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55139A - 차량용 인사이드 리어뷰 미러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인사이드 리어뷰 미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55139A
KR20030055139A KR1020020083292A KR20020083292A KR20030055139A KR 20030055139 A KR20030055139 A KR 20030055139A KR 1020020083292 A KR1020020083292 A KR 1020020083292A KR 20020083292 A KR20020083292 A KR 20020083292A KR 20030055139 A KR20030055139 A KR 200300551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operation lever
shaft
mirror housing
mirr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32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58839B1 (ko
Inventor
와치겐이치
Original Assignee
이치코 고교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치코 고교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치코 고교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551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51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88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88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4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insid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8Rear-view mirror arrangements involving special optical features, e.g. avoiding blind spots, e.g. convex mirrors; Side-by-side associations of rear-view and other mirrors
    • B60R1/083Anti-glare mirrors, e.g. "day-night" mirrors
    • B60R1/086Anti-glare mirrors, e.g. "day-night" mirrors using a mirror angularly movable between a position of use and a non-glare position reflecting a dark field to the user, e.g. situated behind a transparent glass used as low-reflecting surface; Wedge-shaped mirr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59/00Optical: systems and elements
    • Y10S359/90Meth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 Mounting And Adjusting Of Optical Elements (AREA)

Abstract

브래킷 및 조작레버에는, 축부가 설치되어 있고, 미러 하우징에는, 축받이부 및 가이드 겸 가유지부가 설치되어 있다. 이 결과, 브래킷과, 미러 하우징과, 조작레버를 조립할 때에, 축부가 가이드 겸 가유지부에 의해 축받이부에 가이드되고, 또한, 축부가 가이드 겸 가유지부 및 축받이부에 있어서 가유지된다. 이 때문에, 축부를 축받이부에 간단히 또한 확실하게 회전가능하게 지지시킬 수가 있고, 그만큼, 인사이드 미러의 코스트를 저렴하게 할 수가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인사이드 리어뷰 미러장치{INSIDE REARVIEW MIRROR APPARATUS F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차 실내에 장비되는 차량용 인사이드 리어뷰 미러장치(이하, 간단히 인사이드 미러라고 칭한다)로서, 이른바 프리즘형의 미러보디(이하, 간단히 프리즘 미러라고 칭한다)의 반사각도를 전환함으로써, 미러보디의 반사율을 전환할 수 있는 방현(防眩)타입의 인사이드 미러에 관한 것이다. 또한, 이 명세서중, 「후방」이란, 자동차의 진행방향과 역방향으로서, 드라이버측에서 본 후방을 말한다. 또, 「전방」이란, 자동차의 진행방향으로서, 드라이버측에서 본 전방을 말한다.
이런 종류의 인사이드 미러로서는, 예를 들면 미국 특허 제 4,836,648호에 기재된 것, 미국 특허 제 5,016,979 호에 기재된 것 등이 있다. 이하, 상기의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인사이드 미러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 인사이드 미러는, 상기 스테이(7,1)에 지지되는 브래킷(22,5)과, 상기 브래킷(22,5)에 제 1 축기구(22a,15a,5f,10f)를 통하여 경동가능하게 지지되고, 또한 프리즘형의 미러보디(9,M)를 가지는 미러 하우징(3,10)과, 상기 미러 하우징(3,10)에 제 2 축기구(40,17a,12c,10g)를 통하여 경동가능하게 지지되고, 또한, 탄성 걸어맞춤수단(46,14)을 통하여 상기 브래킷(22,5)에 제 1 위치와 제 2 위치로 전환가능하게 지지되는 조작레버(34,12)를 구비하는 것이다. 이 인사이드 미러에 있어서, 상기 조작레버(34,12)를 제 1 위치 또는 제 2 위치로 전환한다. 그러면, 미러 하우징(3,10)이 브래킷(22,5) 및 스테이(7,1)에 대해서 제 1 경사위치 또는 제 2 경사위치로 경동한다. 이것에 의해, 프리즘 미러(9,M)의 이면 반사막에 있어서 높은 반사율의 주간용의 반사광 또는 표면에 있어서 낮은 반사율의 야간용의 반사광이 드라이버의 눈에 입사한다. 이 결과, 야간에서의 후속차의 헤드램프로부터의 조사광의 눈부심을 방지할 수 있어, 야간의 안전운전에 기여할 수가 있다.
그런데, 상기의 종래의 인사이드 미러에 있어서, 제 1 축기구 및 제 2 축기구는, 단지, 축부(22a,40,5f,12c)와, 축받이부(15a,17a,10f,10g)로 구성되어 있는것이다. 이 때문에, 종래의 인사이드 미러는, 브래킷(22,5)과, 미러 하우징(3,10)과, 조작레버(34,12)를 조립할 때에, 이들 브래킷(22,5), 미러 하우징(3,10), 조작레버(34,12)를 어떠한 수단에 의해 가유지할 필요가 있으므로, 조립 공정상에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브래킷과 미러 하우징과 조작레버를 용이하게 또한 확실하게 조립할 수 있고, 그만큼 코스트를 저렴하게 할 수 있는 인사이드 미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인사이드 미러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2는 일부를 파단하여 주요부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주간용의 전환상태를 나타내는 도 2에 있어서의 Ⅲ-Ⅲ선 단면도,
도 4는 야간용의 전환상태를 나타내는 도 2에 있어서의 Ⅲ-Ⅲ선 단면도,
도 5는 도 2에 있어서의 Ⅴ-Ⅴ선 단면도,
도 6은 조립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야간용과 주간용의 전환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8은 제 1 축기구 및 제 2 축기구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위해서, 제 1 축기구 및 제 2 축기구가, 미러 하우징측 또는 브래킷 및 조작레버측의 어느 한쪽에 설치된 축부와, 다른쪽에 설치된 상기 축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기위한 축받이부와, 상기 축받이부에 일체로 설치된, 상기 축부를 상기 축받이부에 회전가능하게 지지시키기위한 가이드 겸 가유지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결과, 본 발명은, 브래킷과, 미러 하우징과, 조작레버를 조립할 때에, 축부가 가이드 겸 가유지부에 의해 축받이부에 가이드되고, 또한 축부가 가이드 겸 가유지부 및 축받이부에 있어서 가유지된다. 이 때문에, 이 발명은, 어떠한 수단을 필요로 하지않고, 축부를 축받이부에 간단히 또한 확실하게 회전가능하게 지지시킬 수 있고, 그만큼 인사이드 미러의 코스트를 저렴하게 할 수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인사이드 미러의 실시형태의 일례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도면 중, F는 전방을 나타내고, B는 후방을 나타내고, F-B의 일점쇄선은 이 인사이드 미러를 차 실내에 장비되었을 때의 전후 수평선을 나타낸다.
우선, 이 실시형태에 관한 인사이드 미러의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면에 있어서, 부호 1은, 이 실시형태에 관한 인사이드 미러이다. 이 인사이드 미러(1)는, 스테이(2)를 통하여 차 실내에 장비되는 방현 타입의 인사이드 미러이다. 이 인사이드 미러(1)는, 브래킷(3)과, 프리즘 미러(40)를 가지는 미러 하우징(4)과, 조작레버(5)를 구비하는 것이다.
상기 스테이(2)는, 예를 들면 합성 수지제로 구성되어 있다. 이 스테이(2)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단에서 타단에 걸쳐서 거의 L자 형상을 이룬다. 이 스테이(2)의 일단은, 탈락기구(도시생략)를 가지는 부착수단(도시생략)에 의해, 차 실내의 부착개소(도시생략), 예를 들면, 프론트 인사이드 루프패널이나 프론트 윈도패널 내면 등에 탈락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이 스테이(2)의 타단에는, 둥근막대형상의 축부(20)와 볼부(21)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브래킷(3)은, 예를 들면, PP(폴리프로필렌)등의 합성수지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브래킷(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면에서 보아 거의 사각형을 이루고 있다. 이 브래킷(3)의 상부의 거의 중간부에는, 도 3,4,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개구(31) 및 볼오목부(30) 및 제 2 개구(32)가 전방 F측에서 후방 B측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 이 브래킷(3)의 좌우 양단면의 상부에는, 원주형상의 제 1 축부(33,33)가 각각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브래킷(3)의 전후 양면에는, 보강의 리브(39)가 상기 볼오목부(30)의 중심(O)으로부터 방사형상으로, 또한 브래킷(3)의 주변의 환형상으로, 각각 일체로 복수개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브래킷(3)의 하단면의 거의 중간부에는, 볼록부(34)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이 볼록부(34)의 하단면에는, V자형으로 설치된 제 1 맞닿음면(35) 및 제 2 맞닿음면(36)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 이 볼록부(34)의 전후 양면에는, 전환각도 규제의 돌기(37,38)가 각각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볼록부(34)의 후방측의 면(340)은, 경사하고 있다.
상기 미러 하우징(4)은, 예를 들면, PP(폴리프로필렌)등의 합성수지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미러 하우징(4)은, 전방(F)이 폐색되고, 또한, 후방(B)이 개구된 중공형상의 하우징형상을 이룬다. 이 미러 하우징(4)의 전방측의 거의 중앙에는, 원형의 스테이 삽입통과구멍(41)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이 미러 하우징(4)의 후방측에는, 거의 직사각형상의 미러 개구부(42)가 형성되어 있다. 또, 이 미러 하우징(4)의 전방측 하부로부터 저부에 걸친 거의 중간부에는, 사각형상의 노브 삽입통과구멍(43)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미러 하우징(4)의 상부벽으로부터 전방 폐색벽을 지나서 저부벽에 걸친 내부에는, 2매의 리브(44,44)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이 2매의 리브(44,44)는, 상기 스테이 삽입통과구멍(41) 및 조작레버 삽입통과구멍(43)의 양측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프리즘 미러(40)는, 예를 들면 유리제로 구성되어 있다. 이 프리즘 미러(44)는, 표면과 이면이 평행하지않고 약간 경사하고 있다. 이 프리즘 미러(40)의 이면에는, 알루미증착이나 은색 도장 등의 반사막(도시생략)이 입혀져 있고, 또한, 크라프트지의 테이프(45)(도 3∼도 5 중 굵은 선으로 표시함)가 설치되어 있다. 이 프리즘 미러(40)는, 상기 미러 하우징(4)의 미러 개구부(42)의 테두리에 끼워맞추어 고정되어 있다.
조작레버(5)는, 예를 들면, POM 등의 합성 수지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조작레버(5)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면에서 보아 거의 T자 형상을 이룬다. 이 조작레버(5)의 상부의 좌우 양단면에는, 원주형상의 제 2 축부(50,50)가 각각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또, 이 조작레버(5)의 상부의 중간부에는, 탄성 걸어맞춤 맞닿음부(51)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즉, 조작레버(5)의 상부의 중간부에 슬릿(52)을 설치함으로써, 탄성 걸어맞춤 맞닿음부(51)에는 탄성이 부여되게 된다. 이 결과, 탄성 걸어맞춤 맞닿음부(51)는, 가요성을 가지게 된다. 또한, 이 탄성 걸어맞춤 맞닿음부(51)의 두께는, 다른 부분보다도 얇게 함으로써, 상기 가요성이 상승한다. 이 탄성 걸어맞춤 맞닿음부(51)와 상기 제 1 맞닿음면(35) 및 상기 제 2 맞닿음면(36)은, 탄성 걸어맞춤수단을 구성하는 것이다.
이 탄성 걸어맞춤수단은, 탄성 걸어맞춤 맞닿음부(51)가 상기 제 1 맞닿음면(35) 및 상기 제 2 맞닿음면(36)의 곡부(谷部)에 탄성 걸어맞춤함으로써, 상기 브래킷(3)과 상기 조작레버(5)에 도 5 중 화살표 A방향, 화살표 C방향의 탄성이 각각 작용하는 것이다. 또, 이 탄성 걸어맞춤수단은, 상기 조작레버(5)를 제 1 위치(도 3에 도시한 상태의 위치) 또는 제 2 위치(도 4에 도시한 상태의 위치)로 전환했을 때에, 상기 조작레버(5)가 상기 조작레버 삽입통과구멍(43)의 테두리에 닿기 전에, 상기 탄성 걸어맞춤 맞닿음부(51)가 상기 제 1 맞닿음면(35) 또는 상기제 2 맞닿음면(36)에 탄성적으로 맞닿는 것이다.
또한, 상기 조작레버(5)의 하부에는, 노브(53)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또, 이 노브(53)의 후방측의 면에는, 상기 조작레버 삽입통과구멍(43)을 커버하는 커버판(54)이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커버판은, 노브(53)의 전방측면에 설치하여도 좋고, 또는, 노브(53)의 전후 양면에 설치하여도 좋다.
상기 미러 하우징(4)의 2매의 리브(44,44)의 서로 대향하는 면에는, 제 1 축받이부(61), 제 2 축받이부(62) 및 제 1 가이드 겸 가유지부(71), 제 2 가이드 겸 가유지부(72)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 1 축받이부(61) 및 상기 제 2 축받이부(62)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거의 역 U자형상 및 거의 U자 형상을 이룬다. 즉, 이 제 1 축받이부(61), 제 2 축받이부(62)는, 벽(60,60)과, 개구(63,63)를 가지는 것이다. 이 벽(60,60)은, 상기 탄성 걸어맞춤수단의 탄성이 상기 브래킷(3)과 상기 조작레버(5)에 각각 작용하는 방향(도 5중 화살표 A방향, 화살표 C방향), 및 상기 브래킷(3)에 대해서 상기 미러 하우징(4)과 상기 조작레버(5)가 각각 경동하는 방향(도 5중 화살표 D방향, 화살표 E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 1 축부(33,33) 및 상기 제 2 축부(50,50)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이다. 또, 개구(63,63)는, 상기 방향이외의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 1 축부(33,33) 및 상기 제 2 축부(50,50)를 상기 벽(60,60)에 지지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 1 가이드 겸 가유지부(71) 및 상기 제 2 가이드 겸 가유지부(72)는, 마찬가지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벽(60,60) 중 상기 탄성 걸어맞춤수단을 통하여 상기 브래킷(3)과 상기 조작레버(5)를 조립하는 방향(도 6중 화살표 G방향, 즉, 도 5 중 화살표 D방향)의 상기 개구(63,63)간의 테두리로부터 일체로 연장 설치되어 있다. 이 제 1 가이드 겸 가유지부(71) 및 제 2 가이드 겸 가유지부(72)의 연장설치방향은, 상기 탄성 작용방향과 역방향과, 상기 조립방향과 역방향 사이의 방향으로서, 이 예에서는, 벽(60,60)의 수직부에 대해서 약 50˚경사한 방향이다. 또한, 도 5중, 부호(64)는 리브이다.
이하,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인사이드 미러(1)의 조립방식에 관하여 설명한다.
우선, 미러 하우징(4)의 제 2 축받이부(62,62)에 조작레버(5)의 제 2 축부(50,50)를 제 2 가이드 겸 가유지부(72,72)를 통하여 세트한다. 이 때, 제 2 축부(50,50)가 제 2 가이드 겸 가유지부(72,72)에 의해 제 2 축받이부(62,62)에 가이드되고, 또한, 제 2 축부(50,50)가 제 2 가이드 겸 가유지부(72,72) 및 제 2 축받이부(62,62)에 있어서 가유지된다. 즉, 제 2 축부(50,50)가 제 2 축받이부(62,62)의 개구(63,63)를 거쳐서 벽(60,60)에 가유지된다. 또, 조작레버(5)의 노브(52)를 미러 하우징(4)의 조작레버 삽입통과구멍(43)으로부터 외측으로 삽입통과한다.
다음에, 미러 하우징(4)의 제 1 축받이부(61,61)에 브래킷(3)의 제 1 축부(33,33)를 제 1 가이드 겸 가유지부(71,71)를 통하여 세트한다. 이 때, 제 1 축부(33,33)가 제 1 가이드 겸 가유지부(71,71)에 의해 제 1 축받이부(61,61)에 가이드되고, 또한, 제 1 축부(33,33)가 제 1 가이드 겸 가유지부(71,71) 및 제 1 축받이부(61,61)에 있어서 가유지된다. 즉, 제 1 축부(33,33)가 제 1 축받이부(61,61)의 개구(63,63)를 거쳐서 벽(60,60)에 가유지된다. 또, 조작레버(5)의 탄성 걸어맞춤 맞닿음부(51)에 브래킷(3)의 경사면(340)을 맞대어 둔다. 또한, 브래킷(3)의 제 1 개구(31)를 미러 하우징(4)의 스테이 삽입통과구멍(41)에 대향시킨다.
또한, 상기의 미러 하우징(4)과 조작레버(5)의 가조립공정과, 미러 하우징(4)과 브래킷(3)의 가조립공정을 전후 역으로 행하여도 좋다.
또한, 스테이(2)를 지그(도시생략)에 세트한다. 이 스테이(2)의 볼부(21)에 가조립한 상기 미러 하우징(4)의 스테이 삽입통과구멍(41) 및 브래킷(3)의 제 1 개구(31)를 대향시킨다.
그리고, 도 6 중의 화살표 G방향쪽에 의해, 브래킷(3)의 제 1 개구(31) 및 볼오목부(30)를 스테이(2)의 볼부(21)에 압입한다. 그러면, 스테이(2)의 볼부(21)가 미러 하우징(4)의 스테이 삽입통과구멍(41)을 삽입통과하여 브래킷(3)의 볼오목부(30) 중에 압입되고, 볼부(21)와 볼오목부(30)가 피트구조(체결끼움구조)에 의해 서로 경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이것에 의해, 브래킷(3)은, 스테이(2)에 경동가능하게 지지되게 된다.
또, 브래킷(3)의 제 1 축부(33,33)가 미러 하우징(4)의 제 1 축받이부(61,61)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이것에 의해, 프리즘 미러(40)를 가지는 미러 하우징(4)이 브래킷(3)에 경동가능하게 지지되게 된다. 한편, 조작레버(5)의 제 2 축부(50,50)가 미러 하우징(4)의 제 2 축받이부(62,62)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이것에 의해 조작레버(5)가 미러 하우징(4)에 경동가능하게 지지되게 된다. 상기 제 1 축부(33,33)와 상기 제 1 축받이부(61,61)(및 제 1 가이드 겸 가유지부(71,71))는, 제 1 축기구를 구성한다. 한편, 상기 제 2 축부(50,50)와 상기 제 2 축받이부(62,62)(및 제 2 가이드 겸 가유지부(72,72))는 제 2 축기구를 구성한다.
또한, 조작레버(5)의 탄성 걸어맞춤 맞닿음부(51)가 휘어서 브래킷(3)의 제 1 맞닿음면(35)과 제 2 맞닿음면(36)간의 곡부에 탄성 걸어맞춤한다. 이것에 의해, 조작레버(5)는, 탄성 걸어맞춤수단을 통하여 브래킷(3)에 제 1 위치와 제 2 위치로 전환가능하게 지지되게 된다.
다음에, 이 실시형태에 관한 인사이드 미러(1)의 작용효과에 관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3에 도시한 상태 및 도 7 중의 실선으로 표시한 상태에 있어서는, 조작레버(5)의 탄성 걸어맞춤 맞닿음부(51)가 브래킷(3)의 제 1 맞닿음면(35)에 탄성적으로 맞닿고 있고, 조작레버(5)가 제 1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또, 브래킷(3)의 후방측의 돌기(38)가 프리즘 미러(40)에 맞닿고 있고, 미러 하우징(4)이 제 1 경사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이다. 이 상태에 있어서는, 프리즘 미러(40)에 입사한 빛(도시생략)은, 프리즘 미러(40)의 이면의 반사막에 있어서 높은 반사율로 반사된다. 이 반사광이 드라이버의 눈에 입사하여, 드라이버는, 주간의 후방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가 있다.
그리고나서, 조작레버(5)를 도 7 중의 파선 화살표 방향으로 경동조작한다.그러면, 조작레버(5)는, 탄성 걸어맞춤수단의 지점(O3)을 중심으로 하여 파선 화살표 방향으로 경동한다. 이 조작레버(5)의 경동에 수반하여, 조작레버(5)와 제 2 축기구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는 미러 하우징(4)이 제 1 축기구의 축(O1)을 중심으로 하여 파선 화살표 방향으로 경동한다. 이 때, 탄성 걸어맞춤수단의 지점(O3)을 중심으로 하는 조작레버(5)의 경동각도와, 제 1 축기구의 축(O1)을 중심으로 하는 미러 하우징(4)의 경동각도는 다르다. 그런데, 조작레버(5)와 미러 하우징(4)을 연결하는 제 2 축기구의 제 2 축부(50,50)와 제 2 축받이부(62,62)는, 축(O2)을 중심으로 하여 상호 회전하므로, 조작레버(5)와 미러 하우징(4)은, 각각 원활하게 경동할 수가 있다.
조작레버(5)가 도 3에 도시한 상태 및 도 7 중의 실선으로 표시한 상태로부터 도 4에 도시한 상태 및 도 7 중의 파선으로 표시한 상태로 전환된 지점에서, 조작레버(5)의 탄성 걸어맞춤 맞닿음부(51)가 브래킷(3)의 제 2 맞닿음면(36)에 탄성 적으로 맞닿고, 조작레버(5)가 제 2 위치에 위치한다. 그와 동시에, 브래킷(3)의 전방측의 돌기(37)가 미러 하우징(4)에 맞닿고, 미러 하우징(4)이 제 2 경사위치에 위치한다. 이 상태에 있어서는 프리즘 미러(40)에 입사한 빛(도시생략)은, 프리즘 미러(40)의 표면에 있어서 낮은 반사율로 반사된다. 이 반사광이 드라이버의 눈에 입사하여, 드라이버는 야간의 후방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 결과, 야간에 있어서의 후속차의 헤드램프로부터의 조사광의 눈부심을 방지할 수 있어, 야간의 안전운전에 기여할 수가 있다.
또, 조작레버(5)를 도 7 중의 실선 화살표 방향으로 경동조작한다. 그러면,상기와 거의 마찬가지로, 조작레버(5)는, 도 4에 도시한 상태 및 도 7 중의 파선으로 표시한 상태로부터 도 3에 도시한 상태 및 도 7 중의 실선으로 표시한 상태, 즉 제 1 위치로 전환된다. 한편, 미러 하우징(4)은, 도 4에 도시한 상태 및 도 7 중의 파선으로 표시한 상태로부터 도 3에 도시한 상태 및 도 7 중의 실선으로 표시한 상태, 즉, 제 1 경사위치로 전환된다. 이것에 의해, 높은 반사율의 반사광이 드라이버의 눈에 입사하게 된다. 이와 같이, 조작레버(5)를 제 1 위치 또는 제 2 위치로 전환함으로써, 주간용의 높은 반사율의 반사광과, 야간용의 낮은 반사율의 반사광이 각각 얻어진다.
이 실시형태에 관한 인사이드 미러(1)는, 브래킷(3)과, 미러 하우징(4)과, 조작레버(5)를 조립할 때에, 제 1 축부(33,33), 제 2 축부(50,50)가 제 1 가이드 겸 가유지부(71,71), 제 2 가이드 겸 가유지부(72,72)에 의해 제 1 축받이부(61,61), 제 2 축받이부(62,62)에 가이드되고, 또한, 제 1 축부(33,33), 제 2 축부(50,50)가 제 1 가이드 겸 가유지부(71,71), 제 2 가이드 겸 가유지부(72,72) 및 제 1 축받이부(61,61), 제 2 축받이부(62,62)에 있어서 가유지된다. 이 때문에, 이 인사이드 미러(1)는, 어떠한 수단을 필요로 하지않고, 제 1 축부(33,33), 제 2 축부(50,50)를 제 1 축받이부(61,61), 제 2 축받이부(62,62)에 간단히 또한 확실하게 회전가능하게 지지시킬 수가 있고, 그만큼 인사이드 미러의 코스트를 저렴하게 할 수가 있다.
특히, 이 실시형태에 관한 인사이드 미러(1)는, 미러 하우징의 제 1 축받이부(61,61) 및 제 2 축받이부(62,62)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거의 역 U자 형상 및 거의 U자 형상을 이루는 벽(60,60)과 개구(63,63)를 가지고, 이 개구(63,63)를 거쳐서 벽(60,60)에 제 1 축부(33,33) 및 제 2 축부(50,50)가 각각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것이다. 이 때문에, 조작레버(5)의 전환조작시에 있어서, 제 1 축부(33,33) 및 제 2 축부(50,50)에는, 전환조작력이 각각 작용하는데, 전환조작력이 작용하는 방향에는, 상기 벽(60,60)이 있으므로, 제 1 축부(33,33) 및 제 2 축부(50,50)가 제 1 축받이부(61,61) 및 제 2 축받이부(62,62)의 벽(60,60)으로부터는 빠지지않는다. 이 결과, 이 인사이드 미러(1)는 제 1 축부(33,33) 및 제 2 축부(50,50)를 제 1 축받이부(61,61) 및 제 2 축받이부(62,62)에 압입이나 무리하게 넣을 필요가 없으므로, 압입이나 무리하게 넣는 것에 의한 부재 변형의 우려가 없고, 겨울철 등 비교적 추운 계절과 같은 휘기어려운 계절에도 축부와 축받이부의 걸어맞춤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 이 실시형태에 관한 인사이드 미러(1)는 미러 하우징(4)의 상부벽으로부터 전방 폐색벽을 지나 저부벽에 걸친 내부에 2매의 리브(44,44)를 일체로 설치하고, 이 2매의 리브(44,44)의 서로 대향하는 면에 제 1 축받이부(61), 제 2 축받이부(62) 및 제 1 가이드 겸 가유지부(71), 제 2 가이드 겸 가유지부(72)를 각각 설치한 것이다. 이 때문에, 이 인사이드 미러(1)는 제 1 축받이부(61), 제 2 축받이부(62) 및 제 1 가이드 겸 가유지부(71), 제 2 가이드 겸 가유지부(72)에 의해 리브(44,44)에 흠줄이 생겨도, 미러 하우징(4)의 전방 폐색벽의 표면에는 흠줄이 생기지않기때문에, 외관상의 문제가 없다. 또, 강도향상을 위해, 제 1 축받이부(61), 제 2 축받이부(62) 및 제 1 가이드 겸 가유지부(71), 제 2 가이드겸 가유지부(72)의 두께를 두껍게 하여도 흠줄에 의한 상기의 외관상의 문제는 없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 관한 인사이드 미러(1)는, 조작레버(5)를 제 1 위치 또는 제 2 위치로 전환했을 때에, 이 조작레버(5)가 미러 하우징(4)의 조작레버 삽입통과구멍(43)의 테두리에 닿기 전에, 또, 브래킷(3)의 돌기(37,38)가 미러 하우징(4), 프리즘 미러(40)에 닿기 전에, 조작레버(5)의 탄성 걸어맞춤 맞닿음부(51)가 브래킷(3)의 제 1 맞닿음면(35) 또는 제 2 맞닿음면(36)에 탄성적으로 맞닿는다. 이 때문에, 이 인사이드 미러(1)는, 조작레버(5)의 전환조작시의 소음을 작게 할 수가 있다.
게다가 또, 이 실시형태에 관한 인사이드 미러(1)는, 조작레버(5)에 커버판(54)을 설치했으므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레버(5)가 제 1 위치에 위치할 때에, 커버판(54)이 미러 하우징(4)의 조작레버 삽입통과구멍(43)을 커버한다. 이 때문에, 이 인사이드 미러(1)는, 커버판(54)에 의해, 조작레버 삽입통과구멍(43)을 통하여 미러 하우징(4)의 내부가 보이지않도록 숨기므로 외관이 향상한다.
게다가 또, 이 실시형태에 관한 인사이드 미러(1)는, 스테이(2)의 볼부(21)와 브래킷(3)의 볼오목부(30)가 피트구조에 의해 상호 경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므로, 부품점수가 적고, 또한 조립이 용이하다.
게다가 또, 이 실시형태에 관한 인사이드 미러(1)는, 축부(33,33,50,50)를 가이드 겸 가유지부(71,71,72,72)를 거쳐서 축받이부(61,61,62,62)에 조립하는 방향과, 탄성 걸어맞춤수단을 통하여 브래킷(3)의 제 1 맞닿음면(35) 제 2 맞닿음면(36)의 곡부와 조작레버(5)의 탄성 걸어맞춤 맞닿음부(51)를 조립하는 방향과, 브래킷(3)의 볼오목부(30)를 스테이(2)의 볼부(21)에 조립하는 방향이, 도 6 중의 화살표 G방향에 거의 일치한다. 이 때문에, 이 인사이드 미러(1)는, 한번의 압입공정으로, 축부(33,33,50,50)와 축받이부(61,61,62,62)의 조립과, 브래킷(3)과 조작레버(5)의 조립과, 브래킷(3)과 스테이(2)의 조립을 동시에 행할 수가 있다.
도 8은, 제 1 축기구 및 제 2 축기구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면 중, 도 1∼도 7과 동일부호는, 동일한 것을 나타낸다.
원주형상을 이루는 제 1 축부(330,330) 및 제 2 축부(500,500)는, 미러 하우징(4)의 2매의 리브(44,44)의 서로 대향하는 면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제 1 축받이부(610,610) 및 제 1 가이드 겸 가유지부(710,710)는, 브래킷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제 2 축받이부(620,620) 및 제 2 가이드 겸 가유지부(720,720)는, 브래킷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 1 축받이부(610) 및 상기 제 2 축받이부(620)는, 거의 U자 형상 및 거의 역 U자 형상을 이룬다. 즉, 이 제 1 축받이부(610), 제 2 축받이부(620)는, 벽(600,600)과, 개구(630,630)를 가지는 것이다. 이 벽(600,600)은, 상기 탄성 걸어맞춤수단의 탄성이 상기 브래킷(3)과 상기 조작레버(5)에 각각 작용하는 방향과 역방향, 및 상기 브래킷(3)에 대해서 상기 미러 하우징(4)과 상기 조작레버(5)가 각각 경동하는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 1 축부(330,330) 및 상기 제 2 축부(500,500)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이다. 또, 개구(630,630)는, 상기 방향이외의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 1 축부(330,330) 및 상기 제 2 축부(500,500)를 상기 벽(600,600)에 지지시키기위한 것이다.
상기 제 1 가이드 겸 가유지부(710) 및 상기 제 2 가이드 겸 가유지부(720)는, 상기 벽(600,600) 중 상기 탄성 걸어맞춤수단을 통하여 상기 브래킷(3)과 상기 조작레버(5)를 조립하는 방향과 역방향의 상기 개구(630,630)측의 테두리로부터 일체로 연장 설치되어 있다. 이 제 1 가이드 겸 가유지부(710) 및 제 2 가이드 겸 가유지부(720)의 연장설치방향은, 상기 탄성작용방향과, 상기 조립방향 사이의 방향으로서, 이 예에서는, 벽(600,600)의 수직부에 대해서 약 50˚경사한 방향이다.
이 변형예에 있어서의 제 1 축기구 및 제 2 축기구는, 상기의 것과 동일한 작용효과를 달성할 수가 있다.
이하, 상기의 실시형태 이외의 에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미러 하우징(4)의 리브(44,44)에 제 1 축기구 및 제 2 축기구를 설치한 것인데, 이 발명에 있어서는, 미러 하우징(4)에 직접 제 1 축기구 및 제 2 축기구를 설치한 것이라도 좋다.
또,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브래킷(3)에 제 1 맞닿음면(35) 및 제 2 맞닿음면(36)을 설치하고, 조작레버(5)에 탄성 걸어맞춤 맞닿음부(51)를 설치한 것인데, 이 발명에 있어서는, 그 반대로, 브래킷(3)에 탄성 걸어맞춤 맞닿음부를 설치하고, 조작레버(5)에 제 1 맞닿음면 및 제 2 맞닿음면을 설치한 것이라도 좋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조작레버(5)에 조작레버 삽입통과구멍(43)을 커버하는 커버판(54)을 설치한 것인데, 이 발명에 있어서는, 조작레버(5)에 커버판을 설치하지 않아도 좋다.
게다가 또,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스테이(2)의 볼부(21)와 브래킷(3)의 볼오목부(30)가 피트구조에 의해 상호 경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인데, 이 발명에 있어서는, 피트구조가 아니고, 스테이(2)의 볼부(21)를 브래킷과 다른 부품으로 끼우는 구조의 것이라도 좋다.
게다가 또,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축부(33,33,50,50)와 축받이부(61,61,62,62)의 조립방향과, 브래킷(3)과 조작레버(5)의 조립방향과, 브래킷(3)과 스테이(2)의 조립방향이 거의 일치하는 것인데, 이 발명에 있어서는, 이들의 조립방향은 반드시 일치하지 않아도 좋다.
게다가 또,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스테이(2)의 볼부(21)가 미러 하우징(4)의 후방측 폐색벽에 설치한 스테이 삽입통과구멍(41)을 삽입통과하여 브래킷(3)에 연결되는 것인데, 이 발명에 있어서는, 스테이(2)의 볼부(21)를 미러 하우징(4)의 상부벽에 설치한 스테이 삽입통과구멍을 삽입통과하여 브래킷에 연결하여도 좋다.
본 발명은, 브래킷과 미러 하우징과 조작레버를 용이하게 또한 확실하게 조립할 수 있고, 그만큼 코스트를 저렴하게 할 수 있는 인사이드 미러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제 1 축기구 및 제 2 축기구가, 미러 하우징측 또는 브래킷 및 조작레버측의 어느 한쪽에 설치된 축부와, 다른쪽에 설치된 상기 축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기위한 축받이부와, 상기 축받이부에 일체로 설치된, 상기 축부를 상기 축받이부에 회전가능하게 지지시키기위한 가이드 겸 가유지부로 구성되어 있다.
이 결과, 본 발명은, 브래킷과, 미러 하우징과, 조작레버를 조립할 때에, 축부가 가이드 겸 가유지부에 의해 축받이부에 가이드되고, 또한 축부가 가이드 겸 가유지부 및 축받이부에 있어서 가유지된다. 이 때문에, 이 발명은, 어떠한 수단을 필요로 하지않고, 축부를 축받이부에 간단히 또한 확실하게 회전가능하게 지지시킬 수 있고, 그만큼 인사이드 미러의 코스트를 저렴하게 할 수가 있다.

Claims (8)

  1. 스테이를 통하여 차 실내에 장비되는 방현 타입의 차량용 인사이드 리어뷰 미러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에 지지되는 브래킷과, 상기 브래킷에 제 1 축기구를 통하여 경동가능하게 지지되고, 또한, 프리즘형의 미러보디를 가지는 미러 하우징과, 상기 미러 하우징에 제 2 축기구를 통하여 경동가능하게 지지되고, 또한, 탄성 걸어맞춤수단을 통하여 상기 브래킷에 제 1 위치와 제 2 위치로 전환가능하게 지지되는 조작레버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축기구 및 상기 제 2 축기구는, 상기 미러 하우징측 또는 상기 브래킷 및 상기 조작레버측의 어느 한쪽에 설치된 축부와, 다른쪽에 설치된, 상기 축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기위한 축받이부와, 상기 축받이부에 설치된 상기 축부를 상기 축받이부에 회전가능하게 지지시키기위한 가이드 겸 가유지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인사이드 리어뷰 미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축부는, 상기 브래킷 및 상기 조작레버측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축받이부는, 상기 미러 하우징측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탄성 걸어맞춤수단의 탄성이 상기 브래킷과 상기 조작레버에 각각 작용하는 방향, 및 상기 브래킷에 대해서 상기 미러 하우징과 상기 조작레버가 각각 경동하는 방향에 있어서 상기 축부를 지지하는 벽과, 상기 방향 이외의 방향에 있어서 상기 축부를 상기 벽에 지지시키기위한 개구를 가지고,
    상기 가이드 겸 가유지부는, 상기 미러 하우징측에 설치되고, 상기 벽 중 상기 탄성 걸어맞춤수단을 통하여 상기 브래킷과 상기 조작레버를 조립하는 방향의 상기 개구측의 테두리로부터, 상기 탄성 작용방향과 역방향과, 상기 조립방향과 역방향 사이의 방향으로 연장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인사이드 리어뷰 미러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축부는, 상기 미러 하우징측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축받이부는, 상기 브래킷 및 상기 조작레버측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탄성 걸어맞춤수단의 탄성이 상기 브래킷과 상기 조작레버에 각각 작용하는 방향과 역방향, 및 상기 브래킷에 대해서 상기 미러 하우징과 상기 조작레버가 각각 경동하는 방향에 있어서 상기 축부를 지지하는 벽과, 상기 방향이외의 방향에 있어서 상기 축부를 상기 벽에 지지시키기위한 개구를 가지고,
    상기 가이드 겸 가유지부는, 상기 브래킷 및 상기 조작레버측에 설치되고, 상기 벽 중 상기 탄성 걸어맞춤수단을 통하여 상기 브래킷과 상기 조작레버를 조립하는 방향과 역방향의 상기 개구측의 테두리로부터, 상기 탄성 작용방향과, 상기 조립방향 사이의 방향으로 연장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인사이드 리어뷰 미러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 하우징내에는, 2매의 리브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2매의 리브의 서로 대향하는 면에는, 상기 제 1 축기구 및 제 2 축기구의 상기 축부, 또는 상기 축받이부 및 상기 가이드 겸 가유지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인사이드 리어뷰 미러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 하우징에는, 조작레버 삽입통과구멍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조작레버의 일부는, 상기 조작레버 삽입통과구멍을 통하여 상기 미러 하우징의 외측에 돌출하고,
    상기 탄성 걸어맞춤수단은, 상기 브래킷 또는 상기 조작레버의 어느 한쪽에 V자형으로 설치된 제 1 맞닿음면 및 제 2 맞닿음면과, 다른쪽에 설치된, 상기 제 1 맞닿음면 및 상기 제 2 맞닿음면의 곡부에 탄성 걸어맞춤하는 탄성 걸어맞춤 맞닿음부로 구성되고, 상기 조작레버를 제 1 위치 또는 제 2 위치로 전환했을 때에, 상기 조작레버가 상기 조작레버 삽입통과구멍의 테두리에 닿기 전에, 상기 탄성 걸어맞춤 맞닿음부가 상기 제 1 맞닿음면 또는 상기 제 2 맞닿음면에 탄성적으로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인사이드 리어뷰 미러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 하우징에는, 조작레버 삽입통과구멍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조작레버의 일부는, 상기 조작레버 삽입통과구멍을 통하여 상기 미러 하우징의 외측에 돌출하고, 상기 조작레버에는, 상기 조작레버 삽입통과구멍을 커버하는 커버판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인사이드 리어뷰 미러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스테이에는, 볼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브래킷에는, 볼오목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스테이의 볼부와 상기 브래킷의 볼오목부가 피트구조에 의해 상호 경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인사이드 리어뷰 미러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축기구 및 상기 제 2 축기구의 상기 축부를 상기 가이드 겸 가유지부를 거쳐서 상기 축받이부에 조립하는 방향과, 상기 탄성 걸어맞춤수단을 통하여 상기 브래킷과 상기 조작레버를 조립하는 방향과, 상기 브래킷을 상기 스테이에 조립하는 방향이 거의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인사이드 리어뷰 미러장치.
KR1020020083292A 2001-12-26 2002-12-24 차량용 인사이드 리어뷰 미러장치 KR1005588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394705A JP4089224B2 (ja) 2001-12-26 2001-12-26 車両用インサイドミラー
JPJP-P-2001-00394705 2001-12-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5139A true KR20030055139A (ko) 2003-07-02
KR100558839B1 KR100558839B1 (ko) 2006-03-10

Family

ID=19188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3292A KR100558839B1 (ko) 2001-12-26 2002-12-24 차량용 인사이드 리어뷰 미러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871968B2 (ko)
EP (1) EP1325839B1 (ko)
JP (1) JP4089224B2 (ko)
KR (1) KR100558839B1 (ko)
CN (1) CN1243267C (ko)
DE (1) DE60212318T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88652B2 (en) 2015-02-16 2020-06-23 Lg Electronics Inc. Robot cleaner, remote control system including the same, and control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89037B2 (en) * 2003-05-19 2007-10-30 Donnelly Corporation Mirror assembly for vehicle
TWI446045B (zh) * 2011-10-05 2014-07-21 Nat Applied Res Laboratories 光學元件調整機構
EP2786900B1 (de) * 2013-04-02 2014-11-12 SMR Patents S.à.r.l. Innenspiegel für ein Kraftfahrzeug
KR101575541B1 (ko) 2014-11-04 2015-1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인사이드 미러 조립체
CN108025675A (zh) * 2015-09-18 2018-05-11 金泰克斯公司 用于后视镜组件的拨动机构
JP6663025B2 (ja) 2016-01-15 2020-03-11 ジェンテックス コーポレイション 全画面表示ミラー(fdm)用のトグルスイッチの係止及び緩衝材付きトグルスイッチ
US10464488B2 (en) 2016-09-22 2019-11-05 Gentex Corporation Mirror flipper assembly
US10419649B2 (en) * 2016-10-17 2019-09-17 Arlo Technologies, Inc. Electronic device mount
CN109890660B (zh) * 2016-10-31 2022-04-26 金泰克斯公司 用于镜总成的凸轮驱动的拨动开关
EP3565738B1 (en) 2017-01-04 2021-04-07 Gentex Corporation Mechanical tilt for full display mirror
WO2018132312A1 (en) * 2017-01-10 2018-07-19 Gentex Corporation Ball mount assembly for vehicle
KR102273674B1 (ko) * 2017-03-09 2021-07-05 젠텍스 코포레이션 디스플레이 미러 토글 패들
US10696230B2 (en) 2017-06-12 2020-06-30 Gentex Corporation Rearview unit with clutch for automated tilt mechanism
US10596968B2 (en) * 2017-09-20 2020-03-24 Gentex Corporation Prism toggle spring
CN108001350A (zh) * 2017-12-29 2018-05-08 宁波汇铭视觉科技有限公司 一种汽车内后视镜
CN108016356B (zh) * 2017-12-29 2023-11-28 宁波万众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新型汽车内后视镜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227736A (ko) * 1967-05-17 1971-04-07
US3918799A (en) * 1973-05-01 1975-11-11 Donnelly Mirrors Inc Mirror case
IE44139B1 (en) * 1977-01-06 1981-08-26 Donnelly Mirrors Ltd Rear view mirror assembly
US4836648A (en) 1987-03-06 1989-06-06 Kabushiki Kaisha Matsuyama Seisakusho Anti-glare rearview assembly for motor vehicles
US4826289A (en) 1987-09-03 1989-05-02 Donnelly Corporation Day/night rearview mirror assembly
JP2539564Y2 (ja) 1989-05-31 1997-06-25 株式会社ホンダロック 車両用ルームミラー
DE9111108U1 (ko) * 1991-09-07 1991-11-21 Eugen Zipperle Gmbh & Co Kg, 7144 Asperg, De
JPH05338493A (ja) * 1992-06-12 1993-12-21 Ichikoh Ind Ltd 防眩ミラーの切換構造
JP3287993B2 (ja) * 1996-09-19 2002-06-04 株式会社村上開明堂 車両用防眩インナーミラー
JP3254418B2 (ja) * 1998-01-20 2002-02-04 株式会社村上開明堂 車両用防眩ミラ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88652B2 (en) 2015-02-16 2020-06-23 Lg Electronics Inc. Robot cleaner, remote control system including the same, and control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325839B1 (en) 2006-06-14
CN1243267C (zh) 2006-02-22
US6871968B2 (en) 2005-03-29
JP4089224B2 (ja) 2008-05-28
KR100558839B1 (ko) 2006-03-10
EP1325839A1 (en) 2003-07-09
JP2003191791A (ja) 2003-07-09
CN1429721A (zh) 2003-07-16
DE60212318D1 (de) 2006-07-27
US20030137757A1 (en) 2003-07-24
DE60212318T2 (de) 2006-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58839B1 (ko) 차량용 인사이드 리어뷰 미러장치
US5563744A (en) Vehicle rearview mirror
JPH026908B2 (ko)
KR100743503B1 (ko) 차량용 인사이드 리어뷰 미러장치
US20030086189A1 (en) Vehicle mirror device
JP2615032B2 (ja) 電気スイッチ
JP2011042335A (ja) 車両用サンバイザ構造
US9669763B2 (en) Rear-view mirror assembly for vehicle
JP2006103623A (ja) 防眩タイプの車両用インサイドミラー装置
JP2006103622A (ja) 防眩タイプの車両用インサイドミラー装置
JP2006103621A (ja) 防眩タイプの車両用インサイドミラー装置
KR0140686Y1 (ko) 자동차용 도어 미러
JP4110723B2 (ja) 車両用ミラー駆動装置のホルダベース構造
US20230398842A1 (en) Vehicle sunvisor assembly
KR100223249B1 (ko) 자동차용 인사이드 미러의 고정구조
KR940008669Y1 (ko) 자동차용 백미러
JP3287993B2 (ja) 車両用防眩インナーミラー
KR100488667B1 (ko) 자동차 선바이저 조립체
KR100401710B1 (ko) 자동차용 선바이저
KR20220150747A (ko) 차량용 인사이드 미러 장치
KR0135974Y1 (ko) 자동차 뒷좌석 확인용 안전미러
JP4026308B2 (ja) 車両用ミラー駆動装置
JP2022072952A (ja) 車両用アウトサイドミラー装置
KR200250459Y1 (ko) 자동차의보조전조등반사경조절장치
EP0917986A1 (en) Rear view mirr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9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