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3255B1 - 자동차의 사이드 미러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사이드 미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3255B1
KR100503255B1 KR10-2003-0008599A KR20030008599A KR100503255B1 KR 100503255 B1 KR100503255 B1 KR 100503255B1 KR 20030008599 A KR20030008599 A KR 20030008599A KR 100503255 B1 KR100503255 B1 KR 1005032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driver
driving
vehicle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85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72938A (ko
Inventor
박경환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085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3255B1/ko
Publication of KR200400729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29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32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32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3/00Repairing of articles made from plastics or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e.g. of articles shaped or produced by using techniques covered by this subclass or subclass B29D
    • B29C73/04Repairing of articles made from plastics or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e.g. of articles shaped or produced by using techniques covered by this subclass or subclass B29D using preformed elements
    • B29C73/06Repairing of articles made from plastics or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e.g. of articles shaped or produced by using techniques covered by this subclass or subclass B29D using preformed elements using plugs sealing in the hole
    • B29C73/08Apparatus therefor, e.g. for inser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5/00Apparatus or tools adapted for mounting, removing or inspecting tyres
    • B60C25/16Tools for repairing damaged ty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사이드 미러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주행 상황이나 운전자가 변경되는 경우, 해당 주행 상황이나 운전자에 적합하도록 조정된 미러를 반대측에 구비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자동차의 사이드 미러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사이드 미러는 미러 케이스의 양방에 개구부를 형성하여 상기 개구부에 미러를 장착하고 각각의 상기 미러를 각각 다른 주행 상황이나 운전자에 따라 최적의 각도로 조정을 한 후에 다른 주행 상황에서나 운전자가 운전하게 되었을 때, 상기 미러 케이스를 상하방향으로 회전시켜 주행 상황에 따른 해당 미러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운전 중에 별도로 상기 미러의 각도를 조정할 필요가 없어 안전운전을 도모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편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사이드 미러 { Side mirror in vehicle }
본 발명은 자동차의 사이드 미러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주행 상황이나 운전자가 변경되는 경우, 해당 주행 상황이나 운전자에 적합하도록 조정된 미러를 반대측에 구비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자동차의 사이드 미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차체와 섀시로 구분되는 바, 상기한 섀시에는 엔진, 동력 전달장치, 서스펜션 등이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 구성되어 있고, 차체에는 상기한 각 장치를 지지함과 아울러 운전자의 운전편의성을 도모하기 위한 미러, 윈도우 브러시, 조명장치등이 장착되어 외관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외관에 장착되는 미러는 운전시 운전자에게 차량 후방의 시야를 제공함으로써, 운전자가 교통상황을 보다 정확하게 파악하도록 하여 차량의 안전운전을 기할 수 있는 수단이며, 특히 사이드 미러는 도어의 전방 좌/우측에 각각 장착되어 운전자가 측후방의 상황을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후방 자동차와의 거리, 측방에서 다가오는 자동차와의 거리 등을 운전자가 확인하여 차선 변경 시 등의 경우에 차선변경의 시점과 위치 등을 결정토록하는 차량의 주요 부품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사이드 미러 일예의 사시도이다.
이러한 사이드 미러(5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좌, 우 외측면에 장착되고 후방으로 개구부가 형성된 미러 케이스(10)와, 상기 미러 케이스(10)에 장착되는 미러(12)와, 차체(2)에 고정되어 상기 미러 케이스(10)를 지지하는 지지부재(14)와, 상기 미러 케이스(10) 내부에서 상기 미러(12)와 연결되어 상기 미러(12)의 상/하, 좌/우 각도를 조정하는 각도 조정수단(미도시)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사이드 미러는 상기 미러 케이스(10)와 상기 지지부재(14)가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수동, 혹은 자동으로 좌우로 회전하여 차체 방향으로 접히게 된다.
또한, 운전자가 상기 사이드 미러를 통한 후방 시야의 확보가 용이하지 않을 시에는 상기 각도 조정수단(미도시)을 이용하여 상기 미러(12)의 상,하 또는 좌,우 각도를 조정하여 운전자의 용이한 시야 확보가 가능하게 되는데, 상기 각도 조정수단은 사용자가 손으로 직접 조정하는 수동식과 자동으로 조정되는 전동식 등이 사용된다.
그러나, 종래의 자동차의 사이드 미러는 자동차의 주행 상황이 변경되는 경우, 운전자에게 요구되는 측후방의 시야가 변경되므로 운전자는 상기 각도 조정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미러(12)의 각도를 재차 조정해야되는데, 운전 중에 상기 미러(12)의 각도를 조정하다보면 전방주시가 곤란하여 사고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운전자가 교대로 변화되는 경우, 운전자에 따라 상기 미러(12)의 적합한 각도가 변화되므로, 운전자가 바뀔 때마다 상기 미러(12)의 각도를 조정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주행 상황이나 운전자가 변경된 경우, 재차 사이드 미러의 각도을 조정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안전운전과 운전자의 편의를 도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사이드 미러는 양방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하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 미러 케이스와, 상기 개구부에 장착된 미러와, 상기 미러 케이스 내에 설치되어 상기 미러의 각도를 조정하는 각도 조정수단과, 상기 미러 케이스를 지지하기 위하여 차체에 형성된 지지부와, 일측이 상기 미러 케이스와 결합되고 타측은 접힘가능하도록 상기 지지부와 결합된 접힘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사이드 미러의 일실시예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사이드 미러의 작동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사이드 미러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사이드 미러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42)에 형성된 지지부(54)와, 상기 지지부(54)와 연결된 접힘부(56)와, 상하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접힘부(56)와 결합되는 미러 케이스(50)와, 상기 미러 케이스(50)에 장착된 미러(52)와, 상기 미러 케이스(50) 내에 설치되어 상기 미러(52)의 각도를 조정하는 각도 조정수단(58)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미러 케이스(50)의 전방 및 후방은 개구되어 상기 미러(52)가 장착되고 상기 미러 케이스(50)의 내측 둘레와 상기 미러(52)의 가장자리 사이에는 상기 미러(52)의 각도가 상, 하 및 좌, 우로 조절되기 위한 소정의 틈새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미러 케이스(50)는 일단에서 상기 접힘부(56)와 결합되고 상기 접힘부(56)와 상기 지지부(54)는 수동, 혹은 자동으로 상기 접힘부(56)가 운전자 측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각도 조정수단(58)은 상기 미러(52)의 각도를 상, 하 및 좌, 우로 변화시키는 각각의 조정 모터(미도시)와, 상기 조정 모터를 제어하는 조정부(미도시)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미러 케이스(50)의 전, 후측 양방에 형성된 미러(52) 중 한 개를 선택하여 자동차의 후방을 향하게 한 후, 운전자가 상기 미러(52)를 통해 측후방을 주시하면서 상기 조정부(미도시)를 조작하며 운전자 자신이 측후방의 상황을 가장 잘 살필 수 있는 최적의 각도로 상기 미러(52)를 조정한다.
이 때, 상기 조정 모터(미도시)가 작동하면서 상기 미러(52)의 상, 하 및 좌, 우 각도가 변화되게 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미러 케이스(50)의 일측에 장착된 미러(52)에 대하여 조정이 완료되면, 상기 미러 케이스(50)의 타측에 장착된 나머지 한 개의 미러(52)에 대하여도 각도 조정을 하게 되는데, 이를 위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미러 케이스(50)를 상측방향으로 180°회전시키게 되면, 이미 조정이 완료된 상기 미러(52)와 최초 후방 개구부에 장착된 상기 미러(52)의 위치가 바뀌면서 조정하고자 하는 상기 미러(52)가 자동차의 후방을 향하도록 위치시킨다.
이렇게, 양방의 상기 미러(52)의 위치가 변경되면, 운전자는 상기 미러(52)를 통해 측후방을 살피며 상기 미러(52)의 각도를 조정한다.
이 때, 최초 상기 미러(52)를 조정하던 때의 주행 상황과는 다른 상황에서 상기 미러(52)를 조정을 하거나, 또는 다른 운전자가 운전석에 앉아서 후방을 주시하며 상기 미러(52)의 각도를 조정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미러 케이스(50)의 양방에 부착된 두 개의 상기 미러(52)의 각도 조정이 완료되면, 각도 조정이 이루어진 해당 주행 상황에서나 혹은 해당 운전자가 운전하게 되는 경우에 부합하도록 상기 미러 케이스(50)를 180°단위로 회전시키며 사용할 미러(52)를 선택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사이드 미러는 미러 케이스의 양방에 개구부를 형성하여 상기 개구부에 미러를 장착하고 각각의 상기 미러를 각각 다른 주행 상황에 따라 최적의 각도로 조정을 한 후에 다른 주행 상황이 되었을 때, 상기 미러 케이스를 상하방향으로 회전시켜 주행 상황에 따른 해당 미러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운전 중에 별도로 상기 미러의 각도를 조정할 필요가 없어 안전운전을 도모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편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운전자가 수시로 변경되는 경우, 각각의 운전자에게 적합한 미러의 각도가 상이하므로 운전자가 변경될 때마다 상기 미러의 각도를 조정할 필요없이 운전자에 따라 미러의 각도를 미리 조정하였다가 해당 운전자가 운전할 경우 상기 미러 케이스의 회전만으로 각각의 운전자에게 적합한 각도의 미러를 사용토록 함으로써 운전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사이드 미러 일예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사이드 미러의 일실시예가 도시된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사이드 미러의 작동상태가 도시된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사이드 미러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42: 차체 50: 미러 케이스
52: 미러 54: 지지부
56: 접힘부 58: 각도 조정수단

Claims (2)

  1. 양방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하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 미러 케이스와, 상기 개구부에 장착된 미러와, 상기 미러 케이스 내에 설치되어 상기 미러의 각도를 조정하는 각도 조정수단과, 상기 미러 케이스를 지지하기 위하여 차체에 형성된 지지부와, 일측이 상기 미러 케이스와 결합되고 타측은 접힘가능하도록 상기 지지부와 결합된 접힘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사이드 미러.
  2. 삭제
KR10-2003-0008599A 2003-02-11 2003-02-11 자동차의 사이드 미러 KR1005032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8599A KR100503255B1 (ko) 2003-02-11 2003-02-11 자동차의 사이드 미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8599A KR100503255B1 (ko) 2003-02-11 2003-02-11 자동차의 사이드 미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2938A KR20040072938A (ko) 2004-08-19
KR100503255B1 true KR100503255B1 (ko) 2005-07-22

Family

ID=37360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8599A KR100503255B1 (ko) 2003-02-11 2003-02-11 자동차의 사이드 미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325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2938A (ko) 2004-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39042A1 (en) Integrated mirror device for vehicle
KR100503255B1 (ko) 자동차의 사이드 미러
US5781356A (en) Levelness adjusting device of an actuator unit for a rearview mirror
CN206926584U (zh) 一种汽车后视镜结构及汽车
KR20040033651A (ko) 자동차의 운전자 눈높이 사이드 미러
KR100524286B1 (ko) 자동차의 사이드 미러 제어방법
JP4632158B2 (ja) ウイングミラーユニット
KR200441836Y1 (ko) 곡률의 조절이 가능한 백미러 구조
KR100524287B1 (ko) 자동차의 사이드 미러
KR101866311B1 (ko) 개폐 조절이 용이한 선루프
KR101820325B1 (ko) 후방 미러를 갖는 쿼드런트 인너커버
CN209955870U (zh) 一种可旋转伸缩的汽车后视镜
KR200188066Y1 (ko) 자동차용 룸 밀러
KR200368006Y1 (ko) 자동차용 아웃 사이드 미러
KR200256007Y1 (ko) 차량용 백미러 쉴드
KR19980052458U (ko) 차량용 스피커 팝업장치
KR20040072936A (ko) 자동차의 사이드 미러
KR20020079120A (ko) 차량용 백미러 쉴드
KR19980038013U (ko) 자동차의 후사경
KR100212186B1 (ko) 자동차용 아웃사이드 미러조립체
KR200239183Y1 (ko) 대형 차량용 외부 미러
KR200239215Y1 (ko) 자동차용 보조 백밀러
KR200332035Y1 (ko) 사이드뷰를 위한 보조 백미러
KR200277876Y1 (ko) 자동차 후사경 장치
KR20050018139A (ko) 폴딩가능한 차량용 룸미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