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7308Y1 - 자동차용 보조룸미러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보조룸미러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7308Y1
KR200217308Y1 KR2020000029017U KR20000029017U KR200217308Y1 KR 200217308 Y1 KR200217308 Y1 KR 200217308Y1 KR 2020000029017 U KR2020000029017 U KR 2020000029017U KR 20000029017 U KR20000029017 U KR 20000029017U KR 200217308 Y1 KR200217308 Y1 KR 2002173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irror
vehicle
clip member
mirror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90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준석
김애숙
Original Assignee
윤준석
김애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준석, 김애숙 filed Critical 윤준석
Priority to KR20200000290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730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73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7308Y1/ko

Links

Landscapes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보조룸미러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면에 거울(51)이 장착된 미러케이스(50)와, 상기 미러케이스(50)의 후면에 구면접촉가능하도록 결합되어 그 미러케이스(50)를 방향조절할 수 있게 지지하는 구형의 힌지부(63)를 가진 지지구(61)와, 대략 띠형상으로 라운딩져 차내의 필러(P)에 탄성적으로 고정되며 상기 지지구(61)의 일부분이 삽입된 상태로 걸릴 수 있게 적어도 하나의 결합공(72)이 형성되어 있는 클립부재(71)와, 상기 지지구(61)의 삽입단부와 나사식으로 암수결합하여 그 지지구(61)를 상기 클립부재(71)의 몸체에 견고히 고정시키는 결합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지지구가 클립부재에 보다 강화된 지지력으로 결합됨에 따라 미러케이스의 방향조절시 지지구의 절단 염려가 없고, 장착이 용이하며, 제조 및 조립공정이 간단하여 저원가로 대량생산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는 상대적인 경쟁적 우위를 한층 더 높일 수 있는 자동차용 보조룸미러 지지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보조룸미러 지지장치{Apparatus for supporting sub-mirror of automobile}
본 고안은 자동차용 보조룸미러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보조룸미러를 지지하는 지지구의 지지력을 보다 강화하고, 장착이 용이하며, 제조/조립공정수가 간단한 저원가의 구조를 가지는 자동차용 보조룸미러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주행시, 운전자가 주위의 상황을 살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실내에 자동차의 진행방향으로부터 운전자가 후방의 교통상황 및 자동차의 흐름을 파악할 수 있는 룸미러를 설치하며, 자동차의 외측 양단에는 자동차의 진행중 후방의 양측상황을 비추어 차선을 변경하거나 고속도로의 진입시 후방 차량의 흐름을 운전자가 파악할 수 있도록 양 측면의 상항을 비추는 사이드미러를 장착한다.
그러나, 이러한 룸미러나 사이드 미러에 의해서도 시야가 확보되지 않는 사각지대가 존재하여, 자동차 주행중에 좌우측 시야가 가려진 사각지대에서 다른 자동차가 진행하고 있을 경우, 운전자가 시야확보를 할 수 없기 때문에 사고의 우려가 있으므로, 이런 문제점을 제거하기 위해 운전자들은 자동차 실내에 사각지대를 제거하는 보조룸미러를 장착하게 된다.
일 예에 따른 종래의 보조룸미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울(51)이 장착되는 미러케이스(50)와, 미러케이스(50)와 상보적으로 결합되어 차내에 고정되는 홀더를 갖는다. 이러한 홀더는, 미러케이스(50)의 배면에 형성된 구형의 오목한 힌지홈(52)에 수용되어, 거울(51)의 각도조절에 따른 미러케이스(50)의 움직임을 지지하는 구형상의 힌지부(63)를 가진 지지구(61)를 구비한다.
그런데, 이와 같은 보조룸미러의 지지구(61)는 대개 플라스틱으로 형성되어, 차내의 필러에 탄성적으로 고정되는 클립부재(미도시)와 일체형으로 마련되거나 핀결합되는 바, 지지구(61)가 클립부재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거울의 방향조절을 위해 미러케이스(50)를 사방으로 움직이게 되면 그 지지구의 지지력이 미러케이스(50)에 가해지는 힘을 이기지 못해 절단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지지구(61)가 클립부재에 핀결합식으로 결합되는 경우에는 그 지지구(61)에 핀결합공(미도시)을 형성하고, 클립부재에 결합편(미도시)을 형성시켜 핀결합하여야 하기 때문에, 구성요소의 증가에 따른 제조공정 및 조립공정수가 늘어나 결과적으로는 제조원가가 상승하여 상대적인 경쟁적 우위를 확보 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보조룸미러의 지지구를 클립부재에 암수나사 결합식으로 결합하여 그 지지구의 지지력을 보다 강화하고, 장착이 용이하며, 제조/조립공정수가 간단한 저원가의 구조를 가지는 자동차용 보조룸미러 지지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에 따른 자동차용 보조룸미러의 일 예를 나타내 보인 개략적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보조룸미러 지지장치의 구성을 나타내 보인 결합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보조룸미러 지지장치를 나타내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요부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보조룸미러 지지장치를 나타내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그리고 도 6은 도 5의 요부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미러케이스 51... 거울
52... 힌지홈 61... 지지구
62... 자유절곡부 63... 힌지부
64... 삽입부
71... 클립부재 72... 결합공
73... 절곡부 74... 돌출구
81... 캡형 결합부재 82... 나사홈
83... 수나사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보조룸미러 지지장치는 전면에 거울이 장착된 미러케이스와, 상기 미러케이스의 후면에 구면접촉가능하도록 결합되어 그 미러케이스를 방향조절할 수 있게 지지하는 구형의 힌지부를 가진 지지구와, 대략 띠형상으로 라운딩져 차내의 필러에 탄성적으로 고정되며 상기 지지구의 일부분이 삽입된 상태로 걸릴 수 있게 적어도 하나의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는 클립부재와, 상기 지지구의 삽입단부와 나사식으로 암수결합하여 그 지지구를 상기 클립부재의 몸체에 견고히 고정시키는 결합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결합수단으로서, 나사홈과 수나사부 중 어느 하나가 형성되어 있는 캡형 결합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구의 삽입단부에 그 캡형 결합부재가 암수결합가능하도록 나사홈과 수나사부 중 어느 하나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고안은 보조룸미러의 지지구를 암수 나사결합식으로 클립부재에 고정할 수 있으므로, 지지구가 클립부재에 보다 강화된 지지력으로 결합됨에 따라 미러케이스의 방향조절시 지지구의 절단 염려가 없고, 장착이 용이하며, 제조 및 조립공정이 간단하여 저원가로 대량생산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는 상대적인 경쟁적 우위를 한층 더 높일 수 있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이러한 특징을 가지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보조룸미러 지지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보조룸미러 지지장치는 전면에 거울(51)이 장착된 미러케이스(50)와, 상기 미러케이스(50)의 후면에 구면접촉가능하도록 결합되어 그 미러케이스(50)를 방향조절할 수 있게 지지하는 구형의 힌지부(도 3의 63)를 가진 지지구(61)와, 대략 띠형상으로 라운딩져 차내의 필러(P)에 탄성적으로 고정되며 상기 지지구(61)의 일부분이 삽입된 상태로 걸릴 수 있게 적어도 하나의 결합공(72)이 형성되어 있는 클립부재(71)와, 상기 지지구(61)의 삽입단부와 나사식으로 암수결합하여 그 지지구(61)를 상기 클립부재(71)의 몸체에 견고히 고정시키는 결합수단을 구비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보조룸미러 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미러케이스(50)는 전면에 거울(51)이 장착되어 있어, 그 거울(51)을 통해 통상적인 룸미러나 사이드 미러에 의해서도 시야가 확보되지 않는 사각지대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러케이스(50)의 후면에는 종래의 것과 마찬가지로 후술되는 지지구(61)의 구형 힌지부(63)가 삽입가능하도록 구형상의 오목한 내면을 가진 힌지홈(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즉, 후술될 지지구(61)의 힌지부(63)는 힌지홈의 구형 내면과 구면접촉되어 미러케이스(50)의 방향조절을 지지하는 것이다.
상기 지지구(61)는, 미러케이스(50)의 방향조절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후술되는 클립부재(71)와 결합되며, 자유곡선 상으로 절곡된 자유절곡부(62)와, 그 자유절곡부(62)의 일단부에 형성되며 미러케이스(50)의 힌지홈에 대응하는 형태로 자유절곡부와 일체로 마련되어 그 힌지홈에 다소 빡빡하게 결합되는 구형상의 힌지부(63)를 가진다.
이러한 힌지부(63)는 구형상의 외주면을 가지고 있어 힌지홈의 내면과 구면접촉되어 거울(51)의 각도를 조절하고자 미러케이스(50)의 방향을 틀면, 힌지홈의 내면은 힌지부(63)의 표면에 대하여 미끄럼운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즉, 미러케이스(50)는, 힌지홈과 힌지부(63) 사이의 힌지운동에 의해, 조절할 방향 예컨대 상하 전후 또는 좌우방향으로의 방향조절이 가능한 것이다.
또한, 상기 지지구(61)의 타단부에는, 후술되는 클립부재(71)의 결합공(72)에 일부분이 삽입된 상태로 걸릴 수 있게, 그 결합공(72)과 대응된 두께와 형상으로 돌출된 삽입부(64)가 형성되어 있다.
전술한 클립부재(71)는 보조룸미러를 장착할 수 있도록 자동차의 소정위치 예컨대, 운전자의 전면창 테두리에 마련되어 있는 필러(도 2의 P)에 탄성적으로 탈착가능하게 고정되며, 앞서 설명한 지지구(61)가 후술되는 결합수단에 의해 몸체에 결합된다. 부연 설명하면, 상기 클립부재(71)는 합성수지 또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며, 차내의 필러(도 2의 P)를 탄성적으로 파지할 수 있게 띠형상으로 라운딩져 있고, 그 몸체에는 지지구(61)의 삽입부(64)가 삽입된 상태로 걸릴 수 있게 적어도 하나의 결합공(72)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도면에 도시된 결합공(72)은 사각형상으로 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원형 또는 그외 육각형 또는 팔각형 등의 여러 다각형상으로도 형성가능하며, 삽입부(64) 또한 결합공(72)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변형가능하다. 도면에 도시된 참조부호 73은 클립부재(71)의 양단부에 형성되어, 클립부재(71)를 차내의 전면 필러(도 2의 P)에 고정할 때, 클립부재(71) 자체의 탄성력으로 그 필러(도 2의 P)를 파지할 수 있도록 절곡된 절곡부이며, 참조부호 74는 클립부재(71)의 일측에서 부분절개되어, 클립부재(71)의 고정시 필러(도 2의 P)와의 고정상태를 견고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그 클립부재(71)의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돌출구이다.
상기 결합수단은 암수 나사결합식으로 지지구(61)를 클립부재(71)에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몸체에 나사홈(82)이 형성되어 있는 캡형 결합부재(81)를 구비하고, 그 캡형 결합부재(81)의 나사홈(82)과 대응되도록 지지구(61)의 삽입부(64)에 수나사부(83)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캡형 결합부재(81)는 사출식으로 성형된 사출단품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작업자는 일단, 지지구(61)의 삽입부(64)를 결합공(72)에 끼우고, 그 지지구(61)의 삽입방향의 반대측 방향에서 캡형 결합부재(81)를 삽입부(64)의 수나사부(83)에 나사결합한다. 따라서, 상기 캡형 결합부재(81)는 지지구(61)에 마련된 삽입부(64)의 수나사부(83)에 암수 나사결합되어 결합공(72)의 가장자리를 강하게 가압함으로써 지지구(61)를 클립부재(71)에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자동차 주행중에 좌우측 시야가 가려진 사각지대의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 일단, 미러케이스(50)를 운전자의 눈높이에 맞게 상하전후와 좌우방향으로 움직여 거울(51)의 각도를 조절한다. 즉, 미러케이스(50)는, 힌지홈(54)의 내면이 힌지부(63)의 표면과 미끄럼운동함으로써, 그 방향이 조절되는 것이다. 이 때, 지지구(61)는, 클립부재(71)와는 별도로 마련되어 캡형 결합부재(81)에 의해 암수나사 결합식으로 견고히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와 달리, 그 클립부재(71)에 대하여 지지력이 보다 강화되어 지지구(61)가 절단되는 등의 염려가 없다.
이와는 달리,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와 반대로, 캡형 결합부재(81)에 수나사부(83)가 돌출형성되어 있고, 그 캡형 결합부재(81)의 수나사부(83)와 대응되도록 지지구(61)의 삽입부(64)에 나사홈(82)이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캡형 결합부재(81)는 지지구(61)의 나사홈(82)에 암수식으로 나사결합되어 결합공(72)의 가장자리를 강하게 가압함으로써 지지구(61)를 클립부재(71)에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작용 및 효과는 앞서 설명한 일 실시예의 것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지금까지,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며,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사실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보조룸미러 지지장치는 보조룸미러의 지지구를 암수 나사결합식으로 클립부재에 고정할 수 있으므로, 지지구가 클립부재에 보다 강화된 지지력으로 결합됨에 따라 미러케이스의 방향조절시 지지구의 절단 염려가 없고, 장착이 용이하며, 제조 및 조립공정이 간단하여 저원가로 대량생산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는 상대적인 경쟁적 우위를 한층 더 높일 수 있는 점에 그 장점이 있다.

Claims (2)

  1. 전면에 거울(51)이 장착된 미러케이스(50)와, 상기 미러케이스(50)의 후면에 구면접촉가능하도록 결합되어 그 미러케이스(50)를 방향조절할 수 있게 지지하는 구형의 힌지부(63)를 가진 지지구(61)와, 대략 띠형상으로 라운딩져 차내의 필러(P)에 탄성적으로 고정되며 상기 지지구(61)의 일부분이 삽입된 상태로 걸릴 수 있게 적어도 하나의 결합공(72)이 형성되어 있는 클립부재(71)와, 상기 지지구(61)의 삽입단부와 나사식으로 암수결합하여 그 지지구(61)를 상기 클립부재(71)의 몸체에 견고히 고정시키는 결합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보조룸미러 지지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으로서, 나사홈(82)과 수나사부(83) 중 어느 하나가 형성되어 있는 캡형 결합부재(81)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구(61)의 삽입단부에 그 캡형 결합부재(81)가 암수결합가능하도록 나사홈(82)과 수나사부(83) 중 어느 하나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보조룸미러 지지장치.
KR2020000029017U 2000-10-18 2000-10-18 자동차용 보조룸미러 지지장치 KR2002173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9017U KR200217308Y1 (ko) 2000-10-18 2000-10-18 자동차용 보조룸미러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9017U KR200217308Y1 (ko) 2000-10-18 2000-10-18 자동차용 보조룸미러 지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7308Y1 true KR200217308Y1 (ko) 2001-03-15

Family

ID=73080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9017U KR200217308Y1 (ko) 2000-10-18 2000-10-18 자동차용 보조룸미러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730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60499A (en) Adjustable automobile headlight assembly
KR100743503B1 (ko) 차량용 인사이드 리어뷰 미러장치
US5034870A (en) Adjustment device for aiming devices
US4995581A (en) Inside rearview mirror assembly for motor vehicle
US20100224753A1 (en) Mounting Construction for an Outside Mirror Unit
KR200217308Y1 (ko) 자동차용 보조룸미러 지지장치
EP0575592A1 (en) Spring-hinge of sun visors for motor vehicles
US5016979A (en) Anti-glare inside rearview mirror assembly for motor vehicle
KR200441836Y1 (ko) 곡률의 조절이 가능한 백미러 구조
US5386350A (en) Mounting for a spotlight
JP3581045B2 (ja) フォグランプの取付け構造
CA2255819A1 (en) Headlamp
JPH0544680U (ja) 車両の外装品取付構造
GB2271751A (en) Front view mirror
JP2001171424A (ja) 車両用灯具
US6443607B1 (en) Headlamp adjusting attachment nut
JPH0544205Y2 (ko)
KR100534829B1 (ko) 자동차용 사이드 마커 램프의 체결 구조
KR0158359B1 (ko) 줌형식의 자동차 사이드 미러
JPS5848733Y2 (ja) 車輛用灯具のバツクカバ−取付構造
KR200173417Y1 (ko) 자동차의 인 사이드 리어 뷰 미러 어셈블리
JPH057081Y2 (ko)
KR100223249B1 (ko) 자동차용 인사이드 미러의 고정구조
EP0979758A1 (de) Rückspiegel, insbesondere für Nutzfahrzeuge mit einer Antenneneinheit
KR200359725Y1 (ko) 자동차용 백미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70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