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8668Y1 - 프리즘을 이용한 자동차용 백미러 - Google Patents

프리즘을 이용한 자동차용 백미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8668Y1
KR940008668Y1 KR2019930000395U KR930000395U KR940008668Y1 KR 940008668 Y1 KR940008668 Y1 KR 940008668Y1 KR 2019930000395 U KR2019930000395 U KR 2019930000395U KR 930000395 U KR930000395 U KR 930000395U KR 940008668 Y1 KR940008668 Y1 KR 9400086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x
rearview mirror
prism
present
triangular pris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003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9205U (ko
Inventor
강진선
Original Assignee
강진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진선 filed Critical 강진선
Priority to KR20199300003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8668Y1/ko
Publication of KR94001920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920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86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866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8Rear-view mirror arrangements involving special optical features, e.g. avoiding blind spots, e.g. convex mirrors; Side-by-side associations of rear-view and other mirrors
    • B60R1/081Rear-view mirror arrangements involving special optical features, e.g. avoiding blind spots, e.g. convex mirrors; Side-by-side associations of rear-view and other mirrors avoiding blind spots, e.g. by using a side-by-side association of mirr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18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prisms; for mirrors
    • G02B7/18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prisms; for mirrors for mirr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프리즘을 이용한 자동차용 백미러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단면도.
제3도 (a)는 본 고안의 프리즘을 도시한 단면도, (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사용 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백미러 케이스 2 : 삼각프리즘
3 : 블록곡경 3a 평면거울
4 : 블록렌즈 5 : 투명부
5a : 오목투명부 6 : 수은층
7 : 투명유리 8 : 지지간
본 고안은 자동차용 백미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백미러의 삼각프리즘을 이용하되, 이 삼각프리즘 내측면에 볼록곡경, 볼록렌즈 및 투명부를 형성하므로써 볼록곡경내에 맺힌 투시된 작은상이 확대투시되어 보이도록 하여 후사범위를 넓히고, 후사되는 물체와의 거리를 확실하게 인지하도록 한 프리즘을 이용한 자동차용 백미러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후사범위를 넓혀 사각지대를 최대한 없애고자 백미러에 별도의 볼록곡경을 부착한 것이 안출된바 있었으나, 이는 자동차 주행시 블록 곡경이 맺힌 물체의 상이 축소되어 멀리 보이기 때문에 운전자가 뒷차와의 거리를 확실하게 인지하기가 매우 곤란하였다.
그래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제안된 본출원인의 선출원공고 제93-116호에 따르면, 이는 백미러 케이스내에 소정거리를 두고 비스듬히 대향되게 볼록곡경과 볼록렌즈를 설치하여 이 볼록곡경에 맺힌 작은 물체의 상이 볼록렌즈를 통해 확대되어 보이도록 된 구조로, 후사범위가 극대화되고, 실제거리를 인지할 수 있었다.
그러나 볼록곡경과 볼록렌즈는 별도로 제작되어 백미러케이스내에 소정거리르 두고 비스듬히 대향되게 설치되어 있어, 이 백미러케이스와 볼록곡경과 볼록렌즈의 결합시 생기는 이들의 상호 미세한 틈을 통해 습기 또는 미세한 이물질등이 틈안으로 침투하여 볼록곡경과 볼록렌즈 표면과 배면에 덮히게 되기 때문에 이러한 이물질등에 의해 물체의 식별 또는 거리를 정확히 인지하기가 어려우므로 그만큼 후사효과가 떨어지고, 또한 백미러 케이스내에 설치하는 볼록곡경과 볼록렌즈는 항상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해야 하는데, 제작시 이 볼록곡경과 볼록렌즈의 간격이 일정치 않은 경우 운전자가 볼록렌즈를 통해 볼 때 물체가 선명하게 보이지 않는 결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본출원인의 선출원공고 제93-116호의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볼록곡경과 볼록렌즈 및 투명부가 구비된 삼각프리즘을 백미러케이스내에 설치하므로써 후사범위를 넓히고, 후사되는 물체의 거리를 확실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한 프리즘을 이용한 자동차용 백미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백미러케이스내에 삼각프리즘이 설치되되, 이 삼각프리즘의 한쪽면에는 볼록곡경이 형서오디고, 이 한쪽면에 대해 소정각도만큼 비스듬히 대향되게 마련된 양쪽면에는 볼록렌즈와 투명부가 각각 형성되어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하, 본 고안은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자동차 운전석상의 양쪽 도어측면에 부착되는 통상의 자동차용 백미러에 있어서, 백미러케이스(1) 내부에 유리재 또는 투명플라스틱재로 된 삼각프리즘(2)이 설치되되, 이 삼각프리즘(2)의 한쪽면에는 볼록곡경(3)이 마련되고, 이 한쪽면과 소정각도만큼 비스듬히 마주보는 앞쪽 양측면에는 볼록렌즈(4)와 투명부(5)가 각각 마련된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제3도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삼각프리즘(2)의 한쪽면에 평면거울(3a)이 마련되고, 이 한쪽면과 마주보는 양쪽 측면에는 볼록렌즈(4)와 오목투명부(5a)가 마련된 구조로 할 수도 있다.
상기 구조로 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통상의 자동차 앞좌석 양측 도어측면쪽에 부착하여 사용하도록 되어 있는 바, 특히 이 백미러를 후사체를 볼 때 투명부(5)를 통해 통과한 후사체가 볼록곡경(3)에 맺히게 되는데, 이때 이 볼록곡경(3)에 맺힌는 후사범위는 넓어지지만 맺히는 상의 크기는 작게되고, 또 운전자와 그 투사체와의 거리가 실제 거리보다 더 멀게 인지된다.
그러나 운전자는 상기 볼록곡경(3)과 소정각도만큼 비스듬히 대향되게 마련된 볼록렌즈(4)를 통해 후사체를 보게 되는데, 이때 볼록곡경(3)에 맺힌 작은 물체의 상은 이 볼록렌즈(4)를 통해서는 크게 확대되어 보게되므로 실제거리를 확실하게 인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운전자는 자동차 주행시 상기 볼록렌즈(4)를 통해 확대된 물체의 상전체를 분명하게 보면서 실제거리를 인지하게되므로 뒷차와의 안전거리 확보가 용이하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인 제3도 (b)에 도시된 바와같이 볼록곡경(3)을 평면거울(3a)로, 투명부(5)를 오목투명부(5a)로 대체 형성하여도 상기와 동일한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볼록곡경(3)과 볼록렌즈(4) 및 투명부(5)가 형성된 삼각프리즘(2)이 백미러케이스(1)내에 설치되어 있어, 후사범위를 극대화시키면서 후사체와의 거리를 실제거리정도로 인지할 수 있고, 이 삼각프리즘(2)이 외부와 완전 밀폐되어 있어, 습기나 이물질이 침투할 염려가 전혀 없으므로 후사체를 선명하게 볼수 있도록 한 것이다.

Claims (1)

  1. 백미러케이스(1)내부에 삼각프리즘(2)이 설치되되, 이 삼각프리즘(2)의 밑면에는 볼록곡경(3)이 설치되고, 이 밑면과 소정각도만큼 비스듬히 대향되게 형성된 양쪽 빗면에는 볼록렌즈(4)와 투명부(5)가 상기 백미러케이스(1)의 양쪽 경사면 외측에 부착된 투명유리(7)와 마주보게 설치되어서 된 프리즘을 이용한 자동차용 백미러.
KR2019930000395U 1993-01-13 1993-01-13 프리즘을 이용한 자동차용 백미러 KR9400086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0395U KR940008668Y1 (ko) 1993-01-13 1993-01-13 프리즘을 이용한 자동차용 백미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0395U KR940008668Y1 (ko) 1993-01-13 1993-01-13 프리즘을 이용한 자동차용 백미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9205U KR940019205U (ko) 1994-08-19
KR940008668Y1 true KR940008668Y1 (ko) 1994-12-27

Family

ID=19349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00395U KR940008668Y1 (ko) 1993-01-13 1993-01-13 프리즘을 이용한 자동차용 백미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866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11021A1 (en) * 2008-07-24 2010-01-28 Do Hwan Kim Blind spot lens for vehicl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11021A1 (en) * 2008-07-24 2010-01-28 Do Hwan Kim Blind spot lens for vehicle
WO2010010986A1 (en) * 2008-07-24 2010-01-28 Do Hwan Kim Blind spot lens for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9205U (ko) 1994-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06085A (en) Sideview mirror assembly with regulating filter using sunlight for automobiles
US5563744A (en) Vehicle rearview mirror
US9193308B2 (en) In-vehicle camera
US5526195A (en) Rear-view system for vehicles
KR20020043443A (ko) 자동차용 백미러
US4896953A (en) Anamorphic wide angle safety lens
JP3240074B2 (ja) 車両用表示装置
CA2171986C (en) Multi-directional camera
KR940008668Y1 (ko) 프리즘을 이용한 자동차용 백미러
KR900009344A (ko) 높이 장착한 차량용 정지표시등
KR930000116Y1 (ko) 자동차용 백미러
JPS62139728A (ja) ヘツドアツプデイスプレ−
JP3276864B2 (ja) 車両用後方視認装置
JP3318560B2 (ja) 車両用リヤアンダーミラー
GB2126548A (en) Rearview mirror assembly
JPH1067282A (ja) 車両用後方視認装置
EP1468315A1 (en) Windscreen
KR100552436B1 (ko) 자동차용 뒷유리의 후방시야 확보구조
BG60455B1 (bg) автомобилно огледало
KR200294211Y1 (ko) 사각지대가 없는 자동차용 사이드 미러
JPH11208372A (ja) 車両用撮影装置
JPH1086750A (ja) 車両用防眩ミラー
KR940008669Y1 (ko) 자동차용 백미러
KR930001989Y1 (ko) 자동차용 이중 백미러
KR200214001Y1 (ko) 차량용 사이드미러의 미러글래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