 때 해머의 중량감이 건반에 전달되도록 하는 기술이다.
도6은 해머가 적용된 종래의 예시적인 전자피아노 건반구조를 보여주는 개략도로서, 도6의 A는 건반을 누르지 않은 상태이고, 도6의 B는 건반을 누른 상태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전자피아노 건반구조(200)는, 프레임(210), 건반(220), 해머(230) 및 전기접점(240) 등을 포함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건반(220)의 일단은 프레임(210)의 브래킷(211)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건반(220)의 중단에는 접점가압부(221) 및 해머가압부(222)가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어서, 건반(220)의 타단을 누르면 접점가압부(221)가 전기접점(240)을 눌러 소리가 발생하는 것과 함께 해머가압부(222)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해머(230)의 작용부(231)를 가압함으로써 건반(220)에 해머(230)의 중량부(232)의 하중이 가해지게 되며, 이로써 건반(220)을 누를 때 어쿠스틱 피아노의 해머로부터 받은 터치감과 유사한 터치감을 느끼게 된다.
그러나 도6의 종래의 건반구조(200)는, 어쿠스틱 피아노의 해머로부터 기인하는 터치감과 유사한 터치감을 얻을 수 있지만, 어쿠스틱 피아노 건반에 적용되어 있는 애프터 터치감을 느낄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도5에 예시된 어쿠스틱 피아노(100)의 경우, 건반(110)의 누름에 의해 해머(130)가 현(150)을 타격한 이후, 잭(122: 도 5 참조)의 작용으로, 건반(110)과 해머(130) 사이의 힘의 전달경로가 단절되어 해머(130)로부터 건반(110)에 가해지는 중량감이 사라지게 되고, 연주자가 손가락을 통해 해머의 중량감의 사라짐을 느낌으로써 해머(130)가 현(150)을 타격하였음을 느끼도록 하고 있으나(이런 느낌으로 음향이 발생하는 시점을 손가락으로 감지하게 되며, 일반적으로 이런 느낌을 '애프터 터치감'이라 한다), 도6의 종래 건반구조(200)의 경우에는 해머의 중량감이 건반을 누르는 동안 처음부터 끝까지 계속 유지되기 때문에 상기 '애프터 터치감'을 느낄 수 없고, 따라서 도6의 종래 건반구조(200)로는 어쿠스틱 피아노에서와 같은 감각적이고 정교한 연주를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전자피아노 건반에 애프터 터치감을 부여하는 것에 관한 제안으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6-0082959호(2006. 07. 20. 공개)의 '디지털 피아노의 건반구조'가 있다. '959의 건반구조는 해머가압부가 접하는 해머의 작용부에 단차를 둠으로써, 해머가압부가 작용부를 따라 슬라이드 할 때 단차 부분에서 약간 드롭되게 하여 이를 애프터 터치감으로 느끼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959의 건반구조의 경우, 단차 부분에서의 드롭으로 어쿠스틱 피아노의 애프터 터치감과 일부 유사한 애프터 터치감을 느낄 수는 있지만, 단차에서의 드롭된 이후에도 해머의 하중이 건반에 계속 가해진 상태가 유지되므로, 익숙해 있는 어쿠스틱 피아노의 애프터 터치감과는 느낌이 다른 낯선 느낌일 수밖에 없다는 한계가 있다.
도6의 종래 건반구조와 이를 개량한 '959의 건반구조의 또 다른 문제점은, 도6의 B에서와 같이, 해머의 중량부가 프레임(또는 그 쿠션)에 부딪칠 때의 충격과 진동이 건반을 거쳐 연주자의 손가락에 직접 전달됨으로써 연주자의 손에 충격을 가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손이 쉽게 피로하게 되는 것은 물론 손가락 관절 등에 만성적인 상해를 가할 수 있다는 것이다.
즉, 어쿠스틱 피아노의 경우는 해머가 현을 타격하는 과정에서 건반과 해머 사이의 힘의 전달경로가 단절되기 때문에, 해머가 프레임의 쿠션 등에 부딪혀 돌아오는 충격이 건반을 통해 연주자의 손가락에 직접적으로 전달되지 않지만, 도6의 종래 건반구조와 '959의 건반구조는 해머와 건반 사이의 힘의 전달경로가 단절 없이 계속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해머로부터의 충격이 연주자의 손가락에 그대로 전달된다.
또한, 도6과 같은 종래의 건반구조(200)는, 어쿠스틱 피아노의 해머로부터 유래하는 터치감은 어느 정도 얻을 수 있지만 댐퍼로부터 유래하는 터치감을 얻을 수 없으며, 결과적으로 종래의 건반구조(200)에 의한 터치감은 익숙해져 있는 어쿠스틱 피아노의 터치감과 차이가 있을 밖에 없다.
본 발명자는 '전자건반악기의 건반구조'를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7-0038590호(2007. 04. 20. 출원; 우선권 기초 2007. 01. 15. 출원의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7-0004193호)로 제안하였고, '590의 건반구조는 어쿠스틱 피아노의 애프터 터치감과 거의 동일한 애프터 터치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고, 해머로부터의 충격이 건반을 통해 연주자의 손가락에 그대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자는 '전자건반악기의 건반구조'를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7-0010834호(2007. 07. 02. 출원)로 제안하였는바, 본 '834의 건반구조는 건반의 회동 경로의 프레임과 건반 사이에 댐퍼저항탄성부재를 장착한 건반구조로서, 상기 댐퍼저항탄성부재는 건반을 누를 때 건반에 원위치 쪽(눌려지지 않은 쪽)으로 탄성저항력을 가함으로써 어쿠스틱 피아노 건반에서의 댐퍼저항감에 대응하는 저항감을 느끼도록 한다.
그러나 실용신안등록출원 '834의 댐퍼저항탄성부재의 적용으로, 어쿠스틱 피아노에서의 댐퍼저항감에 대응하는 터치감이 전자건반악기의 건반구조에서도 느껴지게 되었지만, '834의 댐퍼저항탄성부재는 건반이 회동하기 시작하는 최초 시점부터 댐퍼저항감이 느껴지는 구조이므로, 실제 어쿠스틱 피아노에서의 댐퍼저항감과는 차이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도5의 어쿠스틱 피아노에서의 댐퍼(140)는, 건반(110)을 누르기 시작하는 순간부터 댐퍼저항감이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건반(110)의 누른 후에 위펜(121)이 소정의 각도까지 회동하여 스푼(124)이 댐퍼(140)를 가압하여 댐퍼스프링(141)의 탄성저항력이 건반(110)에 전달되기 시작할 때까지는 댐퍼저항감이 발생하지 아니하고, 이후 건반(110)이 더 눌려져 스푼(124)이 댐퍼스프링(141)의 탄성저항력에 대항하여 댐퍼(140)를 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킬 때부터 댐퍼저항감이 발생하지만, '834의 댐퍼저항탄성부재는 건반을 누르기 시작하는 순간부터 댐퍼저항감이 발생하므로, 비록 '834의 댐퍼저항탄성부재가 어쿠스틱 피아노의 댐퍼저항감에 가까운 댐퍼저항감을 제공할 수는 있다고 하더라도, 어쿠스틱 피아노와는 차이가 있을 수밖에 없다.
달리 설명하면 어쿠스틱 피아노의 경우에는 건반을 누르는 초기에는 건반에 해머의 중량감만이 전달되어 건반이 가볍게 느껴지고, 이후 건반이 어느 정도 눌린 후부터 댐퍼저항감이 더해져 건반이 무겁게 느껴지지만, '834의 댐퍼저항탄성부재의 경우 건반을 누르는 초기부터 해머 중량감과 댐퍼저항감이 모두 전달되어 처음부터 건반이 무겁게 느껴지게 되므로, 어쿠스틱 피아노의 터치감을 실현하는 것에 부족함이 있다.
한편, 도5의 어쿠스틱 피아노의 건반구조(100)에는, 해머(130)의 후방에 백체크(123)가 설치되어서, 해머(130)가 현(130)을 타격한 이후에 백체크(123)가 해머(130)의 후방에 돌출된 캐처(131)를 잡아줌으로써 해머(130)의 요동을 방지하고 있으나, 종래 전자건반악기의 건반구조에는 이런 백체크(123)와 캐처(131)에 대응하는 구조가 구비되어 있지 아니하였기 때문에 해머(130)의 요동을 제거할 수 없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바와 같은 전자건반악기의 건반 터치감에 관련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어쿠스틱 악기에서 건반 터치감의 중요한 부분을 감당하는 댐퍼저항감과 유사한 저항감을 느낄 수 있는 전자건반악기의 건반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어쿠스틱 악기에서와 같은 터치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해머가 적용된 전자건반악기의 건반구조에 관련하여, 건반을 눌렀을 때 해머가 요동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어쿠스틱 악기의 건반 터치감에 보다 접근한 터치감을 제공함과 아울러 해머의 요동에 따른 연주자의 손가락에 대한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는 건자건반악기의 건반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제1 구체예의 전자건반악기의 건반구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구체예의 건반구조는, 건반, 위펜부재, 해머부재, 전기접점 및 댐퍼저항탄성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건반은,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위펜부재는, 상기 건반을 누르면 상기 건반에 의해 가압되어 회동하고, 상기 건반을 누르는 힘이 제거되면 상기 건반을 원위치(눌려지지 않은 위치)로 복귀시키는 위치로 탄성적으로 회동한다.
상기 해머부재는, 상기 건반을 누르면 상기 위펜부재를 통해 가압되어 회동함으로써 그 중량부의 하중이 상기 건반에 가해지도록 한다.
상기 전기접점은, 일정 위치까지 상기 건반이 눌려지면 연결된다.
상기 댐퍼저항탄성부재는, 상기 건반을 누르는 과정에서 어쿠스틱 피아노 건반에서의 댐퍼저항감에 대응하는 탄성저항력을 상기 건반에 가하되, 상기 건반이 일정 각도 이상 눌려진 이후부터 상기 건반에 상기 탄성저항력을 가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댐퍼저항탄성부재는, 상기 위펜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건반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쪽으로 상기 위펜부재에 상기 탄성저항력을 가하는 댐퍼판 스프링을 구비한다. 여기에서 상기 댐퍼판스프링의 일단은 상기 위펜부재의 회동축에 상대적으로 가까운 위치의 상기 위펜부재의 제1 장착부에 걸쳐지고, 상기 댐퍼판스프링의 타단은 상기 위펜부재의 상기 회동축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먼 위치의 상기 위펜부재의 제2 장착부에 걸쳐지며, 상기 일단에 인접한 위치에는 상기 일단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한돌기가 형성되어 있되, 상기 건반이 눌려지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일단과 상기 제한돌기 사이에 일정 거리의 간극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건반을 누를 때 상기 건반이 일정 각도 이상 눌려져 상기 간극이 없어진 이후부터 상기 일단이 상기 제한돌기에 의해 이동이 제한되면서 상기 건반에 상기 탄성저항력을 가하기 시작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위펜부재에는 상기 건반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위치로 상기 위펜부재를 회동시키는 복원력을 제공하는 판스프링 형태의 위펜판스프링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위펜판스프링은 상기 댐퍼판스프링과 나란하게 상기 제1 장착부와 상기 제2 장착부 사이에 걸쳐지고, 상기 건반을 누르기 시작할 때부터 상기 위펜판스프링의 일단이 상기 제한돌기에 의해 이동이 제한되면서 상기 건반에 복원력을 가한다.
본 발명에 따라, 제2 구체예의 전자건반악기의 건반구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2 구체예의 건반구조는, 건반, 위펜부재, 해머부재, 전기접점 및 백체크(back-check)와 캐처(catcher)를 포함한다.
상기 건반은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위펜부재는, 상기 건반을 누르면 상기 건반에 의해 가압되어 회동하고, 상기 건반을 누르는 힘이 제거되면 상기 건반을 원위치(눌려지지 않은 위치)로 복귀시키는 위치로 탄성적으로 회동한다.
상기 해머부재는, 상기 건반을 누르면 상기 위펜부재를 통해 가압되어 회동함으로써 그 중량부의 하중이 상기 건반에 가해지도록 한다.
상기 전기접점은, 일정 위치까지 상기 건반이 눌려지면 연결된다.
상기 백체크는 상기 위펜부재에 구비되되 상기 해머부재 쪽으로 신장 형성되어 있고, 상기 캐처는 상기 백체크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의 상기 해머부재에 구비되어 있다. 이로써 상기 건반의 누름에 의해 상기 위펜부재와 상기 해머부재가 회동할 때 상기 중량부가 상승한 상태에서 상기 캐처가 상기 백체크와의 접촉에 의해 구속되어 상기 해머부재의 요동이 방지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건반악기의 건반구조에 의하면, 상기 댐퍼저항탄성부재의 적용으로, 어쿠스틱 악기에서 건반 터치감의 중요한 부분을 감당하는 댐퍼저항감과 유사한 저항감을 느낄 수 있어서, 보다 어쿠스틱 악기(예, 피아노)에 근접한 터치감을 가지는 전자건반악기의 건반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건반악기의 건반구조에 의하면, 어쿠스틱 악기(예, 피아노)에서와 같은 건반 터치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해머부재가 적용된 전자건반악기의 건반구조에 대하여, 상기 위펜부재와 상기 해머부재 사이에 상기 백체크와 상기 캐처가 적용됨으로써, 건반을 눌렀을 때 상기 해머부재가 요동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어쿠스틱 피아노의 건반 터치감에 보다 접 근한 터치감을 제공하고 상기 해머부재의 요동에 의해 연주자의 손가락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자건반악기의 건반구조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구체예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건반악기의 건반구조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아니한다.
1. 본 발명의 건반구조가 적용되기 바람직한 건반구조
본 발명의 특징을 설명하기에 앞서 우선 본 발명의 건반구조가 적용되기에 바람직한 전자건반악기(예, 전자피아노)의 건반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전자건반악기라 함은 이하에서 주로 설명하는 전자피아노뿐만 아니라 전자오르간 등 건반을 사용하는 각종 전자악기를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된다.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바람직한 건반구조(1)는, 건반(10), 위펜부재(20), 해머부재(30), 잭부재(40), 전기접점(50) 및 릴리즈부재(60)를 포함하며, 이들 부재들은 전자피아노와 같은 전자건반악기의 건반의 골격을 이루는 프레임(2)에 적절하게 배치 및 장착된다. 잭부재(40)와 릴리즈부재(60)는 본 발명의 건반구조(1)에 필수적인 것은 아니지만 함께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건반(10)은 널리 전자건반악기에 사용되는 통상적인 건반으로서, 첨부도면에 있어서는 단순화를 위해 하나의 건반만을 도시하였다.
통상적인 건반과 마찬가지로, 본 발명에서의 건반(10)도 그 일단이 프레임(2)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건반(10)의 아래에 위치하는 프레임(2)에는 프레임(2)과 건반(10)의 충돌을 완충하기 위한 쿠션부재(12)를 장착할 수 있다. 건반(10)의 회동 구조 등은 관련 기술분야에 널리 알려진 일반적인 기술이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건반(10)의 하측에는 위펜부재(20)가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부재번호 20의 명칭을 '위펜부재'라 한 것은, 어쿠스틱 피아노에 있어서 건반의 작용을 해머에 전달하는 부재를 '위펜'이라 하므로 이를 채용한 것이다.
위펜부재(20)의 일단은 프레임(2)에 회동축(22)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건반(10)을 누르면 건반(10)의 하향 회동에 의해 가압되어 아래로 회동한다. 도시된 예에서는 건반(10)의 하면에 돌기(11)가 형성되어 있어서 건반(10)을 누르면 돌기(11)가 위펜부재(20)의 상면을 가압하여 건반(10)의 하향 회동과 연동하여 위펜부재(20)도 하향 회동하도록 되어 있다.
위펜부재(20)에는 탄성부재(23: 예, 위펜판스프링)가 부착되어 있다. 탄성부재(23)는 건반(10)을 원위치(눌리지 않은 위치)로 복귀시키는 쪽으로 위펜부재(20)를 회동시키는 복원력을 제공하며, 따라서 건반(10)에 가해진 힘(누르는 힘)이 제거되면 위펜부재(20)가 상향 회동하면서 건반(10)을 위로 밀어 올려 건반(10)이 원위치로 복귀된다. 탄성부재의 바람직한 예인 위펜판스프링(23)에 대해서는 이하에 서 다시 설명한다.
위펜부재(20)의 하측에는 해머부재(30)가 설치되어 있다. 해머부재(30)는 프레임(2)에 회동축(33)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회동축(33)을 중심으로 위펜부재(20)의 아래쪽으로 뻗은 일측(도면에서 회동축 33의 우측)에는 후술하는 잭부재(40)와 상호 작용하는 제1 작용부(31)가 구비되어 있고, 타측(도면에서 회동축 33의 좌측)에는 건반(10)에 터치감을 제공하기 위한 중량부(32)가 구비되어 있다. 중량부(32) 주변의 프레임(2)에는 중량부(32)와 프레임(2)의 충돌을 완충하기 위한 쿠션부재(34)를 설치할 수 있다.
도시된 구체예에서 해머부재(30)는, 중량부(32)를 이루는 좌측의 금속 부분과, 회동축(33)이 장착되고 제1 작용부(31)가 구비된 우측의 플라스틱 부분으로 되어 있다. 제1 작용부(31)에는 후술하는 잭부재(40)의 제2 작용부(41)가 접하여 미끄럼 이동하는 단차진 경사접면(31a)이 형성되어 있다.
잭부재(40)는 위펜부재(20)의 일 지점에 설치된 회동축(43)을 중심으로 위펜부재(20)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위펜부재(20)의 작동을 해머부재(30)에 전달하는 작용을 한다. 잭부재(40)의 일측(도면에서 회동축 43의 아래쪽)에는 해머부재(30)의 제1 작용부(31)를 선택적으로 가압하는(서로 접하여 힘을 전달하는) 제2 작용부(41)가 구비되어 있고, 바람직하게 잭부재(40)의 타측(도면에서 회동축 43의 우측)에는 후술하는 릴리즈부재(60)와 상호작용하는 트리거부(42)가 구비되어 있다.
잭부재(40)에는 그 제2 작용부(41)가 해머부재(30)의 제1 작용부(31)를 가압 할 수 있는 원위치로 탄성적으로 복귀 회동하도록 잭부재(4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44: 예, 잭스프링)가 설치되어 있다.
위와 같은 건반(10), 위펜부재(20), 해머부재(30) 및 잭부재(40)의 유기적 구조에 따라, 건반(10)이 눌려지지 않은 상태에서 제2 작용부(41)는 제1 작용부(31)를 가압할 수 있는 원위치에 위치하고, 이런 상태에서 건반(10)을 누르게 되면, 건반(10)의 하향 회동, 위펜부재(20)의 하향 회동, 및 해머부재(30)의 중량부(32)의 상향 회동으로, 연주자는 해머주재(30)의 중량부(32)의 중량감에 의해 터치감을 느낄 수 있게 되고, 해머부재(30)의 단차진 경사접면(31a)을 따라 제2 작용부(41)가 미끄럼 이동하면서 애프터 터치감을 느끼게 된다.
전기접점(50)은 건반(10)을 누르면 가압되어 전기적 접점이 연결됨으로써 해당 건반(10)에 대응하는 음향이 발생되도록 하는 통상적인 전자건반악기 전자회로의 일부이다.
전기접점(50)은 건반(10)이나 위펜부재(20) 등의 회동 경로에 설치되어 정해진 일정 위치까지 건반(10)이 눌려지면 연결된다. 도시된 구체예는 위펜부재(20)의 타단에 아래로 돌출 형성된 접점가압부(21)의 아래에 전기접점(50)을 설치한 예를 도시한 것이며, 이로써 건반(10)의 가압으로 위펜부재(20)가 정해진 일정 위치 이상 아래로 회동하면 접점가압부(21)가 전지접점(50)을 가압하여 대응하는 음향이 발생하게 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전기접점(50)을 위펜부재(20)가 아닌 건반(10)이나 해머부재(30)와 같은 다른 부재의 회동경로에 설치하여도 동일한 작동을 하게 됨은 당연하다.
릴리즈부재(60)는 정해진 일정 위치까지 건반(10)이 눌려지면 해머부재(30)의 제1 작용부(31)에 대한 잭부재(40)의 제2 작용부(41)의 가압 상태를 해제시키는 부재이다. 릴리즈부재(60)로서는 정해진 일정 위치까지 건반(10)이 눌려지면 해머부재(30)의 제1 작용부(31)에 대한 잭부재(40)의 제2 작용부(41)의 가압 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는 구성이라면 특히 제한되지 아니한다.
도시된 구체예에 있어서는, 회동축(43)을 중심으로 제2 작용부(41)와 일정 각도로 길게 형성된 트리거부(42)를 구비시켜 잭부재(40)를 대략 L자 형상으로 형성하고, 트리거부(42)의 아래에 릴리즈부재(60)를 설치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와 같은 잭부재(40)와 릴리즈부재(60)의 구성에 따라, 정해진 일정 위치 이상으로 건반(10)이 눌려지면 릴리즈부재(60)가 트리거부(42)를 가압하여 잭부재(40)를 회동시키게 되어, 제1 작용부(31)에 대한 제2 작용부(41)의 가압 상태가 해제된다.
이하, 도1 내지 도3을 참조하여 본 건반구조(1)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1의 A의 건반(10)이 눌려지지 않은 초기 상태에서, 건반(10)은 탄성부재(23: 위펜판스프링)와 위펜부재(20)에 의해 상측으로 가압되어 원위치로 복귀되어 있고, 잭부재(40)의 탄성부재(44: 잭스프링)의 작용으로 잭부재(40)의 제2 작용부(41)는 해머부재(30)의 제1 작용부(31)를 가압할 수 있는 상태로 복귀되어 있으며, 해머부재(30)의 중량부(32)는 아래쪽에 회동하여 있다.
도1의 B와 같이 건반(10)을 누르기 시작하면, 건반(10)이 위펜부재(20)를 가압하고, 해머부재(30)는 잭부재(40)의 제2 작용부(41)에 의해 가압되어 중량부(32) 가 상측으로 회동하게 되므로, 연주자는 어쿠스틱 피아노에서와 같이 중량부(32)에 의한 터치감을 느끼게 된다.
도2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반(10)이 어느 정도 이상 눌려지면, 위펜부재(20)의 접점가압부(21)가 전기접점(50)을 가압하여 대응하는 음향이 발생하고, 잭부재(40)의 트리거부(42)는 아래에 있는 릴리즈부재(60)의 바로 위에 놓이게 되어 릴리즈부재(60)가 트리거부(42)를 가압하기 시작함으로써 애프터 터치감의 시작점이 된다.
이후, 도2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반(10)이 더욱 눌려지면, 잭부재(40)의 트리거부(42)가 릴리즈부재(60)에 의해 가압되어 잭부재(40)가 회동하게 되고, 잭부재(40)의 제2 작용부(41)가 경사접면(31a)의 단차를 따라 미끄러지며, 결국 해머부재(30)의 제1 작용부(31)가 잭부재(40)의 제2 작용부(41)의 가압상태로부터 풀리게 되고, 이 순간 건반(10)에 전달되었던 해머부재(30)의 중량부(32)의 중량감이 사라지게 되므로, 연주자는 제1 작용부(31)와 제2 작용부(41)의 단차 이동, 가압상태 해제 및 중량감 소멸의 순간을 애프터 터치감으로 느낄 수 있게 된다.
애프터 터치감이 느껴진 이후 건반(10)이 최하단까지 눌려지면, 도3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머부재(30)는 중량부(32)가 관성에 의해 프레임(2)의 상측 쿠션부재(34)에 이를 때까지 회동할 수 있고, 이후 도3의 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중에 의해 아래로 약간 회동하게 되며, 이런 과정에서는 제1 작용부(31)와 제2 작용부(41)는 가압상태가 해제되어 있어 해머부재(30)와 위펜부재(20) 사이의 힘의 전달경로가 단절되어 있기 때문에, 중량부(32)가 쿠션부재(34)에 부딪친 충격 등이 위펜부재(20)와 건반(10)을 통해 연주자에게 전달되지 아니한다. 따라서 연주자가 해머부재로부터 받는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고, 이런 충격은 도3의 F에 도시되고 이후에 설명하는 백체크(26)와 캐처(35)의 작용에 의해서도 완화된다.
이후, 연주자의 건반누름이 없어지면, 위펜부재(20)의 탄성부재(23: 위펜판스프링)의 작용에 의해 위펜부재(20)와 건반(10)은 상측으로 회동하여 원위치로 복귀하고, 탄성부재(44: 잭스프링)의 작용으로 잭부재(40)도 회동되어 잭부재(40)의 제2 작용부(41)가 해머부재(30)의 제1 작용부(31)를 다시 가압할 수 있는 원위치로 복귀하며, 해머부재(30)도 중량부(32)의 자중에 의해 회동하여 중량부(32)가 최하측에 위치하고 제1 작용부(31)가 최상측에 위치하는 원위치로 복귀하여, 도1의 A의 상태가 된다.
해머부재(30)의 제1 작용부(31)와 잭부재(40)의 제2 작용부(41)의 구조는, 도1 내지 도3에 예시된 것 이외에 전술한 특허출원 제10-2007-0038590호에 적용된 것을 포함하여 다양한 다른 구조가 적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2. 제1 구체예(댐퍼저항감이 느껴지는 건반구조)
이하, 도1 내지 도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1 구체예의 건반구조(1)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구체예의 건반구조(1)는, 건반(10), 위펜부재(20), 해머부재(30), 전기접점(50) 및 댐퍼저항탄성부재(80)를 기본적으로 포함한다. 제1 구체예의 건반구조(1)를 구성하는 건반(10), 위펜부재(20), 해머부재(30) 및 전기접 점(50)은 앞서 설명한 구성을 본 발명에 맞게 적용할 수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제1 구체예의 특징적 구조에 관하여 설명한다. 아울러 전술한 잭부재(40)와 릴리즈부재(60)는 제1 구체예의 건반구조(1)에 필수적인 것은 아니지만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구체예의 특징에 따라 본 구체예의 건반구조(1)에는 댐퍼저항탄성부재(80)가 포함된다. 댐퍼저항탄성부재(80)는 건반(10)을 누르는 과정에서 어쿠스틱 피아노 건반에서의 댐퍼저항감에 대응하는 탄성저항력을 건반(10)에 가하되, 건반을 누르기 시작하는 순간부터 가하는 것이 아니라 건반이 일정 각도 이상 눌려진 이후부터 가하는 부재이다.
제1 구체예의 건반구조(1)에 적용할 수 있는 댐퍼저항탄성부재(80)로서는, 건반(10)을 누르는 초기에는 탄성저항력을 가하지 아니하여 해머(30)의 중량감만이 건반(10)에 전달되어 건반이 가볍게 느껴지도록 하고, 건반(10)이 어느 정도 눌린 후부터 해머의 중량감에 탄성저항력이 더해져 건반이 무겁게 느껴지도록 함으로써, 어쿠스틱 피아노 건반에서의 댐퍼저항감에 대응하는 탄성저항력을 건반(10)에 제공하는 것이라면 특히 제한되지 아니한다.
바람직하게, 댐퍼저항탄성부재(80)는, 건반(10)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쪽으로 위펜부재(20)에 탄성저항력을 가하는 댐퍼판스프링(81)을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댐퍼판스프링(81)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을 가지는 소재를 호형(활형상)으로 성형한 판스프링으로서, 그 일단(81a)은 회동축(22)에 상대적으로 가까운 위치의 위펜부재(20)에 형성된 제1 장착부(24)에 걸쳐서 고정되고, 댐퍼판스프링(81)의 타단(81b)은 위펜부재(20)의 회동축(22)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먼 위치의 위펜부재(20)에 형성된 제2 장착부(25)에 걸쳐서 고정된다.
도1 내지 도4에 도시된 구체예에 있어서는 댐퍼판스프링(81)의 양단(81a, 81b)에 슬롯(81c)을 형성하고, 이에 대응하는 위펜부재(20)의 제1 장착부(24)와 제2 장착부(25)에는 슬롯(81c) 안으로 끼워지는 돌기(24a, 25a)를 형성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바람직하게 댐퍼스프링(81)의 일단(81a)을 둥글게 접고 이에 대응하는 제1 장착부(24)에는 둥근 일단(81a)의 형상에 대응하는 홈(24b)을 형성하여, 일단(81a)이 홈(24b) 속에 안전하게 안착되도록 할 수 있다.
제1 장착부(24)와 제2 장착부(25)에 걸쳐서 끼워진 댐퍼판스프링(81)의 일단(81a)은 해당 부위의 위펜부재(20)의 두께보다 넓어 약간 밖으로 노출되어 있어서 그 이동경로에 후술하는 제한돌기(2a)와 같은 장해물이 있으면 돌출된 부분이 장해물에 걸려 그 이동이 제한된다.
댐퍼판스프링(81)의 일단(81a)에 인접한 프레임(2)에는 일단(81a)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한돌기(2a)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위펜부재(20)의 회동으로 댐퍼판스프링(81)의 일단(81a)이 이동하려 할 때, 그 이동경로에 제한돌기(2a)가 존재하면 일단(81a)의 이동이 제한되면서 댐퍼판스프링(81)이 그 탄성력을 극복하고 위로 볼록하게 되면서 건반에 탄성저항력을 가하게 된다.
건반(10)이 눌려지지 않은 원위치 상태에서 위펜부재(20)에 장착된 덤퍼판스프링(81)의 일단(81a)과 제한돌기(2a)는 그 사이에 일정 거리의 간극(G)이 존재하 는 상태의 배치를 이룬다.
따라서 처음 건반을 누르기 시작하여 어느 정도 건반이 눌려지기까지(즉, 산기 간극이 모두 소진될 때까지는: 도1의 A 및 B 참조)는, 건반을 눌러도 상기 일단(81a)이 제한돌기(2a)에 의해 그 이동이 제한되지 아니하므로, 덤퍼판스프링(81)의 탄성저항력이 건반에 전달되지 아니하며, 간극(G)이 없어진 이후부터 건반이 계속 눌려지면 일단(81a)이 제한돌기(2a)에 의해 이동이 제한되면서 댐퍼판스프링(81)이 위로 볼록하게 되면서 건반(10)에 탄성저항력이 가해지고(도2와 도3 참조), 이로서 연주자는 댐퍼저항감을 느끼게 된다.
앞서 설명한 위펜부재(20)의 탄성부재(23)는 건반(10)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위치로 위펜부재(20)를 회동시키는 복원력을 제공하는 부재인바, 바람직하게 이런 탄성부재(23)로서 상기 덤퍼판스프링(81)과 그 형상이 동일한 판스프링 형태의 위펜판스프링(23)을 적용할 수 있다.
위펜판스프링(23)은 댐퍼판스프링(81)과 나란하게 제1 장착부(24)와 제2 장착부(25) 사이에 걸쳐진다. 위펜판스프링(23)은 댐퍼판스프링(81)과는 달리 전술한 간극(G)이 없으며, 따라서 건반(10)을 누르기 시작할 때부터 위펜판스프링(23)의 일단(23a)이 제한돌기(2a)에 의해 이동이 제한되고 위펜판스프링(23)이 위로 볼록하게 휘면서 건반(10)에 탄성 복원력을 가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구체예의 본 발명에 따른 건반구조(1)는, 위펜부재(20)에 댐퍼저항탄성부재(80)를 적용함에 따라, 건반을 누르는 초기에는 건반에 해머부재의 중량감만이 전달되어 건반이 가볍게 느껴지고, 이후 건반이 어느 정도 눌린 후부터 댐퍼저항감이 더해져 건반이 무겁게 느껴지는 어쿠스틱 피아노의 건반과 매우 유사한 정교한 터치감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3. 제2 구체예(백체크-캐처 구조가 구비된 건반구조)
이하, 도1 내지 도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2 구체예의 건반구조(1)를 설명한다.
제2 구체예의 건반구조(1)는, 건반(10), 위펜부재(20), 해머부재(30), 및 전기접점(50)을 포함하고, 상기 위펜부재(20)와 상기 해머부재(30) 사이에 백체크(26)와 캐처(35)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 구체예의 건반구조(1)를 구성하는 건반(10), 위펜부재(20), 해머부재(30) 및 전기접점(50)도 앞서 설명한 구성을 적용할 수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백체크(26)와 캐처(35)를 위주로 설명한다. 전술한 잭부재(40)와 릴리즈부재(60)는 제2 구체예의 건반구조(1)에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구체예의 특징에 따라 본 구체예의 건반구조(1)에는 백체크(26)와 캐처(35)가 구비되어 있다.
백체크(26)는 위펜부재(20)에 형성되어 있으며, 도시된 구체예에 있어서 백체크(26)는 위펜부재(20)의 우측에서 해머부재(30)의 중량부(32)의 반대쪽에 위치하는 제1 작용부(31) 쪽으로 신장되게 페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백체크(26)에 대응하는 캐처(35)는 해머부재(30)의 제1 작용부(31)의 끝단에 구비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캐처(35)에 접하는 면의 백체크(26)에는 백체크(26)와 캐처(35)의 접촉 소음을 방지하고 백체크(26)가 캐처(35)를 구속할 수 있을 마찰력을 제공하도록 펠트와 같은 접촉소재(26a)를 부착할 수 있다.
제2 구체예의 건반구조(1)에 백체크(26)와 캐처(35)를 적용함에 따라, 건반(10)이 최하단까지 눌려 해머부재(30)의 중량부(32)가 관성에 의해 프레임(2)의 상측 쿠션부재(34)에 이르는 위치에 이르면, 위펜부재(20)의 백체크(26)는 캐처(35)와 접하여 그 이동을 구속할 수 있는 위치에 이르게 되고(도3의 E 참조), 이후 중량부(32)의 자중에 의해 해매부재(30)가 약간 회동하여 자리를 잡으면(도3의 F 참조), 캐처(35)가 약간 상승하면서 백체크(26)에 의해 완전히 구속되므로, 해머부재(30)가 의도하지 않게 요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후 건반을 놓으면, 백체크(26)에 의한 캐처(35)의 구속 상태가 풀리면서 위펜부재(20)와 해머부재(30)가 원위치로 회동하게 된다(도1의 A 참조).
따라서, 제2 구체예의 건반구조(1)에 의하면, 건반을 눌렀을 때 해머가 요동하는 것이 백체크(26)와 캐처(35)의 상호 작용에 의해 방지되므로, 어쿠스틱 피아노의 터치감에 보다 접근한 터치감을 얻을 수 있고, 해머부재(30)의 요동으로 인한 연주자 손가락에 대한 충격을 더욱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도1 내지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전자건반악기의 건반구조와 그 작동순서를 보여주는 개략도,
도4는 댐퍼저항탄성부재가 적용된 위펜부재의 사시도,
도5는 종래 어쿠스틱 피아노의 예시적인 건반구조의 개략도,
도6은 종래의 예시적인 전자피아노 건반구조를 보여주는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본 발명의 건반구조 2: 프레임
2a: 제한돌기 10: 건반
20: 위펜부재 21: 접점가압부
22: 회동축 23: 탄성부재(위펜판스프링)
23a: 위펜판스프링의 일단 24: 제1 장착부
24a: 제1 장착부의 돌기 24b: 홈
25: 제2 장착부 25a: 제2 장착부의 돌기
26: 백체크 26a: 접촉소재
30: 해머부재 31: 제1 작용부
31a: 경사접면 32: 중량부
33: 회동축 35: 캐처
40: 잭부재 41: 제2 작용부
42: 트리거부 43: 회동축
44: 탄성부재(잭스프링) 50: 전기접점
60: 릴리즈부재 80: 댐퍼저항탄성부재
81: 댐퍼판스프링 81a: 댐퍼판스프링의 일단
81b: 댐퍼판스프링의 타단 81c: 슬롯

Claims (4)

  1.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건반(10);
    상기 건반(10)을 누르면 상기 건반(10)에 의해 가압되어 회동하고, 상기 건반(10)을 누르는 힘이 제거되면 상기 건반(10)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위치로 탄성적으로 회동하는 위펜부재(20);
    상기 건반(10)을 누르면 상기 위펜부재(20)를 통해 가압되어 회동함으로써 그 중량부(32)의 하중이 상기 건반(10)에 가해지도록 하는 해머부재(30);
    일정 위치까지 상기 건반(10)이 눌려지면 연결되는 전기접점(50); 및
    상기 건반(10)을 누르는 과정에서 어쿠스틱 피아노 건반에서의 댐퍼저항감에 대응하는 탄성저항력을 상기 건반(10)에 가하되, 상기 건반(10)이 일정 각도 이상 눌려진 이후부터 상기 건반(10)에 상기 탄성저항력을 가하는 댐퍼저항탄성부재(8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자건반악기의 건반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저항탄성부재(80)는, 상기 위펜부재(20)에 설치되어 상기 건반(10)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쪽으로 상기 위펜부재(20)에 상기 탄성저항력을 가하는 댐퍼판스프링(81)을 구비하고;
    상기 댐퍼판스프링(81)의 일단(81a)은 상기 위펜부재(20)의 회동축(22)에 상대적으로 가까운 위치의 상기 위펜부재(20)의 제1 장착부(24)에 걸쳐지고, 상기 댐퍼판스프링(81)의 타단(81b)은 상기 위펜부재(20)의 상기 회동축(22)으로부터 상대 적으로 먼 위치의 상기 위펜부재(20)의 제2 장착부(25)에 걸쳐지고, 상기 일단(81a)에 인접한 위치에는 상기 일단(81a)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한돌기(2a)가 형성되어 있되, 상기 건반(10)이 눌려지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일단(81a)과 상기 제한돌기(2a) 사이에 일정 거리의 간극(G)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건반(10)을 누를 때 상기 건반(10)이 일정 각도 이상 눌려져 상기 간극(G)이 없어진 이후부터 상기 일단(81a)이 상기 제한돌기(2a)에 의해 이동이 제한되면서 상기 건반(10)에 상기 탄성저항력을 가하기 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건반악기의 건반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펜부재(20)에는 상기 건반(10)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위치로 상기 위펜부재(20)를 회동시키는 복원력을 제공하는 판스프링 형태의 위펜판스프링(23)을 포함하고;
    상기 위펜판스프링(23)은 상기 댐퍼판스프링(81)과 나란하게 상기 제1 장착부(24)와 상기 제2 장착부(25) 사이에 걸쳐지고, 상기 건반(10)을 누르기 시작할 때부터 상기 위펜판스프링(23)의 일단(23a)이 상기 제한돌기(2a)에 의해 이동이 제한되면서 상기 건반(10)에 복원력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건반악기의 건반구조,
  4.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건반(10);
    상기 건반(10)을 누르면 상기 건반(10)에 의해 가압되어 회동하고, 상기 건반(10)을 누르는 힘이 제거되면 상기 건반(10)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위치로 탄성 적으로 회동하는 위펜부재(20);
    상기 건반(10)을 누르면 상기 위펜부재(20)를 통해 가압되어 회동함으로써 그 중량부(32)의 하중이 상기 건반(10)에 가해지도록 하는 해머부재(30); 및
    일정 위치까지 상기 건반(10)이 눌려지면 연결되는 전기접점(50); 을 포함하고:
    상기 위펜부재(20)에는 상기 해머부재(30) 쪽으로 신장 형성된 백체크(back-check: 26)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해머부재(30)에는 상기 백체크(26)의 위치에 대응하여 캐처(35: catcher)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건반(10)의 누름에 의해 상기 위펜부재(20)와 상기 해머부재(30)가 회동할 때 상기 중량부(32)가 상승한 상태에서 상기 캐처(35)가 상기 백체크(26)와의 접촉에 의해 구속되어 상기 해머부재(30)의 요동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건반악기의 건반구조.
KR1020070125887A 2007-12-06 2007-12-06 전자건반악기의 건반구조 KR1009656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5887A KR100965620B1 (ko) 2007-12-06 2007-12-06 전자건반악기의 건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5887A KR100965620B1 (ko) 2007-12-06 2007-12-06 전자건반악기의 건반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9183A true KR20090059183A (ko) 2009-06-11
KR100965620B1 KR100965620B1 (ko) 2010-06-23

Family

ID=40989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5887A KR100965620B1 (ko) 2007-12-06 2007-12-06 전자건반악기의 건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562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7843B1 (ko) * 2013-05-08 2014-06-16 김진문 터치감이 개선된 전자건반악기용 건반구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58400B2 (ja) * 1993-01-29 2003-10-2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子楽器用鍵盤装置
JPH1049166A (ja) * 1996-08-07 1998-02-20 Roland Corp 電子楽器の鍵盤装置
JPH1091148A (ja) * 1996-09-18 1998-04-10 Roland Corp 電子楽器の鍵盤装置
KR20020045758A (ko) * 2000-12-11 2002-06-20 양원모 디지탈 피아노용 액션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7843B1 (ko) * 2013-05-08 2014-06-16 김진문 터치감이 개선된 전자건반악기용 건반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5620B1 (ko) 2010-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43843B2 (en) Reactive force control apparatus for pedal of electronic keyboard instrument
TW297120B (ko)
JP5412859B2 (ja) アップライト型アクション及び鍵盤楽器
JP2002258835A (ja) 鍵盤楽器の脱進調整装置および鍵盤楽器の音量制御装置
JPH08314439A (ja) 鍵盤装置
JP3900706B2 (ja) 鍵盤装置
KR100806560B1 (ko) 전자건반악기의 건반구조
KR100611605B1 (ko) 업라이트형 건반악기
US5844154A (en) Combination acoustic and electronic piano in which the acoustic action is disabled when played in the electronic mode
KR100965620B1 (ko) 전자건반악기의 건반구조
JP5145903B2 (ja) 電子鍵盤楽器のペダル装置
KR20080004880U (ko) 전자건반악기의 건반구조
JPH0719138B2 (ja) 電子楽器の鍵盤装置
JP2657587B2 (ja) 電子ピアノの鍵盤装置
US5945613A (en) Combination acoustic and electronic piano in which the acoustic action is disabled when played in the electronic mode
JP3438741B2 (ja) 鍵盤楽器
JP2003099062A (ja) 鍵盤装置
JPH10133649A (ja) 電子楽器の鍵盤装置
JP3601113B2 (ja) 鍵盤装置
JP3910516B2 (ja) 鍵盤装置
JPS5825427Y2 (ja) 鍵盤楽器のダンパ−機構
JPS6243353Y2 (ko)
JP3519549B2 (ja) 鍵盤のキャプスタン調整装置および鍵盤装置
JPH06118943A (ja) 鍵盤楽器
JPS5921423Y2 (ja) 電子楽器の鍵盤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8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