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0641Y1 - 자동차용 사이드미러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사이드미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0641Y1
KR960010641Y1 KR2019940027597U KR19940027597U KR960010641Y1 KR 960010641 Y1 KR960010641 Y1 KR 960010641Y1 KR 2019940027597 U KR2019940027597 U KR 2019940027597U KR 19940027597 U KR19940027597 U KR 19940027597U KR 960010641 Y1 KR960010641 Y1 KR 9600106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base
pin
fixed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275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4038U (ko
Inventor
박영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성
윤용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성, 윤용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성
Priority to KR20199400275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10641Y1/ko
Publication of KR96001403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403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06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064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차용 사이드미러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사이드미러의 내부구조를 보인 횡단면도.
제2도는 제1도에서 보인 스프링홀더의 확대평면도.
제3a, 3b, 3c는 본 고안에 의한 사이드미러의 작동상태를 보인 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베이스 4 : 하우징
7 : 힌지부재 9 : 스프링홀더
본 고안은 미러가 장착되는 하우징을 차체에 고정되는 베이스로 부터 젖혀질 수 있도록 하여 하우징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켜줄 수 있는 자동차용 사이드미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일본국 실개소 59-51646호와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고번호 90-7247호등으로 알려진 사이드미러는 베이스와 하우징을 경첩과 스프링으로 연결한 것이었기 때문에 하우징에 충격이 가해질 경우 충격이 가해지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하우징이 젖혀져서 그 충격을 완화시켜줄 수는 있었으나 스프링을 긴장시키면서 젖혀지는 하우징이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서 민감하게 본래의 위치로 복귀되는 것이었기 때문에 하우징과 베이스가 강하게 접촉되었고, 이 강한 접촉에 의한 충격으로 말미암아 사이드미러를 구성하는 여러부품들의 조립. 조정된 상태가 흐트러지기 쉬웠으며, 자동차를 선적하거나 트레일러로 운반하거나 또는 주차시킬때 하우징을 접혀진 상태로 유지시켜 줄 수 없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문제점을 해결한 것인바, 본 고안의 목적은 자동차의 차체에 고정되는 베이스에 미러가 장착되는 하우징을 젖힘가능하게 탄설함에 있어서 하우징에 경미한 충격이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가해질 때는 후방으로 젖혀지는 하우징이 복귀하지 않고 젖혀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자동차를 선적 운송 및 주차할 때는 하우징을 후방으로 접어줄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사이드미러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하 본 고안은 예시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게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제1도에 예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1)에 고정된 브래키트(2)에 한쪽끝이 핀(3)으로 지지되어 있고, 하우징(4)에 고정된 브래키트(5)에 다른 한쪽끝이 핀(6)으로 지지되는 힌지부재(7)로 하우징(4)을 베이스(1)에 연결하고 하우징(4)을 베이스(1)와 인장코일스프링(8)으로 탄설하여 하우징(4)을 전,후방향으로 젖혀질 수 있도록 한 것에 있어서, 스프링홀더(9)를 힌지부재(7)와 베이스(1)쪽 브래키트(2)에 연결하고, 한쪽끝이 (8-1)이 하우징(4)에 고정된 인장코일스프링(8)의 다른 한쪽끝(8-2)을 스프링홀더(9)에 고정시켜서 된 것이다.
스프링홀더(9)는 일종의 토글아암(toggle arm)으로서 제2도에 잘 표현된 바와 같이 힌지부재(7)와 핀(10)으로 연결되는 핀끼움 구멍(11)과, 베이스(1)쪽 브래키트(2)와 연결시켜주는 핀(12)끼워지는 슬로트(13)와, 인장코일스프링(7)의 한쪽끝(7-2)이 걸려지는 스프링고정구멍(14)을 가진 것이다.
슬로트(13)는 하우징(4)이 정상 상태로 있을때 베이스(1)쪽 브래키트(2)에 고정된 핀(12)이 위치되는 제1 걸림부(13-1)와, 하우징(4)이 경미한 충격에 의해서 후방으로 젖혀질때 상기 핀(12)이 걸려지는 제2걸림부(13-2)와, 하우징(4)이 큰 충격에 의해서 후방으로 크게 젖혀지거나 자동차의 선적, 운송, 주차시 하우징(4)을 후방으로 접을때, 상기 핀(11)이 걸려지는 제3걸림부(13-3)로 이루어져 있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15는 미러, 16은 미러홀더, 17은 미러각도조정용 레버, 18은 베이스(1)가 고정되는 차체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제3a도에 예시한 바와같이 하우징(4)에 경미한 충격이 전방으로 부터 후방으로 가해질 경우에는 하우징(4)이 인장코일스프링(8)을 긴장시키면서 후방으로 젖혀지는데 이때 스프링홀더(9)는 힌지부재(7)와 연결된 핀(10)을 중심축으로 하여서 스윙하게 되고, 베이스(1)의 브래키트(2)에 고정된 핀(12)은 스프링홀더(9)에 형성된 슬로트(13)의 제1걸림부(13-1)를 벗어나면서 제2걸림부(13-2)에 위치되기 때문에 긴장된 인장코일 스프링(8)의 복원력에 의해서 하우징(4)은 자체적으로 본래의 위치로 복귀하지 않게 된다. 왜냐하면 인장코일스프링(8)이 긴장되는 것에 대응하여 베이스(1)의 브래키트(2)에 고정된 핀(12)이 끼워지는 스프리홀더(9)가 베이스(1)에 고정된 브래키트(2)에 지지되는 핀(3)을 중심축으로 하면서 스윙하는 힌자부재(7)와 핀(10)으로 연결되어 있어 힌지부재(7)와 함께 스윙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경미한 충격에 의해서 후방으로 젖혀지는 하우징(4)은 손으로 밀어주지 않는 한 충격을 흡수한체 정지하게 된다.
또 본 고안은 제3b도에 예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4)에 충격이 후방으로 부터 전방으로 가해질 경우에는 하우징(4)이 핀(6)을 중심축으로 하여 인장코일스프링(8)을 긴장시키면서 전방으로 젖혀지게 된다.
이때 스프링홀더(9)는 힌지부재(7)가 베이스(1)쪽 브래키트(2)로 부터 스윙하지 않는 것이므로 브래키트(2)에 고정된 핀(12)은 스프링홀더(9)에 형성된 슬로트(13)의 제1걸림부(13-1)를 벗어나지 않음으로 해서 동하중인 충격이 지난후에는 긴장된 인장코일스프링(8)의 복원력에 의해서 하우징(4)은 본래의 위치로 복귀된다.
그리고 제3c도에 예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4)에 큰 충격이 전방으로 부터 후방으로 가해지거나 자동차를 선적, 운송할 때 또는 주차시 하우징(4)을 접을 때에는 하우징(4)이 인장코일스프링(8)을 크게 긴장시키면서 힌지부재(7)의 베이스(1)쪽 핀(3)을 중심축으로 하여서 스윙하게 되고, 동시에 스프링홀더(9) 또한 힌지부재(7)에 고정된 핀(10)을 중심축으로 하여서 스윙하기 때문에 베이스(1)의 브래키트(2)에 고정된 핀(12)은 스프리홀더(9)에 형성된 슬로트(13)의 제3걸림부(13-3)에 위치되기 때문에 긴장된 인장코일스프링(8)의 복원력에 의해서 하우징(4)은 자체적으로 본래의 위치로 복귀하지 않게 된다. 왜냐하면 인장코일스프링(8)이 크게 긴장되는 것에 대응하여 인장코일스프링(8)의 한쪽끝(8-2)이 고정된 스프링홀더(9)가 힌지부재(7)에 고정된 핀(10)을 중심으로 큰폭으로 스윙하는 토글아암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하우징(4)에 충격이 가해질 때 그 충격을 완화시키면서 베이스(1)로 부터 젖혀질 수 있음을 물론 하우징(4)에 경미한 충격이나 큰 충격이 전방으로 부터 후방으로 가해질 경우에는 하우징(4)이 그 충격을 흡수하면서 후방으로 젖혀졌다가 복귀하지 않고 정지되기 때문에 하우징(4)에 충격을 주었던 물체난 사람이 하우징(4)과 다시 부딪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해서 안전성이 우수하고, 하우징(4)의 미러(15)가 차체(18)쪽으로 향하도록 접어들수가 있기 때문에 자동차를 선박에 선적할 때 점유공간을 줄여줄 수 있으며, 자동차를 트레일러로 운송하거나 협소한 공간에 주차시킬 때 사이드미러가 손상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

  1. 베이스(1)에 고정된 브래키트(2)와 하우징(4)에 고정된 브래키트(5)에 양쪽끝이 핀(3), (6)으로 지지되는 힌지부재(7)로 하우징(4)과 베이스(1)를 연결하고 하우징(4)을 인장코일스프링(8)으로 탄설한 것에 있어서, 힌지부재(7)와 핀(10)으로 연결되는 핀끼움 구멍(11)과 베이스(1)쪽 브래키트(2)와 연결되는 핀(12)이 끼워지며 제1, 제2, 제3걸림부(13-1), (13-2), (13-3)를 가진 슬로트(13)와 인장코일스프링(8)의 한쪽끝이 고정되는 스프링고정구멍(14)을 형성시킨 스프링홀더(9)를 힌지부재(7)와 베이스(1)쪽 브래키트(2)에 연결시켜서 된 자동차용 사이드미러.
KR2019940027597U 1994-10-22 1994-10-22 자동차용 사이드미러 KR9600106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7597U KR960010641Y1 (ko) 1994-10-22 1994-10-22 자동차용 사이드미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7597U KR960010641Y1 (ko) 1994-10-22 1994-10-22 자동차용 사이드미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4038U KR960014038U (ko) 1996-05-17
KR960010641Y1 true KR960010641Y1 (ko) 1996-12-23

Family

ID=19396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27597U KR960010641Y1 (ko) 1994-10-22 1994-10-22 자동차용 사이드미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1064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720912D0 (en) * 1997-10-03 1997-12-03 Britax Rainsfords Pty Ltd Vehicle exterior mirr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4038U (ko) 1996-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40066A (en) Exterior rear view mirrors for vehicles
EP0455786B1 (en) Motor vehicle anti-theft device
US20110108592A1 (en) Bicycle Carrier for Vehicle
KR100743503B1 (ko) 차량용 인사이드 리어뷰 미러장치
US6481799B1 (en) Vehicle sensitive inertia lockout
KR960010641Y1 (ko) 자동차용 사이드미러
JPH1199858A (ja) 車両用シート構造
JP2809477B2 (ja) 自動車用外部ミラー
US4796164A (en) Retractable headlamp mounting structure
JP3229477B2 (ja) ビルトイン式チャイルドシートのロック機構
JP3139169B2 (ja) シートベルト案内装置
JPS6317712Y2 (ko)
CN216788973U (zh) 车用遮阳板的内部卡簧
JPS5851080Y2 (ja) ドアミラ−
JPH05213126A (ja) フロント・グリルガード
KR0131415Y1 (ko) 자동차용 접이식 아웃사이드 미러
KR100410727B1 (ko) 자동차용 리어 시트백의 폴딩 구조
JPH0310103Y2 (ko)
KR900007248Y1 (ko) 자동차용 후사경(Back mirror)의 접힘장치
KR100395687B1 (ko) 자동차의 리어 언더뷰 미러 결합구조
JPH058203Y2 (ko)
KR0122212Y1 (ko) 보조거울을 구비한 차량용 사이드밀러
KR920003937Y1 (ko) 자동차용 사이드미러
KR19990036714A (ko) 차량용 외부 미러
KR0140686Y1 (ko) 자동차용 도어 미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O032 Opposition [utility model]: request for opposi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O061 Decision on refusal after opposition [utility model]: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