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8669Y1 - 자동차용 백미러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백미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8669Y1
KR940008669Y1 KR2019930002675U KR930002675U KR940008669Y1 KR 940008669 Y1 KR940008669 Y1 KR 940008669Y1 KR 2019930002675 U KR2019930002675 U KR 2019930002675U KR 930002675 U KR930002675 U KR 930002675U KR 940008669 Y1 KR940008669 Y1 KR 9400086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mirror
vehicle
mirror
prism
atta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026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20515U (ko
Inventor
강진선
Original Assignee
강진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진선 filed Critical 강진선
Priority to KR20199300026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8669Y1/ko
Publication of KR94002051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2051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86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866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8Rear-view mirror arrangements involving special optical features, e.g. avoiding blind spots, e.g. convex mirrors; Side-by-side associations of rear-view and other mirrors
    • B60R1/081Rear-view mirror arrangements involving special optical features, e.g. avoiding blind spots, e.g. convex mirrors; Side-by-side associations of rear-view and other mirrors avoiding blind spots, e.g. by using a side-by-side association of mirr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18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prisms; for mirrors
    • G02B7/18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prisms; for mirrors for mirr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차용 백미러
제1도는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종단면도.
제3도 (a)는 본 고안의 좌측 사이드미러의 투시각도를 도시한 설명도, (b)는 본 고안의 우측 사이드미러의 투시각도를 도시한 설명도.
제4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a)는 좌측 사이드미러의 투시각도를 도시한 설명도, (b)는 우측 사이드미러의 투시각도를 도시한 설명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차창 2 : 결착구
2a : 안내홈 2b : 수납홈
2c : 삽착홈 3 : 프리즘 사이드미러
4 : 삽착구 5 : 사이드미러케이스
6 : 수은층 7,9a : 반사경
7a : 볼록반사경 8 : 투시부
9 : 오목반사경 10 : 오목투시부
11 : 투명연질수지 12 : 시점(관측자)
본 고안은 자동차용 사이드미러에 관한 것으로, 사이드미러케이스내에 직삼각형프리즘으로 된 사이드미러를 설치하여 이 사이드미러케이스 일부분이 차창내에 위치되게 설치하므로써 후사범위를 넓혀 사각지대를 없앰은 물론 사이드미러가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줄여 옆차선의 차량과 부딪히는 일없이 운전자가 안전하게 주행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사이드미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사이드미러은 통상 차체의 외면에 설치되는바, 이는 차량의 뒷부분에서 부터 사각지재인 본인차량에 접근한 옆차선의 차량까지 볼 수 있도록 그 반사경의 길이가 대략 약 25㎝로 길기 때문에 차체의 좌우측이 그만큼 길어지게 되므로 이 사이드밀러가 옆차선의 차량과 부딪힐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운전자에 따라서는 사이드미러의 투사각도가 달라질수 있어, 후사체의 후사범위가 달라질수 있는바, 이러한 경우에는 운전자가 차창밖으로 손으로 이동하여 사이드미러의 각도를 조절해야 했기 때문에 조작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의 종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직삼각형 프리즘으로 된 사이드미러가 내부에 설치된 사이드미러케이스를 소정길이만큼 차창내에 위치하도록 설치하므로써 후사범위를 넓혀 사각지대를 없앰은 물론 차체 밖으로 나오는 백미러 길이를 최대한 줄이므로써 옆차선의 차량과의 충돌을 억제할 수 있으며, 각도조절이 간편·용이하도록 된 자동차용 사이드미러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프리즘을 이용한 자동차용 백미러에 있어서, 차체의 차창 선단에 결착된 결착구 선단면에 상,하길이방향을 따라 안내홈이 형성되어 이 안내홈에는 차창이 끼워진 상태에서 상,하슬라이딩되고, 선단면 중앙쪽에 삽입홈과 삽착홈이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이 삽입홈으로는 사이드미러케이스가 소정길이만큼 차체내부에 유입되도록 삽입되어져 그 배면에 부착된 삽착구가 상기 삽착홈에 삽입결합되는 한편, 상기 사이드미러케이스내부에는 직삼각형 프리즘사이드미러가 삽입설치되되, 이 프리즘사이드미러의 한쪽 빗면내벽에 볼록반사경이 형성되고, 이 빗면과 소정각도만큼 경사지게 대향되는 다른 한쪽면 내벽에 형성된 투시부에 투명연질수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하, 본 고안은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프리즘을 이용한 자동차용 사이드미러로서, 이 사이드미러가 설치되는 자동차 차창(1)의 선단면에 결착된 결착구(2)의 전면에 상·하길이방향을 따라 안내홈(2a)이 형성되어 이 안내홈(2a)에는 차창(1)의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끼워지고, 또 결착구(2)의 전면 중앙쪽에는 사이드미러케이스의 폭만큼의 수납홈(2b)과 그 안쪽에 삽착홈(2c)이 형성되어 이 수납홈(2b)으로는 사이드미러케이스(5)몸체가 삽입되며, 상기 삽착홈(2c)에는 사이드미러케이스(5)배면에 부착된 삽착구(4)가 삽입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사이드미러케이스(5)는 그 내부에 프리즘 사이드미러(3)가 삽입 설치되되, 이 프리즘 사이드미러(3)는 직삼각형 프리즘으로 이루어져 그 한쪽면 내벽에는 수은층(6)이 도포되어진 반사경(7)이 형성되고, 이 반사경(7)이 마주보는 다른 빗면에는 투시부(8)가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사이드미러(3)는 상기 투시부(7) 일부가 차안쪽으로 들어가게 설차되되, 차창(1)과 접촉되는 투시부(8)표면에는 투명연질수지(11)가 부착된 구조로 되어 있다.
한편,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제3도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이드미러(3)의 반사경(7)이 볼록반사경(7a)인 구조 또는 제4도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드미러(3)의 반사경이 오목반사경(9)이고, 투시부가 오목투시부(10)로 된 구조로 형성하거나, 제4도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경이 평면형 반사경(9a)이고, 투시부가 오목투시부(10)로 된 구조로 할 수도 있다.
상기의 구조로 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인 프리즘 사이드미러(3)는 투명유리재로 된 직각삼각형프리즘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앞쪽의 투시면을 통해 입사되는 후사체는 프리즘에 의한 빛의 굴절 현상에 따라 굴절되어 보이므로 사이드미러(3)가 그 전체길이로 1/3만큼 차체 안쪽으로 들어가 있더라도 사각지대인 차량뒷부분까지도 사이드미러(3)의 반사경(7)에 맺혀져 운전자가 볼수 있게 된다.
또한, 프리즘 사이드미러(3)는 그 길이의 일부가 차체 안으로 일부 들어가 설치되어 있어, 투시부(8)와 차창(1)이 접촉되는데, 이때 차창(1)을 상·하이동시켜 개폐시킬 때 이 차창(1)이 상·하로 원활하게 작동되도록 투시부(8)표면에 투명연질수지(11)가 부착되어 있어 차창(1)의 이동이 원활하게 수행된다.
또한, 자동차 주행시 운전석의 이동에 따라 사이드미러(3)의 설치각도를 조절해야 하는데, 이때 결착구(2)에 부착된 사이드미러케이스(5)의 후면일측에 삽착구(4)가 형성되어 있어, 운전자가 사이드미러케이스(5)를 적절한 위치에 오도록 소정각도만큼 이동시키면 삽착구(4)가 삽착홈(2c)내에서 회동되면서 투시각도가 변화되므로 투시각도조절이 용이하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제3도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와 소정거리만큼 떨어진 우측 차창에 부착된 사이드미러(3)이 경우에 운전자는 소정거리만큼 간격을 둔 상태에서 투시해야 하는데, 이때 사이드미러(3)의 반사경이 볼록반사경(7a)으로 형성되어 있어, 운전자가 투시부(8)를 통해 후사체를 볼 때 상기 운전석쪽의 좌측 사이드미러(3)를 볼때와 동일한 정도로 후사체가 투시되어 보이게 된다.
또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인, 제4도에 도시된 프리즘사이드미러(3)는 그 자체가 구부러진 형상으로 되어 있어, 날씨가 흐리거나 안개가 낀날 또는 야간주행시 희미한 허상이 보이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프리즘 사이드미러의 일부를 차체안으로 들어오게 설치하여도 종래와 같이 차체밖으로 완전 돌출되게 설치할때와 같은 후사효과를 얻을 수 있고, 또 사이드미러판 자체가 프리즘구조로 되어있기 때문에 사각지대로부터 본인 차량의 뒷부분까지 확실하게 볼수 있는등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사이드미러케이스(5)내에 설치되어 자동차 차창(1)의 선단에 부착되도록 한 자동차용 사이드미러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미러케이스(5)후면 한쪽에는 이 사이드미러케이스(5) 몸체부가 차창(1)내부로 소정길이만큼 들어오도록 배치되면서 상기 자동차 차창(1)선단의 결착구(2)에 형성된 수납홈(2b)에 완전 삽입되어져 이 수납홈(2b)한쪽에 형성된 삽착홈(2c)에 결합될 수 있도록 삽착구(4)가 부착되고, 이 사이드미러케이스(5)내에 설치된 직각삼각형 프리즘사이드미러(3)의 한쪽 빗면에는 반사경(7)이 형성되고, 이 빗면과 소정각도만큼 경사지게 대응하는 다른 빗면의 투시부(8)에는 투명연질수지(11)가 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사이드미러.
KR2019930002675U 1993-02-25 1993-02-25 자동차용 백미러 KR9400086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2675U KR940008669Y1 (ko) 1993-02-25 1993-02-25 자동차용 백미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2675U KR940008669Y1 (ko) 1993-02-25 1993-02-25 자동차용 백미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0515U KR940020515U (ko) 1994-09-17
KR940008669Y1 true KR940008669Y1 (ko) 1994-12-27

Family

ID=19351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02675U KR940008669Y1 (ko) 1993-02-25 1993-02-25 자동차용 백미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866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0515U (ko) 1994-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B2263453A (en) Rear view systems
US6109755A (en) Retractable exterior mirror for a motor vehicle
KR20030055139A (ko) 차량용 인사이드 리어뷰 미러장치
KR940008669Y1 (ko) 자동차용 백미러
US6108141A (en) Signal viewing device
US3692387A (en) Anti-glare rear view mirror with housing molded of plastic material
JPH05301540A (ja) 自動車の補助ミラー
US4893915A (en) Back mirror device for vehicle
JP3276864B2 (ja) 車両用後方視認装置
JPH05301539A (ja) 自動車の補助ミラー
US3372970A (en) Traffic light indicator
KR900007246Y1 (ko) 차량용 백미러
KR0131897Y1 (ko) 야광띠가 부착된 자동차용 아웃사이드미러
KR0181467B1 (ko) 자동차용 아웃 사이드 백 미러
GB2142298A (en) Side or rear view mirror device for a vehicle
JPH0446974Y2 (ko)
CA2414059A1 (en) Retractable blind spot mirror
EP1531085A1 (en) Front-viewing system for vehicles
KR950010030B1 (ko) 차량 백미러
JPS5922557Y2 (ja) コントロ−ルパネル
US3463576A (en) Anti-glare rear view mirror for vehicles
KR950000793Y1 (ko) 자동차의 헤드업 디스플레이
KR940008668Y1 (ko) 프리즘을 이용한 자동차용 백미러
JP3417489B2 (ja) 車両用表示装置
KR940004353Y1 (ko) 자동차용 백미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