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0205B1 - 맑은 돼지국밥용 사골육수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맑은 돼지국밥용 사골육수의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10205B1 KR101610205B1 KR1020150098245A KR20150098245A KR101610205B1 KR 101610205 B1 KR101610205 B1 KR 101610205B1 KR 1020150098245 A KR1020150098245 A KR 1020150098245A KR 20150098245 A KR20150098245 A KR 20150098245A KR 101610205 B1 KR101610205 B1 KR 10161020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rk
- raw material
- weight
- parts
- material heating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5000014347 soups Nutrition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22
- 235000013372 meat Nutrition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18
- 240000007594 Oryza sativa Specie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10
- 235000007164 Oryza sativa Nutrition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10
- 235000009566 rice Nutrition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10
- 210000001930 Leg Bones Anatomy 0.000 title abstract 3
- 235000015277 pork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6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9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9000011780 sodium chlorid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9000008236 heating wat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2
- 239000011874 heated mixtur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0654 additiv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0996 additiv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40000002302 Toxicodendron succedaneum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41000411851 herbal medicine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4570 mortar (masonry)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10000002969 Egg Yolk Anatomy 0.000 claims 1
- 235000015278 beef Nutrition 0.000 claims 1
- 235000013345 egg yolk Nutrition 0.000 claims 1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5000016709 nutrition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35764 nutrition Effects 0.000 abstract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5
- 235000015097 nutrie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0
- 210000000988 Bone and Bones Anatomy 0.000 description 6
- 235000019640 tas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6
- 244000305267 Quercus macrolepis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6976 Quercus macrolep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41000282898 Sus scrofa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10000001185 Bone Marrow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10000004185 Liver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01000009673 liver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21395 porrid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HVYWMOMLDIMFJA-DPAQBDIFSA-N (3β)-Cholest-5-en-3-ol Chemical compound C1C=C2C[C@@H](O)CC[C@]2(C)[C@@H]2[C@@H]1[C@@H]1CC[C@H]([C@H](C)CCCC(C)C)[C@@]1(C)CC2 HVYWMOMLDIMFJA-DPAQBDIFSA-N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204 Blood Vessels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41000283690 Bos tauru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8534 Capsicum annuum var annu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08000008665 Gastrointestinal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06454 Hepat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41000237502 Ostreidae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06010039073 Rheumatoid arthr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3491 Skin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0000017531 blood circ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835 boi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6039 immun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20636 oyst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JLPULHDHAOZNQI-ZTIMHPMXSA-N 1-hexadecanoyl-2-(9Z,12Z-octadecadienoyl)-sn-glycero-3-phosphocholine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O)OC[C@H](COP([O-])(=O)OCC[N+](C)(C)C)OC(=O)CCCCCCC\C=C/C\C=C/CCCCC JLPULHDHAOZNQI-ZTIMHPMX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251468 Actinopterygii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03246 Arthr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369 Blood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556 Brai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5000002566 Capsic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4160 Capsicum annu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8384 Capsicum annuum var. annu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7862 Capsicum baccat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8000008787 Cardiovascular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169 Central Nervous System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29940107161 Cholesterol Drugs 0.000 description 1
- 206010008909 Chronic hepat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1224 Cough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38424 Crustace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5717 Dioscorea ala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2723 Dioscorea alat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7056 Dioscorea composit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723 Dioscorea convolvulac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362 Dioscorea floribund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4868 Dioscorea macrostachy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361 Dioscorea nummulari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360 Dioscorea spiculiflor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6010013911 Dysgeus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4232 Enter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7882 Gastr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9133 Hangov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61218 Inflamma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503 Joint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87 Lamb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40067606 Lecith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002 Pe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331 Pinus X rigitaed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613 Pinus bruti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018646 Pinus brut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6761 Piper adunc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7804 Piper guineen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0129 Piper nigr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184 Piper nigr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6764 Punica granat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360 Punica granat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6010057190 Respiratory tract infec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296 Saliva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06010039897 Seda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PEYUIKBAABKQKQ-AFHBHXEDSA-N Sesamin Chemical compound C1=C2OCOC2=CC([C@H]2OC[C@H]3[C@@H]2CO[C@@H]3C2=CC=C3OCOC3=C2)=C1 PEYUIKBAABKQKQ-AFHBHXED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282887 Suid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835 Viscera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480 active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2 add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6350 apichu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80 bl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OYPRJOBELJOOCE-UHFFFAOYSA-N calcium Chemical compound [Ca] OYPRJOBELJOOC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91 calc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75 calc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728 capsicum frutescen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777 crisp brea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877 deodoriz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84 detox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911 die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213 die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4879 dioscor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47 exhibi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96 flavor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34 flavor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194 food seasoning agen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402 health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1000010238 heart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283 hepatitis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57 inflammator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0000000018 inflammatory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54 inflammatory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522 irrita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85 irri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021 irritant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22 lacqu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87 lecith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445 lecith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65 lethal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518 lethal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01000004044 liver cirrho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75 main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054 meal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03 metabolic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935 nutritio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1000008482 osteoarthr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04 phys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397 quillaja saponaria molina bar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43 salty tas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7949 saponi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390 scarr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280 se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43 smell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5 stabil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6 synthesis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94 synthesiz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23L1/313—
-
- A23L1/3002—
-
- A23L1/39—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Abstract
본 발명은 돼지국밥용 사골육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물, 돼지사골, 한약재 및 소금을 혼합하고 가열하는 제1원료가열단계, 상기 제1원료가열단계를 통해 제조된 혼합물에 돈육를 혼합하고 가열하는 돈육첨가단계, 상기 돈육첨가단계를 통해 가열된 혼합물에서 돈육을 제거하고 가열하는 제2원료가열단계 및 상기 제2원료가열단계를 통해 가열된 혼합물에 함유된 고형분을 여과하는 여과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과정을 통해 제조되는 사골육수는 한약재가 함유되어 비린내가 제거되며, 각종 영양성분이 풍부하여 함유되어 있다.
상기의 과정을 통해 제조되는 사골육수는 한약재가 함유되어 비린내가 제거되며, 각종 영양성분이 풍부하여 함유되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맑은 돼지국밥용 사골육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한약재가 함유되어 비린내가 제거되며, 각종 영양성분이 풍부하여 함유되어 있는 맑은 돼지국밥용 사골육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돼지국밥은 돼지뼈나 사골을 우려낸 육수에 밥, 돼지 수육을 얇게 썰어 다데기 등을 얹어 밥을 말아먹는 음식으로, 우리나라 사람들이 좋아하는 음식 중의 하나이다. 국밥은 비교적 저렴한 서민 음식으로 만드는 방법도 간편하여 부담없이 한 끼 식사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 국밥의 육수는 보통 돼지고기나 돼지사골, 우사골이나 우양지, 사태 등을 많이 이용하며, 돼지 사골과 우사골을 섞어서 육수를 우려내기도 한다.
하지만, 종래의 돼지국밥용 육수는 고기나 사골특유이 사용되면서 발생하는 누린내가 강하며, 뒷맛이 개운치 않아 외국인이나, 어린이들은 섭취를 꺼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 돼지국밥은 돼지의 내장 등을 함께 넣고 끓이는 경우에 많은데, 이러한 경우 누린내가 강할 뿐만 아니라, 내장의 형태 등에 혐오성을 느끼는 취식자가 많이 소비자의 기호를 만족시키지 못할 뿐만 아니라, 돼지 국밥의 맛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 돼지국밥은 단순히 돼지사골과 내장 및 돼지의 잡고기 등을 혼합하여 끓이는 방식으로 제조되기 때문에, 함유되는 영양소가 한정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한약재가 함유되어 비린내가 제거되며, 각종 영양성분이 풍부하여 함유되어 있는 맑은 돼지국밥용 사골육수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물, 돼지사골, 한약재 및 소금을 혼합하고 가열하는 제1원료가열단계, 상기 제1원료가열단계를 통해 제조된 혼합물에 돈육을 혼합하고 가열하는 돈육첨가단계, 상기 돈육첨가단계를 통해 가열된 혼합물에서 돈육을 제거하고 가열하는 제2원료가열단계 및 상기 제2원료가열단계를 통해 가열된 혼합물에 함유된 고형분을 여과하는 여과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맑은 돼지국밥용 사골육수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원료가열단계와 상기 돈육첨가단계 사이에는 상기 제1원료가열단계를 통해 제조된 혼합물 100 중량부에 헛개나무 및 메주콩으로 이루어진 첨가제 0.5 내지 1.5 중량부를 혼합하는 첨가제투입단계가 더 진행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원료가열단계는 물 100 중량부, 돼지사골 30 내지 35 중량부, 한약재 0.5 내지 1.5 중량부 및 소금 0.1 내지 0.5 중량부를 혼합하고 100 내지 110℃의 온도로 100 내지 150분 동안 가열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한약재는 옻나무, 엄나무 및 오가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돈육첨가단계는 상기 제1원료가열단계를 통해 제조된 혼합물 100 중량부에 돈육 10 내지 20 중량부를 혼합하고 100 내지 110℃의 온도로 25 내지 35분 동안 가열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2원료가열단계는 100 내지 110℃의 온도로 4 내지 6시간 동안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맑은 돼지국밥용 사골육수의 제조방법은 한약재가 함유되어 비린내가 제거되며, 각종 영양성분이 풍부하여 함유되어 있는 맑은 돼지국밥용 사골육수를 제공하는 탁월한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맑은 돼지국밥용 사골육수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각 성분의 물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맑은 돼지국밥용 사골육수의 제조방법은 물, 돼지사골, 한약재 및 소금을 혼합하고 가열하는 제1원료가열단계(S101), 상기 제1원료가열단계(S101)를 통해 제조된 혼합물에 돈육을 혼합하고 가열하는 돈육첨가단계(S103), 상기 돈육첨가단계(S103)를 통해 가열된 혼합물에서 돈육을 제거하고 가열하는 제2원료가열단계(S105) 및 상기 제2원료가열단계(S105)를 통해 가열된 혼합물에 함유된 고형분을 여과하는 여과단계(S107)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원료가열단계(S101)는 물, 돼지사골, 한약재 및 소금을 혼합하고 가열하는 단계로, 물 100 중량부, 돼지사골 30 내지 35 중량부, 한약재 0.5 내지 1.5 중량부 및 소금 0.1 내지 0.5 중량부를 혼합하고 100 내지 110℃의 온도로 100 내지 150분 동안 가열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돼지사골은 사골육수를 제조하는 주재료로, 고소한 맛과 각종 영양성분이 풍부하게 함유된 사골육수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는데, 상기 돼지사골의 함량이 30 중량부 미만이면 사골육수의 맛이 영양성분이 저하될 수 있으며, 상기 돼지사골의 함량이 35 중량부를 초과하게 되면 사골의 농도가 지나치게 증가하여 육수가 탁해지며, 누린내와 비린맛이 증가할 수 있다.
상기 한약재는 0.5 내지 1.5 중량부가 함유되며, 돼지국밥용 사골육수에 누린내를 제거할 뿐만 아니라, 돼지국밥용 사골육수를 맑게하며 각종 영양성분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데, 상기 한약재의 함량이 1 중량부 미만이면 상기의 효과가 미미하며, 상기 한약재의 함량이 3 중량부를 초과하게 되면 한약재 특유의 냄새와 맛이 강해져 돼지국밥용 사골육수의 맛이 저하된다.
이때, 상기 한약재는 옻나무, 엄나무 및 오가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옻나무는 탈취효과가 우수하여 돼지국밥용 사골육수에서 발생하는 누린내를 잡아주고, 사골육수를 투명하게 하는 역할을 하며, 혈관을 건겅하게하여 혈액순환이 잘 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 위염, 간염 및 장염 등과 같은 염증질환에 우수한 효능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위장병과 위장질환에 효과가 있고, 뼈의 건강과 관절염 치료에도 효과를 나타내며, 원기회복 및 건강식품 재료로도 사용되고 있다.
또한, 상기 엄나무는 육고기의 누린내를 잡아주며, 사골육수를 투명하게 하는 특성을 나타내며, 간질환, 간경화 및 만성간염등과 같은 간질환에 효능이 뛰어나고, 피부의 상처나 염증성 피부에 탁월한 효과를 나타내며, 관절의 염증완화 효과가 있어서 관절염에도 효과적이고, 중추신경등에 아픔을 억제시키므로 류머티스성 관절염에도 효과적이다.
또한, 상기 엄나무는 우울증 및 스트레스에도 효과적인데, 피를 정화시키는 효능이 있기 때문에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여 기운을 되찾게 되고 두뇌활동을 촉진시키므로 심신의 안정 및 스트레스 완화에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오가피는 면역력을 향상시켜주며, 사골육수를 투명하게 하며 진정작용으로인해 심신을 안정시켜주고 신경안정을 통해 숙면을 유도하며, 류마티즘관절염 혹은 퇴행성 관절염을 개선한다.
또한, 상기 오가피는 우리 몸을 해독하는 작용을 하고 치사노사이드 성분이 함유되어 간경화를 억제하며, 세사민 성분이 함유되어 기침을 멎게 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상기 돈육첨가단계(S103)는 상기 제1원료가열단계(S101)를 통해 제조된 혼합물에 돈육을 혼합하고 가열하는 단계로, 상기 제1원료가열단계(S101)를 통해 제조된 혼합물 100 중량부에 돈육 10 내지 20 중량부를 혼합하고 100 내지 110℃의 온도로 25 내지 35분 동안 가열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돈육첨가단계(S103)를 통해 돈육을 혼합하고 상기의 온도조건으로 가열하는 과정을 거치면, 돈육에서 육수가 추출되어 사골육수에 각종영양성분이 함량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구수한 맛이 향상되는데, 상기 돈육의 함량이 10 중량부 미만이면 상기의 효과가 미미하며, 상기 돈육의 함량이 20 중량부를 초과하게 되면 제조비용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사골육수의 누린내와 비린맛이 증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돈육은 사태, 전지 및 머릿고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의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돈육은 다른 부위에 비해 풍부한 양의 육수가 추출되면서도, 누린내와 비린맛의 발생이 낮은 장점을 나타낸다.
상기 제2원료가열단계(S105)는 상기 돈육첨가단계(S103)를 통해 가열된 혼합물에서 돈육을 제거하고 가열하는 단계로, 상기 돈육첨가단계(S103)를 통해 가열된 혼합물에서 돈육을 제거하고, 돈육이 제거된 혼합물을 100 내지 110℃의 온도로 4 내지 6시간 동안 가열하여 이루어지는데, 상기의 조건으로 이루어지는 제2원료가열단계(S105)를 거치면 돼지사골에 함유된 유효성분의 추출효율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상기 한약재의 성분 중 옻나무에 함유된 우루시올과 같은 자극성분이 분해된다.
상기 여과단계(S107)는 상기 제2원료가열단계(S105)를 통해 가열된 혼합물에 함유된 고형분을 여과하는 단계로, 상기 제2원료가열단계(S105)를 통해 가열된 혼합물에 함유된 고형분을 채거름망과 같은 여과장치를 이용하여 여과하는 단계로, 상기의 여과단계(S107)를 거치면 고형분이 제거되어 맑은 상태의 돼지국밥용 사골육수의 제조가 완료된다.
또한, 상기 제1원료가열단계(S101)와 상기 돈육첨가단계(S103) 사이에는 상기 제1원료가열단계(S101)를 통해 제조된 혼합물 100 중량부에 헛개나무 및 메주콩으로 이루어진 첨가제 0.5 내지 1.5 중량부를 혼합하는 첨가제투입단계(S102)가 더 진행될 수도 있다.
상기 헛개나무는 간의 해독작용 및 신진대사 기능을 향상시켜, 보다 원활한 간의 활동을 통해 피로를 해소하고, 숙취를 없애는 효능을 나타낸다.
또한, 상기 메주콩은 칼슘이 다량함유되어 있어 뼈를 건강하게 해주며, 체내 콜레스테롤의 수치를 낮춰주고 혈관을 튼튼하게 하여 뇌졸증이나 심장병과 같은 심혈관계 질병을 예방하며, 식이섬유가 풍부해서 변비개선 효과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레시틴과 사포닌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체내지방의 합성을 줄여 다이어트 효과를 나타내며, 면역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나타낸다.
상기 첨가제의 함량이 1 중량부 미만이면 상기의 효과가 미미하며, 상기 첨가제의 함량이 3 중량부를 초과하게 되면 제조비용을 증가시키며 돼지국밥용 사골육수의 맛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의 과정을 통해 제조되는 돼지국밥용 사골육수는 얄게 썰어진 수육과 대파, 후추 및 고춧가루 등의 양념을 기호에 따라 혼합하여 밥과 함께 취식할 수 있는데, 한약재가 함유되어 비린내가 제거되며, 각종 영양성분이 풍부하여 함유되어 있어 취식자의 건강을 증진시키는 효과를 나타낸다.
S101 ; 제1원료가열단계
S102 ; 첨가제투입단계
S103 ; 돈육첨가단계
S105 ; 제2원료가열단계
S107 ; 여과단계
S102 ; 첨가제투입단계
S103 ; 돈육첨가단계
S105 ; 제2원료가열단계
S107 ; 여과단계
Claims (7)
- 물, 돼지사골, 한약재 및 소금을 혼합하고 가열하는 제1원료가열단계;
상기 제1원료가열단계를 통해 제조된 혼합물에 돈육을 혼합하고 가열하는 돈육첨가단계;
상기 돈육첨가단계를 통해 가열된 혼합물에서 돈육을 제거하고 가열하는 제2원료가열단계; 및
상기 제2원료가열단계를 통해 가열된 혼합물에 함유된 고형분을 여과하는 여과단계;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원료가열단계는 물 100 중량부, 돼지사골 30 내지 35 중량부, 한약재 0.5 내지 1.5 중량부 및 소금 0.1 내지 0.5 중량부를 혼합하고 100 내지 110℃의 온도로 100 내지 150분 동안 가열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원료가열단계와 상기 돈육첨가단계 사이에는 상기 제1원료가열단계를 통해 제조된 혼합물 100 중량부에 헛개나무 및 메주콩으로 이루어진 첨가제 0.5 내지 1.5 중량부를 혼합하는 첨가제투입단계가 더 진행되며,
상기 한약재는 옻나무 및 엄나무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원료가열단계는 100 내지 110℃의 온도로 4 내지 6시간 동안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맑은 돼지국밥용 사골육수의 제조방법.
- 삭제
- 삭제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돈육첨가단계는 상기 제1원료가열단계를 통해 제조된 혼합물 100 중량부에 돈육 10 내지 20 중량부를 혼합하고 100 내지 110℃의 온도로 25 내지 35분 동안 가열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맑은 돼지국밥용 사골육수의 제조방법.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돈육은 사태, 전지 및 머릿고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맑은 돼지국밥용 사골육수의 제조방법.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98245A KR101610205B1 (ko) | 2015-07-10 | 2015-07-10 | 맑은 돼지국밥용 사골육수의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98245A KR101610205B1 (ko) | 2015-07-10 | 2015-07-10 | 맑은 돼지국밥용 사골육수의 제조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10205B1 true KR101610205B1 (ko) | 2016-04-08 |
Family
ID=55908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98245A KR101610205B1 (ko) | 2015-07-10 | 2015-07-10 | 맑은 돼지국밥용 사골육수의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10205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36958A (ko) * | 2017-09-28 | 2019-04-05 | 주식회사 다담 | 사골육수와 그의 제조방법 |
KR102082878B1 (ko) | 2019-11-19 | 2020-02-28 | 농업회사법인 에이플러스 주식회사 | 사골육수 제조방법 |
KR102303932B1 (ko) | 2020-12-31 | 2021-09-23 | 주식회사 초이스엠코리아 | 양사골 육수를 이용한 양곰탕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양곰탕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01869B1 (ko) | 2007-09-14 | 2009-06-09 | 배석만 | 한약재 보신탕의 제조방법 |
-
2015
- 2015-07-10 KR KR1020150098245A patent/KR101610205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01869B1 (ko) | 2007-09-14 | 2009-06-09 | 배석만 | 한약재 보신탕의 제조방법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http://blog.naver.com/csooin0428/220368553621*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36958A (ko) * | 2017-09-28 | 2019-04-05 | 주식회사 다담 | 사골육수와 그의 제조방법 |
KR102207316B1 (ko) | 2017-09-28 | 2021-01-25 | 주식회사 다담 | 사골육수와 그의 제조방법 |
KR102082878B1 (ko) | 2019-11-19 | 2020-02-28 | 농업회사법인 에이플러스 주식회사 | 사골육수 제조방법 |
KR102303932B1 (ko) | 2020-12-31 | 2021-09-23 | 주식회사 초이스엠코리아 | 양사골 육수를 이용한 양곰탕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양곰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50246B1 (ko) | 보이차를 함유한 돼지족발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돼지족발 | |
KR101458175B1 (ko) | 돈피를 이용한 콜라겐 젤리 제조방법 | |
KR101607807B1 (ko) | 소고기 선지 해장국의 제조방법 | |
KR101561869B1 (ko) | 갈비탕 제조방법 | |
KR20100121035A (ko) | 약선(藥膳)음식의 제조방법 | |
CN104366432A (zh) | 一种富营养香辣牦牛肉酱及其加工方法 | |
KR101610205B1 (ko) | 맑은 돼지국밥용 사골육수의 제조방법 | |
KR100842090B1 (ko) | 한방 오리 사육용 사료 및 그 사료를 이용한 한방 오리사육방법 | |
KR101730794B1 (ko) | 해천탕의 제조방법 및 그 해천탕 | |
KR101443113B1 (ko) | 복어 한방지리탕의 제조방법 | |
KR101142181B1 (ko) | 허브를 함유하는 닭 구이 제조방법 | |
KR20160044604A (ko) | 복어 육개장의 제조방법 | |
KR102040771B1 (ko) | 참옻 분말을 이용한 갈비탕의 제조방법 | |
KR101591079B1 (ko) | 산약초 추출액을 이용한 갈비탕 제조방법 | |
KR20110092990A (ko) | 닭발 요리의 조성물 및 제조방법 | |
KR20220011766A (ko) | 김치 순댓국 제조 방법 | |
KR20120130661A (ko) | 오골계 숯불구이 제조 방법 | |
KR101182696B1 (ko) | 전복두부와 그 제조방법 | |
KR20030041527A (ko) | 오리 한방 불고기의 제조방법 | |
KR101708326B1 (ko) | 오리 해장국용 천연 조미료 및 이를 이용한 오리 해장국 제조방법 | |
CN103704748A (zh) | 一种鹅肉的加工方法 | |
JP4825652B2 (ja) | 味噌加工品の製造方法、味噌加工品、味噌抽出液、味噌抽出脱臭剤および味噌抽出食肉軟化剤 | |
KR100492510B1 (ko) | 웰빙허브오리 및 그 제조방법 | |
KR20110131874A (ko) | 돼지 등갈비 숙성용 소스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한 소스 | |
KR101716762B1 (ko) | 산천어 영양김치 제조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