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0325B1 - 후방 미러를 갖는 쿼드런트 인너커버 - Google Patents

후방 미러를 갖는 쿼드런트 인너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0325B1
KR101820325B1 KR1020160155466A KR20160155466A KR101820325B1 KR 101820325 B1 KR101820325 B1 KR 101820325B1 KR 1020160155466 A KR1020160155466 A KR 1020160155466A KR 20160155466 A KR20160155466 A KR 20160155466A KR 101820325 B1 KR101820325 B1 KR 1018203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vehicle
inner cover
opening
rear mirr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54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유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연이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to KR10201601554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03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03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03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01Upper door structure
    • B60J5/0404Outside rear view mirror suppo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0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 F16H1/1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 F16H1/1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comprising conical gears only

Abstract

후방 미러를 갖는 쿼드런트 인너커버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쿼드런트 인너커버는 개구부가 형성된 쿼드런트 인너커버 패널; 및 쿼드런트 인너커버 패널 내측에 설치되어 자동제어를 통해 개구부를 통해 노출되거나 또는 비노출되는 후방 미러를 갖는 미러 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후방 미러를 갖는 쿼드런트 인너커버{QUADRANT INNER COVER OF VEHICLE HAVING REAR MIRROR}
본 발명은 차량의 쿼드런트 인너커버(QUADRANT INNER COVER)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후방 미러를 갖는 쿼드런트 인너커버에 관한 것이다.
차량을 후진하거나 회전시킬 때에는 운전자가 후방을 살펴야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차량의 내부에는 리어 미러가 설치되어 운전자가 후방을 살필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차량의 양측에는 사이드 미러(아웃사이드 미러)가 설치되어 차량 측부를 관측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사이드 미러에 보조 미러 또는 볼록 미러를 추가 설치하여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리어 미러 및 사이드 미러의 존재에도 불구하고 운전자는 차량 후방을 관측하지 못하거나 할 수 없는 상황을 종종 맞이한다. 예컨대 운전자가 차량을 주차하고 문을 열 때에 후방에서 진입하는 차량, 사람 등을 인지하지 못하는 상황 등이 그것이다. 이런 상황에서는 차량의 후방이 운전자 시야의 사각에 위치하는 바, 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특히 사이드 미러는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주차시에는 접는 것이 일반적인 바, 사이드 미러를 접은 상태에서는 운전자가 후방시야를 확보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사이드 미러를 접은 상태에서도 운전자는 차량의 후방을 관측해야 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한 방안이 강구된다.
이러한 방안 중 하나로 한국등록실용신안 제135,527호에서는 쿼런트 인너커버 몸체에 쿼런트 인너커버 캡을 설치하고 상기 캡에 미러를 내설한 다음, 상기 쿼런트 인너커버 캡을 상기 쿼런트 인너커버 몸체로부터 개폐시키는 개폐수단을 포함하는 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운전자가 쿼런트 인너커버 캡을 열고 닫아야 하므로 번거롭고, 차량의 미관을 해치는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1: 한국등록실용신안 제135527호 (1998.7.15 공개)
본 발명은 쿼드런트 인너커버 패널에 내설되어 자동제어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거나 또는 비노출되는 후방 미러를 갖는 미러 장치를 포함하는 쿼드런트 인너커버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개구부가 형성된 쿼드런트 인너커버 패널; 상기 쿼드런트 인너커버 패널 내측에 설치되어 자동제어를 통해 상기 개구부를 통해 노출되거나 또는 비노출되는 후방 미러를 갖는 미러 장치; 상기 미러 장치를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장치; 및 상기 구동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차량의 시동이 오프(OFF) 상태에 있거나 또는 차량의 사이드 미러가 접힘 상태에 있을 때에는 상기 후방 미러가 상기 개구부를 통해 노출되도록 상기 구동장치를 제어하고, 차량의 시동이 온(ON) 상태에 있거나 또는 차량의 사이드 미러가 열린 상태에 있을 때에는 상기 후방 미러가 비노출되도록 상기 구동장치를 제어하는 쿼드런트 인너커버가 제공될 수 있다.
삭제
삭제
또한, 상기 제어부는 차량의 시동이 오프(OFF) 상태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차량의 도어가 락킹되면 상기 개구부를 통해 노출된 상기 후방 미러가 다시 비노출되도록 상기 구동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미러 장치는, 상기 쿼드런트 인너커버 패널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개구부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형성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에 상측 및 하측 단부가 각각 결합하는 회전축을 가지며 상기 개구부와 상응하도록 배치되는 몸통부; 및 상기 몸통부의 일부에 부착되는 것으로 상기 개구부의 크기와 상응하는 크기를 갖는 후방 미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러 장치는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제1 기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제1 기어부와 맞물려 상기 제1 기어부를 회전시키는 제2 기어부와, 상기 제2 기어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박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예들에 따른 쿼드런트 인너커버는 쿼드런트 인너커버 패널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후방 미러가 노출되거나 비노출되도록 하되, 차량의 시동이 오프 상태에 있거나 또는 사이드 미러가 접힘 상태에 있을 때에는 후방 미러가 노출되도록 하고, 차량의 시동이 온 상태에 있을 때에는 후방 미러가 비노출되도록 자동 제어함으로써 운전자가 별도의 동작을 하지 않아도 항상 차량 후방을 관측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후방 미러를 쿼드런트 인너커버의 내측에 설치하고 쿼드런트 인너커버의 개구부를 통해 노출되거나 비노출되도록 함으로써 차량의 미관을 해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쿼드런트 인너커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쿼드런트 인너커버에서 후방 미러가 노출되거나 비노출될 때의 사시도 및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쿼드런트 인너커버에서 쿼드런트 인너커버 패널의 배면에 미러 장치가 설치되는 모습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서 구동장치를 추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은 본 발명을 구체적인 예시를 들어 기술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하기의 설명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쿼드런트 인너커버(1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쿼드런트 인너커버(100)는 쿼드런트 인너커버 패널(110)과 후방 미러를 갖는 미러 장치(120)를 포함한다.
쿼드런트 인너커버 패널(1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석 및 조수석 양측 도어의 글라스 앞쪽에 장착될 수 있다. 쿼드런트 인너커버 패널의 장착 부위 등은 공지된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미러 장치(120)는 쿼드런트 인너커버 패널(110) 내측에 설치된다. 미러 장치(120)는 후방 미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방 미러는 쿼드런트 인너커버 패널(1100에 구비되는 개구부를 통해 노출되거나 비노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미러 장치(12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또한, 쿼드런트 인너커버(100)는 미러 장치(120)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장치와, 상기 구동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장치 및 제어부에 대해서는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도 2는 도 1의 쿼드런트 인너커버(100)에서 후방 미러(125)가 노출되거나 비노출될 때의 사시도 및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쿼드런트 인너커버 패널(110)의 전면에는 개구부(111)가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111)는 쿼드런트 인너커버 패널(110)의 전면 일부가 절개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111)의 크기는 특정되지 않는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개구부(111)는 후방 미러(125)의 크기와 상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 있어서 개구부(111)는 후방 미러(125)의 크기보다 소정 크기 작은 크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쿼드런트 인너커버 패널(110)의 내측에는 미러 장치(120)가 설치될 수 있다. 미러 장치(120)는 몸통부(123)와, 회전축(124)과, 후방 미러(125)를 포함할 수 있다.
몸통부(123)는 내부에 배치되는 회전축(124)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쿼드런트 인너커버 패널(110)의 내측에 설치될 수 있다. 몸통부(123)를 포함하여 미러 장치(120)의 설치에 관한 구체적인 내용은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몸통부(123)의 형상은 제한되지 않는다. 몸통부(123)는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도 2에서와 같이 3면을 구비하되 각 3면이 곡면형을 갖는 비정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때, 몸통부(123)의 면들 중에서 쿼드런트 인너커버 패널(110)의 개구부(111)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면의 곡률은 개구부(111)의 곡률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외부에서 개구부(111)를 봤을 때, 표면이 매끄럽게 보일 수 있기 때문이다.
몸통부(123)의 크기 및 설치 위치 역시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몸통부(123)가 회전할 때, 개구부(111)에 의해 간섭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몸통부(123)의 크기 및 설치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몸통부(123)의 일부에는 후방 미러(125)가 부착된다. 예컨대 도 2에서와 같이 3면이 곡면형을 갖는 비정형 형상으로 몸통부(123)가 형성되는 경우, 그 중 일면에 후방 미러(125)가 부착될 수 있다. 여기에서 후방 미러(125)의 부착 방법은 특정되지 않는다. 후방 미러(125)의 크기는 개구부(111)의 크기와 상응하거나 소정 정도 크게 형성될 수 있다. 후방 미러(125)는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거울이 사용될 수 있고, 소정 정도 볼록형을 갖는 볼록 거울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2의 좌측도를 참조하면, 쿼드런트 인너커버 패널(110)의 개구부(111)에 후방 미러(125)가 비노출되어 있는 상태다. 외부에서 개구부(111)를 바라보면, 쿼드런트 인너커버 패널(110)의 내측에 설치된 미러 장치(120)의 몸통부(123)에서 후방 미러(125)가 부착되지 않은 면이 노출되어 있다. 이 경우 몸통부(123)에서 후방 미러(125)가 부착된 면은 쿼드런트 인너커버 패널(110)의 내측에 위치한다.
도 2의 우측도를 참조하면, 쿼드런트 인너커버 패널(110)의 개구부(111)에 후방 미러(125)가 노출되어 있는 상태다. 외부에서 개구부(111)를 바라보면, 쿼드런트 인너커버 패널(110)의 내측에 설치된 미러 장치(120)의 몸통부(123)에서 후방 미러(125)가 부착된 면이 노출되어 있다. 즉, 도 2의 좌측도를 기준으로 몸통부(123)가 시계 방향으로 소정 정도 회전함으로써, 후방 미러(125)가 부착된 면이 개구부(111)에 노출될 수 있다.
이하, 미러 장치(120)의 설치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도 1의 쿼드런트 인너커버(100)에서 쿼드런트 인너커버 패널(110)의 배면에 미러 장치(120)가 설치되는 모습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미러 장치(120)는 결합부(121,122), 몸통부(123), 후방 미러(125)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121,122)는 쿼드런트 인너커버 패널(110)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개구부(111)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개구부(111)의 상부에 형성되는 결합부(121)를 상부 결합부(121)로 지칭하고, 개구부(111)의 하부에 형성되는 결합부(122)를 하부 결합부(122)로 지칭한다. 결합부(121,122)는 몸통부(123)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결합부(121,122)는 몸통부(123)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으면 되고, 그 형상 등은 특정되지 않는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결합부(121,12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부(111)의 상부 및 하부에 소정 크기 내측으로 돌출되고, 내부에는 소정 깊이의 홈이 형성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몸통부(123)는 결합부(121,122)에 상측 및 하측 단부가 각각 결합하는 회전축(124)을 가질 수 있다. 회전축(124)은 몸통부(123)의 내부 중앙 부근에 수직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회전축(124)의 회전에 따라 몸통부(123)가 회전축(124)과 함께 회전될 수 있다. 회전축(124)의 양 단부는 각각 결합부(121,122)에 결합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결합에 의해 회전축(124)의 회전이 방해받으면 안 되므로, 회전축(124)의 양 단부는 결합부(121,122)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124)의 양 단부에는 결합부(121,122)에 형성된 소정 깊이의 홈에 수용될 수 있도록 수평편(미표기)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평편을 도 3의 가운데 도면에서와 같이 결합부(121,122)의 홈에 수용함으로써 회전축(124)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부(121,122)에 결합될 수 있다. 이후, 도 3의 우측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홈을 덮는 커버(121a,122a)를 결합부(121,122)에 결합함으로써 몸통부(123)가 회전할 때 결합부(121,122)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외 몸통부(123) 및 후방 미러(125)에 대한 설명은 전술하였으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미러 장치(120)는 회전축(124)에 형성되는 제1 기어부(12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기어부(126)는 외력에 의해 회전됨으로써 회전축(124)을 회전시키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제1 기어부(126)는 회전축(124)에 결합되면 충분하고, 결합 위치 등은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도 3에서는 제1 기어부(126)가 회전축(124)과 하부 결합부(122) 사이에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제1 기어부(126)의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기어부(126)의 구동에 대해서는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이하, 쿼드런트 인너커버(100)의 구동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도 3에서 구동장치(130)를 추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쿼드런트 인너커버(100)는 미러 장치(120)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장치(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동장치(130)는 제2 기어부(131)과, 모터박스(1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기어부(131)는 제1 기어부(126)과 맞물리도록 배치되어 제1 기어부(126)를 회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모터박스(132)는 제2 기어부(131)를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통상적인 모터 장치들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모터박스(132)에 의해 제공되는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133)을 설치하고, 회전축(133)의 단부에 제2 기어부(131)를 수직방향으로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기어부(131)는 미러 장치(120)의 회전축(124)에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 제1 기어부(126)와 맞물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모터박스(132)에 의해 회전축(133)이 회전하면, 제2 기어부(131)가 회전축(133)과 함께 회전하고, 제2 기어부(131)와 맞물린 제1 기어부(126) 역시 회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서와 같이 회전축(133) 및 제2 기어부(131)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 기어부(126)는 제2 기어부(131)에 맞물려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기어부(126)의 회전에 따라 회전축(124) 및 몸통부(123)가 회전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제1 기어부(126) 및 제2 기어부(131)는 베벨 기어(bevel gear)이므며, 보다 구체적으로 스파이럴 베벨기어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쿼드런트 인너커버(100)의 동작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쿼드런트 인너커버(100)는 구동장치(13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구동장치(130)의 회전 시점 및 회전 방향을 제어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통상적으로 차량에 설치되는 ECU(Electric Control Unit)의 일종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차량의 시동이 오프(OFF) 상태에 있거나 또는 차량의 사이드 미러가 접힘 상태에 있을 때에는 후방 미러(125)가 개구부(111)를 통해 노출되도록 구동장치(130)를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어부에서 구동장치(130)에 신호를 전송하면 구동장치(130)가 구동력을 제공하여 제2 기어부(131)를 회전시키고, 제2 기어부(131)에 맞물린 제1 기어부(126)가 회전하면서 몸통부(123)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몸통부(123)에 부착된 후방 미러(125)가 개구부(111)를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차량 시동이 오프 상태에 있거나 차량의 사이드 미러가 접힘 상태에 있는 경우는 운전자가 차량 후방을 관측하지 못하거나 할 수 없는 상황에 해당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에서 후방 미러(125)를 개구부(111)를 통해 노출시킬 경우에는 차량 시동이 꺼진 상태이거나, 차량의 사이드 미러가 접힘 상태에 있더라도 운전자가 차량 후방을 관측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차량의 시동이 온(ON) 상태에 있거나 또는 차량의 사이드 미러가 열린 상태에 있을 때에는 후방 미러(125)가 비노출되도록 구동장치(130)를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어부에서 구동장치(130)에 신호를 전송하면 구동장치(130)가 구동력을 제공하여 제2 기어부(131)를 이전과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제2 기어부(131)에 맞물린 제1 기어부(126)가 역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몸통부(123)를 반대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몸통부(123)에 부착된 후방 미러(125)가 다시 쿼드런트 인너커버 패널(110)의 내측에 위치될 수 있다. 차량 시동이 켜져 있거나 차량의 사이드 미러가 열린 상태에 있는 경우는 운전자가 차량의 사이드 미러를 통해 차량 후방을 관측할 수 있으므로 후방 미러(125)를 필요로 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차량의 미관을 해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후방 미러(125)가 비노출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어부는 차량의 시동이 오프 상태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차량의 도어가 락킹되면 개구부(111)를 통해 노출된 후방 미러(125)를 다시 비노출되도록 구동장치(130)를 제어할 수 있다. 차량의 시동이 오프 상태에 있는 상태에서 차량의 도어가 락킹되는 경우는, 운전자가 하차한 경우에 해당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후방 미러(125)를 필요로 하지 않는 바, 차량의 미관을 해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후방 미러(125)가 비노출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예들에 따른 쿼드런트 인너커버는 쿼드런트 인너커버 패널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후방 미러가 노출되거나 비노출되도록 하되, 차량의 시동이 오프 상태에 있거나 또는 사이드 미러가 접힘 상태에 있을 때에는 후방 미러가 노출되도록 하고, 차량의 시동이 온 상태에 있을 때에는 후방 미러가 비노출되도록 자동 제어함으로써 운전자가 별도의 동작을 하지 않아도 항상 차량 후방을 관측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후방 미러를 쿼드런트 인너커버의 내측에 설치하고 쿼드런트 인너커버의 개구부를 통해 노출되거나 비노출되도록 함으로써 차량의 미관을 해치지 않는다.
이상, 본 발명의 구현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기술의 구체적 적용에 따른 단순한 설계변경, 일부 구성요소의 생략, 단순한 용도의 변경 등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형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됨은 자명하다.
100: 쿼드런트 인너커버 110: 쿼드런트 인너커버 패널
111: 개구부 120: 미러장치
123: 몸통부 125: 후방 미러
126: 제1 기어부 130: 구동장치
131: 제2 기어부 132: 모터박스

Claims (6)

  1. 개구부가 형성된 쿼드런트 인너커버 패널;
    상기 쿼드런트 인너커버 패널 내측에 설치되어 자동제어를 통해 상기 개구부를 통해 노출되거나 또는 비노출되는 후방 미러를 갖는 미러 장치;
    상기 미러 장치를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장치; 및
    상기 구동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차량의 시동이 오프(OFF) 상태에 있거나 또는 차량의 사이드 미러가 접힘 상태에 있을 때에는 상기 후방 미러가 상기 개구부를 통해 노출되도록 상기 구동장치를 제어하고, 차량의 시동이 온(ON) 상태에 있거나 또는 차량의 사이드 미러가 열린 상태에 있을 때에는 상기 후방 미러가 비노출되도록 상기 구동장치를 제어하는 쿼드런트 인너커버.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차량의 시동이 오프(OFF) 상태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차량의 도어가 락킹되면 상기 개구부를 통해 노출된 상기 후방 미러가 다시 비노출되도록 상기 구동장치를 제어하는 쿼드런트 인너커버.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미러 장치는,
    상기 쿼드런트 인너커버 패널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개구부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형성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에 상측 및 하측 단부가 각각 결합하는 회전축을 가지며 상기 개구부와 상응하도록 배치되는 몸통부; 및
    상기 몸통부의 일부에 부착되는 것으로 상기 개구부의 크기와 상응하는 크기를 갖는 후방 미러를 포함하는 쿼드런트 인너커버.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미러 장치는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제1 기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제1 기어부와 맞물려 상기 제1 기어부를 회전시키는 제2 기어부와, 상기 제2 기어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박스를 포함하는 쿼드런트 인너커버.
KR1020160155466A 2016-11-22 2016-11-22 후방 미러를 갖는 쿼드런트 인너커버 KR1018203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5466A KR101820325B1 (ko) 2016-11-22 2016-11-22 후방 미러를 갖는 쿼드런트 인너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5466A KR101820325B1 (ko) 2016-11-22 2016-11-22 후방 미러를 갖는 쿼드런트 인너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0325B1 true KR101820325B1 (ko) 2018-01-19

Family

ID=61025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5466A KR101820325B1 (ko) 2016-11-22 2016-11-22 후방 미러를 갖는 쿼드런트 인너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032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9234B1 (ko) * 2009-06-02 2010-05-19 황형근 자동차용 아웃사이드 미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9234B1 (ko) * 2009-06-02 2010-05-19 황형근 자동차용 아웃사이드 미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715423B (zh) 车门外侧把手装置、车门及车辆
KR101820325B1 (ko) 후방 미러를 갖는 쿼드런트 인너커버
KR100976923B1 (ko) 자동 접이식 사이드 미러 조립체
EP3148174B1 (en) Device for capturing optical information
KR102654582B1 (ko) 차체 판넬 내부에 위치하는 카메라 미러 시스템 구조
KR101287858B1 (ko) 안전주차를 위한 카메라장치
KR20030077693A (ko) 자동차의 눈부심 제거용 편광판
KR101866311B1 (ko) 개폐 조절이 용이한 선루프
JP6793082B2 (ja) 車両用後方確認システム
CN202966143U (zh) 汽车后视镜装置
CN219487128U (zh) 一种遮光装置以及车辆
JP3232035U (ja) 自動車用補助サンバイザー
KR200273133Y1 (ko) 자동차용 선그라스 보관함
JPH0848145A (ja) 車両用サンバイザ装置
KR20190010336A (ko) 차량용 사이드 미러
KR200200844Y1 (ko) 자동차의 사이드미러 자동 제어장치
KR100503255B1 (ko) 자동차의 사이드 미러
KR950002753Y1 (ko) 자동차 사이드미러의 자동개폐장치
KR100212262B1 (ko) 자동차의 실내 접이식 백미러
KR19980051760U (ko) 승객용 보조미러
JPH01269637A (ja) 自動車用アウトサイドミラー
KR20240000054A (ko) 자동차용 이중 선바이저
CN114872625A (zh) 一种开门后视镜随动控制方法
KR200154053Y1 (ko) 자동차의 반투명 선바이저
KR200357031Y1 (ko) 자동차 인스트르먼트 패널 햇빛반사 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