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9329Y1 - 차량용 다축 백미러 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용 다축 백미러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9329Y1
KR200439329Y1 KR2020060032254U KR20060032254U KR200439329Y1 KR 200439329 Y1 KR200439329 Y1 KR 200439329Y1 KR 2020060032254 U KR2020060032254 U KR 2020060032254U KR 20060032254 U KR20060032254 U KR 20060032254U KR 200439329 Y1 KR200439329 Y1 KR 2004393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rearview mirror
link
axis
dr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322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호
Original Assignee
이기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기호 filed Critical 이기호
Priority to KR20200600322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932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93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932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60R1/06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 B60R1/07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by electrically powered actu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8Rear-view mirror arrangements involving special optical features, e.g. avoiding blind spots, e.g. convex mirrors; Side-by-side associations of rear-view and other mirrors
    • B60R1/081Rear-view mirror arrangements involving special optical features, e.g. avoiding blind spots, e.g. convex mirrors; Side-by-side associations of rear-view and other mirrors avoiding blind spots, e.g. by using a side-by-side association of mirr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18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prisms; for mirrors
    • G02B7/18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prisms; for mirrors for mirrors
    • G02B7/182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prisms; for mirrors for mirrors comprising means for aligning the optical axis
    • G02B7/1827Motorised align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의 다축 백미러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의 백미러(10)에 있어서, 차체 프레임(1)에 고정되는 베이스링크(11)와; 상기 베이스링크(11)에 대해 적어도 제1위치, 제2위치 또는 제3위치 중 어느 하나의 위치에서 고정되도록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미들링크(13)와; 상기 미들링크(13)에 대해 적어도 제4위치 또는 제5위치 중 어느 하나의 위치에서 고정되도록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엔드링크(15); 및 상기 엔드링크(15)에 결합되는 백미러부(17)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종래 차체의 외부에 장착되어 운전자가 차량 측면의 후방을 감시하도록 하는 백미러 구조를 개선하여, 평소 주행시에는 차량 측면의 후방을 감시할 수 있으며 또한 주차중에는 완전히 접혀짐으로써 차량 외측의 공간을 절약할 수 있게 할 수 있는 종래의 기능을 포함하면서도, 좁은 구역에서 주차하기 위하여 주행하는 등의 경우에 운전자가 쉽게 차량 전방의 모서리 부분을 감시할 수 있게 하는 기능을 가지는 새로운 다축 백미러 구조가 제공될 수 있다.
차량, 백미러, 링크, 조인트, 다축

Description

차량용 다축 백미러 구조{Structure of a Multi-axis Back-mirror for a Vechicle}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축 백미러를 이용하여 차량 전방 하부를 차량 운전자가 주시할 수 있도록 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축 백미러를 이용하여 차량 측부 도로의 후방부를 차량 운전자가 주시할 수 있도록 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다축 백미러가 완전히 접힌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분의 간단한 설명>
1 : 차체 프레임 2 : 차량 주행방향
3 : 운전자 10 : 다축 백미러
11 : 베이스링크 12 : 베이스조인트
13 : 미들링크 14 : 미들조인트
15 : 엔드링크 16 : 엔드조인트
17 : 미러부
본 고안은 차량 백미러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종래 차체의 외부에 장착되어 운전자가 차량 측면의 후방을 감시하도록 하는 백미러 구조를 개선하여, 평소 주행시에는 차량 측면의 후방을 감시할 수 있으며 또한 주차중에는 완전히 접혀짐으로써 차량 외측의 공간을 절약할 수 있게 할 수 있는 종래의 기능을 포함하면서도, 좁은 구역에서 주차하기 위하여 주행하는 등의 경우에 운전자가 쉽게 차량 전방의 모서리 부분을 감시할 수 있게 하는 기능을 가지는 새로운 다축 백미러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용차와 같은 차량을 운전하는 운전자는 차체 내부에서 전방을 주시하면서 운전을 하게 되는데, 이러한 운전자는 주변 상황을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어야 적절한 운전 동작을 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보조 장치들이 차량내외부에 장치되어 있다. 예컨대, 종래 차량 내부에 장착되는 룸미러는 차량 후방의 상황을 감시할 수 있게 하며, 차량 좌우 측면에 장착되는 백미러는 예컨대 차량이 운행하는 차도의 좌우측 차도의 후방 상황을 감시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이러한 룸미러와 백미러에 의해서는 어쩔 수 없이 운전자가 인지할 수 없는 사각지대가 존재하게 된다. 그중에서도 차량 전방의 범퍼부분이나 좌우측 모서리부분 즉 헤드램프 부분을 운전자가 인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은 특히 좁은 골목길이나 커브길을 주행할 때, 또는 비좁은 공간에 주차하기 위하여 진입해야만 하는 상황에서는 여러가지 접촉사고의 원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차량의 전방 부분을 운전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는 요구가 있어 왔다.
종래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의 범퍼 부분과 타 물체, 예컨대 벽이나 기타 방해물과의 얼마나 거리가 떨어져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하여 적외선과 같은 전자장비를 사용하는 감시시스템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감시시스템은 고가의 장비이기 때문에 모든 차량에서 쉽게 장착하기에는 어려움이 많다. 따라서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저렴한 구조의 차량 전방 인식을 위한 장치에 대한 요구가 절실하였다.
이러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종래 차량 좌우 측면 백미러 구조를 개선하기 위한 종래 기술을 살펴보면, 예컨대 대한민국 실용신안 출원번호 실1996-068538 "자동차의 전방시야 확보 백미러" (출원인: 대우전자부품 주식회사)의 공개 공보에는, 백미러 상단에 고정된 별도의 전방시야 확보용 미러를 부착한 예가 제안되어 있다. 이 고안은 운전자가 예컨대 차량 우측 전방의 코너 부분의 시야를 확보하기 위한 소형의 미러를 종래 백미러 상단에 부착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에 따르면, 비교적 단순한 구조에 의하여 운전자가 차량 우측 전방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전방 모습이 작은 미러에 반사된 뒤 다시 백미러를 통해 운전자에게 들어가게 되어 있기 때문에, 운전자가 원래 백미러를 통하여 인식하게 되는 차량 후방의 상황과 차량 전방 우측의 상황이 함께 혼합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 구조는 운전자를 오히려 혼란에 빠뜨릴 수 있다는 심각한 단점을 가진다.
따라서 간단한 구조를 가지는 저렴한 장치로서 운전자가 쉽게 차량 전방 부 분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게 하는 기술에 대한 요구는 여전히 존재한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한 새로운 차량 전방 시야 확보를 위한 백미러 구조를 제안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특히 운전자가 차량 좌우측의 모서리 부분에 대해 시야확보가 필요한 경우는, 정상적인 큰 도로를 주행할 때나 또는 주차하고 있을 경우가 아니라, 좁은 공간에서 주차를 하게 되는 등의 특수한 몇몇 경우라는 것에 착안하여, 정상 주행시에는 차량 측면 후방을 감시하는 백미러의 전통적인 기능을 유지하고 또한 주차시에는 완전히 접혀져서 차량 측부 공간을 절약할 수 있는 기능을 유지하면서도, 운전자가 원할 때는 차량 전방 모서리 부분의 시야 확보를 위하여 사용할 수 있게 구성한 새로운 다축 백미러를 제공하려는 목적을 가진다.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제공되는 다축 백미러 구조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고안의 다축 백미러는, 차량의 백미러에 있어서, 차체 프레임에 고정되는 베이스링크와; 상기 베이스링크에 대해 적어도 제1위치 또는 제2위치 중 어느 하나의 위치에서 고정되도록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미들링크와; 상기 미들링크에 대해 적어도 제4위치 또는 제5위치 중 어느 하나의 위치에서 고정되도록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엔드링크; 및 상기 엔드링크에 결합되는 백미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백미러부는 상기 엔드링크에 대하여 회전이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링크에 대한 상기 미들링크의 회전운동 및 상기 미들링크에 대한 상기 엔드링크의 회전운동 중 적어도 하나는 전동수단을 통하여 운전자가 원격으로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엔드링크에 대한 상기 백미러부의 회전운동 은 전동수단을 통하여 운전자가 원격으로 조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차량의 다축 백미러 구조를 구체적으로 더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축 백미러를 이용하여 차량 전방 하부를 차량 운전자가 주시할 수 있도록 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축 백미러를 이용하여 차량 측부 도로의 후방부를 차량 운전자가 주시할 수 있도록 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다축 백미러가 완전히 접힌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량이 화살표(2) 방향으로 전진하는 경우, 눈만으로 상징되어 있는 운전자(3)는 차량의 외부에 장착된 다축 백미러(10), 즉 차체 프레임(1)에 장착되어 있는 백미러(10)를 통해 차량 전방 하부를 볼 수 있는 상태, 즉 본 고안의 특수 목적인 차량 전방 모서리 시야 확보기능이 도시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차량이 화살표(2) 방향으로 전진하는 경우, 눈만으로 상징되어 있는 운전자(3)는 차량의 외부에 장착된, 즉 차체 프레임(1)에 장착되어 있는 백미러(10)를 통해 차량 측부도로의 후방을 볼 수 있는 상태, 즉 정상적인 백미러 기능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차량이 주행을 멈춘 상태 즉 주정차시, 차체 프레 임(1)에 장착되어 있는 백미러(10)가 완전히 접혀져서 차량 측부의 공간을 절약하는 기능이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백미러(10)는, 차체 프레임(1)에 고정되는 베이스링크(11), 상기 베이스링크(11)에 결합되는 미들링크(13), 상기 미들링크(13)에 결합되는 엔드링크(15), 그리고 거울이 부착되어 있는 백미러부(17)를 포함한다. 각각의 결합부는 바람직하게는 예컨대 회전운동가능한 조인트 구조를 가지므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베이스링크(11)와 미들링크(13)는 베이스조인트(12)에 의하여 결합되며, 미들링크(13)와 엔드링크(15)는 미들링크(14)에 의하여 결합되고, 또한 엔드링크(15)와 백미러부(17)는 엔드조인트(16)에 의하여 결합된다고 표현할 수 있다.
베이스링크(11)는 전체적인 백미러(10) 구조를 차체에 고정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데, 도면에서는 개념적으로 표현할 목적으로 대체로 긴 막대기 형태로 도시되었으나, 이러한 형태는 설명을 위한 것에 불과하며, 베이스링크(11)의 형태는 어떠한 것이든 가능하며, 이는 미들링크 및 엔드링크의 경우에도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미들링크(13)는 엔드링크(15)와 베이스링크(11)를 매개하는 역할을 한다. 미들링크(13)는 베이스링크(11)에 대해 적어도 제1위치, 또는 제2위치 중 어느 하나의 위치에서 고정되도록 회전 가능하게, 즉 도면에서 베이스조인트(12)에 의하여 결합된다. 여기에서, 제 1 위치는 미들링크(13)가 베이스링크(11)에 대해 도 1 또는 도 2의 상태의 위치에 있을 때를 의미, 즉 백미러(10)가 펴져 운전자가 차량의 전방 하부 또는 후방을 보는 것이 가능한 상태의 위치이며, 제 2 위치는 미들링크(13)가 베이스링크(11) 대해 도 3의 상태의 위치에 있을 때를 의미, 즉 백미러(10)가 접혀 있을 때를 의미한다.
엔드링크(15)는 백미러부(17)를 지지고정하는 역할을 하며, 미들링크(13)에 대해 적어도 제4위치 또는 제5위치 중 어느 하나의 위치에서 고정되도록 회전 가능하게, 즉 도면에서 미들조인트(14)에 의하여 결합된다. 여기에서, 제 4 위치는 엔드링크(15)가 미들링크(13)에 대해 도 1의 상태에 있을 때를 의미, 즉 백미러(10)가 앞으로 펼쳐져 운전자가 차량의 전방 하부를 보는 것이 가능한 상태의 위치이며, 제 5 위치는 엔드링크(15)가 도 2 또는 도 3의 상태처럼 미들링크(13)와 평행한 위치를 의미한다.
백미러부(17)는 종래 차량의 백미러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조를 가지는 백미러이며, 엔드링크(15)에 결합되는데, 바람직하게는, 엔드링크(15)에 대하여 회전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즉 도면에서 엔드조인트(16)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축 백미러 구조에 있어서, 각각의 조인트(12, 14, 16)는 각각의 링크(11, 13, 15)가 회전하는 회전축 역할을 하며, 이러한 조인트의 구조는 차량 백미러 분야에서 종래 응용되는 조인트 구조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당업자라면 쉽게 이해할 것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와 링크 구조는 사용자가 수조으로 그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바람직하게는, 상기 베이스링크에 대한 상기 미들링크(13)의 회전운동 및 상기 미들링크에 대한 상기 엔드링크(15)의 회전운동 중 적어도 하나는 전동수단을 통하여 운전자가 원격으로 조정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엔드링크(15)에 대한 상기 백미러부(17)의 회전운동은 전동수단을 통하여 운전자가 원격으로 조정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전동수단은 해당 기술분야에서 종래 전동수단을 이용하는 원격 백미러 조정 기술에서 사용되는 것을 유사하게 적용할 수 있다는 것을 당업자라면 쉽게 이해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의 차량 다축 백미러(10)에 의하면, 차체에 고정되는 베이스링크(11)에 대하여 미들링크(13)와 엔드링크(15) 및/또는 백미러부(17)를 적절하게 회전시킴으로써, 도 1에서와 같은 전방 시야 확보를 위한 구성을 성취할 수도 있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측부 후방 시야 확보를 위한 구성을 성취할 수도 잇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공간 절약을 위하여 접혀지는 구성을 성취할 수도 있다는 현저한 특징을 가진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분야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아래 청구범위의 기술범위를 벗어나지 않고도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내용에 대한 다양한 변형과 수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설명된 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할 것임을 지적해둔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정상 주행시에는 차량 측면 후방을 감시하는 백미러의 전통적인 기능을 유지하고 또한 주차시에는 완전히 접혀져서 차량 측부 공간을 절약할 수 있는 기능을 유지하면서도, 운전자가 원할 때는 차량 전방 모서리 부분의 시야 확보를 위하여 사용할 수 있게 구성한 새로운 다축 백미러를 제공할 수 있어,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저렴하고, 또한 쉽게 차량 전방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는 장치가 제공된다는 현저한 효과를 가진다.

Claims (4)

  1. 차량의 백미러(10)에 있어서,
    차체 프레임(1)에 고정되는 베이스링크(11)와;
    상기 베이스링크(11)에 대해 적어도 제1위치 또는 제2위치 중 어느 하나의 위치에서 고정되도록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미들링크(13)와;
    상기 미들링크(13)에 대해 적어도 제4위치 또는 제5위치 중 어느 하나의 위치에서 고정되도록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엔드링크(15); 및
    상기 엔드링크(15)에 결합되는 백미러부(17)를 포함하여,
    차량의 전방 하부 및 차량의 후방을 모두 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다축 백미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백미러부(17)는 상기 엔드링크(15)에 대하여 회전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다축 백미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링크에 대한 상기 미들링크(13)의 회전운동 및 상기 미들링크에 대한 상기 엔드링크(15)의 회전운동 중 적어도 하나는 전동수단을 통하여 운전자가 원격으로 조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다축 백미러.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엔드링크(15)에 대한 상기 백미러부(17)의 회전운동 은 전동수단을 통하여 운전자가 원격으로 조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다축 백미러.
KR2020060032254U 2006-12-21 2006-12-21 차량용 다축 백미러 구조 KR2004393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2254U KR200439329Y1 (ko) 2006-12-21 2006-12-21 차량용 다축 백미러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2254U KR200439329Y1 (ko) 2006-12-21 2006-12-21 차량용 다축 백미러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9329Y1 true KR200439329Y1 (ko) 2008-04-04

Family

ID=41641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32254U KR200439329Y1 (ko) 2006-12-21 2006-12-21 차량용 다축 백미러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932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86862A1 (ko) * 2010-12-23 2012-06-28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건설기계용 경광램프 고정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86862A1 (ko) * 2010-12-23 2012-06-28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건설기계용 경광램프 고정장치
CN103261538A (zh) * 2010-12-23 2013-08-21 沃尔沃建造设备有限公司 用于固定施工机械的警告灯的装置
KR20140009999A (ko) * 2010-12-23 2014-01-23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건설기계용 경광램프 고정장치
US9157621B2 (en) 2010-12-23 2015-10-13 Volvo Construction Equipment Ab Device for fixing warning lamp of a construction machine
CN103261538B (zh) * 2010-12-23 2016-04-06 沃尔沃建造设备有限公司 用于固定施工机械的警告灯的装置
KR101678652B1 (ko) * 2010-12-23 2016-11-22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건설기계용 경광램프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20113873A1 (en) Rear vision system for large vehicles
EP3717305B1 (en) A camera assembly for an industrial vehicle cab
US10434947B2 (en) Driver sitting position controlled vehicle collision avoidance
WO2005119340A2 (en) Driver observation system
US20080068455A1 (en) Rear facing viewing system for large vehicles
KR200439329Y1 (ko) 차량용 다축 백미러 구조
JPH11245729A (ja) 車両用後方確認装置
KR102042929B1 (ko) 자동차의 차폭 및 측 후방 표시 장치
CN201283832Y (zh) 安装在车辆两侧的后视摄像头装置
EP3658420B1 (en) Driver sitting position controlled vehicle collision avoidance
CN212148631U (zh) 一种具有夜间照明功能的倒车镜
KR102405575B1 (ko) 자동차의 주변 영상 및 네비게이션 표시 장치
KR100524286B1 (ko) 자동차의 사이드 미러 제어방법
KR102264335B1 (ko) 자동차의 주변 영상 및 네비게이션 표시 장치
KR200416115Y1 (ko) 자동차용 사이드 미러
KR102257404B1 (ko) 자동차의 주변 영상 표시 장치
CN212243165U (zh) 新型后视防盲区系统以及新型机动车
CN219133997U (zh) 后视镜辅助摄像装置及车辆
KR200374560Y1 (ko) 차량용 후측방 사각 미러
CN104842881A (zh) 一种多功能汽车侧边后视镜
US6431713B1 (en) Mirror assembly for trucks
KR20240019749A (ko) 자동차
KR200200813Y1 (ko) 자동차용 실내 후사경
JP3022959U (ja) 車両用ミラー
KR101097583B1 (ko) 차량용 사이드미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