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1836Y1 - 곡률의 조절이 가능한 백미러 구조 - Google Patents

곡률의 조절이 가능한 백미러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1836Y1
KR200441836Y1 KR2020070001769U KR20070001769U KR200441836Y1 KR 200441836 Y1 KR200441836 Y1 KR 200441836Y1 KR 2020070001769 U KR2020070001769 U KR 2020070001769U KR 20070001769 U KR20070001769 U KR 20070001769U KR 200441836 Y1 KR200441836 Y1 KR 2004418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rearview mirror
curvature
bar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17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00910U (ko
Inventor
리 군-타
Original Assignee
리 군-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 군-타 filed Critical 리 군-타
Priority to KR20200700017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1836Y1/ko
Publication of KR2007000091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091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18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183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4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insid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8Rear-view mirror arrangements involving special optical features, e.g. avoiding blind spots, e.g. convex mirrors; Side-by-side associations of rear-view and other mirr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12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 B60R2001/1223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with sensors or transducers

Abstract

본 고안은 곡률의 조절이 가능한 백미러(rear view mirror) 구조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백미러 구조는 반사면과 내표면으로 구성된 가요성 거울본체와 상기 거울본체의 후방에 설치되어, 상기 내표면을 움직여 상기 거울본체의 반사면이 특정 곡률을 갖도록 하는 조절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백미러 구조가 비교적 광범위한 시계를 확보할 때까지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백미러, 거울본체, 조절부, 수납케이스, 조절장치

Description

곡률의 조절이 가능한 백미러 구조{ADJUSTABLE REAR VIEW MIRROR STRUCTURE}
도 1은 종래 백미러의 외관 설명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의 전면 분해 설명도.
도 3은 도 2의 후면 분해 설명도.
도 4a는 도 2의 위에서 본 절단면도로서, 거울본체가 일정 곡률을 형성하고 있음.
도 4b는 도 4a에 상응하는 것으로 거울본체가 곡률을 나타내고 있지 않음.
도 5는 도 2의 조절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설명도.
도 6a는 본 고안에 따른 곡률의 조절이 가능한 백미러 조절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설명도.
도 6b는 도 6a의 위에서 본 절단면도로서, 거울본체가 일정 곡률을 형성하고 있음.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곡률의 조절이 가능한 백미러 조절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설명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곡률의 조절이 가능한 백미러 조절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측면설명도.
도 9는 도 8의 조절부를 보여주는 입체설명도.
〈주요 도면부호의 설명〉
10 : 백미러 11 : 거울부 13 : 볼록반사경
20 : 백미러 구조 21 : 거울본체 211 : 반사면
213 : 내표면 214 : 바고정부 215 : 제1돌출바
216 : 바고정부 217 : 제2돌출바 23 : 조절부
230 : 조절장치 231 : 제1나사부 233 : 제2나사부
235 : 제1나사체결부 237 : 제2나사체결부 25 : 수납케이스
251 : 등판 253 : 개구부 255 : 돌출부
257 : 베이스판 27 : 구동장치 28 : 전력장치
281 : 직류전원 283 : 전지장착부 285 : 전지덮개
291 : 제1회전손잡이 293 : 제2회전손잡이 295 : 회전손잡이
297 : 회전손잡이 299 : 회전손잡이 31 : 스위치
40 : 나사로드 41 : 제1나사로드 43 : 제2나사로드
45 : 중간바 51 : 회전축 53 : 제어부
61 : 바 63 : 바 71 : 지지부
73 : 연결부 91 : 지지부 93 : 조정부
95 : 연결로드 97 : 직립나사로드 S1 : 제1횡방향
S2 : 제2횡방향
본 고안은 곡률의 조절이 가능한 백미러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거울부의 곡률을 조절할 수 있는 백미러 구조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2륜 전동차, 트럭 등과 같은 각종 차량에서, 백미러는 이미 필수적인 표준장비가 되었다. 자동차의 경우를 예로 들면, 일반적으로 차내에는 룸미러를 설치하고, 차량의 양쪽 사이드에는 사이드미러를 설치하여 운전자가 차량의 후방이나, 차량의 양 측면을 잘 살피도록 하여, 주행의 안정성을 높이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백미러의 시계는 한계가 있어 사용시 눈에 보이지 않는 사각지대가 여전히 존재하게 되는데, 당업계에서는 백미러의 시계를 넓히기 위한 제품이 부단히 출시되고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백미러(10)는 일반적인 후방시계를 제공하는 거울부(11) 이외에, 상기 거울부(11)에 일정곡률을 구비한 소형 볼록반사경(13)을 설치하여, 운전자로 하여금 더 넓은 시계를 확보하도록 하고 있다. 즉 거울부(11)가 제공하는 일반적인 시계와 볼록반사경(13)이 제공하는 확대된 시계를 조화시켜 후방시계를 확보하도록 하여, 후방에서 질주해오는 차량이나, 운전자 뒷자석에 대한 더 넓은 시계를 확보하여, 차량의 안전성을 높이고 차량 뒷자석에 대한 감시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 볼록반사경(13)은 크기가 비교적 큰 고정형 광각(廣角) 백미러로 개선되어, 차량에 기장착된 백미러에 설치되어 백미러의 시계 한계성을 극복하도록 설계되고 있다.
그러나 볼록반사경을 사용하든 고정형 광각(廣角) 백미러를 사용하든, 사용상의 모든 요구를 동시에 만족할 수 없는 것이고, 운전자의 자세, 신장, 요구되는 시계 정도와 운전습관 등이 운전자마다 모두 상이하고, 운전자들이 운전석에 앉게 되면 백미러(10)의 각도를 자신에게 맞도록 수동으로 조절하기 때문에, 개인 운전자의 특수한 습관을 모두 만족시키는 것은 불가능하고, 단지 설계상에 나타나는 국부적인 문제점을 개선하고 있을 뿐이다. 그 밖에 개인 운전자들이 습관적으로 백미러(10) 상에 나타나는 평면영상(거울부(11)가 제공)과 넓은 범위가 보이는 영상(볼록반사경(13)이 제공)을 모두 관찰하는 것은 아니므로, 반드시 극복되어야 하는 장애가 상존하게 된다.
또한 종래의 백미러(10)는 좌우 또는 상하로만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 거울부(11)의 시계가 한정되어, 사용상의 한계가 상대적으로 많았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곡률을 조절할 수 있는 백미러를 제공하여, 당업계가 안고 있던 과제를 해결하고 있다.
본 고안은 거울부의 곡률을 조절하여 더 넓은 시계를 확보하도록 함으로써, 운전자의 각기 다른 운전습관과 요구에 부합하여 차량운행의 안전성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곡률의 조절이 가능한 백미러 구조를 제공하여 각 종 차량에 광범위하게 응용될 수 있도록 하고, 차량의 어느 부위에서도 후방시계를 확대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곡률의 조절이 가능한 백미러 구조를 제공하되, 상기 곡률을 조절하는 제어수단을 전동, 수동 또는 전동/수동 겸용으로 제공함으로써, 간접적으로 차량을 업그레이드시키고 소비자의 구매욕을 자극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백미러 구조는 반사면과 상기 반사면에 대응되는 내표면을 구비한 곡률의 조절이 가능한 거울본체와, 상기 거울본체의 후방에 설치되어 상기 내표면을 조절하여, 상기 거울본체의 반사면이 특정 곡률을 갖도록 제어하는 조절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고안의 목적, 기술적 특징과 효과를 명확하고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백미러 구조(20)는 곡률의 조절이 가능한 거울본체(21), 조절부(23) 및 수납케이스(25)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수납케이스(25)는 등판(251)과 개구부(253)을 구비하여 수용공간을 형성한다. 거울본체(21)는 조립된 후 수납케이스(25)의 개구부(253)에 결합되고, 조절부(23)는 거울본체(21)의 후방에 있는 수용공간 내부에 장착된다. 거울본체(21)는 반사면(211)과 상기 반사면(211)에 대응되는 내표면(213)을 구비하고 있는데, 상기 조절부(23)가 내표면(213)을 조절하여, 거울본체(21)의 반사면(211)이 특정한 곡률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다. 수납케이스(25)는 복 수개의 돌출부(255)를 통해 선택적 으로 차량에 이미 부착되어 있는 백미러나 기타 고정장치 등에 걸려 고정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울본체(21)의 내표면(213) 양 측에는 제1 돌출바(215)와 제2 돌출바(217)가 돌출되어 조절부(23)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데, 조절부(23)가 상기 제1 돌출바(215)와 제2 돌출바(217)를 움직여 거울본체(21)의 곡률을 조절한다.
도 4a와 도 4b는 조절부(23)가 제1 돌출바(215)와 제2 돌출바(217)를 움직이는 구조를 상세하게 설명하고 있다. 조절부(23)는 조절장치(230), 제1 나사체결부(235)와 제2 나사체결부(237)를 포함하고 있는데, 이 중 제1 나사체결부(235)와 제2 나사체결부(237)는 상기 수용공간의 마주하는 양 측에 설치되어, 각각 제1 돌출바(215)와 제2 돌출바(217)에 대응되어 제1 돌출바(215)와 제2 돌출바(217)와 고정결합된다. 조절장치(230)는 양 측면에 각각 제1 나사부(231)와 제2 나사부(233)를 구비하고 있다.
제1 나사부(231)와 제2 나사부(233)는 각각 제1 나사체결부(235)와 제2 나사체결부(237)에 나사결합되는데, 제1 나사체결부(235)는 제1 나사부(231)와 고정되어 제1 횡방향(S1)으로 진행하고, 제2 나사체결부(237)는 제2 나사부(233)와 고정되어 제2 횡방향(S2)으로 진행한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횡방향(S1)과 제2 횡방향(S2)이 서로를 향해 동시에 움직여, 제1 나사체결부(235)와 제2 나사체결부(237) 사이의 거리를 줄이고, 동시에 제1 돌출바(215)와 제2 돌출바(217) 사이의 거리를 줄임으로써 거울본체(21)가 전면을 향해 만곡되도록 하여 점차적으로 곡률이 커지도록 하는 것이다. 도 4b는 이와 반대로, 제1 횡방향(S1)과 제2 횡방 향(S2)이 서로 바깥쪽으로 움직여, 점차적으로 곡률이 작아지도록 하는 것이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나사체결부(235)와 제2 나사체결부(237)의 운동방향을 제어하여, 거울본체(21)의 곡률을 조절하는 것이다.
여기서 주의해야 할 것은, 조절부(23)의 제어방식은 전동, 수동, 전동/수동 혼합이 모두 가능하다는 것이다. 전동의 경우를 예로 들면, 조절부(23)는 조절장치(230)를 움직여 제1 횡방향(S1)과 제2 횡방향(S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구동장치(27)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때 구동장치(27)는 동력원이 필요하기 때문에, 조절부(23)에는 전력장치(28)(도 3에 도시됨)가 구비되어 구동장치(27)와 연접되어야 한다. 전력장치(28)는 전지와 같은 직류전원(281)을 사용할 수 있으며, 전지장착부(283) 내에서 장착되고 전지덮개(285)에 의해 씌워져 보호될 수 있다.
운전자가 구동장치(27)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조절부(23)는 스위치(31)를 구비하되, 수납케이스(25)의 임의의 위치상에 부착 가능하게 하거나, 또는 차량 내부에 운전자의 손이 닿을 수 있는 임의의 위치에 장착하여 전력장치(28)를 용이하게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여, 전력이 구동장치(27)에 공급되어, 거울본체(21)의 곡률을 조정하도록 한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조절부(23)는 수동 방식으로 조작될 수 있다. 이 때 조절장치(230)는 제1 회전손잡이(291)와 제2 회전손잡이(293)를 포함하도록 구성하고, 제1 나사부(231)와 제2 나사부(233)를 각각 수납케이스(25)의 대응되는 측벽에 설치하여 제1 회전손잡이(291)와 제2 회전손잡이(293)와 연접되도록 한다. 제1 회 전손잡이(291)와 제2 회전손잡이(293)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회전을 하면, 전술한 제1 횡방향(S1)과 제2 횡방향(S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움직여, 거울본체(21)의 곡률을 조절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는 도 5에 도시되어 있는데, 조절장치(230)는 나사로드(4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전술한 제1 나사부(231)와 제2 나사부(233)는 각각 나사로드(40)의 양 측면에 설치된다. 이를 자세하게 설명하면, 제 1나사부(231)와 제2 나사부(233)는 서로 반대되는 모양의 나사산을 구비하고 있어, 나사로드(40)가 특정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제1 나사체결부(235)와 제2 나사체결부(237)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운동하도록 하여, 상술한 제1 횡방향(S1)과 제2 횡방향(S2)이 대향되어 움직이도록 하는 것이다.
단일 나사로드(40)는 2부분으로 나뉘어 서로 유사한 방식으로 설치된다. 이 경우 조절장치(230)는 제1 나사로드(41), 제2 나사로드(43) 및 중간바(45)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술한 제1 나사부(231)와 제2 나사부(233)는 각각 제1 나사로드(41), 제2 나사로드(43)에 결합된다. 즉, 제1 나사로드(41)는 중간바(45)와 수납케이스(25)의 일측벽 사이에 고정되는 것이고, 제2 나사로드(43)는 중간바(45)와 수납케이스(25)의 마주보는 다른 일측벽 사이에 고정되는 것으로, 제1 나사로드(41) 및/또는 제2 나사로드(43)가 특정 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제1 나사체결부(235)와 제2 나사체결부(237)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운동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조절부(23)는 상술한 기재내용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도 6a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51)과 제어부(53)가 그 역할을 대체하여 수행할 수 있는데, 그 중 회전축(51)은 수용공간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제어부(53)는 회전축(51)에 한쪽으로 치우쳐 설치될 수 있다. 제어부(53)의 외주면은 실질적으로 거울본체(53)의 내표면(213)에 밀착해서 접하게 된다. 편심설계에 의해, 제어부(53)가 회전축(51)에서 회전할 때, 거울본체(21)를 밀어주면서 호(弧)형상을 이루며 움직이게 된다. 즉, 제어부(53)와 회전축(51) 사이의 거리는 제1 거리와 제2 거리를 형성하게 되는데, 상기 제1 거리는 외주면과 회전축(51)의 최단거리를 지칭하는 것이고, 제2 거리는 외주면과 회전축(51)의 최장거리를 지칭하는 것으로, 상기 회전축(51)과 내표면(213)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1 거리에서 점차 증가하여 제2 거리까지 이를 수 있고, 이 때 거울본체(21)는 전면을 향해 돌출되어, 점차 커다란 곡률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도 6b는, 제어부(53)가 회전축(51)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겨울본체(21)의 내표면(213)을 밀어주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사용자가 용이하게 회전축(51)의 회전을 제어하도록, 수납케이스(25)의 외부에 회전손잡이(295)를 구비하여, 회전축(51)의 일단과 연접하도록 하여, 상기 회전손잡이(295)를 회전시켜 회전축(51)을 움직이도록 하여 제어부(53)의 회전을 진행시킨다. 또한 제어부(53)가 거울본체(21)의 내표면(213) 중심부를 밀어 거울본체(21)의 곡률을 변경시키기 위해서는 거울본체(21)의 양측면을 고정시켜야 하는데, 이를 위하여 도 6a,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백미러 구조(20)에 바(61,63)를 설치시켜, 수용공간에 수직하게 삽입되도록 하고, 거울본체(21)의 내표면(213)의 양측에 형성된 바고정부(214,216)에 상기 바(61,63)가 끼워지도록 하여, 거울본체(213)의 양측이 고정되도록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조절 가능한 백미러 조절부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 7에 되시되어 있는데, 지지부(71), 연결부(73), 및 회전손잡이(29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지지부(71)는 거울본체(21)의 내표면(213)에 밀착되어 설치되고, 연결부(73)의 일단은 지지부(71)와 서로 나사 결합되고, 다른 일단은 수납케이스(25)의 등판(251) 외부로 돌출연장되어, 회전손잡이(297)와 연접되어 있다. 회전손잡이(297)가 회전할 경우, 연결부(73)가 같이 움직이게 되어, 지지부(71)를 밀어줌으로써 전후 왕복운동을 하도록 한다. 동시에, 거울본체(21)의 내표면(213) 양측에는 바고정부(214,216)를 설치하여, 각각 바(61, 63)를 끼워 거울본체(21)를 고정시키고, 지지부(71)가 거울본체(21)의 중심을 밀어주어 곡률을 형성하도록 한다.
상술한 실시예가 거울본체(21)의 곡률을 조절하는 모든 방식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하며, 기타 다른 방식으로도 조절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부(23)는 지지부(91), 조정부(93), 연결로드(95), 직립나사로드(97) 및 회전손잡이(29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직립나사로드(97)의 단부는 수납케이스의 베이스판(257) 외부로 돌출연장되어, 회전손잡이(299)와 서로 연접되어 있으며, 직립나사로드(97)의 본체는 조정부(93)에 나사결합된다.
도 9는 상기 실시예의 조절부(23)를 보여주는 입체도인데, 회전손잡이(299)가 회전할 때, 직립나사로드(97)가 수직으로 설치되어 수납공간에 설치된 조정부(93)를 움직여,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까지 상하운동을 진행시킨다. 또한 연결로드(95)를 구비하여 그 일단을 조정부(93)와 연결시키고, 다른 일단은 지지부(91)와 연결시켜 지지부(91)로 하여금 거울본체(21)의 내표면(213)을 밀어주도록 한다. 이 렇게 하여, 상기 조정부는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까지 이동되어, 지지부(91)가 전면을 향해 밀어주는 운동을 진행시킨다.
상기 실시예의 백미러구조(20)에서, 전술한 바(61,63)(도면에 미도시)는 수용공간의 마주하는 양측에 수용되고, 거울본체(21)의 내표면(213) 양측에 대응되게 바고정부(214, 216)를 설치하고, 상기 바고정부(214, 216)에 상기 바(61,63)를 끼워 넣어, 거울본체의 양 측면을 고정시킨다.
상술한 실시예는 본 고안의 기술적 특징을 설명하기 위하여 예로서 든 실시태양에 불과한 것으로,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보호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이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백미러의 구조는 전동, 수동 또는 전동/수동 혼합 방식 모두에 의하여 거울부의 곡면을 조절할 수 있는 것으로, 더 넓은 시계를 확보하고, 초점을 모으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내용에서 이미 개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백미러구조는 각종 교통수단에 적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동차 상에 장착할 경우 차내의 룸미러, 차 양측의 사이드미러, 또는 기타 후방시계확보가 필요한 거울에 장착되어 그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각기 다른 운전자의 운전습관에 부합하여, 운전자에게 차량 후방과 차량 측면의 상황자료를 제공하여, 안전한 주행을 확보하도록 할 수 있다.

Claims (21)

  1. 반사면과 상기 반사면에 대응되는 내표면을 구비한 곡률의 조절이 가능한 거울본체; 및
    상기 거울본체의 후방에 설치되어, 상기 내표면을 조절하여, 거울본체의 반사면이 특정 곡률을 갖도록 제어하는 조절부;를 포함하는 백미러 구조에 있어서,
    등판과 개구부를 구비하여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거울본체는 상기 개구부에 결합되고, 상기 조절부는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장착되는 수납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거울본체는 제1 돌출바와 제2 돌출바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돌출바와 제2 돌출바는 상기 거울본체의 내표면 양 측에 돌출되어 연장되며, 상기 조절부가 상기 제1 돌출바와 제2 돌출바를 움직여 상기 거울본체의 곡률을 조절하는 백미러 구조.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상기 수용공간의 양 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1 돌출바와 제2 돌출바에 대응되는 제1 나사체결부와 제2 나사체결부; 및
    양 측면에 각각 제1 나사부와 제2 나사부를 구비하여 각각 상기 제1 나사체결부와 제2 나사체결부에 나사결합되며, 상기 제1 나사체결부는 제1 나사부와 고정되어 제1 횡방향으로 진행하고, 제2 나사체결부는 제2 나사부와 고정되어 제2 횡방향으로 진행하며, 상기 제1 나사체결부와 제2 나사체결부는 상기 제1돌출바와 제2돌출바에 끼워결합되는 조절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횡방향과 상기 제2 횡방향이 서로를 향해 동시에 움직일 경우에는 상기 거울본체의 곡률이 증가하고, 상기 제1 횡방향과 상기 제2 횡방향이 서로 바깥쪽으로 움직일 경우에는 상기 곡률이 작아지는 백미러 구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상기 조절장치를 움직여 상기 제1 횡방향과 상기 제2 횡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구동장치를 더 포함하는 백미러 구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전력장치를 더 포함하여, 상기 구동장치와 연접되는 백미러 구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스위치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전력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백미러 구조.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장치는 직류전원을 포함하는 백미러 구조.
  9.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장치는 제1 회전손잡이와 제2 회전손잡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절장치의 제1 나사부와 제2 나사부를 각각 상기 수납케이스의 대응되는 측벽에 설치하여 상기 제1 회전손잡이와 상기 제2 회전손잡이와 연접되도록 하고, 상기 제1 회전손잡이와 상기 제2 회전손잡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회전을 하면, 상기 제1 횡방향과 상기 제2 횡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움직여 상기 거울본체의 곡률을 조절하는 백미러 구조.
  10.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장치는 나사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나사부와 제2 나사부는 각각 상기 나사로드의 양 측에 설치되어 서로 반대되는 모양의 나사산을 구비하여, 상기 나사로드가 특정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제1 횡방향과 상기 제2 횡방향이 대향되어 움직이는 백미러 구조.
  11.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장치는 제1 나사로드, 제2 나사로드 및 중간바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나사부와 상기 제2 나사부는 각각 상기 제1 나사로드와 상기 제2 나사로드에 결합되어, 상기 제1 나사로드는 상기 중간바와 상기 수납케이스의 일측벽 사이에 고정되고, 상기 제2 나사로드는 상기 중간바와 상기 수납케이스의 다른 일측벽 사이에 고정되는 백미러 구조.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KR2020070001769U 2006-02-10 2007-01-31 곡률의 조절이 가능한 백미러 구조 KR2004418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1769U KR200441836Y1 (ko) 2006-02-10 2007-01-31 곡률의 조절이 가능한 백미러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095104642 2006-02-10
TW095217199 2006-09-26
KR2020070001769U KR200441836Y1 (ko) 2006-02-10 2007-01-31 곡률의 조절이 가능한 백미러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0910U KR20070000910U (ko) 2007-08-16
KR200441836Y1 true KR200441836Y1 (ko) 2008-09-09

Family

ID=41649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1769U KR200441836Y1 (ko) 2006-02-10 2007-01-31 곡률의 조절이 가능한 백미러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1836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7814Y1 (ko) * 2008-09-26 2010-02-25 박종석 곡률가변형 거울
CN114655120B (zh) * 2022-03-04 2024-02-13 合肥移瑞通信技术有限公司 后视镜、车辆及后视镜控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0910U (ko) 2007-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243472B1 (en) Mirror device for vehicle
US7311408B2 (en) Adjustable rear view mirror structure
KR101575471B1 (ko) 자동차용 인사이드 미러 조립체
JP2016068926A (ja) バックミラーアセンブリ
KR200441836Y1 (ko) 곡률의 조절이 가능한 백미러 구조
EP1905645A1 (en) Adjustable Rear View Mirror Structure
JP3131088U (ja) リヤビューミラー構造
US6302550B1 (en) Rear mounted mirror assembly for motor vehicles
JP4283023B2 (ja) 車両用後方確認ミラー
KR200311607Y1 (ko) 자동차용 후사경
US8777429B2 (en) Blind spot mirror
KR101481353B1 (ko) 하우징 회전형 아웃사이드 미러
US9308865B2 (en) Vehicle side rear-view mirror assembly having a means for exposing a blind spot
KR20040019920A (ko) 상용차용 외부 리어 뷰 미러
KR0165099B1 (ko) 대형차량용 아웃사이드미러
KR19990032000A (ko) 회전식 자동차 아웃 사이드 미러
KR200217308Y1 (ko) 자동차용 보조룸미러 지지장치
KR0131761Y1 (ko) 사각 미러를 갖는 자동차의 전동식 도어 백 미러
KR200368006Y1 (ko) 자동차용 아웃 사이드 미러
KR100503337B1 (ko) 다양한 곡률로 굴곡된 룸미러
JP3992096B2 (ja) 車両用インナーミラー
KR0131787Y1 (ko) 사각 미러를 갖는 자동차의 전동식 도어 백 미러
KR100503255B1 (ko) 자동차의 사이드 미러
JP2000272420A (ja) 外部ミラー駆動装置
RU2178364C1 (ru) Наружное зеркало заднего вид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0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