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7404B1 - 자동차의 주변 영상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주변 영상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7404B1
KR102257404B1 KR1020190125141A KR20190125141A KR102257404B1 KR 102257404 B1 KR102257404 B1 KR 102257404B1 KR 1020190125141 A KR1020190125141 A KR 1020190125141A KR 20190125141 A KR20190125141 A KR 20190125141A KR 102257404 B1 KR102257404 B1 KR 1022574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cameras
control unit
image display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51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43036A (ko
Inventor
송해성
Original Assignee
송해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해성 filed Critical 송해성
Priority to KR10201901251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7404B1/ko
Publication of KR202100430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30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74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74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5Electro-mechanical devices, e.g. switch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W30/18009Propelling the vehicle related to particular drive situations
    • B60W30/18027Drive off, accelerating from standsti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W30/18009Propelling the vehicle related to particular drive situations
    • B60W30/18036Rever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1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vehicle motion
    • B60W40/105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1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amera system used
    • B60R2300/105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amera system used using multiple camer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2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display used
    • B60R2300/202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display used displaying a blind spot scene on the vehicle part responsible for the blind spo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8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intended use of the viewing arrangement
    • B60R2300/802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intended use of the viewing arrangement for monitoring and displaying vehicle exterior blind spot vie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42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ensor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ir operation
    • B60W2420/40Photo, light or radio wave sensitive means, e.g. infrared sensors
    • B60W2420/403Image sensing, e.g. optical camera
    • B60W2420/4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2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verall vehicle dynamics
    • B60W2520/10Longitudinal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Y2300/18008Propelling the vehicle related to particular drive situations
    • B60Y2300/18025Drive off, accelerating from standsti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Y2300/18008Propelling the vehicle related to particular drive situations
    • B60Y2300/18033Rever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3Speed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자동차의 주변 영상 표시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차량의 양쪽의 측 후방을 감지하기 위한 제1, 제2 측 후방 감지 카메라; 차량의 양쪽의 전방을 촬영하는 제1, 제2 전방 카메라; 상기 제1, 제2 측 후방 감지 카메라를 구동하여 돌출되도록 하는 제1, 제2 측 후방 카메라 구동부; 차량 전원이 인가되는 것을 감지하는 전원 감지 스위치; 차량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제1, 제2 측후방 감지 카메라 구동부를 구동하여 상기 제1, 제2 측 후방 감지 카메라를 돌출시키고, 상기 제1, 제2 전방 카메라에서 수신되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전방 카메라 또는 제1, 제2 측 후방 감지 카메라에서 수신되는 영상을 각각 표시하는 제1, 제2 영상 표시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사이드미러 필요 없이 자동차의 전진 후진 또는 차속 및 주행방향에 따라 자동차의 주변 영상을 선택적으로 표시하여 안전운전을 하도록 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주변 영상 표시 장치{Peripheral Video Display Of Automobile}
본 발명은 출원인의 선등록 특허 제1827575호(10-2011-74198, 발명의 명칭; 사각지대가 제거된 자동차용 사이드미러), 선출원 10-2016-146504(발명의 명칭; 운전자측 백미러의 사각 지대 해소 장치), 선출원 10-2018-79582(발명의 명칭; 자동차의 차폭 표시 장치)의 시리즈 발명으로서 본 발명의 이해에 참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자동차의 주변 영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복수의 카메라로부터 수신되는 자동차의 주변 영상을 효율적으로 운전자에게 전달하여 안전운전이 되도록 하는 자동차의 주변 영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좁은 길에서 주차나 회전시 운전자가 차폭을 정확히 판단할 수 없어 어려움이 있다. 특히 조수석 방향의 전방 가장자리 또는 후방 가장자리가 잘 보이지 않아 어려움이 있었다.
이러한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본네트와 휀다 접속 부위에 유도대를 설치하였으나 외관상 초보 운전자 같은 느낌을 주거나 자동 세차시에 철거해야 하는 등 불편함이 많았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공개실용신안공보 1998-027233호에 자동차의 차폭 표시기 구동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선행기술은 자동차의 앞범퍼 우측에만 장착되어 다른 부분에 관하여는 차폭을 인식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고, 주행시에 항상 온되어(돌출 고정) 있으므로 외관상 초보 운전자 같은 느낌을 주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종래 운전자측 사이드 미러에 있어서의 사각 지대와 관련하여 해결하고자 하는 관심사는 주로 후방측의 사각 지대와 관련된 것이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다수의 기술들이 주지되어 있는 것이 사실이다(특허 문헌 1 내지 특허 문헌 5 참조).
그러나, 차량의 운행 중, 특히 서행 좌회전 중에 종종 운전자측 사이드 미러에 사람이나 사물이 가려져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최근 자동차에서 사이드 미러가 사라지는 추세이며, 이를 카메라가 대체하고 있다.
국내 실용신안공개 1998-027233 국내 특허출원공개 10-2010-0109539 국내 특허출원공개 10-2013-0096585 국내 실용신안공개 20-1998-012737 국내 실용신안공개 20-1999-0007563 국내 실용신안공개 20-2014-0001625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사이드미러 필요없이 자동차의 전진 후진 또는 차속 및 주행방향에 따라 자동차의 주변 영상을 선택적으로 표시하여 안전운전을 하도록 하는 자동차의 주변 영상 표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운전자가 사이드 미러의 사각 지대의 사물이나 사람을 발견하지 못해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의 주변 영상 표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주행중 사이드 미러를 후방으로 일정거리 이동시켜 접고, 필요시에만 원래의 위치로 이동시켜 측 후방을 비추도록 함으로써 운전자가 사이드 미러의 사각 지대의 사물이나 사람을 발견하지 못해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의 주변 영상 표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사이드 미러를 없애고, 측 후방을 촬영하여 보여줌으로써 운전자가 사이드 미러의 사각 지대의 사물이나 사람을 발견하지 못해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의 주변 영상 표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좁은 길에서 주차나 회전시 운전자가 차폭을 정확히 판단할 수 있도록 하여 사물이나 사람과 충돌하는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거의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의 주변 영상 표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좁은 도로에서 서행시에 자동으로 차폭 표시기가 돌출되도록 하여 외관상 초보 운전자 같은 느낌을 주지 않도록 하는 자동차의 주변 영상 표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주변 영상 표시 장치는,
차량의 양쪽의 측 후방을 감지하기 위한 제1, 제2 측 후방 감지 카메라;
차량의 양쪽의 전방을 촬영하는 제1, 제2 전방 카메라;
상기 제1, 제2 측 후방 감지 카메라를 구동하여 돌출되도록 하는 제1, 제2 측 후방 카메라 구동부;
차량 전원이 인가되는 것을 감지하는 전원 감지 스위치;
차량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제1, 제2 측후방 감지 카메라 구동부를 구동하여 상기 제1, 제2 측 후방 감지 카메라를 돌출시키고, 상기 제1, 제2 전방 카메라에서 수신되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전방 카메라 또는 제1, 제2 측 후방 감지 카메라에서 수신되는 영상을 각각 표시하는 제1, 제2 영상 표시부를 포함한다.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는 차속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차량이 정지상태에서 출발하여 주행하거나 상기 차속 감지부로부터 수신되는 차속이 70 내지 80km 이상인 경우 상기 제1, 제2 측 후방 감지 카메라에서 수신되는 영상을 상기 제1, 제2 영상 표시부에 각각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어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기어위치 감지부;
타이어의 회전각도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회전각도 센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일정속도 이하로 좌회전하는 경우, 상기 제1 영상 표시부에 좌측의 측후방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일정속도 이하로 우회전하는 경우, 우측의 측후방을 상기 제2 영상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양쪽의 후방을 촬영하는 제1, 제2 후방 카메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후진시에 상기 제1, 제2 후방 카메라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제1, 제2 영상 표시부에 각각 후방 영상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차량의 전방 및 후방의 네 방향의 모서리 부분에 각각 설치되어 차폭을 표시하기 위한 제1 내지 제4 차폭 표시기;
상기 제1 내지 제4 차폭 표시기를 각각 돌출 구동시키는 제1 내지 제4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주변 영상 표시 장치는,
측방 또는 후방을 관찰할 수 있는 제1, 제2 사이드 미러;
상기 제1, 제2 사이드 미러의 이동 또는 복귀를 선택하기 위한 이동선택 스위치;
상기 이동선택 스위치의 선택에 따라 상기 제1, 제2 사이드 미러의 위치를 소정거리 후방으로 이동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1, 제2 사이드 미러의 위치를 소정거리 후방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사이드 미러는 차창 방향 또는 아래 방향으로 접는 제1, 제2 사이드 미러 구동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제2 사이드 미러는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장치는,
차량의 전방 및 후방의 네 방향의 모서리 부분에 각각 설치되어 차폭을 표시하기 위한 제1 내지 제4 차폭 표시기;
상기 제1 내지 제4 차폭 표시기를 각각 돌출 구동시키는 제1 내지 제4 구동부;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는 차속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속 감지부의 차량 속도를 수신하고, 상기 차량 속도가 40km/H 이하로 되었을 때, 상기 제1, 제2 구동부를 구동하여 전방의 좌측 및 우측 모서리에 위치한 제1 및 제2 표시기를 돌출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장치는,
차량의 기어박스와 연동하여 기어의 후진시를 감지하는 기어위치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후진기어가 들어갔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3, 제4 구동부를 구동하여 후방의 좌측 및 우측 모서리에 위치한 제3 및 제4 차폭 표시기를 구동한다.
상기 장치는,
차량의 주행 중에 타이어의 좌회전 또는 우회전의 각도를 센싱하는 회전 각도 센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전 각도 센싱부의 출력신호를 수신하고, 차량의 타이어의 좌회전 또는 우회전의 각도가 10ㅀ 이상이 되는 경우
전진기어가 들어갔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1, 제2 구동부를 구동하여 전방의 좌측 및 우측 모서리에 위치한 제1 및 제2 차폭 표시기를 돌출 구동시키고,
후진기어가 들어갔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3, 제4 구동부를 구동하여 후방의 좌측 및 우측 모서리에 위치한 제3 및 제4 차폭 표시기를 돌출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장치는,
네비게이션, 블랙 박스와 연동되어 골목길을 주행하는지를 감지하는 도로폭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로폭 감지부의 출력을 수신하고, 도로폭이 기준값 이하인 골목길을 주행한다고 판단되면,
전진기어가 들어갔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제1, 제2 구동부를 구동하여 전방의 좌측 및 우측 모서리에 위치한 제1 및 제2 차폭 표시기를 돌출 구동시키고,
후진기어가 들어갔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제3, 제4 구동부를 구동하여 후방의 좌측 및 우측 모서리에 위치한 제3 및 제4 차폭 표시기를 돌출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주변 영상 표시 장치는,
차량의 양쪽의 측 후방을 감지하기 위한 제1, 제2 측 후방 감지 카메라;
상기 제1, 제2 측 후방 감지 카메라를 구동하여 돌출되도록 하는 제1, 제2 측 후방 카메라 구동부;
차량 전원이 인가되는 것을 감지하는 전원 감지 스위치;
차량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제1, 제2 측 후방 카메라 구동부를 구동하여 상기 제1, 제2 측 후방 감지 카메라를 돌출시키고, 상기 제1, 제2 측 후방 감지 카메라에서 수신되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1, 제2 측 후방 감지 카메라에서 수신되는 영상을 표시하는 측 후방 영상 표시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제2 측 후방 감지 카메라를 보호하기 위한 제1, 제2 보호덮개가 추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장치는,
차량의 전방 및 후방의 네 방향의 모서리 부분에 각각 설치되어 차폭을 표시하기 위한 제1 내지 제4 차폭 표시기;
상기 제1 내지 제4 차폭 표시기를 각각 돌출 구동시키는 제1 내지 제4 구동부;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는 차속 감지부; 및
상기 차속 감지부의 차량 속도를 수신하고, 상기 차량 속도가 40km/H 이하로 되었을 때, 상기 제1, 제2 구동부를 구동하여 전방의 좌측 및 우측 모서리에 위치한 제1 및 제2 표시기를 돌출 구동시키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사이드미러 필요없이 자동차의 전진 후진 또는 차속 및 주행방향에 따라 자동차의 주변 영상을 선택적으로 표시하여 안전운전을 하도록 하는 자동차의 주변 영상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운전자가 사이드 미러의 사각 지대의 사물이나 사람을 발견하지 못해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의 주변 영상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주행중 사이드 미러를 후방으로 일정거리 이동시켜 접고, 필요시에만 원래의 위치로 이동시켜 측 후방을 비추도록 함으로써 운전자가 사이드 미러의 사각 지대의 사물이나 사람을 발견하지 못해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의 주변 영상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사이드 미러를 없애고, 측 후방을 촬영하여 보여줌으로써 운전자가 사이드 미러의 사각 지대의 사물이나 사람을 발견하지 못해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는 후방주차 금지 구역이나 환경 보건상 전방주차가 더 바람직할 경우 운전자가 후방주차가 미숙할 경우 매우 유용할 수 있는 자동차의 주변 영상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좁은 길에서 주차나 회전시 운전자가 차폭을 정확히 판단할 수 있도록 하여 사물이나 사람과 충돌하는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거의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의 주변 영상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좁은 도로에서 서행시에 자동으로 차폭 표시기가 돌출되도록 하여 외관상 초보 운전자 같은 느낌을 주지 않도록 하는 자동차의 주변 영상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주변 영상 표시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a, 도 2b 및 도 2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주변 영상 표시 장치의 표시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주변 영상 표시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주변 영상 표시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가 장착된 자동차의 주변 영상 표시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주변 영상 표시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주변 영상 표시 장치의 표시기의 외형을 보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주변 영상 표시 장치의 측 후방 감시카메라, 전방 카메라 및 전방센서를 구현한 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주변 영상 표시 장치의 제1, 제2 영상 표시장치의 장착 위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주변 영상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영상의 영역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주변 영상 표시 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2a, 도 2b 및 도 2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주변 영상 표시 장치의 표시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주변 영상 표시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주변 영상 표시 장치는,
측방 또는 후방을 관찰할 수 있는 제1, 제2 사이드 미러(154, 155);
상기 제1, 제2 사이드 미러(154, 155)의 이동 또는 복귀를 선택하기 위한 이동선택 스위치(151);
상기 이동선택 스위치(151)의 선택에 따라 상기 제1, 제2 사이드 미러(154, 155)의 위치를 소정거리 후방으로 이동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20);
상기 제어부(12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1, 제2 사이드 미러(154, 155)의 위치를 소정거리 후방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사이드 미러는 차창 방향 또는 아래 방향으로 접는 제1, 제2 사이드 미러(154, 155) 구동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사이드 미러는 아래 방향으로 접는 대신에 공기 저항을 줄이기 위하여 차창(차유리) 방향으로 접는 것이 좀 더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전방 및 후방의 네 방향의 모서리 부분에 각각 설치되어 차폭을 표시하기 위한 제1 내지 제4 차폭 표시기(141, 142, 143, 144);
상기 제1 내지 제4 차폭 표시기(141, 142, 143, 144)를 각각 돌출 구동시키는 제1 내지 제4 구동부(131, 132, 133, 134);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는 차속 감지부(111)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차속 감지부(111)의 차량 속도를 수신하고, 상기 차량 속도가 40km/H 이하로 되었을 때, 상기 제1, 제2 구동부(131, 132)를 구동하여 전방의 좌측 및 우측 모서리에 위치한 제1 및 제2 차폭 표시기(141, 142)를 돌출 구동시킬 수 있다.
도 2a에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주변 영상 표시 장치의 표시기의 위치가 표현되었고, 도 2b에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주변 영상 표시 장치의 표시기중 전방에 위치한 표시기(141, 142)를 예로 들었으며, 후방의 표시기(143, 144)도 같은 형태로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서 제1 내지 제4 차폭 표시기(141, 142, 143, 144)에는 카메라(77)를 소정 위치에 장착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가 장착된 자동차의 주변 영상 표시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예를 들어 전방에 위치한 제1, 제2 차폭 표시기(141, 142)에는 전방과 차량의 외부 방향의 측면을 촬영하는 카메라(77)를 각각 포함하고,
제3, 제4 차폭 표시기(143, 144)에는 후방과 차량의 외부 방향의 측면을 촬영하는 카메라(77)를 각각 촬영하는 카메라(77)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 360ㅀ 어라운드 뷰 카메라(77)가 포함될 수도 있다.
따라서 제어부(120)는 제1 내지 제4 차폭 표시기(141, 142, 143, 144)에서 수신되는 영상을 네이게이션(200)과 연동하여 표시해줄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카메라(77)는 제1 내지 제4 차폭 표시기(141, 142, 143, 144)와 별도의 구성으로 장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주변 영상 표시 장치는,
차량의 기어박스와 연동하여 기어의 후진시를 감지하는 기어위치 감지부(112)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120)는 후진기어가 들어갔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3, 제4 구동부(133, 134)를 구동하여 후방의 좌측 및 우측 모서리에 위치한 제3 및 제4 차폭 표시기(143, 144)를 구동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주변 영상 표시 장치는,
차량의 주행 중에 타이어의 좌회전 또는 우회전의 각도를 센싱하는 회전 각도 센싱부(113)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회전 각도 센싱부의 출력신호를 수신하고, 차량의 타이어의 좌회전 또는 우회전의 각도가 10ㅀ 이상이 되는 경우
전진기어가 들어갔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1, 제2 구동부(131, 132)를 구동하여 전방의 좌측 및 우측 모서리에 위치한 제1 및 제2 차폭 표시기(141, 142)를 돌출 구동시키고,
후진기어가 들어갔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3, 제4 구동부(133, 134)를 구동하여 후방의 좌측 및 우측 모서리에 위치한 제3 및 제4 차폭 표시기(143, 144)를 구동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주변 영상 표시 장치는,
네비게이션(300)[및/또는 블랙 박스]과 연동되어 골목길을 주행하는지를 감지하는 도로폭 감지부(114)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도로폭 감지부의 출력을 수신하고, 도로폭이 기준값 이하인 골목길을 주행한다고 판단되면,
전진기어가 들어갔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제1, 제2 구동부(131, 132)를 구동하여 전방의 좌측 및 우측 모서리에 위치한 제1 및 제2 차폭 표시기(141, 142)를 돌출 구동시키고,
후진기어가 들어갔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제3, 제4 구동부(133, 134)를 구동하여 후방의 좌측 및 우측 모서리에 위치한 제3 및 제4 차폭 표시기(143, 144)를 구동한다.
제3 및 제4 차폭 표시기(143, 144)는 사이드 미러를 통해서도 보이고, 뒷유리를 통해서도 보이는 부분에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주변 영상 표시 장치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주변 영상 표시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120)는 상기 차속 감지부(111)의 차량 속도를 수신하고, 차량의 기어박스와 연동하여 기어의 후진시를 감지하는 기어위치 감지부(112)로부터 기어위치를 수신한다. 또한, 제어부(120)는 차량의 주행 중에 타이어의 좌회전 또는 우회전의 각도를 센싱하는 회전 각도 센싱부(113)로부터 회전 상태를 수신한다. 또한, 제어부(120)는 네비게이션과 연동되어 골목길을 주행하는지를 감지하는 도로폭 감지부(114)로부터 도로폭을 수신한다(S310).
그리고 나서 제어부(120)는 표시기 구동 조건인지 판단한다(S320).
여기서 표시기 구동조건은 상기 차량 속도가 40km/H 이하로 되었을 때, 좌회전 또는 우회전 각도가 10ㅀ 이상인 경우, 후진할 경우, 골목길을 주행할 때 등이다.
판단결과 표시기 구동조건에 해당하는 경우 제어부(120)는 표시기를 돌출 구동시키게 된다(S330).
예를 들어, 상기 차량 속도가 40km/H 이하로 되었을 때, 제어부(120)는 상기 제1, 제2 구동부(131, 132)를 구동하여 전방의 좌측 및 우측 모서리에 위치한 제1 및 제2 차폭 표시기(141, 142)를 구동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20)는 후진기어가 들어갔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3, 제4 구동부(133, 134)를 구동하여 후방의 좌측 및 우측 모서리에 위치한 제3 및 제4 차폭 표시기(143, 144)를 구동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회전 각도 센싱부의 출력신호를 수신하고, 차량의 타이어의 좌회전 또는 우회전의 각도가 10ㅀ 이상이 되는 경우 전진기어가 들어갔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1, 제2 구동부(131, 132)를 구동하여 전방의 좌측 및 우측 모서리에 위치한 제1 및 제2 차폭 표시기(141, 142)를 돌출 구동시키고,
후진기어가 들어갔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3, 제4 구동부(133, 134)를 구동하여 후방의 좌측 및 우측 모서리에 위치한 제3 및 제4 차폭 표시기(143, 144)를 돌출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어부(120)는 상기 도로폭 감지부(114)의 출력을 수신하고, 도로폭이 기준값 이하인 골목길을 주행한다고 판단되면,
전진기어가 들어갔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제1, 제2 구동부(131, 132)를 구동하여 전방의 좌측 및 우측 모서리에 위치한 제1 및 제2 차폭 표시기(141, 142)를 돌출 구동시키고,
후진기어가 들어갔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제3, 제4 구동부(133, 134)를 구동하여 후방의 좌측 및 우측 모서리에 위치한 제3 및 제4 차폭 표시기(143, 144)를 돌출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판단결과 표시기 구동조건이 아닌 경우 제어부(120)는 제1 내지 제4 표시기를 원위치시키도록 제1 내지 제4 구동부(131, 132, 133, 134)를 구동한다.
그리고, 차량의 시동 스위치를 온하면, 차량의 속도가 40km/H 이하에서는 2단 또는 2단 이상의 상태로 돌출되게 된다. 그리고, 차량의 속도가 40km/H 이상으로 되었을 경우에는 제1 내지 제4 차폭 표시기(141, 142, 143, 144)는 2단 또는 2단 이상의 상태에서 1단으로 조정되게 된다. 그 이유는 공기 저항을 줄이기 위해서이다. 다시 차량의 속도가 40km/H 이상에서 차량의 속도가 40km/H 이하로 변경되는 경우에는 다시 2단 이상의 상태로 조정되게 된다. 그리고, 차량의 시동 스위치를 오프하면, 제1 내지 제4 차폭 표시기(141, 142, 143, 144)는 원 위치로 수납되게 되어 외부에서 쉽게 관찰되지 않는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120)는 제1 내지 제4 차폭 표시기(141, 142, 143, 144)를 1단 내지 3단까지 구동이 가능하지만 필요에 따라 4단 이상이 될 수도 있다.
한편, 운전자는 제1, 제2 사이드 미러(154, 155)를 볼 필요가 없는 경우 이동선택 스위치(151)를 온하면 된다.
제어부(120)는 이동 선택 스위치(151)가 온되었는지 판단한다(S350).
이동 선택 스위치(151)가 온 되었으면, 제어부(120)는 제1, 제2 사이드 미러 구동부(152, 153)를 구동하여 제1, 제2 사이드 미러(154, 155)를 후방으로 일정거리 이동하게 한후 접도록 한다. 이때의 상태는 도 2c와 같다.
도 2c를 참조하면, 제1, 제2 사이드 미러(154, 155)를 후방으로 슬라딩되어 이동하게 한후 아래로 접힌 상태가 되므로 운전자가 측방을 보더라도 시야를 가리지 않게 된다.
한편, 이동 선택 스위치(151)가 오프되는 경우, 제어부(120)는 제1, 제2 사이드 미러 구동부(152, 153)를 구동하여 제1, 제2 사이드 미러(154, 155)를 전방으로 다시 오도록 하여 원래의 위치가 되도록 한다. 이때의 원래 상태는 도 2b와 같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주변 영상 표시 장치는 다양하게 변형이 가능하며 이하에서는 변형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주변 영상 표시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주변 영상 표시 장치는,
제1 실시예와 전체적으로 유사하며,
차량의 전방 및 후방의 네 방향의 모서리 부분에 각각 설치되어 차폭을 표시하기 위한 제1 내지 제4 차폭 표시기(141, 142, 143, 144)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제2 차폭 표시기(141, 142)는 전조등 커버의 일부분을 상부로 돌출시켜 형성하고,
상기 제3, 제4 차폭 표시기(143, 144)는 후미등 커버의 일부분을 상부로 돌출시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돌출 형상은 정사각형, 정삼각형, 직사각형, 원형 등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고, 돌출 높이는 3~7cm 정도일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차폭 표시기를 전조등 또는 후미등 커버를 돌출시켜 운전자의 시야에 들어오도록 형성함으로써 외관상 전조등과 미등을 수려하게 장식하는 효과를 가지며, 별도의 차폭 표시 장치 같은 느낌을 주지 않는 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표시기의 위치는 차종 또는 필요에 따라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카메라를 차폭 표시기에 장착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제3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가 장착된 자동차의 주변 영상 표시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가 장착된 자동차의 주변 영상 표시 장치는,
차량의 전방 및 후방의 네 방향의 모서리 부분에 각각 설치되어 차폭을 표시하기 위한 제1 내지 제4 차폭 표시기(141, 142, 143, 144);
상기 제1 내지 제4 차폭 표시기(141, 142, 143, 144)를 각각 돌출 구동시키는 제1 내지 제4 구동부(131, 132, 133, 134);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는 차속 감지부(111); 및
상기 차속 감지부(111)의 차량 속도를 수신하고, 상기 차량 속도가 40km/H 이하로 되었을 때, 상기 제1, 제2 구동부(131, 132)를 구동하여 전방의 좌측 및 우측 모서리에 위치한 제1, 제2 차폭 표시기(141, 142)를 돌출 구동시키는 제어부(120);
를 포함하고,
차량의 전방, 후방 및 측방을 촬영하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77)를 상기 제1 내지 제4 차폭 표시기(141, 142, 143, 144)에 각각 장착할 수도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제1, 제2 차폭 표시기(141, 142)는 전조등 커버의 일부분을 상부로 돌출시켜 운전자의 시야에 들어오도록 형성하고, 상기 제3, 제4 차폭 표시기(143, 144)는 후미등 커버의 일부분을 상부로 돌출시켜 운전자의 시야에 들어오도록 형성하며, 차량의 전방, 후방 및 측방을 촬영하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77)를 상기 제1 내지 제4 차폭 표시기 중 적어도 하나에 소정 위치 예를 들면 차폭 표시기의 상단에 장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제1 내지 제4 차폭 표시기(141, 142, 143, 144)의 카메라의 화상 정보가 네비게이션, 블랙 박스 등과 연동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각종 정보를 표시할 수 있도록 개발된 룸 밀러와도, 또는 각종 정보를 표시할 수 있도록 개발된 운전석 앞쪽 윈도우 창에 디스플레이되는 정보 표시 장치와도 연동되도록 할 수 있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이와 같은 제1 내지 제4 차폭 표시기(141, 142, 143, 144)의 카메라의 화상 정보와 네비게이션, 블랙 박스,정보 표시 룸 밀러, 또는 각종 정보를 표시 윈도우 창에 디스플레이되는 시스템 등과 연동하여 사물이나 사람과 충돌하는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완벽에 가깝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제1 내지 제4 차폭 표시기(141, 142, 143, 144)는, 운전자의 시야에 들어오도록 설치 위치, 설치 높이, 설치 각도, 디자인 등을 다양하게 가변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제1 내지 제4 차폭 표시기(141, 142, 143, 144)의 돌출 등을 자동으로 제어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수동으로 수동 스위치를 장착하여 필요 시에만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고, 전방과 후방의 스위치를 별개로 설치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제1 내지 제4 차폭 표시기(141, 142, 143, 144)의 돌출을 40km/H 이하로 예시하였으나 이 속도는 운전자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주변 영상 표시 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주변 영상 표시 장치의 표시기의 외형을 보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주변 영상 표시 장치의 측 후방 감시카메라, 전방 카메라 및 전방센서를 구현한 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주변 영상 표시 장치의 제1, 제2 영상 표시장치의 장착 위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주변 영상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영상의 영역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주변 영상 표시 장치는,
차량의 양쪽의 후방을 감지하기 위한 제1, 제2 후방 카메라(191, 192);
차량의 양쪽의 측 후방을 감지하기 위한 제1, 제2 측 후방 감지 카메라(164, 166);
상기 제1, 제2 측 후방 감지 카메라(164, 166)를 구동하여 돌출되도록 하는 제1, 제2 측 후방 카메라 구동부(163, 165);
차량 전원이 인가되는 것을 감지하는 전원 감지 스위치(162);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는 차속 감지부(111);
기어 위치를 감지하는 기어위치 감지부(112);
타이어의 회전각도를 센싱하는 회전 각도 센싱부(113);
차량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제1, 제2 측 후방 카메라 구동부(163, 165)를 구동하여 상기 제1, 제2 측 후방 감지 카메라(164, 166)를 돌출시키고, 상기 차속 감지부(111)의 차속, 기어위치 감지부(112)의 출력, 회전각도 센싱부(113)의 출력 조건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제2 후방 카메라(191, 192) 또는 상기 제1, 제2 측 후방 감지 카메라(164, 166)에서 수신되는 영상을 선택적으로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20);
상기 제1, 제2 후방 카메라(191, 192) 또는 상기 제1, 제2 측 후방 감지 카메라(164, 166)에서 수신되는 영상을 표시하는 측 후방 영상 표시부(161)를 포함한다.
또한, 측 후방 카메라와 함께 제1, 제2 측 후방 카메라 구동부(163, 165)에는 제1, 제2 전방 카메라(171, 172)가 구비되고, 제1, 제2 전방센서(173, 174)도 구비된다.
제1, 제2 전방 카메라(171, 172)에 의해 촬영된 전방의 영상은 제어부(120)의 제어에 의해 제1, 제2 영상 표시부(161)의 일부 또는 전체에 표시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 네비게이션(300) 또는 별도의 표시부에 표시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제2 전방센서(173, 174)는 전방을 감지하여 충돌을 방지하도록 한다.
사이드 미러를 대신하는 제1, 제2 전방 카메라(171, 172)에의 위치는 차량의 전단(본네트 상)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촬영 범위가 넓어지기 때문이다.
제어부는 차량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제1, 제2 측후방 감지 카메라 구동부(163, 165)를 구동하여 상기 제1, 제2 측 후방 감지 카메라(164, 166)를 돌출시키고, 상기 제1, 제2 전방 카메라(171, 172)에서 수신되는 영상을 표시한다.
상기 제어부(120)는 차량이 정지상태에서 출발하여 주행하거나 상기 차속 감지부로부터 수신되는 차속이 40 내지 80km 이상인 경우 상기 제1, 제2 측 후방 감지 카메라(164, 166)에서 수신되는 영상을 상기 제1, 제2 영상 표시부(181, 182)에 각각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제어부(120)가 차량 출발전에 제1, 제2 전방 카메라(171, 172)로부터 전달되는 영상을 제1, 제2 영상 표시부(181, 182)에 도 12 가, 나 부분과 같이 보여줌으로써, 운전자가 주위를 살피고 탑승후에 즉시 출발하지 않을 경우에도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가는 운전자 기준에서 전방 우측이고, 나는 전방 좌측이다.
그리고 출발후에 제어부(120)는 제1, 제2 측후방 카메라(164, 166)로부터 수신한 영상을 제1, 제2 영상표시부(181, 182)에 도 11의 다, 라와 같이 측후방을 표시하여줌으로써 뒤에 오는 차량들의 과속 및 추돌 등을 예지하여 안전운행이 되도록 한다. 다는 우측방이고, 라는 좌측방이다.
특히, 80KM/h의 고속 주행시에 운전자의 시야가 점점 좁아지므로 제1, 제2 영상 표시부(181, 182)의 위치를 도 9의 A, A'로 배치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고개를 돌리지 않아도 차량의 전후좌우를 보면서 운전하는 것이 가능하다.
필요시 차종에 따라 제1, 제2 영상 표시부(181, 182)가 전방시야를 방해하는 경우, 도 9 및 도 10의 B, B' 또는 C, C' 또는 D, D'의 위치로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 제어부(120)는 일정속도 이하로 우회전하는 경우, 우측의 측후방을 상기 제2 영상 표시부(182)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 교차로나 도로 모퉁이 혹은 굽어진 도로에서 우회전 하는 경우, 즉, 우측으로 타이어가 5° 이상 회전한 경우, 제어부(120)는 제2 전방 카메라(172)의 출력을 제2 영상 표시부(182)에 표시하되, 도 12의 가와 같은 영역을 표시해준다. 이후 타이어가 10° 이상 회전하는 경우, 제어부(120)는 제2 측후방 카메라(166)의 출력에서 도 13의 바 영역의 영상을 보여줌으로써 차량의 우측 뒷바퀴 부분과 뒷문짝 부분을 보여줌으로써 근처에 장애물이 있으면 장매물을 피해 안전하게 사고없이 우회전을 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타이어가 5°이상 좌회전한 경우 제1 전방 카메라(171)의 출력에서 제1 영상 표시부(181)에 도 12의 나와 같은 영역을 표시해준다. 그러면, 좌측 앞바퀴와 차체 윗부분이 장애물과 충돌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20)는 차량이 일정속도 이하로 좌회전하는 경우, 상기 제1 영상 표시부(181)에 좌측의 측후방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 교차로나 도로 모퉁이 혹은 굽어진 도로에서 좌회전 하는 경우, 즉, 좌측으로 타이어가 5°이상 회전한 경우, 제어부(120)는 제1 영상 표시부(181)에 도 12의 나와 같은 영역을 표시해준다. 이후 타이어가 10° 이상 회전하는 경우, 제어부(120)는 제1 측후방 카메라(164)의 출력에서 도 14의 아 영역의 영상을 보여줌으로써 차량의 좌측 뒷바퀴 부분과 뒷문짝 부분을 보여줌으로써 근처에 장애물이 있으면 장애물을 피해 안전하게 사고없이 좌회전을 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타이어가 5°이상 회전한 경우 제2 영상 표시부(182)에 도 12의 가와 같은 영역을 표시해준다. 그러면, 우측 앞바퀴와 차체 윗부분이 장애물과 충돌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20)는 후진시에 상기 제1, 제2 후방 카메라(191, 192)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제1, 제2 영상 표시부(181, 182)에 각각 후방 영상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120)는 제1, 제2 영상 표시부(181, 182)에 도 13 내지 도 15의 사, 마 부분을 표시함으로써 장애물을 속히 발견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마는 후방 우측, 사는 후방 좌측 부분이다.
후진시 또는 T자형으로 방향을 전환하거나 후진으로 주차할 때, 타이어의 회전각도가 5° 이상으로 우측으로 회전되면 제어부(120)는 도 13 및 도 15의 마 부분을 보여주다가 타이어의 회전각도가 10° 이상 회전되는 경우나 우측 바퀴 부분을 지난후 제2 영상 표시부(182)에 뒷문짝 부분을 포함한 우측 바퀴 부분을 도 13의 바와 같이 보여준다. 바는 우측방의 뒷부분이다. 아는 좌측방의 뒷부분이다.
이와 동시에 제어부(120)는 제1 영상 표시부(181)에 도 12의 나부분 즉, 차량의 좌측 앞바퀴와 그 윗부분의 차체를 보여준다.
이 때, 필요에 따라 도 12의 아 부분을 보여 주도록 수동으로 조작할 수 있으며, 경보음으로 위험을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후진시 또는 T자형으로 방향을 전환하거나 후진으로 주차할 때, 타이어의 회전각도가 5° 이상으로 좌측으로 회전되면 제어부(120)는 도 14 및 도 15의 사 부분을 보여주다가 타이어의 회전각도가 10° 이상 회전되는 경우나 좌측 바퀴 부분을 지난후 제1 영상 표시부(181)에 뒷문짝 부분을 포함한 좌측 바퀴 부분을 도 14의 아와 같이 보여준다.
이와 동시에 제어부(120)는 제2 영상 표시부(182)에 도 12의 가부분 즉, 차량의 우측 앞바퀴와 그 윗부분의 차체를 보여준다.
이 때, 필요에 따라 도 13의 바 부분을 보여 주도록 수동으로 조작할 수 있으며, 경보음으로 위험을 감지할 수 있다.
이후,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하였던 타이어의 회전각도가 5° 이하로 복귀하면, 제어부(120)는 제1, 제2 영상 표시부(181, 182)의 화면에 도 11의 다, 라 부분과 같이 측후방을 보여준다.
이러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서는 40km/h 이상 운행시 점차 운전자의 시야가 좁아지므로 사이드미러를 볼 여유가 없는데, 전방뿐만아니라 후방과 측방을 쉽게 볼 수 있으므로 방어운전에 큰 도움이 된다.
또한, 좁은 골목길 또는 번잡한 도로에서 장애물을 쉽게 발견하수 있다.
또한, 운전석에서 외부의 모서리 부분에 서서 교통상황을 파악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시야의 확보에 따라 오토바이나 1인용 자동차를 운전하거나 또는 걷거나 뛸때처럼 운전의 쾌감을 극대화할 수 있다.
한편,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1, 제2 측 후방 감지 카메라(164, 166)를 보호하기 위한 제1, 제2 보호덮개(167, 168)가 추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7 또는 도 8을 참조하면, 제1, 제2 보호덮개(167, 168)는 평상시에 본네트의 일부분으로 되어 있다가 사동시에 전원이 인가되면 돌출되므로 미관상 멋을 낼 수 있도록 다양한 디자인으로 변형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경고용 센서, 알람 등을 제1, 제2 보호덮개(167, 168) 상면에 장착하여 경고용 센서가 효과적으로 작동하는 동시에 알람소리가 더 잘 들리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제2 측 후방 감지 카메라(164, 166)는 제1, 제2 보호덮개(167, 168) 바로 아래의 후방에 장착하여 측 후방을 촬영하도록 하고, 제1, 제2 전방 카메라(171, 172)는 제1, 제2 보호덮개(167, 168) 바로 아래의 전방에 장착하여 전방을 촬영하도록 하는 것이 비바람에도 적합하다.
제1, 제2 측 후방 감지 카메라(164, 166), 제1, 제2 전방 카메라(171, 172), 제1, 제2 후방 카메라(191)는 필요에 따라 별도의 구동부를 구비하여 촬영 각도를 달리 할 수도 있고, 가 내지 아의 부분을 촬영할 수 있다.
그리고 가 내지 아의 부분을 편의상 영역을 표시한 것을 뿐이며, 실제로는 그 근방의 다른 영역이 포함되거나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다.
필요에 따라 제어부(120)는 상기 제1, 제2 측 후방 감지 카메라(164, 166)의 촬영범위를 달리할 수도 있다. 즉, 카메라의 촬영 범위를 40km/H 이하시에는 사이드밀러 수준의 범위로 하고, 차속이 40km/H 이상 시에는 더 넓은 풀 스크린 시야로 전환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1, 제2 측 후방 카메라 구동부(163, 165)의 길이도 자동 안테나처럼 1단 또는 2단 이상으로 구동할 수도 있다.
즉, 제1, 제2 측 후방 카메라 구동부(163, 165)를 1단으로 구동시에는 운전석에서 보이지 않더라도 범퍼 앞과 좌우를 넓게 볼 수 있도록 전방 카메라를 구동하고, 1단의 길이는 최소화함으로써 공기의 저항을 적게 하고, 사고방지에 더욱 효과적이다. 따라서, 사이드 미러를 생략하고, 차체에 부착시키는 경우의 효과가 더 크다.
그리고 2단은 1단보더 더 길게 하여 범퍼앞과 차량의 주변(앞뒤 바퀴와 후엔다 판넬 문짝)이 보이도록 함으로써 40km/H 이하의 서행시 작은 사고라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전방 및 후방의 네 방향의 모서리 부분에 각각 설치되어 차폭을 표시하기 위한 제1 내지 제4 차폭 표시기(141, 142, 143, 144);
상기 제1 내지 제4 차폭 표시기(141, 142, 143, 144)를 각각 돌출 구동시키는 제1 내지 제4 구동부(131, 132, 133, 134)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차속 감지부(111)의 차량 속도를 수신하고, 상기 차량 속도가 40km/H 이하로 되었을 때, 상기 제1, 제2 구동부(131, 132)를 구동하여 전방의 좌측 및 우측 모서리에 위치한 제1 및 제2 차폭 표시기(141, 142)를 돌출 구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제4 실시예에서 제어부(120)는 차량의 시동 스위치가 온되면 차폭 표시기가 2단 이상으로 돌출하고, 40km/H 이상이 되면 1단으로 축소되고, 다시 40km/H 이하로 되면 2단 이상 돌출하고, 시동이 꺼지면 원위치로 수납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필요에 따라 제1, 제2 후방 카메라(191, 192)를 상기 제1 내지 제4 차폭 표시기(141, 142, 143, 144)중 차량의 뒷부분에 위치한 표시기에 장착할 수도 있고, 트렁크의 좌우측에 각각 장착할 수 도 있다.
이러한 제4 실시예에서는 사이드 미러를 탈부착하는 것도 가능하고, 제1 실시예와 병행 사용하여 어느 한쪽이 고장날 경우에 나머지 하나의 실시예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운전자가 사이드 미러의 사각 지대의 사물이나 사람을 발견하지 못해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주행중 사이드 미러를 후방으로 일정거리 이동시켜 접고, 필요시에만 원래의 위치로 이동시켜 측 후방을 비추도록 함으로써 운전자가 사이드 미러의 사각 지대의 사물이나 사람을 발견하지 못해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사이드 미러의 나쁜 영향을 없애고, 측 후방을 촬영하여 보여줌으로써 운전자가 사이드 미러의 사각 지대의 사물이나 사람을 발견하지 못해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좁은 길에서 주차나 회전시 운전자가 차폭을 정확히 판단할 수 있도록 하여 사물이나 사람과 충돌하는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완벽에 가깝게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는 후방주차 금지 구역이나 환경 보건상 전방주차가 더 바람직할 경우 운전자가 후방주차가 미숙할 경우 매우 유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좁은 도로에서 서행시에 자동으로 차폭 표시기가 돌출되도록 하여 외관상 초보 운전자 같은 느낌을 주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차폭 표시기를 전조등 또는 후미등 커버를 돌출시켜 운전자의 시야에 들어오도록 형성하여 외관상 별도의 장치 같은 느낌을 주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차폭 표시기에 카메라를 장착하여, 그 화상 정보를 네비게이션 등의 정보 표시 장치와 연동시켜 작동되도록 하여, 시너지 효과를 얻을 수 있어, 사물이나 사람과 충돌하는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완벽에 가깝게 방지할 수 있다.

Claims (6)

  1. 차량의 양쪽의 측 후방을 감지하기 위한 제1, 제2 측 후방 감지 카메라;
    차량의 양쪽의 전방을 촬영하는 제1, 제2 전방 카메라;
    상기 제1, 제2 측 후방 감지 카메라를 구동하여 돌출되도록 하는 제1, 제2 측 후방 카메라 구동부;
    차량 전원이 인가되는 것을 감지하는 전원 감지 스위치;
    차량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제1, 제2 측후방 감지 카메라 구동부를 구동하여 상기 제1, 제2 측 후방 감지 카메라를 돌출시키고, 상기 제1, 제2 전방 카메라에서 수신되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전방 카메라 또는 제1, 제2 측 후방 감지 카메라에서 수신되는 영상을 각각 표시하는 제1, 제2 영상 표시부;
    를 포함하고,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는 차속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차량이 정지상태에서 출발하여 주행하거나 상기 차속 감지부로부터 수신되는 차속이 70 내지 80km 이상인 경우 상기 제1, 제2 측 후방 감지 카메라에서 수신되는 영상을 상기 제1, 제2 영상 표시부에 각각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1, 제2 영상 표시부는 각각 운전자의 좌측 및 우측 전방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기어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기어위치 감지부; 및
    타이어의 회전각도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회전각도 센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일정속도 이하로 좌회전하는 경우, 상기 제1 영상 표시부에 좌측의 측후방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어부는 일정속도 이하로 우회전하는 경우, 우측의 측후방을 상기 제2 영상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양쪽의 후방을 촬영하는 제1, 제2 후방 카메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후진시에 상기 제1, 제2 후방 카메라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제1, 제2 영상 표시부에 각각 후방 영상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차량의 전방 및 후방의 네 방향의 모서리 부분에 각각 설치되어 차폭을 표시하기 위한 제1 내지 제4 차폭 표시기; 및
    상기 제1 내지 제4 차폭 표시기를 각각 돌출 구동시키는 제1 내지 제4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속 감지부의 차량 속도를 수신하고, 상기 차량 속도가 40km/H 이하로 되었을 때, 제1, 제2 구동부를 구동하여 전방의 좌측 및 우측 모서리에 위치한 제1 및 제2 차폭 표시기를 돌출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주변 영상 표시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90125141A 2019-10-10 2019-10-10 자동차의 주변 영상 표시 장치 KR1022574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5141A KR102257404B1 (ko) 2019-10-10 2019-10-10 자동차의 주변 영상 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5141A KR102257404B1 (ko) 2019-10-10 2019-10-10 자동차의 주변 영상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3036A KR20210043036A (ko) 2021-04-21
KR102257404B1 true KR102257404B1 (ko) 2021-05-27

Family

ID=75744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5141A KR102257404B1 (ko) 2019-10-10 2019-10-10 자동차의 주변 영상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740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5105B1 (ko) * 2006-09-06 2007-11-08 이동욱 자동차 안전운전을 위한 전방 시선확보용 외부 모니터링시스템
KR101849326B1 (ko) * 2017-08-31 2018-04-17 주식회사 핀텔 차량용 카메라 시스템
KR102021418B1 (ko) 2018-11-29 2019-09-16 김성원 자동차용 사이드 미러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2737U (ko) 1996-08-28 1998-06-05 임경춘 자동차의 사각지대 겸용 백미러
KR0183233B1 (ko) 1996-10-15 1999-04-01 박병재 주차 브레이크 구동시 운행 제한장치
KR19980027233U (ko) * 1996-11-14 1998-08-05 김영귀 자동차의 차폭표시기 구동장치
KR19990007563U (ko) 1997-07-24 1999-02-25 정견식 페레타이즈의 믹서장치
KR20110076300A (ko) * 2009-12-29 2011-07-06 전자부품연구원 차량정보 기반 사각지대 인지용 적응형 멀티모드 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00109539A (ko) 2010-09-20 2010-10-08 김기대 자동차 백미러 좌우 및 후방 사각지대 보정용
KR20130096585A (ko) 2012-02-22 2013-08-30 주식회사 태영피에스 사각지대 확보용 백미러
KR20140001625U (ko) 2012-09-10 2014-03-19 이영권 사각지대 해소용 경보장치가 구비된 아웃사이드 백미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5105B1 (ko) * 2006-09-06 2007-11-08 이동욱 자동차 안전운전을 위한 전방 시선확보용 외부 모니터링시스템
KR101849326B1 (ko) * 2017-08-31 2018-04-17 주식회사 핀텔 차량용 카메라 시스템
KR102021418B1 (ko) 2018-11-29 2019-09-16 김성원 자동차용 사이드 미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3036A (ko) 2021-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30214584A1 (en) Side and rear vision enhancement for vehicles
CN108602465B (zh) 车辆用图像显示系统及搭载了该图像显示系统的车辆
US9286521B2 (en) Camera system for large vehicles
ES2328676T3 (es) Dispositivo de vigilancia activa en un perimetro de seguridad de un vehiculo automovil.
US10434947B2 (en) Driver sitting position controlled vehicle collision avoidance
JP2001006097A5 (ko)
CN107891811A (zh) 车辆驾驶辅助系统
JP4901326B2 (ja) 車両のアウトサイドミラーを利用した後方警報システム
US11498485B2 (en) Techniques for vehicle collision avoidance
US20200031278A1 (en) Vehicle collision avoidance system
CN110901536A (zh) 一种盲区检测报警系统及其工作方法
US20200020235A1 (en) Method, System, and Device for Forward Vehicular Vision
WO2018156760A1 (en) Method, system, and device for forward vehicular vision
KR102042929B1 (ko) 자동차의 차폭 및 측 후방 표시 장치
JP5245438B2 (ja) 車両周辺監視装置
KR102257404B1 (ko) 자동차의 주변 영상 표시 장치
KR101866042B1 (ko) 후진주행 보조시스템
US2003022742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vehicle traffic flow viewing
KR102405575B1 (ko) 자동차의 주변 영상 및 네비게이션 표시 장치
KR102264335B1 (ko) 자동차의 주변 영상 및 네비게이션 표시 장치
WO2013093450A2 (en) Driver display system
KR102033251B1 (ko) 자동차의 차폭 표시 장치
JP2001039218A (ja) 車両周囲モニタリング装置
KR200291685Y1 (ko) 차량의 사면 모니터링 장치
EP3658420A1 (en) "driver sitting position controlled vehicle collision avoida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