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10030B1 - 차량 백미러 - Google Patents

차량 백미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10030B1
KR950010030B1 KR1019880005988A KR880005988A KR950010030B1 KR 950010030 B1 KR950010030 B1 KR 950010030B1 KR 1019880005988 A KR1019880005988 A KR 1019880005988A KR 880005988 A KR880005988 A KR 880005988A KR 950010030 B1 KR950010030 B1 KR 9500100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lecting
rearview mirror
reflecting surface
state
vehicle rearvi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59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13737A (ko
Inventor
아끼라 마쓰미야 제임스
Original Assignee
브리탁스 윙가드 리미티드
알란 루돌프 스타키
아끼라 마쓰미야 제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GB878715070A external-priority patent/GB8715070D0/en
Priority claimed from GB878718755A external-priority patent/GB8718755D0/en
Priority claimed from GB878724883A external-priority patent/GB8724883D0/en
Application filed by 브리탁스 윙가드 리미티드, 알란 루돌프 스타키, 아끼라 마쓰미야 제임스 filed Critical 브리탁스 윙가드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8800137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37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100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00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8Rear-view mirror arrangements involving special optical features, e.g. avoiding blind spots, e.g. convex mirrors; Side-by-side associations of rear-view and other mirrors
    • B60R1/083Anti-glare mirrors, e.g. "day-night" mirrors
    • B60R1/088Anti-glare mirrors, e.g. "day-night" mirrors using a cell of electrically changeable optical characteristic, e.g. liquid-crystal or electrochromic mirr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25Rear-view mirror arrangements comprising special mechanical means for correcting the field of view in relation to particular driving conditions, e.g. change of lane; scanning mirr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차량 백미러
제1도는 종래의 백미러에서 경험하게 되는 보이지 않는 부분을 나타낸 개략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문제점을 완화시키기 위하여 고안된 공지의 백미러의 사시도.
제3도는 제2도의 선 3-3을 따라 도시한 횡단면도.
제4도는 제1도의 상태에 놓인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외부거울의 반사수단의 횡단면도.
제5도는 제2의 상태에 놓인 제4도의 반사수단의 횡단면도.
제6도는 제4도 및 5도에 도시된 반사수단의 구성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제7도는 제4도 및 5도에 도시된 반사수단의 구성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제8도는 제7도에 도시된 반사수단의 변경예를 나타낸 개략도.
제9도는 제4도와 유사한 도면으로서 내부거울의 반사수단의 사시도.
제10도는 제1도의 상태에 놓인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외부 백미러의 반사부재의 사시도.
제11도는 제10도에 나타낸 반사부재의 개략적인 평면도.
제12도는 제11도와 유사한 도면으로서 제2의 상태에 놓인 반사부재의 개략적인 평면도.
제13도는 덮개가 제거된 상부와 제1의 상태에 놓인 반사부재를 구비한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외부 백미러의 평면도.
제14도는 제13도와 유사한 도면으로서 반사부재가 제2상태에 놓인 외부 백미러의 평면도.
제15도는 제13도와 유사한 도면으로서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외부 백미러의 평면도.
제16도는 제14도와 유사한 도면으로서 제15도의 실시예에 대한 평면도.
제17도는 제13도 및 15도와 유사한 도면으로서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대한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자동차 12 : 외부거울
14 : 운전기사 16 : 제1의 시야
18 : 제2의 차 20 : 제3의 차
24 : 백미러 26 : 평면영역
30 : 원통형 외부영역 31 : 제2의 시야
34, 70 : 판유리 36,72 : 반사성 일렉트로크로믹층
40,42,60,62 : 광선 44 : 상부벽
46 : 하부벽 48,50 : 측벽
52 : 블록 54 : 배후면
56 : 앞표면 58 : 두꺼운 단부
74 : 흡광 판재 80,100 : 기판
82 : 프레임 88,94 : 보강바아
90,114 : 링크 92 :선형작동기
102,164,166 : 거울캐리어 104 : 선회 연결부
108 : 선회 장착부 110,136 : 장착부재
112,130,160 : 거울 하우징 134,168,170 : 반사부재
138 : 미끄럼 트랙 140 : 평면거울
본 발명은 자동차의 백미러에 관한 것으로서, 자동차의 외부 및 내부거울에 함께 적용된다.
차량 백미러의 한가지 바람직한 특징은 될 수 있는 대로 넓은 시야를 갖는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블록한 형상의 거울로된 반사부재를 만드는 것이 제안되어 왔다. 그러나, 그와 같은 거울에서는 거울에 투영된 영상의 크기가 작아져서 운전자가 후속차량의 접근정도에 대하여 위험한 착오를 유발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따라서,여러나라에서는 차량의 백미러를 평평한 거울로 하거나 또는 비교적 큰 곡률반경, 예를들어 1.8이상의 곡률반경을 갖는 블록거울을 채용할 것을 규정하고 있다. 그런데, 그 결과 자동차의 운전자쪽 문에 설치된 거울의 경우 거울의 시야로 부터 후속차량이 나타나지 않고 운전자의 육안으로도 후속차량을 볼 수 없는 소위“보이지 않는 부분” 이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추월차량과 추월당하는 차량이 병목지점에 들어갈때 예컨대, 추월당하는 차량이 고속도로에 진입살때 커지는 것이다.
블록거울의 채용에 대한 규정을 만족시키기에 충분한 칫수의 평평한 부분을 가지며, 상기한 보이지 않는 부분을 제거하도록 시야를 확대하는 외부거울이 미합중국 특허 제4,331,382호에 이미 제안된 바가 있다. 그러나 ,이거울은 차량의 측부로부터 많이 돌출한다는 결점이 있다.
차량 백미러의 또다른 문제점은, 야간에 후속챠량의 전조등으로부터 나오는 빛이 선행 차량의 백미러에 반사되어 선행차량의 운전자가 눈부심을 경험한다는 점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특히 내부 거울의 경우에, 약 5퍼센트의 반사율을 갖는 제1반사면 및 제1반사면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를 이루면서 제1반사면 뒤에 설치되는 제2반사면을 구비한 거울을 제공하고, 높은 반사율을 갖도록 상기 거울을 편리하게 배치하는 것이 잘 알려져 있다. 사용상에 있어서, 이와같이 거울은 운전자가 제2반사면으로부터 반사되는 원하는시야를 보도록 편향된다. 이때 제1반사면으로 무터 반사되는 빛은 혼동을 주지 않도록 차량내부의 비교적 어두운 부분으로 부터 나온다. 만약, 눈부심을 일으키는 경우에는, 거울을 기울어지게 함으로써 운전사로 하여금 입사광의 세기의 단자 5퍼센트에 해당하는 시야의 영상, 즉, 제1반사면으로부터 반사된 원하는 시야의 영상을 보게한다. 나머지 입사광선은 제2반사면으로 부터 차량내부의 어떤 다른 부분으로 반사된다. 이러한 종래의 장치는 거울이 정상적인 방향을 취하는 경우에, 운전자가 제1반사면으로 부터 분산된 반사광을 지각하게 되는 결점을 갖는다.또한, 거울이 제2방향을 취하는 경우에, 후속 차량의 전조등으로 부터 나오는 눈부신 빛이 바람직하지 않은 정도로 선행차량의 내부에서 주위의 광선수준을 증대시키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같은 문제점들을 극복할 수 있는 거울을 마련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한가지 실시형태에 있어서 차량의 거울은 제1반사면과 제2반사면을 갖는 반사수단으로 구성되어 있고, 그 반사수단은 제1반사면을 통과한후에 제2반사면상에 입사되는 빛을 반사하도록 배열되어 있으며, 제1반사면은 조절신호의 적용에 따라서 투명상태에서 반사상태로 변하기 적합한 재료의 층을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차량의 거울은 제1의 상태에 있을때, 제1의 시야를 제공하기에 적합한 제1의 형상을 갖는 반사면으로 부터 빛을 반사하도록 배열된 반사수단을 포함하며, 제2의 상태(상기 제1의 시야와는 다른 제2의 시야를 제공하기에 적합한 제2의 형상을 갖는 반사면으로부터 빛이 반사되는 상태)로 반사수단을 변화시키기 위한 조절수단을 또한 포함한다.
제1도를 참조하면 자동차(10)는 운전자(14)에 인접한 문에 장착된 외부 거울(12)을 갖추고 있다. 정상적인 방향으로 거울(12)을 통해 본 시야의 범위가 제1시야(16)로 도시되어 있다. 자동차(10)와 거의 같은 주행순위에 있는 제2의 차(18)는 차(18)바로 뒤의 제3의 차(20)가 시야에서 막 벗어나려고 하는 동안에 이 시야밖에 있게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차(18)의 앞부분은 운전자(14)의 시야에 아직도 도달하지 않았다. 차의 앞부분이 운전자(12)의 시야에 도달할 때까지 적어도 차(18)의 뒷부분이 계속 보이도록 화살표(22)로 나타낸 시야를 줄 수 있게 거울(12)의 각도가 조절된다면 제3의 차(20)뒤의 차는 보이지 않게 된다.
제2도와 3도는 제1도에 도시된 거울(12)을 대체하기에 적합한 미합중국 특허 제4,331,382호에 개시된 형태의백미러(24)를 나타낸다. 백미러(24)는 평면영역(26)과 블록한 원통형 외부영역(30)이 있는 반사부재를 갖는다. 시야는 제1도에서 제2의 시야(31)로 도시한 범위로서 연장된다. 그러나, 평면영역(26)은 법적요건을 충족시키도록 충분히 커야 하며, 그 결과차의 측부에서 백미러(24)가 장착부위로 부터 돌출하는 범위는 블록한 원통형 외부영역(30)의 폭에 의해서 증가한다.
제4도는 만곡된 거울(32)로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다. 거울(32)은 앞표면상에 반사성 일렉트로크로믹(electrochromic)층을 갖는 평면 판유리(34)뒤에 위치한다. 유리보호층(38)은 반사성 일렉트로크로믹층(36)앞에 위치되어 있다. 반사성 일렉트로크로믹층(36)은 전기신호에 따라서 투명한 제1상태 또는 반사하는 제2의 상태로 전환 될 수있다. 용어 “ 반사성 일렉트로크로믹층” 은 전환을 제공하기에 필요한 전기신호의 특성에 관계없이 이러한 성질을 갖는 층을 의미하도록 사용된다.
제4도의 실시예에서 반사성 일렉트로크로믹층(36)이 반사상태에 있을때, 거울은 평면상의 반사면을 갖는 통상적인 거울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입사광선을 제1도에서 제1의 시야(16)로 나타낸 바와 같은 시야를 주면서 광선(40)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반사된다. 반면에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성 일렉트로크로믹층(36)이 그 투명상태에 있을때, 입사광선은 광선(42)에 의해 나타낸 바와 같이 뒷쪽의 만곡된 거울(32)로 부터 반사되고, 이렇게 하여 제2의 시야(31)로 나타낸 바와같은 확장된 시야를 주게 된다.
제4도 및 제5도에 도시된 반사조립체는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된 반사부재 전체를 대신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외부영역(30)만을 대체할 수도 있다. 어느 경우에나, 반사성 일렉트로크로믹층(36)에 의해 마련된 평면상의 반사면 영역은 최소한 법적요구사항인 평면상 거울면 영역의 일부를 이룬다.
반사성 일렉트로크로믹층의 상태를 결정하는 전기신호의 작동은 운전사의 거동, 즉 수동으로 작동가능한 수위칭을 직접 사용하거나, 또는 방향 지기시의 작동에 간접적으로 대응하거나 운전대의 회전에 간접적으로 대응하여 결정된다. 자동 작동을 채용하는 경우에는 수동보충작동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6도는 제4도 및 5도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나타내고 있다. 반사성일렉트로크로믹층과 유리보호층(38)을 갖는 평면 판유리(34)는 유리 보호층과 평면 판유리사이에 끼워진 반사성 일렉트로크로믹층(36)(제6도에는 나타내지않음)과 서로 인접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만곡된 거울(32)은 함께 기밀 케이싱을 형성하는 상부벽(44), 하부벽(46)및 측벽(48,50)에 의하여 판유리(34)와 유리보호층(38)에 연결되어 있다. 케이싱의 내부공동은 내부면상에서의 응결과 다른 오염을 피하기 위하여 진공상태, 또는 건조한 공기나 불활성 가스가 채워진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좋다.
제6도에 도시된 반사조립체는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리나 플라스틱재료로 이루어진 단일 강체블록(52)으로 대체될 수 있다. 블록(52)은 영구적인 반사면을 제공하도록 통상의 반사코팅을 갖는 오목한 배치후면(54)을 구비한다. 앞표면(56)은 평면이며, 상기한 바와같이 상태들에 따라서 빛을 반사하거나 통과시키는 반사성 일렉트로크로믹층으로 피복되어있다. 블록(52)의 다른 네개의 면들은 이중영상을 피하기 위해서 비반사성 코팅을 갖는다.
제7도의 강체블록(52)은 두꺼운 단부(58)쪽이 차에 근접하도록 하여 자동차(10)의 문에 설치된다. 블록(52)은 프리즘으로 작용한다. 그래서, 블록의 외부 단부에 가까운 광선(60)은 블록의 내부단부에 가까운 광선(62)보다 더 큰 각도로 굴절하여 편향된다. 이것은 특별한 굴절을 제공하는데 요구되는 블록 배후면(54)의 곡률을 감소시킨다. 그 결과, 블록(52)의 두께가 감소될 수 있다.
제9도는 제4도 내지 제6도에 도시된 반사조립체와 유사한 반사조립체를 나타낸다. 이 반사조립체는 차량의 내부 거울용으로 특히 적합하며, 배후면상에 반사성 일렉트로크로믹층을 갖는 평면 판유리(70)로 구성된다. 반사성 일렉트로크로믹층(72)의 뒤에는 흑색의 흡광판재(74)가 위치한다.
정상적으로 사용하는 경우에, 일렉트로크로믹층(72)은 최대한 반사상태에 놓인다. 그러나, 반사된 상의 밝기를 감소시킬 필요가 있을 경우, 예를 들어 후속차량의 전조등으로부터 나오는 빛에 의해 눈부심을 피하고자 하는 경우, 일렉트로크로믹층(72)은 투명한 상태로 전환된다. 그러면, 입사광선은 판유리(70)의 전면에 도달하게 된다. 입사광선의 약5퍼센트는 판유리(70)의 전면으로부터 반사되는 반면에, 입사광선의 나머지 95퍼센트는 흡광판재(74)에 의해서 흡수된다.
제10도, 11도 및 12도는 가요성 재료의 기판(80)상에 형성된 단일 반사면을 갖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기판(80)은 고정바아(84)에 의하여 직사각형 프레임(82)의 가장자리에 고정된다. 고정바아(84)는 나사(86)에 의해서 프레임(82)에 고정되어 있다. 보강바아(88)는 가요성 기판의 대향 모서리에 고정되고, 링크(90)에 의해 선형 작동기(92)에 선회 연결된다. 작동기(92)는 제10도 및 1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80)을 블록한 원통형상으로 만곡시키기 위해서 프레임(82)으로 부터 후방으로 멀어지도록 보강바아(88)를 잡아당김으로써 제1도의 제1의 시야(16)로 도시된 시야를 주거나 제1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80)를 잡아당김으로써 실제로 평면형태로 하기 위하여 바아(88)를 프레임(82)에 대하여 가압함으로써 제2시야(31)로 표시되는 시야를 주게 된다. 기판이 블록한 형태로 취하고 있을때 진동으로 인하여 기판상의 반사면이 찌그러지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서 일련의 서로 평행한 보강바아(94)가 기판(80)의 두에 고정된다. 각각의 보강바아(94)는 일반적으로 사다리꼴 형태를 취한다. 그리하여, 기판(80)이 완전하게 만곡되는 경우에 서로 접하게 된다. 서로 맞물리는 형성부(96) 및 (98)들은 인접하는 면상에 형성되어 있고, 강성을 추가하기 위해서 맞물림 방향으로 이동된다. 해당 강도는 형성부들이 프레임(82)의 주변부와 인접함으로써 평면상태에 있을때 기판에 주어지게 된다.
보강바아(94)에 대한 다른 수단으로써 미리 형상화된 만곡면을 갖춘 부재를 들 수 있는데, 이 부재는 기판(80)을 잡아당기도록 배열된 작동기(92)와 프레임(82)뒤에 위치된다. 그리하여, 기판(80)은 그와같은 만곡면에 의해 제공되는 곡선을 취하게 된다.
제13도 및 14에는 제10도 내지 제12도에 도시된 실시예와는 다른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반사층을 갖는 가요성 기판(100)이 대향 모서리에 압축력을 가함으로써 궁형과 평면형상을 선택적을 취하게 된다. 가요성 기판(100)은 선회 연결부(104)에 의해서 거울 캐리어(102)의 한 가장자리를 따라서 부착된다. 가요성 기판(100)의 다른쪽 모서리는 슬라이더(106)에 선택가능하게 부착된다. 슬라이더(106)는 선회연결부(104)쪽으로 접근하거나 선회 연결부로 멀어지도록 운동할 수 있게 거울 캐리어(102)상에 장착된다. 거울 캐리어 (102)상의 대략적인 중심위치에 선회 부착부(108)는 거울 하우징 (112)의 내부에 고정된 정착부재(110)에 연결되어 있다. 연결링크(114)의 일단부는 슬라이더(106)에 선회가능하게 부착되어 있고, 다른 단부는 거울 하우징(112)의 전방 테두리(120)와 평행을 이룰때 유지되는 거리만큼 선회 장착부(108)로부처 이격된 지지부재(110)상의 위치(116)에 선회가능하게 부착된다. 링크(114)는 가요성 기판(100)이 평평하게 되는 위치로 슬라이더(106)를 위치시킨다. 사용하는 경우에, 하우징(112)은 창에 장착된다. 그리하여, 단부면(118)이 차체에 맞닿게 된다.
만약, 거울 캐리어(102)가 제14도에 나타낸 위치로 기울어지면, 링크(114)는슬라이더(106)를 선회 장착부(108)쪽으로 잡아당기는 그리하여, 가요성 기판(110)을 가압하여 볼록한 형태가 되게 한다. 그러나, 거울 캐리어(102)의 기울어진 운동은, 슬라이더(106)에 가장 가까운 기판(100)영역이 하우징(112)의 전방 테두리(120)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게 한다. 이것은 차량에 더 가까운 시야의 가장자리가 실제로 변경되지 않게 한다. 다시말하면, 시야의 범위는 제1도에서 제1의 시야(16)로 나타낸 것으로부터 제2의 시야(31)로 나타낸 것으로 확대된다.
제15도 및 16도에는 거울 하우징 (130)으로 구성되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거울 하우징(130)은 차체의 측부상에 설치되기에 적합한 면(132)을 갖는다. 제2도 및 3도에 도시된 반사부재(즉, 평평한 내부영역과 볼록한 외부영역을 갖는 반사부재)와 같은 형태의 정적인 반사분배(134)가 하우징내에서 장착부재(136)상에 설치되어 있다. 엘(L)자형의 미끄럼 트랙(138)은 하우징의 하부안에 설치되고, 이에 대응하는 형상의 트랙(도시하지 않음) 이 상부부재의 내부상에 설치된다. 평면거울(140)이 제15도에 도시된 위치에 놓이는 경우, 거울은 반사부재(134)와 하우징 전방의 개구부(146) 사이에 위치되며, 평면거울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 평면거울 (140)이 제16도에 도시된 위치로 미끄러지는 경우, 정적인 반사부재(134)는 볼수있게되고, 제2도 및 3도에 도시된 거울과 동일한 방식으로 기능하게 된다. 제15도에서 일점쇄선(148,150)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거울(140)은 정적인 반사부재(135)의 테두리에 접촉함이 없이 두 위치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다.
제17도는 하우징 (160)내의 거울 설치부로 구성되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하우징(160)은 차체에 대하여 접하기에 적합한 면(162)을 갖는다. 거울 캐리어(164)는 중앙 수직축(166)에 대하여 180°각도로 각 운동을 하도록 하우징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된다.평면 반사부재(168)는 거울 캐리어(164)의 한측상에 설치되고, 제2도 및 3도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형태인 반사부재(170)는 거울 캐리어(166)의 다른 측부상에 설치된다. 제17도에 도시된 위치와 180°로 변위된 위치 사이에서의 거울 캐리어(164)의 각 운동을 제1도에서 제1의 시야(16)로 나타낸 것으로 부터 제2의 시야(31)로 나타낸 것으로 확장시키게 된다.
제4도 내지 8도와 제15도 내지 17도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만곡된 반사부재가 원하는 형태(예컨대 구형)로 변형될 수 있다는 장점과, 제10도 내지14도에 도시된 실시예의 반사부재는 단지 하나의 축에 대하여 만곡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갖게 된다. 제10도 내지 14도에 도시된 실시예의 반사부재는 단지 하나의 축에 대하여 만곡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갖게 된다. 제10도 내지 17도에 도시된 실시예는 반사된 빛이 통과하는 면의 수를 최소화함으로써 바람직하지 않은 다중 반사 위험이 줄어들게 되는 잇점이 있다. 제4도 내지 9도에 도시된 실시예는 가동부분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잇점이 있다.
본 발명은 수직방향의 시야를 갖는 거울 제공하는데도 사용될 수 있다.

Claims (16)

  1. 제1반사면(34)과 제2반사면(32)을 갖추고 있고 상기 제2반사면(32)상에 입사는 빛을 반사하도록 배열된 반사수단을 포함하는 차량백미러에 있어서, 조절신호에 따라서 투명상태로 부터 반사상태로 변화되기에 적합한 층(36,72)이 상기 제1반사면(34)상에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백미러.
  2. 제1항에 있어서, 반사상태에서 제1반사면(70)의 반사도가 제2반사면의 반사도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백미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반사면이 상기 층(72)에 대하여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백미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반사면(32)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제1반사면(34)의 인접한 부분의 곡률과는 다른 곡률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백미러.
  5. 제1의 상태에서 제1의 시야(16)의 상을 제공하기에 적합한 제1의 형상을 갖는 반사면(34, 56,80,100,140,168)으로 부터 빛을 반사하도록 배열된 반사수단을 포함하는 차량 백미러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시야(16)의 상기 상과 동일한 위치에서 상기 제1의 시야(16)와는 다른 제2의 시야(31)의 상을 제공하기에 적합한 제2의 형상을 갖는 반사면(32,54,80,100,134,170)으로 부터 빛이 반사되는 제2의 상태로 반사수단을 변화시키기 위한 조절수단(36,92,102,138,16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백미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수단의 상기 제1의 상태에서는, 적어도 일부가 제1곡률을 갖는 반사면(34,56,80,100,140,168)으로 부터 빛이 반사되고, 상기 반사수단의 상기 제2의 상태에서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곡률보다는 작은 반경의 제2곡률을 갖는 상기 반사면(32,54,80,100,134,170)으로 부터 빛이 반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백미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곡률은 1m이상의 반경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제2곡률은 1m이하의 반경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백미러.
  8. 제5항, 6항 또는 7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수단은 ,상기 제1의 형상을 갖는 제1반사면(34,56), 상기 제2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반사면(34,56)에 입사된 빛을 반사하도록 상기 제1반사면(34,56)의 뒤에 배치된 제2반사면(32,54) 및 상기 제1반사면(34,56)상에 위치된 재료의 층(36)을 포함하고 있으며,상기 층(36)은 상기 조절수단으로 부터 나오는 조절신호에 반응하여 입사광이 상기 제1반사면(34,56)으로 부터 반사되는 제1의 상태와 입사광이 상기 제1반사면(34,56)으로 부터 반사되는제1의 상태와 입사광이 상기 제1반사면(34,56)을 통과하여 상기 제2반사면(32,54)으로 부터 반사되는 제2의 상태 사이에서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백미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층(36)은 일렉트로크로믹 재료로 이루어진 층이고, 상기 조절신호는 전기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백미러.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수단은 가요성 기판(80,100)상에 형성된 반사면으로 이루어져 잇고, 상기 조절수단의 상기 기판을 구부리기 위한 수단(92,102)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백미러.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수단은 반사면들을 볼 수 있는 개구부를 갖춘 하우징내에 장착되고, 상기 반사면(140,168)중 하나는 상기 개구부를 통해서 볼 수 있는 제1위치와, 상기 개구부를 통해서 상기 반사면(134,170)중 하나를 볼 수 있도록 상기 개구부로 부터 변위된 제2위치 사이에서 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백미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면(134)은 상기 반사면(140)이 제1위치에 놓일 때 상기 반사면(140)에 의해서 커버되도록 상기 하우징내의 정적인 위치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백미러.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면(170)은 상기 반사면(168)과 동시에 운동하도록 상기 반사면(168)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백미러.
  14. 제1항, 2항, 3항 또는 4항에 있어서, 상기 층(36)은 일렉트로크로믹 재료로 이루어진 층이고, 상기 조절신호는 전기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백미러.
  1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반사면(56)과 상기 제2반사면(54)은 투명한 재료로 이루어진 블록(52)의 대향면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백미러.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반사면(56)과 상기 제2반사면(54)은 투명한 재료로 이루어진 블록(52)의 대향면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차량 백미러.
KR1019880005988A 1987-05-21 1988-05-21 차량 백미러 KR9500100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878712081A GB8712081D0 (en) 1987-05-21 1987-05-21 Vehicle mirrors
GB8712081 1987-05-21
GB8713567 1987-06-10
GB878713567A GB8713567D0 (en) 1987-05-21 1987-06-10 Vehicle mirrors
GB878715070A GB8715070D0 (en) 1987-05-21 1987-06-26 Vehicle mirrors
GB8715070 1987-06-26
GB878718755A GB8718755D0 (en) 1987-05-21 1987-08-07 Vehicle mirrors
GB8718755 1987-08-07
GB878724883A GB8724883D0 (en) 1987-05-21 1987-10-23 Vehicle mirrors
GB8724883 1987-10-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3737A KR880013737A (ko) 1988-12-21
KR950010030B1 true KR950010030B1 (ko) 1995-09-06

Family

ID=10617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5988A KR950010030B1 (ko) 1987-05-21 1988-05-21 차량 백미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950010030B1 (ko)
ES (1) ES2020330B3 (ko)
GB (2) GB8712081D0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7593A (ko) * 2015-12-08 2017-06-16 주식회사 엘지화학 차량용 룸미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20000428U (ko) 2020-08-11 2022-02-18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케이블 리프팅 및 권취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7593A (ko) * 2015-12-08 2017-06-16 주식회사 엘지화학 차량용 룸미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20000428U (ko) 2020-08-11 2022-02-18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케이블 리프팅 및 권취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8712081D0 (en) 1987-06-24
KR880013737A (ko) 1988-12-21
GB8713567D0 (en) 1987-07-15
ES2020330B3 (es) 1991-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06075A (en) Vehicle rear view mirror
US3542455A (en) Day-night outside rearview mirror assembly
JP2016084126A (ja) 自動車用インサイドミラー組立体
GB2048189A (en) Rear view mirror for vehicles
US4577929A (en) Anti-glare device for side mounted rear vision mirrors
KR950010030B1 (ko) 차량 백미러
JPH0350044A (ja) 車両用後退灯
US3522987A (en) Multiple position rear view mirror
EP0865968A2 (en) Antiglare inner mirror
KR101575541B1 (ko) 자동차용 인사이드 미러 조립체
US3472580A (en) Multiple position rear view mirror with unitary plastic hinge bracket
JPH01309838A (ja) 車輛用灯具
US4114986A (en) Reversible side mount mirror
JP5039749B2 (ja) 車両の前側方視認装置
JPH01253102A (ja) 車輌用前照灯
JP4283054B2 (ja) 車両用視認装置
JPH0419521Y2 (ko)
JP3820672B2 (ja) 広角インサイドミラー構造
KR0181624B1 (ko) 자동차용 좌우 아웃사이드미러의 공용화 구조
JPH1086750A (ja) 車両用防眩ミラー
JPH0664472A (ja) 車両用端部位置表示装置
JP3276864B2 (ja) 車両用後方視認装置
EP0497445A1 (en) Mirror unit with transparent lens shaped element
JPS60226336A (ja) 車両用灯具
JP2009255727A (ja) サイドアンダーミラ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