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4582B1 - 차체 판넬 내부에 위치하는 카메라 미러 시스템 구조 - Google Patents

차체 판넬 내부에 위치하는 카메라 미러 시스템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4582B1
KR102654582B1 KR1020190053719A KR20190053719A KR102654582B1 KR 102654582 B1 KR102654582 B1 KR 102654582B1 KR 1020190053719 A KR1020190053719 A KR 1020190053719A KR 20190053719 A KR20190053719 A KR 20190053719A KR 102654582 B1 KR102654582 B1 KR 1026545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mirror
gear
panel
vehicle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37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9394A (ko
Inventor
공락경
장승혁
조현
이기홍
박종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537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4582B1/ko
Priority to US16/683,346 priority patent/US11577664B2/en
Priority to EP19209020.7A priority patent/EP3736174B1/en
Priority to CN201911143296.1A priority patent/CN111907420A/zh
Publication of KR202001293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93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45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45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12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4Mounting of cameras operative during driv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relative to the vehicl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9/00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 F16H19/02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19/04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comprising a r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12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 B60R2001/1253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with cameras, video cameras or video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4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outside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integrated articles, i.e. not substantially protruding from the surrounding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2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collapsible, e.g. for storing after 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4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adjustment by linear movement in their operational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92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motoriz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1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amera system used
    • B60R2300/101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amera system used using cameras with adjustable capturing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1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amera system used
    • B60R2300/105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amera system used using multiple camer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8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intended use of the viewing arrangement
    • B60R2300/8046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intended use of the viewing arrangement for replacing a rear-view mirror system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71Toothed gearing
    • E05Y2201/716Pin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71Toothed gearing
    • E05Y2201/722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체 판넬 내부에 위치하는 카메라 미러 시스템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체 판넬 내부에 위치하는 카메라 미러 시스템 구조는 차량의 후방 시야를 제공하기 위한 카메라 미러 시스템, 상기 카메라 미러 시스템을 감싸도록 위치하고, 차량의 판넬 외측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되는 카메라 미러 하우징, 구동부로부터 구동력을 인가받도록 구성되는 카메라 미러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카메라 미러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카메라 미러 프레임과 연동하여 상기 카메라 미러 어셈블리를 차량의 판넬 외측으로 이동하고 차량의 외측 판넬의 커버부가 개방 되도록 구성되는 차체 판넬 내부에 위치하는 카메라 미러 시스템 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차체 판넬 내부에 위치하는 카메라 미러 시스템 구조{Structure for Camera Mirror System Disposed inside the Panel of Vehicle}
본 발명은 차체 판넬에 위치하는 카메라 미러 시스템 구조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판넬 내측에 위치하여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판넬 외부로 돌출되도록 구성되는 카메라 미러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하나의 구동부를 포함하여 판넬의 개폐와 더불어 카메라 미러 어셈블리의 돌출을 구동할 수 있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미러 시스템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실내 중앙 전방에 설치된 룸미러와 사이드미러를 이용하여 차선 변경을 하고 있는데, 이때 운전자는 진행방향의 사이드미러를 주시하며 차선 변경시 사각지대에서 주행하던 차량 또는 전방에 운행하는 차량과 사고를 일으키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차량 주·정차시 기존의 사이드미러는 외부에 돌출된 상태에서 접히도록 되어있어, 사이드미러의 물리적 충격에 의해 파손되고 있다.
이에 최근 들어, 외장 카메라 렌즈를 통해 차량의 외부 상황을 화면으로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CMS(camera mirror system)이 각광을 받고 있다.
이처럼, CMS 시스템을 도입한 차량의 경우, 차량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외장 카메라를 통해 차량의 외부 상황을 촬영하고, 차량 내부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부에 외장 카메라에 촬영된 영상을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도 1은 종래 기술로서, 차량 외측면에 회전하여 돌출되는 외장 카메라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도어(11) 일측에 위치하는 외장 카메라(20)를 포함하고 있으며, 외장 카메라는 제 1렌즈(30) 및 제 2렌즈(31)를 포함하여 도어 내측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다만, 도어에 삽입되어 돌출되도록 구성되는 외장 카메라는 상기 외장 카메라가 도어에 삽입되더라도 외부로 돌출된 형상을 그대로 노출하여 파손 및 도난의 위험이 존재하였다.
또한, 도어에 접이식 방식을 통해 인입되도록 구성되는 외장 카메라의 경우, 돌출되는 돌출량이 한정되어 측후방 시야의 확보가 사실상 어려운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특허문헌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7-006348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차량의 판넬 내측에 위치하는 카메라 미러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선택적으로 돌출되는 카메라 미러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카메라 미러 시스템의 돌출과 연동하도록 차체 판넬에 위치하는 개구부를 개폐하는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차체 판넬 내부에 위치하는 카메라 미러 시스템 구조는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차체 판넬 내부에 위치하는 카메라 미러 시스템은 차량의 후방 시야를 제공하기 위한 카메라 미러 시스템; 상기 카메라 미러 시스템을 감싸도록 위치하고, 차량의 판넬 외측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되는 카메라 미러 하우징; 구동부로부터 구동력을 인가받도록 구성되는 카메라 미러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카메라 미러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카메라 미러 프레임과 연동하여 상기 카메라 미러 어셈블리를 차량의 판넬 외측으로 이동하고 차량의 외측 판넬의 커버부가 개방 되도록 구성되는 차체 판넬 내부에 위치하는 카메라 미러 시스템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구동장치를 통해 구동력을 인가받는 구동기어; 상기 카메라 미러 프레임의 일단과 연결되고, 상기 구동기어의 외경을 따라 회전하는 회전기어; 및 일단이 상기 구동기어와 접하여 차량의 폭 방향으로 이동하고, 타단이 상기 외측 판넬 커머부와 연동하도록 구성되는 랙기어;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차체 판넬 내부에 위치하는 카메라 미러 시스템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판넬 커버부의 내측 일단에는 상기 랙기어와 연동하여 차량의 판넬 내측으로 회전이동하도록 구성되는 피니언기어;를 더 포함하는 차체 판넬 내부에 위치하는 카메라 미러 시스템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구동기어는 중심축이 고정되고 상기 회전기어가 상기 구동기어의 외측면을 따라 회전하도록 구성되는바, 상기 회전기어가 상기 구동기어의 차량의 판넬과 가까운 일단에 위치하는 경우, 카메라 미러 어셈블리가 차량 판넬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되는 차체 판넬 내부에 위치하는 카메라 미러 시스템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구동기어는 중심축이 고정되고, 상기 회전기어가 상기 구동기어의 외측면을 따라 회전하도록 구성되는바, 상기 회전기어가 상기 구동기어의 차량의 판넬과 먼 일단에 위치하는 경우, 카메라 미러 어셈블리가 차량 판넬 내측으로 인입되도록 구성되는 차체 판넬 내부에 위치하는 카메라 미러 시스템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카메라 미러 어셈블리가 차량의 판넬 외측으로 돌출되는 경우, 상기 카메라 미러 하우징의 적어도 일단에 위치하고, 상기 판넬 내측에 걸리도록 구성되는 정지부;를 더 포함하는 차체 판넬 내부에 위치하는 카메라 미러 시스템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구동부를 감싸듯이 구성되는 구동부 하우징;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차체 판넬 내부에 위치하는 카메라 미러 시스템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회전기어는 상기 구동부 하우징에 위치하는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돌기부;를 더 포함하는 차체 판넬 내부에 위치하는 카메라 미러 시스템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구동기어는 상기 피니언기어와 상기 회전기어가 각각 마주하도록 구성되는 두 개의 기어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차체 판넬 내부에 위치하는 카메라 미러 시스템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카메라 미러 프레임은 상기 회전기어의 중심축에 고정되어 상기 카메라 미러 어셈블리가 상기 카메라 미러 프레임의 길이방향에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차체 판넬 내부에 위치하는 카메라 미러 시스템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구동환경에 따라 차체 판넬 내측에 위치하는 카메라 미러 시스템을 제공하여 외부 환경으로부터 안전한 카메라 미러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펜더와 인접한 영역에 위치하는 카메라 미러 시스템을 제공하여 더욱 넓은 후방 시야를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종래 기술로서, 카메라 미러 시스템을 포함하는 차량의 구성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차체 판넬 내부에 위치하는 카메라 미러 시스템 구조로서, 카메라 미러 어셈블리가 인입된 상태의 차량 구성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차체 판넬 내부에 위치하는 카메라 미러 시스템 구조로서, 카메라 미러 어셈블리가 돌출된 상태의 차량 구성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차체 판넬 내부에 위치하는 카메라 미러 시스템 구조로서, 차량 내측에 위치하는 카메라 미러 어셈블리 및 구동부의 체결관계를 도시하고 있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차체 판넬 내부에 위치하는 카메라 미러 시스템 구조로서, 차량 외측으로 돌출된 카메라 미러 어셈블리 작동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차체 판넬 내부에 위치하는 카메라 미러 시스템 구조로서, 차량 내측으로 인입된 상태의 카메라 미러 어셈블리 작동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차체 판넬 내부에 위치하는 카메라 미러 시스템 구조로서, 차량 내측으로 인입된 카메라 미러 어셈블리와 닫힌 상태의 커버부의 작동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5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차체 판넬 내부에 위치하는 카메라 미러 시스템 구조로서, 차량 내측으로 인입된 카메라 미러 어셈블리와 닫힌 상태의 커버부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차체 판넬 내부에 위치하는 카메라 미러 시스템 구조로서, 차량 외측으로 돌출된 카메라 미러 어셈블리 작동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차체 판넬 내부에 위치하는 카메라 미러 시스템 구조로서, 차량 내측에 위치하여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되는 카메라 미러 어셈블리 작동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차체 판넬 내부에 위치하는 카메라 미러 시스템 구조로서, 차량 내측에 위치하여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되는 카메라 미러 어셈블리와 개방된 상태의 커버부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차체 판넬 내부에 위치하는 카메라 미러 시스템 구조의 구동부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어", "...어셈블리"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구성의 명칭을 제1, 제2 등으로 구분한 것은 그 구성의 명칭이 동일한 관계로 이를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하기의 설명에서 반드시 그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카메라 미러 시스템(110)에 관한 것으로, 더 바람직하게, 카메라 미러 시스템(110)을 포함하는 카메라 미러 어셈블리(100)가 차체의 판넬(300) 내측에 위치하고,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판넬(300)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구동력을 인가하는 차체 판넬(300) 내부에 위치하는 카메라 미러 시스템(110)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카메라 미러 시스템(110)은 카메라를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차량의 측후방을 촬영하도록 구성되는바, 차량의 실내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미도시)에 상기 촬영된 영상을 전송하여 별도의 미러부가 존재하지 않는 상태에서도 차량의 측 후방 영상을 차량 내측으로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는 각각 차량의 좌 우측에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와 각각 연결되는 좌측 카메라와 우측 카메라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카메라 미러 시스템(110)은 좌우측 카메라를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차량의 좌 우측에 대칭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판넬(300)은 차량의 차체를 대상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차량의 전방 펜더 판넬(300)에 위치하는 카메라 미러 어셈블리(100) 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다만, 카메라 미러 어셈블리(100)가 위치하는 판넬(300)의 위치는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차량의 좌측에 위치하는 카메라 미러 어셈블리(100) 구성과 펜더 판넬(300)을 대상으로 설명을 수행하도록 하겠다.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전방 펜더 판넬(300)에 위치하는 카메라 미러 어셈블리(100)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전방 펜더 판넬(300)의 좌우측에 위치하는 카메라 미러 어셈블리(100)를 개시하고 있는바, 사용자의 요청 또는 차량의 시동시 펜더 판넬(300) 외측으로 카메라 미러 어셈블리(100)의 적어도 일부가 돌출되도록 구성된다.
도 2에 개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시도 오프시 또는 사용자의 요청(차량의 정차시 등)이 인가되는 경우 카메라 미러 어셈블리(100)는 차량의 펜더 판넬(300) 내측으로 인입되어 판넬(300) 커버부(310)에 의해 카메라 미러 어셈블리(10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다만, 차량의 시동 온 또는 주행요청(엑셀 전개 등)이 인가되는 경우, 차량이 판넬(300) 내측에 위치하는 카메라 미러 어셈블리(100)의 적어도 일부가 판넬(300) 외부로 돌출되도록 구성된다.
도 3은 판넬(300) 외부로 돌출되는 카메라 미러 어셈블리(100) 구성을 도시하고 있는바, 차량의 속도 또는 사용자가 요청하는 측후방 영상의 폭 길이에 따라 돌출되는 카메라 미러 어셈블리(100)의 돌출량이 결정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서 돌출되는 카메라 미러 어셈블리(100)의 돌출량은 카메라 미러 프레임(130)이 회전기어(220)와 연결되는 위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는바, 회전기어(220)의 편심 축에 위치하는 카메라 미러 프레임(130)을 포함하는 경우, 회전기어(220)의 위치에 따라 카메라 미러 어셈블리(100)의 돌출량이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구동기어(210) 외주면에 위치하는 회전기어(220)의 위치에 따라 카메라 미러 어셈블리(100)의 돌출량이 선택적으로 결정될 수 있으며, 카메라 미러 시스템(110)을 통해 촬영되는 영상을 선택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더욱이, 카메라 미러 시스템(110)의 돌출량은 차량의 속도와 연계하여 제어부를 통해 자동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카메라 미러 어셈블리(100)는 차량의 시동 온 또는 사용자의 엑셀 페달의 입력이 인가되는 경우 판넬(300)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에서는 카메라 미러 어셈블리(100)와 구동부(200)간의 결합관계를 도시하고 있는바, 판넬(300) 커버부(310) 내측에 위치하는 카메라 미러 시스템(110), 카메라 미러 시스템(110)을 감싸듯이 구성되는 카메라 미러 하우징(120) 및 카메라 미러 하우징(120)의 내측단과 연결되는 카메라 미러 프레임(130)을 포함하여 카메라 미러 어셈블리(100)를 구성한다.
또한, 카메라 미러 어셈블리(100)에 구동력을 인가하여 카메라 미러 하우징(120)의 일부가 판넬(300)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되는 구동부(200)를 포함하는바, 구동부(200)는 차량에 위치하여 구동력을 인가하도록 구성되는 구동장치, 구동장치와 체결되어 일방향 또는 회전방향으로 구동력을 인가하도록 구성되는 구동기어(210), 구동기어(210)를 따라 이동하고, 카메라 미러 프레임(130)과 체결되도록 구성되는 회전기어(220)를 포함한다.
더욱이, 카메라 미러 어셈블리(100)를 차량의 폭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동력을 인가하는 구동기어(210)는 적어도 두 개의 플레이트 형상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는바, 제 1구동플레이트(210a)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기어(220)가 회전이동하도록 구성되고, 제 2구동플레이트(210b)와 기어연결되도록 구성되는 랙기어(230)는 차량의 폭 방향으로 이동하여 판넬(300) 커버부(310)의 내측에 위치하는 기어와 체결되어 상기 커버부(310)가 개방되도록 구성된다.
더 바람직하게, 판넬(300) 커버부(310) 내측 일단은 피니언기어(320)로 구성되어 구동부(200) 하우징 하단에 위치하는 랙기어(230)가 차량의 폭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커버부(310)가 회전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카메라 미러 어셈블리(100)는 회전기어(220)와 연결되도록 구성되는바, 카메라 미러 프레임(130)의 일단은 카메라 미러 하우징(120)은 회전 자유도가 인가되도록 결합되고, 카메라 미러 프레임(130)의 타단은 회전기어(220)와 회전 자유도가 인가되도록 체결되어 상기 회전기어(220)가 구동기어(210)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카메라 미러 하우징(120)이 상기 회전기어(220)의 수평 이동거리만큼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즉, 회전기어(220)는 구동기어(210)의 구동플레이트의 외주면을 따라 기어 결합되도록 구성되고, 회전기어(220)의 회전이동시 카메라 미러 프레임(130)은 차량 폭 방향의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되어 카메라 미러 어셈블리(100)의 차량의 폭방향 이동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회전기어(220)는 제 1구동플레이트(210a)와 마주하도록 구성되어, 차량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제 2구동플레이트(210b)와 마주하여 수평이동되도록 구성되는 랙기어(230)와 간섭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도 5a는 카메라 미러 어셈블리(100)와 차량 내측에 위치하는 구동부(200)간의 이동관계를 측면에서 바라본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판넬(300) 외측으로 돌출된 카메라 미러 시스템(110)을 포함하고, 구동부(200)와 체결되도록 구성되는 카메라 미러 프레임(130)을 도시하고 있다.
더욱 자세하게, 회전기어(220)의 중심축과 일치하는 위치에 체결되는 카메라 미러 프레임(130)을 구성하고 있는바, 회전기어(220)는 구동기어(210)의 외경과 기어연결되어 상기 구동기어(210)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구동기어(210)의 외측단과 접촉한 상태로 회전이동된다.
더 바람직하게, 구동기어(210)를 구성하는 다수의 플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 이상과 체결되는 회전기어(220)를 포함하고 있으며, 또 다른 플레이트와 마주하는 랙기어(230)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어, 회전기어(220)의 회전과 동시에 랙기어(230)가 차량의 폭 방향을 따라 수평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기어(21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랙기어(230)는 구동기어(210)의 회전력이 인가되어 차량의 폭 방향으로 수평이동되도록 구성되고, 회전기어(220)는 구동기어(210)의 외주면을 따라 상기 회전기어(220)의 중심축이 시계방향으로 회전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회전기어(220)의 중심축은 차량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판넬(300)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는바, 회전기어(220)와 체결되는 카메라 미러 프레임(130)이 회전기어(220)와 일체로 판넬(300)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카메라 미러 어셈블리(100)가 판넬(300) 개구부 내측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더욱이,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미러 하우징(120)이 판넬(300) 내측으로 인입되도록 이동하는 경우, 랙기어(230)는 판넬(300) 안쪽에서 판넬(300)과 가까운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도 5b에서는 카메라 미러 어셈블리(100)가 판넬(300) 내측으로 인입된 순간의 구동부(200)의 이동관계를 도시하고 있다.
구동기어(210)의 시계 방향으로 회전을 지속하여 상기 구동기어(210) 외주면을 따라 판넬(300)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기어(220)를 이동시키는 경우, 카메라 미러 프레임(130)을 통해 연결되는 카메라 미러 어셈블리(100)는 판넬(300) 내측으로 인입되도록 구성된다.
카메라 미러 어셈블리(100)가 판넬(300) 내측으로 인입된 경우, 구동기어(210)의 하면에 위치하는 랙기어(230)는 판넬(300) 커버부(310)의 배면에 위치하는 피니언기어(320)와 체결되도록 구성되는바, 커버부(310)가 피니언기어(320)의 회전방향을 따라 회전이동 하도록 구성된다.
판넬(300) 커버부(310)의 배면은 피니언기어(320)와 로드로 연결되어 피니언기어(320)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이동된다. 또한, 랙기어(230)가 판넬(300) 내측면과 가까운 방향으로 수평이동하는 경우, 피니언기어(320)는 커버부(310)가 판넬(300)의 개구부를 덮는 위치로 회전이동되도록 구성된다.
도 5c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랙기어(230)가 판넬(300)의 내측면과 가까운 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커버부(310)가 차량의 길이 방향 중 적어도 일 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개구부를 덮도록 피니언기어(320)를 위치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요청 또는 차량의 운행 조건에 따라 카메라 미러 어셈블리(100)가 판넬(300) 내측으로 인입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카메라 미러 어셈블리(100)가 인입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장치에 의해 판넬(300) 커버부(310)가 회전이동 하도록 구성된다.
더 바람직하게, 카메라 미러 어셈블리(100)가 판넬(300) 개구부 내측으로 인입된 이후, 판넬(300) 커버부(310)가 회전되도록 구성되어 카메라 미러 어셈블리(100)와 커버부(310)간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피니언기어(320)와 랙기어(230)간의 체결을 수행하는 거리를 설정할 수 있다.
도 5d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면 모식도를 도시하고 있는바, 회전기어(220)가 구동기어(210)를 따라 판넬(300) 내측면과 먼 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커버부(310)가 닫혀있는 형상을 도시하고 있다.
더욱이, 회전기어(220)는 구동기어(210)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되도록 구동부(200) 하우징에는 적어도 한면에 위치하는 가이드부(240)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회전기어(220)의 중심축에 위치하는 돌기부(221)가 가이드부(240)에 인입되어 상기 구동기어(210)를 따라 회전이동하도록 구성된다.
더 바람직하게, 제 1구동플레이트(210a)의 양측면에는 상기 회전기어(220)의 중심축 양단에 위치하는 돌기부(221)가 인입되도록 구성되는 가이드부(240)를 모두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b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판넬(300) 내부로 인입되어 있는 카메라 미러 어셈블리(100)가 판넬(300) 외부로 돌출되도록 구동되는 구동관계를 도시하고 있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넬(300) 내부에 위치하는 카메라 미러 어셈블리(100)는 사용자의 요청 또는 구동환경에 따라 판넬(300)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이동되는바, 구동장치를 통해 구동부(200)로 구동력이 인가되고, 인가된 구동력이 카메라 미러 하우징(120)의 적어도 일부를 판넬(300) 외측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즉, 구동기어(210)는 카메라 미러 어셈블리(100)의 돌출을 수행하도록 도 5a 및 도 5b(시계 방향)와 비교하여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고, 구동기어(210)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이동하도록 구성되는 회전기어(220)는 판넬(300) 내측면과 가까운 방향으로 이동되는바, 상기 회전기어(220)와 체결된 카메라 미러 프레임(130)을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더욱이, 회전기어(220)와 서로 다른 플레이트 상에 구동기어(210)와 기어연결되도록 구성되는 랙기어(230)는 차량의 판넬(300) 내측면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수평 이동되도록 구성되어, 피니언기어(320)와 일체로 구성되는 판넬(300) 커버부(310)가 개방되도록 상기 커버부(310)를 회전이동하도록 구성된다.
더 바람직하게, 판넬(300) 커버부(310)가 선행하여 개방되도록 랙기어(230)가 이동되고, 카메라 미러 하우징(120)이 판넬(300)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되도록 구동기어(210), 회전기어(220) 및 랙기어(230)의 구동관계를 설정할 수 있다.
도 6b에서는 판넬(300) 커버부(310)가 선행하여 개방된 상태에서 카메라 미러 어셈블리(100)가 판넬(300) 외측으로 돌출되기 시작한 상태의 구성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랙기어(230)를 통해 피니언기어(320)가 회전하도록 구성되고, 피니언기어(320)와 일체로 결합되는 판넬(300) 커버부(310)가 회전하여 판넬(300) 내측부로 개방되도록 구성된다.
더 바람직하게, 피니언기어(320)와 일체로 결합되는 커버부(310)는 랙기어(230)의 최초 구동에 따라 미리 설정된 깊이만큼 판넬(300) 내측으로 이동하고, 피니언기어(320)의 회전에 의해 커버부(310)가 판넬(300) 내측으로 인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판넬(300) 커버부(310)는 판넬(300)과 간섭없이 차량의 내측으로 회전이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동기어(210)가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이동하는 경우, 회전기어(220)의 중심축 또한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이동하도록 구성되는바, 구동부(200) 하우징에 위치하는 가이드부(240)를 따라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더욱이, 회전기어(220)의 중심축에 위치하는 돌기부(221)가 가이드부(240)에 삽입되어 이동되도록 구성되는바, 회전기어(220)가 구동기어(210)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회전기어(220)의 이동에 따라 카메라 미러 어셈블리(100)의 적어도 일부는 판넬(300)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된다.
도 6c는 본 발명의 카메라 미러 어셈블리(100)가 판넬(300)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에서의 구성도를 도시하고 있는바, 카메라 미러 하우징(120) 일단에 위치하는 정지부(121)는 카메라 미러 어셈블리(100)가 판넬(300) 외측으로 돌출되는 최대 돌출량을 제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정지부(121)는 카메라 미러 어셈블리(100)의 최대 돌출량을 갖는 경우, 판넬(300)의 내측면과 마주하도록 구성되는바, 카메라 미러 어셈블리(100)가 최대 돌출되는 경우에도 카메라 미러 하우징(120)의 적어도 일부는 판넬(300) 내측에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도 7은 구동부(200)의 구성으로서, 다수의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구동기어(210)와 상기 구동기어(210)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이동하는 회전기어(220) 및 구동기어(210)와 회전기어(220) 및 랙기어(230)가 위치하도록 구성되는 구동부(200) 하우징을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구동부(200)는 구동기어(210), 회전기어(220) 및 랙기어(230)를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기어는 구동부(200) 하우징 내측면에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구동부(200) 하우징 내측면에는 두 개의 플레이트로 구성되는 구동기어(210)가 위치하도록 구성되고, 제 1구동플레이트(210a)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이동하는 회전기어(220)가 하우징 내측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부(240)를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더 바람직하게, 구동부(200) 하우징은 제 1구동플레이트(210a) 양측면에 위치하는 두 개의 가이드부(240)를 포함하도록 구성되고, 회전기어(220) 중심축 양단으로 연장되어 상기 가이드부(240)에 각각 인입되도록 구성되는 돌기부(221)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구동플레이트(210b)의 하면에는 커버부(310) 내측에 위치하는 기어와 체결되도록 구성되는 랙기어(230)를 포함할 수 있는바, 구동기어(210)의 회전력이 수평방향의 장력으로 변환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랙기어(230)는 차량의 폭 방향과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바, 커버부(310) 배면에 위치하는 피니언기어(320)와 체결되어 상기 커버부(310)의 회전력을 인가하도록 구성된다.
더 바람직하게, 랙기어(230)가 커버부(310)를 선행하여 회전하도록 구성되고, 카메라 미러 어셈블리(100)가 판넬(300)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회전기어(220)가 이동될 수 있는바, 판넬(300)의 개구부가 개방된 이후 카메라 미러 어셈블리(100)의 수평방향 이동이 이루어 지도록 회전기어(220)와 랙기어(230)의 구동관계를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회전기어(220)가 구동기어(210)의 외주면을 이동하여 카메라 미러 어셈블리(100)가 판넬(300) 내측면과 마주하도록 이동되는 시간이 랙기어(230)가 구동기어(210)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이동하여 피니언기어(320)를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시간 보다 길도록 기어비를 설정하여 개구부를 확보한 이후 카메라 미러 어셈블리(100)가 차량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차체 판넬(300) 내부에 위치하는 카메라 미러 시스템(110) 구조는 차체 판넬(300)의 간섭없이 카메라 미러 어셈블리(100)의 수평 방향 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기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기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차량
100: 카메라 미러 어셈블리
110: 카메라 미러 시스템
120: 카메라 미러 하우징
121: 정지부
130: 카메라 미러 프레임
200: 구동부
210: 구동기어
210a: 제 1구동플레이트
210b: 제 2구동플레이트
220: 회전기어
221: 돌기부
230: 랙기어
240: 가이드부
300: 판넬
310: 개구부
320: 피니언기어

Claims (10)

  1. 차량의 후방 시야를 제공하기 위한 카메라 미러 시스템;
    상기 카메라 미러 시스템을 감싸도록 위치하고, 차량의 판넬 외측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되는 카메라 미러 하우징;
    구동부로부터 구동력을 인가받도록 구성되는 카메라 미러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카메라 미러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카메라 미러 프레임과 연동하여 상기 카메라 미러 어셈블리를 차량의 판넬 외측으로 이동하고 차량의 외측 판넬의 커버부가 개방 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구동부는,
    구동장치를 통해 구동력을 인가받는 구동기어;
    상기 카메라 미러 프레임의 일단과 연결되고, 상기 구동기어의 외경을 따라 회전하는 회전기어; 및
    일단이 상기 구동기어와 접하여 차량의 폭 방향으로 이동하고, 타단이 상기 외측 판넬 커버부와 연동하도록 구성되는 랙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 미러 프레임은 상기 회전기어의 중심축에 고정되어 상기 카메라 미러 어셈블리가 상기 카메라 미러 프레임의 길이방향에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차체 판넬 내부에 위치하는 카메라 미러 시스템 구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판넬 커버부의 내측 일단에는 상기 랙기어와 연동하여 차량의 판넬 내측으로 회전이동하도록 구성되는 피니언기어;를 더 포함하는 차체 판넬 내부에 위치하는 카메라 미러 시스템 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어는 중심축이 고정되고 상기 회전기어가 상기 구동기어의 외측면을 따라 회전하도록 구성되는바,
    상기 회전기어가 상기 구동기어의 차량의 판넬과 가까운 일단에 위치하는 경우, 카메라 미러 어셈블리가 차량 판넬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되는 차체 판넬 내부에 위치하는 카메라 미러 시스템 구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어는 중심축이 고정되고, 상기 회전기어가 상기 구동기어의 외측면을 따라 회전하도록 구성되는바,
    상기 회전기어가 상기 구동기어의 차량의 판넬과 먼 일단에 위치하는 경우, 카메라 미러 어셈블리가 차량 판넬 내측으로 인입되도록 구성되는 차체 판넬 내부에 위치하는 카메라 미러 시스템 구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미러 어셈블리가 차량의 판넬 외측으로 돌출되는 경우,
    상기 카메라 미러 하우징의 적어도 일단에 위치하고, 상기 판넬 내측에 걸리도록 구성되는 정지부;를 더 포함하는 차체 판넬 내부에 위치하는 카메라 미러 시스템 구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를 감싸듯이 구성되는 구동부 하우징;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차체 판넬 내부에 위치하는 카메라 미러 시스템 구조.
  8. 차량의 후방 시야를 제공하기 위한 카메라 미러 시스템;
    상기 카메라 미러 시스템을 감싸도록 위치하고, 차량의 판넬 외측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되는 카메라 미러 하우징;
    구동부로부터 구동력을 인가받도록 구성되는 카메라 미러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카메라 미러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카메라 미러 프레임과 연동하여 상기 카메라 미러 어셈블리를 차량의 판넬 외측으로 이동하고 차량의 외측 판넬의 커버부가 개방 되도록 구성되는며,
    상기 구동부는,
    구동장치를 통해 구동력을 인가받는 구동기어;
    상기 카메라 미러 프레임의 일단과 연결되고, 상기 구동기어의 외경을 따라 회전하는 회전기어;
    일단이 상기 구동기어와 접하여 차량의 폭 방향으로 이동하고, 타단이 상기 외측 판넬 커버부와 연동하도록 구성되는 랙기어; 및
    상기 구동부를 감싸듯이 구성되는 구동부 하우징;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기어는 상기 구동부 하우징에 위치하는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돌기부;를 더 포함하는 차체 판넬 내부에 위치하는 카메라 미러 시스템 구조.
  9.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어는 상기 피니언기어와 상기 회전기어가 각각 마주하도록 구성되는 두 개의 기어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차체 판넬 내부에 위치하는 카메라 미러 시스템 구조.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미러 프레임은 상기 회전기어의 중심축에 고정되어 상기 카메라 미러 어셈블리가 상기 카메라 미러 프레임의 길이방향에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차체 판넬 내부에 위치하는 카메라 미러 시스템 구조.
KR1020190053719A 2019-05-08 2019-05-08 차체 판넬 내부에 위치하는 카메라 미러 시스템 구조 KR1026545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3719A KR102654582B1 (ko) 2019-05-08 2019-05-08 차체 판넬 내부에 위치하는 카메라 미러 시스템 구조
US16/683,346 US11577664B2 (en) 2019-05-08 2019-11-14 Pop-up apparatus for camera mirror system disposed inside panel of vehicle
EP19209020.7A EP3736174B1 (en) 2019-05-08 2019-11-14 Pop-up apparatus for camera mirror system disposed inside panel of vehicle
CN201911143296.1A CN111907420A (zh) 2019-05-08 2019-11-20 用于设置在车辆面板内的相机镜系统的弹出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3719A KR102654582B1 (ko) 2019-05-08 2019-05-08 차체 판넬 내부에 위치하는 카메라 미러 시스템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9394A KR20200129394A (ko) 2020-11-18
KR102654582B1 true KR102654582B1 (ko) 2024-04-03

Family

ID=68581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3719A KR102654582B1 (ko) 2019-05-08 2019-05-08 차체 판넬 내부에 위치하는 카메라 미러 시스템 구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577664B2 (ko)
EP (1) EP3736174B1 (ko)
KR (1) KR102654582B1 (ko)
CN (1) CN11190742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04186B (zh) * 2022-03-23 2023-04-25 山东交通学院 一种即时勘察的车险事故警示机器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63309A (ja) * 2001-08-30 2003-03-05 Tokai Rika Co Ltd 車両用撮像装置及び車両用監視装置
WO2016056088A1 (ja) * 2014-10-08 2016-04-14 三菱電機株式会社 車載カメラ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21200A (en) * 1990-07-06 1992-06-09 Choi Seung Lyul Travelling monitoring system for motor vehicles
US6975347B1 (en) * 2000-07-20 2005-12-1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acquiring and displaying images
US20030202097A1 (en) * 2000-10-26 2003-10-30 Autoliv Development Ab Night vision arrangement
JP3854499B2 (ja) * 2001-12-03 2006-12-06 株式会社村上開明堂 カメラ内蔵型アウター用バックミラー
DE10234483A1 (de) * 2002-07-29 2004-02-12 Mekra Lang Gmbh & Co. Kg Bewegliche Kamera für ein Fahrzeug mit Kastenaufbau, insbesondere mit einem Planenaufbau
WO2004047421A2 (en) * 2002-11-14 2004-06-03 Donnelly Corporation Imaging system for vehicle
JP3979330B2 (ja) * 2003-04-02 2007-09-1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画像表示装置
DE102006023103A1 (de) * 2006-05-16 2007-11-22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Vorrichtung zur Bilderfassung des Außenbereichs von einem Fahrzeug mittels einer Kamera
KR20070063485A (ko) 2007-05-30 2007-06-19 배철완 자동차용 자동 접이식 카메라
JP2011228957A (ja) * 2010-04-20 2011-11-10 Fujitsu Ten Ltd カメラユニット取付方法及びカメラユニット
DE102013001721A1 (de) * 2013-02-01 2014-08-07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Hallstadt Kameraverstelleinheit für ein Fahrzeug
US10543787B2 (en) * 2015-02-27 2020-01-28 Gentex Corporation Full display mirror with rack-and-pinion actuator
NL2015468B1 (nl) * 2015-09-18 2017-04-19 MCI (Mirror Controls International) Netherlands B V Beweegbare beeldopname inrichting en voertuig voorzien van een dergelijke inrichting.
JP2017171137A (ja) * 2016-03-24 2017-09-28 ソニー株式会社 撮像部支持装置
US20170341595A1 (en) 2016-05-26 2017-11-30 Dura Operating, Llc Multifunctional electronic armature
CN108512953B (zh) * 2017-09-27 2023-12-05 深圳市兆威机电股份有限公司 手机摄像头伸缩装置及手机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63309A (ja) * 2001-08-30 2003-03-05 Tokai Rika Co Ltd 車両用撮像装置及び車両用監視装置
WO2016056088A1 (ja) * 2014-10-08 2016-04-14 三菱電機株式会社 車載カメラ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577664B2 (en) 2023-02-14
KR20200129394A (ko) 2020-11-18
US20200353877A1 (en) 2020-11-12
EP3736174A1 (en) 2020-11-11
EP3736174B1 (en) 2022-04-06
CN111907420A (zh) 2020-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21410B2 (en) Pivoting mechanism for movably attaching a camera to a vehicle
US7355629B2 (en) Internally mounted, movable camera for vehicles
JP2018531831A (ja) 可動画像記録デバイスおよびそうしたデバイスを備えた車両
CN109715423B (zh) 车门外侧把手装置、车门及车辆
WO2018061680A1 (ja) 車両用視認装置
KR20190006252A (ko) 차량용 사이드 촬영장치
KR102654582B1 (ko) 차체 판넬 내부에 위치하는 카메라 미러 시스템 구조
JPH11245729A (ja) 車両用後方確認装置
JPH03266740A (ja) 車載用後方確認カメラ
WO1998015427A1 (fr) Vehicule
EP3148174B1 (en) Device for capturing optical information
JPH05338492A (ja) 可動式車載カメラ装置
KR20240000743A (ko) 차체 판넬에 위치하는 카메라 모니터링 시스템 구조
JP2019014456A (ja) 車両用表示装置
KR20190001082A (ko) 사이드미러리스형 자동차
CN219133997U (zh) 后视镜辅助摄像装置及车辆
KR101820325B1 (ko) 후방 미러를 갖는 쿼드런트 인너커버
JPH0490934A (ja) 車両用表示装置
KR200439329Y1 (ko) 차량용 다축 백미러 구조
KR950002753Y1 (ko) 자동차 사이드미러의 자동개폐장치
JP3028088B2 (ja) 広角サイドミラー装置
JP2022163298A (ja) フロント内に設ける車両の死角解消構造
KR950002752Y1 (ko) 자동차 사이드미러의 자동개폐장치
JPH0564820U (ja) 車載用カメラの防塵構造
KR0131429Y1 (ko) 자동차의 전, 후방사각지대 감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