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74470A -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 장치 - Google Patents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74470A
KR20030074470A KR10-2003-0016088A KR20030016088A KR20030074470A KR 20030074470 A KR20030074470 A KR 20030074470A KR 20030016088 A KR20030016088 A KR 20030016088A KR 20030074470 A KR20030074470 A KR 200300744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ing
rotor
lever
sound generating
r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60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47802B1 (ko
Inventor
이쿠타타케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0300744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44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78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78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37/00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 F22B37/02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applicable to more than one kind or type of steam boiler
    • F22B37/26Steam-separating arrangements
    • F22B37/32Steam-separating arrangements using centrifugal fo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37/00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 F22B37/02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applicable to more than one kind or type of steam boiler
    • F22B37/26Steam-separating arrangements
    • F22B37/30Steam-separating arrangements using impingement against baffle sepa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과제]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 장치에 있어서, 로터의 역전에 관련된 불편을 생기기 어렵도록 한다.
[해결 수단] 레버 브레이크 기구는 스피닝 릴의 릴 본체(2)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로터의 물레 방편 방향의 회전을 제동하는 장치에 있어서, 제동부와 제동 레버(17)와 소리 발생 기구(80)를 갖추고 있다. 제동부는 로터의 줄 풀림 방향의 회전을 전달하는 원웨이 클러치와, 원웨이 클러치로부터 전달된 로터의 줄 풀림 방향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제동 원통(40)을 가지고 있다. 제동 레버(17)는 릴 본체(2)로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제동 원통(40)으로 접촉 가능한 조작부재이다.소리 발생 기구(80)은 로터의 줄 풀림 방향의 회전에 의해 소리를 발생하는 기구이다.

Description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 장치{Rotor brake mechanism for a spinning reel}
본 발명은 제동 장치, 특히, 스피닝 릴의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로터의 줄 풀림 방향의 회전을 제동하는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닷가 낚시를 하는 경우, 제동 조작부재(제동 조작부재의 일례)에 의해 로터의 줄 풀림 방향의 회전(역전)이 제동되는 로터 제동기구를 가지는 레버 브레이크 형태의 스피닝 릴이 자주 사용된다. 레버 브레이크 형태의 스피닝 릴은 로터를 장력에 따라 역전시켜 물고기와 간단하게 힘 싸움할 수가 있다.
이런 종류의 종래의 레버 브레이크 형태의 스피닝 릴에 있어서, 로터의 역전을 소정의 제동 상태와 제동 해제 상태로 바꿀 수 있는 스피닝 릴이 일본특허공개 평 9-140303호 공보나 일본특허공개 평10-276635호 공보에 개시된다. 전자(前者)의 공보에 개시된 스피닝 릴은 로터의 역전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제동 부재, 제동 부재에 선단이 접촉하여 제동력을 조정 가능한 제동 조작부재, 및 제동 조작부재를 제동 부재에 당접하는 소정(所定) 제동 위치와 이반하는 제동 해제 위치로 바꾸는 절환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제동 조작부재는 릴 본체에 낚싯대 장착부에 접리(接離)하는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낚싯대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조작하면, 선단이 제동 부재를 압압하여 제동력이 서서히 강해진다.
전자의 스피닝 릴에서는 절환부재에 의해 제동 조작부재를 소정(所定) 제동 위치로 바꾸면 로터는 소정 제동 상태로 유지된다.
후자(後者)의 공보에 개시된 스피닝 릴은 로터의 역전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제동 부재, 제동 부재에 당접 가능하게 요동하는 한편 당접 방향으로 가압된 소정 제동 부재, 및 소정 제동 부재를 제동 부재에 당접하는 소정 제동 위치와 제동 부재로부터 이반하는 제동 해제 위치로 바꾸는 절환부재를 구비한다. 제동 위치에 있는 소정 제동 부재는 제동 조작부재의 조작시에 제동 부재로부터 이반하고, 비조작시에 당접하도록 구성된다.
후자의 스피닝 릴에서는 소정 제동 부재가 제동 부재에 당접하고 있는 상태로 제동 조작부재를 낚싯대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조작하면, 일단 소정 제동력이 해제되어 로터가 제동 해제 상태가 되고, 더욱 조작하면 조작력에 따라 로터가 제동된다. 또한, 제동 조작부재로부터 손을 놓아 아무것도 조작하지 않으면 소정 제동부재가 제동 부재에 당접하여 소정 제동 상태가 유지된다. 또한, 절환부재에 의해 소정 제동 부재를 제동 해제 위치로 강제적으로 바꾸는 것도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양자의 스피닝 릴에서는 소정 제동 상태로 채비의 자중에 의해 낚싯줄이 계속 내보내지 않게 되어, 낚시터에서의 이동이 편하게 된다. 또한, 이 상태로 채비에 물고기가 걸려 급격한 부하가 낚싯줄에 작용해도, 로터의 역전이 금지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낚싯줄이 절단되기 어렵게 된다.
상기 종래의 스피닝 릴에서는 어느 것과도 소정 제동 상태나 제동 해제 상태로 약간의 입질(아타리)이나 불의의 제동 조작부재의 조작으로 로터가 역전했을 때, 그 것을 인식할 수 없는 일이 있다. 이 때문에, 입질을 놓치거나 채비의 자중에 의해 낚싯줄이 계속 내보내지거나 하는 로터의 역전에 관련한 불편이 생긴다.
또한, 절환부재로 소정 제동 부재나 제동 조작부재를 소정 제동 위치와 제동 해제 위치로 바꿀 수 있는 종래의 스피닝 릴의 경우, 어느 상태인가를 절환부재의 상태를 보지 않으면 판단하기 어렵다. 그러나, 절환부재의 조작량이 얼마 안되는 경우나 낚시를 하고 있을 때 눈으로 확인하기 어려운 위치에 절환부재가 배치되는 경우에는 절환부재에서는 판단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 장치에 있어서, 로터의 역전에 관련된 불편을 발생하기 어렵게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소정 제동 부재를 제동 해제 상태와 소정 제동 상태로 바꾸었을 때 어느 상태에 있는 것인가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스피닝 릴의 측면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로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로터 본체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제동부의 단면 확대도.
도 5는 도 1의 V-V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제동 레버의 평면 부분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제동 해제 상태의 각 레버와 제동 원통의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소정 제동 상태의 각 레버와 제동 원통의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제동 상태에 있어서의 각 레버와 제동 원통의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제동 해제 상태와 소정 제동 상태에서의 제 2 레버 부재의 동작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규제 슈의 장착 구조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소리발생 기구의 구성을 도시하는 정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소리발생 기구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다른 실시 형태의 소리발생 기구의 구성 및 동작을 도시하는 제동 레버의 확대 부분도.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또 다른 실시 형태의 도 8에 상당하는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더욱 또 다른 실시 형태의 도 8에 상당하는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로터의 다른 형태를 적시는 분해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다른 형태의 로터 본체의 정면도.
<도면부호의 주요부분에 대한 주요부호의 설명>
2: 릴 본체
2a: 릴 보디
3: 로터
6: 레버 브레이크 기구
16: 제동부
17: 제동 레버
21: 소정 제동부
27: 제 2 레버 부재
80, 100, 110, 120: 소리발생 기구
81, 101, 111, 121: 요철부
81a: 요철
82, 102, 112, 122: 장착부
83, 103, 113, 123: 소리 발생부
87, 107, 115, 125: 소리 발생 멈춤쇠
88, 116, 126: 코일 스프링
발명 1과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 장치는 스피닝 릴의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로터의 줄 풀림 방향의 회전을 제동하는 장치에 있어서, 제동부, 제동 조작부재 및 소리발생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제동부는 로터의 줄 풀림 방향의 회전을 전달하는 원웨이 클러치와, 원웨이 클러치로부터 전달된 로터의 줄 풀림 방향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제동 부재를 가진다. 제동 조작부재는 릴 본체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제동 부재에 접촉 가능한 조작부재이다. 소리발생 기구는 로터의 줄 풀림 방향의 회전에 의해 소리를 발생하는 기구이다.
이 스피닝 릴에서는 로터가 줄 풀림 방향으로 회전하면, 그 회전이 원웨이 클러치를 통하여 제동 부재에 전달되고, 제동 부재가 줄 풀림 방향으로 회전한다. 제동 부재가 줄 풀림 방향으로 회전하고 있을 때, 제동 조작부재를 이동시켜 제동 부재에 접촉시키면 로터가 제동된다. 또한, 로터가 줄 풀림 방향으로 회전하면 소리발생 기구가 소리를 발생한다. 여기에서는, 로터가 줄 풀림 방향으로 회전하면 소리를 발생하므로, 로터가 줄 풀림 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는 것을 낚시꾼이 확실히 인식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입질이나 불의의 제동 조작부재의 조작으로 로터가 줄 풀림 방향으로 회전해도, 입질을 놓치거나 채비의 자중에 의해 낚싯줄이 계속 내보내져 버리거나하는 로터의 역전(줄 풀림 방향의 회전)에 관련된 불편이 발생하기 어렵다.
발명 2와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 장치는, 발명 1로 기재된 장치에있어서, 소리발생 기구는 제동 부재에 회전 방향을 따라 설치된 다수의 요철을 가지는 요철부, 릴 본체에 대해서 제동 부재의 회전 방향으로 회전 불능인 장착부, 및 장착부에 설치되고 요철부에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소리 발생부를 가진다. 이 경우에는, 로터의 역전에 연동하여 제동 부재가 역전하면, 장착부에 설치된 소리 발생부가 요철부의 요철에 탄성적인 접촉을 반복하여 제동 부재 및 소리 발생 부재의 양자의 작용에 의해 소리를 발생한다. 여기에서는, 제동 부재의 요철부의 요철에 소리 발생부가 탄성적으로 접촉하므로, 이 탄성 접촉에 의해 제동 부재를 소정 제동 상태로 유지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발명 3과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 장치는, 발명 2로 기재된 장치에 있어서, 장착부는 소리 발생부를 계지하는 계지부이고, 소리 발생부는 계지부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요철부에 접촉 가능한 접촉부를 가지는 탄성부재이다. 이 경우에는, 단일의 탄성부재에 의해 소리 발생부를 구성할 수 있으므로, 소리 발생부의 구성이 간소하게 된다.
발명 4와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 장치는, 발명 2로 기재된 장치에 있어서, 장착부는 로터의 회전축에 평행에 배치된 축형상의 장착축이고, 소리 발생부는 장착축으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선단이 요철부에 접촉 가능한 소리 발생 멈춤쇠와 소리 발생 멈춤쇠를 요철부에 접촉할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부재를 가진다. 이 경우에는 소리 발생 멈춤쇠가 움직이기 쉽기 때문에, 좋은 소리의 음을 얻기 쉽다.
발명 5와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 장치는, 발명 4로 기재된 장치에있어서, 장착축은 릴 본체에 설치된다. 이 경우에는, 릴 본체에 장착축이 배치되므로, 소리 발생 멈춤쇠를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발명 6과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 장치는, 발명 4로 기재된 장치에 있어서, 장착축은 제동 조작부재의 제동 부재의 접촉 부분의 근방에 설치되고, 소리 발생 멈춤쇠는 제동 조작부재가 제동 부재에 접촉했을 때 선단이 요철부에 접촉하며, 이반했을 때 선단이 요철부로부터 이반하도록 장착축으로 장착된다. 이 경우에는 제동 조작부재를 조작했을 때나, 제동 조작부재와 별도로 설치된 절환부재에 의해 제동 레버를 소정 제동 위치에 배치할 경우 등 제동 조작부재가 제동 부재에 접촉하는 역전 제동시에만 소리를 발생하므로, 물고기의 끌림이나 입질을 확실히 파악할 수가 있다. 또한, 절환부재에 의해 제동 조작부재를 소정 제동 위치로 유지할 경우에는, 소정 제동 상태인지, 제동 해제 상태인지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발명 7과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 장치는, 발명 4로 기재된 장치에 있어서, 제동 부재에 접촉하여 로터를 소정 제동 상태로 제동하는 소정 제동 위치와 제동 부재로부터 이반하는 제동 해제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릴 본체에 설치된 소정 제동 부재를 더욱 구비하고, 장착축은 소정 제동 부재의 제동 부재와의 접촉 부분의 근방에 배치되고, 소리 발생 멈춤쇠는 소정 제동 부재가 제동 부재에 접촉했을 때 선단이 요철부에 접촉하며, 이반했을 때 선단이 요철부로부터 이반하도록 장착축에 장착된다. 이 경우에는 소정 제동 부재가 접촉하여 소정 제동 상태가 되었을 때에만 소리를 발생하므로, 소정 제동 부재가 접촉하고 있지 않은 제동 해제상태인지, 소정 제동 부재가 접촉하고 있는 소정 제동 상태인지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발명 8와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 장치는, 발명 4로 기재된 장치에 있어서, 제동 부재에 접촉하여 로터를 소정 제동 상태로 제동하는 소정 제동 위치와 제동 부재로부터 이반하는 제동 해제 위치에 이동 가능하게 릴 본체에 설치된 소정 제동 부재를 더욱 구비하며, 장착축은 릴 본체의 제동 부재와 접촉 부분의 근방에 배치되고, 소리 발생 멈춤쇠는 소정 제동 부재가 제동 부재에 접촉했을 때 선단이 요철부에 접촉하며, 이반했을 때 선단이 상기 요철부로부터 이반하도록 장착축으로 장착된다. 이 경우에도, 소정 제동 부재가 접촉하여 소정 제동 상태가 되었을 때에만 소리를 발생하므로, 소정 제동 부재가 접촉하고 있지 않은 제동 해제 상태인지, 소정 제동 부재가 접촉하고 있는 소정 제동 상태인지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발명의 실시의 형태]
[전체 구성]
도 1에 도시하는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의한 스피닝 릴은 낚싯대의 긴 방향을 따르는 제 1축(X) 회전으로 낚싯줄을 감는 릴에 있어서, 핸들(1)을 갖춘 릴 본체(2), 릴 본체(2)의 앞부분에 제 1축(X) 회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로터(3), 및 로터(3)의 앞부분에 배치된 낚싯줄을 감는 스풀(4)을 구비하고 있다.
릴 본체(2)는, 예를 들면 합성 수지제이다. 릴 본체(2)는 낚싯대에 장착되는 전 후로 긴 장착부(2c), 장착부(2c)와 간격을 두고 배치된 릴 보디(2a),장착부(2c) 및 릴 보디(2a)를 연결하는 각부(2b)를 가진다. 릴 보디(2a)는 내부에 기구 장착 공간을 가지며 그 측부는 개구(開口)되어 있다. 이 개구 부분은 덮개부재(2d, 도 3)에 의해 가려진다. 릴 보디(2a)의 앞부분에는, 취부 플랜지가 첨부된 금속제의 통 모양의 부착부재(2e)가 장착된다.
릴 보디(2a)의 내부에는, 로터(3)을 회전시키기 위한 로터 구동 기구(5)와 로터(3)의 줄 풀림 방향의 회전(역전)을 제동하기 위한 레버 브레이크 기구(6, 로터 제동 장치의 일례)과 스풀축(8)을 통하여 스풀(4)를 전후로 왕복 이동시키는 오시레이팅 기구(20)가 설치된다.
로터(3)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릴 본체(2)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로터 본체(15), 로터 본체(15)의 선단에 줄 개방 자세와 줄 감음 자세로 요동 가능하게 장착된 베일 암(22), 및 로터 본체(15)의 후부 외측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 로터 커버(23)를 가진다.
로터 본체(15)는, 예를 들어 마그네슘 합금제 또는 알루미늄 합금제의 금속와 알루미늄 합성 수지제의 것이고,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부(24)와, 원통부(24)와 일체로 형성된 1개의 제 1 로터 암(37) 및 제 2 로터 암(38)을 가진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부(24)의 전벽(24a)측의 내주면에는, 원웨이 클러치(32, 후술)를 구성하는 톱니상의 제 1 요철부(42)가 형성된다. 원통부(24)의 전벽(24a)의 중앙부에는 관통공(24b)를 가지는 보스부(24c)가 형성된다. 이 관통공(24b)에 스풀축(8) 및 피니언 기어(12, 후술)가 관통하고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부(24)는 릴 본체(2)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후단부에 다른 부분보다 큰 직경의 링상태의 악부(鍔部, 24a)를 가진다. 악부(24a)의 줄 감음 자세에 있는 베일 암(22)이 배치되는 측에는, 전방으로 돌출하는 무게부(24b)가 악부(24a)와 일체로 형성된다. 무게부(24b)는 베일 암(22)이나 후술하는 베일 반전 기구(45)등에 기인하는 회전 밸런스를 보정하기 위해서 설치된다.
무게부(24b)는 도 3에 해칭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로터 암(37) 및 제 2 로터 암(38)의 밑 부분(후술하는 접속부(37a, 38a))을 제외한 부분에 둘레방향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배치된 무게부(24b)는 지름 방향 바깥쪽에는 돌출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낚싯줄이 걸리기 어렵게 되어 줄엉킴도 생기기 어렵게 된다. 또한, 로터 암(37, 38)의 접속부(37a, 38a)(밑 부분)가 아닌 장소에 설치했으므로, 접속부(37a, 38a)의 두께를 얇게 할 필요가 없어지고, 제 1 로터 암 및 제 2 로터 암(37, 38)의 비강도를 높게 유지할 수가 있다.
또한, 전방으로 돌출되어 설치하고 있으므로, 릴 본체(2)와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어 컴팩트한 로터(3)를 실현할 수 있다.
덧붙여 무게부(24b)를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악부(24a)와 별체로 형성해도 좋다. 또한, 무게부(24b)를 도 18에 해칭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로터 암(37)의 밑부분(접속부(37a))과 제 2 로터 암(38)의 밑부분 (접속부(38a))을 포함하여 제 1 로터 암(37)부터 제 2 로터 암(38)에 걸쳐서 형성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밸런스 그 자체 또는 밸런스로서 기능하는 돌출된 무게부(24b)에 낚싯줄이 얽히는 것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
제 1 로터 암(37) 및 제 2 로터 암(38)은 악부(24a)의 외주면의 대향하는 위치에 일체로 형성된다. 제 1 로터 암(37) 및 제 2 로터 암(38)은 악부(24a)의 외주면의 대향하는 위치에서 악부(24a)로부터 지름 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1대의 제 1 접속부(37a) 및 제 2 접속부(38a)와, 1대의 제 1 접속부(37a) 및 제 2 접속부(38a)로부터 굴곡하여 원통부(24)와 간격을 두고 각각 전방으로 연장되는 1대의 제 1 암부(37b) 및 제 2 암부(38b)를 포함하고 있다. 제 1 접속부(37a) 및 제 2 접속부(38a)는, 악부(24a)의 외주면으로부터 앞이 가늘고 지름 방향 바깥쪽으로 돌출된 후 만곡하여 제 1 암부(37b) 및 제 2 암부(38b)에 연속한다. 이러한 제 1 접속부(37a) 및 제 2 접속부(38a)와, 제 1 암부(37b) 및 제 2 암부(38b)의 외측면에는 외측에 돌출하는 둘레부가 형성되고 둘레부에서 둘러싸인 외측 부분에 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 1 로터 암(37)측의 외측 공간에는 베일 암(22)을 줄 감음 자세와 줄 개방 자세로 유지하는 것과 함께, 줄 개방 자세로부터 줄 감음 자세로 복귀시키는 베일 반전 기구(45, 도 2 참조)가 설치된다.
베일 암(22)은 낚싯줄을 스풀(4)로 안내하기 위한 것이고, 제 1 암부(37b)의 선단과 제 2 암부(38b)의 선단부에 요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베일 암(22)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1대의 제 1 로터 암(37) 및 제 2 로터 암(38)의 선단에 각각 요동 가능하게 장착된 제 1 베일 지지부재(46) 및 제 2 베일 지지부재(47)와, 제 1 베일 지지부재(46)의 선단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라인 롤러(47)와, 제 1 베일 지지부재(46)과 라인 롤러(47)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여 배치된 고정축 커버(47)와, 제 2 베일 지지부재(46)와 고정축 커버(48)를 연결하는 직선부재의 만곡한 베일(49)을 가진다.
로터 커버(23)는 1대의 제 1 로터 암(37) 및 제 2 로터 암(38)의 외측 공간을 가리도록 후방(도 1 우측)으로부터 로터 본체(15)로 장착 가능한 커버이다. 로터 커버(23)는 단부를 로터 본체(15)의 단부에 돌출하여 만나는 상태로 로터 본체(15)로 장착된다. 로터 커버(23)는, 예를 들어 PVC등의 탄성을 가지는 합성 수지제의 부재이고, 상처입기 어렵다. 로터 커버(23)는 로터(3)의 다른 것에 접촉하기 쉬운 부분을 가림으로 로터(3)를 보호하여 상처입기 어렵게 함과 함께, 로터 본체(15)의 외측 공간을 가리기 위해서 설치된다. 로터 커버(23)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악부(24a)의 외주면과 그 후면 및 1 대의 제 1 접속부(37a) 와 제 2 접속부(38a)의 외측면을 커버하는 제 1 커버부(23a)와, 제 1 커버부(23a)의 양단에 매끄럽게 접속되고 전방으로 연장되는 1 대의 제 1 암부(37b) 및 제 2 암부(38b)의 외측면을 각각 커버하는 1 대의 제 2 커버부(23b, 23c)의 3 개의 부분으로 분할된다. 제 1 커버부(23a)의 중심에는 원통부(24)의 후면에 끼워지는 원형의 개구(23d)가 형성된다. 제 1 커버부(23a)는 악부(24a)의 후면에 끼워져 고정된다. 제 2 커버부(23b, 23c)는 제 1 암부(37b) 및 제 2 암부(38b)에 각각 형성된 보스부(50a)(제 1 암부(37b)측만 도시)가 형성되어 보스부(50a)에 삽입된 작은 나사(50b, 50b)에 의해 로터 본체(15)로 체결된다.
베일 반전 기구(45)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베일 지지부재(46)의 요동에 연동하여 전후로 이동하는 이동부재(53), 제 1 베일 지지부재(46)를 통하여 베일 암(22)을 줄 감음 자세와 줄 개방 자세로 가압하는 토글 스프링 기구(54), 및 릴 본체(2)의 앞부분에 고정된 반환부(도시하지 않음)를 가진다. 베일 반전기구(45)는 베일 암(22)이 줄 개방 자세로 요동하면, 이동부재(53)가 후방으로 이동하고, 반환부에 접촉하는 위치로 이동한다. 이것에 의해, 로터(3)가 줄 감음 방향으로 회전하면 반환부에 이동부재(53)이 접촉하여 전방으로 이동하고, 베일 암(22)을 줄 감음 자세로 복귀시킨다.
스풀(4)은, 예를 들면 합성 수지와 금속을 복합한 하이브리드 형태의 것이다. 스풀(4)는 로터(3)의 제 1 암부(3b)와 제 2 암부(3c)의 사이에 배치되고, 스풀 축(8)의 선단에 원터치 착탈 기구(65)를 통하여 착탈이 자유로운 한편 회전이 불가능하게 장착된다. 스풀(4)은 줄 감음 몸통부(7a)를 가지는 스풀 본체(7), 줄 권취 몸통부(7a)의 전 단부에 장착된 큰 직경의 앞 플랜지부(51), 및 앞 플랜지부(51)을 스풀 본체(7)로 고정하기 위한 앞 플랜지 고정부재(52)를 가진다. 스풀 본체(7)는 외주에 낚싯줄이 감겨지는 통 모양의 줄 권취 몸통부(7a)와 줄 감음 몸통부(7a), 후단부에 일체로 성형된 큰 직경의 통 모양의 스커트 부(7b) 및 줄 감음 몸통부(7a)의 내주 측에 장착된 내통(內通)부재(7c)를 가진다.
줄 감음 몸통부(7a) 및 스커트 부(7b)는 알루미늄 합금, 스텐레스 합금, 티탄 합금, 마그네슘 합금 등의 금속 얇은 판자를 프레스 가공에 의해 일체로 성형하여 얻을 수 있는 대, 소의 2 단구조의 통 모양 부재이다.
로터 구동 기구(5)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핸들(1)이 고정된 핸들축(10)과 함께 회전하는 마스터 기어(11)와, 이 마스터 기어(11)에 서로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12)를 가진다. 핸들 축(10)은 릴 본체(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피니언 기어(12)는 통 모양으로 형성되고 그 앞 부분(12a)은 로터(3)의 관통공(24b)를 관통하여 스풀(4)측으로 연장된다. 그 전부(前部, 12a)에서는 로터(3)가 너트(13)에 의해 피니언 기어(12)로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된다. 피니언 기어(12)는 전부과 중간부에서 베어링(14a, 14b)에 의해 릴 본체(2)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덧붙여 앞부분의 베어링(14a)는, 릴 본체(2)를 구성하는 부착 부재(2e)의 내주면에 장착된다. 너트(13)는 리테이너(36)에 의해 느슨해지지 않는다. 리테이너(36)는 전벽(24a)에 형성된 나사구멍에 나사 고정되어 장착된 피스에 의해 고정된다.
오시레이팅 기구(20)는 감속 기어식이고, 핸들 축(10)에 일체로 형성된 구동 기어(20a), 릴 보디(2a)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캠 부착 종동기어(20b), 및 캠 부착 종동기어(20b)의 회전에 의해 전후 이동하는 슬라이더(20c)를 가진다. 슬라이더(20c)에 스풀 축(8) 후단부가 회전이 불가능한 한편, 축방향 이동이 불가능하게 장착된다.
[레버 브레이크 기구의 구성]
레버 브레이크 기구(6)는 도 1,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동부(16), 제동부(16)의 제동력을 조정하는 조작을 하기 위한 제동 레버(제동 조작부재의 일례, 17), 제동부(16)를 소정 제동 상태로 조작하기 위한 보조 레버(절환부재의 일례, 18), 제동 레버(17)를 장착부(2c)로부터 이반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코일 스프링(19), 및 보조 레버(18)에 의해 소정 제동 상태와 제동 해제 상태로 전환 가능한 소정 제동부(21, 도 5) 및 로터(3)의 역전에 의해 소리를 발생하는 소리발생 기구(80, 도 5)를 가진다.
[제동부의 구성]
제동부(16)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동 레버(17)의 선단이 압접되어 제동되는 제동부 본체(31)와, 제동부 본체(31)를 로터(3)의 줄 풀림 방향의 회전에만 연동하여 회전시키는 멈춤쇠식의 원웨이 클러치(32)를 가진다.
제동부 본체(31)는 로터(3)의 내주측에 로터(3)와 동심에 배치된 제동 부재(제동 부재의 일례, 40)와, 제동 부재(40)의 내주면에 고정된 제동 원통(41)을 가진다.
제동 부재(4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부(24)의 내주측에 동심지로 배치되는 외통부(40a), 외통부(40a)의 내주측에 배치된 내통부(40b), 및 외통부(40a)와 내통부(40b)를 연결하는 원판부(40c)를 가지는 이중 통 모양 부재이다.
외통부(40a)의 릴 본체(2)로 가까운 후단부의 내주면에는 후술하는 소리발생 기구(80)를 구성하는 톱니 형상의 제 2 요철부(81)가 형성된다. 내통부(40b)는 부착부재(2e)의 외주면에 장착된 베어링(14c)에 의해 부착부재(2e)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제동 원통(41)은 외통부(40a)의 내주면으로부터 원판부(40c)에 걸쳐 장착된 중심구멍을 가지는 금속제의 밑판있는 통 형상의 부재이고, 원판부(40c)에 나사 고정된다. 이 제동 원통(41)의 내주면에 제동 레버(17)의 선단이 당접하여 제동 부재(40)를 제동한다. 제동 원통(41)의 후단면에는 제 2 요철부(81)의 형성 부분보다 앞측까지 연장된다.
원웨이 클러치(32)는 멈춤쇠식이고, 로터(3)의 원통부(24)의 내주측면으로형성된 제 1 요철부(42), 원판부(40c)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선단이 제 1 요철부(42)로 접촉 가능한 클러치 멈춤쇠(43), 및 클러치 멈춤쇠(43)를 선단이 제 1 요철부(42)에 접촉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뒤틀림 스프링(44)를 가진다. 원웨이 클러치(32)는, 전술한 것처럼 로터(3)의 줄 풀림 방향의 회전에만 연동하여 제동 부재(40)가 회전시킨다.
[제동 레버의 구성]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동 레버(17)는 제 1축(X)과 어긋나는 제 2축(Y) 방향으로 릴 본체(2)에 장착된 지지축(33)에 의하여 릴 본체(2)에 제 2축(Y) 회전에 요동이 가능하게 지지된다. 지지축(33)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랜지의 축부재이고, 덮개 부재(2d)측으로부터 삽입된 나사에 의해 릴 본체(2)에 고정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제동 레버(17)는 코일 스프링(19)에 의해 장착부(2c)와 이반하는 방향으로 가압된다. 제동 레버(17)는 도 7에 도시하는 제동 해제 위치와, 제동 해제 위치에서 장착부(2c)에 근접한 도 9에 도시된 제동 위치의 사이에 요동 가능하게 릴 본체(2)에 장착된다.
제동 레버(17)는 지지축(33)에 의해 지지 부분에서 만곡하여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동 조작부(17a), 지지 부분에서 만곡하여 밑쪽 앞으로 연장되는 제동 작용부(17b) 및, 제동 작용부(17b)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 제동 슈(shoe, 34)를 가진다.
제동 조작부(17a)는 지지 부분으로부터 장착부(2c)를 따라 베일 암(9)의 바깥쪽 부근까지 전방으로 연장된 후, 지름 방향 바깥쪽으로 향하여 연장되며, 특히선단이 전방을 향하여 만곡한 형상이다. 이 만곡 부분부터 전방이 낚싯대를 잡는 손의 집게 손가락으로 조작 가능한 제 1 조작부(17c)가 된다. 제 1 조작부(17c)는 제동 레버(17)의 요동에 의해 도 1에 도시하는 제 1 위치로부터 장착부(2c)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제동 조작부(17a)는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부(2b)로부터 전방 부분에 걸쳐, 지름 방향 바깥쪽에 연장디는 부분까지 폭이 커지고 있고, 그 광폭 부분(17h)은 장착부(2c)를 향하여 대략 장방형의 개구(17e)가 형성된다. 이 개구(17e)로부터 후술하는 보조 레버(18)의 조작부재(26)가 장착부(2c)를 향하여 윗쪽으로 노출된다. 또한, 광폭 부분(17h)으로부터 전방으로 향해 홈(17g)이 형성된다. 이 홈(17g)을 관통하여 전방을 향해 조작 부재(26)가 돌출한다. 이 홈(17g)의 개구부분은 제동 레버(17)와 보조 레버(18)의 틈새로부터 낚싯줄이 침입하여 실신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판 모양의 폐색 판자(35)가 나사 고정된다.
제동 작용부(17b)의 선단은 제동 원통(41)의 내주측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선단에 제동 원통(41)의 내주면에 접촉 가능한 제동 슈(34)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제동 슈(34)는, 예를 들어 폴리아미드계 합성 수지나 폴리 아세틸 등의 탄성을 가지는 합성 수지제이고, 제동 레버(17)의 요동에 의해 제동 원통(41)을 지름 방향 바깥쪽으로 압압한다.
제동 슈(34)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윗면이 약간 전방을 향하여 경사지고 앞 부분이 박판 부재이며, 평탄한 아래면 중심에 밑쪽으로 돌출하는 위치 결정용의 원주 형상의 돌기부(34a)가 형성된다. 제동 레버(17)의 제동 작용부(17b)의선단부에는 이 돌기부(34a)가 감합하는 감합 구멍(17i)이 상하 방향을 따라 관통하여 형성된다. 제동 슈(34)의 앞부분에는 밑쪽으로 연장되는 선단(34c)이 갈고랑이 모양의 탄성 계지 멈춤쇠부(34b)가 형성된다. 탄성 계지 멈춤쇠(34b)의 갈고랑이 모양으로 꺽여 굽혀진 선단(34c)은 제동 레버(17)의 제동 작용부(17b)의 선단 아래면에 형성된 계지 요부(17j)에 계지된다. 이러한 구성의 제동 슈(34)는 제동 작용부(17b)에 탄성 계지 멈춤쇠부(34b)가 계지되고 제동 작용부(17b)에 탄성적으로 계지된 상태로 고정된다. 이 때문에, 제동 슈(34)가 제동 작용부(17b)에 대해서 벗어나기 어려운 한편, 느슨해지기 어려우며, 제동 슈(34)를 제동 작용부(17b)에 확실히 고정할 수 있다. 게다가 돌기부(34a)에 의해 위치가 결정되어 있으므로, 장착이 용이하며, 제동시에 제동 슈(34)로 회전 방향의 힘이 작용하여도 위치 차이가 생기기 어렵게 된다. 이 때문에 제동력의 불규칙도 생기기 어렵게 된다.
제동 레버(17)는 아무것도 조작되지 않으면 코일 스프링(19)에 의해 가압되고,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동 해제 위치에 배치되어 제동 슈(34)가 폐색 판자(35)로부터 이반하고 있다.
코일 스프링(19)은 제동 레버(17)의 제동 조작부(17a)와 릴 본체(2)의 각부(2b)와의 사이에 압축 상태로 배치된다. 코일 스프링(19)은 제동 레버(17)을 제동 해제 측에 향하여 도 1의 반시계방향 회전으로 가압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제동 레버(17)에서 손을 떼어 놓으면 로터(3)는 제동 해제 상태가 된다.
[보조 레버의 구성]
보조 레버(18)는 소정 제동부(21)에 의해 로터(3)를 도 7에 도시하는 제동해제 상태와 도 8에 도시된 소정 제동 상태로 바꾸는 조작을 행하기 위한 것이다. 보조 레버(18)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 조작부(26a, 후술)가 장착부(2c)에 접근한 제 2 위치에 배치되는 제동 해제 위치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 조작부(26a)가 장착부(2c)로부터 이반한 제 3 위치에 배치되는 소정 제동 위치의 사이에 요동한다. 보조 레버(18)은 도 1,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축(33)으로 제 2축(Y) 회전에 요동 가능하게 릴 본체(2)로 지지된 판 모양의 제 1 레버 부재(25)와 제 1 레버 부재(25)로 장착된 조작부재(26)를 가진다.
제 1 레버 부재(25)는 제동 레버(17)의 도 7 의 측면에 병렬로 배치된다. 제 1 레버 부재(25)는 지지 부분으로부터 제동 레버(17)을 따라 상전방(上前方) 및 전하방(前下方)으로 연장되고, 전상방(前上方)으로 연장된 선단에는 나사(29)에 의해 조작 부재(26)가 고정된다. 제 1 레버 부재(25)의 선단은 제동 레버(17)의 제동 조작부(17a)의 광폭 부분(17h)의 개구(17e)내에 위치한다. 또한, 지지 부분보다 기울여져 전하방(前下方)으로 연장된 제 1 레버 부재(25)의 기단은 제동부(16)의 지름 방향 바깥쪽과 후방으로 배치된다. 제 1 레버 부재(25)의 기단에는 소정 제동부(21)의 제 2 레버 부재(27)의 선단이 계지되는 장방형의 계지 홈(25c, 도 4)이 형성된다. 계지 홈(25c)는 제 2 레버 부재(27)의 선단부의 횡단면적보다 큰 면적의 기단 측에 개구된 장방형의 홈이다.
조작 부재(26)는 선단에 제 2 조작부(26a)를 가진다. 제 2 조작부(26a)는 장착부(2c)로부터 이반하는 측에 제 1 조작부(17c)와 대향하여 배치된다. 이 때문에, 제 2 조작부(26a)는 낚싯대를 잡는 손의 집게 손가락으로 밀어넣어 조작이 가능하다.
제 1 조작부(17c)와 제 2 조작부(26a)는 같은 손가락에 의해 끌어올리는 조작과 밀어누르는 조작이 가능하다.
제 2 조작부(26a)는 보조 레버(18)의 요동에 의해 도 1 및 도 7에 도시된 제 2 위치와 도 8에 도시된 제 3 위치에 배치된다.
조작부재(26)는 개구(17e)의 하부로부터 홈(17g) 및 폐색 판자(35)로 둘러싸인 공간을 관통하여 전방으로 연장되고, 연장된 선단에 제 2 조작부(26a)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제 2 조작부(26a)가 홈(17g) 및 폐색 판자(35)로 둘러싸인 공간을 관통하여 전방으로 연장되어 있으므로, 제 2 조작부(26a)의 주위, 특히 베일 암(9)에 근접하는 부분이 공간에 의해 둘러싸인다. 이 때문에, 낚싯줄이 이 부분에 접촉해도 조작부재(26)와 제동 레버(17)과의 틈새에 낚싯줄 끼움(줄 끼움)이 생기기 어렵게 된다. 또한, 홈(17g)을 폐색 판자(35)로 막고 있으므로, 조작부재(26)을 부착한 후에 폐색 판자(35)를 부착하여 공간을 막을 수 있다. 이 때문에, 조작부재(26)를 부착하기 쉬워진다.
또한, 보조 레버(18)가 소정 제동 위치에 배치되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 조작부(26a)의 아래쪽 면은 제동 조작부(17a)의 폐색 판자(35)에 거의 접촉한다. 이것에 의해, 보조 레버(18)는 소정 제동 위치에 있을 때, 제동 레버(17)의 장착부(2c)에 접근하는 방향의 요동에 연동하여 제동 해제 위치로 요동한다.
[소정 제동부의 구성]
소정 제동부(21)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레버 부재(25)와 연동하여 요동하는 제 2 레버 부재(소정 제동 부재의 일례, 27)과 제 2 레버 부재(27)를 제동 해제 위치와 제 1 소정 제동 위치로 유지하는 토글 스프링(28)을 가진다. 제 2 레버 부재(27)는 도 5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릴 본체(2)의 앞부분에 스풀축(8)과 평행한 요동축(27a)의 회전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제 2 레버 부재(27)의 기단으로부터 요동 중심까지의 거리는 선단으로부터 요동 중심까지의 거리보다 2배 이상 길다. 제 2 레버 부재(27)의 선단은 계지 홈(25c)에 계지되고, 제 2 레버 부재(27)는 제 1 레버 부재(25)와 연동하여 제동 해제 위치(도 10a)와 소정 제동 위치(도 10b)의 사이에 요동한다.
여기서, 제동 해제 위치일 때 제 2 레버 부재(27)의 기단은 토글 스프링(28)에 의해 가압되어 계지 홈(25c)의 상면에 접촉하고, 소정 제동 위치에 있을 때 아래쪽 면에 접촉한다. 제 2 레버 부재(27)의 도중에는 선단이 제동 원통(41)의 내주측에 배치된 규제 슈(shoe, 39)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규제 슈(39)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동 원통(41)의 내주면에 접촉하는 면과 반대측의 면에 1대의 탄성 계지 멈춤쇠(39a)를 가지며, 예를 들어 폴리아미드계 합성 수지나 폴리에스틸 등의 탄성을 가지는 합성 수지제의 부재이다. 규제 슈(39)는 제 2 레버 부재(27)의 도중에서 접어 구부려 일체로 형성된 장착부(27c)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장착부(27c)에는 탄성 계지 멈춤쇠(39a)가 계지되는 1대의 계지 요부(27d)가 형성된다. 계지 요부(27d)는 접어 구부린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대향하여 장방형으로 형성되고 그곳에 탄성 계지 멈춤쇠(39a)가 끼워져 제 1 규제 슈(39)의 위치를 결정한다. 또한, 갈고랑이 모양으로 꺽여진 탄성 계지 멈춤쇠(39a)의선단(39b)이 장착측과 반대측의 면에 계지됨에 의해 제 1 규제 슈(39)를 장착부(27c)에 고정하고 있다. 이러한 구조의 규제 슈(shoe, 39)도 제 2 레버 부재(27)의 장착부(27c)에 탄성 계지 멈춤쇠(39a)가 계지되어 장착부(27c)에 탄성적으로 계지된 상태로 고정된다. 이 때문에, 규제 슈(39)가 장착부(27c)에 대해서 빗나가기 어려운 한편 느슨해지기 어려지게 되어, 규제 슈(39)를 장착부(27c)에 확실히 고정할 수 있다.
제 2 레버 부재(27)은 규제 슈(39)의 장착 부분으로부터 더욱 만곡하여 연장되고, 연장된 기단에 토글 스프링(28)이 장착된다.
여기에서는, 제 2 위치에 있는 제 2 조작부(26a)를 밀어넣어 조작하여 제 3 위치에 배치하고, 제 1 레버 부재(25)를 도 7에 도시하는 제동 해제 위치로부터 도 8에 도시하는 제 1 소정 제동 위치측에 요동시키면, 거기에 연동하여 제 2 레버 부재(27)도 제동 해제 위치로부터 소정 제동 위치에 요동한다. 이 결과, 규제 슈(39)가 제동 원통(41)을 압압하여 로터(3)의 줄 풀림 방향의 회전을 소정 제동 상태로 제동한다.
토글 스프링(28)은 도 5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 레버 부재(27)를 가압하여 제 2 조작부(26a)를 제 2 위치와 제 3 위치로 배분하여 가압하고, 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토글 스프링(28)은 제 2 레버 부재(27)의 기단에 장착된 뒤틀림 코일 스프링이다. 토글 스프링(28)은 일단이 제 2 레버 부재(27)의 기단에 계지되고 타단이 릴 보디(2a)의 전단면(前端面)에 계지된다. 토글 스프링(28)은 도 10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 레버 부재(27)가 제동 해제 위치로 배치되면, 제 2레버 부재(27)를 도 10a의 시계방향회전을 가압가압, 소정 제동 위치에 배치되면 도 10b의 반시계방향 회전을 가압한다. 이것에 의해, 제 2 레버 부재(27)가 제동 해제 위치와 소정 제동 위치로 유지되어 더욱 제 1 레버 부재(25)가 제동 해제 위치와 소정 제동 위치로 유지된다.
여기에서는, 제 2 레버 부재(27)의 기단으로부터 요동 중심까지의 거리가 선단으로부터 요동 중심까지의 거리보다 2배 이상 길기 때문에, 제 1 레버 부재(25)가 요동하면, 그 요동이 제 2 레버 부재(27)의 기단측에서 2배 이상의 요동 거리가 되게 나타나 토글 스프링(28)이 용이하게 반전 가능하게 된다.
[소리발생 기구의 구성]
소리발생 기구(80)는 로터(3)가 줄 풀림 방향으로 회전했을 때에 그것을 알리기 위해서 소리를 발생하는 기구이고, 도 5,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동 부재(40)의 후단 내주면에 회전 방향을 따라 설치된 제 2 요철부(81), 릴 본체(2)의 앞부분에 설치된 장착부(82),및 장착부(82)에 설치되어 제 2 요철부(81)에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소리 발생부(83)를 가진다.
제 2 요철부(81)는 제동 부재(40)의 후단 내주면에 두레방향을 따라 형성된 다수의 톱니 모양의 요철(81a)을 가진다.
장착부(82)는 릴 보디(2a)의 앞부분에서 전방으로 일체로 돌출하는 장착 보스(85)와, 스풀축(8)과 평행에 배치되고 장착 보스(85)의 선단에 끼워져 고정된 장착나사(86)를 가진다. 장착나사(86)은 소리 발생부(83)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나사축이다. 장착나사(86)는 공구를 계지하기 위한 악부(86a), 소리 발생부(83)을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악부(86a)보다 작은 지름의 지지부(86b), 및 장착 보스(85)에 나사결합하는 나사부(86c)를 가진다.
소리 발생부(83)는 장착부(82)의 장착나사(86)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소리 발생 멈춤쇠(87)와, 소리 발생 멈춤쇠(87)를 요철부(81)를 향해 가압하는 뒤틀림 스프링(88)을 가진다. 소리 발생 멈춤쇠(87)는, 예를 들어 선단이 예각으로 날카로워진 판 모양의 부재이고, 제 2 요철부(81)에 접촉 가능하게 선단에 형성된 멈춤쇠(87a)와 장착나사(86)로 지지되도록 형성된 회동 지지부(87b)를 가진다. 멈춤쇠(87a)는, 예를 들어 판재를 예각으로 절단하여 형성되고 선단이 제 2 요철부(81)에 끼워져 배치된다.
뒤틀림 스프링(88)은 일단이 릴 본체(2)에 돌출되어 형성된 계지부(2f)에 계지되고, 타단이 멈춤쇠(87a)의 측부에 계지된다. 이것에 의해, 소리 발생 멈춤쇠(87)의 멈춤쇠(87a)가 항상 제 2 요철부(81)를 향해 가압된다.
이러한 구성의 소리발생 기구(80)에서는 제동 부재(40)가 원웨이 클러치(32)를 통하여 줄 풀림 방향으로 회전하면 소리를 발생하는 것과 함께, 제동 부재(40)의 줄 감음 방향의 회전에 대해서는 회전을 저지한다. 다만, 통상적인 경우 제동 부재(40)에는 원웨이 클러치(32)에 의해 줄 감음 방향의 회전은 로터(3)로부터 전달되지 않는다.
[릴의 동작 및 조작]
캐스팅시에는 베일 암(9)을 줄 개방 자세 측으로 넘어뜨리고 낚싯대를 내리기 시작함에 따라 스풀(4)의 외주로부터 낚싯줄이 계속 내보내진다. 줄 감음시에는핸들(1)을 줄 감음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베일 암(9)이 도시되지 않은 반환 기구에 의해 줄 감음 자세로 돌아온다. 핸들(1)의 회전력은 핸들축(10)과 마스터 기어(11)를 통하여 피니언 기어(12)로 전달된다. 피니언 기어(12)로 전달된 회전력은 피니언 기어의 앞 부분(12a)를 통하여 로터(3)로 전달된다. 이 때 로터(3)는 줄 감음 방향으로 회전하므로 원웨이 클러치(32)의 작용에 의해 이 회전력은 제동 부재(40)에는 전달되지 않는다. 피니언 기어(12)가 회전하면, 스풀축(8)이 전후 방향으로 왕복 이동한다.
제동 레버(17)를 아무것도 조작하지 않으면, 제동 레버(17)는 코일 스프링(19)에 의해 압압되고 제동 해제 위치측에 배치된다. 이 때, 보조 레버(18)의 제 2 조작부(26a)가 제 2 위치에 배치되면, 도 7, 도 10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동 슈(34) 및 규제 슈(39)가 제동 원통(41)으로부터 이반하고 로터(3)는 제동 해제 상태가 된다.
로터(3)를 역전시켜 물고기와 힘 싸움할 때에는 제동 레버(17)의 제 1 조작부(17c)를, 예를 들면 집게 손가락에 의해 장착부(2c)측으로 끌어 들여 조작하여 제동력을 조정한다.
낚싯줄이 물고기에 의해 끌려져 로터(3)가 줄 풀림 방향으로 역전하면, 그 회전력이 원웨이 클러치(32)를 통하여 제동 부재(40)로 전달되어 특히 제동 원통(41)으로 전달된다. 이 결과, 제동 원통(41)이 로터(3)와 일체로 회전한다. 제동 레버(17)의 제 1 조작부(17c)를 장착부(2c)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끌여들여 조작하면, 비록 제 2 레버 부재(27)가 소정 제동 위치에 있어도, 도 8에 도시한 바와같이 폐색 판자(35)가 조작부재(26)의 제 2 조작부(26a)를 장착부(2c)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압압하고, 보조 레버(18)가 제동 레버(17)에 연동하여 소정 제동 위치로부터 제동 해제 위치측에 요동하며, 제 2 레버 부재(27)가 제동 해제 위치측에 요동한다. 이 결과, 소정 제동부(21)에 의한 소정 제동 상태가 일단 해제된다. 이 때, 토글 스프링(28)이 제 2 레버 부재(27)의 요동에 의해 반전하고, 제 2 레버 부재(27)가 제동 해제 위치측에 가압되며, 제 1 레버 부재(25)가 제동 해제 위치측으로 유지된다(도 10a).
이 상태에서 특히 제동 레버(17)를 장착부(2c)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조작하면, 제동 레버(17)의 제동 슈(34)가 제동 원통(41) 내주면을 지름 방향 바깥쪽으로 강하게 압압한다. 이 제동력은 제동 레버(17)에 가하는 힘을 가감하는 것으로써 조정할 수 있고, 로터(3)의 역전량을 임의로 조정할 수 있다. 이 결과, 제동 레버(17)의 조작력에 따른 제동력이 로터(3)로 부여된다. 이와 같이, 소정 제동 상태의 해제를 잊어도, 제동 레버(17)을 끌어 들여 조작하는 것만으로 소정 제동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이 로터의 역전시에는, 제동 원통(41)이 회전하고, 그 회전에 의해 소리발생 기구(80)가 소리를 발생한다. 즉 제동 원통(41)이 회전하면, 제동 원통(41)으로 형성된 제 2 요철부(81)로 접촉하는 소리 발생 멈춤쇠(87)가 진동하고, 그 진동에 의해 제동 원통(41)이 소리를 발생한다. 이와 같이, 로터(3)가 줄 풀림 방향으로 회전하면 소리를 발생하므로, 로터(3)가 줄 풀림 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는 것을 낚시꾼이 확실히 인식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입질이나 불의의 제동 레버(17)의 조작으로 로터(3)가 줄 풀림 방향으로 회전하여도, 입질을 놓치거나 채비의 자중에 의해 낚싯줄이 계속 내보내져 버리는 등의 로터의 역전(줄 풀림 방향의 회전)에 관련된 불편이 생기기 어렵게 된다.
낚시터를 이동할 때나 릴을 수납할 때에는, 제 1 조작부(17c)로부터 손을 떼어 놓은 상태로 보조 레버(18)의 제 2 조작부(26a)를 장착부(2c)로부터 이반하는 방향으로 밀어넣어 조작한다. 이렇게 하면, 도 8 및 도 10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조 레버(18)가 제동 해제 위치로부터 소정 제동 위치로 요동하고, 제 2 레버 부재(27)가 제동 해제 위치로부터 소정 제동 위치로 요동하며, 토글 스프링(28)에 의해 그 위치로 유지된다. 이 소정 제동 위치에서는 제 2 조작부(26a)의 아래 면이 폐색 판자(35)에 거의 접촉한다.
게다가 채비의 늘어뜨려 길이를 변경하기 위해서나, 물고기의 입질이 있었을 때에 물고기에 채비를 확실히 먹이도록 하기 위해서, 로터(3)를 소정 제동 상태로부터 제동 해제 상태로 하고 싶은 경우에는, 제동 레버(17)을 약간 장착부(2c)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조작하면 좋다. 이렇게 하면, 전술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동 레버(17)에 의해 제 2 조작부(26a)가 압압되어 보조 레버(18)이 제동 해제 위치측에 요동한다. 이 결과, 제 2 레버 부재(27)가 제동 해제 위치로 요동하여 제 1 또는 제 2 소정 제동 상태가 일단 해제된다. 물론, 제 2 조작부(26a)를 끌어 들여 조작하여도 소정 제동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소정 제동부(21)에 의해 소정 제동 상태로 하고 있을 때, 잘못된 조작에 의해 제동 레버(17)를 장착부(2c)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조작하여 채비의 자중에의해 로터(3)가 역전하여도, 로터(3)의 역전에 의해 소리발생 기구(80)가 소리를 발생한다. 이것에 의해, 낚시꾼은 순간적으로 로터(3)의 역전을 인식할 수 있고 보조 레버(18)를 압압하는 조작하는 등의 조작에 의해, 잘못된 조작에 대처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로터(3)의 역전에 따라 소리를 발생하는 소리발생 기구(80)를 설치했으므로, 로터(3)가 줄 풀림 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는 것을 낚시꾼이 확실히 인식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입질이나 불의의 제동 조작부재의 조작으로 로터(3)가 줄 풀림 방향으로 회전하여도, 입질을 놓치거나 채비의 자중에 의해 낚싯줄이 계속 내보내져 버리거나 하는 로터(3)의 역전(줄 풀림 방향의 회전)에 관련된 불편이 생기기 어렵게 된다.
[다른 실시 형태]
(a)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제동 레버(17)와 보조 레버(18)에 의해 제동 조작과 소정 제동 조작을 하였지만, 보조 레버를 가지는 제동 레버를 소정 제동 위치와 제동 해제 위치로 바꾸는 절환부재를 가지는 레버 브레이크 형태의 스피닝 릴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제동 레버(17)를 제 2 레버 부재(27)로 연결하여 제 2 레버 부재(27)를 제동 레버(17)에 의해 직접 요동시키는 레버 브레이크 형태의 스피닝 릴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b)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제동 레버(17)나 보조 레버(18)는 릴 본체(2)로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지만, 장착부(2c)에 접리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면 직선 이동하는 것 같은 다른 이동 형태로 하여도 좋다.
(c)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소리발생 기구(80)를 로터(3)의 역전시에 항상 소리를 발생하도록 구성했지만,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리발생 기구(100)를 제동 레버(17)의 선단에 장착하고, 제동 레버(17)의 제동시에만 소리를 발생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제동 레버(17)가 제동 원통(41)에 접촉했을 때에만 소리를 발생하도록 구성했으므로, 제동 상태인지 아닌지를 순간에 판단할 수 있다.
도 14에 있어서, 소리발생 기구(100)는 제동 원통(41)으로 형성된 제 2 요철부(101), 장착부(102)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소리 발생부(103)를 구비하고 있다. 제 2 요철부(101)는 제동 부재(40)에는 없고 제동 원통(40)의 전단부에 형성된다. 그 형상은 제 2 요철부(81)과 달리 물결 판(波板) 형상이다.
장착부(102)는 제동 레버(17)의 제동 작용부(17b)의 선단의 폐색 판자의 접촉 부분의 근방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장착부(102)는 제동 작용부(17b)의 선단에 전방으로 돌출하는 대직경부(105a)와 대직경부(105a)의 선단에 돌출되어 형성된 소경부(105b)를 가지는 계단식 축부(105)와, 소리 발생부(103)을 발지하기 위한 푸쉬 너트(106)을 가진다. 계단식 축부(105)는 제동 작용부(17b)의 선단에, 예를 들어 일체로 형성된다. 푸쉬 너트(106)는 소경부(105b)에 장착된다.
소리 발생부(103)는 소경부(105b)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소리 발생 멈춤쇠(107)와, 소리 발생 멈춤쇠(107)를 제 2 요철부(101)를 향해 가압하는 코일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을 가진다. 소리 발생 멈춤쇠(107)는 상기 실시 형태와 같은 구성이고, 멈춤쇠(107a), 회동 지지부(107b) 및 스프링 계지부(도시하지 않음)를 가지고 있고 푸쉬 너트(106)에 의해 발지된다. 또한, 멈춤쇠(107a)는 제동레버(17)가 제동 해제 상태(도 14b)시 선단이 제 2 요철부(101)에 접촉하지 않도록 위치한다. 코일 스프링은 상기 실시 형태의 뒤틀림 스프링에 상당하는 스프링이며, 소리 발생 멈춤쇠(107)를 제 2 요철부(101)를 향해 가압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소리발생 기구(100)에서는, 제동 레버(17)가 제동 해제 상태 때에는 로터(3)가 역전하여도 소리를 발생하지 않고, 제동 레버(17)가 제동 상태 때에만 소리를 발생한다. 이 때문에, 제동 레버(17)를 조작했을 때나 제동 레버와 별도로 설치된 절환부재에 의해 제동 레버를 소정 제동 위치에 배치할 경우등, 제동 레버(17)가 폐색 판자에 접촉하는 역전 제동시에만 소리를 발생하므로, 물고기의 끌림이나 입질을 확실히 파악할 수가 있다. 또한, 절환부재에 의해 제동 레버를 소정 제동 위치로 유지할 경우에는, 소정 제동 상태인가 제동 해제 상태인가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d)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소리발생 기구(80)을 로터(3)의 역전시에 항상 소리를 발생하도록 구성했지만, 도 15 및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 제동 상태 때에만 소리를 발생하도록 소리발생 기구(110, 120)를 구성해도 좋다. 이 경우, 제 2 레버 부재(27)의 규제 슈(39)가 제동 원통(41)에 접촉한 소정 제동 상태 때에만 소리를 발생하므로, 소정 제동 상태인지 제동 해제 상태인지를 순간에 판단할 수 있다.
도 15에 있어서, 소리발생 기구(110)는 제동 부재(40)로 형성된 제 2 요철부(111), 장착부(112) 및 장착부(112)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소리 발생부(113)를 구비하고 있다. 제 2 요철부(111)는 상기 실시 형태의 제 2요철부(81)과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장착부(112)는 제 2 레버 부재(27)의 도중에 제동 부재(40)로 근접하는 위치까지 돌출되어 형성된 축 모양의 부재에 있어서 제동 부재(40)과 접촉 부분의 근방에 설치된다.
소리 발생부(113)는 장착부(112)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소리 발생 멈춤쇠(115)와 소리 발생 멈춤쇠(115)를 제 2 요철부(111)를 향해 가압하는 코일 스프링(116)을 가진다. 소리 발생 멈춤쇠(115)는 상기 실시 형태와 같은 구성이고, 그 선단은 제 2 레버 부재(27)가 제동 해제 상태시 제 2 요철부(111)로 접촉하지 않고 소정 제동 상태시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코일 스프링(116)은 일단이 소리 발생 멈춤쇠(115)로 계지되고 타단이 제 2 레버 부재(27)으로 형성된 스프링 계지부(27b)에 계지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소리발생 기구(110)에서는, 제 2 레버 부재(27)가 제동 해제 상태시에는 로터(3)가 역전하여도 소리를 발생하지 않고, 제 2 레버 부재(27)가 소정 제동 상태시에만 소리를 발생한다. 이 때문에, 보조 레버(18)를 조작하여 규제 슈(39)가 제동 원통(41)에 접촉하는 역전 제동시에만 소리를 발생하므로, 물고기의 끌림이나 입질을 확실히 파악할 수가 있다.
또한, 보조 레버(18)의 움직임이 적어도, 소정 제동 상태인지 제동 해제 상태인지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도 15에 도시하는 실시 형태에서는, 제 2 레버 부재(27)로 소리발생 기구(110)을 마련했지만, 릴 본체(2)로 소리발생 기구(120)를 설치해도 좋다. 도16에서 소리발생 기구(120)는 제동 원통(41)으로 형성된 제 2 요철부(121)과 릴 본체(2)에 설치된 장착부(122)와 장착부(122)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소리 발생부(123)를 구비하고 있다. 장착부(122)는 릴 본체(2)의 전단에 있어서 폐색 판자의 접촉 부분의 근방에 설치된다. 제 2 요철부(121) 및 장착부(122)는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하는 실시 형태의 제 2 요철부(81) 및 장착부(82)와 같은 구성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소리 발생부(123)는 장착부(122)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소리 발생 멈춤쇠(125)와 소리 발생 멈춤쇠(125)를 제 2 요철부(121)을 향해 가압하는 코일 스프링(126)을 가진다. 소리 발생 멈춤쇠(125)는, 예를 들어 중간에 형성된 회동 지지부(125a)로부터 세 방면으로 연장되는 돌출부를 가지는 판 모양의 부재이다. 제 1 돌출부는 제 2 요철부(121)에 접촉 가능하게 선단에 형성된 조부(125b)이고, 제 2의 돌출부는 코일 스프링(126)이 계지되도록 형성된 스프링 계지부(125c)이며, 제 3의 돌출부는 제 2 레버 부재(27)에 의해 압압되어 소리발생 가능상태와 소리발생 불능상태로 바꾸기 위한 전환 계지부(125d)이다. 제 2 레버 부재(27)의 기단부(27d)가 전환 계지부(125d)에 접촉하도록 되고, 제 2 레버 부재(27)가 제동 해제 위치에 요동하면, 제 2 레버 부재(27)의 기단부(27d)가 전환 계지부(125d)를 압압하여 소리 발생 멈춤쇠(125)를 소리발생 불능상태로 한다. 또한, 제 2 레버 부재(27)가 소정 제동 위치로 요동하면, 기단부(27d)가 전환 계지부(125d)로부터 이반하고, 코일 스프링(126)에 의해 소리 발생 멈춤쇠(125)는 소리발생 가능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소리발생 기구(120)에서도, 제 2 레버 부재(27)가 제동 해제 상태 때에는 로터(3)가 역전해도 소리를 발생하지 않고, 제 2 레버 부재(27)가 소정 제동 상태 때에만 소리를 발생한다. 이 때문에, 보조 레버(18)를 조작하면 제 1 규제 슈(39)가 폐색 판자(35)로 접촉하는 역전 제동시에만 소리를 발생하므로, 물고기의 끌림이나 입질을 확실히 파악할 수가 있다. 또한, 보조 레버(18)의 움직임이 적어도, 소정 제동 상태인가 제동 해제 상태인가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f)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소리 발생부를 회동하는 소리 발생 멈춤쇠와 소리 발생부재를 가압하는 가압부재로 구성했지만, 탄성을 가지고 선단이 요철부에 접촉 가능한 소리 방편만으로 소리 발생부를 구성하고, 그것을 장착부에 계지하도록 하여도 좋다. 덧붙여 소리 방편편의 장착 위치는 상기 실시 형태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릴 본체(2), 제동 레버(17), 또는 제 2 레버 부재(27)라도 좋다. 이 경우에는, 단일의 소리 방편에 의해 소리 발생부를 구성할 수 있으므로, 소리 발생부의 구성이 간소하게 된다.
본 발명과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 장치에서는, 로터가 줄 풀림 방향으로 회전하면 소리를 발생하므로, 로터가 줄 풀림 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는 것을 낚시꾼이 확실히 인식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입질이나 불의의 제동 조작부재의 조작으로 로터가 줄 풀림 방향으로 회전하여도, 입질을 놓치거나 채비의 자중에 의해 낚싯줄이 계속 내보지거나 하는 로터의 역전(줄 풀림 방향의 회전)에 관련된 불편이 생기기 어렵게 된다.

Claims (8)

  1. 스피닝 릴의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로터의 줄 풀림 방향의 회전을 제동하는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로터의 줄 풀림 방향의 회전을 전달하는 원웨이 클러치(one way clutch)와, 상기 원웨이 클러치로부터 전달된 상기 로터의 줄 풀림 방향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제동 부재를 가지는 제동부;
    상기 릴 본체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제동 부재에 접촉 가능한 제동 조작부재; 및
    상기 로터의 줄 풀림 방향의 회전에 의해 소리를 발생하는 소리발생 기구
    를 구비한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리발생 기구는
    상기 제동 부재의 회전 방향을 따라 설치된 다수의 요철을 가지는 요철부;
    상기 릴 본체에 대해서 상기 제동 부재의 회전 방향으로 회전 불능인 장착부; 및
    상기 장착부에 설치되고, 상기 요철부에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소리 발생부를
    가지는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소리 발생부를 계지하는 계지부이고,
    상기 소리 발생부는 상기 계지부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요철부에 접촉 가능한 접촉부를 가지는 탄성부재인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로터의 회전축에 평행하게 배치된 축모양의 장착축이고,
    상기 소리 발생부는 상기 장착축에 회동(回動) 가능하게 장착되고 선단(先端)이 상기 요철부에 접촉 가능한 소리 발생 멈춤쇠와
    상기 소리 발생 멈춤쇠를 상기 요철부에 접촉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부재를 가지는,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축은 상기 릴 본체에 설치되는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축은 상기 제동 조작부재의 상기 제동 부재와의 접촉 부분의 근방에 설치되며,
    상기 소리 발생 멈춤쇠는 상기 제동 조작부재가 상기 제동 부재에 접촉했을 때 선단이 상기 요철부에 접촉하고, 이반(離反)했을 때 상기 선단이 상기 요철부로부터 이반하도록 상기 장착축에 장착되는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 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 부재에 접촉하고 상기 로터를 소정(所定) 제동 상태로 제동하는 소정 제동 위치와 상기 제동 부재로부터 이반하는 제동 해제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릴 본체에 설치된 소정 제동 부재를 더욱 구비하며,
    상기 장착축은 상기 소정 제동 부재의 상기 제동 부재의 접촉 부분의 근방에 설치되고,
    상기 소리 발생 멈춤쇠는 상기 소정 제동 부재가 상기 제동 부재에 접촉했을 때 선단이 상기 요철부에 접촉하며, 이반했을 때 상기 선단이 상기 요철부로부터 이반하도록 상기 장착축으로 장착되는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 장치.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 부재에 접촉하고 상기 로터를 소정 제동 상태로 제동하는 소정 제동 위치와 상기 제동 부재로부터 이반하는 제동 해제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릴 본체에 설치된 소정 제동 부재를 더욱 구비하며,
    상기 장착축은 상기 릴 본체의 상기 제동 부재의 접촉 부분의 근방에 설치되고,
    상기 소리 발생 멈춤쇠는 상기 소정 제동 부재가 상기 제동 부재에 접촉했을 때 선단이 상기 요철부에 접촉하며, 이반했을 때 상기 선단이 상기 요철부로부터 이반하도록 상기 장착축으로 장착되는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 장치.
KR1020030016088A 2002-03-15 2003-03-14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 장치 KR1009478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072721A JP3977672B2 (ja) 2002-03-15 2002-03-15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ロータ制動装置
JPJP-P-2002-00072721 2002-03-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4470A true KR20030074470A (ko) 2003-09-19
KR100947802B1 KR100947802B1 (ko) 2010-03-16

Family

ID=28035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6088A KR100947802B1 (ko) 2002-03-15 2003-03-14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3977672B2 (ko)
KR (1) KR100947802B1 (ko)
CN (1) CN1317947C (ko)
TW (1) TW55372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26997B2 (ja) * 2003-11-14 2009-02-18 株式会社釣研 釣り用浮き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5151911A (ja) * 2003-11-27 2005-06-16 Daiwa Seiko Inc 魚釣用リールの発音機構
JP4362384B2 (ja) * 2004-02-02 2009-11-11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及びそれに用いるスプール制動装置
JP4451773B2 (ja) * 2004-12-27 2010-04-14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ワンウェイクラッチ
JP4863716B2 (ja) * 2006-01-12 2012-01-25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ロータ制動装置
JP4863891B2 (ja) * 2007-01-23 2012-01-25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KR20110019701A (ko) * 2009-08-20 2011-02-28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 장치
JP5349349B2 (ja) * 2010-01-25 2013-11-20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ドラグ発音装置
JP5993713B2 (ja) * 2012-10-31 2016-09-14 株式会社シマノ 片軸受リール
JP6247115B2 (ja) * 2014-02-27 2017-12-13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
CN110710506A (zh) * 2018-07-11 2020-01-21 广东赛肯户外运动器械有限公司 一种渔轮及其防自锁的扳手式刹车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08373U (ko) * 1990-02-22 1991-11-07
JP3347556B2 (ja) * 1995-11-20 2002-11-20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制動機構
JP3585318B2 (ja) * 1996-06-04 2004-11-04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
US5857632A (en) * 1996-09-11 1999-01-12 Flylogic, Inc. Casting fishing reel with torque converter and clutch
JPH10276635A (ja) * 1997-04-03 1998-10-20 Ryobi Ltd 魚釣り用リールの回転制動装置
JPH10290651A (ja) * 1997-04-18 1998-11-04 Ryobi Ltd 魚釣り用リールの回転制動装置
JP3495584B2 (ja) * 1997-12-26 2004-02-09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KR100264093B1 (ko) * 1998-10-08 2000-09-01 박창호 낚시용릴
JP2001128595A (ja) 1999-11-05 2001-05-15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
US6238239B1 (en) * 2000-04-11 2001-05-29 Chun-Ching Wu Wire-jointing assembly for a joint box
JP2002000146A (ja) 2000-06-21 2002-01-08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
CN2452292Y (zh) * 2000-12-12 2001-10-10 宁波市北仑海伯精密机械制造有限公司 渔线轮前刹车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3265082A (ja) 2003-09-24
CN1317947C (zh) 2007-05-30
TW553725B (en) 2003-09-21
CN1444851A (zh) 2003-10-01
KR100947802B1 (ko) 2010-03-16
JP3977672B2 (ja) 2007-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7802B1 (ko)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 장치
KR100737885B1 (ko) 스피닝 릴의 로터
JP2002306032A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ベール反転装置
KR101191077B1 (ko)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 장치
JP4173387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発音機構
KR100978631B1 (ko) 스피닝 릴의 레버 브레이크 기구
KR100877308B1 (ko) 스피닝 릴
JP2004141144A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ロータ制動装置
JP2003189767A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ベール反転装置
JP3947383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
JP4015902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動作装置
KR100745314B1 (ko) 스피닝릴
KR100905294B1 (ko) 스피닝 릴
JP2018186758A (ja) 両軸受け型魚釣り用リール
JP2011041560A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ロータ制動装置
JP2004305118A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発音装置
JPH1156182A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TW536384B (en) Rotor regulating device of spinning reel
KR20030023587A (ko) 스피닝 릴의 릴 본체
JP2003158965A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ロータ制動操作装置
JP2001128599A (ja) スピニングリール
JP2001299161A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ベール反転装置
JP2002306034A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ロータ制動装置
JP2002051675A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ロータ制動装置
JP2002000138A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ベール反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