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45758A - 디지탈 피아노용 액션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탈 피아노용 액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45758A
KR20020045758A KR1020000075153A KR20000075153A KR20020045758A KR 20020045758 A KR20020045758 A KR 20020045758A KR 1020000075153 A KR1020000075153 A KR 1020000075153A KR 20000075153 A KR20000075153 A KR 20000075153A KR 20020045758 A KR20020045758 A KR 200200457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mmer
keyboard
fixed
digital piano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51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원모
Original Assignee
양원모
주식회사벨로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원모, 주식회사벨로체 filed Critical 양원모
Priority to KR10200000751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45758A/ko
Publication of KR200200457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5758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2Constructional details
    • G10H1/34Switch arrangements, e.g. keyboards or mechanical switch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44Structural association with individual keys
    • G10H1/346Keys with an arrangement for simulating the feeling of a piano key, e.g. using counterweights, springs, cam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CPIANOS, HARPSICHORDS, SPINETS OR SIMILA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TH ONE OR MORE KEYBOARDS
    • G10C3/00Details or accessories
    • G10C3/12Keyboards; Key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CPIANOS, HARPSICHORDS, SPINETS OR SIMILA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TH ONE OR MORE KEYBOARDS
    • G10C3/00Details or accessories
    • G10C3/16Ac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30/00General physical, ergonomic or hardware implementation of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e.g. shape or architecture
    • G10H2230/045Special instrument [spint], i.e. mimicking the ergonomy, shape, sound or other characteristic of a specific acoustic musical instrument category
    • G10H2230/065Spint piano, i.e. mimicking acoustic musical instruments with piano, cembalo or spinet features, e.g. with piano-like keyboard; Electrophonic aspects of piano-like acoustic keyboard instruments; MIDI-like control theref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탈 피아노에 있어서, 업라이트(upright) 피아노용 액션장치의 하중분포도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하중분포도를 갖도록 디지탈피아노의 액션장치를 설치하여 어코스틱 피아노와 디지탈 피아노의 텃치감 차이를 최소화함으로써 디지탈 피아노의 사용에 따른 사용자의 거부감을 최소화 하는 디지탈 피아노용 액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그 기술적인 구성은, 건반프레임의 상면에 건방이 상하방향으로 회동토록 설치되는 건반동작부와, 상기 건반의 압건조작에 의하여 해머가 회전토록 되면서 건반에 접촉되는 접점위치가 건반상에서 변동토록 설치되는 해머동작부와, 상기 건반의 누름동작에 의해 음특성을 구현토록 하는 음 구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디지탈 피아노용 액션장치{A device for action digital piano}
본 발명은 디지탈 피아노용 액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는 특히, 업라이트 형인 어코스틱 피아노의 액션과 실질적으로 동일효과를 갖도록 디지탈 피아노의 액션장치를 설치하여 건반의 텃치시 어코스틱 피아노와 디지탈 피아노의 텃치감 차이를 최소화 함으로써 디지탈 피아노 사용에 따른 연주자의 거부감을 최소화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디지탈 피아노는, 어코스틱 피아노와 동일 형상의 외형을 갖도록 형성되는 몸체에 건반과 액션을 설치하고, 상기 건반의 저면이나 액션의 일측에 음원칩을 동작시키는 탄성스위치가 설치되며, 상기 건반의 텃치시 탄성 건반이나 액션의 접촉에 의해 스위치가 동작하여 음원칩을 동작시키고, 상기 음원칩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스피커를 통하여 피아노의 음이 외부에 전달토록 되는 것이다.
이와같은 기술과 관련된 종래의 디지탈 피아노용 건반장치는 도1에 도시한 바와같이, 베이스판(10)의 상부 일측에 건반(15)이 힌지(20)로서 연결되고, 상기 힌지(20)의 일측으로 베이스판(10)에 고정되는 탄성부재(25)이 탄성지지되며, 상기 건반(15)의 내측에 동작바(30)가 하향 돌출되어 베이스판(10)에 지지되는 접점스위치(35)에 접점토록 설치되고, 상기 건반(15)이 하향시 베이스판(10)에 힌지(40) 연결되는 중량추(45)를 상향토록 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상기와 같은 건반장치는, 건반(15)을 텃치하면 건반(15)이 하향되어 베이스판(10)에 고정되는 탄성부재(25)를 압입함과 동시에 베이스판(10)에 지지되는 접점스위치(35)에 접점토록 하여 특정음을 구현시키고, 또한 상기 건반(15)이 하향할때 베이스판(10)에 힌지(40)로서 연결되는 중량추(45)를 상향토록 하여 일반적인 어코스틱 피아노의 텃치감을 구현토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디지탈 피아노용 건반장치는, 건반의 저부에 건반의 텃치감 향상을 위하여 설치되는 중량체에 의한 디지탈 피아노의 높이가 증가되고, 건반(15)의 압건시 탄성부재를 압입하거나 중량추를 상승시키는 역활만을 수행하여 일반적인 어코스틱 피아노의 해머가 현을 타격한후 그대로 고정되는 상태인 백첵(back check)의 느낌을 구현할수 없게된다.
또한, 상기 중량추를 하향시킬 수록 건반을 누르는 하중이 감소토록 되어 어코스틱피아노의 건반이 접촉되는 해머 고정핀에서 해머의 앵글이 접촉되는 거리가 점차로 축소되어 해머를 움직이는 하중이 증가되는 느낌인 렛 오프(let off)의 기능역시 완벽하게 수행할수 없어 건반의 텃치감이 어코스틱 피아노에 비하여 크게 차이가 발생되어 디지탈 피아노의 사용시 사용자의 거부감이 발생토록 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어코스틱 피아노와 디자탈 피아노의 텃치감 차이를 최소화 하여 디지탈피아노 사용에 따른 사용자의 거부감 발생을 최소화 하고, 건반의 압건조작에 의해 동작토록 되는액션의 기능을 단순화 하여 제작및 설치가 손쉽게 이루어 지는 디지탈 피아노용 액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1는 종래의 디지탈 피아노용 액션을 도시한 개략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탈 피아노용 액션의 측면 장착상태도
도3a,b는 본 발명에 따른 피아노용 해머의 연결상태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탈 피아노용 접점노브를 도시한 개략도
도5a,b,c,d는 본 발명에 따른 건반의 압건시 건반에 접촉되는 액션의 동작상태도
도6a는 본 발명에 따른 건반의 동작시 하중 분포도를 도시한 그래프도
도6b는 종래의 디지탈 피아노의 하중분포 상태를 도시한 그래프도
도6c는 일반적인 어코스틱 피아노의 하중분포 상태를 도시한 그래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30a,130b...건반 140...수평프레임
210...수직프레임 230...백첵부
240...해머몸체 250...지지체
320...기판 330...탄성노브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서 본 발명은, 건반프레임의 상면에 건반이 지지수단을 통하여 지지되어 상하방향으로 회동토록 설치되는 건반동작부와,
상기 건반의 압건조작에 의하여 건반의 일측에 접촉토록 형성되는 해머의 접점이 건반상에서 위치변동하면서 회전토록 수직프레임에 고정되는 해머동작부와,
상기 건반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어 건반의 누름동작에 의해 음특성을 구현토록 하는 음구현부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디지탈 피아노의 액션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피아노용 액션의 장착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3는 본 발명에 따른 피아노용 해머를 도시한 개략도이며,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탈 피아노용 접점노브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건반의 동작상태도이며,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건반의 동작에 따른 하중 분포도를 도시한 그래프로서 본 발명은, 건반동작부(100), 해머동작부(200), 음 구현부(300)로서 이루어 진다.
상기 건반부(100)은, 지지홀(110)과 관통홀(120)을 갖는 다수개의 흑,백건반(130a)(130b)으로 이루어져 수평프레임(140)의 상면에 설치되고, 지지수단(150)을 통하여 지지되어 상하방향으로 회동토록 설치되며, 상기 건방의 단부 상측에 탄성체(130c)가 고정된다.
상기 지지수단(150)은, 상기 지지홀(110)에 삽입토록 고정브라켓(150a)에 고정되는 고정핀(150b)과, 관통홀(120)에 삽입토록 지지편(150c)에 고정되는 지지핀(150d)및, 건반(130a)(130b)의 일측이 접촉토록 되는 탄성패드(150e)로서 구성된다.
상기 건반부(100)의 압건조작에 의하여 동작하는 해머동작부(200)는, 상기 흑,백건반(130a)(130b)의 내측단부 상면에 고정되는 탄성체(130c)에 접촉토록 수평프레임(140)의 일측에 고정되는 수직프레임(210)에 연결수단(220)을 통하여 해머(280)가 고정되며, 상기 해머(280)는, 수직프레임(210)에 고정되는 백첵부(230)에 충돌토록 설치되는 해머몸체(240)와 지지체(250)로서 구성되고, 상기 지지체(250)의 양측에 요홀(260)이 형성되어 중량체(270)가 고정되고, 상기 지지체(250)의 저면에 제1,제2경사면(250a)(250b)이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헤머몸체(240)의 전방부에 탄성체(240a)가 부착된다.
상기 연결수단(220)은, 수직프레인(210)에 고정되는 탄성지지판(220c)에 핀고정홈(220d)이 형성되고, 이에 삽입되는 지지체(250)에 역시 핀고정홈(220d)이 형성되어 고정핀(220h)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또한, 상기 연결수단(220)은, 수직프레임(210)에 고정되는 탄성지지판(220c)에 경사면(S)이 형성되어 그 일측에 돌기고정홈(220d)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돌기고정홈(220d)과 연결되는 가이드홈(220e)이 형성되며, 상기 탄성지지판(220c)에 삽입토록 되는 지지체(250)의 단부에 고정보스(220a)가 돌출되어 그 일측에 양단이 테이퍼지는 가이드돌기(220g)가 일체로 돌출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상기 수평프레임(140)의 일측에 설치되어 건반의 누름동작에 의해 음특성을 구현토록 설치되는 음구현부(300)는, 수평스프레임(140)의 상측에 지지편(150c)과 동일 경사를 갖는 고정브라켓(310)이 고정되어 그 상측에 기판(320)이 결합되고, 상기 기판(320)의 상측에 건반의 접점돌기와 접촉토록 형성되는 탄성노브(330)가 고정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이와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 내지 도6에 도시한 바와같이, 수평플레이트(140)의 상측에 다수의 흑건반(130a)과 백건반(130b)이 다수의 옥타브를 구현토록 배치되고, 상기 흑,백건반(130a)(130b)은 그 저면에 설치되는 지지편(150c)에 의해 지지되어 햄머(200)와 접촉되는 후방단부가 하향토록 설치되고, 이때의 경사각은 일반 적인 어코스틱 피아노와 동일한 기울기를 갖도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흑,백건반(130a)(130b)은, 지지편(150c)의 상측에 돌출되는 지지핀(150d)을 통하여 지지될때 일반적인 업라이트형 어코스틱 피아노의 건반과 동일하게 건반이 항상 일정 중량을 유지토록 추가 삽입되고, 상기 건반의 중량에 의해 항상 일측으로 하향토록 설치됨은 물론 타측에 하중이 작용시 항상 일측으로 용이하게 복원토록 된다.
상기 흑,백건반(130a)(130b)을 지지하는 고정핀(150d)이 삽입토록 형성되는 지지홀(110)은, 길이차를 갖는 흑,백건반(130a)(130b)에 상이하게 형성되고, 흑,백건반(130a)(130b) 모두 어코스틱피아노와 동일하게 추가 삽입되어 상기와 동일한 효과를 가져오게 된다.
그리고, 상기 흑,백건반(130a)(130b)을 각각 텃치하면 지지편(150c)의 지지핀(150d)을 중심으로 스윙되어 그 후방에 접촉되는 햄머(280)을 상향토록 하고, 동시에 흑,백건반(130a)(130b)의 저면에 설치되는 탄성노브(330)을 동작시키고, 상기 탄성노브(330)는, 제어판(미도시)과 연결되는 기판(320)상의 스위치(미도시)를 동작시키고, 상기 스위치의 동작에 따라 각각의 특성음을 구현시킨다.
이때, 상기 흑,백건반(130a)(130b)에 가해지는 하중은 일반적인 업라이트형 어코스틱 피아노의 건반에 작용되는 전체하중과 동일하게 약 55~65g의 하중이 작용토록 되고, 상기 건반에 접촉토록 설치되는 햄머(280)의 하중은 40~50g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흑,백건반(130a)(130b)의 후방단부 상측에 햄머(280)의 일측이 지지토되는 부분에 탄성과 일정강도를 갖으면서 탄성을 갖는 탄성체(130c)가 부착되고, 상기 탄성체(130c)의 반력에 의해 이에 접촉되는 햄머(280)를 용이하게 상향시킴은물론 하향시 충격력을 용이하게 흡수토록 한다.
이때, 상기 햄머(280)는, 지지체(250)의 양측에 요홀(260)이 형성되어 이에 일정중량을 갖는 중량체(270)가 일체로 부착되어 일정 하중을 갖도록 조정되고, 상기 햄머몸체(240)의 상단에는 탄성체(240a)가 부착되어 햄머(200)의 회전시 충돌되는 백첵부(230) 사이의 충격력을 용이하게 흡수토록 한다.
상기 건반의 압건시 해머(280)가 접촉토록 되어 일정 반력이 작용토록 설치되는 백첵부(230)에 의하여 업라이트형 어코스틱 피아노와 동일한 백첵의 효과를 가져와 이에따른 거부감을 최소화 한다.
또한, 도5에서와 같이, 상기 햄머몸체(240)의 저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지지체(250)에는 제1,2경사면(250a)(250b)이 일체로 형성되어 흑,백건반(130a)(130b)의 미동작시 탄성체(130c) 상면에 제2경사면(250b)에 근접하는 위치에 흑,백건반(130a)(130b)의 동작시 제1경사면(250a)에 근접하는 위치에 위치토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건반의 하향시 지지체(250)가 연결수단(220)을 통하여 회전될때 건반 미동작시의 제1경사면(250a)이 수평상태에서 이동되는 각과 건반 동작시 이동되는 제1경사면(250a)이 수평상태에서 이동되는 각의 변화가 -10°~ +15°의 갖도를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탄성체(130c)의 상면에 접촉되는 햄머(280)의 접촉점(N)이 이동토록 된다.
상기 수직프레인(210)에 고정되는 각각의 탄성지지판(220c)에 형성되는 핀 고정홈(220d)과 상기 탄성지지판(220c)에 각각 지지토록 되는 햄머(280)의 핀 고정홈(220d)에 고정핀(220h)이 삽입되어 용이하게 회전토록 연결된다.
또한, 상기 수직프레임(210)에 고정되는 탄성지지판(220c)에 지지체(250)를 회전시켜 삽입하면 탄성지지판(220c)의 가이드홈(220e)과 일치토록 되는 가이드돌기(220g)에 의해 용이하게 진압토록 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돌기(220g)의 양단이 테이퍼져 경사면(S)을 따라 탄성지지판(220c)을 확장시켜 용이하게 진입시키고, 가이드돌기(220g)의 진입이 완료되면 고정보스(220a)가 돌기고정홈(220d)에 삽입됨으로써 용이하게 회전토록 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돌기(220g)에 형성되는 테이퍼에 의해 지지체(250)의 가이드돌기(220g)와 가이드홈(220e)을 동일선상에 위치토록 한후 이동시키면 용이하게 분리토록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원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원발명은 백건반(130b)을 기준으로 시소운동의 원리를 이용토록 백건반(130b)의 단부에서 일정거리 이격된 지점에 지지핀(150d)을 고정하여 시험하였으며, 상기 백건반(130b)의 무게는 15g, 이에 지지되는 햄머(280)의 무게 45g 이다.
또한, 상기 백건반은 일반 어코스틱 피아노와 동일한 기울기를 갖도록 설치된다.
단계 L1 L2 N H M
a 104.8 168.0 20.2 60.0 30g
b 111.0 168.0 15.3 56.0 65g
c 116.6 168.0 11.3 52.2 75g
d 112.8 168.0 16.0 49.8 65g
단위( ㎜ )
L1: 지지핀에서 햄머와 건반의 접촉점까지 거리
L2: 지지핀에서 건반의 단부까지 거리
N:햄머를 지지하는 고정핀에서 햄머와 건반의 접촉면 까지의 거리
H:건반높이 M:작용하중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건반을 동작시키면 표1에서와 같이 N 값이 점차로 감소하다가 마지막 단계에서 증가하여 도6c의 일반 어코스틱피하노의 하중분포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본원발명(도6a)의 하중분포도를 가져오게 된다.
상기 하중이 증가하는 이유는, N값이 감소하면서 고정핀을 중심으로 작용하는 하중점이 건반의 단부쪽으로 이동되어 건반의 타측에서 누르는 압력이 상대적으로 증가토록 된다.
또한, 도5에서와 같은 동작으로 구현되는 햄머(280)에 의해 일반적인 어코스틱 피아노의 동작시 건반의 하강무게인 30~65g을 구현토록 하고, 해머(280)의 단부가 접촉되어 더이상의 회전을 방지토록 설치되는 백첵부(230)에 의해 어코스틱 피아노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텃치감을 구현토록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탈 피아노용 액션장치에 의하면, 일반 어코스틱 피아노와의 텃치감 차이를 최소화 하여 디지탈피아노 사용에 따른 거부감 발생을 방지하고, 액션의 기능을 단순화 하여 제작및 설치가 손쉽게 이루어 지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 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 두고자 한다.

Claims (6)

  1. 수평프레임(140)의 상면에 설치되는 건반(130a)(130b)이 그 저면에 설치되는 지지수단(150)을 통하여 상하방향으로 회동토록 설치되는 건반동작부(100)와,
    상기 건반(130a)(130b)의 압건조작에 의하여 회전토록 수직프레임(210)에 연결수단(220)으로 햄머(280)가 연결되고, 상기 건반(130a)(130b)의 동작시 그 상부일측에 접촉되는 햄머(280)의 접촉점이 이동토록 햄머(280)가 설치되며, 상기 건반(130a)(130b)의 하향시 회전되는 햄머(280)가 밀착토록 수직프레임(210)의 상부에 백첵부(230)가 설치되는 해머동작부(200)와,
    상기 건반(100)의 누름동작시 접촉토록 수평프레임(140)의 상측에 고정브라켓(310)가 설치되고, 상기 고정브라켓(310)에 고정되는 기판(320)상에 탄성노브(330)가 설치되는 음구현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피아노용 액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150)은, 건반의 지지홀(110)에 삽입토록 고정핀(150b)이 고정되는 고정브라켓(150a)과, 건반의 관통홀(120)에 삽입토록 지지핀(150d)이 고정되는 지지편(150c)및, 건반의 단부 저면이 접촉토록 되는 탄성패드(150e)로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피아노용 액션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220)은, 수직프레인(210)에 고정되는 탄성지지판(220c)에 핀 고정홈(220d)이 형성되고, 이에 삽입되는 지지체(250)에 역시 핀고정홈(220d)이 형성되어 고정핀(220h)으로서 고정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피아노용 액션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220)은, 수직프레임(210)에 고정되는 탄성지지판(220c)에 경사면(S)이 형성되어 그 일측에 돌기고정홈(220d)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돌기고정홈(220d)과 연결되는 가이드홈(220e)이 탄성지지판(220c)에 형성되며, 상기 탄성지지판(220c)에 삽입토록 되는 지지체(250)의 단부에 고정보스(220a)가 돌출되어 그 일측에 양단이 테이퍼지는 가이드돌기(220g)가 일체로 돌출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피아노용 액션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햄머(280)는, 수직프레임(210)에 고정되는 백첵부(230)에 충돌토록 설치되는 햄머몸체(240)와 그 저면에 일체로 연결되는 지지체(250)로서 구성되고,상기 지지체(250)의 양측에 요홀(260)이 형성되어 중량체(270)가 고정되고, 상기 지지체(250)의 저면에 제1,제2경사면(250a)(250b)이 일체로 형성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피아노용 액션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햄머(280)는, 해머몸체(240)의 전방에 탄성체(240a)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피아노용 액션장치
KR1020000075153A 2000-12-11 2000-12-11 디지탈 피아노용 액션장치 KR200200457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5153A KR20020045758A (ko) 2000-12-11 2000-12-11 디지탈 피아노용 액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5153A KR20020045758A (ko) 2000-12-11 2000-12-11 디지탈 피아노용 액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5758A true KR20020045758A (ko) 2002-06-20

Family

ID=27680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5153A KR20020045758A (ko) 2000-12-11 2000-12-11 디지탈 피아노용 액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45758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8483B1 (ko) * 2007-02-16 2007-10-18 (주)벨로체 디지탈 피아노의 건반 결합장치
KR100904023B1 (ko) * 2008-01-08 2009-06-22 주식회사 미드무로 해머 복귀가 신속한 직립형 전자피아노
KR100965620B1 (ko) * 2007-12-06 2010-06-23 김진문 전자건반악기의 건반구조
CN105096925A (zh) * 2015-08-25 2015-11-25 罗丽秀 一种便于灵活控制电贝司吃弦深度的升降装置
CN105096927A (zh) * 2015-08-25 2015-11-25 罗丽秀 便于灵活控制电贝司吃弦深度的升降装置
CN109147722A (zh) * 2018-09-30 2019-01-04 森兰信息科技(上海)有限公司 一种击弦机及钢琴
CN110349555A (zh) * 2019-08-28 2019-10-18 沈敏杰 具有中盘独立支撑支架的立式钢琴及生产方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8483B1 (ko) * 2007-02-16 2007-10-18 (주)벨로체 디지탈 피아노의 건반 결합장치
KR100965620B1 (ko) * 2007-12-06 2010-06-23 김진문 전자건반악기의 건반구조
KR100904023B1 (ko) * 2008-01-08 2009-06-22 주식회사 미드무로 해머 복귀가 신속한 직립형 전자피아노
CN105096925A (zh) * 2015-08-25 2015-11-25 罗丽秀 一种便于灵活控制电贝司吃弦深度的升降装置
CN105096927A (zh) * 2015-08-25 2015-11-25 罗丽秀 便于灵活控制电贝司吃弦深度的升降装置
CN109147722A (zh) * 2018-09-30 2019-01-04 森兰信息科技(上海)有限公司 一种击弦机及钢琴
CN109147722B (zh) * 2018-09-30 2024-05-17 森兰信息科技(上海)有限公司 一种击弦机及钢琴
CN110349555A (zh) * 2019-08-28 2019-10-18 沈敏杰 具有中盘独立支撑支架的立式钢琴及生产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50810A (en) Elastic apparatus for a keyswitch key of a keyboard and the keyswitch key using the same
US9040807B2 (en) Keyboard apparatus for a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JPH07181959A (ja) 鍵盤装置
JPH02256094A (ja) 電子鍵盤楽器の鍵盤装置
KR20020045758A (ko) 디지탈 피아노용 액션장치
CN103700364B (zh) 一种改进的用于演奏的光电键盘装置
JPH07210150A (ja) 鍵盤楽器
US7164071B2 (en) Keyboard instrument having pedal mechanism
JP3035826B1 (ja) 鍵盤楽器のアクション装置
KR100768483B1 (ko) 디지탈 피아노의 건반 결합장치
JP3832131B2 (ja) 鍵盤楽器
JP2002006848A (ja) 鍵盤装置
KR100673937B1 (ko) 디지털 피아노의 건반구조
JP3188385B2 (ja) 電子楽器の鍵盤装置および電子ピアノ
KR910007912Y1 (ko) 전자악기의 건반 힌지장치
TWI768929B (zh) 按鍵
CN220341090U (zh) 一种发光按键
WO2023103838A1 (zh) 一种发声按键开关
CN218123273U (zh) 一种带有光电信号触发结构的键盘
CN207818437U (zh) 一种智能穿戴设备的按键结构
CN208970397U (zh) 一种卡簧发声的键盘开关
JPS6016954Y2 (ja) 鍵盤楽器のアクシヨン装置
KR100634235B1 (ko) 직립형 피아노의 타현장치
CN112669793A (zh) 一种击弦机制作方法
CN105895068B (zh) 具有断联手感的数码钢琴键盘结构及数码钢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