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3503B1 - 차량용 인사이드 리어뷰 미러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인사이드 리어뷰 미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3503B1
KR100743503B1 KR1020020069931A KR20020069931A KR100743503B1 KR 100743503 B1 KR100743503 B1 KR 100743503B1 KR 1020020069931 A KR1020020069931 A KR 1020020069931A KR 20020069931 A KR20020069931 A KR 20020069931A KR 100743503 B1 KR100743503 B1 KR 1007435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y
mirror
ball
opening
mirror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9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40102A (ko
Inventor
와치겐이치
Original Assignee
이치코 고교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치코 고교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치코 고교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401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01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35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35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4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inside vehic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48/00Supports
    • Y10S248/90Movable or disengageable on impact or overlo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경사각이 차종마다 상이한 부착면에 스테이를 부착한 경우라도, 미러 어셈블리의 경동범위를 소정범위 이상으로 얻을 수 있고, 후방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인사이드 미러를 부착면의 경사각이 상이한 차종에 범용할 수 있으므로, 인사이드 미러를 각 차종마다 설계제조할 필요가 없어, 그 만큼, 인사이드 미러의 코스트를 염가로 할 수 있다.
경사각, 후방시야, 인사이드 미러, 경동범위, 스테이, 피벗기구, 볼부, 볼 오목부, 브래킷.

Description

차량용 인사이드 리어뷰 미러장치{INSIDE REARVIEW MIRROR APPARATUS FOR VEHICLE}
도 1은, 본 발명에 관련되는 인사이드 미러의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부착상태를 도시하는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의 III-III선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서의 SA-SA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부착면의 경사각이 30°인 경우에서의 미러 어셈블리의 상향의 경동 범위의 한계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6은, 부착면의 경사각이 30°인 경우에서의 미러 어셈블리의 하향의 경동범위의 한계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7은, 부착면의 경사각이 20°인 경우에서의 미러 어셈블리의 상향의 경동범위의 한계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8은, 부착면의 경사각이 20°인 경우에서의 미러 어셈블리의 하향의 경동범위의 한계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9는, 부착면의 경사각이 40°인 경우에서의 미러 어셈블리의 상향의 경동범위의 한계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10은, 부착면의 경사각이 40°인 경우에서의 미러 어셈블리의 하향의 경동범위의 한계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11은, 일본의 충격완화식 후사경의 정적시험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12는, 피벗기구의 치수관계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본 발명은, 자동차의 차 실내에 장비되는 차량용 인사이드 리어뷰 미러장치(이하, 단순히 인사이드 미러라고 칭함)로서, 1개의 피벗기구를 갖는 1피벗기구 타입의 인사이드 미러에 관한 것이다. 또한, 특허청구의 범위 및 본 명세서중, 「후방」이란, 자동차의 진행방향과 역방향으로, 운전자측에서 보아 후방을 말한다. 또, 「전방」이란, 자동차의 진행방향으로, 운전자측에서 본 전방을 말한다.
이 종류의 인사이드 미러로서는, 예를 들면, 미국 특허 제4,836,648호에 기재된 것, 미국 특허 제5,016,979호에 기재된 것, 미국 특허 공보 제5,615,857호에 기재된 것 등이 있다. 먼저, 미국 특허 제4,836,648호에 기재된 것은, 스테이(7)의 볼부(7a)와, 미러 어셈블리(1)의 투피스의 브래킷(20)이 서로 경동(傾動)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또, 미국 특허 제5,016,979호에 기재된 것은, 스테이(1)의 볼부(3)와, 미러 어셈블리의 3피스의 브래킷(5)이 서로 경동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더욱이, 미국 특허 공보 제5,615,857호에 기재된 것은, 스테이(36)의 컵(122)과, 미러 어셈블리(52)의 볼부(46)가 상호 경동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이 종류의 인사이드 미러는, 일반적으로, 일단이 차 실내의 부착면에 부착되는 스테이와, 상기 스테이의 타단에 1개의 피벗기구(볼부와 브래킷 또는 컵)를 통해서 경동가능하게 부착된 미러 어셈블리를 구비하는 것이다. 이 인사이드 미러는, 운전자가 미러 어셈블리의 반사면으로 후방시야를 확보하기 위해 필요한 차량용 부품이다. 그리고, 이 인사이드 미러는, 미러 어셈블리를 피벗기구에서 스테이에 대해 경동시킴으로써, 반사면의 위치나 각도 등을 운전자의 체격·체형·자세 등에 맞추어서 조정할 수 있고, 후방시야를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에서, 미러 어셈블리의 경동범위는, 체격·체형·자세에 관계없이 거의 모든 운전자가 후방시야를 확보할 수 있는 정도의 소정의 범위이상 필요하다.
또한, 상기 미러 어셈블리의 경동범위에서의 소정범위의 1예로서는, 예를 들면, 미러 어셈블리의 반사면의 법선이, 수평선에 대해, 상향으로 12°, 하향으로 15°의 범위이다.
그런데, 상기의 종래의 인사이드 미러는, 1차종 전용이다. 즉, 부착면의 수평선에 대한 경사각은, 차종마다 다름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인사이드 미러는, 1차종의 경사각의 부착면밖에 대응할 수 없다. 이 때문에, 종래의 인사이드 미러는, 경사각이 상이한 차종의 부착면에 스테이의 일단을 부착한 경우, 미러 어셈블리의 경동범위를 소정의 범위 이상으로 얻을 수 없어, 후방시야를 확보하는 것이 어렵다. 이와 같이, 종래의 인사이드 미러는, 1차종 전용이므로, 각 차종마다 설계제조할 필요가 있고, 그 만큼, 인사이드 미러의 코스트가 높아진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자는, 종래의 인사이드 미러가 1차종 전용인 점을 감안하고, 1종류로, 부착면의 경사각도가 상이한 복수의 차종에 사용할 수 있는 인사이드 미러를 발명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부착면의 경사각이 상이한 차종에 범용할 수 있어, 그 만큼, 코스트를 염가로 할 수 있는 인사이드 미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스테이에 축부와 볼부를 설치하고, 한편, 미러 어셈블리의 브래킷에 개구와 볼오목부를 설치하고, 이 스테이의 볼부와 브래킷의 볼 오목부를 피팅구조에 의해 상호 경동가능하게 결합하여 1개의 피벗기구를 구성하고, 브래킷의 개구의 내경을 스테이의 축부의 외형치수보다도 크게 하여, 미러 어셈블리의 경동범위를 소정의 범위 이상으로, 즉, 부착면의 수평선에 대한 경사각이 차종마다 상이한 경우에도 후방시야를 확보할 수 있을 정도의 범위 이상으로, 크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결과, 본 발명은, 경사각이 차종마다 상이한 부착면에 스테이를 부착한 경우라도, 미러 어셈블리의 경동범위를 소정의 범위 이상으로 얻을 수 있으므로, 후방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은, 인사이드 미러를 부착면의 경사각이 상이한 차종에 범용할 수 있으므로, 인사이드 미러를 각 차종마다 설계제조할 필요가 없어, 그 만큼, 인사이드 미러의 코스트를 염가로 할 수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되는 인사이드 미러의 실시형태의 1예를 첨부도면을 참 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먼저, 이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인사이드 미러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면에서, 부호 1은, 이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인사이드 미러이다. 이 인사이드 미러(1)는, 일단(41)이 차실내의 부착면에 부착수단을 통해서 탈락가능하게 부착된 스테이(4)와, 상기 스테이(4)의 타단에 1개의 피벗기구를 통해서 경동가능하게 부착된 미러 어셈블리(5)를 구비한 1피벗기구 타입의 인사이드 미러이다.
상기 차 실내의 부착면은, 도 2, 도 4~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평선(H)에 대한 경사각(α)이 차종마다 상이한 프론트 윈드 실 글래스(이하, 단지, 프론트 글래스라고 칭함)(FW1,FW2,FW3)의 내측면이다. 상기 프론트 글래스(FW1,FW2,FW3)의 경사각(α)은, 일본의 90% 이상의 차량에서 20°~40°의 범위내에 있다.
상기 부착수단은, 탈락기구를 갖는다. 이 탈락기구를 갖는 부착수단은, 도 1~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베이스(2)와, 스프링부재(3)와, 스크류(S)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2)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 다이캐스팅제로 구성되어 있다. 이 베이스(2)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판형상의 고정부(21)와, 상기 고정부(21)의 일면에 대략 역T자 형상으로 일체로 설치된 1쌍의 걸어맞춤부(22)로 구성되어 있다. 이 베이스(2)의 고정부(21)의 타면은, 상기 프론트 글래스(FW1,FW2,FW3)의 내측면중 차폭방향 중앙부의 상단 근방에 접착제(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접착고정되어 있다. 이 접착제로서는, 예를 들면, 일면에 글래스에 접착하는 접착제가, 또, 타면에 금속에 접착하는 접착제가 도포된 양면접착제를 사용한다.
상기 스프링부재(3)는, 예를 들면, 탄성을 갖는 금속판으로서, 표면피복처리가 시행된 금속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스프링부재(3)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정부(31)와, 이 고정부(31)의 양측에 대략 직각으로 절곡하여 일체로 설치된 1쌍의 가요부(32,32)와, 이 1쌍의 가요부(32,32)의 선단을 내측으로 절곡하여 형성된 1쌍의 훅부(33,33)로 구성되어 있다. 이 스프링부재(3)의 고정부(31)는 상기 스테이(4)의 일단(41)에 상기 스크류(S)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2)의 1쌍의 걸어맞춤부(22,22)에 상기 스프링부재(3)의 1쌍의 훅부(33,33)을 걸어맞추어지게 함으로써, 상기 스테이(4)의 일단(41)이 상기 프론트 글래스(FW1,FW2,FW3)의 내측면에 탈락기구를 갖는 부착수단을 통해서 탈락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이 된다. 또, 상기 베이스(2)의 1쌍의 걸어맞춤부(22,22)와 상기 스프링부재(3)의 1쌍의 훅부(33,33)의 걸어맞춤상태에서, 상호 이반하는 힘이 작용하면, 상기 스프링부재(3)의 1쌍의 가요부(32,32)가 확장개방 변형하고, 상기 베이스(2)의 1쌍의 걸어맞춤부(22,22)와 상기 스프링부재(3)의 1쌍의 훅부(33,33)의 걸어맞춤상태가 해제되고, 상기 스테이(4) 및 상기 미러 어셈블리(5)가 상기 프론트 글래스(FW1,FW2,FW3)의 내측면으로부터 탈락하는 것이 된다.
상기 스테이(4)는, 예를 들면, 합성수지제로 구성되어 있다. 이 스테이(4)는, 일단(41)으로부터 타단에 걸쳐서 대략 L자 형상을 이루는 스테이본체(42)로 이루어진다. 이 스테이(4)(스테이 본체(42))의 일단(41)의 부착면에는, 원형의 위치 결정용의 오목부(45)가 설정되어 있다. 이 원형의 오목부(45)의 내경은, 상기 베이스(2)의 고정부(21)의 외경보다도 약간 크다. 이 오목부(45)의 상면과 고정부(21)의 하면 사이에 소정의 클리어런스(C)를 두면서 오목부(45)의 내측면과 고정부(21)의 외측면이 닿게 함으로써, 스테이(4)의 부착위치가 결정된다. 또, 이 스테이(4)의 일단(41)에는, 상기 오목부(45)로부터 연속하는 오목형상의 수용부(46)가 설치되어 있다. 이 수용부(46)중에는, 상기 베이스(2) 및 상기 스프링부재(3) 및 상기 스크류(S)가 수용된다. 더욱이, 이 스테이(4)의 일단(41)에서, 상기 수용부(46)의 저부에는, 보스부(47)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이 보스부(47)에 상기 스크류(S)가 나사박음 되어 있고, 상기 스프링부재(3)가 스테이(4)의 일단(41)에 고정되는 것이 된다.
또, 상기 스테이(4)(스테이본체(42))의 타단에는, 환봉형상의 축부(43)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이 축부(43)의 선단에는, 볼부(44)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더욱이, 상기 스테이(4), 즉, 대략 L자 형상을 이루는 스테이본체(42)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일단(41)의 부착면의 연장선(M)과, 상기 볼부(44)의 중심(44c)을 통과하는 상기 축부(43)의 축선(Z)과 이루는 각(β)이 약 30°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경사각(α)이 30°(이 30°는, 차종마다 상이한 프론트 글래스(FW1,FW2,FW3)의 평균 경사각이다)의 프론트 글래스(FW1)의 내측면에 상기 일단(41)을 상기 부착수단을 통해서 부착했을 때에, 상기 축선(Z)은, 수평선(H)과 대략 평행으로 된다. 즉, 상기 스테이 본체(42)는, 상기 프론트 글래스(FW1,FW2,FW3)를 따라서, 또한, 상기 축부(43) 및 상기 볼부(44)는, 후방에 수평으로 지향하는 것이 된다.
더욱이 또, 상기 스테이(4)가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부착위치 결정용의 상기 오목부(45)의 내측면과 상기 베이스(2)의 고정부(21)의 외측면과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추(A)의 범위밖에 위치하는 것이 된다. 이 원추(A)는, 상기 볼부(44)의 중심(44c)을 정점으로 하고 또 상기 미러 어셈블리(5)의 반사면(미러(54)의 이면)의 법선(K)(상기 축선(Z))을 축선으로 하고 더욱이 바닥면을 후방측으로 한 모선(母線)각이 55°인 원추형상을 이룬다.
상기 미러 어셈블리(5)는, 미러하우징(51)과, 브래킷(52)과, 노브(53)와, 미러(54)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미러하우징(51)은, 예를 들면, 합성수지로 구성되어 있다. 이 미러하우징(51)은, 전방이 폐색되고, 또한, 후방이 개구된 중공상의 하우징 형상을 이룬다. 이 미러하우징(51)의 전방측의 대략 중앙에는, 원형의 스테이 삽입통과구멍(50)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이 미러하우징(51)의 후방측에는, 대략 장방형 형상의 미러 개구부(500)가 형성되어 있다. 또, 이 미러하우징(51)의 전방측 하부로부터 바닥부에 걸친 대략 중간부에는, 4각형상의 노브 삽입통과구멍(58)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미러하우징(51)의 내부에는, 2장의 리브(59)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미러(54)는, 예를 들면, 유리제로 구성되어 있다. 이 미러(54)는, 표면과 이면이 평행하지 않고 약간 경사진 이른바 프리즘미러이다. 이 미러(54)의 이면에는 알루미늄 증착이나 은색도장 등의 반사막(도시하지 않음)이 시행되어 있 고, 또한, 크라프트지의 테이프(55)가 설치되어 있다. 이 미러(54)는, 상기 미러하우징(51)의 미러 개구부(500)의 가장자리에 끼워맞추기 고정되어 있다.
상기 브래킷(52)과 상기 노브(53)는, 각각, 예를 들면, 강성있고 정밀도 있게 구성되어 있다. 이 브래킷(52)과 노브(53)는, 상기 미러하우징(51) 내에 수납되고, 또한, 상기 리브(59)에 각각 회전운동 가능하게 피벗지지되어 있다. 또, 이 브래킷(52)과 노브(53)는, 서로 걸어맞추어져 있다. 이 노브(53)를 도 2중의 실선상태와 이점쇄선상태로 전환조작함으로써, 브래킷(52)를 통해서, 상기 미러하우징(51) 및 미러(54)가 스테이(4) 및 브래킷(52)에 대해서 경동하여, 미러(54)의 반사율이 주간용과 야간용으로 전환한다. 이와 같이, 상기 브래킷(52) 및 상기 노브(53)는, 어지럼방지 전환기구를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브래킷(52)에는,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형의 제 1개구(521) 및 볼오목부(56) 및 제 2개구(522)가 전방측으로부터 후방측에 설치되어 있다. 이 브래킷(52)의 볼오목부(56)와 상기 스테이(4)의 볼부(44)는, 상기 볼부(44)가 상기 미러하우징(51)의 스테이 삽입통과구멍(50)을 통과하고 상기 제 1 개구(521)로부터 상기 볼오목부(56)속에 압입되어 있는 피팅구조(억지끼워맞춤 구조)에 의해, 상호 경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스테이(4)의 축부(43) 및 볼부(44) 및 상기 브래킷(52)은, 상기 피벗기구를 구성한다.
또, 상기 브래킷(52)의 제 1 개구(521)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스테이(4)의 축부(43)에 닿아서 상기 미러 어셈블리(5)의 경동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경동범위 제한부(57)가 설치되어 있다. 이 경동범위 제한부(57)는,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볼 오목부(56)측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에 걸쳐서 내경이 커지도록, 경사져 있다. 또한,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브래킷(52)의 제 2 개구(522)의 가장자리와 상기 스테이(4)의 볼부(44)에, 서로 닿아서 상기 미러어셈블리(5)의 경동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보조 경동범위 제한부(520,440)를 각각 설치해도 좋다. 이 제 2 개구(522)의 내경(E)은, 제 1 개구(521)의 내경(F)보다도 작다.
그리고, 상기 스테이(4)의 축부(43)는, 상기 피벗기구를 통해서 상기 미러 어셈블리(5)를 부착하는데에 필요 최저한의 강도가 얻어지는 정도의 외형치수(G)(이 예에서는, 직경 약 10mm)를 갖는다. 또, 상기 경동범위 제한부(57), 즉, 제 1 개구(521)의 내경(F)(이 예에서는, 내경 약 15.6mm)은, 상기 스테이(4)의 축부(43)의 외형치수(G)보다도 크다. 또한, 상기 스테이(4)의 볼부(44)의 외경(I)(이 예에서는, 외경 약 16.8mm)은, 상기, 브래킷(52)의 볼 오목부(56)의 내경(J)(이 예에서는, 내경 약 16.5mm)보다도 약간 크다. 이것에 의해, 상기 스테이(4)의 볼부(44)와 상기 브래킷(52)의 볼 오목부(56)는, 피팅구조를 구성하는 것이 된다.
상기 경동범위 제한부(57), 즉, 제 1 개구(521)의 내경(F)의 크기의 조건은, 상기 스테이(4)의 볼부(44)와 상기 브래킷(5)의 볼 오목부(56)와의 피팅구조가 성립할 정도의 끼워넣기량(볼 오목부(56)가 볼부(44)를 끼워넣는 양)을 확보할 수 있고, 또, 상기 프론트 글래스(FW1,FW2,FW3)의 경사각(α)이 차종마다 상이한 경우라도 후방시야가 얻어지는 정도의 상기 미러 어셈블리(5)의 경동범위를 확보할 수 있는 조건으로 한다. 또한, 이 예에서의 상기 미러 어셈블리(5)의 경동범위는, 평균 경사각 30°의 프론트 글래스(FW1)의 내측면에 이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인사이드 미러(1)를 장비한 경우에, 상기 미러 어셈블리(5)의 반사면의 법선(K)이 수평선(H)(스테이(4)의 축부(43) 및 볼부(44)의 축선(Z))에 대해 상향으로 22°~32°(이 예에서는, 32°)이고, 또한, 하향으로 25°~35°(이 예에서는, 35°)의 범위이다.
다음에, 이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인사이드 미러의 사용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인사이드 미러(1)를 경사각(α)이 30°인 프론트 글래스(FW1)의 내측면에 장비한 경우에는, 스테이(4)의 축선(Z)과 수평선(H)이 일치한다. 이 경우에서, 미러 어셈블리(5)의 반사면의 법선(K)을 스테이(4)의 축선(Z) 및 수평선(H)에 맞춘 위치를 뉴트럴 위치로 한다. 이 뉴트럴 위치로부터, 미러 어셈블리(5)를 상향으로 32°(도 5 참조), 하향으로 35°(도 6 참조)로 각각 경동시킬 수 있다. 즉, 미러 어셈블리(5)의 반사면의 법선(K)을 스테이(4)의 축선(Z) 및 수평선(H)에 대해 상향으로 32°, 하향으로 35°로 각각 경동시킬 수 있다.
또, 인사이드 미러(1)를 경사각(α)이 20°인 프론트 글래스(FW2)의 내측면에 장비한 경우에는, 스테이(4)의 축선(Z)이 수평선(H)에 대해 하향으로 10°기울어진다. 이 경우에, 미러 어셈블리(5)의 반사면의 법선(K)을 수평선(H)에 맞춘 위치를 뉴트럴위치로 한다. 이 뉴트럴 위치로부터, 미러 어셈블리(5)를 상향으로 22°(도 7 참조), 하향으로 45°(도 8 참조)로 각각 경동시킬 수 있다. 즉, 미러 어셈블리(5)의 반사면의 법선(K)을 수평선(H)에 대해 상향으로 22°, 하향으로 45°로, 각각 경동시킬 수 있다.
더욱이, 인사이드 미러(1)를 경사각(α)이 40°인 프론트 글래스(FW3)의 내측면에 장비한 경우에는, 스테이(4)의 축선(Z)이 수평선(H)에 대해 상향으로 10° 기울인다. 이 경우에서, 미러 어셈블리(5)의 반사면의 법선(K)을 수평선(H)에 맞춘 위치를 뉴트럴 위치로 한다. 이 뉴트럴 위치로부터, 미러 어셈블리(5)를 상향으로 42°(도 9 참조), 하향으로 25°(도 10 참조)로 각각 경동시킬 수 있다. 즉, 미러 어셈블리(5)의 반사면의 법선(K)을 수평선(H)에 대해 상향으로 42°, 하향으로 25°로 각각 경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이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인사이드 미러(1)는, 경사각(α)이 차종마다 상이한 프론트 글래스(FW1)(경사각(α)이 30°), 또는, FW2(경사각(α)이 20°), 또는, FW3(경사각(α)이 40°)의 내측면에 스테이(4)의 일단(41)을 부착한 경우에도, 미러 어셈블리(5)의 경동범위를, 상향으로 32° 하향으로 35°, 또는, 상향으로 22°하향으로 45°, 또는, 상향으로 42° 하향으로 25°로, 소정의 범위 이상으로 얻을 수 있다. 이 결과, 이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인사이드 미러(1)는, (체격·체형에 관계없이 거의 모든 운전자가 후방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이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인사이드 미러(1)는, 프론트 글래스(FW1,FW2,FW3)의 경사각(α)이 20°~40°와 상이한 차종에 범용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이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인사이드 미러(1)는, 각 차종마다 설계제조할 필요가 없어, 그 만큼, 코스트를 염가로 할 수 있다.
또, 이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인사이드 미러(1)는, 스테이(4)의 일단(41)이 차 실내의 부착면에 부착수단을 통해서 탈락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으므로, 미러 어셈블리(5)에 소정값 이상의 외력이 걸리면, 이 미러 어셈블리(5)와 스테이(4)와는, 부착면으로부터 탈락한다. 즉, 미러 어셈블리(5)에 소정값 이상의 외력이 걸리면, 스테이(4)의 오목부(45)의 내측면과 베이스(2)의 고정부(21)의 외측면이, 예를 들면, 도 2 중의 점(B)에 닿고, 그 점(B)을 탈락지점(회전지점)으로서, 서로 걸어맞춤 상태에 있는 베이스(2)의 1쌍의 걸어맞춤부(22,22)와 스프링부재(3)의 1쌍의 훅부(33,33)에는, 상호 이반하는 힘, 즉, 회전모멘트가 작용한다. 이것에 의해, 스프링부재(3)의 1쌍의 가요부(32,32)가 확장개방 변형하여, 베이스(2)의 1쌍의 걸어맞춤부(22, 22)와 스프링부재(3)의 1쌍의 훅부(33,33)의 걸어맞춤 상태가 해제되고, 스테이(4) 및 미러 어셈블리(5)가 프론트 글래스(FW1,FW2,FW3)의 내측면으로부터 탈락하는 것이 된다. 이 때문에, 이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인사이드 미러(1)는, 차량의 급정지나 충돌시에 승차자가 미러에 머리 등을 부딪쳤을 때의 충격완화가 된다.
상기의 충격완화는, 일본의 충격완화에 관련되는 법규에 규정되어 있다. 이 법규에 의하면, 도 11(충격완화식 후사경의 정적시험의 설명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소정값 이상의 충격이 원추(D)의 범위내에서 미러 어셈블리(5)에 가해졌을 때에, 미러 어셈블리(5) 및 스테이(4)가 부착면으로부터 탈락하는 구조가 요구되고 있다. 상기의 원추(D)는, 스테이(4)의 볼부(44)의 중심(44c)을 정점으로 하고 또 미러 어셈블리(5)의 반사면의 법선(K)(스테이(4)의 축선(Z))을 축선으로 하고 더욱이 바닥면을 후방측으로 한 모선각이 45°의 원추형상을 이룬다.
여기에서, 이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인사이드 미러(1)는, 충격완화시의 탈락 지점(회전지점)(B)이 되는 스테이(4)의 오목부(45)의 내측면과 베이스(2)의 고정부(21)의 외측면이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추(A)의 범위밖에 위치한다. 게다가, 이 원추(A)는, 상기와 같이, 스테이(4)의 볼부(44)의 중심(44c)을 정점으로 하고 또 미러 어셈블리(5)의 반사면의 법선(K)(스테이(4)의 축선(Z))을 축선으로 하고 더욱이 바닥면을 후방측으로 한 모선각이 55°인 원추형상을 이룬다. 이것에 의해, 이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인사이드 미러(1)는, 경사각(α)이 차종마다 상이한 프론트 글래스(FW1)(경사각(α)이 30°), 또는, FW2(경사각(α)이 20°), 또는, FW3(경사각(α)이 40°)의 내측면에 장비한 경우라도, 상기 탈락지점(회전지점)(B)은, 항상, 상기 원추(D)의 범위밖에 위치하는 것이 된다. 이 결과, 이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인사이드 미러(1)는, 경사각(α)이 20°~40°인 프론트 글래스(FW1,FW2,FW3)의 내측면에 부착해도, 일본의 충격완화의 법규를 충분히 만족할 수 있다.
특히, 이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인사이드 미러(1)는, 경동범위 제한부(57)가 볼 오목부(56)측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에 걸쳐서 내경이 커지도록 경사져 있으므로, 스테이(4)의 볼부(44)를 브래킷(52)의 경동범위 제한부(57)(제 1 개구(521))로부터 볼 오목부(56)속에 압입하는 작업이 용이하고, 게다가, 볼부(44)와 볼 오목부(56)의 피팅구조가 확실하게 이루어진다.
또, 이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인사이드 미러(1)는, 브래킷(52)의 제 2개구(522)의 가장자리와 스테이(4)의 볼부(44)에, 서로 닿아서 미러 어셈블리(5)의 경동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보조 경동범위 제한부(520과 440)를 각각 설치했으므 로, 상기 경동범위 제한부(57)와 축부(43)의 미러 어셈블리(5)의 경동범위 제한작용의 상승효과에 의해, 미러 어셈블리(5)의 경동범위의 제한을 확실하게 할 수 있다.
더욱이, 이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인사이드 미러(1)는, 브래킷(52)의 제 2 개구(522)의 내경을 제 1 개구(521)의 내경보다도 작게 했으므로, 스테이(4)의 볼부(44)를 브래킷(52)의 제 1 개구(521)로부터 볼 오목부(56)속에 압입할 때에, 볼부(44)가 제 2 개구(522)로부터 빠지지 않고, 확실하게 압입할 수 있다.
이하, 상기의 실시형태 이외의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스테이(4)의 일단(41)을 경사각(α)이 30°인 평균경사각의 프론트 글래스(FW1)의 내측면에 부착했을 때에, 스테이(4)의 축선(Z)이 수평선(H)과 대략 평행이 되는 구조의 스테이(4)를 사용하고, 또, 미러 어셈블리(5)의 경동범위를, 수평선(H)(스테이(4)의 축선(Z))에 대해 상향으로 32°, 하향으로 35°의 범위로 한 구조이다. 그런데, 이 발명은, 상기의 구조의 스테이(4) 및 상기의 미러 어셈블리(5)의 경동범위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미러 어셈블리(5)의 경동범위를, 수평선(H)(스테이(4)의 축선(Z))에 대해 상향으로 22°, 하향으로 25°의 범위로 해도 좋다. 이 경우에 있어서는, 경사각(α)이 20°인 프론트 글래스(FW2)에 인사이드 미러(1)를 장비하면, 상향으로 12°, 하향으로 35°인 미러 어셈블리(5)의 경동범위를 얻을 수 있고, 또, 경사각(α)이 40°인 프론트 글래스(FW3)에 인사이드 미러(1)를 장비하면, 상향으로 32°, 하향으로 15°인 미러 어셈블리(5)의 경동범위를 얻을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미러 어셈블리(5)의 경동범위는, 소정의 경동범위(상향으로 12°, 하향으로 15°) 이상으로 얻을 수 있다.
또,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경동범위 제한부(57)가 볼 오목부(56)측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에 걸쳐서 내경이 커지도록 경사져 있는 구조를 이루지만, 반드시, 경동범위 제한부(57)가 경사져 있는 구조가 아니라도 좋다.
더욱이,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브래킷(52)의 제 2 개구(522)의 가장자리와 스테이(4)의 볼부(44)에, 서로 닿아서 미러 어셈블리(5)의 경동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보조 경동범위 제한부(520과 440)를, 각각 설치한 것이지만, 이 보조 경동범위 제한부(520과 440)를 설치할 필요는 없다.
더욱이 또, 이 실시형태에서는, 브래킷(52)의 제 2 개구(522)의 내경이 제 1 개구(521)의 내경보다도 작지만, 이 발명에 있어서는, 제 2 개구(522)의 내경을 제 1 개구(521)의 내경과 거의 동일하게, 혹은, 크게 해도 좋다.
더욱이 또, 이 실시형태에서는, 차 실내의 부착면이 프론트 글래스(FW1,FW2,FW3)의 내측면이지만, 프론트 루프 패널의 내측면이라도 좋다.
더욱이 또, 이 실시형태에서는, 스테이(4)의 일단(41)을 부착면에 탈락기구를 갖는 부착수단을 통해서 탈락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 것이지만, 탈락식의 충격완화 기구가 아니고, 변위식의 충격완화기구라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경사각이 차종마다 상이한 부착면에 스테이를 부착한 경우라도, 미러 어셈블리의 경동범위를 소정의 범위 이상으로 얻을 수 있으므로, 후방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은, 인사이드 미러를 부착면의 경사각이 상이한 차종에 범용할 수 있으므로, 인사이드 미러를 각 차종마다 설계제조할 필요가 없어, 그 만큼, 인사이드 미러의 코스트를 염가로 할 수 있다.

Claims (9)

  1. 일단(41)이 차 실내의 부착면에 부착되는 스테이(4)와, 상기 스테이의 타단에 피벗기구를 통해서 경동가능하게 부착된 미러 어셈블리(5)를 구비한 1피벗기구 타입의 차량용 인사이드 리어뷰 미러장치에 있어서,
    상기 피벗기구는, 상기 스테이(4)의 타단에 설치된 축부(43)와, 상기 축부의 선단에 설치된 볼부(44)와, 개구(521) 및 볼 오목부(56)가 설치되어 있는 상기 미러 어셈블리의 구성부품의 브래킷(52)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스테이(4)의 볼부(44)와 상기 브래킷(52)의 볼 오목부(56)는, 상기 볼부(44)가 상기 개구(521)로부터 상기 볼 오목부(56)중에 압입되어 있는 피팅구조에 의해, 상호 경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상기 브래킷(52)의 개구(521)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스테이(4)의 축부(43)에 닿아서 상기 미러 어셈블리(5)의 경동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경동범위 제한부(57)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스테이(4)의 축부(43)는, 상기 피벗기구를 통해서 상기 미러 어셈블리(5)를 부착하는데 필요 최저한의 강도가 얻어지는 정도의 외형치수(G)를 가지고,
    상기 경동범위 제한부(57)의 내경(F)은, 상기 스테이(4)의 축부(43)의 외형치수(G)보다도 크고,
    상기 미러 어셈블리(5)의 경동범위는, 상기 부착면의 수평선(H)에 대한 경사각(α)이 차종마다 상이한 경우라도 후방시야를 확보할 수 있는 정도의 범위이고,
    상기 스테이(4)의 일단(41)은 부착수단을 통해서 차 실내의 부착면에 탈락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 부착수단은 베이스(2)와, 스프링부재(3)와, 스크류(S)로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2)는 차 실내의 부착면에 접착고정되는 부분인 고정부(21)와, 상기 고정부(21)에 일체로 설치되는 역T자 형상의 1쌍의 걸어맞춤부(22, 22)로 구성되고, 상기 스프링부재(3)는 고정부(31)와, 상기 고정부(31)의 양측에 대략 직각으로 절곡하여 일체로 설치되는 1쌍의 가요부(32, 32)와, 상기 1쌍의 가요부(32, 32)의 선단을 내측으로 절곡하여 형성된 1쌍의 훅부(33, 33)으로 구성되고, 상기 스프링부재(3)의 고정부(31)는 상기 스크류(S)에 의해 상기 스테이(4)의 일단(41)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베이스(2)의 1쌍의 걸어맞춤부(22, 22)에 상기 스프링부재(3)의 1쌍의 훅부(33, 33)가 걸어맞추어짐으로써, 상기 스테이(4)가 차 실내의 부착면에 탈락가능하게 부착되어 있게 되고,
    미러 어셈블리(5)에 소정값 이상의 외력이 가해질 때, 상기 스프링부재(3)의 1쌍의 가요부(32, 32)가 확장개방 변형하여, 상기 베이스(2)의 1쌍의 걸어맞춤부(22, 22)에 대한 상기 스프링부재(3)의 1쌍의 훅부(33, 33)의 걸어맞춤상태가 해제되어, 상기 스테이(4)가 차 실내의 부착면으로부터 탈락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인사이드 리어뷰 미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4)는, 일단(41)을 평균 경사각(α)의 상기 부착면에 부착했을 때에, 상기 볼부(44)의 중심을 통과하는 상기 축부(43)의 축선(Z)이 수평선(H)과 대략 평행이 되는 구조를 이루고,
    상기 미러 어셈블리(5)의 경동범위는, 상기 구조의 스테이(4)의 경우에, 상기 미러 어셈블리(5)의 반사면의 법선(K)이 수평선(H)에 대해 상향으로 22°~32°이고, 또한, 하향으로 25°~3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인사이드 리어뷰 미러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동범위 제한부(57)는, 상기 볼 오목부(56)측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에 걸쳐서 내경이 커지도록,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인사이드 리어뷰 미러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4)의 볼부(44)가 압입되는 상기 개구(521)를 제 1 개구로 하고, 상기 브래킷(52)의 상기 제 1 개구(521)와 반대측에는, 제 2 개구(522)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브래킷(52)의 상기 제 2 개구(522)의 가장자리와 상기 스테이(4)의 볼부(44)에는, 서로 닿아서 상기 미러 어셈블리(5)의 경동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보조 경동범위 제한부(440, 520)가 각각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인사이드 리어뷰 미러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개구(522)의 내경(E)은, 상기 제 1 개구(521)의 내경(F)보다도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인사이드 리어뷰 미러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 실내의 부착면은, 수평선(H)에 대한 경사각(α)이 차종마다 상이한 프론트 윈드실 글래스(FW1, FW2, FW3)의 내측면 또는 프론트 루프 패널의 내측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인사이드 리어뷰 미러장치.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탈락기구의 탈락시에서의 탈락지점(B)은, 상기 스테이(4)의 일단(41)을 평균경사각(α)의 상기 부착면에 부착했을 때에, 상기 볼부(44)의 중심(44c)을 정점으로 하고 또 상기 미러 어셈블리(5)의 반사면의 법선(K)을 축선으로 하고 게다가 바닥면을 후방측으로 한 모선각이 55°인 원추형의 범위밖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인사이드 리어뷰 미러장치.
  9. 일단(41)이 차 실내의 부착면에 부착수단을 통해서 탈락가능하게 부착되는 스테이(4)와, 상기 스테이의 타단에 피벗기구를 통해서 경동가능하게 부착된 미러 어셈블리(5)를 구비한 1피벗기구 타입의 차량용 인사이드 리어뷰 미러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 실내의 부착면은, 수평선(H)에 대한 경사각(α)이 차종마다 상이한 프론트 윈드실 글래스(FW1, FW2, FW3)의 내측면 또는 프론트 루프 패널의 내측면이고,
    상기 미러 어셈블리(5)는, 전방측에 스테이 삽입통과구멍(50)을 또 후방측에 미러 개구부(500)를 각각 갖는 미러하우징(51)과, 상기 미러하우징의 미러 개구부에 부착된 미러(54)와, 상기 미러하우징 내에 설치된 브래킷(52)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피벗기구는, 상기 스테이(4)의 타단에 설치된 축부(43)와, 상기 축부의 선단에 설치된 볼부(44)와, 제 1 개구(521) 및 볼 오목부(56) 및 제 2 개구(522)가 전방측으로부터 후방측에 설치되어 있는 상기 브래킷(52)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스테이(4)는, 일단(41)을 평균 경사각(α)의 상기 부착면에 부착했을 때에, 상기 볼부(44)의 중심(44c)을 통과하는 상기 축부(43)의 축선(Z)이 수평선(H)과 대략 평행이 되는 구조를 이루고,
    상기 스테이(4)의 볼부(44)와 상기 브래킷(52)의 볼 오목부(56)는, 상기 볼부(44)가 상기 스테이 삽입통과구멍(50)을 통과하여 상기 제 1 개구(521)로부터 상기 볼 오목부(56)중에 압입되어 있는 피팅구조에 의해, 상호 경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상기 브래킷(52)의 제 1 개구(521)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스테이(4)의 축부(43)에 닿아서 상기 미러 어셈블리(5)의 경동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경동범위 제한부(57)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경동범위 제한부(57)는, 상기 볼 오목부(56)측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에 걸쳐서 내경이 커지도록, 경사져 있고,
    상기 브래킷(52)의 상기 제 2 개구(522)의 가장자리와 상기 스테이(4)의 볼부(44)에는, 서로 닿아서 상기 미러 어셈블리(5)의 경동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보조 경동범위 제한부(440, 520)가 각각 설치되어 있고,
    상기 브래킷(52)의 상기 제 2 개구(522)의 내경(E)은, 상기 제 1 개구(521)의 내경(F)보다도 작고,
    상기 부착수단은, 탈락기구를 가지고, 상기 탈락기구의 탈락시에서의 탈락지점(B)은, 상기 스테이(4)의 일단(41)을 평균 경사각(α)의 상기 부착면에 부착했을 때에, 상기 볼부(44)의 중심(44c)을 정점으로 하고 또 상기 미러 어셈블리(5)의 반사면의 법선(K)을 축선으로 하고 더욱이 바닥면을 후방측으로 한 모선각이 55°인 원추형의 범위밖에 위치하고,
    상기 스테이(4)의 축부(43)는, 상기 피벗기구를 통해서 상기 미러 어셈블리(5)를 부착하는데에 필요 최저한의 강도가 얻어지는 정도의 외형치수(G)를 가지고,
    상기 경동범위 제한부(57)의 내경(F)은, 상기 스테이(4)의 축부(43)의 외형 치수(G)보다도 크고,
    상기 미러 어셈블리(5)의 경동범위는, 상기 부착면의 수평선(H)에 대한 경사각(α)이 차종마다 상이한 경우에도 후방시야를 확보할 수 있을 정도의 범위로서, 상기 미러 어셈블리(5)의 반사면의 법선(K)이 수평선(H)에 대해 상향으로 22°~32°, 하향으로 25°~35°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인사이드 리어뷰 미러장치.
KR1020020069931A 2001-11-14 2002-11-12 차량용 인사이드 리어뷰 미러장치 KR1007435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349293A JP2003146134A (ja) 2001-11-14 2001-11-14 インナーミラー装置
JPJP-P-2001-00349293 2001-11-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0102A KR20030040102A (ko) 2003-05-22
KR100743503B1 true KR100743503B1 (ko) 2007-07-27

Family

ID=19161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9931A KR100743503B1 (ko) 2001-11-14 2002-11-12 차량용 인사이드 리어뷰 미러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843575B2 (ko)
EP (1) EP1312507B1 (ko)
JP (1) JP2003146134A (ko)
KR (1) KR100743503B1 (ko)
CN (1) CN1265986C (ko)
DE (1) DE60215102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87868B2 (en) * 2003-04-02 2007-10-30 Gentex Corporation Rearview mirror with integrated frame
CN2933166Y (zh) * 2006-01-05 2007-08-15 中山巨鼎汽车配件有限公司 一种室内镜结构改良
DE102006009318A1 (de) * 2006-03-01 2007-09-06 Volkswagen Ag Halteeinrichtung für einen Innenspiegel eines Fahrzeugs
US9174577B2 (en) 2012-08-31 2015-11-03 Gentex Corporation Mount interface to slide on windscreen button
ITTO20121088A1 (it) * 2012-12-17 2014-06-18 Fiat Group Automobiles Spa Braccio di collegamento per collegare uno specchietto retrovisore ad un elemento di sostegno fissato ad un parabrezza
KR101575541B1 (ko) 2014-11-04 2015-1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인사이드 미러 조립체
US10000156B2 (en) * 2015-06-02 2018-06-19 Magna Mirrors Of America, Inc. Vehicle mirror mount assembly
WO2017073064A1 (ja) * 2015-10-27 2017-05-04 京セラ株式会社 ミラー付き撮像装置
DE102017215735A1 (de) 2017-09-07 2019-03-07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Haltevorrichtung zum Halten einer Fahrzeugkomponente an einer Scheibenfläche eines Kraftfahrzeugs
DE102017216637B4 (de) 2017-09-20 2021-04-22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Haltevorrichtung zum Halten einer Fahrzeugkomponente an einer Scheibenfläche eines Kraftfahrzeugs und eine derartige Vorrichtung umfassendes Kraftfahrzeug
US10190610B1 (en) 2017-10-13 2019-01-29 Gentex Corporation Mounting assembly for rearview device
WO2019111234A1 (en) 2017-12-08 2019-06-13 Gentex Corporation Pre-loaded two-lobe spring twist-on rearview mounting assembly
US10974650B2 (en) 2017-12-11 2021-04-13 Gentex Corporation Rearview device mount and attachment method
CN108016356B (zh) * 2017-12-29 2023-11-28 宁波万众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新型汽车内后视镜
WO2020070570A1 (en) 2018-10-02 2020-04-09 Gentex Corporation Adjustable mounting mechanism for a rearview assembly
JP7424378B2 (ja) * 2019-07-08 2024-01-30 Agc株式会社 車体用樹脂部材、車体用樹脂部材付き窓部材、及び車両
KR102433752B1 (ko) * 2020-11-25 2022-08-18 주식회사 에스엠알오토모티브모듈코리아 미러를 차량의 내부에 부착하기 위한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내부미러
DE102021108507B3 (de) * 2021-04-06 2022-07-07 Mekra Lang Gmbh & Co. Kg Indirektes Rücksichtsystem mit beiderseits einer Trennfläche vorhandenen Kontaktbereichen eines Tragelementes, lastoptimierte Verstellkugel und Montageverfahren für ein indirektes Rücksichtsyste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6437A (ko) * 1996-12-12 1998-09-15 양재신 이탈이 가능한 자동차용 인사이드 미러
KR20000004762A (ko) * 1998-06-30 2000-01-25 김태구 자동차의 인사이드 미러용 조절부재
US6087953A (en) * 1998-02-18 2000-07-11 Donnelly Corporation Rearview mirror support incorporating vehicle information display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222813A (en) * 1967-07-07 1971-02-17 Lucas Industries Ltd Rear view mirrors for road vehicles
US4435042A (en) * 1981-06-24 1984-03-06 Donnelly Mirrors, Inc. Vehicle mirror and support assembly
JPS6126647U (ja) * 1984-07-23 1986-02-1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室内鏡取付構造
US4836648A (en) 1987-03-06 1989-06-06 Kabushiki Kaisha Matsuyama Seisakusho Anti-glare rearview assembly for motor vehicles
US5153781A (en) * 1989-03-08 1992-10-06 Brandt Dale E Rear view mirror assembly for motor vehicles and the like
JP2539564Y2 (ja) 1989-05-31 1997-06-25 株式会社ホンダロック 車両用ルームミラー
US5572354A (en) * 1993-03-19 1996-11-05 Donnelly Mirrors, Ltd. Rearview mirror support bracket with retaining protrusion, rearview mirror case and reflective element
US5487522A (en) 1993-11-30 1996-01-30 Donnelly Corporation Mirror support bracke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6437A (ko) * 1996-12-12 1998-09-15 양재신 이탈이 가능한 자동차용 인사이드 미러
US6087953A (en) * 1998-02-18 2000-07-11 Donnelly Corporation Rearview mirror support incorporating vehicle information display
KR20000004762A (ko) * 1998-06-30 2000-01-25 김태구 자동차의 인사이드 미러용 조절부재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특1998-0046437 호A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특2000-0004762호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30112536A1 (en) 2003-06-19
CN1418786A (zh) 2003-05-21
EP1312507A3 (en) 2005-01-12
DE60215102T2 (de) 2007-01-11
KR20030040102A (ko) 2003-05-22
US6843575B2 (en) 2005-01-18
DE60215102D1 (de) 2006-11-16
CN1265986C (zh) 2006-07-26
EP1312507B1 (en) 2006-10-04
JP2003146134A (ja) 2003-05-21
EP1312507A2 (en) 2003-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3503B1 (ko) 차량용 인사이드 리어뷰 미러장치
US4200359A (en) Side view mirror assembly with butyl rubber adhesive
JP3872790B2 (ja) 車室内アクセサリ保持装置
JPS606814B2 (ja) ダイレクトリモコンバツクミラ−
US4319806A (en) Antiglare rear view mirror
US20080049343A1 (en) Vehicle mirror assembly with reduced mirror shaking
US5613725A (en) Glare shield device
US4705368A (en) Anti-vibration device for vehicle rearview mirror
US4527861A (en) Antiglare rear view mirror
US6168277B1 (en) Rearview mirror
US5966255A (en) Escape device for an inner mirror
US3253510A (en) Two position non-glare mirror
US3472580A (en) Multiple position rear view mirror with unitary plastic hinge bracket
EP0064335A1 (en) Rear-view mirror for motor vehicles
US5971550A (en) Automotive return rear view mirror
US4359263A (en) Antiglare rear view mirror assembly
KR960010641Y1 (ko) 자동차용 사이드미러
JPS6036494Y2 (ja) 車輛用バツクミラ−
KR200217308Y1 (ko) 자동차용 보조룸미러 지지장치
JPH0723306Y2 (ja) バックミラー
KR950003657Y1 (ko) 자동차용 룸밀러 고정구
EP0917986A1 (en) Rear view mirror
KR100386123B1 (ko) 자동차용 룸미러 지지장치
JPS6328691Y2 (ko)
KR200156310Y1 (ko) 자동차용 안경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1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