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60567A - 돼지 고기의 특수 부위 체취방법과 이를 가미된육류식품의 제품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돼지 고기의 특수 부위 체취방법과 이를 가미된육류식품의 제품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60567A
KR20030060567A KR1020020001320A KR20020001320A KR20030060567A KR 20030060567 A KR20030060567 A KR 20030060567A KR 1020020001320 A KR1020020001320 A KR 1020020001320A KR 20020001320 A KR20020001320 A KR 20020001320A KR 20030060567 A KR20030060567 A KR 200300605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ork
distilled water
ribs
m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13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성종
Original Assignee
유성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성종 filed Critical 유성종
Priority to KR10200200013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60567A/ko
Publication of KR200300605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0567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17/00Other devices for processing meat or bones
    • A22C17/0093Handling, transporting or packaging pieces of meat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17/00Other devices for processing meat or bones
    • A22C17/0006Cutting or shaping meat
    • A22C17/002Producing portions of meat with predetermined characteristics, e.g. weight or particular dimension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17/00Other devices for processing meat or bones
    • A22C17/004Devices for deboning meat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5/00Apparatus for mixing meat, sausage-meat, or meat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3/0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3/2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from offal, e.g. rinds, skins, marrow, tripes, feet, ears or snou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at, Egg Or Seafoo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돼지 고기의 특수 부위를 체취하는 방법과 그 체취된 고기를 이용하여 기능이 가미된 제품을 제조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돼지고기 특수부위를 체취하는 방법은 아래 그림과 같은 방법으로 체취를 한다.
(부위 체취도)
각 부위 명칭
1. 전지 2. 갈비 3. 목살 4. 어깨등심 5.전족
위와같은 방법으로 체취를 한 다음 증류수에 대추, 갈화, 미나리, 양파, 생강으로 구성된 농산물을 추출하여 얻은 추출물을 함유한다.
부과적으로 상기 추출물에 감초, 감나무, 황기, 옷나무, 엄나무, 오가피, 갈근, 오리나무로 구성된 한방재료를 추출하여 얻은 추출물을 더 함유한다.
더욱더 바람직 하기로는 천궁, 은행잎, 당귀, 녹차, 산사, 계피, 진피, 감잎으로 구성된 한방재료를 추출하여 얻은 추출물을 더 함유한다.
위와같이 구성되어 만들어진 제품은 고기의 육질을 연하게하고 고기특유의 누린네를 제거하며, 식후 구강구취제거, 소화촉진, 혈액순환 체내의 노폐물제거 등의 효능이 가미된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돼지고기의 특수 부위 체취방법과 이를 가미된 육류식품의 제품 및 이의 제조방법{A Picking Method of the Specific Region of Pork, and Manufacturing Products and Processes of Flesh-meat Food with Useful Effects of Herb Medicine Materials}
본 발명은 돼지고기 특수부위 체취방법과 이를 이용한 기능이 가미된 육류식품의 제품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아래의 그림과 같이 돼지고기를 체취한다.
(부위 체취도)
각 부위 명칭
1. 전지 2. 갈비 3. 목살 4. 어깨등심 5. 전족
상기와 같이 고기를 체취한 다음 증류수에 대추, 갈화, 미나리, 양파, 대파, 생강으로 구성된 농산물을 추출하여 얻은 추출물을 함유한다.
그 부과적으로 상기 추출물에 감초, 감나무, 황기, 옷나무, 오가피, 갈근, 오리나무, 엄나무로 구성된 한방 재료를 추출하여 얻은 추출물을 더 함유한다.
더욱더 바람직 하기로는 천궁, 은행잎, 당귀, 녹차, 감잎, 산사, 계피, 진피로 구성된 한방재료를 추출하여 얻은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더 함유함으로서 고기의 연육효과와 돼지고기 특유의 누린내를 제거하며 식후 구강구취제거 효능, 소화촉진, 혈액순환강화 체내의 노폐물 제거 효능이 가미된 제품으로 만들어 진다.
현대사회에서는 다양한 방법으로 각 음식점마다 각기 나름대로의 독특한 방법으로 고기를 양념하며 소비자 들에게 공급하고 있다.
그 만드는 재료를 살펴보면 돼지갈비의 경우 돼지갈비 20%∼30% 중량에 전지살 또는 목살을 80%∼70%중량으로 섞어서 갈비양념장에 버무려 돼지갈비로 소비자 들에게 판매를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만든 돼지 갈비는 이미 소비자들이 식상하고 있으나 보다 감미로운 맛의 갈비가 만들어지지 않다보니 소비자들의 요구도는 보다 새로운 모양과 맛을찾아 헤매이는 미식가가 점점 많아지고 동아리도 생겨난다.
사람이 인위적인 방법으로 돼지갈비를 뜰때보면 돼지갈비는 일정한 크기로 자른다음 해동하여 칼을 좌우로 밀면서 고기의 포를 뜨는데 이와같은 방법은 고기의 두께를 일정하게 할수 없기 때문에 두꺼운 곳은 육질이 퍽퍽하며 맛이 덜 하기 때문이다.
사람이 인위적 방법이 아닌 고기의 두께를 기계로 측정하여 기계로 썰어 버리면 고기의 두께가 일정하기 때문에 살고기 부분의 맛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줄수있다.
어떠한 부위를 어떻게 체취하는가 하는데 그 중요성이 내포되어 있는데 본 개발자는 그 부위를 소의티본 부위에 중점을 두었다.
(부위 체취도)
각 부위 명칭
1. 전지 2. 갈비 3. 목살 4. 어깨등심 5. 전족
앞장의 그림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고기를 체취 하여 뼈 모양으로 다시 발취한다면 그 모양새는 T자 모양의 뼈가 나오며 그 모양새에는 3가지 부위가 겹치게 되는 그 겹치는 부위는 어깨등심과 목살과 전지 부위가 동시에 겹치는 현상이 되므로 소비자는 3가지 부위의 고기를 한번에 맛볼수 있는 장점이 있게 된다.
모양새는 등심의 타원형이며 맛은 고기의 세가지 부위(어깨등심살, 목살, 전지)를 한번에 맛 볼수 있다는 점이 본 개발자의 소견인 것이다.
현재 돼지고기를 양념 할 때에는 많은 분들이 기본적으로 간장을 물과 함께 일정한 비율과 섞은 다음 생강, 마늘 양파와 약초로는 계피를 넣어 끓인후에 식혀서 기본갈비 양념장으로 사용하는 것이 일반관례이다.
조금더 보편화된 점이 있다면 위와 같은 방법에 한약재 6∼7가지를 추출하여, 갈비 양념화한 것이 조금 더 발전된 것이라 할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양념을 만든다음에 돼지갈비를 인위적인 방법으로 포를 뜨고 덧살을 추가하여 만든 것이 시중에서 만드는 일반적인 방법이라 할수 있다.
이와같은 방법으로 조리한다면 돼지고기 특유의 누린내 냄새는 제거할수 있으나 고기의 연육효과는 볼수 없을 것이다.
과거나 현재나 고기의 연육 효과를 보기 위하여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시중에 나와있는 가공연육제 실예를 들어보면 '미림', '미향'과 같은 제품을 사용하거나 과일을 사용할 경우에는 '파인애플', '귤', '배', '사과', '무즙'과 같은농산물을 사용하여 고기의 연육효과를 창출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연육효과를 본다하여도 그 본질인 고기의 품질이 좋지 않으면 그 효과는 미미하다 할수 있다.
본 개발자는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는 소비자들을 만족할만큼 충족시키지 못하며 우리 음식문화. 특히, 육류식품에도 커다란 변화가 생기지 않는다면 발전이 없으리라는 생각에 다년간의 연구개발 끝에 상기 개발품을 개발하였다.
상기개발품목은 변천해 가는 소비자들의 욕구에 부응하면서 육가공 식품에서 소비자들의 틀에 박힌 갈비 문화에 새장을 열고자 한다.
우리나라 속담에 '이왕이면 다홍치마'하는 말이 있듯이 같은 돈을 내고 소비자들의 식생활 중에서 양과 질과 기능면에서 부과적인 효과를 볼수 있다면 더욱더 권장할일이 아니겠는가?
경기는 점점더 침체되어가는 현재 사회에서 이와같은 품목이 개발되어서 축산농가가 활기를 찾고 꺼져가는 약초농가에 미미하나마 활기를 불어넣을수만 있다면 급변하는 세계 정세 속에서 동반 침체되는 경제의 지속되는 하락을 바라보면서 본 개발자는 25년이란 세월을 축산분야에 몸 담아온 실무개발자의 한사람으로 우리나라 축산의 어두운 그림자를 보며 겪으면서 그 분들에게 육가공 식품의 희망의 메시지를 전달하고자 하며 30만 약초농가의 경영의 애로사항을 조금이나마 풀수 있는 길을 마련하고자 한다.
본 발명자는 돼지고기 특수부위 체위방법과 이를 이용한 기능이 가미된 육류식품의 제품 및 이의 제조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25년이란 긴 세월을 축산 계통에 근무하면서 연구하여 본 발명을 제품화 하는 단계까지 도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돼지고기 특수 부위 체취방법과 이를 이용한 기능이 가미된 육류식품의 제품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농산물을 추출물로 하여 그 조성물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한방추출물을 이용하여 각기 한방의 고유 성분 및 기능을 최대한 살려서 인체에 유익을 주는데 그 목적이 있다.
.
상기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돼지고기 특수부위를 발취하기 위하여 아래 그림과 같이 과정을 거쳐 고기를 체취한다음 뼈 모양으로 L.A갈비를 썰듯 기계로 썰어서 일정량을 준비한다.
(부위 체취도)
각 부위 명칭
1. 전지 2. 갈비 3. 목살 4. 어깨등심 5. 전족
앞에서 상술한 것처럼 작업된 고기를 '야산야초갈비'라고 명명한다.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과 한방의 추출물을함유한 기능이 가미된 제품을 만들기 위해서 조성되는 조성물은 증류수80%∼87중량%에 대추5.5%∼10중량% 갈화0.2%∼0.8중량% 미나리2.5∼4중량% 양파0.7%∼1.3중량% 대파1.25%∼2중량% 생강2.25%∼3.9중량% 의 농산물을 추출하여 얻는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에 그 특징이 있다.
바람직 하기로는 상기추출물에 증류수80%∼85중량% 감초3%~4.5중량%에 갈근5%∼7중량% 황기1.5%∼2.2중량% 감나무0.8%∼1.5중량% 오리나무0.5%∼1.3중량% 옷나무0.6%∼1.3중량% 오가피0.5%∼1.3중량% 엄나무8.1%∼9.3중량% 으로 구성된 재료를 추출하며 얻은 추출물을 더 함유한다.
더욱더 바람직하기로는 증류수83%∼92중량% 천궁3%∼4.5중량% 은행잎1.5%∼2.5중량%, 당귀3%∼4.5중량% 녹차1.5%∼2.5중량% 감잎 2%∼4중량% 산사1.5%∼2.5중량% 계피3%∼4.5중량% 진피1.5%∼2.5중량% 로 구성된 한방재료를 추출하여 얻은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더 함유한다.
상기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보다 본 발명품을 완성하기 위해서는 제 1차로 돼지고기를 본 발명가가 기술한바와같이 아래 그림과 같이 발취한다.
(부위 체취도)
각 부위 명칭
1. 전지 2. 갈비 3. 목살 4. 어깨등심 5. 전족
제 2차로 농산물로 조성된 조성물로서 증류수80%∼87중량%에 대추5.5%∼10중량% 갈화0.2%∼0.8중량% 미나리2.5∼4중량% 양파0.7%∼1.3중량% 대파1.25%∼2중량% 생강2.25%∼3.9중량% 의 농산물을 추출하여 얻은 추출물을 함유하는 특성이 있다.
제 3차로 바람직하기로는 증류수80%∼85중량% 감초3%∼4.5중량%에 갈근5%∼7중량% 황기1.5%∼2.2중량% 감나무0.8%∼1.5중량% 오리나무0.5%∼1.3중량% 옷나무0.6%∼1.3중량% 오가피0.5%∼1.3중량% 엄나무8.1%∼9.3중량% 로 구성된 재료를 추출하여 얻은 추출물을 더 함유한다.
제 4차로 보다 더 바람직하기로는 증류수83%∼92중량% 천궁3%∼4.5중량% 은행잎1.5%∼2.5중량%, 당귀3%∼4.5중량% 녹차1.5%∼2.5중량% 감잎 2%∼4중량% 산사1.5%∼2.5중량% 계피3%∼4.5중량% 진피1.5%∼2.5중량% 으로 구성된 재료를 추출하여 얻은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더 함유한다.
상기에서 기술한 것처럼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1차화 같이 고기를 발췌한 다음 2차로 농산물의 양을 상기에서 기술한 방법대로 증류수80%∼87중량%에 대추5.5%∼10중량% 갈화0.2%∼0.8중량% 미나리2.5∼4중량% 양파0.7%∼1.3중량% 대파1.25%∼2중량% 생강2.25%∼3.9중량%로 구성된 혼합물을 끓일수 있는 용기에 넣은 다음 불의 온도를 100℃∼110℃까지 가열하여 1시간 30분∼2시간 정도 시간이 지나 추출된 추출물을 함유한다.
상기에서 기술한 것 보다 바람직 하기로는 증류수80%∼85중량% 감초3%∼4.5중량%에 갈근5%∼7중량% 황기1.5%∼2.2중량% 감나무0.8%∼1.5중량% 오리나무0.5%∼1.3중량% 옷나무0.6%∼1.3중량% 오가피0.5%∼1.3중량% 엄나무8.1%∼9.3중량% 고 구성된다.
혼합물질을 끓일수 있는 용기에 넣은 다음 불의 온도를 130℃∼140℃로 가열하여 끓기 시작할 때 중불로 옮겨 불의 온도를 100℃∼110℃로 낮추어서 8∼9시간 동안 가열하여 추출된 추출물을 함유하면 더욱 좋다.
보다 더 바람직하기로는 증류수83%∼92중량% 천궁3%∼4.5중량% 은행잎1.5%∼2.5중량%, 당귀3%∼4.5중량% 녹차1.5%∼2.5중량% 감잎 2%∼4중량% 산사1.5%∼2.5중량% 계피3%∼4.5중량% 진피1.5%∼2.5중량%로 구성된 혼합물질을 끓일수 있는 용기에 넣고 불의 온도를 110℃∼120℃로 맞춘다음 1시간 30분에서 2시간 가열하여 추출한 추출물을 함유하면 더욱더 좋다.
본 발명에서 최상의 제품을 개발하기 위하여서는 상기에서 서술한 제 1단계 증류수80%∼87중량%에 대추5.5%∼10중량% 갈화0.2%∼0.8중량% 미나리2.5∼4중량% 양파0.7%∼1.3중량% 대파1.25%∼2중량% 생강2.25%∼3.9중량% 액체추출혼합물과 제 2단계 증류수80%∼85중량% 감초3%∼4.5중량%에 갈근5%∼7중량% 황기1.5%∼2.2중량% 감나무0.8%∼1.5중량% 오리나무0.5%∼1.3중량% 옷나무0.6%∼1.3중량% 오가피0.5%∼1.3중량% 엄나무8.1%∼9.3중량% 액체혼합물질을 포함한다.
보다 더 바람직하기로서는 상기에서 기술한 제1단계 혼합물질과 제2단계 혼합물질에 제 3단계 증류수83%∼92중량% 천궁3%∼4.5중량% 은행잎1.5%∼2.5중량%, 당귀3%∼4.5중량% 녹차1.5%∼2.5중량% 감잎 2%∼4중량% 산사1.5%∼2.5중량% 계피3%∼4.5중량% 진피1.5%∼2.5중량% 의 액체혼합물질을 포함하면 더욱더 맛이 가미된 제품이 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하기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들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하기의 실시예에서 모든 중량%는 증류수의 중량을 기준으로 한다.
실시예1 : 돼지고기 특수부위 발취방법으로 아래 그림과 같이 돼지고기를 발취한 다음에
(부위 체취도)
각 부위 명칭
1. 전지 2. 갈비 3. 목살 4. 어깨등심 5. 전족
농산물과 한방의 추출물을 함유한 기능이 가미된 제품을 만들기 위해서 조성되는 조성물은
증류수80%∼87중량%에 대추5.5%∼10중량% 갈화0.2%∼0.8중량% 미나리2.5∼4중량% 양파0.7%∼1.3중량% 대파1.25%∼2중량% 생강2.25%∼3.9중량%의 농산물로 구성된 혼합물을 첨가하여 95℃에서 2시간 40분동안 가열 추출하여 얻은 추출물을 함유 하는것에 그 특징이 있다.
상기 1차 추출단계에서 생성된 약초의 혼합물에 증류수80%∼85중량% 감초3%∼4.5중량%에 갈근5%∼7중량% 황기1.5%∼2.2중량% 감나무0.8%∼1.5중량% 오리나무0.5%∼1.3중량% 옷나무0.6%~1.3중량% 오가피0.5%∼1.3중량% 엄나무8.1%∼9.3중량% 으로 구성된 재료를 물의 온도를 130℃까지 올려서 1시간 30분 동안 가열한 다음 물의 온도를 100℃까지 내려서 4시간 동안 저열에서 추출하여 2차 추출을 실시하였다.
상기 2차 추출단계에서 생성된 약초의 혼합물질에 증류수83%∼92중량% 천궁3%∼4.5중량% 은행잎1.5%∼2.5중량%, 당귀3%∼4.5중량% 녹차1.5%∼2.5중량% 감잎 2%∼4중량% 산사1.5%∼2.5중량% 계피3%∼4.5중량% 진피1.5%∼2.5중량% 으로 구성된 혼합물을 물의 온도 120℃까지 올린 다음 2시간∼2시간 40분 동안 가열하여 추출하는 3차 추출을 실시하였다.
가) 상기에서 기술한 대로 1차 추출물과 2차 추출물을 1:1 비율로 혼합하여돼지고기 발취 방법에 따라 기술한대로 작업된 고기에 혼합하여 기본 갈비 양념화 하였는데 그 약초의 각기 가지고 있는 성분이 고기에 함유됨으로서 그 기능이 더욱 강화되었다.
나) 더욱 더 바람직하기로는 가의 방법에다 3차 추출물을 혼합하여, 돼지고기 특수부위 체취방법대로 체취 한 고기에다 상기 혼합물질을 혼합하여 기본 돼지갈비 양념화 하였는데 약초가 가지고 있는 특성중 에서 혈액순환 강화, 이뇨작용강화, 소화촉진, 체내의 노폐물제거, 구강구취제거등의 효과가 탁월한 효과가 있었다.
실시예2
[설문조사]
실시예1에 따라 제조한 제품의 효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서울 석관동 A식당에서 300명, 서울 영동길구 B식당에서 500명 경기도 구리 C식당에서 300명 대전광역시 둔산동 D식당에서 500명 대전동구 판암동 E식당에서 400명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가야동 F식당에서 200명 광주광역시 광산구 소촌동 H식당에서 500명등 남녀노소를 상대로 무작위 선정하여 업주의 양해를 구하여 설문조사를 3000명에게 실시하였다.
상기조사 대상자를 대상으로 5개항의 설문을 하여
1)혈액순환 기능강화 2)이뇨작용강화
3)소화촉진 기능강화 4)체내 노폐물 제거기능 강화
5)구강구취 제거
조사한 결과 10대와 20대에서는 2,3,4,5번에 대하여는 그 효능에 놀라움을감지 하였으나 혈액순환은 못느낀다 하였고 30대 후반부터 연장자까지는 85%가 충분한 효과를 보았다고 응답하였다
이상 본 발명의 구성을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만든 돼지고기 특수부위발췌 방법은 모양새는 일반돼지 갈비에서는 볼수 없는 소 등심과 같은 모양이 나오면서 육질을 연하고 쫄깃쫄깃한 것이 그 특징이며 고기마다 뼈가 들어가 있는 것이 특징이므로 고객들이 고기를 보아서는 소고기인지돼지고기인지 분간하기 어려우며 고기마다 마브링(지방)이 섞여 있으므로 맛 또한 뛰어난 것이 특징이다.
더욱 더 바람직하기로는 상기에서 기술한 고기와 한방 추출물을 함유한 고기는 고기특유의 누린네 를 제거함과 동시에 돼지고기에 함유된 "에소틸렌"이란 색소를 제거하므로 돼지고기를 시식한 뒤에 일어나는 공가스현상과 소화방해작용이 제거되므로 "소화촉진 강화"하는 효능을 느낄수 있으며, 혈액순환 기능강화, 이뇨작용 강화, 체내의 노폐물(변으로서) 제거 효능까지 일석오조의 탁월한 효과를 소비자들이 느낄수 있다는 것이 그 특성인 것이다.
본 발명가가 위의 제품을 개발함에 있어서 그 목적을 크게 3가지로 두었다.
그 첫 번째는 국내 약초 농가 보호 육성 및 그 이득금의 농가 환원이다.
우리나라 약초농가는 매년 감소추세인데 약초농가를 보호 육성하는 방법은 국내산 한방제제로 만든 제품을 많이 개발 보급하여 그 이득금을 약초농가에 환원하는 것이 그 방법인 것이다.
둘째로는 기능성 식품개발 보급이다.
오존층이 파괴되고 환경이 파괴되고 인간성이 파괴되고 국민들은 못살겠다고 아우성 치는 요즈음 그들에게 조그만 휴식공간 활용을 위하여서 식사를 하는 순간만이라도 기분 좋은 음식, 기분 좋게 먹는 방법, 시식하는 순간만이라도 음식을 주제로 막힌 대화를 시작하는 사랑스런 가정 풍토를 만들어 보자는 목적에서다.
셋째로는 축산농가 보호육성이 그 목적이다.
축산 농가에서 꾸준히 고기를 길러 일정한 금액으로 팔수 있는 판로를 만든다면 축산 농가도 대책과 예비책과 계획을 수립하여 일로매진 할수 있을 것이다.
농,축산은 투기의 대상이 되어서는 안되며 지속적이면서도 꾸준한 것이여야 된다.
그러면서 우리 제품의 탁월한 우월성을 만국에 홍보하여 외화 획득으로 이어진다면 국내 약초 농가는 물론 축산 농가 보호 육성에 크게 이바지 하리라 생각된다.

Claims (9)

  1. 아래 그림과 같이 돼지고기의 특수 부위를 체취하는 방법에 의하여 체취된 내용물
    (부위 체취도)
    각 부위 명칭
    1. 전지 2. 갈비 3. 목살 4. 어깨등심 5. 전족
  2. 증류수80%∼87중량%에 대추5.5%∼10중량% 갈화0.2%∼0.8중량% 미나리2.5∼4중량% 양파0.7%∼1.3중량% 대파1.25%∼2중량% 생강2.25%∼3.9중량% 의 추출물을 함유한 조성물
  3. 증류수80%∼85중량% 감초3%∼4.5중량%에 갈근5%∼7중량% 황기1.5%∼2.2중량% 감나무0.8%∼1.5중량% 오리나무0.5%∼1.3중량% 옷나무0.6%∼1.3중량% 오가피0.5%∼1.3중량% 엄나무8.1%∼9.3중량% 으로 구성된 재료를 추출하여 그 추출몰이 함유된 조성물
  4. 증류수83%∼92중량% 천궁3%∼4.5중량% 은행잎1.5%∼2.5중량%, 당귀3%∼4.5중량% 녹차1.5%∼2.5중량% 감잎 2%∼4중량% 산사1.5%∼2.5중량% 계피3%∼4.5중량% 진피1.5%∼2.5중량% 으로 구성된 재료를 추출하여 그 추출물이 함유된 조성물
  5. 청구1항에 있어서 청구2항을 가미한 조성물
  6. 청구5항에 있어서 청구3항을 가미한 조성물
  7. 청구6항에 있어서 청구4항을 가미한 조성물
  8. 청구7항의 방법에 따라 생성된 고상 제품인 한방 추출물이 함유된 돼지고기를 제품화 하여서 만든 제품을 특징으로 하는 돼지 갈비 및 돼지고기
  9. 청구 8항의 방법에 따라 생성된 고상제품에 소갈비와 소고기를 이용하여 만든제품
KR1020020001320A 2002-01-09 2002-01-09 돼지 고기의 특수 부위 체취방법과 이를 가미된육류식품의 제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300605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1320A KR20030060567A (ko) 2002-01-09 2002-01-09 돼지 고기의 특수 부위 체취방법과 이를 가미된육류식품의 제품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1320A KR20030060567A (ko) 2002-01-09 2002-01-09 돼지 고기의 특수 부위 체취방법과 이를 가미된육류식품의 제품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0567A true KR20030060567A (ko) 2003-07-16

Family

ID=32217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1320A KR20030060567A (ko) 2002-01-09 2002-01-09 돼지 고기의 특수 부위 체취방법과 이를 가미된육류식품의 제품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6056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7320B1 (ko) * 2009-02-09 2012-05-18 한국축산영농조합법인 천연 연육제 및 이를 이용한 산란노계육의 연육방법
KR20220015631A (ko) * 2020-07-31 2022-02-08 더 에스지파트너스 주식회사 스테이크용 목살갈비 가공방법 및 그 방법으로 가공된 스테이크용 목살갈비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00940A1 (fr) * 1987-06-18 1989-01-25 S.O.C.O.F. Societe De Conseil En Organisation Et De Formation Procédé et installation de désossage d'un quartier arrière de boucherie
KR930011871A (ko) * 1991-12-10 1993-07-20 유영학 즉석 요리용 불고기 양념의 제조 방법
KR930022976A (ko) * 1992-05-09 1993-12-18 김선길 불고기 양념 엑기스의 제조방법
KR970005067A (ko) * 1995-07-04 1997-02-19 윤일석 육류용 갈비와 그 발췌방법
KR20000014665A (ko) * 1998-08-24 2000-03-15 추극식 육류요리용 양념 및 그 제조방법
KR20000058471A (ko) * 2000-05-31 2000-10-05 최중호 숯불고기 양념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00940A1 (fr) * 1987-06-18 1989-01-25 S.O.C.O.F. Societe De Conseil En Organisation Et De Formation Procédé et installation de désossage d'un quartier arrière de boucherie
KR930011871A (ko) * 1991-12-10 1993-07-20 유영학 즉석 요리용 불고기 양념의 제조 방법
KR930022976A (ko) * 1992-05-09 1993-12-18 김선길 불고기 양념 엑기스의 제조방법
KR970005067A (ko) * 1995-07-04 1997-02-19 윤일석 육류용 갈비와 그 발췌방법
KR20000014665A (ko) * 1998-08-24 2000-03-15 추극식 육류요리용 양념 및 그 제조방법
KR20000058471A (ko) * 2000-05-31 2000-10-05 최중호 숯불고기 양념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7320B1 (ko) * 2009-02-09 2012-05-18 한국축산영농조합법인 천연 연육제 및 이를 이용한 산란노계육의 연육방법
KR20220015631A (ko) * 2020-07-31 2022-02-08 더 에스지파트너스 주식회사 스테이크용 목살갈비 가공방법 및 그 방법으로 가공된 스테이크용 목살갈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0246B1 (ko) 보이차를 함유한 돼지족발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돼지족발
KR101274254B1 (ko) 황토지장수를 이용한 삼계탕용 육수 및 삼계탕의 제조방법
CN1141193A (zh) 一组富硒北冬虫夏草药膳及其制备方法
KR101458175B1 (ko) 돈피를 이용한 콜라겐 젤리 제조방법
KR101646206B1 (ko) 오리뼈 우거지탕 제조방법
Sutrisno et al. Documentation of the traditional Alas food in Southeast Aceh district, Indonesia
KR20100121035A (ko) 약선(藥膳)음식의 제조방법
CN107279908A (zh) 一种卤制汤料、卤制品及其制作方法
KR101956114B1 (ko) 홍어 갈비탕 제조방법
KR101142181B1 (ko) 허브를 함유하는 닭 구이 제조방법
CN102805111A (zh) 一种防治芥菜蚜虫的植物药剂
KR101610205B1 (ko) 맑은 돼지국밥용 사골육수의 제조방법
CN103815416A (zh) 一种综合利用豪猪白条肉生产系列豪猪肉食品的方法
KR20030060567A (ko) 돼지 고기의 특수 부위 체취방법과 이를 가미된육류식품의 제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044949A (ko) 키토산이 풍부한 칠게와 양념 소스를 이용하여 제조된 칠게장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73436A (ko) 헛개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해장국의 제조방법
CN103584133A (zh) 一种五香酱肉的制作方法
CN106722641A (zh) 牛肉汤料组合物、牛肉汤料的制备方法及牛肉汤料
KR102042514B1 (ko) 장어 숙성소스 및 그 숙성방법
KR100607622B1 (ko) 전복을 이용한 삼복계탕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삼복계탕
Nepal An Ethnobotanicxal Study of Non-Timber Forest Products in Dorokha, Bhutan
KR20130137408A (ko) 육류조리용 첨가제 제조방법
KR101392530B1 (ko) 매실액이 함유된 명이양념절임 및 그 제조방법
Kanchanakunjara et al. Traditional curry pastes during Sukhothai to Ratthanakosin: The subjective experience of the past and present
CN106213272A (zh) 一种清热解毒的横县生鱼片的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