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3752B1 - 미러를 차량의 내부에 부착하기 위한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내부미러 - Google Patents
미러를 차량의 내부에 부착하기 위한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내부미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33752B1 KR102433752B1 KR1020200160513A KR20200160513A KR102433752B1 KR 102433752 B1 KR102433752 B1 KR 102433752B1 KR 1020200160513 A KR1020200160513 A KR 1020200160513A KR 20200160513 A KR20200160513 A KR 20200160513A KR 102433752 B1 KR102433752 B1 KR 10243375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using
- press member
- accommodating
- region
- ho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4—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inside vehic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26—Windows, e.g. windscree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52—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screws, bolts, rivets or the lik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0—Hou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내부미러의 조립에 이용되는 브라켓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용 윈드실드 내측에 부착되는 베이스 부재; 내부에 수용영역을 포함하는 브라켓; 장착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부재와 상기 브라켓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브라켓의 수용영역 내에 삽입되는 프레스부재; 및 상기 브라켓 및 상기 프레스부재를 체결하도록 상기 제1 체결부재 관통공 및 상기 제2 체결부재 관통공을 관통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브라켓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랑용 인사이드 미러를 윈드실드(windshield)에 부착하기 위해 이용되는 브라켓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별도의 프레스 부재를 포함함으로서 차랑용 인사이드 미러의 조립공정 시 발생하는 외력에 대해 강인한 내구성을 갖는 차량용 인사이드 미러용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산업에 있어서 차량용 내부미러를 자동차용 윈드실드에 부착하는 공정은 필수적이다. 이러한 자동차용 내부미러를 윈드실드에 부착하는 조립공정의 경우에, 윈드실드에 부착되는 베이스 구조물 및 상기 베이스 구조물을 수용하고 내부미러 본체와 연결되는 브라켓 구조물이 일반적으로 이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브라켓 구조물을 윈드실드에 부착하는 조립공정에서, 나사와 같은 체결부재에 의도치 않은 강한 외력이 가해짐으로 인해 브라켓 구조물이 파손되는 사태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강도가 증가된 브라켓 구조물에 관련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구성 강화를 위한 프레스부재를 더 포함하여 의도치 않은 외력에도 파손이 방지되는 브라켓 구조물에 관련된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과제는, 조립공정에서 발생되는 의도치 않은 외력에도 파손되지 않는 자동차 내부미러용 브라켓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차량 내부미러에 장착되는 브라켓에 있어서, 차량용 윈드실드 내측에 부착되는 베이스 부재; 제1 체결부재 관통공 및 내부에 수용영역을 포함하는 브라켓; 제2 체결부재 관통공 및 상기 베이스 부재가 장착되는 장착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부재와 상기 브라켓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브라켓의 수용영역 내에 삽입되는 프레스부재; 및 상기 브라켓 및 상기 프레스부재를 체결하도록 상기 제1 체결부재 관통공 및 상기 제2 체결부재 관통공을 관통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수용영역은 상기 제1 체결부재 관통공이 형성된 제1 수용영역 및 상기 제1 수용영역의 측면에 형성된 제2 수용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장착영역은 상기 제2 체결부재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수용영역에 삽입되는 제1 장착영역 및 상기 베이스 부재의 측면을 감싸도록 상기 제1 장착영역으로부터 연장되어 만곡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 수용영역에 삽입되도록 상기 제2 수용영역의 적어도 일부와 형상이 대응되는 제2 장착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 부재가 상기 프레스부재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부재가 결합되는 경우에, 상기 프레스부재의 인장으로 인하여 상기 제2 수용영역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프레스부재의 인장강도는 상기 브라켓의 인장강도보다 큰 브라켓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스 부재가 상기 수용영역에 삽입된 경우, 상기 제2 장착영역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 수용영역의 적어도 일부로부터 이격되는 브라켓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부재가 결합된 경우, 상기 프레스부재의 변형량은 상기 하우징의 변형량 보다 작은 브라켓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부재가 상기 프레스 부재에 장착된 경우에 상기 베이스 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2 장착영역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장착영역과 예각을 형성하며 만곡된 브라켓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수용영역은 상기 프레스 부재의 고정을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수용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브라켓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수용 돌출부는, 상기 프레스 부재의 삽입을 가이드하도록 경사진 브라켓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장착영역은, 상기 프레스 부재의 고정을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브라켓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제1 체결부재 관통공과 상기 제2 체결부재 관통공에 나사결합되는 브라켓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하우징보다 강한 인장강도를 가지는 프레스부재를 더 포함하여 자동차 조립공정에서 발생되는 강한 외력에도 파손되지 않는 자동차 내부미러용 브라켓 구조물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 구조물의 일 구현예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 구조물을 전체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 구조물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반 분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부재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과 프레스 부재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부재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부재와 프레스 부재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체결부재의 결합에 따른 브라켓 구조물의 변형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 구조물을 전체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 구조물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반 분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부재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과 프레스 부재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부재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부재와 프레스 부재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체결부재의 결합에 따른 브라켓 구조물의 변형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가질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들에 있어서, 층 및 영역들의 두께는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되어진 것이며, 또한, 구성요소(element) 또는 층이 다른 구성요소 또는 층의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구성요소 또는 층의 바로 위 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구성요소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원칙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차량 내부에 설치되어 운전자로 하여금 후방을 시인하도록 하는 미러의 설치를 위한 브라켓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 구조물은 차량 내부의 윈드실드(windshield)에 부착되어 차량용 내부 미러를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 구조물은 프레스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스 부재의 존재로 인하여 다음과 같은 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 즉,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 구조물은 내부미러의 차량 내부에의 설치 과정에서 가해지는 과도한 힘을 견뎌낼 수 있는 강인성을 가짐으로서, 브라켓 구조물이 파손되는 것이 방지된다.
본 명세서의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 구조물의 전체적인 구성과 그 구현 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 구조물의 일 구현예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 구조물을 전체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 구조물(10000)은 윈드실드(2)에 부착되어 차량용 내부미러(1)를 지지할 수 있다. 여기서, 차량용 내부미러(1)은 운전자에게 후방 시야를 제공하는 후방시인부재, 후방 시인 부재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브라켓 구조물(10000)의 일 측은 윈드실드(2)에 부착되고, 타측은 내부미러(1)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도면에는 브라켓 구조물(10000)이 윈드실드(2)에 부착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즉,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 구조물(10000)은 운전자에게 후방 시야를 제공하기 위하여 내부미러가 설치될 수 있는 차량 내부 어떠한 위치에도 장착될 수 있다. 일 예로,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 구조물(10000)은 차량 내측 루프(roof)에 장착될 수도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 구조물(10000)은 하우징(1000), 프레스부재(2000), 베이스 부재(3000) 및 체결부재(400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우징(1000)은 프레스부재(2000)를 수용하고, 베이스부재(3000)는 상기 프레스부재(2000)에 장착된 상태로 브라켓 구조물(10000)이 윈드실드(2, 도 1 참조)에 부착될 수 있다. 보다 더 구체적으로는, 베이스부재(3000)의 일면(3200, 도 7 참조)이 윈드실드(2, 도 1 참조)에 부착될 수 있다. 체결부재(4000)는 하우징(1000)과 프레스부재(2000)를 결합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 구조물의 결합구조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 구조물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반 분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1000) 내에 우선적으로 프레스부재(2000)가 수직한 방향으로 삽입된다. 여기서, 하우징(1000)은 내부에 프레스부재(2000)가 삽입될 수 있는 수용공간을 포함하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프레스부재(2000)가 삽입되면, 베이스부재(3000)는, 프레스부재(2000)가 장착된 하우징(1000)에 실질적으로 수평인 방향에 대하여 삽입된다. 구체적으로, 베이스부재(3000)는, 하우징(1000)에 삽입되어 프레스부재(2000)내에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프레스부재(2000)는 베이스부재(3000)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레스부재(2000)는 양측의 형상이 베이스부재(3000)의 양측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만곡됨으로서, 상기 베이스부재(3000)가 삽입된 이후 수직한 방향으로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관하여도 후술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또한, 하우징(1000) 및 프레스부재(2000)는 각각 체결부재(4000)가 체결될 수 있는 체결부재 관통공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체결부재 관통공은, 체결부재가 관통될 수 있도록 정렬되어 있다.
또한, 체결부재(4000)는 하우징(1000) 및 프레스부재(2000)를 관통하여 베이스부재(3000)에 압력을 가함으로서 베이스부재(3000)가 브라켓 구조물(10000)내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이 경우, 프레스부재(2000)는 하우징(1000)보다 강한 인장강도를 가짐으로서, 상기 베이스부재(3000)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에 대해 상기 하우징(100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관하여도 후술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에서는,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 구조물의 각 구성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먼저, 도 4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을 나타낸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예시적으로 하우징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였으나, 이러한 용어에 본 발명의 사상이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브라켓, 커버 등 다양한 용어들이 사용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1000)은 제1 수용영역(1100), 제2 수용영역(1200A, 1200B), 가이드부(1400A,1400B) 및 제1 체결부재 관통공(10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수용영역(1100)는 프레스부재(2000)의 하면을 수용한다. 구체적으로, 제1 수용영역(1100)는, 실질적으로 프레스부재(2000)의 하면의 형상과 대응되어 프레스부재(2000)가 하우징(1000)내에 안착하도록 프레스부재(2000)를 수용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수용영역(11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수용돌기(1600)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수용돌기(1800, 도 6참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수용돌기(1600)는 제1 수용영역(1100)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프레스부재(2000)의 일 측과 접촉한다. 또한, 제1 수용돌기(1600)는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수용돌기(1600)는 하우징(1000)의 하부면으로 갈수록 더 돌출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수용돌기(1600)가 경사지게 형성됨으로 인하여, 제1 수용돌기(1600)는 프레스부재(2000)가 제1 수용영역(1100)에 삽입되는 경우에 가이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1 수용돌기가 경사지게 형성됨으로 인하여, 프레스부재(2000)와 상기 제1 수용돌기(16000)가 억지끼움 형태로 결합됨으로서, 프레스부재(2000)와 하우징(1000)간의 결합력이 증가될 수 있다.
제2 수용돌기(1800, 도 6 참조)는, 제1 수용영역(1100)의 제1 수용돌기(1600)가 형성된 면의 반대측에 형성될 수 있다. 후술할 바와 같이, 제2 수용돌기(1800, 도 6참조)는 프레스부재(2000)의 제2 고정돌기(2500)와 접촉할 수 있다. 제2 수용돌기(1800, 도 6참조) 역시, 제1 수용돌기(1600)와 마찬가지로, 하우징(1000)의 하부면으로 갈수록 더 돌출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수용돌기(1800, 도 6 참조)는 제1 수용돌기(1600)과 유사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겠다.
또한, 제2 수용영역(1200A,1200B)는 제1 수용영역(1100)의 양 측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수용영역(1200A,1200B)는 프레스부재(2000)의 양 측면을 수용한다. 여기서, 제2 수용영역(1200A,1200B)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수용영역(1200A, 1200B)는 프레스부재(2000)의 측면 형상에 대응되도록 곡면을 형성하여, 프레스부재(2000)의 측면을 수용할 수 있다. 보다 더 구체적으로, 제2 수용영역(1200A,1200B)는 하우징(1000)의 하부면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수용영역(1200A,1200B)는 각각 프레스부재 이격면(1220A,1220B) 및 프레스부재 접촉면(1240A,1240B)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스부재 접촉면(1240A,1240B)는 제2 수용영역(1200A,1200B)의 하부측에 형성될 수 있다. 프레스부재 접촉면(1240A,1240B)은 각각 프레스부재(2000)의 측면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하여, 프레스부재(2000)를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프레스부재 이격면(1220A,1220B)는 제2 수용영역(1200A,1200B)의 상부측에 형성될 수 있다. 프레스부재 이격면(1220A,1220B)는 각각 프레스부재(2000)와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프레스부재 이격면(1220A,1220B)가 프레스부재(2000)와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베이스부재(3000)가 프레스부재(2000)에 압력을 가하는 경우에 프레스부재(2000)가 횡방향으로 인장되어도, 프레스부재(2000)의 인장에 의한 압력이 제2 수용영역(1200A,1200B)에 전달되지 않아 하우징(1000)의 내구성이 증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프레스부재(2000)가 횡방향으로 인장되어도 상기 프레스부재 이격면(1220A, 1220B)에 접촉하지 않도록 설계되어야 할 것이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프레스부재(2000)가 인장되는 경우 제2 수용영역(1200A,1200B)에 접촉하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또한, 가이드부(1400B,1400A)는 베이스부재(3000)의 삽입을 가이드한다. 가이드부(1400A,1400B)의 형상은, 베이스부재(3000)의 측면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가이드부(1400A,1400B)는 하우징(1000)의 일 면과 예각을 형성하여, 베이스부재(3000)의 수직 방향 이탈을 방지한다.
또한, 제1 체결부재 관통공(1050)은, 하우징(1000)의 하부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체결부재 관통공(1050)은 제2 체결부재 관통공(2050, 도 4 참조)와 정렬되어, 체결부재(4000, 도 3 참조)가 제1 체결부재 관통공(1050) 및 제2 체결부재 관통공(2050, 도 4 참조)를 관통하여 체결됨으로써, 하우징(1000) 및 프레스부재(2000)가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체결부재 관통공(1050)과 체결부재(4000)는 나사결합으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체결 방식이 이용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부재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부재(2000)는 제1 장착영역(2100) 및 제2 장착영역(2200A,220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장착영역(2100)은 하우징(1000)의 제1 수용영역(1100)에 안착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장착영역(210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고정돌기(2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고정돌기(2400)는 제1 장착영역(2100)의 일측에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고정돌기(2400)는 제1 수용영역(1100)의 내벽 일부와 접촉하여, 프레스부재(2000)가 하우징(1000)에 고정되도록 결합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제1 고정돌기(2400)는 하우징(1000)과의 결합력을 증대시키도록, 뾰족한 형상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프레스부재(2000)가 제1 수용영역(1100)에 수직방향으로 삽입되는 경우, 제1 고정돌기(2400)는 제1 수용영역(1100)의 일측 측벽에 억지끼움 됨으로써, 프레스부재(2000)는 제1 수용영역(1100)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1 장착영역(210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고정돌기(2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고정돌기(2500)는 제1 장착영역(2100)의 일 측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고정돌기(2500)는 제1 고정돌기(2400)가 형성된 방향의 반대방향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고정돌기(2500)는 제2 수용돌기(1800, 도 6 참조)와 접촉하여, 프레스부재(2000)와 하우징(1000)사이의 결합력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고정돌기(2500)는, 하우징(1000)의 하부면으로 갈수록 경사진 형상을 띄는 제2 수용돌기(1800)와 억지끼움 형태로 결합됨으로서, 프레스부재(2000)와 하우징(1000)간의 결합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제2 장착영역(2200A,2200B)은 지지부(2220A,2220B) 및 베이스 접촉부(2240A,2240B)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2220A,2220B)는 각각 프레스부재 접촉면(1240A,1240B)에 접촉될 수 있다. 지지부(2220A,2220B)가 각각 프레스부재 접촉면(1240A,1240B)에 접촉되어, 프레스부재(2000)는 하우징(1000)에 안착될 수 있다. 여기서, 지지부(2220A, 2220B)는 제1 장착영역(2100)이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지지부(2220A,2220B)의 형상은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부(2220A,2220B)는 곡선 형태로 제1 장착영역(2100)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엣지(edge) 형태로 외각이 날카롭게 꺾여 제1 장착영역(2100)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지지부(2220A, 2220B)는 제1 장착영역(2100)으로부터 연장되어 구부러질 수 있는 형태라면, 본 발명의 사상내에 포함될 것임이 이해될 것이다.
베이스 접촉부(2240A,2240B)는 지지부(2220A,2220B)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접촉부(2240A,2240B)는 내측으로 베이스부재(3000)와 접촉할 수 있다. 즉, 베이스 접촉부(2240A,2240B)의 내면은 후술할 바와 같이 베이스부재(3000)의 프레스부재 접촉면(3420A,3420B)와 접촉하여, 베이스부재(3000)를 지지할 수 있다. 여기서, 베이스 접촉부(2240A,2240B)는 제1 장착영역(2100)과 예각을 형성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 접촉부(2240A, 2240B)가 제1 장착영역(2100)과 예각을 형성함으로서, 베이스부재(3000)의 프레스부재(2000)에 대한 수직방향으로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접촉부(2240A,2240B)는 하우징(1000)의 프레스부재 이격면(1220A,1220B)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베이스 접촉부(2240A,2240B)는 프레스부재 이격면(1220A,1220B)에 접촉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프레스부재(2000)는 제2 체결부재 관통공(205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체결부재 관통공(2050)은, 제1 체결부재 관통공(1050)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겠다.
다만, 제2 체결부재 관통공은, 나사선이 생략된 형상으로 제조될 수 있다. 나사선이 생략된 형상으로 제조된 제2 체결부재 관통공(2050)은, 나사선이 형성되며 체결부재(4000)와 체결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체결부재(4000)와 제2 체결부재 관통공(2050) 사이의 결합력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부재(2000)는 다양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나, 적어도 하우징(1000)을 구성하는 재질보다 인장강도가 큰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부재(2000)는 철판(iron plate)와 같은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님이 이해될 것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과 프레스 부재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을 참조하여, 하우징과 프레스부재의 결합관계를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프레스부재(2000)는 하우징(1000)에 삽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장착영역(2100)은 제1 수용영역(1100)에 안착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고정돌기(2400)는, 제1 수용영역(1100)의 내측 벽에 억지끼움 형태로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제1 장착영역(2100)의 일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수용돌기(1600)와 접촉하며 억지끼움 형태로 제1 수용영역(1100)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제2 고정돌기(2500)와 제2 수용돌기(1800)가 억지끼움 형태가 되도록, 제1 장착영역(2100)은 제1 수용영역(1100) 내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제2 장착영역(2200A,2200B)는 제2 수용영역(1200)에 안착되어 지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부(2220A,2220B)는 제2 수용영역(1200A,1200B)에 삽입될 수 있다. 즉, 제1 장착영역(2100)이 연장되어 만곡된 부분인 지지부(2220A,2220B)는, 지지부(2220A,2220B)의 형상에 대응하는 프레스부재 접촉면(1240A,1240B)에 안착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접촉부(2240A,2240B)는 프레스부재 이격면(1220A,1220B)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제1 체결부재 관통공(1050)과 제2 체결부재 관통공(2050)은, 프레스부재(2000)가 하우징(1000)에 삽입되었을 때, 서로 정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부재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을 참조하여, 베이스부재(300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부재(3000)는 윈드실드 접촉면(3200), 하부면(3600) 및 프레스부재 삽입부(3400A,3400B)를 포함할 수 있다.
윈드실드 접촉면(3200)은, 차량의 윈드실드(2, 도 1 참조)에 접촉되어, 브라켓 구조물(10000)이 차량에 장착될 수 있도록 한다.
윈드실드 접촉면(3200)의 반대 면에 하부면(3600)이 형성될 수 있다. 하부면(3600)은 프레스부재(2000)의 제1 장착영역(2100)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하부면(3600)은 체결부재(4000)에 의한 수직 방향으로의 압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또한, 베이스부재(3000)의 양측에는 프레스부재 삽입부(3400A,3400B)가 형성될 수 있다. 프레스부재 삽입부(3400A,3400B)는 프레스부재(2000)의 제2 장착영역(2200A,2200B)에 장착될 수 있다. 보다 더 구체적으로는, 프레스부재 삽입부(3400A, 3400B)의 외형은, 베이스 접촉부(2240A,2240B)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프레스부재 접촉면(3420A,3420B)이 베이스 접촉부의 내면에 접촉되어 지지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부재와 프레스 부재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을 참조하여, 베이스부재(3000)가 프레스부재(2000)에 삽입된 경우의 결합관계를 설명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베이스부재(3000)는 프레스부재(2000)에 수평한 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다. 베이스부재(3000)가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프레스부재(2000)의 제2 장착영역(2200A,2200B)의 형상은, 베이스부재(3000)의 프레스부재 삽입부(3400A,3400B)의 형상과 대응된다.
베이스부재(3000)가 프레스부재(2000)에 삽입되면, 베이스 접촉부(2240A,2240B)의 내면은 베이스부재(3000)의 프레스부재 접촉면(3420A,3420B)에 접촉될 수 있다. 베이스 접촉부(2240A,2240B)의 내면과 프레스부재 접촉면(3420A,3420B)의 형상은 대응되도록 경사질 수 있다. 베이스 접촉부(2240A,2240B)의 내면과 프레스부재 접촉면(3420A,3420B)의 형상이 대응되어, 베이스 접촉부(2240A,2240B)와 프레스부재 접촉면(3420A,3420B)는 서로 미끌려지게 됨으로써 베이스부재(3000)가 수직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하부면(3600)은 제1 장착영역(2100)에 안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부면(3600)은 제2 체결부재 관통공(2050)에 접촉될 수 있다. 체결부재(4000)가 제2 체결부재 관통공(2050)을 관통하여 하부면(3600)에 힘을 가하면, 베이스부재(3000)는 수직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체결부재(4000)의 결합시에 브라켓 구조물(10000)의 변형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는 체결부재의 결합에 따른 브라켓 구조물의 변형을 나타낸 것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먼저 제1 체결부재 관통공(1050)에 체결부재(4000)가 삽입된다. 삽입된 체결부재(4000)는, 제2 체결부재 관통공(2050)를 관통하여 베이스부재(3000)의 하부면을 가압한다. 여기서, 체결부재(4000)와 제1 및 제2 체결부재 관통공(1050,2050)은 나사결합을 통해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전술한 바와 같이, 체결부재(4000)는 제2 체결부재 관통공(2050)에 체결됨에 있어 나사선을 형성하면서 체결될 수 있다.
하부면(3600)이 가압된 베이스부재(3000)는 체결부재(4000)가 가압한 방향을 따라서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체결부재(4000)에 의한 압력에 의해 베이스부재(3000)가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프레스부재 접촉면(3420A,3420B)는 제2 장착영역(2200A,2200B)를 가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베이스 접촉부(2240A,2240B)는 제1 장착영역(2100)에 대해 예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베이스부재(3000)가 베이스 접촉부(2240A,2240B)를 수직방향으로 가압할 시, 제1 장착영역(2100)과 예각을 형성하는 베이스 접촉부(2240A,2240B)의 경사진 면에 대응한 수평한 방향으로 베이스 접촉부(2240A,2240B)가 벌어지게 된다.
이 경우, 베이스 접촉부(2240A,2240B)가 수평한 방향으로 벌어지더라도 제2 수용영역(1200A,1200B)에 압력이 전달되지 않도록, 제2 수용영역(1200A,1200B)는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접촉부(2240A,2240B)가 수평한 방향으로 벌어져 하우징(1000)에 압력이 전달되더라도, 하우징(1000)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프레스부재(2000)를 구성하는 재질의 인장강도는 하우징(1000)을 구성하는 재질의 인장강도보다 강한 인장강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를 다르게 표현하자면, 베이스부재(3000)가 하우징(1000) 내에 장착 되는 경우에 프레스부재(2000)가 베이스부재(3000)와 하우징(1000)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체결부재(4000)이 더 강한 결합력으로 상기 베이스부재(3000)와 하우징(1000)를 결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레스부재(2000)는 하우징(1000)과 베이스부재(30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프레스부재(2000)가 하우징(1000)과 베이스부재(3000)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체결부재(4000)에 하우징(1000)을 구성하는 재질의 강도 이상의 힘이 가해지며 체결부재(4000)가 베이스부재(3000)를 가압하더라도, 프레스부재(2000)가 우선적으로 베이스부재(3000)에 의한 압력을 지지하여, 하우징(1000)의 파손을 방지하는 것이다.
정리하자면, 체결부재(4000)가 베이스부재(3000)를 가압하여 베이스부재(3000)를 수직한 방향으로 밀어내며 결합될 때, 프레스부재 접촉면(3420A,3420B)이 베이스 접촉부(2240A,2240B)를 가압하고, 상기 베이스 접촉부(2240A,2240B)는 수평 방향으로 벌어지게 된다. 베이스 접촉부(2240A,2240B)가 벌어지더라도, 프레스부재(2000)의 인장강도는 하우징(1000)의 인장강도보다 강하여 하우징(1000)의 파손은 방지된다. 즉, 하우징(1000)의 변형량이 베이스 접촉부(2240A,2240B)의 변형량 보다 작게 되어 하우징(1000)의 파손이 방지되는 것이다.
이처럼, 일 실시예에 따라 하우징(1000)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프레스부재(2000)를 포함하는 브라켓 구조물(10000)은, 자동차용 내부미러(1, 도 1 참조)의 차량 내부에서의 조립과정에서 전동드릴 등의 공구사용으로 인해 체결부재(4000)가 필요 이상으로 강한 힘으로 조립되더라도, 프레스부재(2000)로 인해 내구성이 강화되어 파손이 방지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구조, 장치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브라켓 구조물 10000 하우징 1000
프레스부재 2000 베이스부재 3000
체결부재 4000
프레스부재 2000 베이스부재 3000
체결부재 4000
Claims (9)
- 미러를 차량의 내부에 부착하기 위한 구조에 있어서,
제1 관통공 및 내부에 수용영역을 포함하는 하우징;
제2 관통공 및 차량 내측에 부착되는 베이스 부재가 장착되는 장착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부재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수용영역 내에 삽입되는 프레스부재; 및
상기 하우징 및 상기 프레스부재를 체결하도록 상기 제1 관통공 및 상기 제2 관통공을 관통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수용영역은 상기 제1 관통공이 형성된 제1 수용영역 및 상기 제1 수용영역의 측면에 형성된 제2 수용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장착영역은 상기 제2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수용영역에 삽입되는 제1 장착영역 및 상기 베이스 부재의 측면을 감싸도록 상기 제1 장착영역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 수용영역에 삽입되도록 상기 제2 수용영역의 적어도 일부와 형상이 대응되는 제2 장착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 부재가 상기 프레스부재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부재가 결합되는 경우에, 상기 프레스부재의 인장으로 인하여 상기 제2 수용영역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프레스부재의 인장강도는 상기 하우징의 인장강도보다 크며,
상기 체결부재는 체결과정에서 상기 베이스 부재의 하부면을 가압하여 상기 베이스 부재를 상기 체결부재의 체결방향과 동일한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프레스 부재가 벌어지며 상기 베이스 부재의 접촉면이 상기 프레스 부재를 가압하고,
상기 체결부재가 결합된 경우 상기 하우징의 변형량은 상기 프레스부재의 변형량 보다 작은
미러를 차량의 내부에 부착하기 위한 구조.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스 부재가 상기 수용영역에 삽입된 경우, 상기 제2 장착영역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 수용영역의 적어도 일부로부터 이격되는
미러를 차량의 내부에 부착하기 위한 구조.
- 삭제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가 상기 프레스 부재에 장착된 경우에 상기 베이스 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2 장착영역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장착영역과 예각을 형성하는
미러를 차량의 내부에 부착하기 위한 구조.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용영역은 상기 프레스 부재의 고정을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수용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미러를 차량의 내부에 부착하기 위한 구조.
-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용 돌출부는, 상기 프레스 부재의 삽입을 가이드하도록 경사진
미러를 차량의 내부에 부착하기 위한 구조.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장착영역은, 상기 프레스 부재의 고정을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미러를 차량의 내부에 부착하기 위한 구조.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제1 관통공과 상기 제2 관통공에 나사결합되는
미러를 차량의 내부에 부착하기 위한 구조.
- 차량용 내부미러에 있어서,
후방시인부재;
상기 후방시인부재를 수용하는 수용 하우징;
상기 수용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와 연결되어 상기 수용 하우징을 차량 내부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 구조물;을 포함하되,
상기 장착 구조물은,
제1 관통공 및 내부에 수용영역을 포함하는 하우징,
제2 관통공 및 차량 내측에 부착되는 베이스 부재가 장착되는 장착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부재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수용영역 내에 삽입되는 프레스부재, 및
상기 하우징 및 상기 프레스부재를 체결하도록 상기 제1 관통공 및 상기 제2 관통공을 관통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영역은 상기 제1 관통공이 형성된 제1 수용영역 및 상기 제1 수용영역의 측면에 형성된 제2 수용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장착영역은 상기 제2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수용영역에 삽입되는 제1 장착영역 및 상기 베이스 부재의 측면을 감싸도록 상기 제1 장착영역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 수용영역에 삽입되도록 상기 제2 수용영역의 적어도 일부와 형상이 대응되는 제2 장착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부재가 상기 프레스부재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부재가 결합되는 경우에, 상기 프레스부재의 인장으로 인하여 상기 제2 수용영역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프레스부재의 인장강도는 상기 하우징의 인장강도보다 크며,
상기 체결부재는 체결과정에서 상기 베이스 부재의 하부면을 가압하여 상기 베이스 부재를 상기 체결부재의 체결방향과 동일한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프레스 부재가 벌어지며 상기 베이스 부재의 접촉면이 상기 프레스 부재를 가압하고,
상기 체결부재가 결합된 경우 상기 하우징의 변형량은 상기 프레스부재의 변형량 보다 작은 차량용 내부미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60513A KR102433752B1 (ko) | 2020-11-25 | 2020-11-25 | 미러를 차량의 내부에 부착하기 위한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내부미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60513A KR102433752B1 (ko) | 2020-11-25 | 2020-11-25 | 미러를 차량의 내부에 부착하기 위한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내부미러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72665A KR20220072665A (ko) | 2022-06-02 |
KR102433752B1 true KR102433752B1 (ko) | 2022-08-18 |
Family
ID=81985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60513A KR102433752B1 (ko) | 2020-11-25 | 2020-11-25 | 미러를 차량의 내부에 부착하기 위한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내부미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33752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70096005A1 (en) | 2000-12-21 | 2007-05-03 | Donnelly Corporation, A Corporation Of The State Of Michigan | Interior rearview mirror assembly with polymeric components |
WO2018168265A1 (ja) | 2017-03-13 | 2018-09-20 | 株式会社 村上開明堂 | 車載装置の脱落機構付き取付構造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377948A (en) * | 1991-05-21 | 1995-01-03 | Gentex Corporation | Breakaway rearview mirror mounting bracket |
US5931440A (en) * | 1996-11-01 | 1999-08-03 | Gentex Corporation | Regulated attachment for mirror mount |
JP2003146134A (ja) * | 2001-11-14 | 2003-05-21 | Ichikoh Ind Ltd | インナーミラー装置 |
-
2020
- 2020-11-25 KR KR1020200160513A patent/KR10243375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70096005A1 (en) | 2000-12-21 | 2007-05-03 | Donnelly Corporation, A Corporation Of The State Of Michigan | Interior rearview mirror assembly with polymeric components |
WO2018168265A1 (ja) | 2017-03-13 | 2018-09-20 | 株式会社 村上開明堂 | 車載装置の脱落機構付き取付構造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72665A (ko) | 2022-06-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2006191764A (ja) | グロメット組立体とその組付構造 | |
KR102193300B1 (ko) | 자동차용 필러 플레이트 | |
KR102433752B1 (ko) | 미러를 차량의 내부에 부착하기 위한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내부미러 | |
KR102499424B1 (ko) | 미러를 차량의 내부에 부착하기 위한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내부미러 | |
US20050254889A1 (en) | Connecting element for releasably and vibration damping connection of a first component to a second component | |
CN102069853A (zh) | 使碰撞衬垫固定至车辆的装置 | |
KR102500755B1 (ko) | 차량용 인사이드 미러용 브라켓 | |
JP2010180931A (ja) | 機材取付構造 | |
KR101760081B1 (ko) | 대시보드용 조립유도체 모듈 | |
JP2001141645A (ja) | 雨滴検出装置 | |
KR100471484B1 (ko) | 자동차용 안테나 장착구조 | |
KR20090128645A (ko) | 헤드라이너 고정 클립 | |
CN213035636U (zh) | 天窗定位销组件和车辆 | |
JP6192769B1 (ja) | 車載ブラケット、および車載ブラケットに筐体を組み付けたユニット | |
US11692569B2 (en) | Fastener assembly | |
KR100262219B1 (ko) | 자동차의 루프몰딩 장착구조 | |
KR102576081B1 (ko) | 차량 도어용 그로멧 | |
JPH11240391A (ja) | サイドパネルの取付構造 | |
KR100528012B1 (ko) | 차량용 보조손잡이 고정브라켓 | |
KR20030016593A (ko) | 자동차의 안테나 고정장치 | |
JP6150923B1 (ja) | ブラケット | |
KR100554035B1 (ko) | 자동차의 도어트림 결합구 | |
KR100535574B1 (ko) | 차량용 로고 고정구조 | |
KR0165772B1 (ko) | 자동차 볼조인트의 레이디얼 트러블 테스트 지그 | |
JP5288881B2 (ja) | 車載用室内照明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